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7279A - 세라믹판재 및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세라믹판재 및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7279A
KR20210017279A KR1020190096292A KR20190096292A KR20210017279A KR 20210017279 A KR20210017279 A KR 20210017279A KR 1020190096292 A KR1020190096292 A KR 1020190096292A KR 20190096292 A KR20190096292 A KR 20190096292A KR 20210017279 A KR20210017279 A KR 20210017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ood
composite
ceramic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5521B1 (ko
Inventor
김선미
Original Assignee
김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미 filed Critical 김선미
Priority to KR1020190096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521B1/ko
Publication of KR20210017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2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com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01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01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 B27M3/0086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characterised by connecting using gl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18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urniture or of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0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 B32B38/105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on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B32B2038/0016Abr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4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대리석 형태로 수입품으로 들어오는 세라믹판재의 무게를 줄이기고 식탁이나 책상 등의 가구용 상판으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목재와 합성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를 얻고자 하는 기술이다.
본원은 복합판재의 제조방법에서, 세라믹판재가 워터젯 가공기계에 의해 원하는 모양과 규격으로 절단되는 제1단계 제조공정과 목재판재의 뒤틀림 방지구조를 이루기 위해 목재의 일측 뒷면에 가로홈 및 세로홈을 형성하는 제2단계 제조공정과 상기 제2단계공정이 완료된 목재판재의 세라믹판재와 접합될 부분으로 발포접착제가 도포되되, 가로홈에도 발포접착제가 함께 도포되는 제3단계 제조공정과 상기 제3단계공정이 완료된 목재판재의 가로홈에는 철심이 먼저 끼움되고 철심표면과 목재판재 바닥면과 일치하도록 내삽공정이 이루어진 후 발포접착제 도포면에 제1단계공정에 의해 준비된 세라믹판재가 적층되어 복합판재를 이루고 150~500키로의 프레스압착기를 이용하여 압착 및 숙성되는 제4단계 프레스공정과 상기 제4단계공정이 완료된 복합판재를 프레스압착기에서 인출 후 직소나 트리마 기구, 글러인더, 연마기 중에서 선택되는 기구를 이용하여 모퉁이를 따내거나 원하는 각도로 가공된 복합판재를 형성하는 제5단계 제조공정을 포함하여 세라믹판재와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이루어지는 복합판재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Description

세라믹판재 및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The composite panel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using ceramic panel and wood panel}
본 발명은 식탁이나 책상 등의 테이블 상판재 기능을 하는 판재가 세라믹판재와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이루어지는 복합판재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인조대리석 형태로 수입품으로 들어오는 세라믹판재의 무게를 줄이고 세라믹판재를 식탁이나 책상 등의 가구용 테이블 상판으로 이용하고자 할 때 세라믹판재 재료 자체가 가공성이 극히 낮은 문제점을 해소하고 세라믹판재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목재와 합성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를 얻어 이용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세라믹판재는 무기물이 고온으로 소송되어 만들어진 것으로, 외부의 기후조건에 따라 수축 및 팽창 현상이 거의 없으나, 목재는 천연물로서 외부의 기후조건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이 빈번한바, 