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178A - 쵸퍼형 원형 베일러 - Google Patents

쵸퍼형 원형 베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178A
KR20210023178A KR1020190103018A KR20190103018A KR20210023178A KR 20210023178 A KR20210023178 A KR 20210023178A KR 1020190103018 A KR1020190103018 A KR 1020190103018A KR 20190103018 A KR20190103018 A KR 20190103018A KR 20210023178 A KR20210023178 A KR 20210023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per
horizontal
vertical
fix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3273B1 (ko
Inventor
성현석
허민호
정용기
방지영
Original Assignee
우성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성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성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3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273B1/ko
Publication of KR20210023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8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9/00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 A01F29/005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for disintegrating and cutting up bales of hay, straw or fodd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9/00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 A01F29/09Details
    • A01F29/10Feed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쵸퍼형 원형 베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랙터에 장착되어 옥수수 등의 작물을 쵸퍼장치의 칼날부재로서 직접 예취 및 절단작업시 쵸퍼장치를 지지할 수 있도록 트랙터에 연결되는 견인장치와, 칼날부재가 장착되는 쵸퍼하우스 사이에 승하강 및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쵸퍼장치를 안정되게 승하강시키고, 쵸퍼장치의 동작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안전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쵸퍼형 베일러에 픽업형 베일러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연결하기 위한 구조가 간편해 호환성이 우수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쵸퍼형 원형 베일러{Chopper type circular baler}
본 발명은 쵸퍼형 원형 베일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트랙터에 장착되어 옥수수 등의 작물을 초퍼장치의 칼날부재로서 직접 예취 및 절단한 다음, 예취 및 절단된 작물을 오거장치로 공급하고, 오거장치에서 다시 절단하고 베일성형장치 내부로 공급하여 원형 베일을 성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일러(Baler)는 수확한 목초나 건초, 옥수수와 같은 조사료 작물을 픽업하고 효율적인 운반과 보관을 위해 일정한 형태로 압축하여 베일을 형성하는 농업기계로서, 베일러에서 형성된 베일은 첨가제 처리후 사일리지로 잘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절단하여 가축에게 사료로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베일러는 압축된 베일의 형태나 결속장치에 따라 작물을 직육면체 형태로 결속하는 플런저형 베일러와, 둥근형태로 결속하는 라운드형 베일러로 크게 분류되고, 또한 주행방식에 따라 트랙터와 같은 별도의 구동장치에 견인 구동되어 베일 작업을 하는 견인식 베일러와, 트랙터 등의 견인 없이 자체 동력으로 주행과 베일 작업을 하는 자주식 베일러로 구분되며, 작물공급장치의 작업방식에 따라 픽업형(Pick-up type) 및 쵸퍼형(Chopper type)으로 나누어 농지의 작업환경 등의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초퍼형 베일러의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144112(발명의 명칭 : 베일러용 픽업유닛과 초퍼유닛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결합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베일러용 픽업유닛과 초퍼유닛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결합장치는, 베일러 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본체 내부로 작물을 공급하도록 오거유닛이 구비된 작물공급장치에 있어서, 오거유닛의 전방 하부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부재; 픽업유닛 또는 쵸퍼유닛의 좌우 양단에 구비되고 다수의 연결공이 형성된 연결편부; 및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편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탈부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탈부착수단에 의해 상기 오거유닛에 픽업유닛 또는 쵸퍼유닛을 선택적으로 결합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선행기술은 작업환경 등의 조건에 따라 절단된 조사료 등 작물의 픽업기능을 가진 픽업유닛과 미가공된 작물의 절단기능을 가진 초퍼유닛을 선택하여 하나의 베일러 본체 상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픽업식 베일러와 초퍼식 베일러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도 두개의 베일러를 모두 갖춘 것과 같은 경제적인 효과가 있으며, 상기 유닛을 베일러 본체 상에 결합 또는 해체하는 작업이 간편하여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을 