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742A - 루프 안테나 - Google Patents

루프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742A
KR20210023742A KR1020200104219A KR20200104219A KR20210023742A KR 20210023742 A KR20210023742 A KR 20210023742A KR 1020200104219 A KR1020200104219 A KR 1020200104219A KR 20200104219 A KR20200104219 A KR 20200104219A KR 20210023742 A KR20210023742 A KR 20210023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element
antenna
stopper
spindle
aper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이네르 셰만
Original Assignee
히르쉬만 카 커뮤니케이션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르쉬만 카 커뮤니케이션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히르쉬만 카 커뮤니케이션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023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7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01Q1/1214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through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7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mounted on a horizontal surface of the vehicle, e.g. on roof, hood, tru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8Quick-releasable antenna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루프 안테나는 베이스 플레이트, 스핀들, 스핀들 상에 배열된 드라이버 및 로킹 엘리먼트를 갖는 안테나 베이스를 포함한다. 로킹 엘리먼트는 래칭 후크를 각각 갖는 2개의 림들을 갖는다. 림들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애퍼처를 통해 확장된다. 스핀들 상의 드라이버의 병진 이동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수직인 변위 방향으로 로킹 엘리먼트의 변위로 전달된다.

Description

루프 안테나{ROOF ANTENNA}
본 특허 출원은 루프 안테나(roof antenna) 및 루프 안테나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루프 상에 장착하기 위한 루프 안테나들은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다. 장착을 위해, 알려져 있는 많은 루프 안테나들은 루프의 상측 및 루프의 하측 둘 다로부터의 진입(access)을 요구한다. 그러나, 루프의 하측으로부터의 진입은 거기에 설치(fit)된 트림(trim)으로 인해 자주 복잡하다.
본 발명의 문제는 루프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 문제는 루프 안테나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을 특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독립항들의 특징들을 갖는 루프 안테나 및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다양한 개발들이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루프 안테나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스핀들(spindle), 스핀들 상에 배열된 드라이버 및 로킹 엘리먼트(locking element)를 갖는 안테나 베이스를 포함한다. 로킹 엘리먼트는 래칭 후크(latching hook)를 각각 갖는 2개의 림(limb)들을 갖는다. 림들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애퍼처(aperture)를 통해 연장된다. 스핀들 상의 드라이버의 병진 이동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수직인 변위 방향으로 로킹 엘리먼트의 변위로 전달된다. 이 루프 안테나는 루프의 내측으로부터 요구되는 진입 없이 루프의 외측 상에 유리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것은 로킹 엘리먼트에 의해 루프 상에 로킹(lock)될 수 있는 이 루프 안테나의 안테나 베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이 경우, 로킹 엘리먼트는 스핀들 및 드라이버에 의해 루프의 외측에서 로킹될 수 있다.
루프 안테나의 일 실시예에서, 로킹 엘리먼트의 림들은 스핀들 상의 드라이버의 병진 이동에 의해 탄력적으로 벌어질 수 있다. 유리하게, 로킹 엘리먼트의 림들의 벌어짐은 루프 상의 안테나 베이스의 로킹을 지지한다. 이것으로부터 나타나는 특정 이점은, 루프 안테나의 로킹 엘리먼트의 림들이 벌어지지 않는 한, 이러한 루프 안테나의 안테나 베이스가 특히 단순히 루프의 장착 애퍼처 상에 배열될 수 있다는 점이다. 로킹 엘리먼트의 림들의 이후의 벌어짐의 결과로서, 루프 안테나의 안테나 베이스는 장착 애퍼처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루프 안테나의 일 실시예에서, 로킹 엘리먼트의 림들 사이에 드라이버가 배열된다. 유리하게, 이것은 스핀들 상의 드라이버의 병진 이동이 변위 방향으로 로킹 엘리먼트의 변위로 전달될 수 있는 특히 단순한 구성을 초래한다. 로킹 엘리먼트의 림들 사이의 드라이버의 배열은, 유리하게 그리고 특히 단순한 방식으로, 로킹 엘리먼트의 림들이 스핀들 상의 드라이버의 병진 이동에 의해 탄력적으로 벌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루프 안테나의 일 실시예에서, 드라이버는 2개의 핀들을 갖는다. 이 경우, 로킹 엘리먼트의 각각의 림은 각각 하나의 세장형(elongate) 홀을 갖는다. 각각의 경우, 핀은 세장형 홀들 각각에 가이드(guide)된다. 유리하게, 드라이버 및 로킹 엘리먼트는, 드라이버의 병진 이동이 변위 방향으로 로킹 엘리먼트의 변위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로킹 엘리먼트의 세장형 홀들에 가이드되는 핀들에 의해 서로 커플링된다. 이 경우, 로킹 엘리먼트의 변위와 드라이버의 병진 이동 사이의 관계는 드라이버의 병진 이동의 방향 및 세장형 홀들의 배향에 의해 유리하게 결정될 수 있다.
루프 안테나의 일 실시예에서, 스핀들의 길이 방향(longitudinal direction)은 세장형 홀들의 길이 방향과 90도 미만의 각도를 형성하고, 변위 방향과 90도 미만의 각도를 형성한다. 이 경우, 스핀들의 길이 방향은 드라이버의 병진 이동 방향을 결정한다. 스핀들의 길이 방향, 세장형 홀들의 길이 방향 및 변위 방향의 이러한 배향의 결과로서, 드라이버의 병진 이동이 변위 방향으로 로킹 엘리먼트의 변위로 신뢰성있게 전달되는 것이 유리하게 달성된다.
루프 안테나의 일 실시예에서,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unstressed state)에서 로킹 엘리먼트의 림들은, 림들의 간격이 세장형 홀들의 제2 길이 방향 단부에서 보다 세장형 홀들의 제1 길이 방향 단부에서 더 작은 방식으로 배열된다. 유리하게, 이것은 스핀들 상의 드라이버의 병진 이동에 의해 로킹 엘리먼트의 림들의 탄력적 벌어짐을 달성하기 위한 단순한 설계 옵션을 구성한다. 이 경우, 드라이버가 제2 길이 방향 단부로부터 세장형 홀들의 제1 길이 방향 단부의 방향으로 세장형 홀들을 마이그레이팅(migrate)할 때, 드라이버는 로킹 엘리먼트의 림들을 누른다.
