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2230A - 표시장치 및 이의 합착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이의 합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2230A
KR20210022230A KR1020190101302A KR20190101302A KR20210022230A KR 20210022230 A KR20210022230 A KR 20210022230A KR 1020190101302 A KR1020190101302 A KR 1020190101302A KR 20190101302 A KR20190101302 A KR 20190101302A KR 20210022230 A KR20210022230 A KR 20210022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ubstrate
window
display device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현
이승민
김민주
심동환
이정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1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2230A/ko
Priority to US16/908,819 priority patent/US11590748B2/en
Priority to CN202010824331.2A priority patent/CN112397556A/zh
Priority to EP20191705.1A priority patent/EP3783423B1/en
Publication of KR20210022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230A/ko
Priority to US18/162,165 priority patent/US1189084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Abstract

표시장치는, 평면 부분 및 상기 평면 부분으로부터 밴딩된 밴딩 부분을 포함한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평면 부분에 중첩하는 센터 부분 및 상기 밴딩 부분에 중첩하는 엣지 부분을 포함한 표시모듈, 상기 윈도우 및 상기 표시모듈 사이에 배치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의 적어도 일 부분에 중첩한 윤활층을 포함한 접착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이의 합착 방법{BONDING DEVICE AND METHOD FOR BONDING THEREOF}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장치 및 이의 합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스마트 폰,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 랩 탑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휴대 정보 단말기와 같은 모바일 장치나, 슬림형 텔레비전, 전시용 표시, 광고판과 같은 전자 제품에 이용할 수 있다.
최근 들어, 휴대하기가 용이하고, 다양한 형상의 장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device)가 개발되고 있으며, 평면한 제1 표시 영역과 제1 표시 영역으로부터 밴딩된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한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즉, 표시장치는 전면 및 측면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모듈과 윈도우 간의 합착이 용이한 표시장치 및 이의 합착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평면 부분 및 상기 평면 부분으로부터 밴딩된 밴딩 부분을 포함한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평면 부분에 중첩하는 센터 부분 및 상기 밴딩 부분에 중첩하는 엣지 부분을 포함한 표시모듈, 상기 윈도우 및 상기 표시모듈 사이에 배치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의 적어도 일 부분에 중첩한 윤활층을 포함한 접착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윤활층의 상기 일 부분은 상기 밴딩 부분 및 상기 엣지 부분 사이에만 중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 부재와 마주한 상기 윈도우의 배면 상에 배치된 보조 윤활층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윤활층은 상기 밴딩 부분 및 상기 엣지 부분 사이에만 중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밴딩 부분은,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평면 부분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밴딩된 제1 밴딩 부분 및 제2 밴딩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밴딩 부분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평면 부분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밴딩된 제3 밴딩 부분 및 제4 밴딩 부분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엣지 부분은,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센터 부분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밴딩된 제1 엣지 부분 및 제2 엣지 부분,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센터 부분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밴딩된 제3 엣지 부분 및 제4 엣지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윤활층은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평면 부분에 대응하는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밴딩 부분에 대응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모듈은 제1 영상을 상기 제1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제1 영상과 다른 제2 영상을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은, 센터 부분 및 상기 센터 부분에 인접한 엣지 부분을 포함한 표시기판을 스테이지 상에 배치된 패드 상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표시기판 상에 윤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윤활층 상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평면 부분 및 상기 평면 부분으로부터 밴딩된 밴딩 부분을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윈도우 기판과 상기 표시기판이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단계, 상기 접착층을 상기 윈도우 기판 상에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접착층에 열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열을 통해 상기 접착층의 온도가 제1 온도에서 제2 온도로 상승하는 구간 동안 상기 접착층의 점도가 증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기판 및 상기 스테이지 사이에 배치된 패드를 통해 상기 센터 부분을 가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패드에 인접하게 상기 스테이지의 상면에 정의된 복수 개의 개구부들을 통해 공기를 분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 및 상기 개구부들을 감싸며 상기 스테이지 및 상기 표시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분출된 공기에 의해 팽창되는 탄성막을 통해 상기 엣지 부분을 가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패드에 인접하게 상기 스테이지 상에 배치된 롤러를 통해 상기 엣지 부분이 가압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윤활층은 일정 구간 이후 상기 접착층에 흡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일정 구간은 상기 열이 상기 접착층에 가해지는 시점의 이전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기판 및 상기 스테이지 사이에 배치된 패드를 통해 상기 표시기판을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를 통해 상기 표시기판을 가압하는 단계는, 제1 구간에서 제1 세기를 통해 상기 표시기판을 가압하는 단계, 상기 제1 구간 이후의 제2 구간 에서, 상기 제1 세기보다 큰 제2 세기를 통해 상기 표시기판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세기 보다 상기 제2 세기를 통해 상기 접착층의 점도 세기가 증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온도에서, 상기 접착층의 점도 세기는 1 이상 내지 30 gf/inch 이하이고, 상기 제2 온도에서 상기 접착층의 상기 점도 세기는 300 이상 내지 3000 gf/inch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기판과 마주한 상기 윈도우 기판의 배면에 보조 윤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은, 평면 부분 및 상기 평면 부분으로부터 밴딩된 밴딩 부분을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윈도우 기판의 배면에 제1 윤활층을 형성하는 단계, 센터 부분 및 상기 센터 부분에 인접한 엣지 부분을 포함한 표시기판을 스테이지 상에 배치된 패드 상에 배치하는 단계, 점착층 및 제2 윤활층을 포함한 접착 부재를 상기 표시기판 상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센터 부분을 상기 평면 부분 상에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엣지 부분을 상기 밴딩 부분 상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 부재 상에 형성된 윤활층을 통해 접착 부재의 일 부분이 윈도우 기판의 끝단에 의해 쓸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윤활층이 접착 부재의 상면에 형성됨에 따라, 접착 부재 및 윈도우 기판 간의 쓸림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접착 부재는 압력 및 온도 변화에 따라 점도 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 즉, 접착 부재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부 열을 통해 점도 특성이 변화되거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통해 점도 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표시기판 및 윈도우 기판 간의 정렬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밴딩되기 이전의 윈도우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밴딩되기 이전의 표시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 장치의 상부 챔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 장치의 상부 챔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 장치의 하부 챔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a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변화에 따른 접착 부재의 점도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세기에 따른 접착 부재의 점도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 장치의 하부 챔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합착 장치의 하부 챔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합착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합착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됩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평면 영역(NBA) 및 평면 영역(NBA)으로부터 밴딩된 제1 밴딩 영역(BA1) 및 제2 밴딩 영역(B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밴딩 영역(BA1) 및 제2 밴딩 영역(BA2)은 동일 방향으로 평면 영역(NBA)으로부터 각각 밴딩될 수 있다. 제1 밴딩 영역(BA1)은 제1 밴딩축(BX1)을 기준으로 밴딩되고, 제2 밴딩 영역(BA2)은 제2 밴딩축(BX2)을 기준으로 밴딩된다. 평면 영역(NBA)은 표시장치(DD)의 전면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1 밴딩 영역(BA1) 및 제2 밴딩 영역(BA2)은 표시장치(DD)의 측면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평면 영역(NBA)은 제1 표시면(IS1)을 포함하고, 제1 밴딩 영역(BA1)은 제2 표시면(IS2a)을 포함하고, 제2 밴딩 영역(BA2)은 제3 표시면(IS2b)을 포함한다.
