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070A - 피막형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막형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070A
KR20210025070A KR1020217002238A KR20217002238A KR20210025070A KR 20210025070 A KR20210025070 A KR 20210025070A KR 1020217002238 A KR1020217002238 A KR 1020217002238A KR 20217002238 A KR20217002238 A KR 20217002238A KR 20210025070 A KR20210025070 A KR 20210025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extract
group
hair
comparative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2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유키 이모토
미즈키 사카타
무츠히로 카츠야
타케아키 쇼지
Original Assignee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25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0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2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6Dipeptides
    • C07K5/06008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 C07K5/06017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 C07K5/06026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the side chain containing 0 or 1 carbon atom, i.e. Gly or Al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7/04Polyamides derived from alpha-amino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과제] 보다 간단히 보습성이 우수한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저분자 지질펩티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사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1종의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막형성 조성물. 상기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은,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로 이루어지는 지질부에, 아미노산의 반복결합구조를 갖는 펩티드부가 결합된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피막형성 조성물
본 발명은 피막형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1종의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막형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 정발료의 분야에 있어서, 피부 상이나 모발 표면에 형성되는 피막은, 피부 상이나 모발 표면에, 효과적인 배리어를 가져오는 점에서, 피부나 모발 중의 수분의 증산을 억제하거나, 유효성분의 유지력을 높이는 등, 퍼스널케어제품에 있어서, 다양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의 건강의식, 특히 건조피부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보습효과가 높은 화장료 조성물이 요망되고 있다. 높은 보습효과를 발현하는 스킨케어제제로는, 층상 α-겔을 이용한 것 등, 자기조직화구조에 의한 피막화장료를 들 수 있다(특허문헌 1). 또한, 피부최외층의 각질층에 존재하는 각질층세포간 지질도, 자기조직화구조의 라멜라구조를 취함으로써, 피부에 대하여, 외부로부터의 물질의 침입이나 내부로부터의 수분증산을 억제함으로써 보습성이나 피부의 유연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브러싱이나 드라이어 등에 의한 열처리로 인해 일어나는 모발손상을 경감하기 위해, 폴리펩티드를 이용한 모발제제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
일본특허공개 2016-6030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H10-77210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2-308756호 공보
상기 층상 α-겔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성분을 특정의 비율로 혼합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 층상 α-겔을 다른 성분과 병용하는 경우, 이 복수성분과 이 다른 성분과의 혼합비율의 조정이 번잡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폴리펩티드와 같은 고분자를 피막형성제로 사용한 경우, 고분자 특유의 당기는 느낌이 있으므로, 그 사용감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히 보습성이 우수한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당기는 느낌 등이 거의 없어, 사용감이 개선된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적어도 1종의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만으로, 피부 상이나 모발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고, 게다가 얻어진 피막은, 1. 보습성이 우수한 것, 2. 수분의 흡착을 억제하는 것, 3. 모발에의 침투를 촉진하는 것, 4. 음전하로 대전된 성분을 흡착하는 것, 5. 기름성분의 합일을 억제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는, 상기 피막은 당기는 느낌 등이 거의 없어, 사용감이 양호한 것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제1 관점으로서, 저분자 지질펩티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사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1종의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막형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2 관점으로서, 상기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이,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로 이루어지는 지질부에, 아미노산의 반복결합구조를 갖는 펩티드부가 결합된 화합물인, 제1 관점에 기재된 피막형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3 관점으로서, 상기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이, 하기 식(1) 내지 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사용가능한 염 중의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관점에 기재된 피막형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중, R1은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혹은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 혹은 6원환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복소환을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 중, R4는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5 내지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 혹은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 혹은 6원환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복소환을 나타낸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식 중, R8은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9 내지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 혹은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 혹은 6원환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복소환을 나타낸다.)
제4 관점으로서, 제1 관점 내지 제3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형성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5 관점으로서, 제1 관점 내지 제3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형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작성된 피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1종의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함으로써, 보습성이 우수한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비율을 과도하게 조정할 필요는 없으므로, 보다 간단히 보습성이 우수한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료 등에 배합하면, 우수한 보습성을 화장품에 부여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당기는 느낌 등이 거의 없어, 사용감이 양호한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가로, 광의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 발수성을 갖는다는 효과, 손가락으로 빗어지는 성질이나 빗으로 빗어지는 성질을 갖는다는 효과, 화장뭉침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효과, 광택을 부여한다는 효과, 및 유효성분의 유지력이 높다(유효성분을 많이 함유할 수 있다)는 효과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효과를 갖는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은 지질과 펩티드만으로 구성되는 매우 안전성이 높은 인공저분자 화합물이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생체안전성이 높고, 특히 의약품이나 화장품 등에 유용하다.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현미경(SEM)화상이다[(a)주사형 전자현미경에 샘플을 설치한 직후의 SEM화상이다(도면 중의 번호는 대표적인 미네랄오일의 액적위치를 나타낸다). (b)건조시킨 샘플의 SEM화상이다(도면 중의 번호는 (a)에서 나타낸 미네랄오일의 액적위치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 3 및 비교예 3에 있어서의 외관사진이다[(a)실시예 3의 외관사진이다. (b)비교예 3의 외관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3 및 비교예 3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현미경(SEM)화상이다[(a)실시예 3의 SEM화상이다. (b)비교예 3의 SEM화상이다.].
도 4는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8 및 비교예 4에 있어서의 샴푸보습시험의 결과(모발의 보습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9 및 비교예 5에 있어서의 접촉각측정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a)실시예 9의 접촉각측정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비교예 5의 접촉각측정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 10 및 비교예 6에 있어서의 컨디셔너보습시험의 결과(모발의 보습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 10 및 비교예 6에 있어서의 컨디셔너보습시험 후의 모발의 주사형 전자현미경(SEM)화상이다[(a)실시예 10의 SEM화상이다. (b)비교예 6의 SEM화상이다.]
도 8은, 실시예 11 및 비교예 7에 있어서의 마찰저항력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 13 및 비교예 9에 있어서의 반사광 강도측정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 14 및 비교예 10의 외관사진이다[(a)비교예 10의 외관사진이다. (b)실시예 14의 외관사진이다.].
도 11은, 실시예 18 및 비교예 14에 있어서의 사과산의 정량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 19, 비교예 15 및 데미지모발에 있어서의 컨디셔너처리 후의 모발의 주사형 전자현미경(SEM)화상이다[(a)데미지모발의 SEM화상이다. (b)실시예 19의 SEM화상이다. (c)비교예 15의 SEM화상이다.]
도 13은, 실시예 21 및 비교예 17에 있어서의 동마찰계수측정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 23 및 비교예 19에 있어서의 컨디셔너처리한 모발의 석신산량의 정량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예 24 및 비교예 20에 있어서의 인모 중의 석신산 및 지질펩티드의 침투량 평가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예 26, 비교예 22, 흑발 및 데미지모발에 있어서의 컨디셔너처리한 모발 표면의 경도의 평가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예 27, 비교예 23, 및 데미지모발에 있어서의 컨디셔너처리 후의 수분흡탈착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예 28 및 비교예 24에 있어서의 피지분비에 의한 번들거림의 경시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예 30 및 비교예 26에 있어서의 미용액의 보습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예 33, 실시예 34 및 비교예 28에 있어서의 컨디셔너처리한 모발의 케라틴량의 정량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실시예 36, 비교예 30 및 데미지모발에 있어서의 컨디셔너처리 후의 모발의 주사형 전자현미경(SEM)화상이다[(a)실시예 36의 SEM화상이다. (b)비교예 30의 SEM화상이다. (c)데미지모발의 SEM화상이다.]
본 발명은, 저분자 지질펩티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사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1종의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막형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피막형성 조성물이란, 피막형성성을 이용하여 산업상의 이용가치를 가져오는 것 전반을 의미하고, 특히, 피막형성대상물인 피부나 모발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시키기 위한 조성물을 의미하는데, 그 외에, 도료, 코팅재료, 실러, 프라이머, 수정액 등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지질펩티드형 화합물로는,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로 이루어지는 지질부에, 아미노산의 반복결합구조를 갖는 펩티드부가 결합된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지질펩티드형 화합물로는, 하기 식(1) 내지 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지질펩티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사용가능한 염(소수성 부위인 지질부와 친수성 부위인 펩티드부를 갖는 저분자 화합물) 중의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상기 식(1)에 있어서, R1은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1은 불포화결합을 0 내지 2개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1 내지 23의 직쇄상 지방족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1 및 인접하는 카르보닐기로 구성되는 지질부(아실기)의 구체예로는, 라우로일기, 도데실카르보닐기, 미리스토일기, 테트라데실카르보닐기, 팔미토일기, 마르가로일기, 올레오일기, 엘라이도일기, 리놀레오일기, 스테아로일기, 박세노일기, 옥타데실카르보닐기, 아라키도일기, 에이코실카르보닐기, 베헤노일기, 에르카노일기, 도코실카르보닐기, 리그노세일기, 네르보노일기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서, 라우로일기, 미리스토일기, 팔미토일기, 마르가로일기, 스테아로일기, 올레오일기, 엘라이도일기 및 베헤노일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1)에 있어서, 펩티드부에 포함되는 R2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혹은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상기 탄소원자수 1 혹은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란, 주쇄의 탄소원자수가 1 내지 4이며, 또한 탄소원자수 1 혹은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알킬기를 의미하고, 그 구체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i-부틸기, sec-부틸기 또는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R2는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이다.
탄소원자수 1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3의 알킬기란, 주쇄의 탄소원자수가 1 내지 3이며, 또한 탄소원자수 1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알킬기를 의미하고, 그 구체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i-부틸기 또는 sec-부틸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i-프로필기, i-부틸기 또는 sec-부틸기이다.
상기 식(1)에 있어서, R3은 -(CH2)n-X기를 나타낸다. 상기 -(CH2)n-X기에 있어서,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 혹은 6원환,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복소환을 나타낸다.
상기 R3을 나타내는 -(CH2)n-X기에 있어서, X는 바람직하게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카르바모일기(-CONH2기), 피롤기, 이미다졸기, 피라졸기 또는 인돌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미다졸기이다. 또한, 상기 -(CH2)n-X기에 있어서, n은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이다.
따라서, 상기 -(CH2)n-기는, 바람직하게는 아미노메틸기, 2-아미노에틸기, 3-아미노프로필기, 4-아미노부틸기, 카르바모일메틸기, 2-카르바모일에틸기, 3-카르바모일부틸기, 2-구아니디노에틸기, 3-구아니디노부틸기, 피롤메틸기, 4-이미다졸메틸기, 피라졸메틸기, 또는 3-인돌메틸기를 나타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아미노부틸기, 카르바모일메틸기, 2-카르바모일에틸기, 3-구아니디노부틸기, 4-이미다졸메틸기 또는 3-인돌메틸기를 나타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이미다졸메틸기이다.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지질펩티드형 화합물로서 특히 호적한 지질펩티드로는, 이하의 지질부와 펩티드부(아미노산집합부)로부터 형성되는 화합물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아미노산의 약칭으로는, 알라닌(Ala), 아스파라긴(Asn), 글루타민(Gln), 글리신(Gly), 히스티딘(His), 이소류신(Ile), 류신(Leu), 라이신(Lys), 트립토판(Trp), 발린(Val)을 나타낸다.: 라우로일-Gly-His, 라우로일-Gly-Gln, 라우로일-Gly-Asn, 라우로일-Gly-Trp, 라우로일-Gly-Lys, 라우로일-Ala-His, 라우로일-Ala-Gln, 라우로일-Ala-Asn, 라우로일-Ala-Trp, 라우로일-Ala-Lys; 미리스토일-Gly-His, 미리스토일-Gly-Gln, 미리스토일-Gly-Asn, 미리스토일-Gly-Trp, 미리스토일-Gly-Lys, 미리스토일-Ala-His, 미리스토일-Ala-Gln, 미리스토일-Ala-Asn, 미리스토일-Ala-Trp, 미리스토일-Ala-Lys; 팔미토일-Gly-His, 팔미토일-Gly-Gln, 팔미토일-Gly-Asn, 팔미토일-Gly-Trp, 팔미토일-Gly-Lys, 팔미토일-Ala-His, 팔미토일-Ala-Gln, 팔미토일-Ala-Asn, 팔미토일-Ala-Trp, 팔미토일-Ala-Lys; 스테아로일-Gly-His, 스테아로일-Gly-Gln, 스테아로일-Gly-Asn, 스테아로일-Gly-Trp, 스테아로일-Gly-Lys, 스테아로일-Ala-His, 스테아로일-Ala-Gln, 스테아로일-Ala-Asn, 스테아로일-Ala-Trp, 스테아로일-Ala-Lys.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서, 라우로일-Gly-His, 라우로일-Ala-His, 미리스토일-Gly-His, 미리스토일-Ala-His; 팔미토일-Gly-His, 팔미토일-Ala-His; 스테아로일-Gly-His, 스테아로일-Ala-His를 들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pct00005
상기 식(2)에 있어서, R4는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전술한 R1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2)에 있어서, R5 내지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혹은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CH2)n-X기를 나타내고, 또한 R5 내지 R7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CH2)n-X기를 나타낸다.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 혹은 6원환,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복소환을 나타낸다. 여기서 R5 내지 R7의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전술한 R2 및 R3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호적한 지질펩티드로는, 이하의 지질부와 펩티드부(아미노산집합부)로부터 형성되는 화합물이다. 라우로일-Gly-Gly-His, 미리스토일-Gly-Gly-His, 미리스토일-Gly-Gly-Gln, 미리스토일-Gly-Gly-Asn, 미리스토일-Gly-Gly-Trp, 미리스토일-Gly-Gly-Lys, 미리스토일-Gly-Ala-His, 미리스토일-Gly-Ala-Gln, 미리스토일-Gly-Ala-Asn, 미리스토일-Gly-Ala-Trp,미리스토일-Gly-Ala-Lys, 미리스토일-Ala-Gly-His, 미리스토일-Ala-Gly-Gln, 미리스토일-Ala-Gly-Asn, 미리스토일-Ala-Gly-Trp, 미리스토일-Ala-Gly-Lys, 미리스토일-Gly-His-Gly, 미리스토일-His-Gly-Gly, 팔미토일-Gly-Gly-His, 팔미토일-Gly-Gly-Gln, 팔미토일-Gly-Gly-Asn, 팔미토일-Gly-Gly-Trp, 팔미토일-Gly-Gly-Lys, 팔미토일-Gly-Ala-His, 팔미토일-Gly-Ala-Gln, 팔미토일-Gly-Ala-Asn, 팔미토일-Gly-Ala-Trp, 팔미토일-Gly-Ala-Lys, 팔미토일-Ala-Gly-His, 팔미토일-Ala-Gly-Gln, 팔미토일-Ala-Gly-Asn, 팔미토일-Ala-Gly-Trp, 팔미토일-Ala-Gly-Lys, 팔미토일-Gly-His-Gly, 팔미토일-His-Gly-Gly, 스테아로일-Gly-Gly-His.
