KR20210026288A - 싸바리 포장상자의 인박스 자동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싸바리 포장상자의 인박스 자동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288A
KR20210026288A KR1020190106841A KR20190106841A KR20210026288A KR 20210026288 A KR20210026288 A KR 20210026288A KR 1020190106841 A KR1020190106841 A KR 1020190106841A KR 20190106841 A KR20190106841 A KR 20190106841A KR 20210026288 A KR20210026288 A KR 20210026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upper limb
box
product
packag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7984B1 (ko
Inventor
김희열
박장성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에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에스아이 filed Critical (주)제이에스아이
Priority to KR1020190106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984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03Packaging lines, e.g. general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6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0Removing separate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4Packaging sing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2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operation
    • B65B2220/16Packaging contents into primary and secondary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상자의 뚜껑을 개봉한 후 인박스를 내장하고 뚜껑을 다시 닫아서 봉인하는 일련의 포장공정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포장상자가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상자 공급장치와, 상기 포장상자 공급장치와 인접하게 배치되되 제품이 포장된 인박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제품 공급장치와, 상기 포장상자 공급장치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되 포장상자 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포장상자의 뚜껑을 개봉하는 상지 분리장치와, 상기 제품 공급장치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되 제품 공급장치를 통하여 공급된 복수의 인박스를 제품 공급장치와 인접하게 배치된 포장상자 공급장치의 포장상자 하지에 인박스를 삽입하는 제품 삽입장치와, 상기 포장상자 공급장치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되 하지에 인박스가 수납된 상태에서 하지 상단에 상지를 결합시켜 주는 상지 결합장치와, 상기 장치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되어 포장불량 상태를 점검하는 검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싸바리 포장박스에 인박스를 자동 공정에 의하여 포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지 분리장치, 제품 삽입장치, 상지 결합장치는 슬라이드로 왕복작동하는 왕복장치를 구비하고, 왕복장치에는 대상물을 잡아 상측으로 견인하거나 하부측으로 하강시키는 이송대를 장착하여 반복 작동에 의하여 왕복운동하면서 포장공정을 수행되도록 하고, 이송대는 복수로 구성하면서 이송대를 개별 또는 그룹핑하여 작동편차를 발생시킴으로써 대상물을 미세하게 기울어지게 승강시켜 정위치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싸바리 포장상자의 인박스 자동 포장장치{Automatic box packing machine}
본 발명은 싸바리 포장상자의 인박스 자동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상자의 뚜껑을 개봉한 후 인박스를 내장하고 뚜껑을 다시 닫아서 봉인하는 일련의 포장공정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품을 포장하는 박스는 제품의 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박스에 포장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고가의 고급 제품들은 운반 및 보관 등 유통과정에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손상이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포장된 제품의 가치를 더욱 높게 보이게 하기 위하여 견고한 포장상자에 포장된 상태로 유통하는 것이 선호된다.
이렇게 고가의 제품을 포장하는 박스는 포장대상물의 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대부분의 경우 이른바 싸바리 형태의 포장상자에 포장이 이루어지며, 싸바리 박스의 일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4602호(2011. 09. 06 등록)에 개시되어 있다.
