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337A -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5337A
KR20210015337A KR1020190094029A KR20190094029A KR20210015337A KR 20210015337 A KR20210015337 A KR 20210015337A KR 1020190094029 A KR1020190094029 A KR 1020190094029A KR 20190094029 A KR20190094029 A KR 20190094029A KR 20210015337 A KR20210015337 A KR 20210015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le
support plate
doo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3864B1 (ko
Inventor
이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to KR1020190094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864B1/ko
Publication of KR20210015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로서, 제1구멍을 가진 제1부재와, 상기 제1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구멍을 가진 제2부재를 서로 기계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제1구멍 및 제2부재의 제2구멍에 끼워져서 회전가능하게 통과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 상기 샤프트의 타측에 마련되며 샤프트가 최종 결합위치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2부재를 지지하면서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제1부재에 대하여 고정결합하기 위한 크로스바; 및 상기 샤프트에 마련되고 상기 샤프트가 임시결합위치에서 상기 제1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상기 제1부재에 임시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하며, 상기 임시결합위치에서 크로스바의 배면이 제2부재로부터 일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위치유지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위치유지수단은, 상기 샤프트를 둘러싸면서 상기 지지판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가 제1구멍을 통과하여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부재의 제1구멍 주변부에 끼워걸리는 한 쌍의 후크부와, 상기 제1후크에서 원주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에서 돌출되며 상기 샤프트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제1부재의 제1구멍 주변부에 끼워걸리는 한 쌍의 회전방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Coupling apparatus for car door}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도어의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견고하면서도 기밀성이 있게 기계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의 자동차 조립공정은 조립라인의 축소, 작업성개선 등에 의한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단위부품을 집합하여 조립하는 모듈화의 추세가 증가되고 있고, 상기 추세에 따라 도어도 모듈화된 패널에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도어 래치, 도어 인사이드 핸들 등을 집합하여 조립한 후 도어 인너 패널에 결합하고 있다.
종래의 도어 모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D)의 도어 패널(1)을 도어 아웃터 패널과 도어 인너 패널(2)의 양측면과 하단을 내부에 공동이 형성되게 결합하며, 도어 모듈화 패널(3)에는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4)의 레귤레이터 모터(5)를 외면에, 레귤레이터 채널(미도시)은 내면에 결합하고, 모듈화 패널(3)의 상방 외면에는 도어 인사이드 핸들(6)을 결합하여 상기 도어 인사이드 핸들(6)에 케이블(6')의 일단을 연결한 후 케이블(6')의 타단을 측면으로 유도하여 도어 래치(7)를 연결하고, 기타 필요한 케이블을 설치하여서, 상기 모듈화 패널(3)을 도어 인너 패널(2)에 근접시키면서 레귤레이터 채널과 도어 래치(7)를 도어 패널(1)에 형성한 공동에 삽입한 후 도어 모듈화 패널(3)을 도어 인너 패널(2)에 적어도 4개소 이상에서 볼트(8)로 결합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모듈화 패널(3)을 도어 인너 패널(2)에 볼트(8)로 결합할 때 도어 패널(1)은 통상적으로 지그(Jig)등의 지지수단에 의하여 수직을 유지하고 이동하면서 도어 인너 패널(2)에 모듈화 패널(3)을 결합하는 것임으로 볼트(8)와 그 체결공을 신속하게 일치시키기 위하여 가조립수단을 사용하고 있는 바, 상기 가조립수단은 도어 모듈화 패널(3)의 양측면에 지지핀(9)(9')을 고정하고, 도어 인너 패널(2)의 상기 지지핀(9)(9') 대응위치에 지지공(10)을 형성하여서 지지핀(9)(9')을 지지공(10)에 삽입한 후 볼트(8)를 체결결합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체결결합 공정은 임시고정을 위한 지지핀(9)(9')을 볼트(8)과 별도로 마련해야 하고, 지지핀을 임시고정한 후에 볼트를 별도로 체결결합해야 하는 등 그 공정자체가 매우 불편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임시고정을 위한 지지핀(9)(9) 및 볼트(8)를 조립하는 현장에서 직접 각 구멍 내에 끼워넣어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볼트 체결이 이루어지는 작업공간은 좁고 협소하여 정확한 위치에 지지핀 및 볼트를 정확하게 끼워넣는 것이 쉽지 않게 되어 작업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는 형편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1589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화 패널과 도어 인너 패널을 서로 용이하게 결합함으로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임시 결합위치에서 유격이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는, 제1구멍을 가진 제1부재와, 상기 제1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구멍을 가진 제2부재를 서로 기계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제1구멍 및 제2부재의 제2구멍에 끼워져서 회전가능하게 통과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
상기 샤프트의 타측에 마련되며 샤프트가 최종 결합위치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2부재를 지지하면서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제1부재에 대하여 고정결합하기 위한 크로스바; 및
