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7685A - 센텔라정량추출물이 분산 안정화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센텔라정량추출물이 분산 안정화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7685A
KR20210017685A KR1020190097350A KR20190097350A KR20210017685A KR 20210017685 A KR20210017685 A KR 20210017685A KR 1020190097350 A KR1020190097350 A KR 1020190097350A KR 20190097350 A KR20190097350 A KR 20190097350A KR 20210017685 A KR20210017685 A KR 20210017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lla
dimethicone
peg
quantitative extract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4569B1 (ko
Inventor
조영관
박현정
김선영
김기선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7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569B1/ko
Publication of KR20210017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4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polyoxyalkylene group, e.g. cetyl dimethicone copoly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텔라정량추출물을 분산 안정화한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또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산 안정화된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센텔라정량추출물이 분산 안정화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Manufacturing method for stably-suspended composition containing Titrated Extract of Centella Asiatica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reof}
본 발명은 센텔라정량추출물이 분산 안정화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센텔라정량추출물인 마데카식애씨드(Madecassic acid),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아시아틱애씨드(Asiatic acid)를 용제에 안정하게 분산시켜 입자의 미세화, 균질화 효과를 높인 것으로서, 제형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 및 센텔라정량추출물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센텔라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는 아시아 지역에서 상처 치유용으로 널리 사용된 식물이다. 센텔라정량추출물(Titrated Extract of Centella Asiatica, TECA)은 센텔라아시아티카에서 추출한 유효성분인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화학식 1), 마데카식애씨드(Madecassic acid, 화학식 2), 아시아틱애씨드(Asiatic acid, 화학식 3)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센텔라정량추출물은 센텔라 아시아티카의 유효성분인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식애씨드, 아시아틱애씨드를 특정 비율로 함유하고 있어, 피부의 진정, 보습, 각질 및 주름 개선, 세포 재생 및 콜라겐 생합성 촉진 활성 등 피부상태 개선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기존에 화장료에 사용하려는 시도가 다수 있었으나, 낮은 용해도로 인해 화장료로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특히, 저온(4 ℃)에서 3달 이상 경과 시 석출 현상이 발생하는 등 제형 안정성이 낮아 문제가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KR10-2017-0072177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센텔라정량추출물이 분산 안정화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이에 의해 제조된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용제 및 센텔라정량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S1); 및 상기 S1 단계의 혼합 후, 고압분산기를 이용하여 분산하는 단계(S2);를 포함하며 상기 용제는 수성 용제, 유성 용제, 또는 수성 및 유성의 혼합 용제인,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고압분산기를 이용하여 분산하는 단계(S2)는, 600 내지 1000 bar의 압력 하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분산 단계가 3회 이상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은 상기 센텔라정량추출물 및 용제를 혼합하는 단계(S1)에 추가적으로 분산제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용제 및 센텔라정량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용제는 수성 용제, 유성 용제, 또는 수성 및 유성의 혼합 용제이고, 상기 용제 및 센텔라정량추출물의 혼합물은 고압분산기로 분산된 것인,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센텔라정량추출물을 분산 안정화한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통해, 제형 안정성을 향상시켜 석출 현상이 발견되지 않고 경시 안정성이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센텔라정량추출물을 용제에 분산시킨 조성물을 촬영한 사진으로, (a)는 고압분산기로 분산, (b)는 교반 혼합(Agitation Mix)으로 분산시킨 것이다.
도 2는 센텔라정량추출물을 용제에 분산시킨 조성물을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으로, (a)는 고압분산기로 분산, (b)는 교반 혼합(Agitation Mix)으로 분산시킨 것이다.
