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116A - 피부 노화의 징후와 싸우기 위한 화이트 퍼 나무 가지의 에센셜 오일의 용도 - Google Patents

피부 노화의 징후와 싸우기 위한 화이트 퍼 나무 가지의 에센셜 오일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116A
KR20210025116A KR1020217004335A KR20217004335A KR20210025116A KR 20210025116 A KR20210025116 A KR 20210025116A KR 1020217004335 A KR1020217004335 A KR 1020217004335A KR 20217004335 A KR20217004335 A KR 20217004335A KR 20210025116 A KR20210025116 A KR 20210025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ssential oil
signs
aging
sil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4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4234B1 (ko
Inventor
안느-소피 부빌
자비에 페르난데즈
파스깔 포르뜨
장-샤를 로메
Original Assignee
라보하뜨와 엠에엘
유니베르시테 코트 다쥐르
상뜨르 나쇼날 드 라 러쉐르쉬 샹띠피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보하뜨와 엠에엘, 유니베르시테 코트 다쥐르, 상뜨르 나쇼날 드 라 러쉐르쉬 샹띠피끄 filed Critical 라보하뜨와 엠에엘
Publication of KR20210025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2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노화의 징후와 싸우기 위한, 특히 피부의 탄력 섬유의 붕괴, 피부 느슨해짐 및/또는 피부 탄력의 상실 및/또는 주름의 외관을 제한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엘라스타아제 저해제로서의 화이트 퍼 나무 (아비에스 알바 (Abies alba)) 가지의 에센셜 오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노화의 징후와 싸우기 위한 화이트 퍼 나무 가지의 에센셜 오일의 용도
본 발명은 피부 노화의 징후와 싸우기 위한, 특히 피부의 탄력 섬유의 붕괴, 피부 느슨해짐 및/또는 피부 탄력의 상실 및/또는 주름의 외관을 제한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엘라스타아제 저해제로서의 실버 퍼 (silver fir) (아비에스 알바 (Abies alba)) 가지의 에센셜 오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두 개의 구획, 하나는 표재성인, 표피, 및 다른 하나는 더 깊은, 진피를 포함하며, 이들은 상호작용한다. 천연 인간 표피는 주로 세 가지 유형의 세포, 즉 대다수인 각질형성세포, 멜라닌세포, 및 랑게르한스 세포로 구성된다. 진피는 표피에 고형 지지체를 제공한다. 진피는 또한 그것의 영양분을 공급하는 요소이다. 진피는 섬유아세포 및 세포외 매트릭스로 주로 이루어지며, 세포외 매트릭스는 콜라겐, 엘라스틴 및 바탕 물질로서 알려진 물질로 주로 구성되며, 바탕 물질은 설페이트화된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또는 설페이트화되지 않은 (예를 들어, 히알루론 산) 글리코사미노글리칸, 프로테오글리칸 및 다양한 프로테아제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요소는 섬유아세포에 의해 합성된다. 백혈구, 비만 세포 및 조직 마크로파지가 또한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진피는 혈관 및 신경 섬유에 의해 교차된다. 표피와 진피 사이의 응집은 진피-표피 접합에 의해 제공된다.
진피의 성분 중에서, 엘라스틴은 피부의 탄력 및 유연함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단백질이다.
화학적, 물리적 또는 박테리아 기원일 수 있는 표재성 피부 스트레스 동안, 표피의 표재성 층에서 각질형성세포는 스스로 일시적 국소 자극을 유지하는 것을 책임지는 특정 침윤성 피부 세포를 유인하는 능력을 갖는 생물학적 매개자를 방출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자극받은 또는 공격받은 부위를 침윤하는 이들 세포는 그 후 효소를 방출하며, 효소 중에서 백혈구 엘라스타아제가 언급될 수 있다. 이러한 효소의 작용 하에, 결합 조직의 탄력성 세포외 지지 섬유가 붕괴될 수 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예를 들어 UV 광에의 장기간 노출에 의해 또는 자극제에 의해 생성되는, 표재성 피부 미세스트레스의 합계는 결합 조직의 탄력 섬유에 의해 형성되는 네트워크의 파괴를 초래할 수 있다. 결과는 피부의 탄력 및 유연함의 상실 및 주름의 강화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과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안하는 것, 및 특히 피부 노화, 특히 엘라스틴의 붕괴에 의해 생성되는 노화를 제한하는 미용제품에서 유용한 신규한 화합물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출원인은 실버 퍼 (아비에스 알바) 의 에센셜 오일이 이러한 생물학적 표적에 대해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다른 식물 추출물보다 우수한 항엘라스타아제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입증했다.