가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의 초퍼유닛은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축과 라잉커터로 작물을 절단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는 트랙터의 동력으로 작물의 절단작업시 트랙터로부터 초퍼유닛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플라잉커터가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어 작물에 대한 절단력이 떨어지고 돌 등에 부딪혀 파손이 되는 문제점과, 오거유닛에 초퍼유닛과 픽업유닛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여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랙터에 장착되어 옥수수 등의 작물을 초퍼장치의 칼날부재로서 직접 예취 및 절단한 다음, 예취 및 절단된 작물을 오거장치로 공급하여 절단하고, 오거장치에서 베일성형장치 내부로 공급하여 원형 베일을 성형할 수 있도록 구성한 쵸퍼형 원형 베일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일러의 견인장치 및 초퍼장치를 분리하고, 픽업형 베일러의 픽업장치를 간편하게 장착하여 픽업형 베일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쵸퍼형 원형 베일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은 전단에 트랙터에 연결되는 2점히치가 장착되고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수직받침대가 구비된 조인트케이스와, 조인트케이스 후단 양측에 전단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장착되는 경사부와, 경사부의 후단에 전단이 수평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후면에 대응되게 조립통공이 형성된 수평부로 이루어진 견인장치와; 상기 견인장치 후방 하부 영역에 승하강 및 완충 가능하게 장착되어 트랙터의 회전력을 동력전달장치로서 전달받아 옥수수 등의 작물을 예취하여 절단하기 위한 초퍼장치와; 상기 견인장치의 수평부에 분리 가능하고 회동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고 초퍼장치로부터 예취되어 절단된 작물을 공급받아 절단하여 중앙으로 모아 상부 영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오거장치와; 상기 오거장치의 후방 영역에 구비되어 오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절단된 작물을 내부에서 압축하여 원형으로 말아 베일을 성형하기 위한 작물베일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랙터에 장착되어 옥수수 등의 작물을 쵸퍼장치의 칼날부재로서 직접 예취 및 절단작업시 쵸퍼장치를 지지할 수 있도록 트랙터에 연결되는 견인장치와, 칼날부재가 장착되는 쵸퍼하우스 사이에 승하강 및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쵸퍼장치를 안정되게 승하강시키고, 쵸퍼장치의 동작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안전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쵸퍼형 베일러에 픽업형 베일러를 선택적으로 교체 연결하기 위한 구조가 간편하여 호환성이 우수한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쵸퍼형 원형 베일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쵸퍼형 원형 베일러의 쵸퍼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쵸퍼형 원형 베일러의 쵸퍼장치를 도시한 측단면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쵸퍼형 원형 베일러의 쵸퍼하우스에 대한 각도조절부재의 구성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쵸퍼형 원형 베일러의 승하강 및 완충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쵸퍼형 원형 베일러의 동력전달장치 및 작물예취 및 절단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쵸퍼형 원형 베일러의 승하강부재에 대한 동작상태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쵸퍼형 원형 베일러의 외측단완충부재에 대한 동작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쵸퍼형 원형 베일러의 쵸퍼장치와 오거장치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쵸퍼형 원형 베일러의 쵸퍼장치를 분리한 다음, 픽업형 원형 베일러의 픽업장치를 오거장치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쵸퍼형 원형 베일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쵸퍼형 원형 베일러의 쵸퍼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쵸퍼형 원형 베일러의 쵸퍼장치를 도시한 측단면 구성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쵸퍼형 원형 베일러의 쵸퍼하우스에 대한 각도조절부재의 구성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쵸퍼형 원형 베일러의 승하강 및 완충수단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쵸퍼형 원형 베일러의 작물예취 및 절단수단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에 11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쵸퍼형 원형 베일러는 전단에 트랙터(1)에 연결되는 2점히치(11)가 장착되고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수직받침대(12)가 구비된 조인트케이스(10)와, 조인트케이스(10) 후단 양측에 전단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장착되는 경사부(21)(22)와, 경사부(21)(22)의 후단에 전단이 수평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후면에 대응되게 조립통공(25a)이 형성된 수평부(23)(24)로 이루어진 견인장치(20)와; 견인장치(20) 후방 하부 영역에 승하강 및 완충 가능하게 장착되어 트랙터(1)의 회전력을 동력전달장치(60)로서 전달받아 옥수수 등의 작물을 예취하여 절단하기 위한 쵸퍼장치(30)와; 견인장치(20)의 수평부(23)(24)에 분리 가능하고 