상기와 같은 이질적인 성질을 갖는 세라믹판재와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이루어지는 복합판재가 외부의 기후조건에 따라 이격이 발생하거나 휨 현상이나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항상 깨끗한 미감을 제공하는 복합판재를 제공하여 식탁이나 책상 등의 테이블 상판재로 사용가능한 가구용 상판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세라믹판재는 석회암과 돌로마이트의 접촉변성 작용이나 광역 변성작용을 받아 재결정 형태로 무기물을 2000℃ 범위의 고온으로 소성되어 만들어진 인조자기(포슬린)로, 연마하면 천연대리석과 같은 다양한 외관과 고급스러운 천연 질감을 제공하여 건축물의 고급 내장재 및 외장재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 두께가 보통 3㎜ ~ 12㎜ 정도로 부피와 중량이 크고 가격이 고가여서 그 사용이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어 왔는바, 이에 본원 발명자는 아직까지 국내 및 해외에서 시도된바 없는 기술로 예를 들면 세라믹판재 3~6㎜ 두께와 목재판재 12~15㎜ 두께가 결합되어 15~21㎜ 두께를 갖는 복합판재를 얻어 이용할 때 외부의 기후조건에 따라 이격이 발생하거나 휨 현상이나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상부는 고급스러운 천연 질감을 제공하면서 저부로는 가공성이 높은 목재재질로 제공되는 복합판재를 얻어 이용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종래의 기술에서 고급스러운 대리석의 천연 질감을 제공하는 인조대리석 또는 포슬린을 이용하고자 하는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1052813호에서는 "테두리에 인조대리석을 갖는 불연복합패널" 관련 기술에서 경량화 구조를 가지며, 가공이 용이하며, 불연 내연성을 가지며, 우수한 표면 강도 등의 우수한 물성을 갖는 불연복합패널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컴팩트보드(compact board) 또는 CMP(compact melmaine panel)라 불리우는 불연복합패널을 사무용이나 가정용 가구의 패널, 화장실 문이나 벽면용 패널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패널 등으로 이용하기 위해 복합패널 몸체를 구성할 때 상면과 하면은 물성이 우수한 얇은 불연복합패널로 구성하고, 중간면은 다양한 색상을 연출할 수 있는 인조대리석으로 구성토록 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공개 10-2009-0026438호에서는 대리석을 이용한 가구용 상판관련 기술로 대리석을 이용한 가구용 상판 표면에 다양한 색상과 무늬모양을 갖는 직물지를 접착시켜 줘서 대리석의 단순한 무늬에서 탈피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겨울철에 대리석의 차가움을 느끼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대리석을 이용한 가구용 상판 관련 기술로서 대리석을 재질로 하여 식탁이나 테이블 등과 같은 가구용 상판을 형성함에 있어, 대리석 표면에 각양각색의 색상과 무늬를 갖고 있는 직물요소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켜 주고, 상기 직물요소의 표면에 투명코팅층을 도포시킨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10-1035288호에서는 인조대리석 테이블 상판 및 그 성형방법관련 기술로 테이블 상판의 성형방법은 성형하고자 하는 상판에 상당하는 몰드의 공동부에 경화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도포하여 겔코트층을 형성하고; 겔코트층이 형성된 몰드 공동부에 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와 무기입자를 함유하는 인조대리석 조성물을 충전하여 1차 충전층을 형성한 후 상기 1차 충전층 위에 부직포를 적층하고 나서 상기 인조대리석 조성물을 재충전하여 2차 충전층을 형성하고; 상기 인조대리석 조성물의 2차 충전층 위에 상기 몰드 공동부의 깊이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몰드 공동부의 저면 넓이보다 작은 넓이를 갖는 돌출부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외측에 상기 몰드의 공동부와 연통하는 개구를 갖는 몰드 덮개를 상기 몰드 위에 덮어씌우고 가압하여 인조대리석으로 에워싸인 공동부를 형성한 후 몰드 덮개를 제거하고; 상기 인조대리석 공동부에 이에 상당하는 치수를 갖는 판재를 바인더를 개재하여 결합한 후 완성된 성형품을 몰드로부터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인조대리석 테이블 상판을 얻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형태로 제시된 인조대리석 관련 종래기술은 그 무게가 너무 중량이어서 취급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완성제품의 가격이 고가여서 일반 대중이 구입하여 사용하기에 부담스럽고, 또한 인조대리석으로 제공된 상품들은 가정에 설치 후에도 그 무거운 중량으로 인하여 주부들이 가정에서 취급하기 어려워 게륵 취급을 받고 있는 실정이어서 좀더 경량구조로 가공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인조대리석 형태로 수입품으로 들어오는 세라믹판재의 두께를 3 내지 6㎜ 폭으로 얇게 가공시켜 무게를 줄이고 식탁이나 책상 등의 가구용 상판으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세라믹판재와 목재판재의 결합구조를 갖는 복합판재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과제인식을 갖고 시작된 발명이다.
