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606B1 - 박달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박달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606B1
KR102318606B1 KR1020210041897A KR20210041897A KR102318606B1 KR 102318606 B1 KR102318606 B1 KR 102318606B1 KR 1020210041897 A KR1020210041897 A KR 1020210041897A KR 20210041897 A KR20210041897 A KR 20210041897A KR 102318606 B1 KR102318606 B1 KR 102318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bakdalmokseo
sk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영
송관필
김성용
김지영
선동민
이은자
이단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앤뉴
농업회사법인제주생물자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앤뉴, 농업회사법인제주생물자원(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앤뉴
Priority to KR1020210041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6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달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박달목서 추출물은 인체에 무해하며 안정성이 높을 뿐만이 아니라,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기 때문에 합성 화학물질을 함유하여 피부에 자극을 주는 여러 화장료에 대한 소비자의 거부감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박달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antioxidant with extract of Osmanthus insularis}
본 발명은 박달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신체는 자외선 및 유해한 외부물질에 노출되어 있어, 그에 대항하기 위한 자연치유 능력을 가진다. 그 중, 생체 내에서 산화제 공격과 항산화제 방어는 밀접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으나, 사실상 공격에 비하여 방어체제가 완벽하지 못하다. 따라서, 생체 구성성분인 지질, 단백질, 핵산 등의 생체분자들은 산화제인 자유 라디칼(freeradical)에 의해 지속적인 산화적 손상을 받으며, 이들 산화반응의 산물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점차 체내에 축적된다.
활성산소는 몸속에 들어온 산소를 이용하는 대사과정에서 생기는 독성물질로 유해산소라고도 불리며 생체조직을 공격하고, 산화력이 강한 산소를 칭한다. 활성산소는 피부 노화의 주범으로, 호흡하는 과정에서 몸 속으로 들어간 산소가 생체조직을 공격하고 세포를 손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으로, 산소 공급을 통해 손상된 세포가 복구되는 과정 중에 활성산소의 공격으로 인해 세포가 온전히 복구되지 못하고 세포의 기능을 상실하거나 죽게되고, 이것이 피부 세포 재생에도 영향을 미쳐 피부 노화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활성산소의 공격으로 세포의 DNA가 손상되어 돌연변이 등 생명체에 유해한 결과를 초래하며, 나이가 들수록 DNA 회복속도가 손상속도보다 느려져 노화가 가속화되어 여드름, 아토피, 피부염, 상처회복, 주름, 기미, 햇볕에 그을린 자국, 탈모가 생기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반적으로 호흡으로 들어온 산소 가운데 2~3%가 활성산소로 남게 되는데, 환경오염, 스트레스 호르몬, 생활패턴의 변화 등에 따라 활성산소의 축적이 훨씬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화장료의 목표는 아름답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는 것이며, 아울러 나이가 들면서 자연적으로 생기는 피부의 노화를 지연시키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노화는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에 의한 생체물질의 산화적 손상에 기인한다. 즉 과산화수소, 히드록시 라디칼,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등의 활성산소와 같은 반응성이 높은 자유 라디칼은 세포막을 구성하는 지질을 과산화시켜 세포막을 파괴하고, 단백질을 산화시키며 핵산을 공격하여 산화적 손상을 일으켜 생체물질을 파괴하고 결국 세포를 사멸케한다.
일반 화장품, 의약품, 식품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물질이 많이 알려져 있으나, 합성품을 장기간 인간의 피부에 적용할 경우에는 안전성이 문제되므로 사용이 제한된다. 반면, 일반적으로 천연물은 색소침착 억제와 활성산소 소거 효과가 약한 것이 대부분이지만, 사람의 피부에 대해서는 그 안전성이 보장된다.