회동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고 쵸퍼장치(30)로부터 예취되어 절단된 작물을 공급받아 절단하여 중앙으로 모아 상부 영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오거장치(120)와; 오거장치(120)의 후방 영역에 구비되어 오거장치(120)로부터 공급되는 절단된 작물을 내부에서 압축하여 원형으로 말아 베일을 성형하기 위한 작물베일장치(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쵸퍼장치(30)는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고 하단에 스키드(41a)가 장착되는 수직마감편(41)(42)과, 수직마감편(41)(42) 내측 사이에 경사지게 고정되는 경사고정편(43)과, 경사고정편(43)의 후단에 힌지로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직마감편(41)(42) 내측 사이에 각도조절부재(44)로써 작물의 절단시 비산각도가 조절되는 작물비산차단편(45)과, 수직마감편(41)(42)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돌 등이 튀는 것을 차단하는 전면차단재(46)로 이루어진 쵸퍼하우스(40)와; 견인장치(20)의 수평부(23)(24)와 쵸퍼하우스(40)의 경사고정편(43) 상부 영역 사이에 구비되어 쵸퍼장치(30)를 승하강시키고 동작시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승하강 및 완충수단(50)과; 쵸퍼하우스(40)의 수직마감편(41)(42)의 후방 내측 사이에 구비되어 동력전달장치(6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작물을 예취하고 절단하여 오거장치(120)로 공급하기 위한 작물예취 및 절단수단(1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도조절부재(44)는 작물비산차단편(45)의 양단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대응되게 통공(44a-1)이 형성된 수직편(44a)과; 수직편(44a)의 통공(44a-1)에 연통되게 수직마감편(10)(11)의 후면에 형성된 만곡슬롯공(44a-2)과; 통공(44a-1)과 만곡슬롯공(44a-2)을 통하여 체결되는 조절볼트(44b) 및 너트(44c)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차단재(46)는 수직마감편(10)(11) 전면에 삽입 고정되는 수평고정봉(47)과; 수평고정봉(47)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공(48a)이 형성된 회동구(48)와, 회동구(48)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부(49a)와, 수직부(49a)의 단부에 내측으로 일체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49b)로 이루어진 다수의 차단편(4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하강 및 완충수단(50)은 쵸퍼하우스(40)의 경사고정편(43) 상부 중앙 영역에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한쌍의 중앙고정대(51)와, 중앙고정대(51) 양측의 경사고정편(43) 상부에 설치되어 동력전달장치(60)의 기어박스(62)가 경사지게 장착되는 장착브라켓(52)과, 장착브라켓(52) 양측의 경사고정편(43) 상부에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내측고정대(53)와, 내측고정대(53) 양측의 경사고정편(43) 상부에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외측고정대(54)와, 외측고정대(54) 양측의 경사고정편(43) 상부에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외측단고정대(55)로 이루어진 브라켓유닛(56)과; 견인장치(20)의 수평부(23)(24) 내측면과 브라켓유닛(56) 사이에 구비되어 쵸퍼장치(30)를 수직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부재(70)와; 견인장치(20)의 수평부(23)(24) 외측과 외측단고정대(55)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승하강부재(70)와 연동되어 쵸퍼장치(30)의 승하강시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외측단완충부재(90)로 이루어진다.
상기 동력전달장치(60)는 조인트케이스(10) 내부에 장착되어 트랙터(1)에 연결되는 광각조인트(61a)와; 브라켓유닛(50)의 장착브라켓(52) 상부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기어박스(62)와; 광각조인트(61a)에 연결되는 제1조인트(61b)에 의해 광각조인트(61b)의 동력이 전달되는 입력축(63)으로써 기어박스(6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전면베벨기어(64)와; 기어박스(62)의 일측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측면출력축(65)에 전면베벨기어(64)와 맞물리게 축설된 측면베벨기어(66)와; 기어박스(62)의 후면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후면출력축(67)에 측면베벨기어(66)와 맞물리게 축설된 후면베벨기어(68)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하강부재(70)는 견인장치(20)의 수평부(23)(24) 내측면에 마주보게 체결되고 수평가이드홈(71a)이 형성된 상부수평가이드(72)(73)와; 외측고정대(54) 상부의 내측면에 마주보게 체결되고 수평가이드홈(71b)이 형성된 하부수평가이드(74)(75)와; 상부수평가이드(72)(73)의 수평가이드홈(71a)에 이동 가능하도록 상부에 상부롤러(76a)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가 장착브라켓(52)과 내측고정대(53) 사이에 회동핀(77)으로써 회동 가능하고 경사지게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외측회동바(78)와; 하부 사이에 양단으로 돌출되게 연결봉(79)으로써 연결되고 내측 사이에 경사고정편(80)으로써 연결되며 연결봉(79) 양측에 축설되는 하부롤러(76b)로서 하부수평가이드(74)(75)의 수평가이드홈(71b)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가 상부수평가이드(72)(73) 후방의 수평부(23)(24) 내측면 사이에 회동핀(81a)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며 외측회동바(78) 내측면 중앙 영역이 회동핀(81b)으로서 면접촉으로 교차되게 연결되는 한쌍의 내측회동바(82)와; 중앙고정대(51) 사이에 후단이 장착되는 유압실린더(83)와, 