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918A - 난연 패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연 패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918A
KR20210019918A KR1020190132435A KR20190132435A KR20210019918A KR 20210019918 A KR20210019918 A KR 20210019918A KR 1020190132435 A KR1020190132435 A KR 1020190132435A KR 20190132435 A KR20190132435 A KR 20190132435A KR 20210019918 A KR20210019918 A KR 20210019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panel
retardant
styrofoam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4473B1 (ko
Inventor
오은환
Original Assignee
오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은환 filed Critical 오은환
Publication of KR20210019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08J9/40Impreg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구멍이 모든 면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형성되고 밑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는 흡입판(20) 위로 스티로폼 패널(10)을 이송시키는 스티로폼 패널 이송 단계;
상기 스티로폼 패널 이송 단계를 수행하면서 또는 상기 스티로폼 패널 이송 단계를 수행한 후에 상기 스티로폼 패널(10)의 상면에 난연액을 도포하는 난연액 도포 단계; 및
상기 흡입력이 작용함에 따라 상기 스티로폼 패널(10)의 상면에 도포된 난연액이 상기 스티로폼 패널(10)에 함침되어 상기 스티로폼 패널(1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기포의 표면에 난연액이 코팅된 상태에서 경화되도록 해서 기포가 외부의 열기에 의해 타지 않도록 하는 난연액 함침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난연 패널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e of flame retardant panels}
본 발명은 난연 패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티로폼(styrofoam)은 폴리스티렌 수지에 발포제를 가하여 스펀지처럼 만들어서 굳힌 플라스틱으로, 가볍고 튼튼하며 원하는 모양을 만들 수 있고 집을 지을 때 보온재로도 쓰인다. 스티로폼을 패널(panel)로 만들어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이와 같이 스티로폼은 장점이 많으나 단점도 있다.
예를 들어 스티로폼은 불에 쉽게 타고 탈 때 유독가스를 발생시켜 많은 인명 피해를 유발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스티로폼 패널에 난연액을 함침시켜 스티로폼 패널을 구성하는 기포의 표면에 난연액이 코팅된 상태에서 경화되도록 해서 기포가 외부의 열기에 의해 타지 않도록 함으로써 스티로폼 패널이 단열 및 난연 기능을 유지하게 하고 기포가 타지 않아 유독가스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 정보: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1136호(공개일자 2018년10월11일) "난연성이 개선된 고급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 방법"
이와 같은 "난연성이 개선된 고급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 방법"은 난연성 단열재 조성물과 접착제를 성형한 후 연속식 공법에 의해 물성이 우수한 난연성 샌드위치 패널을 경제적으로 제조하도록 하는 것으로, 스티로폼 패널에 난연액을 함침시켜 스티로폼 패널을 구성하는 기포의 표면에 난연액이 코팅된 상태에서 경화되도록 해서 기포가 외부의 열기에 의해 타지 않도록 하지는 못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스티로폼 패널에 난연액을 함침시켜 스티로폼 패널을 구성하는 기포의 표면에 난연액이 코팅된 상태에서 경화되도록 해서 기포가 외부의 열기에 의해 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난연 패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복수개의 구멍이 모든 면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형성되고 밑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는 흡입판(20) 위로 스티로폼 패널(10)을 이송시키는 스티로폼 패널 이송 단계;
상기 스티로폼 패널 이송 단계를 수행하면서 또는 상기 스티로폼 패널 이송 단계를 수행한 후에 상기 스티로폼 패널(10)의 상면에 난연액을 도포하는 난연액 도포 단계; 및
상기 흡입력이 작용함에 따라 상기 스티로폼 패널(10)의 상면에 도포된 난연액이 상기 스티로폼 패널(10)에 함침되어 상기 스티로폼 패널(1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기포의 표면에 난연액이 코팅된 상태에서 경화되도록 해서 기포가 외부의 열기에 의해 타지 않도록 하는 난연액 함침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난연액은 숯가루와 접착제, 경화제가 혼합된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숯가루는 참숯가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난연액은 황토가루와 접착제, 경화제가 혼합된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난연액은 실리카(silica)와 접착제, 경화제가 혼합된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리카는 가루, 액체 또는 졸(sol)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제는 무기질 접착제, 유기질 접착제 또는 아크릴 접착제이거나 무기질 접착제, 유기질 접착제 및 아크릴 접착제 중 두 가지 이상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티로폼 패널(10)에 