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2241A - 새싹작물의 세척기 - Google Patents

새싹작물의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2241A
KR20210022241A KR1020190101429A KR20190101429A KR20210022241A KR 20210022241 A KR20210022241 A KR 20210022241A KR 1020190101429 A KR1020190101429 A KR 1020190101429A KR 20190101429 A KR20190101429 A KR 20190101429A KR 20210022241 A KR20210022241 A KR 20210022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sprout
crops
uni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9723B1 (ko
Inventor
황보기만
Original Assignee
황보기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보기만 filed Critical 황보기만
Priority to KR1020190101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723B1/ko
Publication of KR20210022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6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combined with subsequent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Abstract

본 발명은 새싹작물의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세척실에 새싹작물의 엉킨 뿌리를 분하는 분리기 및 급수관이 구비된 제1단계 세척부와: 물의 소용돌이를 위해 한 쌍의 분사관이 세척실의 상부와 하부 측에 대향하여 구비되어 새싹작물을 세척하는 제2단계 세척부와; 상기 제2단계 세척부의 측방에 망벽에 의해 구획된 씨앗껍질의 여과부와: 상기 제2단계 세척부에서 세척된 새싹작물이 바이브레이터에 의해 상하 진동으로 탈수되면서 용기에 담기는, 망판으로 된 탈수판이 구비된 탈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배기에서 수확된 새싹작물이 제1단계 세척부에서 급수관에서 공급된 물의 소용돌이와 분리기의 날개에 의해 엉킨 새싹뿌리가 분리되면서 초벌 세척되고, 초벌 세척된 상기 새싹작물은 물과 함께 제2단계 세척부의 세척실로 유입되어, 대칭으로 배치된 분사관에서 분사되는 물의 소용돌이 작용에 의해 새싹작물이 청결하게 세척되는 동시 떠다니는 씨앗껍질은 여과부로 유출되어 수거되고 세척된 새싹작물은 바이브레이터에 의해 상하 진동하는 탈수판을 통하여 탈수되면서 배출되어 용기에 담기어 거의 자동으로 다량의 새싹작물을 보다 능률적으로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다.

Description

새싹작물의 세척기 {A WASHER OF SPROUT PRODUCT}
본 발명은 새싹작물의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세척실에 새싹작물의 엉킨 뿌리를 분리하는 분리기 및 급수관이 구비된 제1단계 세척부와: 물의 소용돌이를 위한 한 쌍의 분사관이 세척실의 상부와 하부 측에 대향하여 구비되어 새싹작물을 세척하는 제2단계 세척부와; 상기 제2단계 세척부의 측방에 망벽에 의한 구획된 씨앗껍질의 여과부와: 상기 제2단계 세척부에서 세척된 새싹작물에 바이브레이터에 의해 상하 진동으로 탈수되면서 용기에 담기는, 망판으로 된 탈수판이 구비된 탈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배기에서 수확된 새싹작물이 제1단계 세척부에서 급수관에서 공급된 물의 소용돌이와 분리기의 날개에 의해 엉킨 새싹뿌리가 분리되면서 초벌 세척되고, 초벌 세척된 상기 새싹작물은 물과 함께 제2단계 세척부의 세척실로 유입되어, 대칭으로 배치된 분사관에서 분사되는 물의 소용돌이에 의해 새싹작물이 청결하게 세척되는 동시 떠다니는 씨앗껍질은 여과부로 유출되어 제거되고 세척된 새싹작물은 바이브레이터에 의해 상하 진동하는 탈수판을 통하여 탈수되면서 유출되어 용기에 담기어 거의 자동으로 다량의 새싹작물을 보다 능률적으로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다.
종래 농산물의 가공공장에서 배추, 무, 미나리, 상추, 고추, 감자 고구마, 등의 농산물을 일일이 수공으로 세척하였으나 세척 능률이 높지 못하고 인건비가 높기 때문에 최근에는 세척할 작물의 형태와 품질에 따라 그에 적합한 다양한 종류의 세척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야채의 세척기에 관한 몇 건의 선행기술의 특허문헌을 아래에 기재하였다.
