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1718A -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연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연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1718A
KR20210021718A KR1020190100975A KR20190100975A KR20210021718A KR 20210021718 A KR20210021718 A KR 20210021718A KR 1020190100975 A KR1020190100975 A KR 1020190100975A KR 20190100975 A KR20190100975 A KR 20190100975A KR 20210021718 A KR20210021718 A KR 20210021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barrel
cutting
blade module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4167B1 (ko
Inventor
오광빈
김유화
정재학
김남영
노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뮨
Priority to KR1020190100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167B1/ko
Priority to PCT/KR2019/011922 priority patent/WO2021033825A1/ko
Publication of KR20210021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78Apparatus for destroying used needles or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50/36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for collecting or disposing of used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50/36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for collecting or disposing of used articles
    • A61B50/362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for collecting or disposing of used articles for shar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76Means imparting rotational movement to the needle or needle hub in order to assist in its disconnection from syring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50/36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for collecting or disposing of used articles
    • A61B50/362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for collecting or disposing of used articles for sharps
    • A61B2050/364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for collecting or disposing of used articles for sharps having additional means for destroying used shar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2005/3206Needle or needle hub disconnecting devices forming part of or being attached to the hub or syring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78Apparatus for destroying used needles or syringes
    • A61M2005/3279Breaking syringe nozzles or needle hu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연결판은 바늘부를 절단하도록 절삭 날을 포함하는 칼날모듈과, 칼날모듈이 분리 및 교환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절단된 바늘부가 분리 배출되는 손상성 폐기물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연결판 하부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연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CONNECTION PLATE FOR SYRINGE CUTTING AND SEPARATING DEVICE AND SYRINGE CUTTING AND SEPARATING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연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사기는 의료도구 중 하나로서, 몸속에 약물을 투입하거나 또는 혈액을 채혈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다만, 한번 사용한 주사기는 각종 법정전염병과 감염성 질병의 감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안전하게 폐기되어야 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치료용 도구로서 사용된 주사기는 2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재사용이 금지된다.
이와 같이, 병원 등에서 사용된 주사기는 필수적으로 폐기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폐기과정에서 주사기를 그대로 폐기하는 것이 아니라 주사기의 바늘과 몸체를 분리해서 폐기한다.
이러한 분리 과정에서 자상사고가 발생되는 등 안전 상의 위험이 따르게 된다.
예컨대, 폐주사기에 대한 2차 감염을 차단하기 위해 일부 국가의 병원들은 주사기 사용 후 고열로 용융 산화시키는 장치 등을 이용하여 즉석에서 처리하는 기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국내 병원들은 기존의 감염성폐기물 처리방법(예: 수집 후 일괄처리)을 고수하고 있다. 기존의 감염성폐기물 처리방법은 손으로 직접 또는 손상성 폐기물통의 뚜껑에 위치한 돌기를 이용하여 직접 바늘을 제거해야 했기에 그 과정에서 피나 오염된 약재가 튀는 등의 2차 오염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자 사용 후 폐기할 주사기의 바늘 부위를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5-0002795호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주사침 처리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사기를 절단하는 절삭 날을 내장하며, 본체의 하측으로 연결되는 칼날모듈과, 칼날모듈이 분리 및 교환 가능한 형태로 조립되며 손상성 폐기물 통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결합되는 연결판 하부몸체로 구성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연결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칼날모듈과 연결판 하부몸체가 분리 및 교환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연결판을 이용하여, 주사기의 절단 시 비산되는 오염으로부터 장치를 보호하며, 다양한 손상성 폐기물 용기에 호환 가능한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투입구에 투입된 주사기가 회전함에 따라 바늘이 절단되며, 바늘은 손상성 폐기물 통으로 배출되고, 주사기 몸체는 일반 폐기물 통으로 분리 배출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투입구 내벽은 수명에 따른 교환, 내부 오염에 따른 세척이 가능하도록 쉽게 분리 및 체결할 수 있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연결판은 주사기의 투입이 가능하며, 투입된 주사기의 바늘부가 하단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배럴부와, 상부 쉘과, 상기 상부 쉘에 결합되는 하부 쉘과, 상기 상부 쉘과 하부 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배럴부에 직결되어 상기 배럴부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배럴부의 회전 시 절단되는 상기 바늘부를 분리 배출시켜 보관하는 손상성 폐기물 용기를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연결판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착탈되며 상기 배럴부의 회전 시 상기 바늘부를 절단하도록 절삭 날을 포함하는 칼날모듈; 및 상기 칼날모듈이 분리 및 교환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절단된 바늘부가 분리 배출되는 손상성 폐기물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착탈 결합되는 판 형상의 연결판 하부몸체;를 포함한다.