난연액을 함침시켜 스티로폼 패널(10)을 구성하는 기포의 표면에 난연액이 코팅된 상태에서 경화되도록 해서 기포가 외부의 열기에 의해 타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스티로폼 패널(10)이 단열 및 난연 기능을 유지하게 하고 기포가 타지 않아 유독가스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 패널 제조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스티로폼 패널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티로폼 패널에 본 발명에 따른 난연 패널 제조방법을 적용하는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티로폼 패널에 본 발명에 따른 난연 패널 제조방법을 적용한 결과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 패널 제조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스티로폼 패널(1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스티로폼 패널(10)에 본 발명에 따른 난연 패널 제조방법을 적용하는 예를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티로폼 패널(10)에 본 발명에 따른 난연 패널 제조방법을 적용하는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티로폼 패널(10)에 본 발명에 따른 난연 패널 제조방법을 적용한 결과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먼저 복수개의 구멍이 모든 면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형성되고 밑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는 흡입판(20) 위로 스티로폼 패널(10)을 이송시키는 스티로폼 패널 이송 단계를 수행한다. 흡입력은 예를 들어 진공 장치를 설치하여 발생시킬 수 있다.
스티로폼 패널 이송 단계를 수행하면서 또는 스티로폼 패널 이송 단계를 수행한 후에 스티로폼 패널(10)의 상면에 난연액을 도포하는 난연액 도포 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난연액은 숯가루와 접착제, 경화제가 혼합된 액체이거나 실리카와 접착제, 경화제가 혼합된 액체 또는, 황토가루와 접착제, 경화제가 혼합된 액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숯가루는 참숯가루인 것이 좋다. 접착제는 다음 공정에서 스티로폼 패널(1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기포의 표면에 난연액이 원활하게 코팅되도록 한다. 경화제는 다음 공정에서 기포의 표면에 코팅된 난연액이 원활하게 경화되도록 한다. 실리카는 난연액이 불에 잘 타지 아니하는 성질을 높이고 난연액의 방수성을 높이며 난연액의 열전도율을 낮춘다. 실리카는 가루, 액체 또는 졸(sol)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흡입력이 작용함에 따라 스티로폼 패널(10)의 상면에 도포된 난연액이 스티로폼 패널(10)에 함침되어 스티로폼 패널(1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기포의 표면에 난연액이 코팅된 상태에서 경화되도록 해서 기포가 외부의 열기에 의해 타지 않도록 하는 난연액 함침 단계가 수행된다.
여기서 접착제는 무기질 접착제, 유기질 접착제 또는 아크릴 접착제이거나 무기질 접착제, 유기질 접착제 및 아크릴 접착제 중 두 가지 이상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스티로폼 패널(10)에 난연액을 함침시켜 스티로폼 패널(10)을 구성하는 기포의 표면에 난연액이 코팅된 상태에서 경화되도록 해서 기포가 외부의 열기에 의해 타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스티로폼 패널(10)이 단열 및 난연 기능을 유지하게 하고 기포가 타지 않아 유독가스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스티로폼 패널
20: 흡입판

Claims (7)

  1. 복수개의 구멍이 모든 면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형성되고 밑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는 흡입판(20) 위로 스티로폼 패널(10)을 이송시키는 스티로폼 패널 이송 단계;
    상기 스티로폼 패널 이송 단계를 수행하면서 또는 상기 스티로폼 패널 이송 단계를 수행한 후에 상기 스티로폼 패널(10)의 상면에 난연액을 도포하는 난연액 도포 단계; 및
    상기 흡입력이 작용함에 따라 상기 스티로폼 패널(10)의 상면에 도포된 난연액이 상기 스티로폼 패널(10)에 함침되어 상기 스티로폼 패널(1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기포의 표면에 난연액이 코팅된 상태에서 경화되도록 해서 기포가 외부의 열기에 의해 타지 않도록 하는 난연액 함침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패널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연액은 숯가루와 접착제, 경화제가 혼합된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패널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숯가루는 참숯가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패널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연액은 황토가루와 접착제, 경화제가 혼합된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패널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연액은 실리카와 접착제, 경화제가 혼합된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패널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는 가루, 액체 또는 졸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패널 제조방법.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무기질 접착제, 유기질 접착제 또는 아크릴 접착제이거나 무기질 접착제, 유기질 접착제 및 아크릴 접착제 중 두 가지 이상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패널 제조방법.
