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169A - 종이공극시트,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종이공극시트,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2169A
KR20170032169A KR1020160104856A KR20160104856A KR20170032169A KR 20170032169 A KR20170032169 A KR 20170032169A KR 1020160104856 A KR1020160104856 A KR 1020160104856A KR 20160104856 A KR20160104856 A KR 20160104856A KR 20170032169 A KR20170032169 A KR 20170032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et
adhesive
piec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7841B1 (ko
Inventor
김철수
Original Assignee
김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수 filed Critical 김철수
Priority to US15/760,00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80264780A1/en
Priority to PCT/KR2016/009326 priority patent/WO2017047940A1/ko
Publication of KR20170032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70/64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 B31B19/6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 B27N3/10Moulding of mats
    • B27N3/14Distributing or orienting the particles or fibres
    • B31B19/20
    • B31B19/62
    • B31B19/64
    • B31B19/7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59Shaping sheet material under pressure
    • B31B50/592Shaping sheet material under pressure using punch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70/20Cutting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7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70/64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 B31B70/643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on piled sheets, e.g. sealing bags arranged in a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74Auxiliary operations
    • B31B70/76Moistening; Drying; Cooling;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5/00Attaching together sheets, strips or webs; Reinforcing edges
    • B31F5/04Attaching together sheets, strips or webs; Reinforcing edges by exclusive use of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next to another layer of paper or cardboar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2Applications of coated or impregnat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6Applications of disintegrable, dissolvable or edible materials
    • B31B2219/60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241/00Making bags or boxes intended for a specific use
    • B31B2241/002Making egg car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공극시트와 이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이공극시트(10)는 제1기재(12) 상에 접착제(16)로 파쇄된 종이조각(14)을 적층하여 구성된다. 상기 종이공극시트(10)를 형성함에 있어서 파쇄된 종이조각(14)은 다수회에 걸쳐서 접착제(16)와 교대로 도포되어 소정 높이로 만들어진다. 필요한 경우 제1기재(12) 반대쪽에 제2기재(18)를 둔다. 상기 종이공극시트(10)는 프레스(40)를 사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건조부(48)에서 수분이 제거되어 완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이를 파쇄하여 만드는 종이공극시트와 이를 활용한 포장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에너지가 최소화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종이공극시트,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Paper sheet, paper sheet making apparatus and paper sheet making method}
본 발명은 종이공극시트,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쇄된 종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압착 형성한 종이공극시트,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종이공극시트는 소정의 크기로 파쇄된 종이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서로 붙도록 하면서 내부에 많은 공극이 존재하도록 만든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종이공극시트는 완충성이 있으므로, 포장재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제품 등을 포장할 때, 박스 내부에 위치되는 완충재로 사용되거나, 계란과 같이 충격에 약한 제품을 보호하면서 포장하는 포장재로 종이공극시트가 사용된다.
종래에는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서도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폐지를 원료로 종이, 보다 정확하게는 종이펄프를 사용하여 포장재를 만드는 경우가 있다. 즉, 폐지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파쇄하고 수분에 침지시킨 후에, 수분을 일정 이하로 만들도록 탈수시킨다. 수분이 어느 정도 탈수된 종이펄프에 접착제를 섞고 성형기에 넣어서 소정의 형상으로 만들고, 건조한 후에 후처리공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폐지를 활용하여 포장재를 만드는 경우에는 가장 큰 문제가 탈수 후에 남아 있는 수분을 소정의 형상으로 만들어진 종이펄프에서 건조시키는 것이다. 건조공정에서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게 되어 포장재의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이펄프를 만들기 위해 물을 사용하게 되면, 작업장에 수분이 많아지고 탈수시에 발생하는 수분을 하수처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오염방지장치가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7-006362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종이공극시트를 제공하는 것으로 제조과정에서 사용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이공극시트를 제조함에 있어서 물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이공극시트의 제조가 보다 원활하고 수율이 좋도록 하는 종이공극시트제조방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기재와, 상기 제1기재 상에 적층되는 것으로 접착제를 사용하여 소정의 공극을 가지고 서로 접착되거나 상기 제1기재에 접착되며 소정의 크기로 파쇄된 종이조각을 포함한다.
