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0142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0142A
KR20210020142A KR1020217001422A KR20217001422A KR20210020142A KR 20210020142 A KR20210020142 A KR 20210020142A KR 1020217001422 A KR1020217001422 A KR 1020217001422A KR 20217001422 A KR20217001422 A KR 20217001422A KR 20210020142 A KR20210020142 A KR 20210020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main hull
ship
hull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1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4031B1 (ko
Inventor
신겐 다케다
야스히코 히나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20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1/125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more than two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16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 B63B1/2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foi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Jib Cranes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선박 (1C) 은, 주선체 (11C) 와, 주선체 (11C) 를 추진시키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 기구와, 주선체 (11C) 에 고정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트럿 (73), (75), 및 스트럿 (73), (75) 의 하부에 형성된 날개체 (74), (76) 를 갖는 수중 날개 기구 (70) 와, 주선체 (11C) 및 수중 날개 기구 (70) 와는 독립적으로 형성된 플로트 (15C) 와, 플로트 (15C) 와 주선체 (11C) 를 접속시킴과 함께, 주선체 (11C) 에 대하여 플로트 (15C) 를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 (50C) 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선박
이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8년 7월 20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8-137047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특허문헌 1 에는, 선체와, 선체의 양측에 형성되고 선체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된 플로트를 구비하는 선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선박은, 플로트의 하방에, 지지 로드와, 지지 로드의 하단에 형성된 핀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선박은, 플로트를 승강시킴으로써, 선체의 수면에 대한 높이 위치를, 선박의 정지시 혹은 항행시 내내 항상 일정하게 유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 선박은, 핀의 경동량을 조정함으로써, 항행 중의 선체의 부력 그리고 선체의 동요에 대한 미조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133893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서는, 플로트의 하방에 지지 로드 및 핀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심이 얕은 경우에 선체의 흘수를 얕게 하기 위해, 플로트의 수중으로의 침하량을 증대시키면, 플로트의 하방에 형성된 핀이 수저 (水底) 에 간섭하는 경우가 있다.
또, 특허문헌 1 의 선박은, 선체에 대하여 승강 가능한 플로트에 지지 로드 및 핀을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핀의 경동량 등을 조정하기 위한 유압 계통이나 전기 계통을 선체와 플로트 사이에 형성할 필요가 있다. 플로트는, 선체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유압 계통이나 전기 계통은, 플로트의 승강 동작에 대응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유압 계통이나 전기 계통의 구조가 복잡해진다.
이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수심이 얕은 경우에도 항행에 지장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구조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이 발명의 제 1 양태에 의하면, 선박은, 주 (主) 선체와, 상기 주선체를 추진시키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 기구와, 상기 주선체에 고정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된 날개체를 갖는 수중 날개 기구와, 상기 주선체 및 상기 수중 날개 기구와는 독립적으로 형성된 플로트와, 상기 플로트와 상기 주선체를 접속시킴과 함께, 상기 주선체에 대하여 상기 플로트를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한다.
이 제 1 양태에서는, 이동 기구에 의해, 주선체에 대하여 플로트를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 플로트의 수면하로의 침하량을 변화시키면, 주선체의 흘수가 변화한다. 주선체에 대하여 플로트를 내려, 플로트의 수면하로의 침하량을 증대시키면, 플로트에서 발생하는 부력이 증대되어, 주선체의 흘수가 얕아진다. 이로써, 수심이 얕은 수역에서도, 선박의 저부의 일부가 수저에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플로트를 주선체에 대하여 상하동시킴으로써, 주선체의 흘수를 안벽에 대하여 조정하여, 선박으로의 승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도 있다.
또, 수중 날개 기구는, 주선체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주선체에 대하여 플로트를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면, 수중 날개 기구는 주선체와 함께 상하동한다. 따라서, 수심이 얕은 수역에서 주선체에 대하여 플로트를 내려도, 수중 날개 기구가 수저에 간섭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수중 날개 기구는, 플로트와 함께 주선체에 대하여 상하동시킬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수중 날개 기구에 유압 계통이나 전기 계통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구조가 복잡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제 2 양태에 의하면, 제 1 양태에 관련된 날개체는, 수면하에 잠겨 형성되고, 상기 추진 기구에서 발생하는 추진력에 의한 항행시에 상기 주선체를 부상시키는 양력을 발생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추진 기구에서 발생하는 추진력에 의해 항행을 실시하면, 날개체에서 발생하는 양력에 의해, 주선체가 부상하여, 주선체에 의한 물의 저항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박에 있어서, 수심이 얕은 수역에서 주선체에 대하여 플로트를 하강시킴으로써, 주선체 및 수중 날개 기구가 수저에 간섭하는 것을 유효하게 억제한다.