배럴부는 주사기의 투입이 가능하며, 절삭 대상 바늘부만이 하단을 관통하도록 바늘부 관통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체는 제1 홈을 갖는 상부 쉘과, 상기 제1 홈에 대응하는 제2 홈을 가지며 상기 상부 쉘에 결합되는 하부 쉘과, 상기 상부 쉘과 하부 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2 홈을 통해 설치되는 상기 배럴부에 직결되어 상기 배럴부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칼날모듈은 본체의 하부에 착탈되며 상기 배럴부의 회전 시 상기 바늘부를 절단하도록 절삭 날을 포함한다. 이로써, 상기 투입된 주사기의 이송, 상기 바늘부의 절단, 상기 절단된 바늘부의 배출, 및 상기 바늘부가 제거된 상기 주사기 본체의 배출이 상기 배럴부의 1회 회전만으로 수행된다.
또한, 상기 칼날모듈의 하단에는 슬라이딩 홈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판 하부몸체에는 상기 슬라이딩 홈에 대응 결합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칼날모듈과 상기 연결판 하부몸체는 상호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교환 주기에 따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판 하부몸체는, 상기 손상성 폐기물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개방 홀이 일측에 구비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손상성 폐기물 용기의 상단 결합부에 밀폐 결합되는 테두리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는 상기 개방 홀과 연통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방 홀은 상기 칼날모듈의 하단 크기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는 상기 칼날모듈의 하단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장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칼날모듈은 상기 개방 홀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개방 홀과 연통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딩 홈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의 양측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판 하부몸체는, 상기 손상성 폐기물 용기의 다양한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여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날모듈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된 착탈 홈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는 착탈 몸체; 상기 착탈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럴부의 하단에 마주하여 상기 배럴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곡면을 이루어 오목하게 형성된 곡면 홈; 상기 곡면 홈을 통해 상기 배럴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배럴부에 투입된 주사기의 바늘부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호형 장공; 및 상기 호형 장공의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호형 장공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배럴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바늘부를 절단하는 절삭 날;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칼날모듈은, 상기 절삭 날에 의해 절단된 상기 바늘부를 자중에 의해 상기 손상성 폐기물 통의 내부로 하향 배출시키는 배출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럴부는, 상기 본체에 양측이 연결되되 일측이 상기 구동부에 직결되어 소정 각도로 회전하는 배럴 하우징; 및 상기 배럴 하우징의 상부에 나사 결합되며, 투입된 주사기를 내측 투입공간에 수용하는 내벽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럴 하우징은, 상기 내벽부재가 삽입 가능한 제1 원통형 몸체; 상기 제1 원통형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배럴부의 회전 중심을 따라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출력 축과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원통형 몸체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제1 연결부재의 반대 방향을 향해 상기 배럴부의 회전 중심을 따라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벽부재는, 상기 제1 원통형 몸체의 상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며, 교환 및 세척을 위해 상기 제1 원통형 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제2 원통형 몸체; 및 상기 제2 원통형 몸체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원통형 몸체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도록 확장 형성된 외경확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상부 쉘과 상기 하부 쉘 사이에 내장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를 감싸 고정시키는 모터고정부; 및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 축과 상기 제1 연결부재를 일직선상으로 직결시키는 직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가 상기 배럴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각도는 90도 초과 180도 미만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며, 상기 배럴부가 최대 회전 각도로 회전할 때 상기 배럴부에 남겨진 상기 주사기 본체는 상기 바늘부가 배출되는 제1 방향과 서로 다른 제2 방향으로 분리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개폐 가능한 배터리 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 커버의 개방 시 배터리가 장착된 배터리 카트리지의 착탈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삭 날은, 상기 호형 장공의 말단에서 상기 회전하는 바늘부를 가로막는 형상으로 배치되되,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삭 날은 상기 호형 장공의 길이 방향에 둔각을 이루도록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칼날모듈의 상부에는 소정 높이로 돌출된 상향 돌기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절삭 날의 일단부를 타단부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상하로 경사지게 설치해 줄 수 있다. 이로써, 절삭 날과 절삭 대상인 바늘부 간의 접촉 길이를 증가시켜 절삭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칼날모듈은, 상기 절삭 날의 후방에서 소정 길이로 상향 돌출되며, 일 측면은 상기 배럴부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배럴부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여 라운드 진 곡면이 형성된 곡면 격벽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곡면 격벽을 통해 바늘부가 제거된 나머지 주사기 본체는 보다 위생적으로 바늘부의 배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안전하게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바늘부의 절단 시 미소 물질이 주변으로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본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날모듈은, 상기 곡면 격벽의 상부에서 상기 배럴부의 회전 중심에 대응하는 높이로 플레이트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는 곡면 격벽보다 더 높은 위치까지 돌출된 부위로서, 바람직하게는 배럴부의 회전 중심에 대응하는 높이로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바늘부가 절단된 주사기 본체 내부로부터 잔존 물질이 절단 부위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본체의 오염 방지 기능을 한층 더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칼날모듈의 상부에 마련된 누름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거나, 또는 상기 배럴부에 투입된 주사기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는 주사기의 투입이 가능하며, 투입된 주사기의 바늘부가 하단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배럴부; 상부 쉘과, 상기 상부 쉘에 결합되는 하부 쉘과, 상기 상부 쉘과 하부 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배럴부에 직결되어 상기 배럴부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배럴부의 회전 시 절단되는 상기 바늘부를 분리 배출시켜 보관하는 손상성 폐기물 용기;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착탈되며 상기 배럴부의 회전 시 상기 바늘부를 절단하도록 절삭 날을 포함하는 칼날모듈과, 상기 칼날모듈이 분리 및 교환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절단된 바늘부가 분리 배출되는 손상성 폐기물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착탈 결합되는 판 형상의 연결판 하부몸체를 포함하는 연결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사기를 절단하는 절삭 날을 내장하며, 본체의 하측으로 연결되는 칼날모듈과, 칼날모듈이 분리 및 교환 가능한 형태로 조립되며 손상성 폐기물 통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결합되는 연결판 하부몸체로 구성되는 연결판을 제공한다.
