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177A - 병풀로부터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틱산 및 마데카식산을 포함하는 음료 및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병풀로부터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틱산 및 마데카식산을 포함하는 음료 및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177A
KR20170072177A KR1020170075073A KR20170075073A KR20170072177A KR 20170072177 A KR20170072177 A KR 20170072177A KR 1020170075073 A KR1020170075073 A KR 1020170075073A KR 20170075073 A KR20170075073 A KR 20170075073A KR 20170072177 A KR20170072177 A KR 20170072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omposition
mixture
beverage
asia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석
최환
Original Assignee
최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석 filed Critical 최경석
Priority to KR1020170075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2177A/ko
Publication of KR20170072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1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2Oral administr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풀로부터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틱산 및 마데카식산을 포함하는 음료 및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병풀에 알코올로 반응시켜 여과하여 배당체인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와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용액을 탈색 및 농축하여 이들의 혼합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의 배당체 혼합물을 탈색 및 농축하여 결정화시켜 아시아티코사이드를 얻는 단계와, 상기의 배당체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 혼합물을 알코올에 용해시켜 강염기로 반응시키고, 강산으로 중화한 후, 농축 및 건조하여 가수분해물인 아시아틱산(Asiatic acid)과 마데카식산(Madecasic acid)을 얻는 단계와, 상기의 배당체인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 또는 가수분해물인 아시아틱산과 마데카식산을 단독 또는 둘이상을 혼합하여 화장료 또는 음료의 부재료와 섞어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음료 조성물을 만드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 또는 아시아틱산과 마데카식산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음료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을 만들어 보습효과, 상처치유 및 세포재생 등의 효과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병풀로부터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틱산 및 마데카식산을 포함하는 음료 및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 for Beverage and Cosmetics Containing Asiaticoside, Madecassoside, Asiatic acid & Madecasic acid Extracted from Centella Asiatica &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병풀로부터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틱산 및 마데카식산을 포함하는 음료 및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병풀에 알코올로 반응시켜 여과하여 배당체인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와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용액을 탈색 및 농축하여 이들의 혼합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의 배당체 혼합물을 탈색 및 농축하여 결정화시켜 아시아티코사이드를 얻는 단계와, 상기의 배당체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 혼합물을 알코올에 용해시켜 강염기로 반응시키고, 강산으로 중화한 후, 농축 및 건조하여 가수분해물인 아시아틱산(Asiatic acid)과 마데카식산(Madecasic acid)을 얻는 단계와, 상기의 배당체인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 또는 가수분해물인 아시아틱산과 마데카식산을 단독 또는 둘이상을 혼합하여 화장료 또는 음료의 부재료와 섞어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음료 조성물을 만드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 또는 아시아틱산과 마데카식산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음료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을 만들어 보습효과, 상처치유 및 세포재생 등의 효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병풀(centella asiatica)은 미나리과의 병풀속으로 한반도 남부 섬의 산이나 들에 흔히 나는 호랑이풀, 조개풀 등으로 불리는 여러해살이풀로 화상이나 상처치유 및 보호로 피부질환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병풀은 성장지역에 따라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의 합량이 2~8% 수준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을 에탄올로 추출하면 아시아티코사이드와 아시아틱산이 얻어지며, 이들 성분을 배합하여 화장용 크림 또는 상처치유 및 세포재생 등의 의약용으로 개발되어 있다. 