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488B1 - 플러그 콘택 어레인지먼트 - Google Patents

플러그 콘택 어레인지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488B1
KR102147488B1 KR1020190015100A KR20190015100A KR102147488B1 KR 102147488 B1 KR102147488 B1 KR 102147488B1 KR 1020190015100 A KR1020190015100 A KR 1020190015100A KR 20190015100 A KR20190015100 A KR 20190015100A KR 102147488 B1 KR102147488 B1 KR 102147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lug
contact arrangement
connector element
plu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6833A (ko
Inventor
조나단 케쓸러
크리스토프 타이스
얀 보헨
마리안 보헨
에두아르트 오스트
악셀 크놉
Original Assignee
스타비루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비루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스타비루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96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01R13/5221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having cable sea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하우징으로 안내되고, 단부 폐쇄부(1)에 배치된 상응하는 소켓(22)들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케이블(20)의 일 단부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플러그 콘택(21)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를 구비하는, 상기 단부 폐쇄부(1)에 의해 폐쇄된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전동식 선형 조작 장치용 플러그 콘택 어레인지먼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러그 콘택 어레인지먼트{PLUG CONTACT ARRANGEMEN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하우징으로 안내되고, 단부 폐쇄부에 배치된 상응하는 소켓들 내에 삽입될 수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케이블의 일 단부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플러그 콘택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를 구비하는, 상기 단부 폐쇄부에 의해 폐쇄된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전동식 선형 조작 장치(electromotive linear operating device)용 플러그 콘택 어레인지먼트(plug contact arrangement)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플러그 콘택 어레인지먼트들에서는, 하우징 밖에 있는 케이블로부터, 하우징 내에 있는 전동식 선형 조작 장치로 밀봉 연결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단순한 구조와 간단한 장착 외에도 플러그 콘택 연결의 밀봉 접촉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밀봉 지점 평가가 가능한, 도입부에 언급한 유형의 플러그 콘택 어레인지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르면, 단부 폐쇄부 내에 외부로부터 하우징 내부로 안내되는, 계단부 개구로서 형성된 삽입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 개구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가까운 자신의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반경 방향 연장부를 갖는 작은 계단부 및 외부로 이어지는 자신의 영역 내에서 상대적으로 큰 반경 방향 연장부를 갖는 큰 계단부를 갖고, 상기 삽입 개구는 플러그 커넥터 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 요소는 자신의 피팅 위치에서 축 방향 핀 피스에 의해 상기 계단부 개구의 작은 계단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돌출하고, 그리고 축 방향 고정 영역에 의해 상기 계단부 개구의 큰 계단부 내로 돌출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 요소 내로 케이블들이 안내되고 그리고 외부로부터 피팅 위치까지 상기 계단부 개구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피팅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내부 쪽을 향하는 상기 계단부 개구의 단부면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플러그 콘택이 돌출하고, 상기 삽입 개구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또는 상기 단부 폐쇄부의 내부에 배치된, 소켓들을 갖는 소켓 고정 요소 및 케이블 그로밋을 갖고, 상기 케이블들은 상기 케이블 그로밋을 통해 상기 플러그 커넥터 요소로부터 외부로 안내되어 있으며, 그리고 자신의 일 단부에 의해 상기 고정 영역을 둘러싸며, 그리고 탄성 압축 응력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는 방식으로,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는 고정 영역의 측면적뿐만 아니라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는 계단부 개구의 큰 계단부의 내부 표면에도 접한다.
물론 운동학적인 방향 전환에서 소켓들은 플러그 커넥터 요소에도 배치될 수 있고, 그리고 플러그 콘택들은 하우징 내부에 또는 단부 폐쇄부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성에서는 플러그 콘택들 또는 소켓들이 먼저 플러그 커넥터 요소와 연결된다. 그다음 케이블 그로밋이 플러그 커넥터 요소에 반대 방향인 측으로부터 케이블들을 통해서, 케이블 그로밋의 일 단부가 플러그 커넥터 요소의 고정 영역을 둘러쌀 때까지 안내된다. 이제 상기와 같이 예비 조립된 유닛은 피팅 위치까지 계단부 개구의 큰 계단부 내로 삽입되고, 상기 피팅 위치에서는 플러그 콘택들도 소켓들과 접촉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케이블 그로밋이 플러그 커넥터 요소의 고정 영역의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는 측면적뿐만 아니라 계단부 개구의 큰 계단부의 내부 표면과도 탄성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방식으로 접할 수 있다. 따라서 계단부 개구의 작은 계단부와 플러그 콘택들의 영역 및 소켓들이 외부로 밀봉되어 있다.