루프 안테나의 일 실시예에서, 그것은 커버를 갖는다. 이 경우, 스핀들, 드라이버 및 로킹 엘리먼트가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사이에 배열된다. 커버는 애퍼처를 가지며, 이 애퍼처를 통해 스핀들이 진입가능하다. 유리하게, 스핀들에 대한 이러한 진입은 루프 안테나의 안테나 베이스가 외부에서 루프의 장착 애퍼처에 로킹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을 목적으로, 스핀들은 병진 방식으로 드라이버를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변위 방향으로 로킹 엘리먼트의 변위를 달성하기 위해 회전된다.
루프 안테나의 일 실시예에서, 커버의 애퍼처에 내부 벽을 갖는 소켓이 배열된다. 이 경우, 루프 안테나는 외벽 및 로드(rod)를 갖는 스토퍼(stopper)를 포함한다. 스토퍼는 소켓에 배열될 수 있다. 로드는 스토퍼에 나사 결합(screw)될 수 있다. 따라서, 유리하게, 이 루프 안테나의 커버의 애퍼처는 또한 로드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루프 안테나의 일 실시예에서, 소켓의 내부 벽 상에 제1 스플라인 샤프트 프로파일이 형성된다. 제1 스플라인 샤프트 프로파일에 맞는 제2 스플라인 샤프트 프로파일이 스토퍼의 외벽 상에 형성된다. 유리하게, 제1 스플라인 샤프트 프로파일 및 제2 스플라인 샤프트 프로파일은 소켓에 배열된 스토퍼에 대한 비틀림 방지 보호를 보장한다. 이것은 스토퍼가 소켓에서 회전하지 않고도 로드가 스토퍼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루프 안테나의 일 실시예에서, 스토퍼의 외벽 상에 적어도 하나의 O-링이 배열된다. 유리하게, 루프 안테나의 주변에 대한 커버의 애퍼처의 밀봉이 결과적으로 달성된다. 결과적으로, 예컨대, 세차장에서 로드가 제거될 때에도, 루프 안테나가 충분히 밀봉된다는 것이 보장된다.
루프 안테나의 일 실시예에서, 스토퍼는, 로드가 스토퍼에 나사 결합될 때 소켓의 스토퍼를 로킹하는 고정 링을 갖는다. 유리하게, 스토퍼가 소켓에 배열되고 로드가 스토퍼에 나사 결합될 때 로드 및 스토퍼가 소켓으로부터 부주의하게 제거될 수 없는 것이 결과적으로 달성된다. 동시에, 로드가 스토퍼에 나사 결합되지 않을 때 소켓으로부터 스토퍼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루프 안테나의 장착해제가 가능해진다.
루프 안테나의 일 실시예에서, 안테나 베이스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애퍼처에 진입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를 갖는다. 이 플러그 커넥터는 루프 안테나의 전기적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유리하게, 루프 안테나의 전기적 접촉은, 안테나 베이스가 루프의 장착 애퍼처 상에 배열되고 로킹되기 이전에 발생할 수 있다.
전술된 타입의 루프 안테나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은, 로킹 엘리먼트의 림들이 장착 애퍼처를 통해 연장하는 방식으로 장착 애퍼처 위에 안테나 베이스를 배열하기 위한 단계, 및 로킹 엘리먼트의 래칭 후크들이 장착 애퍼처의 에지 상에 지탱(bear)하게 되는 방식으로 드라이버에 의해 로킹 엘리먼트를 변위시키기 위해 스핀들을 회전시키기 위한 단계를 포함한다. 유리하게, 이 방법은 장착 애퍼처의 반대측으로부터 요구되는 진입 없이 루프 안테나의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그것은 스토퍼를 소켓에 배열하고, 로드를 스토퍼에 나사 결합하기 위한 추가적 단계들을 포함한다. 유리하게, 결과적으로, 루프 안테나의 커버의 애퍼처는 밀봉되고, 루프 안테나는 완전히 장착된다.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그것은 장착 애퍼처 위에 안테나 베이스를 배열하는 단계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루프 안테나의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에 연결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한다. 유리하게, 이것은 루프 안테나의 전기적 접촉을 달성한다.
본 발명의 위에서 설명된 특성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도면들과 함께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들에서, 각각의 경우의 개략도에서,
도 1은 장착 이전에 루프 안테나의 안테나 베이스의 부분적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루프 안테나의 드라이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루프 안테나의 로킹 엘리먼트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로킹 이전에 루프의 장착 애퍼처 상에 배열된 안테나 베이스의 부분적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로킹 이전에 장착 애퍼처 상에 배열된 안테나 베이스의 추가적인 부분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로킹 이후에 장착 애퍼처 상에 배열된 안테나 베이스의 부분적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로킹 이후에 장착 애퍼처 상에 배열된 안테나 베이스의 추가적인 부분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애퍼처, 애퍼처에 배열된 소켓, 및 소켓에 배열될 수 있는 스토퍼를 갖는 루프 안테나의 커버의 부분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소켓 및 소켓에 배열된 스토퍼를 갖는 커버의 애퍼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커버의 애퍼처, 소켓, 스토퍼, 및 스토퍼에 나사 결합된 루프 안테나의 로드의 부분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루프의 장착 애퍼처 상에 장착된 루프 안테나의 부분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루프 안테나(10)의 일부의 약간 개략적이고 부분적인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루프 안테나(10)는 예컨대, 자동차의 루프 상에 장착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루프 안테나(10)는 예컨대, 라디오 수신을 위해 그리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모바일 라디오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루프 안테나(10)의 안테나 베이스(20)의 일부 및 루프 안테나(10)가 장착될 장착 애퍼처(41)를 갖는 루프(40)의 일부를 도시한다. 루프(40)는 예컨대, 자동차의 루프일 수 있다. 루프(40)의 상측 또는 외측이 도시된다.