도 3은 센텔라정량추출물을 용제에 분산시킨 조성물의 분산 방법에 따른 입도를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을 포함하는 크림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사진으로, (a)는 센텔라정량추출물을 고압분산기로 분산, (b)는 교반 혼합(Agitation Mix)으로 분산시킨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제(溶劑)란, 물질을 용해하는 데 쓰는 액체로, 수성 용제, 유성 용제, 또는 수성 및 유성의 혼합 용제일 수 있으며, 당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액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유상(油相)성분이란, 수중유형 화장료를 조제할 때에, 유제와 조합함으로써 유상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한, 수상(水相)성분이란, 수중유형 화장료를 조제할 때에, 물 등의 수성 매체와 조합함으로써 수상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센텔라정량추출물을 안정하게 분산한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센텔라정량추출물에 관한 것으로서, 센텔라정량추출물을 용제에 안정하게 분산시켜 입자의 미세화, 균질화 효과를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입자의 응집으로 인한 석출 현상을 방지하고, 경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용제 및 센텔라정량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S1); 및 상기 S1 단계를 통해 혼합된 센텔라정량추출물 및 용제를 고압분산기를 이용하여 분산하는 단계(S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분산은, 파우더와 같은 형태의 고체를 액체에 분산시키는 서스펜션(Suspension)으로, 강한 에너지를 물질에 가하여 입자의 크기를 미세화시켜 분산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압분산기를 이용하여 분산하는 단계(S2)는, 입자를 미세화, 균질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고압분산기를 이용한 분산 단계는 600 내지 1000 bar의 압력 하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00 bar 미만에서는 분체 미세화 효과가 크지 않으며, 압력이 증가할수록 미세화 효과가 증가하나 1000 bar 초과 시에는 그 차이가 미미하다.
고압분산기를 이용한 분산 단계는 또한, 3회 이상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산 횟수가 증가할수록 미세화 효과가 증가하나, 3회 이상 분산 시에는 그 차이가 미미하다.
본 발명에서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은 센텔라정량추출물 및 용제(solvent)를 혼합한 후 고압분산기를 통해 분산하여 제조된 조성물을 의미하며, 상기 용제는 상기 센텔라정량추출물을 분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유성 또는 수성, 또는 이의 혼합 용제일 수 있다.
상기 용제는,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디글리세린(Diglycerin), 글리세린(Glycerin), 프로판디올(Propandiol), 메틸프로판디올(Metyl Propandiol), 에탄올 (Ethanol) 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은 분산된 센텔라정량추출물이 다시 응집하는 것을 막음으로써 조성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분산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피이지-10디메치콘(PEG-10 Dimethicone),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라우릴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라우릴피이지-8디메치콘(Lauryl PEG-8 Dimethicone), 라우릴피이지/피피지-18/18메치콘(Lauryl PEG/PPG-18/18 Methicone), 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PEG/PPG-19/19 Dimethicone), 비스-피이지/피피지-14/14디메치콘(Bis-PEG/PPG-14/14 Dimethicone), 피이지/피피지-18/18디메치콘(PEG/PPG-18/18 Dimethicone), 피이지/피피지-20/20디메치콘(PEG/PPG-20/20 Dimethicone), 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폴리글리세릴-4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4 Isostearate)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Sorbitan Isostearate),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Sorbitan Sesquioleate),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Polypropylsilsesquioxane), 아크릴레이트/에칠헥실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Ethylhexyl Acrylate/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입자를 고르게 분산심으로써 제형 안정성을 향상시켜 입자의 응집으로 인한 석출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경시 안정성이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은, 유상성분 및/또는 수상성분과 혼합하여 유화형이나 수분산형 또는 유분산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데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센텔라정량추출물 및 용제를 혼합한 후 고압분산기를 이용하여 분산하여 제조된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에, 유상성분, 수상성분 또는 유상 및 수상성분의 혼합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통해,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유상성분 및 수상성분을 모두 포함할 경우, 계면활성제가 사용되며, PEG-100 스테아레이트 (PEG-100 STEARATE), 폴리소르베이트 60 (POLYSORBATE 60), 피이지-150디스테아레이트 (PEG-150 DISTEARATE),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 (PEG-40 STEARATE) 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유상성분 및 수상성분을 모두 포함할 경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이 10 내지 4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유상성분은 10 내지 40 중량%, 수상성분은 20 내지 60 중량%, 계면활성제는 0.1 내지 5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은 통상의 기술자의 적절한 선택에 따라 특정 용도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으며, 예로서 메이크업용 또는 스킨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향료, 방부제 등의 별도의 첨가제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하, 시험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고압분산기를 이용한 분산을 통해 갖는 효과를 도면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시험예 1. 분산 공정에 따른 센텔라정량추출물 ( 마데카식애씨드 , 아시아티코사이드 , 아시아틱애씨드 ) 조성물의 분산 상태 비교
(1)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제조
1) 실시예 1 제조
센텔라정량추출물과 디프로필렌글라이콜을 혼합한 후 고압분산기를 이용하여 600bar의 압력으로 고압분산기를 이용하여 3회 분산하여,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실시예 1)을 제조하였다.