다른 경우에는 상이한 단부 폐쇄부와 더불어 계단부 개구, 플러그 커넥터 요소 및 케이블 그로밋의 동일한 설계는, 다양한 선형 조작 장치에서 비용을 절약하는 동일 부품을 가능하게 한다.
플러그 커넥터 요소, 플러그 콘택들 또는 소켓들 그리고 케이블과 케이블 그로밋으로 이루어진 구성 유닛의 예비 조립 가능성은 실제로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데, 그 이유는 이제 계단부 개구의 큰 계단부 내로 상기 구성 유닛의 삽입만 필요하기 때문이다.
케이블 그로밋과 계단부 개구 사이의 밀봉 지점이 외부로 상기 계단부 개구의 입구 가까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계단부 개구의 입구에서 상기 밀봉 지점이 역시 실제로 밀봉되어 있는지 여부가 간단히 확인될 수 있다. 또한, 누출을 외부로부터 알 수 있음으로써 교정 비용도 감소된다.
바람직하게 케이블 그로밋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짐으로써, 추가 밀봉 요소들이 필요하지 않다.
케이블 그로밋이 플러그 커넥터 요소와 형상 결합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어 조립 역시 간단한 경우 추가 플러그 커넥터 요소들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 요소의 고정 영역은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는 자신의 측면적에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는 고정 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홈 내에는 내부로 돌출하는, 케이블 그로밋의 환형 숄더가 돌출한다.
케이블 그로밋이 계단부 개구의 큰 계단부 내로 돌출하는 자신의 영역에,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고,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밀봉 비드를 가짐으로써, 상기 밀봉 비드의 영역은 특히 탄성적이고, 증가된 밀봉 효과를 제공한다.
플러그 커넥터 요소를 간단히 피팅 위치에 배치하기 위하여 계단부 개구의 큰 계단부 내로 돌출하는, 플러그 커넥터 요소의 고정 영역은 플랜지형 확장부를 가질 수 있고, 상기 플랜지형 확장부는 상기 계단부 개구의 작은 계단부에서 큰 계단부로의 전환부에서 축 방향으로 환형 표면에 접할 수 있다.
하우징 내부로 돌출하는, 플러그 커넥터 요소의 핀 피스의 단부 영역에 바브 후크 모양의 로킹 러그(barbed hook-shaped locking lug)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로킹 러그는 상기 핀 피스가 계단부 개구의 작은 계단부 내로 삽입될 때 상기 핀 피스의 측면적에 접혀질 수 있고, 그리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 요소의 피팅 위치에서 탄성적으로 반경 방향 외부로 접혀져 있다.
그 결과 로킹 러그가 플러그 커넥터 요소의 피팅 위치에서, 계단부 개구의 작은 계단부의 하우징 내부측 입구 영역 뒤로 고정되어 플러그 커넥터 요소가 피팅 위치로부터 원하지 않게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플러그 커넥터 요소를 고정한다. 이러한 경우, 로킹 러그를 분리시키지 않고 축 방향 힘 적용에 의해서만 플러그 커넥터 요소를 계단부 개구로부터 밖으로 빼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 요소가 외부로부터 확실하게 단부 폐쇄부에 장착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 요소가 대칭 단면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벗어난 단면을 갖고, 그리고 계단부 개구가 대칭 단면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벗어난 상응하는 단면을 가짐으로써 플러그 커넥터 요소는 정해진 방향 설정으로만 단부 폐쇄부에 장착될 수 있다.