평면 영역(NBA)의 제1 표시면(IS1)은 제1 표시 영역(DD-DA1)과 제1 표시 영역(DD-DA1)에 인접한 제1 베젤 영역(DD-NDA1)을 포함한다. 이하, 표시 영역은 실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정의되며, 베젤 영역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다만, 베젤 영역은 인쇄층을 통해 다양한 색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평면 영역(NBA)은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할 수 있다. 표시장치(DD)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DR3)이 지시한다. 본 명세서 내에서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또는 평면상에서”의 의미는 제3 방향(DR3)에서 바라보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층들 또는 유닛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DR3)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 예를 들어 반대 반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제1 밴딩 영역(BA1)의 제2 표시면(IS2a)은 제2 표시 영역(DD-DA2a)과 제2 표시 영역(DD-DA2a)에 인접한 제2 베젤 영역(DD-NDA2a)을 포함한다. 제2 방향(DR2)에서, 제2 표시면(IS2a)은 제1 밴딩축(BX1)을 따라 제1 표시면(IS1)의 일측으로부터 밴딩될 수 있다.
제2 밴딩 영역(BA2)의 제3 표시면(IS2b)은 제3 표시 영역(DD-DA2b)과 제3 표시 영역(DD-DA2b)에 인접한 제3 베젤 영역(DD-NDA2a)을 포함한다. 제2 방향(DR2)에서, 제3 표시면(IS2b)은 제2 밴딩축(BX2)을 따라 제1 표시면(IS1)의 타측으로부터 밴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들(DD-DA1, DD-DA2a, DD-DA2b) 각각은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 영역(DD-DA1)은 시계창 형상의 제1 이미지(IM1)를 표시하고, 제2 표시 영역(DD-DA2a)은 이모티콘의 제2 이미지(IM2)를 표시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3 표시 영역(DD-DA2b) 역시 제3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이미지들은 하나의 동일한 이미지이거나, 서로 다른 이미지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내지 제3 표시 영역들(DD-DA1, DD-DA2a, DD-DA2b) 각각으로부터 표시되는 이미지들이 연결되어 하나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a를 통해 제1 내지 제3 베젤 영역들(DD-NDA1, DD-NDA2a, DD-NDA2b)이 도시되었으나, 제1 내지 제3 베젤 영역들(DD-NDA1, DD-NDA2a, DD-NDA2b)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모두 생략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1)는 도 1a에 도시된 표시장치(DD)와 비교하여, 제2 방향(DR2)에서 평면 영역(NBA)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각각 밴딩된 각도가 달라진 제1 밴딩 영역(BA1) 및 제2 밴딩 영역(BA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제1 밴딩 영역(BA1) 및 제2 밴딩 영역(BA2) 보다 도 1b에 도시된 제1 밴딩 영역(BA1) 및 제2 밴딩 영역(BA2)이 평면 영역(NBA)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각각 작은 각도로 밴딩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DD-1)는 평면 영역(NBA), 제1 밴딩 영역(BA1), 및 제2 밴딩 영역(BA2)을 통해 하나의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2)는 메인 표시 영역(DD-DA1) 및 메인 표시 영역(DD-DA1)으로부터 밴딩된 제1 내지 제4 표시 영역들(DD-DA21, DD-DA22, DD-DA23, DD-DA24)을 포함한다. 메인 표시 영역(DD-DA1)은 표시장치(DD-2)의 전면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4 표시 영역들(DD-DA21, DD-DA22, DD-DA23, DD-DA24)은 표시장치(DD-2)의 측면들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D-DA21) 및 제2 표시 영역(DD-DA22)은 제1 방향(DR1)에서 서로 마주보며, 제1 방향(DR1)에서 메인 표시 영역(DD-DA1)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각각 밴딩될 수 있다. 제3 표시 영역(DD-DA23) 및 제4 표시 영역(DD-DA24)은 제2 방향(DR2)에서 서로 마주보며, 제2 방향(DR2)에서 메인 표시 영역(DD-DA1)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각각 밴딩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DD-2)는 제1 내지 제4 베젤 영역들(DD-NDA11, DD-NDA12, DD-NDA13, DD-NDA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베젤 영역들(DD-NDA11, DD-NDA12, DD-NDA13, DD-NDA14) 역시 표시장치(DD-2)의 측면들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베젤 영역(DD-NDA11)은 제1 표시 영역(DD-DA21) 및 제3 표시 영역(DD-DA23) 사이에 배치된다. 제2 베젤 영역(DD-NDA12)은 제1 표시 영역(DD-DA21) 및 제4 표시 영역(DD-DA24) 사이에 배치된다. 제3 베젤 영역(DD-NDA13)은 제2 표시 영역(DD-DA22) 및 제4 표시 영역(DD-DA24) 사이에 배치된다. 제4 베젤 영역(DD-NDA14)은 제2 표시 영역(DD-DA22) 및 제3 표시 영역(DD-DA23)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메인 표시 영역(DD-DA1)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서 정의된 면과 평행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엣지 표시 영역들(DD-DA21, DD-DA22, DD-DA23, DD-DA24) 및 제1 내지 제4 베젤 영역들(DD-NDA11, DD-NDA12, DD-NDA13, DD-NDA14)은 메인 표시 영역(DD-DA1)으로부터 밴딩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윈도우(WM), 표시모듈(DM), 및 접착 부재(AM)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M)는 접착 부재(AM)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윈도우(WM)는 외부에서 영상이 실제 시인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윈도우(WM)는 기판으로 설명될 수 있다. 기판은 플라스틱 기판, 유리 기판, 또는 유/무기 복합재료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기판은 복수의 절연층들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일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 부재(AM)는 윈도우(WM) 및 표시모듈(DM)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 부재(AM)는 양면 접착제로서, 윈도우(WM) 및 표시모듈(DM)을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AM)는 광학투명접착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투명접착수지(OCR, Optically Clear Resin) 또는 감압접착필름(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일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접착 부재(AM)는 광학투명접착필름(OCA)인 것으로 설명된다.
