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326B1 - 2개의 세라믹판재 및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2개의 세라믹판재 및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326B1
KR102395326B1 KR1020200015878A KR20200015878A KR102395326B1 KR 102395326 B1 KR102395326 B1 KR 102395326B1 KR 1020200015878 A KR1020200015878 A KR 1020200015878A KR 20200015878 A KR20200015878 A KR 20200015878A KR 102395326 B1 KR102395326 B1 KR 102395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plate
wood
composite
step pro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1651A (ko
Inventor
김선미
Original Assignee
김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미 filed Critical 김선미
Priority to KR1020200015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326B1/ko
Publication of KR20210101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47B96/206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with laminates comprising planar, continuous or separat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대리석 형태로 수입품으로 들어오는 세라믹판재의 무게를 줄이기고 식탁이나 책상 등의 가구용 상판으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목재와 합성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를 얻고자 하는 기술이다.
본원은 복합판재의 제조방법에서, 세라믹판재가 워터젯 가공기계에 의해 원하는 모양과 규격으로 절단되는 제1단계 제조공정과 목재판재의 뒤틀림 방지구조를 이루기 위해 목재의 일측 뒷면에 가로홈 및 세로홈을 형성하는 제2단계 제조공정과 상기 제2단계공정이 완료된 목재판재의 세라믹판재와 접합될 부분으로 발포접착제가 도포되되, 가로홈에도 발포접착제가 함께 도포되는 제3단계 제조공정과 상기 제3단계공정이 완료된 목재판재의 가로홈에는 철심이 먼저 끼움되고 철심표면과 목재판재 바닥면과 일치하도록 내삽공정이 이루어진 후 발포접착제 도포면에 제1단계공정에 의해 준비된 세라믹판재가 적층되어 복합판재를 이루고 150~500키로의 프레스압착기를 이용하여 압착 및 숙성되는 제4단계 프레스공정과 상기 제4단계공정이 완료된 복합판재를 프레스압착기에서 인출 후 직소나 트리마 기구, 글러인더, 연마기 중에서 선택되는 기구를 이용하여 모퉁이를 따내거나 원하는 각도로 가공된 복합판재를 형성하는 제5단계 제조공정을 포함하여 세라믹판재와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이루어지는 복합판재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Description

2개의 세라믹판재 및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The composite panel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using ceramic panel and wood panel}
본 발명은 식탁이나 책상 등의 테이블 상판재 기능을 하는 판재가 2개의 세라믹판재와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이루어지는 복합판재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인조대리석 형태로 수입품으로 들어오는 세라믹판재 재료 자체가 가공성이 극히 낮아서 가공과정에 부분 절단품이 많이 발생하는바, 부분 절단품의 활용도를 높이도록 2개의 세라믹판재 사이에 목재판재를 접목시켜 시각적 미감을 도모하고 현장 실용성을 높이기 위해 세라믹판재 및 목재와의 합성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를 얻어 이용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세라믹판재는 무기물이 고온으로 소송되어 만들어진 것으로, 외부의 기후조건에 따라 수축 및 팽창 현상이 거의 없으나, 목재는 천연물로서 외부의 기후조건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이 빈번한바, 상기와 같은 이질적인 성질을 갖는 세라믹판재와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이루어지는 복합판재가 외부의 기후조건에 따라 이격이 발생하거나 휨 현상이나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항상 깨끗한 미감을 제공하는 복합판재를 제공하여 식탁이나 책상 등의 테이블 상판재로 사용가능한 가구용 상판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세라믹판재는 석회암과 돌로마이트의 접촉변성 작용이나 광역 변성작용을 받아 재결정 형태로 무기물을 2000℃ 범위의 고온으로 소성되어 만들어진 인조자기(포슬린)로, 연마하면 천연대리석과 같은 다양한 외관과 고급스러운 천연 질감을 제공하여 건축물의 고급 내장재 및 외장재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 두께가 보통 3㎜ ~ 