상기 제1기재가 위치된 반대쪽에는 적층된 상기 종이조각을 덮도록 상기 종이조각과 접착제로 접착되는 제2기재가 구비된다.
상기 제1기재나 제2기재는 제1파단선이 격자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된 1층지와 상기 1층지의 제1파단선을 벗어난 위치에 제2파단선이 격자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된 2층지를 포함하도록 압착전 구성이 이루어진다.
상기 1층지의 제1파단선이 형성하는 격자모양의 기하학적 중심에 2층지의 제2파단선이 형성하는 격자모양의 꼭지점이 위치하도록 압착전 구성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종이공극시트 제조장치는 제1기재를 공급하는 제1기재공급부와, 상기 제1기재가 안착되는 컨베이어밸트와 이를 구동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장치와, 상기 컨베이어밸트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기재를 향해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노즐과, 상기 컨베이어밸트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기재로 종이조각을 공급하는 종이조각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노즐과 종이조각공급부는 다수개가 교대로 배치된다.
상기 컨베이어밸트를 통과한 종이공극시트를 건조시키는 건조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종이조각공급부는, 내부공간에 파쇄된 종이조각이 위치되고 하부에 상기 컨베어이밸트 상으로 종이조각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공급호퍼와, 상기 공급호퍼의 내부공간 하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향해 종이조각을 안내하는 나눔판과, 상기 경사면과 나눔판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향해 종이조각을 일정한 속도로 안내하는 안내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밸트를 통과한 종이공극시트를 소정의 형상으로 만들기 위해 하몰드와 상몰드를 구비하는 프레스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종이공극시트 제조방법은 제1기재 상에 소정의 크기로 파쇄된 종이조각이 접착제로 소정의 공극을 가지고 서로 접착되거나 상기 제1기재에 접착되어 구성되는 종이공극시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기재를 제공하는 제1기재공급단계와, 상기 제1기재 상에 접착제와 종이조각을 교대로 도포하는 접착제 및 종이조각도포단계와, 상기 제1기재상에 공극을 가지고 접착제로 적층된 종이조각을 압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만드는 압착단계와, 상기 제1기재와 종이조각에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 및 종이조각도포단계는 다수회에 걸쳐서 진행된다.
본 발명에 의한 종이공극시트,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이공극시트를 제조함에 있어서, 원료가 되는 종이를 파쇄한 상태에서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서로 접착되도록 하므로 물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또한 수분을 건조시키기 위한 열의 공급이 최소화되므로 에너지의 사용도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종이를 파쇄하기만 하고 펄프화하기 위해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작업장의 환경이 좋아지고, 오염수의 처리가 필요하지 않게 되는 등의 좋은 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이공극시트의 두께를 형성하기 위해 접착제가 도포된 파쇄된 종이를 여러 번에 나눠서 제공하므로, 종이공극시트의 두께방향으로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불량발생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종이공극시트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종이공극시트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종이조각공급부의 내부구성을 보인 개략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스의 구성을 보인 개략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기재가 1층지와 2층지로 구성된 것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1층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도 5의 2층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례의 종이공극시트(10)는 제1기재(12) 상에 종이조각(14)들이 접착제(16)에 의해 서로 또는 제1기재(12)에 접착된 상태로 있다. 종이조각(14)들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의 사이에 소정의 공극이 있게 된다. 상기 공극은 종이공극시트(10)에 압력을 가하는 정도에 따라 존재 정도가 달라진다.
