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5188A -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5188A KR20200005188A KR1020180078585A KR20180078585A KR20200005188A KR 20200005188 A KR20200005188 A KR 20200005188A KR 1020180078585 A KR1020180078585 A KR 1020180078585A KR 20180078585 A KR20180078585 A KR 20180078585A KR 20200005188 A KR20200005188 A KR 202000051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sition
- wound
- formula
- indirubin
- oi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5
- -1 Indirubin derivative compound Chemical clas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4
- CRDNMYFJWFXOCH-YPKPFQOOSA-N (3z)-3-(3-oxo-1h-indol-2-ylidene)-1h-indol-2-one Chemical class N/1C2=CC=CC=C2C(=O)C\1=C1/C2=CC=CC=C2NC1=O CRDNMYFJWFXOCH-YPKPFQOO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7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9
- 206010052428 Wound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8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3
- 230000029663 wound hea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239000001100 (2S)-5,7-dihydroxy-2-(3-hydroxy-4-methoxyphenyl)chroman-4-o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QUQPHWDTPGMPEX-UHFFFAOYSA-N Hesperidine Natural products C1=C(O)C(OC)=CC=C1C1OC2=CC(OC3C(C(O)C(O)C(COC4C(C(O)C(O)C(C)O4)O)O3)O)=CC(O)=C2C(=O)C1 QUQPHWDTPGMPEX-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LUJAXSNNYBCFEE-UHFFFAOYSA-N Quercetin 3,7-dimethyl ether Natural products C=1C(OC)=CC(O)=C(C(C=2OC)=O)C=1OC=2C1=CC=C(O)C(O)=C1 LUJAXSNNYBCFEE-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PUTDIROJWHRSJW-UHFFFAOYSA-N Quercitrin Natural products CC1OC(Oc2cc(cc(O)c2O)C3=CC(=O)c4c(O)cc(O)cc4O3)C(O)C(O)C1O PUTDIROJWHRSJW-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OXGUCUVFOIWWQJ-XIMSSLRFSA-N acanthophorin B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C@H]1OC1=C(C=2C=C(O)C(O)=CC=2)OC2=CC(O)=CC(O)=C2C1=O OXGUCUVFOIWWQJ-XIMSSLRF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QUQPHWDTPGMPEX-UTWYECKDSA-N aurantiamarin Natural products COc1ccc(cc1O)[C@H]1CC(=O)c2c(O)cc(O[C@@H]3O[C@H](CO[C@@H]4O[C@@H](C)[C@H](O)[C@@H](O)[C@H]4O)[C@@H](O)[C@H](O)[C@H]3O)cc2O1 QUQPHWDTPGMPEX-UTWYECKD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APSNPMVGBGZYAJ-GLOOOPAXSA-N clematine Natural products COc1cc(ccc1O)[C@@H]2CC(=O)c3c(O)cc(O[C@@H]4O[C@H](CO[C@H]5O[C@@H](C)[C@H](O)[C@@H](O)[C@H]5O)[C@@H](O)[C@H](O)[C@H]4O)cc3O2 APSNPMVGBGZYAJ-GLOOOPAX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29940025878 hesperidin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QUQPHWDTPGMPEX-QJBIFVCTSA-N hesperidin Chemical compound C1=C(O)C(OC)=CC=C1[C@H]1OC2=CC(O[C@H]3[C@@H]([C@@H](O)[C@H](O)[C@@H](CO[C@H]4[C@@H]([C@H](O)[C@@H](O)[C@H](C)O4)O)O3)O)=CC(O)=C2C(=O)C1 QUQPHWDTPGMPEX-QJBIFVCT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VUYDGVRIQRPHFX-UHFFFAOYSA-N hesperidin Natural products COc1cc(ccc1O)C2CC(=O)c3c(O)cc(OC4OC(COC5OC(O)C(O)C(O)C5O)C(O)C(O)C4O)cc3O2 VUYDGVRIQRPHFX-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ARGKVCXINMKCAZ-UHFFFAOYSA-N neohesperidine Natural products C1=C(O)C(OC)=CC=C1C1OC2=CC(OC3C(C(O)C(O)C(CO)O3)OC3C(C(O)C(O)C(C)O3)O)=CC(O)=C2C(=O)C1 ARGKVCXINMKCAZ-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OEKUVLQNKPXSOY-UHFFFAOYSA-N quercetin 3-O-beta-D-glucopyranosyl(1->3)-alpha-L-rhamnopyranosyl(1->6)-beta-d-galactopyra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C(O)C)OC1OC1=C(C=2C=C(O)C(O)=CC=2)OC2=CC(O)=CC(O)=C2C1=O OEKUVLQNKPXSOY-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QPHXPNUXTNHJOF-UHFFFAOYSA-N quercetin-7-O-beta-L-rhamnopyra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C1OC1=CC(O)=C2C(=O)C(O)=C(C=3C=C(O)C(O)=CC=3)OC2=C1 QPHXPNUXTNHJOF-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OXGUCUVFOIWWQJ-HQBVPOQASA-N quercitr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C@H]1OC1=C(C=2C=C(O)C(O)=CC=2)OC2=CC(O)=CC(O)=C2C1=O OXGUCUVFOIWWQJ-HQBVPOQA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0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2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8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9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2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0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9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9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29920000858 Cyclodextr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HFHDHCJBZVLPGP-UHFFFAOYSA-N schardinger α-dextrin Chemical compound O1C(C(C2O)O)C(CO)OC2OC(C(C2O)O)C(CO)OC2OC(C(C2O)O)C(CO)OC2OC(C(O)C2O)C(CO)OC2OC(C(C2O)O)C(CO)OC2OC2C(O)C(O)C1OC2CO HFHDHCJBZVLPG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8
- 125000002496 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5000010482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29920000053 polysorbate 80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29920001214 Polysorbate 60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9000006210 lo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29920001213 Polysorbate 20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5000010486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9000000256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10000002510 keratinocyt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5000010989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01818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36560 skin regen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102000008186 Collagen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108010035532 Collagen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29920001436 collage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29920000136 polysorb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37394 skin elastic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102000013814 Wnt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108050003627 Wnt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NWGKJDSIEKMTRX-AAZCQSIUSA-N Sorbitan monoole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C@@H](O)[C@H]1OC[C@H](O)[C@H]1O NWGKJDSIEKMTRX-AAZCQSIUSA-N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29950004959 sorbitan oleat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4006 olive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5000008390 olive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20001983 poloxa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2674 oint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8389 polyethoxylated castor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10483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249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19486 Sunflower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2600 sunflower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699 top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686 esse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7319 collagen pro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1000004624 Dermat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10000002950 fibroblas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8000025865 Ulcer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1100000397 ulcer Toxicity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5606 childbirth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733 trauma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7317 transdermal deliver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9000012459 clean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1
- BVWTXUYLKBHMOX-UHFFFAOYSA-N methyl vanillate Chemical compound COC(=O)C1=CC=C(O)C(OC)=C1 BVWTXUYLKBHMOX-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48
- 231100000241 scar Toxicity 0.000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08000032544 Cicatrix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37387 scar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08849 Evodia daniellii Nutrition 0.000 abstract 1
- 241001078981 Tetradium daniellii Species 0.000 abstract 1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73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1
- 239000013641 posi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0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7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4
- VBEQCZHXXJYVRD-GACYYNSASA-N uroanthelone Chemical compound C([C@@H](C(=O)N[C@H](C(=O)N[C@@H](CS)C(=O)N[C@@H](CC(N)=O)C(=O)N[C@@H](CS)C(=O)N[C@H](C(=O)N[C@@H]([C@@H](C)CC)C(=O)NCC(=O)N[C@@H](CC=1C=CC(O)=CC=1)C(=O)N[C@@H](CO)C(=O)NCC(=O)N[C@@H](CC(O)=O)C(=O)N[C@@H](CCCNC(N)=N)C(=O)N[C@@H](CS)C(=O)N[C@@H](CCC(N)=O)C(=O)N[C@@H]([C@@H](C)O)C(=O)N[C@@H](CCCNC(N)=N)C(=O)N[C@@H](CC(O)=O)C(=O)N[C@@H](CC(C)C)C(=O)N[C@@H](CCCNC(N)=N)C(=O)N[C@@H](CC=1C2=CC=CC=C2NC=1)C(=O)N[C@@H](CC=1C2=CC=CC=C2NC=1)C(=O)N[C@@H](CCC(O)=O)C(=O)N[C@@H](CC(C)C)C(=O)N[C@@H](CCCNC(N)=N)C(O)=O)C(C)C)[C@@H](C)O)NC(=O)[C@H](CO)NC(=O)[C@H](CC(O)=O)NC(=O)[C@H](CC(C)C)NC(=O)[C@H](CO)NC(=O)[C@H](CCC(O)=O)NC(=O)[C@@H](NC(=O)[C@H](CC=1NC=NC=1)NC(=O)[C@H](CCSC)NC(=O)[C@H](CS)NC(=O)[C@@H](NC(=O)CNC(=O)CNC(=O)[C@H](CC(N)=O)NC(=O)[C@H](CC(C)C)NC(=O)[C@H](CS)NC(=O)[C@H](CC=1C=CC(O)=CC=1)NC(=O)CNC(=O)[C@H](CC(O)=O)NC(=O)[C@H](CC=1C=CC(O)=CC=1)NC(=O)[C@H](CO)NC(=O)[C@H](CO)NC(=O)[C@H]1N(CCC1)C(=O)[C@H](CS)NC(=O)CNC(=O)[C@H]1N(CCC1)C(=O)[C@H](CC=1C=CC(O)=CC=1)NC(=O)[C@H](CO)NC(=O)[C@@H](N)CC(N)=O)C(C)C)[C@@H](C)CC)C1=CC=C(O)C=C1 VBEQCZHXXJYVRD-GACYYNSASA-N 0.000 description 48
- 102000009024 Epidermal Growth Factor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5
- 101800003838 Epidermal growth fac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45
- 229940116977 epidermal growth factor Drugs 0.000 description 4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4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0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40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8
- 229920002565 Polyethylene Glycol 400 Polymers 0.000 description 35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5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3
- 150000003384 small molecul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0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8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5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25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4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4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10587 phase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1
- NIJJYAXOARWZEE-UHFFFAOYSA-N di-n-propyl-acet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O)=O)CCC NIJJYAXOARWZE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1
- MSRILKIQRXUYCT-UHFFFAOYSA-M valproate semisodium Chemical compound [Na+].CCCC(C(O)=O)CCC.CCCC(C([O-])=O)CCC MSRILKIQRXUYC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1
- 229960000604 valpro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1
- 241000699666 Mus <mouse, genus> Species 0.000 description 20
- 235000020971 citrus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5063 solu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7928 solubi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0186 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29920003171 Poly (ethylene 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8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8
- JLFNLZLINWHATN-UHFFFAOYSA-N penta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CCOCCOCCOCCO JLFNLZLINWHA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8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8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PUPZLCDOIYMWBV-UHFFFAOYSA-N (+/-)-1,3-Butanediol Chemical compound CC(O)CCO PUPZLCDOIYMWB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6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6
- 210000002615 epi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0253 intravenous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344 soa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41000207199 Cit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JUJWROOIHBZHMG-UHFFFAOYSA-N Pyridine Chemical compound C1=CC=NC=C1 JUJWROOIHBZHM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YIQKLZYTHXTDDT-UHFFFAOYSA-H Sirius red F3B Chemical compound C1=CC(=CC=C1N=NC2=CC(=C(C=C2)N=NC3=C(C=C4C=C(C=CC4=C3[O-])NC(=O)NC5=CC6=CC(=C(C(=C6C=C5)[O-])N=NC7=C(C=C(C=C7)N=NC8=CC=C(C=C8)S(=O)(=O)[O-])S(=O)(=O)[O-])S(=O)(=O)O)S(=O)(=O)O)S(=O)(=O)[O-])S(=O)(=O)[O-].[Na+].[Na+].[Na+].[Na+].[Na+].[Na+] YIQKLZYTHXTDDT-UHFFFAOYSA-H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4899 mot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12292 cell mi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3906 hume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5012 mi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3508 mig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736 non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3995 emulsify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29940058015 1,3-butylene glycol Drugs 0.000 description 8
- 102100033350 ATP-dependent translocase ABCB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8
- DKPFZGUDAPQIHT-UHFFFAOYSA-N Butyl acetate Natural products CCCCOC(C)=O DKPFZGUDAPQIH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41000218645 Cedrus Species 0.000 description 8
- 108010047230 Member 1 Subfamily B ATP Binding Cassette Transporter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2556 Polyethylene Glycol 300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9437 butane-1,3-di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6184 co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FUZZWVXGSFPDMH-UHFFFAOYSA-N hex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O)=O FUZZWVXGSFPDM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927 intramuscular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255 intramuscular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929 subcutaneous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254 subcutaneous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475 sunscreen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516 sunscre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108060000903 Beta-catenin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102000015735 Beta-caten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102000012422 Collagen Type I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108010022452 Collagen Type I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102100040445 Keratin, type I cytoskeletal 14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108010066321 Keratin-14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101150008755 PCNA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206010040880 Skin irrit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7
- BXWNKGSJHAJOGX-UHFFFAOYSA-N hexadecan-1-ol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O BXWNKGSJHAJO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0000036556 skin irr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1100000475 skin irritation Toxicity 0.000 description 7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6144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9087 cell mot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354 dai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6
- GLDOVTGHNKAZLK-UHFFFAOYSA-N octadecan-1-ol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 GLDOVTGHNKAZL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UMJSCPRVCHMLSP-UHFFFAOYSA-N pyridine Natural products COC1=CC=CN=C1 UMJSCPRVCHMLS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1993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087 whit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166 Lanol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71 animal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HBDSHCUSXQATPO-BGBJRWHRSA-N indirubin-3'-monoxime Chemical compound O=C/1NC2=CC=CC=C2C\1=C\1/C(=N/O)/C2=CC=CC=C2N/1 HBDSHCUSXQATPO-BGBJRWHRSA-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388 lanol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29940039717 lanolin Drug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5
- YSIKXXBSGNCIBA-UHFFFAOYSA-N 5-bromo-3-(3-nitroso-1H-indol-2-yl)-1H-indol-2-ol Chemical compound Oc1[nH]c2ccc(Br)cc2c1-c1[nH]c2ccccc2c1N=O YSIKXXBSGNCIB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DDLZLOKCJHBUHD-WAVHTBQISA-N 6-bromoindirubin-3'-oxime Chemical compound O=C/1NC2=CC(Br)=CC=C2C\1=C\1/C(=N/O)/C2=CC=CC=C2N/1 DDLZLOKCJHBUHD-WAVHTBQISA-N 0.000 description 4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4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4
- WZUVPPKBWHMQCE-UHFFFAOYSA-N Haematoxylin Chemical compound C12=CC(O)=C(O)C=C2CC2(O)C1C1=CC=C(O)C(O)=C1OC2 WZUVPPKBWHMQ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JBOPQACSHPPKEP-UHFFFAOYSA-N Indox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1=CC=C2C(OC(=O)C)=CNC2=C1 JBOPQACSHPPK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83 alkali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3863 ammon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55 chew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1869 dried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55 food flavor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727 in vivo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40057995 liquid paraffin Drug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866 long-term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HQKMJHAJHXVSDF-UHFFFAOYSA-L magnes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Mg+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HQKMJHAJHXVSDF-UHFFFAOYSA-L 0.000 description 4
- BDAGIHXWWSANSR-UHFFFAOYSA-N methanoic acid Natural products OC=O BDAGIHXWWSANS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72 mouse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2923 oxim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002 quan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HELXLJCILKEWJH-NCGAPWICSA-N rebaudioside A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H]([C@@H]1O[C@H]1[C@@H]([C@@H](O)[C@H](O)[C@@H](CO)O1)O)O[C@]12C(=C)C[C@@]3(C1)CC[C@@H]1[C@@](C)(CCC[C@]1([C@@H]3CC2)C)C(=O)O[C@H]1[C@@H]([C@@H](O)[C@H](O)[C@@H](CO)O1)O)[C@@H]1O[C@H](CO)[C@@H](O)[C@H](O)[C@H]1O HELXLJCILKEWJH-NCGAPWIC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130 stem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4
- 150000003431 ster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138 yeast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ALSTYHKOOCGGFT-KTKRTIGZSA-N (9Z)-octadecen-1-ol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 ALSTYHKOOCGGFT-KTKRTIGZSA-N 0.000 description 3
- WRIDQFICGBMAFQ-UHFFFAOYSA-N (E)-8-Octadece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WRIDQFICGBMA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LQJBNNIYVWPHFW-UHFFFAOYSA-N 20:1omega9c fatty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O)=O LQJBNNIYVWPHF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HIQIXEFWDLTDED-UHFFFAOYSA-N 4-hydroxy-1-piperidin-4-ylpyrrolidin-2-one Chemical compound O=C1CC(O)CN1C1CCNCC1 HIQIXEFWDLTDE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QSBYPNXLFMSGKH-UHFFFAOYSA-N 9-Heptadecensaeur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O)=O QSBYPNXLFMSGK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WEVYAHXRMPXWCK-UHFFFAOYSA-N Acetonitrile Chemical compound CC#N WEVYAHXRMPXWC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GUBGYTABKSRVRQ-XLOQQCSPSA-N Alpha-Lac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O)[C@H]1O GUBGYTABKSRVRQ-XLOQQCSP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75 Argin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735 C3H mous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3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3
- QMMFVYPAHWMCMS-UHFFFAOYSA-N Dimethyl sulfide Chemical compound CSC QMMFVYPAHWMCM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386 Erythr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UNXHWFMMPAWVPI-UHFFFAOYSA-N Erythr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 UNXHWFMMPAWVP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3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3
- CSNNHWWHGAXBCP-UHFFFAOYSA-L Magnes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Mg+2].[O-][S+2]([O-])([O-])[O-] CSNNHWWHGAXBC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642 Ole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ZQPPMHVWECSIRJ-UHFFFAOYSA-N 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ZQPPMHVWECSIR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30040373 Paraformaldehyd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06010072170 Skin wound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355 Stea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TVXBFESIOXBWNM-UHFFFAOYSA-N Xylitol Natural products OCCC(O)C(O)C(O)CCO TVXBFESIOXBW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29940088710 antibio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3
- ODKSFYDXXFIFQN-UHFFFAOYSA-N arginine Natural products OC(=O)C(N)CCCNC(N)=N ODKSFYDXXFIFQ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60000541 cetyl alcohol Drugs 0.000 description 3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UNXHWFMMPAWVPI-ZXZARUISSA-N 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O UNXHWFMMPAWVPI-ZXZARUIS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414 erythr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40009714 erythritol Drug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6507 interph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QXJSBBXBKPUZAA-UHFFFAOYSA-N iso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QXJSBBXBKPUZA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HEBKCHPVOIAQTA-UHFFFAOYSA-N meso rib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CO HEBKCHPVOIAQ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GOQYKNQRPGWPLP-UHFFFAOYSA-N n-heptadecyl alcoho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O GOQYKNQRPGWPL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957 no side effect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108020004707 nucleic acid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000039446 nucleic acid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7523 nucle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QIQXTHQIDYTFRH-UHFFFAOYSA-N octadec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QIQXTHQIDYTFR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QCDKBAXFALNLD-UHFFFAOYSA-N octadeca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OQCDKBAXFALNL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ZQPPMHVWECSIRJ-KTKRTIGZSA-N ole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ZQPPMHVWECSIRJ-KTKRTIGZSA-N 0.000 description 3
- XMLQWXUVTXCDDL-UHFFFAOYSA-N oleyl alcoho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 XMLQWXUVTXCD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40055577 oleyl alcohol Drug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188 paraffin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866 paraformaldehy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911 parenter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19 plant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047 saturat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356 sorb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17 stea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29 supposito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200 topic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314 wound repair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3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3
- DSEKYWAQQVUQTP-XEWMWGOFSA-N (2r,4r,4as,6as,6as,6br,8ar,12ar,14as,14bs)-2-hydroxy-4,4a,6a,6b,8a,11,11,14a-octamethyl-2,4,5,6,6a,7,8,9,10,12,12a,13,14,14b-tetradecahydro-1h-picen-3-one Chemical compound C([C@H]1[C@]2(C)CC[C@@]34C)C(C)(C)CC[C@]1(C)CC[C@]2(C)[C@H]4CC[C@@]1(C)[C@H]3C[C@@H](O)C(=O)[C@@H]1C DSEKYWAQQVUQTP-XEWMWGOFSA-N 0.000 description 2
- OYHQOLUKZRVURQ-NTGFUMLPSA-N (9Z,12Z)-9,10,12,13-tetratritiooctadeca-9,12-di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3H])\[3H])\[3H])\[3H])(=O)O OYHQOLUKZRVURQ-NTGFUMLPSA-N 0.000 description 2