약리기전은 피부세포에서 콜라겐 생합성 촉진활성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50310호의 청호, 님잎,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24932호는 병풀 추출물의 건조품으로 유효성분인 아시아티코사이드를 활용하여 화장료 조성물 총 건조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0 중량%로 함유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41302호는 아시아티코사이드와 아시아틱산을 1.5~2.5 : 1 의 비율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1944호는 주름개선 유효성분인 아시아티코사이드가 포집된 다중층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이들 종래기술은 아시아티코사이드 단독 또는 아시아틱산과의 혼합물을 활용하는 화장료의 조성물로서 보습효과 또는 주름개선효과 등에 주안점을 두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마데카식산이 추가로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로서, 즉 화장용크림, 샴푸, 비누 등을 만들어 피부상처개선 및 세포재생효과를 증진시키므로써 기존의 방법인 보습효과 및 주름개선 효과 보다도 더욱 개선된 차별화된 효과에 주안점을 두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틱산 및 마데카식산의 단독 또는 혼합물로 기능성음료를 만들어 세포재생효과를 활용한 내상치유 기능을 부가하였으며 지금까지 어떤 특허도 기능성음료로 개발되지는 않았으며 본 발명이 유일하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틱산 및 마데카식산의 화학적 구조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4와 같다. 하기 화학식 1은 아시아티코사이드이고, 하기 화학식 2는 마데카소사이드이며, 하기 화학식 3은 아시아틱산이고, 하기 화학식 4는 마데카식산이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한국특허등록번호 10-0641302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보습효과 및 주름 개선효과는 물론 상처치유 및 세포재생에 보다 더 효능이 좋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병풀 추출물과 그 가수분해물을 단독 또는 혼합물을 활용하여 피부개선효과는 물론 상처치유 및 세포재생 효능이 있는 기능성 음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종래기술은 병풀을 에탄올로 추출하면 아시아티코사이드와 아시아틱산 만이 얻어지므로, 이들을 단독 또는 혼합물을 활용하여 보습용 또는 주름개선용의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마데카소사이드과 마데카식산을 별도로 분리하는 기술이 없으므로 이들이 포함되지 않아 피부미용 개선효과가 떨어지고, 이러한 화장료를 사용하지 않는 소비자들은 병풀추출물의 피부미용 개선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병풀에 알코올로 반응시켜 여과하여 배당체인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 용액을 탈색 및 농축하여 이들의 혼합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의 배당체 혼합물을 탈색 및 농축하여 결정화시켜 아시아티코사이드를 얻는 단계와, 상기의 배당체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 혼합물을 알코올에 용해시켜 강염기로 반응시키고, 강산으로 중화한 후, 농축 및 건조하여 가수분해물인 아시아틱산과 마데카식산을 얻는 단계와, 상기의 배당체인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 또는 가수분해물인 아시아틱산과 마데카식산을 단독 또는 둘이상을 혼합하여 화장료 또는 음료의 부재료와 섞어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음료 조성물을 만드는 단계로 구성된다.
1) 배당체 아시아티코사이드 및 마데카소사이드 추출
병풀 분쇄물에 알코올류를 첨가하여 가온하고 교반, 여과한 후 활성탄으로 탈색한 다음, 농축하여 생성된 고체를 냉각한 후 여과, 건조하면 배당체인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의 혼합물이 얻어진다.
2) 아시아티코사이드 단독물질 결정화
배당체 아시아티코사이드 및 마데카소사이드 혼합물을 여과, 탈색, 농축, 결정화시킨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 건조하여 아시아티코사이드를 얻었다.
3) 가수분해물 아시아틱산과 마데카식산의 결정화
배당체의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 혼합물을 알코올에 용해시키고 강염기(NaOH, KOH 등)를 가하여 강산(HCl, H2SO4등)으로 pH 5~7 조절하고 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하면 아시아틱산과 마데카식산의 고체가 생성된다.
4) 병풀 배당체와 가수분해물의 화장료 및 음료에 이용
병풀 배당체인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의 혼합물과 아시아티코사이드 그리고 병풀의 가수분해물인 아시아틱산과 마데카식산을 얻어 상처치유, 세포재생의 효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또한 이들의 단독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을 기능성 음료에 적용하므로써 일상생활 중에 피부개선이나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 이것은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이 보습이나 주름개선에만 적용하던 것을 보다 더욱 효능범위가 넓어진 병풀추출물의 활용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즉, 아시아틱산 30~50%(w/w)와 마데카식산 30~50%(w/w)를 함유한 2종류의 혼합물에 아시아티코사이드 30~50%(w/w)를 가하여 상기 3종류의 혼합물로 구성하거나, 또는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 2종류의 혼합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의 함량이 각각 50%(w/w) 이상이고, 아시아틱산과 마데카식산 혼합물의 함량이 각각 50%(w/w)이상을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장용 크림, 로션, 샴푸, 비누 및 기능성 음료 등에 따라 0.01~10%(w/w)를 첨가하여 조성물을 조제하는데 있다.
종래의 아시아티코사이드 단독 또는 아시아틱산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효과나 주름개선효과 밖에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시아티코사이드에 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틱산 또는 마데카식산을 추가하여 화장료 또는 음료 조성물로 제공하여 상처치유, 세포재생 및 피부질환 예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병풀로부터 본 발명이 사용하고자 하는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및 아시아틱산과 마데카식산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1단계> :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추출.
건조된 병풀 1kg을 분쇄한 후 40~60℃에서 3~10배의 에탄올 3~10kg(w/w)을 가하여 8∼12시간 동안 교반하여 아시아티코사이드 및 마데카소사이드 혼합물을 추출한다. 추출물을 여과한 후 활성탄으로 탈색한 다음, 에탄올을 80%까지 농축하여 생성되는 고체를 24∼26℃로 냉각한 후 여과 및 건조하여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를 68g을 얻었다. 상기에서 추출 용매로 에탄올 이외에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등 저급 알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2단계> : 아시아티코사이드 단독물질 결정화
제1단계에서 여과하고 난 여과액을 탈색한 후, 농축하여 결정화시키면 생성된 고체를 여과한 다음 건조하여 아시아티코사이드를 30g을 얻었다.