(인용문헌1) 등록특허공보 제10-0922283호 (2009.10.15.공고) (인용문헌2) 등록특허공보 제10-1758159호 (2017. 07.14.공고) (인용문헌3) 등록특허공보 제10-1289333호 (2013. 07.18.공고)
최근 농작물의 하나인 새싹작물은 다 자란 작물에 비하여 영양분이 높은 비율로 함유되어 있어 보조식품으로 많은 관심을 갖게 되고 새싹작물을 다량으로 재배하고 있으나, 일반 채소와 달리, 새싹작물은 줄기가 없고 작고 연한 새싹 잎과, 잔뿌리가 서로 엉키어 뭉쳐 있어, 통상의 야채 세척기로는 새싹작물이 훼손되어 제대로 세척하기 어려워서, 주로 손으로 뿌리를 조심스럽게 분리시키면서 세척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량의 새싹작물을 일관된 세척단계로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는 새싹작물의 세척기의 개발을 발명의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새싹작물의 엉킨 뿌리를 분리시키면서 초벌 세척하는 제1단계 세척부와, 초벌 세척된 새싹작물을 청결하게 세척하는 제2단계 세척부와, 세척된 새싹작물을 탈수하면서 용기에 담기는 탈수부, 및 벗겨진 씨앗껍질을 여과 제거하는 여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새싹작물의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관된 세척공정에 이해 세척 중에 새싹작물의 품질을 훼손함이 없이 다량의 새싹작물을 보다 능률적으로 청결하게 세척하여 살균처리 할 수 있는 새싹작물의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척기의 구성이 간단하고 거의 자동화되어 누구나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하여 새싹작물을 세척할 수 있는 새싹작물의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급수관 및 새싹작물의 엉킨 뿌리를 분리하는 분리기가 세척실에 구비되어 새싹작물을 초벌 세척하는 제1단계 세척부와: 물의 소용돌이를 위해 한 쌍의 분사관이 세척실의 상부와 하부 측에 대향하여 구비되어 초벌 세척된 새싹작물을 청결하게 세척하는 제2단계 세척부와; 상기 2단계 세척부의 세척실의 측방에 망벽으로 구획된 여과실에 씨앗껍질의 여과 및 수거되는 여과부와: 상기 제2단계 세척부에서 세척된 새싹작물이 바이브레이터에 의해 상하 진동으로 탈수되면서 용기에 담기는, 망판으로 된 탈수판이 지지판에 지지된 탈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1단계 세척부의 세척실에 급수관에 의해 공급된 물이 제2단계 세척부의 세척실 및 탈수부에 일 방향으로 넘쳐흐르게 되어 있다.
상기 제1단계 세척부에 구비된 새싹뿌리의 분리기는 모터에 의해 전속으로 회전되는 날개로 되어있고 상기 분리기의 지지대는 L자형의 터렛형(turret type)으로 되어있어, 지지대를 일 측으로 재치면 분리기의 날개가 물 속으로 잠기고 상기 지지대를 타 측으로 재치면 분리기의 날개가 물 밖으로 나오게 되어 있다.
또 세척실의 물 아래로 가라앉은 새싹작물을 들어올리기 위하여 제1단계 세척부의 세척실에 망상의 뜰채가 걸쳐있다.
상기 제2단계 세척부의 세척실의 상부와 하부에 대칭으로 구비된 각 분사관의 급수펌프는 상기 세척실의 한쪽 망판으로 구획된 씨앗껍질의 여과부의 여과실에 도관으로 연관되어 있다.
상기 탈수부의 지지판에 약간 경사지게 지지된 망판으로 된 탈수판에 바이브레이터가 구비되어 상하 진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탈수판의 배출구 측 상부에는 에어펌프에 의해 공기가 분사되는 공기 분사관이 가로로 구비되어 탈수된 새싹작물의 물기를 제거하게 되어 있다.
