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896A -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896A
KR20200120896A KR1020200131686A KR20200131686A KR20200120896A KR 20200120896 A KR20200120896 A KR 20200120896A KR 1020200131686 A KR1020200131686 A KR 1020200131686A KR 20200131686 A KR20200131686 A KR 20200131686A KR 20200120896 A KR20200120896 A KR 20200120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pad
f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3521B1 (ko
Inventor
이주석
서유덕
김재영
옥동진
장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5533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67504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1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521B1/ko
Publication of KR20200120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장치의 제조장치는 제1 부재를 홀딩하는 제1 지그, 상기 제1 지그 하부에 배치된 제2 지그, 및 상기 제2 지그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제2 부재를 홀딩하여 상기 제2 부재를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지그 사이에 배치시키는 고정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그는 패드 및 상기 패드 하부에 배치되며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패드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홈이 구비된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의 제조장치{MANUFACTUR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성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 기기가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동용 전자 기기로는 모바일 폰과 같은 소형 전자기기 이외에도 최근 들어 태블릿 PC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형 전자 기기는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미지 또는 영상과 같은 시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표시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기타 부품들이 소형화됨에 따라, 표시장치가 전자 기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근래에는 전자 기기의 디자인이 다양해짐에 따라 플랙서블한 표시장치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들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성이 향상된 표시장치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장치는 제1 부재를 홀딩하는 제1 지그, 상기 제1 지그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지그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2 지그, 및 상기 제2 지그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제2 부재를 홀딩하여 상기 제2 부재를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지그 사이에 배치시키는 고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그는 패드 및 상기 패드 하부에 배치되며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패드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홈이 구비된 스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의 상기 스테이지와 마주보는 일부분은 상기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홈은 평평한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절곡 연장된 측벽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들은 휘어진 형상을 갖는 제1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제1 측벽부의 기울기가 점점 작아질 수 있다.
상기 패드는 상기 제1 지그와 마주보며 제1 방향에 대해 휘어진 형상을 갖는 상부면, 상기 상부면과 마주보는 하부면, 및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을 연결하는 연결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면은 상기 바닥부와 마주보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평면부와 상기 연결면들을 연결하는 오목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목부들은 대응되는 상기 측벽부들과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오목부들은 상기 제1 측벽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휘어진 형상을 갖는 제1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면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이 이루는 평면에 대해 상기 제1 지그를 향하여 볼록하게 휘어진 곡면일 수 있다.
상기 패드는 실리콘, 우레탄, 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그는 상기 패드의 상기 연결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주하는 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상기 댐의 높이는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패드의 최대 높이의 약 10% 내지 약 30%일 수 있다.
상기 댐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그는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평탄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벤딩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는 윈도우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부재는 가요성을 갖는 전자패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장치는 패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스테이지 및 댐을 포함함에 따라, 품질이 향상된 표시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I-I'선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장치에 대한 일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II-II'선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장치에 대한 일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장치에 대한 일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장치의 일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다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DD)가 적용된 예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하였다. 예시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게임기,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텔레비전 또는 외부 광고판과 같은 대형 전자 장비를 비롯하여,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자동차 네이게이션 유닛,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전자 장비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단지 실시 예로 제시된 것들로,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 기기에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표시장치(DD)는 표시면 상에서 구분되는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DD)는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부(DA)와 상기 표시부(DA)에 인접한 비표시부(NDA)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표시부(DA)는 평면상에서 볼 때, 사각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비표시부(NDA)는 상기 표시부(DA)를 둘러싸며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장치(DD)는 부분적으로 벤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DD)는 평탄부(FA)와 상기 평탄부(FA)에 연결되어 벤딩된 벤딩부(BA1, BA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탄부(FA)는 제1 방향(DR1)과 상기 제1 방향(DR1)에 교차하는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평면에 