12㎜ 정도이고 가로 및 세로 규격이 3.2m * 1.6m 크기, 2.8m * 1.4m 크기, 2.4m * 1.2m 크기 등 다양한 규격으로 부피와 중량이 크고 가격이 고가여서 그 사용이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어 왔는바, 예를 들어 원하는 식탁 등의 용도로 이용되기 위해 원하는 크기로 절단된 후 나머지 폭 30㎝ 길이 240㎝ 규격의 절단부품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원 발명자는 아직까지 국내 및 해외에서 시도된바 없는 기술로 예를 들면 2개의 절단된 세라믹판재가 폭 30㎝ 길이 240㎝ 규격의 절단부품으로 제공되는 경우 세라믹판재(a) 폭 30㎝ + 목재판재 폭 20㎝ + 세라믹판재(b) 폭 30㎝를 연결시켜 전체폭 80㎝를 이루며 상판을 이루게 하고 상판의 저부를 폭 약 90㎝ 폭 길이 242㎝ 규격의 목재판재를 결합시켜 거실테이블이나 식탁 등으로 사용되는 복합판재를 얻어 이용할 때 외부의 기후조건에 따라 틈(이격)이 발생하거나 휨 현상이나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상부는 고급스러운 천연 질감을 제공하면서 저부로는 가공성이 높은 목재재질로 제공되는 복합판재를 얻어 이용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종래의 기술에서 고급스러운 대리석의 천연 질감을 제공하는 인조대리석 또는 포슬린을 이용하고자 하는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1052813호에서는 "테두리에 인조대리석을 갖는 불연복합패널" 관련 기술에서 경량화 구조를 가지며, 가공이 용이하며, 불연 내연성을 가지며, 우수한 표면 강도 등의 우수한 물성을 갖는 불연복합패널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컴팩트보드(compact board) 또는 CMP(compact melmaine panel)라 불리우는 불연복합패널을 사무용이나 가정용 가구의 패널, 화장실 문이나 벽면용 패널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패널 등으로 이용하기 위해 복합패널 몸체를 구성할 때 상면과 하면은 물성이 우수한 얇은 불연복합패널로 구성하고, 중간면은 다양한 색상을 연출할 수 있는 인조대리석으로 구성토록 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공개 10-2009-0026438호에서는 대리석을 이용한 가구용 상판관련 기술로 대리석을 이용한 가구용 상판 표면에 다양한 색상과 무늬모양을 갖는 직물지를 접착시켜 줘서 대리석의 단순한 무늬에서 탈피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겨울철에 대리석의 차가움을 느끼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대리석을 이용한 가구용 상판 관련 기술로서 대리석을 재질로 하여 식탁이나 테이블 등과 같은 가구용 상판을 형성함에 있어, 대리석 표면에 각양각색의 색상과 무늬를 갖고 있는 직물요소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켜 주고, 상기 직물요소의 표면에 투명코팅층을 도포시킨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10-1035288호에서는 인조대리석 테이블 상판 및 그 성형방법관련 기술로 테이블 상판의 성형방법은 성형하고자 하는 상판에 상당하는 몰드의 공동부에 경화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도포하여 겔코트층을 형성하고; 겔코트층이 형성된 몰드 공동부에 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와 무기입자를 함유하는 인조대리석 조성물을 충전하여 1차 충전층을 형성한 후 상기 1차 충전층 위에 부직포를 적층하고 나서 상기 인조대리석 조성물을 재충전하여 2차 충전층을 형성하고; 상기 인조대리석 조성물의 2차 충전층 위에 상기 몰드 공동부의 깊이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몰드 공동부의 저면 넓이보다 작은 넓이를 갖는 돌출부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외측에 상기 몰드의 공동부와 연통하는 개구를 갖는 몰드 덮개를 상기 몰드 위에 덮어씌우고 가압하여 인조대리석으로 에워싸인 공동부를 형성한 후 몰드 덮개를 제거하고; 상기 인조대리석 공동부에 이에 상당하는 치수를 갖는 판재를 바인더를 개재하여 결합한 후 완성된 성형품을 몰드로부터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인조대리석 테이블 상판을 얻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형태로 제시된 인조대리석 관련 종래기술은 그 무게가 너무 중량이어서 취급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완성제품의 가격이 고가여서 일반 대중이 구입하여 사용하기에 부담스럽고, 또한 인조대리석으로 제공된 상품들은 가정에 설치 후에도 그 무거운 중량으로 인하여 주부들이 가정에서 취급하기 어려워 게륵 취급을 받고 있는 실정이어서 좀더 경량구조로 가공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서 고가 수입품인 인조대리석 등의 세라믹판재 가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절단부품 세라믹판재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2개의 세라믹판재와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이루어지는 복합판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이다.
