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7635B1 - 자동차 도어록 스트라이커의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록 스트라이커의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7635B1
KR100427635B1 KR10-2001-0068986A KR20010068986A KR100427635B1 KR 100427635 B1 KR100427635 B1 KR 100427635B1 KR 20010068986 A KR20010068986 A KR 20010068986A KR 100427635 B1 KR100427635 B1 KR 100427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member
retainer
center pillar
nut
stri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8842A (ko
Inventor
천정종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8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7635B1/ko
Publication of KR20030038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6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3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at the lock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록 스트라이커 취부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제2센터필러 보강부재를 사이드 아우터 패널 내측의 제1센터필러 보강부재의 형상과 부합되도록 성형하여 밀착 고정시키되, 상측은 상기 제1센터필러 보강부재의 상부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절곡 성형시키고, 벽면의 스트라이커 취부부위에는 너트 리테이너 형상과 동일한 리테이너부를 일체로 성형하며, 이의 내측으로 너트 플레이트를 용접하고 사이드 아우터 패널 외측의 스트라이커를 상기 너트 플레이트와 리테이너부의 체결공과 상호 결합 고정시킨 것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너트 리테이너의 사용이 배제되어 부품비용이 감소되고, 너트 플레이트의 고정에 따른 부품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제2센터필러 보강부재 형상 자유도가 개선되어 자동차의 측면충돌 보강성능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록 스트라이커의 취부구조.{Fixing structure for a door lock striker in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록 스트라이커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록 스트라이커의 조립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보강부재의 형상 자유도를 높여 자동차의 측면충돌 보강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록 스트라이커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는 도어글래스를 둘러싸는 도어프레임을 중심으로 이의 외측에 아우터패널이 부착되고 내측으로는 인너패널이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어는 상하부에 형성된 2개의 힌지에 의해 지지되며, 또한 도어의 내외측으로 설치된 도어핸들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있다.
한편, 도어는 도어록에 내장된 래치와 바디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록 스트라이커와의 상호 작동에 의해 개폐작용이 이루어지는데, 즉, 도어 개방 시에는 도어핸들을 사용하여 도어록에 내장된 래치가 바디에 장착된 도어록 스트라이커로부터 해제되는 상태가 되며, 도어의 패쇄 시에는 래치가 도어록 스트라이커에 걸리게 됨으로써 도어의 개폐작용이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바디에 장착되는 도어록 스트라이커의 취부구조를 개략적으로 것으로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이드 아우터 패널(1) 내측으로 제1센터필라 보강부재(2)가 고정되고, 이의 일측으로 너트 리테이너(4)가 용접되며, 상기 제1센터필러 보강부재(2)와 너트 리테이너(4)로 둘러싸인 부분에는 너트 플레이트(6)가 유동 가능하게 내장된다. 또한, 상기 제1센터필러 보강부재(2)의 일측단에는 상기 너트 리테이너(4)와 간섭되지 않도록 중앙부 일측이 절곡된 제2센터필러 보강부재(3)가 용접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스트라이커(5)는 상기 사이드 아우터패널(1)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너트 플레이트(6)와 체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록 스트라이커 장착구조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1) 외측에서 스트라이커(5)를 너트 플레이트(6)와 체결할 경우 너트 플레이트(6)의 유동성에 의해 너트 플레이트(6)에 형성된 너트홀(미도시)을 일일이 찾아가면서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시간 즉, 택타임(Tack time)이 길어져 조립 생산성이 저하되고, 또한 제2센터필라 보강부재(3)의 중앙부가 상기 너트 리테이너(4)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일부 절곡된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그 구조적 강성이 취약하여 자동차의 측면충돌에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2센터필라 보강부재를 제1센터필러 보강부재의 형상에 부합되도록 성형하여 밀착 고정시키고, 이의 스트라이커 취부부위를 기존의 너트 리테이너 형상과 부합하도록 일체로 성형하고 이의 내측에 너트 플레이트를 고정시키며, 이의 상측은 상기 제1센터필러 보강부재의 강성을 보완해줄 수 있도록 절곡 성형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도어록 스트라이커의 조립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보강부재의 형상 자유도를 한층 개선하여 자동차의 측면충돌시 보강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록 스트라이커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록 스트라이커 장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스트라이커 장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3은 제2센터필러 보강부재의 리테이너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사이드 아우터 패널 20 : 스트라이커
30a : 제1센터필러 보강부재 30b : 제2센터필러 보강부재
32 : 리테이너부 34 : 공간부
40 : 너트 플레이트 42 : 나사공