- QMMJWQMCMRUYTG-UHFFFAOYSA-N 1,2,4,5-tetrachloro-3-(trifluoromethyl)benzene Chemical compound FC(F)(F)C1=C(Cl)C(Cl)=CC(Cl)=C1Cl QMMJWQMCMRUYT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HXKKHQJGJAFBHI-UHFFFAOYSA-N 1-aminopropan-2-ol Chemical class CC(O)CN HXKKHQJGJAFBH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EACJMVNYZDSKR-UHFFFAOYSA-N 2-octyldodecan-1-ol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O)CCCCCCCC LEACJMVNYZDSK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SWFIVFLDKOXQC-UHFFFAOYSA-N 4-(3-methoxyphenyl)aniline Chemical compound COC1=CC=CC(C=2C=CC(N)=CC=2)=C1 OSWFIVFLDKOXQ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CGISRHGYLRXSR-UHFFFAOYSA-N 4-hydroxy-7-[(5-hydroxy-7-sulfonaphthalen-2-yl)carbamoylamino]naphthalene-2-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1=CC(S(O)(=O)=O)=CC2=CC(NC(=O)NC=3C=C4C=C(C=C(C4=CC=3)O)S(O)(=O)=O)=CC=C21 PCGISRHGYLRXS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JKROLUGYXJWQN-UHFFFAOYSA-N 4-hydroxybenzoic acid Chemical class OC(=O)C1=CC=C(O)C=C1 FJKROLUGYXJWQ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2
- 108010011485 Aspartam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MZKFILOLSANFFN-NVVUQHMZSA-N COc(cc1)cc(/C2=C3/Nc4ccccc4/C3=N\O)c1NC2=O Chemical compound COc(cc1)cc(/C2=C3/Nc4ccccc4/C3=N\O)c1NC2=O MZKFILOLSANFFN-NVVUQHMZSA-N 0.000 description 2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44000180278 Copernicia prun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919 Copernicia prun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SNPLKNRPJHDVJA-ZETCQYMHSA-N D-panthenol Chemical compound OCC(C)(C)[C@@H](O)C(=O)NCCCO SNPLKNRPJHDVJA-ZETCQYMH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11985 Decubitus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75 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353 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IAZDPXIOMUYVGZ-WFGJKAKNSA-N Dimethyl sulfoxide Chemical compound [2H]C([2H])([2H])S(=O)C([2H])([2H])[2H] IAZDPXIOMUYVGZ-WFGJKAKNSA-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41001553290 Euphorbia antisyphilitic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63560 Excessive granulation tissu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512 FEMA 460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6936 Follicul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78 Glycyrrhiz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1531 Impetigo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KDXKERNSBIXSRK-UHFFFAOYSA-N Lysine Natural products NCCCCC(N)C(O)=O KDXKERNSBIXSR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72 Lys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WYQVAPGDARQUBT-FGWHUCSPSA-N Madecassol Chemical compound O([C@@H]1[C@@H](CO)O[C@H]([C@@H]([C@H]1O)O)OC[C@H]1O[C@H]([C@@H]([C@@H](O)[C@@H]1O)O)OC(=O)[C@]12CC[C@H]([C@@H]([C@H]1C=1[C@@]([C@@]3(CC[C@H]4[C@](C)(CO)[C@@H](O)[C@H](O)C[C@]4(C)[C@H]3CC=1)C)(C)CC2)C)C)[C@@H]1O[C@@H](C)[C@H](O)[C@@H](O)[C@H]1O WYQVAPGDARQUBT-FGWHUCSPSA-N 0.000 description 2
- DFPAKSUCGFBDDF-UHFFFAOYSA-N Nicotinamide Chemical compound NC(=O)C1=CC=CN=C1 DFPAKSUCGFBDD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82 Palm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8000004210 Pressure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HELXLJCILKEWJH-SEAGSNCFSA-N Rebaudioside A Natural products O=C(O[C@H]1[C@@H](O)[C@@H](O)[C@H](O)[C@@H](CO)O1)[C@@]1(C)[C@@H]2[C@](C)([C@H]3[C@@]4(CC(=C)[C@@](O[C@H]5[C@H](O[C@H]6[C@H](O)[C@@H](O)[C@H](O)[C@@H](CO)O6)[C@@H](O[C@H]6[C@H](O)[C@@H](O)[C@H](O)[C@@H](CO)O6)[C@H](O)[C@@H](CO)O5)(C4)CC3)CC2)CCC1 HELXLJCILKEWJH-SEAGSNCF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28990 Skin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CDBYLPFSWZWCQE-UHFFFAOYSA-L Sod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Na+].[O-]C([O-])=O CDBYLPFSWZWCQ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385 Sodium hyalur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4000228451 Stevia rebaud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GSEJCLTVZPLZKY-UHFFFAOYSA-N Triethanolamine Chemical class OCCN(CCO)CCO GSEJCLTVZPLZ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SLINHMUFWFWBMU-UHFFFAOYSA-N Triisopropanolamine Chemical compound CC(O)CN(CC(C)O)CC(C)O SLINHMUFWFWBM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43 active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4 alkaline earth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POJWUDADGALRAB-UHFFFAOYSA-N allantoin Chemical compound NC(=O)NC1NC(=O)NC1=O POJWUDADGALRA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DTOSIQBPPRVQHS-PDBXOOCHSA-N alpha-linolen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DTOSIQBPPRVQHS-PDBXOOCH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61 alpha-linole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45 an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121375 antifungal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429 antifung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125 aqueous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BTFJIXJJCSYFAL-UHFFFAOYSA-N arachidyl alcoho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O BTFJIXJJCSYFA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05 asparta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57 aspartam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IAOZJIPTCAWIRG-QWRGUYRKSA-N aspartame Chemical compound OC(=O)C[C@H](N)C(=O)N[C@H](C(=O)OC)CC1=CC=CC=C1 IAOZJIPTCAWIRG-QWRGUYRK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438 aspartam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302 avocado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63 avocado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9000000009 bar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121 but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9000000007 calc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59 castor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38 castor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93 cat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768 cat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779 cell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887 cell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659 cell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38 chel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78 cosmetic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343 cotton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85 cottonseed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123 defe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51 depi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07 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25 dext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ZBCBWPMODOFKDW-UHFFFAOYSA-N diethanolamine Chemical class OCCNCCO ZBCBWPMODOFKD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VTYICIALWPMFW-UHFFFAOYSA-N diisopropanolamine Chemical class CC(O)CNCC(C)O LVTYICIALWPMF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016 di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HELXLJCILKEWJH-UHFFFAOYSA-N entered according to Sigma 01432 Natural products C1CC2C3(C)CCCC(C)(C(=O)OC4C(C(O)C(O)C(CO)O4)O)C3CCC2(C2)CC(=C)C21OC(C1OC2C(C(O)C(O)C(CO)O2)O)OC(CO)C(O)C1OC1OC(CO)C(O)C(O)C1O HELXLJCILKEWJ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169 ethanol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31 expec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253 for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ZEMPKEQAKRGZGQ-XOQCFJPHSA-N glycerol triricinoleate Natural products CCCCCC[C@@H](O)CC=CCCCCCCCC(=O)OC[C@@H](COC(=O)CCCCCCCC=CC[C@@H](O)CCCCCC)OC(=O)CCCCCCCC=CC[C@H](O)CCCCCC ZEMPKEQAKRGZGQ-XOQCFJPHSA-N 0.000 description 2
- KWIUHFFTVRNATP-UHFFFAOYSA-N glycine betaine Chemical compound C[N+](C)(C)CC([O-])=O KWIUHFFTVRNA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PLVUJXQOOQHMX-UHFFFAOYSA-N glycyrrhetinic acid glycoside Natural products C1CC(C2C(C3(CCC4(C)CCC(C)(CC4C3=CC2=O)C(O)=O)C)(C)CC2)(C)C2C(C)(C)C1OC1OC(C(O)=O)C(O)C(O)C1OC1OC(C(O)=O)C(O)C(O)C1O LPLVUJXQOOQHM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YRUBYNTXSDKQT-UHFFFAOYSA-N glycyrrhizic acid Natural products CC1(C)C(CCC2(C)C1CCC3(C)C2C(=O)C=C4C5CC(C)(CCC5(C)CCC34C)C(=O)O)OC6OC(C(O)C(O)C6OC7OC(O)C(O)C(O)C7C(=O)O)C(=O)O UYRUBYNTXSDKQ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4949 glycyrrhiz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10 glycyrrhiz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LPLVUJXQOOQHMX-QWBHMCJMSA-N glycyrrhiz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O[C@@H]1O[C@@H]1C([C@H]2[C@]([C@@H]3[C@@]([C@@]4(CC[C@@]5(C)CC[C@@](C)(C[C@H]5C4=CC3=O)C(O)=O)C)(C)CC2)(C)CC1)(C)C)C(O)=O)[C@@H]1O[C@H](C(O)=O)[C@@H](O)[C@H](O)[C@H]1O LPLVUJXQOOQHMX-QWBHMCJM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126 granulation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159000000011 group IA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72 hydrogenated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30 hygroscop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43 imp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UGNVMKQXJXZCD-UHFFFAOYSA-N isopropyl palmit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O)OC(C)C XUGNVMKQXJXZC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656 jasmin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119170 jojoba wax Drugs 0.000 description 2
- KQQKGWQCNNTQJW-UHFFFAOYSA-N linolen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KQQKGWQCNNTQJ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4488 linole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159000000003 magnes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59 magnes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772 mon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FRQONEWDWWHIPM-UHFFFAOYSA-N n,n-dicyclohexylcyclohexanamine Chemical class C1CCCCC1N(C1CCCCC1)C1CCCCC1 FRQONEWDWWHIP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KSCKTBJJRVPGKM-UHFFFAOYSA-N octan-1-olate;titanium(4+) Chemical compound [Ti+4].CCCCCCCC[O-].CCCCCCCC[O-].CCCCCCCC[O-].CCCCCCCC[O-] KSCKTBJJRVPGK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313 ole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40 palm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72 p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04 perfu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271 petrol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804 poly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159000000001 potass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51 pro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02612 prodrug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203 rebaudioside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204 saccha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CVHZOJJKTDOEJC-UHFFFAOYSA-N saccharin Chemical compound C1=CC=C2C(=O)NS(=O)(=O)C2=C1 CVHZOJJKTDO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40081974 sacchar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01 saccharin and its Na,K and Ca s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761 scalp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453 shamp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884 skin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80 skin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10747 sodium hyaluronate Drugs 0.000 description 2
- 159000000000 sod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YWIVKILSMZOHHF-QJZPQSOGSA-N sodium;(2s,3s,4s,5r,6r)-6-[(2s,3r,4r,5s,6r)-3-acetamido-2-[(2s,3s,4r,5r,6r)-6-[(2r,3r,4r,5s,6r)-3-acetamido-2,5-dihydroxy-6-(hydroxymethyl)oxan-4-yl]oxy-2-carboxy-4,5-dihydroxyoxan-3-yl]oxy-5-hydroxy-6-(hydroxymethyl)oxan-4-yl]oxy-3,4,5-trihydroxyoxane-2- Chemical compound [Na+].CC(=O)N[C@H]1[C@H](O)O[C@H](CO)[C@@H](O)[C@@H]1O[C@H]1[C@H](O)[C@@H](O)[C@H](O[C@H]2[C@@H]([C@@H](O[C@H]3[C@@H]([C@@H](O)[C@H](O)[C@H](O3)C(O)=O)O)[C@H](O)[C@@H](CO)O2)NC(C)=O)[C@@H](C(O)=O)O1 YWIVKILSMZOHHF-QJZPQSOG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453 solv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920 sorbitol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PRAKJMSDJKAYCZ-UHFFFAOYSA-N squal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PRAKJMSDJKAY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447 stain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75 suspe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222 talc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06 toothp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34610 toothpast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704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112 vegetable and 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58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80 wet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HDTRYLNUVZCQOY-UHFFFAOYSA-N α-D-glucopyranosyl-α-D-glucopyra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1C(O)C(O)C(O)C(CO)O1 HDTRYLNUVZCQ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NYAEWCLZODPBN-JGWLITMVSA-N (2r,3r,4s)-2-[(1r)-1,2-dihydroxyethyl]oxolane-3,4-diol Chemical compound OC[C@@H](O)[C@H]1OC[C@H](O)[C@H]1O JNYAEWCLZODPBN-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BJEPYKJPYRNKOW-REOHCLBHSA-N (S)-m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O)CC(O)=O BJEPYKJPYRNKOW-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FFJCNSLCJOQHKM-CLFAGFIQSA-N (z)-1-[(z)-octadec-9-enoxy]octadec-9-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CCCCCCCC\C=C/CCCCCCCC FFJCNSLCJOQHKM-CLFAGFIQSA-N 0.000 description 1
- IIZPXYDJLKNOIY-JXPKJXOSSA-N 1-palmitoyl-2-arachidonoyl-sn-glycero-3-phosphocholi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O)OC[C@H](COP([O-])(=O)OCC[N+](C)(C)C)OC(=O)CCC\C=C/C\C=C/C\C=C/C\C=C/CCCCC IIZPXYDJLKNOIY-JXPKJXOSSA-N 0.000 description 1
- OWEGMIWEEQEYGQ-UHFFFAOYSA-N 100676-05-9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OC(O)C(O)C2O)CO)O1 OWEGMIWEEQEYG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OPFWAGBXIWZNK-UHFFFAOYSA-N 2,3-bis(6-methylheptanoyloxy)propyl 6-methylheptano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O)OCC(OC(=O)CCCCC(C)C)COC(=O)CCCCC(C)C COPFWAGBXIWZN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PSPIUSUWPLVKD-UHFFFAOYSA-N 2,3-dibutyl-6-methylphenol Chemical compound CCCCC1=CC=C(C)C(O)=C1CCCC SPSPIUSUWPLVK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NIKCMDPFKKVCI-UHFFFAOYSA-N 3-(1,3-dihydroindol-2-ylidene)-5-methoxy-1,2-dihydroindole Chemical compound COC=1C=C2C(CNC2=CC=1)=C1NC2=CC=CC=C2C1 PNIKCMDPFKKVC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IFKRDLEAQUAAW-UHFFFAOYSA-N 5,6-dichloro-1h-indole-2,3-dione Chemical compound C1=C(Cl)C(Cl)=CC2=C1C(=O)C(=O)N2 KIFKRDLEAQUAA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BMQVTUGNOVNKD-UHFFFAOYSA-N 5,6-dichloro-3-(1,3-dihydroindol-2-ylidene)-1,2-dihydroindole Chemical compound ClC=1C=C2C(CNC2=CC=1Cl)=C1NC2=CC=CC=C2C1 XBMQVTUGNOVNK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YUCRYLGBXDIEB-UHFFFAOYSA-N 5,6-dichloro-3-(3-oxo-1h-indol-2-ylidene)-1h-indol-2-one Chemical compound N1C2=CC=CC=C2C(=O)C1=C1C(=O)NC2=C1C=C(Cl)C(Cl)=C2 MYUCRYLGBXDIE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MHGXMPXHPOXBF-UHFFFAOYSA-N 5-Methoxyisatin Chemical compound COC1=CC=C2NC(=O)C(=O)C2=C1 DMHGXMPXHPOXB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HVDTGUDJYJELY-UHFFFAOYSA-N 6-{[2-carboxy-4,5-dihydroxy-6-(phosphanyloxy)oxan-3-yl]oxy}-4,5-dihydroxy-3-phosphanyloxa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1C(C(O)=O)C(P)C(O)C(O)C1OC1C(C(O)=O)OC(OP)C(O)C1O FHVDTGUDJYJEL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2260 Accidental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POJWUDADGALRAB-PVQJCKRUSA-N Allantoin Natural products NC(=O)N[C@@H]1NC(=O)NC1=O POJWUDADGALRAB-PVQJCKRUSA-N 0.000 description 1
- RIQBRKVTFBWEDY-RHYQMDGZSA-N Arg-Lys-Thr Chemical compound [H]N[C@@H](CCCNC(N)=N)C(=O)N[C@@H](CCCCN)C(=O)N[C@@H]([C@@H](C)O)C(O)=O RIQBRKVTFBWEDY-RHYQMDGZ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143 Bacterial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WARSLNDUTHSQFL-UHFFFAOYSA-N COC=1C=C2C(C(NC2=CC1)=O)=C1NC2=CC=CC=C2C1=O.COC=1C=C2C(C(NC2=CC1)=O)=C1NC2=CC=CC=C2C1=O Chemical compound COC=1C=C2C(C(NC2=CC1)=O)=C1NC2=CC=CC=C2C1=O.COC=1C=C2C(C(NC2=CC1)=O)=C1NC2=CC=CC=C2C1=O WARSLNDUTHSQF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34 Carboxy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623 Carcinogene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PTHCMJGKKRQCBF-UHFFFAOYSA-N Cellulose, microcrystalline Chemical compound OC1C(O)C(OC)OC(CO)C1OC1C(O)C(O)C(OC)C(CO)O1 PTHCMJGKKRQCB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4656 Contus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CRDNMYFJWFXOCH-BUHFOSPRSA-N Couroupitine B Natural products N\1C2=CC=CC=C2C(=O)C/1=C1/C2=CC=CC=C2NC1=O CRDNMYFJWFXOCH-BUHFOSPR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KVTDHHQDSA-N D-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1
- ZAKOWWREFLAJOT-CEFNRUSXSA-N D-alpha-tocopheryl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1=C(C)C(C)=C2O[C@@](CCC[C@H](C)CCC[C@H](C)CCCC(C)C)(C)CCC2=C1C ZAKOWWREFLAJOT-CEFNRUSXSA-N 0.000 description 1
- 108020004414 DN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CUKSFECWKQBVED-INIZCTEOSA-N Decursin Chemical compound C1=CC(=O)OC2=C1C=C1C[C@H](OC(=O)C=C(C)C)C(C)(C)OC1=C2 CUKSFECWKQBVED-INIZCTEO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960 Diabetic foo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6340 Diabetic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ZDQWESQEGGJUCH-UHFFFAOYSA-N Diisopropyl adipate Chemical group CC(C)OC(=O)CCCCC(=O)OC(C)C ZDQWESQEGGJU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LVGKNOAMLMIIKO-UHFFFAOYSA-N Elaidinsaeure-aethylester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CC LVGKNOAMLMIIK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06 Fillers/Extender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ECPWNUMDGFDKC-UHFFFAOYSA-N Fusicsaeure Natural products C12C(O)CC3C(=C(CCC=C(C)C)C(O)=O)C(OC(C)=O)CC3(C)C1(C)CCC1C2(C)CCC(O)C1C IECPWNUMDGFDK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KLYPEGLWFVRGF-IUCAKERBSA-N Gly-His-Gln Chemical compound [H]NCC(=O)N[C@@H](CC1=CNC=N1)C(=O)N[C@@H](CCC(N)=O)C(O)=O ZKLYPEGLWFVRGF-IUCAKERBSA-N 0.000 description 1
- CUKSFECWKQBVED-UHFFFAOYSA-N Grandivittin Natural products C1=CC(=O)OC2=C1C=C1CC(OC(=O)C=C(C)C)C(C)(C)OC1=C2 CUKSFECWKQBVE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MBYOWLFQAFZCP-UHFFFAOYSA-N Hexyl dodecano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O)OCCCCCC CMBYOWLFQAFZC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53 Hydroxyprop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AWTDTFXPVCTHAK-BJDJZHNGSA-N Ile-Cys-Lys Chemical compound CC[C@H](C)[C@@H](C(=O)N[C@@H](CS)C(=O)N[C@@H](CCCCN)C(=O)O)N AWTDTFXPVCTHAK-BJDJZHNG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283207 Indigofera tincto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177 Indigofera tinctor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1 L-ascorb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069 L-ascorb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4693 Lacer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472 Leucaena leucocepha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43 Leucaena leuco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PICCSMPS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PICCSMPS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5 Mannit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68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09 Moistur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1710160107 Outer membrane protein 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9142 PO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30 Pe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64 Petrolat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YYRCPTVAPLQRNC-ULQDDVLXSA-N Phe-Arg-Lys Chemical compound NCCCC[C@@H](C(O)=O)NC(=O)[C@H](CCCNC(N)=N)NC(=O)[C@@H](N)CC1=CC=CC=C1 YYRCPTVAPLQRNC-ULQDDVLX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25 Sokal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847 Surgical Woun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99461 Theobroma caca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4 Theobroma cacao ssp. caca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7 Theobroma cacao ssp. sphaerocarp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HDTRYLNUVZCQOY-WSWWMNSNSA-N Trehal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O)[C@@H](O)[C@@H](O)[C@@H](CO)O1 HDTRYLNUVZCQOY-WSWWMNSNSA-N 0.000 description 1
- GIAZPLMMQOERPN-YUMQZZPRSA-N Val-Pro Chemical compound CC(C)[C@H](N)C(=O)N1CCC[C@H]1C(O)=O GIAZPLMMQOERPN-YUMQZZPR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53648 Vascular occlu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54 ace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DPXJVFZANSGRMM-UHFFFAOYSA-N acetic acid;2,3,4,5,6-pentahydroxyhexanal;sodium Chemical compound [Na].CC(O)=O.OCC(O)C(O)C(O)C(O)C=O DPXJVFZANSGR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2056 algi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3 alg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26 alg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81 algi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458 allanto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935 allerg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5 allogene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DTRYLNUVZCQOY-LIZSDCNHSA-N alpha,alpha-trehal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O)[C@@H](O)[C@H](O)[C@@H](CO)O1 HDTRYLNUVZCQOY-LIZSDCNHSA-N 0.000 description 1
- BJEPYKJPYRNKOW-UHFFFAOYSA-N alpha-hydroxysuccinic acid Natural products OC(=O)C(O)CC(O)=O BJEPYKJPYRNKO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070 ascorb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668 atopic ecz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71 bee w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66 bees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UYVBRFLSA-N beta-mal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2[C@H](O)[C@@H](O)[C@H](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UYVBRFL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237 beta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5 bio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19 bra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29 bre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CZBZUDVBLSSABA-UHFFFAOYSA-N butylated hydroxyanisole Chemical compound COC1=CC=C(O)C(C(C)(C)C)=C1.COC1=CC=C(O)C=C1C(C)(C)C CZBZUDVBLSSAB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4 butylated hydroxytolue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46 cacaoter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MKJXYGKVIBWPFZ-UHFFFAOYSA-L calcium lactate Chemical compound [Ca+2].CC(O)C([O-])=O.CC(O)C([O-])=O MKJXYGKVIBWPFZ-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27 calcium lac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86 calcium lac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401 calcium lac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06 calc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89 calc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10 calc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8 calc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18 calc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41 calc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YACROKNLOSFPA-UHFFFAOYSA-N calcium;dioxido(oxo)silane Chemical compound [Ca+2].[O-][Si]([O-])=O OYACROKNLOSFP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52 cancer 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71 carbonate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48 carboxy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68 carboxy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12 carboxy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5329 carboxymethylcellul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04 carcinogenesi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61 cell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0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76 cleavag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70 collagen biosynth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50 conventional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DNTGGZPQPQTDQF-XBXARRHUSA-N crotamiton Chemical compound C/C=C/C(=O)N(CC)C1=CC=CC=C1C DNTGGZPQPQTDQF-XBXARRHU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338 crotamito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7362 cyclodextrin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XZWWIMXTVJNSF-UHFFFAOYSA-N decursin Natural products CC(=CC(=O)OC1Oc2cc3OC(=O)C=Cc3cc2CC1(C)C)C JXZWWIMXTVJNS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1 dext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XJWXESWEXIICW-UHFFFAOYSA-N 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OCCO XXJWXESWEXII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TIIJXUACCWYHX-UHFFFAOYSA-L disodium;carboxylatooxy 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Na+].[O-]C(=O)OOC([O-])=O VTIIJXUACCWYHX-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52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00 effect on cel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00 effect on sk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4 emollie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19 epitheli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LVGKNOAMLMIIKO-QXMHVHEDSA-N ethyl ole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C LVGKNOAMLMIIKO-QXMHVHED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471 ethyl ole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700 fetal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95 formulation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03 fruit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48400 fucid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727 gluc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02 growth fa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915 gynecological orga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0463 hexyl lau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77 hydroxyprop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63 hydroxyprop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79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66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88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UFVKGYZPFZQRLF-UHFFFAOYSA-N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Chemical compound OC1C(O)C(OC)OC(CO)C1OC1C(O)C(O)C(OC2C(C(O)C(OC3C(C(O)C(O)C(CO)O3)O)C(CO)O2)O)C(CO)O1 UFVKGYZPFZQRL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6 immunosuppr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7275 indigo Drugs 0.000 description 1