<제3단계> : 아시아틱산과 마데카식산의 결정화
제1단계에서 얻은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 혼합물을 70%(w/w)에탄올 6L에 녹이고, 가수분해제로 20% NaOH를 120ml를 가하여 70~80℃에서 3~4시간 교반한 후, 중화제로 10%(w/w) HCl을 가하여 pH5~7로 조절하고 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하면 아시아틱산과 마데카식산의 고체가 생성된다. 이를 여과하여 건조시키면 80%(w/w)이상의 아시아틱산과 마데카식산의 혼합물을 41g얻었다. 상기에서 가수분해제로 NaOH 대신에 KOH 나, 중화제로 HCl 대신에 H2SO4를 사용할 수도 있다.
< 아시아티코사이드 분석조건>
메탄올 50ml 아시아티코사이드 20mg을 용해한 후 C18, 3.9x150mm(Bondapak) 컬럼을 사용하여 아세토니트릴 : 메탄올 : 물 = 10 : 40 : 50의 비율 용매를 사용, HPLC에서 분당 1.3ml의 flow rate로 분석하면 1.6분대에서 아시아티코사이드와 1.1분에서 마데카소사이드가 나타난다.
< 아시아틱산과 마데카식산의 분석조건>
메탄올 50ml 이 두성분을 30mg을 용해한 후 아세토니트릴 : 메탄올 : 물 = 3 : 3 : 4의 비율로 C8, 4.6x150mm(Beckman) 컬럼으로, 분당 1.5ml의 flow rate를 주면 5.3분대에 마데카식산이, 8.7분대에 아시아틱산의 peak가 나타나며 아시아틱산이 40.2%, 마데카식산이 44.1%의 면적비로 나타났으며 두물질의 합이 84.3%의 비로 함량 50%(w/w)이상을 충족하였다.
따라서 본발명은 얻어진 아시아틱산과 마데카식산의 혼합물 41g과 아시아티코사이드 30g을 다음과 같은 비율로 혼합하여 표 1과 같이 최종 화장료에 첨가할 조성물을 만들었다.
성분 무게비(%) 무게(g)
아사이틱한과 마데카식산 57.6 41
아시아티코사이드 42.4 30
100% 71
본 발명의 병풀로부터 얻은 상기 3가지 성분 조성물을 화장료 및 기능성음료 총 중량 기준으로 0.01 ~ 10%(w/w)로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0.2 ~ 0.5%(w/w)가 적절하다. 또한 본발명의 병풀조성물(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틱산 및 마데카식산의 혼합물)은 경구용으로 상처치유용 의약품, 내상치유용 식품첨가물 등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음료 등에 첨가하여 사용시에는 상처치유기능으로 인한 위장 등 내상보조치유가 가능하다. 화장료는 영양크림, 유연화장수, 피부접착용패치, 에센스, 영양젤, 마사지크림, 팩, 비누, 물비누, 샴푸 등 폭넓게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화장용으로 사용시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정제수,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고급알콜, 색소, 지방산, 킬레이트제, 방부제, 왁스, 산화방지제, 향료, pH조절제 등과 배합가능하다.