실버 퍼 (silver fir) 는, 또한 커먼 퍼 (common fir) 또는 유럽 실버 퍼 (European silver fir) 로도 호칭되며, 식물 용어 아비에스 알바 밀. (Abies alba Mill.) (또는 아비에스 펙티나타 램. 디시 (Abies pectinata Lam. DC) 또는 아비에스 엑셀사 램. (Abies excelsa Lam.) 또는 피누스 피세아 엘. (Pinus picea L.) 또는 아비에스 피세아 엘. (Abies picea L.)) 로 알려져 있다. 그것은 유럽 원산의 침엽수이며, 그것의 가지에 상록수 침상엽 (needle) (또는 잎), 뿐만 아니라 포엽 (bract) 이 있는 구과 (cone) (솔방울) 가 위치한다.
실버 퍼 구과의 에센셜 오일은 향수제조에서 알려져 있다 (D.L.J. Opdyke, Monographs on Fragrance Raw Materials, Pergamon Press, 1979). 게다가, 아시아에서 유래하는 실버 퍼의 가지 및 침상엽의 증기 증류에 의해 수득되는 에센셜 오일은 항라디칼 특성을 갖는 것으로 기술된 바 있다 (SA Yang et al., Journal of Clinical Biochemistry and Nutrition, 2009, 44(3), 253-259). 그러나, 피부 노화의 치료에서 그것의 사용을 허용할 이러한 에센셜 오일의 항엘라스타아제 효과는 시사된 적이 없다.
게다가, 에센셜 오일 이외의, 실버 퍼 가지 및/또는 잎의 추출물을 미용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시사되었다. 특히, 출원 WO 2017/044050 은 실버 퍼 가지로부터의 끓는 물에 의한 추출 및 수성 상의 회수에 의해 수득되는 폴리페놀의 항주름 활성제로서의 용도를 개시한다. 그것의 부분에 대해, 문헌 FR 1 525 945 는 알코올 추출에 의해 수득되는 실버 퍼 잎의 추출물의 항노화 활성제로서의 용도를 개시한다.
마지막으로, 실버 퍼 이외의 전나무로부터의 추출물의 항엘라스타아제 특성이 특허 출원 JP 2014-224073 에서 기재되었다. 이 문헌에 기재된 공정은 특히 토도 파인 (Todo pine) (아비에스 마리에시이 (Abies mariesii)) 의 글리콜성 추출물이다.
따라서, 출원인의 지식으로는, 실버 퍼 가지로부터의 에센셜 오일은 엘라스타아제를 저해할 수 있고 그 결과 피부 노화의 징후와 싸우기 위한 미용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시사된 바 없다.
본 발명은 그것의 과제로서 피부 노화의 징후와 싸우기 위한 엘라스타아제 저해제로서의 실버 퍼 (아비에스 알바) 가지의 에센셜 오일의 용도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그것의 과제로서 피부 노화의 징후와 싸우기 위한, 특히 피부의 탄력 섬유의 붕괴, 피부 느슨해짐 및/또는 피부 탄력의 상실 및/또는 주름의 외관을 제한하고/제한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미용 방법으로서, 실버 퍼 (아비에스 알바) 가지의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미용 조성물의 피부에의 국부 적용을 포함하는 방법을 갖는다.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실버 퍼 가지의 에센셜 오일을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지 (branch)" 는, 구과를 제외한, 그들이 가지고 있는 모든 가지 및 침상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서, "에센셜 오일" 은 실버 퍼 가지에 존재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증류, 즉 건조 증류 또는 하이드로디스틸레이션 (hydrodistillation), 또는 증기 증류 (steam distillation) 의 산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하이드로디스틸레이션 및 증기 증류의 공정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 이들 공정에서, 식물에 함유된 냄새가 나는 분자는 방출되고 증기로 기계적으로 연행되며, 증기는 식물이 첨가되는 물을 비등시킴으로써 형성되거나 (관습적 하이드로디스틸레이션), 또는 식물에 함유된 물을 비등시킴으로써 형성되거나 (마이크로웨이브 하이드로디스틸레이션), 또는 보일러에 의해 공급되고 식물을 통해 순환된다 (증기 증류). 이들 공정은 아마도 진공 하에 또는 압력 하에 수행될 수 있다.