평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방향(DR1) 및 상기 제2 방향(DR2)에 수직하며, 상기 평탄부(FA)에서 상기 영상(IM)이 표시되는 방향을 제3 방향(DR3)으로 도시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3 방향(DR3)은 각 구성요소들의 전면과 배면을 구분하는 기준 방향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향들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BA1, BA2)는 제1 벤딩부(BA1) 및 제2 벤딩부(BA2)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 벤딩부(BA1) 및 상기 제2 벤딩부(BA2)는 상기 평탄부(FA)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벤딩부(BA1)는 상기 제1 방향(DR1)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제3 방향(DR3)의 반대방향을 향하여 점점 벤딩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벤딩부(BA2)는 상기 제1 방향(DR1)에서 상기 제3 방향(DR3)의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여 점점 벤딩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벤딩부(BA1, BA2)는 2개로 구분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표시장치(DD)는 상기 제1 벤딩부(BA1) 또는 상기 제2 벤딩부(BA2)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하거나,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의 벤딩부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장치(DD)는 윈도우(100), 전자패널(200), 및 후면 케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100)는 상기 표시장치(DD)의 상기 평탄부(FA) 및 상기 벤딩부(BA1, BA2)의 형상에 대응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100)는 상기 전자패널(200)이 제공하는 상기 영상(IM)을 투과시키는 투과영역(100-DA)과 상기 투과영역(100-DA)에 인접한 비투과영역(100-ND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100)는 상기 전자패널(20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100)는 유리, 사파이어,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된 베이스 기판(미도시)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위치하는 베이스 필름(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패널(200)는 상기 표시장치(DD)의 상기 평탄부(FA) 및 상기 벤딩부(BA1, BA2)의 형상에 대응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자패널(200)은 상기 윈도우(100)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윈도우(100)의 상기 투과영역(100-DA)을 통해 상기 영상(IM)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자패널(200)은 표시영역(200-DA) 및 비표시영역(200-ND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영역(200-DA)은 상기 영상(IM)을 표시하는 영역이고, 상기 윈도우(100)의 투과영역(100-DA)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비표시영역(200-NDA)은 상기 표시영역(200-DA)에 인접하고, 상기 윈도우(100)의 상기 비투과영역(100-NDA)에 대응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전자패널(20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외부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터치패널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자패널(200)에 포함된 상기 표시패널은 유기발광 표시패널(orgnic light emmitting diode display panel),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액정 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전기습윤 표시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패널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MEMS 표시패널(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display panel) 등일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은 상기 윈도우(100)와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터치패널은 상기 표시패널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터치패널은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또는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지점의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패널(200)은 상기 터치패널이 생략된 상기 유기 발광 표시패널인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상기 전자패널(200)은 기판(210), 유기 발광 소자(미도시), 및 봉지층(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상기 기판(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봉지층(220)은 상기 기판(210) 및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어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외부로부터 밀봉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제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애노드 전극 또는 양극일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은 음극 또는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정공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전자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각각 생성된 정공과 전자가 상기 유기 발광층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층 내부에서는 정공과 전자가 결합된 엑시톤(exiton)이 형성되며 엑시톤이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지면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전자패널(200)은 상기 영상(IM)을 표시하는 표시면과 표시면에 대향하는 배면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서, 상기 표시면은 상기 봉지층(220)의 상면이고, 상기 배면은 상기 기판(210)의 하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DD)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및 인쇄회로기판(PC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은 상기 전자패널(20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PCB)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의 일단은 상기 봉지층(220)에 의해 노출된 상기 기판(210)의 상면 상에 연결되고,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의 타단은 상기 인쇄회로기판(PCB)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은 가요성을 갖는 필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PCB)은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을 통해 상기 전자패널(200)에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전자패널(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PCB)에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전송 받기 위한 커넥터(CB)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케이스(300)는 상기 전자패널(200)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패널(200)을 수납할 수 있다. 