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792A - 플랜트용 모듈 - Google Patents

플랜트용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792A
KR20210023792A KR1020207015558A KR20207015558A KR20210023792A KR 20210023792 A KR20210023792 A KR 20210023792A KR 1020207015558 A KR1020207015558 A KR 1020207015558A KR 20207015558 A KR20207015558 A KR 20207015558A KR 20210023792 A KR20210023792 A KR 20210023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passage
placement unit
module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5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지 사토
나오코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닛키 글로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키 글로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키 글로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37025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819B1/ko
Publication of KR20210023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7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81/00Repairing or maintaining vess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5/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or agricultural purposes
    • E04H5/02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purposes, e.g. for power-plants or fact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4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combustion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Abstract

(과제) 작업 효율을 유지하면서 유지보수시에 용이하게 기기를 반출할 수 있는 컴팩트한 플랜트용 모듈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기기가 배치된 복수의 배치 유닛과, 상기 배치 유닛에 연결설치되고, 작업자가 상기 배치 유닛에 대해서 작업을 행하기 위한 비계와, 상기 배치 유닛 및 상기 비계가 얹혀지는 데크와, 2개의 상기 배치 유닛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기기를 반송하기 위한 통로와, 상기 통로로부터 상기 비계를 퇴피시키는 퇴피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비계는, 일측의 상기 배치 유닛과 타측의 상기 배치 유닛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통로 위에서 일측의 상기 배치 유닛과 타측의 상기 배치 유닛을 잇는다.

Description

플랜트용 모듈
본 발명은, 기기가 배치된 복수의 배치 유닛을 구비한 플랜트용 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FLNG 설비(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등의 플랜트의 일 단위를 구성하는 기계 블록인 모듈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모듈에 있어서는, 가스터빈과 이 가스터빈의 구동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가 내부에 배치된 배치 유닛이 복수 배치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모듈(122)에서는, 복수의 배치 유닛(126) 중 적어도 2개의 배치 유닛(126)은, 간격을 두고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배치 유닛(126)끼리의 사이에는, 통로(128)가 형성되어 있고, 각 배치 유닛(126)에는 전용의 비계(116)가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모듈(122)에 있어서는, 가스터빈(110)이나 발전기(도시하지 않음)에 대한 보수, 관리 등의 일상적인 작업이나, 가스터빈(110)이나 발전기의 정기점검 등의 정기적인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가스터빈(110)이나 발전기는, 데크(104)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비계(116)는, 일상적인 작업을 하기 쉽게 하도록 소정의 높이에 설치된다.
가스터빈(110)의 정기 유지보수시에는, 가스터빈(110)의 주요 구성부인 코어가 가스터빈(110)으로부터 인출된다. 코어는, 데크(104)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비계(116)의 위쪽을 통과하여 서로 이웃하는 비계(116) 사이의 통로(128) 상에 내려놓는다. 내려진 코어는, 비계(116) 사이에 형성된 통로(128)를 통해 모듈(122) 밖으로 반출된다.
일본 특표2015-518943호 공보
그런데, FLNG 설비를 구성하는 모듈(122)은, 이상과 같이 기기의 유지보수에 필요한 스페이스를 확보하면서도, 한정된 스페이스에 모든 기기를 설치하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모듈(122)에서는, 정기 유지보수시에 가스터빈(110)을 반출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는 있지만, 각 가스터빈(110)에 비계(116)를 설치하여 해당 스페이스를 확보하고 있다는 점에서, 모듈(122)의 공간 절감에 대해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고,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한, 전술한 개선의 여지는, FLNG 설비 등의 부유식 설비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지상에 건설되는 천연가스 처리설비 등, 모듈로 구성되는 대형의 플랜트 전반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지보수시에 기기를 반출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면서, 컴팩트한 플랜트용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사항을 포함한다.
[1] 기기가 배치된 복수의 배치 유닛과,
상기 배치 유닛에 연결설치되고, 작업자가 상기 배치 유닛에 대해서 작업을 행하기 위한 비계와,
상기 배치 유닛 및 상기 비계가 얹혀지는 데크와,
2개의 상기 배치 유닛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기기를 반송하기 위한 통로와,
상기 통로로부터 상기 비계를 퇴피시키는 퇴피 수단
을 구비하며,
상기 비계는, 일측의 상기 배치 유닛과 타측의 상기 배치 유닛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통로 위에서 일측의 상기 배치 유닛과 타측의 상기 배치 유닛을 잇는, 플랜트용 모듈.