항산화작용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은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디엘-알파-토코페롤(dl-αtocopherol), 베타-카로틴(β-carotene), 디부틸히드록실톨루엔(BHT) 등이 있으나, 이러한 물질들은 합성품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거나 다량으로 사용시 피부 안전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하고 유용하게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항산화 화장료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피부 노화와 보습 개선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피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화장품이 다량 개발되고 있다. 천연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만 아니라, 최근 천연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가치가 한층 늘어나고 있다. 이에, 안전성이 우수하고 피부 미용 효과가 우수한 물질들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84742호 (2016.01.06)에는,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64506호 (2020.10.05)에는,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인간의 피부에 대하여 안정성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우수한 활성산소 소거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박달목서(Osmanthus insularis)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상기 박달목서(Osmanthus insularis)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 용매로 추출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활성산소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노화를 예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박달목서 추출물은 인체에 무해하며 안정성이 높을 뿐만이 아니라,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기 때문에 합성 화학물질을 함유하여 피부에 자극을 주는 여러 화장료에 대한 소비자의 거부감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추출용매에 따른 박달목서 추출물의 추출수율을 확인한 자료이다.
도 2는 박달목서 용매별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한 자료이다.
도 3은 박달목서 용매별 추출물의 ABST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한 자료이다.
본 발명은 박달목서(Osmanthus insularis)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박달목서(Osmanthus insularis)는 물푸레나무과(Oleaceae)의 목서속(Osmanthus)의 상록교목이다. 이는 환경부지정 위기종 및 희귀식물로 원산지는 한국, 일본, 대만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는 제주도, 전라남도 거문도 등에 분포하고 있다 (산림청 임업연구원, 1996,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보존지침 및 대상식물).
박달목서는 섬의 숲 속에 매우 드물게 자라는 상록교목으로 줄기는 높이 10~15m, 가지는 회색이다. 잎은 마주나며, 가죽질, 긴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 길이 7~13cm, 폭 2~5cm, 밑이 잎자루로 흐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어린 나무에서는 날카로운 톱니가 조금 있다. 잎 앞면은 윤이 나고, 잎맥이 들어가지 않는다. 잎자루는 1.5~2.5cm이다.
꽃은 10~12월에 암수딴그루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난 짧은 꽃대 끝에 몇 개씩 달리거나 꽃대 없이 잎겨드랑이에서 몇 개씩 달리고, 흰색, 지름 5~6mm이다. 꽃자루는 7~10mm이다. 꽃받침은 네 갈래로 갈라지며, 조각은 삼각형이다. 꽃부리는 네 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핵과, 장타원형, 길이 1.5~2cm, 표면에 세로줄이 있으며, 5~6월에 검게 익는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상기 박달목서(Osmanthus insularis) 추출물은, 일 예로 추출 용매로서 정제수,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극성용매; 및 헥산,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비극성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 선택되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추출 용매로 물 또는 에탄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좋다. 추출 용매가 에탄올일 경우, 바람직하게는 20%(v/v)~100%(v/v) 에탄올, 더욱 바람직하게는 50%(v/v)~70%(v/v) 에탄올이 이용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농도로 희석된 에탄올을 이용하여 박달목서를 추출하였을 시, 추출 효율이 우수하면서도 항산화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상기 추출 용매는 상기 박달목서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배 부피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배 부피량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렇게 수득한 추출물, 감압농축물 또는 동결건조물을 정제수,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액상으로 제형화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기 때문에 합성 화학물질을 함유하여 피부에 자극을 주는 여러 화장료에 대한 소비자의 거부감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상기 박달목서 추출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그 특별한 방법에 제한없이 추출될 수 있고, 관련 기술은 통상적으로 알려진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활성산소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노화를 예방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의 항산화제라 함은 산화작용으로 손상된 피부 기능과 구조가 파괴되고 소진되는 현상을 상당 정도 감소시키거나 예방하는 능력을 갖고 있고, 자외선 노출로 인해 손상된 피부를 회복시켜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활성산소종은 피부 세포 및 조직 손상을 주도하여 노화, 특히 피부노화의 원인 물질로 작용하고 있다. 