선형 조작 장치의 미리 정해진 피팅 비율에 따라, 계단부 개구는 상기 선형 조작 장치의 종축에 대해 0° 내지 90°의 각도 범위로 연장될 수 있다.
이는 단부 폐쇄부가 커넥터를 갖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며, 결과적으로 플러그 커넥터 요소와 케이블 그로밋의 더 쉬운 장착을 위해 상기 케이블 그로밋과 커넥터가 상이한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볼 소켓일 수 있는 커넥터는 장착된 케이블 그로밋의 방향 설정과 관련하여 90° 내지 270°, 바람직하게는 180°의 각도로 배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선형 조작 장치는 스핀들 드라이브이며, 이 스핀들 드라이브의 스핀들 드라이브 모터는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케이블과 접촉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에 도시된 단일 도면은 플러그 콘택 어레인지먼트를 종단면도로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플러그 콘택 어레인지먼트는, 바닥 부분을 형성하는 관형 하우징용 단부 폐쇄부(1)를 갖는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하우징 내에는 선형 조작 장치를 형성하는 스핀들 드라이브용 전기 모터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단부 폐쇄부(1) 내에는 커넥터(2)를 형성하는 볼 소켓이 형성되어 있고, 이 볼 소켓은 하우징의 종축(3)에 직각으로 배향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2)의 방향 설정에 대해 180°로 배향되어 있고, 상기 종축(3)에 대해 45°로 기울어진 방식으로, 단부 폐쇄부 내에는 계단부 개구(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계단부 개구는 하우징의 하우징 내부(5)로 이어지는,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을 갖는 작은 계단부(6) 그리고 외부로 안내되는, 상대적으로 큰 단면을 갖는 큰 계단부(7)를 갖는다.
계단부 개구(4)의 종축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환형 표면(8)은 상기 작은 계단부(6)에서 큰 계단부(7)로 이어지는 전환부를 형성한다.
계단부 개구 내에는, 플러그 커넥터 요소(9)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 요소는 상기 계단부 개구(4)의 작은 계단부(6)를 통해 돌출하는 핀 피스(10), 상기 계단부 개구(4)의 큰 계단부(7)를 통해 돌출하는 고정 영역(11) 및 플랜지형 확장부(12)를 구비하며, 이때 상기 확장부는 상기 큰 계단부(7) 내에서 단부 폐쇄부(1)의 환형 표면(8)에 접한다.
하우징 내부(5)로 돌출하는, 핀 피스(10) 영역에는 바브 후크 모양의 로킹 러그(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킹 러그는 반경 방향 외부로 접힌 자신의 로킹 위치에서 고정 영역(11) 방향으로 탄성으로 접혀질 수 있다. 이것은, 플러그 커넥터 요소(9) 장착 시, 이 플러그 커넥터 요소가 외부로부터 계단부 개구(4)의 작은 계단부(6)를 지나 피팅 위치까지 안내되는 경우에 수행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로킹 러그(13)가 완전히 하우징 내부(5)에 도달하고, 플랜지형 확장부(12)가 환형 표면(8)에 접하면, 상기 로킹 러그는 자신의 탄성으로 인해 반경 방향 외부로 접혀져 플러그 커넥터 요소(9)의 분리를 방지한다.
플랜지형 확장부(12)에 이어서,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는 고정 영역(11)의 측면적에는,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는 고정 홈(14)이 형성되어 있으며, 환형 숄더(15)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케이블 그로밋(16)의 단부에서 상기 고정 홈 내로 돌출하여 압축 응력에 의해 고정 홈(14)의 바닥부에 접한다.
케이블 그로밋(16)은 또한, 환형 숄더(15)의 영역에서 반경 방향으로 주변을 둘러싸면서 외부로 돌출하는 방식으로 밀봉 비드(17)를 가지며, 이 밀봉 비드는 압축 응력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는, 큰 계단부(7)의 내벽(18)에 접한다.