본 발명은 2개의 세라믹판재와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이루어지는 복합판재를얻되, 외부의 기후조건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이 거의 없는 세라믹판재와 외부의 기후조건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이 빈번한 목재의 특성을 극복하여 이격이 발생하거나 휨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미려한 외관을 유지하는 복합판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 기술사상은 외부의 기후조건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이 거의 없는 세라믹판재와 외부의 기후조건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이 빈번한 목재가 결합된 상태의 복합판재가 외부의 기후조건에 따라 이격이 발생하거나 휨 현상이나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항상 깨끗한 미감을 제공하여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로써, 특별히 2개의 세라믹판재 사이로 중간재가 끼움구조를 이룬 상판재와 상판재 저부를 지지하는 목재판재의 결합구조로 제공되어 실내가구용으로 사용되는 복합판재를 얻기 위한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원은 복합판재의 상판을 이루는 2개의 세라믹판재가 워터젯 가공기계에 의해 원하는 모양과 규격으로 가공되는 세라믹판재 가공공정과, 상판을 이루는 2개의 세라믹판재 사이에 끼움되기 위한 상판용 중간재가 양쪽 외연으로 경사면걸림턱을 형성하고 경사면걸림턱이 세라믹판재의 측면상단을 덮어주는 모양과 규격으로 가공되는 상판용 중간재 가공공정과, 복합판재의 상판재 저부를 지지하는 목재판재의 뒤틀림 방지구조를 이루기 위해 목재의 일측 뒷면에 가로홈 및 세로홈을 형성하는 목재판재 가공공정과, 상기 공정이 완료된 목재판재 상부 쪽으로 세라믹판재 및 상판용 중간재와 접합될 부분으로 발포접착제가 도포되되, 가로홈 및 바탕면에 발포접착제가 함께 도포되는 공정과, 상기 도포공정이 완료된 목재판재의 가로홈에는 철심이 먼저 끼움되고 철심표면과 목재판재 바닥면과 일치하도록 내삽공정이 이루어진 후 발포접착제 도포면에 세라믹판재 및 상판용중간재가 적층되어 복합판재를 이루고 프레스압착기를 이용하여 압착되며 15~60분 범위로 숙성되는 프레스공정과, 상기 프레스 공정이 완료된 복합판재를 프레스압착기에서 인출 후 직소나 트리마 기구, 글러인더, 연마기 중에서 선택되는 기구를 이용하여 모퉁이를 따내거나 원하는 복합판재를 얻는 마무리 작업공정을 포함하여 2개의 세라믹판재 사이로 목재판재가 끼움구조를 이루도록 제공되는 복합판재를 얻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판재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원 복합판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발포접착제 도포공정에 사용되는 발포접착제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의 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친환경접착제로 Jowat 687.22 발포접착제가 사용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목재판재에 끼움되도록 사용되는 철심은 철판을 절곡시켜 직사각형 구조를 이루며 아크용접하고 직사각형 구조의 좁은면이 목재판재의 가로홈에 끼움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원은 2개의 세라믹판재 사이로 목재판재가 끼움구조를 이루도록 제공되는 복합판재의 이용방법에서, 복합판재의 상판을 이루는 2개의 세라믹판재가 워터젯 가공기계에 의해 원하는 모양과 규격으로 가공되는 세라믹판재 가공공정과 상판을 이루는 2개의 세라믹판재 사이에 끼움되기 위한 상판용 중간재가 양쪽 외연으로 경사면걸림턱을 형성하고 경사면걸림턱이 세라믹판재의 측면상단을 덮어주는 모양과 규격으로 가공되는 상판용 중간재의 가공공정과 복합판재의 하판을 이루는 목재판재의 뒤틀림 방지구조를 이루기 위해 목재의 일측 뒷면에 가로홈 및 세로홈을 형성하는 목재판재 가공공정과 상기 공정이 완료된 목재판재 하판 상부면으로 세라믹판재 및 상판용 중간재와 접합될 부분으로 발포접착제가 도포되되, 가로홈 에 발포접착제가 함께 도포되는 공정과 상기 도포공정이 완료된 목재판재의 가로홈에는 철심이 먼저 끼움되고 철심표면과 목재판재 바닥면과 일치하도록 내삽공정이 이루어진 후 발포접착제 도포면에 세라믹판재 및 상판용 중간재가 적층되어 복합판재를 이루고 프레스압착기를 이용하여 압착되며 15~60분 범위로 숙성되는 프레스공정과 상기 프레스 공정이 완료된 복합판재를 프레스압착기에서 인출 후 직소나 트리마 기구, 글러인더, 연마기 중에서 선택되는 기구를 이용하여 모퉁이를 따내거나 원하는 복합판재를 얻는 마무리 작업공정을 포함하여 세라믹판재와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이루어지는 복합판재를 얻고 복합판재의 목재판재 쪽에 다리가 설치되어 가정이나 사무실용 실내가구의 상판재로 이용하도록 적용되어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원 기술이 적용되는 복합판재의 제조수단에서 상기 발포접착제 도포공정에 사용되는 발포접착제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의 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친환경접착제로 예를 들면 스위스 Jowat 회사의 687.22 발포접착제가 사용되도록 적용되는 구성이 바림직한바, 이는 건물의 건축자재나 가구 등에 포함되어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질(VOCs)이 실내로 배출되어 이유없이 온몸에 붉은 반점이 나고, 비염·아토피성피부염·두드러기·천식·심한 두통·기관지염 등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새집증후군 유발현상을 근원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필요하다.