이들은 항산화 효소와 비효소적 항산화제들로 구성된 항산화 방어망을 파괴함으로써 산화제/항산화제 균형을 산화상태 쪽으로 기울게 한다. 그렇게 계속된 산화적 스트레스는 피부의 과잉 색소침착, 지질 과산화, 단백질 산화, 간질 성분을 파괴시키는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화, 탄력 섬유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사슬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 히아루론산 사슬의 절단, 멜라닌 생성반응 촉진, DNA 산화와 같은 생체구성성분들의 손상을 야기시킨다. 그러다가 결국에는 탄력감소, 주름살 및 기미, 주근깨 등으로 특징 지워지는 피부노화가 가속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상기 활성산소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노화는, 바람직하게는 피부 주름, 피부 탄력 저하, 피부의 과잉 색소 침착 및 피부 보습력 저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특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박달목서 추출물이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특히 ABTS 라디칼 소거능에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어 항산화 기능성이 매우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의 박달목서 추출물은 기본적인 활성산소종 및 과산화수소 특이적 활성산소종 모두에서 항산화 효과를 가지며, 특히 과산화수소 특이적 활성산소종에 더욱 우수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노화, 피부 주름, 피부 탄력 저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박달목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박달목서 추출물은 액상 중량으로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30.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20.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확인한 피부 기능성의 발휘 효과가 미미하고, 3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재료 투입량 대비 효율성이 떨어져 경제적이지 못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박달목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박달목서 추출물은 농축 중량으로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내지 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내지 3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농축하는 경우에는 분말 형태로 박달목서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박달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활용하여 우수한 피부 항산화 효과를 갖는 다양한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한없이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항산화 화장품은 일반적으로 피부를 정돈, 보호용의 기초 항산화 화장품, 베이스, 포인트, 손발톱용 메이크업 항산화 화장품 및 세정용, 선케어, 선테닝 등의 바디 항산화화장품 및 샴푸-전(pre-shampoo) 조성물,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왁스, 스프레이, 무스, 헤어로션, 에센스, 헤어크림, 영구 염모제, 일시 염모제, 펌제 등의 모발에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제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 예로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으로 이루어진 기초화장료 제형; 연고;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섀도,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 펜슬류로 이루어진 색조화장료 제형; 및 두피용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박달목서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유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염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다양한 보조제의 양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이며, 예컨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0001 내지 30.0중량%이다. 다만, 어떠한 경우라도 보조제 및 그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선택될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모두 포함한다.
[실시예 1: 박달목서 물 추출물의 제조]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난아열대산림과학연구소에 식재되어있는 박달목서를 채집하여 음건하여 마쇄기로 분쇄하였다. 박달목서 미세말 시료 중량의 20배의 증류수를 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정치시켜 3회 반복 추출하였다. 그 후, 상층액을 회수하고 50℃에서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이를, 동결건조기를 이용한 동결건조 후 분말화하여 하기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내지 5: 박달목서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난아열대산림과학연구소에 식재되어있는 박달목서를 채집하여 음건하여 마쇄기로 분쇄하였다. 박달목서 미세말 시료 중량의 20배의 에탄올을 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정치시켜 3회 반복 추출하였다. 그 후, 상층액을 회수하고 50℃에서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이를, 동결건조기를 이용한 동결건조 후 분말화하여 하기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내지 5의 제조를 위하여 사용된 에탄올 용매의 농도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에탄올 농도에 따른 박달목서 에탄올 추출물
실시예 분류 에탄올 농도(v/v)
실시예 2 100%
실시예 3 70%
실시예 4 50%
실시예 5 20%
[실험예 1: 박달목서 추출물의 추출수율 확인]
실시예 1 내지 5의 박달목서 추출물의 추출수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동결건조기를 사용하여 동결건조된 각 시료의 무게를 측정하여 추출수율을 결정하였다.