유압실린더(83)에 결합되고 연결봉(79) 및 경사고정편(80)에 고정된 한쌍의 고정편(84)에 전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압피스톤(85)으로 이루어져 내,외측회동바(78)(82)를 이동시켜 쵸퍼장치(30)를 승하강시키 위한 승하강재(86)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측단완충부재(90)는 견인장치(20)의 수평부(23)(24) 외측에 각각 고정되는 수직브라켓(91)과; 수직브라켓(91)을 통과하여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이동볼트(92)와; 외측단고정대(55) 사이에 하부가 하부핀(93a)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사레버(93)와; 경사레버(93) 상부에 중앙핀(93b)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견인장치(20)의 수평부(23)(24) 외측에 상부핀(93c)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수평이동볼트(92)의 단부에 수직핀(94)으로써 결합되는 회동연결대(95)와; 수평이동볼트(9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바(96)와 수직브라켓(91) 사이에 끼워지고, 이동바(96)에 단부가 고정되어 수평이동볼트(92)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완충스프링(97)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견인장치(20)의 경사부(21)(22)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브라켓(98)과 장착브라켓(52) 및 내측고정대(53) 사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수평장공(52a)에 연결레버(99)의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쵸퍼하우스(4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작물 예취 및 절단수단(100)은 동력전달장치(60)의 측면출력축(65)과 수직마감편(41) 상부를 통과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연결수평축(101)과; 수직마감편(41)(42) 하부 사이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외주면에 상호 엇갈리게 다수의 칼날부재(110)가 장착되는 회전장축(102)과; 수직마감편(41)의 연결수평축(101) 및 회전장축(102) 단부에 각각 축설되는 상,하부풀리(103)(104) 사이에 연결되어 동력전달장치(60)의 회전력을 회전장축(102)으로 전달하기 위한 벨트(105)로 이루어진다.
상기 칼날부재(110)는 회전장축(102)의 외주면에 간격을 유지하여 상호 엇갈리게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브라켓(112)과; 고정브라켓(112) 사이에 고정볼트(113)로써 각각 공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다수의 절단날(114)로 이루어져 작물을 예취 및 절단하게 된다.
이때, 절단날(114)은 고정브라켓(112) 사이의 중앙에 위치되는 수직날(114a)과, 수직날(114a) 양측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날(114b)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거장치(120)는 전면 중앙 영역에 장착되는 하우징(122)의 양측에, 견인장치(20)를 구성하는 경사부(23)(24)의 조립통공(25a)과 연통되게 조립공(122a)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체결볼트(124)로써 분리 가능하고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며,동력전달장치(60)의 후면출력축(67)에 연결되는 제2조인트(125)를 통해 트랙터(1)의 동력이 전달되어 2차로 절단된 옥수수 등의 작물을 중앙 영역으로 모아 작물베일장치(130)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쵸퍼형 원형 베일러에 대한 조립 및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장치(20)를 구성하는 조인트케이스(10)의 2점히치(11)로써 쵸퍼형 원형 베일러를 트랙터(1)에 연결한 다음, 트랙터(1)의 동력으로서 작업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승하강 및 완충수단(50)을 구성하는 승하강부재(70)의 승하강재(86)를 동작하여 쵸퍼장치(30)를 하강시켜 수직마감편(41)(42) 하단의 스키드(41a)를 지면에 안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쵸퍼장치(30)가 하강하는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도 12b에서와 같이 트랙터(1)의 유압장치를 동작시켜 중앙고정대(51) 사이에 후단이 장착된 유압실린더(83)를 동작시키면, 유압실린더(83)에 결합된 유압피스톤(85)이 유압실린더(83) 내경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9참조)
이와 동시에 도 8에서와 같이 유압피스톤(85)의 전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고정편(84)이 고정되는 연결봉(79) 및 경사고정편(80)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연결봉(79) 양측의 하부롤러(76b)가 수평가이드(74)(75)의 수평가이드홈(71b)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경사고정편(80)으로써 연결되며, 상부가 수평부(23)(24) 내측면 사이에 회동핀(81a)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고, 외측회동바(78) 내측면 중앙 영역이 회동핀(81b)으로서 교차되게 연결되는 한쌍의 내측회동바(82)가 회동핀(81a)(81b)을 중심으로 수직에 근접되게 경사지게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내측회동바(82)에 중앙 영역이 회동핀(81b)로서 연결되고, 상부롤러(76a)가, 상부수평가이드(72)(73)의 수평가이드홈(71a)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하부가 장착브라켓(52)과 내측고정대(53) 사이에 회동핀(77)으로써 회동 가능하고 연결된 외측회동바(78)가, 내측회동바(82)와 연동하여 동일 각도로 경사지게 이동하게 됨에 따라, 즉 유압피스톤(85)의 이동 길이에 따른 외측회동바(78) 및 내측회동바(82)의 이동길이 만큼 쵸퍼장치(30)가 하강하여 지면에 안착된다.