특히, 칼날모듈과 연결판 하부몸체가 분리 및 교환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연결판을 이용함으로써, 주사기의 절단 시 비산되는 오염으로부터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손상성 폐기물 용기에 대응하여 연결판 하부몸체를 교환하는 것만으로도 호환성이 확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투입구에 투입된 주사기가 회전함에 따라 바늘이 절단되며, 바늘은 손상성 폐기물 통으로 배출되고, 주사기 몸체는 일반 폐기물 통으로 분리 배출될 수 있다.
특히, 투입구 내벽은 나사산을 통해 쉽게 분리 및 체결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수명에 따른 교환이나 내부 오염에 따른 세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칼날모듈과 연결판 하부몸체가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손상성 폐기물 용기의 교환주기와 칼날모듈의 교환주기가 다를 경우에도 각각의 부품을 별도로 교환 가능한 장점이 있다.
나아가, 연결판 하부몸체에는 수동으로 주사기 및 링거 줄을 분리할 수 있는 분리용 홈이 구비되어 주사기 처리 속도가 빨라져 작업 시간 단축 및 비용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교환 가능한 연결판을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교환 가능한 연결판을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교환 가능한 연결판을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중에서 내벽부재의 나사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교환 가능한 연결판을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본체에 내장된 구동부를 간략히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교환 가능한 연결판을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에 주사기를 투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교환 가능한 연결판을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에 주사기를 투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교환 가능한 연결판을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에 의해 주사기의 절단 및 바늘부의 분리 배출 과정을 보여주는 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교환 가능한 연결판을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에 의해 바늘부 및 주사기 몸체부의 분리 배출 과정을 보여주는 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연결판을 간략히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연결판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연결판의 다양한 변형 예들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교환 가능한 연결판을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내벽부재의 나사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체에 내장된 구동부를 간략히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5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에 주사기를 투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1000)는 배럴부(100), 본체(200), 손상성 폐기물 용기(700), 연결판(5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1000)의 경우 연결판(500)은 서로 분리 및 교환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칼날모듈(300)과, 연결판 하부몸체(400)를 포함한다.
칼날모듈(300)은 본체(200)의 하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착탈되며 배럴부(100)의 회전 시 바늘부(S1, 도 6 참조)를 절단하도록 절삭 날(340)을 포함한다.
연결판 하부몸체(400)는 칼날모듈(300)이 분리 및 교환한 구조로 결합되며,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를 말한다. 연결판 하부몸체(400)는 절단된 바늘부(S1, 도 6 참조)가 분리 배출되어 보관되는 손상성 폐기물 용기(70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착탈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배럴부(100)는 주사기의 투입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된다.
배럴부(100)는 주사기 중 바늘부를 제외한 몸체(이하 '몸체부'라 함)를 제외하고 실제로 절단이 이루어지는 바늘을 포함하는 주사기의 목 부위(이하 '바늘부'라 함)만이 하향 관통하도록 하단부에 홀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배럴부(100)는 배럴 하우징(110), 내벽부재(130)를 포함한다.
배럴 하우징(110)은 제1, 2 홈(211, 221)을 통해 상하로 설치된다.
배럴 하우징(110)의 상단은 개방되고 하단에는 주사기의 바늘부가 관통하는 홀이 구비된다.
배럴 하우징(110)은 본체(200)에 양측이 연결되는데, 연결된 양측 중 일측이 구동부(270, 도 4 참조)의 출력 축에 직결되어, 동력 전달에 따른 손실 없이 회전력을 전달 받아 소정 각도로 회전한다.
예를 들어, 배럴 하우징(110)은 제1 원통형 몸체(111, 도 3 참조), 제1 연결부재(113, 도 4 참조), 제2 연결부재(115, 도 4 참조)를 포함한다.
제1 원통형 몸체(111)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형 관 형태의 부재로서, 주사기가 투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내벽부재(130)의 제2 원통형 몸체(131)가 연결되어 그 하부에 위치한다.
제1 연결부재(113)는 제1 원통형 몸체(111)의 일측으로부터 배럴부(100)의 회전 중심을 따라 본체(200)에 연결된다(도 4 참조).
더 구체적으로는 제1 연결부재(113)는 구동부(270)의 출력 축과 직결되어 회전력을 제공 받는다.
제2 연결부재(115)는 제1 원통형 몸체(111)의 타측으로부터 제1 연결부재(113)의 반대 방향을 향해 배럴부(100)의 회전 중심을 따라 본체(200)에 연결된다(도 4 참조).