상기 종이공극시트(10)는 상기 제1기재(12)의 반대쪽 표면에 제2기재(18)가 있을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기재(18)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기재(12)도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기재(12)는 종이공극시트(10)를 만드는 과정에서 종이조각(14)들이 놓여지는 부분이기는 하지만, 최초의 종이조각(14)들, 즉 가장 바닥층을 형성하는 종이조각(14)들에는 접착제(16)를 도포하지 않고 컨베이어 상에 배치하고, 그 위에 배치되는 종이조각(14)들에는 접착제(16)를 도포하게 되면 일부의 종이조각(14)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최하층에 배치된 종이조각(14)이 위에 배치된 종이조각(14)들과 서로 접착되어 별도의 제1기재(12) 없이도 종이공극시트(10)를 만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종이공극시트(10)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컨베이어장치(20)가 있다. 상기 컨베이어장치(2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무한궤도의 컨베이어밸트(22)가 있고, 상기 컨베이어밸트(22)는 최소한 2개의 롤러(24) 사이에 걸어져 이동된다. 상기 롤러(24)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컨베이어밸트(2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컨베이어밸트(22)로 제1기재(12)를 공급하는 제1기재공급부(26)가 상기 컨베이어밸트(22)의 상류측 단부에 인접하여 있다. 상기 제1기재공급부(26)는 롤형상으로 감겨진 제1기재(12)를 일정한 속도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컨베이어밸트(22)의 상류부 상부에는 접착제노즐(28)이 있다. 상기 접착제노즐(28)은 접착제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접착제노즐(28)은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컨베이어밸트(22)의 진행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접착제노즐(28)은 상기 제1기재(12) 또는 종이조각(14)에 접착제(16)를 도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접착제노즐(28)중 상기 컨베이어밸트(22)의 최상부에 있는 것은 제1기재(12)의 일측 표면에 접착제(16)를 도포하고, 나머지 접착제노즐(28)은 종이조각(14)들에 접착제(16)를 도포하게 된다. 상기 접착제노즐(28)은 상기 컨베이어밸트(22)의 폭방향 길이와 대응되는 폭에 걸쳐서 접착제(16)를 도포한다. 상기 접착제노즐(28)이 접착제(16)를 도포하는 폭은 상기 종이공극시트(10)의 폭과 같은 폭으로 상기 컨베이어밸트(22)의 폭방향 길이보다는 크지 않다.
상기 접착제노즐(28)의 사이에는 종이조각공급부(30)가 있다. 상기 종이조작공급부(30)는 구체적인 구성이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종이조각공급부(30)는 상기 제1기재(12) 상에 종이조각(14)을 공급한다. 상기 종이조각공급부(30)는 다수개가 컨베이어밸트(22)의 진행방향으로 열을 지어 설치된다.
상기 종이조각공급부(30)의 외관을 공급호퍼(32)가 형성한다. 상기 공급호퍼(32)는 소정의 높이에서부터 상기 컨베이어밸트(22)를 향해서 횡단면적이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게 만들어진다. 상기 공급호퍼(32)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공간(33)은 상기 공급호퍼(32)의 상부로 개방되어 있고, 공급호퍼(32)의 하부로는 아래에서 설명될 배출구(38)를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공급호퍼(32)의 폭은 상기 컨베이어밸트(22)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진다. 물론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공급호퍼(32)의 폭은 종이공극시트(10)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데, 상기 컨베이어밸트(22)의 폭보다는 크지 않다.
상기 공급호퍼(32)의 내부공간(33)에서 하부에는 서로 마주보게 경사면(34)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34)은 양단의 것이 서로 마주보게 폭이 상기 컨베이어밸트(22)의 폭과 대응되게 만들어진다. 상기 경사면(34)은 하부로 가면서 점차 양측의 것이 가까워지게 된다.
상기 내부공간(33)에는 컨베이어밸트(22)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안내판(36)이 있다. 상기 안내판(36)은 양측의 경사면(34)을 향해 각각 하나씩 2개가 구비된다. 상기 안내판(36)에 의해 내부공간(33)에 있는 종이조각(14)이 상기 양측의 경사면(34)으로 안내된다. 상기 안내판(36)의 하단부는 상기 경사면(34)이 있는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안내판(36)의 하단부와 경사면(34)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각각 공급롤러(37)가 있다. 상기 공급롤러(37)의 폭도 상기 컨베이어밸트(22)이 폭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공급롤러(37)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돌기(도면부호 부여않음)가 있다. 상기 돌기는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가져서 상기 경사면(34)에 밀착되면서 종이조각(14)을 경사면(34)을 따라 이동되게 한다. 상기 공급롤러(37)의 회전속도에 따라 종이조각(14)이 상기 제1기재(12) 사이로 전달되는 양이 결정된다.