더욱 우선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에센셜 오일은 하이드로디스틸레이션에 의해 수득된다. 하이드로디스틸레이션 공정은 1 내지 48 h,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4 h, 더 양호하게는 6 내지 12 h 의 기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실제로 증류 기간이 2 일 초과일 때 실버 퍼의 에센셜 오일의 항엘라스타아제 활성은 감소한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에센셜 오일은 유리하게는 유럽에서, 바람직하게는 프랑스에서 성장하는 실버 퍼의 가지에서 유래하고, 따라서 그것의 조성에서 다른 전나무 종, 또는 동일한 종의 그러나 아시아에서 기원하는 전나무의 에센셜 오일과 상이하며, 리모넨, 알파-피넨 및 캄펜이 다수로 존재하고 (에센셜 오일의 총 50% 초과에 해당한다) 그것의 보르닐 아세테이트의 함량이 보통이다.
더욱 정확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에센셜 오일은, 주성분으로서, 리모넨 및, 이차 성분으로서, 알파-피넨, 캄펜 및 보르닐 아세테이트를,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되는, 2:1 내지 20:1,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10:1 범위의 리모넨 대 보르닐 아세테이트의 몰비로 함유한다.
그것의 부분에 대해,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되는 캄펜 대 알파-피넨의 몰비는 일반적으로 0.5:1 내지 2:1,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5:1 이고/이거나 캄펜 대 보르닐 아세테이트의 몰비는 1:1 내지 5:1,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3:1 이다.
실버 퍼 가지의 에센셜 오일은 백혈구 엘라스타아제를 저해함으로써 피부 노화의 징후와 싸우고, 더욱 특히 피부의 탄력 섬유의 붕괴, 피부 느슨해짐 및/또는 피부 탄력의 상실 및/또는 주름의 외관을 제한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것은 일반적으로 피부에의 국부 적용에 적합한 미용 조성물에 포함된다. 실버 퍼 가지의 에센셜 오일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유리하게는 0.001 내지 5 중량%, 우선적으로는 0.01 내지 0.5 중량% 에 해당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생리적으로 허용가능한, 특히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즉, 미용 용도에 부적합한 따끔거림 또는 홍조를 발생시키지 않고, 불쾌한 냄새를 갖지 않고, 국부 투여 경로에 적합한 매질을 함유한다. 이러한 매질은 바람직하게는 수성 상과 임의로 연합되는 지방 상을 함유한다. 조성물은 따라서 무수 형태 (최대 5 중량% 의 물을 함유함) 로, 수중유 또는 유중수 에멀전 또는 수중유 분산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존재할 때, 수성 상은 물 및 임의로 폴리올 및 수성 겔화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함유한다. 물은 유리하게는 조성물의 총 중량의 40 내지 80% 에 해당한다. 폴리올은 특히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및 그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그것은 조성물의 총 중량의 3 내지 30% 에 해당할 수 있다.
"수성 겔화제" 는 물 분자를 수화에 의해 부동화시키고 그에 따라 수성 상의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중합체성 화합물을 나타낸다. 그러한 겔화제는 하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당류, 예컨대: 셀룰로오스 및 그의 유도체, 변성 전분, 카라기난, 아가 아가, 잔탄 검 및 식물성 검 예컨대 구아 또는 로커스트 빈 검; 합성 중합체 및 특히 임의로 가교된 소듐 아크릴레이트 단독중합체, 뿐만 아니라 아크릴 공중합체, 특히 소듐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히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폴리에톡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임의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량체, 유리하게는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 술폰산 (AMPS) 과의, 공중합체 (이들 공중합체는 임의로 가교된다); 및 그들의 혼합물.
그것의 부분에 대해, 지방 상은 하나 이상의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오일의 예는 분지형 알칸, 예컨대 이소도데칸, 및 선형 C10-C13 알칸이다. 비-휘발성 오일로서, 하기가 언급될 수 있다:
-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산과 모노-알코올의 에스테르: 선형 포화 C2-C10 (바람직하게는 C6-C10) 산의 모노- 및 폴리에스테르 및 선형 포화 C10-C20 산과 분지형 또는 불포화 C3-C20 (바람직하게는 C3-C10) 모노-알코올의 선형 포화 C10-C18 (바람직하게는 C10-C14) 모노- 및 폴리에스테르; 분지형 또는 불포화 C5-C20 산과 분지형 또는 불포화 C5-C20 모노-알코올의 모노- 및 폴리에스테르; 분지형 또는 불포화 C5-C20 산과 선형 C2-C4 모노-알코올의 모노- 및 폴리에스테르;
- C6-C12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예컨대 카프릴 및 카프르산 트리글리세리드 및 트리헵타노인;
- 분지형 및/또는 불포화 C10-C20 지방산 (예컨대 리놀레산, 라우르산 및 미리스트산);
- 분지형 및/또는 불포화 C10-C20 지방알코올 (예컨대 옥틸도데칸올 및 올레일 알코올);
- 탄화수소 예컨대 스쿠알란 (C30), 특히 올리브 오일로부터 추출된 식물성 스쿠알란, 및 헤미스쿠알란 (C15);
- 디알킬 카르보네이트, 예컨대 디카프릴릴 카르보네이트 및 디에틸헥실 카르보네이트;
- 디알킬에테르 예컨대 디카프릴릴 에테르; 및
- 그들의 혼합물.