이 발명의 제 3 양태에 의하면, 제 2 양태에 관련된 선박에 있어서, 상기 날개체가 상기 주선체를 부상시키는 상기 양력을 발생시키고 있을 때,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플로트를 수면보다 상방에 위치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항행시에 날개체에서 발생하는 양력에 의해 주선체가 부상하고 있을 때, 플로트를 수면보다 상방에 위치시키면, 선박은, 이른바 수중익선이 된다. 이로써, 항행시에 있어서의 주선체 및 플로트에 의한 물의 저항이 작아져, 보다 고속도로 흔들림이 적은 쾌적한 항행을 실시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제 4 양태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관련된 선박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는 배수량을 갖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플로트가 배수량을 가짐으로써, 주선체의 배수량을 억제하고, 주선체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선박에 의하면, 수심이 얕은 경우에도 항행에 지장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구조의 간이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이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상기 선박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을 선수측에서 본 전면도 (前面圖) 이다.
도 3 은, 상기 선박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에 있어서, 플로트를 내려 주선체부의 흘수를 얕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 는, 상기 선박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에 있어서, 플로트를 내려 주선체부의 흘수를 얕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5 는, 상기 선박의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선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6 은, 상기 선박의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선박에 있어서, 플로트를 내려 주선체부의 흘수를 얕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7 은, 이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 은, 상기 선박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을 선수측에서 본 전면도이다.
도 9 는, 상기 선박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에 있어서, 플로트를 올려 주선체부의 흘수를 깊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10 은, 상기 선박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에 있어서, 플로트를 내려 주선체부의 흘수를 얕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이하, 이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을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이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상기 선박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을 선수측에서 본 전면도이다. 도 3 은, 상기 선박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에 있어서, 플로트를 내려 주선체부의 흘수를 얕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 는, 상기 선박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에 있어서, 플로트를 내려 주선체부의 흘수를 얕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선박 (1A) 은, 선체 (10A) 와, 추진 기구 (20) 와, 수중 날개 기구 (30) 와, 이동 기구 (50A) 를 구비하고 있다.
선체 (10A) 는, 주선체 (11A) 와, 플로트 (15A) 를 구비하고 있다.
주선체 (11A) 는, 선체 본체 (12) 와, 주동부 (主胴部) (13) 를 갖는다. 선체 본체 (12) 는, 선폭 방향 양측에 1 쌍의 현측 (舷側) (12s) 을 갖는다. 선체 본체 (12) 는, 그 상부에 상부 구조 (12t) 를 구비한다. 주동부 (13) 는, 선체 본체 (12) 의 선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주동부 (13) 는, 선체 본체 (12) 의 하면 (12b) 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주동부 (13) 는, 주선체 (11A) 의 선수미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다.
플로트 (15A) 는, 선체 본체 (12) 의 선폭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플로트 (15A) 는, 주동부 (13) 에 대하여, 선폭 방향 양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각 플로트 (15A) 는, 선체 본체 (12) 의 하면 (12b) 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플로트 (15A) 는, 주선체 (11A) 의 선수미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다. 각 플로트 (15A) 는, 주선체 (11A) 및 수중 날개 기구 (30) 와는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로트 (15A) 는, 중공 구조로서, 배수량을 갖고 있다. 즉, 플로트 (15A) 는, 선체 (10A) 의 총 배수량의 일부를 담당하고 있다. 이와 같은 플로트 (15A) 는, 예를 들어, FRP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된다. 플로트 (15A) 는, 후술하는 이동 기구 (50A) 에 의해, 주선체 (11A) 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다.
이 실시형태에서 예시하는 선체 (10A) 는, 선폭 방향 중앙부의 주동부 (13) 와, 선폭 방향 양측의 플로트 (15A) 를 구비함으로써 3 동선 (胴船) (다동선) 을 구성하고 있다.
추진 기구 (20) 는, 주선체 (11A) 를 추진시키는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추진 기구 (20) 는, 예를 들어, 스크루 (21) 를 구비한다. 스크루 (21) 는, 주동부 (13) 의 선미부 (13A) 의 선저 (13b) 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다. 스크루 (21) 는, 스크루 축 (22) 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스크루 축 (22) 은, 주동부 (13) 내에 형성된 주기 (主機) (도시 없음) 에 접속되어 있다. 주기 (도시 없음) 는, 스크루 축 (22) 및 스크루 (21) 를 그 중심축 둘레로 회전 구동시킨다. 추진 기구 (20) 는, 스크루 (21) 를 회전시킴으로써, 주선체 (11A) (선체 (10A)) 의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수중 날개 기구 (30) 는, 주선체 (11A) 에 형성되어 있다. 수중 날개 기구 (30) 는, 예를 들어, 주동부 (13) 의 선수부 (13C) 의 선저 (13d) 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다. 수중 날개 기구 (30) 는, 스트럿 (지지부) (31) 과, 날개체 (32) 를 구비하고 있다. 스트럿 (31) 은, 주선체 (11A) 에 고정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트럿 (31) 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 둘레로 회동 (回動)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날개체 (32) 는, 스트럿 (31) 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날개체 (32) 는, 스트럿 (31) 에 형성된 피벗 (도시 없음) 둘레로, 경사 각도가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중 날개 기구 (30) 는, 날개체 (32) 의 방향이나 경사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선체 (10A) 의 자세를 조정한다.
