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5319A - 차량용 스트라이커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트라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5319A
KR20090095319A KR1020080020591A KR20080020591A KR20090095319A KR 20090095319 A KR20090095319 A KR 20090095319A KR 1020080020591 A KR1020080020591 A KR 1020080020591A KR 20080020591 A KR20080020591 A KR 20080020591A KR 20090095319 A KR20090095319 A KR 20090095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er
hook
base plate
vehic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8815B1 (ko
Inventor
윤태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0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815B1/ko
Publication of KR20090095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05B15/024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adjustabl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도어의 잠금을 위해 차체에 고정된 베이스플레이트에 스트라이커후크가 장착되는 차량용 스트라이커가 소개된다. 이 차량용 스트라이커는 베이스플레이트에 이동홈을 형성하여 스트라이커후크의 조립 단부 위치가 조정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스트라이커후크, 베이스플레이트, 너트편, 걸림리브

Description

차량용 스트라이커{Strik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래치와 체결되는 차량용 스트라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스트라이커는 차체에 고정 장착되고 도어래치의 걸려짐을 통해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도어의 일측부에는 도어래치(1)가 설치되고, 도어래치(1)에 대응되는 차체의 일측부에는 스트라이커(10)가 설치된다.
종래 스트라이커(10)는 도어래치(1)에 걸리는 스트라이커후크(11)와, 스트라이커후크(11)를 지지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2)로 구성되는 바, 이때, 스트라이커후크(11)는 베이스플레이트(12)에 형성된 장착공(12a, 12b)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베이스플레이트(12)는 볼트(b)를 매개로 차체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스트라이커(10)는 차량 도어의 닫힘시 스트라이커후크(11)에 도어래치(1)가 물려짐에 따라 차량 도어가 잠금되도록 한다.
그런데 차체에 스트라이커(10)를 장착하는 경우 도어래치(1)와 스트라이커(10) 사이에 조립공차가 발생하게 되면, 차량 도어의 잠금시 도어래치(1)와 스트 라이커(10) 간에 정확한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차량 도어의 잠금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라이커의 설치시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 사이에 발생되는 조립공차를 조정할 수 있는 차량용 스트라이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된 베이스플레이트에 스트라이커후크가 장착되는데, 베이스플레이트에 스트라이커후크가 장착되는 외주에 이동홈을 형성하여 스트라이커후크의 장착 위치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홈에는 상기 스트라이커후크가 고정볼트를 매개로 고정되는 너트편이 삽입되고, 상기 이동홈에는 상기 너트편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홈부가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너트편에는 상기 가이드홈부에 걸림되는 걸림리브가 외경면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은 십자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라이커와 도어래치 사이에 조립공차가 발생하는 경우 스트라이커후크를 측방향으로 조정함으로써,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 간에 정확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라이커가 정확한 위치에 장착되도록 하므로, 도어래치 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도어의 개폐감 및 개폐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커는,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스트라이커후크(200)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이동홈(110)을 형성하므로 스트라이커에 대한 조립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해당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베이스플레이트(10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차량 도어가 개폐되는 차체에 고정 설치된다. 이 베이스플레이트(100)는 비단 차량 도어가 개폐되는 차체뿐만 아니라, 엔진후드나 트렁크리드 등과 같은 부품이 개폐되는 차체에 고정 설치되기도 한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100)에는 스트라이커후크(200)의 조립단부가 이동가능한 이동홈(110)이 형성된다. 이 이동홈(110)은 스트라이커후크(200)의 조립단부가 삽입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스트라이커 장착공(104)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홈(110)이 십자홈 형태로 베이스플레이트(100)를 관통하여 형성되므로, 스트라이커후크(200)의 고정단부가 이동홈(110)을 따라 십자 형태로 이동될 수 있지만, 이 이동홈(110)은 십자홈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트라이커후크(200) 또한 다양한 형태의 이동홈(110)을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 이동홈(110)에는 스트라이커후크(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홈 부(111)가 형성된다. 가이드홈부(111)는 스트라이커후크(200)의 너트편(210)이 이동되는 공간으로, 너트편(210)이 베이스플레이트(100)에서 분리되지 않으면서 이동되도록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너트편(210)의 외경면에는 가이드홈부(111)에 걸림되는 걸림리브(211)가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제1베이스플레이트(101)와 가이드홈부(111)를 사이에 두고 제1베이스플레이트(101)에 결합되는 제2베이스플레이트(102)로 구성된다.