상기 공급호퍼(32)의 하부에는 배출구(38)가 있다. 상기 배출구(38)는 그 폭이 상기 컨베이어밸트(22)의 폭보다는 크지 않다. 상기 배출구(38)를 통해서는 종이조각(14)이 상기 컨베이어밸트(22)상의 제1기재(12)로 종이조각(14)이 공급된다.
상기 컨베이어밸트(22)를 따라 다수개의 종이조각공급부(30)와 접착제노즐(28)이 차례로 있어서, 컨베이어밸트(22)의 하류부로 갈수록 적층되는 종이조각(14)의 높이가 높아진다. 여기서 한번에 적층되는 종이조각(14)의 양은 대부분의 종이조각(14)에 접착제(16)가 도포될 수 있을 정도로 되어야 한다. 참고로, 너무 많은 종이조각(14)이 공급되어 종이조각(14) 사이가 접착제(16)에 의해 서로 접착되지 않을 정도가 되면 종이공극시트(10)가 만들어졌을 때, 그 부분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밸트(22)를 통과한 종이공극시트(10)는 프레스(40)에 의해 소정의 두께 및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참고로, 프레스(40)를 사용하지 않고, 컨베이어밸트(22)에서 나온 종이공극시트(10)를 그대로 포장재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프레스(40)를 종이공극시트(10)를 통과하게 되면, 원하는 두께 및/또는 형상으로 종이공극시트(10)가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납작한 형태의 종이공극시트(10)를 원하면 아래에서 설명될 하몰드(42)와 상몰드(43) 모두를 평평한 것으로 사용하면 된다.
상기 프레스(40)는 프레스프레임(41)의 상대적으로 하측에 하몰드(42)가 있고, 상기 하몰드(42)의 상부에 상몰드(43)가 위치된다. 상기 하몰드(42)와 상몰드(43)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하몰드(42)와 상몰드(43)의 대응되는 위치에 요철이 있다. 즉, 하몰드(42)의 돌출된 부분과 대응되게 상몰드(43)에는 오목한 부분이 있고, 하몰드(42)의 오목한 부분과 대응되게 상몰드(43)에는 돌출된 부분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예를 들면 계란과 같은 제품을 담는 포장재로서 적합하다.
상기 상몰드(43)는 상기 프레스프레임(41)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상몰드(43)의 승강을 위해서 구동원(45)이 상기 프레스프레임(41)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원(45)으로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스(40)를 통과한 위치에는 건조부(48)가 있다. 상기 건조부(48)는 상기 접착제(16)에 있는 수분을 제거하여 종이공극시트(10)가 완전히 건조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건조부(48)에서는 열을 제공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건조부(48) 내에 상기 프레스(40)를 설치하여, 프레스(40)의해 종이공극시트(10)가 소정의 형상으로 만들어짐과 동시에 건조를 진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몰드(42)와 상몰드(43) 자체에 발열체를 두어서 프레스작업과 동시에 수분을 제거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기재(12) 또는 제2기재(18)는 프레스(40)에 의한 압착시에 포장재가 만들어지는 형상에 따라서 찢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종이조각(14)들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해야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제1기재(12)를 1층지(12')와 2층지(12")로 구성한다. 즉, 1층지(12') 상에 2층지(12")들을 여러 개 두어서 1층지(12')가 찢어지더라도 그 부분이 2층지(12")에 의해 가려져서 외부로 종이조각(14)들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2층지(12")도 여러 장으로 되지 않고 한 장으로 될 수도 있다. 즉, 1층지(12')와 2층지(12")가 동일한 폭과 길이를 가지지만 제1파단선(12a)과 제2파단선(12b)이 서로 겹치지 않으면서 제1파단선(12a)이 형성하는 격자모양의 기하학적 중심에 제2파단선(12b)이 형성하는 격자모양의 꼭지점이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1층지(12')에서 찢어지는 부분을 미리 설정해 두는 것이 좋다. 즉, 1층지(12')에서 특정한 부분이 찢어지도록 하고, 여기에 2층지(12")를 두어서 가려지게 한다. 