본원 기술은 외부의 기후조건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이 거의 없는 세라믹판재와 외부의 기후조건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이 빈번한 목재의 결합구조로 이루어진 복합판재를 제공하되, 예를 들면 세라믹판재 3~6㎜ 두께와 목재판재 12~15㎜ 두께가 결합되어 18~21㎜ 두께를 갖는 복합판재를 이루어서 상대적으로 경량구조를 이루고, 외부의 기후조건에 따라 이격이 발생하거나 휨 현상이나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항상 깨끗한 미감효과를 제공하는 복합판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 기술사상은 외부의 기후조건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이 거의 없는 세라믹판재와 외부의 기후조건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이 빈번한 목재가 결합된 상태의 복합판재가 외부의 기후조건에 따라 이격이 발생하거나 휨 현상이나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항상 깨끗한 미감을 제공하여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은 세라믹판재 및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의 제조방법에 서, 세라믹판재가 워터젯 가공기계에 의해 원하는 모양과 규격으로 가공되는 세라믹판재 제조공정과 목재판재의 뒤틀림 방지구조를 이루기 위해 목재의 일측 뒷면에 가로홈 및 세로홈을 형성하는 목재판재 제조공정과 상기 공정이 완료된 목재판재의 세라믹판재와 접합될 부분으로 발포접착제가 도포되되, 가로홈 및 바탕면에 발포접착제가 함께 도포되는 공정과 상기 도포공정이 완료된 목재판재의 가로홈에는 철심이 먼저 끼움되고 철심표면과 목재판재 바닥면과 일치하도록 내삽공정이 이루어진 후 발포접착제 도포면에 세라믹판재가 적층되어 복합판재를 이루고 프레스압착기를 이용하여 압착되며 15~25분 범위로 숙성되는 프레스공정과 상기 프레스 공정이 완료된 복합판재를 프레스압착기에서 인출 후 직소나 트리마 기구, 글러인더, 연마기 중에서 선택되는 기구를 이용하여 모퉁이를 따내거나 원하는 복합판재를 형성하는 마무리 작업공정을 포함하여 세라믹판재와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이루어지는 복합판재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판재의 제조수단을 통하여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원 기술이 적용되는 복합판재의 제조수단에서 상기 발포접착제 도포공정에 사용되는 발포접착제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의 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친환경접착제로 예를 들면 스위스 Jowat 회사의 687.22 발포접착제가 사용되도록 적용되는 구성이 바림직한바, 이는 건물의 건축자재나 가구 등에 포함되어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질(VOCs)이 실내로 배출되어 이유없이 온몸에 붉은 반점이 나고, 비염·아토피성피부염·두드러기·천식·심한 두통·기관지염 등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새집증후군 유발현상을 근원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필요하다.
새집증후군은 의학적으로 확립된 단일의 질병이 아니라 주택에서 유래된 건강피해를 총체적으로 가리킨다고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이란 대기 중에서 가스형태로 존재하는 유기화합물을 총칭하며 대부분 발암물질을 포함하고 있는데 벤젠을 비롯하여 톨루엔, 클로로포름, 아세톤, 포름알데히드 등이 대표적이며 특히 접착제에 포름알데히드는 농도가 120∼3,680ug/㎤ 포함되어 있으면 두통, 메스꺼움, 시각적 자극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본원기술이 적용되는 복합판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목재판재에 끼움되도록 사용되는 철심은 철판을 절곡시켜 직사각형 구조를 이루며 아크용접하고 직사각형 구조의 좁은면이 목재판재의 가로홈에 끼움되도록 적용되는 경우 복합판재의 휨 현상을 방지효과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은 세라믹판재 및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의 이용방법으로서, 세라믹판재가 워터젯 가공기계에 의해 원하는 모양과 규격으로 가공되는 세라믹판재 제조공정과 목재판재의 뒤틀림 방지구조를 이루기 위해 목재의 일측 뒷면에 가로홈 및 세로홈을 형성하는 목재판재 제조공정과 상기 공정이 완료된 목재판재의 세라믹판재와 접합될 부분으로 발포접착제가 도포되되, 가로홈 및 바탕면에 발포접착제가 함께 도포되는 공정과 상기 도포공정이 완료된 목재판재의 가로홈에는 철심이 먼저 끼움되고 철심표면과 목재판재 바닥면과 일치하도록 내삽공정이 이루어진 후 발포접착제 도포면에 세라믹판재가 적층되어 복합판재를 이루고 프레스압착기를 이용하여 압착되며 15~25분 범위로 숙성되는 프레스공정과 상기 프레스 공정이 완료된 복합판재를 프레스압착기에서 인출 후 직소나 트리마 기구, 글러인더, 연마기 중에서 선택되는 기구를 이용하여 모퉁이를 