탄성 압축 응력에 의해 환형 숄더(15)가 고정 홈(14)의 바닥부에 접하고, 그리고 탄성 압축 응력에 의해 밀봉 비드(17)가 큰 계단부(7)의 내벽(18)에 접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 요소(9)는 계단부 개구(4) 내에 밀봉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 내부(5)는 외부로 밀봉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 요소(9)는 축 방향 관통 홀(19)을 갖는다. 플러그 커넥터 요소(9) 내에 있는 홀(19)과 케이블 그로밋(16)을 통해서는 하나 또는 다수의 케이블(20)이 외부로부터 밀봉 방식으로 플러그 커넥터 요소(9)의 단부 폐쇄부측 단부 영역까지 안내되어 그곳에서 플러그 콘택(21)들과 전도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 콘택들은 플러그 커넥터 요소(9)와 단단히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 요소(9)로부터 외부로 축 방향으로 돌출한다.
도시된 피팅 위치에서 플러그 콘택(21)들은 소켓(22)들 내로 삽입되어 있고, 상기 소켓들은 하우징 내부(5)에서 고정 배치된 소켓 고정 요소(23) 내에 배치되어 있다. 소켓 고정 요소(23)로부터는 소켓(22)들과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전기 모터의 전기 접속이 이루어진다.
1: 단부 폐쇄부
2: 커넥터
3: 종축
4: 계단부 개구
5: 하우징 내부
6: 작은 계단부
7: 큰 계단부
8: 환형 표면
9: 플러그 커넥터 요소
10: 핀 피스
11: 고정 영역
12: 플랜지형 확장부
13: 로킹 러그
14: 고정 홈
15: 환형 숄더
16: 케이블 그로밋
17: 밀봉 비드
18: 내벽
19: 홀
20: 케이블
21: 플러그 콘택
22: 소켓
23: 소켓 고정 요소

Claims (11)

  1. 외부로부터 하우징으로 안내되고, 단부 폐쇄부(1)에 배치된 상응하는 소켓(22)들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케이블(20)의 일 단부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플러그 콘택(21)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를 구비하는, 상기 단부 폐쇄부(1)에 의해 폐쇄된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전동식 선형 조작 장치용 플러그 콘택 어레인지먼트로서,
    상기 단부 폐쇄부(1) 내에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부(5)로 안내되는, 계단부 개구(4)로서 형성된 삽입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 개구는 상기 하우징 내부(5)에 가까운 자신의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반경 방향 연장부를 갖는 작은 계단부(6) 및 외부로 이어지는 자신의 영역 내에서 상대적으로 큰 반경 방향 연장부를 갖는 큰 계단부(7)를 갖고, 상기 삽입 개구는 플러그 커넥터 요소(9)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 요소는 자신의 피팅 위치에서 축 방향 핀 피스(10)에 의해 상기 계단부 개구(4)의 작은 계단부(6)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5)로 돌출하고, 그리고 축 방향 고정 영역(11)에 의해 상기 계단부 개구(4)의 큰 계단부(7) 내로 돌출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 요소 내로 케이블(20)들이 안내되고 그리고 외부로부터 피팅 위치까지 상기 계단부 개구(4)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피팅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내부(5) 쪽을 향하는 상기 계단부 개구의 단부면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플러그 콘택(21)들이 돌출하고, 상기 삽입 개구는 상기 하우징 내부(5)에 또는 상기 단부 폐쇄부(1)의 내부에 배치된, 소켓(22)들을 갖는 소켓 고정 요소(23) 및 케이블 그로밋(16)을 갖고, 상기 케이블(20)들은 상기 케이블 그로밋을 통해 상기 플러그 커넥터 요소(9)로부터 외부로 안내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케이블 그로밋(16)은 자신의 일 단부에 의해 상기 고정 영역(11)을 둘러싸며, 그리고 탄성 압축 응력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는 방식으로,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는 고정 영역(11)의 측면적뿐만 아니라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는 계단부 개구(4)의 큰 계단부(7)의 내부 표면에도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콘택 어레인지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그로밋(16)이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콘택 어레인지먼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그로밋(16)이 상기 플러그 커넥터 요소(9)와 형상 결합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콘택 어레인지먼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요소(9)의 고정 영역(11)이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는 자신의 측면적에,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는 고정 홈(14)을 갖고, 상기 고정 홈 내로는 반경 방향 내부로 돌출하는, 케이블 그로밋(16)의 환형 숄더(15)가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콘택 어레인지먼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그로밋(16)이 상기 계단부 개구(4)의 큰 계단부(7) 내로 돌출하는 자신의 영역에,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고,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밀봉 