상기 여과부의 여과실의 유출구 측에는 망판으로 된 여과판이 구비되어 씨앗껍질을 탈수하여 배출구를 통하여 수거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단계 세척부와 제2 단계 세척부의 각 세척실에 급수관에 의해 공급된 물이 채워지고 제1단계 세척부의 세척실의 아래쪽에는 뜰채가 잠겨 있다.
상기 제1단계 세척부의 세척실에 세척할 새싹작물을 투입하고 분리기를 가동한다. 분리기의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날개에 의해 소용돌이 하는 물과 날개의 접촉에 의해 새싹작물의 엉킨 뿌리가 분리하면서 초벌 세척된다.
새싹작물은 토양에서 재배하는 야채와 달리, 청정 환경의 재배실에서 재배판에 의해 재배되기 때문에 오염물질이 거의 붙지 않으므로 초벌 세척만으로도 청결하게 세척된다.
초벌세척이 끝나면 세척실의 저면에 비치된 망상의 뜰채를 위로 올리어 물아래로 가라앉은 새싹작물을 물위로 들어 올리면서 제2단계 세척부의 세척실로 이동시킨다. 이때 새싹작물에서 벗겨진 작은 씨앗껍질과 작은 이물질은 물에 부유되어 함께 제2단계 세척부의 세척실로 유입된다.
제2단계 세척부의 세척실로 유입된 새싹작물은 펌프의 가동에 의해 상기 세척실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분사관에서 분사되는 물의 소용돌이에 의해 새싹작물이 청결하게 세척된다.
세척한 후 제1단계 세척부의 급수관의 밸브를 닫아 급수를 단수시키고 제2단계 세척부의 물의 흐름을 멈추게 한 다음 제2단계 세척부의 세척실에 산화질소액과 과산화수소액, 또는 구연산액이 같은 용량비로 혼합된 10% 농도의 살균성 용액을 상기 세척실 물에 대하여 약 1% ~10% 용량비율로 가하여 새싹작물을 약 10분 정도 살균처리 한다.
상기 살균액은 새싹작물과 인체에는 전혀 무해하며, 미생물의 살균,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
상기 제2단계 세척부의 세척실에서 살균처리가 종료되면 살균처리 된 새싹작물을 탈수부로 이동시킨다.
탈수부로 유입된 새싹작물은 바이브레이터에 의하여 상하로 진동되는 망판으로 된 탈수판에 의해 기울어진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탈수되고, 탈수판의 배출구 부근에서 에어펌프의 가동에 따라 공기 분사관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새싹작물의 물기가 제거되면서 용기에 담긴다.
한편, 제2단계 세척부에서, 세척실에 구비된 분사관에 펌프에 의해 여과부의 여과실의 물을 공급하여 분사하기 때문에 제2단계 세척부의 세척실과 여과실의 물이 상기 세척실의 측면에 구비된 망벽을 통하여 일 방향으로 순환된다, 이러한 물의 순환에 따라 벗겨진 씨앗껍질 등은 물과 함께 망벽을 통과하여 여과실로 유입되고 여과판에 의해 탈수 및 수거된다.
본 발명은 새싹작물의 엉킨 뿌리를 분리기에 의해 분리시키면서 초벌 세척하는 제1단계 세척부와, 분사관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세척하는 제2단계 세척부와, 세척된 새싹작물을 바이브레이터에 의해 상하 진동으로 탈수하면서 용기에 담기는 탈수부, 및 벗겨진 씨앗껍질을 여과 수집하는 여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관된 세척단계에 의하여 세척 중에 새싹작물의 품질을 훼손함이 없이 다량의 새싹작물을 보다 능률적으로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세척기의 구성이 간단하고 작동이 거의 자동화되어 누구나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하여 새싹작물을 세척할 수 있다.