이동 기구 (50A) 는, 각 플로트 (15A) 와 주선체 (11A) 를 접속시키고 있다. 도 3,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기구 (50A) 는, 각 플로트 (15A) 를 주선체 (11A) 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킨다. 이동 기구 (50A) 는, 예를 들어, 가이드 부재 (도시 없음) 와, 유압 실린더 (51) 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 (도시 없음) 는, 플로트 (15A) 를 주선체 (11A) 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안내한다. 유압 실린더 (51) 는, 예를 들어, 각 플로트 (15A) 에 있어서, 선수미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 개 지점에 형성된다. 각 유압 실린더 (51) 의 기단부는, 선체 본체 (12) 의 선폭 방향 양측의 하면 (12b) 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 (51) 의 하단은, 플로트 (15A) 의 상면에 연결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 (51) 는, 유압에 의해, 하방을 향하여 신축 구동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 (51) 를 수축시킨 상태에서는, 유압 실린더 (51) 는, 선체 본체 (12) 또는 플로트 (15A)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3,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유압 실린더 (51) 를 수축된 상태로부터 신장시키면, 플로트 (15A) 가 가이드 레일 (도시 없음) 에 안내되어, 주선체 (11A) (주동부 (13)) 에 대하여 이간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유압 실린더 (51) 를 신장된 상태로부터 수축시키면, 플로트 (15A) 가 주선체 (11A) (주동부 (13)) 에 대하여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유압 실린더 (51) 가 가장 수축된 상태에서, 플로트 (15A) 의 저면 (15b) 의 하단은, 주선체 (11A) 의 저면 (11b) 의 하단과 동등한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유압 실린더 (51) 가 가장 신장된 상태에서, 플로트 (15A) 는, 주선체 (11A) 의 저면 (11b) 의 하단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선박 (1A) 은, 통상 항행시, 이동 기구 (50A) 의 유압 실린더 (51) 를 수축시켜, 각 플로트 (15A) 를, 주선체 (11A) 의 선체 본체 (12) 의 하면 (12b) 에 접근 또는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한다. 이로써, 통상 항행시의 선박 (1A) 은, 주동부 (13) 와 그 선폭 방향 양측의 플로트 (15A) 가 착수 (着水) 하여, 안정적으로 항행할 수 있다.
또, 선박 (1A) 은, 수심이 얕은 경우 등에, 이동 기구 (50A) 의 유압 실린더 (51) 를 신장시켜, 각 플로트 (15A) 를, 주선체 (11A) 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간되도록 상대 이동시킨다. 그러면, 선폭 방향 양측의 플로트 (15A) 는, 수면 (Wf) 하로의 침하량이 증대된다. 이로써, 플로트 (15A) 에서 발생하는 부력이 커진다. 그 결과, 주선체 (11A) 가 수면 (Wf) 에 대하여 상승하여, 주선체 (11A) 의 흘수가 얕아진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의 선박 (1A) 에 의하면, 이동 기구 (50A) 에 의해, 주선체 (11A) 에 대하여 플로트 (15A) 가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로써, 이동 기구 (50A) 에 의해 플로트 (15A) 의 수면하로의 침하량을 변화시켜, 주선체 (11A) 의 흘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주선체 (11A) 에 대하여 플로트 (15A) 를 내리면, 플로트 (15A) 에서 발생하는 부력이 증대되어, 주선체 (11A) 의 흘수가 얕아진다. 이로써, 수심이 얕은 수역에서의 항행시나, 항만으로의 입항시, 독으로의 입거 (入渠) 시 등에, 선박 (1A) 의 일부가 수저 (Wb) 에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독으로의 입거시, 주동부 (13) 의 저면이나 스크루 (21) 등을 수면 (Wf) 보다 상방으로 올려,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트 (15A) 를 주선체 (11A) 에 대하여 상하동시킴으로써, 주선체 (11A) 의 건현 (乾舷) (수면상 높이) 을 안벽 (100) 에 대하여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선박 (1A) 으로의 승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도 있다.