상기의 부형제중에서 유분으로는 미네랄오일, 사이크로메치콘, 스쿠알란,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올리브오일, 마카다미아너트오일, 글리세릴옥타노에이트, 캐스터오일, 에칠헥실 이소노나노에이트, 디메치콘, 사이크로펜타실록산, 선플라워씨드 오일 등이 사용된다. 계면활성제로는 소르비탄세스퀴놀리에이트, 폴리솔베이트 6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친유형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올리에이트,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디이에이-세틸포스페이트,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슈크로스코코에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에틸렌글라이콜-100 스테아레이트, 세테아레스-6 올리베이트, 아라키딜알코올/베헤닐알코올/아라키딜 글루코사이드.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26-부테스-26/폴리에틸렌글라이콜-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등이 사용된다. 보습제로는 글리세린, 솔비톨, 프로필렌 글라이콜, 부틸렌 글라이콜, 헥실렌 글라이콜, 디글리세린, 베타인, 글리세레스-26, 메칠글루세스-20 등이 사용되고, 고급 알콜로는 세틸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옥틸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등이 사용되고, 증점제로는 산탄검, 카보머,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검,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등이 있고, 킬레이트제로는 디소듐이디티에이, 테트라소듐이디티에이 등이 사용된다. 색소는 청색1호, 적색40호, 황색4호, 황색 5호 등이 사용되고, 지방산으로는 스테아릭애씨드, 미리스틱애씨드, 팔미틱애씨드, 이소스테아릭애씨드, 라우릭애씨드 등이 사용되고, 산화방지제로는 토코페릴아세테이드,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 등이 사용되고, 방부제로는 메칠파라벤, 부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페녹시에탄올,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클로르페네신 등이 사용되고, 왁스로는 카나우바왁스, 칸데닐라왁스, 밀납, 경납 등이 사용되고, pH조절제로는 트리에탄올아민, 씨트릭애씨드 등이 사용되고, 향료로는 천연향료, 조합향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기한 주름 개선 화장품은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에센스, 영양젤, 마사지 크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장료 부분에 있어서는 표2 기존특허의 아시아티코사이드와 아시아틱산의 단독 또는 혼합사용이 아닌 상처치유 및 세포재생기능을 강화시킨 마데카소사이드, 마데카식산을 추가하여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를 가수분해하여 얻을 수 있는 아시아틱산과 마데카식산의 혼합물 등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병풀의 성분인 이들 화합물들은 독성이 없고 내상치유 및 세포재생능력이 있어 위장약으로도 판매되고 있으며, 이는 위장병이나 기타 내상치유용으로 의약품이 아닌 음료로써 개발이 가능하여 본 발명은 이들 성분을 혼합 또는 단독으로 표 2와 같이 사용하여 건강기능음료를 제조하였다.
병풀추출물 성분
1 아시아티코사이드 단일성분
2 아시아티코사이드와 아시아틱산 혼합성분
3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 혼합성분
4 아시아틱산과 마데카식산 혼합성분
5 아시아티코사이드와 아시아틱산, 마데카식산 혼합성분
상기 표 2와 같은 조성물로 기능성음료 조제시는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음료조성물에 병풀추출물 1, 2, 3, 4 또는 5의 성분을 첨가하여 그 기능을 강화하는데 목적을 둔다.
일반적으로 음료에 적용되는 감미제로는 서당 글루코스, 말토스, 후락토스, 이성화당 스테비오사이드, 꿀, 아스파탐, 아세설팜K 등이 사용되며,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젖산, 각종과일추출물, 인진쑥, 헛개나무, 민들레, 홍삼, 대추, 갈근, 오가피 등 천연물 추출물이 사용되고, 점도조절제로 겔란검, 구아검, 알긴산나투륨, CMC소디움 등이 사용되고, 보존제로 안식향산나트륨, P-메탈 안식향산, P-에틸안식향산, P-프로필안식향산 등이 사용되고, 다가알콜로 D-솔비톨, 자일리톨 등외에 구연산, 비타민C, 타우린, 로얄제리, 올리고당 등 다양하게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발명은 이들 조합 구성물질에 상기 표 2와 같이 구성된 성분을 첨가하여 건강기능성 음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 실시예 1> 영양크림1
화장료 중에서 영양크림의 배합비는 병풀 추출성분으로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의 혼합물 0.2%(w/w)사용하였다. 영양크림 조성물은 1,3-부틸렌글리콜 6%(w/w), 글리세린 46%(w/w), 미네랄오일 1.26%(w/w), 폴리솔베이트 60 36%(w/w), 세틸알코올 56%(w/w), 프로필파라벤 0.16%(w/w), 벤조페논-9 26%(w/w),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6%(w/w), 잔부의 정제수를 사용하여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밀크로션