또 벗겨진 씨앗껍질은 펌프에 의해 세척실과 여과실을 순환되는 물의 흐름에 의해 용이하게 여과하여 수집 제거할 수 있다.
또한 2단계 세척부의 최종의 세척 시에 인체에 무해한 살균액으로 새싹작물을 살균처리하기 때문에 보관 중에 새싹작물이 부패될 우려가 없이 식용, 또는 보조식품재료로 유용하게 제공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세척기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세척기기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세척기의 측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새싹작물 뿌리의 분리기의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새싹작물 뿌리의 분리기의 터릿(turrit) 작동 예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유출부의 바이브레이터의 종단면 예시도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새싹작물의 세척기(WS)는 제1단계 세척부(A)와: 제2단계 세척부(B)와: 씨앗껍질의 여과부(C) 및 세척된 새싹작물이 탈수되는 탈수부(D)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단계 세척부(A)는 세척실(10)의 상부 측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0s)이 구비되고 세척실(10)의 바닥에는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관(10d)이 구비되며, 상기 세척실(10)의 상단부에 구비된 물의 유출구(10u)가 제2단계 세척부(B)의 상단부측으로 연관되어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실(10)의 상단부에는 새싹작물의 뿌리를 분리하는 분리기(11)가 구비되고 상기 세척실(10)의 내부에는 망상의 뜰채12)가 걸게(12c)에 의해 수평으로 걸쳐 있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뿌리의 분리기(11)는 L자형의 지지대(11s)의 중간부에 날개(11f)를 구동하는 모터(11m)가 장착되고 상기 지지대(11s)의 양 단부는 상기 세척실(10)의 좌우 상단부에 지지편(11d)에 의해 지지되어 지지대(11s)를 일 측으로 재치면 분리기(11)의 날개(11f)가 수중으로 잠기고 지지대(11s)를 타 측으로 재치면 날개(11f)가 물 밖으로 나오게 되어 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계 세척부(B)는 세척실(20)의 내부에 새싹작물을 세척하기 위하여 물이 상하 소용돌이 작용을 할 수 있도록 2 개의 물의 분사관(21)(22)이 상기 세척실(20)이 상부와 하부의 코너 측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분사관(21)(22)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P1)(P2)의 도관d1)(d2)이 상기 세척실(20)의 일 측에 망벽(23)으로 구획(區劃)된 여과부(C)의 여과실(30)에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펌프(P1)(P2)의 가동에 의해 여과실(30)의 물이 도관(d1)(d2)을 통하여 상기 분사관(21)(22)으로 분사되는 동시 상기 세척실(20)의 물은 망벽(網璧)(23)을 통하여 여과실(30)측으로 순환되어 부유되는 씨앗껍질 등이 여과부(C)의 여과실(30)로 유입되어 수거하게 되어 있다.
상기 세척실(20)의 상단부에 구비된 물의 유출구(20u)는 탈수부(D)로 연관되고 상기 세척실(20)의 바닥에는 배수관(20d)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단계 세척부(A)의 세척실(10)의 물은 유출구(10u)를 통하여 제2단계 세척부(B)의 세척실(20)로 넘쳐흐르고 상기 제2단계 세척부(B)의 세척실(20)의 물은 유출구(20u)를 통하여 탈수부(D)로 넘쳐흐르게 되어 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씨앗껍질의 여과부(C)는 여과실(30)이 상기 제2단계 여과부(B)의 세척실(20)의 측방에 망벽(網壁)(23)으로 구획되고 상기 여과실(30)의 일 측에 상기 펌프(P1)(P2)의 도관(d1)(d2)이 연관되어 있어, 상기 세척실(20)의 물이 망벽(23)을 통하여 상기 여과실(30)로 순환되면서 떠 다니는 씨앗껍질이 여과실(30)로 수집하게 되어 있다. 상기 여과실(30)의 유출구(31u) 측에는 망판으로 된 여과판(31)에 의해 여과되어 하단 배출구(31u)를 통하여 용기(b)에 담기게 되어 있다.