표시모듈(DM)은 접착 부재(AM)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패널 및 외부의 터치를 감지하는 입력 감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시패널은 유기발광 표시패널 또는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유기발광물질을 포함한다.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또는 퀀텀로드를 포함한다.
입력 감지층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외부에서 인가되는 입력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 스타일러스 펜, 광, 열,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들을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의 손 등 신체의 일부가 접촉하는 입력은 물론, 근접하거나 인접하는 공간 터치(예를 들어, 호버링)도 입력의 일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모듈(DM)은 휘어지거나 밴딩될 수 있는 플렉서블한 기판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입력 감지층은 실시 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WM)는 평면 부분(WM-CP), 평면 부분(WM-CP)으로부터 밴딩되어 제1 방향(DR1)에서 서로 마주하는 제1 밴딩 부분(WM-SP1) 및 제2 밴딩 부분(WM-SP2)을 포함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밴딩 부분(WM-SP1) 및 제2 밴딩 부분(WM-SP2) 각각과 평면 부분(WM-CP)이 이루는 각도는 90도 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윈도우의 밴딩 부분과 평면 부분이 이루는 각도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윈도우(WM)의 평면 부분(WM-CP)은 도 1a에 도시된 평면영역(NBA)에 중첩될 수 있으며, 제1 밴딩 부분(WM-SP1) 및 제2 밴딩 부분(WM-SP2)은 제1 밴딩영역(BA1) 및 제2 밴딩영역(BA2)에 각각 중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윈도우(WM)는 평면 부분(WM-CP)으로부터 밴딩되어 제2 방향(DR2)에서 서로 마주하는 제3 밴딩 부분 및 제4 밴딩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WM)의 제1 내지 제4 밴딩 부분들은 도 1c에 도시된 제1 내지 제4 표시영역들에 대응될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센터 부분(DM-CP) 및 센터 부분(DM-CP)으로부터 밴딩되어 제1 방향(DR1)에서 서로 마주하는 제1 엣지 부분(DM-SP1) 및 제2 엣지 부분(DM-SP2)을 포함한다. 표시기판(DM)의 센터 부분(DM-CP)은 도 1a에 도시된 평면영역(NBA)에 중첩될 수 있으며, 제1 엣지 부분(DM-SP1) 및 제2 엣지 부분(DM-SP2)은 제1 밴딩영역(BA1) 및 제2 밴딩영역(BA2)에 각각 중첩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로, 윈도우(WMa)의 제1 밴딩 부분(WM-SP1a) 및 제2 밴딩 부분(WM-SP2a) 각각이 평면 부분(WM-CPa)과 이루는 각도가 90도 이상인 구조가 도시된다. 그 결과, 표시모듈(DMa)의 제1 엣지 부분(DM-SP1a) 및 제2 엣지 부분(DM-SP2a) 각각이 센터 부분(DM-CPa)과 이루는 각도 역시 90도 이상일 수 있다. 접착 부재(AMa)는 도 2b에 도시된 윈도우(WMa) 및 표시모듈(DMa) 사이에 배치되어, 윈도우(WMa) 및 표시모듈(DMa)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윈도우는 윈도우 기판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표시모듈은 표시기판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합착 장치(LD)는 상부 챔버(UCB), 하부 챔버(DCB), 지지 부재(MU), 스테이지(ST), 패드(PD), 및 탄성막(PU)을 포함한다.
상부 챔버(UCB)는 윈도우(WM)가 배치되는 안착면(UCB-IS)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면(UCB-IS)은 상부 챔버(UCB)의 내측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안착면(UCB-IS)의 형상은 평면 부분(WM-P), 제1 밴딩 부분(WM-SP1), 및 제2 밴딩 부분(WM-SP2)을 포함한 윈도우(WM)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하부 챔버(DCB)는 상부 챔버(UCB)와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챔버(DCB) 및 상부 챔버(UCB)가 결합됨에 따라, 하부 챔버(DCB) 및 상부 챔버(UCB) 간에 내부 공간(OP)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공간(OP)은 윈도우(WM)와 표시모듈(DM) 간의 합착 공정이 이뤄지는 실질적 공간을 의미하며, 하부 챔버(DCB) 및 상부 챔버(UCB)의 결합으로 인해 내부 공간(OP)은 진공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챔버(DCB)에는 지지 부재(MU)가 삽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이 정의될 수 있다.
스테이지(ST), 패드(PD), 및 탄성막(PU) 각각은 내부 공간(OP)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합착 장치(LD)에 의해 성형되는 윈도우(WM) 및 표시모듈(DM) 역시 내부 공간(OP)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지(ST)는 하부 챔버(DCB)의 안착면(DCB-I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챔버(DCB)의 안착면(DCB-IS)은 상부 챔버(UCB)의 안착면(UCB-IS)과 마주할 수 있다. 스테이지(ST)는 제1 부분(ST-1) 및 제1 부분(ST-1)에 인접한 제2 부분(ST-2)으로 구획될 수 있다.