또, 수중 날개 기구 (30) 는, 주선체 (11A) 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주선체 (11A) 에 대하여 플로트 (15A) 를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면, 수중 날개 기구 (30) 는 주선체 (11A) 와 함께 상하동한다. 따라서, 주선체 (11A) 에 대하여 플로트 (15A) 를 내려, 플로트 (15A) 의 수면 (Wf) 하로의 침하량을 크게 하더라도, 수중 날개 기구 (30) 가 수저 (Wb) 에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중 날개 기구 (30) 를 플로트 (15A) 와 함께 주선체 (11A) 에 대하여 상하동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수중 날개 기구 (30) 에 날개체 (32) 의 방향이나 경사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유압 계통이나 전기 계통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구조가 복잡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박 (1A) 에서는, 수심이 얕은 경우에도 항행에 지장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구조의 간이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플로트 (15A) 가 배수량을 가짐으로써, 주선체 (11A) 의 배수량을 억제하고, 주선체 (11A) 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플로트 (15A) 를 주선체 (11A) 에 대하여 내리는 것을, 미리 정해진 항행 속도 이하로 실시하도록 하면, 플로트 (15A) 나, 플로트 (15A) 를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 등을, 예를 들어 FRP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선박 (1A) 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선박 (1A) 을, 주동부 (13) 와, 그 폭 방향 양측의 플로트 (15A) 에 의해, 다동선으로 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 발명에 관련된 선박은, 다동선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 는, 상기 선박의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선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6 은, 상기 선박의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선박에 있어서, 플로트를 내려 주선체부의 흘수를 얕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5,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선박 (1B) 의 선체 (10B) 는, 주선체 (11B) 와, 플로트 (15B) 를 구비하고 있다.
주선체 (11B) 는, 선폭 방향 양측의 선저에, 플로트 (15B) 가 수용되는 오목부 (14) 를 구비하고 있다.
플로트 (15B) 는, 주선체 (11B) 의 선폭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플로트 (15B) 는, 오목부 (14) 에 수용된 상태에서, 주선체 (11B) 의 저면 (11f) 에 연속되는 저면 (15f) 을 갖는다.
플로트 (15B) 는, 유압 실린더 (52) (도 6 참조)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동 기구 (50B) 에 의해, 주선체 (11B) 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 (52) 가 수축된 상태에서, 플로트 (15B) 는 오목부 (14) 에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 플로트 (15B) 의 저면 (15f) 은, 주선체 (11B) 의 저면 (11f) 과 연속되어, 단동선을 구성하는 선체 (10B) 의 선저면 (10b) 을 형성한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트 (15B) 는, 유압 실린더 (52) 가 신장된 상태에서, 주선체 (11B) 의 저면 (11f) 보다 하방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은 선박 (1B) 은, 통상 항행시, 이동 기구 (50B) 의 유압 실린더 (52) 를 수축시켜, 각 플로트 (15B) 를 주선체 (11B) 의 오목부 (14) 에 수용한다.
또, 선박 (1B) 은, 수심이 얕은 경우 등에, 이동 기구 (50B) 의 유압 실린더 (52) 를 신장시켜, 각 플로트 (15B) 를 주선체 (11B) 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켜, 하방으로 돌출시킨다. 그러면, 선폭 방향 양측의 플로트 (15B) 는, 수면 (Wf) 하로의 침하량이 증대된다. 이로써, 플로트 (15B) 에서 발생하는 부력이 커진다. 그 결과, 주선체 (11B) 가 수면 (Wf) 에 대하여 상승하여, 주선체 (11B) 의 흘수가 얕아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주선체 (11B) 에 대하여 플로트 (15B) 를 내려, 주선체 (11B) 의 흘수를 얕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수심이 얕은 수역에서의 항행시나, 항만으로의 입항시, 독으로의 입거시 등에, 선박 (1B) 의 일부가 수저 (Wb) 에 간섭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독으로의 입거시, 주선체 (11B) 의 저면 (11f) 등을 상방으로 올려,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플로트 (15B) 를 주선체 (11B) 에 대하여 상하동시킴으로써, 주선체 (11B) 의 흘수를 안벽 (100) 에 대하여 조정하여, 선박 (1B) 으로의 승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선박 (1B) 에서는, 수심이 얕은 경우에도 항행에 지장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구조의 간이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이 발명에 관련된 선박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선박 (1C) 은, 수중익선이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함과 함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은, 이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 은, 상기 선박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을 선수측에서 본 전면도이다. 도 9 는, 상기 선박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에 있어서, 플로트를 올려 주선체부의 흘수를 깊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10 은, 상기 선박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에 있어서, 플로트를 내려 주선체부의 흘수를 얕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7,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 (1C) 은, 선체 (10C) 와, 추진 기구 (60) 와, 수중 날개 기구 (70) 와, 이동 기구 (50C) (도 10 참조) 를 구비하고 있다.
