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102A - 배신 유저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동화상을 라이브 배신하는 동화상 배신 시스템, 동화상 배신 방법 및 동화상 배신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배신 유저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동화상을 라이브 배신하는 동화상 배신 시스템, 동화상 배신 방법 및 동화상 배신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102A
KR20210025102A KR1020217003200A KR20217003200A KR20210025102A KR 20210025102 A KR20210025102 A KR 20210025102A KR 1020217003200 A KR1020217003200 A KR 1020217003200A KR 20217003200 A KR20217003200 A KR 20217003200A KR 20210025102 A KR20210025102 A KR 20210025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ft
display
moving image
display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3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0402B1 (ko
Inventor
아야 구라부찌
Original Assignee
그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59802A external-priority patent/JP6491388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9035044A external-priority patent/JP6523586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9083729A external-priority patent/JP6550549B1/ja
Application filed by 그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그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25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802D [Two Dimensional] animation, e.g. using spri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배신 유저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동화상을 라이브 배신하는 동화상 배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당해 동화상 배신 시스템은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세서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시청 유저로부터 제1 기프트에 관한 제1 표시 요구를 접수함에 따라, 상기 배신 유저가 사용하는 배신 유저 장치에 표시 지시 오브젝트를 표시시키고, 상기 표시 지시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기프트를 상기 동화상에 표시시킨다.

Description

배신 유저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동화상을 라이브 배신하는 동화상 배신 시스템, 동화상 배신 방법 및 동화상 배신 프로그램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개시는, 배신 유저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동화상을 라이브 배신하는 동화상 배신 시스템, 동화상 배신 방법 및 동화상 배신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배신 유저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캐릭터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을 생성하고, 이러한 캐릭터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동화상을 라이브 배신하는 동화상 배신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동화상 배신 시스템은,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84689호 공보(특허문헌 1) 및 「하세가와 유우스케, 버추얼 아이돌 신시대의 개막 PROJECT MariA, CG WORLD, 일본, 가부시키가이샤 본 디지털, 2017년 11월 10일, 제231권, pp.74-79」(비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청 유저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당해 시청 유저가 구입한 기프트에 대응하는 기프트 오브젝트를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콘텐츠 배신 시스템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20098호 공보(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동화상 배신 시스템에서는, 시청 유저는 기프트 아이템을 구입하고, 이 구입한 기프트 아이템을 배신 유저에 대하여 기프트로서 제공할 수 있다. 기프트는 시청 유저로부터의 표시 요구에 따라 배신 중인 동화상에 표시된다. 기프트의 표시 요구는, 당해 기프트가 시청 유저에 의해 구입됨에 따라 자동적으로 생성되는 경우도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8468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20098호 공보
하세가와 유우스케, 버추얼 아이돌 신시대의 개막 PROJECT MariA, CG WORLD, 일본, 가부시키가이샤 본 디지털, 2017년 11월 10일, 제231권, pp.74-79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시청 유저로부터의 기프트의 표시 요구에 따라 당해 기프트가 배신 중인 동화상에 자동적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배신 유저가 원하지 않는 타이밍에 기프트가 동화상에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의해, 배신 유저에게 있어서는, 캐릭터 오브젝트를 통한 퍼포먼스가 방해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퍼포먼스를 행하고 있는 도중에, 기프트가 동화상 내에 두드러지게 표시되면, 당해 동화상에 있어서 퍼포먼스를 충분히 표현할 수 없다.
또한, 배신 유저의 희망과 합치하지 않는 타이밍에 동화상 내에 기프트가 표시되면, 시청 유저의 시청 체험의 열화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동화상의 주요 부분이 기프트로 가려지면, 시청자가 동화상의 시청을 방해받았다고 느낄 우려가 있다. 특히, 동화상과 중복되어 대량의 기프트가 표시되면, 이러한 문제는 심각화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특허문헌 2에서는, 기프트 오브젝트는, 동화상이 표시되는 콘텐츠 표시 영역에는 표시되지 않고, 콘텐츠 표시 영역 외의 배경 영역에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동화상 배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배신 유저의 희망과 합치하지 않는 타이밍에 동화상 내에 기프트가 표시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동화상의 주요부(예를 들어, 캐릭터 오브젝트의 주위)에는 기프트의 표시 영역을 배치하기 어려운 제약이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 또는 완화하는 기술적인 개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보다 구체적인 목적의 하나는, 배신 동화상 내에 배신 유저가 원하는 타이밍에 기프트를 표시할 수 있는 동화상 배신 시스템, 동화상 배신 방법 및 동화상 배신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배신 유저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동화상을 라이브 배신하는 동화상 배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당해 동화상 배신 시스템은,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세서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시청 유저로부터 제1 기프트에 관한 제1 표시 요구를 접수함에 따라, 상기 배신 유저가 사용하는 배신 유저 장치에 표시 지시 오브젝트를 표시시키고, 상기 표시 지시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기프트를 상기 동화상에 표시시킨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프트는, 상기 캐릭터 오브젝트의 장착 부위와 관련지어진 장착 기프트이고, 상기 장착 기프트는, 상기 표시 지시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에 따라, 상기 동화상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위와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장착 기프트는, 상기 장착 부위 중 제1 장착 부위에 대응지어진 제1 장착 기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착 기프트에는, 상기 동화상에 표시되는 제1 표시 시간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세서는, 상기 동화상에 상기 제1 장착 기프트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표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상기 장착 기프트 중 상기 제1 장착 부위에 관련지어져 있는 제2 장착 기프트의 상기 동화상에 대한 표시를 금지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세서는, 상기 동화상에 상기 제1 장착 기프트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표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상기 장착 기프트 중 상기 제1 장착 부위에 관련지어져 있는 제2 장착 기프트를 표시하기 위한 상기 표시 지시 오브젝트를 비활성화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시청 유저로부터 메시지와 관련지어진 메시지 기프트를 접수함에 따라, 상기 배신 유저 장치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시키고, 상기 배신 유저 장치에 대한 표시 지시 조작에 따라, 상기 동화상에 상기 메시지 기프트를 표시시킨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에는, 상기 배신 유저의 음성이 합성되어 있고, 상기 시청 유저로부터 상기 배신 유저의 음성을 변경하기 위한 보이스 체인지 기프트를 접수함에 따라, 상기 배신 유저 장치에 음성 변경 지시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상기 음성 변경 지시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에 따라, 상기 배신 유저의 음성을, 상기 보이스 체인지 기프트에서 지정된 음성으로 변경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을 시청하는 시청 유저로부터 상기 캐릭터 오브젝트의 특정 부위와 대응지어지지 않고 상기 동화상에 표시되는 제2 기프트에 관한 제2 표시 요구를 접수함에 따라, 상기 동화상에 상기 제2 기프트를 표시시킨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의 배신 기간 내에 기프트 표시 금지 기간이 설정되고, 상기 제2 기프트는, 상기 동화상의 배신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기프트 표시 금지 기간 이외의 타이밍에 상기 동화상에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세서가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배신 유저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동화상을 라이브 배신하는 동화상 배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해 동화상 배신 방법은, 상기 시청 유저로부터 제1 기프트에 관한 제1 표시 요구를 접수함에 따라, 상기 배신 유저가 사용하는 배신 유저 장치에 표시 지시 오브젝트를 표시시키는 공정과, 상기 표시 지시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기프트를 상기 동화상에 표시시키는 공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배신 유저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동화상을 라이브 배신하는 동화상 배신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당해 동화상 배신 프로그램은,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세서에, 상기 시청 유저로부터 제1 기프트에 관한 제1 표시 요구를 접수함에 따라, 상기 배신 유저가 사용하는 배신 유저 장치에 표시 지시 오브젝트를 표시시키는 공정과, 상기 표시 지시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기프트를 상기 동화상에 표시시키는 공정을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배신 동화상 내에 배신 유저가 원하는 타이밍에 기프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동화상 배신 시스템에서 배신되는 동화상을 배신하는 배신 유저 및 당해 배신 유저가 사용하고 있는 배신 유저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시청 유저 장치(10)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b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배신 유저 장치(20)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시청 유저 장치(10)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표시 화면에 있어서는 통상 오브젝트의 예가 표시되어 있다.
도 5a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시청 유저 장치(10)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의 표시 화면에 있어서는 장착 오브젝트의 예가 표시되어 있다.
도 5b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배신 유저 장치(20)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b의 표시 화면에 있어서는 장착 오브젝트의 예가 표시되어 있다.
도 6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배신 유저 장치(20)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표시 화면에 있어서는 메시지 확인 윈도우의 예가 표시되어 있다.
도 7a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시청 유저 장치(10)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의 표시 화면에 있어서는 메시지 윈도우의 예가 표시되어 있다.
도 7b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배신 유저 장치(20)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b의 표시 화면에 있어서는 메시지 윈도우의 예가 표시되어 있다.
도 8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동화상 배신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상 기프트를 표시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장착 기프트를 표시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메시지 기프트를 표시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의 동화상 배신 시스템에 있어서 배신되는 동화상에 설정된 기프트 표시 금지 기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적절하게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복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여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신 시스템(1)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동화상 배신 시스템(1)에서 배신되는 동화상을 배신하는 배신 유저(U1) 및 당해 배신 유저가 사용하고 있는 배신 유저 장치(20)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동화상 배신 시스템(1)은, 시청 유저 장치(10)와, 배신 유저 장치(20)와, 서버 장치(60)와, 스토리지(70)를 구비한다. 시청 유저 장치(10)와, 배신 유저 장치(20)와, 서버 장치(60)와, 스토리지(70)는, 네트워크(50)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서버 장치(6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신 유저(U1)의 캐릭터의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동화상을 배신하도록 구성된다.
이 동화상은 서버 장치(60)로부터 시청 유저 장치(10) 및 배신 유저 장치(20)에 배신된다. 배신된 동화상은, 시청 유저 장치(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시청 유저 장치(10)의 유저인 시청 유저는, 배신된 동화상을 시청 유저 장치(10)에 의해 시청할 수 있다. 도면을 간결하게 하기 위해 도 1에는 시청 유저 장치(10)가 1대만 도시되어 있지만, 동화상 배신 시스템(1)은 복수의 시청 유저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배신 유저(U1)는, 배신된 동화상을 시청함으로써, 동화상 내의 동화상을 확인하면서 퍼포먼스를 행할 수 있다.
우선, 배신 유저 장치(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배신 유저 장치(20)는 컴퓨터 프로세서(21)와, 통신 I/F(22)와, 디스플레이(23)와, 카메라(24)와, 마이크(25)를 구비하고 있다.
컴퓨터 프로세서(21)는, 스토리지로부터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여러 가지 기능을 실현하는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로드하고, 로드한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명령을 실행하는 연산 장치이다. 컴퓨터 프로세서(21)는, 예를 들어 CPU, MPU, DSP, GPU, 이들 이외의 각종 연산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컴퓨터 프로세서(21)는 ASIC, PLD, FPGA, MCU 등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도 1에 있어서는, 컴퓨터 프로세서(21)가 단일의 구성 요소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컴퓨터 프로세서(21)는 복수의 물리적으로 별체인 컴퓨터 프로세서의 집합이어도 된다.