새집증후군은 의학적으로 확립된 단일의 질병이 아니라 주택에서 유래된 건강피해를 총체적으로 가리킨다고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이란 대기 중에서 가스형태로 존재하는 유기화합물을 총칭하며 대부분 발암물질을 포함하고 있는데 벤젠을 비롯하여 톨루엔, 클로로포름, 아세톤, 포름알데히드 등이 대표적이며 특히 접착제에 포름알데히드는 농도가 120∼3,680ug/㎤ 포함되어 있으면 두통, 메스꺼움, 시각적 자극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본원기술이 적용되는 복합판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목재판재에 끼움되도록 사용되는 철심은 철판을 절곡시켜 직사각형 구조를 이루며 아크용접하고 직사각형 구조의 좁은면이 목재판재의 가로홈에 끼움되도록 적용되는 경우 복합판재의 휨 현상을 방지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하 본원의 기술구성이 구체적으로 구현되는 실시양태는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란에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원 기술은 고가의 수입품으로 들어오는 세라믹판재를 각각의 용도에 따라 절단 사용한 후 가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절단부품 세라믹판재의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원 외부의 기후조건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이 거의 없는 세라믹판재와 외부의 기후조건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이 빈번한 목재의 특성으로 인한 서로 이질적인 특성을 갖는 세라믹판재와 목재판재의 결합공정에 의해 만들어진 최종제품의 사용과정 중 이격이 발생하거나 휨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미려한 외관을 유지하는 복합판재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른 복합판재의 제조방법의 공정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판재 제조공정의 설명을 위한 실시양태의 일측 평면 또는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3는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복합판재가 현실적으로 식탁형태로 사용되는 실시양태의 적용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판재의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제조공정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판재 제조공정의 설명을 위한 실시양태의 일측 평면 또는 측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를 적용하여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복합판재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고가 수입품인 인조대리석 등의 세라믹판재가 식탁판재, 응접테이블, 책상 등 원하는 용도에 따라 세라믹판재 자체에 형성된 모양과 색상에 따라 절단되어 사용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절단부품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2개의 세라믹판재와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이루어지는 복합판재를 얻고자 하는 기술로 도 1에서의 제1단계(S10) 공정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원에서 얻고자 하는 복합판재(50)는 세라믹판재(11a)+상판용 중간재(12)+세라믹판재(11b)로 구성되는 상판재(10)가 복합판재의 상판부를 형성하고 3개의 단위물품으로 이루어진 상판부가 견고한 결합구조를 이루기 위해 상판부의 저부위치에 목재판재(20)가 덧대진 결합구조를 이루어 본원에서 목적하는 복합판재(50)를 얻고자 하는 기술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세라믹판재와 상판용 중간재(12)인 목재 및 목재판재(20)는 서로 다른 물성을 갖고 있는바, 세라믹판재는 돌가루 등의 무기물 원료가 2000℃ 범위의 고온조건에서 압착/소성시켜 만들어지는 것으로 제품이 완성된 후에는 수축이나 팽창이 거의 없는 물성을 갖는 것이나 목재는 외부의 온도 및 습도에 따라 지속적으로 수축이나 팽창이 반복되는 물성을 갖기 때문에 세라믹판재와 목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축 및 팽창을 수용해서 뒤틀림이 방지되는 선제조치가 필요하다.
상기 선제조치로서 본원에서는 세라믹판재와 결합되는 목재판재(20)의 접합면은 목재의 두께가 예를 들어 12t 두께 규격으로 적용될 때 목재의 접합면에는 폭 4~6㎜ 깊이 6~8㎜의 가로홈이 목재판재의 양쪽 단부쪽에 형성되고 가로홈의 내측에서 다수개의 세로홈이 형성되어 세라믹판재와 목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가로홈 및 세로홈이 목재의 수축 또는 팽창을 수용하도록 적용되는 구성이 필요하고, 더욱 목재의 가로홈에는 철심이 내장된 상태로 바닥면과 수평을 이룬 후 세라믹판재와 결합시키는 공법이 적용되어 휨현상이 발생하기 쉬운 복합판재의 장축을 이루는 부분에서 휨 현상의 발생을 저지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이루기 위해 가로홈에 철심을 내장시키는 구성이 필요하다.