[2] 상기 비계는, 상기 기기가 반송되는 반송경로 상에 위치하는 반송경로 상측비계와, 상기 반송경로 외측에 위치하는 반송경로 외측비계를 가지며,
상기 반송경로 상측비계와 상기 반송경로 외측비계는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반송경로 상측비계는 상기 퇴피 수단을 가지는, [1]의 플랜트용 모듈.
[3] 상기 비계는,
작업자가 이동하기 위한 바닥면을 가지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를 상기 데크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유지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를 상기 데크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상기 데크를 접합하는 접합 부재
를 구비하며,
상기 접합 부재가 제거되는 것에 의해 상기 통로로부터 퇴피되는, [1] 또는 [2]의 플랜트용 모듈.
[4] 상기 비계는, 상기 기둥부와 상기 데크와의 사이에 배치된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퇴피 수단은 상기 롤러인, [3]의 플랜트용 모듈.
[5] 상기 비계는,
작업자가 이동하기 위한 바닥면을 가지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기 위한 힌지부
를 구비하며,
상기 퇴피 수단은 상기 힌지부이며,
상기 비계는, 상기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바닥부를 회동시켜 상기 통로로부터 퇴피되는, [1] 또는 [2]의 플랜트용 모듈.
[6] 상기 비계는,
작업자가 이동하기 위한 바닥면을 가지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를 연직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리프트부
를 구비하며,
상기 퇴피 수단은 상기 리프트부이며,
상기 비계는, 상기 리프트부를 통하여 상기 바닥부를 상승시켜 상기 통로로부터 퇴피되는, [1] 또는 [2]의 플랜트용 모듈.
[7] 상기 비계의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비계를 매달아 연직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매달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퇴피 수단은 상기 매달림부인, [1] 또는 [2]의 플랜트용 모듈.
[8] 상기 기기는 가스터빈인, [1] ~ [7] 중 어느 하나의 플랜트용 모듈.
[9] 부유식 설비에 배치되는, [1] ~ [8] 중 어느 하나의 플랜트용 모듈.
[10] 상기 부유식 설비는, FLNG 설비(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인, [9]의 플랜트용 모듈.
본 발명에 의하면, 유지보수시에 기기를 반출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면서, 컴팩트한 플랜트용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플랜트용 모듈을 나타내는 개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플랜트용 모듈의 주요부를 위쪽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플랜트용 모듈의 주요부를 측면(도 2의 X방향)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플랜트용 모듈의 주요부를 측면(도 2의 Y방향)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기둥부의 기초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비계를 퇴피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기둥부의 기초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비계의 퇴피 수단으로서 힌지부를 구비한 경우의 모식도로서, 도 8의 (a)는 플랜트용 모듈의 주요부를 위쪽으로부터 본 모식도이고, 도 8의 (b)는 플랜트용 모듈의 주요부를 측면(도 8의 (a)의 Z방향)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비계의 퇴피 수단으로서 힌지부를 구비한 경우의 모식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비계의 퇴피 수단으로서, 도 10의 (a)는 리프트부를 구비한 경우의 모식도이고, 도 10의 (b)는 매달림부를 구비한 경우의 모식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플랜트용 모듈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플랜트용 모듈에 대해, 가스터빈 발전 플랜트를 구성하는 모듈을 예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모듈을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플랜트용 모듈(2)(이하, 간단히 모듈(2)이라고 한다.)은, FLNG 설비(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 설비)나 FPSO 설비(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system: 부유식 해양 석유·가스 생산 저장 및 하역 설비) 등의 부유식 설비에 탑재되는 플랜트의 일 단위를 구성하는 기계 블록이며, 데크(4)에 의해 복수의 층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 4는, 모듈(2) 내에 있어서 기기를 배치하기 위한 단위구획인 배치 유닛(6)의 모식도이다. 여기서, 도 2는 배치 유닛(6)을 위쪽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 3은 이것들을 도 2에 나타내는 X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또, 도 4는 이것들을 도 2에 나타내는 Y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모듈(2) 내에 배치된 복수의 배치 유닛(6) 가운데, 2개의 배치 유닛(6)만을 표시하고 있다.