평면상에서, 제1 부분(ST-1)의 면적은 제2 부분(ST-2)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일 예로, 제2 부분(ST-2)은 제1 부분(ST-1)을 평면상에서 에워쌀 수 있다. 또한, 제3 방향(DR3)에 따른 제1 부분(ST-1)의 두께는 제2 부분(ST-2)의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부분(ST-1)과 제2 부분(ST-2)의 두께는 동일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테이지(ST)는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패드(PD)는 제1 부분(ST-1)에 대응하는 스테이지(ST)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드(PD)는 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패드(PD)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탄성을 갖는 물질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부분(ST-2)에 대응하는 스테이지(ST)의 상면에 복수 개의 개구부들(AU)이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구부들(AU)을 통해 탄성막(PU), 패드(PD), 및 스테이지(ST)에 의해 정의된 내부 공간(OZ)으로 공기가 분출될 수 있다. 제2 부분(ST-2)에 대응한 스테이지(ST)에 정의된 개구부들(AU)은 평면상에서 패드(PD)와 중첩하지 않는다.
지지 부재(MU)는 이동부(CT) 및 이동부(CT)에 결합된 제어부(MT)를 포함한다. 이동부(CT)는 하부 챔버(DCB)에 정의된 홀에 삽입되어 스테이지(ST)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부(CT)는 제어부(MT)에 제어 하에, 제3 방향(DR3)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MT)의 제어 하에 이동부(CT)가 제3 방향(DR3)을 따라 스테이지(ST)의 제1 부분(ST-1)을 수직 상승시킴으로써, 패드(PD)가 제3 방향(DR30을 따라 상승될 수 있다.
탄성막(PU)은 개구부들(AU) 및 패드(PD)를 감싸며 스테이지(ST)의 제2 부분(ST-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막(PU)은 탄성을 가지며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막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막(PU)은 외부 압력에 따라 팽창과 수축이 가능한 다이어프램(Diaphragm)으로 제공되거나 연신율과 내구성을 높인 고무판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탄성막(PU)은 연신으로 인한 부피 팽창이 가능한 다향한 형태의 막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밴딩되기 이전의 윈도우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밴딩되기 이전의 표시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성형되기 이전의 윈도우(WM-T) 및 표시모듈(DM-T)의 형상이 도시된다. 즉, 윈도우(WM-T)의 밴딩 부분들(WM-SP1~WM-SP4) 및 표시모듈(DM-T)의 엣지 부분들(DM-SP1~DM-SP4)이 밴딩되기 이전의 형상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윈도우(WM)는 윈도우 기판으로 설명되며, 표시모듈(DM)은 표시기판으로 설명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윈도우 기판(WM-T)은 평면 부분(WM-CP), 제1 내지 제4 밴딩 부분들(WM-SP1~WM-SP4), 및 모서리 밴딩 부분들(WM-MP1~WM-MP4)을 포함한다.
평면 부분(WM-CP)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할 수 있다. 즉, 평면 부분(WM-CP)은 밴딩되거나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지 않는다.
제1 밴딩 부분(WM-SP1) 및 제2 밴딩 부분(WM-SP2)은 제1 방향(DR1)에 따른 평면 부분(WM-CP)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인접할 수 있다. 제1 밴딩 부분(WM-SP1) 및 제2 밴딩 부분(WM-SP2)은 제1 방향(DR1)에서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제3 밴딩 부분(WM-SP3) 및 제4 밴딩 부분(WM-SP4)은 제2 방향(DR2)에 따른 평면 부분(WM-CP)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인접할 수 있다. 제3 밴딩 부분(WM-SP3) 및 제4 밴딩 부분(WM-SP4)은 제2 방향(DR2)에서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밴딩 부분들(WM-SP1~WM-SP4)은 평면 부분(WM-CP)과 일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모서리 밴딩 부분(WM-MP1)은 제1 밴딩 부분(WM-SP1) 및 제3 밴딩 부분(WM-SP3) 사이에 배치되며 평면 부분(WM-CP)의 제1 모서리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모서리 밴딩 부분(WM-MP2)은 제1 밴딩 부분(WM-SP1) 및 제4 밴딩 부분(WM-SP4) 사이에 배치되며 평면 부분(WM-CP)의 제2 모서리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모서리 및 제2 모서리는 제2 방향(DR2)에서 마주할 수 있다.
제3 모서리 밴딩 부분(WM-MP3)은 제3 밴딩 부분(WM-SP3) 및 제2 밴딩 부분(WM-SP2) 사이에 배치되며 평면 부분(WM-CP)의 제3 모서리에 인접할 수 있다. 제4 모서리 밴딩 부분(WM-MP4)은 제2 밴딩 부분(WM-SP2) 및 제4 밴딩 부분(WM-SP4) 사이에 배치되며 평면 부분(WM-CP)의 제4 모서리에 인접할 수 있다. 제3 모서리는 제4 모서리와 제2 방향(DR2)에서 마주하며, 제1 모서리와 제1 방향(DR1)에서 마주한다. 제4 모서리는 제2 모서리와 제1 방향(DR1)에서 마주한다.
제1 내지 제4 모서리 밴딩 부분들(WM-MP1~WM-MP4)은 평면 부분(WM-CP)과 일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 밴딩 부분들(WM-SP1~WM-SP4) 및 제1 내지 제4 모서리 밴딩 부분들(WM-MP1~WM-MP4)은 도 3에 도시된 합착 장치(LD)에 의해 평면 부분(WM-CP)으로부터 밴딩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표시기판(DM-T)은 센터 부분(DM-CP) 및 제1 내지 제4 엣지 부분들(DM-SP1~DM-SP4) 을 포함한다. 센터 부분(DM-CP)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할 수 있다. 즉, 센터 부분(DM-CP)은 밴딩되거나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지 않는다.
