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2883A -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2883A
KR20230042883A KR1020210125669A KR20210125669A KR20230042883A KR 20230042883 A KR20230042883 A KR 20230042883A KR 1020210125669 A KR1020210125669 A KR 1020210125669A KR 20210125669 A KR20210125669 A KR 20210125669A KR 20230042883 A KR20230042883 A KR 20230042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uide
vehicle
bent
air
ext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민
손창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5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2883A/ko
Priority to US17/870,039 priority patent/US20230091511A1/en
Priority to CN202210975313.3A priority patent/CN115848125A/zh
Publication of KR20230042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52Radiator or grille guards ; Radiator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5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Fluid Mecha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전방부에 장착된 열교환기의 외측을 감싸며 전방으로 연장되어 차량의 전방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열교환기로 유입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에어가이드; 및 차량의 전방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에어가이드를 외측에서 이격된 상태로 감싸며, 내외측 방향으로 에어가이드와 오버랩되도록 연장된 실링가이드;를 포함하는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INCOMING AIR GUIDE UNI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로서, 차량의 그릴로 유입되는 공기를 열교환기 내부로 유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는 전방 범퍼에 그릴이 일체로 형성되어 제조될 수 있으며, 그릴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차량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차량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차량의 열교환기로 유입되어 열교환기 내부의 냉매를 냉각시키거나 또는 차량의 실내로 바로 유입될 수 있다.
열교환기에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히트펌프, 라디에이터 또는 컨덴서 등이 될 수 있다.
종래에는 그릴을 통해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열교환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가이드 하기 위해 열교환기는 그릴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열교환기의 외측을 감싸며 그릴측으로 연장된 에어가이드가 마련되었다.
그러나 에어가이드와 그릴 사이로 이격된 공간으로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빠져나가 차량의 공력성능 및 열교환기의 냉각성능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21-0021819 A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의 그릴로 유입되는 공기를 열교환기 내부로 유동되도록 가이드하여 열교환기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는 차량의 전방부 후방에 장착된 열교환기의 외측을 감싸며 전방으로 연장되어 차량의 전방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열교환기로 유입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에어가이드; 및 차량의 전방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에어가이드를 외측에서 이격된 상태로 감싸며, 내외측 방향으로 에어가이드와 오버랩되도록 연장된 실링가이드;를 포함한다.
에어가이드에는 단부에서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1절곡부가 포함될 수 있다.
제1절곡부는 실링가이드 측으로 수직되게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절곡부는 실링가이드와 반대 측으로 수직되게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절곡부는 에어가이드가 연장된 방향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실링가이드에는 단부에서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2절곡부가 포함될 수 있다.
제2절곡부는 에어가이드 측으로 수직되게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2절곡부는 에어가이드와 반대 측으로 수직되게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2절곡부는 실링가이드가 연장된 방향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에는 단부에서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1절곡부가 포함되며, 실링가이드에는 단부에서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2절곡부가 포함되고, 제1절곡부의 단부와 제2절곡부의 단부는 기설정된 거리로 배치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의 단부는 차량의 전방부와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와 실링가이드 사이의 이격거리는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는 열교환장치를 감싸며 그릴측으로 연장된 에어가이드가 마련되고, 그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에어가이드를 감싸는 실링가이드가 마련됨으로써, 그릴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에어가이드 외측으로 누기되는 리키지를 실링가이드를 통해 리키지의 양을 감소시켜 열교환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며 차량의 공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키지의 양이 감소됨에 따라 누기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의 평단면도,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를 적용전 및 적용후의 공기 흐름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를 적용전 및 적용후의 공기 흐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의 평단면도,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를 적용전 및 적용후의 공기 흐름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를 적용전 및 적용후의 공기 흐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의 발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는 구체적으로 차량의 전방부의 후방에 장착된 열교환기(400)의 외측을 감싸며 전방으로 연장되어 차량의 전방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열교환기(400)로 유입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에어가이드(100); 및 차량의 전방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에어가이드(100)를 외측에서 이격된 상태로 감싸며, 내외측 방향으로 에어가이드(100)와 오버랩 되도록 연장된 실링가이드(200);를 포함한다.