이를 위해 1층지(12')에는 제1파단선(12a)을 격자모양으로 형성하여, 이 부분에서 파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2층지(12")에도 격자모양으로 제2파단선(12b)을 두어 그 부분에서 파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제1파단선(12a)과 제2파단선(12b)은 길이방향으로 겹쳐지지 않도록 하고, 단지 특정한 위치들에서 교차되어 4각형을 형성하도록 한다. 도 6에는 1층지(12')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2층지(12")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상기 1층지(12') 상에 2층지(12")가 위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종이공극시트(10)에 제1기재(12)와 제2기재(18)를 모두 두는 경우에는 제일 마지막 접착제노즐(28)을 지난 위치에 제2기재공급부(도시되지 않음)를 두어 제2기재(18)를 공급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종이공극시트를 위에서 설명된 제조장치에 의해 만드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종이공극시트(10)를 만드는 과정을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기재공급부(26)에서 풀려나온 제1기재(12)는 상기 컨베이어밸트(22) 상에 위치되어 컨베이어밸트(22)의 구동에 의해 이동된다.
상기 컨베이어밸트(22)를 따라 이동하는 제1기재(12) 상에는 첫번째 접착제노즐(28)에서 접착제(16)가 분사되어 도포된다. 다음으로, 첫번째 종이조각공급부(30)를 지나면서 상기 배출구(38)를 통해 배출되는 종이조각(14)이 상기 접착제(16)에 의해 상기 제1기재(12)상에 부착된다.
상기 첫번째 종이조각공급부(30)를 지나면 2번째 접착제노즐(28)에서 분사된 접착제(16)가 상기 종이조각(14) 상에 도포되어 부착된다. 이와 같이 종이조각(14) 상에 접착제(16)가 도포된 상태에서 두번째 종이조각공급부(30)를 지나면, 이에 종이조각(14)이 다시 도포되어 적층되고, 접착제(16)에 의해 종이조각(14)이 아래의 종이조각(14)에 부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종이조각(14)이 접착제(16)에 의해 여러차례 적층되면, 원하는 높이로 종이공극시트(10)가 만들어진다. 만약 제2기재(18)가 필요하다면 마지막 종이조각공급부(30)를 통과한 위치에 접착제노즐(28)을 두어 최 상층의 종이조각(14)에 접착제(16)를 도포하고 이에 제2기재(18)를 두어 접착시킨다.
한편, 종이공극시트(10)를 소정의 형상으로 만들기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프레스(40)를 통과시킨다. 상기 프레스(40)의 하몰드(42)와 상몰드(43) 사이에 종이공극시트(10)를 압착시켜서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게 된다.
그리고, 건조부(48)에서 열을 가해서 종이공극시트(10)에 있는 접착제(16) 등의 수분을 제거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끝나면 소정의 길이로 종이공극시트(10)를 잘라서 포장재 등으로 사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이스(40)에서 만들어지는 형상의 특성 때문에 제1기재(12)나 제2기재(18)가 찢어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이들을 1층지(12')와 2층지(12")를 겹쳐서 형성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종이공극시트(10)의 표면으로 종이조각(12)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기재공급부(28)에서 공급되는 제1기재(12)를 미리 1층지(12')와 2층지(12")로 만들어두면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종이공극시트 12: 제1기재
14: 종이조각 16: 접착제
18: 제2기재 20: 컨베이어장치
22: 컨베이어밸트 24: 롤러
26: 제1기재공급부 28: 접착제노즐
30: 종이조각공급부 32: 공급호퍼
34: 경사면 36: 나눔판
37: 공급롤러 38: 배출구
40: 프레스 41: 프레스프레임
42: 하몰드 43: 상몰드
48: 건조부

Claims (11)

  1. 제1기재와,
    상기 제1기재 상에 적층되는 것으로 접착제를 사용하여 소정의 공극을 가지고 서로 접착되거나 상기 제1기재에 접착되며 소정의 크기로 파쇄된 종이조각을 포함하는 종이공극시트.