도 2 ~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2)은, 기기가 배치된 복수의 배치 유닛(6)과 배치 유닛(6)에 연결설치되고, 작업자(H)가 배치 유닛(6)에 대해서 작업을 행하기 위한 비계(7)와, 배치 유닛(6) 및 비계(7)가 얹혀진 데크(4)와, 2개의 배치 유닛(6) 사이에 형성되고, 기기를 반송하기 위한 통로(8)와, 이 통로(8)로부터 비계(7)를 퇴피시키는 퇴피 수단(9)(도 5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치 유닛(6) 상에는 가스터빈(10), 발전기(12) 등의 기기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발전기(12)는, 가스터빈(10)의 구동에 의해 발전하는 기기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치 유닛(6)은,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스터빈(10)은, 샤프트(도시하지 않음) 길이방향이 배치 유닛(6)의 장변방향에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배치 유닛(6)은, 장변끼리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서로 이웃하는 배치 유닛(6)은, 가스터빈(10)이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통로(8)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배치 유닛(6) 사이에 형성되고, 가스터빈(10)이나 발전기(12)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경로로서의 역할도 가지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계(7)는, 일측의 배치 유닛(6a)과 타측의 배치 유닛(6b)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통로(8) 위에서 일측의 배치 유닛(6a)과 타측의 배치 유닛(6b)을 잇고 있다. 비계(7)는, 작업자(H)가 배치 유닛(6)에 대해서 작업을 행하기 위한 작업 바닥이며, 배치 유닛(6)에 연결설치되어 있다. 또한, 작업으로서는, 예를 들어, 가스터빈(10)이나 발전기(12)에 대한 보수, 관리 등의 일상적인 작업이나, 가스터빈(10)이나 발전기(12)의 정기 유지보수 등의 정기적인 작업이 행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비계(7)는, 바닥부(18)와 기둥부(20)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부(18)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작업자(H)가 이동하기 위한 바닥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 기둥부(20)는, 데크(4)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되고, 바닥부(18)를 데크(4)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비계(7)는, 통로(8) 위에 위치하고, 또한 통로(8)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양 사이드에 위치하는 일측의 배치 유닛(6a)과 타측의 배치 유닛(6b)과를 연결하고 있다. 그 때문에, 작업자(H)는, 일측의 배치 유닛(6a)에서 작업을 끝낸 후에 통로(8)에 내려가지 않고도, 비계(7)를 건너 용이하게 타측의 배치 유닛(6b)으로 이동하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작업원의 일상적인 작업의 부담이 경감된다.
도 5는, 기둥부(20)의 기초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계(7)는 퇴피 수단(9)을 구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계(7)는, 기둥부(20)와 데크(4)와의 사이에 퇴피 수단(9)으로서의 롤러(22)를 구비한다. 롤러(22)는, 기둥부(20)의 하단과 데크(4)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롤러(22)는, 비계(7)를 통로(8)로부터 퇴피(이동)시킬 때에 이용된다.
또, 롤러(22)를 사이에 둔 기둥부(20)의 양측에는, 기둥부(20)를 착탈 가능하게 데크(4)에 고정하는 고정부인 플레이트(2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24)와 데크(4), 및 플레이트(24)와 기둥부(20)는, 각각 플랜지(24a, 24b)를 통하여 접합 부재인 볼트(26)로 접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레이트(24)는 롤러(22)가 부착된 기둥부(20)에 설치되어, 기둥부(20)가 데크(4)에 대해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가동 부분인 롤러(22)를 사이에 두고 플레이트(24)를 배치하고, 롤러(22)가 부착된 기둥부(20)를 직접 데크(4)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특히 해상에 있어서 흔들림에 강한 비계(7)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유지보수의 대상이 되는 기기를 반출하는 경우의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정기점검의 결과, 어느 가스터빈(10)의 유지보수가 필요하게 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계(7)가 통로(8) 위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H)는, 도 5에 나타내는 볼트(26)를 데크(4) 및 플레이트(24)로부터 제거한다. 