실험 결과, 실시예 1 및 실시예 5는 각각 30% 및 32%의 높은 추출수율을 나타내었고, 실시예 3 및 실시예 4는 각각 26.7% 및 26.4%의 추출수율을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2는 10%의 낮은 추출수율을 나타내어, 물의 비중이 클수록 추출수율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도 1). 도 1은 추출용매에 따른 박달목서 추출물의 추출수율을 확인한 자료이다.
[실험예 2: 박달목서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확인]
1. DPPH 라디칼 소거능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분석법은 항산화 활성 측정법 중 하나로, DPPH는 그 자체가 매우 안정한 라디칼이다. DPPH는 519㎚에서 특징적인 광흡수를 나타내는 자색의 혼합물이며, 항산화물질에 의해 환원되면 본래의 색을 잃는다.
용매별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를 이용하여 시료의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Hayes et al., 2002, Food. Chem. Toxicol., 40(4), 535). 구체적으로, 추출물과 분획물을 농도별로 용해시킨 시료액을 0.2mM의 DPPH를 혼합하여 15분간 암실에서 반응 시킨 후, 517㎚에서 Microplate reader(Epoch, BioTek)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시료 첨가군와 비첨가군를 비교하여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양성대조군으로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Sigma)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실시예 3 (가장 높은 황산화 효과), 실시예4, 실시예 5, 실시예 1 및 실시예 2 (가장 낮은 항산화 효과)의 순서로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었다(도 2). 도 2는 박달목서 용매별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한 자료이다.
2. ABST 라디칼 소거능
본 실험은 항산화 물질의 전자공여능으로 ABTS 라디칼이 발색력을 잃는 원리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ABTS 용액은 7.0mM의 2,2-아지오-비스(3-에틸벤조티아졸라인-6-설포닉산)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과 2.45mM의 과황산 칼륨(potassium persulfate)을 혼합하여 24시간 동안 ABTS 라디칼을 형성시킨 후, 증류수로 희석하여 흡광도 값이 0.70이 되도록 희석하였다.
이후, 추출물을 농도별로 용해시킨 시료액과 ABTS 솔루션을 혼합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700㎚에서 Microplate reader(Epoch, BioTek)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시료 첨가군와 비첨가군를 비교하여,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Sigma)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실시예 3 (가장 높은 황산화 효과),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1 및 실시예 2 (가장 낮은 항산화 효과)의 순서로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었다(도 3). 도 3은 박달목서 용매별 추출물의 ABST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한 자료이다.
[제조예 1: 박달목서 추출물을 포함하는 크림의 제조]
본 발명의 크림은 하기 표 2의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추출수율 및 라디칼 소거능을 고려하여, 실시예 3의 박달목서 추출물을 선택하고 이를 크림의 제조에 이용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 80℃까지 승온한 정제수에 다이소듐이디티에이(EDTA-2Na) 0.02g, 글리세린(Glycerin) 8g, 베타인(Betaine) 1g,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2g, 판테놀(Panthenol) 0.5g을 넣고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일정 속도로 교반하면서 용해된 폴리솔베이트60(Polysorbate 60) 1g,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혼합 유화제 3g, 솔비탄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1g, 비즈왁스(Beeswax) 1.2g,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0.5g,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20g의 혼합물을 천천히 투입하여 유화시켰다.
이후, 카보머(Carbomer) 0.4g을 천천히 투입하여 충분히 균일 교반 및 분산 시킨 후, 알지닌(Arginine) 0.4g을 투입하여 중화 및 균일 교반하였다. 그 후, 아이소헥사데칸(Isohexadecane), 폴리솔베이트80(Polysorbate 80),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Sodium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솔비탄올리에이트(Sorbitan Oleate)의 혼합물 0.5g을 투입하여 충분히 균일 교반 및 분산시켜 주어 점증시켰다.