이때, 견인장치(20)는 2점히치(11)로서 트랙터(1)에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하지 않게 되고, 견인장치(20)에 승하강 및 완충수단(50)으로서 연결되는 쵸퍼장치(30)가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쵸퍼장치(30)가 하강하여 지면에 안착되면, 견인장치(20)의 수평부(23)(24) 외측과 외측단고정대(55)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외측단완충부재(90)가 동시에 동작되어 쵸퍼장치(30)의 승하강시 충격을 완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외측단완충부재(90)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도 13b에서와 같이 외측단고정대(55) 사이에 하부가 하부핀(93a)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가 중앙핀(93b)으로서 회동연결대(95)에 연결되는 경사레버(93)가, 하부핀(93a)과 중앙핀(93b)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경사레버(93) 상부에 중앙핀(93b)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견인장치(20)의 수평부(23)(24) 외측에 상부핀(93c)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수평이동볼트(92)의 단부에 수직핀(94)으로써 결합되는 회동연결대(95)가, 상부핀(93c)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직브라켓(91)을 수평으로 통과하여 결합되는 수평이동볼트(92)가, 후방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고, 수평이동볼트(9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바(96)와 수직브라켓(91) 사이에 개재되고, 이동바(96)의 단부가 고정된 완충스프링(97)이 압축되어 수평이동볼트(92)를 탄력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쵸퍼장치(30)의 하강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쵸퍼장치(30)를 지면에 안착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트랙터(1)를 운행하면 트랙터(1)의 회전력이 광각조인트(61a) 및 제1조인트(61b)를 통해 동력전달장치(60)와 작물예취 및 절단수단(100)으로 전달되어 서 있는 옥수수 등의 작물을 예취하여 적정한 길이로 절단하게 된다.
이에 대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도 4 및 도 10에서와 같이 트랙터(1)의 회전력이 광각조인트(61a) 및 제1조인트(61b)를 통해 브라켓유닛(50)의 착브라켓(52) 상부에 장착되는 기어박스(62) 내부로 입력축(63)으로써 전달되어 전면베벨기어(64)가 회전하게 되고, 전면베벨기어(64)와 맞물리고 측면출력축(65)으로써 축설된 측면베벨기어(66)가 회전하게 되며, 측면출력축(65)과 연결되는 연결수평축(101)의 상부풀리(103)와 회전장축(102)의 하부풀리(104) 사이에 연결되는 벨트(105)를 통하여 회전장축(102)으로 전달되어 칼날부재(110)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쵸퍼하우스(40) 내부에서 옥수수 등의 작물을 예취하여 절단하게 된다.
이때, 도 11에서와 같이 회전장축(102)의 외주면에 간격을 유지하여 엇갈리게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브라켓(112) 사이에 고정볼트(113)로써 각각 공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한쌍의 수직날(114a)과 경사날(114b)로 이루어진 절단날(114)이 작물 예취 및 절단시 돌 등에 걸리게 될 때 각각 공회전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된다.
또한, 쵸퍼하우스(40)의 수직마감편(41)(42)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차단재(46)에 의해 돌 등이 외부로 튀는 것을 차단하게 되고, 쵸퍼하우스(40)의 경사고정편(43) 후단에 힌지(45a)로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물비산차단편(45)은 수직마감편(41)(42) 내측 사이에 각도조절부재(44)로써 각도를 조절하여 작물의 절단시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즉,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조절볼트(44b)로부터 너트(44c)의 체결력을 느슨하게 조절한 다음, 힌지(45a)를 중심으로 작물비산차단편(45)을 회동시키면 통공(44a-1)과 만곡슬롯공(44a-2)을 통하여 체결된 조절볼트(44b)가 만곡슬롯공(44a-2)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너트(44c)를 완전히 체결하면 각도가 조절된다.