최근 차량에는 전방부에 그릴(300)이 일체로 형성되어 제조될 수 있으며, 그릴(300)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차량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차량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차량의 열교환기(400)로 유입되어 열교환기(400) 내부의 냉매를 냉각시키거나 또는 차량의 실내로 바로 유입될 수 있다.
열교환기(400)에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히트펌프, 라디에이터(420) 또는 컨덴서(410) 등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도 1에서는 라디에이터(420) 및 콘데서를 모두 도시하였지만 차종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종래에는 그릴(300)을 통해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열교환기(4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가이드 하기 위해 열교환기(400)는 그릴(300)의 후방 측에 배치되고, 열교환기(400)의 외측을 감싸며 그릴(300)측으로 연장된 에어가이드(100)가 마련되었다.
그러나 에어가이드(100)와 그릴(300) 사이로 이격된 공간으로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빠져나가 차량의 공력성능 및 열교환기(400)의 냉각성능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도 5의 좌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에어가이드(100)만 마련되는 경우에 그릴(300)의 측방에서 공기가 새는 누기가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에어가이드(100)만 마련되는 경우에 그릴(300)의 상부에서 공기가 새는 누기가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그릴(300)의 후방에서 열교환기(400) 측으로 연장된 실링가이드(20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가이드(100)와 실링가이드(200)는 서로 단부가 기설정된 거리(L)만큼 중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기설정된 거리(L)는 0~10mm로 설정되어 에어가이드(100)와 실링가이드(200)가 서로 중첩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거리(L)는 설계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100)는 열교환기(400)의 외측을 감싸서 그릴(300)로 들어오는 공기를 열교환기(400) 내부로 유동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실링가이드(200)는 에어가이드(100)의 외측을 감싸며 에어가이드(100) 내부로 모두 유동되지 않는 공기를 실링하여 에어가이드(100) 내부로 더 많은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에어가이드(100)의 단부 측에서 발생되는 누기를 실링하여 리키지를 감소시키며 차량의 공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의 우측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누기가 발생되는 것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100)에는 단부에서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1절곡부(11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에어가이드(100) 및 실링가이드(20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에서는 제1절곡부(110)가 실링가이드(200) 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가이드(100)에는 단부가 실링가이드(200) 측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1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절곡부(110)의 단부는 실링가이드(200)와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절곡부(110)의 형성으로 인해 에어가이드(100)와 실링가이드(200)의 이격거리를 감소시키며, 차량의 전방 그릴(300)에서 유입된 공기가 에어가이드(100)를 통해 열교환기(400)로 유입되지 않고 에어가이드(100)의 외측으로 누기되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1절곡부(110)의 단부와 실링가이드(200) 사이의 거리는 5~10mm 이내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어가이드(100) 외부로 공기가 누기되는 리키지 양을 감소시키며, 차량의 공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절곡부(110)는 실링가이드(200) 측으로 수직되게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곡부(110)의 제1실시예로서, 제1절곡부(110)는 에어가이드(100)의 단부에서 실링가이드(200) 측으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어가이드(100)와 실링가이드(200) 사이의 기설정된 범위 설정하기 간편해지며, 또한, 수직되도록 제조함에 따라 제조과정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제1절곡부(110)는 에어가이드(100)가 연장된 방향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절곡부(110)의 제2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절곡부(110)는 에어가이드(100)가 연장된 단부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실링가이드(200)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1절곡부(110)의 기설정된 각도는 45°~ 90°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절곡부(110)는 기설정된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절곡부(110)를 통해 에어가이드(100)와 실링가이드(200) 사이의 공간의 일부를 실링하여 공기의 리키지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절곡부(110)는 실링가이드(200)와 반대 측으로 수직되게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절곡부(110)의 제3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절곡부(110)는 에어가이드(100)가 연장된 방향에서 실링가이드(200)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누기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여 누기되는 공기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절곡부(110)의 제3실시예의 길이는 상기의 제1실시예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절곡부(110)가 에어가이드(100)의 단부에서 