통신 I/F(22)는,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TCP/IP 드라이버나 PPP 드라이버 등의 통신용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실장된다. 배신 유저 장치(20)는, 통신 I/F(22)를 통하여 다른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3)는 표시 패널과 터치 패널을 갖는다. 터치 패널은 플레이어의 터치 조작(접촉 조작)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터치 패널은 플레이어의 탭, 더블 탭, 드래그 등의 각종 터치 조작을 검출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정전 용량식 근접 센서를 구비하며, 플레이어의 비접촉 조작을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카메라(24)는, 배신 유저(U1)의 얼굴을 연속적으로 촬상하고, 배신 유저(U1)의 얼굴의 촬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카메라(24)에 의해 촬상된 배신 유저(U1)의 얼굴의 촬상 데이터는, 통신 I/F(22)를 통하여 서버 장치(60)에 송신된다. 카메라(24)는 인물의 얼굴의 깊이를 검출 가능한 3D 카메라여도 된다.
마이크(25)는 입력된 음성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집음 장치이다. 마이크(25)는 배신 유저(U1)의 음성 입력을 취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마이크(25)에 의해 취득된 배신 유저(U1)의 음성 입력은 음성 데이터로 변환되고, 이 음성 데이터가 통신 I/F(22)를 통하여 서버 장치(60)에 송신된다.
시청 유저 장치(10)는 배신 유저 장치(20)와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를 구비해도 된다. 예를 들어, 시청 유저 장치(10)는 컴퓨터 프로세서, 통신 I/F,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를 구비해도 된다.
시청 유저 장치(10) 및 배신 유저 장치(20)는 스마트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이다. 시청 유저 장치(10) 및 배신 유저 장치(20)는 스마트폰 이외에, 휴대 전화기, 태블릿 단말기, 퍼스널 컴퓨터, 전자 서적 리더, 웨어러블 컴퓨터, 게임용 콘솔 및 이들 이외의 동화상을 재생 가능한 각종 정보 처리 장치여도 된다. 시청 유저 장치(10) 및 배신 유저 장치(20)의 각각은, 상기 구성 요소 이외에, 자이로 센서 등의 각종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 유닛, 및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스토리지를 구비해도 된다.
다음에, 서버 장치(6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서버 장치(60)는 컴퓨터 프로세서(61)와, 통신 I/F(62)와, 스토리지(63)를 구비하고 있다.
컴퓨터 프로세서(61)는, 스토리지(63) 또는 그 밖의 스토리지로부터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여러 가지 기능을 실현하는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로드하고, 로드한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명령을 실행하는 연산 장치이다. 컴퓨터 프로세서(61)는, 예를 들어 CPU, MPU, DSP, GPU, 이들 이외의 각종 연산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컴퓨터 프로세서(61)는 ASIC, PLD, FPGA, MCU 등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도 1에 있어서는, 컴퓨터 프로세서(21)가 단일의 구성 요소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컴퓨터 프로세서(61)는 복수의 물리적으로 별체인 컴퓨터 프로세서의 집합이어도 된다.
통신 I/F(62)는,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TCP/IP 드라이버나 PPP 드라이버 등의 통신용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실장된다. 서버 장치(60)는, 통신 I/F(62)를 통하여 다른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스토리지(63)는 컴퓨터 프로세서(61)에 의해 액세스되는 기억 장치이다. 스토리지(63)는,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또는 데이터를 기억 가능한 상기 이외의 각종 기억 장치이다. 스토리지(63)에는 여러 가지 프로그램이 기억될 수 있다. 스토리지(63)에 기억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는, 서버 장치(60)와는 물리적으로 별체인 스토리지(예를 들어, 스토리지(70))에 저장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세서(21) 또는 컴퓨터 프로세서(61)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프로그램 또는 당해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명령은 각각, 단일의 컴퓨터 프로세서로 실행되어도 되고, 복수의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분산되어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컴퓨터 프로세서(21) 또는 컴퓨터 프로세서(6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당해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명령은 각각, 복수의 가상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도 된다.
다음에, 스토리지(63)에 기억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토리지(63)에는 모델 데이터(63a), 오브젝트 데이터(63b) 및 상기 이외의 배신 동화상의 생성 및 배신에 필요한 여러 가지 데이터가 기억된다.
모델 데이터(63a)는, 캐릭터의 애니메이션을 생성하기 위한 모델 데이터이다. 모델 데이터(63a)는, 3차원의 애니메이션을 생성하기 위한 3차원 모델 데이터여도 되고, 2차원의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2차원 모델 데이터여도 된다. 모델 데이터(63a)는, 예를 들어 캐릭터의 얼굴 및 얼굴 이외의 부분의 골격을 나타내는 리그 데이터(「스켈레톤 데이터」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음)와, 캐릭터의 표면의 형상이나 질감을 나타내는 표면 데이터를 포함한다. 모델 데이터(63a)에는, 서로 다른 복수의 모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복수의 모델 데이터는, 서로 다른 리그 데이터를 가져도 되고, 동일한 리그 데이터를 가져도 된다. 이 복수의 모델 데이터는, 서로 다른 표면 데이터를 가져도 되고, 동일한 표면 데이터를 가져도 된다.
오브젝트 데이터(63b)는, 동화상을 구성하는 가상 공간을 구축하기 위한 애셋 데이터를 포함한다. 오브젝트 데이터(63b)는, 동화상을 구성하는 가상 공간의 배경을 묘화하기 위한 데이터, 동화상에 표시되는 각종 물체를 묘화하기 위한 데이터, 및 이들 이외의 동화상에 표시되는 각종 오브젝트를 묘화하기 위한 데이터가 포함된다. 오브젝트 데이터(63b)에는, 가상 공간에 있어서의 오브젝트의 위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위치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오브젝트 데이터(63b)에는, 상기 이외에도 기프트 오브젝트가 포함될 수 있다. 기프트 오브젝트는, 동화상을 시청하고 있는 시청 유저로부터의 기프트의 표시 요구에 기초하여 동화상에 표시된다. 기프트 오브젝트에는, 이펙트 기프트에 대응하는 이펙트 오브젝트와, 통상 기프트에 대응하는 통상 오브젝트와, 장착 기프트에 대응하는 장착 오브젝트와, 메시지 기프트에 대응하는 메시지 오브젝트가 포함될 수 있다. 시청 유저는 원하는 기프트를 구입할 수 있다.
이펙트 기프트를 나타내는 이펙트 오브젝트는, 배신 동화상의 시청 화면 전체의 인상에 영향을 주는 오브젝트이며, 예를 들어 잘게 썬 색종이를 모방한 오브젝트이다. 잘게 썬 색종이를 모방한 오브젝트는, 시청 화면 전체에 표시되어도 되며, 이에 의해 표시의 전후에 있어서의 시청 화면 전체의 인상을 바꿀 수 있다. 이펙트 오브젝트는, 캐릭터 오브젝트와 중복되도록 표시되는 경우도 있지만, 캐릭터 오브젝트의 특정 부위와 관련지어지지 않고 표시되는 점에서 장착 오브젝트와 다르다.
통상 기프트를 나타내는 통상 오브젝트는, 시청 유저로부터 배신 유저(예를 들어, 배신 유저(U1))로의 기프트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이며, 예를 들어 봉제 인형, 꽃다발, 액세서리, 또는 상기 이외의 기프트나 선물에 적합한 물품을 모방한 오브젝트이다. 일 양태에 있어서, 통상 오브젝트는 캐릭터 오브젝트와 접하지 않도록 동화상의 표시 화면에 표시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통상 오브젝트는 캐릭터 오브젝트와 중복되지 않도록 동화상의 표시 화면에 표시된다. 통상 오브젝트는, 가상 공간에 있어서 캐릭터 오브젝트 이외의 오브젝트와 중복되도록 표시되어도 된다. 통상 오브젝트는, 캐릭터 오브젝트와 중복되도록 표시되는 경우도 있지만, 캐릭터 오브젝트의 특정 부위와 관련지어진 표시는 이루어지지 않는 점에서 장착 오브젝트와 다르다. 일 양태에 있어서, 통상 오브젝트를 캐릭터 오브젝트와 중복하여 표시시키는 경우에는, 당해 통상 오브젝트는, 당해 캐릭터 오브젝트의 얼굴을 포함하는 헤드부 이외의 부분과 중복되고, 당해 캐릭터 오브젝트의 헤드부와는 중복되지 않도록 표시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통상 오브젝트를 캐릭터 오브젝트와 중복하여 표시시키는 경우에는, 당해 통상 오브젝트는, 당해 캐릭터 오브젝트의 얼굴을 포함하는 상반신 이외의 부분과 중복되고, 당해 캐릭터 오브젝트의 상반신과는 중복되지 않도록 표시된다.
장착 기프트를 나타내는 장착 오브젝트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특정 부위(장착 부위)와 관련지어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이다. 일 양태에 있어서, 캐릭터 오브젝트의 특정 부위와 관련지어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장착 오브젝트는, 당해 캐릭터 오브젝트의 당해 특정 부위에 접하도록 표시 화면에 표시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캐릭터 오브젝트의 특정 부위와 관련지어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장착 오브젝트는, 당해 캐릭터 오브젝트의 당해 특정 부위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도록 표시 화면에 표시된다. 특정 부위는, 3차원 좌표 공간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3차원 위치 정보로 특정되어도 되고, 3차원 좌표 공간의 위치 정보에 관련지어져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캐릭터의 헤드부에 있어서, 특정 부위는 헤드부의 전방 좌측, 전방 우측, 후방 좌측, 후방 우측, 중앙 전방측, 중앙 후방측, 좌안, 우안, 왼쪽 귀, 오른쪽 귀 및 머리카락 전체라고 하는 단위로 정해져도 된다.
장착 오브젝트는, 예를 들어 캐릭터 오브젝트에 장착되는 액세서리(카츄샤, 목걸이, 귀걸이 등), 의복(티셔츠 등), 코스튬 및 이들 이외의 캐릭터 오브젝트에 장착 가능한 오브젝트이다. 장착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오브젝트 데이터(63b)에는, 당해 장착 오브젝트가 캐릭터 오브젝트의 어느 부위에 관련지어지는가를 나타내는 장착 부위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어떤 장착 오브젝트의 장착 부위 정보는, 당해 장착 오브젝트가 캐릭터 오브젝트의 어느 부위에 장착되는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 오브젝트가 카츄샤인 경우에는, 당해 장착 오브젝트의 장착 부위 정보는, 당해 장착 오브젝트가 캐릭터 오브젝트의 「헤드부」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도 된다. 장착 오브젝트가 장착되는 장착 부위 정보가 3차원 좌표 공간의 위치로서 특정되는 경우에는, 당해 장착 부위 정보는 3차원 좌표 공간에 있어서의 복수의 위치와 관련지어져도 된다. 예를 들어 「카츄샤」를 나타내는 장착 오브젝트가 장착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장착 부위 정보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헤드부 후방 좌측」과 「헤드부 후방 우측」의 2개의 부위와 관련지어져도 된다. 즉, 「카츄샤」를 나타내는 장착 오브젝트는 「헤드부 후방 좌측」 및 「헤드부 후방 우측」의 양쪽에 장착되어도 된다. 장착 오브젝트가 티셔츠인 경우에는, 당해 장착 오브젝트의 장착 부위 정보는, 당해 장착 오브젝트가 캐릭터 오브젝트의 「동체부」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도 된다.
