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4942A -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4942A
KR20210014942A KR1020190093044A KR20190093044A KR20210014942A KR 20210014942 A KR20210014942 A KR 20210014942A KR 1020190093044 A KR1020190093044 A KR 1020190093044A KR 20190093044 A KR20190093044 A KR 20190093044A KR 20210014942 A KR20210014942 A KR 20210014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ack
section
opening angle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건우
김진동
이민혁
임지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3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4942A/ko
Publication of KR20210014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49Detection or prevention of malfunction, including accident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7Arrangements for extracting racks, e.g. roller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26Loading door status, e.g. door latch opened or closed stat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2Loading doors, e.g. door latches, inflatable door seal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은, 인출신호가 감지되고, 도어가 미리 설정된 제 1 개방각도 이상으로 터브에서 회동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제 1 개방각도 이상으로 상기 터브에서 회동된 경우, 상기 세척실의 내부에 구비되어 식기가 안착하는 적어도 하나의 랙을 상기 세척실의 외측으로 인출하도록 이동모터를 작동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DISH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세척수에 의하여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가 세척되도록 하는 가전기기이다. 자세하게는, 상기 식기세척기에는, 세척실이 형성된 터브, 상기 세척실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 및 상기 터브의 내부에는 식기가 안착하는 랙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이 상기 랙에 안착된 식기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함에 따라, 상기 식기가 세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기세척기에는, 상기 터브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세척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도어를 상기 터브에서 회동하여 상기 세척실을 개방하고, 상기 랙에 상기 식기를 안착하거나 탈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자동으로 도어를 회동하여 상기 세척실을 개방하는 개방장치가 아래와 같은 선행문헌에 개시된 바 있다.
<선행문헌>
1. 유럽등록특허 : EP02394558(2016년 09월 21일)
2. 발명의 명칭 : 식기세척기
상기 선행문헌에 기재된 식기세척기는 도어의 상부를 밀어 회동시키는 장치가 구비된다. 이때,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서는 도어가 비교적 작은 개방각도로 회동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세척실 내에 식기를 수납하거나 세척실에서 식기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다시 도어를 개방하여야 한다. 즉, 선행문헌의 장치를 통해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여도, 사용자가 다시 도어를 개방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를 개방한 후에도 사용자는 랙을 세척실의 외부로 이동시켜야 식기를 수납 또는 인출할 수 있다. 특히, 상하로 랙이 배치되는 경우, 하부에 위치된 랙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매우 불편함을 갖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 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도어를 터브에서 회동시켜 세척실을 개방하며 하부랙을 세척실의 외부로 인출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랙을 서로 다른 속도로 인출함에 따라. 상기 하부랙에 수납된 식기를 보호하며 효과적으로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은 자동으로 랙을 인출함에 따라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랙을 인출하는 과정에 있어서, 서로 다른 RPM으로 모터를 작동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랙이 인출되며 도어에 외력을 가하여 도어가 함께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는, 세척실이 형성된 터브 및 상기 세척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터브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바탕으로, 인출신호가 감지되고, 상기 도어가 미리 설정된 제 1 개방각도 이상으로 상기 터브에서 회동되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가 상기 제 1 개방각도 이상으로 상기 터브에서 회동된 경우, 상기 세척실의 내부에 구비되어 식기가 안착하는 적어도 하나의 랙을 상기 세척실의 외측으로 인출하도록 이동모터를 작동한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랙을 상기 세척실의 외측으로 인출하는 과정은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복수의 구간에서 상기 이동모터는 서로 다른 RPM으로 작동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으로 터브에서 도어를 회동하여 세척실을 개방하고 세척실의 외부로 랙이 인출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비교적 작은 개방각도로 회동시키면, 이동모터가 이와 같은 도어의 개방를 인식하여 랙을 외부로 인출함과 동시에 도어를 완전히 개방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랙을 서로 다른 속도로 인출하여 이동충격을 저감시켜 상기 랙에 수납된 식기를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랙을 서로 다른 속도로 인출하여 상기 도어를 일정한 속도로 회동시키며, 상기 랙을 비교적 빠르게 인출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바닥면과 인접하게 세척실의 하부에 위치된 하부랙이 자동으로 인출됨에 따라, 사용자가 바닥을 향하여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어가 상기 터브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결합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랙이 상기 도어에 외력을 가함에 따라, 비교적 적은 힘으로 상기 도어를 회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완전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 1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 2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 3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 4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 5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이동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방상태를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완전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1)에는, 터브(10), 도어(20) 및 랙(30)이 포함된다.