제1 엣지 부분(DM-SP1) 및 제2 엣지 부분(DM-SP2)은 제1 방향(DR1)에 따른 센터 부분(DM-CP)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인접할 수 있다. 제1 엣지 부분(DM-SP1) 및 제2 엣지 부분(DM-SP2)은 제1 방향(DR1)에서 마주볼 수 있다. 제3 엣지 부분(DM-SP3) 및 제4 엣지 부분(DM-SP4)은 제2 방향(DR2)에 따른 센터 부분(DM-CP)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인접할 수 있다. 제3 엣지 부분(DM-SP3) 및 제4 엣지 부분(DM-SP4)은 제2 방향(DR2)에서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엣지 부분들(DM-SP1~DM-SP4)은 센터 부분(DM-CP)과 일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 엣지 부분들(DM-SP1~DM-SP4)은 도 3에 도시된 합착 장치(LD)에 의해 센터 부분(DM-CP)으로부터 밴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른 실시 예에서, 표시기판(DM)은 도 4a에 도시된 제1 내지 제4 모서리 밴딩 부분들(WM-MP1~WM-MP4)에 대응하는 모서리 엣지 부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 장치의 상부 챔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 장치의 상부 챔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성형되기 이전의 윈도우 기판(WM-T) 및 상부 챔버(UCB)가 제공된다. 외부 기구물에 의해, 도 4a에 도시된 기판(WM-T)의 밴딩 부분들(WM-SP1~WM-SP4)이 평면 부분(WM-CP)으로부터 밴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4a에 도시된 기판(WM-T)의 모서리 밴딩 부분들(WM-MP1~WM-MP4)이 평면 부분(WM-CP)으로부터 밴딩될 수 있다. 이 후, 성형된 윈도우 기판(WM)이 상부 챔버(UCB)의 안착면(UCB-I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윈도우 기판(WM-T)이 외부 기구물에 의해 성형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윈도우 기판(WM-T)을 성형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성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윈도우 기판(WM)이 안착면(UCB-IS) 상에 배치된 후, 윈도우 기판(WM)의 배면에 제1 윤활층(CTY1)이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 기판(WM)의 상면은 안착면(UCB-IS)과 마주하는 면을 의미하고, 윈도우 기판(WM)의 배면은 윈도우 기판(WM)의 상면과 대향하며 표시모듈(DM)과 마주하는 면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윤활층(CTY1)은 보조 윤활층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윤활층(CTY1)은 오일 성분을 갖는 층일 수 있다. 접착 부재를 통해 표시기판(DM) 및 윈도우 기판(WM)을 합착하는 과정에서, 제1 윤활층(CTY1)은 접착 부재가 윈도우 기판(WM)의 밴딩 부분들(WM-SP1~WM-SP4)에 의해 쓸리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윤활층(CTY1)이 윈도우 기판(WM)의 배면 상에 전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윤활층(CTY1)은 윈도우 기판(WM)의 밴딩 부분들(WM-SP1, WM-SP2)에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윈도우 기판(WM)의 배면에 형성된 제1 윤활층(CTY1)은 일정 시간 이후 윈도우 기판(WM)에 흡수되거나 외부 열에 의해 일 부분 증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 장치의 하부 챔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a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변화에 따른 접착 부재의 점도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세기에 따른 접착 부재의 점도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3을 통해 설명된 하부 챔버(DCB) 및 하부 챔버(DCB) 상에 배치된 스테이지(ST), 패드(PD), 및 탄성막(PU)이 도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기판(DM)은 탄성막(PU) 상에 배치된다. 도 7에 도시된 표시기판(DM)은 도 4b에 도시된 성형되기 이전 형상의 표시기판(DM-T)에 대응될 수 있다. 앞서 상술된 바와 같이, 표시기판(DM)이 플렉서블한 성질을 가짐에 따라, 탄성막(PU) 상에 배치된 표시기판(DM)은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표시기판(DM)의 형상은 패드(PD) 상에 배치된 탄성막(PU)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접착 부재(AM)는 표시모듈(DM)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 부재(AM)는 표시모듈(DM) 및 윈도우 기판(WM) 사이에 배치되어, 두 구성들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접착 부재(AM)는 접착층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 부재(AM)는 압력 및 온도 변화에 따라 점도 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 즉, 접착 부재(AM)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부 열을 통해 점도 특성이 변화되거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통해 점도 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
자세하게, 도 8a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시간(PR)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접착 부재(AM)의 점도 세기(CSN)를 나타낸다.
도 8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구간(P1) 동안 접착 부재(AM)는 제1 온도를 가지며 제1 점도 세기(C1)를 유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온도는 상온일 수 있다. 이후, 제2 구간(P2)에서, 접착 부재(AM)에 외부 열이 가해질 수 있다. 그 결과, 접착 부재(AM)의 온도가 상온보다 상승되어, 접착 부재(AM)의 점도 세기가 향상될 수 있다.
제3 구간(P3)은 제2 구간(P2)에서 진행된 외부 열에 의해 접착 부재(AM)가 제2 온도를 가지며 제2 점도 세기(C2)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점도 세기(C2)는 제1 점도 세기(C1) 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점도 세기(C1)를 갖는 접착 부재(AM)가 윈도우 기판(WM) 및 표시기판(DM) 사이에 배치된 경우, 윈도우 기판(WM) 및 표시기판(DM)의 유동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접착 부재(AM)에 부착된 윈도우 기판(WM) 및 표시기판(DM)의 정렬이 틀어진 경우, 재정렬을 위해 윈도우 기판(WM) 및 표시기판(DM)이 접착 부재(AM)로부터 탈착되거나 일부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접착 부재(AM)에 부착된 윈도우 기판(WM) 및 표시기판(DM)의 정렬이 완료된 경우, 접착 부재(AM)에 열을 가함으로써 접착 부재(AM)의 제1 점도 세기(C1)를 제2 점도 세기(C2)로 향상시킬 수 있다. 접착 부재(AM)가 제2 점도 세기(C2)를 가질 경우, 윈도우 기판(WM) 및 표시기판(DM)이 접착 부재(AM)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온도에서, 접착 부재(AM)의 제1 점도 세기(C1)는 1 이상 내지 30 gf/inch 이하이고, 제2 온도에서 접착 부재(AM)의 제2 점도 세기(C2)는 300 이상 내지 3000 gf/inch 이하 일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시간(PR)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접착 부재(AM)에 가해지는 압력 세기(CSN)를 나타낸다.