안테나 베이스(20)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하측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갖는다. 예컨대, 베이스 플레이트는 플라스틱 재료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몇몇 서브엘리먼트들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애퍼처(110)를 갖는다. 환형 방식으로 애퍼처(110)와 경계를 이루는 밀봉 링(120)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하측 상에 제공된다. 그러나, 밀봉 링(120)은 또한 생략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하측의 반대쪽에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측 상에 홀더(130)가 형성된다.
안테나 베이스(20)는 커버(600)를 더 포함한다. 커버(600)는 예컨대, 플라스틱 재료를 가질 수 있다. 커버(600)는 안테나 베이스(20)의 내부 영역(25)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커버(600) 사이에서 둘러싸이는 방식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측 위에 배열된다. 홀더(130)는 안테나 베이스(20)의 내부 영역(25)에 배열된다. 안테나 베이스(20)의 내부 영역(25)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애퍼처(110)를 통해 진입가능하다. 더욱이, 커버(600)는 애퍼처(610)를 가지며, 이 애퍼처(610)를 통해 안테나 베이스(20)의 내부 영역(25)이 진입가능하다.
안테나 베이스(20)의 내부 영역(25)에 회로 보드(200)가 배열된다. 회로 보드(200)는 예컨대, PCB(printed circuit board)로 형성될 수 있다. 회로 보드(200)는, 예컨대, 전기 전도체 트랙들 및 전기 컴포넌트들 및 구조 엘리먼트들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도 1에 도시된 루프 안테나(10)의 안테나 베이스(20)의 예에서, 제1 플러그 커넥터(210) 및 제2 플러그 커넥터(220)는 회로 보드(200)에 연결된다. 그러나, 오직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 또는 2개 초과의 플러그 커넥터들이 제공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제1 플러그 커넥터(210) 및 제2 플러그 커넥터(22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애퍼처(110)를 통해 연장되고, 따라서 안테나 베이스(20) 외부로부터 진입가능하다.
루프 안테나(10)를 루프(40)의 장착 애퍼처(41) 상에 장착하기 위해, 안테나 베이스(20)의 제1 플러그 커넥터(210) 및 제2 플러그 커넥터(220)는, 제1 단계에서, 제1 플러그 커넥터 결합 부분(51)에 의해 제1 케이블(50)에 연결되고, 제2 플러그 커넥터 결합 부분(53)에 의해 제2 케이블(52)에 연결된다. 플러그 커넥터 결합 부분들(51, 53)에 연결된 케이블들(50, 52)은 자동차의 컴포넌트들로의 전기 전도성 연결들을 생성한다. 케이블들(50, 52)은 루프(40)의 장착 애퍼처(41)를 통해 차량 내부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케이블들(50, 52)에 연결된 플러그 커넥터 결합 부분들(51, 53)이 루프(40)의 외측 상에 진입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루프 안테나(10)의 안테나 베이스(20)가 루프(40) 상에 배치되기 이전에, 제1 케이블(50)에 연결된 제1 플러그 커넥터 결합 부분(51)을 안테나 베이스(20)의 제1 플러그 커넥터(210)에 연결하고, 제2 케이블(52)에 연결된 제2 플러그 커넥터 결합 부분(53)을 안테나 베이스(20)의 제2 플러그 커넥터(220)에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안테나 베이스(20)의 내부 영역(25)에 스핀들(300)이 배열된다. 스핀들(300)은 스핀들 나사산(310)을 갖는 나사산이 있는 스핀들(threaded spindle)로 형성되며, 이는 도면들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는다. 스핀들(300)은 길이 방향(330)을 갖고, 스핀들(300)이 그것의 길이 방향(330)에 평행한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고정 링(320)에 의해 홀더(130) 상에 홀딩된다. 길이 방향 단부에서, 스핀들(300)은 예컨대, 내부 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드라이브 프로파일(360)을 갖는다. 스핀들(300)의 드라이브 프로파일(360)은 커버(600)의 애퍼처(610)를 통해 안테나 베이스(20) 외부로부터 진입가능하다.
스핀들(300) 상에 드라이버(400)가 배열된다. 도 2는 루프 안테나(10)의 다른 컴포넌트들 없이 드라이버(400)의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다. 드라이버(400)는 도 2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스핀들 너트로 형성되고, 이것을 목적으로, 내부 나사산(440)을 갖는 관통-애퍼처(430)를 갖는다. 드라이버(400)의 내부 나사산(440)은 스핀들(300)의 스핀들 나사산(310)에 맞도록 형성된다. 드라이버(400)는 스핀들(300)이 드라이버(400)의 관통-애퍼처(430)를 통해 연장되는 방식으로 스핀들(300) 상에 배열된다. 결과적으로, 스핀들(300)의 길이 방향(330)에 평행한 그것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스핀들(300)의 회전 이동은 스핀들(300)의 길이 방향(330)을 따른 드라이버(400)의 병진 이동으로 변환된다.
자신의 외측에서, 드라이버는 제1 핀(410) 및 제1 핀(410)과 동일 선상에 있는 제2 핀(420)을 가지며, 이 제2 핀(420)은 제1 핀(410)의 반대쪽에 있다. 제1 핀(410) 및 제2 핀(420)은 스핀들(300)의 길이 방향(330)에 수직으로 배향된다.
더욱이, 도 1은 로킹 엘리먼트(500)가 안테나 베이스(20)의 내부 영역(25)에 배열되는 것을 도시한다. 로킹 엘리먼트(500)는 로킹 엘리먼트(500)가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수직으로 배향된 변위 방향(540)을 따라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홀더(130) 상에 홀딩된다.
도 1은 로킹 엘리먼트(5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루프 안테나(10)의 다른 컴포넌트들 없이 전체 로킹 엘리먼트(5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로킹 엘리먼트(500)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재료, 예컨대, 금속을 갖는다. 로킹 엘리먼트(500)는 예컨대, 판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3은 로킹 엘리먼트(500)가 탄력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501)의 로킹 엘리먼트(500)를 도시한다.