2) 비교예 1 제조
센텔라정량추출물과 디프로필렌글라이콜을 혼합한 후 교반 혼합(Agitation Mix)으로 분산시켜, 비교예 1을 제조하였다.
(2) 결과 비교
분산 공정을 달리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제조하고, 이의 입자 분산 상태 및 사이즈를 비교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외관을 촬영한 도 1을 참조하면, 고압분산기를 이용하여 분산한 조성물(도 1(a), 실시예 1)이 교반 혼합으로 분산한 조성물(도 1(b), 비교예 1)에 비해, 육안으로 볼 때 석출된 형태 없이 매끈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도 2를 참조하면, 고압분산기를 이용하여 분산한 조성물(도 2(a), 실시예 1)은 뭉쳐진 입자가 관찰되지 않으나, 교반 혼합으로 분산한 조성물(도 2(b), 비교예 1)은 뭉쳐진 있는 입자가 관찰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입도를 비교 분석(Malvern사의 분석기)한 도 3을 참조하면, 교반 혼합(Agitation Mix)으로 분산한 조성물에 비해 고압분산기를 이용해 분산한 조성물이 평균 입도 사이즈 및 표준편차가 더 작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교반 혼합으로 분산한 비교예 1의 경우, 입자가 뭉쳐 두 개의 큰 peak가 나타나며 균일한 분포가 나타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고압분산기를 이용하여 분산한 조성물(실시예 1)이 훨씬 입자가 작고 균질화되어 분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분산 공정이 상이한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을 포함하는, 크림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 평가
(1)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제조
1) 실시예 2 제조
하기 [표 1]과 같이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 유상성분, 수상성분, 점증제를 혼합하여 크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센텔라정량추출물(제조원: 동국제약, INDENA)은 아시아티코사이드 40%, 마데카식애씨드 40%, 아시아틱애씨드 20%가 포함된 것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의 크림 화장료 조성물은, 센텔라정량추출물 1.0중량%(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마데카식애씨드 0.4 중량%, 아시아티코사이드 0.4 중량%, 아시아틱애씨드 0.2 중량%)와 디프로필렌글라이콜 9.0중량%를 혼합한 후 600bar의 압력으로 고압분산기를 이용하여 3회 분산하여 조성물을 제조한 뒤, 수상성분과 유상성분, 계면활성제, 점증제를 혼합하여 호모 믹서(Homo mixer)로 유화시켜 제조한 것이다.
크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은 10중량%, 수상성분은 71.5 중량%, 유상성분은 17.2 중량%, 계면활성제는 1.00 중량%, 점증제는 0.285중량%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4
2) 비교예 2 제조
상기 [표 1]의 센텔라정량추출물(마데카식애씨드, 아시아티코사이드, 아시아틱애씨드) 및 디프로필렌글라이콜을 혼합하여 아지 믹서(Agi mixer)를 이용하여 분산한 뒤, 여기에 수상성분, 점증제 및 유상성분을 혼합하여 호모 믹서로 유화시켜 제조한 것이다.