이들 중,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서, 라우로일-Gly-Gly-His, 미리스토일-Gly-Gly-His, 팔미토일-Gly-Gly-His, 팔미토일-Gly-His-Gly, 팔미토일-His-Gly-Gly, 스테아로일-Gly-Gly-His를 들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6
상기 식(3)에 있어서, R8은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전술한 R1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3)에 있어서, R9 내지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혹은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CH2)n-X기를 나타내고, 또한 R9 내지 R1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CH2)n-X기를 나타낸다.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 혹은 6원환,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복소환을 나타낸다. 여기서 R9 내지 R12의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전술한 R2 및 R3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호적한 지질펩티드형 화합물로는, 라우로일-Gly-Gly-Gly-His, 미리스토일-Gly-Gly-Gly-His, 팔미토일-Gly-Gly-Gly-His, 팔미토일-Gly-Gly-His-Gly, 팔미토일-Gly-His-Gly-Gly, 팔미토일-His-Gly-Gly-Gly, 스테아로일-Gly-Gly-Gly-His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의 함유량은, 피막형성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0.01 내지 30질량%,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5질량%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은, 상기 식(1) 내지 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지질펩티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사용가능한 염 중의 적어도 1종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적어도 1종의 상기 지질펩티드형 화합물 외에, 물, 알코올, 다가알코올 또는 그들의 혼합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로는, 정수, 정제수, 경수, 연수, 천연수, 해양심층수, 전해알칼리이온수, 전해산성 이온수, 이온수, 및 클러스터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이란, 1가의 알코올이며, 예를 들어, 물에 임의의 비율로 용해하는 탄소원자수 1 내지 6의 알코올, 구체적으로는 메탄올, 에탄올, 2-프로판올 및 i-부탄올 등, 그리고 고급알코올, 구체적으로는, 올레일알코올 및 페녹시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가알코올이란, 2가 이상의 알코올이며, 예를 들어,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2-에틸-1,3-헥산디올, 글리세린, 이소펜틸디올, 에틸헥산디올, 에리트룰로스, 오존화글리세린, 카프릴릴글리콜, 글리콜, (C15-18)글리콜, (C20-30)글리콜, 글리세린, 디에틸렌글리콜, 디글리세린, 디티아옥탄디올, DPG, 티오글리세린, 1,10-데칸디올, 데실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티리메틸기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올, 피탄트리올, 페녹시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2,3-부탄디올, 부틸에틸프로판디올, 1,2-헥산디올, 헥실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메틸프로판디올, 멘탄디올, 라우릴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가알코올을 포함하는 경우, 그의 함유량은,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1질량% 내지 60질량%, 바람직하게는, 1질량% 내지 30질량%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다가알코올을 포함하는 경우, 다가알코올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기타 첨가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일반적으로 화장품용 첨가제나, 의약부외품용 첨가제 및 의약용 첨가제로서 사용가능한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 의약부외품 또는 의약 등의 피부외용제에 배합되는 생리활성물질 및 기능성 물질 등의 첨가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안료, 유성기제, 보습제, 감촉향상제, 상기 이외의 계면활성제, 고분자, 증점·겔화제, 용제, 산화방지제, 환원제, 산화제, 방부제, 항균제, 살균제, 킬레이트제, pH조정제, 산, 알칼리, 분체, 무기염, 자외선흡수제, 미백제, 비타민류 및 그의 유도체류, 육모용 약제, 혈행촉진제, 자극제, 호르몬류, 항주름제, 항노화제, 수축제, 냉감제, 온감제, 창상치유촉진제, 자극완화제, 진통제, 세포부활제, 식물·동물·미생물 엑기스, 진양제, 각질박리·용해제, 제한제, 청량제, 수렴제, 효소, 핵산, 향료, 색소, 착색제, 염료, 소염제, 항염증제, 항천식, 항만성폐색성폐질환, 항알레르기, 면역조정제, 항감염증제 및 항진균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기타 첨가제의 함유량은, 그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는데,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0.001질량% 내지 20질량%, 혹은 0.01질량% 내지 10질량% 정도로 할 수 있다.
안료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무기백색안료; 적산화철(벵갈라), 티탄산철 등의 무기적색계 안료; γ-산화철 등의 무기갈색계 안료; 황산화철, 황토 등의 무기황색계 안료; 흑산화철, 저차 산화티탄 등의 무기흑색계 안료; 망고바이올렛, 코발트바이올렛 등의 무기자색계 안료;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탄산코발트 등의 무기녹색계 안료; 군청, 감청 등의 무기청색계 안료; 산화티탄코티드마이카, 산화티탄코티드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코티드탈크, 착색산화티탄코티드마이카, 옥시염화비스무트, 어린박 등의 펄안료; 탈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무수규산, 황산바륨, 수산화알루미늄 등의 체질안료; 알루미늄파우더, 카퍼파우더, 금 등의 금속분말안료; 표면처리무기 및 금속분말안료;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레이크 등의 유기안료; 표면처리유기안료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유성기제로는, 올레일알코올, 호호바알코올, 키밀알코올, 세라킬알코올, 바틸알코올, 헥실데칸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2-옥틸도데칸올, 다이머디올 등의 고급(다가)알코올류; 벤질알코올 등의 아랄킬알코올 및 그의 유도체; 이소스테아르산, 베헨산, 운데실렌산,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팔미트올레산, 올레산, 리놀산, 리놀레산, 에루크산, 도코사헥사엔산, 에이코사펜타엔산, 이소헥사데칸산, 안테이소헨이코산산, 장쇄분지지방산, 다이머산, 수소첨가다이머산 등; 유동파라핀(미네랄오일), 중질유동이소파라핀, 경질유동이소파라핀, α-올레핀올리고머, 폴리이소부텐, 수첨폴리이소부텐, 폴리부텐, 스쿠알란, 올리브유래 스쿠알란, 스쿠알렌, 바세린, 고형파라핀 등의 탄화수소류; 캔데릴라왁스, 카나우바왁스, 라이스왁스, 목랍, 밀랍, 몬탄왁스, 오조케라이트, 세레신, 파라핀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페트로라텀, 피셔트롭쉬왁스, 폴리에틸렌왁스, 에틸렌·프로필렌코폴리머 등의 왁스류; 야자유, 팜유, 팜핵유, 사플라워유, 올리브유, 피마자유, 아보카도유, 참깨유, 차유, 월견초유, 소맥배아유, 마카다미아너트유, 헤이즐넛유, 쿠쿠이넛유, 로즈힙유, 메도우폼유, 퍼식유, 티트리유, 박하유, 옥수수유, 채종유, 해바라기유, 소맥배아유, 아마인유, 면실유, 대두유, 낙화생유, 쌀겨유, 카카오지, 시어지, 수소첨가야자유, 수소첨가피마자유, 호호바유, 수소첨가호호바유, 그레이프씨드유, 애프리콧유(행인유), 동백기름 등의 식물유지류; 우지, 유지, 마지, 난황유, 밍크유, 터틀유 등의 동물성 유지류; 경랍, 라놀린, 오렌지러피유 등의 동물성 납류; 액상라놀린, 환원라놀린, 흡착정제라놀린, 아세트산라놀린, 아세트산액상라놀린, 하이드록시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 라놀린지방산, 경질라놀린지방산, 라놀린알코올, 아세트산라놀린알코올, 아세트산(세틸·라놀릴)에스테르 등의 라놀린류; 콜레스테롤, 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라노스테롤, 디하이드로라노스테롤, 피토스테롤, 콜산 등의 스테롤류; 사포게닌류; 사포닌류; 아세트산콜레스테릴, 노난산콜레스테릴,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산콜레스테릴,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디(콜레스테릴/베헤닐/옥틸도데실),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디(콜레스테릴/옥틸도데실),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디(피토스테릴/베헤닐/옥틸도데실),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디(피토스테릴/옥틸도데실), N-라우로일살코신이소프로필 등의 아실살코신알킬에스테르,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마카다미아너트유지방산콜레스테릴, 마카다미아너트유지방산피토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토스테릴, 연질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 경질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 장쇄분지지방산콜레스테릴, 장쇄α-하이드록시지방산콜레스테릴 등의 스테롤에스테르류; 인지질·콜레스테롤복합체, 인지질·피토스테롤복합체 등의 지질복합체;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미리스트산헥실데실, 이소스테아르산옥틸도데실, 팔미트산세틸, 팔미트산옥틸도데실, 옥탄산세틸, 옥탄산헥실데실,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이소노난산옥틸, 네오펜탄산이소데실, 네오펜탄산이소트리데실, 네오펜탄산이소스테아릴,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올레산올레일, 올레산옥틸도데실, 리시놀레산옥틸도데실, 라놀린지방산옥틸도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에루크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경화피마자유, 올레산에틸, 아보카도유지방산에틸,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라놀린지방산이소프로필, 세바스산디에틸, 세바스산디이소프로필, 세바스산디옥틸,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세바스산디부틸옥틸, 아디프산디이소부틸, 석신산디옥틸, 구연산트리에틸 등의 모노알코올카르본산에스테르류; 유산세틸, 사과산디이소스테아릴, 모노이소스테아르산수첨피마자유 등의 옥시산에스테르류; 트리옥탄산글리세릴(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트리올레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미리스트산/스테아르산)글리세릴, 수첨로진트리글리세라이드(수소첨가에스테르검), 로진트리글리세라이드(에스테르검), 베헨산에이코산이산글리세릴, 트리옥탄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디올레산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옥탄산펜타에리스리틸, 수소첨가로진펜타에리스리틸, 트리에틸헥산산디트리메틸올프로판, (이소스테아르산/세바스산)디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틸, (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르산/로진산)디펜타에리스리틸, 디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노나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10, 데카(에루크산/이소스테아르산/리시놀레산)폴리글리세릴-8, (헥실데칸산/세바스산)디글리세릴올리고에스테르, 디스테아르산글리콜(디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디네오펜탄산3-메틸-1,5-펜탄디올, 디네오펜탄산2,4-디에틸-1,5-펜탄디올 등의 다가알코올지방산에스테르류; 다이머디리놀산디이소프로필, 다이머디리놀산디이소스테아릴, 다이머디리놀산디(이소스테아릴/피토스테릴), 다이머디리놀산(피토스테릴/베헤닐), 다이머디리놀산(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 다이머디리놀산다이머디리놀레일, 디이소스테아르산다이머디리놀레일, 다이머디리놀레일수첨로진축합물, 다이머디리놀산경화피마자유, 하이드록시알킬다이머디리놀레일에테르 등의 다이머산 혹은 다이머디올의 유도체; 야자유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코카마이드MEA),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코카마이드DEA), 라우르산모노에탄올아미드(라우라미드MEA), 라우르산디에탄올아미드(라우라미드DEA), 라우르산모노이소프로판올아미드(라우라미드MIPA), 팔미트산모노에탄올아미드(팔타미드MEA), 팔미트산디에탄올아미드(팔타미드DEA), 야자유지방산메틸에탄올아미드(코카마이드메틸MEA) 등의 지방산알칸올아미드류; 디메티콘(디메틸폴리실록산), 고중합디메티콘(고중합디메틸폴리실록산), 시클로메티콘(환상디메틸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간단히 시클로펜타실록산이라고도 한다)), 페닐트리메티콘, 디페닐디메티콘, 페닐디메티콘, 스테아록시프로필디메틸아민,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티콘/디메티콘)코폴리머, 디메티콘올, 디메티콘올크로스폴리머, 실리콘수지, 실리콘고무, 아미노프로필디메티콘 및 아모디메티콘 등의 아미노변성실리콘, 양이온변성실리콘, 디메티콘코폴리올 등의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폴리글리세린변성실리콘, 당변성실리콘, 카르본산변성실리콘, 인산변성실리콘, 황산변성실리콘, 알킬변성실리콘, 지방산변성실리콘, 알킬에테르변성실리콘, 아미노산변성실리콘, 펩티드변성실리콘, 불소변성실리콘, 양이온변성 및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아미노변성 및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알킬변성 및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폴리실록산·옥시알킬렌공중합체 등의 실리콘류; 퍼플루오로데칸, 퍼플루오로옥탄,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의 불소계 유제류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보습제·감촉향상제로는,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헥실렌글리콜,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류 및 그의 중합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에톡시디글리콜),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알킬에테르류; (에이코산이산/테트라데칸이산)폴리글리세릴-10, 테트라데칸이산폴리글리세릴-10 등의 수용성 에스테르류; 소르비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만니톨, 말티톨 등의 당알코올류;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갈락토오스, 만노오스, 트레오스, 자일로스, 아라비노오스, 푸코오스, 리보오스, 디옥시리보오스, 말토오스, 트레할로오스, 락토오스, 라피노오스, 글루콘산, 글루쿠론산, 시클로덱스트린류(α-, β-, γ-시클로덱스트린, 및, 말토실화, 하이드록시알킬화 등의 수식시클로덱스트린), β-글루칸, 키틴, 키토산, 헤파린 및 그의 유도체, 펙틴, 아라비노갈락탄, 덱스트린, 덱스트란, 글리코겐, 에틸글루코시드, 메타크릴산글루코실에틸중합물 혹은 공중합물 등의 당류 및 그의 유도체류;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 무코이틴황산, 카로닌황산, 케라토황산, 데르마탄황산; 흰목이추출물, 흰목이다당체; 푸코이단; 튜베로즈다당체 또는 천연유래다당체; 구연산, 주석산, 유산 등의 유기산 및 그의 염; 요소 및 그의 유도체; 2-피롤리돈-5-카르본산 및 그의 나트륨 등의 염; 베타인(트리메틸글리신), 프롤린, 하이드록시프롤린, 아르기닌, 라이신, 세린, 글리신, 알라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β-알라닌, 트레오닌, 글루타민산,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아스파라긴산, 시스테인, 시스테인, 메티오닌, 류신, 이소류신, 발린, 트립토판, 히스티딘, 타우린 등의 아미노산류 및 그의 염; 콜라겐, 물고기유래 콜라겐, 아텔로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콜라겐분해펩티드, 가수분해콜라겐, 염화하이드록시프로필암모늄가수분해콜라겐, 엘라스틴분해펩티드, 케라틴분해펩티드, 가수분해케라틴, 콘키올린분해펩티드, 가수분해콘키올린, 실크단백분해펩티드, 가수분해실크, 라우로일가수분해실크나트륨, 대두단백분해펩티드, 소맥단백분해펩티드, 가수분해소맥단백, 카세인분해펩티드, 아실화펩티드 등의 단백펩티드류 및 그의 유도체; 팔미토일올리고펩티드, 팔미토일펜타펩티드, 팔미토일테트라펩티드 