싸바리 형태의 포장상자는 두꺼운 종이로 박스 틀을 구현하고 그 표면에 인쇄된 고급 종이나 천, 가죽 등의 싸개지라고 하는 겉지로 싸서 바르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통칭하여 말하며, 겉지와 속지가 별개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구조를 2단 또는 3단, 4단구조로 제작하거나, 개방되는 방식에 따라서 상하로 분리 개방되는 구조 또는 뚜껑이 절첩되면서 개방되는 구조 등 매우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고, 외관이 화려하며 튼튼하게 구성되므로 고급 포장에 주로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싸바리 포장상자는 그 구조상 포장능률이 매우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즉, 싸바리 포장상자는 대부분 포장상자 내부에 여러 개의 인박스를 내장하여 이중으로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중 포장에 의하여 고급 포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하는데, 싸바리 포장상자의 구조상 박스가 접힌 상태로 납품될 수 없기 때문에 포장상자가 조립된 상태에서 뚜껑이 닫힌 상태의 완제품 박스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인박스를 담기 위해서는 반드시 뚜껑을 개봉한 이후에 인박스를 담고, 뚜껑을 다시 닫아서 포장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인박스를 싸바리 포장상자에 수납하는 작업은 수작업에 의존하여 포장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싸바리 포장상자는 인박스를 넣기 위한 공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현재 수작업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며, 이로 인하여 포장능률이 매우 떨어지므로 생산성 저하되며,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공간 및 인력의 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작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박스를 개봉하고, 인박스를 내장하고, 박스를 다시 닫고, 봉인하는 등의 각각의 공정에 작업자를 배치하여 분업화함으로써 싸바리 포장상자의 포장을 수행하고 있으나, 이렇게 분업화하여 수작업으로 포장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생산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물론,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각각의 분업화된 공정들간을 컨베이어로 연결하여 자동이송라인에서 작업자의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있으나, 인력에 의한 공정상 생산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작업자 배치상태를 따라서 이송라인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므로 시설비용이 지나치게 많이 소모되고, 공간을 비효율적으로 활용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어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싸바리 포장상자와 제품이 담겨진 인박스를 동시에 공급하면서 뚜껑을 개봉하고 인박스를 포장상자에 담은 후 다시 닫아서 봉인하는 일련의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자동화 시설을 컴팩트하게 구성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포장상자의 뚜껑을 개봉하거나 인박스를 삽입하거나 뚜껑을 닫는 자동화 공정에서 뚜껑의 개폐 및 인박스 삽입이 어긋남이 없이 이루어지며 오작동이나 오류가 없이 포장불량을 최소화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포장상자가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상자 공급장치와, 상기 포장상자 공급장치와 인접하게 배치되되 제품이 포장된 인박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제품 공급장치와, 상기 포장상자 공급장치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되 포장상자 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포장상자의 뚜껑을 개봉하는 상지 분리장치와, 상기 제품 공급장치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되 제품 공급장치를 통하여 공급된 복수의 인박스를 제품 공급장치와 인접하게 배치된 포장상자 공급장치의 포장상자 하지에 인박스를 삽입하는 제품 삽입장치와, 상기 포장상자 공급장치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되 하지에 인박스가 수납된 상태에서 하지 상단에 상지를 결합시켜 주는 상지 결합장치와, 상기 장치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되어 포장불량 상태를 점검하는 검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싸바리 포장박스에 인박스를 자동 공정에 의하여 포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지 분리장치, 제품 삽입장치, 상지 결합장치는 슬라이드로 왕복작동하는 왕복장치를 구비하고, 왕복장치에는 대상물을 잡아 상측으로 견인하거나 하부측으로 하강시키는 이송대를 장착하여 반복 작동에 의하여 왕복운동하면서 포장공정을 수행되도록 하고, 이송대는 복수로 구성하면서 이송대를 개별 또는 그룹핑하여 작동편차를 발생시킴으로써 대상물을 미세하게 기울어지게 승강시켜 정위치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싸바리 포장상자의 인박스 자동 포장장치에 의하면, 싸바리 포장이 자동 공정에 의하여 수행되므로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고, 포장라인의 배열구조를 컴팩트하게 구성함으로써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공간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음은 물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저렴한 