상기 후면 케이스(300)는 상기 전자패널(200)의 배면과 마주보는 제1 부분(300-1)과 상기 제1 부분(300-1)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된 제2 부분(30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300-1)과 상기 제2 부분(300-2)은 상기 전자패널(200)이 수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후면 케이스(300)는 상기 전자패널(20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윈도우(100)와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DD)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윈도우(100)와 상기 전자패널(200)를 부착하는 공정, 예를 들어 라미네이션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윈도우(100)와 상기 전자패널(200)이 휘어진 형상을 가진 경우에는 상기 윈도우(100)와 상기 전자패널(200)를 정확하게 부착하기 위한 별도의 제조장치를 필요로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표시장치(DD)를 제조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표시장치(DD)의 구성요소들 중 상기 표시장치(DD)의 형상에 대응하여 부분적으로 벤딩된 일 구성요소가 상기 평탄부(FA) 및 상기 벤딩부(BA1, BA2)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의 평탄부 및 벤딩부에 대해 상기 평탄부(FA) 및 상기 벤딩부(BA1, BA2)의 용어 및 도면부호를 병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장치(DD-MD)는 제1 지그(J1), 제2 지그(J2), 및 고정부(FM1, FM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그(J1)와 상기 제2 지그(J2)는 상기 전자패널(200)과 상기 윈도우(1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그(J1)는 상기 제2 지그(J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그(J1)는 상기 윈도우(100) 상에 위치하여 상기 윈도우(100)를 홀딩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100)의 상면은 상기 제1 지그(J1)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그(J1)는 상기 윈도우(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그(J1)는 지그 평탄부(Z-FA)와 상기 지그 평탄부(Z-FA)에 연결되어 벤딩된 지그 벤딩부(Z-BA1, Z-BA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그 벤딩부(Z-BA1, Z-BA2)는 상기 지그 평탄부(Z-FA)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제1 지그 벤딩부(Z-BA1) 및 상기 제2 지그 벤딩부(Z-BA2)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지그 평탄부(Z-FA)는 상기 윈도우(100)의 평탄부(FA)와 중첩되며, 상기 지그 벤딩부(Z-BA1, Z-BA2)는 대응되는 상기 윈도우(100)의 벤딩부(BA1, BA2)와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그(J2)는 상기 제1 지그(J1)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그(J2)는 상기 제3 방향(DR3)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자패널(200)과 상기 윈도우(1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지그(J1)와 결합되거나, 상기 제3 방향(DR3)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지그(J1)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그(J2)는 후술한다.
상기 고정부(FM1, FM2)는 상기 제2 지그(J2)의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FM1, FM2)는 상기 제2 지그(J2)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 고정부(FM1) 및 제2 고정부(FM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FM1) 및 상기 제2 고정부(FM2)는 상기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FM1)와 상기 제2 고정부(FM2)은 상기 전자패널(200)을 홀딩하여 상기 전자패널(200)을 상기 제1 지그(J1)와 상기 제2 지그(J2)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FM1)와 상기 제2 고정부(FM2) 각각은 상기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상기 전자패널(200)의 일단 및 타단을 각각 홀딩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FM1)는 상기 전자패널(200)의 상기 일단이 홀딩되는 제1 홀딩부(HP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홀딩부(HP1)는 상기 전자패널(200)의 배면 및 일 측면과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FM2)는 상기 전자패널(200)의 상기 타단이 홀딩되는 제2 홀딩부(HP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홀딩부(HP2)는 상기 전자패널(200)의 배면 및 타 측면과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제1 홀딩부(HP1)와 상기 제2 홀딩부(HP2)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전자패널(200)의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을 홀딩할 수 있는 슬릿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홀딩부(HP1) 및 상기 제2 홀딩부(HP2)는 상기 제1 고정부(FM1) 및 상기 제2 고정부(FM2)에 결합된 별도의 부재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4에서, 상기 제1 고정부(FM1)와 상기 제2 고정부(FM2) 사이의 상기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된 거리는 상기 전자패널(200)의 상기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너비와 같은 것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제1 고정부(FM1)와 상기 제2 고정부(FM2)는 각각 상기 제1 방향(DR1) 및 상기 제1 방향(DR1)의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함에 따라, 상기 제1 고정부(FM1)와 상기 제2 고정부(FM2) 사이의 상기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된 거리는 상기 전자패널(200)의 너비보다 작거나, 클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FM1)와 상기 제2 고정부(FM2)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전자패널(200)의 너비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전자패널(200)이 휘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FM1)와 상기 제2 고정부(FM2)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전자패널(200)의 너비보다 클 경우에는 상기 전자패널(200)이 상기 제1 고정부(FM1) 및 상기 제2 고정부(FM2)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I-I'선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장치에 대한 일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II-II'선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장치에 대한 일 단면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지그(J2)는 스테이지(ST), 패드(PD), 및 댐(DM1, DM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ST)는 상기 패드(PD)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패드(PD)를 지지할 수 있다.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스테이지(ST)의 면적은 상기 패드(PD)의 면적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ST)의 상면은,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패드(PD)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홈(GV) 및 상기 홈(GV) 주변을 둘러싸며 상기 제1 방향(DR1) 및 상기 제2 방향(DR2)이 이루는 평면에 평행한 지지면(SP)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홈(GV)은 평평한 바닥부(BP) 및 상기 바닥부(BP)로부터 절곡 연장된 측벽부들(SW)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들(SW)은 상기 바닥부(BP)와 상기 지지면(SP)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들(SW)은 상기 바닥부(BP)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1 측벽부(SW1) 및 제2 측벽부(SW2)와 상기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3 측벽부(SW3) 및 제4 측벽부(SW4)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벽부(SW1) 및 상기 제2 측벽부(SW2) 각각은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부(SW1) 및 상기 제2 측벽부(SW2) 각각은 상기 바닥부(BP)로부터 멀어질수록 기울기가 점점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측벽부(SW1)와 상기 제2 측벽부(SW2) 사이의 상기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된 거리는 상기 바닥부(BP)에서 상기 제3 방향(DR3)으로 갈수록 점점 커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3 측벽부(SW3) 및 상기 제4 측벽부(SW4)는 상기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3 측벽부(SW3) 및 상기 제4 측벽부(SW4) 각각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즉, 상기 제3 측벽부(SW3) 및 상기 제4 측벽부(SW4) 각각은 상기 바닥부(BP)로부터 멀어질수록 기울기가 점점 작아질 수도 있다.