- COHYTHOBJLSHDF-UHFFFAOYSA-N indigo powder Natural products N1C2=CC=CC=C2C(=O)C1=C1C(=O)C2=CC=CC=C2N1 COHYTHOBJLSHD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02 inf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005 intertrigo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545 inva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CRDNMYFJWFXOCH-UHFFFAOYSA-N isoindigotin Natural products N1C2=CC=CC=C2C(=O)C1=C1C2=CC=CC=C2NC1=O CRDNMYFJWFXO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MPHSYLJUKZBJJ-UHFFFAOYSA-N lauric acid triglycerid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O)OCC(OC(=O)CCCCCCCCCCC)COC(=O)CCCCCCCCCCC VMPHSYLJUKZBJ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5 lecith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7 lecith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67606 lecith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38320 lysylphenylalan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511 macrog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30 ma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90 ma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5 malt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9 malt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VQHSOMBJVWLPSR-WUJBLJFYSA-N malt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C@H](O)CO)O[C@H]1O[C@H](CO)[C@@H](O)[C@H](O)[C@H]1O VQHSOMBJVWLPSR-WUJBLJF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5436 malt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94 mann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1441 mela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LXCFILQKKLGQFO-UHFFFAOYSA-N methylparaben Chemical compound COC(=O)C1=CC=C(O)C=C1 LXCFILQKKLGQ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13 microcrystalline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8 microcrystalline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6286 microcrystalline cellul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80 miner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6 mineral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33 moisturiz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125 myocardial infar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JXTPJDDICSTXJX-UHFFFAOYSA-N n-Triaconta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JXTPJDDICSTXJ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966 nicotinam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152 nicotinam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0 nicotin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52 non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00 non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4 o/w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83 ointment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42 oligo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82 olig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675 pannicul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LCLHHZYHLXDRQG-ZNKJPWOQSA-N pect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O[C@H](C(O)=O)[C@@H]1OC1[C@H](O)[C@@H](O)[C@@H](OC2[C@@H]([C@@H](O)[C@@H](O)[C@H](O2)C(O)=O)O)[C@@H](C(O)=O)O1 LCLHHZYHLXDRQG-ZNKJPWOQ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66842 petrolatum Drugs 0.000 description 1
- NBIIXXVUZAFLBC-UHFFFAOYSA-K phosphate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2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95 pit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318 polygalacturo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65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OJTDGPLHRSZIAV-UHFFFAOYSA-N propane-1,2-diol Chemical compound CC(O)CO.CC(O)CO OJTDGPLHRSZIA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69 prophylac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ELSKZZBTMNZEB-UHFFFAOYSA-N propylparaben Chemical compound CCCOC(=O)C1=CC=C(O)C=C1 QELSKZZBTMNZE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15 propylparaben Drugs 0.000 description 1
- ZUFQODAHGAHPFQ-UHFFFAOYSA-N pyridoxine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1=NC=C(CO)C(CO)=C1O ZUFQODAHGAHP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172 pyridoxine hydrochlor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71 pyridoxine hydro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64 pyridoxine hydro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YXJHJCDOUFKMBG-BMZHGHOISA-M riboflavin sodium Chemical compound [Na+].OC[C@@H](O)[C@@H](O)[C@@H](O)CN1C=2C=C(C)C(C)=CC=2N=C2C1=NC(=O)[N-]C2=O YXJHJCDOUFKMBG-BMZHGHOISA-M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0 scarr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17 sc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759 skin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27 skin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520 sk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WXMKPNITSTVMEF-UHFFFAOYSA-M sodium benzoate Chemical compound [Na+].[O-]C(=O)C1=CC=CC=C1 WXMKPNITSTVMEF-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99 sodium benzo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234 sodium benzo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29 sod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5872 sodium percarb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HJHVQCXHVMGZNC-JCJNLNMISA-M sodium;(2z)-2-[(3r,4s,5s,8s,9s,10s,11r,13r,14s,16s)-16-acetyloxy-3,11-dihydroxy-4,8,10,14-tetramethyl-2,3,4,5,6,7,9,11,12,13,15,16-dodecahydro-1h-cyclopenta[a]phenanthren-17-ylidene]-6-methylhept-5-enoate Chemical compound [Na+].O[C@@H]([C@@H]12)C[C@H]3\C(=C(/CCC=C(C)C)C([O-])=O)[C@@H](OC(C)=O)C[C@]3(C)[C@@]2(C)CC[C@@H]2[C@]1(C)CC[C@@H](O)[C@H]2C HJHVQCXHVMGZNC-JCJNLNMISA-M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2094 squala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04 subcutaneous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BWMISRWJRUSYEX-SZKNIZGXSA-N terbinafine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1=CC=C2C(CN(C\C=C\C#CC(C)(C)C)C)=CC=CC2=C1 BWMISRWJRUSYEX-SZKNIZGX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396 thiol group Chemical group [H]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573 thi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1238 threonyl-glyc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647 tinea ped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48 ti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2585 tocopherol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611 tocopherol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36 traumatic inju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ORWJWZARLRLPR-UHFFFAOYSA-H tricalcium bis(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Ca+2].[Ca+2].[O-]P([O-])([O-])=O.[O-]P([O-])([O-])=O QORWJWZARLRLPR-UHFFFAOYSA-H 0.000 description 1
- 208000021331 vascular occlusio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9259 vasel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81 veh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79 visual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71 white petrolat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57 wound healing promo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30 xanthan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5 xanthan gu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93 xanthan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2509 xanthan gum Drug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A61K8/49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having condensed rings, e.g. indo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인디루빈 유도체 단독 또는 인디루빈 유도체 또는 쉬나무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으로써, 상처회복을 촉진하고, 흉터를 개선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고, 상처 치유를 비롯하여 상처 치유 촉진 기능으로부터 발휘되는 상처 치유 또는 개선용 화장품에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를 보호하는 방어막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미생물의 침입을 방어하는 등, 신체의 1차 방어선이라 할 수 있다. 상처 치유 및 회복은 상처, 화상, 찰과상 및 피부에 대한 기타 외상성 손상이나 외과적 절차 후에 조직 온전성 및 기능 복원의 기초가 된다. 만일 상처 치유가 지연되거나 외과적 상처 개열이 발생할 경우에는 유의적인 임상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현재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상처 치료제는 동국제약사의 '복합 마데카솔'(1985년 출시)과 동화약품사의 '후시딘'(1980년 출시)이 있다. 두 제제의 효능은 대체로 비슷하지만, 후시딘은 항균력에, 마데카솔은 흉터 완화에 조금 더 강점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스테로이드 연고는 소염작용, 면역억제기능, 알레르기성 질환 등에 효과적이지만, 부작용으로 곰보자국, 피부주름, 모낭염 등을 유발하며, 무좀 등의 세균성 질환에는 효과가 없다. 또한, 항생제를 포함하는 연고는 내성을 가질 수 있으며 아이들과 같은 연약한 피부 상처에 사용할 경우 여러 가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테로이드 연고나 항생연고가 가지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상처치유 기전을 기반으로 한 상처치료제가 국내시장에서 선보이고 있다. 또한, 일상에서의 피부 상처보다 더 심각한 사고 상해, 멜라노마와 같은 피부질환 수술 후 생기는 큰 상처, 당뇨병과 같은 타 질환과 연계된 상처 등은 치유에 시간이 걸릴 뿐 아니라 종종 흉터를 유발하는 등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대웅제약사에서 일반의약품으로는 국내 최초로 상피세포 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를 함유하고 있는 상처치료제 '이지에프 새살연고'를 출시했다. 상피세포 성장인자가 상처부위의 살갗을 덮고(재상피화) 새살을 만들어내는 것(육아조직 증식)을 촉진해 흉터 예방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상피세포 성장인자는 단백질인 만큼 생산에 드는 비용과 노력이 매우 큰 것이 단점이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처치료용 물질로 줄기세포를 제안한 바 있으나, 줄기세포 자체를 이용할 경우, DNA transfer에 의한 발암 가능성이 있고, 줄기세포 자체의 큰 사이즈로 인해 혈관 폐색이나 심근경색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제대혈과 같은 동종세포를 사용하여 이식할 경우 세포 표면 항원으로 인한 거부반응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줄기세포와 같은 세포 치료제는 제조공정이 까다롭고 보관운송에 제약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세포치료제가 갖고 있는 원천적인 문제를 해결하면서, 최소한의 부작용으로, 최대의 치료효과를 가질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그 작용이 일반적으로 온화하고 지속적이며 이용성이 우수한 상처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상처 부위에 미생물의 감염을 막고, 상처 회복과 더불어 흉터(재상피화 및 육아조직 증식)을 예방하는 상처 및 창상 치유를 위한 신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요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며, 우수한 상처 치유 효과를 갖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혹은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탄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 조성물은 쉬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하거나,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처는 화상, 궤양, 외상, 외과적 수술(post-surgical), 출산, 만성적 상처(chronic woumd), 당뇨병성 족부괴양, 또는 피부염(sermatitis)에 의한 손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상처는 임플란트 후의 상처, 의료용구인 패치에 적용 될 수 있다.
상기 상처 예방 또는 치료는 케라티노사이트의 이동속도 촉진, 섬유아세포의 이동과 증식 활성화 및 콜라겐 생성 촉진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피부 국소 도포용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크림, 젤, 연고, 유화액, 현탁액, 분무제 및 경피 전달성 피치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형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더 포함하는 에멀젼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중량비는 0.3-30 : 1 : 2-2.5일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Tween 2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Tween 4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Tween 60)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oleate, Tween 8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오일은 폴리에톡실화된 피마자유(KolliphorㄾEL), 해바라기 오일 및 올리브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더 높은 가용화를 위해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존재하는 유효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이 100 내지 100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제형은 3 달째에 측정했을 때 온도 25 내지 4℃ 조건하에 증류수에서 wnt 활성 및 용해도의 변화가 나타내지 않는 안정한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다른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상처 치료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 조성물은 쉬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하거나,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파우더, 파운데이션 및 세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더 포함하는 에멀젼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중량비는 0.3-30 : 1 : 2-2.5일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Tween 2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Tween 4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Tween 60)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oleate, Tween 8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오일은 폴리에톡실화된 피마자유(KolliphorㄾEL), 해바라기 오일 및 올리브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더 높은 가용화를 위해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존재하는 유효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이 100 내지 100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제형은 3 달째에 측정했을 때 온도 25 내지 4℃ 조건하에 증류수에서 wnt 활성 및 용해도의 변화가 나타내지 않는 안정한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또 다른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 조성물은 쉬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하거나,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또 다른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재생 및 탄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쉬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하거나,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는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재생을 촉진하고 피부 탄력을 증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파우더, 파운데이션 또는 세정제의 제형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더 포함하는 에멀젼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중량비는 0.3-30 : 1 : 2-2.5일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Tween 2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Tween 4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Tween 60)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oleate, Tween 8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오일은 폴리에톡실화된 피마자유(KolliphorㄾEL), 해바라기 오일 및 올리브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더 높은 가용화를 위해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존재하는 유효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이 100 내지 100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제형은 3 달째에 측정했을 때 온도 25 내지 4℃ 조건하에 증류수에서 wnt 활성 및 용해도의 변화가 나타내지 않는 안정한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디루빈 유도체는 상처회복을 촉진하고, 흉터를 개선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고, 상처 치유를 비롯하여 상처 치유 촉진 기능으로부터 발휘되는 상처 치유 또는 개선용 화장품에 활용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인디루빈 유도체는 인체에 대한 독성이 거의 없다고 밝혀진 안정한 화합물이므로, 이들을 혼합물로 사용함에 있어서, 종래 스테로이드 약물과 달리 인체에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아, 의약품, 화장료 또는 건강식품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디루빈 유도체는 외부적인 손상으로부터 피부의 재생을 촉진하고, 피부 조직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탄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의약품, 화장료 또는 건강식품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쉬나무 추출물 또는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은 독성이 거의 없고, 이를 인디루빈 유도체와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종래 스테로이드 약물과 달리 인체에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기 조성물은 쉬나무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과 인디루빈 유도체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조성물로, 단독 조성물에 비해 상처회복, 치유 및 탄력 향상 등에 대해 높은 효과를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내지 7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의 처리에 따른 세포의 이동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케라티노사이트에서 세포의 이동능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때 대조군(control)은 인디루빈 유도체를 처리하지 않은 케라티노사이트 세포를 의미한다.
도 2는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내지 7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의 처리에 따른 세포의 이동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케라티노사이트 세포에서 세포의 이동률을 정량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의 인디루빈 유도체, 비교예 1의 인디루빈 유도체 및 EGF(양성 대조군)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에 대하여, 시간의 흐름(0일째, 14일째)에 따라 촬영한 사진 및 염색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의 하단(collagen staining)에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의 인디루빈 유도체, 비교예 1의 인디루빈 유도체 및 EGF(양성 대조군)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을 Masson's trichrome과, picrosirius red로 염색한 결과가 나타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의 인디루빈 유도체, 비교예 1의 인디루빈 유도체 및 EGF(양성 대조군)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에 대하여, 시간의 흐름(1, 3, 5, 9, 12 일)에 따라 측정된 재상피화 정도를 정량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의 인디루빈 유도체, 비교예 1의 인디루빈 유도체 및 EGF(양성 대조군)을 처리한 마우스에서, 14일째 상처 크기(㎠)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a는 실시예 2으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 실시예 3의 메틸 바닐레이트, 실시예 4의 헤스페리딘, 실시예 5의 퀘르시트린 및 실시예 7 내지 9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의 처리에 따른 세포의 이동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케라티노사이트에서 세포의 이동능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b는 실시예 2으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 실시예 3의 메틸 바닐레이트, 실시예 4의 헤스페리딘, 실시예 5의 퀘르시트린 및 실시예 7 내지 9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의 처리에 따른 세포의 이동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케라티노사이트 세포에서 세포의 이동률을 정량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인디루빈 유도체(0.5 mM), 실시예 3의 메틸 바닐레이트(2.5 mM, 5 mM), 실시예 7로부터 제조된 복합물, EGF(양성 대조군1) 및 PTD+VPA(양성 대조군2)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에 대하여, 시간의 흐름(0일째, 14일째)에 따라 촬영한 사진 및 염색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7의 하단 좌측 그래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인디루빈 유도체(0.5 mM), 실시예 3의 메틸 바닐레이트(2.5 mM, 5 mM), 실시예 7로부터 제조된 복합물, EGF(양성 대조군1) 및 PTD+VPA(양성 대조군2)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에 대하여, 시간의 흐름(0일째, 14일째)에 따라 측정된 재상피화 정도를 정량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의 하단 우측 그래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인디루빈 유도체(0.5 mM), 실시예 3의 메틸 바닐레이트(2.5 mM, 5 mM), 실시예 7로부터 제조된 복합물, EGF(양성 대조군1) 및 PTD+VPA(양성 대조군2)을 처리한 마우스에서, 1일째와 14일째 상처 크기(㎠)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a는 대조군으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con), 실시예 6으로부터 제조된 쉬나무 추출물(1 ㎍/㎖)을 단독으로 처리한 것(쉬나무 1 ㎍/㎖)과, 양성 대조군으로 VPA(발프로익산) 100 μM을 각각 케라티노사이트에 처리하고 18시간 후, 세포의 이동능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8b는 실시예 1의 인디루빈 유도체(0.1 μM, 1 μM), 실시예 2 인디루빈 유도체(0.1 μM, 1 μM), 실시예 10 및 11의 복합물(쉬나무 추출물 1 ㎍/㎖에 대하여 0.1 μM, 1 μM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각각 혼합함)을 각각 케라티노사이트에 처리하고 18시간 후, 세포의 이동능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8c는 도 8a, b로부터 세포의 이동률을 계산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인디루빈 유도체(0.5 mM), 실시예 2 인디루빈 유도체(0.5 mM), 실시예 10 및 11의 복합물, 대조군(con), 실시예 6의 쉬나무 추출물(쉬나무), 양성 대조군(EGF 및 VPA)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에 대하여, 시간(0일째, 12일째)에 따라 촬영한 사진 및 염색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b는 도 9a에서 0 일째 측정된 각 군의 마우스 급성 상처의 크기(㎟)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c는 도 9a에서 12 일째 측정된 각 군의 마우스 급성 상처의 크기(㎟)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를 상기 다양한 오일 또는 계면활성제에 각각 용해시켜 제조된 에멀젼 용액의 사진이다.
도 11a는 Tween 80와 PEG 400를 2:1의 비율 혼합된 계면활성제로 제조된 에멀젼 용액에 대한 삼원(ternary) 상 다이어그램이고, 도 11b는 Tween 80와 PEG 400를 1:1의 비율 혼합된 계면활성제로 제조된 에멀젼 용액에 대한 삼원(ternary) 상 다이어그램이고, 도 11c는 Tween 80와 PEG 400를 1:2의 비율 혼합된 계면활성제로 제조된 에멀젼 용액에 대한 삼원(ternary) 상 다이어그램이다. 도 11의 삼원 상 다이어그램에는 안정한 에멀젼을 형성하는 지역을 적색의 점으로 표시하였다.
도 12은 상온(25 ℃)에서, F8, F10~12 에멀젼 제제의 상대적인 용해도%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저온(4 ℃)에서, F8, F10~12 에멀젼 제제의 상대적인 용해도%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은 상온(25 ℃)에서, F8, F10~12 에멀젼 제제의 상대적인 wnt reporter activity%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은 저온(4 ℃)에서, F8, F10~12 에멀젼 제제의 상대적인 wnt reporter activity%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내지 7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의 처리에 따른 세포의 이동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케라티노사이트 세포에서 세포의 이동률을 정량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의 인디루빈 유도체, 비교예 1의 인디루빈 유도체 및 EGF(양성 대조군)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에 대하여, 시간의 흐름(0일째, 14일째)에 따라 촬영한 사진 및 염색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의 하단(collagen staining)에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의 인디루빈 유도체, 비교예 1의 인디루빈 유도체 및 EGF(양성 대조군)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을 Masson's trichrome과, picrosirius red로 염색한 결과가 나타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의 인디루빈 유도체, 비교예 1의 인디루빈 유도체 및 EGF(양성 대조군)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에 대하여, 시간의 흐름(1, 3, 5, 9, 12 일)에 따라 측정된 재상피화 정도를 정량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의 인디루빈 유도체, 비교예 1의 인디루빈 유도체 및 EGF(양성 대조군)을 처리한 마우스에서, 14일째 상처 크기(㎠)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a는 실시예 2으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 실시예 3의 메틸 바닐레이트, 실시예 4의 헤스페리딘, 실시예 5의 퀘르시트린 및 실시예 7 내지 9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의 처리에 따른 세포의 이동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케라티노사이트에서 세포의 이동능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b는 실시예 2으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 실시예 3의 메틸 바닐레이트, 실시예 4의 헤스페리딘, 실시예 5의 퀘르시트린 및 실시예 7 내지 9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의 처리에 따른 세포의 이동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케라티노사이트 세포에서 세포의 이동률을 정량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인디루빈 유도체(0.5 mM), 실시예 3의 메틸 바닐레이트(2.5 mM, 5 mM), 실시예 7로부터 제조된 복합물, EGF(양성 대조군1) 및 PTD+VPA(양성 대조군2)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에 대하여, 시간의 흐름(0일째, 14일째)에 따라 촬영한 사진 및 염색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7의 하단 좌측 그래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인디루빈 유도체(0.5 mM), 실시예 3의 메틸 바닐레이트(2.5 mM, 5 mM), 실시예 7로부터 제조된 복합물, EGF(양성 대조군1) 및 PTD+VPA(양성 대조군2)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에 대하여, 시간의 흐름(0일째, 14일째)에 따라 측정된 재상피화 정도를 정량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의 하단 우측 그래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인디루빈 유도체(0.5 mM), 실시예 3의 메틸 바닐레이트(2.5 mM, 5 mM), 실시예 7로부터 제조된 복합물, EGF(양성 대조군1) 및 PTD+VPA(양성 대조군2)을 처리한 마우스에서, 1일째와 14일째 상처 크기(㎠)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a는 대조군으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con), 실시예 6으로부터 제조된 쉬나무 추출물(1 ㎍/㎖)을 단독으로 처리한 것(쉬나무 1 ㎍/㎖)과, 양성 대조군으로 VPA(발프로익산) 100 μM을 각각 케라티노사이트에 처리하고 18시간 후, 세포의 이동능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8b는 실시예 1의 인디루빈 유도체(0.1 μM, 1 μM), 실시예 2 인디루빈 유도체(0.1 μM, 1 μM), 실시예 10 및 11의 복합물(쉬나무 추출물 1 ㎍/㎖에 대하여 0.1 μM, 1 μM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각각 혼합함)을 각각 케라티노사이트에 처리하고 18시간 후, 세포의 이동능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8c는 도 8a, b로부터 세포의 이동률을 계산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인디루빈 유도체(0.5 mM), 실시예 2 인디루빈 유도체(0.5 mM), 실시예 10 및 11의 복합물, 대조군(con), 실시예 6의 쉬나무 추출물(쉬나무), 양성 대조군(EGF 및 VPA)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에 대하여, 시간(0일째, 12일째)에 따라 촬영한 사진 및 염색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b는 도 9a에서 0 일째 측정된 각 군의 마우스 급성 상처의 크기(㎟)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c는 도 9a에서 12 일째 측정된 각 군의 마우스 급성 상처의 크기(㎟)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를 상기 다양한 오일 또는 계면활성제에 각각 용해시켜 제조된 에멀젼 용액의 사진이다.