비드(1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콘택 어레인지먼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부 개구(4)의 큰 계단부(7) 내로 돌출하는, 플러그 커넥터 요소(9)의 고정 영역(11)이 플랜지형 확장부(12)를 갖고, 상기 플랜지형 확장부는 상기 계단부 개구(4)의 작은 계단부(6)로부터 큰 계단부(7)로 이어지는 전환부에서 축 방향으로 환형 표면(8)에 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콘택 어레인지먼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5)로 돌출하는, 플러그 커넥터 요소(9)의 핀 피스(10)의 단부 영역에 바브 후크 모양의 로킹 러그(13)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로킹 러그는 상기 핀 피스(10)가 상기 계단부 개구(4)의 작은 계단부(6) 내로 삽입될 때, 상기 핀 피스(10)의 측면적에 접혀질 수 있고, 그리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 요소(9)의 피팅 위치에서 탄성적으로 반경 방향 외부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콘택 어레인지먼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결 요소가 대칭 단면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벗어난 단면을 갖고, 그리고 상기 계단부 개구가 대칭 단면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벗어난 상응하는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콘택 어레인지먼트.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부 개구(4)가 상기 선형 조작 장치의 종축(3)에 대해 0° 내지 90°의 각도 범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콘택 어레인지먼트.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폐쇄부(1)가 커넥터(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콘택 어레인지먼트.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조작 장치가 스핀들 드라이브이고, 이 스핀들 드라이브의 스핀들 드라이브 모터는 상기 하우징 내부(5)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케이블(20)과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콘택 어레인지먼트.
KR1020190015100A 2018-02-09 2019-02-08 플러그 콘택 어레인지먼트 KR102147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03015.0A DE102018103015A1 (de) 2018-02-09 2018-02-09 Steckkontaktanordnung
DE102018103015.0 2018-0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833A KR20190096833A (ko) 2019-08-20
KR102147488B1 true KR102147488B1 (ko) 2020-08-24

Family

ID=65278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100A KR102147488B1 (ko) 2018-02-09 2019-02-08 플러그 콘택 어레인지먼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90612B2 (ko)
EP (1) EP3525294B1 (ko)
JP (1) JP6757811B2 (ko)
KR (1) KR102147488B1 (ko)
CN (1) CN110137743B (ko)
DE (1) DE10201810301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77700A (ja) 2014-03-17 2015-10-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強電端子台構造
JP2017005999A (ja) 2016-10-13 2017-01-05 株式会社アイエイアイ アクチュエータ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72361A (de) * 1959-12-16 1963-10-15 Lattmann Max Wasserdichte Kabelsteckkupplung
US3350587A (en) * 1965-03-31 1967-10-31 Vincent K Smith Electrical plug and connector
NZ218564A (en) * 1986-12-09 1990-12-21 Pdl Holdings Ltd Snap-in flush mount switch
US4998894A (en) * 1988-10-06 1991-03-12 Raychem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seal
DE29511789U1 (de) * 1995-07-21 1996-11-14 Bosch Gmbh Robert Elektrische Steckverbindung
DE29517358U1 (de) * 1995-11-02 1996-01-11 Harting Elektronik Gmbh Koaxial Steckverbindung
DE19826453C2 (de) * 1998-06-13 2000-08-24 Wieland Electric Gmbh Durchführungsadapter für Schaltschränke
JP3422488B2 (ja) * 2001-01-22 2003-06-30 株式会社畑屋製作所 プラグ用防水カバー及びその防水カバーの装着用ガイド、並びにプラグ用防水カバーの装着方法
US6995316B1 (en) * 2004-08-04 2006-02-07 Tyco Electronics Canada, Ltd. Overmolded wire sealing assembly
US7331820B2 (en) * 2005-09-19 2008-02-19 Corning Gilbert Inc. Chemically attached coaxial connector
FR2939245B1 (fr) 2008-11-28 2011-04-01 Bernard L Dispositif de connexion d'un servomoteur a au moins un cable electrique.