이와 같이 트랙터(1)의 회전력으로 쵸퍼하우스(40) 내부에서 예취 및 절단된 작물은 절단날(114)의 시계 방향 회전력과 원심력으로써 쵸퍼하우스(40) 내부를 따라 후방 영역에 구비되고, 동력전달장치(60)의 후면출력축(67)에 연결되는 제2조인트(125)를 통해 트랙터(1)의 동력이 전달되는 오거장치(120) 내부로 공급되고 2차로 절단되어 중앙 영역으로 모아져 작물베일장치(130)로 공급하게 되며 작물베일장치(130) 내부에서 압축되어 원형으로 말아져 베일을 성형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됨에 따라 쵸퍼형 원형 베일의 작업이 완료된다.(도 1참조)
이후, 쵸퍼형 원형 베일의 작업이 완료되면 승하강부재(70)의 승하강재(86)를 동작시켜 쵸퍼장치(30)를 지면으로부터 상승시키고 다음의 작업을 위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쵸퍼장치(30)가 상승하는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도 12a에서와 같이 트랙터(1) 유압장치의 동작으로 유압실린더(83)가 동작되어, 유압피스톤(85)이 유압실린더(83) 내경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연결봉(79) 양측의 하부롤러(76b)가 수평가이드(74)(75)의 수평가이드홈(71b)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가 수평부(23)(24) 내측면 사이에 회동핀(81a)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외측회동바(78) 내측면 중앙 영역이 회동핀(81b)으로서 교차되게 연결되는 내측회동바(82)가 회동핀(81a)(81b)을 중심으로 눌러지게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내측회동바(82)에 중앙 영역이 회동핀(81b)로서 연결되고, 상부수평가이드(72)(73)의 수평가이드홈(71a)을 따라 상부롤러(76a)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하부가 회동핀(77)으로써 회동 가능하고 연결되는 외측회동바(78)가 내측회동바(82)와 연동하여 상호 눌러지면서 쵸퍼장치(30)가 원상태로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쵸퍼장치(30)가 상승하면, 도 13a에서와 같이 경사레버(93)가, 하부핀(93a)과 중앙핀(93b)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동시에, 경사레버(93) 상부에 중앙핀(93b)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평부(23)(24) 외측에 상부핀(93c)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수평이동볼트(92)에 수직핀(94)으로써 결합되는 회동연결대(95)가, 상부핀(93c)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직브라켓(91)을 수평으로 통과하여 결합되는 수평이동볼트(92)가 전방으로 직선으로 이동하게 되고, 수평이동볼트(9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바(96)와 수직브라켓(91) 사이에 개재되고, 이동바(96)의 단부가 고정된 완충스프링(97)이 복귀하게 된다.
한편, 쵸퍼형 원형 베일로서 베일 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견인장치(20) 및 쵸퍼장치(30)를 분리한 다음, 픽업형 원형 베일의 픽업장치를 장착하여 픽업형 원형 베일러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도 14에서와 같이 오거장치(120)의 하우징(122)에 결합되는 견인장치(20)를 구성하는 경사부(23)(24)의 조립통공(25a)과 연통되게 조립공(122a)에 체결 고정된 체결볼트(124)의 체결력을 해제시키면 오거장치(120)로부터 견인장치(20) 및 쵸퍼장치(30)가 분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5에서와 같이 픽업장치(150)가 장착되는 견인장치(140)의 단부를 오거장치(120)의 하우징(122)에 체결볼트(124)로써 체결 고정하면, 미리 절단된 옥수수 등의 작물을 픽업장치(150)로서 픽업하여, 오거장치(120)로 공급해 절단하고 베일장치(130)에서 압축시켜 원형으로 베일을 형성하는 픽업형 원형 베일장치의 용도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으로 쵸퍼형 원형 베일러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 가능한 범위까지 그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조인트케이스 20 : 견인장치
21,22 : 경사부 23,24 : 수평부
30 : 쵸퍼장치 40 : 쵸퍼하우스
41,42 : 수직마감편 41a : 스키드
43 : 경사고정편 44 : 각도조절부재
45 : 작물비산차단편 46 : 전면차단재
50 : 승하강 및 완충수단 51 : 중앙고정대
52 : 장착브라켓 53 : 내측고정대
54 : 외측고정대 55 : 외측단고정대
56 : 브라켓유닛 60 : 동력전달장치
70 : 승하강부재 72,73 : 상부수평가이드
74,75 : 하부수평가이드 77 : 회동핀
78 : 외측회동바 79 : 연결봉
80 : 경사고정편 82 : 내측회동바
83 : 유압실린더 85 : 유압피스톤
86 : 승하강재 90 : 외측단완충부재
91 : 수직브라켓 92 : 수평이동볼트
93 : 경사레버 95 : 회동연결대
96 : 이동바 97 : 완충스프링

Claims (7)

  1. 전단에 트랙터(1)에 연결되는 2점히치(11)가 장착되고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수직받침대(12)가 구비된 조인트케이스(10)와, 조인트케이스(10) 후단 양측에 전단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장착되는 경사부(21)(22)와, 경사부(21)(22)의 후단에 전단이 수평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후면에 대응되게 조립통공(25a)이 형성된 수평부(23)(24)로 이루어진 견인장치(20)와;
    상기 견인장치(20) 후방 하부 영역에 승하강 및 완충 가능하게 장착되어 트랙터(1)의 회전력을 동력전달장치(60)로서 전달받아 작물을 예취하여 절단하기 위한 쵸퍼장치(30)와;
    상기 견인장치(20)의 수평부(23)(24)에 분리 가능하고 회동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고 쵸퍼장치(30)로부터 예취되어 절단된 작물을 공급받아 절단하여 중앙으로 모아 상부 영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오거장치(120)와;