실링가이드(200)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에어가이드(100) 내부로 유입되지 않은 공기를 실링가이드(200) 측으로 유동시켜 차량의 공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링가이드(200)에는 단부에서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2절곡부(21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가이드(200)의 단부는 실링가이드(200)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된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에어가이드(100) 및 실링가이드(20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에서는 제2절곡부(210)가 에어가이드(100) 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가이드(200)에는 단부가 실링가이드(200) 측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2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절곡부(210)의 단부는 에어가이드(100)와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절곡부(210)의 형성으로 인해 에어가이드(100)와 실링가이드(200)의 이격거리를 감소시키며, 차량의 전방 그릴(300)에서 유입된 공기가 에어가이드(100)를 통해 열교환기(400)로 유입되지 않고 에어가이드(100)의 외측으로 누기되어 실링가이드(200) 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2절곡부(210)의 단부와 에어가이드(100) 사이의 거리는 5~10mm 이내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어가이드(100) 외부로 공기가 누기되는 리키지 양을 감소시키며, 차량의 공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키지의 양이 감소됨에 따라 열교환기(4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이 증대되어 열교환기(400)의 효율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절곡부(210)는 에어가이드(100) 측으로 수직되게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절곡부(210)의 제1실시예로서, 제2절곡부(210)는 실링가이드(200)의 단부에서 에어가이드(100) 측으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어가이드(100)와 실링가이드(200) 사이의 기설정된 범위 설정하기 간편해지며, 또한, 수직되도록 제조함에 따라 제조과정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절곡부(210)가 실링가이드(200)와 에어가이드(100) 사이로 누기되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킴에 따라 에어가이드(100) 내부로 유동되는 공기의 양을 증대시켜 열교환기(400)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절곡부(210)는 실링가이드(200)가 연장된 방향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2절곡부(210)의 제2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2절곡부(210)는 실링가이드(200)가 연장된 단부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에어가이드(100)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2절곡부(210)의 기설정된 각도는 45°~ 90°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절곡부(210)는 기설정된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절곡부(210)를 통해 에어가이드(100)와 실링가이드(200) 사이의 공간의 일부를 실링하여 공기의 리키지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절곡부(210)가 실링가이드(200)와 에어가이드(100) 사이로 누기되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킴에 따라 에어가이드(100) 내부로 유동되는 공기의 양을 증대시켜 열교환기(400)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절곡부(210)는 에어가이드(100)와 반대 측으로 수직되게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절곡부(110)의 제3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절곡부(110)는 에어가이드(100)가 연장된 방향에서 실링가이드(200)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2절곡부(210)의 제3실시예의 길이는 상기의 제1실시예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절곡부(210)가 실링가이드(200)의 단부에서 에어가이드(100)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에어가이드(100)의 외부로 누기된 공기를 실링가이드(200) 외측으로 유동시켜 차량의 공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누기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여 누기되는 공기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절곡부(210)의 제3실시예의 길이는 상기의 제1실시예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100)에는 단부에서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1절곡부(110)가 포함되며, 실링가이드(200)에는 단부에서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2절곡부(210)가 포함되고, 제1절곡부(110)의 단부와 제2절곡부(210)의 단부는 기설정된 거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제1절곡부(110)와 제2절곡부(210)는 동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제1절곡부(110)의 단부와 제2절곡부(210)의 단부 사이의 수직 거리(H-H2-H1)는 5~10mm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절곡부(110)와 제2절곡부(210)가 동시에 적용되어 에어가이드(100) 외부로 누기되는 리키지의 양을 최소화하여 열교환기(400)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에어가이드(100)의 단부는 차량의 전방부와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가이드(100)의 단부는 차량의 전방부에 위치한 그릴(300)과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그릴(300)이 장착시 제조 오차로 인해 에어가이드(100)와 접촉되어 에어가이드(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에어가이드(100) 외부로 공기가 일부가 누기되어 실링가이드(200)와 에어가이드(100) 사이로 공기가 유동되어 차량의 공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에어가이드(100)와 실링가이드(200) 사이의 이격거리는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가이드(100)와 실링가이드(200)는 서로 연장된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으며, 서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에어가이드(100)와 실링가이드(200) 사이 거리는 5 ~ 10mm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격 거리를 통해 차량의 공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에어가이드(100) 외부로 누기되는 공기량을 감소시킴으로써 공기 누기로 발생되는 소음 및 팬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에어가이드