장착 부위가 공통되는 2종류의 장착 오브젝트는, 시간을 이격하여 동화상에 표시된다. 즉, 장착 부위가 공통되는 2종류의 장착 오브젝트는, 시간을 이격하여 캐릭터 오브젝트에 장착된다. 바꾸어 말하면, 장착 부위가 공통되는 2종류의 장착 오브젝트는, 캐릭터 오브젝트에 동시에는 장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카츄샤를 나타내는 장착 오브젝트 및 모자를 나타내는 장착 오브젝트에 관하여, 장착 부위로서 모두 「헤드부」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카츄샤를 나타내는 장착 오브젝트와 모자를 나타내는 장착 오브젝트는 동시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메시지 기프트를 나타내는 메시지 오브젝트는, 시청 유저로부터의 메시지를 포함한다. 메시지 오브젝트는, 후술하는 코멘트 표시 영역(35)에 표시되는 코멘트보다 두드러지는 양태로 동화상에 표시되어도 된다. 메시지 오브젝트는, 코멘트 표시 영역(35)에 표시되는 코멘트보다 장시간에 걸쳐 동화상에 표시되어도 된다.
기프트 오브젝트의 각각에는, 그 종류에 따른 표시 시간이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장착 오브젝트의 표시 시간은, 이펙트 오브젝트의 표시 시간 및 통상 오브젝트의 표시 시간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장착 오브젝트의 표시 시간은 60초간으로 설정되고, 이펙트 오브젝트의 표시 시간은 5초간으로 설정되고, 통상 오브젝트의 표시 시간은 10초간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다음에, 컴퓨터 프로세서(21)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컴퓨터 프로세서(21)는, 배신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페이스 모션 데이터 생성부(21a)로서 기능한다. 컴퓨터 프로세서(21)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의 적어도 일부는, 동화상 배신 시스템(1)의 컴퓨터 프로세서(21) 이외의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컴퓨터 프로세서(21)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서버 장치(60)에 탑재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세서(61)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페이스 모션 데이터 생성부(21a)는, 카메라(24)의 촬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신 유저(U1)의 얼굴 움직임의 디지털 표현인 페이스 모션 데이터를 생성한다. 페이스 모션 데이터는,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수시로 생성된다. 페이스 모션 데이터는, 소정의 샘플링 시간 간격마다 생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페이스 모션 데이터는, 배신 유저(U1)의 얼굴 움직임(표정의 변화)을 시계열적으로 디지털 표현할 수 있다. 페이스 모션 데이터 생성부(21a)에서 생성된 페이스 모션 데이터는, 통신 I/F(22)를 통하여 서버 장치(60)에 송신된다.
배신 유저 장치(20)에 있어서는, 페이스 모션 데이터 생성부(21a)에서 생성되는 페이스 모션 데이터에 추가하여, 배신 유저(U1)의 몸의 얼굴 이외의 각 부위의 위치 및 방향의 디지털 표현인 보디 모션 데이터를 생성해도 된다. 배신 유저 장치(20)는, 페이스 모션 데이터에 추가하여, 보디 모션 데이터를 서버 장치(60)에 송신해도 된다. 보디 모션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배신 유저(U1)는 모션 센서를 장착해도 된다. 배신 유저 장치(20)는, 배신 유저(U1)에 장착된 모션 센서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보디 모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보디 모션 데이터는, 소정의 샘플링 시간 간격마다 생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보디 모션 데이터는, 배신 유저(U1)의 몸의 움직임을 시계열적으로 디지털 데이터로서 표현한다. 배신 유저(U1)에 장착된 모션 센서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는 보디 모션 데이터의 생성은, 예를 들어 촬영 스튜디오에서 행해져도 된다. 촬영 스튜디오에는 베이스 스테이션과, 트래킹 센서와,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도 된다. 베이스 스테이션은 다축 레이저 이미터여도 된다. 배신 유저(U1)에 장착되는 모션 센서는, 예를 들어 HTC CORPORATION으로부터 제공되고 있는 Vive Tracker여도 된다. 촬영 스튜디오에 구비되는 베이스 스테이션은, 예를 들어 HTC CORPORATION으로부터 제공되고 있는 베이스 스테이션이어도 된다. 또한, 촬영 스튜디오와 별실에는 서포터 컴퓨터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촬영 스튜디오의 디스플레이는, 서포트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서버 장치(60)는, 서포터 컴퓨터가 설치되어 있는 방과 동일한 방에 설치되어도 된다. 서포터 컴퓨터가 설치되어 있는 방과 촬영 스튜디오는 유리창에 의해 이격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서포터 컴퓨터의 오퍼레이터(본 명세서에서는 「서포터」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는 배신 유저(U1)를 시인할 수 있다. 서포터 컴퓨터는, 서포터의 조작에 따라, 촬영 스튜디오에 구비된 각종 장치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서포터 컴퓨터는, 예를 들어 베이스 스테이션에 의한 주사 인터벌의 설정, 트래킹 센서의 설정, 및 이들 이외의 각종 기기의 각종 설정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서포터는, 서포터 컴퓨터에 메시지를 입력하고, 당해 입력된 메시지를 촬영 스튜디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다음에, 컴퓨터 프로세서(61)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컴퓨터 프로세서(61)는, 배신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애니메이션 생성부(61a), 동화상 생성부(61b), 동화상 배신부(61c), 기프트 요구 처리부(61d) 및 기프트 구입 처리부(61e)로서 기능한다. 컴퓨터 프로세서(61)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의 적어도 일부는, 동화상 배신 시스템(1)의 컴퓨터 프로세서(61) 이외의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컴퓨터 프로세서(61)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배신 유저 장치(20)의 컴퓨터 프로세서(21)에 의해 실현되어도 되고, 시청 유저 장치(10)의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애니메이션 생성부(61a) 및 동화상 생성부(61b)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배신 유저 장치(20)에 있어서 실행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배신 유저 장치(20)에 있어서 생성된 동화상이 서버 장치(60)에 송신되고, 서버 장치(60)로부터 시청 유저 장치(10)에 배신되어도 된다.
애니메이션 생성부(61a)는, 배신 유저 장치(20)의 페이스 모션 데이터 생성부(21a)에 의해 생성된 페이스 모션 데이터를, 모델 데이터(63a)에 포함되는 소정의 모델 데이터에 적용함으로써, 캐릭터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애니메이션 생성부(61a)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표정이 당해 페이스 모션 데이터에 기초하여 변화하도록, 당해 캐릭터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애니메이션 생성부(61a)는, 배신 유저(U1)에 관한 페이스 모션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신 유저(U1)의 표정의 움직임에 동기하여 움직이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배신 유저 장치(20)로부터 배신 유저(U1)에 관한 보디 모션 데이터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애니메이션 생성부(61a)는, 배신 유저(U1)에 관한 보디 모션 데이터 및 페이스 모션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신 유저(U1)의 몸 및 표정의 움직임에 동기하여 움직이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동화상 생성부(61b)는, 오브젝트 데이터(63b)를 사용하여 배경을 나타내는 배경 화상을 생성하고, 이 배경 화상과, 배신 유저(U1)에 대응하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동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동화상 생성부(61b)에 의해 생성되는 동화상에 있어서, 배신 유저(U1)에 대응하는 캐릭터 오브젝트는 배경 화상에 중첩하여 표시된다.
동화상 생성부(61b)는, 생성된 동화상에, 배신 유저 장치(20)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배신 유저(U1)의 음성을 합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동화상 생성부(61b)는, 배신 유저(U1)의 표정의 움직임에 동기하여 움직이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을 생성하고, 이 애니메이션에 배신 유저(U1)의 음성이 합성된 배신용 동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동화상 배신부(61c)는, 동화상 생성부(61b)에 있어서 생성된 동화상을 배신한다. 이 동화상은, 네트워크(50)를 통하여 시청 유저 장치(10) 및 이들 이외의 시청 유저 장치에 배신된다. 생성된 동화상은 배신 유저 장치(20)에도 배신된다. 수신된 동화상은 시청 유저 장치(10) 및 배신 유저 장치(20)에 있어서 재생된다.
동화상 배신부(61c)로부터 배신되고 시청 유저 장치(10)에 있어서 재생되고 있는 동화상의 표시예가 도 3a에 도시되어 있고, 동화상 배신부(61c)로부터 배신되고 배신 유저 장치(20)에 있어서 재생되고 있는 동화상의 표시예가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청 유저 장치(10)의 디스플레이에는, 서버 장치(20)로부터 배신된 동화상의 표시 화상(30)이 표시된다. 이 시청 유저 장치(10)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화상(30)에는, 애니메이션 생성부(61a)에 의해 생성된 배신 유저(U1)의 캐릭터 오브젝트(31)와, 기프트 버튼(32)과, 평가 버튼(33)과, 코멘트 버튼(34)과, 코멘트 표시 영역(35)이 포함되어 있다.
캐릭터 오브젝트(31)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배신 유저(U1)의 페이스 모션 데이터를 모델 데이터(63a)에 포함되어 있는 모델 데이터에 적용함으로써 생성되고 있기 때문에, 배신 유저(U1)의 표정의 움직임에 동기하여 그 표정이 변화한다. 배신 유저 장치(20)로부터 보디 모션 데이터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캐릭터 오브젝트(31)는, 그 얼굴 이외의 부위도 배신 유저(U1)의 몸의 움직임에 동기하여 변화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기프트 버튼(32)은, 시청 유저 장치(10)에 대한 조작에 의해 선택 가능하게 표시 화면(30)에 표시되어 있다. 기프트 버튼(32)은, 예를 들어 시청 유저 장치(10)의 터치 패널 중 기프트 버튼(32)이 표시되어 있는 영역에 대한 탭 조작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프트 버튼(32)이 선택되면, 표시 화면(30)에, 시청 중인 동화상을 배신하고 있는 배신 유저에 기프팅할 기프트를 선택하기 위한 윈도우가 표시된다. 당해 시청 유저는, 당해 윈도우에 표시되어 있는 기프트 중에서 기프팅 대상으로 할 기프트를 구입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기프트 버튼(32)이 선택됨에 따라, 표시 화면(30)에, 구입 완료의 기프트의 일람을 포함하는 윈도우가 표시된다. 이 경우, 당해 시청 유저는, 당해 윈도우에 표시되어 있는 기프트 중에서 기프팅 대상으로 할 기프트를 선택할 수 있다. 기프팅 또는 구입 가능한 기프트에는 이펙트 기프트, 통상 기프트, 장착 기프트, 메시지 기프트 및 이들 이외의 기프트가 포함될 수 있다.
