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1819A -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1819A
KR20210021819A KR1020190101254A KR20190101254A KR20210021819A KR 20210021819 A KR20210021819 A KR 20210021819A KR 1020190101254 A KR1020190101254 A KR 1020190101254A KR 20190101254 A KR20190101254 A KR 20190101254A KR 20210021819 A KR20210021819 A KR 20210021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uide
vehicle
air
grill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환
허보배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1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1819A/ko
Publication of KR20210021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52Radiator or grille guards ; Radiator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52Radiator or grille guards ; Radiator grilles
    • B60R2019/525Radiator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5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가 개시된다. 상기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는, 차량의 전방 범퍼에 구비되며 냉각기를 향해 에어를 도입하기 위한 상부 그릴과, 상기 상부 그릴 아래에 구비되며 상기 냉각기를 향해 에어를 도입하기 위한 하부 그릴과, 상기 상부 그릴을 통해 도입된 에어가 상기 상부 그릴과 상기 하부 그릴 사이의 범퍼 중앙 부위의 후방에서 교란되어 와류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그릴을 통해 도입되는 상부 에어 플로우 아래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에어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Air guide structure for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방 범퍼에 구비되는 그릴을 통해 도입되는 에어를 냉각기로 가이드하기 위해 사용되는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 범퍼에는 외부 공기가 엔진룸 방향으로 도입되도록 구성된 그릴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릴을 통해 도입된 공기는 엔진의 열을 흡수한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기(radiator)로 유도될 수 있다. 상기 그릴과 상기 냉각기 사이에는 상기 그릴을 통해 도입된 에어를 상기 냉각기로 유도하기 위한 에어 가이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100)는 차량의 전방 범퍼(102)에 구비되는 상부 그릴(110)과, 상기 상부 그릴(110) 아래에 배치되는 하부 그릴(112)과, 상기 하부 그릴(112)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의 속도에 따라 상기 하부 그릴(112)을 통한 에어 도입을 차단하는 셔터(114)와, 상기 상부 및 하부 그릴들(110, 112)과 냉각기 사이에서 형성되는 에어 플로우를 안내하기 위한 측면 에어 가이드 부재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플로우 아래에는 하부 에어 가이드 부재(116)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에어 플로우의 상부에는 상기 전방 범퍼(102)의 커버 부재(106)가 상부 에어 가이드 부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100)에서는 상부 그릴(110)을 통해 도입된 에어와 하부 그릴(112)을 통해 도입된 에어가 범퍼 중앙 부위(104)의 후방에서 교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되는 와류로 인해 상기 냉각기(108)로 충분한 에어가 공급되지 못하며 아울러 상기 냉각기(108)의 냉각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에어 가이드 부재들은 상기 하부 에어 가이드 부재(116)에 고정될 수 있으나, 상기 측면 에어 가이드 부재들의 하부만 상기 하부 에어 가이드 부재(116)에 의해 구속되는 구조이므로 강성이 다소 부족한 재질로 상기 측면 에어 가이드 부재들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측면 에어 가이드 부재들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측면 에어 가이드 부재들의 변형 상태가 상기 상부 그릴(110) 또는 하부 그릴(1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차량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추가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 에어 가이드 부재들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경우 보행자 사고시 보행자에게 심각한 상해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측면 에어 가이드 부재들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기(108)의 냉각 효율 저하 및 측면 에어 가이드 부재들에 대한 개선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의 전방 범퍼와 냉각기 사이에서 와류 발생을 방지하고 아울러 측면 에어 가이드 부재들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는, 차량의 전방 범퍼에 구비되며 냉각기를 향해 에어를 도입하기 위한 상부 그릴과, 상기 상부 그릴 아래에 구비되며 상기 냉각기를 향해 에어를 도입하기 위한 하부 그릴과, 상기 상부 그릴을 통해 도입된 에어가 상기 상부 그릴과 상기 하부 그릴 사이의 범퍼 중앙 부위의 후방에서 교란되어 와류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그릴을 통해 도입되는 상부 에어 플로우 아래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에어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는, 상기 하부 그릴을 통해 도입된 에어가 상기 범퍼 중앙 부위의 후방에서 교란되어 와류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 그릴을 통해 도입되는 하부 에어 플로우 위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에어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에어 가이드 부재는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상기 에어 가이드 부재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는, 상기 하부 에어 플로우 아래에 배치되는 하부 에어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는, 상기 상부 에어 플로우 및 상기 하부 에어 플로우의 양측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에어 가이드 부재와 연결되는 측면 에어 가이드 부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는, 상기 하부 그릴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차량의 속도에 따라 상기 하부 그릴을 통한 하부 에어 플로우를 차단하기 위한 셔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는, 