로킹 엘리먼트(500)는 제1 림(510), 및 제1 림(510)에 미러-대칭적으로(mirror-symmetrically) 형성되는 제2 림(520)을 갖는다. 미러 플레인(mirror plane)은 변위 방향(540)에 평행하게 배향된다. 로킹 엘리먼트(500)의 제1 림(510) 및 제2 림(520)은 연결 섹션(550)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연결 섹션(550)으로부터 시작하여, 림들(510, 520)은 변위 방향(54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연결 섹션(550)의 반대쪽에 있는 로킹 엘리먼트(500)의 래칭 단부(560)에서, 로킹 엘리먼트(500)의 제1 림(510) 및 제2 림(520)은 자유롭다. 결과적으로, 로킹 엘리먼트(500)의 실질적으로 U-형상의 기본 형상이 생성된다.
제1 림(510)은 로킹 엘리먼트(500)의 래칭 단부(560)에 제1 래칭 후크(511)를 갖는다. 제2 림(520)은 로킹 엘리먼트(500)의 래칭 단부(560)에 제2 래칭 후크(521)를 갖는다. 래칭 후크들(511, 521)은 각각 로킹 엘리먼트(500)의 대칭 플레인으로부터 외향으로 멀어지게 연장된다.
로킹 엘리먼트(500)의 제1 림(510)은 제1 세장형 홀(512)을 갖는다. 대응적으로, 로킹 엘리먼트(500)의 제2 림(520)은 제2 세장형 홀(522)을 갖는다. 제1 세장형 홀(512)은 제1 길이 방향 단부(513)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514)를 갖는다. 제2 세장형 홀(522)은 제1 길이 방향 단부(523)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524)를 갖는다. 이 경우, 세장형 홀들(512, 522)은 각각 길이 방향(530)을 따라 연장된다.
제1 림(510) 및 제2 림(520)은 서로 정확히 평행하게 배향되지 않는다. 오히려, 제1 세장형 홀(512)의 제1 길이 방향 단부(513)와 제2 세장형 홀(522)의 제1 길이 방향 단부(523) 사이에서 측정된 림들(510, 520)의 제1 간격(531)은 제1 세장형 홀(512)의 제2 길이 방향 단부(514)와 제2 세장형 홀(522)의 제2 길이 방향 단부(524) 사이에서 측정된 림들(510, 520)의 제2 간격(532)보다 작다.
도 1은 드라이버(400)가 로킹 엘리먼트(500)의 림들(510, 520) 사이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로킹 엘리먼트(500)가 안테나 베이스(20)의 내부 영역(25)에 배열되는 것을 도시한다. 드라이버(400)의 제1 핀(410)은 로킹 엘리먼트(500)의 제1 림(510)의 제1 세장형 홀(512)에 가이드된다. 드라이버(400)의 제2 핀(420)은 로킹 엘리먼트(500)의 제2 림(520)의 제2 세장형 홀(522)에 가이드된다. 결과적으로, 로킹 엘리먼트(500)는 스핀들(300) 상의 드라이버(400)의 병진 이동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수직인 변위 방향(540)으로 로킹 엘리먼트(500)의 변위를 야기하는 방식으로 드라이버(400)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된다. 래칭 후크들(511, 521)을 갖는 로킹 엘리먼트(500)의 림들(510, 520)의 래칭 단부(56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애퍼처(110)를 통해 안테나 베이스(20)의 내부 영역(25)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도면을 연대순으로 따르는 장착된 상태에서 루프(40)의 장착 애퍼처(41) 상에 안테나 베이스(20)를 장착하는 동안 안테나 베이스(20)의 사시도 및 각각의 경우의 부분적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이 경우, 도 4 및 도 5는 상이한 뷰잉 방향들로부터의 도면들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안테나 베이스(20)의 플러그 커넥터들(210, 220)을 케이블들(50, 52)에 연결한 이후에, 안테나 베이스(2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하측이 루프(40)의 외측을 향하고,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애퍼처(110)가 루프(40)의 장착 애퍼처(41) 위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루프(40)의 장착 애퍼처(41) 위에 배열되었다. 도면들에 도시된 예에서, 안테나 베이스(20)의 플러그 커넥터들(210, 220)은 루프(40)의 장착 애퍼처(41)를 통해 연장된다. 그러나, 이것은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루프(40)의 장착 애퍼처(41) 및 안테나 베이스(20)의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애퍼처(110)는 주변 밀봉 링(120)에 의해 외부로부터 밀봉된다. 그러나, 밀봉 링(120)은 또한 생략될 수 있다.
안테나 베이스(20)는, 로킹 엘리먼트(500)의 림들(510, 520)이 루프(40)의 장착 애퍼처(41) 및 로킹 엘리먼트(500)의 래칭 단부(560)를 통해 연장되는 방식으로 루프(40)의 장착 애퍼처(41) 위에 배열되었으며, 림들(510, 520) 상에 배열된 래칭 후크들(511, 521)은 루프(40)의 내측 상에 위치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상황에서, 루프 안테나(10)의 안테나 베이스(20)는 여전히 사전-장착 상태에 있다. 이 경우, 드라이버(400)는, 드라이버(400)의 제1 핀(410)이 로킹 엘리먼트(500)의 제1 세장형 홀(512)에서 제2 길이 방향 단부(514)에 가깝게 배열되고, 드라이버(400)의 제2 핀(420)이 로킹 엘리먼트(500)의 제2 세장형 홀(522)에서 제2 길이 방향 단부(524)에 가깝게 배열되는 방식으로 스핀들(300) 상에 포지셔닝된다. 로킹 엘리먼트(500)는 도 3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501)에 있다. 로킹 엘리먼트(500)의 이러한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501)에서, 로킹 엘리먼트(500)의 래칭 단부(560)에서의 림들(510, 520)의 간격은, 래칭 단부(560)가 래칭 단부(560)에 형성된 래칭 후크들(511, 521)에도 불구하고 루프(40)의 장착 애퍼처(41)를 통해 가이드될 수 있는 방식으로 치수화(dimension)된다. 따라서, 로킹 엘리먼트(500)의 2개의 래칭 후크들(511, 521)의 간격은 루프(40)의 장착 애퍼처(41)의 직경보다 작다.