평가 버튼(33)은, 시청 유저 장치(10)를 사용하는 시청 유저에 의해 선택 가능하게 표시 화면(30)에 표시되어 있다. 평가 버튼(33)은, 예를 들어 시청 유저 장치(10)의 터치 패널 중 평가 버튼(33)이 표시되어 있는 영역에 대한 탭 조작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동화상을 시청 중인 시청 유저에 의해 평가 버튼(33)이 선택되면, 당해 동화상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이루어졌음을 나타내는 평가 정보가 서버 장치(60)에 송신되어도 된다. 서버 장치(60)는, 시청 유저 장치(10) 및 이 이외의 시청 유저 장치로부터의 평가 정보를 집계할 수 있다.
코멘트 버튼(34)은, 시청 유저에 의해 선택 가능하게 표시 화면(30)에 표시된다. 코멘트 버튼(34)이 예를 들어 탭 조작에 의해 선택되면, 코멘트를 입력하기 위한 코멘트 입력 윈도우가 표시 화면(30)에 표시된다. 시청 유저는, 시청 유저 장치(10)의 입력 기구를 통하여 코멘트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코멘트는, 시청 유저 장치(10)로부터 서버 장치(60)로 송신된다. 서버 장치(60)는, 시청 유저 장치(10) 및 이 이외의 시청 유저 장치로부터의 코멘트를 접수하고, 당해 코멘트를 표시 화상(30) 내의 코멘트 표시 영역(35)에 표시한다. 코멘트 표시 영역(35)에는, 시청 유저 장치(10) 및 이 이외의 시청 유저 장치로부터 투고된 코멘트가, 예를 들어 시계열로 표시된다. 코멘트 표시 영역(35)은, 표시 화면(30)의 일부 영역을 차지한다. 코멘트 표시 영역(35)에 표시 가능한 코멘트수에는 상한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코멘트 표시 영역(35)에는 3개까지 코멘트가 표시될 수 있다. 코멘트 표시 영역(35)에 설정되어 있는 상한을 초과한 코멘트의 투고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투고 시간이 오래된 코멘트부터 순서대로 코멘트 표시 영역(35)으로부터 삭제된다. 이 때문에, 시청 유저로부터 접수되는 코멘트의 빈도가 높아질수록 코멘트 영역(35)에 있어서의 각 코멘트의 표시 시간은 짧아진다.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신 유저 장치(20)의 디스플레이에는, 서버 장치(20)로부터 배신된 동화상의 표시 화상(40)이 표시된다. 이 배신 유저 장치(20)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40)에는, 배신 유저(U1)에 대응하는 캐릭터 오브젝트(31)와, 시청 유저에 의해 표시 요구가 이루어진 장착 기프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지시 버튼(42a 내지 42c)과, 코멘트 표시 영역(35)이 포함되어 있다. 배신 유저 장치(20)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40)에는, 시청 유저 장치(10)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화상(30)과 동일한 배경 화상, 캐릭터 오브젝트 화상 및 코멘트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표시 화상(40)은 기프트 버튼(32), 평가 버튼(33) 및 코멘트 버튼(34)을 포함하고 있지 않고, 표시 지시 버튼(42a 내지 42c)을 포함하고 있는 점에서 표시 화상(30)과 다르다.
표시 지시 버튼(42a 내지 42c)은, 시청 유저로부터 후술하는 장착 기프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요구를 접수함에 따라 표시 화면(40)에 표시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시 화상(40)에 3개의 표시 지시 버튼(42a 내지 42c)이 표시되어 있다. 표시 지시 버튼(42a 내지 42c)의 각각은, 배신 유저에 의해 선택 가능하게 표시 화면(40)에 표시된다. 표시 지시 버튼(42a 내지 42c) 중 어느 것이 예를 들어 탭 조작에 의해 선택되면, 이 선택된 표시 지시 버튼에 대응하는 장착 기프트를 표시하기 위한 조작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표시 지시 버튼(42a 내지 42c)은, 장착 기프트를 배신 중인 동화상에 표시시키는 지시를 행하기 위한 표시 지시 오브젝트이다. 이 때문에,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표시 지시 버튼(42a 내지 42c)을 표시 지시 오브젝트(42a 내지 42c)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표시 지시 오브젝트(42a 내지 42c)를 서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간단히 표시 지시 오브젝트(42)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장착 기프트의 표시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표시 화면(40)은 상기 서포터 컴퓨터에 표시되어도 된다. 표시 지시 오브젝트(42a 내지 42c)는, 서포터에 의한 당해 서포터 컴퓨터의 조작에 따라 선택되어도 된다.
장착 기프트의 표시를 요구하는 표시 요구가 접수될 때마다, 당해 표시 요구에 대응하는 표시 지시 오브젝트(42)가 표시 화면(40)에 추가된다. 표시 화면(40)에 표시 가능한 표시 지시 오브젝트(42)의 수에는 상한이 있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화면(40)에 표시 가능한 표시 지시 오브젝트(42)의 상한수는 3이다. 이 경우, 표시 화면(40)에는 표시 지시 오브젝트를 3개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영역을 갖고 있다. 장착 기프트의 표시 요구를 4개 이상 접수한 경우에는, 4번째 이후의 표시 요구에 대응하는 표시 지시 오브젝트(42)는 표시 화면(40)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4번째로 접수된 장착 기프트의 표시 요구에 대응하는 표시 지시 오브젝트(42)는, 이미 표시되어 있는 3개의 표시 지시 오브젝트(42) 중 어느 것이 선택되어, 표시 영역에 빈 공간이 생긴 경우에 표시 화면(40)에 표시된다.
기프트 요구 처리부(61d)는, 시청 유저로부터 기프트의 표시 요구를 접수하고, 당해 표시 요구에 따른 기프트 오브젝트를 표시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각 시청 유저는 자신의 시청 유저 장치를 조작함으로써, 기프트의 표시 요구를 서버 장치(60)에 송신할 수 있다. 기프트의 표시 요구에는, 시청 유저의 유저 ID와, 표시를 요구하는 기프트를 특정하는 기프트 식별 정보(기프트 ID) 및/또는 표시를 요구하는 기프트에 대응하는 기프트 오브젝트를 특정하는 기프트 오브젝트 식별 정보(기프트 오브젝트 ID)가 포함되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프트를 나타내는 기프트 오브젝트에는, 이펙트 기프트에 대응하는 이펙트 오브젝트와, 통상 기프트에 대응하는 통상 오브젝트와, 장착 기프트에 대응하는 장착 오브젝트가 포함될 수 있다. 장착 기프트는 제1 기프트의 예이다. 장착 오브젝트를 제1 기프트 오브젝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장착 기프트(또는 장착 오브젝트)의 표시를 요구하는 표시 요구는 제1 표시 요구의 예이다. 이펙트 기프트 및 통상 기프트는 제2 기프트의 예이다. 이펙트 오브젝트 및 통상 오브젝트를 총칭하여 제2 기프트 오브젝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펙트 기프트(혹은 이펙트 오브젝트) 또는 통상 기프트(혹은 통상 오브젝트)의 표시를 요구하는 표시 요구는 제2 표시 요구의 예이다.
일 양태에 있어서, 기프트 요구 처리부(61d)는, 시청 유저로부터 특정의 통상 기프트의 표시 요구를 접수하면, 당해 표시 요구에 기초하여, 표시가 요구된 통상 기프트를 나타내는 통상 오브젝트를 동화상에 표시시키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백을 나타내는 통상 기프트의 표시 요구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프트 요구 처리부(61d)에 의해 당해 표시 요구에 기초하여 백을 나타내는 통상 오브젝트(36)가 표시 화상(30)에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곰의 봉제 인형을 나타내는 통상 기프트의 표시 요구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프트 요구 처리부(61d)에 의해 당해 표시 요구에 기초하여 곰의 봉제 인형을 나타내는 통상 오브젝트(37)가 표시 화상(30)에 표시된다.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배신 유저 장치(20)에 있어서의 표시 화상(40)에도, 표시 화상(30)과 마찬가지로, 통상 오브젝트(36) 및 통상 오브젝트(37)가 표시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기프트 요구 처리부(61d)는, 시청 유저로부터 특정 이펙트 기프트의 표시 요구를 접수하면, 당해 표시 요구에 기초하여, 표시가 요구된 이펙트 기프트에 대응하는 이펙트 오브젝트를 동화상의 표시 화상에 표시시키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잘게 썬 색종이나 불꽃을 나타내는 이펙트 기프트의 표시 요구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기프트 요구 처리부(61d)는, 당해 표시 요구에 기초하여 잘게 썬 색종이나 불꽃을 나타내는 이펙트 기프트에 대응하는 이펙트 오브젝트(도시하지 않음)가 표시 화상(30) 및 표시 화상(40)에 표시된다.
통상 기프트의 표시 요구에는, 당해 통상 기프트를 나타내는 통상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를 지정하는 표시 위치 지정 파라미터가 포함되어도 된다. 이 경우, 기프트 요구 처리부(61d)는, 표시 위치 지정 파라미터에 의해 지정된 위치에 통상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캐릭터 오브젝트(31)의 표시 위치 및 표시 범위가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표시 위치 지정 파라미터에 의해, 당해 캐릭터 오브젝트(31)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통상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로서 지정될 수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기프트 요구 처리부(61d)는, 시청 유저로부터 특정 장착 오브젝트의 표시 요구를 접수하면, 당해 표시 요구에 기초하여,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신 유저 장치(20)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40)에 표시 지시 오브젝트(42a 내지 42c)를 표시한다. 이 표시 지시 오브젝트(42a 내지 42c)의 각각은, 표시 요구가 이루어진 장착 기프트와 대응지어져 있다. 표시 지시 오브젝트(42a 내지 42c) 중 어느 것이 선택되면, 그 선택된 표시 지시 오브젝트에 대응지어져 있는 장착 기프트가 배신 중인 동화상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표시 지시 오브젝트(42b)에 고양이귀를 모방한 카츄샤가 대응지어져 있는 경우에, 표시 지시 오브젝트(42b)가 선택되면, 기프트 요구 처리부(61d)는, 선택된 표시 지시 오브젝트(42b)에 대응하는 카츄샤를 나타내는 장착 오브젝트(38)를 배신 중인 동화상에 표시시킨다. 카츄샤를 나타내는 장착 오브젝트(38)를 포함하는 동화상의 표시예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택된 표시 지시 오브젝트(42b)는 표시 화면(40)으로부터 삭제된다.