위에서 언급된 성분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식물성 오일이 또한 언급될 수 있다.
산과 모노알코올의 에스테르로서, 모노에스테르 예컨대 코코넛 카프레이트와 카프릴레이트의 혼합물, 에틸 마카다미에이트, 셰어 버터 에틸 에스테르,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 이소노나노에이트, 헥실 네오펜타노에이트, 에틸헥실 네오펜타노에이트,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 이소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이소아밀 라우레이트, 케토스테아릴 노나노에이트, 프로필헵틸 카프릴레이트 및 그들의 혼합물이 언급될 수 있다. 다른 사용가능한 에스테르는 산과 모노알코올의 디에스테르 예컨대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디에틸헥실 아디페이트,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및 디이소아밀 세바케이트이다.
식물성 오일의 예는 특히 밀 배아, 해바라기, 아르간, 히비스커스, 고수, 포도씨, 참깨, 옥수수, 살구, 피마자, 셰어, 아보카도, 올리브, 대두, 감편도, 팜, 평지씨 및 면실유, 헤이즐널, 마카다미아, 호호바, 알팔파, 양귀비, 호박, 참깨, 스쿼시, 블랙커런트, 달맞이꽃, 라벤더, 보라지, 수수, 보리, 퀴노아, 호밀, 잇꽃, 쿠쿠이나무, 시계꽃, 무스카트 장미, 에치움 (Echium), 카멜리나 또는 카멜리아이다.
지방 상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지방 상 구조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지방 상 구조화제" 는 특히 왁스, 지방 상 겔화제 및 페이스트성 지방, 뿐만 아니라 그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에 함유된 오일을 농화시킬 수 있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러한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항노화 활성제, 특히 주름, 피부 처침 및/또는 색소반의 형성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데 적합한 활성제, 특히 항라디칼제, 각질형성세포 및/또는 섬유아세포의 분화 및/또는 증식 자극제;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및/또는 콜라겐 및/또는 전피-표피 고정 소섬유의 합성 자극제; 콜라겐 및/또는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및/또는 전피-표피 고정 소섬유의 붕괴 방지제; 항당화제; 탈색소 및/또는 멜라닌형성-저해제; 및 그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것을 또한 함유한다.
그러한 항노화 활성물질의 예는 특히 다음과 같다: 아스코르브산, 그의 염, 에테르 및 에스테르, 특히 아스코르빌 글루코시드; 아데노신; 리보오스; 꿀 추출물; 특히 감편도에서 추출된, 단백질 및 당단백질; 특히 벼, 히비스커스 종자 또는 루핀으로부터의, 가수분해된 식물 단백질; 폴리펩티드 및 슈도디펩티드, 예컨대 카르시닌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팔미토일 펜타펩티드-4 (Pal-Lys-Thr-Thr-Lys-Ser) 및 팔미토일 트리펩티드-38 (SEDERMA 에 의해 각각 상품명 Matrixyl® 3000 및 Matrixyl® Synthe'6 하에 판매됨), 팔미토일 트리펩티드-8 (LUCAS MEYER 사에 의해 상품명 Nutrazen® 하에 판매됨), 펜타펩티드-18 (LIPOTEC 사에 의해 상품명 Leuphasyl® Solution 하에 판매됨), sh-데카펩티드-9 (SANDREAM 사에 의해 상품명 Neoendorphin® 하에 판매됨) 및 팔미토일 헥사펩티드-52 (INFINITEC 사에 의해 상품명 X50 Myocept® Powder 하에 판매됨); 실란 예컨대 메틸실란올 만누로네이트; 특히 호밀 가루로부터 추출된, 아라비녹실란; 및 특히 낙엽송으로부터 유래된, 갈락토아라비난; 히알루론 산 및 그의 염; 특히 미모사로부터 추출된, 폴리페놀; 레몬으로부터 추출된 것을 포함하는, 알파-히드록시 산; 식물 예컨대 워터 클로버, 야생 팬지, 호스테일, 잠부 (jambu) (아크멜라 올레라세아 (Acmella oleracea)), 큰엉겅퀴 (Scotch thistle) (오노포르둠 아칸티움 (Onopordum acanthium)), 서양톱풀 (yarrow) (아킬레아 밀레폴리움 (Achillea millefolium)) (특히 BASF 사의 제품 Neurobiox® 에 함유됨), 엠벨리아 (Embelia) (SEPPIC 사에 의해 판매되는, 엠벨리아 콘신나 (Embelia concinna)), 부채선인장 (prickly pear) (오푼티아 피쿠스인디카 (Opuntia ficus indica)) (특히 MIBELLE AG BIOchemiSTRY 에 의해 상품명 AquaCacteen 하에 판매됨), 세이지 (특히 PROVITAL GROUP 에 의해 판매되는, 살비아 오피시날리스 (Salvia officinalis)), 좀목형 (Vitex negundo) (특히 LABORATOIRES EXPANSCIENCE 에 의해 상품명 Neurovity® 하에 판매됨), 체스트너트, 파파야, 아르간, 귀리, 해바라기, 데이지, 작약 또는 딜의 추출물 (일반적으로 수성); 조류 및 특히 산호말, 자니아 루벤스 (Jania rubens), 웅가리아 핀나티파다 (Ungaria pinnatifada), 알라리아 에스쿨렌타 (Alaria esculenta) 또는 난노클로로시스 오쿨라타 (Nannochlorosis oculata) 의 수성 추출물; 도금양 (myrtle) 을 포함하는, 에센셜 오일; 아연 및/또는 구리 글루코네이트; 및 그들의 혼합물.