스핀들(300)의 길이 방향(330)은 로킹 엘리먼트(500)의 세장형 홀들(512, 522)의 길이 방향(530)과 제1 각도(340)를 형성한다. 도시된 예에서, 제1 각도(340)는 90도 미만이다. 더욱이, 스핀들(300)의 길이 방향(330)은 로킹 엘리먼트(500)의 변위 방향(540)과 제2 각도(350)를 형성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예에서, 제2 각도(350)는 또한 90도 미만이다. 스핀들(300) 및 로킹 엘리먼트(500)의 세장형 홀들(512, 522)의 서로에 대한 이러한 배향의 결과로서, 로킹 엘리먼트(500)가 드라이버(400)에 의해 변위 방향(540)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 달성된다.
스핀들(300)이 스핀들(300) 상에 배열된 드라이버(400)가 스핀들(300)의 길이 방향(330)을 따라 이동하는 방식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사전-장착 상태에서 시작하여 회전되는 경우, 로킹 엘리먼트(500)의 세장형 홀들(512, 522)에 가이드되는 드라이버(400)의 핀들(410, 420)은 세장형 홀들(512, 522)의 제2 길이 방향 단부들(514, 524)로부터 로킹 엘리먼트(500)의 세장형 홀들(512, 522)의 제1 길이 방향 단부들(513, 523)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스핀들(300)의 길이 방향(330) 및 세장형 홀들(512, 522)의 길이 방향(530)의 서로에 대한 배향의 결과로서, 로킹 엘리먼트(500)의 래칭 후크들(511, 521)이 장착 애퍼처(41)의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로킹 엘리먼트(500)는 변위 방향(540)으로 올려진다.
변위 방향(540)으로의 로킹 엘리먼트(500)의 변위와 동시에, 로킹 엘리먼트(500)의 림들(510, 520)은 드라이버(400)에 의해 탄력적으로 벌어진다. 로킹 엘리먼트(500)의 세장형 홀들(512, 522)의 제2 길이 방향 단부들(514, 524) 사이에서 측정된 로킹 엘리먼트(500)의 림들(510, 520) 사이의 제2 간격(532)은 로킹 엘리먼트(500)의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501)에서, 대략적으로 림들(510, 520) 사이에 배열된 드라이버(400)의 폭에 대응한다. 대조적으로, 로킹 엘리먼트(500)의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501)에서, 세장형 홀들(512, 522)의 제1 세로 방향 단부들(513, 523)에서 측정된 림들(510, 520)의 제1 간격(531)은 드라이버(400)의 폭보다 작다. 로킹 엘리먼트(500)의 세장형 홀들(512, 522) 내의 드라이버(400)의 핀들(410, 420)이 제2 길이 방향 단부들(514, 524)로부터 제1 길이 방향 단부들(513, 523)의 방향으로 마이그레이팅하도록 드라이버(400)가 스핀들(300)을 따라 병진 방식으로 이동되는 경우, 드라이버(400)는, 세장형 홀들(512, 522)의 제1 길이 방향 단부들(513, 523) 사이에서 측정된 림들(510, 520)의 제1 간격(531)이 증가하도록, 탄력적으로 벌어진, 로킹 엘리먼트(500)의 림들(510, 520)을 누른다. 이 경우, 로킹 엘리먼트(500)는 그것의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501)로부터 벌어짐 상태(502)로 이르게 된다.
로킹 엘리먼트(500)의 림들(510, 520)의 벌어짐의 결과로서, 제1 림(510) 상에 배열된 제1 래칭 후크(511)와 제2 림(520) 상에 배열된 제2 래칭 후크(521) 사이의 간격이 또한 증가한다. 로킹 엘리먼트(500)의 완전한 벌어짐 상태(502)에서, 로킹 엘리먼트(500)의 림들(510, 520)은 래칭 후크들(511, 521)이 루프(40)의 장착 애퍼처(41)의 에지(42) 상에 지탱하게 되는 방식으로 벌어진다.
스핀들(300)의 길이 방향(330)에 평행한 스핀들(3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스핀들(300)의 회전은, 안테나 베이스(20)의 커버(600)의 애퍼처(610)를 통해 안테나 베이스(20)의 내부 영역(25)에 삽입되고 스핀들(300)의 드라이브 프로파일(360) 상에 맞물리는 적합한 툴(60)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툴(60)은, 예컨대, 스핀들(300)의 드라이브 프로파일(360)에 맞는 드라이브 프로파일을 갖는 스크류드라이버(screwdriver)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4 및 도 5의 도면을 연대순으로 따르는 상황에서, 루프(40)의 장착 애퍼처(41) 상에 배열된 안테나 베이스(20)의 부분적 단면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이 경우, 도 6 및 도 7은 상이한 뷰잉 방향들로부터의 도면들을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상황에서, 드라이버(400)는, 드라이버(400)의 핀들(410, 420)이 이제 로킹 엘리먼트(500)의 세장형 홀들(512, 522)의 제1 길이 방향 단부들(513, 523)에 가깝게 배열되는 정도까지, 스핀들(300)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핀들(300) 상에서 병진 방식으로 이동되었다. 드라이버(400)의 병진 이동의 결과로서, 로킹 엘리먼트(500)는, 래칭 후크들(511, 521)이 루프(40)의 하측 상의 장착 애퍼처(41)의 에지(42) 상에 이제 지탱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루프(40) 상의 안테나 베이스(20)에 맞을 정도까지 변위 방향(540)으로 변위되었다. 동시에, 로킹 엘리먼트(500)의 림들(510, 520)은, 로킹 엘리먼트(500)의 2개의 래칭 후크들(511, 521)이 루프(40)의 장착 애퍼처(41)의 에지(42)의 서로 마주보는 섹션들 상에 지탱하게 될 정도까지 벌어졌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장착된 상태에서, 안테나 베이스(20)는, 드라이버(400)의 핀들(410, 420)이 로킹 엘리먼트(500)의 세장형 홀들(512, 522)의 제1 길이 방향 단부들(513, 523)로부터 제2 길이 방향 단부들(514, 524)의 방향으로 변위되는 방식으로 스핀들(300) 상의 드라이버(400)를 사전에 이동시키지 않고는 더 이상 루프(40)의 장착 애퍼처(41)로부터 제거될 수 없다.