본원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 1에 제시되는 첫째 공정(S 10)으로 외국에서 수입된 세라믹판재를 식탁판재, 응접테이블, 책상 등 원하는 용도로 가공하기 원할 때 세라믹판재 자체에 새겨진 무늬나 문양을 따라 최대한 사용용도와 어메니티(amenity)를 이루기 위한 규격으로 워터젯 가공기계를 이용하여 절단한 세라믹판재가 이용되는데, 예를 들면 두께 3 내지 6t 규격품으로 가로*세로 200㎝* 40㎝ 규격으로 절단된 2개의 세라믹 판재가 발생할 경우 2개의 세라믹 판재 사이에 중간재를 덧대어 상판재를 이루고 상판재의 저부를 목재판재와 결합시킨 구성의 복합판재를 얻어 미감을 높인 실내가구용 상판재료로 이용할 수 있는바, 이의 실시양태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목적물을 얻기까지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서 첫 단계(S 10)로, 세라믹 판재 및 목재(중간재)의 상판재 가공단계는 도 2a와 같이 2개의 세라믹판재(11a, 11b)가 워터젯 가공기계에 의해 원하는 모양과 규격으로 가공되어 양쪽 사이드 쪽으로 라운드부를 형성한 모양으로 세라믹판재(11a, 11b)가 가공되고, 2개의 세라믹판재(11a, 11b) 사이에 끼움되기 위해 상판용 중간재(12)가 가로*세로*두께가 200㎝* 30㎝*세라믹판재(11a, 11b) 보다 2~5㎜ 두꺼운 규격으로 절단된 상태에서 상부평탄면(12a)은 세라믹판재(11a, 11b) 보다 2~5㎜ 정도 높게 형성되고 상부평탄면(12a)에서 양쪽 외연으로 하향경사면(12b)을 형성하면서 중간재의 하단내측으로 세라믹판재(11a, 11b)와 동일 높이로 걸림턱(12c)을 형성한 구조를 이루어서 측면의 세라믹판재(11a, 11b)가 중간재(12)를 향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도 2b와 같이 중간재의 걸림턱(12c)이 세라믹판재(11a, 11b)의 측면상단을 덮어주는 모양과 규격으로 가공되는 형태로 첫 단계(S 10)의 세라믹판재(11a, 11b) 및 상판용 중간재(12) 가공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첫 단계(S 10)의 세라믹판재(11a, 11b) 및 상판용 중간재(12)는 그 자체로는 결합력을 확보하지 못하므로 목재판재(20)와 결합되어 복합판재를 얻게 되는바, 둘째 단계(S 20)로 도 2c와 같이 목재판재(20) 접합면에 가로홈과 세로홈을 형성하는 공정이 필요한바 예를 들면 두께 10~15㎜ 두께를 갖고 가로*세로 220㎝* 120㎝ 규격으로 절단된 목재판재(20)가 사용되어 도 2c와 같이 목재판재 접합면에 가로홈(22)과 세로홈(23)을 형성할 때 도 2b 상태의 세라믹판재(11a, 11b) 및 상판용 중간재(12)로 이루어진 상판재가 목재판재(20)와 결합될 때의 위치선(21)을 예측하여 세라믹판재(11a, 11b)의 중심부 저부 중앙위치에 가로홈(22)이 형성되도록 5~8㎜ 깊이의 홈을 형성하게 된다.
