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8992A - 물을 사용하지 않는 난연성능 향상 스티로폼 건식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물을 사용하지 않는 난연성능 향상 스티로폼 건식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8992A
KR20150038992A KR20130117449A KR20130117449A KR20150038992A KR 20150038992 A KR20150038992 A KR 20150038992A KR 20130117449 A KR20130117449 A KR 20130117449A KR 20130117449 A KR20130117449 A KR 20130117449A KR 20150038992 A KR20150038992 A KR 20150038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flame
styrofoam
retardant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7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6645B1 (ko
Inventor
이제훈
Original Assignee
이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제훈 filed Critical 이제훈
Priority to KR1020130117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645B1/ko
Publication of KR20150038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8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8Forming foamed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6Coating with compositions not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65Low-molecular-weight organic substances, e.g. absorption of additives in the surface of the artic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3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성능 향상 스티로폼 건식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 또는 용제을 사용하지 않음과 동시에 사전에 물 또는 용제와 함께 다양한 접착제(Binder) 난연소재를 교반기에서 교반 혼합하는 복잡한 과정을 통해, 복합난연액을 준비하지 않아도 되는, 물이 사용되지 않는 건식법 형태의 제조방법이며, 코팅설비 내에 발포립, 접착제, 경화제, 난연제를 순차적 또는 액상과 Powder형태로 구분 액상을 먼저 투입하고 다음으로 Powder를 투입하는 간단한 공정을 통해, 기존보다 공정은 단순해지고 사전공정의 배제로 공장환경이 청결하고 품질은 향상되면서 제조단가는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기존에 필수로 사용되는 사전복합난연액 제조공정과, 건조공정단계가 삭제되어 공정이 더욱 간소해짐에 따라 생산능력의 향상이 가능한 난연성능 향상 스티로폼 건식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난연성능 향상 스티로폼 건식제조방법{DRY MANUFACTUTING METHOD OF STYROFOAM FOR THE IMPROVEMENT OF NON-FLAMMABLE}
본 발명은 EPS 발포체의 코팅법에 의한 난연 스티로폼 제조에 있어서, 공정이 간편하며, 생산성향상, 제조방법 단순하고 복합난연액제조 과정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제(분산,침강,충분리)를 완전히 배제가 가능하다. 제조비용의 절감과 함께 생산제품의 질은 향상시킬 수 있는 난연성능 향상 스티로폼 건식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로폼이라고 불리는 EPS(expandable polystyrene, 발포폴리스티렌)발포폼재는 단열성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므로 건축물의 단열재 또는 샌드위치패널의 심재로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스티로폼보드는 열에 약하여 화재시 단시간에 녹아내리므로, 스티로폼 보드가 심재로 사용된 샌드위치패널로 축조된 건축물은 화재시 건축물이 단시간에 붕괴되며, 유독가스도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스티로폼보드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지금까지는 스티로폼 보드의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판재 상태의 스티로폼 완제품 보드의 표면에 난연제가 코팅된 제품이 제안되기도 한다. 그러나 난연제가 코팅된 제품은 코팅된 난연제의 두께가 비교적 얇아서 요구되는 수준의 난연성을 가지지는 못한다. 또한, 난연제와 보드가 층을 형성하므로 단순히 보드의 표면부분에만 난연성이 향상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난연제 코팅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여 난연층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된 제품이 제안되기도 하나, 이러한 제품은 반복적인 코팅과정 때문에 코스트가 높고, 공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 압력을 가하거나 스티로폼 판재에 침봉등을 이용 핀홀(Pinhole)을 만들어 난연성 향상 물질을 판재의 내부까지 침투시켜 난연성을 향상시키기도 하지만 건조공정등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크게 저하된다.