등의 아실화펩티드류; 실릴화펩티드류; 유산균배양액, 효모추출액, 난각막단백, 소턱밑샘 뮤신, 히포타우린, 참깨리그난배당체, 글루타티온, 알부민, 유청; 염화콜린, 포스포릴콜린; 태반추출액, 엘라스틴, 콜라겐, 알로에추출물, 하마메리스수, 수세미수, 캐모마일 엑기스, 감초 엑기스, 컴프리 엑기스, 실크 엑기스, 체스트넛로즈 엑기스, 서양톱풀 엑기스, 유칼리 엑기스, 메리롯트 엑기스 등의 동물·식물추출성분, 천연형 세라마이드(타입 1, 2, 3, 4, 5, 6), 하이드록시세라마이드, 의사(擬似)세라마이드, 스핑고당지질, 세라마이드 및 당세라마이드함유 엑기스 등의 세라마이드류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고분자계면활성제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 바람직한 것을 예시하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라우르산칼륨, 미리스트산칼륨 등의 지방산염;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황산암모늄 등의 알킬황산에스테르염; 라우레스황산나트륨, 라우레스황산트리에탄올아민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황산염; 코코일메틸타우린나트륨, 코코일메틸타우린칼륨, 라우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미리스토일메틸타우린나트륨, 라우로일메틸알라닌나트륨, 라우로일살코신나트륨, 라우로일살코신트리에탄올아민, 라우로일글루타민산메틸알라닌나트륨 등의 아실N-메틸아미노산염; 코코일글루타민산나트륨, 코코일글루타민산트리에탄올아민, 라우로일글루타민산나트륨, 미리스토일글루타민산나트륨, 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나트륨, 팔미토일아스파라긴산디트리에탄올아민, 코코일알라닌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아실아미노산염; 라우레스아세트산나트륨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아세트산염; 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석신산나트륨 등의 석신산에스테르염; 지방산알칸올아미드에테르카르본산염; 아실유산염; 폴리옥시에틸렌지방아민황산염; 지방산알칸올아미드황산염; 경화야자유지방산글리세린황산나트륨 등의 지방산글리세라이드황산염; 알킬벤젠폴리옥시에틸렌황산염; α-올레핀설폰산나트륨 등의 올레핀설폰산염; 설포석신산라우릴2나트륨, 설포석신산디옥틸나트륨 등의 알킬설포석신산염; 설포석신산라우레스2나트륨, 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설포석신산나트륨, 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설포석신산나트륨 등의 알킬에테르설포석신산염; 테트라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테트라데실벤젠설폰산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알킬벤젠설폰산염; 알킬나프탈렌설폰산염; 알칸설폰산염; α-설포지방산메틸에스테르염; 아실이세티온산염; 알킬글리시딜에테르설폰산염; 알킬설포아세트산염; 라우레스인산나트륨, 디라우레스인산나트륨, 트리라우레스인산나트륨, 모노올레스인산나트륨 등의 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염; 라우릴인산칼륨 등의 알킬인산에스테르염; 카세인나트륨; 알킬아릴에테르인산염; 지방산아미드에테르인산염;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딘산 등의 인지질류; 카르본산변성실리콘, 인산변성실리콘, 황산변성실리콘 등의 실리콘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라우레스(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류, 세테스(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류, 스테아레스(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류, 베헤네스(폴리옥시에틸렌베헤닐에테르)류, 이소스테아레스(폴리옥시에틸렌이소스테아릴에테르)류, 옥틸도데세스(폴리옥시에틸렌옥틸도데실에테르)류 등의 다양한 폴리옥시에틸렌부가수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모노피로글루타민산모노이소스테아르산디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말레산 등의 피마자유 및 경화피마자유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탄올;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환원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모노부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수첨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린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PPG-9디글리세릴 등의 (폴리)글리세린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스테아르산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팔미트산글리세릴, 미리스트산글리세릴, 올레산글리세릴, 야자유지방산글리세릴, 모노면실유 지방산글리세린, 모노에루크산글리세린, 세스퀴올레산글리세린, α,α’-올레산피로글루타민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사과산 등의 글리세린지방산부분에스테르류; 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동 3, 동 4, 동 5, 동 6, 동 8, 동 10, 디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6, 동 10, 트리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데카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10, 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동 3, 동 4, 동 5, 동 6, 동 8, 동 10, 디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디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동 3, 동 10, 트리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데카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10, 올레산폴리글리세릴-2, 동 3, 동 4, 동 5, 동 6, 동 8, 동 10, 디올레산폴리글리세릴-6, 트리올레산폴리글리세릴-2, 데카올레산폴리글리세릴-10 등의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모노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등의 에틸렌글리콜모노지방산에스테르; 모노스테아르산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프로필렌글리콜모노지방산에스테르; 펜타에리스리톨부분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톨부분지방산에스테르; 말티톨부분지방산에스테르; 말티톨에테르; 솔비탄모노올리에이트, 솔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솔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솔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솔비탄트리올리에이트, 펜타-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솔비탄, 테트라-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솔비탄 등의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메틸글루코시드지방산에스테르, 운데실렌산트레할로오스 등의 당유도체부분에스테르; 카프릴릴글루코시드 등의 알킬글루코시드; 알킬폴리글리코시드; 라놀린알코올; 환원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디스테아레이트, 폴리틸렌글리콜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디올리에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모노 및 디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리에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테트라올리에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모노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펜타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밀납 등의 폴리옥시에틸렌동식물유지류;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 키밀알코올, 세라킬알코올, 바틸알코올 등의 알킬글리세릴에테르류; 다가알코올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테트라폴리옥시에틸렌·테트라폴리옥시프로필렌-에틸렌디아민축합물류; 사포닌, 소포로리피드 등의 천연계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아미드; 야자유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코카마이드MEA),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코카마이드DEA), 라우르산모노에탄올아미드(라우라미드MEA), 라우르산디에탄올아미드(라우라미드DEA), 라우르산모노이소프로판올아미드(라우라미드MIPA), 팔미트산모노에탄올아미드(팔타미드MEA), 팔미트산디에탄올아미드(팔타미드DEA), 야자유지방산메틸에탄올아미드(코카마이드메틸MEA) 등의 지방산알칸올아미드류; 라우라민옥사이드, 코카민옥사이드, 스테아라민옥사이드, 베헤나민옥사이드 등의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옥사이드; 폴리옥시에틸렌알킬메르캅탄; 디메티콘코폴리올 등의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폴리실록산·옥시알킬렌공중합체, 폴리글리세린변성실리콘, 당변성실리콘 등의 실리콘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베헨트리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르트리모늄클로라이드,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라우릴트리모늄클로라이드 등의 알킬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릴트리모늄브로마이드 등의 알킬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디스테아릴디모늄클로라이드, 디코코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디알킬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라마이드프로필디메틸아민, 스테아라마이드에틸디에틸아민 등의 지방산아미드아민 및 그의 염; 스테아록시프로필디메틸아민 등의 알킬에테르아민 및 그의 염 또는 4급염; 에틸황산장쇄분지지방산(12~31)아미노프로필에틸디메틸암모늄, 에틸황산라놀린지방산아미노프로필에틸디메틸암모늄 등의 지방산아미드형 4급암모늄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및 그의 염 또는 4급염; 알킬아민염; 지방산아미드구아니듐염; 알킬에테르아민모늄염; 알킬트리알킬렌글리콜암모늄염; 벤잘코늄염; 벤제토늄염; 염화세틸피리디늄 등의 피리디늄염; 이미다졸리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르포늄염; 폴리아민지방산유도체; 아미노프로필디메티콘 및 아모디메티콘 등의 아미노변성실리콘, 양이온변성실리콘, 양이온변성 및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아미노변성 및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등의 실리콘계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등; 양성 계면활성제로는, 라우릴베타인(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등의 N-알킬-N,N-디메틸아미노산베타인; 코카마이드프로필베타인, 라우라미드프로필베타인 등의 지방산아미드알킬-N,N-디메틸아미노산베타인; 코코암포아세트산나트륨, 라우로암포아세트산나트륨 등의 이미다졸린형 베타인; 알킬디메틸타우린 등의 알킬설포베타인; 알킬디메틸아미노에탄올황산에스테르 등의 황산형 베타인; 알킬디메틸아미노에탄올인산에스테르 등의 인산형 베타인;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스핑고미엘린 등의 스핑고인지질, 리조레시틴,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부분수소첨가대두인지질, 수소첨가난황인지질, 부분수소첨가난황인지질, 수산화레시틴 등의 인지질류; 실리콘계 양성 계면활성제 등; 고분자 계면활성제로는, 폴리비닐알코올, 알긴산나트륨, 전분 유도체, 트라가칸트검, 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알킬공중합체; 실리콘계 각종 계면활성제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고분자·증점제·겔화제로는, 구아검, 로카스트빈검, 퀸스시드, 카라기난, 갈락탄, 아라비아검, 타라검, 타마린드, 퍼셀레란, 카라야검, 황촉규, 캐럽검, 트라가칸트검, 펙틴, 펙틴산 및 나트륨염 등의 염, 알긴산 및 나트륨염 등의 염, 만난; 쌀, 옥수수, 감자, 소맥 등의 전분; 크산탄검,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커드란, 히알루론산 및 그의 염, 잔탄검, 플루란, 젤란검, 키틴, 키토산, 한천, 갈조 엑기스, 콘드로이틴황산염, 카세인, 콜라겐, 젤라틴, 알부민;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그의 나트륨 등의 염,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황산나트륨, 디알킬디메틸암모늄황산셀룰로오스, 결정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가루 등의 셀룰로오스 및 그의 유도체; 가용성 전분, 카르복시메틸전분,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전분, 메틸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염화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전분, 옥테닐석신산옥수수전분알루미늄 등의 전분유도체;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알긴산유도체; 폴리비닐피돌리돈(PVP), 폴리비닐알코올(PVA), 비닐피돌리돈·비닐알코올공중합체,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공중합체;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카르복시베타인/메타크릴산알킬)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스테아릴/메타크릴산에틸아민옥사이드)코폴리머 등의 양성 메타크릴산에스테르공중합체;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아크릴산알킬/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코폴리머, (아크릴산알킬/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코폴리머AMP; 폴리아세트산비닐부분비누화물, 말레산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메타크릴산디알킬아미노알킬공중합체; 아크릴수지알칸올아민; 폴리에스테르, 수분산성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에틸 등의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공중합체,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크릴산 및 그의 나트륨염 등의 염, 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공중합체; 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알킬공중합체; 폴리쿼터늄-10 등의 양이온화셀룰로오스, 폴리쿼터늄-7 등의 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공중합체, 폴리쿼터늄-22 등의 아크릴산·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공중합체, 폴리쿼터늄-39 등의 아크릴산·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공중합체, 아크릴산·양이온화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공중합체, 아크릴산·양이온화메타아크릴산아미드공중합체, 폴리쿼터늄-47 등의 아크릴산·아크릴산메틸·염화메타크릴아미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공중합체, 염화메타크릴산콜린에스테르중합체; 양이온화올리고당, 양이온화덱스트란,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등의 양이온화다당류;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폴리머; 폴리쿼터늄-51 등의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의 중합체 및 메타크릴산부틸공중합체 등과의 공중합체; 아크릴수지에멀전, 폴리아크릴산에틸에멀전, 폴리아크릴알킬에스테르에멀전, 폴리아세트산비닐수지에멀전, 천연고무라텍스, 합성라텍스 등의 고분자에멀전; 니트로셀룰로오스; 폴리우레탄류 및 각종 공중합체; 각종 실리콘류; 아크릴-실리콘그라프트공중합체 등의 실리콘계 각종 공중합체; 각종 불소계 고분자;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및 그의 염; 팔미트산덱스트린, 미리스트산덱스트린 등의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무수규산, 연무상 실리카(초미립자 무수규산),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규산나트륨마그네슘, 금속비누, 디알킬인산금속염,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유기변성점토광물,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플락토올리고당지방산에스테르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상기 예시 중에서도, 셀룰로오스 및 그의 유도체, 알긴산 및 그의 염, 폴리비닐알코올, 히알루론산및 그의 염, 또는 콜라겐이 바람직하다.