장착 오브젝트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특정 부위(장착 부위)와 관련지어 동화상 내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장착 오브젝트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당해 장착 부위에 접하도록 동화상 내에 표시되어도 된다. 장착 오브젝트(38)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당해 장착 부위에 장착되도록 동화상 내에 표시되어도 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카츄샤를 나타내는 장착 오브젝트(38)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헤드부와 대응지어져 있다. 이 때문에,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표시예에서는, 장착 오브젝트(38)가 캐릭터 오브젝트(31)의 헤드부에 장착되어 있다. 장착 오브젝트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당해 장착 부위의 움직임에 부수되어 움직이도록 동화상의 표시 화면 내에 표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카츄샤를 나타내는 장착 오브젝트(38)를 장착한 캐릭터 오브젝트(31)의 헤드부가 움직이면, 마치 카츄샤가 캐릭터 오브젝트(31)의 헤드부에 장착되어 있는 것처럼, 카츄샤를 나타내는 장착 오브젝트(38)도 캐릭터 오브젝트(31)의 헤드부에 부수되어 움직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 데이터(63b)는, 장착 오브젝트가 캐릭터 오브젝트의 어느 부위에 관련지어지는가를 나타내는 장착 부위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기프트 요구 처리부(61d)는, 캐릭터 오브젝트에 장착 오브젝트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장착 오브젝트의 표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당해 장착 오브젝트의 장착 부위 정보가 나타내는 부위와 동일 또는 중복되는 부위에 장착되는 다른 장착 오브젝트의 표시를 금지한다. 예를 들어, 「헤드부 후방 좌측」 및 「헤드부 후방 우측」의 양쪽에 관련지어진 카츄샤와, 「헤드부 후방 좌측」에 관련지어진 헤어 액세서리는, 「헤드부 후방 좌측」이 중복되어 있기 때문에, 카츄샤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장착 부위 정보로서 「헤드부 후방 좌측」이 설정되어 있는 헤어 액세서리의 표시는 금지된다. 한편, 「헤드부 후방 좌측」 및 「헤드부 후방 우측」에 관련지어진 카츄샤와, 「(헤드부 중) 왼쪽 귀」 및 「(헤드부 중) 오른쪽 귀」에 관련지어진 귀걸이는, 캐릭터 오브젝트에 있어서의 장착 부위가 중복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동시에 장착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장착 부위가 동일 또는 중복되는 복수의 장착 오브젝트의 표시를 금지하기 위해, 표시가 금지되는 장착 오브젝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지시 오브젝트(42)가 비활성화되어도 된다.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 지시 오브젝트(42a)가 장착 부위 정보로서 「헤드부 후방 좌측」이 설정된 헤어 액세서리라고 상정한다. 이 경우, 이 헤어 액세서리를 나타내는 장착 오브젝트는, 캐릭터 오브젝트(31)가 카츄샤를 나타내는 장착 오브젝트(38)를 장착 중이기 때문에, 장착 오브젝트(38)가 캐릭터 오브젝트(31)에 장착되어 있는 동안에는, 동화상에 대한 표시가 금지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 헤어 액세서리를 나타내는 장착 오브젝트의 동화상에 대한 표시를 금지하기 위해, 당해 헤어 액세서리를 나타내는 장착 오브젝트에 대응지어져 있는 표시 지시 오브젝트(42a)가 비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표시 지시 오브젝트(42a)는, 장착 오브젝트(38)가 캐릭터 오브젝트(31)에 장착되어 있는 동안, 조작되어도 선택 불능으로 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장착 오브젝트(38)가 캐릭터 오브젝트(31)에 장착되어 있는 동안, 표시 지시 오브젝트(42a)는 표시 화면(40)으로부터 소거된다. 비활성화된 표시 지시 오브젝트(42a)는, 카츄샤의 표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시 활성화된다. 표시 지시 오브젝트(42a)를 다시 활성화하기 위해, 예를 들어 선택 불능으로 되어 있던 표시 지시 오브젝트(42a)가 다시 선택 가능으로 되어도 되고, 비표시로 되어 있던 표시 지시 오브젝트(42a)를 다시 표시 화면(40)에 표시시켜도 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동화상을 시청 중인 시청 유저는, 특정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지 기프트를 당해 동화상에 표시하는 것을 요구하는 표시 요구를 서버 장치(60)에 송신할 수 있다. 기프트 요구 처리부(61d)는, 시청 유저로부터 특정 메시지와 관련지어진 메시지 기프트의 표시 요구를 접수하면, 당해 표시 요구에 기초하여,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신 유저 장치(20)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40)에 메시지 확인 화면(43)을 표시한다. 메시지 확인 화면(43)에는, 표시 요구를 행한 시청 유저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 당해 메시지의 동화상 내에 대한 표시를 허가하기 위한 버튼, 및 당해 메시지의 동화상 내에 대한 표시를 거부하기 위한 버튼이 포함된다. 배신 유저(U1)는, 이 메시지 확인 화면(43)에 있어서, 시청 유저로부터의 메시지를 확인하여, 당해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지 기프트의 동화상에 대한 표시를 허가하는 경우에는, 「표시한다」고 표기된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메시지 기프트의 표시 지시 조작을 행한다. 반대로, 당해 메시지 기프트의 동화상에 대한 표시를 거부하는 경우에는, 배신 유저(U1)는 「표시하지 않는다」고 표기된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표시 거부 조작을 행한다.
배신 유저(U1)에 의해, 메시지 기프트의 표시가 허가된 경우에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청 유저 장치(10)의 표시 화면(30) 및 배신 유저 장치(20)의 표시 화면에는 메시지 기프트를 나타내는 메시지 오브젝트(39)가 표시된다. 메시지 오브젝트(39)에는, 당해 메시지 기프트에 대응지어져 있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텍스트 데이터가 포함된다. 메시지 오브젝트(39)에는, 당해 메시지 기프트의 표시 요구를 행한 시청 유저를 나타내는 표시(예를 들어, 당해 시청 유저의 유저명, 닉네임 등)가 포함되어도 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동화상을 시청 중인 시청 유저는, 배신 중인 동화상에 합성되어 있는 배신 유저(U1)의 음성을 변경하기 위한 보이스 체인지 기프트를 서버 장치(60)에 송신할 수 있다. 기프트 요구 처리부(61d)는, 보이스 체인지 기프트를 접수하면, 배신 유저 장치(20)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40)에 확인 화면(도시하지 않음)을 표시한다. 이 음성 변경의 가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화면에는, 음성의 변경 내용을 특정하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이 확인 화면에는 남성의 목소리를 여성의 목소리로 변경하는 것, 인간의 목소리를 로봇과 같은 전자적인 소리로 변경하는 것 등의 음성의 변경 내용을 특정하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당해 확인 화면에는, 보이스 체인지 기프트에 있어서 요구되고 있는 음성 변경을 허가하기 위한 버튼, 및 당해 음성 변경을 거부하기 위한 버튼이 포함된다. 배신 유저(U1)는, 이 확인 화면에 있어서, 음성의 변경 내용을 확인하여, 당해 변경의 허가 또는 거부를 하기 위한 지시 조작을 행한다.
일 양태에 있어서, 동화상을 시청 중인 시청 유저는, 배신 중인 동화상에 포함되어 있는 캐릭터 오브젝트(31)의 헤드부 이외의 움직임을 지정하는 모션 기프트를 서버 장치(60)에 송신할 수 있다. 기프트 요구 처리부(61d)는, 모션 기프트를 접수하면, 당해 모션 기프트에 의해 지정된 움직임을 캐릭터 오브젝트(31)가 취하도록, 당해 캐릭터 오브젝트(31)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모션 기프트에 의해 지정된 움직임의 캐릭터 오브젝트(31)로의 반영 가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화면(도시하지 않음)을 배신 유저 장치(20)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40)에 표시하고, 배신 유저(U1)에 의해 당해 지정된 움직임을 반영시키는 것을 허가하는 지시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모션 기프트에 의해 지정된 움직임이 캐릭터 오브젝트(31)에 반영되어도 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기프트 구입 처리부(61e)는, 동화상의 시청 유저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당해 동화상에 관련하여 구입 가능한 복수의 기프트 오브젝트의 각각의 구입 정보를 당해 시청 유저의 시청 유저 장치(예를 들어, 시청 유저 장치(10))에 송신한다. 각 기프트 오브젝트의 구입 정보에는, 당해 기프트 오브젝트의 종류(이펙트 오브젝트, 통상 오브젝트 또는 장착 오브젝트), 당해 기프트 오브젝트의 화상, 당해 기프트 오브젝트의 가격, 및 이들 이외의 기프트 오브젝트의 구입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시청 유저는, 시청 유저 장치(10)에 표시되어 있는 기프트 오브젝트의 구입 정보에 기초하여, 구입할 기프트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다. 구입 대상의 기프트 오브젝트의 선택은, 시청 유저 장치(10)의 조작에 의해 행해져도 된다. 구입 대상의 기프트 오브젝트가 시청 유저에 의해 선택되면, 당해 기프트 오브젝트의 구입 요구가 서버 장치(60)에 송신된다. 기프트 구입 처리부(61e)는, 당해 구입 요구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를 행한다. 이 결제 처리가 완료되면, 당해 구입된 기프트 오브젝트는 당해 시청 유저에 의해 보유된다. 스토리지(23)에, 기프트를 구입한 시청 유저의 유저 ID와 대응지어, 구입된 기프트의 기프트 ID(또는 당해 기프트를 나타내는 기프트 오브젝트의 기프트 오브젝트 ID)가 기억되어도 된다.
구입 가능한 기프트 오브젝트는 동화상마다 달라도 된다. 구입 가능한 기프트 오브젝트는, 복수의 동화상에 있어서 구입 가능해도 된다. 즉, 구입 가능한 기프트 오브젝트에는, 각 동화상에 고유한 고유 기프트 오브젝트와, 복수의 동화상에 있어서 구입 가능한 공통 기프트 오브젝트가 포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잘게 썬 색종이를 나타내는 이펙트 오브젝트는, 복수의 동화상에 있어서 구입 가능한 공통 기프트 오브젝트여도 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는, 소정의 동화상을 시청 중에 이펙트 오브젝트를 구입한 경우, 당해 이펙트 오브젝트를 구입하기 위한 결제 처리가 완료됨에 따라, 당해 구입 대상의 이펙트 오브젝트가 당해 시청 중인 동화상에 자동적으로 표시되어도 된다. 소정의 동화상을 시청 중에 통상 오브젝트를 구입한 경우, 상기와 마찬가지로, 당해 통상 오브젝트를 구입하기 위한 결제 처리가 완료됨에 따라, 당해 구입 대상의 통상 기프트 오브젝트가 당해 시청 중인 동화상에 자동적으로 표시되어도 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는, 구입 대상의 이펙트 오브젝트에 대하여 기프트 구입 처리부(61e)에 있어서의 결제 처리가 완료됨에 따라, 결제 완료 통지가 시청 유저 장치(10)에 송신되고, 당해 시청 유저 장치(10)에 있어서, 구입된 이펙트 오브젝트의 표시 요구를 행할지 여부를 시청 유저에게 확인하기 위한 확인 화면이 표시되어도 된다. 시청 유저가, 당해 구입된 이펙트 오브젝트에 대하여 표시 요구를 행하는 것을 선택한 경우에는, 당해 구입된 이펙트 오브젝트의 표시를 요구하는 표시 요구가, 당해 시청 유저의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기프트 요구 처리부(61d)에 송신되고, 기프트 요구 처리부(61d)에 있어서, 당해 구입 대상의 이펙트 오브젝트를 동화상(70)에 표시시키는 처리가 행해져도 된다. 구입 대상이 통상 오브젝트인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구입된 통상 오브젝트의 표시 요구를 행할지 여부를 시청 유저에게 확인하기 위한 확인 화면이 시청 유저 장치(10)에 표시되어도 된다.