다음에, 작업자(H)는, 통로(8) 상에서 롤러(22)를 주행시켜 비계(7)를 이동시키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계(7)를 통로(8) 밖으로 퇴피시킨다. 다음에, 유지보수가 필요하게 된 가스터빈(10)의 코어(11)를 통로(8) 상으로 인출시켜, 데크(4) 위에 내려놓는다. 내려진 코어(11)를 통로(8)를 따라 이동시켜, 모듈(2) 밖으로 반출시킨다. 반출된 코어(11)는 소정의 시설로 반송되고, 시설 내에서 유지보수가 행해진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모듈(2)에 의하면, 유지보수 대상이 되는 가스터빈(10)의 코어(11)의 반출경로 상에 위치하는 비계(7)(후술하는 반송경로 상측비계(7a))를 퇴피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유지보수시 비계(7)를 이동시킴으로써 코어(11)의 반출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계(7)를 퇴피시킴으로써, 가스터빈(10)으로부터 코어(11)를 인출시켜 데크(4) 상에 내려놓기 위한 연직방향으로 확장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내려진 코어(11)를 모듈(2) 밖으로 반출시키기 위한 수평방향으로 퍼지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각의 배치 유닛(6)에 독립적인 비계가 불필요하게 되고, 배치 유닛(6)끼리를 접근시켜 설치한 컴팩트한 모듈(2)을 실현할 수 있음과 함께, 유지보수시에 용이하게 가스터빈(10)의 코어(11)를 반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비계(7)의 공유화에 의해 배치 유닛(6)끼리를 접근시켜 설치할 수 있는 만큼, 모듈(2)의 폭을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비계(7)를 통로(8)로부터 퇴피 가능하게 하여 유지보수시에 가스터빈(10)의 코어(11)를 반출하기 위한 스페이스도 확보할 수 있다. 또, 비계(7)를 통로(8) 밖으로 퇴피시킬 때에는, 롤러(22)를 통로(8) 상에서 주행시키면서 이동시키기 때문에, 퇴피 작업이 용이하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모듈(2)에 의하면, 인접하는 배치 유닛(6) 사이를 연결하도록 비계(7)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공통의 비계(7)를 사용하여 양쪽의 배치 유닛(6)에 대한 일상적인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2)은, 전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20)를 착탈 가능하게 데크(4)에 고정하는 고정부로서, 롤러(22)를 사이에 둔 기둥부(20)의 양측에, 단면 L자형상의 L자 플레이트(25)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해상에 있어서 흔들림에 강한 비계(7)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볼트(26)나 롤러(22)가 비계(7)의 퇴피 수단(9)으로서 기능하여, 볼트(26)를 데크(4) 및 플레이트(24)로부터 제거하고, 기둥부(20) 아래에 배치된 롤러(22)를 굴리는 것에 의해, 비계(7)를 통로(8) 밖으로 퇴피시키고 있지만, 비계(7)의 퇴피 수단(9)은 볼트(26)나 롤러(22) 이외의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계(7)의 퇴피 수단(9)으로서 비계(7)에 힌지부(30)가 구비되고, 힌지부(30)를 축으로 하여 바닥부(18)를 개폐하는 것에 의해 비계(7)를 통로(8)의 위로부터 퇴피시킬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스터빈(10)의 코어(11)를 반출할 때,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30)를 축으로 하여 바닥부(18)를 위쪽으로 회동시켜, 바닥부(18)를, 코어(11)를 인출하는 가스터빈(10)과는 반대쪽에 위치하는 가스터빈(10) 측으로 접어 비계(7)를 퇴피시킬 수 있다. 그리고, 타측의 배치 유닛(6b)으로부터 코어(11)를 인출하여, 통로(8) 상에 내려놓은 다음에(도 8의 (b)의 점선 화살표 참조) 반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일상적인 작업의 부담을 경감시키면서, 유지보수시에 용이하게 가스터빈(10)의 코어(11)를 반출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a)에는, 힌지부(30)가 일측의 배치 유닛(6a) 쪽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힌지부(30)는, 타측의 배치 유닛(6b) 쪽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 힌지부(30)는, 일측의 배치 유닛(6a) 및 타측의 배치 유닛(6b)의 양쪽 모두에 설치되어, 어떤 배치 유닛(6) 쪽으로도 접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도 8의 (a), (b)에서는, 힌지부(30)를 축으로 하여 바닥부(18) 전체를 회동시키고 있지만, 바닥부(18)의 일부만을 회동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8)를 중앙에서 2등분하고, 가스터빈(10)의 코어(11)를 반출하는 쪽과는 반대쪽에 위치하는 바닥부(18)만을 접을 수 있다. 그리고, 타측의 배치 유닛(6b)으로부터 코어(11)를 인출하고, 바닥부(18)의 위쪽을 통과시킨 다음에 통로(8) 상에 내려놓을 수 있다(도 9의 점선 화살표 참조).