용제로는, 에탄올, 2-프로판올(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 이소부틸알코올 등의 저급알코올류;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펜틸디올 등의 글리콜류;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에톡시디글리콜),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에테르류;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글리콜에테르에스테르류; 석신산디에톡시에틸, 에틸렌글리콜디석시네이트 등의 글리콜에스테르류; 벤질알코올, 벤질옥시에탄올, 탄산프로필렌, 탄산디알킬, 아세톤, 아세트산에틸, N-메틸피롤리돈; 톨루엔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는, 토코페롤(비타민E), 아세트산토코페롤 등의 토코페롤유도체; BHT, BHA; 몰식자산프로필 등의 몰식자산유도체; 비타민C(아스코르브산) 및/또는 그의 유도체; 에리소르브산 및 그의 유도체; 아황산나트륨 등의 아황산염; 아황산수소나트륨 등의 아황산수소염; 티오황산나트륨 등의 티오황산염; 메타아황산수소염; 티오타우린, 히포타우린; 티오글리세롤, 티오요소, 티오글리콜산, 시스테인염산염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환원제로는, 티오글리콜산, 시스테인, 시스테아민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산화제로는, 과산화수소수, 과황산암모늄, 브롬산나트륨, 과탄산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방부제·항균제·살균제로는,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등의 하이드록시안식향산 및 그의 염 혹은 그의 에스테르; 살리실산; 안식향산나트륨; 페녹시에탄올;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메틸이소티아졸리논 등의 이소티아졸린온유도체; 이미다졸리늄우레아; 데하이드로아세트산 및 그의 염; 페놀류; 트리클로산 등의 할로겐화비스페놀류, 산아미드류, 4급암모늄염류; 트리클로로카바나이드, 징크피리치온,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소르브산, 클로르헥시딘,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 할로카르반, 헥사클로로펜, 히노키티올; 페놀, 이소프로필페놀, 크레졸, 티몰, 파라클로로페놀, 페닐페놀, 페닐페놀나트륨 등의 기타 페놀류; 페닐에틸알코올, 감광소류, 항균성 제올라이트, 은이온을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킬레이트제로는, EDTA, EDTA2Na, EDTA3Na, EDTA4Na 등의 에데트산염(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염); HEDTA3Na 등의 하이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삼아세트산염; 펜테트산염(디에틸렌트리아민오아세트산염); 피트산; 에티드론산 등의 포스폰산 및 그의 나트륨염 등의 염류; 폴리아스파라긴산, 폴리글루타민산 등의 폴리아미노산류;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인산; 구연산나트륨, 구연산, 알라닌, 디하이드록시에틸글리신, 글루콘산, 아스코르브산, 석신산, 주석산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pH조정제·산·알칼리로는, 아스코르브산,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유산, 유산나트륨, 유산칼륨, 글리콜산, 석신산, 아세트산, 아세트산나트륨, 사과산, 주석산, 푸마르산, 인산, 염산, 황산,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2-아미노-2-하이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 아르기닌,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암모니아수, 탄산구아니딘, 탄산암모늄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분체로는, 마이카, 탈크, 카올린, 세리사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카올리나이트, 운모, 백운모, 금운모, 합성운모, 홍운모, 흑운모, 버미큘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바륨,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금속염, 마그네슘, 제올라이트, 황산바륨, 소성황산칼슘, 인산삼칼슘 등의 인산칼슘, 불소아파타이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파우더, 벤토나이트, 스멕타이트, 점토, 흙, 금속비누(예를 들어, 미리스트산아연, 팔미트산칼슘, 스테아르산알루미늄), 탄산칼슘, 벵갈라, 황산화철, 흑산화철, 군청, 감청, 카본블랙, 산화티탄, 미립자 및 초미립자산화티탄, 산화아연, 미립자 및 초미립자산화아연, 알루미나, 실리카, 연무상 실리카(초미립자 무수규산), 운모티탄, 어린박, 질화붕소, 포토크로믹안료, 합성불소금운모, 미립자복합분체, 금, 은, 플래티넘, 알루미늄 등의 각종의 크기·형상의 무기분체, 및, 이들을 하이드로겐실리콘, 환상하이드로겐실리콘 등의 실리콘 혹은 기타 실란 혹은 티탄커플링제 등의 각종 표면처리제로 처리를 행하여 소수화 혹은 친수화한 분체 등의 무기분체; 전분, 셀룰로오스, 나일론파우더, 폴리에틸렌가루, 폴리메타크릴산메틸가루, 폴리스티렌가루, 스티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수지분말, 폴리에스테르가루, 벤조구아나민수지분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적층가루,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알루미늄·에폭시적층가루 등, 우레탄분말, 실리콘분말, 테플론(등록상표)분말 등의 각종의 크기·형상의 유기계 분체 및 표면처리분체, 유기무기복합분체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무기염류로는, 식염, 병염, 암염, 해염, 천연염 등의 염화나트륨함유염류; 염화칼륨, 염화알루미늄,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간수, 염화아연, 염화암모늄; 황산나트륨, 황산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칼륨(명반), 황산알루미늄·암모늄, 황산바륨, 황산칼슘, 황산칼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아연, 황산철, 황산구리; 인산1Na·2Na·3Na 등의 인산나트륨류, 인산칼륨류, 인산칼슘류, 인산마그네슘류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자외선흡수제로는, 파라아미노안식향산, 파라아미노안식향산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파라아미노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N,N-디에톡시파라아미노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파라아미노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파라아미노안식향산부틸에스테르, N,N-디메틸파라아미노안식향산메틸에스테르 등의 안식향산계 자외선흡수제; 호모멘틸-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흡수제; 살리실산 및 그의 나트륨염, 아밀살리실레이트, 멘틸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페닐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흡수제; 옥틸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2-에톡시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시녹세이트), 시클로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옥토크린), 글리세릴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페룰산 및 그의 유도체 등의 계피산계 자외선흡수제;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옥시벤존-3), 2-하이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실레이트, 2-하이드록시-4-n-옥토시벤조페논, 4-하이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흡수제; 3-(4’-메틸벤질리덴)-d,l-캠퍼, 3-벤질리덴-d,l-캠퍼; 2-페닐-5-메틸벤조옥사졸;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벤즈알라진; 디아니소일메탄; 5-(3,3-디메틸-2-노르보르닐리덴)-3-펜탄-2-온; 4-t-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등의 디벤조일메탄유도체; 옥틸트리아존; 우로카닌산 및 우로카닌산에틸 등의 우로카닌산유도체;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1-(3,4-디메톡시페닐)-4,4-디메틸-1,3-펜탄디온, 디메톡시벤질리덴디옥소이미다졸리딘프로피온산2-에틸헥실 등의 히단토인유도체,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폰산,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폰산,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안트라닐산메틸, 루틴 및 그의 유도체, 올리자놀 및 그의 유도체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미백제로는, 알부틴, α-알부틴 등의 하이드로퀴논배당체 및 그의 에스테르류;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인산에스테르나트륨염 및 아스코르브산인산에스테르마그네슘염 등의 아스코르브산인산에스테르염, 아스코르브산테트라이소팔미트산에스테르 등의 아스코르브산지방산에스테르, 아스코르브산에틸에테르 등의 아스코르브산알킬에테르, 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 등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및 그의 지방산에스테르류, 아스코르브산황산에스테르, 인산토코페릴아스코르빌 등의 아스코르브산유도체; 코지산, 엘라그산, 트라넥삼산 및 그의 유도체, 페룰산 및 그의 유도체, 플라센타 엑기스, 글루타티온, 올리자놀, 부틸레조르시놀, 유용성 캐모마일 엑기스, 유용성 감초 엑기스, 서하류 엑기스, 범의귀 엑기스 등의 식물 엑기스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비타민류 및 그의 유도체류로는, 레티놀, 아세트산레티놀, 팔미트산레티놀 등의 비타민A류; 티아민염산염, 티아민황산염, 리보플라빈, 아세트산리보플라빈, 염산피리독신, 피리독신디옥타노에이트, 피리독신디팔미테이트, 플라빈아데닌디뉴클레오티드, 시아노코발라민, 엽산류, 니코틴산아미드·니코틴산벤질 등의 니코틴산류, 콜린류 등의 비타민B군류; 아스코르브산 및 그의 나트륨 등의 염 등의 비타민C류; 비타민D; α, β, γ, δ-토코페롤 등의 비타민E류; 판토텐산, 비오틴 등의 기타 비타민류; 아스코르브산인산에스테르나트륨염 및 아스코르브산인산에스테르마그네슘염 등의 아스코르브산인산에스테르염, 아스코르브산테트라이소팔미트산에스테르·스테아르산아스코르빌·팔미트산아스코르빌·디팔미트산아스코르빌 등의 아스코르브산지방산에스테르, 아스코르브산에틸에테르 등의 아스코르브산알킬에테르, 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 등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및 그의 지방산에스테르, 인산토코페릴아스코르빌 등의 아스코르브산유도체; 니코틴산토코페롤, 아세트산토코페롤, 리놀산토코페롤, 페룰산토코페롤, 토코페롤인산에스테르 등의 토코페롤유도체 등의 비타민유도체, 토코트리에놀, 기타 각종 비타민유도체류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육모용 약제·혈행촉진제·자극제로는, 당약 엑기스, 고추틴크, 생강틴크, 생강 엑기스, 칸타리스틴크 등의 식물 엑기스·틴크류; 캡사이신, 노닐산바닐아미드, 진저론, 이크타몰, 탄닌산, 보르네올, 시클란델레이트, 신나리진, 톨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파란틴, γ-올리자놀, 비타민E 및 니코틴산토코페롤·아세트산토코페롤 등의 유도체, γ-올리자놀, 니코틴산 및 니코틴산아미드·니코틴산벤질에스테르·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니코틴알코올 등의 유도체, 알란토인, 감광소301, 감광소401, 염화카프로늄, 펜타데칸산모노글리세라이드, 플라바논올유도체, 스티그마스테롤 또는 스티그마스탄올 및 그의 배당체, 미녹시딜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호르몬류로는, 에스트라디올, 에스트론, 에티닐에스트라디올, 코르티손, 하이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손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항주름제, 항노화제, 수축제, 냉감제, 온감제, 창상치유촉진제, 자극완화제, 진통제, 세포부활제 등의 기타 약효제로는, 레티놀류, 레티노산류, 레티노산토코페릴; 유산, 글리콜산, 글루콘산, 후루츠산, 살리실산 및 그의 배당체·에스테르화물 등의 유도체, 하이드록시카프르산, 장쇄α-하이드록시지방산, 장쇄α-하이드록시지방산콜레스테릴 등의 α- 또는 β-하이드록시산류 및 그의 유도체류; γ-아미노부티르산, γ-아미노-β-하이드록시부티르산; 카르니틴; 카르노신; 크레아틴; 세라마이드류, 스핑고신류; 카페인, 잔탄 등 및 그의 유도체; 코엔자임Q10, 카로틴, 리코핀, 아스타잔틴, 루테인, α-리포산, 백금나노콜로이드, 풀러렌류 등의 항산화·활성산소소거제; 카테킨류; 케르세틴 등의 플라본류; 이소플라본류; 몰식자산 및 에스테르당유도체; 탄닌, 세사민, 프로토안토시아니딘, 클로로겐산, 사과폴리페놀 등의 폴리페놀류; 루틴 및 배당체 등의 유도체; 헤스페리딘 및 배당체 등의 유도체; 리그난배당체; 글라브리딘, 글라브렌, 리퀴리틴, 이소리퀴리틴 등의 감초 엑기스관련물질; 락토페린; 쇼가올, 진저롤; 멘톨, 세드롤 등의 향료물질 및 그의 유도체; 캡사이신, 바닐린 등 및 유도체; 디에틸톨루아미드 등의 곤충기피제; 생리활성물질과 시클로덱스트린류의 복합체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식물·동물·미생물 엑기스류로는, 아이리스 엑기스, 명일엽 엑기스, 나한백 엑기스, 아스파라거스 엑기스, 아보카도 엑기스, 감차 엑기스, 아몬드 엑기스, 알테아 엑기스, 아르니카 엑기스, 알로에 엑기스, 살구 엑기스, 살구씨 엑기스, 은행나무 엑기스, 국화과 엑기스, 회향 엑기스, 심황 엑기스, 우롱차 엑기스, 우바우르시 엑기스, 영실 엑기스, 에키나시아잎 엑기스, 연명초 엑기스, 황금 엑기스, 황벽 엑기스, 황련 엑기스, 대맥 엑기스, 어종인삼 엑기스, 고추나물 엑기스, 광대수염 엑기스, 오노니스 엑기스, 물냉이 엑기스, 오렌지 엑기스, 해수 건조물, 해조 엑기스, 감잎 엑기스, 피라칸타 엑기스, 가수분해 엘라스틴, 가수분해 소맥가루, 가수분해 실크, 갈근 엑기스, 캐모마일 엑기스, 유용성 캐모마일 엑기스, 캐롯 엑기스, 사철쑥 엑기스, 메귀리 엑기스, 카르카디 엑기스, 감초 엑기스, 유용성 감초 엑기스, 키위 엑기스, 아오모리산 사과(黃王) 엑기스, 목이버섯 엑기스, 키나 엑기스, 오이 엑기스, 오동잎 엑기스, 구아노신, 구아바 엑기스, 고삼 엑기스, 치자나무 엑기스, 얼룩조릿대 엑기스, 크라라 엑기스, 호두 엑기스, 밤 엑기스, 그레이프후르츠 엑기스, 클레머티스 엑기스, 흑미 엑기스, 흑설탕 추출물, 흑초, 클로렐라 엑기스, 뽕나무 엑기스, 겐티아나 엑기스, 이질풀 엑기스, 홍차 엑기스, 효모 엑기스, 당후박 엑기스, 커피 엑기스, 우엉 엑기스, 쌀 엑기스, 쌀발효 엑기스, 쌀겨발효 엑기스, 쌀배아유, 컴프리 엑기스, 콜라겐, 빌베리 엑기스, 세신 엑기스, 시호 엑기스, 탯줄 추출액, 사프란 엑기스, 샐비어 엑기스, 비누풀 엑기스, 조릿대 엑기스, 산사나무 엑기스, 누에똥 엑기스, 초피나무 엑기스, 표고버섯 엑기스, 지황 엑기스, 자근 엑기스, 자소 엑기스, 참피나무 엑기스, 터리풀 엑기스, 쟈토바 엑기스, 작약 엑기스, 생강 엑기스, 창포근 엑기스, 자작나무 엑기스, 백목이버섯 엑기스, 쇠뜨기 엑기스, 스테비아 엑기스, 스테비아 발효물, 서하류 엑기스, 서양송악 엑기스, 서양산사나무 엑기스, 서양딱총나무 엑기스, 서양톱풀 엑기스, 서양박하 엑기스, 세이지 엑기스, 당아욱 엑기스, 천궁 엑기스, 당약 엑기스, 상백피 엑기스, 대황 엑기스, 대두 엑기스, 대추 엑기스, 타임 엑기스, 민들레 엑기스, 지의류 엑기스, 차 엑기스, 정향나무 엑기스, 띠 엑기스, 진피 엑기스, 티트리유, 첨차 엑기스, 고추 엑기스, 왜당귀 엑기스, 금잔화 엑기스, 도인 엑기스, 등피 엑기스, 삼백초 엑기스, 토마토 엑기스, 낫또 엑기스, 당근 엑기스, 마늘 엑기스, 찔레꽃 엑기스, 하이비스커스 엑기스, 맥문동 엑기스, 연꽃 엑기스, 파슬리 엑기스, 자작나무 엑기스, 벌꿀, 하마멜리스 엑기스, 개물통이속(parietaria) 엑기스, 연명초 엑기스, 비사볼올, 노송나무 엑기스, 비피더스균 엑기스, 비파 엑기스, 관동화 엑기스, 머위(butterbur sprout) 엑기스, 복령 엑기스, 부처스브룸 엑기스, 포도 엑기스, 포도종자 엑기스, 프로폴리스, 수세미 엑기스, 홍화 엑기스, 페퍼민트 엑기스, 보리수 엑기스, 모란 엑기스, 홉 엑기스, 매괴화 엑기스, 소나무 엑기스, 마로니에 엑기스, 수파초 엑기스, 무환자 엑기스, 멜리사 엑기스, 큰실말 엑기스, 복숭아 엑기스, 수레국화 엑기스, 유칼리 엑기스, 범의귀 엑기스, 유자 엑기스, 백합 엑기스, 의이인 엑기스, 쑥 엑기스, 라벤더 엑기스, 녹차 엑기스, 난각막 엑기스, 사과 엑기스, 루이보스차 엑기스, 영지 엑기스, 레터스 엑기스, 레몬 엑기스, 연교 엑기스, 자운영 엑기스, 로즈 엑기스, 로즈마리 엑기스, 로먼캐모마일 엑기스, 로열젤리 엑기스, 오이풀 엑기스 등의 엑기스를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진양제로는, 염산디펜하이드라민, 말레산클로르페니라민, 캠퍼, 서브스턴스-P저해제 등을 들 수 있다.
각질박리·용해제로는, 살리실산, 황, 레조르신, 황화셀렌, 피리독신 등을 들 수 있다.
제한제로는, 클로르하이드록시알루미늄, 염화알루미늄, 산화아연, 파라페놀설폰산아연 등을 들 수 있다.
청량제로는, 멘톨, 살리실산메틸 등을 들 수 있다.
수렴제로는, 구연산, 주석산, 유산, 황산알루미늄·칼륨, 탄닌산 등을 들 수 있다.
효소류로는, 슈퍼옥사이드디스무타아제, 카탈라아제, 염화라이소자임, 리파아제, 파파인, 판크레아틴, 프로테아제 등을 들 수 있다.