도 8은 루프 안테나(10)의 안테나 베이스(20)의 커버(600)의 애퍼처(610)의 확대도 및 부분적 단면도를 도시한다. 커버(600)의 애퍼처(610)에 소켓(700)이 배열된다. 소켓(700)은 예컨대, 금속을 가질 수 있다. 소켓(700)은 커버(600)의 애퍼처(610)에 단단히 삽입되어, 소켓(700)과 커버(600) 사이에 영구적이고 엄격한 연결이 생성된다. 이것을 목적으로, 소켓(700)은 외벽 상에 적합한 고정 구조들, 예컨대, 외부 육각형을 가질 수 있다.
소켓(700)은 내벽(710)을 갖는 연속 애퍼처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커버(600)의 애퍼처(610)는 애퍼처(610)에 배열된 소켓(700)이 있더라도 안테나 베이스(20)의 내부 영역(25)에 대한 진입을 제공한다. 위에서 설명된 스핀들(300)의 회전을 위해, 이것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툴(60)은 커버(600)의 애퍼처(610)를 통해, 애퍼처(610)에 배열된 소켓(700)에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소켓(700)의 내벽(710)은 제1 스플라인 샤프트 프로파일(711)을 갖는다. 그러나, 제1 스플라인 샤프트 프로파일(711)은 생략될 수 있다. 더욱이, 소켓(700)의 내벽(710)은 주변 제1 홈(720)을 갖는다.
전기 전도성 소켓(700)은 안테나 베이스(20)의 내부 영역(25)에 배열된 접촉 스프링(730)을 통해 회로 보드(200)의 연관된 접촉 표면에 전기 전도성 방식으로 연결된다.
루프 안테나(10)의 안테나 베이스(20)를 루프(40) 상에 고정한 이후에, 안테나 베이스(20)의 내부 영역(25)으로 먼지 및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600)의 애퍼처(610)를 밀봉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것을 목적으로, 스토퍼(800)가 소켓(700)에 배열된다. 스토퍼(800)는 전기 전도성 재료, 예컨대, 금속을 갖는다. 스토퍼(800)는 외벽(810)을 갖는 원통형 기본 형상을 갖는다. 스토퍼(800)는 안테나 베이스(20)의 외측으로부터, 커버(600)의 애퍼처(610)에 배열된 소켓(700) 내로 밀릴 수 있다. 도 8은 스토퍼(800)가 소켓(700)으로 부분적으로만 밀린 도면을 도시한다. 도 9는 소켓(700) 내로 완전히 밀린 스토퍼(800)의 개략적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예에서, 스토퍼(800)는 그것의 외벽(810) 상에, 소켓(700)의 제1 스플라인 샤프트 프로파일(711)에 맞도록 형성된 제2 스플라인 샤프트 프로파일(811)을 갖는다. 제1 스플라인 샤프트 프로파일(711) 및 제2 스플라인 샤프트 프로파일(811)의 결과로서, 소켓(700)에 배열된 스토퍼(800)는 소켓(700) 및 스토퍼(800)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비틀리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비틀림 방지 보호는 또한 제1 스플라인 샤프트 프로파일(711) 및 제2 스플라인 샤프트 프로파일(811)을 통하지 않는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플라인 샤프트 프로파일(711, 811)은 생략될 수 있다.
스토퍼(800)는 폐쇄된 방식으로 형성되고, 그 결과로서, 커버(600)의 애퍼처(610)는 스토퍼(800)에 의해 밀봉되어 닫힌다. 소켓(700)의 내벽(710)과 스토퍼(800)의 외벽(810) 사이에서 영역을 밀봉하는 것을 또한 달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주변 O-링들(820)이 스토퍼(800)의 외벽(81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예에서, 스토퍼(800)는 3개의 동축으로 배열된 O-링들(820)을 갖는다. 이 O-링들(820)은 각각 스토퍼(800)의 외벽(810) 주위에 있는 홈들에 배열된다. 그러나, 3개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O-링들(820)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스토퍼(800)와 소켓(700) 사이의 밀봉은 또한 다른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외부 길이 방향 단부에서, 스토퍼(800)는 나사산(860)을 갖는 로드-수용 애퍼처(850)를 갖는다. 로드-수용 애퍼처(850)는 루프 안테나(10)의 로드(30)(도 9에 도시됨)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로드(30)는 안테나 폴(antenna pole)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로드(30)는 스토퍼(800)의 로드-수용 애퍼처(850)의 나사산(86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35)을 갖는다.
스토퍼(800)의 외벽(810)은 제2 홈(830)을 갖는다. 제2 홈(830)은, 스토퍼(800)가 소켓(700) 내로 완전히 밀릴 때 스토퍼(800)의 제2 홈(830)이 소켓(700)의 내벽(710) 상의 제1 홈(720)에 대해 동심으로 배열되는 방식으로 스토퍼(800)의 외벽(810) 상에 배열된다. 스토퍼(800)의 제2 홈(830)에 주변 고정 링(840)이 배열된다. 제2 홈(830)은 스토퍼(800)의 외벽(810)으로부터 로드-수용 애퍼처(850)까지 연장되는 개구(opening)를 갖는다. 고정 링(840)의 돌출부(845)는 이 개구를 통해 연장되고, 로드-수용 애퍼처(850) 내로 돌출된다. 이것은 도 9에 나타낼 수 있다.
스토퍼(800)가 소켓(700)에 배열된 이후에, 로드(30)가 스토퍼(80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은 커버(600)의 애퍼처(610), 애퍼처(610)에 배열된 소켓 (700), 소켓(700)에 배열된 스토퍼(800), 및 스토퍼(800)의 로드-수용 애퍼처(850)에 나사 결합된 로드(30)의 도면을 도시한다.