따내거나 원하는 복합판재를 형성하는 마무리 작업공정을 포함하여 세라믹판재와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이루어지는 복합판재를 얻고 복합판재의 목재판재 쪽에 다리를 설치하여 식탁이나 책상으로 이용하도록 적용되는 복합판재의 이용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는바, 이 때 상기 복합판재의 목재판재 베이스부에 내주연과 외주연에 모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핀홈이 끼움된 구조를 이루고 식탁이나 책상의 다리가 나사핀홈과 결합되어 조립이나 분해가 용이한 구조로 적용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기술사상으로 부터 본원에 개시된 제조공정 또는 제조방법에 의해 만들어져 세라믹판재와 목재판재의 결합구성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원의 기술구성이 구체적으로 구현되는 실시양태는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란에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원 기술이 적용되는 경우 수입품으로 들어오는 세라믹판재의 두께를 3~6 ㎜ 두께로 주문하고 목재판재를 12~15 ㎜ 두께로 적용되어 식탁이나 책상 등의 가구용 상판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는 항상 깨끗한 미감을 제공하며 외부의 기후조건에 따라 이격이 발생하거나 휨 현상이나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광범위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복합판재로 제공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른 복합판재의 제조방법의 공정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판재 제조공정의 설명을 위한 실시양태의 일측 평면 또는 측면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판재의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판재 제조공정의 설명을 위한 실시양태의 일측 평면 또는 측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를 적용하여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복합판재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외부의 기후조건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이 거의 없는 세라믹판재와 외부의 기후조건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이 빈번한 목재가 결합된 상태의 복합판재가 외부의 기후조건에 따라 이격이 발생하거나 휨 현상이나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항상 깨끗한 미감을 제공하는 복합판재를 얻고자 하는 기술로, 본원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첫째 공정으로 이태리에서 수입된 세라믹판재를 예를 들면 식탁판재로 가공되기 원할 때 예상 가공제품의 칫수와 규격 및 세라믹 판재에 담겨진 어느 부분의 문양을 이용할 것인지에 따라 워터젯 가공기계를 이용하여 원하는 모양과 규격으로 가공된 세라믹판재를 얻을 수 있는바, 예를 들면 두께 3 내지 6t 규격품으로 원하는 모양으로 절단될 수 있는데, 도 2a에 제시된 식탁 모양과 같이 양쪽에 타원형 라운드부를 갖는 형태로 예를 들면 두께 6t 규격제품로 절단되는 세라믹판재를 얻는 방법으로 제1단계 제조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제2단계 공정이 적용되는 목재의 가공조건은 목재 자체가 천연물로서 외부의 기후조건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이 빈번하게 작용하여 타 재료에 영향을 끼치며 뒤틀리거나 한쪽으로 휘어지는 현상을 나타내므로, 무기물 언료를 2000℃ 범위의 고온조건에서 소성시켜 만들어진 세라믹판재는 수축이나 팽창이 거의 없기 때문에 세라믹판재와 목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축 및 팽창을 수용해서 뒤틀림이 방지되는 구조를 이루기 위해서 목재의 일측 뒷면에 가로홈 및 세로홈을 형성하는 제2단계 공정이 필요한바, 도 2b에서 상부(a)는 목재판재의 전면부이고 저부(b)는 세라믹판재와 결합되는 접합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세라믹판재와 결합되는 접합면은 목재의 두께가 예를 들어 12t 두께 규격으로 적용될 때 목재의 접합면에는 폭 4~6㎜ 깊이 6~8㎜의 가로홈이 목재판재의 양쪽 단부쪽에 형성되고 가로홈의 내측에서 다수개의 세로홈이 형성되어 세라믹판재와 목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가로홈 및 세로홈이 목재의 수축 또는 팽창을 수용하도록 적용되는 구성이 필요하고, 더욱 목재의 가로홈에는 철심이 내장된 상태로 바닥면과 수평을 이룬 후 세라믹판재와 결합시킨 후 휨현상이 발생하기 쉬운 복합판재의 장축을 이루는 부분에서 휨 현상의 발생을 저지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이루기 위해 가로홈에 철심을 내장시키는 구성이 필요하다.