핵산류로는, 리보핵산 및 그 염, 데옥시리보핵산 및 그 염, 아데노신삼인산이나트륨을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향료로는, 아세틸세드렌, 아밀신남알데히드, 알릴아밀글리콜레이트, β-이오논, Iso E Super, 이소부틸퀴놀린, 아이리스유, 이론, 인돌, 일랑일랑유, 운데칸알, 운데세날, γ-운데카락톤, 에스트라골, 유게놀, 오크모스, 오포포낙스레지노이드, 오렌지유, 유게놀, 오란티올, 갈락솔리드, 카르바크롤, L-카르본, 캠퍼, 캐넌, 캐롯시드유, 클로브유, 계피산메틸, 게라니올, 게라닐니트릴, 아세트산이소보닐, 아세트산게라닐, 아세트산디메틸벤질카르비닐, 아세트산스티랄릴, 아세트산세드릴, 아세트산테레피넬, 아세트산p-t-부틸시클로헥실, 아세트산베티베릴, 아세트산벤질, 아세트산리나릴, 살리실산이소펜틸, 살리실산벤질, 샌달우드유, 산탈롤, 시클라멘알데히드, 시클로펜타데카놀라이드, 디히드로자스몬산메틸, 디히드로미르세놀, 자스민앱솔루트, 자스민락톤, cis-자스몬, 시트랄, 시트로넬롤, 시트로넬랄, 시나몬바크유, 1,8-시네올, 신남알데히드, 스타이랙스레지노이드, 시더우드유, 세드렌, 세드롤, 셀러리시드유, 티미유, 다마스콘, 다마세논, 티몰, 튜베로즈앱솔루트, 데칸알, 데카락톤, 테르피네올, γ-테르피넨, 트리프랄, 네롤, 노나날, 2,6-노나디엔올, 노나락톤, 파출리알코올, 바닐라앱솔루트, 바닐린, 바질유, 파출리유, 하이드록시시트로넬랄, α-피넨, 피페리톤, 페네틸알코올, 페닐아세트알데히드, 페티트그레인유, 헥실신남알데히드, cis-3-헥센올, 페루발삼, 베티버유, 베티베롤, 페퍼민트유, 페이퍼유, 헬리오트로핀, 베르가모트유, 벤질벤조에이트, 보르네올, 미르레지노이드, 머스크케톤, 메틸노닐아세트알데히드, γ-메틸이오논, 멘톨, L-멘톨, L-멘톤, 유칼리유, β-이오논, 라임유, 라벤더유, D-리모넨, 리날로올, 리랄, 릴리알, 레몬유, 로즈앱솔루트, 로즈옥사이드, 로즈유, 로즈마리유, 각종 정유 등의 합성향료 및 천연향료 그리고 각종 조합향료를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색소·착색제·염료로는, 갈색 201호, 흑색 401호, 자색 201호, 자색 401호, 청색 1호, 청색 2호, 청색 201호, 청색 202호, 청색 203호, 청색 204호, 청색 205호, 청색 403호, 청색 404호, 녹색 201호, 녹색 202호, 녹색 204호, 녹색 205호, 녹색 3호, 녹색 401호, 녹색 402호, 적색 102호, 적색 104-1호, 적색 105-1호, 적색 106호, 적색 2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3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06호, 적색 207호, 적색 208호, 적색 213호, 적색 214호, 적색 215호, 적색 218호, 적색 219호, 적색 220호, 적색 221호, 적색 223호, 적색 225호, 적색 226호, 적색 227호, 적색 228호, 적색 230-1호, 적색 230-2호, 적색 231호, 적색 232호, 적색 3호, 적색 401호, 적색 404호, 적색 405호, 적색 501호, 적색 502호, 적색 503호, 적색 504호, 적색 505호, 적색 506호, 등색 201호, 등색 203호, 등색 204호, 등색 205호, 등색 206호, 등색 207호, 등색 401호, 등색 402호, 등색 403호, 황색 201호, 황색 202-1호, 황색 202-2호, 황색 203호, 황색 204호, 황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401호, 황색 402호, 황색 403-1호, 황색 404호, 황색 405호, 황색 406호, 황색 407호, 황색 5호 등의 법정색소; Acid Red 14 등의 기타 산성 염료; Arianor Sienna Brown, Arianor Madder Red, Arianor Steel Blue, Arianor Straw Yellow 등의 염기염료; HC Yellow 2, HC Yellow 5, HC Red3, 4-hydoxypropylamino-3-nitrophenol, N,N’-bis(2-hydroxyethyl)-2-nitro-p-phenylenediamine, HC Blue 2, Basic Blue 26 등의 니트로염료; 분산염료; 아스타잔틴, 알리자린 등의 안트라퀴논류, 안토시아니딘, β-카로틴, 카테날, 캡산틴, 칼콘, 카르타민, 쿠엘세틴, 크로신, 클로로필, 커큐민, 코치닐, 시코닌 등의 나프토퀴논류, 빅신, 플라본류, 베타시아니딘, 헤나, 헤모글로빈, 리코펜, 리보플라빈, 루틴 등의 천연색소·염료; p-페닐렌디아민, 톨루엔-2,5-디아민, o-, m-, 혹은 p-아미노페놀, m-페닐렌디아민, 5-아미노-2-메틸페놀, 레조르신, 1-나프톨, 2,6-디아미노피리딘 등 및 그의 염 등의 산화염료중간체 및 커플러; 인돌린 등의 자동산화형 염료; 디하이드록시아세톤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소염제·항염증제로는, 글리시리진산 및 그의 유도체, 글리시레틴산유도체, 살리실산유도체, 히노키티올, 구아이아줄렌, 알란토인, 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 이부프로펜, 디클로페낙, 록소프로펜, 셀레콕시브, 인플릭시맙, 에타너셉트, 산화아연, 아세트산하이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손, 염산디페드라민, 말레산클로르페니라민; 복숭아나무잎 엑기스, 쑥잎 엑기스 등의 식물 엑기스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항천식, 항만성폐색성폐질환, 항알레르기, 면역조정제로는, 아미노필린, 테오필린류, 스테로이드류(플루티카손, 베클로메타손 등), 류코트리엔 길항약류, 트롬복산 저해약류, 인탈, β자극약류(포르모테롤, 살메테롤, 알부테롤, 툴로부테롤, 클렌부테롤, 에피네프린 등), 티오트로피움, 이프라트로피움, 덱스트로메트로판, 디메모르판, 브롬헥신, 트레닐라스트, 케토티펜, 아젤라스틴, 세티리딘, 클로르페니라민, 메퀴타진, 타크롤리무스, 시클로스포린, 시롤리무스, 메토트렉세이트, 사이토카인조정제류, 인터페론, 오말리주맙, 단백/항체제제를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항감연증제, 항진균제로는, 오셀타미비르와 자나미비르, 이트라코나졸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이들 외에, 화장품 원료기준, 화장품종별 배합성분규격, 일본화장품공업연합회 성분표시명칭리스트, INCI사전(The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and Handbook), 의약부외품 원료규격, 일본약국방, 의약품첨가물규격, 식품첨가물공정서 등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 및, 국제특허분류IPC가 A61K7 및 A61K8의 분류에 속하는 일본국 및 제외국 특허공보 및 특허공개공보(공표공보·재공표를 포함한다)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 등, 공지의 화장료성분, 의약품성분, 식품성분 등을, 공지의 조합 및 배합비·배합량으로 함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피막형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피막형성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적어도 1종의 지질펩티드형 화합물, 물 및 필요에 따라 기타 성분을 가열하면서 혼합, 교반한 후, 정치방랭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피막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피막형성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막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피막을 제조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의 피막형성 조성물을 피도포물에 도포한 후, 자연건조나 가열건조 등에 의해 건조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에서 이용하고 있던 시약은,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판되고 있는 시약을 사용하고, 합성한 각 화합물의 분석에는, 이하에 나타낸 기기를 사용하였다.
<시약>
메탄올: 관동화학주식회사(특급)
i-프로판올: 관동화학주식회사(1급)
톨루엔: 관동화학주식회사(1급)
아세트산: 관동화학주식회사(1급)
글리신메틸에스테르염산염: 도쿄화성공업주식회사
L-히스티딘: 도쿄화성공업주식회사, 쿄와발효바이오주식회사
나트륨메톡사이드 28%메탄올용액: 와코순약공업주식회사(28%나트륨메톡사이드메탄올용액)
탄산나트륨: 쥰세이화학주식회사(1급)
염산: 관동화학주식회사(1급)
아세토니트릴: 관동화학주식회사(특급)
ISTA: 2-(4,4-디메틸펜탄-2-일)-5,7,7-트리메틸옥탄산[닛산화학공업(주)제 파인옥소콜(등록상표)이소스테아르산]
2-헵틸운데칸산: [닛산화학공업(주)제]
염화티오닐: 도쿄화성공업주식회사
아세톤: 관동화학주식회사(1급)
테트라하이드로푸란: 관동화학주식회사(1급)
아세트산에틸: 관동화학주식회사(1급)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관동화학주식회사(1급)
<분석기기>
NMR: JNM-ECP300(일본전자주식회사제)
LC-MS: Waters ACQUITY
pH미터: 메틀러톨레도제
[합성예 1: 지질펩티드형 화합물(N-팔미토일-Gly-His)의 합성]
500mL의 4개구 플라스크에, L-히스티딘 14.2g(91.6mmol), N-팔미토일-Gly-메틸 30.0g(91.6mmol), 톨루엔 300g을 투입하고, 염기인 나트륨메톡사이드 28%메탄올용액 35.3g(183.2mmol)을 첨가하고, 유욕에서 60℃로 가열하고 1시간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유욕을 분리하고, 25℃까지 방랭하고, 이 용액을 아세톤 600g으로 재침전시켜, 여취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고체를, 물 600g과 메탄올 750g의 혼합용액에 용해하고, 여기에 6규정염산 30.5mL(183.2mmol)를 첨가하여 중화하고 고체를 석출시켜, 여과하였다. 다음에, 얻어진 고체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20g과 물 30g의 혼합용액에 60℃에서 용해시키고, 아세트산에틸 150g을 첨가하여, 60℃에서부터 30℃까지 냉각하였다. 그 후, 석출한 고체를 여과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고체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20g과 아세토니트릴 60g 용제 중에 용해하고, 60℃로 가열하고, 1시간 교반한 후에 냉각하여, 여과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고체를 물 120g으로 세정하고, 여과 후에 감압건조를 행하여 N-팔미토일-Gly-His프리체(이하, 간단히 Pal-GH라고도 칭한다)의 백색의 결정, 26.9g(수율 65%)을 얻었다.
[합성예 2: 지질펩티드형 화합물(2-(4,4-디메틸펜탄-2-일)-5,7,7-트리메틸옥타노일글리실히스티딘)의 합성]
[화학식 7]
Figure pct00007
(1) 2-(4,4-디메틸펜탄-2-일)-5,7,7-트리메틸옥타노일글리신메틸에스테르의 합성
100mL 4개구 플라스크에, ISTA 20.0g(70.3mmol), DMF 154mg, 톨루엔 20.0g을 투입하고, 0℃로 온조하였다. 염화티오닐 8.78g(73.8mmol)을 15분에 걸쳐 적하한 후에, 서서히 30℃로 승온하였다. 30℃에서 2시간 교반한 후, 톨루엔 20.0g을 투입하였다. 50℃로 승온하고 20g의 톨루엔을 감압유거함으로써 염화티오닐을 제거하는 조작을 2회 반복하였다(산클로라이드용액).
상기 반응용기와는 별도로, 500mL 4개구 플라스크에 이온교환수 40.0g과 글리신메틸에스테르염산염 11.5g(91.4mmol), 톨루엔 80.0g을 투입하고, 염기인 탄산나트륨 8.6g(80.9mmol), 이온교환수 60.0g을 투입하고, 교반하였다. 그 후, 이 중에 상기 산클로라이드용액을 반응온도 25±5℃에서 1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25℃에서 3시간 교반한 후, 10%식염수 200.0g을 추가하여 60℃에서 분액조작을 행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에 톨루엔 160.0g을 추가하고, 공비탈수를 행하여, 2-(4,4-디메틸펜탄-2-일)-5,7,7-트리메틸옥타노일글리신메틸에스테르 24.5g(수율 98%)을 얻었다.
(2) 2-(4,4-디메틸펜탄-2-일)-5,7,7-트리메틸옥타노일글리실히스티딘의 합성
500mL 4개구 플라스크에, L-히스티딘 10.7g(68.9mmol)과 톨루엔 49.0g을 첨가하여, 염기인 나트륨메톡사이드 28%메탄올용액 12.6g(65.5mmol)을 적하한 곳에, 합성예 2(1)에서 얻어진 2-(4,4-디메틸펜탄-2-일)-5,7,7-트리메틸옥타노일글리신메틸에스테르 24.5g(68.9mmol)을, 메탄올 9.8g와 함께 투입하고 70℃로 승온하였다. 그 후, 염기인 나트륨메톡사이드 28%메탄올용액 10.0g(51.7mmol)의 적하를 개시하고, 약 70℃에서 3시간 교반을 계속하였다. 반응종료 후 pH조정을 위해 아세트산을 5.0g(82.6mmol) 첨가하여 pH7로 조정하고, 이온교환수 122.5g과 i-프로판올 49.0g을 첨가하여 60℃에서 분액을 행하였다. 얻어진 수층에 6N염산 13.8g(82.7mmol)을 첨가하고, 메탄올 24.5g을 첨가하고 나서 아세토니트릴 489.8g에 재침전을 행하였다. 얻어진 슬러리를 여과하고, 습품을 메탄올로 용해시킨 후에 활성탄(특제백로) 4.9g을 투입하여 1시간 교반한 후에 여별하고, 재차 아세토니트릴 489.8g에 재침전을 행하였다. 얻어진 습품을 60℃에서 감압건조하여, 2-(4,4-디메틸펜탄-2-일)-5,7,7-트리메틸옥타노일글리실히스티딘(이하, 간단히 FO-GH라고도 칭한다) 26.6g(수율 86%)을 얻었다.
·1H-NMR(300MHz,DMSO-d6,δppm): 8.02(2H,m),7.55(1H,s),6.80(1H,s),4.38(1H,m),3.68(2H,m),2.88(2H,m),1.94(1H,m),1.51(4H,m),1.12(3H,m),0.87(27H,m)
·MS(ESI)m/z: 479.29(M+H+)
[합성예 3: 지질펩티드형 화합물(2-헵틸운데카노일글리실히스티딘)의 합성]
[화학식 8]
Figure pct00008
(1) 2-헵틸운데카노일글리신메틸에스테르의 합성
원료에 2-헵틸운데칸산을 이용한 것 이외는 합성예 2(1)과 동일한 조작으로, 2-헵틸운데칸산글리신메틸에스테르 24.1g(수율 96%)을 얻었다.
(2) 2-헵틸운데카노일글리실히스티딘의 합성
2-(4,4-디메틸펜탄-2-일)-5,7,7-트리메틸옥타노일글리신메틸에스테르를 대신하여 2-헵틸운데칸산글리신메틸에스테르를 이용한 것 이외는 합성예 2(2)와 동일한 조작으로, 2-헵틸운데카노일글리실히스티딘(이하, 간단히 IS-Ste-GH라고도 칭한다) 23.1g(수율 86%)을 얻었다.
·1H-NMR(300MHz,DMSO-d6,δppm): 8.07(1H,t,J=6.0Hz),8.04(1H,d,J=7.5Hz),7.57(1H,s),6.82(1H,s),4.39(1H,q,J=7.5Hz),3.68(2H,m),2.28(2H,m),2.16(1H,m),1.42(2H,m),1.21(26H,m),0.85(3H,m)
·MS(ESI)m/z: 479.18(M+H+)
[조제예 1: 프리믹스의 조제]
Pal-GH, 첨가제로서 스테아르산, 1,2-헥산디올,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닛코케미칼즈사제) 및 물을,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비율로 300mL 비커에 첨가하고, 액온 80℃, 200rpm으로 가열교반을 행하여, 균일용액으로 하였다. 교반하면서, 냉각을 행하여, 액온이 60℃가 되었을 때 정치방랭을 행하여, ES-01프리믹스를 조제하였다.
[표 1]
Figure pct00009
[실시예 1] 겔화시험 및 겔의 형태관찰
표 2에 따라서, 300mL 톨비커에,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POE60경화피마자유, 미네랄오일 및 순수를 넣고, 80℃에서 가열교반을 행하였다. 한편 교반은 애즈원(주)제의 LABORATORY HIGH MIXER를 이용하여, 200rpm으로 행하였다. 다음에, 80℃로 가열한 ES-01프리믹스를 첨가하고, 다시 가열교반을 5분간 행하였다. 가열교반종료 후, 액온이 약 50℃ 정도가 될 때까지 교반냉각하여, 겔형성을 확인하였다. 겔형성의 확인은 시험관도치법에 의해 행하고, 분산액의 유동성을 잃어, 톨비커를 도치해도 액이 흘러떨어지지 않는 상태를 겔화로 판정하였다.
바이오스킨((주)뷰랙스제) 상에 얻어진 겔을 10mg/cm2가 되도록 도포하고, 주사형 전자현미경(SEM)[Miniscope(등록상표) TM3000((주)히다찌하이테크놀로지즈제)]을 이용하여 도포한 겔의 형태관찰을 실시하였다. 주사형 전자현미경에 설치한 직후의 샘플과, 소정시간, 주사형 전자현미경에 설치하여, 건조시킨 샘플과의 관찰화상을 도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겔화시험
표 2에 따라서, 300mL 톨비커에,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POE60경화피마자유, 미네랄오일 및 순수를 넣고, 80℃에서 가열교반을 행하였다. 한편 교반은 애즈원(주)제의 LABORATORY HIGH MIXER를 이용하여, 200rpm으로 행하였다. 가열교반종료 후, 액온이 약 50℃ 정도가 될 때까지 교반냉각하였다.
[표 2]
Figure pct00010
[실시예 2]
표 3에 따라서, 300mL 톨비커에,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POE60경화피마자유, 및 순수를 넣고, 80℃에서 가열교반을 행하였다. 한편 교반은 애즈원(주)제의 LABORATORY HIGH MIXER를 이용하여, 200rpm으로 행하였다. 다음에, 80℃로 가열한 ES-01프리믹스를 첨가하고, 다시 가열교반을 5분간 행하였다. 가열교반종료 후, 액온이 약 50℃ 정도가 될 때까지 교반냉각하여, 겔형성을 확인하였다. 겔형성의 확인은 시험관도치법에 의해 행하고, 분산액의 유동성을 잃어, 톨비커를 도치해도 액이 흘러떨어지지 않는 상태를 겔화라고 판정하였다.