또한, 난연만의 문제점에 입각하여 글라스울과 같이 내화성이 강한 소재를 보드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글라스울은 시공또는 해체시 비산문제로 작업자에게 산업재해로 이어지는 폐단이 있어 사용을 자제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새로운 난연소재의 개발과 공정개발로 난연성능이 향상된 난연스티로폼의 제조가 가능해져 일반화 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난연 스티로폼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스티로폼용 발포폴리스티렌 원료(EPS)를 1차 발포 시킨(EPS발포비드,EPS발포립) 후, 이러한 발포립을 코팅기에 다수종류의 난연소재, 접착Binder,물, 용제 등의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복합 난연액과 함께 투입한다. 이에, 코팅기에서 발포립표면에 복합난연액 코팅처리가 되면, 1차,2차 건조기를 거치도록 하여 건조단계를 시행한 후 싸이로(Silo)에 저장후 성형기에서 성형 난연스티로폼을 얻는 방법이 사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제조방법의 경우, 불에 잘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물 30~40%, 난연제 파우더 30~40%, 접착제 20~30%의 혼합액으로 이루어지는 난연액을 사전에 분산성 침강방지 등을 고려해 혼합하여 만든 후 사용해야 하고, 이러한 난연액에 경화제, 분산제(액체와 고체가 상호간 잘 믹싱될 수 있도록 하는 것), 증점제(난연액에 물이 포함되어 있기에, 난연제의 침강을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 등 다양한 부가액이 3~10% 정도로 추가로 혼합되어 사용되는데, 이는 결국, 난연액에 물을 포함하는 습식법이기 때문에, 물에 잘 분산될 수 있고 반응성이 없는 친수성 난연제를 선택해야 하는 등 난연제 선택의 폭이 좁고, 건조공정이 반드시 이루어져야만 한다는 것이다.(물대신 용제를 사용하는 복합 난연액의 적용도 같은 문제 발생)
다시말해, 기존의 제조방법은 EPS발포비드의 난연코팅공정의 사전에 상기에서 전술한 바와같이 복합난연액을 제조해야 하는 등 복잡하고, 건조 공정에서 코팅난연소재의 박리탈착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물질(분산제, 증점제등)이 함께 사용되어야 하기에 단가가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물이 많이 함유되어 건조에 많은 어려움을 초래하고, 액상(보통은 물)에서 난연제 등을 투입해야 하므로 물과 반응성이 없는 난연제를 선택해야만 하며, 난연액의 보관에 있어서도 안정성이 문제가 되어 보관자체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반화 되어 있는 습식법의 경우 1차, 2차 건조 과정을 반드시 거치면서 EPS발포립의 표면에 코팅 접착 되어있던 난연소재가 건조기스터러 및 유동공기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박리탈착이 발생되어, 큰 손실을 야기하게 되는데, 이는 곧, 코팅량의 한계로 원하는 난연성능을 얻기가 힘들다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0-0054992호 (2010.05.26.)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6-0128292호 (2006.12.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화된 기존에 습식난연 스티로폼 제조방법과 달리, 물 또는 용제가 사용되지 않아 다양한 난연제의 선택이 가능하고, 물 또는 용제가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건조단계의 공정이 생략되어, 제조시간 및 제조효율이 상승함과 더불어, 기존의 복합난연액 제조시의 분산제, 증점제 등 첨가제의 불필요한 물질이 혼합되어 있지 않고 건조단계에서 발생되는 난연소재 박리현상 또한 발생되지 않아 제품의 질 또한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제조경비 및 제조공정 cost가 절감되고 또한 간단하여 손쉽게 난연 스티로폼의 제조가 가능한 난연성능 향상 스티로폼 건식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코팅설비(코팅기 또는 코팅장치) 내에 스티로폼 발포립(EPS 발포비드)을 투입하는 단계(S100); 상기 코팅설비 내에 접착제가 투입되는 단계(S200); 상기 코팅장치 내에 경화제와 액상성상의 난연제가 투입되는 단계(S300); 상기 코팅장치 내에 파우더 성상의 난연제가 투입되는 단계(S400); 상기 코팅장치에서 난연파우더 또는 난연액이 EPS발포비드 표면에 코팅되어 배출되는 혼합물(난연코팅EPS발포비드)을 저장하는 단계(S500); 상기 혼합물(난연코팅EPS발포비드)을 난연 스티로폼블럭 으로 성형하는 단계(S6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바인더, 난연소재들이 물또는 용제와 함께 액상으로 혼합되어진 복합난연액을 사전에 준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단계에서 물 또는 용제가 사용되지 않아, 건조공정이 생략되어질 수 있고, 물 사용에 따른 별도의 보조제(분산제, 증점제, 침강보조제 등)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와 저장안정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공정 생략으로 제조공정이 단순화되고, 제조시간이 단축되며, 제조효율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비용이 경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보조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조단가가 낮아져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전 복합 난연액의 제조 또는 교반기에서의 연속 교반과정 등이 생략되어 제조공장 내의 시설을 축소할 수 있어 공정이 단순해지고, 넓은 작업공간의 확보 및 청결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 스티로폼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정도.