제1베이스플레이트(101) 및 제2베이스플레이트(102)는 서로 접착되거나 용접되어 결합되는데, 이들 제1베이스플레이트(101) 및 제2베이스플레이트(102)에는 스트라이커후크(200)가 삽입되는 이동홈(110)과, 베이스플레이트(100)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해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고정공(103)이 각각 관통된다. 그리고 적어도 제1베이스플레이트(101) 및 제2베이스플레이트(102)의 대향 면에는 이동홈(110)의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홈부(11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베이스플레이트(101) 및 제2베이스플레이트(102)가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0)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제1베이스플레이트(101) 및 제2베이스플레이트(102)는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하나의 베이스플레이트(100)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스트라이커후크(200)는 차량 도어의 닫힘시 차량 도어의 도어래치에 걸리는 '∩' 형상으로 형성되고, 해당 단부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이동홈(110)에 삽입된다. 스트라이커후크(200)의 단부에는 볼트공(220)에 삽입된 고정볼트(120)를 매 개로 너트편(210)이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커는 이동홈(110) 특히 가이드홈부(111)에 너트편(210)의 걸림리브(211)가 위치하도록 제1베이스플레이트(101)와 제2베이스플레이트(102)가 조립되고, 고정볼트(120)를 통해 스트라이커후크(200)와 너트편(210)이 상호 결합됨으로써 제조된다. 제조된 스트라이커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고정공(103)에 삽입되는 볼트를 이용하여 차체에 고정된다.
이때,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와 도어래치 사이에는 조립공차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이 경우 스트라이커와 도어래치 간에 정확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전동툴을 이용하여 스트라이커후크(200)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트라이커후크(2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후크(200)의 위치 조정이 필요한 경우 스트라이커후크(200)가 고정된 너트편(210)을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이동홈(110)을 따라 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후크(200)를 도면의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조립공차를 보상하고자 하는 경우 너트편(210)을 도면의 상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스트라이커후크(200)를 도면의 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후크(200)를 도면의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조립공차를 보상하고자 하는 경우 너트편(210)을 도면의 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스트라이커후크(200)를 도면의 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c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후크(200)를 도면의 좌방향으로 이동시켜 조립공차를 보상하고자 하는 경우 너트편(210)을 도면의 좌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스트라이커후크(200)를 도면의 좌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후크(200)를 도면의 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조립공차를 보상하고자 하는 경우 너트편(210)을 도면의 우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스트라이커후크(200)를 도면의 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이동홈(110)이 도면의 상하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스트라이커후크(200)가 이 이동홈(110)을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동홈(110)이 연장되는 방향에 따라 스트라이커후크(200)의 이동방향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동홈(110)을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면, 스트라이커후크(200)는 이 이동홈(110)을 따라 부채꼴 형상으로 이동할 수 있을 것이고, 도면의 상방향에 위치한 이동홈(110)을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하는 반면 도면의 하방향에 위치한 이동홈(110)을 원 형태로 형성한다면, 하방향 이동홈(110)의 스트라이커후크(200)는 고정한 상태에서 상방향 이동홈(110)의 스트라이커후크(200)는 이동시킴으로써, 스트라이커후크(200)가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스트라이커의 경우 스트라이커후크의 측방향 이동이 가능하므로,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 간에 스트라이커와 도어래치 사이에 조립공차를 보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써,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 사이에 조립공차가 발생하게 되면, 차량 도어의 잠금시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 간 에 정확한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는 종래 기술의 문제를 본 발명은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트라이커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트라이커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트라이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트라이커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트라이커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베이스플레이트 110 :이동홈
120 :고정볼트 200 : 스트라이커후크
210 :너트편