상기 상부 에어 플로우 위에 배치되는 상부 에어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상부 그릴을 통해 도입된 에어는 상기 에어 가이드 부재에 의해 상기 냉각기를 향해 선형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범퍼 중앙 부위의 후방에서 와류 발생이 방지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차량의 냉각 효율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가이드 부재는 상기 측면 에어 가이드 부재들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측면 에어 가이드 부재들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온전히 완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기보다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배치되는 또는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상기 요소는 상기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 배치되거나 연결될 수도 있으며, 다른 요소들이 이들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 배치되거나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그들 사이에는 또 다른 요소가 있을 수 없다. 다양한 요소들, 조성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부분들과 같은 다양한 항목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항목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한정되지 않는 이상,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을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통상적인 사전들에서 한정되는 것들과 같은 상기 용어들은 관련 기술과 본 발명의 설명의 문맥에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며, 명확히 한정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외형적인 직감으로 해석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의 개략적인 도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해들의 형상들로부터의 변화들, 예를 들면, 제조 방법들 및/또는 허용 오차들의 변화는 충분히 예상될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해로서 설명된 영역들의 특정 형상들에 한정된 바대로 설명되어지는 것은 아니라 형상들에서의 편차를 포함하는 것이며, 도면들에 설명된 요소들은 전적으로 개략적인 것이며 이들의 형상은 요소들의 정확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200)는 차량의 전방 범퍼(202)로부터 냉각기(208) 사이에서 에어를 가이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200)는, 차량의 전방 범퍼(202)에 구비되며 냉각기(208)를 향해 에어를 도입하기 위한 상부 그릴(210)과, 상기 상부 그릴(210) 아래에 구비되며 상기 냉각기(208)를 향해 에어를 도입하기 위한 하부 그릴(212)과, 상기 상부 그릴(212)을 통해 도입된 에어가 상기 상부 그릴(210)과 상기 하부 그릴(212) 사이의 범퍼 중앙 부위(204)의 후방에서 교란되어 와류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그릴(210)을 통해 도입되는 상부 에어 플로우(210A) 아래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에어 가이드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에어 가이드 부재(220)는 상기 상부 그릴(210)의 하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후방으로 상기 냉각기(208)에 인접하도록 연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그릴(210)을 통해 도입된 에어가 상기 냉각기(208)를 향해 선형적으로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범퍼 중앙 부위(204)의 후방에서 와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 그릴(212)을 통해 도입되는 에어가 상기 상부 그릴(210)을 통해 도입되는 에어와 섞이지 않으므로 상기 하부 그릴(212)을 통해 도입되는 에어 또한 상기 냉각기(208)로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200)는 상기 하부 그릴(212)을 통해 도입되는 하부 에어 플로우(212A) 아래에 배치되는 하부 에어 가이드 부재(230)와, 상기 상부 에어 플로우(210A) 및 하부 에어 플로우(210B)의 양측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에어 가이드 부재(220)와 상기 하부 에어 가이드 부재(230)에 연결되는 측면 에어 가이드 부재들(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에어 가이드 부재(230)는 상기 하부 그릴(212)을 통해 도입된 에어가 상기 차량 하부를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 에어 가이드 부재들(240)은 상기 상부 및 하부 그릴들(210, 212)을 통해 도입된 에어가 상기 차량의 양쪽 측방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측면 에어 가이드 부재들(240)은 상기 제1 에어 가이드 부재(220)와 상기 하부 에어 가이드 부재(23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면 에어 가이드 부재들(240)의 중앙 부위가 상기 제1 에어 가이드 부재(2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측면 에어 가이드 부재들(240)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측면 에어 가이드 부재들(240)의 변형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측면 에어 가이드 부재들(240)의 변형에 의한 상기 차량의 미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200)는 상기 하부 그릴(212)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의 속도에 따라 상기 하부 그릴(212)을 통한 상기 하부 에어 플로우(212A)를 차단하기 위한 셔터(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셔터(214)는 차량의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하부 에어 플로우(212A)를 차단함으로써 차량의 공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한편으로, 상기 차량의 전방 범퍼(202)는 상기 상부 에어 플로우(210A) 위에 배치되는 커버 부재(20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부재(206)는 상기 상부 그릴(210)을 통해 도입된 에어가 상기 냉각기(208)의 상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상구 에어 가이드 부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상부 에어 플로우(210A) 위 즉 상기 커버 부재(206)와 상기 상부 에어 플로우(210A) 사이에 별도의 상부 에어 가이드 부재(미도시)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 에어 가이드 부재는 상기 측면 에어 가이드 부재들(240) 사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측면 에어 가이드 부재들(240)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200)는 