상기 터브(10)는 상기 식기세척기(10)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터브(10)는 내부에 세척실(11)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세척실(11)은 세척수가 분사되어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터브(10)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마련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터브(10)는 바닥면에 안착되고, 상부로 연장되며 내부공간이 마련된 직육면체로 구비된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세척실(11)을 개폐하도록 상기 터브(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상기 터브(10)가 전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됨에 따라, 상기 도어(20)는 상기 터브(10)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도어(20)가 상기 세척실(11)을 폐쇄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세척실(11)의 일 면을 형성하는 상기 도어(20)의 일 면을 내부도어면(22)이라 한다. 즉, 상기 내부도어면(22)은 상기 도어(20)의 후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0)에는, 상기 터브(10)에서 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터브(10)에 결합되는 도어결합부(24)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결합부(24)에는 힌지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결합부(24)의 상세한 형상은 도시하지 않고 그 위치를 도면상에 표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결합부(24)는 상기 도어(20)의 하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도어결합부(24)는 상기 도어(20)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도어(20)는 상기 터브(10)에서 회동되어 상기 세척실(11)을 개방할 수 있다. 이때, 도 1 및 도 2는 상기 도어(20)가 상기 터브(10)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 2에서는 상기 도어(20)가 상기 터브(10)에서 완전히 회동된 상태, 즉, 도어의 완전개방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랙(30)은 식기가 안착하도록 상기 세척실(11)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에 해당된다. 상기 랙(30)은 식기가 안착될 수 있으며, 세척수가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랙(30)은 소정의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어 식기가 안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30)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세척실(11)의 외측으로 인출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브(10)의 내측면에 상기 랙(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함몰구조가 구비되고, 상기 랙(30)이 이를 따라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랙(30)의 내부에 세척을 필요로 하는 식기를 수납하거나, 세척이 완료된 식기를 상기 랙(30)에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기세척기(1)에는, 상기 랙(30)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세척실(11)의 외측으로 인출시키는 이동유닛(40, 도 8 참조)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유닛(40)에는, 소정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이동모터(42)가 포함된다. 즉, 상기 이동유닛(40)은 상기 랙(30)을 자동으로 인출시키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랙(30)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서 수동으로 인출되거나, 상기 이동유닛(40)에 의해서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유닛(40)에 의해서 상기 랙(30)이 자동으로 인출됨에 따라, 상기 도어(20)가 상기 터브(30)에서 자동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상기 식기세척기(1)에는 적어도 하나의 랙(30)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기세척기(1)에는 두 개의 랙(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랙(30)은 상기 세척실(11)의 내부에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두 개의 랙(30)을 상부랙(32) 및 상기 상부랙(32)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랙(34)으로 구분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결합부(24)는 상기 도어(20)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도어결합부(24)는 상기 상부랙(32)보다 상기 하부랙(34)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랙(34)이 상기 도어(20)의 회전중심과 보다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유닛(40)은, 상기 이동모터(42)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하부랙(34)이 상기 세척실(11)의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하부랙(34)에 결합된다. 즉, 상기 이동유닛(40)은 상기 도어(20)의 회전중심과 보다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하부랙(34)을 이동시켜 상기 도어(20)를 회동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보다 적은 모터힘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랙(34) 및 상기 도어(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식기세척기(1)에는, 상기 세척실(11)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 등 다양한 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보다 잘 도시하도록, 특징과 무관한 요소를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도 3 내지 도 7은 상기 이동유닛(40)의 구동에 의한 상기 하부랙(34) 및 상기 도어(20)의 이동을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 3 내지 도 7은 상기 하부랙(34) 및 상기 도어(20)의 이동과정에서의 일 위치를 도시하였다. 이때, 설명의 편의상 상기 하부랙(34) 및 상기 도어(20)의 위치를 제 1 내지 5 개방상태로 구분하여 명명하였다.