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코팅장치 내에 EPS(expandable polystyrene) 발포비드를 투입하는 단계(S100); 상기 코팅장치 내에 접착제, 경화제, 액상성상의 난연제가 투입되는 단계(S200); 상기 코팅장치 내에 난연파우더가 투입되는 단계(S300); 상기 코팅장치에서 난연파우더가 코팅되어 배출되는 난연코팅 EPS 발포비드를 저장하는 단계(S400); 상기 난연코팅 EPS 발포비드를 난연 스티로폼 블럭으로 성형하는 단계(S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경화제, 액상의 난연제, 난연파우더는
총 투입량이 EPS 발포비드 무게비의 30% ~ 200% 까지의 투입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제, 경화제, 액상의 난연제, 난연파우더의 총 투입량 100% 중, 상기 접착제는 10% ~ 40%, 경화제는 2% ~ 20%, 나머지는 액상성상 또는 파우더성상의 난연제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PVAc계(폴리비닐아세테이트), PVA(폴리비닐알코올), EVA계(에틸비닐아세테이트), Acryl계, Epoxy계, Phenol계, Melamine계, Urea계, MDI(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TDI(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우레탄 바인더, 규산소다(물유리) 중 어느 하나 또는 다수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화제는 MDI(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TDI(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Phenol수지. Urea수지, Melamine수지, 아민계화합물, 아미드계화합물, Coupling agent(인계화합물), polyol(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계), 알코올류 중 어느 하나 또는 다수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상성상의 난연제 또는 난연파우더는 팽창흑연, 수산화알류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안티몬, 염화파라핀, HBCD(핵사브롬시클로도데칸), TCEP(트리클로로 에틸포스페이트),
TCP(Tricresyl phosphate),TEP(Trietyl Phosphate), TCPP(트리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 규산소다(물유리), 인산암모늄, 중탄산소다, 중탄산칼륨, 적인, 인계화합물 중 어느 하나 또는 다수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능 향상 스티로폼 건식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능 향상 스티로폼 건식제조방법은 하기의 S100단계 내지 S600단계가 순차적으로 시행되어 이루어진다.
1. 코팅설비(코팅장치 또는 코팅기) 내에 EPS 발포립을 투입하는 단계(S100): 본 발명에 따른 난연 스티로폼을 제조하기 위해 재료가 되는 EPS(Expandable polystrene, 발포성 폴리스티렌)를 1차발포시킨 EPS 발포비드(Expanded Polystyrene, 발포폴리스티렌발포비드, 일명 EPS발포립)를 코팅설비 내에 투입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스티로폼 발포립(EPS발포비드)이 다량 투입되는 코팅장치의 경우, 내부에 길이방향을 향해 외부의 동력수단(모터 등)과 다양한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계되어 있는 하우징과, 회전축의 외주연에 사방으로 돌출되는 회전봉 또는 다수개의 임펠러로 이루어져있다.
이에, 이러한 상기 코팅설비(코팅장치 또는 코팅기)에 EPS발포립을 투입하고, 후술될 접착제(Binder), 경화제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투입시킨다음 마지막으로 난연소재를 투입시킨다. 난연제가 다수개일 경우 투입량이 많은것부터 순차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 이들의 혼합물은 코팅설비 내에서 2개의 회전축과 다수개로 이루어진 임펠러의 회전 섞임과 동시에 난연재가 EPS발포비드 외주연에 코팅접착 된다.
2. 상기 코팅장치 내에 접착제, 경화제, 난연액이 투입되는 단계(S200): 전술된 S100단계와 같이 코팅설비 내에 스티로폼의 원재료인 EPS 발포립을 투하한 후, 상기 EPS 발포립의 외주연에 후술될 난연재가 코팅될 수 있도록 접착제 및 경화제, 난역액이 투입되는 단계이다.
상기 S200단계에서 투입되는 접착제는 후술될 난연소재가 EPS 발포립 외주연에 용이하게 코팅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EPS 발포립 외주연에 도포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접착제는 상기 코팅설비 내부에서 형성하고 있는 2개의회전축이 다수개의 임펠러로 이루어져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다량의 EPS 발포립의 외주연에 원활하게 접착제가 도포된다. 이러한 접착제의 경우, PVAc바인더, PVA, EVA, Acryl, Epoxy, Phenol 바인더, Melamine 바인더, MDI, TDI, 우레탄 바인더 중 어느 하나 또는 다수개가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이다.