로드(30)가 로드-수용 애퍼처(850)에 나사 결합된 결과로서, 로드-수용 애퍼처(850)로 돌출된 고정 링(840)의 돌출부(845)는 로드-수용 애퍼처(850)에서 바깥쪽으로 외향하여 눌려지며, 그 결과, 고정 링(840)은 그것이 소켓(700)의 제1 홈(720)(이 제1 홈(720)은 스토퍼(800)의 제2 홈(830)에 대해 동심으로 배열됨) 내로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스토퍼(800)가 소켓(700)에 고정되고, 의도치 않게 당겨지지 않도록 방비되는 결과가 달성된다. 따라서, 사전에 스토퍼(800)로부터 로드(30)의 나사를 풀지 않고는 스토퍼(800)가 더 이상 소켓(700)으로부터 제거될 수 없다.
스토퍼(800), 소켓(700) 및 접촉 스프링(730)을 통해 로드(30)로부터 루프 안테나(10)의 회로 보드(200)로의 전기 전도성 연결이 존재한다.
도 11은 루프(40)의 장착 애퍼처(41) 상에 루프 안테나(10)의 장착을 완료한 이후의 루프 안테나(10)의 개략도, 사시도 및 부분적 단면도를 도시한다. 루프 안테나(10)를 장착해제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설명된 장착 단계들이 역순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것을 목적으로, 로드(30)는 초기에 나사가 풀린다. 그런 다음, 스토퍼(800)는 소켓(700)으로부터 제거된다. 그런 다음, 툴(60)에 의해, 로킹 엘리먼트(500)의 래칭 후크들(511, 521)이 장착 애퍼처(41)의 에지(42)로부터 그들을 부착해제하고 로킹 엘리먼트(500)가 그것의 벌어짐 상태(502)로부터 그것의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501)로 리턴하는 방식으로 로킹 엘리먼트(500)가 변위 방향(540)을 따라 변위되는 방식으로, 스핀들(300)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안테나 베이스(20)는 루프(40)의 장착 애퍼처(41)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다.
참조 심볼들의 리스트
10 루프 안테나
20 안테나 베이스
25 내부 영역
30 로드
35 나사산
40 루프
41 장착 애퍼처
42 장착 애퍼처의 에지
50 제1 케이블
51 제1 플러그 커넥터 결합 부분
52 제2 케이블
53 제2 플러그 커넥터 결합 부분
60 툴
100 베이스 플레이트
110 베이스 플레이트의 애퍼처
120 밀봉 링
130 홀더
200 회로 보드
210 제1 플러그 커넥터
220 제2 플러그 커넥터
300 스핀들
310 스핀들 나사산
320 고정 링
330 스핀들의 길이 방향
340 제1 각도
350 제2 각도
360 드라이브 프로파일
400 드라이버
410 제1 핀
420 제2 핀
430 관통-애퍼처
440 내부 나사산
500 로킹 엘리먼트
501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
502 벌어짐 상태
510 제1 림
511 제1 래칭 후크
512 제1 세장형 홀
513 제1 세장형 홀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514 제2 세장형 홀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520 제2 림
521 제2 래칭 후크
522 제2 세장형 홀
523 제2 세장형 홀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524 제2 세장형 홀의 제2 길이 방향 단부
530 세장형 홀들의 길이 방향
531 림들의 제1 간격
532 림들의 제2 간격
540 변위 방향
550 연결 섹션
560 래칭 단부
600 커버
610 커버의 애퍼처
700 소켓
710 내벽
711 제1 스플라인 샤프트 프로파일
720 제1 홈
730 접촉 스프링
800 스토퍼
810 외벽
811 제2 스플라인 샤프트 프로파일
820 O-링
830 제2 홈
840 고정 링
845 돌출부
850 로드-수용 애퍼처
860 나사산

Claims (15)

  1. 안테나 베이스(20)를 가지며, 상기 안테나 베이스(20)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100), 스핀들(spindle)(300), 상기 스핀들(300) 상에 배열된 드라이버(400), 및 로킹 엘리먼트(locking element)(500)를 가지며,
    상기 로킹 엘리먼트(500)는 래칭 후크(latching hook)(511, 521)를 각각 갖는 2개의 림들(510, 520)을 가지며,
    상기 림들(510, 52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애퍼처(aperture)(110)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스핀들(300) 상의 상기 드라이버(400)의 병진 이동(translatory movement)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수직인 변위 방향(540)으로 상기 로킹 엘리먼트(500)의 변위로 전달되는, 루프 안테나(1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엘리먼트(500)의 상기 림들(510, 520)은 상기 스핀들(300) 상의 상기 드라이버(400)의 병진 이동에 의해 탄력적으로 벌어질 수 있는, 루프 안테나(10).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400)는 상기 로킹 엘리먼트(500)의 상기 림들(510, 520) 사이에 배열되는, 루프 안테나(10).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400)는 2개의 핀들(410, 420)을 가지며,
    상기 로킹 엘리먼트(500)의 각각의 림(510, 520)은 하나의 세장형(elongate) 홀(512, 522)을 각각 가지며,
    각각의 경우, 핀(410, 420)은 상기 세장형 홀들(512, 522) 각각에 가이드되는, 루프 안테나(10).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300)의 길이 방향(longitudinal direction)(330)은 상기 세장형 홀들(512, 522)의 길이 방향(530)과 90도 미만의 각도(340)를 형성하고, 상기 변위 방향(540)과 90도 미만의 각도(350)를 형성하는, 루프 안테나(10).