44 : 체결공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사이드 아우터 패널 내측의 제1센터필러 보강부재 일측에 고정되는 너트리테이너와, 이의 내측에 유동 가능하게 내장되는 너트 플레이트와, 중앙부 일측에 절곡부가 형성되며 제1센터필러 보강부재에 고정되는 제2센터필러 보강부재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 외측에서 상기 너트 플레이트에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스트라이커를 포함하는 스트라이커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센터필러 보강부재를 제1센터필러 보강부재의 형상과 부합되도록 성형하여 이에 밀착 고정시키되, 상측은 상기 제1센터필러 보강부재의 상부와 소정거리 이격되며 동일한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 성형시키고, 벽면의 스트라이커 취부부위에는 상기 너트 리테이너를 대체하는 리테이너부를 일체로 성형하고, 상기 리테이너부의 내측에 너트 플레이트를 용접하여 스트라이커를 사이드 아우터 패널 외측에서 상기 너트 플레이트에 체결하여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스트라이커 취부구조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고, 도 3은 너트 플레이트가 내장되는 제2센터필러 보강부재의 리테이너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록 스트라이커 취부구조는 종래의 너트 리테이너(4)의 사용을 배제시키고, 제2센터필러 보강부재(30b)상에 상기 너트 리테이너(4)의 형상과 동일한 리테이너부(32)를 형성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센터필러 보강부재(30b)를 제1센터필러 보강부재(30a)와 부합되는 형상으로 성형하여 고정시킴으로써 그 구조적 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다.
참조부호 (30b)은 제2센터필러 보강부재를 나타낸 것으로, 제2센터필러 보강부재(30b)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사이드 아우터 패널(10) 내측에 설치되는 제1센터필러 보강부재(30a)와 동일한 형상구조를 이루며 이에 밀착되며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2센터필러 보강부재(30b)의 상부는 상기 제1센터필러 보강부재(30a)의 상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절곡되며, 이들 사이는 일정거리 이격된 소정의 공간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자동차의 측면충돌시 종래의 상대적으로 취약했던 구조적인 강성을 보완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2센터필러 보강부재(30b)의 스트라이커(20) 취부부위에는 리테이너부(32)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 리테이너부(32)는 종래의 별도로 구비되던 너트 리테이터(4)를 대체하는 것으로 이의 형상과 유사한 구조로 성형함으로써 그 역할과 구조를 대신하는 것이다.
상기 리테이너부(32)에는 너트 플레이트(40)가 용접으로 고정되어 제1센터필러 보강부재(30a)와 제2센터필러 보강부재(30b)가 이루는 공간부상에 둘러싸이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너트 플레이트(40)는 종래와는 달리 상기 제2센터필러 보강부재(30b)의 레테이너부(32) 내에서 유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레테이너부(32)에는 너트 플레이트(40)에 형성된 나사공(42)과 부합되는 체결공(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트라이커(20)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10) 외측으로부터 볼트(미도시)에 의해 상기 너트 플레이트(40)의 나사공(42)과 제2센터필러 보강부재(30b)의 체결공(44)과 결합됨으로써 사이드 아우터패널(10)상에 밀착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형성하며 조립되는 스트라이커(20)는 제2센터필러 보강부재(30b)의 리테이너부(32)에 고정된 너트 플레이트(40)에 체결시 유동 불가능한 상태로 고정된 너트 플레이트(40)상에 볼트(미도시)에 의해 곧바로 체결되기 때문에 기존에 너트 플레이너(40)에 형성된 너트홀을 일일이 찾아가며 조립하던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립시간이 단축되어 조립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2센터필러 보강부재(30b)에 리테이너부(32)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에 별도로 취부되던 너트 리테이너(4)에 의한 간섭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센터필러 보강부재의 형상 자유도가 개선되어 자동차의 측면충돌 보강성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제2센터필러 보강부재에 리테이너부를 형성시킴으로써 기존에 별도로 구비되던 너트 리테이너의 사용을 배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품축소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종래의 유동 가능하게 취부되던 너트 플레이트의 공차 조정방식과는 달리 스트라이커가 너트 플레이트에 바로 체결되는 공차 무조정 방식에 의해 결합되기 때문에 조립시간이 줄어들어 궁극적으로는 제품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센터필라 보강부재를 제1센터필라 보강부재의 형상과 유사하게 성형하여 취부함으로써 이의 구조적 강성을 더욱 보완할 수 있으며 특히, 자동차 측면충돌에 대한 보강성능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2)

  1. 사이드 아우터 패널 내측의 제1센터필러 보강부재 일측에 고정되는 너트 리테이너와, 이의 내측에 유동 가능하게 내장되는 너트 플레이트와, 중앙부 일측에 절곡부가 형성되며 제1센터필러 보강부재에 고정되는 제2센터필러 보강부재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 외측에서 상기 너트 플레이트에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스트라이커를 포함하는 스트라이커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센터필러 보강부재를 제1센터필러 보강부재의 형상과 부합되도록 성형하여 이에 밀착 고정시키되, 상측은 상기 제1센터필러 보강부재의 상부와 소정거리 이격되며 동일한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 성형시키고, 벽면의 스트라이커 취부부위에는 상기 너트 리테이너를 대체하는 리테이너부를 일체로 성형하고, 상기 리테이너부의 내측에 너트 플레이트를 용접하여 스트라이커를 사이드 아우터 패널 외측에서 상기 너트 플레이트에 체결하여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스트라이커의 취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부에는 너트 플레이트의 나사공과 대응하는 한 쌍의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스트라이크 취부구조.