투자비용으로도 현저한 생산성 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포장을 위한 이송 및 분리결합 구조가 흡착방식 및 개별 정밀제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뚜껑의 개봉 및 재결합이 정밀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포장상자 내에 식기리패드가 내장되는 구조인 경우에도 제품이 담겨진 인박스를 정위치에 어긋남 없이 정밀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포장공정에서의 불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중 포장 구조에서 인박스가 식기리패드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유통과정에서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제품 손상을 최소화하고 내부 포장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싸바리 포장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세부구조를 나타낸 확대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포장상자 공급장치의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포장상자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투입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이송컨베어의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품 공급장치의 구조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상지 분리장치의 구조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상지 분리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품 삽입장치의 구조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품 삽입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상지 결합장치의 구조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품 삽입장치와 상지 결합장치의 외관도
도 20은 도 19의 작동상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상지 결합장치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상자(B)를 공급하는 포장상자 공급장치(100)와, 제품이 담겨진 인박스(b)를 공급하는 제품 공급장치(200)와, 포장상자의 뚜껑을 개봉하는 상지 분리장치(300)와, 인박스(b)를 포장상자(B)에 삽입하는 제품 삽입장치(400)와, 포장상자의 뚜껑을 다시 결합하는 상지 결합장치(500)와, 포장불량 여부를 점검하는 검사장치(600), 포장과정에서 하지로부터 분리된 상지를 이송하여 재공급하기 위한 상지 이송컨베어(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포장상자 공급장치(100)는 싸바리 형태를 갖는 포장상자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서의 싸바리 포장상자는 제품이 이중 구조로 포장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때 겉포장을 구성하는 상자를 통칭하며, 비교적 두꺼운 재질로 이루어져 내장된 제품을 보호하는 겉포장으로 사용되는 상자를 의미한다.
포장상자 공급장치(100)는 포장상자를 연속 반복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구조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상자를 다층으로 쌓아 적층하는 적재단(120)과, 포장상자를 이송하는 제1이송컨베어(140)와, 적재단(120)에 적층되어 있는 포장상자를 제1이송컨베어(140)로 반복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투입장치(160)가 구비될 수 있다.
적재단(120)은 포장상자(B)가 조립된 상태에서 뚜껑이 닫힌 상태의 완제품 박스가 다층으로 적층보관할 수 있도록 일정한 틀을 갖는 다이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다이에는 적층되어 있는 포장상자가 순차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제1이송컨베어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는 다이의 하단에 위치되어 적층되어 있는 포장상자들 중에서도 최하층의 포장상자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적재단(120)에서 제1이송컨베어(140)로 투입되는 포장상자는 포장상자를 하나씩 개별투입하는 것보다는 3개씩 또는 5개씩 복수로 투입하면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복수의 포장상자를 동시에 투입하는 경우 포장상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띄워서 차후 공정에서 작업간섭을 방해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투입장치(160)는 복수의 포장상자를 동시에 투입하는 밀대(162)와, 동시에 투입되는 복수의 포장상자 간격을 이격시키는 이격장치(1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포장상자의 간격을 벌려 이격시키는 이격장치(164)는 에어 흡착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일 예로 포장상자를 3개씩 공급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단에 위치한 포장상자의 외부측에 슬라이드 작동하는 흡착기를 구비하여 포장상자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양측단에 위치한 두개의 포장상자를 흡착하여 당겨줌으로써 중앙에 위치한 포장상자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포장상자를 밀어서 제1이송컨베어(140)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인 밀대(162)는, 제1밀대(162a)와 제2밀대(162b)로 구성되도록 하여 제1밀대에 의하여 적재단(120)에 적재되어 있는 포장상자(B)를 이격장치(164)로 공급한 후, 다시 제2밀대에 의하여 이격장치에서 등간격으로 벌어진 포장상자를 제1이송컨베어(140)로 공급토록 할 수 있다.