선체 (10C) 는, 주선체 (11C) 와, 플로트 (15C) 를 구비하고 있다.
주선체 (11C) 는, 선체 본체 (17) 와, 주동부 (18) 를 갖는다. 선체 본체 (17) 는, 선폭 방향 양측에 1 쌍의 현측 (17s) 을 갖는다. 주동부 (18) 는, 선체 본체 (17) 의 선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주동부 (18) 는, 선체 본체 (17) 의 하면 (17b) 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주동부 (18) 는, 주선체 (11C) 의 선수미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다.
플로트 (15C) 는, 선체 본체 (17) 의 선폭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플로트 (15C) 는, 주동부 (18) 에 대하여, 선폭 방향 양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각 플로트 (15C) 는, 선체 본체 (17) 의 하면 (17b) 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플로트 (15C) 는, 주선체 (11C) 의 선수미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다. 각 플로트 (15C) 는, 주선체 (11C) 및 수중 날개 기구 (70) 와는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플로트 (15C) 는, 예를 들어, FRP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플로트 (15C) 는, 중공 구조로서, 배수량을 갖고 있다. 즉, 플로트 (15C) 는, 선체 (10C) 의 배수량의 일부를 형성한다. 플로트 (15C) 는, 후술하는 이동 기구 (50C) 에 의해, 주선체 (11C) 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다.
선체 (10C) 는, 선폭 방향 중앙부의 주동부 (18) 와, 선폭 방향 양측의 플로트 (15C) 를 구비하여, 3 동선 (다동선) 을 구성하고 있다.
추진 기구 (60) 는, 주선체 (11C) (선체 (10C)) 를 추진시키는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추진 기구 (60) 는, 예를 들어, 워터 제트 (61) 를 구비하고 있다. 워터 제트 (61) 는, 주동부 (18) 의 선미부 (18C) 에 형성되어 있다. 워터 제트 (61) 는, 엔진 (도시 없음) 에 의해 구동되는 분사 노즐을 갖는다. 워터 제트 (61) 는,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구동되는 엔진에 의해, 후술하는 후부 수중 날개 (72) 에 형성된 흡입구로부터 흡입한 물을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시킨다. 추진 기구 (60) 는, 물을 분사 노즐로부터 후방으로 분사함으로써, 선체 (10C) 를 고속으로 추진시킨다.
수중 날개 기구 (70) 는, 주선체 (11C) 에 형성되어 있다. 수중 날개 기구 (70) 는, 전부 수중 날개 (71) 와, 후부 수중 날개 (72) 를 구비하고 있다.
전부 수중 날개 (71) 는, 주선체 (11C) 의 선수부 (11a) 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다. 전부 수중 날개 (71) 는, 스트럿 (지지부) (73) 과, 날개체 (74) 를 구비하고 있다. 스트럿 (73) 은,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스트럿 (73) 의 상단은, 주선체 (11C) 에 고정되어 있다. 날개체 (74) 는, 스트럿 (73) 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날개체 (74) 는, 수면 (Wf) 하에 잠겨 형성되고, 추진 기구 (60) 에서 발생하는 추진력에 의한 항행시에 주선체 (11C) 를 부상시키는 양력을 발생시킨다.
후부 수중 날개 (72) 는, 주선체 (11C) 의 선미부 (11r) 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다. 후부 수중 날개 (72) 는, 스트럿 (지지부) (75) 과, 날개체 (76) 를 구비하고 있다. 스트럿 (75) 은, 상단이 주선체 (11C) 에 고정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날개체 (76) 는, 스트럿 (75) 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날개체 (76) 는, 전부 수중 날개 (71) 의 날개체 (74) 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선폭 방향으로 2 배 이상의 길이를 갖고 있다. 날개체 (76) 는, 수면 (Wf) 하에 잠겨 형성되고, 추진 기구 (60) 에서 발생하는 추진력에 의한 항행시에 주선체 (11C) 를 부상시키는 양력을 발생시킨다.
도 9,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기구 (50C) (도 10 참조) 는, 각 플로트 (15C) 와 주선체 (11C) 를 접속시키고 있다. 이동 기구 (50C) 는, 각 플로트 (15C) 를 주선체 (11C) 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킨다. 이동 기구 (50C) 는,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 (53) 를 구비하고 있다. 유압 실린더 (53) 는, 예를 들어, 각 플로트 (15C) 에 있어서, 선수미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 개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각 유압 실린더 (53) 의 기단부는, 선체 본체 (17) 의 선폭 방향 양측의 하면 (17b) 에 고정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 (53) 의 하단은, 플로트 (15C) 의 상면에 연결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 (53) 는, 유압에 의해, 하방을 향하여 신축 구동된다.