  6. 제3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unstressed state)(501)에서 상기 로킹 엘리먼트(500)의 상기 림들(510, 520)은, 상기 림들(510, 520)의 간격(531, 532)이 상기 세장형 홀들(512, 522)의 제2 길이 방향 단부(514, 524)에서 보다 상기 세장형 홀들(512, 522)의 제1 길이 방향 단부(513, 523)에서 더 작은 방식으로 배열되는, 루프 안테나(10).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안테나(10)는 커버(600)를 가지며,
    상기 스핀들(300), 상기 드라이버(400) 및 상기 로킹 엘리먼트(5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상기 커버(600)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커버(600)는 애퍼처(610)를 가지며,
    상기 스핀들(300)은 상기 커버(600)의 상기 애퍼처(610)를 통해 진입가능한, 루프 안테나(10).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600)의 상기 애퍼처(610)에 내부 벽(710)을 갖는 소켓(700)이 배열되고,
    상기 루프 안테나(10)는, 외벽(810) 및 로드(rod)(30)를 갖는 스토퍼(stopper)(800)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800)는 상기 소켓(700)에 배열될 수 있고,
    상기 로드(30)는 상기 스토퍼(800)에 나사 결합(screw)될 수 있는, 루프 안테나(10).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700)의 상기 내부 벽(710) 상에 제1 스플라인 샤프트 프로파일(splined shaft profile)(7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플라인 샤프트 프로파일(711)에 맞는 제2 스플라인 샤프트 프로파일(811)이 상기 스토퍼(800)의 상기 외벽(810) 상에 형성되는, 루프 안테나(10).
  10. 제8 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800)의 상기 외벽(810) 상에 적어도 하나의 O-링(820)이 배열되는, 루프 안테나(10).
  11. 제8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800)는 상기 로드(30)가 상기 스토퍼(800)에 나사 결합될 때 상기 소켓(700)에 상기 스토퍼(800)를 로킹하는 고정 링(840)을 갖는, 루프 안테나(10).
  12.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베이스(2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기 애퍼처(110)에 진입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210, 220)를 가지는, 루프 안테나(10).
  13.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루프 안테나(10)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상기 로킹 엘리먼트(500)의 상기 림들(510, 520)이 장착 애퍼처(41)를 통해 연장하는 방식으로 상기 장착 애퍼처(41) 위에 상기 안테나 베이스(20)를 배열하는 단계; 및
    - 상기 로킹 엘리먼트(500)의 상기 래칭 후크들(511, 521)이 상기 장착 애퍼처(41)의 에지(42) 상에 지탱(bear)하게 되는 방식으로 상기 드라이버(400)에 의해 상기 로킹 엘리먼트(500)를 변위시키기 위해 상기 스핀들(300)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루프 안테나(10)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안테나(10)는 제8 항에 따라 형성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스토퍼(800)를 상기 소켓(700)에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로드(30)를 상기 스토퍼(800)에 나사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루프 안테나(10)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
  15. 제13 항 또는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안테나(10)는 제12 항에 따라 형성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장착 애퍼처(41) 위에 상기 안테나 베이스(20)를 배열하는 단계 이전에,
    -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50, 52)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210, 220)에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루프 안테나(10)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
KR1020200104219A 2019-08-23 2020-08-19 루프 안테나 KR202100237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22677.5 2019-08-23
DE102019122677.5A DE102019122677B3 (de) 2019-08-23 2019-08-23 Dachanten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742A true KR20210023742A (ko) 2021-03-04

Family

ID=74092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219A KR20210023742A (ko) 2019-08-23 2020-08-19 루프 안테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98672B2 (ko)
KR (1) KR20210023742A (ko)
CN (1) CN112421212A (ko)
DE (1) DE102019122677B3 (ko)
FR (1) FR310008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36221A1 (de) * 2005-04-12 2006-12-28 Hirschmann Car Communication Gmbh Dachantenne mit einem schneckengetriebe zu deren befestigung
US9966707B2 (en) * 2006-12-01 2018-05-08 Kathrein-Werke Kg Device for fastening an attached part, in particular in the form of a motor vehicle antenna
DE102010032579B4 (de) * 2009-07-28 2015-08-20 Hirschmann Car Communication Gmbh Dachantennenanordnung eines Fahrzeuges mit einem U-förmigen Federelement zur Festlegung der Dachantennenanordnung
KR102265362B1 (ko) 2017-03-24 2021-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안테나 설치장치
DE102019211755B3 (de) * 2019-08-06 2020-12-3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efestigungssystem für eine modulare Anten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421212A (zh) 2021-02-26
DE102019122677B3 (de) 2021-01-14
FR3100088A1 (fr) 2021-02-26
US20210057807A1 (en) 2021-02-25
US11398672B2 (en) 202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8927B2 (en) Floating connector with flexible conductive member
KR100872756B1 (ko) 차량 루프 안테나 장착용 조립체
EP1914847A2 (en) Cable connector for vehicle door
KR20190091279A (ko) 커넥터 단자 및 그것의 조립 방법
US20070141886A1 (en) Attachment part
US20220329002A1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US9608315B2 (en) Star-handle system for locking antenna to a vehicle roof
US9214755B2 (en) Housing wall screw connection for an electrical plug-in connector
KR102607870B1 (ko) 고전압 커넥터 및 그의 체결 방법
US6490894B1 (en) Device for mounting a vehicle door opening control
CN104685707A (zh) 天线装置
KR20230039628A (ko) 고전압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102147486B1 (ko) 케이블 관통 어레인지먼트
KR102517853B1 (ko) 고전압 커넥터 및 그의 체결 방법
KR20210023742A (ko) 루프 안테나
US20210210876A1 (en) Conductor connecting structure
KR101909493B1 (ko) 차량용 샤크핀 안테나의 루프 체결 장치
JP2008034249A (ja) ロック機構を備えた接続装置
RU2543980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передачи тока высокого напряжения в автомобильной отрасли
JPH10326635A (ja) 同軸ケーブル接続器
KR102213755B1 (ko) 회전식 크로스를 사용하여 차량의 루프 안테나를 래치결합하기 위한 수단
US5860823A (en) Movable connector with rotation limiting structure
KR102147488B1 (ko) 플러그 콘택 어레인지먼트
JPH1186926A (ja) 同軸ケーブル接続器
US11378260B2 (en) Mounting fixture for mounting an LED connector assem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