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텐서 중합체, 즉, 피부를 기계적 작용에 의해 팽팽하게 하고 그에 따라 주름 및 잔주름의 외관을 감소시킬 수 있는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합성 또는 천연 중합체, 특히 다당류, 특히 조류 또는 해양 플랑크톤 추출물 또는 식물성 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에멀전의 지방 상에 및/또는 수성 상에 분산될 수 있는 상이한 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다만 그들이 피부에의 국부 적용과 상용성인 경우에 그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일반적으로 비-이온성인, 수중유 또는 유중수 유화제,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에스테르, 임의로 폴리에톡시화된 소르비탄 에스테르, 임의로 폴리에톡시화된 지방산 및 글리세롤 에스테르, 지방알코올 및 당 에테르 예컨대 알킬 글루코시드, 및 그들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유화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의 2 내지 10% 에 해당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다공성 또는 중공성,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미세입자 형태인 하나 이상의 파우더리 충전제를 또한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미세입자는 원칙적으로 실질적으로 구형이다. 이들 충전제는 특히 하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 유기 충전제 예컨대: 다당류 및 특히 천연 전분, 변성 전분 또는 셀룰로오스의 파우더; 아크릴 중합체 예컨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올레핀의 파우더; 건조된 조류 예컨대 코랄리나 오피시날리스 (Corallina officinalis) 의 파우더;
- 무기 충전제 예컨대 실리카, 클레이, 펄라이트 및 탈크;
- 및 그들의 혼합물.
이들 충전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1 내지 5 중량% 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특히 UVA 및/또는 UVB 에서 활성인 유기 및/또는 무기 광보호제, 향료, 항산화제, 금속이온봉쇄제, pH 조정제, 보존제, 안료, 염료, 및 그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UV 필터의 비제한적 예는 하기를 포함한다: 벤조페논, 예컨대 INCI 명칭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BASF 로부터의 Uvinul® A Plus) 및 벤조페논-3 으로 식별되는 것; 벤조트리아졸, 예컨대 INCI 명칭 메틸렌 BIS-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페놀 (BASF 로부터의 Tinosorb® M) 로 식별되는 것; 트리아진 예컨대 INCI 명칭 에틸헥실 TRIAZONE (BASF 로부터의 Uvinul® T150) 및 BIS 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BASF 로부터의 Tinosorb® S) 로 식별되는 것; 벤즈이미다졸, 예컨대 INCI 명칭 페닐벤즈이미다졸 술폰산 (MERCK 로부터의 Eusolex® 232) 로 식별되는 것; 히드록시벤조에이트, 예컨대 에틸헥실 SALICYLATE (MERCK 로부터의 Eusolex® OS) 및 HOMOSALATE (MERCK 로부터의 Eusolex® HMS);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MERCK 로부터의 Eusolex® 9020);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BASF 로부터의 Uvinul® MC 80);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OCTOCRYLENE (MERCK 로부터의 Eusolex® OCR); 및 그들의 혼합물.