화장료 중에서 밀크로션의 배합비는 병풀 추출성분으로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의 혼합물 0.2%(w/w)사용하였다. 밀크로션 조성물은 프로필렌글리콜 6%(w/w), 미네랄오일 4%(w/w), 트리에탄올아민 1.2%(w/w),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w/w), 디프로필글라이콜 5%(w/w), 알라토닌 3%(w/w),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w/w), 폴리솔베이트-20 1.5%(w/w),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w/w), 프로필파라벤 0.1%(w/w) 및 레시틴 1%(w/w)를 사용하여 밀크로션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영양크림2
화장료 중에서 영양크림의 병풀 추출성분은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의 혼합물 0.5%(w/w)사용하였다. 영양크림 조성물은 알란토닌 0.2%(w/w), 1.3-부틸렌글리콜 7%(w/w),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w/w), 스테아틱산 2.2%(w/w), 스쿠알란 3%(w/w), 세라마이드 2%(w/w), 폴리솔베이트-60 2%(w/w),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w/w), 프로필파라벤 0.05%(w/w),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w/w), 미네랄오일 4%(w/w), 식물성오일 4%(w/w), 소디움 히알루네이트 0.5%(w/w), D-판테놀 0.1%(w/w) 및 잔부의 정제수로 사용하여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맛사지크림
화장료 중에서 맛사지크림의 병풀추출성분은 아시아티코사이드와 아시아틱산, 마데카식산의 혼합물을 0.3%(w/w)사용하였다. 맛사지크림 조성물은, 1.3-부틸렌글리콜 6%(w/w), 글리세린 4%(w/w), 트리에탄올아민 0.5%(w/w),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w/w), 식물성오일 30%(w/w), 세테아릴알코올 2%(w/w), 알탄토닌 2%(w/w), 폴리솔베이트-60 2.1%(w/w),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w/w), 프로필파라벤 0.1%(w/w),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w/w), 소디움 히알루네이트 0.2%(w/w) 및 잔부의 정제수를 사용하여 맛사지크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5> 화장료
화장료 중에서 팩의 병풀추출성분은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산 혼합물 0.2%(w/w)사용하였다. 팩 조성물은 에틸알코올 3%(w/w), EDTA-2Na 0.02%(w/w), 프로필렌글리콜 5.1%(w/w), 글리세린 4.5%(w/w), 카보폴 1%(w/w), 폴리옥사이드 0.2%(w/w), 소디움히알루네이트 0.2%(w/w) 및 잔부의 정제수를 사용하여 팩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6> 바디전용비누
화장료 중에서 바디전용비누의 병풀추출성분은 아시아티코사이드와 아시아틱산, 마데카식산의 혼합물 0.2%(w/w)사용하였다. 바디전용비누 조성물은 코코넛오일(Coconut Oil) 20%(w/w), 올리브오일(Olive Oil) 30%(w/w), 달맞이오일(Evening Oil) 20%(w/w), 팜오일(Palm Oil) 4%(w/w), 아보카도오일(Avocado Oil) 10%(w/w), 수산화나트륨(NaOH) 9%(w/w), 정제수 6%(w/w), 기타향료 0.8%(w/w)를 사용하여 바디전용비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두피전용비누
화장료 중에서 두피전용비누의 병풀추출성분은 아시아티코사이드와 아시아틱산, 마데카식산의 혼합물 0.5%(w/w)사용하였다. 두피전용비누 조성물은, 코코넛오일(Coconut Oil) 30%(w/w), 달맞이오일(Evening Oil) 30%(w/w), 아보카도오일(Avocado Oil) 10%(w/w), 팜오일(Palm Oil) 20%(w/w), Seaweed Extract 4%(w/w) 및 기타향료 0.4%(w/w)를 사용하여 두피전용비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샴푸조성물
화장료 중에서 샴푸조성물의 병풀추출성분은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의 혼합물 0.5g을 사용하였다. 샴푸조성물은 정제수 100ml, 프로필렌글리콜 5g, 글리세린 1g, 소듐라우릴설페이트 8g, 코카마이드디이에이 5g, 라우라마이드디이에이 5g, 코카미도프로필메타인 5g, 토코페롤 0.5g, 구연산나트륨 0.1g, 솔빈산 0.15g 및 향료 적량을 사용하여 샴푸를 제조하였다.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는 병풀추출물은 조성물 1(아시아티코사이드 단일성분), 조성물 2(아시아티코사이드와 아시아틱산 혼합성분), 조성물 3(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 혼합성분), 조성물 4(아시아틱산과 마데카식산 혼합성분), 조성물 5(아시아티코사이드와 아시아틱산, 마데카식산 혼합성분)에 병풀혼합물을 사용하였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은 영양크림의 배합비의 성분을 사용하여 피부 재생·상처 치유 만족도 조사, 피부 세포의 재생 효과, 상처 치료 효과, 피부탄력 개선효과 시험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시험하였다.