위 제1밀대(162a)와 제2밀대(162b)는 일체로 구성되어 동시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포장상자를 밀어서 투입한 이후에는 포장상자의 상부측을 경유하여 원위치로 복원되어 작동 준비상태가 되고, 다시 포장상자를 투입하는 작동을 수행하며, 이러한 작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포장상자를 지속적으로 반복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포장상자가 이격장치(164)에 의하여 벌어져 제1이송컨베어(140)에 안착되게 공급된 상태에서 제1이송컨베어(140)가 작동할 때 포장상자가 공급되는 간격을 등간격으로 유지함으로써 이후 공정에서 작업 간섭을 방지하고 인박스가 포장상자의 하지에 정위치 끼움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이송컨베어(14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상자가 이격된 상태에서 컨베어를 타고 이송이 이루어질 때 그 간격을 등간격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1이송컨베어(140)에는 간격유지구(144)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제품 공급장치(200)는 포장상자(B)에 담겨지는 인박스(b)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인박스(b)는 제품이 담겨져 1차 포장이 이루어진 것으로, 인박스는 육면체의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제품의 종류나 특성에 따라서 원기둥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의 인박스가 적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공급장치(200)는 제품이 담겨있는 인박스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장치로서, 상기 포장상자 공급장치(100)를 통하여 공급되는 포장상자(B)에 인박스(b)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포장상자 공급장치(100)와 인접하게 제품 공급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품 공급장치(200)에는 인박스의 지속적인 공급을 위하여 제2이송컨베어(240)가 구비되며, 제2이송컨베어(240)는 제1이송컨베어(140)와 인접하게 병렬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제2이송컨베어(240)를 통하여 공급되는 제품, 즉 인박스 상태로 포장된 제품을 제품 삽입장치(400)를 이용하여 포장상자의 하지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제품을 하지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포장상자의 뚜껑을 먼저 개봉하여야 하는데, 뚜껑 개봉을 위하여 포장상자 공급장치의 이송경로 상에 상지 분리장치(300)를 장착함으로써 포장상자가 제1이송컨베어(140)를 통하여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지를 하지로부터 분리하여 뚜껑을 개봉할 수 있다.
상지 분리장치(300)는 제1이송컨베어(140) 및 제1이송컨베어와 인접하게 병렬 배치되는 상지 이송컨베어(700)를 현수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포장상자(B)가 제1이송컨베어를 통하여 공급되는 과정에서 포장박스의 하지로부터 상지를 분리함으로써 포장상자의 뚜껑을 개봉할 수 있도록 되는 것으로서, 분리된 상지는 상지 이송컨베어(700)를 통하여 상지 결합장치(500)로 안내되어 포장박스이 뚜껑을 다시 닫을 수 있게 된다.
상지 분리장치(30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송컨베어와 상지 이송컨베어를 왕복 작동하는 왕복장치(320)와, 그 왕복장치(320)에 장착되어 상,하로 승강작동하는 이송대(340)가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대(340)가 상지에 밀착되어 상부측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상지를 하지로부터 분리시켜 뚜껑이 개봉되게하고, 그 상태에서 상지를 상지 이송컨베어(700)로 이송하여 내려 놓음으로써 하지는 제1이송컨베어를 통하여 그대로 공급되고, 하지로부터 분리된 상지는 상지 이송컨베어(700)를 통하여 공급되어 이후 상지를 재결합하는 공정까지 분리 이송된다.