도 11a는 Tween 80와 PEG 400를 2:1의 비율 혼합된 계면활성제로 제조된 에멀젼 용액에 대한 삼원(ternary) 상 다이어그램이고, 도 11b는 Tween 80와 PEG 400를 1:1의 비율 혼합된 계면활성제로 제조된 에멀젼 용액에 대한 삼원(ternary) 상 다이어그램이고, 도 11c는 Tween 80와 PEG 400를 1:2의 비율 혼합된 계면활성제로 제조된 에멀젼 용액에 대한 삼원(ternary) 상 다이어그램이다. 도 11의 삼원 상 다이어그램에는 안정한 에멀젼을 형성하는 지역을 적색의 점으로 표시하였다.
도 12은 상온(25 ℃)에서, F8, F10~12 에멀젼 제제의 상대적인 용해도%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저온(4 ℃)에서, F8, F10~12 에멀젼 제제의 상대적인 용해도%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은 상온(25 ℃)에서, F8, F10~12 에멀젼 제제의 상대적인 wnt reporter activity%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은 저온(4 ℃)에서, F8, F10~12 에멀젼 제제의 상대적인 wnt reporter activity%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여러 측면 및 다양한 구현예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화학식 2]
본 발명의 인디루빈 유도체는 장기간 세포에 처리하여도 세포에 의한 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물질로, 탁월한 세포 재생, 상처 치유 및 콜라겐 생성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상처 예방 또는 상처 치료 가능을 갖는 약학, 식품, 화장료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로는 5-메톡실인디루빈-3'-옥심, 5-메톡실인디루빈-3'-메톡심, 인디루빈-3'-옥심, 6-브로모인디루빈-3'-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프로필옥심, 6-클로로-5-니트로인디루빈, 6-클로로-5-니트로인디루빈-3'-옥심, 6-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브로모인디루빈-3'-옥심, 5-브로모인디루빈-3'-메톡심, 5-브로모인디루빈-3'-에틸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프로필옥심 및 6-클로로인디루빈-3'-벤질옥심 등 다양한 인디루빈 유도체들이 존재하나, 상처 치료 및 회복에 유의한 효과가 확인된 것은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임을 확인하였다(실험예 1).
한편, 생체 외(in virto) 실험을 통해 화학식 1 또는 2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처리하는 것이 종래의 다른 인디루빈 유도체를 처리하는 경우에 비해 wound closure rate(%)가 향상되고, 상처 치유 효과 역시 단순한 상승효과 이상의 치유 효과(1.5 배, 2.0배)를 갖고 있으며, 가장 빠르게 상처가 치유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종래 인디루빈 유도체 중에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가 가장 바람직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마우스의 상처에 도포한 결과, 마우스에 생긴 급성 상처가 양성대조군인 EGF와 동등하거나 더 빠르게 재상피화(re-epithelialization)되고, 다양한 종류의 콜라겐 조직의 상처 치유 마커들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1의 인디루빈 유도체(A3334)의 경우에는 양성 대조군인 EGF보다 약간 더 우수한 상처회복 효과를 나타내나, 상처가 아물면서 덧살이 생기거나 움푹 파이는 등의 흔적이 남지않도록 피부의 표피층이 균일하게 회복되는 '흉터 개선'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화학식 2의 인디루빈 유도체(A3051)의 경우에는 양성 대조군인 EGF보다 동일한 시기에 2배 내지 6배 이상의 상처회복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상처를 보다 빠르게 회복시킴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양성 대조군인 EGF를 처리하였을 때보다 상처가 아물면서 덧살이 생기거나 움푹 파이는 등의 흔적이 남지않도록 피부의 표피층이 깨끗하고 균일하게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는 바, EGF를 사용한 것보다 '흉터 개선'에도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인디루빈 유도체는 종래 상처치료제 또는 인디루빈 유도체와 달리, 상처 치유뿐만 아니라, 피부 표피층의 균일한 회복을 유도하는 흉터 개선이라는 예상치 못한 현저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는 상처 치유(wound healing) 효과를 갖는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처 치유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케라티노사이트와 섬유아세포에서, 세포의 운동성을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콜라겐 촉진 및 축적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s)는 외피 세포에서 발견되는 세포의 한 유형으로 외피세포의 기저층을 형성하고, 피부의 표면상에 각질화된 성숙한 세포층을 형성하기까지, 케라티노사이트는 구조의 확대와 변형에 의해 외피층(각질층, corneal stralum)을 형성한다. 상처 치유 속도는 몇몇 인자들 중 케라티노사이트의 증식 및 이동 속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케라티노사이트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아 상처 치유에 유요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우수한 상처 치유 효과를 비롯하여, 피부의 표피층을 균일하게 회복되도록 유도하는 '흉터 개선' 효과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다수의 상처치료제가 상처 치료에 국한되어 있고, 상처 치료 과정에서 생긴 흉터는 추후 흉터치료제로 별도로 치료해야하며, 흉터치료제를 상처치료에 사용할 경우 염증 등의 2차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처치료와 흉터치료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상처치료와 흉터 개선 효과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는 것은 매우 현저한 효과라 할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종래 다양한 인디루빈 유도체 중에서 현저한 상처 예방 또는 치유 효과(약 2배)를 갖는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실험예 1). 상기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급성 상처가 빠르게 재상피화되며, 다양한 종류에 대한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고 이의 축적 및 수축을 활성화하는 효과를 갖는 장점이 있으며, 섬유아세포의 이동과 증식을 활성화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등 매우 현저한 창상 치유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쉬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한 복합물일 수 있고,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저분자 화합물을 더 포함한 복합물일 수 있다.
먼저,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복합물일 경우, 상처 치유에 대해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생체 외(in virto) 실험에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와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wound closure rate(%)가 향상되고, 상처 치유 효과 역시 단순한 상승효과 이상의 치유 효과(2 배)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쉬나무 추출물만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와 인디루빈 유도체를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 각각을 합한 것보다, 실시예 10의 복합물을 처리하였을 때 약 1.5~2배 더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즉, 본 발명의 창상 치료용 조성물은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를 각각 사용하는 것보다 현저한 효과를 가지며, 이는 각각의 조성물로부터 얻는 수치를 단순히 합한, 예상가능한 수치를 넘어선 것임을 확인하였다(실험예 5).
또한, 실험예 6에서의 동물실험을 통해서도 쉬나무 추출물 또는 인디루빈 유도체 단독보다 인디루빈 유도체와의 복합물이 현저한 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쉬나무의 줄기, 잎, 과실, 이의 분쇄물 및 이의 혼합물을 원료로 한 것일 수 있고, 상기 원료를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저분자 화합물을 더 포함한 복합물일 수 있고, 상기 저분자 화합물과 인디루빈 유도체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복합물일 경우, 상처 치유에 대해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생체 외(in virto) 실험에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와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wound closure rate(%)가 향상되고, 상처 치유 효과 역시 단순한 상승효과 이상의 치유 효과(1.4~2.3 배)를 갖고 있으며, 6시간 더 빠르게 상처가 치유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시 말해 상기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함께 인디루빈 유도체가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상기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저분자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디루빈 유도체가 혼합된 복합물은 후술하는 실험예에서와 같이, 상기 저분자 화합물을 단독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혼합한 복합물에 의한 세포 이동성을 분석한 결과 18 시간 만에 세포 이동성이 회복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메틸 바닐레이트과 인디루빈 유도체(A3051)를 혼합할 경우에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세포)에 비해 5배 더 높은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상기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저분자 화합물은 쉬나무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감귤 추출물, 편축 추출물, 여뀌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으로, 상기 추출물은 쉬나무, 지구자, 감귤, 편축, 여뀌 및 어성초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줄기, 잎, 과실, 이의 분쇄물 및 이의 혼합물을 원료로 한 것이라면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원료를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메틸 바닐레이트는 지구자 추출물에 주로 존재하고, 상기 헤스페리딘은 쉬나무 추출물, 감귤 추출물에 존재하며, 상기 퀘르시트린은 여뀌 추출물, 편축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에 주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사용된 인디루빈 유도체는 유리 물질로서 뿐만 아니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화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다형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전구약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의 염에 있어서는 의약 또는 화장료 내에서 배합할 수 있는 형태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무기염 또는 유기염을 포함하며, 산성염 또는 알칼리성염일 수 있다. 특히 양이온에 의한 염인 경우 나트륨염이나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및 바륨염 등의 알칼리토류 금속염; 아르기닌이나 라이신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염; 암모늄염이나 트리시클로헥실암모늄염 등의 암모늄염; 모노에탄올아민염, 디에탄올아민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염, 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 및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의 각종 알칸올 아민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염은 알칼리 금속염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테트라소듐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처 치료 능력 및 흉터 개선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고, 세포손상이 일어날 경우 세포 손상을 치유할 수 있는 것으로, 상처 치료 및 피부 회복 및 흉터를 개선할 수 있으므로 피부 상처 예를 들면 찰과상, 절상, 타박상, 자상, 열상 및 교상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피부 상처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본 발명의 피부에서의 상처를 치료하는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상처 예방 또는 치료'는 피부 손상의 발전 억제, 피부 손상의 경감, 피손 손상의 제거, 경감, 완화 및 증상의 개선을 포함하며, 피부 상처가 생길 가능성을 낮추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상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부의 표피, 진피 또는 피하조직의 화상, 궤양, 외상, 외과적 수술(post-surgical), 성형, 임플란트, 출산, 만성적 상처(chronic woumd), 또는 피부염(sermatitis)에 의한 손상을 의미한다. 본 개발품은 패치에 탑재할 경우 의료용구로 활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은 태양, 화학적, 방사선 또는 열에 의한 화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궤양은 당뇨성 궤양인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만성적 상처는 욕창 또는 압력성 궤양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피부염은 농가진(impetigo), 간찰진(intertrigo), 모낭염(folliculitis) 및 습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에서 인디루빈 유도체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만약 0.01 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상처 예방 또는 치유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80 중량%를 초과할 경우 과도하게 포함되어 피부 자극이 유발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쉬나무 추출물이 더 포함되는 경우에는,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과 상기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는 상기 추출물의 건조 중량부 10을 기준으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가 5 내지 15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처 치유 효과의 증가가 미미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저분자 화합물이 더 포함되는 경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과 상기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저분자 화합물과의 혼합 중량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저분자 화합물과 인디루빈 유도체는 상기 저분자 화합물 1 몰을 기준으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가 1 내지 20 몰 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처 치유 효과의 증가가 미미해질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상기 쉬나무 추출물 또는 저분자 화합물이 포함되는 농도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인 범위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쉬나무 추출물 또는 저분자 화합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건조 중량으로 0.001 내지 5 중량% 또는 액상 중량으로 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만약 0.01 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상처 치유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5 중량%(건조 중량) 또는 50 중량%(액상 중량)을 초과할 경우 피부 자극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당업계에 일반적인 제형 예컨대 경구투여제 혹은 주사제 혹은 비경구 투여 혹은 도포에 의한 국부투여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한 것은 비경구 투여 또는 도포에 의한 국부투여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경구 또는 주사제 투여방식일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 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슈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10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8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1일 0.1mg 내지 10mg, 0.25mg 내지 5mg, 0.5 mg 내지 2 mg의 범위 내에서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일 0.125mg, 0.25mg, 0.5mg, 0.75mg, 1 mg, 1.5mg, 2mg으로 투여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조성물이 비경구 투여 또는 국소 투여일 수 있고, 국소 투여일 경우 피부에 직접적으로 도포하는 방식으로 투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이 액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또는 에어로졸제의 형태로 국부적으로 응용되도록 제제화되는 경우에는 적합한 통상적인 첨가제, 예를 들어 보존제, 의약 침투를 보조하는 용매, 연고 및 크림의 경우 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국부 제제는 또한 상용가능한 통상적 담체, 예를 들어, 크림 또는 연고베이스 및 로션용으로는 에탄올 또는 올레일 알코올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제제의 약 1 내지 약 98%를 구성할 수 있고, 더욱 일반적으로는 제제의 약 80% 까지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상처에 직접 도포 또는 산포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투여할 수 있는 제형, 예를 들어, 크림, 로션, 연고, 에어로졸, 겔, 또는 팩의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각각의 제형에 적합한 배합성분이나 제제를 위한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당업자들은 이들 제제를 제조할 때, 통상의 외용제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각종 배합 성분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성분으로는 연고제, 크림제, 겔제, 로션제 등의 경우에 있어서는, 백색 바셀린, 황색 바셀린, 라놀린, 표백밀랍,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르산, 경화유, 겔화 탄화수소,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등의 기제가 있고, 올레산,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트리이소옥탄산글리세린, 크로타미톤, 세바크산디에틸,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라우르산헥실,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족 알코올, 식물유 등의 용제 및 용해 보조제가 있으며, 토코페롤 유도체, L-아스코르브산,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등의 산화 방지제, 파라하이드록시벤조산에스테르 등의 방부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히알루론산나트륨 등의 보습제, 폴리옥시에틸렌유도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레시틴 등의 계면 활성제,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잔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염류,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증점제 등이 있다.
에어로졸제의 경우에 있어서는, 연고제, 크림제, 겔제, 현탁제, 유제, 액제, 로션제 등의 조제에 사용되는 상기 성분 외에 추가로 각종 안정제, 완충제, 교미제, 현탁화제, 유화제, 방향제, 보존제, 용해 보조제, 그 밖의 적당한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제형으로 바람직하게는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더 포함하는 에멀젼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제형에 있어서, 상기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중량비는 0.3-30 : 1 : 2-2.5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 : 1 : 2-2.5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제형의 조성은 에멀젼 시스템의 조성을 결정하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작성된 유사 3상 다이어그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일 상(폴리에톡실화된 피마자유(KolliphorㄾEL)) 및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트윈(tween) 80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물)를 특정 비율 범위의 상이한 중량비율로 완전히 혼합한 후, 물을 각 비율의 오일 및 계면활성제 혼합물에 첨가하면서 에멀젼 형성 영역에 해당하는 점을 표시함으로써 유사 3상 다이어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작성된 유사 3상 다이어그램에서 에멀젼 영역을 결정하여 이 영역에 포함되는 조성 중 특정 조성을 선택하여, 상기 유효성분(인디루빈 유도체 또는 인디루빈 유도체와 쉬나무 추출물 또는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복합물)을 용해시키는 에멀젼 제형의 조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조성물이 에멀젼 제형일 경우, 상기 유효성분(인디루빈 유도체 또는 인디루빈 유도체와 쉬나무 추출물 또는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복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트윈 계열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보조용해제 역할을 하며, 제약에서는 경구나 비경구 제제의 유화제 또는 습윤제로 사용되고, 화장품이나 식품에서도 첨가물로 사용된다. 또한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p-당단백질 억제를 위한 물질로 사용되기도 한다. 트윈 계열의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Tween 2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Tween 4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Tween 60)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oleate, Tween 8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트윈 계열의 계면활성제는 미국 식품 의약국에서 인체의 정맥주사에 사용을 허가한 안정한 물질이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친수성과 소수성을 가지는 양쪽성 고분자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저분자량일 경우에는 액체이지만 분자량이 커지면서 고체가된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PEG 150, 300, 400, 1000, 6000, 8000, 10000, 20000, 30000 및 4000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EG300 이란 분자량이 3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의미하며, 분자량이 10,000을 초과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들 중에서 PEG400은 액체의 형태로 존재하며, 각종 난용성 약물의 가용화에 빈번히 사용되고 있고, 특히 미국 식품 의약국(FDA)에서 인체의 경구 및 비경구(정맥주사, 피하주사, 근육주사 등)에 사용을 허가한 안정한 물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oleate, Tween 80)이고, 폴리에틸렌글리콜은 PEG 400으로, 이는 양친매성 성질을 가지고, 물에서 분산가능한 비-이온성으로, 난용성 유효성분(상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 및 쉬나무 추출물 또는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저분자 화합물의 복합물을 포함하는 유효성분)에 최적화된, 에멀젼 제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폴리에톡실화된 피마자유(KolliphorㄾEL), 해바라기 오일 및 올리브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더 높은 가용화를 위해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존재하는 유효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이 100 내지 100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제형은 3 달째에 측정했을 때 온도 25 내지 4℃ 조건하에 증류수에서 wnt 활성 및 용해도의 변화가 나타내지 않는 안정한 제형으로, 유효성분의 활성을 오랜기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생체 내로의 흡수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 쉬나무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에멀젼 약학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오일, 계면활성제와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혼합하여 제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 쉬나무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제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제1 용액에 제2 용액을 혼합하여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용액은 더 높은 가용화을 위해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친수성과 소수성을 가지는 양쪽성 고분자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저분자량일 경우에는 액체이지만 분자량이 커지면서 고체가된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PEG 150, 300, 400, 1000, 6000, 8000, 10000, 20000, 30000 및 4000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EG300 이란 분자량이 3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의미하며, 분자량이 10,000을 초과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들 중에서 PEG400은 액체의 형태로 존재하며, 각종 난용성 약물의 가용화에 빈번히 사용되고 있고, 특히 미국 식품 의약국(FDA)에서 인체의 경구 및 비경구(정맥주사, 피하주사, 근육주사 등)에 사용을 허가한 안정한 물질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트윈 계열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보조용해제 역할을 하며, 제약에서는 경구나 비경구 제제의 유화제 또는 습윤제로 사용되고, 화장품이나 식품에서도 첨가물로 사용된다. 또한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p-당단백질 억제를 위한 물질로 사용되기도 한다. 트윈 계열의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Tween 2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Tween 4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Tween 60)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oleate, Tween 8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트윈 계열의 계면활성제는 미국 식품 의약국에서 인체의 정맥주사에 사용을 허가한 안정한 물질이다.
상기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중량비는 0.3-30 : 1 : 2-2.5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 : 1 : 2-2.5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조성물이 에멀젼 제형일 경우, 상기 유효성분(인디루빈 유도체 또는 인디루빈 유도체와 쉬나무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복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에 물을 첨가하여 현미경 사진을 찍어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에멀젼은 완전히 용해되어 용액 상태의 에멀젼 제형(F8)을 형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에멀젼을 안정성을 관측한 결과, 액적이 구상 형태이고, 평균 지름이 20 내지 1500 ㎚, 바람직한 지름은 30 내지 50 ㎚로 측정되어 나노-크기의 액적을 형성하였으며, 좁은 범위의 크기 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에멀젼은 실온에서 3 달 동안 용해도 변화와 유효성분의 활성 변화가 없어 안정성을 장기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아가 본 발명 에멀젼 제형을 경구 투여 또는 국소 부위에 도포한 경우, 흡수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상처 치료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화학식 2]
본 발명의 인디루빈 유도체는 장기간 세포에 처리하여도 세포에 의한 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물질로, 탁월한 세포 재생, 상처 치유 및 콜라겐 생성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상처 예방 또는 상처 치료를 통한 미용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로는 5-메톡실인디루빈-3'-옥심, 5-메톡실인디루빈-3'-메톡심, 인디루빈-3'-옥심, 6-브로모인디루빈-3'-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프로필옥심, 6-클로로-5-니트로인디루빈, 6-클로로-5-니트로인디루빈-3'-옥심, 6-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브로모인디루빈-3'-옥심, 5-브로모인디루빈-3'-메톡심, 5-브로모인디루빈-3'-에틸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프로필옥심 및 6-클로로인디루빈-3'-벤질옥심 등 다양한 인디루빈 유도체들이 존재하나, 상처 치료 및 회복에 유의한 효과가 확인된 것은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임을 확인하였다(실험예 1).
한편, 생체 외(in virto) 실험을 통해 화학식 1 또는 2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처리하는 것이 종래의 다른 인디루빈 유도체를 처리하는 경우에 비해 wound closure rate(%)가 향상되고, 상처 치유 효과 역시 단순한 상승효과 이상의 치유 효과(1.5 배, 2.0배)를 갖고 있으며, 가장 빠르게 상처가 치유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종래 인디루빈 유도체 중에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인디루빈 유도체가 가장 바람직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마우스의 상처에 도포한 결과, 마우스에 생긴 급성 상처가 양성대조군인 EGF와 동등하거나 더 빠르게 재상피화(re-epithelialization)되고, 다양한 종류의 콜라겐 조직의 상처 치유 마커들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1의 인디루빈 유도체(A3334)의 경우에는 양성 대조군인 EGF보다 약간 더 우수한 상처회복 효과를 나타내나, 상처가 아물면서 덧살이 생기거나 움푹 파이는 등의 흔적이 남지않도록 피부의 표피층이 균일하게 회복되는 '흉터 개선'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화학식 2의 인디루빈 유도체(A3051)의 경우에는 양성 대조군인 EGF보다 동일한 시기에 2배 내지 6배 이상의 상처회복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상처를 보다 빠르게 회복시킴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양성 대조군인 EGF를 처리하였을 때보다 상처가 아물면서 덧살이 생기거나 움푹 파이는 등의 흔적이 남지않도록 피부의 표피층이 깨끗하고 균일하게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는 바, EGF를 사용한 것보다 '흉터 개선'에도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인디루빈 유도체는 종래 상처치료제 또는 인디루빈 유도체와 달리, 상처 치유뿐만 아니라, 피부 표피층의 균일한 회복을 유도하는 흉터 개선이라는 예상치 못한 현저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조성물에서 인디루빈 유도체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만약 0.01 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상처 예방 또는 치유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80 중량%를 초과할 경우 과도하게 포함되어 피부 자극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쉬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한 복합물일 수 있고,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저분자 화합물을 더 포함한 복합물일 수 있다.