또,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계(7)는, 바닥부(18)를 연직방향으로 상하이동시키는 리프트부(32)를 퇴피 수단(9)으로서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스터빈(10)의 코어(11)를 반출할 때 리프트부(32)를 상승시켜 비계(7)를 위쪽으로 퇴피시킨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일상적인 작업의 부담을 경감시키면서, 유지보수시에 용이하게 코어(11)를 반출할 수 있다.
또,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2)은, 통로(8)의 위쪽(천정측)에 위치하는 데크(4)에, 예를 들어, 비계(7)를 매달아 연직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매달림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매달림부는, 풀리(34)와, 이 풀리(34)에 권취 가능하게 접속된 체인(36)을 가지는 윈치(33)일 수 있다. 이 경우, 비계(7)에 도시하지 않은 후크 등의 걸림부를 설치하고, 이 걸림부에 걸려 있는 체인(36)을 풀리(34)로 감거나 풀어 바닥부(18)를 연직방향으로 상하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윈치(33)가 비계(7)의 퇴피 수단(9)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풀리(34)는, 천정측이 되는 데크(4)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것일 수도 있고, 매달은 비계(7)를 통로(8)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통로(8)로부터 퇴피시킬 수도 있다. 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매달림부는, 천정에 고정된 상설 크레인일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 반입되는 크레인일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8)는, 기기로서의 코어(11)가 반송되는 경로가 되는 반송경로(8a)와, 반송경로(8a) 이외의 부분인 비반송경로(8b)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즉, 비반송경로(8b)는, 통로(8) 중에서 코어(11)가 통과하지 않는 부분이다. 그리고, 비계(7)는, 반송경로(8a)상에 위치하는 반송경로 상측비계(7a)와, 상기 반송경로(8a)의 외측(비반송경로(8b))에 위치하는 반송경로 외측비계(7b)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반송경로 상측비계(7a)와 반송경로 외측비계(7b)는 서로 분리되어 있고, 각각 독립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측의 배치 유닛(6a)으로부터 가스터빈(10)의 코어(11)를 반출하고, 타측의 배치 유닛(6b)으로부터는 가스터빈(10)의 코어(11)를 반출하지 않는 경우, 가스터빈(10)의 코어(11)가 반송되는 반송경로(8a)가 되는 통로(8) 위에 위치하는 반송경로 상측비계(7a)가 퇴피 수단(9)을 가져, 이 반송경로 상측비계(7a)를 퇴피시킨다. 한편, 반송경로(8a)가 되지 않는 통로(8) 위에 위치하는 반송경로 외측비계(7b)에 대해서는 퇴피시킬 필요가 없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듈(2)이 FLNG 설비나 FPSO 설비 등의 부유식 설비에 탑재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모듈(2)은, 지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는, 지상에 건설되는 천연가스 처리 설비 등의 대형 플랜트를 구성하는 모듈(2)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스터빈(10)이 배치 유닛(6)에 탑재되고, 가스터빈(10)의 코어(11)를 반출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지만, 가스터빈(10)의 코어(11) 이외의 기기를 배치 유닛(6)에 탑재하여 반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스터빈(10)이 설치된 한 쌍의 배치 유닛(6)이 데크(4) 위에 서로 이웃하여 얹혀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기기가 서로 이웃하는 배치 유닛(6)에 얹혀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측의 배치 유닛(6a)에 가스터빈(10)이 설치되고, 타측의 배치 유닛(6b)에 펌프가 설치되고, 일측의 배치 유닛(6a)과 타측의 배치 유닛(6b)과의 사이에 통로(8)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 예를 들어, 서로 이웃하는 배치 유닛(6) 중 일측의 배치 유닛(6a)에 설치된 기기는 유지보수시에 통로(8)에 인출되어 반출되고, 타측의 배치 유닛(6b)에 설치된 기기는 유지보수시에 반출되지 않고 타측의 배치 유닛(6b) 내에서 유지보수되는 것일 수도 있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한 쌍의 플레이트(24)는, 롤러(22)의 이동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기둥부(20) 양측으로 설치되어 있다(도 5, 7 참조). 