이때, 상기 이송대(340)에 상지를 밀착하기 위해서 이송대의 하단에는 흡착판이 장착되고, 그 흡착판을 통하여 에어를 흡입하여 진공력에 의하여 이송대가 상지의 상면에 밀착되어 견인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제품 삽입장치(400)는 제품 공급장치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되 제품 공급장치를 통하여 공급된 복수의 인박스를 제품 공급장치와 인접하게 배치된 포장상자 공급장치의 포장상자 하지에 인박스를 삽입하는 장치로서, 포장상자 공급장치(100)와 제품 공급장치(200)의 병렬 연결된 상태를 현수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제품 공급장치를 통하여 공급된 복수의 인박스를 포장상자에 삽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이송컨베어와 제2이송컨베어를 왕복 작동하는 왕복장치(420)와, 그 왕복장치(420)에 장착되어 상,하로 승강작동하는 이송대(4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송대는 대상물을 잡아 상측으로 견인하거나 하부측으로 하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대(440)가 인박스에 밀착되어 상부측으로 들어올려 견인하고, 그 상태에서 인박스를 제1이송컨베어(140)로 이송하여 하지에 삽입함으로써 하지에 인박스가 삽입된 상태로 제1이송컨베어를 통하여 이후 공정으로 안내되고, 왕복장치가 왕복운동하고 이송대가 상,하로 승강되는 반복 작동에 의하여 반복적인 포장공정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이송대(440)에 인박스를 밀착하기 위해서 이송대의 하단에는 흡착판이 장착되고, 그 흡착판을 통하여 에어를 흡입하여 진공력에 의하여 이송대가 인박스의 상면에 밀착되어 견인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포장상자(B)는 하지에 인박스를 일정한 간격으로 띄워 수납할 수 있는 고정틀인 식기리패드(B1)가 내장될 수 있는 것으로, 식기리패드에는 인박스의 형상과 대응하게 타공된 장착부가 형성되어 인박스를 정위치에 삽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식기리패드는 인박스를 포장상자에 삽입한 상태에서 포장외관을 고급화하고, 내용물이 외부충격에 의하여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이 식기리패드에 인박스가 빡빡하게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식기리패드의 장착부와 인박스의 외경이 지나치게 빡빡하게 재단된 경우 인박스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내압에 의하여 삽입이 잘 이루어지지 않거나 작동오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대(440)를 복수로 구성하고, 복수의 이송대가 분리 구동되어 작동편차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이송대(440)는 인박스가 포장상자의 고정틀에 타공된 구멍에 삽입될 때 기울어지게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인박스가 식기리패드의 장착부의 일측 모서리 부분에 먼저 위치 설정을 한 후 삽입됨으로써 인박스의 정위치 설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인박스가 삽입될 때 공기저항을 최소화하고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이송대의 분리 구동을 위한 작동구조로서, 이송대는 개별 구동되거나 또는 그룹핑하여 동작시킴으로써 개별 또는 그룹핑된 이송대가 시차를 두고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시차를 두고 구동이 이루어지는 범위는 이송대의 상,하 작동범위 전체에 걸쳐 수행되거나 또는 일부분에서만 시차를 두고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송대에 인박스가 흡착된 상태에서 이송대가 하강할 때, 초기 작동시부터 인박스가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하강되도록 하거나, 또는 초기 작동시에는 수평으로 하강하다가 식기리패드에 근접하여 미세하게 기울어지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이렇게 개별 구동 또는 그룹핑 구동을 정밀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각각의 이송대를 서보모터로 연결하고, 서보모터를 통하여 제어를 함으로써 기울기의 미세조정이 가능하게 되며, 작동오류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정밀조작으로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인박스가 식기리패드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동이 발생하지 않게 긴밀히 끼워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제품 삽입장치(400)에는 이송대(440)가 인박스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가압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프레싱바(460)가 더 장착될 수 있는 것으로, 이송대(440)에 의하여 인박스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송대를 분리시킬 때 인박스가 상부측으로 딸려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고 이송대와 인박스를 완전히 분리시켜 인박스가 삽입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도하도록 할 수 있다.
프레싱바(460)는 이송대(440)와 시차를 두고 작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송대가 상부로 들어올려질 때 프레싱바(460)가 그와 역행하게 하강되어 인박스의 상부를 눌러줌으로써 이송대와 인박스를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프레싱바(460)는 인박스를 가압할 때 마찰력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인박스의 표면에 스크래치나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는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프레싱바에 의하여 인박스가 삽입되어 눌려진 최종단계에서 인박스의 들뜸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지 결합장치(500)는 상기 포장상자 공급장치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인박스가 하지 또는 식기리패드가 구비된 하지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지 상단에 상지를 결합시켜 포장상자를 다시 닫아주게 된다.