다음에,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일 양태에 따른 동화상 배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동화상 배신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9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상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10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장착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11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메시지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동화상 배신 처리에 있어서는, 배신 유저(U1)가 배신 유저 장치(20)를 사용하여 취득한 페이스 모션 데이터에 기초하는 동화상 배신을 행하고 있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우선, 스텝 S11에서는, 배신 유저(U1)의 얼굴 움직임(표정)의 디지털 표현인 페이스 모션 데이터가 생성된다. 페이스 모션 데이터의 생성은, 예를 들어 배신 유저 장치(20)의 페이스 모션 데이터 생성부(21a)에서 행해진다. 배신 유저 장치(20)에 있어서는, 배신 유저(U1)로부터의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음성 데이터가 생성되어도 된다. 생성된 페이스 모션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서버 장치(60)에 송신된다.
다음에, 스텝 S12에 있어서, 배신 유저 장치(20)로부터의 페이스 모션 데이터가, 배신 유저(U1)용 모델 데이터에 적용됨으로써, 배신 유저(U1)의 표정의 움직임에 동기하여 움직이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이 생성된다. 이 애니메이션의 생성은, 예를 들어 상기 애니메이션 생성부(61a)에서 행해진다.
다음에, 스텝 S13에 있어서, 배신 유저(U1)에 대응하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동화상이 생성된다. 이 동화상에는 배신 유저(U1)의 음성이 합성되어도 된다. 캐릭터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은 배경 화상에 중첩되어 표시된다. 이 동화상의 생성은, 예를 들어 상기 동화상 생성부(61b)에서 행해진다.
다음에, 스텝 S14로 이행하여, 스텝 S13에서 생성된 동화상이 배신된다. 이 동화상은 네트워크(50)를 통하여 시청 유저 장치(10) 및 이들 이외의 시청 유저 장치 그리고 배신 유저 장치에 배신된다. 동화상은 소정의 배신 기간에 걸쳐 계속해서 배신된다. 동화상의 배신 기간은, 예를 들어 30초간, 1분간, 5분간, 10분간, 30분간, 60분간, 120분간 및 이들 이외의 임의의 시간으로 정할 수 있다.
다음에, 스텝 S15로 진행하여, 동화상의 배신을 종료시키기 위한 종료 조건이 성취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종료 조건은, 예를 들어 배신의 종료 시각에 도달한 것, 배신 유저(U1)가 배신 유저 장치(20)에 있어서 배신을 종료하기 위한 조작을 행한 것, 또는 이들 이외의 조건이다. 종료 조건이 성취되지 않았으면 스텝 S11 내지 S14의 처리가 반복하여 실행되고, 배신 유저(U1) 및 배신 유저(A2)의 움직임에 동기한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동화상의 배신이 계속된다. 동화상에 대하여 종료 조건이 성취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당해 동화상의 배신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도 9를 더 참조하여, 동화상의 배신 중에 행해지는 통상 기프트의 표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 기프트의 표시 처리는, 도 8에 도시한 동화상의 배신 처리와 병행하여 행해진다.
동화상의 배신 중에, 스텝 S21에 있어서, 통상 기프트의 표시 요구가 이루어졌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예를 들어, 시청 유저는, 자신이 보유하는 통상 기프트 중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특정의 통상 기프트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통상 기프트의 표시를 요구하는 표시 요구를 시청 유저 장치(10)로부터 서버 장치(60)에 대하여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통상 기프트의 구입 처리 또는 결제 처리가 이루어짐에 따라, 당해 소정의 통상 기프트의 표시 요구가 생성되어도 된다.
통상 기프트의 표시 요구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당해 표시 처리는 스텝 S22로 진행한다. 스텝 S22에 있어서는, 당해 표시 요구에 기초하여, 표시가 요구된 통상 기프트를 배신 중인 동화상에 표시시키기 위한 처리가 행해진다. 예를 들어, 소정의 동화상의 배신 중에 통상 기프트의 표시 요구가 이루어지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청 유저 장치(10)의 표시 화면(30) 내에 표시 요구가 이루어진 통상 기프트에 대응하는 통상 오브젝트(36)가 표시된다.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배신 유저 장치(20)의 표시 화상(40) 내에도 통상 오브젝트(36)가 표시되어도 된다.
통상 기프트의 표시 요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통상 기프트의 표시 처리는 종료된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통상 기프트의 표시 처리는, 동화상의 배신 기간 중에 반복하여 행해진다. 이펙트 기프트의 표시 처리도, 상술한 통상 기프트의 표시 처리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행해질 수 있다.
다음에, 도 10을 더 참조하여, 동화상의 배신 중에 행해지는 장착 기프트의 표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장착 기프트의 표시 처리는, 도 8에 도시한 동화상의 배신 처리와 병행하여 행해진다. 또한, 장착 기프트의 표시 처리는, 도 9에 도시한 통상 기프트의 표시 처리와 병행하여 행해져도 된다.
동화상의 배신 중에, 스텝 S31에 있어서, 장착 기프트의 표시 요구가 이루어졌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예를 들어, 제1 시청 유저는, 자신이 보유하는 장착 기프트의 표시를 요구하는 표시 요구를 시청 유저 장치(10)로부터 서버 장치(60)에 대하여 송신할 수 있다.
장착 기프트의 표시 요구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당해 표시 처리는 스텝 S32로 진행한다. 스텝 S32에 있어서는, 당해 표시 요구에 기초하여, 표시가 요구된 장착 기프트에 관련지어진 표시 지시 오브젝트가 배신 유저 장치(20)의 표시 화면(40)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카츄샤를 나타내는 장착 기프트의 표시 요구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당해 장착 기프트에 관련지어진 표시 지시 오브젝트(42b)가 배신 유저 장치(20)의 표시 화면(40)에 표시된다.
다음에, 스텝 S33에 있어서, 배신 유저 장치(20)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40)에 포함되어 있는 표시 지시 오브젝트 중에서, 특정 표시 지시 오브젝트가 선택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특정 표시 지시 오브젝트가 선택된 경우에는, 스텝 S34에 있어서, 배신 중인 동화상의 표시 화면에, 당해 선택된 특정 표시 지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장착 기프트를 표시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예를 들어, 표시 화면(40)에 포함되어 있는 표시 지시 오브젝트(42b)가 선택된 경우에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표시 화상(30) 및 표시 화상(40)에, 선택된 표시 지시 오브젝트(42b)에 대응지어져 있는 장착 오브젝트(38)가 표시된다. 또한, 선택된 표시 지시 오브젝트(42b)는 표시 화면(40)으로부터 삭제된다.
스텝 S33에 있어서, 표시 지시 오브젝트가 모두 선택되지 않은 경우, 및 스텝 S34에 있어서 장착 기프트의 표시 처리가 완료된 경우에는, 장착 기프트의 표시 처리는 종료된다.
다음에, 도 11을 더 참조하여, 동화상의 배신 중에 행해지는 메시지 기프트의 표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메시지 기프트의 표시 처리는, 도 8에 도시한 동화상의 배신 처리와 병행하여 행해진다. 또한, 메시지 기프트의 표시 처리는, 도 9에 도시한 통상 기프트의 표시 처리 및 도 10에 도시한 장착 기프트의 표시 처리와 병행하여 행해져도 된다.
동화상의 배신 중에, 스텝 S41에 있어서, 메시지 기프트의 표시 요구가 이루어졌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예를 들어, 제1 시청 유저는, 자신이 텍스트 입력한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지 기프트의 표시를 요구하는 표시 요구를 시청 유저 장치(10)로부터 서버 장치(60)에 대하여 송신할 수 있다.
메시지 기프트의 표시 요구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당해 표시 처리는 스텝 S42로 진행한다. 스텝 S42에 있어서는, 당해 표시 요구에 기초하여, 표시가 요구된 메시지 기프트에 관련지어진 메시지 확인 화면(43)이 배신 유저 장치(20)의 표시 화면(40)에 표시된다.
다음에, 스텝 S43에 있어서, 당해 메시지 기프트의 동화상 내에 대한 표시가 허가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예를 들어, 배신 유저 장치(20)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40)에 포함되어 있는 메시지 확인 화면(43)에 포함되어 있는 메시지 기프트의 동화상에 대한 표시의 허가와 관련지어진 버튼이 선택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메시지 기프트의 동화상에 대한 표시의 허가와 관련지어진 버튼이 선택된 경우에는, 스텝 S44에 있어서, 배신 중인 동화상의 표시 화면에, 당해 메시지 기프트를 표시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예를 들어, 메시지 확인 화면(43)에 포함되어 있는 메시지 기프트의 동화상에 대한 표시의 허가와 관련지어진 버튼이 선택된 경우에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표시 화상(30) 및 표시 화상(40)에, 표시 요구가 이루어진 메시지 기프트(39)가 표시된다.
스텝 S43에 있어서, 메시지 확인 화면(43)에 포함되어 있는 메시지 기프트의 동화상에 대한 표시의 거부와 관련지어진 버튼이 선택된 경우, 및 스텝 S44에 있어서 메시지 기프트의 표시 처리가 완료된 경우(예를 들어, 당해 메시지 기프트에 설정되어 있는 표시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메시지 기프트의 표시 처리는 종료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동화상 배신 내에, 기프트 오브젝트의 표시가 금지되는 오브젝트 표시 금지 구간이 마련되어도 된다. 도 12는, 오브젝트 표시 금지 구간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시각 t1부터 시각 t2 동안에 동화상이 배신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즉, 시각 t1이 동화상의 배신 개시 시각이고, 시각 t2가 동화상의 배신 종료 시각이다. 동화상의 배신 기간 중, 시각 t3과 시각 t4 사이가 기프트 표시 금지 기간(81)이다. 이 기프트 표시 금지 기간(81)에 기프트의 표시 요구 r1이 이루어져도, 기프트 표시 금지 기간(81)에 있어서는, 당해 기프트 오브젝트는, 당해 동화상의 표시 화상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기프트 표시 금지 기간(81)에 있어서 기프트 중 이펙트 기프트 또는 통상 기프트의 표시 요구가 이루어지면, 이 표시가 요구된 이펙트 기프트 또는 통상 기프트는 당해 기프트 표시 금지 기간(81)에 있어서는 배신 중인 동화상에는 표시되지 않고, 당해 기프트 표시 금지 기간(81)의 경과 후(즉, 시각 t4보다 후)의 시점에 있어서, 당해 동화상에 표시된다. 기프트 표시 금지 기간(81)에 있어서 장착 기프트의 표시 요구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이 표시 요구가 이루어진 장착 기프트의 표시를 지시하기 위한 표시 지시 버튼은, 배신 유저 장치(20)의 표시 화면(40)에 표시되지 않고, 당해 기프트 표시 금지 기간(81)의 경과 후의 시점에 있어서 표시 화면(40)에 표시된다. 기프트 표시 금지 기간(81)에 있어서 메시지 기프트의 표시 요구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이 표시 요구가 이루어진 메시지 기프트의 표시 가부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 확인 화면(43)은, 배신 유저 장치(20)의 표시 화면(40)에 표시되지 않고, 당해 기프트 표시 금지 기간(81)의 경과 후의 시점에 있어서 표시 화면(40)에 표시된다. 이에 의해, 배신 유저(U1)는, 기프트 표시 금지 기간(81)에 있어서는, 이펙트 기프트나 통상 기프트의 표시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고 동화상을 배신할 수 있다. 또한, 배신 유저(U1)는, 기프트 표시 금지 기간(81)에 있어서는, 장착 기프트의 확인을 위한 표시 지시 버튼의 추가나 기프트 메시지의 표시 가부의 확인에 마음을 빼앗길 일 없이, 배신 중인 동화상에 있어서의 퍼포먼스에 집중할 수 있다. 기프트 표시 금지 기간(81)이라도, 배신 유저(U1)에 의해 표시 지시 버튼(42a 내지 42c) 중 어느 것이 선택된 경우에는, 그 선택된 표시 지시 버튼에 대응하는 장착 기프트의 표시가 행해져도 된다. 이에 의해, 배신 유저(U1)는, 원하는 장착 기프트를 장착한 캐릭터 오브젝트에 의해 퍼포먼스를 배신할 수 있다.