< 시험예 1>;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 만족도 조사
상기의 조성물 1 내지 5의 배합비에 따라서 피부재생 및 상처 치유 만족를 조사하였다. 레이저 시술 및 박피 시술을 받은 50대 및 60대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동일인의 얼굴 중에서 오른쪽 얼굴은 조성물, 왼쪽 얼굴은 대조군을 시술 부위에 각각 도포하도록 하였다. 1일주일 동안 1일2회(아침/저녁으로) 도포하도록 하였다. 이후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 개선 정도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매우좋음 아주좋음 좋음 보통 부족
% % % % %
시험예1 조성물1 2 20 3 30 5 20 1 10 - -
대조군 - - - - 6 60 3 30 1 10
시험예2 조성물2 3 30 3 30 2 20 2 20 - -
대조군 - - 1 10 6 60 2 20 1 10
시험예3 조성물3 5 50 3 30 1 10 - - - -
대조군 - - - - 5 50 4 40 1 10
시험예4 조성물4 4 40 3 30 3 30 - - - -
대조군 - - - - 4 40 4 40 2 20
시험예5 조성물5 3 30 4 40 3 30 - - - -
대조군 - - 1 10 1 10 6 60 2 20
상기의 결과로부터 시험예 3은 매우좋음이 50%이고, 시험예 4는 매우좋음이 40%를 나타내는 반면에, 각각의 대조군에서 매우좋음과 아주좋음이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 만족도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 시험예 2> ; 피부 세포의 재생 효과
인간 피부섬유아세포를 기증받아 피부세포의 증식을 통한 피부재생효과를 알아 보기 위하여 Cell countingkit-8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37℃, 5% CO2 조건의 10% FBS(fetal bovine serum), 1% penicillin-streptomycin이 첨가된 Dulbecco's Modification of Eagle's Medium에서 배양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1,000개의 인간 피부섬유아세포를 플레이팅 한 후, 표 4의 조성물을 세포 배양액에 각각 처리하고, 72시간 후 세포 증식 정도를 확인하였다. 측정 시 세포 배양액에 CCK-8 용액을 넣고(100㎕/well) 3시간 동안 인큐베이터에서 반응시킨 후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수 증가는 표준곡선의 결과를 바탕으로 조사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냈다.
구분 조성물1 조성물2 조성물3 조성물4 조성물5 대조군
1회 5219 6327 7346 7299 6488 3689
2회 5216 6331 7412 7312 6578 3567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피부 재생 촉진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조성물 3과 조성물 4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50%이상의 피부 재생 촉진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3>; 상처 치료 효과
사람 피부 각질 세포(Human Epidermal NeonatalKeratinocyte Cells)에서의 IL-6의 발현 억제 효과를 Q-RT-PCR(real time-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chain reaction)을 통해 인간의 상처 치료를 통해 염증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람 피부 각질 세포는 론자사(Lonza, Inc. Walkersville, MD, USA)에서 구입하였으며, 세포 배양액은 론자사(의 지침서에 따라, 계대 배양한 후, CO2 배양기(CO2 incubator)에서, 37℃, 5% CO2 조건하에서 세포를 배양하였다. 500㎖의 KBM-2(Clonetics CC-3103) 배지에 KGM-2 불렛 키트(Bullet kit: 비피이(BPE:Bovine pituitary extract: 2㎖), 휴먼 이지에프(hEGF: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0.5㎖), 인슐린(Insulin: 0.5㎖), 하이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0.5㎖), 트랜스페린(Transferrin: 0.5㎖), 에피네프린(Epinephrine: 0.5㎖), 젠타마이신 설페이트·암포페리신-B(Gentamycin Suflate·Amphofericin-B: GA-1000, 0.5㎖)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상기 사람 피부 각질 세포를 세포 배양 플레이트 표면의 70%를 채워 배양한 후, 배양액에 인터페론-γ(염증반응 유발물질, 100U/㎖)를 처리하고, 30분 후, 본 발명의 조성물 1 내지 5와 대조군의 조성물을 각각 첨가하고 24시간 세포를 배양하여 샘플을 준비하였다. 염증반응 비유도군으로는 인터페론-γ를 처리하지 않은 정상 세포군을 준비하였다. 각 조성물 처리 24시간 후, 10㎖의 인산염 완충액으로 세포를 두 번 세척하고, 트라이졸(Trizol reagent, Invitrogen, Carlsbad, CA, USA)을 이용하여 세포 내의 전체 RNA(total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RNA는 RNA키트(Qiagen RNeasy kit, Qiagen, Valencia, CA)를 사용하여, 재차 정제하였다. 상기에서 분리된 RNA로부터, 역전사키트(Superscript Reverse Transcriptase(RT)II kit, Invitrogen, Carlsbad, CA)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고, 이를 Q-RT-PCR 방법으로 IL-6의 발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염증 유발인자인 IL-6의발현 패턴 변화는 택맨 유전자 발현 시스템(TaqMan gene expression assay kit, AppliedBiosystems, FosterCity, CA)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IL-6 유전자 발현 분석 결과는 염증반응 비유도군과 대조군(인터페론-γ만 처리된 염증반응 양성대조군)과의 결과값의 차이값을 100%로 하여, 이에 대한 억제율을 하기 표 5에 나타내었으며, 단위는 %이다.