상지 결합장치(500)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이송컨베어와 상지 이송컨베어를 왕복 작동하는 왕복장치(520)와, 그 왕복장치(520)에 장착되어 상,하로 승강작동하는 이송대(5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송대는 대상물을 잡아 상측으로 견인하거나 하부측으로 하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대(540)가 상지 이송컨베어를 통하여 이송되어진 상지에 밀착되어 상부측으로 들어올힌 후 제1이송컨베어로 이송되어 하지의 직상부에 상지가 위치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상지를 하강시킴으로써 하지의 상단에 상지가 끼워져 포장상자가 닫히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대(540)에 상지를 밀착하기 위해서 이송대의 하단에는 흡착판이 장착되고, 그 흡착판을 통하여 에어를 흡입하여 진공력에 의하여 이송대가 상지의 상면에 밀착되어 견인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지 분리장치(300)와 상지 결합장치(500)는 상지 이송컨베이어(700)로 연결되어 제1이송컨베어와 병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지를 하지에 다시 결합할 수 있도록 재공급되는 것으로, 상지 이송컨베어에는 이송 속도제어를 위한 가속 컨베어(720)가 더 구비되어 제1이송컨베어의 속도에 대응하게 상지의 이송속도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장박스를 구성하는 상지와 하지는 비교적 두꺼운 두께로 이루어지고, 서로 맞물리는 면이 빡빡하게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상지 분리장치(300)를 이용하여 상지를 하지로부터 분리하거나, 상지 결합장치를 지나치게 빡빡하게 제작된 경우 상,하지를 분리 또는 결합하는 과정에서 내압에 의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거나 결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작동오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하지 분리장치(300,500)의 이송대(340,540)를 복수로 구성하고, 복수의 이송대가 분리 구동되어 작동편차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이송대(340,540)는 상지가 하지로부터 분리되거나 삽입될 때 기울어지게 투입이 이루어져 공기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원활하게 분리, 결합할 수 있다.
즉, 상지 분리장치(300)를 이용하여 상지를 하지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지의 어느 일측을 먼저 들어올려서 공기가 포장상자 내부로 유입되는 유로를 최대한 확보한 상태에서 상지를 상부로 견인함으로써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쉽게 인출될 수 있으며, 반대로 상지 결합장치(500)를 이용하여 상지를 하지에 결합할 경우에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지가 하지의 일측 모서리 부분에 먼저 위치 설정을 한 후 삽입됨으로써 상지가 정위치에 설정되면서도 상지가 하지 상단에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질 때 상지가 하지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투입이 이루어져 상,하지간 마찰력이나 공기압에 의한 작동오류가 발생하지 않고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이송대의 분리 구동을 위한 작동구조로서, 이송대는 개별 구동되거나 또는 그룹핑하여 동작시킴으로써 개별 또는 그룹핑된 이송대가 시차를 두고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시차를 두고 구동이 이루어지는 범위는 이송대의 상,하 작동범위 전체에 걸쳐 수행되거나 또는 일부분에서만 시차를 두고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개별 구동 또는 그룹핑 구동을 정밀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각각의 이송대를 서보모터로 연결하고, 서보모터를 통하여 제어를 함으로써 기울기의 미세조정이 가능하게 되며, 작동오류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정밀조작으로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상지가 하지에 긴밀히 끼워 조립되고 포장공정에서 작동오류나 분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뚜껑을 개봉하고 인박스를 삽입한 후 다시 뚜껑을 덮어서 포장하는 공정들 각각에는 포장불량 상태를 점검하는 검사장치(600)가 장착된다.