(2) 결과 비교
시험예 2에서 제조한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 대하여 안정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기존의 센텔라정량추출물은 저온 (4℃)에서 3달 이상 경과 시 석출되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중점적으로 관찰하며 진행하였다.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4 ℃에서 3개월 경과한 후 실시예 2 및 비교예 2를 피부에 도포한 도 4를 참조하면, 고압분산기로 분산한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도 4(a), 실시예 2)을 포함한 크림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석출 현상이 발견되지 않았고 표면이 매끄러웠으나, 고압분산기를 이용하지 않고 아지 믹서로 진행한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을 포함한 크림 화장료 조성물(도 4(b), 비교예 2)에서는 석출 현상이 발견되었다.
이는,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을 고압분산기로 분산하였을 때, 제형의 석출현상이 발견되지 않고 제형이 지속적으로 안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Claims (14)

  1. 용제 및 센텔라정량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S1); 및
    상기 S1 단계를 통해 혼합된 센텔라정량추출물 및 용제를 고압분산기를 이용하여 분산하는 단계(S2);를 포함하며,
    상기 용제는 수성 용제, 유성 용제, 또는 수성 및 유성의 혼합 용제인,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분산기를 이용하여 분산하는 단계(S2)는, 600 내지 1000 bar의 압력 하에서 진행되는,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분산기를 이용하여 분산하는 단계(S2)는 3회 이상 반복되는,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디글리세린(Diglycerin), 글리세린(Glycerin), 프로판디올(Propandiol), 메틸프로판디올(Metyl Propandiol), 에탄올 (Ethanol)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 및 센텔라정량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S1)는, 상기 용제 및 상기 센텔라정량추출물에 분산제를 추가적으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피이지-10디메치콘(PEG-10 Dimethicone),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라우릴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라우릴피이지-8디메치콘(Lauryl PEG-8 Dimethicone), 라우릴피이지/피피지-18/18메치콘(Lauryl PEG/PPG-18/18 Methicone), 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PEG/PPG-19/19 Dimethicone), 비스-피이지/피피지-14/14디메치콘(Bis-PEG/PPG-14/14 Dimethicone), 피이지/피피지-18/18디메치콘(PEG/PPG-18/18 Dimethicone), 피이지/피피지-20/20디메치콘(PEG/PPG-20/20 Dimethicone), 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폴리글리세릴-4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4 Isostearate)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Sorbitan Isostearate),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Sorbitan Sesquioleate),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Polypropylsilsesquioxane), 아크릴레이트/에칠헥실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Ethylhexyl Acrylate/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용제 및 센텔라정량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용제는 수성 용제, 유성 용제, 또는 수성 및 유성의 혼합 용제이고,
    상기 용제 및 센텔라정량추출물의 혼합물은 고압분산기로 분산된 것인,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 및 센텔라정량추출물의 혼합물은 600 내지 1000 bar의 압력 하에서 고압분산기로 분산된 것인,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 및 센텔라정량추출물의 혼합물은 3회 이상 고압분산기로 분산된 것인,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디글리세린(Diglycerin), 글리세린(Glycerin), 프로판디올(Propandiol), 메틸프로판디올(Metyl Propandiol), 에탄올 (Ethanol) 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
  11.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 및 센텔라정량추출물의 혼합물은 분산제가 추가적으로 혼합된 것인,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피이지-10디메치콘(PEG-10 Dimethicone),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라우릴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라우릴피이지-8디메치콘(Lauryl PEG-8 Dimethicone), 라우릴피이지/피피지-18/18메치콘(Lauryl PEG/PPG-18/18 Methicone), 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PEG/PPG-19/19 Dimethicone), 비스-피이지/피피지-14/14디메치콘(Bis-PEG/PPG-14/14 Dimethicone), 피이지/피피지-18/18디메치콘(PEG/PPG-18/18 Dimethicone), 피이지/피피지-20/20디메치콘(PEG/PPG-20/20 Dimethicone), 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폴리글리세릴-4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4 Isostearate)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Sorbitan Isostearate),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Sorbitan Sesquioleate),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Polypropylsilsesquioxane), 아크릴레이트/에칠헥실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Ethylhexyl Acrylate/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센텔라정량추출물 조성물에,