특히, 상기 도어(20)가 상기 세척실(11)을 폐쇄한 상태에서 완전개방하는 상태를 차례로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하부랙(34)이 상기 세척실(11)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세척실(11)의 외부로 최대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유닛(40)은 상기 하부랙(34)을 상기 세척실(11)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구성이 해당된다. 이때, 상기 이동유닛(40)은 다양한 형태 및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에서는 상기 이동유닛(40)을 생략하고, 상기 이동유닛(40)에 의한 상기 하부랙(34)의 이동만을 도시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 1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는 상기 터브(10)에서 소정의 개방각도(a)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방각도(a)는 상기 도어(20)의 후면, 즉, 상기 내부도어면(22)과 상기 터브(10)의 전면이 형성하는 각도로 이해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터브(10)의 전면은 개방된 상태이고, 상기 도어(20)는 상기 세척실(11)을 개폐하도록 상기 터브(10)의 전면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도어(20)가 상기 세척실(11)을 폐쇄하는 경우, 상기 내부도어면(22)이 상기 터브(10)의 전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0)가 상기 세척실(11)을 폐쇄하는 경우, 상기 개방각도는 0도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가 상기 세척실(11)을 개방하도록 상기 터브(10)의 전면에서 회동되면, 상기 개방각도(a)가 점점 증가된다. 도 3과 같이 상기 도어(20)가 회동된 경우, 개방각도를 제 1 개방각도라 한다.
이때, 상기 제 1 개방각도는 상기 이동유닛(40)의 작동을 시작하는 개방각도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0)가 상기 제 1 개방각도 이상으로 상기 터브(10)에서 회동되는 경우, 상기 이동모터(42)가 작동된다.
이때, 상기 식기세척기(1)에는 상기 도어(20)가 상기 제 1 개방각도 이상으로 상기 터브(10)에서 회동되는 것을 감지하는 스위치(60, 도 8 참조)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60)의 감지에 따라, 상기 이동모터(42)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도 3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도어(20)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제 1 개방각도 이상으로 개방하면, 상기 이동유닛(40)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개방각도는 45도 이하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개방각도는 40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불편함없이 상기 도어(20)를 개방할 수 있는 개방각도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허리를 굽히는 등 불편함없이 상기 제 1 개방각도로 상기 도어(20)를 회동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 2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가 상기 제 1 개방각도 이상으로 개방되면, 상기 이동유닛(40)에 의해 상기 하부랙(34)이 상기 세척실(11)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하부랙(34)이 개방된 전면으로 이동되고, 상기 도어(20)에 접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0)가 미리 설정된 제 1 개방각도 이상으로 상기 터브(10)에서 회동되는 경우, 상기 하부랙(34)이 상기 세척실(11)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이때, 상기 도어(20)는 상기 제 1 개방각도로 회동된 것으로 가정한다. 그에 따라, 상기 하부랙(34)이 인출되면, 상기 하부랙(34)과 상기 도어(20)가 접하게 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하부랙(34)의 전단부와 상기 내부도어면(22)이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랙(34)에는, 상기 프레임(31) 및 상기 프레임(31) 하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이동롤러(33, 34)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이동롤러는 보조롤러(35)와 복수의 롤러(33)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보조롤러(35)는 상기 하부랙(34)이 인출되어 상기 내부도어면(22)과 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상기 보조롤러(35)는 상기 하부랙(34)과 상기 내부도어면(22)이 접하는 경우 발생되는 충격 및 마찰 등을 방지하고자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랙(34)과 상기 도어(20)가 접하는 경우, 상기 하부랙(34)의 이동에 따라 상기 도어(20)에 외력이 가해질 수 있다. 즉, 상기 보조롤러(35)를 통해 상기 내부도어면(22)이 가압된다. 이때, 상기 하부랙(34)은 전방으로 인출되며, 상기 내부도어면(22)는 전방으로 외력을 받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 3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는 상기 하부랙(34)에 의해 상기 터브(10)에서 더 회동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내부도어면(22)에 상기 보조롤러(35)가 접하며 상기 도어(20)가 상기 제 1 개방각도보다 큰 제 2 개방각도로 상기 터브(10)에서 회동된다.