셋째 단계(S 30)로 목재판재(20) 접합면 및 가로홈(22)과 세로홈(23)에 도 2d와 같이 발포접착제(40)가 도포되도록 적용되는바, 본원 기술이 실내가구에 적용될 수 있는 소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므로 목재판재(20)와 세라믹판재와 접합될 부분에는 발포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데 이때 벤젠, 톨루엔, 크실렌, 포름알데히드 등의 유해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친환경접착제를 사용하기 위해 예를 들면 스위스 회사인 Jowat의 687.22 제품같은 발포접착제가 사용되어 새집증후군의 염려를 배제하도록 적용됨이 바람직하고, 도 2e에서는 발포접착제(40)가 도포된 상태를 생략하였으나 가로홈(22)과 세로홈(23)에도 발포접착제(40)가 부분적으로 도포된 후 목재판재(20)의 가로홈(22)에 철심(30)이 끼움 내삽되어 넷째 단계(S 40)의 공정이 수행되는바, 본원 기술에 사용되는 철심은 예를 들면 갈바니아 철판이 24㎜ 폭으로 길게 절단된 후 전면폭 8㎜, 저부폭 4㎜, 후면폭 8㎜, 상부폭 4㎜를 이루도록 3회 절곡되어 직4각형 형상의 철심형태를 이루면서 전면폭의 단부와 상부폭의 단부가 아크 용접이 이루어진 형태로 직4각형 구조의 철심이 만들어져 목재판재의 가로홈에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예를 들어 세라픽 판재의 사이즈에 맞춘 길이로 절단된 철심이 사용되도록 준비되고 목재판재의 접합면의 가로홈에 발포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직사각형 모양의 상부폭이 먼저 가로홈의 바닥면에 위치되도록 내삽되어 저부폭이 목재판재의 접합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철심이 끼워지는 공정이 수행되는 경우 나중에 완제품으로 이루어진 복합판재의 장축을 이루는 부분에서 접은폭을 이룬 저부폭 5㎜ 및 상부폭 5㎜ 부분이 복합판재의 휨현상을 저지하는 기능을 갖도록 가로홈(22)에 먼저 발포접착제(40)가 도포된 후 철심(30)이 끼움 및 설치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다음 공정으로 다섯째 단계(S 50)로써 도 2f와 같이 목재판재 접합면 상부로 세라믹판재(11a, 11b) 및 상판용 중간재(12)가 화살표 방향을 따라 올려진 후 도 2g와 같이 목재판재 접합면 상부로 세라믹판재(11a, 11b) 및 상판용 중간재(12)가 올려진 상태에서 여섯째 단계(S 60)의 압착공정이 수행되는바, 프레스 압착공정은 150~500 키로 범위에서 제15분 내지 60분 범위로 압착공정 및 숙성공정이이 수행될 수 있는데 하절기에는 제15분 내지 25분 정도에서도 숙성이 이루어지나 동절치기에는 제30분 내지 60분 정도의 숙성시간이 필요하게 되며, 이때 목재판재 상부에 올려진 양 측면의 세라믹판재(11a, 11b)가 상판용 중간재(12)보다 낮기 때문에 세라믹판재(11a, 11b) 높이가 중간재(12) 높이와 동일하도록 덧댐판재를 세라믹판재(11a, 11b) 상부에 올려놓고 프레스압착기를 이용하여 프레스프레스 압착공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프레스 압착기를 이용할 때 압력조건은 큰 영향력이 없이 단순히 적층된 목재판재 및 세라믹판재가 움직이자 않고 고정시킨 상태에서 일정 발포시간을 갖게 하고자 하는 공정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여섯째 단계의 프레스 압착공정이 수행된 후 프레스에서 최종제품을 인출하는 경우 도 2g와 같이 상부위치의 세라믹판재(11a)+상판용 중간재(12)+세라믹판재(11b)와 저부위치에 목재판재(20)가 결합된 중간재를 얻을 수 있으며, 중간재에서 상판재의 외연을 따라 목재판재(20)의 외연을 절단/떼어내면서 일곱번째 단계(S 70)공정 및 복합판재의 마무리 작업(S 80)이 수행되어 원하는 복합파재를 (50)를 얻을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프레스 공정이 완료된 복합판재(50)는 프레스압착기에서 인출 후 직소나 트리마 기구, 글러인더, 연마기 중에서 선택되는 기구를 이용하여 모퉁이를 따내거나 원하는 복합판재를 얻는 마무리 작업공정을 통하여 2개의 세라믹판재 사이로 목재판재가 끼움구조를 이룬 복합판재(50)를 얻고 본원 구조의 복합판재는 실내 가구의 미감을 도모하기 위한 복합판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얻어진 복합판재(50)는 상부의 세라믹판재(11a,11b)의 형상에 맞춰 미새한 톱날형상을 갖는 직소기를 이용하여 목재의 잉여부분, 모서리 부분을 따내고 글라인더로 마감처리한 후 샌드로 갈아내서 미세한 마무리 작업을 통해 식탁이나 테이불, 책상 용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와 같은 제조공정을 통하여 얻은 상판 