도 8,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 (53) 는, 유압 실린더 (53) 를 가장 수축시킨 상태일 때, 선체 본체 (17) 또는 플로트 (15C) 내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유압 실린더 (53) 가 하방을 향하여 신장되면, 플로트 (15C) 가 주선체 (11C) (주동부 (18)) 에 대하여 이간되도록 하방으로 상대 이동한다. 각 유압 실린더 (53) 를 수축시키면, 플로트 (15C) 가 주선체 (11C) (주동부 (18)) 에 대하여 접근하도록 상방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압 실린더 (53) 가 가장 수축된 상태에서, 플로트 (15C) 의 저면 (15b) 의 하단은, 주선체 (11C) 의 저면 (11b) 의 하단과 동등한 높이에 위치한다. 또, 유압 실린더 (53) 가 가장 신장된 상태에서는, 플로트 (15C) 는, 주선체 (11C) 의 저면 (11b) 보다 하방으로 돌출된다.
이들 플로트 (15C) 는, 날개체 (76) 의 선폭 방향 양 단부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플로트 (15C) 는, 후부 수중 날개 (72) 의 날개체 (76) 와 선체 본체 (12) 의 선폭 방향 양 단부 사이에서 상하동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선박 (1C) 은, 저속으로의 항행시, 이동 기구 (50C) 의 유압 실린더 (53) (도 10 참조) 를 수축시켜, 각 플로트 (15C) 를, 주선체 (11C) 의 선체 본체 (17) 의 하면 (17b) 에 접근 또는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한다. 이로써, 통상 항행시의 선박 (1C) 은, 주동부 (18) 와 그 선폭 방향 양측의 플로트 (15C) 가 착수하여, 안정적으로 항행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도 7,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박 (1C) 은, 추진 기구 (60) 에서 발생하는 추진력에 의한 고속으로의 항행시, 수중에 잠긴 수중 날개 기구 (70) 의 날개체 (74, 76) 가 발생시키는 양력에 의해, 주선체 (11C) 가 수면 (Wf) 상으로 부상한다. 이 상태에서, 이동 기구 (50C) 의 유압 실린더 (53) 는, 플로트 (15C) 를 주선체 (11C) 에 접근시켜, 플로트 (15C) 를 수면 (Wf) 보다 상방에 위치시킨다. 이로써, 선체 (10C) 가 수면 (Wf) 과 간섭하는 것이 억제되어, 파도의 영향을 받는 것을 억제하면서, 고속으로 쾌적한 항행을 실시할 수 있다.
또,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박 (1C) 은, 수심이 얕은 경우 등에, 이동 기구 (50C) 의 유압 실린더 (53) 를 신장시켜, 각 플로트 (15C) 를 주선체 (11C) 에 대하여 하방으로 상대 이동시킨다. 그러면, 선폭 방향 양측의 플로트 (15C) 는, 수면 (Wf) 하로의 침하량이 증대된다. 이로써, 플로트 (15C) 에서 발생하는 부력이 커진다. 그 결과, 주선체 (11C) 가 수면 (Wf) 에 대하여 상승하여, 주선체 (11C) 의 흘수가 얕아진다.
이 상태에서, 추진 기구 (60) 의 워터 제트 (61) 가 물을 빨아 올릴 수 없게 되는 경우에는, 워터 제트 (61) 에 인입식 스러스터를 장비해도 된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제 2 실시형태의 선박 (1C) 에 의하면, 이동 기구 (50C) 에 의해, 주선체 (11C) 에 대하여 플로트 (15C) 가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로써, 이동 기구 (50C) 에 의해 플로트 (15C) 의 수면하로의 침하량을 변화시키면, 주선체 (11C) 의 흘수가 변화한다. 주선체 (11C) 에 대하여 플로트 (15C) 를 내리면, 플로트 (15C) 에서 발생하는 부력이 증대되어, 주선체 (11C) 의 흘수가 얕아진다. 이로써, 수심이 얕은 수역에서의 항행시나, 항만으로의 입항시, 독으로의 입거시 등에, 선박 (1C) 의 일부가 수저 (Wb) 에 간섭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독으로의 입거시, 주동부 (18) 의 저면이나 워터 제트 (61) 등을 수면 (Wf) 보다 상방으로 올려,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트 (15C) 를 주선체 (11C) 에 대하여 상하동시킴으로써, 주선체 (11C) 의 건현 (수면상 높이) 을 안벽 (100) 에 대하여 조정하여, 선박 (1C) 으로의 승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도 있다.