상기 제 2 개방각도는 70도 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개방각도는 상기 제 1 개방각도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제 2 개방각도의 범위는 제 1 개방각도 초과, 70도 이하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개방각도가 45도인 경우, 상기 제 2 개방각도는 45도 초과, 70도 이하로 이해된다. 특히, 상기 제 1 개방각도는 65도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랙(34)이 계속하여 상기 세척실(11)의 외측으로 인출되면, 상기 하부랙(34)이 상기 도어(20)에 안착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하부랙(34)의 하부가 상기 내부도어면(22)에 접하도록, 상기 하부랙(34)이 상기 내부도어면(22)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롤러(33)가 상기 내부도어면(22)과 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롤러(33)는 상기 하부랙(34)의 하부에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특히, 상기 복수의 롤러(33)는 상기 하부랙(34)의 이동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개방각도는 상기 복수의 롤러(33) 중 가장 전방에 위치한 롤러(33)가 상기 내부도어면(22)가 접한 경우의 도어의 개방각도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랙(34)의 이동에 따라 상기 도어(20)에 외력이 계속하여 가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 4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는 상기 하부랙(34)에 의해 상기 터브(10)에서 더 회동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내부도어면(22)에 상기 롤러(33)가 접하며 상기 도어(20)가 상기 제 2 개방각도보다 큰 제 3 개방각도로 상기 터브(10)에서 회동된다.
상기 제 3 개방각도는 90도 이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개방각도는 상기 제 2 개방각도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제 3 개방각도의 범위는 제 2 개방각도 초과, 90도 이하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개방각도가 65도인 경우, 상기 제 3 개방각도는 65도 초과, 90도 이하로 이해된다.
특히, 상기 제 3 개방각도는 상기 도어(20)의 완전개방상태에서의 도어의 개방각도 해당된다. 즉, 상기 제 3 개방각도는 상기 도어(20)의 최대개방각도에 해당된다.
상기 도어(20)가 완전개방됨에 따라, 상기 하부랙(34)은 상기 내부도어면(22)에 안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복수의 롤러(33)가 모두 상기 내부도어면(22)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롤러(35)는 상기 복수의 롤러(33)보다 상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내부도어면(22)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 5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개방된 도어(20)를 따라서 상기 하부랙(34)이 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랙(34)은 사용자가 상기 하부랙(34)에 안착된 식기를 인출할 수 있도록 최대한 상기 세척실(11)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정리하면, 사용자가 상기 제 1 개방각도 이상으로 상기 도어(20)를 회동시키면, 자동으로 상기 도어(20)가 상기 제 1 개방각도보다 큰 개방각도로 상기 터브(10)에서 회동된다. 또한, 상기 하부랙(30)은 상기 도어(20)가 상기 제 1 개방각도보다 큰 개방각도로 상기 터브(10)에서 회동되도록, 상기 내부도어면(22)을 따라 상기 세척실(11)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도 3 내지 도 7의 개방상태는 일 예를 설명한 것으로 변형되거나 일 개방상태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상기 제 3 개방각도로 회동한 경우, 도 4 및 도 5의 개방상태를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랙(34)은 자동으로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0)의 완전개방과 상기 하부랙(34)의 최대인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도 6의 개방상태를 생략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랙(34)이 최대인출되는 때, 상기 도어(20)가 상기 제 3 개방각도로 회동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상기 세척실(11)을 폐쇄하도록 회동시키는 경우, 상기 하부랙(34)은 상기 세척실(11)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유닛(40)은 상기 하부랙(34)을 상기 세척실(11)의 외부로 이동하거나, 상기 세척실(11)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하부랙(34)을 이동시키는 상기 이동유닛(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이동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유닛(40)에는, 기어랙(44), 상기 기어랙(44)과 맞물려 설치되는 피니언기어(46) 및 상기 피니언기어(46)와 상기 이동모터(42)를 연결하는 기어박스(48)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이동모터(42)가 작동하면, 상기 기어박스(46)를 통해 상기 피니언기어(46)가 회전된다. 상기 피니언기어(46)는 상기 기어박스(48)의 일 구성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기어(46)와 맞물린 상기 기어랙(44)이 이동된다.