테이불용 복합판재(50)가 식탁용 다리지지축(27)과 결합되어 적용되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a에서는 복합판재(50)와 다리지지축(27)이 결합되는 구성을 측면도 형태로 나나탠 것이고 도 3b에서는 복합판재(50)와 다리지지축(27)이 결합되는 구성을 저면 일측에서의 사시도 형태로 나타낸 것이며, 도 3c에서는 복합판재(50)와 다리지지축(27)이 결합된 완성구조를 사시도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제시되는 테이불용 복합판재(50)는 상판재가 세라믹판재(11a)+상판용 중간재(12)+세라믹판재(11b)의 구성이 상부로 위치하고 그 저부에 목재판재(20)와 결합시켜 사용할 때 세라밀판재와 목재판재의 이질감에 의한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 목재판재(20)의 가로홈(22)에는 철심(40)이 내장된 구조를 이루어서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는 견고한 구조의 복합판재(50)를 이루고, 복합판재의 목재판재(20) 밀에서 식탁용 다리지지축(27)과 연결되기 원할 때 도 3b에서와 같이 A단계에서는 먼저 복합판재의 목재판재(20) 저부에 내주연과 외주연에 모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일명 뻔데기볼트(25)가 내삽될 수 있는 구멍(24)을 뚫고 B단계에서 구멍(24) 내부로 뻔데기볼트(25)를 회전시켜 내삽시키고 C단계에서 뻔데기볼트(25) 외측으로 고정브라켓(26)을 개제시켜 뻔데기볼트(25)와 결합을 이루는 결합돌기부(27a)가 형성된 다리지지축(27)과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적용되는 경우 장축형태의 식탁용 다리지지축(27) 없이 다른 용도로 사용하고 싶을 때는 다리지지축(27)을 반대로 회전시켜 복합판재(50)에서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는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10 : 상판재 11 : 세라믹판재
12 : 중간재 20 : 목재판재
21 : 외곽선 22 : 가로홈
23 : 세로홈 24 : 구멍
25 : 뻔데기볼트 26 : 고정브라켓
27 : 다리지지축 30 : 발포접착제
40 : 철심 50 : 복합판재

Claims (5)

  1. 2개의 세라믹판재와 목재중간재가 결합되어 상판재를 이루고 상판재 저부를 목재판재가 지지하도록 적용되는 실내가구용 복합판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2개의 세라믹판재가 워터젯 가공기계에 의해 상판재를 이루기 위해 원하는 모양과 규격으로 가공되는 제1단계 공정과
    2개의 세라믹판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목재중간재는 양쪽 외연으로 경사면걸림턱을 형성하고 경사면걸림턱이 세라믹판재의 측면상단을 덮어줄수 있는 모양과 규격으로 가공되는 제2단계 공정과
    상기 제2단계 공정이 완료된 목재중간재의 양측부 경사면걸림턱에 세라믹판재의 측면상단을 덮어 밀착시킨 구조의 상판재를 형성하는 제3단계 공정과
    상기 상판재 저부를 지지하는 목재판재는 뒤틀림 방지구조를 이루기 위해 목재판재의 상판재 쪽 결합면에 가로홈 및 세로홈이 형성되고 발포접착제가 도포되며 철심이 끼워지고 철심표면과 목재판재 바닥면과 일치하도록 내삽공정이 이루어는 제4단계 공정과
    상기 제4단계 공정이 완료된 목재판재의 발포접착제 도포면에 제3단계 공정이 완료된 상판재가 적층되어 복합판재를 이루고 프레스압착기를 이용하여 압착되며 15~60분 범위로 숙성되는 제5단계 공정과
    상기 제5단계 공정이 완료된 복합판재를 프레스압착기에서 인출 후 직소나 트리마 기구, 글러인더, 연마기 중에서 선택되는 기구를 이용하여 마무리 작업공정을 수행하는 제6단계 공정을 포함하여 2개의 세라믹판재와 목재중간재가 결합된 상판재를 갖는 복합판재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가구용 복합판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접착제 도포공정에 사용되는 발포접착제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의 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친환경접착제로 Jowat 687.22 발포접착제가 사용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판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판재에 끼움되도록 사용되는 철심은 철판을 절곡시켜 직사각형 구조를 이루며 아크용접하고 직사각형 구조의 좁은면이 목재판재의 가로홈에 끼움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판재의 제조방법.