상기 샤프트에 마련되고 상기 샤프트가 임시결합위치에서 상기 제1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상기 제1부재에 임시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하며, 상기 임시결합위치에서 크로스바의 배면이 제2부재로부터 일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위치유지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위치유지수단은,
상기 샤프트를 둘러싸면서 상기 지지판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가 제1구멍을 통과하여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부재의 제1구멍 주변부에 끼워걸리는 한 쌍의 후크부와, 상기 제1후크에서 원주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에서 돌출되며 상기 샤프트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제1부재의 제1구멍 주변부에 끼워걸리는 한 쌍의 회전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에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지지판에서 돌출되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단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구멍의 주변부에 끼워걸려서 상기 샤프트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1걸림부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에서,
상기 제1부재에는 제1구멍의 주변에 회전방지용 턱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지지판에서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지지판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방지용 턱에 걸려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2걸림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회전방지용 턱 주변의 주변부에 접촉할 때 탄성변형하면서 상기 주변부에 후킹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에서,
상기 제2걸림부의 단부는 제1구멍의 주변부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제1구멍의 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에서,
상기 샤프트는 일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는 샤프트의 삽입방향에 대해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는, 도어 모듈화 패널에 임시적으로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도어 인너 패널에 간편하게 끼워고정함으로서 도어 모듈화 패널과 도어 인너 패널을 손쉽게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결합장치는, 임시결합위치에서 4곳의 위치에서 도어 모듈화 패널에 유격없이 걸리게 됨으로서 흔들림이 없이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의 일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Ⅴ-Ⅴ 단면도.
도 6은 도 4의 Ⅵ-Ⅵ 단면도.
도 7은 최종 결합위치에서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100)는, 제1구멍(210)을 가진 제1부재(200)와, 상기 제1구멍(210)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구멍(310)을 가지는 제2부재(300)를 서로 기계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부재(200)는, 제1구멍(210)을 가지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도어 모듈 판넬에 해당한다. 상기 도어 모듈 판넬에는 자동차의 도어에 필요한 전장품이 모듈화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윈도우 레귤레이터, 스피커 등의 부품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 모듈 판넬에 소정의 전장품이 설치된 후에 도어의 인너판넬에 부착되게 된다.
이러한 제1부재(200)에는 샤프트(110)가 관통하는 제1구멍(2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구멍(210)은 대략 원형으로 이루어지되 샤프트(11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1구멍(210)의 주변부에는 후크부(150)가 끼워걸리는 걸림편(220)이 원주방향을 따라서 대략 90도의 내각을 가지는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편(220)은 제1구멍(210)의 중심에 대칭적으로 한 쌍이 마련된다. 상기 걸림편(220)의 끝단에는 회전방지부(160)의 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회전방지부(160)의 회전을 막는 회전방지용 턱(230)이 상기 걸림편(220)보다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회전방지용 턱(230)은 소정의 호형상을 가지면서 제1구멍(210)의 중심을 향하여 상기 걸림편(220)보다 돌출되어 있어서 임시결합위치에서 샤프트(11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부재(300)는 도어의 인너판넬로서, 제1부재(200)의 제1구멍(210)과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의 제2구멍(310)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제2구멍(310)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대략 크로스바(13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100)는, 임시결합위치에서는 상기 제1부재(200)에 결합되고, 최종결합위치에서는 제1부재(200)와 제2부재(300)를 고정결합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100)는 샤프트(110), 지지판(120), 크로스바(130) 및 위치유지수단(140)을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110)는 상기 제1부재(200)의 제1구멍(210) 및 제2부재(300)의 제2구멍(310)에 끼워져서 회전가능하게 통과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형상의 구성이다. 