이와 같이, 제1, 2 연결부재(113, 115)는 제1 원통형 몸체(111)의 양측을 통해 배럴부(1000)의 회전 중심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구동부(270)와 직결되어 배럴 하우징(110)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배럴 하우징(110)을 구성하는 제1 원통형 몸체(111)의 상단에는 암나사부(116)가 형성되며, 내벽부재(130)를 구성하는 제2 원통형 몸체(131)의 하단에는 수나사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배럴 하우징(110)과 내벽부재(130)는 나사 결합 방식으로 손쉽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해져 내벽부재(130)만 분리한 후 세척하거나 또는 교환하여 신품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다.
내벽부재(130)는 배럴 하우징(110)의 중공부(117)와 동일 중심을 이루도록 배럴 하우징(110)의 상부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배럴부(100)에 투입된 주사기(S, 도 6 참조)는 내벽부재(130)의 투입공간(137)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내벽부재(130)는 제2 원통형 몸체(131), 외경확장부(133), 수나사부(136)를 포함한다.
제2 원통형 몸체(131)는 제1 원통형 몸체(111)의 상부에 나사 결합되는 원형 관 형상의 부재를 말한다. 따라서, 제2 원통형 몸체(131)는 제1 원통형 몸체(111)에서 손쉽게 분리 및 교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외경확장부(133)는 제2 원통형 몸체(131)의 상단에 구비되며 제1 원통형 몸체(111)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도록 확장 형성된 부위를 말한다.
다시 말해, 외경확장부(133)는 제2 원통형 몸체(131)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도록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 원통형 몸체(131)와는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한 외경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수나사부(136)는 제1 원통형 몸체(111)의 상단에 구비된 암나사부(116)와 나사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서로 대응하여 체결 및 해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내벽부재(130) 및 배럴 하우징(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럴부(100)의 내측으로 투입된 주사기(S)는 몸체부(S2)가 배럴부(100)에 관통 배치되며 바늘부(S1)만이 배럴부(100)의 하부를 관통하여 소정 길이 돌출된다(도 6 참조).
본체(200)는 제1 홈(211)을 갖는 상부 쉘(210)과, 제1 홈(211)에 대응하는 제2 홈(221)을 가지며 상부 쉘(210)에 결합되는 하부 쉘(220)을 포함하며, 이들 상, 하부 쉘(210, 220)이 상하로 결합되어 전체적인 외형을 이룬다.
또한 본체(200)는 구동부(270)를 포함한다. 구동부(270)는 상부 쉘(210)과 하부 쉘(220) 사이에 구비되며 제1, 2 홈(211, 221)을 통해 설치되는 배럴부(100)에 직결되어 배럴부(10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배럴부(100)는 주사기가 투입된 상태로 소정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본체(200)의 일측에는 개폐 가능한 배터리 커버(230)가 구비된다.
배터리 커버(230)를 개방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245)가 장착된 배터리 카트리지(240)의 삽입 연결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구동부(270) 는 배터리(245)에 의해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관용의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부(270)는 구동모터(271), 모터고정부(275), 및 직결부(273)를 포함한다.
구동모터(271)는 제1, 2 홈(211, 221, 도 3 참조)을 사이에 두고 배터리 카트리지(240)가 장착되는 위치의 반대편에 위치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부 쉘(210, 도 3 참조)과 하부 쉘(220, 도 3 참조) 사이에 내장될 수 있다.
모터고정부(275)는 구동모터(271)를 감싸 고정시키는 지지부재를 말한다. 예를 들어, 모터고정부(275)는 보다 안정적으로 구동모터(271)를 지지하도록 구동모터(271)의 둘레를 감싸는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직결부(273)는 구동모터(271)의 출력 축과 제1 연결부재(113)를 일직선상으로 직접 연결시키는 부재이다. 예를 들어, 직결부(273)는 축 연결 커넥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단일의 구동모터(271)의 출력 축이 직접 배럴부(100)에 직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동력전달에 의한 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되는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으며, 간단하면서도 구조적으로 견고한 형태를 제공함으로써 제품 신뢰성 및 내구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손상성 폐기물 용기(700)는 후술할 배럴부(100)의 회전 시 절단되는 바늘부의 분리 배출 시 바늘부를 보관하는 통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손상성 폐기물 용기(700)는 소정 용량에 따라 준비되며 후술할 연결판 하부몸체(400)가 결합되도록 상부 개구(723)를 구비한 용기 본체(710)와, 연결판 하부몸체(400)의 테두리 결합부(420)와 대응 결합하도록 상향돌기(721)를 구비한 상단 결합부(720)를 포함한다.
손상성 폐기물 용기(700)는 다양한 사용 환경에 맞게 적합한 용량 및 형상을 갖도록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반드시 도시된 형상에만 한정될 필요는 없다.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연결판
연결판(500)은 칼날모듈(300)과 연결판 하부몸체(400)를 포함한다.