    상기 오거장치(120)의 후방 영역에 구비되어 오거장치(120)로부터 공급되는 절단된 작물을 내부에서 압축하여 원형으로 말아 베일을 성형하기 위한 작물베일장치(1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쵸퍼형 원형 베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쵸퍼장치(30)는
    간격을 유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마감편(41)(42)과, 수직마감편(41)(42) 내측 사이에 경사지게 고정되는 경사고정편(43)과, 경사고정편(43)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직마감편(41)(42) 내측 사이에 각도조절부재(44)로써 작물의 절단시 비산각도가 조절되는 작물비산차단편(45)과, 수직마감편(41)(42)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돌이 튀는 것을 차단하는 전면차단재(46)로 이루어진 쵸퍼하우스(40)와;
    상기 견인장치(20)의 수평부(23)(24)와 쵸퍼하우스(40)의 경사고정편(43) 상부 영역 사이에 구비되어 쵸퍼장치(30)를 승하강시키고 동작시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승하강 및 완충수단(50)과;
    상기 쵸퍼하우스(40)의 수직마감편(41)(42) 후방 내측 사이에 구비되어 동력전달장치(6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작물을 예취하고 절단하여 오거장치(120)로 공급하기 위한 작물예취 및 절단수단(1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쵸퍼형 원형 베일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44)는
    상기 작물비산차단편(45)의 양단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대응되게 통공(44a-1)이 형성된 수직편(44a)과;
    상기 수직편(44a)의 통공(44a-1)에 연통되게 수직마감편(10)(11)의 후면에 형성된 만곡슬롯공(44a-2)과;
    상기 통공(44a-1)과 만곡슬롯공(44a-2)을 통하여 체결되는 조절볼트(44b) 및 너트(44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쵸퍼형 원형 베일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및 완충수단(50)은
    상기 쵸퍼하우스(40)의 경사고정편(43) 상부 중앙 영역에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한쌍의 중앙고정대(51)와, 중앙고정대(51) 양측의 경사고정편(43) 상부에 설치되어 동력전달장치(60)의 기어박스(62)가 경사지게 장착되는 장착브라켓(52)과, 장착브라켓(52) 양측의 경사고정편(43) 상부에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내측고정대(53)와, 내측고정대(53) 양측의 경사고정편(43) 상부에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외측고정대(54)와, 외측고정대(54) 양측의 경사고정편(43) 상부에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외측단고정대(55)로 이루어진 브라켓유닛(56)과;
    상기 견인장치(20)의 수평부(23)(24) 내측면과 브라켓유닛(56) 사이에 구비되어 쵸퍼장치(30)의 수직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부재(70)와;
    상기 견인장치(20)의 수평부(23)(24) 외측과 외측단고정대(55)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승하강부재(70)와 연동되어 쵸퍼장치(30)의 승하강시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외측단완충부재(9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쵸퍼형 원형 베일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재(70)는
    상기 견인장치(20)의 수평부(23)(24) 내측면에 마주보게 체결되고 수평가이드홈(71a)이 형성된 상부수평가이드(72)(73)와;
    상기 외측고정대(54) 상부의 내측면에 마주보게 체결되고 수평가이드홈(71b)이 형성된 하부수평가이드(74)(75)와;
    상기 상부수평가이드(72)(73)의 수평가이드홈(71a)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도록 상부에 상부롤러(76a)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가 장착브라켓(52)과 내측고정대(53) 사이에 회동핀(77)으로써 회동 가능하고 경사지게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외측회동바(78)와;
    하부 사이에 양단으로 돌출되게 연결봉(79)으로써 연결되고 내측 사이에 경사고정편(80)으로써 연결되며 연결봉(79) 양측에 축설되는 하부롤러(76b)로서 하부수평가이드(74)(75)의 수평가이드홈(71b)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상부수평가이드(72)(73) 후방의 수평부(23)(24) 내측면 사이에 회동핀(81a)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며 외측회동바(78) 내측면 중앙 영역이 회동핀(81b)으로서 면접촉으로 교차되게 연결되는 한쌍의 내측회동바(82)와;
    상기 중앙고정대(51) 사이에 후단이 장착되는 유압실린더(83)와, 유압실린더(83)에 결합되고 연결봉(79) 및 경사고정편(80)에 고정된 고정편(8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압피스톤(85)으로 이루어져 내,외측회동바(78)(82)를 이동시켜 쵸퍼장치(30)를 승하강시키 위한 승하강재(8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쵸퍼형 원형 베일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단완충부재(90)는
    상기 견인장치(20)의 수평부(23)(24) 외측에 각각 고정되는 수직브라켓(91)과;
    상기 수직브라켓(91)을 통과하여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이동볼트(92)와;