도 8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구간(P1a) 동안 접착 부재(AM)에 외부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구간일 수 있다. 이 경우, 접착 부재(AM)는 제1 점도 세기(C1a)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제2 구간(P2a)에서, 접착 부재(AM)에 외부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그 결과, 외부 압력에 따른 접착 부재(AM)의 점도 세기가 향상될 수 있다. 제3 구간(P3a)은 제2 구간(P2a)에서 진행된 외부 압력에 의해 접착 부재(AM)가 제2 점도 세기(C2a)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점도 세기(C2a)는 제1 점도 세기(C1a) 보다 클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점도 세기(C1a)를 갖는 접착 부재(AM)가 윈도우 기판(WM) 및 표시기판(DM) 사이에 배치된 경우, 윈도우 기판(WM) 및 표시기판(DM)의 유동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접착 부재(AM)에 부착된 윈도우 기판(WM) 및 표시기판(DM)의 정렬이 틀어진 경우, 재정렬을 위해 윈도우 기판(WM) 및 표시기판(DM)이 접착 부재(AM)로부터 탈착되거나 일부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착 부재(AM)는 외부 압력 또는 외부 열에 따라 점도 특성이 변화함으로써, 윈도우 기판(WM) 및 표시기판(DM)의 재정렬이 용이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 장치의 하부 챔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합착 장치의 하부 챔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접착 부재(AM)의 상면에 제2 윤활층(CTY2)이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2 윤활층(CTY2)은 접착 부재(AM)의 상면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접착 부재(AM)의 하면은 표시기판(DM)과 마주하는 면을 의미하고, 상면은 제2 윤활층(CTY2)과 마주한 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윤활층(CTY2)은 오일 성분을 갖는 층일 수 있다. 표시기판(DM) 및 윈도우 기판(WM)의 합착 과정에서, 제2 윤활층(CTY2)은 접착 부재(AM)가 윈도우 기판(WM)의 밴딩 부분들(WM-SP1~WM-SP4)에 의해 쓸리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접착 부재(AM)의 상면에 형성된 제2 윤활층(CTY2)은 일정 시간 이후 접착 부재(AM)에 흡수되거나 외부 열에 의해 일 부분 증발될 수 있다.
상술된 바에 따르면, 제2 윤활층(CTY2)이 접착 부재(AM)에 흡수됨으로써, 접착 부재(AM)는 점도 성분을 갖는 점착층 및 오일 성분의 윤활층을 포함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점착층은 윈도우 기판(WM) 및 표시기판(DM) 사이에 전체적으로 중첩하며, 접착 부재(AM)에 흡수된 윤활층은 점착층의 적어도 일 부분에 중첩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제2 윤활층(CTY2a)은 접착 부재(AM)의 상면 중 적어도 일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윤활층(CTY2a)은 표시기판(DM)의 엣지 부분들(DM-SP1~DM-SP4, 도4b 참조)에 중첩한 접착 부재(AM)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기판(DM) 및 윈도우 기판(WM)의 합착 과정에서, 제2 윤활층(CTY2)은 접착 부재(AM)가 윈도우 기판(WM)의 밴딩 부분들(WM-SP1~WM-SP4)에 의해 쓸리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합착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예시적으로, 도 10a 내지 도 10e를 통해 윈도우 기판(WM)의 밴딩 부분들(WM-SP1~WM-SP4) 중 두 개의 밴딩 부분들(WM-SP1, WM-SP2)을 중점으로 한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0a 내지 도 10e를 통해 설명된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을 통해 윈도우 기판(WM)의 평면 부분(WM-CP) 및 밴딩 부분들(WM-SP1~WM-SP4)과 표시기판(DM)의 센터 부분(DM-CP) 및 엣지 부분들(DM-SP1~DM-SP4) 간의 합착이 진행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0a 내지 도 10e를 통해, 밴딩 부분들(WM-SP1, WM-SP2)은 밴딩 부분(MW-SP)으로 설명되며, 엣지 부분들(DM-SP1, DM-SP2)은 엣지 부분(DM-SP)으로 설명된다.
도 10a를 참조하면, 상부 챔버(UCB) 및 하부 챔버(DCB)는 제3 방향(DR3)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그 결과, 상부 챔버(UCB) 상에 배치된 윈도우 기판(WM)과 하부 챔버(DCB) 상에 배치된 표시기판(DM)이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이 경우, 표시기판(DM) 상에 접착 부재(AM) 및 윤활층(CTY)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특히, 윤활층(CTY)은 도 9a를 통해 도시된 제2 윤활층(CTY)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접착 부재(AM)에 흡수되기 전의 상태를 유지한다.
도 10b를 참조하면, 상부 챔버(UCB)가 하강하여 하부 챔버(DCB)와 합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부 챔버(DCB)가 상승하여 상부 챔버(UCB)와 합착될 수 있다. 상부 챔버(UCB) 및 하부 챔버(DCB)가 서로 합착됨에 따라, 상부 챔버(UCB) 및 하부 챔버(DCB) 사이에 내부 공간(OP)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챔버(UCB) 및 하부 챔버(DCB)가 서로 합착됨에 따라, 접착 부재(AM)의 일 부분이 윈도우 기판(WM)에 접착될 수 있다. 접착 부재(AM)의 일 부분은 표시기판(DM)의 센터 부분(DM-CP, 도4b 참조)에 중첩할 수 있다. 즉, 접착 부재(AM)의 일 부분은 패드(PD)에 의해 지지된 표시기판(DM)의 센터 부분(DM-CP)에 의해 윈도우 기판(WM)에 접착될 수 있다. 접착 부재(AM)의 일 부분과 윈도우 기판(WM)의 일 부분이 접촉된 영역은 접촉 영역(CTS)으로 설명된다. 접촉 영역(CTS)은 표시기판(DM)과 윈도우 기판(WM) 간의 정렬을 위한 기준 영역일 수 있다.