구분 조성물1 조성물2 조성물3 조성물4 조성물5 대조군
1회 59.2 61.1 66.3 66.7 61.4 26.8
2회 60.1 61.3 65.9 66.9 61.8 28.1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염증반응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조성물 3과 조성물 4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50%이상의 상처 치료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의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 만족도 조사, 피부 세포의 재생 효과 시험, 상처 치료 효과 시험의 결과로부터 대조군에 비하여 뚜렷한 효과를 알 수 있으므로 상처치료용 화장료 및 음료로 적용하는데 있다.
< 시험예 4>; 피부탄력 개선효과 시험
실시예의 영양크림, 밀크로션, 맛사지크림 및 팩을 제조시 아시아티코사이드 성분이 첨가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한 피부탄력 개선효과를 임상 시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피부탄력 개선효과는 피부탄력 변화의 측정을 통해 평가하였다. 피부탄력의 측정은 24∼26℃, 습도 38∼40%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10대, 20대, 30대, 40대의 건강한 여성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영양크림, 밀크로션, 맛사지크림 및 팩을 각각 피검자의 얼굴에 1일 2회씩 3개월 동안 사용하게 한 후, Cutometer SEM 474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판정기준은 5분위법(피부탄력이 매우 많음; 5, 많음; 4, 보통; 3, 미흡; 1∼2, 없음; 0)으로 하여 상대적인 값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영양크림 밀크로션 맛사지크림
피부
탄력
실시예 대조군 실시예 대조군 실시예 대조군 실시예 대조군
4.25 3.72 4.21 3.85 4.12 3.75 4.21 3.83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에 적용할 때도 피부주름(탄력) 개선 효과가 대조군에 비하여 우수함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5>; 주름 개선 효과
실시예 1(영양크림), 실시예 2(밀크로션), 실시예 4(맛사지크림), 실시예 5(팩) 및 대조군의 주름 개선 효과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30대 및 40대 여성 20명을 아침 저녁 매일 2회씩 4주간 팔 하박 내측에 도포하게 한 후, 주름의 상태를 화상분석기 Skin touchsystem(STS, 한국)으로 측정한 결과를 평균하여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이 값은 주름의 많고 적음을 6분위법으로 나타내며 숫자가 높을수록 주름이 많은 것을 나타낸다.
구분 영양크림 밀크로션 맛사지크림
주름
개선
실시예 대조군 실시예 대조군 실시예 대조군 실시예 대조군
1.8 3.4 1.9 3.3 1.6 3.2 1.5 3.1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에 적용할 때도 주름 개선 효과가 대조군에 비하여 우수함을 알 수 있다.
< 실시예 9> 음료조성물
음료조성물의 병풀추출성분은 다음의 5가지 경우의 수와 같이 0.2∼0.6g를 사용하여 5종의 음료를 제조하였다. 조성물은 벌꿀 4ml, 키토올리고당 2ml, 구연산 나트륨 1g, 알긴산 나트륨 1g, D-솔비톨 1g, 타우린 0.1(ml,g) 홍삼농축액 0.5ml, 비타민C 0.2g 및 잔부의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 시험예 6>; 관능 검사
병풀 추출물별 배합비(조성물1; 0.2, 조성물2; 0.3, 조성물4;0.4, 조성물5; 0.45)에 따라서, 음료조성물을 섞어 만든 병풀추출물 음료를 시중의 비타민음료(K제약제품)와 냄새, 맛, 기호성을 비교하였다. 잘 훈련된 패널(20대, 30대, 40대 남녀 각 2명)을 대상으로 5점척도법(매우좋음; 5, 좋음; 4, 보통; 3, 미흡; 2점이하)으로 나타냈다.
구분 조성물1 조성물2 조성물3 조성물4 조성물5 대조군
냄새 4.3 4.4 4.5 4.5 4.4 4.5
4.2 4.3 4.4 4.4 4.3 4.5
기호도 4.3 4.3 4.5 4.4 4.4 4.4
상기의 결과로부터 병풀추출물을 이용한 음료조성물은 시중 제품과 관능을 비교하더라도 동일 또는 유사한 범위의 맛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병풍추출물은 음료 및 화장료로 사용할 경우에 보습효과, 주름개선, 상처치유, 내상치유 효과를 제공하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

Claims (4)

  1. 병풀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 및 아시아틱산을 포함하는, 상처치유, 세포재생 및 피부질환 개선용 음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마데카소사이드 또는 마데카식산이 추가로 포함되는 상처치유, 세포재생 및 피부질환 개선용 음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병풀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 아시아틱산, 마데카소사이드 또는 마데카식산이 조성물 전체 중량대비 0.01~1%(w/w) 포함되는 상처치유, 세포재생 및 피부질환 개선용 음료 조성물.