도1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부(D)는 좁고 긴 망판으로 된 탈수판(40)의 상단부가 지지판(40s)에 축 요동할 수 있게 지지축(40x)으로 지지되고 경사지게 지지된 상기 탈수판(40)의 하단부측에는 바이브레이터(41)에 의해 상하 진동하게 되어 있고 상기 탈수판(40)의 배출구(40u)의 상부에 에어펌프(ap)가 구비된 공기 분사관(42)이 가로로 배치되어 세척된 새싹작물의 물기를 제거하게 되어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이브레이터(41)는 모터(41m)에 의해 구동되는 편심 휠(41w)에 연결된 크랭크로드(41d)가 상기 유출판(40)의 좌우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상기 지지축(40x)을 지점으로 상하 진동하게 되어 있다.
탈수판(40)의 진동에 의해 세척된 새싹작물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탈수되어 용기(box)에 담기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1단계 세척부(A의 세척실(10과 제2단계 세척부(B)의 세척실(20)에 급수관(10s)에 의해 공급되는 물을 채운다.
여과부(C)의 여과실(30)에도 망벽(23)을 통하여 상기 세척실(20)의 물이 유입되어 채워진다. 급수관(10s)에서 물의 공급이 중지되면 물은 넘쳐흐르지 않으나 계속 물을 공급하면 제1단계 세척부(A)의 세척실(10)에서 제2단계 세척구(B)의 세척실(20)로, 상기 제2단계 세척부(B)의 세척실(20)의 물은 탈수부(D)로 각 유출구(10u)(20u)를 통하여 넘쳐흐른다.
따라서 급수관(10s)의 밸브의 개폐 조절에 따라 물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할 새싹작물을 제1단계 세척부(A)의 세척실(10)의 물에 투입하고 분리기(11)의 날개(11f)를 물속으로 잠기게 한 다음 모터(11m)에 의해 날개(11f)를 가동하면 소용돌이 하는 물과, 날개(11f)의 접촉에 의해 새싹작물의 엉킨 뿌리가 풀리면서 초벌 세척된다. 새싹작물에는 특별한 오염물질 거의 없기 때문에 초벌 세척으로도 청결하게 된다.
제1단계 세척이 완료되면 분리기(11)의 지지대(11s)를 일 측으로 제치어 날개(11f)를 물 밖으로 꺼내고 뜰채12)를 조용히 들어 올리면 물속에 잠긴 새싹작물이 위로 떠오른다.
이때 물의 위로 오른 새싹작물을 상기 세척실(10)의 유출구(10u)를 통하여 흐르는 물과 함께 제2단계 세척부(B)의 세척실(B)로 유입시킨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P1)(P2)의 가동에 의해 제2단계 세척부(B)의 세척실(20)에 구비된 분사관(21)(22)에서 물이 분사되어 소용돌이를 이루고 있어 상기 세척실(20)에 유입된 새싹작물은 청결하게 세척된다.
이때 펌프(P1)(P2)의 가동에 의해 상기 세척실(20)과 여과부(C)의 여과실(30)의 물이 여과실(30) 방향으로 순환작용을 하기 때문에 상기 세척실(20에서 떠다니는 씨앗껍질이나 이물질 등이 망벽(23)을 거쳐 여과실(30)로 유입된다. 새싹작물은 껍질보다 크기 때문에 망벽(23)을 통과하지 않으며, 따라서 씨앗작물과 씨앗껍질이 분리 여과된다.
상기 제2단계 세척부(B)의 세척실(20)에서 새싹작물이 청결하게 세척되면 물의 흐름을 중지시키고 산화질소액과 과산화수소, 또는 구연산액의 혼합액으로 된 10%농도의 살균성 액을 세척실(2)의 물의 약 1% 용량으로 주입하여 세척된 새싹작물을 살균 처리한다, 약 10분간 살균 처리한 다음 유출구(20u)를 통하여 탈수부(D)로 물과 함께 차례로 자연스럽게 유출시킨다.