    상기 외측단고정대(55) 사이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수직으로 고정되는 경사레버(93)와;
    상기 경사레버(93)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견인장치(20)의 수평부(23)(24)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수평이동볼트(92)의 단부에 수직핀(94)으로써 결합되는 회동연결대(95)와;
    상기 수평이동볼트(9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바(96)와 수직브라켓(91) 사이에 끼워지고, 단부가 이동바(96)에 고정되어 수평이동볼트(92)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완충스프링(9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쵸퍼형 원형 베일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 예취 및 절단수단(100)은
    상기 동력전달장치(60)의 측면출력축(65)과 수직마감편(41) 상부를 통과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연결수평축(101)과;
    상기 수직마감편(41)(42) 하부 사이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회전장축(102)과;
    상기 회전장축(102)의 외주면에 간격을 유지하여 상호 엇갈리게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브라켓(112)과, 고정브라켓(112) 사이에 고정볼트(113)로써 각각 공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다수의 절단날(114)로 이루어진 칼날부재(110)와;
    상기 수직마감편(41)의 연결수평축(101) 및 회전장축(102) 단부에 각각 축설되는 상,하부풀리(103)(104) 사이에 연결되어 동력전달장치(60)의 회전력을 회전장축(102)으로 전달하기 위한 벨트(10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쵸퍼형 원형 베일러.

KR1020190103018A 2019-08-22 2019-08-22 쵸퍼형 원형 베일러 KR102343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018A KR102343273B1 (ko) 2019-08-22 2019-08-22 쵸퍼형 원형 베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018A KR102343273B1 (ko) 2019-08-22 2019-08-22 쵸퍼형 원형 베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178A true KR20210023178A (ko) 2021-03-04
KR102343273B1 KR102343273B1 (ko) 2021-12-27

Family

ID=75174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018A KR102343273B1 (ko) 2019-08-22 2019-08-22 쵸퍼형 원형 베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2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749A (ko) * 2021-09-27 2023-04-04 박환이 탈착식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364B1 (ko) * 2005-04-30 2006-06-20 한성물류운반기계(주) 테이블 리프트
KR101220471B1 (ko) * 2010-07-06 2013-01-10 주식회사 명성 절단이송장치를 가지는 조사료 압축 및 결속장치
KR101386440B1 (ko) * 2013-03-18 2014-04-29 유명덕 베일러 장치의 구동전달 구조
KR102001040B1 (ko) * 2018-11-21 2019-07-17 (주)에이치에스엠 탈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364B1 (ko) * 2005-04-30 2006-06-20 한성물류운반기계(주) 테이블 리프트
KR101220471B1 (ko) * 2010-07-06 2013-01-10 주식회사 명성 절단이송장치를 가지는 조사료 압축 및 결속장치
KR101386440B1 (ko) * 2013-03-18 2014-04-29 유명덕 베일러 장치의 구동전달 구조
KR102001040B1 (ko) * 2018-11-21 2019-07-17 (주)에이치에스엠 탈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749A (ko) * 2021-09-27 2023-04-04 박환이 탈착식 조사료 수확용 자동화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273B1 (ko) 2021-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56989B (zh) 普通型联合收割机
EP1364569A1 (en) Mower
JP6033128B2 (ja) コンバイン
JPH09215426A (ja) 普通型コンバインのセカンドモア
CN109168574B (zh) 联合收割机
US20110154793A1 (en) Forage chopper header for harvesting both standing and down crop material
KR20210023178A (ko) 쵸퍼형 원형 베일러
US2338932A (en) Forage cutter
CN204616472U (zh) 多功能捡拾破碎打捆机
CN101669422A (zh) 普通型联合收割机
JP2013153656A (ja) コンバイン
US2762183A (en) Windrow harvester
CN106455487A (zh) 联合收割机
KR100868522B1 (ko) 청예사료 수확압축장치
JP2013153655A (ja) コンバイン
KR101869468B1 (ko)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농업용 베일러
DE1782021A1 (de) Ballenpresse
WO2013111639A1 (ja) コンバイン
US2841943A (en) Quick attaching forage harvester
CN2527078Y (zh) 割草机
GB2471477A (en) Harvesting machines having pivoting arrangement
JP2014068586A (ja) コンバイン
JP6014520B2 (ja) コンバイン
JP2014100067A (ja) コンバイン
JP2013153654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