이러한 샤프트(110)의 상단에는 지지판(120)이 마련되고 하단에는 크로스바(13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120)은, 상기 샤프트(1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제1부재(2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샤프트(110)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지지판(120)은 원판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하면이 최종결합위치에서 제1부재(200)의 상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제1부재(200)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지지판(120)의 일면이 제1부재(200)의 상면에 접촉함으로서 상기 제1부재(2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지지판(120)에서 상기 제1부재(200)와 마주보는 면에는 지지판(120)이 제1부재(200)와 접촉하였을 때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실링재(121)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실링재(121)는 링형상을 가진 고무재질로서, 제1부재(200)의 제1구멍(210) 주변부를 수밀성이 있도록 실링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120)에는 최종결합위치로 샤프트(110)가 회전하였을 때 풀림을 방지하기 풀림방지돌기(12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풀림방지돌기(122)는 지지판(120)의 배면에서 돌출된 돌기로서, 상기 제1부재(200)의 풀림방지홈(미도시)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샤프트(110)가 최종결합위치로 회전하였을 때, 상기 풀림방지돌기(122)가 제1부재(200)의 풀림방지홈에 삽입됨으로서, 상기 샤프트(110)가 최종결합위치에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크로스바(130)는, 상기 샤프트(110)의 타측에 마련되며 샤프트(110)가 최종 결합위치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2부재(300)를 지지하면서 상기 제2부재(300)를 상기 제1부재(200)에 대하여 고정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크로스바(130)는, 샤프트(110)의 하단에 배치되어 있으며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수평바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크로스바(130)에는 상기 샤프트(110)가 일방향으로 회전시 제1부재(200)와 제2부재(300)의 간격을 좁히도록 하기 위하여 경사진 곡면형태로 이루어진 가압면(131)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즉, 샤프트(110)가 회전하는 경우 가압면(131)을 따라서 제1부재(200)와 제2부재(300)의 간격이 줄어게 되어 있다. 이러한 크로스바(130)는 임시결합위치에서 제2부재(300)와 마주보는 제1부재(200)의 배면에서 최대한 적게 돌출되어 있어서, 제2부재(300)를 제1부재(200)의 배면에 접촉하면서 결합시킬 때 크로스바(130)가 제2부재(300)에 걸리는 일이 없도록 한다.
상기 위치유지수단(140)은, 상기 샤프트(110)에 마련되고 상기 샤프트(110)가 임시결합위치에서 상기 제1부재(200)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상기 제1부재(200)에 임시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하며, 상기 임시결합위치에서 크로스바(130)의 배면이 제2부재(300)로부터 일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위치유지수단(140)은, 후크부(150)와 회전방지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후크부(150)는, 상기 샤프트(110)를 둘러싸면서 상기 지지판(120)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110)가 제1구멍(210)을 통과하여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부재(200)의 제1구멍(210) 주변부에 끼워걸리는 것으로서 한 쌍이 샤프트(110)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후크부(150)는, 기둥부(151)와 제1걸림부(152)를 포함한다.
상기 기둥부(151)는, 상기 지지판(120)에서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서 샤프트(110)를 중심으로 양쪽에 대칭적으로 한 쌍이 마련된다. 이러한 기둥부(151)는 탄성변형이 용이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걸림부(152)는, 상기 기둥부(151)의 단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구멍(210)의 주변부에 끼워걸려서 상기 샤프트(110)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걸림부(152)는, 2개의 리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리브들 사이에 제1부재(200)의 걸림편(220)이 삽입되어 안착되어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샤프트(110)가 제1부재(200)의 제1구멍(2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1부재(200)의 걸림편(220)에 접촉시 가압에 의하여 기둥부(151)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걸림편(220)이 상기 제1걸림부(152)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걸림부(152)는 임시결합위치에서 샤프트(110)가 제1부재(200)에 임시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회전방지부(160)는, 상기 제1후크에서 원주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120)에서 돌출되며 상기 샤프트(11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제1부재(200)의 제1구멍(210) 주변부에 끼워걸리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방지부(160)는 지지판(120)에서 돌출되는 돌출부(161)와, 샤프트(110)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2걸림부(16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61)는 상기 후크부(150)와 대략 90도 정도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샤프트(110)의 주변에 샤프트(110)와 일체로 배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제2걸림부(162)는 상기 샤프트(110)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제1부재(200)의 회전방지용 턱(230)에 걸려서 회전이 방지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2걸림부(162)는 회전방지의 기능과 함께 회전방지용 턱(230) 주변의 걸림편(220)에 끼워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걸림부(162)는 상기 회전방지용 턱(230) 주변의 주변부로서, 샤프트(110)가 제1부재(200)의 제1구멍(210)에 삽입될 때 걸림편(220)에 접촉하면서 상기 걸림편(220)에 후킹된다.