탈수부(D)의 탈수판(40)은 바이브레이터(41)에 의해 진동하기 때문에 탈수부(D)로 유입된 새싹작물은 진동하는 경사진 유출판(40)에 의해 탈수와 동시에 하방 측으로 이동되고 이동의 마지막 배출구(40u) 부분에서 에어펌프(ap)의 가동에 따라 공기 분사관(42)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최종적으로 수분이 제거되면서 용기(box)에 담긴다.
한편, 여과부(C)이 여과실(30)에 유입된 껍질 등은 물과 함께 유출부(30u)로 유출되어 여과판(31)에 의해 탈수되고 껍질 등은 배출구(31u)를 통하여 용기(b)에 담긴다.
새싹작물의 세척은 작물의 종류에 따라 배치(Bact) 타입으로 단일적으로 세척할 수 있고 또 연속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단일적으로 세척할 경우에는 살균처리가 용이하나, 연속세척의 경우에는 살균처리가 어렵다,
청결하게 세척된 새싹작물은 그대로 식용으로 제공되거나 건조하여 보조식품재로로 공급할 수 있다.
10 : 세척실 10d : 배수관 10s : 급수관
10u : 유출구 11 : 분리기 11f : 날개
11s : 지지대 11m : 모터 12 : 뜰채
12c : 걸개 20 : 세척실 20d : 배수관
20u : 유출구 21,22 : 분사관 23 : 망벽
30 : 여과실 30u : 유출구 31 : 여과판
31u : 배출구 40 : 탈수판 40s : 지지판
40u : 배출구 40x : 지지축 41 : 바이브레이터
41d : 크랭크로드 41m : 모터 41w : 편심휠
42 : 공기분사관
A ; 제1단계 세척부 B : 제2단계 세척부 C : 여과부
D : 탈수부 P1,P2 : 펌프 ap : 에어펌프
d1,d2 : 도관

Claims (6)

  1. 급수관 및 새싹작물의 엉킨 뿌리를 분리하며 세척하는 분리기가 세척실에 구비된 제1단계 세척부와: 물의 소용돌이를 위해 한 쌍의 분사관이 세척실의 상부와 하부 측 코너에 대향하여 구비되어 새싹작물을 세척하는 제2단계 세척부와; 상기 세척실의 일 측방에 망벽(網壁)으로 여과실과 구획되어 씨앗껍질의 여과 및 수거하는 여과부와: 망판으로 된 탈수판에 바이브레이터가 구비되어 상하 진동으로 세척된 새싹작물이 탈수되면서 용기에 담기는 탈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작물의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1단계 세척부에 구비된 새싹작물 뿌리의 분리기는 L자형의 지지대의 중간부에 날개를 구동하는 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지지대의 양 단부는 상기 세척실의 좌우 상단부에 지지편에 의해 지지되어 지지대의 제침에 따라 분리기의 날개가 물속에 잠기거나 물 밖으로 나오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작물의 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세싹작물의 세척과 씨앗껍질의 제거를 위해 제2단계 세척부의 세척실에 구비된 각 분사관의 펌프가 도관에 의해 여과부의 여과실에 관접되어 상기 세척실과 상기 여과실 간에 물이 순환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작물의 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탈수부의 탈수판에 구비된 바이브레이터는 모터로 구동되는 편심 휠의 클랭크 로드가 상기 탈수판의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지지축을 지점으로 상하 진동하여 배출되는 새싹작물을 탈수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작물의 세척기.
  5. 제1항에 있어서,
    탈수부의 탈수판의 배출구측의 상부에 에어펌프에 의해 공기가 분사되는 공기 분사관이 구비되어 유출되는 새싹작물의 물기를 제거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작물의 세척기.
  6. 제1항에 있어서,
    제1단계 세척부의 세척실에 망상의 뜰채가 걸개에 의해 걸쳐 있어, 가라앉은 새싹작물을 물위로 떠 오르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작물의 세척기.