한편, 도 10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엣지 부분(DM-SP)에 중첩한 접착 부재(AM)의 다른 부분이 윈도우 기판(WM)의 끝단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착 부재(AM) 상에 형성된 윤활층(CTY)을 통해 접착 부재(AM)의 다른 부분이 윈도우 기판(WM)의 끝단에 의해 쓸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윤활층(CTY)이 접착 부재(AM)의 상면에 형성됨에 따라, 접착 부재(AM) 및 윈도우 기판(WM) 간의 쓸림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c를 참조하면, 스테이지(ST) 및 표시기판(DM) 사이에 배치된 패드(PD) 및 탄성막(PU)을 이용하여 접착 부재(AM)가 윈도우 기판(WM)의 평면 부분(WM-CP)에 부착될 수 있다.
자세하게, 스테이지(ST)의 하면에 연결된 지지 부재(MU)를 통해 스테이지(ST)의 두께 방향, 즉 제3 방향(DR3)을 따라 스테이지(ST)가 상승될 수 있다. 스테이지(ST)는 하부 챔버(DCB)의 안착면(DCB-IS, 도3 참조)으로부터 일정 거리(Dz) 이격될 수 있다. 지지 부재(MU)에 포함된 이동부(CT) 및 제어부(MT)가 모두 상승됨에 따라 스테이지(ST)가 상승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스테이지(ST)에 연결된 지지 부재(MU)를 통해 스테이지(ST)가 상승 운동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할 수 있다.
스테이지(ST)가 상승됨에 따라, 스테이지(ST) 상에 배치된 패드(PD) 또한 상승될 수 있다. 앞서 상술된 바와 같이, 패드(PD)는 탄성을 갖는 물질로 제공될 수 있다. 패드(PD)는 스테이지(ST)의 상승에 따라 압착될 수 있으며, 패드(PD)의 압착된 힘이 탄성막(PU)을 통해 표시기판(DM)에 전달될 수 있다.
즉, 패드(PD)의 압착된 힘을 통해, 윈도우 기판(WM)의 평면 부분(WM-CP)에 중첩한 탄성막(PU)이 표시기판(DM)을 가압할 수 있다. 그 결과, 윈도우 기판(WM)의 평면 부분(WM-CP)에 접착 부재(AM)가 접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 기판(WM)의 밴딩 부분 (WM-SP)과 접착 부재(AM) 사이에 이격 공간(HO)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패드(PD)의 압착된 힘을 통해, 윈도우 기판(WM)의 밴딩 부분(WM-SP)에 접착 부재(AM)가 전체적으로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0d를 참조하면, 탄성막(PU)은 패드(PD) 및 개구부들(AU)을 감싸며 스테이지(ST)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탄성막(PU) 및 스테이지(ST) 사이의 공간은 외부와 밀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테이지(ST)의 상면에 정의된 개구부들(AU)을 통해 공기가 분출될 수 있다. 개구부들(AU)을 통해 분출된 공기는 탄성막(PU), 스테이지(ST), 및 패드(PD)에 의해 정의된 내부 공간(OZ)에 주입될 수 있다. 그 결과, 탄성막(PU)이 팽창되어 표시기판(DM)의 엣지 부분(DM-SP)을 가압할 수 있다.
표시기판(DM)의 엣지 부분(DM-SP)이 가압됨에 따라, 엣지 부분(DM-SP) 상에 배치된 접착 부재(AM)가 윈도우 기판(WM)의 밴딩 부분(WM-SP)에 전체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기판(DM)의 센터 부분(DM-CP)은 윈도우 기판(WM)의 평면 부분(WM-CP)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엣지 부분(DM-SP)은 윈도우 기판(WM)의 밴딩 부분(WM-SP)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10a 내지 도 10d를 통해 진행된 합착 공정 시에, 접착 부재(AM)는 도 8a에서 설명된 제1 점도 세기(C1)를 가질 수 있다. 즉, 접착 부재(AM)는 제1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기판(DM) 및 윈도우 기판(WM) 간의 정렬이 틀어질 경우, 제1 점도 세기(C1)를 갖는 접착 부재(AM)를 통해 서로 간의 재정렬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0e를 참조하면, 외부 열 기구(HT)를 통해 접착 부재(AM)에 외부 열을 가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점도 세기(C1)를 가진 접착 부재(AM)가 제1 점도 세기(C1) 보다 큰 제2 점도 세기(C2)를 가진 접착 부재(AM)로 변화될 수 있다.
상술된 제2 점도 세기(C2)를 갖는 접착 부재(AM)를 통해 윈도우 기판(WM) 및 표시기판(DM) 간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합착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합착 장치는 롤러(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RT)는 스테이지(ST)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 10d에서 설명된 내부 공간(OZ)에 배치될 수 있다.
롤러(RT)를 통해 탄성막(PU)이 가압됨에 따라, 표시기판(DM)의 엣지 부분(DM-SP)이 가압될 수 있다. 그 결과, 윈도우 기판(WM)의 밴딩 부분(WM-SP)에 접착 부재(AM)가 보다 효율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WM: 윈도우
WM-CP: 평면 부분
WM-SP: 밴딩 부분
DM: 표시모듈
DM-CP: 센터 부분
DM-SP: 엣지 부분
UCB: 상부 챔버
DCB: 하부 챔버
ST: 스테이지
PU: 탄성막
PD: 패드
AU: 개구부
MU: 지지 부재

Claims (20)

  1. 평면 부분 및 상기 평면 부분으로부터 밴딩된 밴딩 부분을 포함한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평면 부분에 중첩하는 센터 부분 및 상기 밴딩 부분에 중첩하는 엣지 부분을 포함한 표시모듈; 및
    상기 윈도우 및 상기 표시모듈 사이에 배치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의 적어도 일 부분에 중첩한 윤활층을 포함한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층의 상기 일 부분은 상기 밴딩 부분 및 상기 엣지 부분 사이에만 중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와 마주한 상기 윈도우의 배면 상에 배치된 보조 윤활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윤활층은 상기 밴딩 부분 및 상기 엣지 부분 사이에만 중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 부분은,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평면 부분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밴딩된 제1 밴딩 부분 및 제2 밴딩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 부분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평면 부분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밴딩된 제3 밴딩 부분 및 제4 밴딩 부분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 부분은,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센터 부분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밴딩된 제1 엣지 부분 및 제2 엣지 부분; 및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센터 부분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밴딩된 제3 엣지 부분 및 제4 엣지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층은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평면 부분에 대응하는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밴딩 부분에 대응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모듈은 제1 영상을 상기 제1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제1 영상과 다른 제2 영상을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하는 표시장치.