상기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동화상에 표시되는 기프트 중, 캐릭터 오브젝트와 관련지어 표시되는 것은 장착 오브젝트뿐이다. 캐릭터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이 표시되는 동화상에 있어서는, 당해 캐릭터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이 시청 유저의 주목을 모으는 요소라고 생각된다. 상기 일 실시 형태에서는, 캐릭터 오브젝트(31)와 관련지어 표시되는 장착 기프트의 표시 요구가 있어도, 당해 장착 기프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지시 버튼이 배신 유저(U1)의 배신 유저 장치(20)에 표시되고, 당해 표시 지시 버튼이 선택될 때까지는 당해 장착 기프트는 동화상에 표시되지 않으므로, 캐릭터 오브젝트의 주변 또는 캐릭터 오브젝트에 중복되게 장착 기프트가 난잡하게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시청 유저의 시청 체험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종래의 동화상 배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기프트 오브젝트는, 그 종류를 불문하고, 동화상에 대한 표시 요구가 이루어짐에 따라 당해 동화상에 표시되어 있었다. 따라서, 기프트를 동화상에 중복 표시 가능하게 하면, 당해 동화상에 대량의 기프트가 표시되어 버려, 당해 동화상을 시청하는 유저의 시청 체험이 열화되어 버린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기프트에 캐릭터 오브젝트와 관련지어 표시되는 장착 기프트라고 하는 카테고리를 마련함으로써, 동화상의 주요 부분인 캐릭터 오브젝트에 관련지어 표시되는 장착 기프트에 대해서는, 그 표시 타이밍을 배신 유저(U1)에 있어서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였다.
통상 기프트(36, 37)에 대해서는, 장착 기프트(38)에 비하여 표시 시간을 짧게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통상 오브젝트(36, 37)는, 캐릭터 오브젝트(31)와 접하지 않도록 또는 캐릭터 오브젝트(31)의 전방측이 아니라 배후에 표시되어도 된다. 이 경우, 통상 오브젝트(36, 37)는 배신 중인 동화상에 있어서 캐릭터 오브젝트(31)의 시인성에 미치는 영향이 작다. 따라서, 통상 기프트에 대해서는, 시청 유저로부터의 표시 요구에 따라 자동적으로(배신 유저(U1)의 허가 없이) 동화상에 표시해도 캐릭터 오브젝트(31)의 시인성의 악화에 의한 유저의 시청 체험의 열화로 이어지기 어렵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신 시스템(1)에 있어서는, 유저가 캐릭터에 대하여 장착 오브젝트를 선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러한 장착 오브젝트를 선물할 수 없는 시스템과 비교하여, 독자성이 높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고, 당해 시스템에 의해 독자성이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동화상 배신 시스템(1)에 보다 많은 유저를 끌어 당길 수 있으므로, 동화상 배신 시스템(1)에 있어서의 동화상의 시청 횟수를 많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신 시스템(1)에 있어서는, 배신 유저(U1)는, 스마트폰 등의 카메라를 구비한 배신 유저 장치(20)에 의해 자신의 표정에 따라 움직이는 캐릭터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동화상을 배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화상 배신 시스템(1)에 있어서는, 배신 유저(U1)가 동화상을 배신하기 위한 설비가 간략화되어 있으므로, 배신 유저(U1)가 참가하기 쉬운 플랫폼이 실현되어 있다.
이하, 상기 실시 형태가 발휘하는 작용 효과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는, 시청 유저로부터 제1 기프트에 관한 제1 표시 요구를 접수함에 따라, 배신 유저(U1)가 사용하는 배신 유저 장치(20)에 표시 지시 오브젝트(42)를 표시시키고, 이 표시 지시 오브젝트(42)에 대한 조작에 따라, 당해 제1 기프트를 배신 중인 동화상에 표시시킨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시청 유저로부터 표시 요구가 이루어진 제1 기프트를 동화상에 표시하는 타이밍이 배신 유저 장치(20)에 표시되는 표시 지시 오브젝트(42)에 대한 조작에 의해 결정된다. 이에 의해, 배신 유저(U1)가 원하지 않는 타이밍에 제1 기프트가 동화상 내에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기프트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장착 부위와 관련지어진 장착 기프트여도 된다. 장착 기프트는, 배신 유저 장치(20)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지시 오브젝트(42)에 대한 조작에 따라, 배신 중인 동화상에 있어서 당해 장착 기프트에 설정되어 있는 장착 부위와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된다. 장착 기프트의 일례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헤드부에 관련지어진 카츄샤를 나타내는 기프트이다. 이 카츄샤를 나타내는 장착 기프트는, 당해 장착 기프트에 대응하는 표시 지시 오브젝트(42)에 대한 조작에 따라, 캐릭터 오브젝트(31)의 헤드부에 장착되어 있도록 동화상에 표시된다. 캐릭터 오브젝트에 중복되어 또는 그 주위에 표시되는 장착 기프트는, 배신 유저(U1)의 캐릭터 오브젝트(31)를 통한 퍼포먼스를 방해하기 쉽고, 또한 시청 유저의 시청 체험을 열화시키기 쉽다. 상기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캐릭터 오브젝트(31)의 장착 부위와 관련지어진 장착 기프트의 동화상에 대한 표시 타이밍이, 배신 유저 장치(20)에 표시되는 표시 지시 오브젝트(42)에 대한 조작에 따라 결정된다. 이에 의해, 배신 유저(U1)에 의한 캐릭터 오브젝트(31)를 통한 퍼포먼스나 시청 유저의 시청 체험의 열화로 이어지기 쉬운 장착 기프트에 대하여 배신 유저(U1)가 원하지 않는 타이밍에 동화상에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장착 기프트의 각각에는, 동화상에 표시되는 표시 시간이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표시 시간은 장착 기프트의 종류에 따라 달라도 되며, 일률적으로 소정의 표시 시간이 설정되어도 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장착 기프트 중 제1 장착 기프트가 동화상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 당해 제1 장착 기프트에 설정되어 있는 표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당해 제1 장착 기프트와 동일한 장착 부위가 설정되어 있는 다른 장착 기프트의 동화상에 대한 표시가 금지된다. 구체적인 일 양태에 있어서는, 제1 장착 기프트가 동화상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 당해 제1 장착 기프트에 설정되어 있는 표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당해 제1 장착 기프트와 동일한 장착 부위가 설정되어 있는 다른 장착 기프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지시 오브젝트(42)가 비활성화된다. 당해 양태에 따르면, 캐릭터 오브젝트의 장착 부위에 복수의 장착 기프트가 중복되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시청 유저로부터 메시지와 관련지어진 메시지 기프트를 접수함에 따라, 배신 유저 장치(20)에 당해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 확인 화면(43)이 표시된다. 배신 유저(U1)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지 기프트의 동화상에 대한 표시를 허가하는 경우에는, 배신 유저 장치(20)를 통하여 메시지 기프트의 표시 지시 조작을 행한다. 시청 유저로부터 메시지 기프트를 통하여 투고되는 메시지에는, 동화상 내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배신 유저 장치(20)에 표시되는 메시지 확인 화면(43)에 표시되는 메시지에 기초하여, 배신 유저(U1)가 메시지 기프트의 표시 가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동화상 내에 대한 표시가 바람직하지 않은 메시지 기프트의 표시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동화상에는 배신 유저(U1)의 음성이 합성되어 있고, 시청 유저로부터 배신 유저(U1)의 음성을 변경하기 위한 보이스 체인지 기프트를 접수함에 따라, 배신 유저 장치(20)에 음성 변경 지시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상기 음성 변경 지시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에 따라, 상기 배신 유저의 음성을 당해 보이스 체인지 기프트에서 지정된 음성으로 변경한다. 당해 양태에 따르면, 배신 유저(U1)가 원하지 않는 음성으로의 변경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는, 시청 유저로부터 캐릭터 오브젝트(31)의 특정 부위와 대응지어지지 않고 당해 동화상에 표시되는 제2 기프트에 관한 제2 표시 요구를 접수함에 따라, 당해 동화상에 당해 제2 기프트가 표시된다. 제2 기프트에는 이펙트 기프트 및 통상 기프트가 포함된다. 당해 양태에 따르면, 캐릭터 오브젝트의 특정 부위와 대응지어지지 않고 동화상에 표시되는 제2 기프트를, 시청 유저로부터의 표시 요구에 따라(배신 유저에 의한 조작이나 지시를 요하지 않고) 동화상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제2 기프트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특정 부위와 대응지어 표시되지 않으므로, 배신 유저(U1)의 캐릭터 오브젝트(31)를 통한 퍼포먼스에 대한 방해나 시청 유저의 시청 체험의 열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낮다. 이 때문에, 제2 기프트에 대해서는, 배신 유저(U1)에 의한 조작을 요하지 않고 동화상에 표시 가능하게 함으로써, 시청 유저와의 인터랙션을 활성화시키기 쉬워진다.