KR1020190101429A 2019-08-20 2019-08-20 새싹작물의 세척기 KR102259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429A KR102259723B1 (ko) 2019-08-20 2019-08-20 새싹작물의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429A KR102259723B1 (ko) 2019-08-20 2019-08-20 새싹작물의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241A true KR20210022241A (ko) 2021-03-03
KR102259723B1 KR102259723B1 (ko) 2021-06-01

Family

ID=75151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429A KR102259723B1 (ko) 2019-08-20 2019-08-20 새싹작물의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72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999A (ko) * 2004-09-30 2006-04-04 한국식품연구원 엽채류 연속 세척장치
KR100848386B1 (ko) * 2007-10-24 2008-07-25 타프기계공업(주) 나물 세척장치
KR100922283B1 (ko) 2009-02-18 2009-10-15 (주)명성 야채세척기
KR20120068433A (ko) * 2010-12-17 2012-06-27 논산시(관리부서:논산시농업기술센터) 냉동용 딸기 세척시스템
KR101289333B1 (ko) 2013-03-18 2013-07-29 주식회사 대덕종합기계 이물질 자동배출이 가능한 야채 자동세척기
KR101480764B1 (ko) * 2014-04-16 2015-01-21 홍성훈 국솥 혼합장치
KR101758159B1 (ko) 2015-10-05 2017-07-14 한주석 야채세척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999A (ko) * 2004-09-30 2006-04-04 한국식품연구원 엽채류 연속 세척장치
KR100848386B1 (ko) * 2007-10-24 2008-07-25 타프기계공업(주) 나물 세척장치
KR100922283B1 (ko) 2009-02-18 2009-10-15 (주)명성 야채세척기
KR20120068433A (ko) * 2010-12-17 2012-06-27 논산시(관리부서:논산시농업기술센터) 냉동용 딸기 세척시스템
KR101289333B1 (ko) 2013-03-18 2013-07-29 주식회사 대덕종합기계 이물질 자동배출이 가능한 야채 자동세척기
KR101480764B1 (ko) * 2014-04-16 2015-01-21 홍성훈 국솥 혼합장치
KR101758159B1 (ko) 2015-10-05 2017-07-14 한주석 야채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723B1 (ko) 202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77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roduce
CN203913208U (zh) 净菜无害化高效加工保鲜系统
CN208034742U (zh) 一种具有清洗功能的大蒜切片机
JP2002034538A (ja) 大蒜用皮剥き装置、およびそれを使った大蒜の皮剥き方法
CN203985989U (zh) 一种连续蔬菜根茎清洗机
CN109730340A (zh) 一种青梅腌制自动清洗设备
KR20210022241A (ko) 새싹작물의 세척기
CN210747047U (zh) 果蔬浸渍糖液过滤装置
CN106360432A (zh) 一种鱼仔休闲食品自动化生产装置
CN211861740U (zh) 一种高品质净菜加工系统
CN215013430U (zh) 一种红薯干、果干清洗干燥杀菌系统
KR20160130582A (ko) 부유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야채류 세척장치
CN208826767U (zh) 一种用于芽菜的切割装置
CN109922653A (zh) 用于收集和处理水葫芦的方法和单元
CN107319568B (zh) 提取葡萄维生素的加工设备以及提取方法
CN104719992B (zh) 一种鱿鱼须酶法脱皮工艺
CN209594709U (zh) 一种荔枝鲜果降农残装置
CN207733626U (zh) 一种新型蔬菜杀菌去农残清洗机
CN218219034U (zh) 智能化韭菜清洗沥干生产装置
CN203167984U (zh) 果蔬洗涤消毒装置
CN214854127U (zh) 一种柿子清洗消毒装置
CN210869776U (zh) 可过滤水的果蔬休闲食品漂烫装置
KR20170002746A (ko) 과채류 세정장치
CN217161022U (zh) 一种木耳收集清洗设备
KR100893532B1 (ko) 염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