Claims (4)

  1. 차량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래치와 체결되는 스트라이커 후크가 베이스플레이트에 조립되는 차량용 스트라이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에는 상기 스트라이커후크(200)의 조립 단부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스트라이커 장착공(104)에 이동홈(1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라이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홈(110)에는 상기 스트라이커후크(200)가 고정볼트(120)를 매개로 고정되는 너트편(210)이 삽입되고, 상기 이동홈(110)에는 상기 너트편(2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홈부(1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라이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너트편(210)의 외경면에는 상기 가이드홈부(111)에 걸림되는 걸림리브(2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라이커.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부(111)는 스트라이커 장착공(104)의 크기 보다 크고, 이동홈(110)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라이커.
KR1020080020591A 2008-03-05 2008-03-05 차량용 스트라이커 KR101438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591A KR101438815B1 (ko) 2008-03-05 2008-03-05 차량용 스트라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591A KR101438815B1 (ko) 2008-03-05 2008-03-05 차량용 스트라이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319A true KR20090095319A (ko) 2009-09-09
KR101438815B1 KR101438815B1 (ko) 2014-09-05

Family

ID=41295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591A KR101438815B1 (ko) 2008-03-05 2008-03-05 차량용 스트라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8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25535A1 (de) * 2018-10-15 2020-04-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ließbügelanordnung mit einer Schließbügelunterlage
CN111434876A (zh) * 2019-01-15 2020-07-21 北京宝沃汽车有限公司 发动机盖锁扣总成和车辆
CN111894369A (zh) * 2020-06-19 2020-11-06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自调节式车门锁扣及具有其的车辆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6872B2 (ja) * 1997-02-25 2002-02-18 三井ホーム株式会社 建築物の基礎部分
KR100381475B1 (ko) * 2000-12-15 2003-04-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록킹장치
KR100452228B1 (ko) 2002-12-03 2004-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도어래치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25535A1 (de) * 2018-10-15 2020-04-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ließbügelanordnung mit einer Schließbügelunterlage
CN111434876A (zh) * 2019-01-15 2020-07-21 北京宝沃汽车有限公司 发动机盖锁扣总成和车辆
CN111894369A (zh) * 2020-06-19 2020-11-06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自调节式车门锁扣及具有其的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8815B1 (ko) 2014-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40633B1 (en) Door trim
EP1630327A1 (en) Door handle for vehicle
KR102178772B1 (ko) 자동차 로킹 장치
JP2017144965A (ja) 自動車のドア構造およびその組立て方法
WO2011105328A1 (ja) 車両ドアの固定装置
CN103967359B (zh) 车门把手装置
JP4275599B2 (ja) プロテクタ
KR20090095319A (ko) 차량용 스트라이커
US20060219044A1 (en) Support bracket for an exterior handle of a vehicle door for motor vehicles
CN103228472A (zh) 车辆用开闭装置
US20170009498A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vehicle
KR101468772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로워 샤프트의 소음 및 진동 차단구조
CN107743537A (zh) 机动车门锁
KR101360338B1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 가이드 범퍼
JP2007126070A (ja) 車両の室内外への部品の取付け構造
KR100832180B1 (ko) 암 힌지 조립체
KR101404252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스트라이커
CN111919008A (zh) 把手装置
CN103924859A (zh) 紧固板
KR100427635B1 (ko) 자동차 도어록 스트라이커의 취부구조.
US20080216529A1 (en) Convertible door lock device
JP2012101763A (ja) 車両用ドア構造
JP5287141B2 (ja) インサイドハンドルの取付構造
KR102593961B1 (ko)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
US20230415551A1 (en) Vehicle half door, vehicle full door, and vehicle door gro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