상기의 제2단계 공정이 이루어진 후 목재판재의 접합면을 이루는 세라믹판재와 접합될 부분에는 발포접착제가 도포되는 제3단계 공정이 적용되는데, 본원 기술에 사용되는 발포접착제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 포름알데히드 등의 유해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친환경접착제로 예를 들면 스위스 회사인 Jowat의 687.22 제품같은 발포접착제가 사용되어 새집증후군의 염려를 배제하도록 적용되며, 도 2c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목재판재의 접합면 및 가로홈에 발포접착제가 함께 도포되는 제3단계 공정이 수행된다.
상기 제3단계 공정 후 목재판재의 접합면의 가로홈에 발포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직사각형 모양의 철심이 끼워져 내삽되는 제4단계 공정이 수행되는 바, 본원 기술에 사용되는 철심은 예를 들면 갈바니아 철판이 24㎜ 폭으로 길게 절단된 후 전면폭 8㎜, 저부폭 4㎜, 후면폭 8㎜, 상부폭 4㎜를 이루도록 3회 절곡되어 직4각형 형상의 철심형태를 이루면서 전면폭의 단부와 상부폭의 단부가 아크 용접이 이루어진 형태로 직4각형 구조의 철심이 만들어져 목재판재의 가로홈에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예를 들어 세라픽 판재의 사이즈에 맞춰 110㎝ 길이로 절단된 철심이 사용되도록 준비되고 목재판재의 접합면의 가로홈에 발포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직사각형 모양의 상부폭이 먼저 가로홈의 바닥면에 위치되도록 내삽되어 저부폭이 목재판재의 접합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철심이 끼워지는 제4단계 공정이 수행되는 경우 나중에 완제품으로 이루어진 복합판재의 장축을 이루는 부분에서 접은폭을 이룬 저부폭 5㎜ 및 상부폭 5㎜ 부분이 복합판재의 휨현상을 저지하도록 기능하게 된다.
상기의 제4단계 공정이 수행된 후에는 제1단계 공정으로 준비된 세라믹판재가 목재판재의 접합면에 연하여 적층되는 제5단계 공정과 제5단계 공정이루어진 후 프레스압착기에 넣어져 150~500 키로 범위에서 제15분 내지 25분 범위로 압착공정 및 숙성공정이 제6단계 공정이 수행되는바, 만약 상기의 제5단계 공정에서 철심이 외부로 부분적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프레스압착공정이 수행되는 경우 세라믹판재가 깨어지는 형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원의 제6단계 공정의 프레스 압착기를 이용할 때 압력조건은 큰 영향력이 없이 단순히 적층된 목재판재 및 세라믹판재가 움직이자 않고 고정시킨 상태에서 일정 발포시간을 갖게 하고자 하는 공정이고, 숙성조건이 15분 내지 25분 범위로 압착공정이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제6단계 공정이 수행되는 과정을 통해 얻어진 복합판재는 세라믹판재의 형상에 맞춰 미새한 톱날형상을 갖는 직소기를 이용하여 목재의 잉여부분, 모서리 부분을 따내고 글라인더로 마감처리한 후 샌드로 갈아내서 미세한 마무리 작업을 통해 식탁이나 책상의 테이불로 사용되는 상판을 얻는 제8공정까지 수행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른 복합판재 제조공정을 도면으로 쉽게 표현하기 위해 일 적용실시양태의 일측 평면 또는 측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a에서는 본원 기술사상의 일 구현예로서 식탁의 상판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모양으로 양쪽에 타원형 라운드부를 갖는 형태로 예를 들면 두께 6t 규격제품로 절단되는 세라믹판재(10)로 가공된 제1단계 제조공정이 수행된 제품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2b에서는 목재판재(20)의 일측면으로 세라믹판재(10)와 결합되는 접합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세라믹판재(10)와 결합되는 접합면은 목재의 두께가 예를 들어 12t 두께 규격으로 적용될 때 목재의 접합면에는 폭 4~6㎜ 깊이 6~8㎜의 가로홈(21)이 목재판재의 양쪽 단부쪽에 형성되고 가로홈(21)의 내측에서 다수개의 세로홈이 외연세로홈(22) 및 중심부세로홈(23)이 각각 형성된 구성을 이루고 추후 수축 및 팽창의 특성을 갖지 않는 세라믹판재(10)와 일체로 결합된 후 목재판재에 형성된 가로홈(21) 및 세로홈(22,23)이 목재의 수축 또는 팽창을 수용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c에서는 상기 도 2b의 상태에서 목재판재(2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접합면에서 세라믹판재(10)와 결합되는 부위에 발포접착제(30)가 도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원기술에 사용되는 발포접착제(30)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 