  2. 상기 제1기재가 위치된 반대쪽에는 적층된 상기 종이조각을 덮도록 상기 종이조각과 접착제로 접착되는 제2기재가 구비되는 종이공극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재나 제2기재는 제1파단선이 격자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된 1층지와 상기 1층지의 제1파단선을 벗어난 위치에 제2파단선이 격자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된 2층지를 포함하도록 압착전 구성이 이루어지는 종이공극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1층지의 제1파단선이 형성하는 격자모양의 기하학적 중심에 2층지의 제2파단선이 형성하는 격자모양의 꼭지점이 위치하도록 압착전 구성이 이루어지는 종이공극시트.
  5. 제1기재를 공급하는 제1기재공급부와,
    상기 제1기재가 안착되는 컨베이어밸트와 이를 구동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장치와,
    상기 컨베이어밸트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기재를 향해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노즐과,
    상기 컨베이어밸트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기재로 종이조각을 공급하는 종이조각공급부를 포함하는 종이공극시트 제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노즐과 종이조각공급부는 다수개가 교대로 배치되는 종이공극시트 제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밸트를 통과한 종이공극시트를 건조시키는 건조부를 더 포함하는 종이공극시트 제조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조각공급부는,
    내부공간에 파쇄된 종이조각이 위치되고 하부에 상기 컨베어이밸트 상으로 종이조각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공급호퍼와,
    상기 공급호퍼의 내부공간 하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향해 종이조각을 안내하는 나눔판과,
    상기 경사면과 나눔판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향해 종이조각을 일정한 속도로 안내하는 안내롤러를 포함하는 종이공극시트 제조장치.
  9. 제 5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밸트를 통과한 종이공극시트를 소정의 형상으로 만들기 위해 하몰드와 상몰드를 구비하는 프레스가 더 구비되는 종이공극시트 제조장치.
  10. 제1기재 상에 소정의 크기로 파쇄된 종이조각이 접착제로 소정의 공극을 가지고 서로 접착되거나 상기 제1기재에 접착되어 구성되는 종이공극시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기재를 제공하는 제1기재공급단계와,
    상기 제1기재 상에 접착제와 종이조각을 교대로 도포하는 접착제 및 종이조각도포단계와,
    상기 제1기재상에 공극을 가지고 접착제로 적층된 종이조각을 압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만드는 압착단계와,
    상기 제1기재와 종이조각에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종이공극시트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및 종이조각도포단계는 다수회에 걸쳐서 진행되는 종이공극시트 제조방법.