칼날모듈(300)은 본체(200)의 하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착탈되며 배럴부(100)의 회전 시 바늘부(S1, 도 6 참조)를 절단하도록 절삭 날(34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칼날모듈(300)은 본체(200)의 하부에 착탈 결합된다. 따라서, 필요할 경우 칼날모듈(300)은 교환 및 세척이 가능한데, 바람직하게는 절삭 날(340)의 교체 주기마다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날모듈(300)에는 배럴부(100)의 회전 시 절삭 대상인 바늘부(S1, 도 6 참조)를 절단하는 절삭 날(34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칼날모듈(300)은 착탈 몸체(310), 곡면 홈(320), 호형 장공(330), 절삭 날(340)을 포함한다.
착탈 몸체(310)는 본체(200)의 하부에 마련된 착탈 홈을 통해 슬라이딩 착탈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곡면 홈(320)은 착탈 몸체(310)의 상부에 구비된다. 곡면 홈(320)은 배럴부(100)의 하단, 더 구체적으로는 배럴 하우징(110)의 하단에 마주하여 배럴부(1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곡면을 이루어 오목하게 형성된다.
호형 장공(330)은 곡면 홈(320)을 통해 배럴부(1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배럴부(100)에 투입된 주사기의 바늘부(S1, 도 6 참조)는 호형 장공(330)을 관통하여 아래로 돌출된다.
절삭 날(340)은 호형 장공(330)의 말단에 구비되어 바늘부(S1, 도 6 참조)를 절단한다. 다시 말해, 절삭 날(340)은 호형 장공(330)을 관통한 상태로 배럴부(10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바늘부(S1, 도 7 참조)를 절단한다.
절삭 날(340)은 호형 장공(330)의 말단에서 회전하는 바늘부(S1, 도 6 참조)를 가로막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절삭 날(340)은 호형 장공(330)에 90도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로막는 형상이 아니라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삭 날(340)이 호형 장공(33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둔각을 이루도록 비스듬히 배치됨에 따라 절삭 날(340)과 바늘부(S1, 도 6 참조)간의 접촉 길이가 증가되어 절삭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절삭 날(340)은 일단부가 타단부에 비해 높게 위치되어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절삭 날(340)과 절삭 대상인 바늘부(S1, 도 6 참조) 간의 접촉 길이가 증가되어 절삭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칼날모듈(300)은 착탈 몸체(310)의 하부에는 배출 개구(315, 도 7 참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배출 개구(315)는 절삭 날(340)에 의해 절단된 바늘부(S1, 도 7 참조)가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낙하하여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바늘부(S1, 도 11 참조)는 절단된 후 손상성 폐기물 용기(700, 도 8 참조)의 내부로 분리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칼날모듈(300)은 곡면 격벽(350, 도 6 참조)을 더 구비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곡면 격벽(350)은 절삭 날(340)의 후방에서 소정 길이로 상향 돌출되며, 일 측면은 상기 배럴부(100)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배럴부(100)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여 라운드 진 곡면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바늘부(S1, 도 8 참조)가 제거된 주사기의 몸체부(S2, 도 8 참조)는 곡면 격벽(350, 도 6 참조)을 통해 본체(200)를 오염시키지 않고서 바늘부(S1)와 다른 방향으로 안전하게 분리 배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곡면 격벽(350, 도 6 참조)은 바늘부(S1, 도 7 참조)의 절단 시 비산 혈액 등이 본체(200) 기기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여 본체(200)의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칼날모듈(300)은 곡면 격벽(350, 도 6 참조)의 상부에 연장된 연장부(360, 도 6 참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연장부(260)는 곡면 격벽(350)의 상부에서 배럴부(100)의 회전 중심에 대응하는 높이로 플레이트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다.
예컨대, 연장부(360)는 곡면 격벽(350)보다 더 높은 위치까지 돌출된 부위로서, 바람직하게는 배럴부(100) 의 회전 중심에 대응하는 높이로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연장부(260)는 곡면 격벽(350)보다 더 높은 위치로 연장 형성되어 바늘부(S1, 도 7 참조)의 절단 시 비산 혈액 등이 본체(200) 기기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여 본체(200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에 주사기를 투입한 상태와, 바늘부의 절단 및 분리 배출 상태와, 바늘부 및 주사기 몸체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리 배출되며, 바늘부가 손상성 폐기물 용기에 보관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 스위치(600, 도 5 참조)의 조작 또는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하여 주사기(S)가 배럴부(100)에 투입됨을 감지하여 구동부(270, 도 4 참조)가 배럴부(100)를 소정 방향(R, 도 7 참조)으로 회전시킨다. 배럴부(100)의 회전 각도는 90도 초과 180도 미만의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배럴부(100)가 최대한 회전한 경우(도 8 참조), 배럴부(100)에 남겨진 주사기 몸체부(S2)는 바늘부(S1)가 배출되는 제1 방향(즉, 손상성 폐기물 용기(700) 내부를 향한 방향)(W1)과 다른 제2 방향(W2)을 향해 분리 배출될 수 있다.
연결판 하부몸체(400)는 칼날모듈(300)이 분리 및 교환 가능하게 결합되며, 손상성 폐기물 용기(70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판상의 형태로 제공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연결판을 간략히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모듈(300)의 하단에는 슬라이딩 홈(390)이 구비된다.