    유상성분, 수상성분, 또는 유상성분 및 수상성분의 혼합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90097350A 2019-08-09 2019-08-09 센텔라정량추출물이 분산 안정화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34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350A KR102334569B1 (ko) 2019-08-09 2019-08-09 센텔라정량추출물이 분산 안정화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350A KR102334569B1 (ko) 2019-08-09 2019-08-09 센텔라정량추출물이 분산 안정화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685A true KR20210017685A (ko) 2021-02-17
KR102334569B1 KR102334569B1 (ko) 2021-12-03

Family

ID=74731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350A KR102334569B1 (ko) 2019-08-09 2019-08-09 센텔라정량추출물이 분산 안정화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5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807A (ko) * 2021-04-15 2022-10-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함량의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정한 화장료 조성물
KR102633971B1 (ko) * 2022-11-24 2024-02-06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성분 왁스를 포함하는 쉘부 및 유성 코어부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6040A (ko) * 2011-10-31 2014-08-04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수성 분산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72177A (ko) 2017-06-14 2017-06-26 최경석 병풀로부터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틱산 및 마데카식산을 포함하는 음료 및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24734A (ko) * 2017-08-31 2019-03-08 (주)아모레퍼시픽 병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한 트리테르펜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6040A (ko) * 2011-10-31 2014-08-04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수성 분산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72177A (ko) 2017-06-14 2017-06-26 최경석 병풀로부터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틱산 및 마데카식산을 포함하는 음료 및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24734A (ko) * 2017-08-31 2019-03-08 (주)아모레퍼시픽 병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한 트리테르펜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807A (ko) * 2021-04-15 2022-10-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함량의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정한 화장료 조성물
KR102633971B1 (ko) * 2022-11-24 2024-02-06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성분 왁스를 포함하는 쉘부 및 유성 코어부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569B1 (ko) 2021-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304B1 (ko) 안정하고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지는 나노에멀젼
DE60105362T2 (de) Wässrige kosmetische gele
DE69723540T2 (de) Zusammensetzung enthaltend ein Protein pflanzlicher und/oder tierischer Abkunft und eine vernetzte Poly(2-Acrylamido 2-Methylpropan Sulfonsäure)
US9132091B2 (en) Oil-in-water type nano-emuls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CN101106970B (zh) 化妆品
KR20200067793A (ko)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나노에멀전 화장료 조성물
JP2002538947A (ja) マイクロミキサーを使用する化粧用又は薬剤用の調合物の調製方法
RU2008114840A (ru)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 производное нафтоевой кислоты и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 соединение типа полиуретанового полимера или его производное,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KR102334569B1 (ko) 센텔라정량추출물이 분산 안정화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6511210B (zh) 一种多功能清洁膏霜
TW201212943A (en) Emulsion composition
KR102541257B1 (ko)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조성물
KR101953559B1 (ko)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42013A (ko)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6056111A (ja) ナノエマルションを調製するための方法
KR102337025B1 (ko) 유화 입자의 크기 편차를 개선한 수중유형(o/w)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81068B1 (ko) 액정 유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폼형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580758B (zh) 一种控油水凝乳及其制备方法
KR100670440B1 (ko) 아데노신 및 유용성 감초 추출물의 리포좀 기술을 이용한안정화 기술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제조방법
CN108498450A (zh) 一种高渗透性保湿面膜及其制备方法
CN105030569A (zh) 分散组合物及化妆料
CN111991273B (zh) 一种具有生发功效的乳液及其制备方法
JP2004352689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CN114073648A (zh) 包含天然聚合物的化妆料组合物
CN102860922B (zh) 一种不含表面活性剂的膏霜乳液类化妆品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