상기 기어랙(44)은 상기 하부랙(34)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기어랙(44)은 상기 터브(2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모터(42)에 작동에 의해 상기 기어랙(44)은 상기 터브(2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될 수있다.
상기 기어랙(44)은 상기 하부랙(34)에 결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기어랙(44)은 상기 복수의 롤러(33)를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롤러(33)는 상기 기어랙(44)의 하부에 상기 기어랙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와 인접한 상기 기어랙(44)의 일 측에 상기 보조롤러(35)가 배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기어랙(44)이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보조롤러(35)를 통해 외력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이동모터(42) 및 상기 기어박스(46)는 상기 하부랙(34)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모터(42) 및 상기 기어박스(46)는 상기 세척실(11)의 하면을 형성하는 상기 터브(10)의 설치면(15)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면(15)은 상기 하부랙(34)의 하측에 배치되는 플레이트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면(15)에는, 상기 세척실(11)로 세척수를 분사하거나, 분사된 세척수를 처리하는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다른 구성은 생략하고, 상기 설치면(15)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피니언 기어(46)은 서로 연결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하부랙(34)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랙(44)도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하부랙(34)의 양 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기세척기(1)에는, 상기 터브(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기어랙(44)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기어랙가이드(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어랙가이드(50)는 상기 기어랙(44)이 수용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기어(36)는 상기 기어랙가이드(50)의 내측에 수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유닛(4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동유닛(40)은 상기 하부랙(34)을 상기 세척실(11)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유닛(40)은 상기 상부랙(32)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유닛(40)은 상기 식기세척기(1)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랙을 이동시키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자동으로 인출된 랙에서 식기를 수납 또는 반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1)에는 상기 이동모터(42)를 제어하는 제어부(70)가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식기세척기(1)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일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상기 이동유닛(40)과 관련된 제어구성만을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식기세척기(1)에는, 소정의 정보가 입력되는 전원부(72) 및 입력부(74)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72) 및 상기 입력부(74)는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상기 식기세척기(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부(72) 및 상기 입력부(74)는 상기 터브(10)의 외부에 버튼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72)는 상기 식기세척기(1)의 ON/OFF 신호를 발생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식기세척기(1)의 작동을 원하는 경우, 상기 전원부(72)를 통해 상기 제어부(70)로 상기 식기세척기(1)의 작동을 시작하는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74)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74)는 상기 하부랙(34)의 이동 신호를 발생하는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74)를 통해 상기 하부랙(34)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60)는 상기 도어(20)가 상기 제 1 개방각도 이상으로 상기 터브(10)에서 회동되는 것을 감지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60)의 신호에 따라, 상기 도어가 상기 제 1 개방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제어부(70)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기세척기(1)에는, 각종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76)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부(76)에는, 상기 제 1 내지 4 개방각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이동모터(42)를 서로 다른 RPM으로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하부랙(34)을 상기 세척실(11)의 외측으로 인출하는 과정은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복수의 구간에서 상기 이동모터(42)는 서로 다른 RPM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간은 설계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할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복수의 구간은 상기 도어(20)와 상기 하부랙(34)의 접촉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기세척기(1)에는 별도의 접촉센서가 구비되거나. 상기 하부랙(34)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랙(34)에 가해지는 충격은 상기 이동모터(42)의 부하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후술할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복수의 구간은 상기 도어(20)의 개방각도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기세척기(1)에는 상기 도어(20)의 개방각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이해의 편의상, 상기 복수의 구간은 도 3 내지 도 7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3의 제 1 개방상태에서 도 4의 제 2 개방상태를 제 1 구간이라 한다. 그리고, 도 4의 제 2 개방상태에서 도 5의 제 3 개방상태를 제 2 구간, 도 5의 제 3 개방상태에서 도 6의 제 4 개방상태를 제 3 구간이라 한다. 그리고, 도 6의 제 4 개방상태에서 도 7의 제 5 개방상태를 제 4 구간이라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각 구간에서의 상기 이동모터(42)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신호가 입력된다(S10). 이때, 상기 인출신호는 상기 입력부(74)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신호는 상기 메모리부(76)에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자동으로 발생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기세척기(1)에서 식기의 세척이 완료된 경우 상기 인출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10)가 상기 제 1 개방각도 이상으로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60)에 의한 신호가 전달되었는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가 상기 제 1 개방각도 이상으로 상기 터브(10)에서 회동된 경우, 상기 랙(34)을 상기 세척실(11)의 외측으로 인출하도록 이동모터(42)를 작동한다(S30). 이때,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이동모터(42)의 RPM을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와 상기 보조롤러(35)의 접촉여부를 판단한다(S40). 이는 상기 보조롤러(35)에 별도로 접촉센서를 구비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동모터(42)의 부하가 증대되는 경우, 상기 도어(20)와 상기 보조롤러(35)가 접촉된 것으로 감지한다.