상기 패드(PD)는 상기 윈도우(100)와 상기 전자패널(20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지그(J1)와 마주보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드(PD)는 상부면(PD-U), 하부면(PD-B), 및 연결면들(PD-C)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면(PD-U)은 상기 제1 지그(J1)와 마주보며 상기 제1 방향(DR1)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면(PD-U)은 상기 제3 방향(DR3)을 향하여 볼록하게 휘어진 곡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면(PD-U)은 상기 제1 방향(DR1) 및 상기 제2 방향(DR2)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면(PD-B)은 상기 상부면(PD-U)과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면(PD-B)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 방향(DR1) 및 상기 제2 방향(DR2)이 이루는 평면에 평행한 평면일 수 있다.
상기 하부면(PD-B)은 평면부(FP)와 오목부들(CP)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면부(FP)는 상기 홈(GV)의 상기 바닥부(BP)와 마주볼 수 있다. 상기 평면부(FP)의 면적은 상기 홈(GV)의 상기 바닥부(BP)의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평면부(FP)는 상기 바닥부(BP)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오목부들(CP)은 상기 평면부(FP)와 상기 연결면들(PD-C)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오목부들(CP) 각각은 대응되는 상기 측벽부들(SW) 각각에 마주보며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오목부들(CP)은 상기 제1 측벽부(SW1) 및 상기 제2 측벽부(SW2) 각각에 대응되는 제1 오목부(CP1) 및 제2 오목부(CP2)와 상기 제3 측벽부(SW3) 및 상기 제4 측벽부(SW4) 각각에 대응되는 제3 오목부(CP3) 및 제4 오목부(CP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오목부(CP1)와 상기 제2 오목부(CP2)는 각각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오목부(CP1)와 상기 제2 오목부(CP2)는 각각 상기 평면부(FP)로부터 멀어질수록 기울기가 점점 작아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3 오목부(CP3)는 상기 제3 측벽부(SW3)와 상기 지지면(SP)과 마주보는 평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오목부(CP4)는 상기 제4 측벽부(SW4)와 상기 지지면(SP)과 마주보는 평면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3 오목부(CP3) 및 상기 제4 오목부(CP4) 각각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즉, 상기 제3 오목부(CP3) 및 상기 제4 오목부(CP4)는 각각은 상기 바닥부(BP)로부터 멀어질수록 기울기가 점점 작아질 수도 있다.