먼저,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복합물일 경우, 상처 치유에 대해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생체 외(in virto) 실험에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와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wound closure rate(%)가 향상되고, 상처 치유 효과 역시 단순한 상승효과 이상의 치유 효과(2 배)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쉬나무 추출물만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와 인디루빈 유도체를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 각각을 합한 것보다, 실시예 10의 복합물을 처리하였을 때 약 1.5~2배 더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즉, 본 발명의 창상 치료용 조성물은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를 각각 사용하는 것보다 현저한 효과를 가지며, 이는 각각의 조성물로부터 얻는 수치를 단순히 합한, 예상가능한 수치를 넘어선 것임을 확인하였다(실험예 5).
또한, 실험예 6에서의 동물실험을 통해서도 쉬나무 추출물 또는 인디루빈 유도체 단독보다 인디루빈 유도체와의 복합물이 현저한 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쉬나무의 줄기, 잎, 과실, 이의 분쇄물 및 이의 혼합물을 원료로 한 것일 수 있고, 상기 원료를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저분자 화합물과 인디루빈 유도체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복합물일 경우, 상처 치유에 대해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생체 외(in virto) 실험에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와,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wound closure rate(%)가 향상되고, 상처 치유 효과 역시 단순한 상승효과 이상의 치유 효과(1.4~2.3 배)를 갖고 있으며, 6시간 더 빠르게 상처가 치유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시 말해 상기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중에서 어느 하나이상과 함께 인디루빈 유도체가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상기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디루빈 유도체가 혼합된 복합물은 후술하는 실험예에서와 같이,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 단독 또는 이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혼합한 복합물에 의한 세포 이동성을 분석한 결과 18 시간 만에 세포 이동성이 회복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메틸 바닐레이트와 인디루빈 유도체(A3051)를 혼합할 경우에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세포)에 비해 5배 더 높은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상기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저분자 화합물은 쉬나무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감귤 추출물, 편축 추출물, 여뀌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으로, 상기 추출물은 쉬나무, 지구자, 감귤, 편축, 여뀌 및 어성초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줄기, 잎, 과실, 이의 분쇄물 및 이의 혼합물을 원료로 한 것이라면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원료를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메틸 바닐레이트는 지구자 추출물에 주로 존재하고, 상기 헤스페리딘은 쉬나무 추출물, 감귤 추출물에 존재하며, 상기 퀘르시트린은 여뀌 추출물, 편축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에 주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쉬나무 추출물이 더 포함되는 경우에는,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과 상기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는 상기 추출물의 건조 중량부 10을 기준으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가 5 내지 15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처 치유 효과의 증가가 미미해질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경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과 상기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저분자 화합물과의 혼합 중량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저분자 화합물과 인디루빈 유도체는 상기 저분자 화합물 1 몰을 기준으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가 1 내지 20 몰 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처 치유 효과의 증가가 미미해질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상기 쉬나무 추출물 또는 저분자 화합물이 포함되는 농도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인 범위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쉬나무 추출물 또는 저분자 화합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건조 중량으로 0.001 내지 5 중량% 또는 액상 중량으로 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만약 0.01 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상처 치유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5 중량%(건조 중량) 또는 50 중량%(액상 중량)을 초과할 경우 피부 자극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처 개선을 통한 미용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쉬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한 복합물일 수 있고,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저분자 화합물을 더 포함한 복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파우더, 파운데이션 또는 세정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에센스, 마사지 크림, 미용목욕물첨가제, 바디로션, 바디밀크, 배스오일, 베이비오일, 베이비파우더, 샤워겔, 샤워크림, 선스크린로션, 선스크린크림, 선탠크림, 스킨로션, 스킨크림, 자외선차단용 화장품, 크렌징밀크, 탈모제화장용, 페이스 및 바디로션, 페이스 및 바디크림, 피부미백크림, 핸드로션, 헤어로션, 화장용크림, 쟈스민오일, 목욕비누, 물비누, 미용비누, 샴푸, 손세정제(핸드클리너), 약용비누비의료용, 크림비누, 페이셜 워시, 전신 세정제, 두피 세정제, 헤어린스, 화장비누, 치아미백용 겔, 치약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용매나,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내에 더 추가될 수 있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물, 식염수, DMSO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고,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정제수, 오일, 왁스, 지방산, 지방산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흡습제(humectant), 증점제, 항산화제, 점도 안정화제, 킬레이팅제, 완충제, 저급 알콜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미백제, 보습제, 비타민, 자외선 차단제, 향수, 염료, 항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수소화 식물성유, 피마자유, 면실유, 올리브유, 야자인유, 호호바유, 아보카도유가 이용될 수 있으며, 왁스는 밀랍, 경랍, 카르나우바, 칸델릴라, 몬탄, 세레신, 액체 파라핀, 라놀린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지방산은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올레산이 이용될 수 있고, 지방산 알콜로는 세틸 알콜, 옥틸도데칸올, 올레일 알콜, 판텐올, 라놀린 알콜, 스테아릴 알콜, 헥사데칸올이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면 활성제로는 당업계에 알려진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가능하며 가능한 한 천연물 유래의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화장품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흡습제, 증점제, 항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와 양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에 따른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더 포함하는 에멀젼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제형에 있어서, 상기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중량비는 0.3-30 : 1 : 2-2.5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 : 1 : 2-2.5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제형의 조성은 에멀젼 시스템의 조성을 결정하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작성된 유사 3상 다이어그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일 상(폴리에톡실화된 피마자유(KolliphorㄾEL)) 및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트윈(tween) 80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물)를 특정 비율 범위의 상이한 중량비율로 완전히 혼합한 후, 물을 각 비율의 오일 및 계면활성제 혼합물에 첨가하면서 에멀젼 형성 영역에 해당하는 점을 표시함으로써 유사 3상 다이어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작성된 유사 3상 다이어그램에서 에멀젼 영역을 결정하여 이 영역에 포함되는 조성 중 특정 조성을 선택하여, 상기 유효성분(인디루빈 유도체 또는 인디루빈 유도체와 쉬나무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복합물)을 용해시키는 에멀젼 제형의 조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조성물이 에멀젼 제형일 경우, 상기 유효성분(인디루빈 유도체 또는 인디루빈 유도체와 쉬나무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복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트윈 계열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보조용해제 역할을 하며, 제약에서는 경구나 비경구 제제의 유화제 또는 습윤제로 사용되고, 화장품이나 식품에서도 첨가물로 사용된다. 또한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p-당단백질 억제를 위한 물질로 사용되기도 한다. 트윈 계열의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Tween 2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Tween 4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Tween 60)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oleate, Tween 8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트윈 계열의 계면활성제는 미국 식품 의약국에서 인체의 정맥주사에 사용을 허가한 안정한 물질이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친수성과 소수성을 가지는 양쪽성 고분자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저분자량일 경우에는 액체이지만 분자량이 커지면서 고체가된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PEG 150, 300, 400, 1000, 6000, 8000, 10000, 20000, 30000 및 4000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EG300 이란 분자량이 3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의미하며, 분자량이 10,000을 초과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들 중에서 PEG400은 액체의 형태로 존재하며, 각종 난용성 약물의 가용화에 빈번히 사용되고 있고, 특히 미국 식품 의약국(FDA)에서 인체의 경구 및 비경구(정맥주사, 피하주사, 근육주사 등)에 사용을 허가한 안정한 물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oleate, Tween 80)이고, 폴리에틸렌글리콜은 PEG 400으로, 이는 양친매성 성질을 가지고, 물에서 분산가능한 비-이온성으로, 난용성 유효성분(상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 또는 이와 쉬나무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복합물을 포함하는 유효성분)에 최적화된, 에멀젼 제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폴리에톡실화된 피마자유(KolliphorㄾEL), 해바라기 오일 및 올리브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더 높은 가용화를 위해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존재하는 유효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이 100 내지 100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제형은 3 달째에 측정했을 때 온도 25 내지 4℃ 조건하에 증류수에서 wnt 활성 및 용해도의 변화가 나타내지 않는 안정한 제형으로, 유효성분의 활성을 오랜기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생체 내로의 흡수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 쉬나무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개선용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오일, 계면활성제와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혼합하여 제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 쉬나무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제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제1 용액에 제2 용액을 혼합하여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용액은 더 높은 가용화를 위해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친수성과 소수성을 가지는 양쪽성 고분자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저분자량일 경우에는 액체이지만 분자량이 커지면서 고체가된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PEG 150, 300, 400, 1000, 6000, 8000, 10000, 20000, 30000 및 4000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EG300 이란 분자량이 3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의미하며, 분자량이 10,000을 초과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들 중에서 PEG400은 액체의 형태로 존재하며, 각종 난용성 약물의 가용화에 빈번히 사용되고 있고, 특히 미국 식품 의약국(FDA)에서 인체의 경구 및 비경구(정맥주사, 피하주사, 근육주사 등)에 사용을 허가한 안정한 물질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트윈 계열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보조용해제 역할을 하며, 제약에서는 경구나 비경구 제제의 유화제 또는 습윤제로 사용되고, 화장품이나 식품에서도 첨가물로 사용된다. 또한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p-당단백질 억제를 위한 물질로 사용되기도 한다. 트윈 계열의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Tween 2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Tween 4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Tween 60)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oleate, Tween 8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트윈 계열의 계면활성제는 미국 식품 의약국에서 인체의 정맥주사에 사용을 허가한 안정한 물질이다.
상기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중량비는 0.3-30 : 1 : 2-2.5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 : 1 : 2-2.5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조성물이 에멀젼 제형일 경우, 상기 유효성분(인디루빈 유도체 또는 인디루빈 유도체와 쉬나무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복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에 물을 첨가하여 현미경 사진을 찍어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에멀젼은 완전히 용해되어 용액 상태의 에멀젼 제형(F8)을 형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에멀젼을 안정성을 관측한 결과, 액적이 구상 형태이고, 평균 지름이 20 내지 1500 ㎚, 바람직한 지름은 30 내지 50 ㎚로 측정되어 나노-크기의 액적을 형성하였으며, 좁은 범위의 크기 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에멀젼은 실온에서 3 달동안 용해도 변화와 유효성분의 활성 변화가 없어 안정성을 장기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아가 본 발명 에멀젼 제형을 경구 투여 또는 국소 부위에 도포한 경우, 흡수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화학식 2]
본 발명의 인디루빈 유도체는 장기간 세포에 처리하여도 세포에 의한 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물질로, 탁월한 세포 재생, 상처 치유 및 콜라겐 생성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상처 치료 또는 개선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로는 5-메톡실인디루빈-3'-옥심, 5-메톡실인디루빈-3'-메톡심, 인디루빈-3'-옥심, 6-브로모인디루빈-3'-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프로필옥심, 6-클로로-5-니트로인디루빈, 6-클로로-5-니트로인디루빈-3'-옥심, 6-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브로모인디루빈-3'-옥심, 5-브로모인디루빈-3'-메톡심, 5-브로모인디루빈-3'-에틸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프로필옥심 및 6-클로로인디루빈-3'-벤질옥심 등 다양한 인디루빈 유도체들이 존재하나, 상처 치료 및 회복에 유의한 효과가 확인된 것은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임을 확인하였다(실험예 1).
한편, 생체 외(in virto) 실험을 통해 화학식 1 또는 2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처리하는 것이 종래의 다른 인디루빈 유도체를 처리하는 경우에 비해 wound closure rate(%)가 향상되고, 상처 치유 효과 역시 단순한 상승효과 이상의 치유 효과(1.5 배, 2.0배)를 갖고 있으며, 가장 빠르게 상처가 치유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종래 인디루빈 유도체 중에서 상기 화학식 1또는 화학식 2의 인디루빈 유도체가 가장 바람직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마우스의 상처에 도포한 결과, 마우스에 생긴 급성 상처가 양성대조군인 EGF와 동등하거나 더 빠르게 재상피화(re-epithelialization)되고, 다양한 종류의 콜라겐 조직의 상처 치유 마커들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1의 인디루빈 유도체(A3334)의 경우에는 양성 대조군인 EGF보다 약간 더 우수한 상처회복 효과를 나타내나, 상처가 아물면서 덧살이 생기거나 움푹 파이는 등의 흔적이 남지않도록 피부의 표피층이 균일하게 회복되는 '흉터 개선'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화학식 2의 인디루빈 유도체(A3051)의 경우에는 양성 대조군인 EGF보다 동일한 시기에 2배 내지 6배 이상의 상처회복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상처를 보다 빠르게 회복시킴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양성 대조군인 EGF를 처리하였을 때보다 상처가 아물면서 덧살이 생기거나 움푹 파이는 등의 흔적이 남지않도록 피부의 표피층이 깨끗하고 균일하게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는 바, EGF를 사용한 것보다 '흉터 개선'에도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인디루빈 유도체는 종래 상처치료제 또는 인디루빈 유도체와 달리, 상처 치유뿐만 아니라, 피부 표피층의 균일한 회복을 유도하는 흉터 개선이라는 예상치 못한 현저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쉬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한 복합물일 수 있고,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저분자 화합물을 더 포함한 복합물일 수 있다.
먼저,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복합물일 경우, 상처 치유에 대해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생체 외(in virto) 실험에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와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wound closure rate(%)가 향상되고, 상처 치유 효과 역시 단순한 상승효과 이상의 치유 효과(2 배)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쉬나무 추출물만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와 인디루빈 유도체를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 각각을 합한 것보다, 실시예 10의 복합물을 처리하였을 때 약 1.5~2배 더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즉, 본 발명의 창상 치료용 조성물은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를 각각 사용하는 것보다 현저한 효과를 가지며, 이는 각각의 조성물로부터 얻는 수치를 단순히 합한, 예상가능한 수치를 넘어선 것임을 확인하였다(실험예 5).
또한, 실험예 6에서의 동물실험을 통해서도 쉬나무 추출물 또는 인디루빈 유도체 단독보다 인디루빈 유도체와의 복합물이 현저한 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쉬나무의 줄기, 잎, 과실, 이의 분쇄물 및 이의 혼합물을 원료로 한 것일 수 있고, 상기 원료를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 복합물일 수 있고, 상기 저분자 화합물과 인디루빈 유도체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복합물일 경우, 상처 치유에 대해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생체 외(in virto) 실험에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와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wound closure rate(%)가 향상되고, 상처 치유 효과 역시 단순한 상승효과 이상의 치유 효과(1.4~2.3 배)를 갖고 있으며, 6시간 더 빠르게 상처가 치유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시 말해 상기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중에서 어느 하나이상과 함께 인디루빈 유도체가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상기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디루빈 유도체가 혼합된 복합물은 후술하는 실험예에서와 같이,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 단독 또는 이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혼합한 복합물에 의한 세포 이동성을 분석한 결과 18 시간 만에 세포 이동성이 회복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메틸 바닐레이트와 인디루빈 유도체(A3051)를 혼합할 경우에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세포)에 비해 5배 더 높은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상기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저분자 화합물은 쉬나무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감귤 추출물, 편축 추출물, 여뀌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으로, 상기 추출물은 쉬나무, 지구자, 감귤, 편축, 여뀌 및 어성초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줄기, 잎, 과실, 이의 분쇄물 및 이의 혼합물을 원료로 한 것이라면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원료를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메틸 바닐레이트는 지구자 추출물에 주로 존재하고, 상기 헤스페리딘은 쉬나무 추출물, 감귤 추출물에 존재하며, 상기 퀘르시트린은 여뀌 추출물, 편축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에 주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쉬나무 추출물이 더 포함되는 경우에는,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과 상기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는 상기 추출물의 건조 중량부 10을 기준으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가 5 내지 15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처 치유 효과의 증가가 미미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경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과 상기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저분자 화합물과의 혼합 중량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저분자 화합물과 인디루빈 유도체는 상기 저분자 화합물 1 몰을 기준으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가 1 내지 20 몰 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처 치유 효과의 증가가 미미해질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상기 쉬나무 추출물 또는 저분자 화합물이 포함되는 농도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인 범위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쉬나무 추출물 또는 저분자 화합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건조 중량으로 0.001 내지 5 중량% 또는 액상 중량으로 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만약 0.01 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상처 치유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5 중량%(건조 중량) 또는 50 중량%(액상 중량)을 초과할 경우 피부 자극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은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복합제, 분말, 과립, 정제, 캡슐, 과자, 떡, 빵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는 식물추출물로 구성된 것이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가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때 그 양은 전체 중량의 0.001 내지 80%의 비율로 첨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품 조성물이 음료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지시된 비율로 상기 식품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즉, 천연 탄수화물로서 포도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미제로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핵심적인 요소에 해당하지 아니하지만,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5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더 포함하는 에멀젼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제형에 있어서, 상기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중량비는 0.3-30 : 1 : 2-2.5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 : 1 : 2-2.5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제형의 조성은 에멀젼 시스템의 조성을 결정하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작성된 유사 3상 다이어그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일 상(폴리에톡실화된 피마자유(KolliphorㄾEL)) 및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트윈(tween) 80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물)를 특정 비율 범위의 상이한 중량비율로 완전히 혼합한 후, 물을 각 비율의 오일 및 계면활성제 혼합물에 첨가하면서 에멀젼 형성 영역에 해당하는 점을 표시함으로써 유사 3상 다이어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작성된 유사 3상 다이어그램에서 에멀젼 영역을 결정하여 이 영역에 포함되는 조성 중 특정 조성을 선택하여, 상기 유효성분(인디루빈 유도체 또는 인디루빈 유도체와 쉬나무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의 복합물)을 용해시키는 에멀젼 제형의 조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조성물이 에멀젼 제형일 경우, 상기 유효성분(인디루빈 유도체 또는 인디루빈 유도체와 쉬나무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의 복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트윈 계열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보조용해제 역할을 하며, 제약에서는 경구나 비경구 제제의 유화제 또는 습윤제로 사용되고, 화장품이나 식품에서도 첨가물로 사용된다. 또한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p-당단백질 억제를 위한 물질로 사용되기도 한다. 트윈 계열의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Tween 2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Tween 4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Tween 60)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oleate, Tween 8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트윈 계열의 계면활성제는 미국 식품 의약국에서 인체의 정맥주사에 사용을 허가한 안정한 물질이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친수성과 소수성을 가지는 양쪽성 고분자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저분자량일 경우에는 액체이지만 분자량이 커지면서 고체가된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PEG 150, 300, 400, 1000, 6000, 8000, 10000, 20000, 30000 및 4000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EG300 이란 분자량이 3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의미하며, 분자량이 10,000을 초과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들 중에서 PEG400은 액체의 형태로 존재하며, 각종 난용성 약물의 가용화에 빈번히 사용되고 있고, 특히 미국 식품 의약국(FDA)에서 인체의 경구 및 비경구(정맥주사, 피하주사, 근육주사 등)에 사용을 허가한 안정한 물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oleate, Tween 80)이고, 폴리에틸렌글리콜은 PEG 400으로, 이는 양친매성 성질을 가지고, 물에서 분산가능한 비-이온성으로, 난용성 유효성분(상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 쉬나무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효성분)에 최적화된, 에멀젼 제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폴리에톡실화된 피마자유(KolliphorㄾEL), 해바라기 오일 및 올리브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더 높은 가용화를 위해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존재하는 유효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이 100 내지 100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제형은 3 달째에 측정했을 때 온도 25 내지 4℃ 조건하에 증류수에서 wnt 활성 및 용해도의 변화가 나타내지 않는 안정한 제형으로, 유효성분의 활성을 오랜기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생체 내로의 흡수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 쉬나무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개선용 에멀젼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오일, 계면활성제와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혼합하여 제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 쉬나무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제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제1 용액에 제2 용액을 혼합하여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용액은 더 높은 가용화을 위해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친수성과 소수성을 가지는 양쪽성 고분자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저분자량일 경우에는 액체이지만 분자량이 커지면서 고체가된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PEG 150, 300, 400, 1000, 6000, 8000, 10000, 20000, 30000 및 4000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EG300 이란 분자량이 3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의미하며, 분자량이 10,000을 초과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들 중에서 PEG400은 액체의 형태로 존재하며, 각종 난용성 약물의 가용화에 빈번히 사용되고 있고, 특히 미국 식품 의약국(FDA)에서 인체의 경구 및 비경구(정맥주사, 피하주사, 근육주사 등)에 사용을 허가한 안정한 물질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트윈 계열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보조용해제 역할을 하며, 제약에서는 경구나 비경구 제제의 유화제 또는 습윤제로 사용되고, 화장품이나 식품에서도 첨가물로 사용된다. 또한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p-당단백질 억제를 위한 물질로 사용되기도 한다. 트윈 계열의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Tween 2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Tween 4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Tween 60)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oleate, Tween 8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트윈 계열의 계면활성제는 미국 식품 의약국에서 인체의 정맥주사에 사용을 허가한 안정한 물질이다.