포름알데히드 등의 유해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발포접착제(30)가 사용되어 새집증후군의 염려를 배제하도록 적용되며, 도 2c에서는 목재판재에 형성된 가로홈(21)에는 접착제 도포표시가 없으나 가로홈(21)에 발포접착제가 함께 도포되어야 도 2c에서와 같이 철심(40)이 끼움되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2d는 상기 도 2b의 실시양태와 같이 목재판재(20)의 양측에 폭 4~6㎜ 깊이 6~8㎜의 규격으로 형성된 가로홈(21)에 발포접착제(30)가 도포된 후 화살표 방향으로 철심(40)이 끼움되는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e는 상기 도 2d의 공정으로 목재판재(20)의 가로홈(21)에 발포접착제(30)가 도포된 후 철심(40)이 끼움되어 철심의 표면이 목재판재(20) 바탕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완전하게 끼움된 상태에서 발포접착제(30) 외측으로 도 2a에서 준비된 세라믹판재(10)가 겹쳐져 복합판재(50)구성을 이루고 도면은 생략되었으나 프레스압착기에 넣어져 150~500 키로 범위에서 제15분 내지 25분 범위로 압착공정 및 숙성공정이 수행된다.
본원 숙성공정에 제15분 내지 25분 범위로 숙성공정이 필요한 이유는 본원기술에 사용되는 발포접착제가 밀폐용기에서 외부로 노출된 후에는 일시적으로 강한 점성을 나타내나 대기 중에 노출되어 공기와 수분과 접촉되면서 하절기에는 15분 정도에서 발포가 완료되면서 점섬을 잃고 굳어진 후 약 15분 후에는 목재판재와 세라믹판재의 접착면에 미세한 발포층을 형성하면서 강력한 접착강도를 제공할 뿐 외부로 흘러 나온 잉여 발포물은 점성을 나타내지 않는 특성을 이용하고자 하는 기술로, 상대적으로 겨울철에는 춥고 건조한 조건에서는 약 25분 정도에 이르러야 발포공정이 완료되기 때문에 숙성공정에 제15분 내지 25분 정도가 소요된다.
도 2f는 상기 압착공정 및 숙성공정이 수행된 후 프레스 압착기에서 복합판재(50)를 빼낸 후 세라믹판재의 형상에 맞춰 미새한 톱날형상을 갖는 직소기를 이용하여 목재의 잉여부분(20b)을 떼어내고 본원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세라믹판재(10) 및 목재판재(20)가 결합된 구성의 복합판재(50)로 제공되는 마무리단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b 내지 도 2f까지의 도면에서 목재의 잉여부분(20b)이 많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를 기술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실제 현장적용에서는 목재판재(20) 크기가 세라믹판재(10)보다 0.5~ 1.0㎝크기의 잉여분을 갖도록 약간 큰 규격으로 제공되어 직소기를 이용하여 잉여분 및 모서리 부분을 따내고, 1 : 1 수직형 트리머기계를 이용하여 상하가 동일하도록 다듬는 공정을 수행하고 다음에 삼각형 날개형상을 갖는 트리머기계를 이용하여 목재부분의 하단부가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빗각처리를 한 후 글라인더로 마감처리한 후 샌드로 갈아내서 미세한 마무리 작업을 통해 식탁이나 책상의 상판 테이불로 사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와 같은 제조공정을 통하여 얻은 상판 테이불용 복합판재(50)가 식탁용 다리지지축(60)과 결합되어 적용되는 적용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부로 제라믹판재(10)가 위치하고 첨심(40)이 내장된 목재판재(20)에서 식탁용 다리지지축과 연결되기 위한 목재판재베이스부에 나사핀 홈(25)이 직사각형 모양으로 내장된 철심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목재판재베이스부만 관통하여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하고 내주연과 외주연에 모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일명 뻔데기볼트(63)가 판재베이스부의 나사핀 홈(25)에 내삽된 상태를 이룬 후 고정브라켓(62)이 체결된 후 외부에서 뻔데기볼트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숫나사부(61)를 갖는 다리지지축(60)을 회전시켜 조립되는 형태로 간단히 식탁으로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장축형태의 식탁용 다리지지축(60) 없이 다른 용도로 사용하고 싶을 때는 다리지지축(60)을 반대로 회전시켜복합판재(50)에서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는 변형된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10 : 세라믹판재 20 : 목재판재
21 : 가로홈 22 : 외연세로홈
23 : 중심부세로홈 25 : 나사핀 홈
30 : 발포접착제 40 : 철심 50 : 복합판재 60 : 다리지지축
61 : 지지축 숫나사부 62 : 고정브라켓
63 : 뻔데기볼트