일 양태에 있어서는, 동화상의 배신 기간 내에 기프트 표시 금지 기간(81)이 설정되고, 제2 기프트는 기프트 표시 금지 기간(81) 이외의 타이밍에 동화상에 표시된다. 당해 양태에 따르면, 기프트 표시 금지 기간(81)에 있어서는, 제2 기프트를 포함하지 않는 동화상을 시청 유저에 배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신 유저(U1)가 캐릭터 오브젝트(31)를 통하여 퍼포먼스를 보여 주는 시간대를 기프트 표시 금지 기간(81)으로 함으로써, 시청 유저의 주목이 캐릭터 오브젝트(31)로부터 산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된 처리 수순, 특히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된 처리 수순에 있어서는, 그 처리 수순을 구성하는 공정(스텝)의 일부를 생략하는 것, 그 처리 수순을 구성하는 공정으로서 명시되어 있지 않은 공정을 추가하는 것, 및/또는 당해 공정의 순서를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생략, 추가, 순서의 변경이 이루어진 처리 수순도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동화상 배신 시스템

Claims (13)

  1. 배신 유저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동화상을 라이브 배신하는 동화상 배신 시스템이며,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세서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시청 유저로부터 제1 기프트에 관한 제1 표시 요구를 접수함에 따라, 상기 배신 유저가 사용하는 배신 유저 장치에 표시 지시 오브젝트를 표시시키고,
    상기 표시 지시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기프트를 상기 동화상에 표시시키는, 동화상 배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프트는, 상기 캐릭터 오브젝트의 장착 부위와 관련지어진 장착 기프트이고,
    상기 장착 기프트는, 상기 표시 지시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에 따라, 상기 동화상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위와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되는, 동화상 배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기프트는, 상기 장착 부위 중 제1 장착 부위에 대응지어진 제1 장착 기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착 기프트에는, 상기 동화상에 표시되는 제1 표시 시간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세서는, 상기 동화상에 상기 제1 장착 기프트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표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상기 장착 기프트 중 상기 제1 장착 부위에 관련지어져 있는 제2 장착 기프트의 상기 동화상에 대한 표시를 금지하는, 동화상 배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세서는, 상기 동화상에 상기 제1 장착 기프트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표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상기 장착 기프트 중 상기 제1 장착 부위에 관련지어져 있는 제2 장착 기프트를 표시하기 위한 상기 표시 지시 오브젝트를 비활성화하는, 동화상 배신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유저로부터 메시지와 관련지어진 메시지 기프트를 접수함에 따라, 상기 배신 유저 장치에 상기 메시지를 표시시키고,
    상기 배신 유저 장치에 대한 표시 지시 조작에 따라, 상기 동화상에 상기 메시지 기프트를 표시시키는, 동화상 배신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에는, 상기 배신 유저의 음성이 합성되어 있고,
    상기 시청 유저로부터 상기 배신 유저의 음성을 변경하기 위한 보이스 체인지 기프트를 접수함에 따라, 상기 배신 유저 장치에 음성 변경 지시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상기 음성 변경 지시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에 따라, 상기 배신 유저의 음성을, 상기 보이스 체인지 기프트에서 지정된 음성으로 변경하는, 동화상 배신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유저로부터 상기 캐릭터 오브젝트의 특정 부위와 대응지어지지 않고 상기 동화상에 표시되는 제2 기프트에 관한 제2 표시 요구를 접수함에 따라, 상기 동화상에 상기 제2 기프트를 표시시키는, 동화상 배신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의 배신 기간 내에 기프트 표시 금지 기간이 설정되고,
    상기 제2 기프트는, 상기 동화상의 배신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기프트 표시 금지 기간 이외의 타이밍에 상기 동화상에 표시되는, 동화상 배신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지시 오브젝트는, 표시 가능한 상기 표시 지시 오브젝트의 수의 상한수가 설정되어 있는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동화상 배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요구를 접수하였을 때에 상기 표시 영역에 상기 상한수의 상기 표시 지시 오브젝트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상한수의 상기 표시 지시 오브젝트 중 어느 것이 조작된 후에 상기 제1 표시 요구에 대응하는 새로운 표시 지시 오브젝트를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동화상 배신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요구를 접수함에 따라, 상기 배신 유저가 사용하는 배신 유저 장치에 표시 지시 오브젝트를 표시시키는 한편, 상기 시청 유저가 사용하는 시청 유저 단말기에는 상기 표시 지시 오브젝트를 표시시키지 않는, 동화상 배신 시스템.
  12.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세서가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배신 유저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동화상을 라이브 배신하는 동화상 배신 방법이며,
    상기 시청 유저로부터 제1 기프트에 관한 제1 표시 요구를 접수함에 따라, 상기 배신 유저가 사용하는 배신 유저 장치에 표시 지시 오브젝트를 표시시키는 공정과,
    상기 표시 지시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기프트를 상기 동화상에 표시시키는 공정
    을 구비하는, 동화상 배신 방법.
  13. 배신 유저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동화상을 라이브 배신하는 동화상 배신 프로그램이며,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세서에,
    상기 시청 유저로부터 제1 기프트에 관한 제1 표시 요구를 접수함에 따라, 상기 배신 유저가 사용하는 배신 유저 장치에 표시 지시 오브젝트를 표시시키는 공정과,
    상기 표시 지시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기프트를 상기 동화상에 표시시키는 공정
    을 실행시키는, 동화상 배신 프로그램.
KR1020217003200A 2018-08-28 2019-06-24 배신 유저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동화상을 라이브 배신하는 동화상 배신 시스템, 동화상 배신 방법 및 동화상 배신 프로그램 KR102490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59802 2018-08-28
JP2018159802A JP6491388B1 (ja) 2018-08-28 2018-08-28 配信ユーザの動きに基づいて生成されるキャラクタオブジェクトのアニメーションを含む動画をライブ配信する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JP2019035044A JP6523586B1 (ja) 2019-02-28 2019-02-28 配信ユーザの動きに基づいて生成されるキャラクタオブジェクトのアニメーションを含む動画をライブ配信する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JPJP-P-2019-035044 2019-02-28
JPJP-P-2019-083729 2019-04-25
JP2019083729A JP6550549B1 (ja) 2019-04-25 2019-04-25 配信ユーザの動きに基づいて生成されるキャラクタオブジェクトのアニメーションを含む動画をライブ配信する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PCT/JP2019/024876 WO2020044749A1 (ja) 2018-08-28 2019-06-24 配信ユーザの動きに基づいて生成されるキャラクタオブジェクトのアニメーションを含む動画をライブ配信する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102A true KR20210025102A (ko) 2021-03-08
KR102490402B1 KR102490402B1 (ko) 2023-01-18

Family

ID=69644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200A KR102490402B1 (ko) 2018-08-28 2019-06-24 배신 유저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동화상을 라이브 배신하는 동화상 배신 시스템, 동화상 배신 방법 및 동화상 배신 프로그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490402B1 (ko)
CN (1) CN110866963B (ko)
WO (1) WO20200447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99791B2 (ja) * 2020-12-18 2023-01-06 グリ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883140B1 (ja) * 2020-12-18 2021-06-09 グリ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5999A (ko) * 2003-06-10 2004-12-17 온오프코리아 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반 소리 아바타 생성 방법 및 시스템
JP2012120098A (ja) 2010-12-03 2012-06-21 Linkt Co Ltd 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30012228A (ko) * 2011-07-15 2013-02-01 (주)코아텍 가상 공간과 실공간을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이벤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이벤트 서비스 방법
KR20130053466A (ko) * 2011-11-14 2013-05-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랙티브 증강공간 제공을 위한 콘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JP2015184689A (ja) 2014-03-20 2015-10-22 株式会社Mugenup 動画生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8142494A1 (ja) * 2017-01-31 2018-08-09 株式会社 ニコン 表示制御システム、及び、表示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6751A1 (en) * 2004-03-19 2005-09-22 East Kodak Company Digital video system for assembling video sequences
CN106709762A (zh) * 2016-12-26 2017-05-24 乐蜜科技有限公司 直播间中虚拟礼物的推荐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6993195A (zh) * 2017-03-24 2017-07-28 广州创幻数码科技有限公司 虚拟人物角色直播方法及系统
CN108076392A (zh) * 2017-03-31 2018-05-25 北京市商汤科技开发有限公司 直播互动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07423809B (zh) * 2017-07-07 2021-02-26 北京光年无限科技有限公司 应用于视频直播平台的虚拟机器人多模态交互方法和系统
CN107484031A (zh) * 2017-07-28 2017-12-15 王飞飞 一种基于直播的礼物展示互动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5999A (ko) * 2003-06-10 2004-12-17 온오프코리아 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반 소리 아바타 생성 방법 및 시스템
JP2012120098A (ja) 2010-12-03 2012-06-21 Linkt Co Ltd 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30012228A (ko) * 2011-07-15 2013-02-01 (주)코아텍 가상 공간과 실공간을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이벤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이벤트 서비스 방법
KR20130053466A (ko) * 2011-11-14 2013-05-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랙티브 증강공간 제공을 위한 콘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JP2015184689A (ja) 2014-03-20 2015-10-22 株式会社Mugenup 動画生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8142494A1 (ja) * 2017-01-31 2018-08-09 株式会社 ニコン 表示制御システム、及び、表示制御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하세가와 유우스케, 버추얼 아이돌 신시대의 개막 PROJECT MariA, CG WORLD, 일본, 가부시키가이샤 본 디지털, 2017년 11월 10일, 제231권, pp.74-7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0402B1 (ko) 2023-01-18
WO2020044749A1 (ja) 2020-03-05
CN110866963B (zh) 2024-02-02
CN110866963A (zh) 202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1388B1 (ja) 配信ユーザの動きに基づいて生成されるキャラクタオブジェクトのアニメーションを含む動画をライブ配信する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JP6543403B1 (ja) 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JP6382468B1 (ja) アクターの動きに基づいて生成されるキャラクタオブジェクトのアニメーションを含む動画を配信する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JP6420930B1 (ja) アクターの動きに基づいて生成されるキャラクタオブジェクトのアニメーションを含む動画を配信する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US11838603B2 (en) Video distribution system for live distributing video containing animation of character object generated based on motion of distributor user, distribu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video distribution program
CN110460892B (zh) 动态图像分发系统、动态图像分发方法以及记录介质
JP6550549B1 (ja) 配信ユーザの動きに基づいて生成されるキャラクタオブジェクトのアニメーションを含む動画をライブ配信する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JP6550546B1 (ja) 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JP7191883B2 (ja) 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JP6523586B1 (ja) 配信ユーザの動きに基づいて生成されるキャラクタオブジェクトのアニメーションを含む動画をライブ配信する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KR102490402B1 (ko) 배신 유저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캐릭터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동화상을 라이브 배신하는 동화상 배신 시스템, 동화상 배신 방법 및 동화상 배신 프로그램
JP6671528B1 (ja) 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WO2020121909A1 (ja) 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JP6713080B2 (ja) 配信ユーザの動きに基づいて生成されるキャラクタオブジェクトのアニメーションを含む動画をライブ配信する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JP2019198060A (ja) アクターの動きに基づいて生成されるキャラクタオブジェクトのアニメーションを含む動画を配信する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JP7284329B2 (ja) 配信ユーザの動きに基づいて生成されるキャラクタオブジェクトのアニメーションを含む動画をライブ配信する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JP2020043578A (ja) アクターの動きに基づいて生成されるキャラクタオブジェクトのアニメーションを含む動画を配信する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JP7104097B2 (ja) 配信ユーザの動きに基づいて生成されるキャラクタオブジェクトのアニメーションを含む動画をライブ配信する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JP2023103424A (ja) 配信ユーザの動きに基づいて生成されるキャラクタオブジェクトのアニメーションを含む動画をライブ配信する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JP2019198057A (ja) アクターの動きに基づいて生成されるキャラクタオブジェクトのアニメーションを含む動画を配信する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JP2019198054A (ja) アクターの動きに基づいて生成されるキャラクタオブジェクトのアニメーションを含む動画を配信する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JP2020005238A (ja) アクターの動きに基づいて生成されるキャラクタオブジェクトのアニメーションを含む動画を配信する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