상기 도어(20)와 상기 보조롤러(35)가 접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모터(42)는 제 1 RPM(S45)으로 작동한다. 즉, 상기 이동모터(42)는 최초작동시 제 1 RPM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 1 PRM은 비교적 작은 수치로 설정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하부랙(34)을 정지상태에서 이동상태로 전환시키기 때문에, 상기 하부랙(34)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상기 하부랙(34)에 수납된 식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랙(34)이 인출됨에 따라 상기 도어(20)와의 충돌이 예상된다. 이와 같은 충돌에 의한 상기 하부랙(34)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PRM은 비교적 작은 수치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모터(42)가 제 1 RPM으로 작동되는 구간을 제 1 구간이라 할 수 있다. 즉, 도 3에서 도 4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모터(42)는 상기 제 1 RPM으로 작동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상기 제 3 개방각도로 완전히 개방한 경우, 상기 이동모터(42)는 제 1 RPM으로 상기 하부랙(34)을 인출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와 상기 보조롤러(35)가 접촉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도어(20)와 상기 롤러(33)의 접촉여부를 판단한다(S50). 이때, 상기 복수의 롤러(33)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도어(20)가 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촉센서나 상기 이동모터(42)에 가해지는 부하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와 상기 롤러(33)가 접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모터(42)는 제 2 RPM(S55)으로 작동한다. 즉, 상기 도어(20)와 상기 보조롤러(35)가 접촉되고 상기 롤러(33)와는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이동모터(42)는 상기 제 2 RPM으로 작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모터(42)가 제 2 RPM으로 작동되는 구간을 제 2 구간이라 할 수 있다. 즉, 도 4에서 도 5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모터(42)는 상기 제 2 RPM으로 작동된다.
상기 제 2 RPM은 상기 제 1 PRM 보다 큰 수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 구간은 상기 하부랙(34)에 의해 상기 도어(20)가 회동되는 구간 중 하나에 해당된다. 즉, 상기 하부랙(34)에 의해 상기 도어(20)가 상기 터브(30)에서 회동되도록, 상기 이동모터(42)의 RPM이 증가되어 작동된다.
상기 도어(20)와 상기 롤러(33)가 접촉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도어(20)의 완전 개방 여부를 판단한다(S60). 상기 도어(20)가 완전 개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이동모터(42)는 제 3 RPM(S65)으로 작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모터(42)가 제 3 RPM으로 작동되는 구간을 제 3 구간이라 할 수 있다. 즉, 도 5에서 도 6으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모터(42)는 상기 제 3 RPM으로 작동된다.
상기 제 3 RPM은 상기 제 2 PRM 보다 큰 수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 3 구간은 상기 제 2 구간과 같이 상기 하부랙(34)에 의해 상기 도어(20)가 회동되는 구간에 해당된다. 그에 따라, 상기 도어(2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제 1 구간보다는 큰 힘을 필요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구간보다 상기 제 3 구간에서 상기 도어(20)의 개방각도가 크다. 그에 따라, 상기 도어(20)가 중력 등의 영향을 보다 적게 받을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구간보다 상기 제 3 구간에서 상기 도어(20)가 보다 안정적으로 배치되며, 더 큰 힘에 의해 빠르고 안정적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가 완전 개방된 경우, 상기 이동모터(42)는 제 4 RPM(S70)으로 작동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랙(34)의 인출이 정상적으로 완료된다(S80).
이와 같이 상기 이동모터(42)가 제 4 RPM으로 작동되는 구간을 제 4 구간이라 할 수 있다. 즉, 도 6에서 도 7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모터(42)는 상기 제 4 RPM으로 작동된다.