또한, S200단계에서 투입되는 경화제의 경우, 본 발명의 제조방법이 진행되어 후술될 난연스티로폼 블럭 성형공정(S600단계)까지 이어지는 동안, EPS발포립의 표면에 Coating접착된 난연소재가 단단하게 고착되어 연속되는 , 다른공정으로의 이송, 저장, 정체되는 동안 탈착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S200단계에서 투입한 접착제에 의해 EPS발포 비드(구슬모양) 다수개가 뭉친(Blocking화) 덩어리로 인한 유동성 저하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하고 최종공정에서 발포립끼리의 성형융착 난연스티로폼 블럭으로 제조하는 과정에서 스팀에 쉽게 쓸려 탈착 박리되지 않게 하여 융착성 및 난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경화제의 경우, MDI, TDI,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페놀수지, 아민화합물, coupling agent(인계화합물), polyol(에테르계 또는 에스테르계) 중 하나 또는 다수개가 혼합 사용될 수 있음이다.
더불어, 이러한 S200단계에서는 액상성상의 난연소재도 함께 투입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 S200단계에서의 접착제, 경화제, 난연소재등 액상의 상태를 가지는 성분들 모두 을 우선 투입하여 혼합 코팅하는 것이다. (이때의 교반시간은 30 ~ 120초). 이러한 액상난연소재 및 후술될 난연파우더의 경우, 팽창흑연,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TCEP, TCP, TCPP, 인산암모늄,중탄산나트륨, 중탄산칼륨, 인화합물 중 어느 하나 또는 다수개가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이다.
또한, 전술된 접착제와 경화제는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투입되어질 수 있음이다.
3. 상기 코팅설비 내에 난연파우더가 투입되는 단계(S300): 상기 S200단계 이후의 혼합물에 마지막으로 난연제를 투입하는 단계이다. 이때 사용되는 난연소재는 파우더 성상의 난연소재가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난연파우더는, 코팅설비 내부에서 형성하고 있는 2개의 회전축이 다수개의 임펠러로 이루어져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S200단계에서 투입된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EPS 발포립 외주연에 난연액 및 상기 난연파우더가 코팅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S100, S200, S300, S400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EPS 발포립, 접착제, 경화제, 난연제(난연파우더 또는 난연액)가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접착제, 경화제, 난연제 3종류를 합한 총 투입량을 100%라 했을때, 이 중 상기 접착제는 10~40%, 경화제는2~20%가 투입되고, 나머지는 액상성상 또는 파우더성상의 난연제가 차지하도록 투입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의 혼합 및 코팅시간은 30 ~ 180초.)
4. 상기 코팅설비에서 난연파우더가 코팅되어 배출되는 스티로폼 성형대상물(난연코팅EPS 발포비드)를 저장하는 단계(S400) 및 상기 스티로폼 성형대상물( 난연코팅EPS발포비드)을 난연 스티로폼 블럭으로 성형하는 단계(S500): 전술된 S100 내지 S400단계까지 완료된 후, 상기 코팅설비에서 혼합물(스티로폼 성형대상물, EPS발포립에 난연소재가 코팅된 것)을 배출하고, 배출된 혼합물을 일정시간 싸이로에서 저정숙성 또는 정채 시킨후 일정형상 및 크기의 성형틀 즉 성형기에서 성형융착 시켜서 난연 스티로폼 블럭 폼재로 성형하는 단계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기술처럼, 스티로폼 성형대상물(EPS발포립에 난연소재가 코팅된 것)을 형성할 시, 물 또는 용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또한, 사전에 복합난연제액을 준비하지도 않아도 되어 설비가 축소되어 작업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물 또는 용제가 사용되지 않기에 별도의 첨가액(분산제, 침강보조제, 증점제 등)이 더 추가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물론, 물이 사용되지 않았기에, 기존의 방식에서 필수적인 건조공정이 본 발명에서는 난연제의 코팅 이후 별도의 건조공정를 거치지 않아도 되어, 공정단계가 단축될 수 있는 것이다.
하기는 난연 스티로폼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존의 습식법과 본 발명의 난연성능 향상 스티로폼 건식제조방법(건식법)의 차이를 나타냄으로써, 본 발명이 기존에 비해 장점이 있으며 우수한 특징으로 보여준다.
(표1 : 난연 스티로폼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존과 본 발명의 차이점)
공정명 기존 제조방법
(습식법, 단점)
본 발명의 제조방법
(건식법, 장점)
1 복합난연액제조
습식법
* 물 또는 용제와 상용성이 있는 난연 난연소재만 사용가능

* 저장안정성을 필히 고려하여야 하고 침강방지 때문에 항상 연속교반필요하고 전력량이 많다.