그렇지만, 한 쌍의 플레이트(24)는, 롤러(22)의 이동방향에 있어서의 기둥부(20) 양측으로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적어도 2개의 배치 유닛(6)이 데크(4)에 얹혀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개 이상의 배치 유닛(6)이 데크(4)에 서로 이웃하여 얹혀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3개 이상의 배치 유닛(6)이 일렬로 늘어서고, 서로 이웃하는 각각의 배치 유닛(6) 사이에 통로(8)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2: 모듈, 4: 데크, 6: 배치 유닛, 6a: 일측의 배치 유닛, 6b: 타측의 배치 유닛, 7: 비계, 8: 통로, 9: 퇴피 수단, 10: 가스터빈, 11: 코어, 12: 발전기, 18: 바닥부, 20: 기둥부, 22: 롤러(퇴피 수단), 24: 플레이트(고정부), 24a: 플랜지, 24b: 플랜지, 25: L자 플레이트, 26: 볼트, 30: 힌지부(퇴피 수단), 32: 리프트부(퇴피 수단), 33: 윈치(퇴피 수단), 34: 풀리, 36: 체인, 104: 데크, 110: 가스터빈, 116: 비계, 122: 모듈, 126: 배치 유닛, 128: 통로.

Claims (10)

  1. 기기가 배치된 복수의 배치 유닛과,
    상기 배치 유닛에 연결설치되고, 작업자가 상기 배치 유닛에 대해서 작업을 행하기 위한 비계와,
    상기 배치 유닛 및 상기 비계가 얹혀지는 데크와,
    2개의 상기 배치 유닛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기기를 반송하기 위한 통로와,
    상기 통로로부터 상기 비계를 퇴피시키는 퇴피 수단
    을 구비하며,
    상기 비계는, 일측의 상기 배치 유닛과 타측의 상기 배치 유닛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통로 위에서 일측의 상기 배치 유닛과 타측의 상기 배치 유닛을 잇는, 플랜트용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계는, 상기 기기가 반송되는 반송경로 상에 위치하는 반송경로 상측비계와, 상기 반송경로 외측에 위치하는 반송경로 외측비계를 가지며,
    상기 반송경로 상측비계와 상기 반송경로 외측비계는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반송경로 상측비계는 상기 퇴피 수단을 가지는, 플랜트용 모듈.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비계는,
    작업자가 이동하기 위한 바닥면을 가지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를 상기 데크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유지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를 상기 데크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상기 데크를 접합하는 접합 부재
    를 구비하며,
    상기 비계는 상기 접합 부재가 제거되는 것에 의해 상기 통로로부터 퇴피되는, 플랜트용 모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비계는, 상기 기둥부와 상기 데크와의 사이에 배치된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퇴피 수단은 상기 롤러인, 플랜트용 모듈.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비계는,
    작업자가 이동하기 위한 바닥면을 가지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기 위한 힌지부
    를 구비하며,
    상기 퇴피 수단은 상기 힌지부이며,
    상기 비계는, 상기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바닥부를 회동시켜 상기 통로로부터 퇴피되는, 플랜트용 모듈.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비계는,
    작업자가 이동하기 위한 바닥면을 가지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를 연직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리프트부
    를 구비하며,
    상기 퇴피 수단은 상기 리프트부이며,
    상기 비계는, 상기 리프트부를 통하여 상기 바닥부를 상승시켜 상기 통로로부터 퇴피되는, 플랜트용 모듈.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비계의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비계를 매달아 연직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매달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퇴피 수단은 상기 매달림부인, 플랜트용 모듈.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가스터빈인, 플랜트용 모듈.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유식 설비에 배치되는, 플랜트용 모듈.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설비는, FLNG 설비(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인, 플랜트용 모듈.