그리고 연결판 하부몸체(400)에는 슬라이딩 홈(390)에 대응 결합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43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칼날모듈(300)과 연결판 하부몸체(400)는 상호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교환 주기에 따라 교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손상성 폐기물 용기(700, 도 1 참조)의 교환 주기와, 칼날모듈(300)의 교환 주기가 다를 수 있는데, 연결판 하부몸체(400)는 손상성 폐기물 용기와 함께 폐기 가능하며, 칼날모듈(300)은 이와 별도로 개별적인 교환 주기에 따라 교환할 수 있다.
그리고 환경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이루어진 손상성 폐기물 용기(700, 도 1 참조)에 대응하여 연결판 하부몸체(400)만을 교체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 확보가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연결판 하부몸체(400)는 손상성 폐기물 용기(700, 도 1 참조)의 개방된 상부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개방 홀(411)이 일측에 구비되는 커버 플레이트(4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연결판 하부몸체(400)는 커버 플레이트(410)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며 손상성 폐기물 용기(700, 도 1 참조)의 상단 결합부에 밀폐 결합되는 테두리 결합부(420)를 포함한다.
이때, 슬라이딩 가이드부(430)는 개방 홀(411)과 연통하여 커버 플레이트(41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방 홀(411)은 칼날모듈(300)의 하단(즉, 배출 개구(315)의 외장을 형성하며 슬라이딩 홈(390)이 마련된 하단)의 크기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가이드부(430)는 칼날모듈(300)의 하단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장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칼날모듈(300)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연결판 하부몸체(400)에 착탈 결합될 수 있다. 먼저 칼날모듈(300)을 개방 홀(411)을 향해 수직 하방으로 이동시킨 후 개방 홀(411)과 연통된 슬라이딩 가이드부(430)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칼날모듈(300)의 슬라이딩 홈(390)이 연결판 하부몸체(400)의 슬라이딩 가이드부(430)의 양측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칼날모듈(300)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한편, 연결판 하부몸체(400)는 수동 방식으로 주사기 및 링거 줄을 분리할 수 있는 홈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홈 형태가 이용될 수 있으며, 특정 홈 형상으로 제한하여 한정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연결판 하부몸체(400)는 여러 환경 및 조건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이루어진 손상성 폐기물 용기에 맞게 적절한 크기 및 형상으로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필요한 형태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연결판의 변형 예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연결판의 다양한 변형 예들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다양한 연결판(500)의 변형 예들을 보여준다.
도시된 연결판(500)은 손상성 폐기물 용기의 다양한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연결판 하부몸체(400)의 구조 및 형상이 조금씩 변경된 예이다. 따라서 칼날모듈(300)은 동일한 형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연결판 하부몸체(400)만이 손상성 폐기물 용기의 형태에 따라 조금씩 변형된 것들을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상성 폐기물 용기는 2L의 일반형, 5L의 대형, 원통형 등 다양한 사용 환경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준비될 수 있는데, 이에 대응하여 호환성 있게 연결판(500)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연결판 하부몸체(400A, 400B)는 2L의 일반형, 5L의 대형 손상성 폐기물 용기에 이용 가능한 형태이며, 도 13에 도시된 연결판 하부몸체(400C)는 원통형 손상성 폐기물 용기에 이용 가능한 형태로서, 칼날모듈(300)과 분리 및 교환 가능한 구조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연결판 하부몸체(400A)의 상부에는 칼날몸체(300)의 슬라이딩 결합 방향을 안내해주는 화살표 형상의 안내표시부(4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함께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수동으로 주사기와 링거 줄을 분리할 수 있는 홈(4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홈(450) 형상은 이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연결판 하부몸체(400C)의 하부에는 원통형 손상성 폐기물 용기로의 바늘부의 투입을 안내하는 원형의 바늘부 배출 공(4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410)의 형상은 도 11, 12에 도시된 커버 플레이트의 형상과 다른 형태로 변형된 것을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주사기를 절단하는 절삭 날을 내장하며, 본체의 하측으로 연결되는 칼날모듈과, 칼날모듈이 분리 및 교환 가능한 형태로 조립되며 손상성 폐기물 통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결합되는 연결판 하부몸체로 구성되는 연결판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칼날모듈과 연결판 하부몸체가 분리 및 교환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연결판을 이용함으로써, 주사기의 절단 시 비산되는 오염으로부터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손상성 폐기물 용기에 대응하여 연결판 하부몸체를 교환하는 것만으로도 호환성이 확보될 수 있다.