* 난연성과 관련없는 첨가제(분산제, 증점제, 침강보조제)의 투입으로 인한 원가상승 및 작업성저하

* 배합시간의 공백 때문에, 연속작업 특성상 배합기가 2기 이상 필요로 하여 작업공간을 넓게 차지한다.
* 물이나 용제때문에 사용이 불가능 하였던 난연소재를 사용할 수 있어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물과의 반응성 등으로 사용이 불가했던 접착제, 경화제 룰 적용하여 접착성을 향상 시켜 난연성향상과 코팅물의 탈착을 저하시킬 수 있다.

* 복합 난연액 제조공정의 삭제로 작업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고 또 유티리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불필요한 분산제등의 첨가제를 넣을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절감된다.
* 난연소재등의 저장안정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2 건조공정
습식법
* 복합난연액 중 물이나 용제의 비율이 30%~60% 로 높아서 건조공정에서 필히 건조시켜야 하므로 스팀, 전기등의 유티리티 비용이 증가하고, 설치공간이 크다.

* 건조공정에서 EPS발포비드에 코팅접착되었던 난연소재가 박리 탈착현상이 크고 이로 인해 난연성이 저하된다.
*건조 공정의 삭제 또는 축소로 유티리티비용의 절감과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 코팅 EPS비드의 난연소재의 박리탈착을 막아 난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능 향상 스티로폼 건식제조방법은 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서 사용된 구성요소들을 코팅설비에 투입하는 순서를 소재의 성상, 반응특성, 코팅효율, 난연성능영향 등을 고려, 다양하게 변경한다.
이러한, 코팅설비에 투입하는 방법의 실시예로는, 접착제, 경화제, 액상성상 난연소제, Powder성상 난연소재등 를 EPS발포비드가 투입된 상태에서, 접착제(Binder), 경화제, 액상성상 소재일체, 파우더성상 소재일체 순으로 투입하거나, 접착제(Binder), 액상성상 소재일체, 경화제, 파우더성상 소재일체 순으로 투입하거나, 경화제를 제외한 액상성상 소재일체, 경화제, 파우더성상 소재일체 순으로 투입하거나, 접착제와 경화제를 포함한 액상소재 일체, 파우더성상의 소재일체 순으로 순차적으로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코팅장치 내에 EPS(expandable polystyrene) 발포비드를 투입하는 단계(S100);
    상기 코팅장치 내에 접착제, 경화제, 액상성상의 난연제가 투입되는 단계(S200);
    상기 코팅장치 내에 난연파우더가 투입되는 단계(S300);
    상기 코팅장치에서 난연파우더가 코팅되어 배출되는 난연코팅 EPS 발포비드를 저장하는 단계(S400);
    상기 난연코팅 EPS 발포비드를 난연 스티로폼 블럭으로 성형하는 단계(S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능 향상 스티로폼 건식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경화제, 액상의 난연제, 난연파우더는
    총 투입량이 EPS 발포비드 무게비의 30% ~ 200% 까지의 투입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능 향상 스티로폼 건식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경화제, 액상의 난연제, 난연파우더의 총 투입량 100% 중,
    상기 접착제는 10% ~ 40%, 경화제는 2% ~ 20%, 나머지는 액상성상 또는 파우더성상의 난연제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능 향상 스티로폼 건식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PVAc계(폴리비닐아세테이트), PVA(폴리비닐알코올), EVA계(에틸비닐아세테이트), Acryl계, Epoxy계, Phenol계, Melamine계, Urea계, MDI(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TDI(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우레탄 바인더, 규산소다(물유리) 중 어느 하나 또는 다수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능 향상 스티로폼 건식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MDI(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TDI(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Phenol수지. Urea수지, Melamine수지, 아민계화합물, 아미드계화합물, Coupling agent(인계화합물), polyol(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계), 알코올류 중 어느 하나 또는 다수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능 향상 스티로폼 건식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성상의 난연제 또는 난연파우더는
    팽창흑연, 수산화알류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안티몬, 염화파라핀, HBCD(핵사브롬시클로도데칸), TCEP(트리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 TCP(Tricresyl phosphate),TEP(Trietyl Phosphate), TCPP(트리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 규산소다(물유리), 인산암모늄,중탄산나트륨, 중탄산칼륨, 적인, 인계화합물 중 어느 하나 또는 다수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능 향상 스티로폼 건식제조방법.