상기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중량비는 0.3-30 : 1 : 2-2.5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 : 1 : 2-2.5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조성물이 에멀젼 제형일 경우, 상기 유효성분(인디루빈 유도체 또는 인디루빈 유도체와 쉬나무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의 복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에 물을 첨가하여 현미경 사진을 찍어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에멀젼은 완전히 용해되어 용액 상태의 에멀젼 제형(F8)을 형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에멀젼을 안정성을 관측한 결과, 액적이 구상 형태이고, 평균 지름이 20 내지 1500 ㎚, 바람직한 지름은 30 내지 50 ㎚로 측정되어 나노-크기의 액적을 형성하였으며, 좁은 범위의 크기 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에멀젼은 실온에서 3 달동안 용해도 변화와 유효성분의 활성 변화가 없어 안정성을 장기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아가 본 발명 에멀젼 제형을 경구 투여 또는 국소 부위에 도포한 경우, 흡수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는 피부 재생뿐만 아니라, 월등히 우수한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나타내므로, 피부 재생 및 탄력 증진을 위한 의약품, 화장료, 건강식품 등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재생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화학식 2]
본 발명의 인디루빈 유도체는 장기간 세포에 처리하여도 세포에 의한 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물질로, 탁월한 세포 재생, 상처 치유 및 콜라겐 생성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상처 예방 또는 상처 치료 뿐만 아니라, 피부 재생 및 탄력 증진 기능을 갖는 약학, 식품, 화장료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 재생'이라 함은 피부의 손상을 경감., 제거, 완화, 개선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탄력 증진'이라 함은 피부의 탄력과 관련된 능력을 유지 및 강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피부 진피층의 교원섬유인 콜라겐(collagen)이 그러한 역할을하는 주요 단백질로서 피부 탄력을 주관하는데, 콜라겐의 생합성은 피부의 내, 외적 영향을 받게 된다. 구체적으로, 피부세포는 자연 노화로 인하여 세포 활성이 감소되면 콜라겐 섬유의 감소가 일어나거나, 또는 외적요인으로서 자외선의 과량 조사되거나 피수가 손상되거나, 스트레스 등에 의해 생성된 활성 산소가 단백질의 티올기(thiol: -SH)와 반응하여 효소 활성을 저해하거나, 콜라겐 등의 분해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의 주름을 증가시키고 탄력을 감소시켜 피부 노화가 진행된다.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로는 5-메톡실인디루빈-3'-옥심, 5-메톡실인디루빈-3'-메톡심, 인디루빈-3'-옥심, 6-브로모인디루빈-3'-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프로필옥심, 6-클로로-5-니트로인디루빈, 6-클로로-5-니트로인디루빈-3'-옥심, 6-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브로모인디루빈-3'-옥심, 5-브로모인디루빈-3'-메톡심, 5-브로모인디루빈-3'-에틸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프로필옥심 및 6-클로로인디루빈-3'-벤질옥심 등 다양한 인디루빈 유도체들이 존재하나, 세포 회복에 유의한 효과가 확인된 것은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임을 확인하였다(실험예 1).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마우스의 상처에 도포한 결과, 마우스에 생긴 급성 상처가 양성대조군인 EGF와 동등하거나 더 빠르게 재상피화(re-epithelialization)되고, 다양한 종류의 콜라겐 활성이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처 치유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케라티노사이트와 섬유아세포에서, 세포의 운동성을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콜라겐 촉진 및 축적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는 바, 피부 재생 및 탄력 증진을 위한 의약품, 화장료, 건강식품 등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사용된 인디루빈 유도체는 유리 물질로서 뿐만 아니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화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다형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전구약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의 염에 있어서는 의약 또는 화장료 내에서 배합할 수 있는 형태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무기염 또는 유기염을 포함하며, 산성염 또는 알칼리성염일 수 있다. 특히 양이온에 의한 염인 경우 나트륨염이나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및 바륨염 등의 알칼리토류 금속염; 아르기닌이나 라이신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염; 암모늄염이나 트리시클로헥실암모늄염 등의 암모늄염; 모노에탄올아민염, 디에탄올아민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염, 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 및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의 각종 알칸올 아민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염은 알칼리 금속염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테트라소듐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인디루빈 유도체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만약 0.01 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상처 예방 또는 치유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80 중량%를 초과할 경우 과도하게 포함되어 피부 자극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쉬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한 복합물일 수 있고,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저분자 화합물을 더 포함한 복합물일 수 있다.
먼저,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복합물일 경우, 상처 치유에 대해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생체 외(in virto) 실험에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와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wound closure rate(%)가 향상되고, 상처 치유 효과 역시 단순한 상승효과 이상의 치유 효과(2 배)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쉬나무 추출물만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와 인디루빈 유도체를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 각각을 합한 것보다, 실시예 10의 복합물을 처리하였을 때 약 1.5~2배 더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즉, 본 발명의 창상 치료용 조성물은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를 각각 사용하는 것보다 현저한 효과를 가지며, 이는 각각의 조성물로부터 얻는 수치를 단순히 합한, 예상 가능한 수치를 넘어선 것임을 확인하였다(실험예 5).
또한, 실험예 6에서의 동물실험을 통해서도 쉬나무 추출물 또는 인디루빈 유도체 단독보다 인디루빈 유도체와의 복합물이 현저한 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쉬나무의 줄기, 잎, 과실, 이의 분쇄물 및 이의 혼합물을 원료로 한 것일 수 있고, 상기 원료를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쉬나무 추출물이 더 포함되는 경우에는,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과 상기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는 상기 추출물의 건조 중량부 10을 기준으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가 5 내지 15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처 치유 효과의 증가가 미미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 복합물일 수 있고, 상기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과 인디루빈 유도체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복합물일 경우, 피부 재생 및 탄력 증진에 대해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생체 외(in virto) 실험에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와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wound closure rate(%)가 향상되고, 상처 치유 효과 역시 단순한 상승효과 이상의 피부 재생 효과(1.4~2.3 배)를 갖고 있으며, 6시간 더 빠르게 캐라티노사이트의 운동성을 증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시 말해 상기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 중에서 어느 하나이상과 함께 인디루빈 유도체가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상기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과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디루빈 유도체가 혼합된 복합물은 후술하는 실험예에서와 같이,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 단독 또는 이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혼합한 복합물에 의한 세포 이동성을 분석한 결과 18 시간 만에 세포 이동성이 회복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메틸 바닐레이트와 인디루빈 유도체(A3051)를 혼합할 경우에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세포)에 비해 5배 더 높은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상기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저분자 화합물은 쉬나무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감귤 추출물, 편축 추출물, 여뀌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으로, 상기 추출물은 쉬나무, 지구자, 감귤, 편축, 여뀌 및 어성초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줄기, 잎, 과실, 이의 분쇄물 및 이의 혼합물을 원료로 한 것이라면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원료를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메틸 바닐레이트는 지구자 추출물에 주로 존재하고, 상기 헤스페리딘은 쉬나무 추출물, 감귤 추출물에 존재하며, 상기 퀘르시트린은 여뀌 추출물, 편축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에 주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경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과 상기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저분자 화합물과의 혼합 중량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저분자 화합물과 인디루빈 유도체는 상기 저분자 화합물 1 몰을 기준으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가 1 내지 20 몰 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처 치유 효과의 증가가 미미해질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상기 쉬나무 추출물 또는 저분자 화합물이 포함되는 농도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인 범위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쉬나무 추출물 또는 저분자 화합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건조 중량으로 0.001 내지 5 중량% 또는 액상 중량으로 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만약 0.01 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상처 치유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5 중량%(건조 중량) 또는 50 중량%(액상 중량)을 초과할 경우 피부 자극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처 개선을 통한 미용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파우더, 파운데이션 또는 세정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에센스, 마사지 크림, 미용목욕물첨가제, 바디로션, 바디밀크, 배스오일, 베이비오일, 베이비파우더, 샤워겔, 샤워크림, 선스크린로션, 선스크린크림, 선탠크림, 스킨로션, 스킨크림, 자외선차단용 화장품, 크렌징밀크, 탈모제화장용, 페이스 및 바디로션, 페이스 및 바디크림, 피부미백크림, 핸드로션, 헤어로션, 화장용크림, 쟈스민오일, 목욕비누, 물비누, 미용비누, 샴푸, 손세정제(핸드클리너), 약용비누비의료용, 크림비누, 페이셜 워시, 전신 세정제, 두피 세정제, 헤어린스, 화장비누, 치아미백용 겔, 치약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용매나,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내에 더 추가될 수 있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물, 식염수, DMSO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고,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정제수, 오일, 왁스, 지방산, 지방산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흡습제(humectant), 증점제, 항산화제, 점도 안정화제, 킬레이팅제, 완충제, 저급 알콜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미백제, 보습제, 비타민, 자외선 차단제, 향수, 염료, 항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수소화 식물성유, 피마자유, 면실유, 올리브유, 야자인유, 호호바유, 아보카도유가 이용될 수 있으며, 왁스는 밀랍, 경랍, 카르나우바, 칸델릴라, 몬탄, 세레신, 액체 파라핀, 라놀린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지방산은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올레산이 이용될 수 있고, 지방산 알콜로는 세틸 알콜, 옥틸도데칸올, 올레일 알콜, 판텐올, 라놀린 알콜, 스테아릴 알콜, 헥사데칸올이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면 활성제로는 당업계에 알려진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가능하며 가능한 한 천연물 유래의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화장품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흡습제, 증점제, 항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와 양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에 따른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직접 도포 또는 산포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재생 및 탄력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품 조성물이란,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캡슐, 정제, 분말, 과립, 액상, 환,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또는 바(bar) 형태로 제제화 한 것일 수 있고, 또는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여 일반 식품 형태로 제조한 것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의 첨가량은, 대상인 식품 조성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캡슐, 정제, 분말, 과립, 액상, 환,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또는 바(bar)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재생 또는 탄력 증진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더 포함하는 에멀젼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제형에 있어서, 상기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중량비는 0.3-30 : 1 : 2-2.5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 : 1 : 2-2.5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제형의 조성은 에멀젼 시스템의 조성을 결정하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작성된 유사 3상 다이어그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일 상(폴리에톡실화된 피마자유(KolliphorㄾEL)) 및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트윈(tween) 80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물)를 특정 비율 범위의 상이한 중량비율로 완전히 혼합한 후, 물을 각 비율의 오일 및 계면활성제 혼합물에 첨가하면서 에멀젼 형성 영역에 해당하는 점을 표시함으로써 유사 3상 다이어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작성된 유사 3상 다이어그램에서 에멀젼 영역을 결정하여 이 영역에 포함되는 조성 중 특정 조성을 선택하여, 상기 유효성분(인디루빈 유도체 또는 인디루빈 유도체와 쉬나무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의 복합물)을 용해시키는 에멀젼 제형의 조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조성물이 에멀젼 제형일 경우, 상기 유효성분(인디루빈 유도체 또는 인디루빈 유도체와 쉬나무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의 복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트윈 계열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보조용해제 역할을 하며, 제약에서는 경구나 비경구 제제의 유화제 또는 습윤제로 사용되고, 화장품이나 식품에서도 첨가물로 사용된다. 또한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p-당단백질 억제를 위한 물질로 사용되기도 한다. 트윈 계열의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Tween 2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Tween 4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Tween 60)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oleate, Tween 8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트윈 계열의 계면활성제는 미국 식품 의약국에서 인체의 정맥주사에 사용을 허가한 안정한 물질이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친수성과 소수성을 가지는 양쪽성 고분자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저분자량일 경우에는 액체이지만 분자량이 커지면서 고체가된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PEG 150, 300, 400, 1000, 6000, 8000, 10000, 20000, 30000 및 4000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EG300 이란 분자량이 3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의미하며, 분자량이 10,000을 초과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들 중에서 PEG400은 액체의 형태로 존재하며, 각종 난용성 약물의 가용화에 빈번히 사용되고 있고, 특히 미국 식품 의약국(FDA)에서 인체의 경구 및 비경구(정맥주사, 피하주사, 근육주사 등)에 사용을 허가한 안정한 물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oleate, Tween 80)이고, 폴리에틸렌글리콜은 PEG 400으로, 이는 양친매성 성질을 가지고, 물에서 분산가능한 비-이온성으로, 난용성 유효성분(상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 쉬나무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효성분)에 최적화된, 에멀젼 제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폴리에톡실화된 피마자유(KolliphorㄾEL), 해바라기 오일 및 올리브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더 높은 가용화를 위해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존재하는 유효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이 100 내지 100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제형은 3 달째에 측정했을 때 온도 25 내지 4℃ 조건하에 증류수에서 wnt 활성 및 용해도의 변화가 나타내지 않는 안정한 제형으로, 유효성분의 활성을 오랜기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생체 내로의 흡수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 쉬나무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또는 탄력 증진용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오일, 계면활성제와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혼합하여 제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 쉬나무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제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제1 용액에 제2 용액을 혼합하여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용액은 더 높은 가용화을 위해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친수성과 소수성을 가지는 양쪽성 고분자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저분자량일 경우에는 액체이지만 분자량이 커지면서 고체가된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PEG 150, 300, 400, 1000, 6000, 8000, 10000, 20000, 30000 및 4000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EG300 이란 분자량이 3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의미하며, 분자량이 10,000을 초과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들 중에서 PEG400은 액체의 형태로 존재하며, 각종 난용성 약물의 가용화에 빈번히 사용되고 있고, 특히 미국 식품 의약국(FDA)에서 인체의 경구 및 비경구(정맥주사, 피하주사, 근육주사 등)에 사용을 허가한 안정한 물질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트윈 계열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보조용해제 역할을 하며, 제약에서는 경구나 비경구 제제의 유화제 또는 습윤제로 사용되고, 화장품이나 식품에서도 첨가물로 사용된다. 또한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p-당단백질 억제를 위한 물질로 사용되기도 한다. 트윈 계열의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Tween 2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Tween 4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Tween 60)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oleate, Tween 8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트윈 계열의 계면활성제는 미국 식품 의약국에서 인체의 정맥주사에 사용을 허가한 안정한 물질이다.
상기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중량비는 0.3-30 : 1 : 2-2.5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 : 1 : 2-2.5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조성물이 에멀젼 제형일 경우, 상기 유효성분(인디루빈 유도체 또는 인디루빈 유도체와 쉬나무 추출물,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의 복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에 물을 첨가하여 현미경 사진을 찍어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에멀젼은 완전히 용해되어 용액 상태의 에멀젼 제형(F8)을 형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에멀젼을 안정성을 관측한 결과, 액적이 구상 형태이고, 평균 지름이 20 내지 1500 ㎚, 바람직한 지름은 30 내지 50 ㎚로 측정되어 나노-크기의 액적을 형성하였으며, 좁은 범위의 크기 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에멀젼은 실온에서 3 달동안 용해도 변화와 유효성분의 활성 변화가 없어 안정성을 장기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아가 본 발명 에멀젼 제형을 경구 투여 또는 국소 부위에 도포한 경우, 흡수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또한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험 결과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대표적인 실험 결과만을 기재한 것이며, 아래에서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의 각각의 효과는 해당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실시예 1. 5-메톡실인디루빈-3'-옥심(A3334)의 합성
① 중간체 5'-메톡시-[2,3'-바이인돌리닐리딘]-2',3-다이온(5'-methoxy-[2,3'-biindolinylidene]-2',3-dione) 의 합성
250 ㎖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5-메톡시이사틴(5-methoxyisatin) (1000 ㎎, 5.65 m㏖)을 넣고 메탄올(MeOH)(225 ㎖)에 녹인 뒤, 인독실아세테이트(indoxyl acetate) (989 ㎎, 5.65 mmol) 과 탄산나트륨(Na2CO3) (1496 ㎎, 14.11 mmol)을 첨가하여 65 ℃에서 12시간 동안 교반 한다. TLC(Rf=0.4,에틸아세테이트/헥산 = 1/2 (v/v))를 이용하여 반응의 종결을 확인하고, 생성물을 얼음에서 결정 덩어리가 생길 때까지 식혀준다. 결정체가 생기면 여과시켜 용매를 제거한 후, 여과액은 버리고 생성물을 용매(에탄올/물 = 1/1(v/v))로 여러 번 씻어 준다. 생성물을 여과하여 진공 펌프에서 건조시킨 다음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A3334의 합성
100 ㎖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5'-메톡시-[2,3'-바이인돌리닐리딘]-2',3-다이온 (5'-methoxy-[2,3'-biindolinylidene]-2',3-dione)(670 ㎎, 2.29 m㏖)을 넣고 피리딘 (pyridine)(27 ㎖)에 녹인 다음 H2NOHㅇHCl(3186 ㎎, 45.85 m㏖)을 첨가한 후, 120 ℃에서 12시간 동안 교반 한다. TLC(Rf=0.5, 에틸아세테이트/헥산= 1/1 (v/v))를 이용하여 반응의 종결을 확인하고 반응 용액의 온도를 실온으로 낮춘다. 생성물의 피리딘 용매를 모두 증발한 뒤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어 30분 동안 초음파를 이용하여 생성물을 용해 한 뒤, 에틸아세테이트로 두 번에 걸쳐 추출하고 중조(NaHCO3) 포화용액으로 씻어준다. 추출한 용액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 한 뒤, 용매를 증발시키고 메탄올과 핵산을 이용해 재결정 해 준다. 생성물을 진공펌프에서 건조시키면 붉은색 고체 A3334를(420 ㎎) 59% 의 수율로 얻을 수 있다. 1H NMR(400 MHz, DMSO-d6) δ 13.52 (s, 1H), 11.79 (s, 1H), 10.54 (s, 1H), 8.35 (d, J = 1.5 Hz, 1H), 8.26 (d, J = 7.6 Hz, 1H), 7.41 (d, J = 2.8 Hz, 2H), 7.08 - 7.00 (m, 1H), 6.82 - 6.71 (m, 2H), 3.78 (s, 3H).
실시예 2. 5,6-디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A3051)의 합성.
① 중간체 5',6`-다이클로로-[2,3`-바이인돌리닐리딘]-2`3-다이온( 5',6'-dichloro-[2,3'-biindolinylidene]-2',3-dione)의 합성
250 ㎖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5,6-다이클로로이사틴 (5,6-dichloroisatin) (500 ㎎, 2.32 m㏖)을 넣고 메탄올(MeOH)(92.80 ㎖)에 녹인 뒤, 인독실아세테이트(indoxyl acetate) (405.48 ㎎, 2.315 mmol) 과탄산나트륨(Na2CO3) (637.83 ㎎, 6.02 mmol)을 첨가하여 65 ℃에서 12시간 동안 교반 한다. TLC(Rf=0.4,에틸아세테이트/헥산 = 1/2 (v/v))를 이용하여 반응의 종결을 확인하고, 생성물을 얼음에서 결정 덩어리가 생길 때까지 식혀준다. 결정체가 생기면 여과시켜 용매를 제거한 후, 여과액은 버리고 생성물을 용매(에탄올/물 = 1/1(v/v))로 여러 번 씻어 준다. 생성물을 여과하여 진공 펌프에서 건조시킨 다음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② A3051의 합성
100 ㎖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5',6`-다이클로로-[2,3`-바이인돌리닐리딘]-2`3-다이온 ( 5',6'-dichloro-[2,3'-biindolinylidene]-2',3-dione) (600 ㎎, 1.81 m㏖)을 넣고 피리딘 (pyridine)(151 ㎖)에 녹인 다음 H2NOCH3ㅇHCl(3026.4 ㎎, 36.24 m㏖)을 첨가한 후, 120 ℃에서 12시간 동안 교반 한다. TLC(Rf=0.4, 에틸아세테이트/헥산= 1/1 (v/v))를 이용하여 반응의 종결을 확인하고 반응 용액의 온도를 실온으로 낮춘다. 생성물의 피리딘 용매를 모두 증발한 뒤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어 30분 동안 초음파를 이용하여 생성물을 용해 한 뒤, 에틸아세테이트로 두 번에 걸쳐 추출하고 중조(NaHCO3) 포화용액으로 씻어준다. 추출한 용액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 한 뒤, 용매를 증발시키고 메탄올과 핵산을 이용해 재결정 해 준다. 생성물을 진공펌프에서 건조시키면 붉은색 고체 A3051을(326 ㎎) 47.94% 의 수율로 얻을 수 있다. 1H NMR(400 MHz, DMSO-d6) δ 11.36 (s, 2H), 8.80 (s, 1H), 8.08 (d, 1H, J = 7.7 Hz), 7.46 - 7.41 (m, 2H), 7.07 - 6.99 (m, 2H), 4.38 (s, 3H).
실시예 3. 메틸 바닐레이트(methyl vanillate) 준비
메틸 바닐레이트(Methyl vanillate)를 sigma aldrich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4. 헤스페리딘(hesperidin) 준비
헤스페리딘(hesperidin)을 sigma aldrich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5. 퀘르시트린(Quercitrin) 준비
퀘르시트린(Quercitrin)를 sigma aldrich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어성초 추출물의 분말은 황화디메틸(DMSO)에 1 μg/㎖ 농도로 녹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6. 쉬나무 추출물 제조
쉬나무 추출물을 한국식물추출물은행(KOREA PLANT EXTACT BANK)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7 내지 9. 복합물 제조.
상기 실시예 3으로부터 제조된 메틸 바닐레이트, 실시예 4의 헤스페리딘, 실시예 5의 퀘르시트린과 실시예 2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A3051)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A3486)의 복합물 제조
실시예 6으로부터 제조된 쉬나무 추출물 0.1 ㎍/㎖, 1 ㎍/㎖, 1 ㎎/㎖와 실시예 1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A3486) 0.1 μM, 1 μM, 0.5 mM로 혼합하여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 혼합비는 각각의 실험예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1.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의 복합물 제조
실시예 6으로부터 제조된 쉬나무 추출물 0.1 ㎍/㎖, 1 ㎍/㎖, 1 ㎎/㎖와 실시예 2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A3051) 0.1 μM, 1 μM, 0.5 mM로 혼합하여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 혼합비는 각각의 실험예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 인디루빈-3'-옥심(I3O 또는 IO)
[화학식 3]
비교예 2. 5,6-디클로로인디루빈(A2941)
[화학식 4]
화학식 6의 5,6-디클로로인디루빈은 실시예 2의 인디루빈 유도체(화학식 2)의 중간체로, 실시예 2-①의 합성과정과 모두 동일하게 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3.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A3050)
[화학식 5]
비교예 4. 6-클로로-5-니트로인디루빈-3'-옥심(A2736)
[화학식 6]
5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6-클로로-5-니트로인디루빈(A2735)(350mg, 1.02mmol)을 넣고 피리딘(7 ml)에 녹인 다음 H2NOHㅇHCl(711.78 mg, 10.24 mmol)를 첨가한 후, 120 ℃ 이상에서 12시간 정도 환류시킨다. TLC(Rf=0.5, 에틸아세테이트/헥산= 1/1 (v/v))를 이용하여 반응의 종결을 확인하고 반응 용액의 온도를 실온으로 낮춘다. 생성물의 피리딘 용매를 모두 증발한 뒤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어 30분 동안 초음파를 이용하여 생성물을 용해 한 뒤, 에틸아세테이트로 두 번에 걸쳐 추출하고 중조(NaHCO3) 포화용액으로 씻어준다. 추출한 용액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한 뒤, 용매를 증발시키고 메탄올과 핵산을 이용해 재결정하였다. 생성물을 진공펌프에서 건조시키면 빨간색고체 A2736(284 mg)를 78%의 수율로 얻을 수 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3.81 (s, 1H), 11.77 (s, 1H), 11.30 (s, 1H), 9.13 (s, 1H), 8.16 (d, J = 8.0 Hz, 1H), 7.42 - 7.35 (m, 2H), 7.04 (t, J = 8.0 Hz, 1H), 6.99 (s, 1H).