검사장치(600)는 비젼센서 등을 적용한 검사수단이 장착되어 포장공정에서의 불양유무를 검사할 수 있는 것으로, 제1이송컨베어를 통하여 포장공정이 진행되는 경로상에 복수의 검사장치가 장착되어 포장 불량유무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상지 분리장치(300)와 제품 삽입장치(400)의 사이에는 제1검사장치가 장착되어 포장상자의 상지가 하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하지의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품 삽입장치(400)와 상지 결합장치(500)의 사이에는 제2검사장치가 장착되어 하지에 삽입되어 있는 인박스의 이상 여부, 예를 들어 인박스가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되게 삽입되었는지 삽입방향을 측정하는 등의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지 결합장치(500)의 이후 공정에는 상,하지 이상을 확인하거나, 포장상자 표면의 날인 이상을 확인하거나, 봉함스티커를 부착하는 경우 봉함 이상 등을 확인하기 위한 기타 검사장치들이 장착될 수 있으며, 각각의 공정마다 검사장치가 설치되고 각각의 검사장치를 통하여 포장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별도의 분기라인을 통하여 선별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검사장치(600)에서 이상신호가 감지된 상품은 별도의 배출장치를 이용하여 분리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제1이송장치의 말단에는 분리 배출기가 연결되어 선별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100: 포장상자 공급장치
120: 적재단
140: 제1이송컨베어 144: 간격유지구
160: 투입장치 162: 밀대
162a: 제1밀대 162b: 제2밀대
164: 이격장치
200: 제품 공급장치 240: 제2이송컨베어
300: 상지 분리장치 320: 왕복장치 340: 이송대
400: 제품 삽입장치 420: 왕복장치 440: 이송대
460: 프레싱바
500: 상지 결합장치 520: 왕복장치 540: 이송대
600: 검사장치
700: 상지 이송컨베어 720: 가속 컨베어

Claims (8)

  1. 포장상자가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상자 공급장치;
    상기 포장상자 공급장치와 인접하게 배치되되 제품이 포장된 인박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제품 공급장치;
    상기 포장상자 공급장치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되 포장상자 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포장상자의 뚜껑을 개봉하는 상지 분리장치;
    상기 제품 공급장치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되 제품 공급장치를 통하여 공급된 복수의 인박스를 제품 공급장치와 인접하게 배치된 포장상자 공급장치의 포장상자 하지에 인박스를 삽입하는 제품 삽입장치;
    상기 포장상자 공급장치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되 하지에 인박스가 수납된 상태에서 하지 상단에 상지를 결합시켜 주는 상지 결합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바리 포장상자의 인박스 자동 포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지 분리장치, 제품 삽입장치, 상지 결합장치는 슬라이드로 왕복작동하는 왕복장치가 구비되고, 왕복장치에는 대상물을 잡아 상측으로 견인하거나 하부측으로 하강시키는 이송대가 장착되어 반복 작동에 의하여 왕복운동하면서 포장공정을 수행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싸바리 포장상자의 인박스 자동 포장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삽입장치는 이송대가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이송대는 인박스가 포장상자의 고정틀에 타공된 구멍에 삽입될 때 기울어지게 투입이 이루어져 정위치 설정이 이루어지지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이송대가 분리 구동되어 작동편차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싸바리 포장상자의 인박스 자동 포장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상자의 상지를 분리하거나 결합하는 상지 분리장치 또는 상지 결합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은 이송대가 복수로 구성되고, 상지를 하지로부터 분리하거나 상지를 하지에 결합할 때 상지가 하지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투입이 이루어져 상,하지간 마찰력이나 공기압에 의한 작동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복수의 이송대가 분리 구동되어 작동편차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싸바리 포장상자의 인박스 자동 포장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삽입장치에는 이송대가 인박스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가압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프레싱바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바리 포장상자의 인박스 자동 포장장치.