이 제 2 실시형태의 수중 날개 기구 (70) 는, 주선체 (11C) 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주선체 (11C) 에 대하여 플로트 (15C) 를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면, 수중 날개 기구 (70) 는 주선체 (11C) 와 함께 상하동한다.
따라서, 주선체 (11C) 에 대하여 플로트 (15C) 를 내려, 플로트 (15C) 의 수면하로의 침하량을 크게 하더라도, 수중 날개 기구 (70) 가 수저 (Wb) 에 간섭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수중 날개 기구 (70) 를 플로트 (15C) 와 함께 주선체 (11C) 에 대하여 상하동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수중 날개 기구 (70) 에 날개체 (32) 의 방향이나 경사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유압 계통이나 전기 계통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구조가 복잡화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선박 (1C) 에서는, 수심이 얕은 경우에도 항행에 지장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구조의 간이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추진 기구 (60) 에서 발생하는 추진력에 의해 항행을 실시하면, 날개체 (74, 76) 에서 발생하는 양력에 의해, 주선체 (11C) 가 부상하여, 주선체 (11C) 에 의한 물의 저항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박 (1C) 에서는, 수심이 얕은 수역에서, 주선체 (11C) 에 대하여 플로트 (15C) 를 하강시킴으로써, 주선체 (11C) 및 수중 날개 기구 (70) 가 수저 (Wb) 에 간섭하는 것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선체 (10C) 는, 항행시에 날개체 (74, 76) 에서 발생하는 양력에 의해 주선체 (11C) 가 부상하고 있을 때, 이동 기구 (50C) 는, 플로트 (15C) 를 수면 (Wf) 보다 상방에 위치시킨다. 이로써, 항행시에 있어서의 주선체 (11C) 및 플로트 (15C) 에 의한 물의 저항이 없어져, 고속으로 흔들림이 적은 쾌적한 항행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플로트 (15C) 가 배수량을 갖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주선체 (11C) 의 배수량을 억제하고, 주선체 (11C) 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플로트 (15C) 를 주선체 (11C) 에 대하여 내리는 것을, 미리 정해진 항행 속도 이하로 실시하도록 하면, 플로트 (15C) 나, 플로트 (15C) 를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 등을, 예를 들어 FRP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선박 (1C) 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밖의 변형예)
이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경을 부가한 것을 포함한다. 즉,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구체적인 형상이나 구성 등은 일례에 불과하며,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서는, 선폭 방향 양측에 각각 플로트 (15A ∼ 15C) 를 1 개씩 구비하도록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폭 방향 양측에 복수의 플로트를 구비해도 된다. 또, 선수미 방향으로 복수의 플로트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다동선으로서 3 동선을 예시하였지만, 쌍동선이나, 4 동 이상의 다동선이어도 된다.
또, 선체 (10A ∼ 10C) 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구성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 선박 (1A ∼ 1C) 의 선종 등에 대해서도, 전혀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상기 선박에 의하면, 수심이 얕은 경우에도 항행에 지장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구조의 간이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A, 1B, 1C : 선박
10A, 10B, 10C : 선체
10b : 선저면
11A, 11B, 11C : 주선체
11a : 선수부
11b : 저면
11f : 저면
11r : 선미부
12 : 선체 본체
12b : 하면
12s : 현측
12t : 상부 구조
13 : 주동부
13A : 선미부
13C : 선수부
13b : 선저
13d : 선저
14 : 오목부
15A, 15B, 15C : 플로트
15b : 저면
15f : 저면
17 : 선체 본체
17b : 하면
17s : 현측
18 : 주동부
18C : 선미부
20 : 추진 기구
21 : 스크루
22 : 스크루 축
30 : 수중 날개 기구
31, 73, 75 : 스트럿 (지지부)
32, 74, 76 : 날개체
50A, 50B, 50C : 이동 기구
51, 52, 53 : 유압 실린더
60 : 추진 기구
61 : 워터 제트
70 : 수중 날개 기구
71 : 전부 수중 날개
72 : 후부 수중 날개
100 : 안벽
Wb : 수저
Wf : 수면

Claims (4)

  1. 주선체와,
    상기 주선체를 추진시키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 기구와,
    상기 주선체에 고정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된 날개체를 갖는 수중 날개 기구와,
    상기 주선체 및 상기 수중 날개 기구와는 독립적으로 형성된 플로트와,
    상기 플로트와 상기 주선체를 접속시킴과 함께, 상기 주선체에 대하여 상기 플로트를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체는, 수면하에 잠겨 형성되고, 상기 추진 기구에서 발생하는 추진력에 의한 항행시에 상기 주선체를 부상시키는 양력을 발생시키는, 선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체가 상기 주선체를 부상시키는 상기 양력을 발생시키고 있을 때,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플로트를 수면보다 상방에 위치시키는, 선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는 배수량을 갖는, 선박.