  4. 병풀에 알코올로 반응시켜 여과하여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 용액을 탈색 및 농축하여 이들의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의 혼합물을 탈색 및 농축하여 결정화시켜 아시아티코사이드 배당체를 얻는 단계,
    상기의 배당체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 혼합물을 알코올에 용해시켜 강염기로 반응시키고, 강산으로 중화한 후, 농축 및 건조하여 가수분해물인 아시아틱산과 마데카식산을 얻는 단계, 및
    상기의 배당체인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 또는 가수분해물인 아시아틱산과 마데카식산을 단독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음료의 부재료와 섞어 음료 조성물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처치유, 세포재생 및 피부질환 개선용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70075073A 2017-06-14 2017-06-14 병풀로부터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틱산 및 마데카식산을 포함하는 음료 및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721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073A KR20170072177A (ko) 2017-06-14 2017-06-14 병풀로부터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틱산 및 마데카식산을 포함하는 음료 및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073A KR20170072177A (ko) 2017-06-14 2017-06-14 병풀로부터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틱산 및 마데카식산을 포함하는 음료 및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106A Division KR20170050062A (ko) 2015-10-29 2015-10-29 병풀로부터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틱산 및 마데카식산을 포함하는 음료 및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177A true KR20170072177A (ko) 2017-06-26

Family

ID=59282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073A KR20170072177A (ko) 2017-06-14 2017-06-14 병풀로부터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틱산 및 마데카식산을 포함하는 음료 및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217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433A (ko) 2017-09-05 2019-03-13 코스맥스 주식회사 병풀 추출물의 공융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13264B1 (ko) * 2019-02-13 2019-08-22 (주)클래시스 집속초음파 기술을 이용한 병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수득된 병풀 추출물
KR102013274B1 (ko) * 2019-03-12 2019-08-22 (주)클래시스 집속초음파 기술을 이용하여 수득된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32454A (ko) * 2018-09-18 2020-03-26 (주)한국기능성화장품연구센터 Rx 콤플렉스 에스를 함유하는 피부 피지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7685A (ko) 2019-08-09 2021-02-17 코스맥스 주식회사 센텔라정량추출물이 분산 안정화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433A (ko) 2017-09-05 2019-03-13 코스맥스 주식회사 병풀 추출물의 공융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200032454A (ko) * 2018-09-18 2020-03-26 (주)한국기능성화장품연구센터 Rx 콤플렉스 에스를 함유하는 피부 피지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3264B1 (ko) * 2019-02-13 2019-08-22 (주)클래시스 집속초음파 기술을 이용한 병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수득된 병풀 추출물
KR102013274B1 (ko) * 2019-03-12 2019-08-22 (주)클래시스 집속초음파 기술을 이용하여 수득된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7685A (ko) 2019-08-09 2021-02-17 코스맥스 주식회사 센텔라정량추출물이 분산 안정화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095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70050062A (ko) 병풀로부터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틱산 및 마데카식산을 포함하는 음료 및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8361522B2 (en) Cosmetic and/o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their applications
KR20170072177A (ko) 병풀로부터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틱산 및 마데카식산을 포함하는 음료 및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76071B1 (ko) 붉은 작두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및 미백용 조성물
KR20200057677A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US20090253794A1 (en) Fibroblast Activator, Collagen Production Promoter, Collagen Contraction Promoter, Hyaluronic Acid Production Promoter, ATP Production Promoter, Melanin Formation Inhibitor, and Agent for External Application to the Skin
KR20160116800A (ko) 피부보습용 조성물
JP2004067590A (ja) 女性ホルモン産生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20150007975A (ko)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721022B1 (ko) 아디프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 및 피부탄력증진용 조성물
KR101668357B1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WO2015001891A1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用、エラスチン産生促進用および/またはケラチノサイト遊走促進用組成物およびその利用
KR20200005188A (ko)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577528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993575B1 (ko) 테트라데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피부보습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102236417B1 (ko) 호랑가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및 그 용도
KR20170138754A (ko) 카다베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20230004170A (ko) 2-phloroeck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701502B1 (ko) 데칸알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702493B1 (ko) 보르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30008956A (ko) 멸가치 추출물 또는 네오클로로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20165545A (ko) 3,3&#39;,4-tri-O-methylellagic acid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025365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30076555A (ko) 녹차 뿌리 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