KR10-2001-0068986A 2001-11-06 2001-11-06 자동차 도어록 스트라이커의 취부구조. KR100427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986A KR100427635B1 (ko) 2001-11-06 2001-11-06 자동차 도어록 스트라이커의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986A KR100427635B1 (ko) 2001-11-06 2001-11-06 자동차 도어록 스트라이커의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842A KR20030038842A (ko) 2003-05-17
KR100427635B1 true KR100427635B1 (ko) 2004-04-28

Family

ID=29568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986A KR100427635B1 (ko) 2001-11-06 2001-11-06 자동차 도어록 스트라이커의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76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931B1 (ko) * 2013-10-07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어도어의 개폐 노이즈를 개선한 스트라이커 결합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7368U (ko) * 1980-10-23 1982-05-13
JPH04250281A (ja) * 1991-01-25 1992-09-07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のストライカ取付構造
KR19990019676U (ko) * 1997-11-20 1999-06-15 정몽규 도어 스트라이커 마운팅 구조
KR20000061725A (ko) * 1999-03-30 2000-10-25 정몽규 자동차용 도어 스트라이커 조립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7368U (ko) * 1980-10-23 1982-05-13
JPH04250281A (ja) * 1991-01-25 1992-09-07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のストライカ取付構造
KR19990019676U (ko) * 1997-11-20 1999-06-15 정몽규 도어 스트라이커 마운팅 구조
KR20000061725A (ko) * 1999-03-30 2000-10-25 정몽규 자동차용 도어 스트라이커 조립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842A (ko) 200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4401B2 (en) Vehicle part mounting structure
US8727422B2 (en) Back door for automobile
US8132845B2 (en) Vehicle door structure
JP5267113B2 (ja) 車両用フェンダパネル取付構造
JP4405327B2 (ja) フロントフェンダ構造
US20190256154A1 (en) Vehicle side portion structure
JPWO2010092737A1 (ja) 車両用ドア構造体
JP4388048B2 (ja) 車両用ガーニッシュ
KR100427635B1 (ko) 자동차 도어록 스트라이커의 취부구조.
JP3795283B2 (ja) 車両のドアヒンジ取付構造
JPH08258742A (ja) 自動車の車体フロント構造
JP4021821B2 (ja) ドアストライカの取り付け構造
JP3300255B2 (ja) リヤスポイラの取付け構造
KR100802964B1 (ko) 트렁크 리드용 스트라이커 유닛
KR20190113221A (ko) 자동차용 필러트림과 루프 접합부의 보강구조
KR100414649B1 (ko) 자동차의 필러
KR200143865Y1 (ko) 자동차의 리어도어 스트라이커용 보강재
KR19980021218U (ko) 자동차의 측면충격 흡수구조
KR100517701B1 (ko) 래치커버 일체형 캐리어구조
KR100398432B1 (ko) 도어 랫치 조립체의 장착구조
KR19990015351U (ko) 자동차용 도어 프레임 구조
KR100444018B1 (ko) 충돌 강도 향상 및 도어 열림을 방지하기 위한 리어도어용 비임 브라켓트 구조
KR200148462Y1 (ko) 테일 게이트 스트라이커 보강 장치
JPH0532246U (ja) 車体の側部構造
JP2004106573A (ja) 車両のド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