이때 회전방지부(160)의 제2걸림부(162)는 그 단부에 지지부(1621)와 접촉부(1622)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부(1621)는, 제1구멍(210)의 주변부 상면을 덮어서 지지하는 것으로서 제2걸림부(162)의 상단에서 길게 연장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지지부(1621)는 그 상면이 샤프트(110)의 삽입방향에 대해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있어서 제1부재(200)의 걸림편(220)이 쉽게 지지부(1621)를 통과하여 지날 수 있게 한다. 일단 걸림편(220)이 지지부(1621)를 통과한 후에는 상기 지지부(1621)가 상기 걸림편(220)을 지지함으로서 샤프트(110)의 상하이동을 억제한다.
상기 접촉부(1622)는 상기 지지부(1621)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제1구멍(210)의 측면에 접촉되는 것으로서, 좌우방향 움직임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1621)와 접촉부(1622)는 상기 임시체결상태에서, 후크부(150)와 함께 제1부재(200)와의 사이에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100)가 유격없이 확실하게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서, 이동중에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100)가 제1부재(2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1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6는 샤프트(110)가 제1부재(200)에 임시적으로 결합된 임시결합위치에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어 모듈에 필요한 전장품(미도시)을 설치한 상태에서 도어 측으로 운반되는 과정에서 샤프트(110)를 제1부재(200)에 장착설치하게 되면 도어 측에 제1부재(20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체결수단(볼트 등)이 필요없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한 쌍의 후크부(150)는 제1부재(200)의 제1구멍(210) 주변에 마련된 걸림편(220)에 끼워걸려 있게 되어 상기 샤프트(110)가 제1부재(200)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회전방지부(160)는 제1부재(200)의 회전방지용 턱(230)에 걸려서 샤프트(110)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 상태에서, 상기 제1구멍(210) 주변의 걸림편(220)에 걸려 있기 때문에 별도의 유격이 없이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후크부(150)와 함께 회전방지부(160)가 유격없이 걸림편(220)에 걸려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과정에서 결합장치(100)가 이탈되는 일이 없고 자동차 모듈 조립라인에서 조립성이 개선된다.
도 7은 최종 결합위치에 놓여진 모습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5의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100)를 가압하여 추가로 제1부재(200)로 밀어넣은 후에, 제2부재(300)를 삽입한 후에 샤프트(110)를 회전시키면, 크로스바(130)가 회전하면서 제2부재(300)를 제1부재(200)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최종적인 결합작업이 완료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는, 도어 모듈화 패널에 임시적으로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도어 인너 패널에 간편하게 끼워고정함으로서 도어 모듈화 패널과 도어 인너 패널을 손쉽게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결합장치는, 임시결합위치에서 후크부와 함께 회전방지부를 제1부재에 걸려 고정되게 함으로서, 임시결합 상태에서도 유격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즉, 유격이 없이 고정결합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임시결합 상태에서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가 제1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됨으로서 부품 누락을 확실하게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임시결합 상태에서도 결합장치의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서 자동차 모듈 조립라인에서 조립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110...샤프트
120...지지판 121...실링재
122...풀림방지돌기 130...크로스바
131...가압면 140...위치유지수단
150...후크부 151...기둥부
152...제1걸림부 160...회전방지부
161...돌출부 162...제2걸림부
1621...지지부 1622...접촉부
200...제1부재 210...제1구멍
220...걸림편 230...회전방지용 턱
300...제2부재 310...제2구멍

Claims (5)

  1. 제1구멍을 가진 제1부재와, 상기 제1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구멍을 가진 제2부재를 서로 기계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제1구멍 및 제2부재의 제2구멍에 끼워져서 회전가능하게 통과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
    상기 샤프트의 타측에 마련되며 샤프트가 최종 결합위치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2부재를 지지하면서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제1부재에 대하여 고정결합하기 위한 크로스바; 및
    상기 샤프트에 마련되고 상기 샤프트가 임시결합위치에서 상기 제1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상기 제1부재에 임시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하며, 상기 임시결합위치에서 크로스바의 배면이 제2부재로부터 일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위치유지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위치유지수단은,