CN202017822U (zh) * 2011-02-25 2011-10-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户外线缆防水密封组件
US9059580B2 (en) * 2011-11-10 2015-06-16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Curing system for sealing an electrical fitting
DE102012202225B4 (de) * 2012-02-14 2015-10-22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Steckergehäuse mit Dichtung
JP2014086350A (ja) * 2012-10-25 2014-05-12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ルドコネクタ
JP5657714B2 (ja) * 2013-01-11 2015-01-21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アースピンとボディの容易な導通と高い防水性を有したコネクタ構造
DE102014105442A1 (de) * 2014-04-16 2015-10-22 HARTING Electronics GmbH Kabelabgang
EP3573193A1 (en) * 2014-07-18 2019-11-27 TE Connectivity Nederland B.V. Sealing assembly
JP6222025B2 (ja) * 2014-09-17 2017-11-0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202014104733U1 (de) * 2014-10-01 2016-01-07 Tridonic Gmbh & Co Kg Schutzmanschette zur Abdichtung einer Anschlussleitung an einem Gehäuse
DE102014118379B3 (de) * 2014-12-11 2016-02-25 Stabilus Gmbh Spindelantrieb
CN205406819U (zh) * 2016-02-25 2016-07-27 苏州科宝电气有限公司 新能源汽车用电机控制器接插件
DE102018103016A1 (de) * 2018-02-09 2019-08-14 Stabilus Gmbh Kabeldurchführanordn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77700A (ja) 2014-03-17 2015-10-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強電端子台構造
JP2017005999A (ja) 2016-10-13 2017-01-05 株式会社アイエイアイ アクチュエ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57811B2 (ja) 2020-09-23
EP3525294A1 (de) 2019-08-14
KR20190096833A (ko) 2019-08-20
EP3525294B1 (de) 2022-07-27
DE102018103015A1 (de) 2019-08-14
US20190252822A1 (en) 2019-08-15
JP2019140102A (ja) 2019-08-22
CN110137743A (zh) 2019-08-16
CN110137743B (zh) 2020-11-13
US10790612B2 (en)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8927B2 (en) Floating connector with flexible conductive member
EP2456018B1 (en) Waterproof structure
US9570838B2 (en) Structure of highly waterproof connector for easy conduction between ground pin and body
KR102147486B1 (ko) 케이블 관통 어레인지먼트
WO2011027776A1 (ja) コネクタ
JP6793567B2 (ja) 特に自動車技術向けのコンタクトスタッド、端子、およびコンタクトアセンブリ
US9147508B2 (en) Wire holding device and wire harness
US10135173B2 (en) Cover unit with rubber plug and connector
JP2017045572A (ja) コネクタ
JP7055783B2 (ja) 嵌合コネクタ
US8932071B2 (en) Attachable plug-type connector
KR20230042241A (ko) 고전압 커넥터 및 그의 체결 방법
US20070202739A1 (en) Coaxial plug connector for a coaxial cable
US10965057B2 (en) Method for checking a sealing of a plug connection, and plug connection
CN105981234A (zh) 连接器
KR102517853B1 (ko) 고전압 커넥터 및 그의 체결 방법
US20160248194A1 (en) Water-stop structure for connector
KR102147488B1 (ko) 플러그 콘택 어레인지먼트
JP5631225B2 (ja) 中継コネクタ
KR102517855B1 (ko) 고전압 커넥터의 제조 방법
WO2017217208A9 (ja) コネクタ
US9356378B1 (en) Electric connector housing with a terminal interface
US11552427B2 (en) Connector housing and wire harness
EP3886281A1 (en) Feedthrough assembly
KR20210000433A (ko) 패널장착형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