  10. 센터 부분 및 상기 센터 부분에 인접한 엣지 부분을 포함한 표시기판을 스테이지 상에 배치된 패드 상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표시기판 상에 윤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윤활층 상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평면 부분 및 상기 평면 부분으로부터 밴딩된 밴딩 부분을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윈도우 기판과 상기 표시기판이 서로 마주하도록 정렬시키는 단계;
    상기 접착층을 상기 윈도우 기판 상에 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접착층에 열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열을 통해 상기 접착층의 온도가 제1 온도에서 제2 온도로 상승하는 구간 동안 상기 접착층의 점도가 증가하는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판 및 상기 스테이지 사이에 배치된 패드를 통해 상기 센터 부분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에 인접하게 상기 스테이지의 상면에 정의된 복수 개의 개구부들을 통해 공기를 분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 및 상기 개구부들을 감싸며 상기 스테이지 및 상기 표시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분출된 공기에 의해 팽창되는 탄성막을 통해 상기 엣지 부분을 가압하는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에 인접하게 상기 스테이지 상에 배치된 롤러를 통해 상기 엣지 부분이 가압되는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층은 일정 구간 이후 상기 접착층에 흡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구간은 상기 열이 상기 접착층에 가해지는 시점의 이전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판 및 상기 스테이지 사이에 배치된 패드를 통해 상기 표시기판을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를 통해 상기 표시기판을 가압하는 단계는,
    제1 구간에서 제1 세기를 통해 상기 표시기판을 가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구간 이후의 제2 구간 에서, 상기 제1 세기보다 큰 제2 세기를 통해 상기 표시기판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기 보다 상기 제2 세기를 통해 상기 접착층의 점도 세기가 증가하는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에서, 상기 접착층의 점도 세기는 1 이상 내지 30 gf/inch 이하이고, 상기 제2 온도에서 상기 접착층의 상기 점도 세기는 300 이상 내지 3000 gf/inch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판과 마주한 상기 윈도우 기판의 배면에 보조 윤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20. 평면 부분 및 상기 평면 부분으로부터 밴딩된 밴딩 부분을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윈도우 기판의 배면에 제1 윤활층을 형성하는 단계;
    센터 부분 및 상기 센터 부분에 인접한 엣지 부분을 포함한 표시기판을 스테이지 상에 배치된 패드 상에 배치하는 단계;
    점착층 및 제2 윤활층을 포함한 접착 부재를 상기 표시기판 상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센터 부분을 상기 평면 부분 상에 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엣지 부분을 상기 밴딩 부분 상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KR1020190101302A 2019-08-19 2019-08-19 표시장치 및 이의 합착 방법 KR20210022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302A KR20210022230A (ko) 2019-08-19 2019-08-19 표시장치 및 이의 합착 방법
US16/908,819 US11590748B2 (en) 2019-08-19 2020-06-23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bonding the same
CN202010824331.2A CN112397556A (zh) 2019-08-19 2020-08-17 显示设备以及结合显示设备的方法
EP20191705.1A EP3783423B1 (en) 2019-08-19 2020-08-19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bonding the same
US18/162,165 US11890848B2 (en) 2019-08-19 2023-01-31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bon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302A KR20210022230A (ko) 2019-08-19 2019-08-19 표시장치 및 이의 합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230A true KR20210022230A (ko) 2021-03-03

Family

ID=72147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302A KR20210022230A (ko) 2019-08-19 2019-08-19 표시장치 및 이의 합착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590748B2 (ko)
EP (1) EP3783423B1 (ko)
KR (1) KR20210022230A (ko)
CN (1) CN11239755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4796A (ko) * 2019-04-24 2020-1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제조 방법,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벤딩 패널 제조장치
KR20210022230A (ko) 2019-08-19 2021-03-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합착 방법
CN114327107A (zh) * 2020-09-30 2022-04-12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的制造方法
CN112164314B (zh) * 2020-09-30 2022-09-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的制备方法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67729B (zh) * 2013-02-25 2016-01-20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柔性印刷电路板及显示装置
KR101861629B1 (ko) 2013-05-27 2018-05-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2154606B1 (ko) 2013-11-07 2020-09-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및 제조방법
KR20170029707A (ko) 2015-09-07 2017-03-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2405117B1 (ko) * 2015-10-02 2022-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67504B1 (ko) 2015-11-05 2020-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KR102537377B1 (ko) 2016-03-10 2023-05-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US20180072606A1 (en) 2016-09-11 2018-03-15 Key Application Technology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3d glass
KR20180062273A (ko) * 2016-11-30 2018-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CN110092936A (zh) * 2018-01-29 2019-08-06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层叠体
US11175769B2 (en) * 2018-08-16 2021-11-1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lass enclosure
KR20210022230A (ko) 2019-08-19 2021-03-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합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397556A (zh) 2021-02-23
EP3783423A1 (en) 2021-02-24
EP3783423B1 (en) 2023-10-04
US11890848B2 (en) 2024-02-06
US20210053336A1 (en) 2021-02-25
US20230182460A1 (en) 2023-06-15
US11590748B2 (en)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0870B1 (ko)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KR102494763B1 (ko)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KR20210022230A (ko) 표시장치 및 이의 합착 방법
KR102508668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5134327B2 (ja) 表示装置
US2020021003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ver member
KR102167504B1 (ko)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US8064032B2 (en) Electrooptic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KR20210027579A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10320283A1 (en) Display device
KR20200057868A (ko) 전자장치
US2022027125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CN109508086A (zh) 显示设备
KR102623375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55215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JP2013145398A (ja) 携帯電話装置
CN220855995U (zh) 贴合装置、曲面屏及电子设备
CN111666781B (zh)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3763836B (zh) 显示模组及显示装置
KR20200120784A (ko)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KR20220058784A (ko)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CN117935683A (zh) 一种支撑结构件、显示模组及显示装置
KR20200120896A (ko)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CN115605051A (zh) 显示装置
JP5714678B2 (ja) 携帯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