나아가, 투입구에 투입된 주사기가 회전함에 따라 바늘이 절단되며, 바늘은 손상성 폐기물 통으로 배출되고, 주사기 몸체는 일반 폐기물 통으로 분리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투입구 내벽은 나사산을 통해 쉽게 분리 및 체결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수명에 따른 교환이나 내부 오염에 따른 세척이 가능한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칼날모듈과 연결판 하부몸체가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손상성 폐기물 용기의 교환주기와 칼날모듈의 교환주기가 다를 경우에도 각각의 부품을 별도로 교환 가능한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연결판 하부몸체에는 수동으로 주사기 및 링거 줄을 분리할 수 있는 분리용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주사기 처리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어 작업 시간 단축 및 비용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S: 주사기
S1: 바늘부
S2: 몸체부
1000: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100: 배럴부
110: 배럴 하우징
111: 제1 원통형 몸체
113: 제1 연결부재
115: 제2 연결부재
116: 암나사부
117: 중공부
130: 내벽부재
131: 제2 원통형 몸체
133: 외경확장부
136: 수나사부
137: 투입공간
200: 본체
210: 상부 쉘
211: 제1 홈
220: 하부 쉘
221: 제2 홈
230: 배터리 커버
240: 배터리 카트리지
245: 배터리
270: 구동부
271: 구동모터
273: 직결부
275: 모터고정부
300: 칼날모듈
310: 착탈 몸체
311: 상향 돌기
315: 배출 개구
320: 곡면 홈
330: 호형 장공
340: 절삭 날
350: 곡면 격벽
360: 연장부
390: 슬라이딩 홈
400: 연결판 하부몸체
410: 커버 플레이트
411: 개방 홀
420: 테두리 결합부
430: 슬라이딩 가이드부
500: 연결판
600: 누름 스위치
700: 손상성 폐기물 용기(또는 손상성 폐기물 통)
710: 용기 본체
720: 상단 결합부
721: 상향돌기
723: 상단 개구

Claims (15)

  1. 주사기의 투입이 가능하며, 투입된 주사기의 바늘부가 하단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배럴부와,
    상부 쉘과, 상기 상부 쉘에 결합되는 하부 쉘과, 상기 상부 쉘과 하부 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배럴부에 직결되어 상기 배럴부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배럴부의 회전 시 절단되는 상기 바늘부를 분리 배출시켜 보관하는 손상성 폐기물 용기를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연결판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착탈되며 상기 배럴부의 회전 시 상기 바늘부를 절단하도록 절삭 날을 포함하는 칼날모듈; 및
    상기 칼날모듈이 분리 및 교환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절단된 바늘부가 분리 배출되는 손상성 폐기물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착탈 결합되는 판 형상의 연결판 하부몸체;
    를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연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모듈의 하단에는 슬라이딩 홈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판 하부몸체에는 상기 슬라이딩 홈에 대응 결합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칼날모듈과 상기 연결판 하부몸체는 상호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교환 주기에 따라 교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연결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 하부몸체는,
    상기 손상성 폐기물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개방 홀이 일측에 구비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손상성 폐기물 용기의 상단 결합부에 밀폐 결합되는 테두리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는 상기 개방 홀과 연통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방 홀은 상기 칼날모듈의 하단 크기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는 상기 칼날모듈의 하단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장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칼날모듈은 상기 개방 홀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개방 홀과 연통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딩 홈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의 양측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연결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 하부몸체는,
    상기 손상성 폐기물 용기의 다양한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여 교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연결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모듈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된 착탈 홈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는 착탈 몸체;
    상기 착탈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럴부의 하단에 마주하여 상기 배럴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곡면을 이루어 오목하게 형성된 곡면 홈;
    상기 곡면 홈을 통해 상기 배럴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배럴부에 투입된 주사기의 바늘부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호형 장공; 및
    상기 호형 장공의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호형 장공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배럴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바늘부를 절단하는 절삭 날;
    을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연결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모듈은,
    상기 절삭 날에 의해 절단된 상기 바늘부를 자중에 의해 상기 손상성 폐기물 통의 내부로 하향 배출시키는 배출 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연결판.
  7. 주사기의 투입이 가능하며, 투입된 주사기의 바늘부가 하단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배럴부;
    상부 쉘과, 상기 상부 쉘에 결합되는 하부 쉘과, 상기 상부 쉘과 하부 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배럴부에 직결되어 상기 배럴부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배럴부의 회전 시 절단되는 상기 바늘부를 분리 배출시켜 보관하는 손상성 폐기물 용기;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착탈되며 상기 배럴부의 회전 시 상기 바늘부를 절단하도록 절삭 날을 포함하는 칼날모듈과, 상기 칼날모듈이 분리 및 교환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절단된 바늘부가 분리 배출되는 손상성 폐기물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착탈 결합되는 판 형상의 연결판 하부몸체를 포함하는 연결판;
    을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부는,
    상기 본체에 양측이 연결되되 일측이 상기 구동부에 직결되어 소정 각도로 회전하는 배럴 하우징; 및
    상기 배럴 하우징의 상부에 나사 결합되며, 투입된 주사기를 내측 투입공간에 수용하는 내벽부재;
    를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 하우징은,
    상기 내벽부재가 삽입 가능한 제1 원통형 몸체;
    상기 제1 원통형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배럴부의 회전 중심을 따라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출력 축과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원통형 몸체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제1 연결부재의 반대 방향을 향해 상기 배럴부의 회전 중심을 따라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부재는,
    상기 제1 원통형 몸체의 상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며, 교환 및 세척을 위해 상기 제1 원통형 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제2 원통형 몸체; 및