KR1020130117449A 2013-10-01 2013-10-01 물을 사용하지 않는 난연성능 향상 스티로폼 건식제조방법 KR101536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449A KR101536645B1 (ko) 2013-10-01 2013-10-01 물을 사용하지 않는 난연성능 향상 스티로폼 건식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449A KR101536645B1 (ko) 2013-10-01 2013-10-01 물을 사용하지 않는 난연성능 향상 스티로폼 건식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992A true KR20150038992A (ko) 2015-04-09
KR101536645B1 KR101536645B1 (ko) 2015-07-14

Family

ID=53029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449A KR101536645B1 (ko) 2013-10-01 2013-10-01 물을 사용하지 않는 난연성능 향상 스티로폼 건식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64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228B1 (ko) * 2018-05-15 2018-09-10 김종신 준불연 발포 스티로폼 제조용 준불연 비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90002140A (ko) * 2017-06-29 2019-01-08 정상옥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샌드위치 내화패널
KR102160534B1 (ko) * 2020-02-07 2020-09-28 최규술 준불연 폴리우레탄 폼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19918A (ko) * 2019-08-13 2021-02-23 오은환 난연 패널 제조방법
KR20220114507A (ko) * 2021-02-08 2022-08-17 김재천 팽창성 분말을 코팅한 발포성폴리스티렌 수지입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694B1 (ko) * 2001-06-28 2005-10-14 임기태 발포 폴리스티렌 폐재를 이용한 단열,흡음,충격음방지재및 그 제조방법.
KR20110126484A (ko) * 2010-05-17 2011-11-23 (주)폴머 다중코팅 발포폴리스티렌 입자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고성능 발포폴리스티렌 성형물
KR101356568B1 (ko) * 2013-06-11 2014-01-28 엔에프에스(주) 형상변형이 방지되는 불연성 스티로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140A (ko) * 2017-06-29 2019-01-08 정상옥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샌드위치 내화패널
KR101897228B1 (ko) * 2018-05-15 2018-09-10 김종신 준불연 발포 스티로폼 제조용 준불연 비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WO2019221392A1 (ko) * 2018-05-15 2019-11-21 에스케이테크윈 주식회사 준불연 발포 스티로폼 제조용 준불연 비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19918A (ko) * 2019-08-13 2021-02-23 오은환 난연 패널 제조방법
KR102160534B1 (ko) * 2020-02-07 2020-09-28 최규술 준불연 폴리우레탄 폼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14507A (ko) * 2021-02-08 2022-08-17 김재천 팽창성 분말을 코팅한 발포성폴리스티렌 수지입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645B1 (ko) 201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645B1 (ko) 물을 사용하지 않는 난연성능 향상 스티로폼 건식제조방법
CN104592471B (zh) 组合聚醚、原料组合物、聚氨酯泡沫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1018834B (zh) 防火组合物
KR101513977B1 (ko) 발포 폴리스티렌 성형체용 난연화 도포제를 위한 수성 난연 접착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수성 난연 접착제를 이용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 성형체의 제조방법
JP6049459B2 (ja) 耐火補強構造、耐火補強建築部材および建築部材の耐火補強方法
KR20130136625A (ko) 난연 코팅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 폼
KR102065299B1 (ko) 준불연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702869A (zh) 一种单体系室内薄型钢结构防火涂料底漆
CN104592470A (zh) 一种阻燃聚异氰脲酸酯硬质泡沫及其制备方法
JP5453336B2 (ja) 建築部材の耐火補強方法
KR20190021681A (ko) 난연 스티로폼 제조방법
CN104725587B (zh) 一种聚氨酯保温层修复剂及其应用和使用方法
CN103787629A (zh) 一种模壳保温抗裂砂浆粉料及其制备方法
KR20140026090A (ko) 건축용 복합 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
CN102627894B (zh) 一种墙体保温涂料及其制备方法
CN106639220A (zh) 免胶粘保温装饰板及其制作方法
CN107673687B (zh) 一种柔性防水砂浆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2633466B (zh) 一种耐酸碱的化工建筑胶的制备方法
KR101683141B1 (ko) 난연성이 부여된 단열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단열재 제조방법
CN104232006A (zh) 一种新型阻燃聚氨酯胶粘剂及其制备方法
CN105669943A (zh) 一种无卤阻燃剂的制备方法及其在硬质聚氨酯泡沫中应用
KR20230072625A (ko) 건조시간 단축 및 난연성능 향상 스티로폼 제조방법
KR20140041125A (ko) 건축용 벽체의 불연성 스티로폼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363400B1 (ko)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206418713U (zh) 免胶粘保温装饰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