이러한 조성물은 피부에의 국부 적용에 적합한 임의의 형태로 및 특히 밀크, 크림, 로션, 겔 또는 마스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린스를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이다.
이러한 조성물은, 특히 얼굴용, 피부 관리 제품, 특히 항노화 또는 항주름 제품; 선스크린 또는 애프터선 제품; 셀프 태닝 제품; 또는 피부 메이크업 제품 예컨대 파운데이션을 구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조성물은 피부 클렌징 조성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은 항노화, 항주름 및/또는 햇빛 보호 조성물이다.
이러한 조성물은 피부 노화의 징후를 보이는 사람 (예를 들어 적어도 30 세 또는 심지어는 40 세의 사람) 의 신체의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및 더욱 특히 얼굴, 목 및/또는 데콜테에 적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조성물은 전신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또한 하루에 한 번 또는 여러 번, 예를 들어 아침에 및/또는 밤에, 처리되는 부위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비추어 더 잘 이해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오직 예시적 목적을 위해 제시되고,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의도되지 않는다.
실시예 1 : 실버 퍼 가지의 에센셜 오일의 항엘라스타아제 효과
아비에스 알바 종의 실버 퍼 가지의 에센셜 오일을 la Droeme 에서 수확한 가지 (가지 및 바늘) 의 하이드로디스틸레이션에 의해 수득했다. 하이드로디스틸레이션을 1.15 kg 의 건조되고 파쇄된 가지로부터 4 h 동안 재증류 하에 수행했다.
수득된 에센셜 오일을 질량 분광법과 커플링된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했다. 그것은 본질적으로 리모넨 (35%), 알파-피넨 (10.8%) 및 캄펜 (12.3%) 및, 더 적은 양의, 보르닐 아세테이트 (4.6%) 를 함유했다.
그것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시험관내에서 (in vitro) 하기와 비교하여 평가했다:
- 루부스 이대우스 엘 (Rubus idaeus L) 의 상업적 추출물 (VITALAB 으로부터의 하이드라베리 (Hydraberry)), 및
- 건조되고 미세하게 절단된 가지를, 교반 하에, 4 h 동안 에탄올에서 추출하여 수득된, 실버 퍼 가지의 알코올성 추출물.
이를 위해, 효소, 기질 (Ala-Ala-Ala-p-니트로아닐라이드) 및 샘플을 접촉시키고, 엘라스타아제 활성에 의해 유도되는 p-니트라닐라이드 펩티드의 방출을 분광광도법으로 410 nm 의 파장에서 모니터링한다.
시험을 다음과 같이 정확히 수행했다:
Tris 완충제 (50 mM 농도 및 pH 8) 중 0.171 U/mL 로 제조된 150 ㎕ 의 돼지 췌장 엘라스타아제 용액을 96-웰 플레이트 (Thermo Nunc) 의 웰에 분포시켜 0.1 U/mL 의 웰 당 효소의 최종 농도를 수득하고, 7.5 ㎕ 의 평가될 추출물 (DMSO 중 3.433 mg/mL 로 희석됨) 을 첨가하여 100 ㎍/mL 의 웰 당 최종 농도를 수득했다. DMSO 단독은 음성 컨트롤 (OD컨트롤) 을 구성했다. 플레이트를 접착 필름 (Greiner Bio-One) 으로 실링하고, 20 min 동안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했다. 첫번째 판독을 Spectramax Plus 384 플레이트 판독기 (Molecular Devices) 를 사용하여 410 nm 에서 수행하여 블랭크의 광학 밀도를 수득했다. 그 후 Tris 완충제 중 2.06 mM 의 100 ㎕ 의 N-숙시닐-Ala-Ala-p-니트로아닐라이드 (Suc-AAA-pNA) 를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에 첨가했다 (웰 당 0.8 mM 의 Suc-AAA-pNA 의 최종 농도). 실온에서 40 min 의 인큐베이션 후에, 흡광도를 410 nm 에서 측정하여 퍼센트 저해를 평가했다. 이를 위해, 데이타를 SoftMaxPro 소프트웨어 (Molecular Devices) 를 사용하여 획득하고, 저해 백분율을 Prism 소프트웨어 (GraphPad 소프트웨어) 를 사용하여, 하기 식에 따라 계산했다:
I% = [(OD샘플-OD컨트롤)/OD컨트롤] x 100
식에서 OD 는 광학 밀도를 나타낸다.