[비교예 2]
표 3에 따라서, 300mL 톨비커에,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POE60경화피마자유, 및 순수를 넣고, 80℃에서 가열교반을 행하였다. 한편 교반은 애즈원(주)제의 LABORATORY HIGH MIXER를 이용하여, 200rpm으로 행하였다. 가열교반종료 후, 액온이 약 50℃ 정도가 될 때까지 교반냉각하였다.
[표 3]
Figure pct00011
[실시예 3 및 비교예 3] 반사광 강도측정
표 4에 따라서, 실시예 2에서 얻어진 겔 또는 비교예 2의 액체를 칭량하고, 거기에 스쿠알란을 첨가하였다. 첨가 후 스패츌러를 이용하여 균일한 증점물 또는 액체를 얻었다.
그리고, 바이오스킨((주)뷰랙스제) 상에 표 4에 나타낸 실시예 3의 증점물 또는 비교예 3의 액체를 10mg/cm2가 되도록 도포하고, 35℃의 항온조 내에서 건조하였다. 변각광도계 GP-5((주)무라카미색채기술연구소제)를 이용하여, 입사광 -30°로 한 경우의 30°의 반사광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실시예 3 및 비교예 3의 외관사진 및 SEM화상을 각각 도 2 및 도 3에 나타낸다.
[표 4]
Figure pct00012
표 4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얻어진 피막은,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비교예 3)에 의해 얻어진 피막에 비해, 반사광 강도가 약 절반이었다(실시예 3).
본 발명의 피막형성 조성물은, 광의 반사를 억제할 수 있는 피막을 형성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4] 샴푸의 보습시험
표 5에 따라서, 300mL 톨비커에 A상을 칭량하였다. 한편, 70℃로 가온한 정제수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가열용해시킨 ES-01프리믹스를 칭량하여, B상을 조제하였다. 70℃로 가열한 A상에 대하여, B상을 첨가하였다. 그 후, 액온이 40℃ 정도가 될 때까지 교반냉각하였다.
[표 5]
Figure pct00013
인모모속(흑발, 1g, 10cm)(케타바야사제)을 키쿨론스펀지로 10왕복시키고, 그리고 키쿨론스펀지 비접촉의 면도 마찬가지로 10왕복시켰다. 샘플관 50mL에 실시예 4 또는 비교예 4의 조성물을 10그램 칭량하고, 거기에 전술한 처리를 행한 모속을 넣고, 믹스로터로 3분간 교반하였다. 300mL 톨비커에 약 300mL의 순수를 넣고, 거기에 샴푸에 침지한 모속을 넣고, 30초간 세정을 행하였다. 추가로, 별도 준비한, 약 300mL의 순수를 넣은 300mL 톨비커 중에서 재세정을 행하였다. 물에 젖은 모속을 코진와이퍼 상에 5초간 얹었다. 다시 코진와이퍼의 비접촉면을 코진와이퍼 상에 5초간 얹었다. 보습률을 이하의 식에 따라서,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수학식 1]
Figure pct00014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8] 샴푸의 보습시험
표 6에 따라서, 300mL 톨비커에 각 성분을 칭량하였다. 70℃로 가열하고, 균일용액이 되었을 때, 액온이 40℃ 정도가 될 때까지 교반냉각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4와 동일한 수순으로, 보습률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여기서, Pal-H는, 팔미토일히스티딘을 나타낸다.
[표 6]
Figure pct00015
도 4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첨가한 샴푸는, 지질펩티드형 화합물 미첨가의 샴푸(비교예 4)에 비해, 모발의 보습률이 향상되었다(실시예 4 내지 실시예 8). 그 중에서도, 지질펩티드형 화합물로서, Pal-GH(실시예 4 및 실시예 5), IS-Ste-GH(실시예 6) 및 FO-GH(실시예 7)를 이용한 경우는, 모발의 보습률이 특히 향상되어, 보습효과가 우수했다.
[실시예 9 및 비교예 5]
표 7에 따라서, B상 및 C상을 가열용해하였다. D상을 가열하고, 호모믹서(5000rpm, 3분간)처리를 실시한 후에, 전술한 가열한 B상 및 C상을 첨가하고, 다시 호모믹서(5000rpm, 3분간)처리를 실시하였다. 호모믹서처리 후에, A상을 천천히 첨가하고, 다시 호모믹서(5000rpm, 3분간)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액온이 40℃ 정도가 될 때까지 교반냉각하였다.
[표 7]
Figure pct00016
2cm×2cm로 커트한 인공피혁에, 실시예 9 또는 비교예 5의 조성물 100μL를 균일하게 도포하고, 실온에서 30분간 건조하고, 접촉각계 Drop Master DMC-MCS(쿄와공업주식회사제)를 이용하여 접촉각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얻어진 피막은,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비교예 5)에 의해 얻어진 피막에 비해, 접촉각이 컸다(실시예 9).
본 발명의 피막형성 조성물은, 양호한 발수성을 갖는 피막을 형성할 수 있었다.
[실시예 10 및 비교예 6] 컨디셔너의 보습시험
표 8에 따라서 A상을 칭량하고, 75℃로 가열함으로써 균일한 용액으로 하였다. 한편, B상의 ES-01프리믹스를 제외한 성분을 75℃로 가온하고, 거기에 75℃로 가온한 ES-01프리믹스를 첨가하였다. 다음에, 75℃로 가온되어 있는 A상에 B상을 첨가하고, 실온 부근까지 교반냉각을 행하였다.
[표 8]
Figure pct00017
인모모속(흑발, 1g, 10cm)(케타바야사제)을 키쿨론스펀지로 10왕복시키고, 추가로 키쿨론스펀지 비접촉의 면도 마찬가지로 10왕복시켰다. 전술한 처리를 행한 모속 상에, 실시예 10 또는 비교예 6의 조성물(컨디셔너)을 4.0그램 얹고, 손으로 스며들게 한 후, 300mL 톨비커에 약 300mL의 순수를 넣은 것에 침지진탕함으로써, 30초간 세정을 행하였다. 그리고, 별도 준비한, 약 300mL의 순수를 넣은 300mL 톨비커 중에서 재세정을 행하였다. 물에 젖은 모속을 코진와이퍼 상에 5초간 얹었다. 다시 코진와이퍼의 비접촉면을 코진와이퍼 상에 5초간 얹었다. 보습률을 이하의 식에 따라서, 적시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또한, 시험종료 후의 모발을 주사형 전자현미경(SEM)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
[수학식 2]
Figure pct00018
보습률
도 6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첨가한 컨디셔너는, 지질펩티드형 화합물 미첨가의 컨디셔너(비교예 6)에 비해, 모발의 보습률이 향상되고, 보습효과가 우수하였다(실시예 10).
또한, 도 7에 나타낸 SEM화상에 의해,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첨가한 컨디셔너는 모발 상에 피막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지질펩티드형 화합물 미첨가의 컨디셔너는 모발 상에 피막을 형성하지 않았다.
[처방예 1] 오일프리클렌징
표 9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서, A, B, C 및 D를 조제·혼합하여, 오일프리클렌징을 조제하였다.
[표 9]
Figure pct00019
[처방예 2] 액정크림
표 10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서, A, B, C, D 및 E를 조제·혼합하여, 액정크림을 조제하였다.
[표 10]
Figure pct00020
[처방예 3] UV밀크(O/W에멀전)
표 11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서, A, B, C 및 D를 조제·혼합하여, UV밀크(O/W에멀전)를 조제하였다.
[표 11]
Figure pct00021
[처방예 4] O/W파운데이션
표 12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서, A, B, C, D 및 E를 조제·혼합하여, O/W파운데이션을 조제하였다.
[표 12]
Figure pct00022
[처방예 5] 논실리콘트리트먼트(리브온타입)
표 13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서, A, B, C 및 D를 조제·혼합하여, 논실리콘트리트먼트(리브온타입)를 조제하였다.
[표 13]
Figure pct00023
[처방예 6] 샴푸
표 14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서, A, B, C 및 D를 조제·혼합하여, 샴푸를 조제하였다.
[표 14]
Figure pct00024
[실시예 11 및 비교예 7] 컨디셔너처리 후의 모발의 손가락으로 빗어짐 평가
실시예 11로서, 상기 표 8에 따라서, 실시예 10의 조성물과 동일한 조성의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또한, 비교예 7로서, 비교예 6의 조성물과 동일한 조성의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11 또는 비교예 7의 조성물(컨디셔너) 10g을, 인모모속(흑발, 1g, 10cm)(케타바야사제) 전체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5분 후, 도포한 컨디셔너를 세정하였다. 하룻밤 실온에서 정치 후, 촉감계 TYPE33(신토과학(주)사)을 이용하여 마찰저항력을 측정하고, 손가락으로 빗어짐의 지표로 하였다.
실시예 11 및 비교예 7의 마찰저항력을 도 8에 나타낸다. 참고예 1로서, 컨디셔너 미처리의 인모모속의 마찰저항력도 동일 조건으로 측정을 행하였다.
도 8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컨디셔너로 처리한 모발은 컨디셔너 미처리의 모발에 비해, 마찰저항력이 작았다(실시예 11 및 비교예 7). 그 중에서도,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첨가한 컨디셔너로 처리한 모발은, 마찰저항력이 현저히 작아, 모발에 대한 손가락으로 빗어지는 성질이 양호하였다(실시예 11).
본 발명의 피막형성 조성물은 마찰저항력이 작은 피막, 즉, 양호한 손가락으로 빗어지는 성질이나 빗으로 빗어지는 성질을 갖는 피막을 형성할 수 있었다.
[실시예 12; O/W리퀴드파운데이션의 조제]
하기 표 15에 따라서, 안료 17질량%를 균일하게 분산한 O/W리퀴드파운데이션을 조제하였다. 한편, 표 15 중의 각 성분의 양은, O/W리퀴드파운데이션의 총질량에 기초한 질량%(wt%)를 나타낸다.
200mL 비커(HARIO주식회사제) 중에서 후레쉬컬러베이스AQUA 34.0g, 정제수 140.6g, 스테아로일메틸타우린Na(NIKKOL SMT) 0.2g, LPA(레시틴) 0.2g, 에데트산이나트륨(EDTA-2Na) 0.2g,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0.4g, 크산탄검(KELTROL CG-SFT) 0.4g을 혼합하고, 75℃에서 10분간 가열교반하였다(B상). 200mL 비커(HARIO주식회사제) 중에서 NIKKOL 니코무루스41 4.0g, NIKKOL NATURAL OILS 14.0g, NIKKOL 니코가드88 1.0g을 첨가하여 75℃에서 10분간 가열교반하였다(A상). B상에 대하여 A상을 천천히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완성된 혼합물을 75℃ 중에서 호모믹서(미쯔보공업주식회사제 QUICK HOMO MIXER LR-1A)를 이용하여 5000rpm으로 3분간 유화처리를 행하였다. 다시, 75℃로 가열한 ES-01프리믹스 1.0g(D상)을 첨가하여, 75℃ 중에서 2분간 가열교반한 후에, 40℃가 될 때까지 실온에서 교반냉각을 행하였다. 40℃가 된 것을 확인하고, NIKKOL NET-813-1 4.0g(C상)을 첨가하여, 35℃가 될 때까지 교반냉각을 행하였다. 이상의 공정에 있어서, 교반은 모두 200rpm으로 행하였다.
[비교예 8; O/W리퀴드파운데이션의 조제]
하기 표 15에 따라서, 안료 17질량%를 균일하게 배합한 O/W리퀴드파운데이션을 조제하였다.
200mL 비커(HARIO주식회사제) 중에서 후레쉬컬러베이스AQUA 34.0g, 정제수 141.6g, 스테아로일메틸타우린Na(NIKKOL SMT) 0.2g, LPA(레시틴) 0.2g, 에데트산이나트륨(EDTA-2Na) 0.2g,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0.4g, 크산탄검(KELTROL CG-SFT) 0.4g을 혼합하고, 75℃에서 10분간 가열교반하였다(B상). 200mL 비커(HARIO주식회사제) 중에서 NIKKOL 니코무루스41 4.0g, NIKKOL NATURAL OILS 14.0g, NIKKOL 니코가드88 1.0g을 첨가하여 75℃에서 10분간 가열교반하였다(A상). B상에 대하여 A상을 천천히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완성된 혼합물을 75℃ 중에서 호모믹서(미쯔보공업주식회사제 QUICK HOMO MIXER LR-1A)를 이용하여 5000rpm으로 3분간 유화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40℃가 될 때까지 실온에서 교반냉각을 행하고, NIKKOL NET-813-1 4.0g(C상)을 첨가하고, 35℃가 될 때까지 교반냉각을 행하였다. 이상의 공정에 있어서, 교반은 모두 200rpm으로 행하였다.
[표 15]
Figure pct00025
[실시예 13 및 비교예 9] 반사광 강도측정
실시예 13으로서, 실시예 12의 O/W리퀴드파운데이션을, 또한 비교예 9로서, 비교예 8의 O/W리퀴드파운데이션을 각각 이용하여, 반사광 강도를 측정하였다.
바이오스킨((주)뷰랙스제) 상에 실시예 13의 O/W리퀴드파운데이션 또는 비교예 9의 O/W리퀴드파운데이션을 10mg/cm2가 되도록 도포하고, 35℃의 항온조 내에서 건조하였다. 변각광도계 GP-5((주)무라카미색채기술연구소제)를 이용하여, 입사광 -45°로 한 경우의 45°의 반사광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를 도 9에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비교예 9의 O/W리퀴드파운데이션을 도포한 바이오스킨에 있어서는, 강한 반사광이 검출된 것에 반해,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배합한 О/W리퀴드파운데이션을 도포한 바이오스킨은, 반사광이 약 4할 저감되었다(실시예 13).
본 발명의 피막형성 조성물은, 광의 반사를 억제할 수 있는 피막을 형성할 수 있었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0] 화장뭉침의 평가
실시예 14의 조성물로서, 실시예 12의 O/W리퀴드파운데이션을, 또한 비교예 10의 조성물로서, 비교예 8의 O/W리퀴드파운데이션을 각각 이용하였다.
사람피부 상에, 실시예 14의 O/W리퀴드파운데이션 또는 비교예 10의 O/W리퀴드파운데이션을 0.5g 도포하고, 균일하게 펴바른 후에, 인공피지를 0.5g 적하하여 30분 실온정치하였다. 30분 실온정치 후의, 실시예 14 및 비교예 10의 외관사진을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비교예 10의 O/W리퀴드파운데이션 상에 인공피지를 적하하면, O/W리퀴드파운데이션 중의 기름과 인공피지가 회합하여, 화장뭉침이 관찰되었다(비교예 10). 한편,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배합한 O/W리퀴드파운데이션 상에 인공피지를 적하해도, 화장뭉침은 관찰되지 않았다(실시예 14).
본 발명의 피막형성 조성물은, 피지와의 회합을 억제하고, 화장뭉침이 발생하기 어려운 피막을 형성할 수 있었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1] 사과산배합 컨디셔너의 조제
하기 표 16에 따라서, 사과산 1.5질량%(wt%)를 배합한 파운데이션을 조제하였다.
200mL 비커(HARIO주식회사제) 중에서 A상을 75℃까지 가열교반하였다. B상과 C상을 200mL 비커 중에서 혼합하고, 75℃까지 가열교반하였다. B상과 C상과의 혼합상에 대하여 A상을 첨가하고, 75℃ 중에서 호모믹서(미쯔보공업주식회사제 QUICK HOMO MIXER LR-1A)를 이용하여 5000rpm으로 5분간 유화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75℃로 가열한 D상을 첨가하고, 75℃에서 5분간 가열교반을 행하고, 40℃가 될 때까지 교반냉각을 행하였다. 이상의 공정에 있어서, 교반은 전부 200rpm으로 행하였다.