KR1020207015558A 2018-06-26 2018-06-26 플랜트용 모듈 KR202100237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25789A KR102653819B1 (ko) 2018-06-26 플랜트용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24169 WO2020003376A1 (ja) 2018-06-26 2018-06-26 プラント用モジュール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5789A Division KR102653819B1 (ko) 2018-06-26 플랜트용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792A true KR20210023792A (ko) 2021-03-04

Family

ID=68986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5558A KR20210023792A (ko) 2018-06-26 2018-06-26 플랜트용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20210023792A (ko)
CN (1) CN111433424B (ko)
BR (1) BR112020012798B1 (ko)
SG (1) SG11202005506QA (ko)
WO (1) WO202000337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18943A (ja) 2012-06-08 2015-07-06 ヌオーヴォ ピニォーネ ソチエタ レスポンサビリタ リミタータNuovo Pignone S.R.L. ヘビーデューティガスタービンを備えたモジュール式ガスタービンプラン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6423Y2 (ko) * 1977-09-02 1981-10-30
JPS62129064A (ja) * 1985-11-29 1987-06-11 前澤工業株式会社 高層建築物用緊急避難装置
JPS62299797A (ja) * 1986-06-20 1987-12-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高圧タ−ビン点検分解用架台
JPH09310484A (ja) * 1996-05-21 1997-12-02 Takenaka Komuten Co Ltd 大空間対応吊り足場構築システム
JP5532547B2 (ja) * 2008-05-21 2014-06-25 株式会社大林組 作業方法
JP5713203B2 (ja) * 2012-03-27 2015-05-07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収納設備
JP2015068102A (ja) * 2013-09-30 2015-04-13 株式会社Ihiインフラシステム 渡り通路装置
JP6162086B2 (ja) * 2014-09-02 2017-07-12 三井造船株式会社 浮体式洋上設備、及び、浮体式洋上設備の電力供給方法
CN105298715A (zh) * 2015-08-10 2016-02-03 方祖彭 深水能源发电站、动力站、船舶动力装置及其海上浮城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18943A (ja) 2012-06-08 2015-07-06 ヌオーヴォ ピニォーネ ソチエタ レスポンサビリタ リミタータNuovo Pignone S.R.L. ヘビーデューティガスタービンを備えたモジュール式ガスタービンプラ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0012798A2 (pt) 2020-11-24
SG11202005506QA (en) 2020-07-29
CN111433424A (zh) 2020-07-17
CN111433424B (zh) 2022-03-08
BR112020012798B1 (pt) 2023-11-28
WO2020003376A1 (ja) 2020-01-02
KR20230117474A (ko) 202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8643B2 (en) Transportation systems, elevator systems, kits, tower section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ssembly or maintenance operations in towers
KR20170101786A (ko) 발전기, 발전기의 기초대, 및 발전기의 보수 방법
CN104066974A (zh) 风力涡轮机叶片的保持系统、运输系统和用其运输风力涡轮机叶片的方法
JP2019031781A (ja) 片持ち張り出し作業車の撤去工法
JP2006348691A (ja) 建物の外壁部の施工システム
KR20180022951A (ko) 풍력 터빈 부품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풍력 터빈 부품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시스템
CN112591481A (zh) 集装箱码头全自动拆装锁站布置方法
US4102038A (en) Method of assembling collector electrode panels in electrostatic precipitators
KR20210023792A (ko) 플랜트용 모듈
KR102653819B1 (ko) 플랜트용 모듈
KR101785880B1 (ko) 발전기의 점검 방법
KR20140098362A (ko) 윈치 가이드 장치
CN104276479B (zh) 升降机重量物用起重方法及升降卷扬机用起重方法
CN109812027A (zh) 一种卸料平台及其安装方法
JP2019206423A (ja) 揚重雇、及び、その楊重雇を用いた重量物の楊重運搬方法
KR101581771B1 (ko) 풍력발전기의 나셀의 내부 기계 교체 및 보수 시스템
KR102018247B1 (ko) 초중량급 중량물 운반장치
JP4904927B2 (ja) 貯槽側板の更新施工法
CN218908602U (zh) 一种矿仓检修间
CN112192503A (zh) 一种将塔器安装于冷箱内的安装方法
CN104670805A (zh) 悬挂式可拆卸防护罩及在胶带运输机在线改造中的应用
CN115838135A (zh) 一种用于安装金属风道的简易装置及施工方法
JP7430400B2 (ja) トランスファークレーンの嵩上げ工事方法、及び嵩上げ用ポスト
JP2010275821A (ja) プラント施設建設におけるモジュール工法およびモジュール工法用定盤
CN214696949U (zh) 智能化自爬升卸料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