각각의 광학 밀도 값을 기질의 첨가 전 샘플의 흡광도에 해당하는 블랭크 측정으로 보정했다.
모든 시험을 트리플리케이트로 수행했고, 결과는 연합된 표준 편차와 커플링된 저해의 백분율로서 제시되어 있다.
결과:
실버 퍼의 에센셜 오일에 관해 측정된 항엘라스타아제 활성은 대략 100% 이며, 한편 그것은 양성 컨트롤의 경우에 오직 77.1 ± 0.095% 이고 알코올성 추출물의 경우에 69.6 ± 0.015% 이다.
실시예 2 : 미용 조성물
아래의 성분을 명시된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당업자에게 관습적인 방식으로 하기 조성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1 에 따른 에센셜 오일 0.01-0.5%
아데노신 0.05%
오일 5-15%
유성 겔화제 1-5%
수성 겔화제 1-3%
폴리올 20-25%
격리제 qs
항산화제 qs
향료 qs
보존제 qs
물 qs 100%

Claims (8)

  1. 피부 노화의 징후와 싸우기 위한 엘라스타아제 저해제로서의 실버 퍼 (silver fir) (아비에스 알바 (Abies alba)) 가지의 에센셜 오일의 용도.
  2. 제 1 항에 있어서, 에센셜 오일이 피부의 탄력 섬유의 붕괴, 피부 느슨해짐 및/또는 피부 탄력의 상실 및/또는 주름의 외관을 제한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에센셜 오일이 유럽에서, 바람직하게는 프랑스에서 성장하는 실버 퍼의 가지의 하이드로디스틸레이션 (hydrodistillation) 또는 증기 증류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디스틸레이션에 의해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센셜 오일이, 주성분으로서, 리모넨, 및, 이차 성분으로서, 알파-피넨, 캄펜 및 보르닐 아세테이트를,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되는, 2:1 내지 20:1,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10:1 범위의 리모넨 대 보르닐 아세테이트의 몰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5. 제 4 항에 있어서,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되는, 캄펜 대 알파-피넨의 몰비가 0.5:1 내지 2:1,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5:1 이고/이거나 캄펜 대 보르닐 아세테이트의 몰비가 1:1 내지 5:1,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3: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센셜 오일이 피부에의 국부 적용에 적합한 미용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항노화, 항주름 및/또는 햇빛 보호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7. 제 6 항에 있어서, 에센셜 오일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0.001 내지 5 중량%, 우선적으로는 0.01 내지 0.5 중량% 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8. 피부 노화의 징후와 싸우기 위한, 특히 피부의 탄력 섬유의 붕괴, 피부 느슨해짐 및/또는 피부 탄력의 상실 및/또는 주름의 외관을 제한하고/제한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미용 방법으로서, 실버 퍼 (아비에스 알바) 가지의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미용 조성물의 피부에의 국부 적용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217004335A 2018-07-24 2019-06-25 피부 노화의 징후와 싸우기 위한 화이트 퍼 나무 가지의 에센셜 오일의 용도 KR102344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56839 2018-07-24
FR1856839A FR3084260B1 (fr) 2018-07-24 2018-07-24 Utilisation d'une huile essentielle de rameaux de sapin blanc pour lutter contre les signes du vieillissement cutane
PCT/FR2019/051557 WO2020021175A1 (fr) 2018-07-24 2019-06-25 Utilisation d'une huile essentielle de rameaux de sapin blanc pour lutter contre les signes du vieillissement cutan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116A true KR20210025116A (ko) 2021-03-08
KR102344234B1 KR102344234B1 (ko) 2021-12-27

Family

ID=63491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335A KR102344234B1 (ko) 2018-07-24 2019-06-25 피부 노화의 징후와 싸우기 위한 화이트 퍼 나무 가지의 에센셜 오일의 용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826725B1 (ko)
JP (2) JP7225372B2 (ko)
KR (1) KR102344234B1 (ko)
CN (1) CN112739424B (ko)
ES (1) ES2928383T3 (ko)
FR (1) FR3084260B1 (ko)
WO (1) WO202002117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8107A1 (de) * 2003-06-10 2004-12-16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Zubereitung für die haut
WO2005046632A2 (en) * 2003-11-17 2005-05-26 Patus Ltd. Compositions effective in altering the perception of malodor
JP2014224073A (ja) * 2013-05-16 2014-12-04 地方独立行政法人北海道立総合研究機構 マツ科モミ属植物の樹葉の抽出物を含有するエラスターゼ活性抑制剤