KR1020160104856A 2015-09-14 2016-08-18 종이공극시트 KR101867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760,003 US20180264780A1 (en) 2015-09-14 2016-08-23 Porous paper sheet, and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PCT/KR2016/009326 WO2017047940A1 (ko) 2015-09-14 2016-08-23 종이공극시트,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142 2015-09-14
KR20150130142 2015-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169A true KR20170032169A (ko) 2017-03-22
KR101867841B1 KR101867841B1 (ko) 2018-06-18

Family

ID=58497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856A KR101867841B1 (ko) 2015-09-14 2016-08-18 종이공극시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80264780A1 (ko)
KR (1) KR1018678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3638A (ko) 2019-05-20 2020-11-30 김철수 종이공극시트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25446A (ko) 2019-08-27 2021-03-09 김철수 포장재의 종이 표면층 제조방법
CN114012843A (zh) * 2021-11-22 2022-02-08 怀化大隆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竹拼板的加工成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3629A (ko) 1996-02-07 1997-09-12 정선후 폐지를 이용한 내,외장재 일체형 포장상자 제조방법
JP2001225304A (ja) * 1999-12-06 2001-08-21 Okabe Engineering Kk シュレッダ−により裁断した故紙を利用する紙成形品およびその乾式製造方法
JP2003514691A (ja) * 1999-11-23 2003-04-22 ジュセッペ ロカティ, 実質的に剛性の構造を有する紙シート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プラント
JP2004188831A (ja) * 2002-12-12 2004-07-08 Estate Ruusu:Kk 再生板材と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5646A (en) * 1973-02-07 1975-09-16 Carling O Keefe Ltd Packaging structure and blank for container cover
SE513847C2 (sv) * 1998-06-17 2000-11-13 Sca Packaging Marketing Nv Förpackningsmaterial med hög tryckbarhet och återvinningsbarhet, samt förfarande för dess tillverkning
DE10227050B3 (de) * 2002-06-17 2004-01-29 Albert Frey Verpackungsentwicklungen Und Vertriebs-Gmbh Wellpappe mit Aufreißlinie
WO2011074990A1 (en) * 2009-12-16 2011-06-23 Ecocover International Limited Paper web assemblies and their uses
US20160082685A1 (en) * 2014-09-19 2016-03-24 Simon CS Cha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feeding sheet stock material for a dunnage system and for generating upright edge dunnage strip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3629A (ko) 1996-02-07 1997-09-12 정선후 폐지를 이용한 내,외장재 일체형 포장상자 제조방법
JP2003514691A (ja) * 1999-11-23 2003-04-22 ジュセッペ ロカティ, 実質的に剛性の構造を有する紙シート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プラント
JP2001225304A (ja) * 1999-12-06 2001-08-21 Okabe Engineering Kk シュレッダ−により裁断した故紙を利用する紙成形品およびその乾式製造方法
JP2004188831A (ja) * 2002-12-12 2004-07-08 Estate Ruusu:Kk 再生板材とそ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3638A (ko) 2019-05-20 2020-11-30 김철수 종이공극시트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25446A (ko) 2019-08-27 2021-03-09 김철수 포장재의 종이 표면층 제조방법
CN114012843A (zh) * 2021-11-22 2022-02-08 怀化大隆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竹拼板的加工成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841B1 (ko) 2018-06-18
US20180264780A1 (en) 2018-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6220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cushioning product and cushioning product
KR101867841B1 (ko) 종이공극시트
BG62560B1 (bg) Двуслоен гофриран картон и мет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запроизводството му
HUT77398A (hu) Eljárás és berendezés többrétegű hullámkartonpapír gyártására
CN104827712A (zh) 波纹纸板设备
CN104129105A (zh) 用于形成波纹板的改进型方法和设备
CN201942949U (zh) 预印面纸瓦楞纸板生产装置
MX2013014776A (es) Pproductos de fibra para empaque.
TW201336648A (zh) 纖維製品之裁切篩選裝置及裁切篩選方法
US20020179229A1 (en) Corrugator double backer with combined driven and static holddown sections
RU2740231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рессовывания удлиненной стопы фальцованных санитарно-гигиенических бумажных изделий
CN104589707A (zh) 一种禾芯板的生产方法
FI95302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koristelaminaattilevyjen valmistamiseksi
KR20170029846A (ko) 물결무늬 강화형 페이퍼보드 심재 제조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제조된 물결무늬 강화형 페이퍼보드 심재
GB1375331A (ko)
CN1903567B (zh) 多层板连续排版方法及设备
CN209999783U (zh) 一种节能型瓦楞纸板单面瓦加工设备
CN1210143C (zh) 一种连续生产蜂窝芯和蜂窝板的方法
KR20200133638A (ko) 종이공극시트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CN201376368Y (zh) 一种蜂窝纸板的蜂窝芯纸成型机
EP2679207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bsorbents
US5749998A (en) Assembly of corrugated panels into a web
US1556164A (en) Method of forming plaster board and the like
US1896037A (en) Composite corrugated and solid fiber board
US988253A (en) Manufacture of matc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