[표 16]
Figure pct00026
[실시예 16 및 비교예 12] 인모의 보습시험
(1) 데미지헤어샘플(데미지모발)의 제작수순
인모흑발(BS-B-A, (주)뷰랙스제) 50다발(1다발당, 약 10cm, 약 1g)에 대하여, 개츠비EX하이브리치((주)만덤제)를 1세트(파우더 18g, 물 70mL, 크림 35g의 혼합물) 도포하고, 1시간 실온에서 방치함으로써 머리카락의 탈색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머리카락을 증류수로 세정하고, 65℃로 설정한 정온건조기(OF-300B, 애즈원(주)제)로 30분간 건조시켰다. 상기 조작을 계 3회 반복하였다. 그 후 모발을, 도데실황산나트륨(후지필름와코순약(주)제) 1질량%를 증류수에 용해시킨 수용액 1L에 침지시키고, 증류수로 세정하였다. 케이드라이(일본제지크레시아(주)제)로 여분의 물을 제거한 후, 실온에서 하룻밤 건조시킴으로써, 데미지헤어샘플(브리치머리카락)을 제작하였다.
(2) 모발의 컨디셔너처리
조제한 상기 데미지헤어샘플을 증류수로 젖게 한 후, 케이드라이(일본제지크레시아(주)제)로 여분의 물을 제거하였다. 실시예 15 또는 비교예 11에서 조제한 샘플을 1g씩 손에 덜어 머리카락에 도포하고, 5분간 정치하였다. 그 후, 300mL의 물을 넣은 300mL 톨비커 내에서 흔들어서 세정하고, 케이드라이(일본제지크레시아(주)제)로 여분의 물을 제거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건조시켰다.
(3) 모발의 보습시험
상기 헤어샘플을 1cm의 길이로 모두 자르고, 약포접시에 0.7g 덜어내고, 65℃로 설정한 정온건조기(OF-300B, 애즈원(주)제)로 40분간 건조시켰다. 그 후, 다시 질량을 계측하고, 모발의 질량감소량을 수분감소량으로 하여, 머리카락으로부터의 수분손실률을 하기 식으로부터 산출하였다(표 17).
수분손실률(%)=(1-(건조 후의 모발질량)/(건조 전의 모발질량))*100
[표 17]
Figure pct00027
표 17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컨디셔너로 처리한 흑발은, 컨디셔너 미처리의 흑발(참고예 2 및 참고예 3)에 비해, 수분손실률이 낮았다(실시예 16 및 비교예 12). 특히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첨가한 컨디셔너로 처리한 흑발은, 수분손실률이 보다 낮아, 인모의 보습효과가 향상되었다.
[실시예 17 및 비교예 13] 인모의 광택회복평가시험
마이크로슬라이드유리 S1111(마츠나미글라스공업(주)제) 상에 나이스태크(등록상표) NW-10(니치반(주)제)을 이용하여, 흑색의 도화지 PI-N86D((주)마루아이제)를 첩부하였다. 그 위에, 상기 보습시험 후의 모발샘플을 평행하게 간극없이 배열하고, 나이스태크(등록상표) NW-10(니치반(주)제)으로 붙였다. 반사광분포의 측정은, 변각광도계 GP-5((주)무라카미색채기술연구소제)로 실시하였다. 측정입사광은 -45°로 하고, 45°에 있어서의 반사광 강도를 측정하였다.
[표 18]
Figure pct00028
표 18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컨디셔너로 처리한 흑발은, 컨디셔너 미처리의 흑발에 비해, 반사광 강도가 높아, 머리카락에 광택이 부여되었다(광택이 회복되었다)(실시예 17 및 비교예 13). 그 중에서도,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첨가한 컨디셔너로 처리한 흑발은, 반사광 강도가 특히 높아, 머리카락의 광택이 보다 향상되었다(광택이 보다 회복되었다).
[실시예 18 및 비교예 14] 컨디셔너처리 후의 인모 중의 사과산의 정량
실시예 18로서, 실시예 16의 (2)에서 처리된 인모를, 또한 비교예 14로서, 비교예 12의 (2)에서 처리된 인모를 이용하여, 인모 중의 사과산의 정량을 평가하였다.
사과산의 정량은, BioAssaySystems사제의 EnzyChromTM Malate Assay Kit(EMAL-100)에 의해 평가하였다.
실시예 18 또는 비교예 14의 인모를 50mL 샘플관에 200밀리그램 칭량하고, 정제수 4mL를 첨가하여 60분간 초음파처리함으로써 사과산을 추출하였다. 96well플레이트에 각 추출액 20μL, 어세이버퍼 74μL, EnzymeA 1μL, EnzymeB 1μL와 NAD/MTT시약 8μL를 첨가하였다. 15분 후, 상기 수순으로 조제한 well 중의 흡광도(565nm)를 플레이트리더(TECAN사제)로 측정하고, 샘플자신의 흡광도를 뺌으로써 정미(正味)의 흡광도를 산출하였다. 시험의 결과를 도 11에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비교예 14와 비교하여 실시예 18의 인모로부터는, 약 3배의 사과산이 추출되었다.
본 발명의 피막형성 조성물은, 유효성분의 유지력이 높은 피막(유효성분을 많이 함유할 수 있는 피막)을 형성할 수 있었다.
[실시예 19, 비교예 15; 컨디셔너처리한 모발의 SEM측정]
실시예 19 및 비교예 15로서, 실시예 10 및 비교예 6에서 조제한 컨디셔너 1g을 실시예 16의 (1)과 동일한 수순으로 작성한 데미지모발의 다발(10cm, 50개)에 도포하고, 5분간 정치하였다. 그 후, 300mL의 정제수를 넣은 300mL 톨비커 내에서 흔들어서 세정하고, 케이드라이(일본제지크레시아(주)제)로 여분의 정제수를 제거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건조시켰다. 주사형 전자현미경(SEM)[Miniscope(등록상표) TM3000((주)히다찌하이테크놀로지즈제)]을 이용하여, 상기 각 모발 표면관찰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도 12에 나타낸다. 브리치처리를 한 데미지모발이나 비교예 15와 비교하여 실시예 19는 모발 표면이 매끄럽게 되어 있는 모습이 관측되었다.
[실시예 20, 비교예 16; 컨디셔너처리한 모발의 수분흡탈착평가]
실시예 20으로서, 실시예 16의 (1)과 동일한 수순으로 작성한 데미지모발의 1다발(약 10cm, 약 1g)에, 실시예 16의 (2)와 동일한 처리를 실시한 모속을 1cm로 전단한 후에, 16mg의 모발을 칭량하고, 수분흡탈착량을 수분흡탈착측정장치 IGAsorp(하이덴아이소케야마사제)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온도 25℃, 습도 40%의 조건 하에 있어서, 각 시료의 습윤중량을 측정한 후, 온도 25℃, 습도 0%조건 하에 있어서 건조를 행하여, 시료중량의 변화율이 0.0001mg/min을 하회할 때까지 건조를 계속하였다. 상대습도를 0%에서부터 90%까지 10%씩 단계적으로 상승시키고, 각 상대습도점에 있어서의 시료의 평형중량으로부터 모발 중의 수분율을 산출하였다. 나아가, 상대습도를 90%에서부터 0%까지 10%씩 단계적으로 강하시킨 경우에도, 각 상대습도점에 있어서의 시료의 평형중량으로부터 모발 중의 수분율을 산출하였다. 각 습도에서의 최대평형화시간을 360분간으로 하고, 상기 수순은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측정으로 행하고, 시료의 평형중량의 결정은, LDF(선형추진력근사)모델에 기초한 점근선법을 채용하고, 완화상태 99% 하에 있어서의 중량값을 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LDF모델이 적용되지 않은 경우의 시료의 평형중량은, 180분간 측정 후의 측정값을 이동평균화하여 산출한 것을 채용하였다. 얻어진 수분율의 결과를 표 19(습도상승시)와 표 20(습도강하시)에 나타낸다. 비교예 16으로서, 비교예 12의 (2)에서 처리된 인모결과와, 데미지모발의 결과도, 표 19에 나타냈다. 컨디셔너처리하지 않은 데미지모발과 비교하여, 비교예 16은 수분의 흡착을 억제하고, 실시예 19는 더욱 억제되는 경향이었다.
[표 19]
Figure pct00029
[표 20]
Figure pct00030
[실시예 21, 비교예 17; 컨디셔너처리한 모발의 동마찰계수]
실시예 21로서, 실시예 16의 (1)과 동일한 수순으로 작성한 데미지모발의 1다발(약 10cm, 약 1g)에, 실시예 16의 (2)와 동일한 처리를 실시한 모속표면의 동마찰계수를 측정하고, 손가락으로 빗어짐의 지표로 하였다. 동마찰계수는 KES-SE마찰감 테스터(카토테크(주)사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센서는 가로세로 10mm의 실리콘센서를 이용하였다. 비교예 12의 (2)와 동일한 처리를 한 모속에 대해서도, 측정을 행하여, 비교예 17로 하였다. 양자의 결과를 표 13에 나타낸다. 실시예 21에 실시한 모발은, 비교예 17과 비교하여 모발 표면의 동마찰계수가 낮은 경향이었다.
[실시예 22, 비교예 18; 석신산배합 컨디셔너의 조제]
하기 표 21에 따라서, 석신산 1.5질량%를 배합한 컨디셔너를 조제하였다. 200mL 비커(HARIO주식회사제) 중에서 A상을 75℃까지 가열교반하였다. B상과 C상을 200mL 비커 중에서 혼합하고, 75℃까지 가열교반하였다. B+C상에 대하여 A상을 첨가하고, 75℃ 중에서 호모믹서(QUICK HOMO MIXER LR-1A 미쯔보공업주식회사제)를 이용하여 5,000rpm으로 5분간 유화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75℃로 가열한 D상을 첨가하고, 75℃에서 5분간 가열교반을 행하고, 40℃가 될 때까지 교반냉각을 행하였다. 이상의 공정에 있어서, 교반은 전부 200rpm으로 행하였다.
[표 21]
Figure pct00031
[실시예 23, 비교예 19; 컨디셔너처리한 모발의 석신산량평가]
실시예 23 및 비교예 19로서, 실시예 22 및 비교예 18에서 조제한 컨디셔너를 1g씩 손에 덜어, 실시예 16의 (1)과 동일한 수순으로 작성한 데미지모발의 1다발(약 10cm, 약 1g)에 도포하고, 5분간 정치하였다. 그 후, 300mL의 물을 넣은 300mL 톨비커 내에서 흔들어서 세정하고, 케이드라이(일본제지크레시아(주)제)로 여분의 물을 제거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건조시켰다. 상기 처리를 1회 실시, 2회 실시, 3회 실시한 3종류의 샘플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각 데미지헤어샘플을 1cm의 길이로 모두 잘랐다. 석신산의 정량은, Succinate colorimetric Assay Kit(Megazyme사제)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23 및 비교예 19에서 처리된 인모를 각각 50mL 샘플관에 200mg 칭량하고, 정제수 4mL를 첨가하여 60분간 초음파처리함으로써 석신산을 추출하였다. 96well플레이트에 각 추출액 10μL, 정제수 210μL, Buffer 20μL, NADH 20μL, ATP/PEP/Coa 20μL, PK/L-LDH 2μL를 첨가하고, 3분간 정치 후에 SCS를 2μL 첨가하였다. 상기 수순으로 조제한 well 중의 흡광도(340nm)를 플레이트리더(TECAN사제)로 측정하고, 샘플자신의 흡광도를 뺌으로써 정미의 흡광도를 산출하였다. 시험의 결과를 도 14에 나타낸다. 처리일수 의존적으로, 모발로부터의 석신산추출량은 향상되고, 비교예 19와 비교하여 실시예 23의 인모로부터는, 약 2배의 석신산이 추출되었다.
[실시예 24, 비교예 20; 인모 중의 석신산 및 지질펩티드의 침투량 평가]
실시예 24 및 비교예 20으로서, 실시예 22 및 비교예 18에서 조제한 컨디셔너를 1g씩 손에 덜어 실시예 16의 (1)과 동일한 수순으로 작성한 데미지모발의 1다발(약 10cm, 약 1g)에 도포하고, 5분간 정치하였다. 그 후, 300mL의 물을 넣은 300mL 톨비커 내에서 흔들어서 세정하고, 케이드라이(일본제지크레시아(주)제)로 여분의 물을 제거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건조시켰다. 상기의 처리를 3일간 반복하여 실시하고, 비행시간형 이차이온질량분석계 TOF.SIMS5((주)히다찌하이테크사이언스사제)를 이용하여 석신산 및 ES-01프리믹스 중에 포함되는 지질펩티드의 분석을 행하였다. 각 모발샘플의 모발중앙부근을 샘플링하고, 단면을 작성하였다. 일차이온원은 Bi를 선택하였다. 결과의 모발단면도를 도 15에 나타낸다. 비교예 20과 비교하여, 실시예 24의 모발단면으로부터는 높은 석신산강도가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24는, ES-01프리믹스 중의 지질펩티드가 모발 표면에 국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5, 비교예 21; 컨디셔너처리한 모발 표면의 제타전위측정]
실시예 25 및 비교예 21로서, 실시예 22 및 비교예 18에서 조정한 컨디셔너를 1g씩 손에 덜어, 실시예 16의 (1)과 동일한 수순으로 작성한 데미지모발의 1다발(약 10cm, 약 1g)에 도포하고, 5분간 정치하였다. 그 후, 300mL의 물을 넣은 300mL 톨비커 내에서 흔들어서 세정하고, 케이드라이(일본제지크레시아(주)제)로 여분의 물을 제거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건조시켰다. 상기 모발샘플의 표면제타전위를 고체표면 제타전위장치 SurPASS(Anton-Paar사제)에 의해 평가하였다. 전해질에는 1mM KCl를 조제하고, 온도 23℃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2에 나타낸다. 비교예 21은, 브리치처리를 행한 데미지모발과 비교하여 표면전위가 양이온성에 근접하고, 실시예 25는 더욱 그 값이 양이온성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22]
Figure pct00032
[실시예 26, 비교예 22; 컨디셔너처리한 모발 표면의 경도평가]
실시예 26 및 비교예 22로서, 실시예 22 및 비교예 18에서 조정한 컨디셔너를 1g씩 손에 덜어, 실시예 16의 (1)과 동일한 수순으로 작성한 데미지모발의 1다발(약 10cm, 약 1g)에 도포하고, 5분간 정치하였다. 그 후, 300mL의 물을 넣은 300mL 톨비커 내에서 흔들어서 세정하고, 케이드라이(일본제지크레시아(주)제)로 여분의 물을 제거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건조시켰다. 상기 각 모발샘플표면의 경도를 하이시트론 TI980트라이보인덴터(Bruker사제)에 의해 측정하였다. 압입깊이를 1μm로 설정, 압자는 버코비치형을 이용하여, 10회 측정한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도 16에 나타낸다. 브리치처리를 한 데미지모발은, 미처리인 흑발과 비교하여 모발의 표면이 딱딱해지는 것이 나타났다. 데미지모발과 비교하여 비교예 22는 모발 표면이 부드러워지고, 실시예 26은 더욱 표면이 부드러워지는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27, 비교예 23; 컨디셔너처리한 모발의 수분흡탈착평가]
실시예 27 및 비교예 23으로서, 실시예 22 및 비교예 18에서 조제한 컨디셔너를 1g씩 손에 덜어, 실시예 16의 (1)과 동일한 수순으로 작성한 데미지모발의 1다발(약 10cm, 약 1g)에 도포하고, 5분간 정치하였다. 그 후, 300mL의 물을 넣은 300mL 톨비커 내에서 흔들어서 세정하고, 케이드라이(일본제지크레시아(주)제)로 여분의 물을 제거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건조시켰다. 제작한 처리샘플을 1cm로 전단하고, 3mg 칭량한 인모의 수분흡탈착량을 수분흡탈착측정장치 IGAsorp(하이덴아이소케야마사제)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상대습도 0% 중에서 2일간 모발을 건조시키고, 그 결과 상대습도 90%까지 한번에 습도를 높였을 때의 질량변화량을 측정하였다. 상기 수순은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측정으로 행하였다. 결과를 도 17에 나타낸다. 컨디셔너처리하지 않은 데미지모발과 비교하여, 비교예 23은 수분의 흡착을 억제하고, 실시예 27은 더욱 억제되는 경향이었다.