비교예 5. 6-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A2793)
[화학식 7]
비교예 6. 5-브로모인디루빈-3'-메톡심(A3391)
[화학식 8]
비교예 7. 5-메톡실인디루빈-3'-메톡심(A3441)
[화학식 9]
실험예 1. 세포의 운동성 확인.
실시예 1 및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 비교예 1 내지 7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에 의한, 세포의 이동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상처 치유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HaCaT 세포 즉, 케라티노사이트(human keratinocyte cell)를 12-well plate에서 24 시간 배양하였다. 이 때, 10% FBS가 포함된 DMEM을 사용하였다. 24 시간의 배양 후에 5% FBS가 포함된 DMEM 배지로 배지를 교환한 다음, 1000p(blue) tip끝을 이용해 세포 가운데에 스크래치를 냈다. 그 후, 스크래치를 낸 부분에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7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각각 5 μg/ml, 1 μM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후 세포의 운동성을 관찰하였다.
도 1은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내지 7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의 처리에 따른 세포의 이동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케라티노사이트에서 세포의 이동능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내지 7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의 처리에 따른 세포의 이동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케라티노사이트 세포에서 세포의 이동률을 정량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대조군(control)은 인디루빈 유도체를 처리하지 않은 케라티노사이트 세포를 의미한다.
도 2에서 wound closure rate(%)는 상처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케라티노사이트에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7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를 각각 처리하였을 때의 결과(도 1)를, 세포의 이동률로 정량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7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는 대조군 세포와 비교하여 세포의 운동성에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실시예 1,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를 각각 처리한 세포에서의 운동성이 대조군 세포에서의 운동성보다 최대 1.5~2배 이상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실시예 1 및 2의 인디루빈 유도체 A3334, A3051를 각각 처리할 경우, 상처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케라티노사이트의 세포의 운동성이 다른 유사 인디루빈 유도체에 비해 2 배 이상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즉, 실시예 1 및 2의 인디루빈 유도체는, 종래 매우 유사한 구조의 인디루빈 유도체와 비교하였을 때, 전혀 예상할 수 없었던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예상되는 효과를 넘어선 현저히 우수한 효과 즉, 유의적 효과의 상승이라 할 것이다.
실험예 2. 동물실험을 통한 상처 치유 효능 및 콜라겐 촉진 효능 확인
실시예 1 및 2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와 비교예 1의 인디루빈 유도체(IO) 및 종래 상처치료제로 알려진 EGF를 양성대조군으로 하여, 동물실험을 통해 상처 치유촉진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휴지기에 들어간 7 주령된 C3H 마우스의 등 부위의 모발을 제거하고 모발이제거된 부위에 1.5 × 1.5 cm의 상처를 만들었다. 대조군에는 vehicle(10% DMSO, 45% 에탄올, 18% 프로필렌글라이콜, 27% 물)을, 비교군에는 비교예 1의 인디루빈 유도체(IO)를 20 ㎕씩 12 일간 매일 1회 도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에는 EGF 100 μM 를 12일간 매일 1회 도포하였으며, 제1 실험군에는 실시예 2의 인디루빈 유도체(A3051로 표시)를 20 ㎕씩 12 일간 매일 1회 도포하였고, 제2 실험군에는 실시예 1의 인디루빈 유도체(A3334로 표시)를 20 ㎕씩 12 일간 매일 1회 도포하였다.
각각의 실험한 마우스의 조직을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에 담가 고정한 후 파라핀에 포매하고 4 ㎛ 두께로 박편하였다. 박편된 조직을 탈파라핀화 및 재수화한후 콜라겐의 합성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Masson's trichrome 염색, picrosirius red 염색을 실시하였다. Masson's trichrome 염색의 경우, 슬라이드를 Weigert's Iron Hematoxylin Solution에 10분, Biebrich Scarlet-Acid Fuchsin과 Aniline Blue에 각각 5분 두었다. picrosirius red 염색의 경우, Weigert's solution에 8분, picrosirius red에 1시간 두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의 인디루빈 유도체, 비교예 1의 인디루빈 유도체 및 EGF(양성 대조군)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에 대하여, 시간의 흐름(0일째, 14일째)에 따라 촬영한 사진 및 염색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의 하단(collagen staining)에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의 인디루빈 유도체, 비교예 1의 인디루빈 유도체 및 EGF(양성 대조군)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을 Masson's trichrome과, picrosirius red로 염색한 결과가 나타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의 인디루빈 유도체, 비교예 1의 인디루빈 유도체 및 EGF(양성 대조군)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에 대하여, 시간의 흐름(1, 3, 5, 9, 12 일)에 따라 측정된 재상피화 정도를 정량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의 인디루빈 유도체, 비교예 1의 인디루빈 유도체 및 EGF(양성 대조군)을 처리한 마우스에서, 14일째 상처 크기(㎠)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 내지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를 각각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 비교예 1 및 양성대조군에 비해 마우스 모델에서 급성 상처가 빠르게 치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실시예 1 및 2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마우스의 상처에 도포한 결과, 마우스에 생긴 급성 상처가 양성대조군인 EGF와 동등하거나 더 빠르게 재상피화(re-epithelialization)되고, 다양한 종류의 콜라겐 조직의 상처 치유 마커들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의 인디루빈 유도체(A3334)의 경우에는 양성 대조군인 EGF보다 약간 더 우수한 상처회복 효과를 나타내나, 상처가 아물면서 덧살이 생기거나 움푹 파이는 등의 흔적이 남지 않도록 피부의 표피층이 균일하게 회복되는 '흉터 개선' 효과도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의 인디루빈 유도체(A3051)의 경우에는 양성 대조군인 EGF보다 동일한 시기에 2배 내지 6배 이상의 상처회복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상처를 보다 빠르게 회복시킴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양성 대조군인 EGF를 처리하였을 때보다 상처가 아물면서 덧살이 생기거나 움푹 파이는 등의 흔적이 남지않도록 피부의 표피층이 깨끗하고 균일하게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는 바, EGF를 사용한 것보다 '흉터 개선'에도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시 말해 실시예 1 및 2의 인디루빈 유도체는 종래 상처치료제 또는 인디루빈 유도체와 달리, 상처 치유뿐만 아니라, 피부 표피층의 균일한 회복을 유도하는 흉터 개선이라는 예상치 못한 현저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Masson's trichrome staining, picrosirius red staining, van Gieson staining은 각각 콜라겐의 종류와 양을 확인하기 위한 염색 방법으로서, 실시예 1,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 비교예 1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와 EGF(양성대조군)을 처리한 마우스의 급성 상처 조직을 상기 두가지 염색 방법으로 확인한 결과, 실시예 1 및 2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처리하였을 때가 세포의 창상 회복도 빠를 뿐만 아니라 콜라겐의 양이 대조군, 비교예 1, 양성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로 처리한 마우스 모델과 동일하게 상피세포 성장인자(EGF)로 처리하여 제조된 마우스 모델을 2 가지 염색(Masson's Trichrome, Picrosirius Red)을 통해 비교한 결과, 실시예 1, 2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를 사용한 것이, 종래 상피세포 성장인자(EGF)를 직접적으로 처리한 경우와 비교예 1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처리한 경우보다 우수한 상처 치유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인디루빈 유도체(화학식 1 또는 2)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의 상처치유 효능 분석
상처치유 효능을 분석하고자, 실시예 2으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 실시예 3의 메틸 바닐레이트, 실시예 4의 헤스페리딘, 실시예 5의 퀘르시트린 및 실시예 7 내지 9로부터 제조된 복합물들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의 이동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상처 치유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HaCaT 세포 즉, 케라티노사이트(human keratinocyte cell)를 12-well plate에서 24 시간 배양하였다. 이 때, 10% FBS가 포함된 DMEM을 사용하였다. 24 시간의 배양 후에 5% FBS가 포함된 DMEM 배지로 배지를 교환한 다음, 1000p(blue) tip끝을 이용해 세포 가운데에 스크래치를 냈다. 그 후, 스크래치를 낸 부분에 실시예 2으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 실시예 3의 메틸 바닐레이트, 실시예 4의 헤스페리딘, 실시예 5의 퀘르시트린 및 실시예 7 내지 9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을 각각 1 μM 또는 5 μM 농도로 처리하고 18시간 후 세포의 운동성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으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 실시예 4의 헤스페리딘, 실시예 5의 퀘르시트린은 1 μM를 사용하였고, 실시예 3의 메틸 바닐레이트는 5 μM을 사용하였으며, 실시예 7 내지 9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은 1 μM 인디루빈 유도체에, 5 μM 메틸 바닐레이트, 1 μM 헤스페리딘 또는 1 μM 퀘르시트린을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도 6a는 실시예 2으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 실시예 3의 메틸 바닐레이트, 실시예 4의 헤스페리딘, 실시예 5의 퀘르시트린 및 실시예 7 내지 9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의 처리에 따른 세포의 이동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케라티노사이트에서 세포의 이동능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6b는 실시예 2으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 실시예 3의 메틸 바닐레이트, 실시예 4의 헤스페리딘, 실시예 5의 퀘르시트린 및 실시예 7 내지 9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의 처리에 따른 세포의 이동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케라티노사이트 세포에서 세포의 이동률을 정량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대조군(control)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케라티노사이트 세포를 의미한다. wound closure rate(%)는 상처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케라티노사이트에 실시예 2으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 실시예 3의 메틸 바닐레이트, 실시예 4의 헤스페리딘, 실시예 5의 퀘르시트린 및 실시예 7 내지 9로부터 제조된 복합물들을 각각 처리하였을 때의 결과(도 6)를, 세포의 이동률로 정량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메틸 바닐레이트, 실시예 4의 헤스페리딘, 실시예 5의 퀘르시트린을 단독으로 처리한 것과 대조군 세포와 비교하였을 때, 세포의 운동성에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실시예 7 내지 9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을 처리한 세포에서의 운동성이 대조군 세포에서의 운동성보다 최대 2.5~4배 이상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험은 세포에 각각의 유효성분을 처리하고, 앞선 도 1의 실험보다 6시간 더 빠른 18시간이 지난후 측정한 것으로, 실시예 2의 인디루빈 유도체 A3051를 단독으로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보다도 실시예 7 내지 9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을 처리한 경우가, 상처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케라티노사이트의 세포의 운동성을 더 빠르고, 더 많이(1.4~2.3 배 이상) 향상시켰음을 확인하였다.
즉, 실시예 2의 인디루빈 유도체 또는 실시예 3의 메틸 바닐레이트, 실시예 4의 헤스페리딘, 실시예 5의 퀘르시트린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에 비해, 전혀 예상할 수 없었던 효과(세포의 운동성 회복 시간 단축과 운동성 회복(2.5~4배))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예상되는 효과를 넘어선 현저히 우수한 효과 즉, 유의적 효과의 상승이라 할 것이다.
실험예 4. 동물실험을 통한 복합물의 상처 치유 효능 확인
실시예 2 인디루빈 유도체(0.5 mM), 실시예 3의 메틸 바닐레이트(2.5 mM, 5 mM), 실시예 7로부터 제조된 복합물(A3051 0.5 mM, Methyl vanillate 3 또는 5 mM) 및 종래 상처치료제로 알려진 EGF(양성 대조군1)과 PTD+VPA(Arg Lys Thr Gly His Gln Ile Cys Lys Phe Arg Lys Cys으로 표시되는 세포 투과성 펩티드와 발프로익산의 복합물, 양성 대조군2)를 동물모델에 처리하고, 이를 통해 상처 치유촉진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휴지기에 들어간 7 주령된 C3H 마우스의 등 부위의 모발을 제거하고 모발이제거된 부위에 1.5 × 1.5 cm의 상처를 만들었다. 양성 대조군에는 EGF 100 μM 를또는 PTD+VPA를 12일간 매일 1회 도포하였으며, 실험군에는 실시예 2 인디루빈 유도체(0.5 mM), 실시예 3의 메틸 바닐레이트(2.5 mM, 5 mM), 실시예 7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을 20 ㎕씩 12 일간 매일 1회 도포하였다.
각각의 실험한 마우스의 상처 크기를 측정하고, 상처 조직을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에 담가 고정한 후 파라핀에 포매하고 4 ㎛ 두께로 박편하였다. 박편된 조직을 탈파라핀화 및 재수화한후 재상피화 정도를 분석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인디루빈 유도체(0.5 mM), 실시예 3의 메틸 바닐레이트(2.5 mM, 5 mM), 실시예 7로부터 제조된 복합물, EGF(양성 대조군1) 및 PTD+VPA(양성 대조군2)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에 대하여, 시간의 흐름(0일째, 14일째)에 따라 촬영한 사진 및 염색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7의 하단 좌측 그래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인디루빈 유도체(0.5 mM), 실시예 3의 메틸 바닐레이트(2.5 mM, 5 mM), 실시예 7로부터 제조된 복합물, EGF(양성 대조군1) 및 PTD+VPA(양성 대조군2)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에 대하여, 시간의 흐름(0일째, 14일째)에 따라 측정된 재상피화 정도를 정량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의 하단 우측 그래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인디루빈 유도체(0.5 mM), 실시예 3의 메틸 바닐레이트(2.5 mM, 5 mM), 실시예 7로부터 제조된 복합물, EGF(양성 대조군1) 및 PTD+VPA(양성 대조군2)을 처리한 마우스에서, 1일째와 14일째 상처 크기(㎠)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때 대조군(con)은 시료가 첨가되지 않은 용액을 처리한 것으로, 대조군(con1)은 아무것도 첨가되지 않은 물을 도포한 것이고, 대조군(con2)는 10% DMSO, 45% 에탄올, 18% 프로필렌글라이콜, 27% 물을 도포하였다.
실시예 2 인디루빈 유도체(0.5 mM)는 A3051 0.5 mM로 표시되어 있고, 실시예 3의 메틸 바닐레이트(2.5 mM, 5 mM)을 처리한 군은 Methyl vanillate 2.5 mM과 5mM로 표시되어 있으며, 실시예 7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은 A3051+Methyl vanillate2.5 또는 5로 표시되어 있다. 그래프상에서는 Methyl vanillate를 M(용량)으로 표기하였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 인디루빈 유도체(0.5 mM), 실시예 3의 메틸 바닐레이트(2.5 mM, 5 mM), 실시예 7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을 각각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 및 양성대조군에 비해 마우스 모델에서 급성 상처가 빠르게 치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물질들을 각각의 실험동물에 처리하고 1일째에는 모두 상처의 크기가 동일하였으나, 12일이 지난 후에는 A3051 0.5 mM과 Methyl vanillate 5 mM 혼합한 실시예 7의 복합물이 투여된 마우스가 양성대조군1인 EGF보다 현저히 상처회복이 빠르고 흉터도 적었으며, 종래 상처치료제인 PTD+VPA보다 동등하거나 더 빠르게 재상피화(re-epithelialization)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의 복합물 중에서 A3051 0.5 mM과 Methyl vanillate 5 mM으로 혼합된 복합물은 양성 대조군1인 EGF보다 동일한 시기에 4배 이상의 상처회복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상처를 보다 빠르게 회복시킴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양성 대조군2인 PTD+VPA를 처리하였을 때보다 상처가 2배 이상 상처회복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는 바, 아물면서 덧살이 생기거나 움푹 파이는 등의 흔적이 남지않도록 피부의 표피층이 깨끗하고 균일하게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실시예 2의 인디루빈 유도체도 상처회복 효과를 가지지만 A3051 0.5 mM과 Methyl vanillate 5 mM으로 혼합된 실시예 7의 복합물이 가장 상처치료 및 흉터개선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동물실험을 통한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 복합물의 상처 치유 효능 확인
실시예 1의 인디루빈 유도체(0.1 μM, 1 μM), 실시예 2 인디루빈 유도체(0.1 μM, 1 μM), 실시예 10 및 11의 복합물(쉬나무 추출물 1 ㎍/㎖에 대하여 0.1 μM, 1 μM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각각 포함함)를 세포에 처리하고. 이의 이동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의 대조군으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con), 실시예 6으로부터 제조된 쉬나무 추출물(1 ㎍/㎖)을 단독으로 처리한 것(쉬나무 1 ㎍/㎖)과, 양성 대조군으로 VPA(발프로익산) 100 μM을 준비하였다.
실험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우선, 상기 HaCaT 세포를 12-well plate에서 24 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HaCaT 세포는 상처 치유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케라티노사이트(human keratinocyte cell)이다. 이때, 10% FBS가 포함된 DMEM을 사용하였다. 24 시간의 배양이 완료된 후, 배지를 5% FBS가 포함된 DMEM 배지로 교환하고, 1000p(blue) tip끝을 이용해 세포 가운데에 스크래치를 냈다. 스크래치를 낸 부분에 시료를 처리하고 18시간 후 세포의 이동성 및 운동성을 관찰하였다.
상기 시료로는 실시예 1의 인디루빈 유도체(0.1 μM, 1 μM), 실시예 2 인디루빈 유도체(0.1 μM, 1 μM), 실시예 10 및 11의 복합물(쉬나무 추출물 1 ㎍/㎖에 대하여 0.1 μM, 1 μM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각각 포함함)를 사용하였고, 도면에 시료의 명칭과 투여된 용량을 기입하였다.
도 8a는 대조군으로 아무것도 처리하는 세포(con), 실시예 6으로부터 제조된 쉬나무 추출물(1 ㎍/㎖)을 단독으로 처리한 것(쉬나무 1 ㎍/㎖)과, 양성 대조군으로 VPA(발프로익산) 100 μM을 각각 케라티노사이트에 처리하고 18시간 후, 세포의 이동능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8b는 실시예 1의 인디루빈 유도체(0.1 μM, 1 μM), 실시예 2 인디루빈 유도체(0.1 μM, 1 μM), 실시예 10 및 11의 복합물(쉬나무 추출물 1 ㎍/㎖에 대하여 0.1 μM, 1 μM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각각 혼합함)을 각각 케라티노사이트에 처리하고 18시간 후, 세포의 이동능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8c는 도 8a, b로부터 세포의 이동률을 계산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쉬나무 추출물(실시예 6)을 단독으로 처리하거나, 도 8b에서와 같이 인디루빈 유도체(쉬나무 0㎍/㎖으로 표기된 도면)만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는 대조군(con)과 세포의 운동성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세포 이동률을 나타낸 도 8c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10 및 11로부터 제조된 다양한 비율로 혼합된 복합물의 경우, 세포 운동성이 현저히 회복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보다 약 2배 이상인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대조군 대비 회복된 세포 이동률(%)을 살펴보면, 쉬나무 추출물만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 28% 상승하였고, A3051 인디루빈 유도체를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 각각 50%, 114% 였다. 반면 실시예 10의 복합물을 처리하였을 때는 71%, 246% 상승하였는 바, 이는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를 합한 것보다 약 1.5~2배 더 높은 수치임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의 창상 치료용 조성물은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를 각각 사용하는 것보다 현저한 효과를 가지며, 이는 각각의 조성물로부터 얻는 수치를 단순히 합한, 예상 가능한 수치를 넘어선 것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동물실험을 통한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 복합물의 상처 치유 효능 확인
실시예 1의 인디루빈 유도체(0.5 mM), 실시예 2 인디루빈 유도체(0.5 mM), 실시예 10 및 11의 복합물(쉬나무 추출물 1 ㎎/㎖에 대하여 0.5 mM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각각 포함함)를 동물모델에 처리하고, 이를 통해 상처 치유촉진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휴지기에 들어간 7 주령된 C3H 마우스의 등 부위의 모발을 제거하고 모발이제거된 부위에 1.5 × 1.5 ㎝의 상처를 만들었다. 실험동물의 상처부위에 시료를 12일간 매일 1회 도포하였다. 0일째, 12일째에 각 실험동물의 상처 크기를 측정하고, 상처 조직을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에 담가 고정한 후, 파라핀에 포매하고 4 ㎛ 두께로 박편하였다. 박편된 조직을 탈파라핀화 및 재수화한후 재상피화 정도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콜라겐의 합성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Masson's trichrome 염색, picrosirius red 염색을 실시하였다. Masson's trichrome 염색의 경우, 슬라이드를 Weigert's Iron Hematoxylin Solution에 10분, Biebrich Scarlet-Acid Fuchsin과 Aniline Blue에 각각 5분 두었다. picrosirius red 염색의 경우, Weigert's solution에 8분, picrosirius red에 1시간 두었다. β-카테닌을 비롯해 pCNA, keratin 14, 콜라겐 Ⅰ은 상처 치유에 관련된 중요 마커들이다. 도 9a에서 사용한 피부조직 절편을 β-카테닌, pCNA, keratin 14, 콜라겐 Ⅰ의 항체를 이용하여 형광염색하고 그 결과를 형광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시료로는 실시예 1의 인디루빈 유도체(0.5 mM), 실시예 2 인디루빈 유도체(0.5 mM), 실시예 10 및 11의 복합물(쉬나무 추출물 1 ㎎/㎖에 대하여 0.5 mM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각각 포함함)을 비롯하여, 실시예 6으로부터 제조된 쉬나무 추출물(1 ㎎/㎖)을 단독으로 처리하거나(쉬나무 1 ㎎/㎖), 양성 대조군으로 EGF 100 μM, VPA(발프로익산) 500 mM을 사용하였다. 이때 대조군(con)은 시료가 첨가되지 않은 용액을 처리한 것으로, 대조군(con1)은 아무것도 첨가되지 않은 물을 도포한 것이고, 대조군(con2)는 10% DMSO, 45% 에탄올, 18% 프로필렌글라이콜, 27% 물을 도포한 것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인디루빈 유도체(0.5 mM), 실시예 2 인디루빈 유도체(0.5 mM), 실시예 10 및 11의 복합물, 대조군(con), 실시에 6의 쉬나무 추출물(쉬나무), 양성 대조군(EGF 및 VPA)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에 대하여, 시간(0일째, 12일째)에 따라 촬영한 사진 및 염색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b는 도 9a에서 0 일째 측정된 각 군의 마우스 급성 상처의 크기(㎟)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c는 도 9a에서 12 일째 측정된 각 군의 마우스 급성 상처의 크기(㎟)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에는 실험동물의 상처 부위에 처리한 시료에 따라, 그 시료의 명칭과 용량이 표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 2 인디루빈 유도체(0.5 mM)는 A3051 0.5 mM로 표시되어 있고, 실시예 11의 복합물은 A3051(0.5 mM) + 쉬나무 1 ㎎/㎖로 표시되어 있으며, EGF(100 μM), VPA(500 mM) 등으로 표기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0 및 11의 복합물의 경우, 인디루빈 유도체만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는 양성 대조군(EGF, VPA)와 상처크기 회복 정도가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0 및 11의 복합물의 경우, 대조군 및 양성대조군에 비해 상처크기가 가장 많이 회복되었음을 육안과 상처크기를 통해 확인아혔다.