  4. 2개의 세라믹판재와 목재중간재가 결합되어 상판재를 이루고 상판재 저부를 목재판재가 지지하도록 적용되는 실내가구용 복합판재의 이용방법에 있어서,
    2개의 세라믹판재가 워터젯 가공기계에 의해 상판재를 이루기 위해 원하는 모양과 규격으로 가공되는 제1단계 공정과
    2개의 세라믹판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목재중간재는 양쪽 외연으로 경사면걸림턱을 형성하고 경사면걸림턱이 세라믹판재의 측면상단을 덮어줄수 있는 모양과 규격으로 가공되는 제2단계 공정과
    상기 제2단계 공정이 완료된 목재중간재의 양측부 경사면걸림턱에 세라믹판재의 측면상단을 덮어 밀착시킨 구조의 상판재를 형성하는 제3단계 공정과
    상기 상판재 저부를 지지하는 목재판재는 뒤틀림 방지구조를 이루기 위해 목재판재의 상판재 쪽 결합면에 가로홈 및 세로홈을 형성하고 발포접착제가 도포되며 철심이 끼워지고 철심표면과 목재판재 바닥면과 일치하도록 내삽공정이 이루어는 제4단계 공정과
    상기 제4단계 공정이 완료된 목재판재의 발포접착제 도포면에 제3단계 공정이 완료된 상판재가 적층되어 복합판재를 이루고 프레스압착기를 이용하여 압착되며 15~60분 범위로 숙성되는 제5단계 공정과
    상기 제5단계 공정이 완료된 복합판재를 프레스압착기에서 인출 후 직소나 트리마 기구, 글러인더, 연마기 중에서 선택되는 기구를 이용하여 마무리 작업공정을 수행하여 복합판재를 얻는 제6단계 공정과
    상기 제6단계 공정이 완료된 복합판재의 목재판재 쪽에 다리가 설치되어 가정이나 사무실용 실내가구로 사용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판재의 이용방법.
  5. 삭제
KR1020200015878A 2020-02-10 2020-02-10 2개의 세라믹판재 및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395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878A KR102395326B1 (ko) 2020-02-10 2020-02-10 2개의 세라믹판재 및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878A KR102395326B1 (ko) 2020-02-10 2020-02-10 2개의 세라믹판재 및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651A KR20210101651A (ko) 2021-08-19
KR102395326B1 true KR102395326B1 (ko) 2022-05-04

Family

ID=77492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878A KR102395326B1 (ko) 2020-02-10 2020-02-10 2개의 세라믹판재 및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3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888Y1 (ko) 2006-08-24 2006-11-27 대림콩크리트공업 주식회사 복합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611A (ja) * 1997-06-26 1999-01-19 Daiken Trade & Ind Co Ltd 強化長尺木質材
KR101123765B1 (ko) * 2009-04-06 2012-03-15 이사랑 가구용 상판
JP5784593B2 (ja) * 2009-06-04 2015-09-24 ダウ コーニ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Dow Corning Corporation 建築用膜用途に用いられる吹き付け可能な接着剤組成物
KR101440033B1 (ko) * 2013-02-27 2014-09-17 (주)캠퍼스라인 인조대리석을 활용한 복합판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888Y1 (ko) 2006-08-24 2006-11-27 대림콩크리트공업 주식회사 복합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651A (ko)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2423B2 (en) Hard surface-veneer engineered surfacing tiles
EP0580067A1 (en) Improved procedure for the preparation of borders of chipboard panels to be covered subsequently, and panels so obtained
KR102255521B1 (ko) 세라믹판재 및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
CA2293141C (en) Method for making corners for laminate and veneer countertops
US20060179791A1 (en) Modular stone surfacing system of block-cut seamless pieces
KR102395326B1 (ko) 2개의 세라믹판재 및 목재판재의 합성으로 제공되는 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
CN202805336U (zh) 实木组合型基板
WO2007054023A1 (fr) Panneau composite constitue de bois d’œuvre et d’alumin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WO2005117665A1 (en) Modular granite countertop
EP1233861A1 (en) Composite wood component with lesser grade quality wood filler core
CN202430932U (zh) 瓷塑装饰板
CN206245633U (zh) 一种天然超薄石材发泡陶瓷装饰板
JP2005502800A (ja) 建築用タイル
WO2012030389A2 (en) Apparatus and method to manufacture shaped counter top edges for custom counter tops
US20060150576A1 (en) Method for making countertop
CN203822094U (zh) 方格型门芯整体面板式无榫木质门扇
EP1273432A1 (en) A composite panel with surfaces of stony, ceramics or the like materials for making furniture pieces, walls and doors
KR100538834B1 (ko) 금형을 이용하여 목재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CN201546409U (zh) 一种超耐磨实木复合地板
CN210989068U (zh) 一种橱柜之柜体的改进结构
KR100689100B1 (ko) 조형구조물 및 그 구조물의 조형물
JPS644972Y2 (ko)
US20180201056A1 (en) Method for working wood paste
US639511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unter top edging from floor tile
CN207672937U (zh) 一种新型防开裂、变形的原木基材地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