상기 하부 그릴(212)을 통해 도입된 에어가 상기 범퍼 중앙 부위(204)의 후방에서 교란되어 와류를 형성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 그릴(212)을 통해 도입되는 하부 에어 플로우(212A) 위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에어 가이드 부재(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제2 에어 가이드 부재(222)는 상기 범퍼 중앙 부위(204)의 하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후방으로 상기 냉각기(208)에 인접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제2 에어 가이드 부재(222)는 상기 제1 에어 가이드 부재(220)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2 에어 가이드 부재(222)와 상기 냉각기(208)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간격을 통해 상기 냉각기(208)의 중앙 부위에 대한 에어 공급이 가능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차량이 저속으로 주행하는 경우 상기 제2 에어 가이드 부재(222)에 의해 상기 범퍼 중앙 부위(204)의 후방에서 와류가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 상기 범퍼 중앙 부위(204)의 후방에서 와류가 증가될 수 있으나, 이 경우 상기 셔터(214)가 상기 하부 에어 플로우(212A)를 차단하기 때문에 상기 차량의 주행 안정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 에어 가이드 부재(222)는 상기 측면 에어 가이드 부재들(24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측면 에어 가이드 부재들(240)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상부 그릴(210)과 하부 그릴(212)을 통해 도입되는 에어가 상기 냉각기(208)로 충분히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냉각기(208)의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측면 에어 가이드 부재들(240)이 상기 제1 에어 가이드 부재(220) 및 하부 에어 가이드 부재(230)와 연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측면 에어 가이드 부재들(240)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 : 에어 가이드 구조 202 : 전방 범퍼
204 : 범퍼 중앙 부위 206 : 커버 부재
208 : 냉각기 210 : 상부 그릴
212 : 하부 그릴 214 : 셔터
220 : 제1 에어 가이드 부재 222 : 제2 에어 가이드 부재
230 : 하부 에어 가이드 부재 240 : 측면 에어 가이드 부재

Claims (7)

  1. 차량의 전방 범퍼에 구비되며 냉각기를 향해 에어를 도입하기 위한 상부 그릴;
    상기 상부 그릴 아래에 구비되며 상기 냉각기를 향해 에어를 도입하기 위한 하부 그릴; 및
    상기 상부 그릴을 통해 도입된 에어가 상기 상부 그릴과 상기 하부 그릴 사이의 범퍼 중앙 부위의 후방에서 교란되어 와류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그릴을 통해 도입되는 상부 에어 플로우 아래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에어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그릴을 통해 도입된 에어가 상기 범퍼 중앙 부위의 후방에서 교란되어 와류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 그릴을 통해 도입되는 하부 에어 플로우 위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에어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어 가이드 부재는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상기 에어 가이드 부재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에어 플로우 아래에 배치되는 하부 에어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에어 플로우 및 상기 하부 에어 플로우의 양측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에어 가이드 부재와 연결되는 측면 에어 가이드 부재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그릴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차량의 속도에 따라 상기 하부 그릴을 통한 하부 에어 플로우를 차단하기 위한 셔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에어 플로우 위에 배치되는 상부 에어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
KR1020190101254A 2019-08-19 2019-08-19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 KR202100218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254A KR20210021819A (ko) 2019-08-19 2019-08-19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254A KR20210021819A (ko) 2019-08-19 2019-08-19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819A true KR20210021819A (ko) 2021-03-02

Family

ID=75169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254A KR20210021819A (ko) 2019-08-19 2019-08-19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18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2883A (ko) 2021-09-23 2023-03-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2883A (ko) 2021-09-23 2023-03-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0366B1 (ko) 쿨링모듈
CN108973913B (zh) 车辆用热交换装置
CN102529643B (zh) 空气管道
US10787141B2 (en) AGS with displaceable actuator
CN102729803A (zh) 车辆的冷却风导入装置
KR102360163B1 (ko) 차량용 그릴
JP6564130B2 (ja) 冷却ファン装置
US20160052369A1 (en) Device for air flow adjustment
KR20210021819A (ko)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
US9694666B2 (en) Motor vehicle having a radiator arrangement
KR20120106046A (ko) 액티브 에어 플랩
JP2020006726A (ja) ダクト
CN105409099A (zh) 电机驱动器罩盖
CN102689587A (zh) 汽车散热器挡风装置
US20210379965A1 (en) Motor vehicle
JP2015081705A (ja) 冷却システム
JP2014234097A (ja) 車両のエンジンルームの冷却構造
JP2015047875A (ja) 車両の冷風導入構造
US20100230195A1 (en) Arrangement of a Radiator and a Shock Absorber and Beam in a Motor Vehicle
JP2019085061A (ja) 車両前部構造
JP6407599B2 (ja) エンジンルームカバー
KR101411413B1 (ko) 단일 모듈화된 공냉식 쿨러를 포함하는 컨버터 시스템
JP2016190534A (ja) 冷却システム
JP2020134014A (ja) 室外機
JP2015182751A (ja) 車両用通風制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