KR1020217001422A 2018-07-20 2018-10-23 선박 KR102484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37047A JP7195795B2 (ja) 2018-07-20 2018-07-20 船舶
JPJP-P-2018-137047 2018-07-20
PCT/JP2018/039400 WO2020017069A1 (ja) 2018-07-20 2018-10-23 船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142A true KR20210020142A (ko) 2021-02-23
KR102484031B1 KR102484031B1 (ko) 2023-01-02

Family

ID=69164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422A KR102484031B1 (ko) 2018-07-20 2018-10-23 선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95795B2 (ko)
KR (1) KR102484031B1 (ko)
CN (1) CN112424062B (ko)
WO (1) WO20200170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0583B (zh) * 2021-01-26 2021-11-05 重庆轮兴商贸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提高货运量的船用运输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3893A (ja) 1990-09-22 1992-05-07 Toshio So 伸縮アーム付フロートをそなえる船舶
JPH0667292U (ja) * 1993-03-09 1994-09-22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水中翼船
JP2003026075A (ja) * 2001-07-10 2003-01-29 Yukio Fujimoto 可変喫水構造の河海両用船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73143A (en) * 1968-03-12 1972-05-03 British Aircraft Corp Ltd Form Hydrofoil craft
JP2704618B2 (ja) * 1987-09-18 1998-01-26 株式会社大沢技術設計事務所 可変吃水船
DK0495722T3 (da) * 1991-01-18 1995-07-10 Havre Chantiers Deplacementsfartøj med flere skrog med begrænset tværskibs opretningsmoment og nedsat fremdrivningsmodstand
NO990113L (no) * 1998-05-29 1999-11-30 Rune H Idegord Flerskrog-fartöy
JP4133893B2 (ja) 2004-02-03 2008-08-13 Toto株式会社 マッサージノズル及びマッサージ装置
CN100493936C (zh) * 2004-11-08 2009-06-03 陈旃 能够兼具浅滩靠岸和高速行驶的变形船
BE1019384A3 (nl) 2010-06-23 2012-06-05 Karibu Invest Bv Met Beperkte Aansprakelijheid Vaartuig.
CN202244010U (zh) * 2011-08-19 2012-05-30 上海船舶研究设计院 一种无压载水的船舶结构
CN107150760B (zh) * 2017-06-01 2023-10-10 浙江大学 超空泡水翼三体船
CN107953967B (zh) * 2017-12-15 2019-07-23 江苏科技大学 一种具有水翼的三体船结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3893A (ja) 1990-09-22 1992-05-07 Toshio So 伸縮アーム付フロートをそなえる船舶
JPH0667292U (ja) * 1993-03-09 1994-09-22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水中翼船
JP2003026075A (ja) * 2001-07-10 2003-01-29 Yukio Fujimoto 可変喫水構造の河海両用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031B1 (ko) 2023-01-02
CN112424062B (zh) 2023-07-14
JP2020011690A (ja) 2020-01-23
WO2020017069A1 (ja) 2020-01-23
CN112424062A (zh) 2021-02-26
JP7195795B2 (ja) 202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2290C (en) An improved convertible vessel
EP2160319B1 (en) Ship with stern equipped with a device for deflecting a flow of water
EP0335345B1 (en) Improved hull construction for a swath vessel
US10875606B2 (en) Powerboat
JPS5893695A (ja) 翼安定される単胴船
US5301624A (en) Stern planes for swath vessel
US3709179A (en) High speed boat
US11738827B2 (en) Hydrofoil system and marine vessel
GB2167026A (en) Air cushion vehicle
NO316265B1 (no) Planende fartöy
NO20181547A1 (en) Propulsion for hydrofoil vessels
US5645008A (en) Mid foil SWAS
KR20210020142A (ko) 선박
US4843993A (en) Ship having a stern screw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hip
KR100879555B1 (ko) 수중익을 장착한 선박
JP2023526852A (ja) 可変形状を備えた船体
JP3009546U (ja) 吃水可変船
KR101977896B1 (ko) 고속주행용 선체
US4445453A (en) High speed displacement type hull
JP3319788B2 (ja) 水中翼付き船舶
KR200205368Y1 (ko) 소형선박선체트림조정장치
KR20220103160A (ko) 선박
JP2023152466A (ja) 船舶
EP0421958A2 (en) High-speed hydrohull
JPS59216779A (ja) 半没水自航プラツトホ−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