충분히 균일 교반 후, 40~50℃가 되도록 냉각시켰으며, 이후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2g을 투입하고 교반하였다. 그 후, 박달목서 추출물 2g(동결건조물 기준)과 향 미량을 차례로 투입하여 교반하고 실온까지 냉각하여 탈포한 뒤 크림을 제조하였다.
박달목서 추출물 크림의 조성비
재료 혼합비
(중량비%)
다이소듐이디티에이(EDTA-2Na) 0.02
글리세린(Glycerin) 8
베타인(Betaine) 1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2
판테놀(Panthenol) 0.5
폴리솔베이트60(Polysorbate 60) 1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혼합 유화제 3
솔비탄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1
비즈왁스(Beeswax) 1.2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0.5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20
카보머(Carbomer) 0.4
알지닌(Arginine) 0.4
아이소헥사데칸(Isohexadecane)&폴리솔베이트80(Polysorbate 80)&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Sodium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솔비탄올리에이트(Sorbitan Oleate) 혼합물 0.5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2
실시예 3의 박달목서 추출물 2
미량
정제수 upto 100
총합 100
[제조예 2: 박달목서 추출물을 포함하는 로션의 제조]
본 발명의 크림은 하기 표 3의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추출수율 및 라디칼 소거능을 고려하여, 실시예 3의 박달목서 추출물을 선택하고 이를 크림의 제조에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80℃까지 승온한 정제수에 다이소듐이디티에이(EDTA-2Na) 0.02g, 글리세린(Glycerin) 3g,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5g을 넣고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일정 속도로 교반하면서 용해된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1.2g, C12-20 알킬글루코사이드(C12-20 Alkyl Glucoside)& C14-22알코올(C14-22 Alcohols) 혼합 유화제 1.2g,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혼합 유화제 2g,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Pentaerythrityl Tetraethylhexanoate) 1.5g,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3g, 트라이에틸헥사노인(Triethylhexanoin) 3g,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Cyclopentasiloxane) 1g, 다이메티콘(Dimethicone) 0.5g의 혼합물을 천천히 투입하여 유화시켰다.
이후, 카보머(Carbomer) 0.2g과 잔탄검(Xanthan Gum) 0.04g을 천천히 투입하여 충분히 균일 교반 및 분산 시킨 후, 트로메타민(Tromethamine) 0.2g을 투입하여 중화 및 균일 교반하였다.
충분히 균일 교반 후, 40~50℃가 되도록 냉각시켰으며,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0.05g,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1.5g,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1g의 혼합물을 투입하고 교반하였다. 그 후, 실시예 3의 박달목서 추출물 2g(동결건조물 기준)과 향 미량을 차례로 투입하여 교반하고 실온까지 냉각하여 탈포한 뒤 로션을 제조하였다.
박달목서 추출물 로션의 조성비
재료 혼합비
(중량비%)
다이소듐이디티에이(EDTA-2Na) 0.02
글리세린(Glycerin) 3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5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1.2g 1.2
C12-20알킬글루코사이드(C12-20 Alkyl Glucoside)&C14-22알코올(C14-22 Alcohols) 혼합 유화제 1.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혼합 유화제 2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Pentaerythrityl Tetraethylhexanoate) 1.5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3
트라이에틸헥사노인(Triethylhexanoin) 3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Cyclopentasiloxane) 1
다이메티콘(Dimethicone) 0.5
카보머(Carbomer) 0.2
잔탄검(Xanthan Gum) 0.04
트로메타민(Tromethamine) 0.2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0.05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1.5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1
실시예 3의 박달목서 추출물 2
미량
정제수 upto 100
총합 100
[실험예 3: 제조예 1 내지 2의 피부안정성 평가]
제조예 1 내지 2의 피부 안정성 조사를 위하여, 건강한 성인 남녀 30명의 전박부에 자극성 유무 확인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대상자들의 등 부위에 시험물질을 IQ 챔버(chamber)를 이용하여 첩포한 다음 24시간 후에 제거하였다.