KR1020190132435A 2019-08-13 2019-10-23 난연 패널 제조방법 KR1022344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843 2019-08-13
KR20190098843 2019-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918A true KR20210019918A (ko) 2021-02-23
KR102234473B1 KR102234473B1 (ko) 2021-03-31

Family

ID=74688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435A KR102234473B1 (ko) 2019-08-13 2019-10-23 난연 패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4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977B1 (ko) * 2006-07-27 2007-10-29 주식회사 벽진판넬특강 진공타입의 난연제 투입시스템
KR20150038992A (ko) * 2013-10-01 2015-04-09 이제훈 물을 사용하지 않는 난연성능 향상 스티로폼 건식제조방법
KR20160076282A (ko) * 2014-12-22 2016-06-30 김민규 발포폴리스티렌 입자를 이용한 불연성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21681A (ko) * 2017-08-23 2019-03-06 김병태 난연 스티로폼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977B1 (ko) * 2006-07-27 2007-10-29 주식회사 벽진판넬특강 진공타입의 난연제 투입시스템
KR20150038992A (ko) * 2013-10-01 2015-04-09 이제훈 물을 사용하지 않는 난연성능 향상 스티로폼 건식제조방법
KR20160076282A (ko) * 2014-12-22 2016-06-30 김민규 발포폴리스티렌 입자를 이용한 불연성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21681A (ko) * 2017-08-23 2019-03-06 김병태 난연 스티로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473B1 (ko)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82093B (zh) 不饱和聚酯纤维增强玻璃微珠板的制造方法
KR101185810B1 (ko) 난연성과 차열성을 가진 샌드위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234473B1 (ko) 난연 패널 제조방법
JP5525296B2 (ja) 木製防火扉
KR101366785B1 (ko) 불연성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이용한 천장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9629A (ko) 기능성 안전 건축 내외장재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JP7369848B2 (ja) 耐火構造部材
KR20120085552A (ko) 목재가 포함된 단열복합패널 및 그 단열복합패널의 제조 방법
DE50008877D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ärmedämmverbundsystemen mit Hilfe einer organischen Klebe- bzw. Spachtelmasse
JP2013253382A (ja) 不燃性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638687B1 (ko) 결로방지용 단열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89185B1 (ko) 건축물용 불연성 패널
CN204919862U (zh) 一种建筑保温防火墙体
CN110614818A (zh) 一种防火泡沫复合板材及制作方法
KR960009320B1 (ko) 내열판재(耐熱板材)의 제조방법
JP2006206369A (ja) 内装ボ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17582B1 (ko) 천정 마감재
JP2006193998A (ja) 積層屋根瓦
JP2007283702A (ja) 無機質発泡板製造方法、および、断熱壁構築工法
CN108585719B (zh) 一种防火家具加工制作方法
KR102352247B1 (ko)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준불연 eps 내외장 다중 합치판넬 및 그 제조방법
JP2022126907A (ja) 被覆構造体及びその形成方法
KR200404702Y1 (ko) 방염판재
JP2017210807A (ja) 鉄骨柱の合成被覆耐火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348499Y1 (ko) 불연 복합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