WO2017044050A1 (en) * 2015-09-10 2017-03-16 Abies Labs D.O.O. Extract from wood trees of genus abi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25945A (fr) 1967-01-11 1968-05-24 Utilisation en dermo-cosmétologie de certains extraits des conifères
EP2465491A1 (en) 2002-06-25 2012-06-20 Shiseido Company, Ltd. Anti-aging preparation
JP4634768B2 (ja) 2004-10-04 2011-02-16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皮膚老化防止効果向上剤、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皮膚老化防止用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DE102006017879A1 (de) * 2006-04-13 2007-10-25 Merck Patent Gmbh Verwendung von Flavonoiden
JP5312733B2 (ja) 2006-09-20 2013-10-09 株式会社ノエビア 保湿剤、細胞賦活剤、抗酸化剤、プロテアーゼ活性促進剤、抗老化剤、美白剤、抗炎症剤、中性脂肪蓄積抑制剤
JP2010132629A (ja) * 2008-12-03 2010-06-17 Triple Act:Kk 皮膚外用組成物
JP6338561B2 (ja) 2014-10-21 2018-06-06 丸善製薬株式会社 皮膚化粧料、頭髪化粧料および飲食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8107A1 (de) * 2003-06-10 2004-12-16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Zubereitung für die haut
WO2005046632A2 (en) * 2003-11-17 2005-05-26 Patus Ltd. Compositions effective in altering the perception of malodor
JP2014224073A (ja) * 2013-05-16 2014-12-04 地方独立行政法人北海道立総合研究機構 マツ科モミ属植物の樹葉の抽出物を含有するエラスターゼ活性抑制剤
WO2017044050A1 (en) * 2015-09-10 2017-03-16 Abies Labs D.O.O. Extract from wood trees of genus ab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26725B1 (fr) 2022-08-03
WO2020021175A1 (fr) 2020-01-30
FR3084260B1 (fr) 2020-10-02
CN112739424B (zh) 2022-02-11
JP2021524497A (ja) 2021-09-13
JP7225372B2 (ja) 2023-02-20
KR102344234B1 (ko) 2021-12-27
FR3084260A1 (fr) 2020-01-31
CN112739424A (zh) 2021-04-30
JP2022179699A (ja) 2022-12-02
ES2928383T3 (es) 2022-11-17
EP3826725A1 (fr)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9846B1 (ko) 피부노화방지 조성물
JP4918202B2 (ja) 皮膚組成物
FR3068251B1 (fr)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e huile essentielle d'immortelle et un extrait d'origanum
JP7001836B2 (ja) イモーテルの精油及びイモーテルの蒸留残渣の油性抽出物を含む化粧品組成物
JP2011516585A (ja) スキンケア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5521658A (ja) 皮膚を美白化するための化粧料的に許容され得る成分を含む組成物におけるプロテインキナーゼaを不活性化する化合物の使用
JP2003277223A (ja)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活性阻害剤および皮膚弾力性維持化粧料。
KR20120119745A (ko) 연꽃 추출물 및 오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60124044A (ko) 피부세포 재생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FR2926021A1 (fr) Utilisation de derives c-glycoside a titre d'actif vasculaire
KR102344234B1 (ko) 피부 노화의 징후와 싸우기 위한 화이트 퍼 나무 가지의 에센셜 오일의 용도
KR102068194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피지 분비 억제용, 또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KR20000017609A (ko) 지방산의 화장품에서의 용도
KR102278167B1 (ko) 지질산화 방지, 자외선에 의한 손상 피부 개선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1557422B1 (ko) 때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 또는 세척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2543302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U2723483C1 (ru) Косметический крем для рук
KR102318606B1 (ko) 박달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17773B1 (ko) 감자꽃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95381A (ko) 다래열매추출물, 다래꽃추출물 및 다래줄기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15951B1 (ko) 괴화 추출물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JP2012167026A (ja) エラスターゼ阻害剤
KR20210003585A (ko) 주름 억제 및 개선용 콜라겐 합성 촉진용 화장품
KR20140059418A (ko)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21001126A (ja) ケラチノサイト内メラノソーム分解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