  6. 제 3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는 에어 흡착방식으로 구성되고, 서보모터에 의하여 개별설정이 가능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싸바리 포장상자의 인박스 자동 포장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지 분리장치와 상지 결합장치는 상지 이송컨베이어로 연결되고, 상지 이송컨베어에는 이송 속도제어를 위한 가속 컨베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바리 포장상자의 인박스 자동 포장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상자 공급장치, 제품 공급장치, 상지 분리장치, 제품 삽입장치, 상지 결합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와 인접하게 포장라인 상에 장착되어 포장불량 상태를 점검하는 검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바리 포장상자의 인박스 자동 포장장치.
KR1020190106841A 2019-08-29 2019-08-29 싸바리 포장상자의 인박스 자동 포장장치 KR102287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841A KR102287984B1 (ko) 2019-08-29 2019-08-29 싸바리 포장상자의 인박스 자동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841A KR102287984B1 (ko) 2019-08-29 2019-08-29 싸바리 포장상자의 인박스 자동 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288A true KR20210026288A (ko) 2021-03-10
KR102287984B1 KR102287984B1 (ko) 2021-08-10

Family

ID=75148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841A KR102287984B1 (ko) 2019-08-29 2019-08-29 싸바리 포장상자의 인박스 자동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9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143A (ko) * 2020-03-04 2021-09-14 (주)제이에스아이 싸바리 포장을 위한 포장상자 공급장치
KR20220067837A (ko) * 2020-11-18 2022-05-25 주식회사티엠프라자 싸바리 자동화 포장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9404A (ja) * 1991-03-07 1992-10-05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ルフボール箱詰機
JPH05147604A (ja) * 1991-11-29 1993-06-15 Nichiden Mach Ltd 蓋体装着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15000756A (ja) * 2013-06-17 2015-01-05 大森機械工業株式会社 箱詰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9404A (ja) * 1991-03-07 1992-10-05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ルフボール箱詰機
JPH05147604A (ja) * 1991-11-29 1993-06-15 Nichiden Mach Ltd 蓋体装着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15000756A (ja) * 2013-06-17 2015-01-05 大森機械工業株式会社 箱詰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143A (ko) * 2020-03-04 2021-09-14 (주)제이에스아이 싸바리 포장을 위한 포장상자 공급장치
KR20220067837A (ko) * 2020-11-18 2022-05-25 주식회사티엠프라자 싸바리 자동화 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7984B1 (ko) 202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89329B2 (ja) 袋詰培地ブロックの袋折畳み機
EP1553021B1 (en) Method and assembly for filling a box
US102022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oxing rectangular articles
US101249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packs with products
JP6941384B2 (ja) カートンに緩衝要素を梱包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11124322B2 (en) Head for grasping and folding insert sheets, inserting device, filling station and method for grasping, folding and loading an insert sheet
KR20100033273A (ko) 포장박스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210026288A (ko) 싸바리 포장상자의 인박스 자동 포장장치
WO2015137005A1 (ja) 箱詰めシステム
CN105438545A (zh) 包装一体机
US20180148204A1 (en) Machine for the packaging of fruits and generally spherical products
KR101335086B1 (ko) 자동패커장치의 포장케이스용 소재공급수단
US20110308206A1 (en) Packaging system for filling a collecting container with articles
CN109533513B (zh) 一种显示面板的自动包装装置
CN116253030A (zh) 一种自动化包装系统
JP4472983B2 (ja) 箱詰装置
KR100757178B1 (ko) 필로우 정렬 장치
JP2519994B2 (ja) 包装体の自動詰め込み搬送装置
CN217437160U (zh) 一种机器人视觉识别瓶盖智能搬运生产线
KR102375310B1 (ko) 싸바리 포장을 위한 포장상자 공급장치
US20140157733A1 (en)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rod-shaped articles
JP3196407U (ja) 全型海苔の袋詰め包装装置に用いる供給トレー及び押し子
CN219447559U (zh) 一种自动化包装系统
KR101960013B1 (ko) 버블랩 포장 물품 자동 이송 시스템
KR102286654B1 (ko) 포대 자동 포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