    상기 샤프트를 둘러싸면서 상기 지지판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가 제1구멍을 통과하여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부재의 제1구멍 주변부에 끼워걸리는 한 쌍의 후크부와, 상기 제1후크에서 원주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에서 돌출되며 상기 샤프트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제1부재의 제1구멍 주변부에 끼워걸리는 한 쌍의 회전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지지판에서 돌출되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단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구멍의 주변부에 끼워걸려서 상기 샤프트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1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에는 제1구멍의 주변에 회전방지용 턱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지지판에서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지지판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방지용 턱에 걸려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2걸림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회전방지용 턱 주변의 주변부에 접촉할 때 탄성변형하면서 상기 주변부에 후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림부의 단부는 제1구멍의 주변부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제1구멍의 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일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는 샤프트의 삽입방향에 대해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KR1020190094029A 2019-08-01 2019-08-01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KR102273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029A KR102273864B1 (ko) 2019-08-01 2019-08-01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029A KR102273864B1 (ko) 2019-08-01 2019-08-01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337A true KR20210015337A (ko) 2021-02-10
KR102273864B1 KR102273864B1 (ko) 2021-07-06

Family

ID=74561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029A KR102273864B1 (ko) 2019-08-01 2019-08-01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8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36427A1 (en) * 2021-01-27 2022-08-03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5895A (ko) 2004-08-16 2006-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모듈 결합구조
JP2008202786A (ja) * 2007-02-22 2008-09-04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モジュール支持体及びパネル形成片を締結する締結装置
KR20080110641A (ko) * 2006-05-04 2008-12-18 아. 레이몽 에 씨에 턴록 패스너
KR101964413B1 (ko) * 2017-12-27 2019-04-01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US20190136894A1 (en) * 2017-11-03 2019-05-09 Illinois Tool Works Inc. Connector with enhanced mounting proces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5895A (ko) 2004-08-16 2006-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모듈 결합구조
KR20080110641A (ko) * 2006-05-04 2008-12-18 아. 레이몽 에 씨에 턴록 패스너
JP2008202786A (ja) * 2007-02-22 2008-09-04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モジュール支持体及びパネル形成片を締結する締結装置
US20190136894A1 (en) * 2017-11-03 2019-05-09 Illinois Tool Works Inc. Connector with enhanced mounting process
KR101964413B1 (ko) * 2017-12-27 2019-04-01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36427A1 (en) * 2021-01-27 2022-08-03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864B1 (ko)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8207B2 (ja) 車載用電気機器のシールカバー
JP2005042770A (ja) クランプの係止構造
US20150079855A1 (en) Device connector
JPH0692205B2 (ja) 車両用ドア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062850B (zh) 紧固件组件
KR20070076446A (ko) 윈도우 레귤레이터 및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조립 방법
KR20210015337A (ko)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CN112803328B (zh) 电连接盒
KR101676596B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 결속 기구
KR101964413B1 (ko)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KR100657662B1 (ko)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 모듈 조립장치
KR20060109341A (ko) 도어 내측 강판 및 캐리어 요소로 이루어진 조립 유닛
CN109209073B (zh) 托架构造
US5430977A (en) Structure and method of mounting window regulator
JP5304342B2 (ja) ドア建付け方法及びヒンジ締結構造
CN108116208B (zh) 车顶封闭组件和组装车顶封闭组件的方法
US7813144B2 (en) Control apparatus
KR102230795B1 (ko)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KR102239610B1 (ko) 잠금 기능을 갖는 맨홀뚜껑
KR101933143B1 (ko) 보일러의 전면커버 케이싱 어셈블리
JP2014104813A (ja) スライドドアの取付け位置調整治具
JP2019081515A (ja) 床下ダクト
JP4550121B2 (ja) 配電機器を収納した外箱におけるケーブルブラケットの取り付け構造
US20130067719A1 (en) Door mirror
KR200294805Y1 (ko) 롤러고정용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