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446A - 포장재의 종이 표면층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포장재의 종이 표면층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446A
KR20210025446A KR1020190105896A KR20190105896A KR20210025446A KR 20210025446 A KR20210025446 A KR 20210025446A KR 1020190105896 A KR1020190105896 A KR 1020190105896A KR 20190105896 A KR20190105896 A KR 20190105896A KR 20210025446 A KR20210025446 A KR 20210025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material
surface layer
paper
adhesi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수
Original Assignee
김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수 filed Critical 김철수
Priority to KR1020190105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5446A/ko
Publication of KR20210025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4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5/00After-treatment of paper not provided for in groups D21H17/00 - D21H23/00
    • D21H25/005Mechanical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5/00After-treatment of paper not provided for in groups D21H17/00 - D21H23/00
    • D21H25/04Physical treatment, e.g. heating, irradiating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0Packing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된 포장재 표면에 표면층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포장재(47)의 표면에 미세종이조각을 산포하고 프레스가공하여 표면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재(48)의 외관이 미려해지고 외부로 이물이 드러나지 않아 위생상 좋은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포장재의 종이 표면층 제조방법{Packages made by fine piece of paper coating}
본 발명은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된 포장재의 표면에 미세하게 분쇄된 종이조각으로 표면층을 형성한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포장재 제조방법으로는 폐지를 원료로 종이, 보다 정확하게는 종이펄프를 사용하여 포장재를 만드는 경우와 플라스틱을 사출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종이펄프를 이용한 포장재 제조방법으로는 폐지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파쇄하고 수분에 침지시킨 후에, 수분을 일정 이하로 만들도록 탈수시킨다. 수분이 어느 정도 탈수된 종이펄프에 접착제를 섞고 성형기에 넣어서 소정의 형상으로 만들고, 건조한 후에 후처리공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폐지를 활용하여 포장재를 만드는 경우에는 가장 큰 문제가 탈수 후에 남아 있는 수분을 소정의 형상으로 만들어진 종이펄프에서 건조시키는 것이다. 건조공정에서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게 되어 포장재의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플라스틱 사출 포장재의 제조방법은 플라스틱 펠렛을 용융시킨 후 금형에 압입시켜 형상을 만든 후 냉각시켜 포장재를 제조한다. 플라스틱 포장재는 생산단가가 낮고 사용 편리성이 좋으나 환경오염 문제로 인하여 생산과 사용에 규제가 가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종이펄프 포장재와 플라스틱 포장재가 1회 사용 후 폐기 처분되기 때문에 생산에 필요한 에너지의 낭비와 환경오염이 발생함으로 사용된 후 폐기되는 포장재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표면에 작은 종이조각을 이용하여 표면층을 형성하여 오염물질로부터 위상상의 문제를 해결하고 표면을 미려하게하여 재활용이 가능하게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7-006362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32169호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된 기존포장재의 외관에 미세하게 분쇄된 종이조각으로 만들어진 표면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존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된 기존포장재의 표면에 접착제와 작게 분쇄된 미세종이조각을 산포하고 프레스가공하여 표면층을 형성하는 표면층형성단계와, 상기 포장재에 있는 수분을 열을 가해 제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표면층은 접착제와 미세종이조각으로 구성되어 만들어진다.
상기 표면층형성단계에서는 하부에 있는 하몰드가 탄성변형되면서 프레스 가공이 진행된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재의 종이 표면층 제조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된 기존포장재의 외면에 미세하게 분쇄된 종이조각으로 표면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포장재의 외면에 미세하게 분쇄된 종이조각으로 표면층이 만들어져 포장재의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의한 기존포장재의 종이 표면층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기존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된 기존포장재의 상부에 제2접착제노즐(50)과 미세종이조각공급부(60)가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제2접착제노즐(50)이 2개, 미세종이조각공급부(60)가 1개 있으나, 이들의 설치개수는 다양하게 될 수 있다. 제2접착제노즐(50)과 미세종이조각공급부(60) 등이 있는 위치에서 재활용을 위한 기존포장재(47)를 이동시키는 것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컨베이어벨트나 유공압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미세종이조각공급부(60)에서 공급되는 미세종이조각의 크기는 예를 들어 폭이 2mm내외이고 길이 20mm내외이다.
상기 제2접착제노즐(50)과 미세종이조각공급부(60)를 통과한 위치에는 제2프레이스(70)가 있다. 상기 제2프레스(70)에서는 미세종이조각과 접착제가 기존포장재(47)의 표면에 부착되게 한다. 즉, 상기 미세종이조각과 접착제로 기존포장재(47)의 표면에 표면층을 형성하게 된다.
제2프레스(70)의 주요 구성은 제2하몰드(71)와 제2상몰드(72)인데, 상기 제2하몰드(71)는 제1하몰드(42)와 형상이 거의 같고, 제2상몰드(72)는 제1상몰드(43)와 형상이 거의 같다. 하지만, 상기 제2하몰드(71)는 전체가 탄성재질로 만들어진다. 물론, 상기 제2상몰드(72)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제2하몰드(71)를 탄성재질로 만들게 되면 표면층을 기존포장재(47)의 표면에 보다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스(70)를 통과한 위치에는 건조부(80)가 있다. 상기 건조부(80)는 표면층이 형성된 기존포장재(47)에서 잔존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건조부(80)에서는 열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기존포장재(47)의 종이 표면층 제조방법을 통한 포장재(48)를 제조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접착제노즐(50)에서 상기 기존포장재(47)의 표면에 1차로 접착제를 분무하고 그 표면에 미세종이조각공급부(60)에서 미세종이조각을 공급하고, 다시 2번째 제2접착제노즐(50)에서 접착제를 분무한다. 이와 같이 기존포장재(47)의 표면에 접착제와 미세종이조각을 공급한 상태에서 제2프레스(70)를 사용하여 모양을 성형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기존포장재(47)의 표면에는 표면층이 형성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1차하몰드(71)가 탄성재질로 만들어져 있어서, 기존포장재(47)의 표면, 즉 상면에 산포된 미세종이조각의 양이 위치에 따라 불균일하더라도 프레스가공시에 균일한 압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표면층이 보다 기존포장재(47)에 잘 부착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부(80)에서 열을 가해서 포장재(48)에 있는 접착제(16) 와 프레스가공 후 잔존하는 수분을 제거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47: 기존포장재 48: 포장재
50: 제2접착제노즐
60: 미세종이조각공급부 70: 제2프레스
71: 제2하몰드 72: 제2상몰드
80: 건조부