상기 연결면들(PD-C)은 상기 상부면(PD-U)과 상기 하부면(PD-B)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면들(PD-C) 중 상기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연결면들은 상기 상부면(PD-U)과 연결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PD-U)의 휘어진 형상을 따라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패드(PD)는 실리콘, 우레탄, 고무 등과 같은 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PD)의 적어도 일부분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패드(PD)의 적어도 일부분의 형상은 상기 외력이 가해지기 전의 형태와 다르게 변형될 수 있다. 반면, 상기 패드(PD)에 가해진 상기 외력이 사라지는 경우에는, 상기 패드(PD)의 형상이 상기 외력이 가해지기 전의 형상으로 회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PD)는 상기 윈도우(100)와 상기 전자패널(200)이 상기 제1 지그(J1) 및 상기 제2 지그(J2)에 의해 압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패널(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패드(PD)는 상기 전자패널(2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댐(DM1, DM2)은 상기 스테이지(ST)의 상기 지지면(SP)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댐(DM1, DM2)은 별도의 부재로 상기 스테이지(ST)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댐(DM1, DM2)은 상기 스테이지(ST)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댐(DM1, DM2)은 금속, 플라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DM1, DM2)은 상기 패드(PD)의 상기 연결면들(PD-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댐(DM1, DM2)은 상기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되어 상기 패드(PD)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1 댐(DM1) 및 제2 댐(DM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댐(DM1) 및 상기 제2 댐(DM2) 각각은 상기 패드(PD)의 상기 연결면들(PD-C) 중 상기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두 연결면들 각각에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방향(DR3)으로 상기 제1 댐(DM1) 및 상기 제2 댐(DM2) 각각의 높이(h1), 즉 상기 스테이지(ST)의 상기 지지면(SP)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기 제3 방향(DR3)으로 상기 패드(PD)의 높이(h2), 즉 상기 홈(GV)의 상기 바닥부(BP)로부터 상기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된 길이의 약 10% 내지 약 30%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2 지그(J2)는 상기 패드(PD)를 상기 스테이지(ST)에 고정시키기 위한 점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부재는 상기 홈(GV)의 상기 바닥부(BP) 상에 위치하여 상기 패드(PD)의 상기 평면부(FP)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장치의 일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제2 지그(J2)는 상기 제3 방향(DR3)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고정부(FM1)는 상기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고정부(FM2)는 상기 제1 방향(DR1)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고정부(FM1)와 상기 제2 고정부(FM2) 사이의 상기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된 거리가 점점 줄어들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전자패널(200)은 상기 제3 방향(DR3)으로 볼록하게 휘어져 상기 윈도우(100)에 가까워질 수 있다.
상기 패드(PD)는 상기 제3 방향(DR3)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자패널(200)의 배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패드(PD)는 상기 전자패널(200)을 가압하여 상기 전자패널(200)을 상기 윈도우(10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고정부(FM1)는 상기 제1 방향(DR1)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고정부(FM2)는 상기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전자패널(200)은 상기 제1 고정부(FM1) 및 상기 제2 고정부(FM2)로부터 떨어져 상기 패드(PD)와 상기 윈도우(10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패드(PD)는 상기 윈도우(100)와 상기 전자패널(200) 간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전자패널(200)을 더욱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드(PD)가 상기 전자패널(200)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상기 패드(PD)의 형상은 상기 제1 지그(J1)의 휘어진 형상에 대응하여 일시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패드(PD)의 변형은 도 9에 도시된 A 영역과 A' 영역에서 더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A 영역과 상기 A' 영역에 중첩되는 상기 패드(PD)의 상기 하부면(PD-B)에 가해지는 힘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패드(PD)의 상기 하부면(PD-B)에 크랙(crack) 등이 발생하여 상기 패드(PD)가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상기 A 영역과 상기 A' 영역에 중첩되는 상기 스테이지(ST)의 상기 측벽부들(SW)을 휘어진 형상으로 제공함에 따라, 상기 A 영역과 상기 A' 영역에 중첩되는 상기 패드(PD)의 상기 하부면(PD-B)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더해, 상기 댐(DM1, DM2)이 상기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된 상기 패드(PD)의 연결면들을 지지해줌에 따라, 상기 패드(PD)의 상기 제2 방향(DR2)을 향하여 변형되는 변형량을 줄이고, 상대적으로 상기 제1 방향(DR1)을 향하여 변형되는 변형량을 늘려줄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패드(PD)는 적을 힘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패널(200)과 상기 윈도우(100)를 전체적으로 골고루 밀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준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표시장치 DD-MD: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100: 윈도우 200: 전자패널
300: 후면 케이스 J1: 제1 지그
J2: 제2 지그 FM1, FM2: 고정부
PD: 패드 ST: 스테이지
DM1, DM2: 댐

Claims (18)

  1. 제1 부재를 홀딩하는 제1 지그;
    상기 제1 지그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그는,
    패드; 및
    상기 패드 아래에 배치되며,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패드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홈이 구비된 스테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지와 마주보는 상기 패드의 일부분은 상기 홈에 삽입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평평한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절곡 연장된 측벽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들은 휘어진 형상을 갖는 제1 측벽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제1 측벽부의 기울기가 점점 작아지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상기 제1 지그와 마주보며 제1 방향에 대해 휘어진 형상을 갖는 상부면;
    상기 상부면과 마주보는 하부면; 및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을 연결하는 연결면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면은