    상기 제2 원통형 몸체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원통형 몸체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도록 확장 형성된 외경확장부;
    를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상부 쉘과 상기 하부 쉘 사이에 내장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를 감싸 고정시키는 모터고정부; 및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 축과 상기 제1 연결부재를 일직선상으로 직결시키는 직결부;
    를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상기 배럴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각도는 90도 초과 180도 미만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며,
    상기 배럴부가 최대 회전 각도로 회전할 때 상기 배럴부에 남겨진 상기 주사기 본체는 상기 바늘부가 배출되는 제1 방향과 서로 다른 제2 방향으로 분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모듈의 하단에는 슬라이딩 홈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판 하부몸체에는 상기 슬라이딩 홈에 대응 결합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칼날모듈과 상기 연결판 하부몸체는 상호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교환 주기에 따라 교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 하부몸체는,
    상기 손상성 폐기물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개방 홀이 일측에 구비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손상성 폐기물 용기의 상단 결합부에 밀폐 결합되는 테두리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는 상기 개방 홀과 연통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방 홀은 상기 칼날모듈의 하단 크기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는 상기 칼날모듈의 하단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장공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모듈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된 착탈 홈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는 착탈 몸체;
    상기 착탈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럴부의 하단에 마주하여 상기 배럴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곡면을 이루어 오목하게 형성된 곡면 홈;
    상기 곡면 홈을 통해 상기 배럴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배럴부에 투입된 주사기의 바늘부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호형 장공; 및
    상기 호형 장공의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호형 장공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배럴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바늘부를 절단하는 절삭 날;
    을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KR1020190100975A 2019-08-19 2019-08-19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연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KR102324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975A KR102324167B1 (ko) 2019-08-19 2019-08-19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연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PCT/KR2019/011922 WO2021033825A1 (ko) 2019-08-19 2019-09-16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연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975A KR102324167B1 (ko) 2019-08-19 2019-08-19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연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718A true KR20210021718A (ko) 2021-03-02
KR102324167B1 KR102324167B1 (ko) 2021-11-10

Family

ID=74660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975A KR102324167B1 (ko) 2019-08-19 2019-08-19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연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24167B1 (ko)
WO (1) WO20210338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324B1 (ko) * 2022-04-25 2022-07-22 김종성 분리 배출기능을 갖는 주사기 절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26026A (zh) * 2021-10-20 2022-01-14 扬州大学 一种智能锐器盒
CN114366947B (zh) * 2022-03-04 2023-10-03 天津市胸科医院 一种输液器安全回收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20279A2 (en) * 2010-08-19 2012-02-22 Danderyds Snickeri AB Cannula needle remover
KR101417752B1 (ko) * 2013-12-16 2014-07-14 마이다스시스템주식회사 주사기의 니들 자동 분리수거기
KR101893575B1 (ko) * 2018-02-05 2018-08-30 주식회사 뮨 주사기 바늘 제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1437A (en) * 1983-10-24 1985-07-30 Rubbermaid Commercial Products Inc. Rotary needle and syringe destructor
KR200472067Y1 (ko) * 2012-01-27 2014-04-04 김광옥 주사바늘 자동처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20279A2 (en) * 2010-08-19 2012-02-22 Danderyds Snickeri AB Cannula needle remover
KR101417752B1 (ko) * 2013-12-16 2014-07-14 마이다스시스템주식회사 주사기의 니들 자동 분리수거기
KR101893575B1 (ko) * 2018-02-05 2018-08-30 주식회사 뮨 주사기 바늘 제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324B1 (ko) * 2022-04-25 2022-07-22 김종성 분리 배출기능을 갖는 주사기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33825A1 (ko) 2021-02-25
KR102324167B1 (ko) 202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964B1 (ko)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KR102324167B1 (ko)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연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EP3505033B1 (en) Vacuum cleaner
KR101893574B1 (ko) 주사기 바늘 제거 장치
US20130299032A1 (en) Self-cleaning Suction Device
CN107485765A (zh) 一种医疗临床使用便携式针头回收器
JP4813140B2 (ja) 試料調製容器および試料調製キット
CN111655104B (zh) 清洁器
CN207158857U (zh) 漂浮给药器
KR101893575B1 (ko) 주사기 바늘 제거 장치
KR101893573B1 (ko) 주사기 바늘 제거 장치
KR102143483B1 (ko)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KR102268464B1 (ko) 전기 청소기
KR102119020B1 (ko)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분리판
CN210410226U (zh) 一种可快速更换过滤膜的多功能过滤桶
KR102143485B1 (ko)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KR102056002B1 (ko) 포터블 니들 자동 분리기
KR102119013B1 (ko)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CN216038588U (zh) 一种适用于安瓿瓶的开瓶装置
CN110407427A (zh) 一种粪污固液分离机
EP4226832A1 (en) Cleaner station
CN211224906U (zh) 收纳容器及医用利器收纳装置
JP5012205B2 (ja) 飲料抽出装置
TW201827091A (zh) 用於藥物輸送裝置的廢棄物容器、和用於在廢棄物容器內處理的藥物輸送裝置
CN210750290U (zh) 一种自动配药配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