Claims (3)

  1. 기 제조된 기존포장재의 표면에 접착제와 미세종이조각을 산포하고 프레스가공하여 표면층을 형성하여 만들어진 포장재.
  2. 기 제조된 기존포장재의 표면에 접착제와 상기 종이조각보다 작게 분쇄된 미세종이조각을 산포하고 프레스가공하여 표면층을 형성하는 표면층형성단계와,
    상기 포장재에 있는 수분을 열을 가해 제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포장재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접착제와 미세종이조각으로 구성되어 만들어진 포장재 제조방법.
KR1020190105896A 2019-08-27 2019-08-27 포장재의 종이 표면층 제조방법 KR202100254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896A KR20210025446A (ko) 2019-08-27 2019-08-27 포장재의 종이 표면층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896A KR20210025446A (ko) 2019-08-27 2019-08-27 포장재의 종이 표면층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446A true KR20210025446A (ko) 2021-03-09

Family

ID=75179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896A KR20210025446A (ko) 2019-08-27 2019-08-27 포장재의 종이 표면층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544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3629A (ko) 1996-02-07 1997-09-12 정선후 폐지를 이용한 내,외장재 일체형 포장상자 제조방법
KR20170032169A (ko) 2015-09-14 2017-03-22 김철수 종이공극시트,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3629A (ko) 1996-02-07 1997-09-12 정선후 폐지를 이용한 내,외장재 일체형 포장상자 제조방법
KR20170032169A (ko) 2015-09-14 2017-03-22 김철수 종이공극시트,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19534T2 (de) Verbesserte formstoffaserherstellung
DE102010030752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beidseitig beschichteten dekorierten Platte
CZ300493B6 (cs) Zpusob výroby laminátového povlaku
RU2016105441A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декоративной стеновой или напольной панели
CN104588393B (zh) 利用废旧线路板及边角废料制造新型非木质环保板材的方法
NO20053697L (no) Fremgangsmate for a produsere harpiksimpregnerte somlose belter og et belte for papirproduserende maskiner og tilsvarende industrielle anvendelser
CN106555365A (zh) 一种耐摩擦且防掉毛掉尘的湿压纸浆托及其制备方法
KR20210025446A (ko) 포장재의 종이 표면층 제조방법
CN101797850A (zh) 获得全息图案的方法和装置以及安装有该装置的印刷机
FR2571299B1 (fr) Procede de fabrication d'une matiere a mouler a base de resine thermodurcissable, renforcee par des fibres
AT392758B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egebenenfalls plattenfoermigen kunstharz-druckformkoerpers sowie vorprodukt zum einsatz bei einem solchen verfahren
CN107889369A (zh) 一种铜基板表面处理工艺
KR20120070415A (ko) 목재 판재의 도장 방법
CN203778476U (zh) 一种利用废旧纤维制造板材的设备
JPH085044B2 (ja) 乾式法による木質繊維板の凹凸模様形成方法
DE3500402A1 (de) Verfahren und anlage zum kontinuierlichen herstellen und oberflaechenveredeln einer in einem pressspalt unter hitzeeinwirkung erzeugten plattenbahn
KR20200133638A (ko) 종이공극시트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DE102011080653A1 (de) Trägerfolie für ein silikonelemen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trägerfolie für ein silikonelement
KR101539071B1 (ko) 비금속 금형을 이용한 장식 판재의 제조 방법
CN1227103C (zh) 木材纤维束仿生重组木制品的制造方法
JPH04125104A (ja) 化粧板の製造方法
KR20190090315A (ko) 분쇄된 종이 조각을 압착성형한 포장재의 펄프코팅 방법
CN203540794U (zh) 一种用于改性沥青防水卷材生产的涂油装置
DE2513764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holzwerkstoffplatte, wie spanplatte, die mindestens einseitig mit einer beschichtung versehen ist und anlage zur ausuebung des verfahrens
CN112900151A (zh) 一种三聚氰胺软化纸及其制作工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