110 : 제1절곡부
200 : 실링가이드
210 : 제2절곡부
300 : 그릴
400 : 열교환기
410 : 컨덴서
420 : 라디에이터

Claims (12)

  1. 차량의 전방부에 장착된 열교환기의 외측을 감싸며 전방으로 연장되어 차량의 전방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열교환기로 유입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에어가이드; 및
    차량의 전방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에어가이드를 외측에서 이격된 상태로 감싸며, 내외측 방향으로 에어가이드와 오버랩되도록 연장된 실링가이드;를 포함하는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가이드에는 단부에서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1절곡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절곡부는 실링가이드 측으로 수직되게 절곡되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절곡부는 실링가이드와 반대 측으로 수직되게 절곡되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절곡부는 에어가이드가 연장된 방향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실링가이드에는 단부에서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2절곡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제2절곡부는 에어가이드 측으로 수직되게 절곡되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제2절곡부는 에어가이드와 반대 측으로 수직되게 절곡되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제2절곡부는 실링가이드가 연장된 방향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가이드의 단부는 차량의 전방부와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가이드에는 단부에서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1절곡부가 포함되며, 실링가이드에는 단부에서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2절곡부가 포함되고,
    제1절곡부의 단부와 제2절곡부의 단부는 기설정된 거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가이드와 실링가이드 사이의 이격거리는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



KR1020210125669A 2021-09-23 2021-09-23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 KR2023004288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669A KR20230042883A (ko) 2021-09-23 2021-09-23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
US17/870,039 US20230091511A1 (en) 2021-09-23 2022-07-21 Intake air guide device for a vehicle
CN202210975313.3A CN115848125A (zh) 2021-09-23 2022-08-15 车辆的进气引导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669A KR20230042883A (ko) 2021-09-23 2021-09-23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883A true KR20230042883A (ko) 2023-03-30

Family

ID=85571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669A KR20230042883A (ko) 2021-09-23 2021-09-23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91511A1 (ko)
KR (1) KR20230042883A (ko)
CN (1) CN11584812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1819A (ko) 2019-08-19 2021-03-02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1819A (ko) 2019-08-19 2021-03-02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가이드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848125A (zh) 2023-03-28
US20230091511A1 (en)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20907B2 (ja) 車両のフロントエンド構造
CN102529643B (zh) 空气管道
KR101405234B1 (ko) 차량용 라디에이터
US10508865B2 (en) Heat exchanger
JP2017514744A (ja) エアガイド及びエアガイドモジュール
US20100089546A1 (en) Vehicle heat exchangers having shielding channels
JP5267089B2 (ja) 排気系冷却構造
CN106812583B (zh) 一种冷却系统及车辆
JP6556566B2 (ja) 車両用冷却装置
US9694666B2 (en) Motor vehicle having a radiator arrangement
KR20230042883A (ko) 차량의 유입 공기 가이드 장치
KR102630134B1 (ko)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
JP6577282B2 (ja) 熱交換器
KR20150073322A (ko) 차량용 루프형 공조장치
JP2019085061A (ja) 車両前部構造
CN104428154A (zh) 车辆用中间冷却器
KR20110063116A (ko) 차량의 쿨링 장치용 쿨링 드래그 저감유닛
KR101558006B1 (ko)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헤더 탱크 결합구조
CN110893765A (zh) 车辆前部构造
WO2021020089A1 (ja) 熱交換装置
JP6907914B2 (ja) 車両用ラジエータのエアガイド構造
KR20090100994A (ko)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552198B1 (ko) 냉각공기 순환이 가능한 고속열차용 동력차
KR101923645B1 (ko) 차량용 에어덕트
JP2019183726A (ja) Egr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