피부 자극 정도는 첩포 제거 30분 및 24시간 후 시점에서 PCPC 가이드라인 (Personal Care Products Council, 미국화장품협회) 판정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제조예 1의 크림 및 제조예 2의 로션 모두 첩포 제거 30분 및 24시간 후 시점에서 피부 자극 반응이 관찰되지 않았고, 평균 자극 지수는 0.00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화장료가 매우 안전함을 확인하였다.

Claims (3)

  1. 박달목서(Osmanthus insularis)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박달목서 추출물은 50~70%(w/w) 에탄올 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활성산소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노화를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41897A 2021-03-31 2021-03-31 박달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18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897A KR102318606B1 (ko) 2021-03-31 2021-03-31 박달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897A KR102318606B1 (ko) 2021-03-31 2021-03-31 박달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606B1 true KR102318606B1 (ko) 2021-10-29

Family

ID=78231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897A KR102318606B1 (ko) 2021-03-31 2021-03-31 박달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60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0214A1 (de) * 2005-06-28 2007-01-04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Mittel zur behandlung des haares oder der haut, das einen extrakt aus pflanzen enthält, die der familie der oleaceae angehören
KR101584742B1 (ko) 2014-07-16 2016-02-02 천유화장품(주)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170045770A (ko) * 2015-10-19 2017-04-28 주식회사 케이비에프엘 오스만투스 마츠무라누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 조성물
KR20190058168A (ko) * 2017-11-21 2019-05-29 주식회사 지본코스메틱 금목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164506B1 (ko) 2019-02-12 2020-10-13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0214A1 (de) * 2005-06-28 2007-01-04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Mittel zur behandlung des haares oder der haut, das einen extrakt aus pflanzen enthält, die der familie der oleaceae angehören
KR101584742B1 (ko) 2014-07-16 2016-02-02 천유화장품(주)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170045770A (ko) * 2015-10-19 2017-04-28 주식회사 케이비에프엘 오스만투스 마츠무라누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 조성물
KR20190058168A (ko) * 2017-11-21 2019-05-29 주식회사 지본코스메틱 금목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164506B1 (ko) 2019-02-12 2020-10-13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오순자 등 3명, 아열대성 식물 4종의 엽록소형광과 항산화효소 활성의 일주기적 변화, 한국환경과학회지, 2007, 16(5), pp. 633-640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556B1 (ko) 오이풀 및 꼬리풀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74115B1 (ko) 백리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39578B1 (ko) 바실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54695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20896B1 (ko) 블루로터스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18606B1 (ko) 박달목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45642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4502139B (zh) 富含2,5-二甲酰基呋喃的阿拉伯辣木种子提取物、其获得方法及其在化妆品组合物中的用途
KR101176526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0239141A (ja) 皮膚外用剤
KR20140103633A (ko) 대나무 잎 추출물 및 호장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6522A (ko) 기실, 원보초, 상기생, 여정자 및 지골피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유 라디칼 소거작용을 갖는화장료 조성물
KR101323068B1 (ko) 아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6547B1 (ko) 산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52269B1 (ko) 금등화 추출물 또는 비자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EP3052198A1 (fr) Composition huileuse contenant un extrait d'hemerocalle et utilisations
KR101479244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79245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94241B1 (ko) 감 심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또는 항염용 조성물
KR20120129601A (ko) 우뭇가사리, 미역, 밀싹 및 베르가못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예방 효과를 갖는 있는 화장용 조성물
CN112739424B (zh) 白冷杉树树枝精油用于对抗皮肤衰老迹象的用途
EP3229923B1 (fr) Utilisation cosmétique d'un extrait d'eschscholtzia californica
KR20160004593A (ko) 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58616B1 (ko) 노화 관련 생체단백질의 발현조절이 가능한 황궁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26118A (ko) 베르가모트, 페퍼민트, 알바프리지어 및 캐모마일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