    상기 바닥부와 마주보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평면부와 상기 연결면들을 연결하며, 대응되는 상기 측벽부들과 마주보는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들은 상기 제1 측벽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휘어진 형상을 갖는 제1 오목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실리콘, 우레탄, 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이 이루는 평면에 대해 상기 제1 지그를 향하여 볼록하게 휘어진 곡면인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그는 상기 패드의 상기 연결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주하는 댐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상기 댐의 높이는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패드의 최대 높이의 10%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댐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그는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평탄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벤딩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윈도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가요성을 갖는 전자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그의 양측에 배치되며, 제2 부재를 홀딩하여 상기 제2 부재를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지그 사이에 배치시키는 고정부들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하부는 상기 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홈에 삽입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17. 제1 부재를 홀딩하는 제1 지그;
    상기 제1 지그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그는,
    상기 제1 지그와 마주보며 제1 방향으로 휘어진 형상을 갖는 상부면, 상기 상부면과 마주보는 하부면,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을 연결하는 연결면들로 구성된 패드;
    상기 패드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된 홈이 구비된 스테이지; 및
    상기 스테이지 상에 제공되며, 상기 연결면들 중 어느 하나에 마주하는 댐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평평한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되어 휘어진 형상을 갖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면은
    상기 바닥부와 마주보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평면부와 상기 연결면들을 연결하고, 상기 측벽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평면부로부터 오목하게 휘어진 오목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KR1020200131686A 2015-11-05 2020-10-13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KR102283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686A KR102283521B1 (ko) 2015-11-05 2020-10-13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333A KR102167504B1 (ko) 2015-11-05 2015-11-05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KR1020200131686A KR102283521B1 (ko) 2015-11-05 2020-10-13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333A Division KR102167504B1 (ko) 2015-11-05 2015-11-05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896A true KR20200120896A (ko) 2020-10-22
KR102283521B1 KR102283521B1 (ko) 2021-07-30

Family

ID=73035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686A KR102283521B1 (ko) 2015-11-05 2020-10-13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5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047A (ko) * 2004-08-30 2006-03-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라미네이션 장비 및 레이저 열전사 방법
US20100282416A1 (en) * 2008-05-07 2010-11-11 Kuo Sung 3-dimensional curved substrate lamination
KR20130057365A (ko) * 2011-11-23 2013-05-31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합착장치
KR20150012593A (ko) * 2013-07-25 2015-0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미네이션 장치 및 라미네이션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047A (ko) * 2004-08-30 2006-03-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라미네이션 장비 및 레이저 열전사 방법
US20100282416A1 (en) * 2008-05-07 2010-11-11 Kuo Sung 3-dimensional curved substrate lamination
KR20130057365A (ko) * 2011-11-23 2013-05-31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합착장치
KR20150012593A (ko) * 2013-07-25 2015-0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미네이션 장치 및 라미네이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3521B1 (ko) 202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7504B1 (ko)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CN107102762B (zh) 触摸屏面板和包括其的移动终端
CN106057087B (zh) 显示模块
KR102420438B1 (ko)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102281910B1 (ko)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494763B1 (ko)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US10207483B2 (en) Lamination device
CN202887620U (zh) 柔性显示面板及包括柔性显示面板的显示设备
KR102279707B1 (ko) 표시 장치
CN106873207B (zh) 弯曲显示装置和用于制造弯曲显示装置的方法
CN103810945A (zh) 具有弯曲的非显示区以减小边框宽度的显示装置
CN111863873A (zh) 显示设备
KR102595102B1 (ko) 표시장치
CN102855822A (zh) 柔性显示面板及包括柔性显示面板的显示设备
JP2004252676A (ja) タッチパネル付電気光学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付電気光学パネル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0822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윈도우 결합 구조체
US20230129444A1 (en) Display assembly and display device
CN110911453A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514130B1 (ko) 표시장치 및 그 것의 제조 방법
KR102283521B1 (ko)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JP2010066855A (ja) タッチパネル、この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20100087229A1 (en) Mechanical design of display
US20160179257A1 (en) Display apparatus
KR102367467B1 (ko)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US11974400B2 (en) Supporter for electronic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