Claims (6)

  1. 세라믹판재 및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세라믹판재가 워터젯 가공기계에 의해 원하는 모양과 규격으로 가공되는 세라믹판재 제조공정과
    목재판재의 뒤틀림 방지구조를 이루기 위해 목재의 일측 뒷면에 가로홈 및 세로홈을 형성하는 목재판재 제조공정과
    상기 공정이 완료된 목재판재의 세라믹판재와 접합될 부분으로 발포접착제가 도포되되, 가로홈 및 바탕면에 발포접착제가 함께 도포되는 공정과
    상기 도포공정이 완료된 목재판재의 가로홈에는 철심이 먼저 끼움되고 철심표면과 목재판재 바닥면과 일치하도록 내삽공정이 이루어진 후 발포접착제 도포면에 세라믹판재가 적층되어 복합판재를 이루고 프레스압착기를 이용하여 압착되며 15~25분 범위로 숙성되는 프레스공정과
    상기 프레스 공정이 완료된 복합판재를 프레스압착기에서 인출 후 직소나 트리마 기구, 글러인더, 연마기 중에서 선택되는 기구를 이용하여 모퉁이를 따내거나 원하는 복합판재를 형성하는 마무리 작업공정을 포함하여 세라믹판재와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이루어지는 복합판재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판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접착제 도포공정에 사용되는 발포접착제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의 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친환경접착제로 Jowat 687.22 발포접착제가 사용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판재의 제조방법.
  3. 상기 목재판재에 끼움되도록 사용되는 철심은 철판을 절곡시켜 직사각형 구조를 이루며 아크용접하고 직사각형 구조의 좁은면이 목재판재의 가로홈에 끼움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판재의 제조방법.
  4. 세라믹판재 및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의 이용방법에 있어서,
    세라믹판재가 워터젯 가공기계에 의해 원하는 모양과 규격으로 가공되는 세라믹판재 제조공정과
    목재판재의 뒤틀림 방지구조를 이루기 위해 목재의 일측 뒷면에 가로홈 및 세로홈을 형성하는 목재판재 제조공정과
    상기 공정이 완료된 목재판재의 세라믹판재와 접합될 부분으로 발포접착제가 도포되되, 가로홈 및 바탕면에 발포접착제가 함께 도포되는 공정과
    상기 도포공정이 완료된 목재판재의 가로홈에는 철심이 먼저 끼움되고 철심표면과 목재판재 바닥면과 일치하도록 내삽공정이 이루어진 후 발포접착제 도포면에 세라믹판재가 적층되어 복합판재를 이루고 프레스압착기를 이용하여 압착되며 15~25분 범위로 숙성되는 프레스공정과
    상기 프레스 공정이 완료된 복합판재를 프레스압착기에서 인출 후 직소나 트리마 기구, 글러인더, 연마기 중에서 선택되는 기구를 이용하여 모퉁이를 따내거나 원하는 복합판재를 형성하는 마무리 작업공정을 포함하여 세라믹판재와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이루어지는 복합판재를 얻고 복합판재의 목재판재 쪽에 다리를 설치하여 식탁이나 책상으로 이용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판재의 이용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판재의 목재판재 베이스부에 내주연과 외주연에 모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핀홈이 끼움된 구조를 이루고 식탁이나 책상의 다리가 나사핀홈과 결합되어 조립이나 분해가 용이한 구조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판재의 이용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만들어져 세라믹판재와 목재판재의 결합구성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
KR1020190096292A 2019-08-07 2019-08-07 세라믹판재 및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255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292A KR102255521B1 (ko) 2019-08-07 2019-08-07 세라믹판재 및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292A KR102255521B1 (ko) 2019-08-07 2019-08-07 세라믹판재 및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279A true KR20210017279A (ko) 2021-02-17
KR102255521B1 KR102255521B1 (ko) 2021-05-21

Family