[실시예 28, 비교예 24; 피지분비에 의한 번들거림의 경시변화]
실시예 28로서, 실시예 12의 O/W리퀴드파운데이션을, 또한 비교예 24로서, 비교예 8의 O/W리퀴드파운데이션을 각각 이용하여, 피지분비에 의한 경시적인 번들거림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8의 O/W리퀴드파운데이션을 피험자의 안면에 도포하고, 평소 같은 생활을 행하여, 각 파운데이션을 도포하여 1시간 후로부터 1시간 간격으로 6시간 후까지, 안면의 표면광택(光澤)을 Glossymeter GL200(Courage+khazakael ectronic사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8에 나타낸다. 실시예 28은 비교예 24와 비교하여, 6시간 후에도 경시적인 피지분비에 의한 번들거림을 억제하였다.
[실시예 29, 비교예 25; 미용액의 조제]
하기 표 23에 따라서, 히알루론산을 0.005% 배합한 미용액을 조제하였다. 200mL비커(HARIO주식회사제) 중에서 A상을 75℃까지 가열교반하였다. B상, C상, D상을 200mL 비커 중에서 혼합하고, 75℃까지 가열교반하였다. B+C+D상에 대하여 A상을 첨가하고, 75℃ 중에서 5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45℃가 될 때까지 교반냉각하고, E상을 첨가하여 35℃가 될 때까지 교반냉각을 행하였다. 이상의 공정에 있어서, 교반은 전부 200rpm으로 행하였다.
[표 23]
Figure pct00033
[실시예 30, 비교예 26; 미용액의 보습효과]
실시예 30으로서, 실시예 29의 미용액을, 또한 비교예 26으로서, 비교예 25의 미용액을 이용하여, 보습효과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29 및 비교예 25의 미용액을 피험자의 전완의 내측에 도포하고, 습도 50%, 온도 24℃의 환경하에서, 미용액을 도포하여 1시간 후로부터 1시간 간격으로 7시간 후까지 전완의 각질수분량을 Corneometer CM825(Courage+khazaka electronic사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포한 전완부분으로부터 무작위로 10개소를 추출하여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측정결과로 하였다. 결과를 도 19에 나타낸다. 실시예 30은 비교예 26과 비교하여, 7시간 후에도 각질 중에 높은 수분량을 유지하고 있어, 보습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1, 실시예 32, 비교예 27; 케라틴배합 컨디셔너의 조제]
하기 표 24에 따라서, 케라틴 1.5질량%를 배합한 컨디셔너를 조제하였다. 200mL비커(HARIO주식회사제) 중에서 A상을 75℃까지 가열교반하였다. B상과 C상을 200mL 비커 중에서 혼합하고, 75℃까지 가열교반하였다. B+C상에 대하여 A상을 첨가하고, 75℃ 중에서 호모믹서(QUICK HOMO MIXER LR-1A 미쯔보공업주식회사제)를 이용하여 5000rpm으로 5분간 유화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75℃로 가열한 D상을 첨가하고, 75℃에서 5분간 가열교반을 행하고, 40℃가 될 때까지 교반냉각을 행하였다. 이상의 공정에 있어서, 교반은 전부 200rpm으로 행하였다.
[표 24]
Figure pct00034
[실시예 33, 실시예 34, 비교예 28; 컨디셔너처리한 모발의 케라틴량평가]
실시예 33, 실시예 34 및 비교예 28로서, 실시예 31, 실시예 32 및 비교예 27에서 조정한 컨디셔너를 1g씩 손에 덜어, 실시예 16의 (1)과 동일한 수순으로 작성한 데미지모발의 1다발(약 10cm, 약 1g)에 도포하고, 5분간 정치하였다. 그 후, 300mL의 메탄올(쥰세이화학(주)제)을 넣은 300mL 톨비커 내에서 흔들어서 세정하고, 케이드라이(일본제지크레시아(주)제)로 여분의 메탄올을 제거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건조시켰다. 제작한 각 데미지헤어샘플을 1cm의 길이로 모두 잘랐다. 케라틴의 정량은, Keratin Orange α-Keratin Assay Kit(biocolor사제)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처리된 인모를 각각 1.5mL 마이크로튜브(eppendorf사제)에 5mg씩 칭량하고, 1mL씩 Digestion reagent를 첨가하여 1시간 볼텍스로 혼화하였다. Reference standard(α-Keratin 5.0mg/mL)를 Digestion reagent로 희석하고, 검량선용 시료를 조제하였다(0, 1, 2, 3, 4, 5mg/mL). 모발시료 및 검량선시료 200μL에 Neutralising solution(1M HCl)을 200μL씩 첨가하고, 각 용액의 pH를 중화하였다. 시료에 Dye reagent를 50μL씩 첨가하고, 볼텍스로 혼화한 후에, 30분간 정치하여 반응시켰다. 각 모발시료로부터 추출된 케라틴을 염석시키기 위해, 시료에 Saturated solution((NH4)2SO4)을 450μL씩 첨가하였다. 결합하지 않은 Orange G를 제거하기 위해, 시료를 12,000rpm으로 10분간 원심한 후에, 상청을 버리고, Digestion reagent를 50μL씩 첨가하고, 볼텍스로 충분히 혼화시켜 케라틴을 가용화하였다. 조제한 각 시료를 200μL씩 96well플레이트에 옮기고, 흡광도(480nm)로 플레이트리더(TECAN사제)에 의해 측정하고, 샘플자신의 흡광도를 뺌으로써 정미의 흡광도를 산출하였다. 시험의 결과를 도 20에 나타낸다. 비교예 28과 비교하여 실시예 33 및 실시예 34의 모발로부터는, 높은 케라틴량이 추출되었다.
[실시예 35, 비교예 29; 18-MEA배합컨디셔너의 조제]
하기 표 25에 따라서, 18-메틸에이코산(18-MEA) 1.5질량%를 배합한 컨디셔너를 조제하였다. 200mL비커(HARIO주식회사제) 중에서 A상을 75℃까지 가열교반하였다. B상과 C상을 200mL 비커 중에서 혼합하고, 75℃까지 가열교반하였다. B+C상에 대하여 A상을 첨가하고, 75℃ 중에서 호모믹서(QUICK HOMO MIXER LR-1A 미쯔보공업주식회사제)를 이용하여 5000rpm으로 5분간 유화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75℃로 가열한 D상을 첨가하고, 75℃에서 5분간 가열교반을 행하고, 40℃가 될 때까지 교반냉각을 행하였다. 이상의 공정에 있어서, 교반은 전부 200rpm으로 행하였다.
[표 25]
Figure pct00035
[실시예 36, 비교예 30; 컨디셔너처리한 모발의 SEM측정]
실시예 36 및 비교예 30으로서, 실시예 35 및 비교예 29에서 조제한 컨디셔너를 1g씩 손에 덜어, 실시예 16의 (1)과 동일한 수순으로 작성한 데미지모발의 1다발(약 10cm, 약 1g)에 도포하고, 5분간 정치하였다. 그 후, 300mL의 정제수를 넣은 300mL 톨비커 내에서 흔들어서 세정하고, 케이드라이(일본제지크레시아(주)제)로 여분의 정제수를 제거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건조시켰다. 이 조작을 10회 반복한 후에, 쇼트키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 JSM-7800F(일본전자(주)제)를 이용하여 작성한 각 모발 표면관찰을 실시하였다. 샘플의 고정은 카본테이프를 이용하고, 가속전압은 0.7kV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데미지모발의 측정결과와 함께 도 21에 나타낸다. 데미지모발이나 비교예 30은 큐티클표면의 구조를 관찰할 수 있는 것에 반해, 실시예 36은 큐티클표면이 피막으로 덮여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저분자 지질펩티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사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1종의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막형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이,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로 이루어지는 지질부에, 아미노산의 반복결합구조를 갖는 펩티드부가 결합된 화합물인, 피막형성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이, 하기 식(1) 내지 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사용가능한 염 중의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막형성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00036

    (식 중, R1은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혹은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 혹은 6원환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복소환을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pct00037

    (식 중, R4는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5 내지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 혹은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 혹은 6원환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복소환을 나타낸다.)
    [화학식 3]
    Figure pct00038

    (식 중, R8은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9 내지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 혹은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 혹은 6원환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복소환을 나타낸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막형성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막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막형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작성된 피막.
KR1020217002238A 2018-06-29 2019-06-28 피막형성 조성물 KR202100250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25136 2018-06-29
JPJP-P-2018-125136 2018-06-29
JP2018233469 2018-12-13
JPJP-P-2018-233469 2018-12-13
PCT/JP2019/025927 WO2020004649A1 (ja) 2018-06-29 2019-06-28 被膜形成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070A true KR20210025070A (ko) 2021-03-08

Family

ID=68984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2238A KR20210025070A (ko) 2018-06-29 2019-06-28 피막형성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259941A1 (ko)
EP (2) EP3808329A4 (ko)
JP (1) JP7460962B2 (ko)
KR (1) KR20210025070A (ko)
CN (1) CN112638359A (ko)
TW (1) TW202017558A (ko)
WO (1) WO20200046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2065433A1 (ko) * 2020-09-28 2022-03-31
WO2022092284A1 (ja) * 2020-10-30 2022-05-05 日産化学株式会社 脂質ペプチドとショ糖エステルを含む組成物
KR102552912B1 (ko) * 2021-01-22 2023-07-10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15612321B (zh) * 2022-09-27 2024-01-19 常州君合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型水性锌铝防腐涂液及其制备方法
CN115975483B (zh) * 2022-12-19 2023-08-22 浦诺菲新材料有限公司 自修复涂层涂布液的制备方法,以及汽车漆面保护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7210A (ja) 1996-09-06 1998-03-24 Nakanihon Seni Kogyo Kyodo Kumiai 化粧料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配合した化粧品
JP2002308756A (ja) 2001-03-05 2002-10-23 L'oreal Sa ポリアミノ酸の保湿剤としての用途とそれを含有する化粧品用又は製薬用組成物
JP2016006030A (ja) 2014-05-30 2016-01-14 花王株式会社 皮膚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60634B1 (fr) * 1997-03-14 2002-10-11 Oreal Composition aqueuse topique solide ayant l'aspect d'un gel permettant la formation d'un film lors de son application
JP2008520630A (ja) * 2004-11-22 2008-06-19 シムライズ・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ジツト・ゲゼルシヤフト 皮膚損傷に有効なセラミド及び/又は偽セラミドと(α−)ビサボロールを含む製剤
FR2911779B1 (fr) * 2007-01-30 2009-04-24 Lvmh Rech Composition contenant un extrait d'ambre
JP2009073764A (ja) * 2007-09-20 2009-04-09 Fujifilm Corp 生体用粘着ゲル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状化粧料
CN102105553B (zh) * 2008-08-01 2013-11-13 日产化学工业株式会社 新的脂质二肽和凝胶
JP2010047534A (ja) * 2008-08-22 2010-03-04 Kyushu Univ 酵素応答性ゲル
JP5587290B2 (ja) * 2009-03-16 2014-09-10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低分子ゲル化剤からなるスプレー用基材
CN103547316A (zh) * 2011-01-10 2014-01-29 道康宁公司 个人护理和保健组合物
EP3087971B1 (en) * 2013-12-25 2019-06-12 Nissan Chemical Corporation Base material containing lipid-peptide compound
JP2016027035A (ja) * 2014-06-30 2016-02-18 ロート製薬株式会社 皮膚外用組成物、化粧料及び皮膚外用組成物の変色抑制方法
JP6975516B2 (ja) * 2014-06-30 2021-12-01 ロート製薬株式会社 外用組成物、化粧料、経皮吸収促進用組成物、外用組成物における有効成分の経皮吸収性を高める方法、経皮投与型医薬及び点眼用組成物
MX2017005597A (es) * 2014-10-31 2017-06-23 Lubrizol Advanced Mat Inc Pelicula de poliuretano termoplastico para la liberacion de agentes activos a superficies de piel.
DE102014225582A1 (de) * 2014-12-11 2015-10-01 Henkel Ag & Co. Kgaa Stylinggel mit Spinnen-Seidenprotein und Polyacrylsäure
CN106109358A (zh) * 2016-08-25 2016-11-16 安迪美生物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多肽蚕丝补水修护面膜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7210A (ja) 1996-09-06 1998-03-24 Nakanihon Seni Kogyo Kyodo Kumiai 化粧料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配合した化粧品
JP2002308756A (ja) 2001-03-05 2002-10-23 L'oreal Sa ポリアミノ酸の保湿剤としての用途とそれを含有する化粧品用又は製薬用組成物
JP2016006030A (ja) 2014-05-30 2016-01-14 花王株式会社 皮膚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59941A1 (en) 2021-08-26
JP7460962B2 (ja) 2024-04-03
EP4014958A1 (en) 2022-06-22
JPWO2020004649A1 (ja) 2021-07-08
EP3808329A4 (en) 2021-08-18
TW202017558A (zh) 2020-05-16
CN112638359A (zh) 2021-04-09
EP3808329A1 (en) 2021-04-21
WO2020004649A1 (ja)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794B1 (ko) 분산액 및 하이드로겔 형성방법
JP5971487B2 (ja) 化粧料の製造方法、化粧料用ゲルの調製方法及び化粧料原料に配合される高分子増粘剤の使用量を軽減する方法
KR101781814B1 (ko)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그리고 의료용 기기
KR102158165B1 (ko) 하이드로겔 형성재료, 프리믹스 및 하이드로겔 형성방법
KR102674582B1 (ko)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스틱상 기재
JP7460962B2 (ja) 被膜形成組成物
JP6734568B2 (ja) 脂質ペプチド型化合物を含有するスティック状基材
JP6803732B2 (ja) γ−オリザノール含有化粧料
KR20200116478A (ko) 기능성 다당 입자
JP2010070492A (ja) 化粧料
JP6802711B2 (ja) 脂質ペプチド型化合物を含有する保湿基材
JP2013067594A (ja) モモ樹脂を含有する化粧料
JP7309428B2 (ja) ホスファチジルイノシトール含有化粧料又は皮膚外用剤
KR102419538B1 (ko)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증점성 조성물
WO2021132653A1 (ja) 汚染防止材料
KR102294367B1 (ko)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스틱상 기재의 경도조정방법
KR20200108447A (ko) 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JP2017109945A (ja) シネフリン含有イノシトール三リン酸受容体発現誘導剤
JP2020158396A (ja) エリスリタン誘導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020158397A (ja) 環状炭酸エステルを含有する化粧料
WO2022092284A1 (ja) 脂質ペプチドとショ糖エステルを含む組成物
WO2021132668A1 (ja) 浸透促進材料
WO2016031079A1 (ja) フェニルエチルアミン誘導体又はシネフリン含有アデノシン三リン酸フォスファターゼ発現誘導剤
JP6832676B2 (ja) 化粧料
JP2022189546A (ja) 脂質の流動化を高める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