또한, 실시예 6의 쉬나무 추출물만 처리한 경우와 대조군(con)은 β-카테닌, pCNA, keratin 14, 콜라겐 Ⅰ을 비롯하여 Picrosirius Red, Masson's Trichrome에 의한 콜라겐 염색 결과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한편, 실시예 1 및 2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는 대조군(con)보다 β-카테닌, pCNA, keratin 14, 콜라겐 Ⅰ 발현이 확인되었으나, 양성 대조군 보다는 다소 낮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동일한 농도의 인디루빈 유도체에 쉬나무 추출물을 혼합한 실시예 10, 11의 복합물을 처리한 급성 상처 조직은, 양성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된 β-카테닌, pCNA, keratin 14, 콜라겐 Ⅰ 발현이 확인되었고, Picrosirius Red, Masson's Trichrome에 의한 콜라겐 염색 결과 역시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즉, 실시예 10, 11의 복합물은 β-카테닌, pCNA, keratin 14, 콜라겐 Ⅰ 발현이 증가하면서, 아물면서 덧살이 생기거나 움푹 파이는 등의 흔적이 남지 않도록 피부의 표피층이 양성 대조군 보다 깨끗하고 균일하게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0, 11의 복합물은, 전혀 β-카테닌, pCNA, keratin 14, 콜라겐 Ⅰ 발현에 효과를 나타내지 않던 쉬나무 추출물과 다소 효과를 갖는 실시예 1, 2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혼합하였는데, 흉터/상처 치유에 영향을 갖는 다양한 인자들의 발현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는 바, 이는 쉬나무 추출물 자체로는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다가, 인디루빈 유도체와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효과의 증진을 도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실험예 7.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용해도 측정
에멀젼 용액을 선정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오일 및 계면활성제에 실시예 2의 인디루빈 유도체의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충분한 양의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 분말을 각 오일 또는 계면활성제(1 ml)에 넣은 후 30분간 vortexing 시켜주었다. 그 후 평형 상태에 이르게 하기 위하여 37 ℃ 배양조에서 50 rpm으로 72시간 동안 shaking한 후, 16,100 ×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상층액을 메탄올로 적당히 희석하여 LC/MS/MS로 분석하였다. 상기 오일 또는 계면활성제 종류와 측정된 용해도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분석장비는 Waters xevo TQ MS-ACQUITY UPLC System을 사용하였다. 컬럼은 ACQUITY UPLCㄾ BEH(C18, 1.7 μm, 2.1×50 mm)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분석하였다. 이동상은 0.1% formic acid를 함유하는 탈이온 증류수와 0.1% formic acid를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30 : 70, v/v)을 0.2 μm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후에 사용하였다. 유속은 0.25 ml/min이고 시료 0.5 μl를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Decursin 분석을 위한 LC/MS/MS 조건은 Cone이 38 V, Collison이 32 V였으며 모이온과 딸이온은 각각 329와 229의 m/z값으로 모니터링하였다.
종류 | 종류 | 용해도(Solubility) (mg/ml) |
오일 | 올리브 오일 Olive oil |
0.83 |
해바라기 오일 Sunflower oil |
1.35 | |
Kolliphor EL | 5.4 | |
계면활성제 | Tween 20 | 4.58 |
Tween 80 | 4.92 | |
공-계면활성제 (Co-surfactant) |
Transcutol P | 1.15 |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
0.25 | |
PEG 400 | 3.1 |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를 상기 다양한 오일 또는 계면활성제에 각각 용해시켜 제조된 에멀젼 용액의 사진으로, 도 10 및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는 유상의 용매 중에서 가장 용해도가 높은 Kolliphorㄾ EL, Tween 20, Tween 80, PEG 400을 이용하여 에멀젼 용액을 형성하는 조성을 1차적으로 확립하였다. 상기 Kolliphorㄾ EL, Tween 20 또는 Tween 80, PEG 400는 인체에 무해하고 안전하므로 피부 투여를 포함하여 다양한 제제의 조성에 사용되고 있는 안정한 물질이다.
실험예 8. 삼원(ternary) 다이아그램 분석
용해도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Kolliphorㄾ EL를 에멀젼 용액의 유상으로 선정하고, Tween 80 및 PEG 400의 혼합액을 계면활성제로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한 에멀젼 용액의 조성으로 에멀젼이 형성되는 영역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온에서 H2O titration method를 이용하여 ternary phase diagram을 완성하였다. 계면활성제는 Tween 80와 PEG 400를 1:1, 2:1, 1:2의 비율로 각각 혼합한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준비하고, 이를 오일상인 Kolliphorㄾ EL와 다양한 비율(0.5:9.5, 1:9, 2:8, 3:7, 4:6, 5:5, 6:4, 7:3, 8:2, 9:1, 9.5:0.5)로 혼합하여 에멀젼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에멀젼 용액을 교반하면서 infusion pump를 이용하여 1 ml/min의 속도로 물을 적하하면서 육안으로 관찰할 때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지역을 phase diagram에 에멀젼으로 표시하였고, 상기 삼원 다이아그램을 도 11a, 11b, 11c에 도시하였다.
도 11a는 Tween 80와 PEG 400를 2:1의 비율 혼합된 계면활성제로 제조된 에멀젼 용액에 대한 삼원(ternary) 상 다이어그램이고, 도 11b는 Tween 80와 PEG 400를 1:1의 비율 혼합된 계면활성제로 제조된 에멀젼 용액에 대한 삼원(ternary) 상 다이어그램이고, 도 11c는 Tween 80와 PEG 400를 1:2의 비율 혼합된 계면활성제로 제조된 에멀젼 용액에 대한 삼원(ternary) 상 다이어그램이다. 도 9의 삼원 상 다이어그램에는 안정한 에멀젼을 형성하는 지역을 적색의 점으로 표시하였다.
도 11a, b, c 중에서 Tween 80와 PEG 400이 1:2의 중량비로 혼합된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에멀젼 용액이 가장 가장 넓은 수치 범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선정하였다. 이후, 상기 계면활성제와 유상의 비율을 최종 선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비율로 제조된 에멀젼 용액에서의 에멀젼의 용해도와 액적 크기, 점성 및 제타포텐셜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실험예
9.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제형 개발
상기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를 일정한 용해도와 장기안정성을 갖도록 하는 수중유형 유화액 제형을 개발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계면활성제와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오일을 혼합하여 가장 안정한 에멀젼 용액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실험예 5로부터 선정된 계면활성제와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오일 10:30:60 내지 90:3:7의 다양한 조성으로 에멀젼 용액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함유한 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해,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의 농도가 되도록 유효성분(실시예 2의 인디루빈 유도체 분말)을 에멀젼 용액에 가하고 밤새 교반하여, 에멀젼을 제조하였다(예를 들어, 최종 조성물의 중량이 100 g이면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 분말 20g을 상기 에멀젼 용액 80g에 혼합함).
다만, 상기 조성물에는 가용화제인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본 실험에서는 인디루빈 유도체의 가용화를 높이기 위해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유효성분) 100 중량부 기준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이 100 중량부 추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제조한 에멀젼 제제는 육안으로 균일하게 혼합된 불투명한 적색이였고, 상기 각각의 에멀젼 제제의 용해도, 액적 크기, 점성 및 제타포텐셜을 분석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 에멀젼 용액 (Kolliporeㄾ EL:Tween 80:PEG400) 중량비 |
용해도 Solubility (mg/ml) |
Droplet size (nm) | 점성 Viscosity (mPas) |
Zetapotential (mV) |
F1 | 10:30:60 | 2.99 | 1525.7 | 23.33 | -5.14 |
F2 | 20:26:54 | 3.58 | 921.3 | 44.46 | -6.87 |
F3 | 30:23:47 | 3.81 | 624.9 | 59.12 | -7.23 |
F4 | 40:20:40 | 4.11 | 479.4 | 65.07 | -6.94 |
F5 | 50:16:34 | 5.67 | 332.3 | 72.72 | -7.99 |
F6 | 60:13:27 | 6.86 | 264.9 | 88.85 | -9.72 |
F7 | 70:10:20 | 7.59 | 183.8 | 91.39 | -10.83 |
F8 | 80:6:14 | 7.69 | 41.5 | 98.3 | -20.38 |
F9 | 90:3:7 | 6.88 | 29.3 | 99.52 | -20.99 |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액적의 크기가 줄어들었으며, 약학,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기에 모두 적절한 물리적 특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가장 바람직한 크기, 점성, 제타포텐셜 및 용해도를 갖는 것은 F8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0.
에멀젼
제제의 의존적 안정성 평가-1
제조된 에멀젼 제제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예 6에서와 같은 제조과정을 통해 아래 표 3에서의 조성으로 F8, F10~12 에멀젼 제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에멀젼 제제의 안정도는 저온(4 ℃) 및 상온(25 ℃)에서의 상대적인 용해도% 변화를 근거로 측정하였다. 제조직후부터 3개월까지 상대적인 용해도%를 도 12 및 도 13에 기록하였다.
구분 | 에멀젼 조성물 | 유효성분 실시예 2의 인디루빈 유도체 |
가용화제 (2-hydroxy-cyclodextrin) |
수상 | ||
오일 | 계면활성제 | 폴리에틸렌글리콜 | ||||
DMSO 대조군 |
- | - | - | 12.5 g | 12.5 g | 증류수 100 g |
F8 | Kollipore® EL 80 g |
Tween 80 6.7 g |
PEG400 13.3 g |
12.5 g | 12.5 g | 증류수 100 g |
F10 | - | - | PEG400 100 g |
12.5 g | 12.5 g | 증류수 100 g |
F11 | - | Tween 80 100 g |
- | 12.5 g | 12.5 g | 증류수 100 g |
F12 | Kollipore® EL 100 g |
- | - | 12.5 g | 12.5 g | 증류수 100 g |
도 12은 상온(25 ℃)에서, F8, F10~12 에멀젼 제제의 상대적인 용해도%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3은 저온(4 ℃)에서, F8, F10~12 에멀젼 제제의 상대적인 용해도%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 13 및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저온과 실온에서 3달 동안 방치한 후, 상대적인 용해도 변화를 살펴본 결과, 본 발명의 에멀젼(F8)의 경우에는 제조직후와 3개월 후의 용해도% 변화가 크지 않은 반면에, 본 발명과 다른 에멀젼 조성으로 제조된 에멀젼(F12, 11, 10)의 경우에는 제조직후와 3개월 후 저온과 상온 조건에서 용해도 변화가 40%이상 발생하였고, 특히 저온 보관 조건에서 용해도가 80% 이상 급격하게 낮아지게 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1.
에멀젼
제제의 의존적 안정성 평가-2
실시예 2의 인디루빈 유도체의 유효성분이 에멀젼 제제 내에서도 안정적으로 활성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예 7에서와 같은 제조과정을 통해 상기 표 3에서의 조성으로 F8, F10~12 에멀젼 제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에멀젼 제제내에서 인디루빈 유도체의 활성에 대한 안정성은 저온(4 ℃) 및 상온(25 ℃)에서의 상대적인 wnt reporter activity% 변화를 근거로 측정하였다. 제조 직후부터 3개월까지 상대적인 wnt reporter activity%를 도 14 및 도 15에 기록하였다.
상기 wnt reporter activity%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측정하였다. 상기 wnt reportter activity는 HEK TOP 리포터 세포주에 에멀젼 제제로 제조되어있는 유효성분을 처리 한 후 24시간 뒤에 측정하였다.
도 14은 상온(25 ℃)에서, F8, F10~12 에멀젼 제제의 상대적인wnt reporter activity%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5은 저온(4 ℃)에서, F8, F10~12 에멀젼 제제의 상대적인 wnt reporter activity%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저온과 실온에서 3달 동안 방치하였을 때, 상대적인 wnt reporter activity% 변화를 살펴본 결과, 본 발명의 에멀젼(F8)의 경우에는 제조직후와 3개월 후의 wnt reporter activity% 변화가 크지 않은 반면에, 본 발명과 다른 에멀젼 조성으로 제조된 에멀젼(F12, 11, 10)의 경우에는 제조직후와 3개월 후 저온과 상온 조건에서 wnt reporter activity이 40%이상 저하되었고, 특히 저온 보관 조건에서 용해도80% 이상 급격하게 낮아지게 된 것을 확인하였다.
제제예 1: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본 제제예에서는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혼합한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실시예 1 또는 2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포함하는 성분들을 하기 함량에 따라, 혼합하여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또는 2의 인디루빈 유도체 4.0 중량%
글리세린 2.0 중량%
파라벤 0.2 중량%
알란토인 2.0 중량%
베타인 3.0 중량%
히아루론산나트륨 1.0 중량%
초산토코페롤 5.0 중량%
쉐어버터 2.0 중량%
트레할로스 1.0 중량%
방부제 및 향 적량의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
합계 100 중량%
제제예 2: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연고)
본 제제예에서는 화학식 1 또는 2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연고)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실시예 1 또는 2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포함하는 성분들을 하기 함량에 따라, 혼합하여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연고)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또는 2의 인디루빈 유도체 10 중량%
디에틸 세바케이트 8 중량%
경납 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6 중량%
벤조산 나트륨 적량의 중량%
바셀린 to 100 중량%
합계 100 중량%
제제예 3: 우유에의 적용
우유 99.9 중량%
실시예 1 또는 2의 인디루빈 유도체 0.1 중량%
제제예 4: 음료의 제조
실시예 1 또는 2의 인디루빈 유도체 10 ㎎
젖산칼슘 50 ㎎
구연산 5 ㎎
니코틴산아미드 10 ㎎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3 ㎎
염산피리독신 2 ㎎
아르기닌 10 ㎎
자당지방산에스테르 10 ㎎
물 200 ㎖
Claims (4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쉬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처는 화상, 궤양, 외상, 외과적 수술(post-surgical), 출산, 만성적 상처(chronic woumd) 또는 피부염(sermatitis)에 의한 손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처 예방 또는 치료는 케라티노사이트의 이동속도 촉진, 섬유아세포의 이동과 증식 활성화 및 콜라겐 생성 촉진으로 인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피부 국소 도포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크림, 젤, 연고, 유화액, 현탁액, 분무제 및 경피 전달성 피치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더 포함하는 에멀젼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중량비는 0.3-30 : 1 : 2-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Tween 2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Tween 4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Tween 60)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oleate, Tween 8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폴리에톡실화된 피마자유(KolliphorㄾEL), 해바라기 오일 및 올리브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성물에 존재하는 유효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이 100 내지 100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 제형은 3 달째에 측정했을 때 온도 25 내지 4℃ 조건하에 증류수에서 wnt 활성 및 용해도의 변화가 나타내지 않는 안정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쉬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치료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치료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파우더, 파운데이션 및 세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치료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더 포함하는 에멀젼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치료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중량비는 0.3-30 : 1 : 2-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치료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치료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Tween 2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Tween 4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Tween 60)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oleate, Tween 8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치료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폴리에톡실화된 피마자유(KolliphorㄾEL), 해바라기 오일 및 올리브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치료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성물에 존재하는 유효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이 100 내지 100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치료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 제형은 3 달째에 측정했을 때 온도 25 내지 4℃ 조건하에 증류수에서 wnt 활성 및 용해도의 변화가 나타내지 않는 안정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치료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쉬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치료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치료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쉬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 및 탄력 개선용 조성물.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메틸 바닐레이트, 헤스페리딘 및 퀘르시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 및 탄력 개선용 조성물.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는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재생을 촉진하고 피부 탄력을 증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 및 탄력 개선용 조성물.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파우더, 파운데이션 또는 세정제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 및 탄력 개선용 조성물.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더 포함하는 에멀젼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 및 탄력 개선용 조성물.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중량비는 0.3-30 : 1 : 2-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 및 탄력 개선용 조성물.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 및 탄력 개선용 조성물.
- 34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Tween 2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Tween 4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Tween 60)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oleate, Tween 8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 및 탄력 개선용 조성물.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폴리에톡실화된 피마자유(KolliphorㄾEL), 해바라기 오일 및 올리브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 및 탄력 개선용 조성물.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성물에 존재하는 유효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이 100 내지 100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 및 탄력 개선용 조성물.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 제형은 3 달째에 측정했을 때 온도 25 내지 4℃ 조건하에 증류수에서 wnt 활성 및 용해도의 변화가 나타내지 않는 안정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 및 탄력 개선용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8585A KR102222919B1 (ko) | 2018-07-06 | 2018-07-06 |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EP19830345.5A EP3818980A4 (en) | 2018-07-06 | 2019-07-04 | PHARMACEUTICAL COMPOSITION WITH INDIRUBIN DERIVATE AS THE ACTIVE SUBSTANCE |
US16/973,646 US20210261529A1 (en) | 2018-07-06 | 2019-07-04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wound, comprising indirubin derivative as active ingredient |
PCT/KR2019/008235 WO2020009503A1 (ko) | 2018-07-06 | 2019-07-04 |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CN201980040165.2A CN112334131B (zh) | 2018-07-06 | 2019-07-04 | 包含靛玉红衍生物作为活性成分的药物组合物 |
US18/046,536 US11773081B2 (en) | 2018-07-06 | 2022-10-14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wound, comprising indirubin derivative as active ingredi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8585A KR102222919B1 (ko) | 2018-07-06 | 2018-07-06 |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5188A true KR20200005188A (ko) | 2020-01-15 |
KR102222919B1 KR102222919B1 (ko) | 2021-03-04 |
Family
ID=69156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8585A KR102222919B1 (ko) | 2018-07-06 | 2018-07-06 |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291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547509A (zh) * | 2023-11-14 | 2024-02-13 | 安徽中医药大学 | 一种叶酸修饰的槲皮素-薄荷油微乳温敏凝胶、制备方法及其应用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69861B1 (ko) | 2020-04-23 | 2024-05-28 |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 푸에라린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조성물 |
KR102638405B1 (ko) | 2021-03-17 | 2024-02-21 |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 시미푸긴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조성물 |
KR102646996B1 (ko) | 2021-03-17 | 2024-03-13 |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 하파고사이드를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조성물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3762B1 (ko) | 2010-12-28 | 2013-08-05 | (주)노바셀테크놀로지 | 창상치유능력이 향상된 줄기세포 배양액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150057903A (ko) * | 2013-11-18 | 2015-05-28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KR20160128764A (ko) * | 2015-04-29 | 2016-11-08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피부 개선용 조성물 |
KR20170132880A (ko) * | 2015-04-09 | 2017-12-04 | 갈데르마 소시에떼아노님 |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KR101855423B1 (ko) * | 2017-04-18 | 2018-05-09 | 주식회사 씨케이바이오텍 |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KR101932668B1 (ko) * | 2017-04-26 | 2018-12-26 | 주식회사 씨케이바이오텍 | 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창상 치유용 약학 조성물 |
-
2018
- 2018-07-06 KR KR1020180078585A patent/KR10222291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3762B1 (ko) | 2010-12-28 | 2013-08-05 | (주)노바셀테크놀로지 | 창상치유능력이 향상된 줄기세포 배양액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150057903A (ko) * | 2013-11-18 | 2015-05-28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KR20170132880A (ko) * | 2015-04-09 | 2017-12-04 | 갈데르마 소시에떼아노님 |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KR20160128764A (ko) * | 2015-04-29 | 2016-11-08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피부 개선용 조성물 |
KR101855423B1 (ko) * | 2017-04-18 | 2018-05-09 | 주식회사 씨케이바이오텍 |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KR101932668B1 (ko) * | 2017-04-26 | 2018-12-26 | 주식회사 씨케이바이오텍 | 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창상 치유용 약학 조성물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547509A (zh) * | 2023-11-14 | 2024-02-13 | 安徽中医药大学 | 一种叶酸修饰的槲皮素-薄荷油微乳温敏凝胶、制备方法及其应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22919B1 (ko) | 2021-03-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55095B1 (ko) |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102222919B1 (ko) |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
KR102112736B1 (ko) |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 |
KR20170050062A (ko) | 병풀로부터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틱산 및 마데카식산을 포함하는 음료 및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20230120619A (ko) |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 |
KR102247453B1 (ko) |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창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
KR20220014614A (ko) | 상처 회복용 조성물 | |
US11773081B2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wound, comprising indirubin derivative as active ingredient | |
KR20170025363A (ko) |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102652809B1 (ko) |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 |
KR101577787B1 (ko) | 폴리필린 ⅶ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20170025365A (ko) |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20170099669A (ko) |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20170099674A (ko) |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102562468B1 (ko) |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20150087148A (ko) |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20150087147A (ko) |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20170025350A (ko) |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JP2004075558A (ja) | 美白改善用キット | |
KR20170099667A (ko) |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20170099659A (ko) |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20170099671A (ko) |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20150087139A (ko) |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20170099662A (ko) |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20160024288A (ko) | 폴리필린 c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