ID=74731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292A KR102255521B1 (ko) 2019-08-07 2019-08-07 세라믹판재 및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5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68900A (zh) * 2021-03-23 2021-07-06 泉州华光职业学院 一种天然茶籽饼合成中底板材的制备方法
KR20230069533A (ko) 2021-11-12 2023-05-19 윤정봉 내충격성이 우수한 세라믹 식탁 및 이의 제조법
KR20230072166A (ko) 2021-11-17 2023-05-24 윤정봉 내충격성이 우수한 경량 세라믹 식탁 및 이의 제조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611A (ja) * 1997-06-26 1999-01-19 Daiken Trade & Ind Co Ltd 強化長尺木質材
KR20120046147A (ko) * 2009-06-04 2012-05-09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건축용 막 어플리케이션에 사용하기 위한 발포가능한 접착제 조성물
KR20140096716A (ko) * 2013-01-29 2014-08-06 여신구 다리 연결구가 구비된 테이블
KR20140107094A (ko) * 2013-02-27 2014-09-04 (주)캠퍼스라인 인조대리석을 활용한 복합판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611A (ja) * 1997-06-26 1999-01-19 Daiken Trade & Ind Co Ltd 強化長尺木質材
KR20120046147A (ko) * 2009-06-04 2012-05-09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건축용 막 어플리케이션에 사용하기 위한 발포가능한 접착제 조성물
KR20140096716A (ko) * 2013-01-29 2014-08-06 여신구 다리 연결구가 구비된 테이블
KR20140107094A (ko) * 2013-02-27 2014-09-04 (주)캠퍼스라인 인조대리석을 활용한 복합판재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68900A (zh) * 2021-03-23 2021-07-06 泉州华光职业学院 一种天然茶籽饼合成中底板材的制备方法
CN113068900B (zh) * 2021-03-23 2022-05-24 泉州华光职业学院 一种天然茶籽饼合成中底板材的制备方法
KR20230069533A (ko) 2021-11-12 2023-05-19 윤정봉 내충격성이 우수한 세라믹 식탁 및 이의 제조법
KR20230072166A (ko) 2021-11-17 2023-05-24 윤정봉 내충격성이 우수한 경량 세라믹 식탁 및 이의 제조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521B1 (ko) 2021-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5521B1 (ko) 세라믹판재 및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
US20040213946A1 (en) Hard surface-veneer engineered surfacing tiles and methods
AU2005248956A1 (en) Reverse molded panel
CN110121583A (zh) 复合地板产品及其制造方法
CN201297015Y (zh) 木瓷地板
CN2076142U (zh) 软木复合地板
KR20080080885A (ko) 모양지가 적층된 성형 마그네슘 보드 및 그 제조방법
CN202805336U (zh) 实木组合型基板
CN106113796A (zh) 一种无机材料与木饰金属的复合板结构
KR102395326B1 (ko) 2개의 세라믹판재 및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
WO2005117665A1 (en) Modular granite countertop
CN205637391U (zh) 一种能有效吸附和降解甲醛的环保竹炭墙板
CN104742449A (zh) 一种具有阻燃效果的饰面复合板及其制作方法
KR200204843Y1 (ko) 목재패널
KR100538834B1 (ko) 금형을 이용하여 목재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KR100558147B1 (ko) 금형을 이용하여 목재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KR100948942B1 (ko) 황토 패널을 이용한 마감 시공 방법 및 그 마감 구조물
KR100558146B1 (ko) 목재 표면에 천연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US20180201056A1 (en) Method for working wood paste
CN205531191U (zh) 一种实木复合地板
CN2509283Y (zh) 多筋竖状横芯e型接口竹地板
JPS644972Y2 (ko)
KR100530663B1 (ko) 불연성 바닥재
DE822058C (de) Ebene und gewoelbte Fuellflaechen fuer Waende, Moebel, Gebrauchs- und Ausstattungsgegenstaende
CN205416533U (zh) 一种环保防裂饰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