상기 제 4 RPM은 상기 제 3 PRM 보다 큰 수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 4 구간은 상기 도어(20)가 상기 터브(10)에서 최대로 회동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하부랙(34)이 상기 세척실(11)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구간에 해당된다. 그에 따라, 상기 하부랙(34)이 빠르게 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모터(42)는 상기 제 1 구간, 상기 제 2 구간, 상기 제 3 구간 및 상기 제 4 구간에서 서로 다른 RPM으로 작동된다. 특히, 상기 제 1 구간에는 제 1 RPM으로 작동되고, 상기 제 2 구간에는 상기 제 1 RPM보다 큰 제 2 RPM으로 작동되고, 상기 제 3 구간에는 상기 제 2 RPM보다 큰 제 3 RPM으로 작동되며, 상기 제 4 구간에는 상기 제 3 RPM보다 큰 제 4 RPM으로 작동된다.
다르게 말하면, 상기 하부랙(34)을 상기 세척실(11)의 외측으로 인출하며, 상기 이동모터(42)는 RPM이 증가되도록 작동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방상태를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모터(42)는 상기 도어(20)의 개방각도를 기준으로 RPM이 변화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제어흐름을 그래프로 다시 도시한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도 11에서 Y축은 개방각도 및 PRM의 수치를 의미한다. 개방각도의 수치는 도면상 왼쪽에 기재하였고, PRM의 수치는 도면상 오른쪽에 기재하였다.
이때, 제 1 개방각도는 40도, 제 2 개방각도는 65도, 제 3 개방각도는 90도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제 1 RPM은 1400RPM, 제 2 RPM은 1500, 제 3 RPM은 3500, 제 4 RPM은 4500으로 도시하였다. 정확한 수치는 설계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도 11에서 도시한 수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도 11에서 X축은 개방상태를 의미한다. 즉,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 1 내지 5 개방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각 개방상태의 사이는 각 구간을 의미하며, 도면상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제 1 내지 4 구간을 각각 의미한다.
그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간은, 상기 도어(20)가 상기 제 1 개방각도로 상기 터브(10)에서 회동된 제 1 구간, 상기 도어(20)가 상기 제 1 개방각도를 초과하고 상기 제 1 개방각도보다 큰 제 2 개방각도 이하로 상기 터브(10)에서 회동된 제 2 구간, 상기 도어(20)가 상기 제 2 개방각도를 초과하고, 상기 제 2 개방각도보다 큰 제 3 개방각도 미만으로 상기 터브(10)에서 회동된 제 3 구간 및 상기 도어(20)가 상기 제 3 개방각도로 상기 터브(10)에서 회동된 제 4 구간으로 구분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모터(42)는 상기 제 1 구간, 상기 제 2 구간, 상기 제 3 구간 및 상기 제 4 구간에서 서로 다른 RPM으로 작동되는 것을 알 수 있다.
1 : 식기세척기 10 : 터브
20 : 도어 30 : 랙
32 : 상부랙 34 : 하부랙
40 : 이동유닛 42 : 이동모터
44 : 기어랙 70 : 제어부
a : 개방각도

Claims (15)

  1. 세척실이 형성된 터브 및 상기 세척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터브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가 구비된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인출신호가 감지되고,
    상기 도어가 미리 설정된 제 1 개방각도 이상으로 상기 터브에서 회동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제 1 개방각도 이상으로 상기 터브에서 회동된 경우, 상기 세척실의 내부에 구비되어 식기가 안착하는 적어도 하나의 랙을 상기 세척실의 외측으로 인출하도록 이동모터를 작동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랙을 상기 세척실의 외측으로 인출하는 과정은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복수의 구간에서 상기 이동모터는 서로 다른 RPM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간은,
    상기 도어가 상기 제 1 개방각도로 상기 터브에서 회동된 제 1 구간;
    상기 도어가 상기 제 1 개방각도를 초과하고 상기 제 1 개방각도보다 큰 제 2 개방각도 이하로 상기 터브에서 회동된 제 2 구간;
    상기 도어가 상기 제 2 개방각도를 초과하고, 상기 제 2 개방각도보다 큰 제 3 개방각도 미만으로 상기 터브에서 회동된 제 3 구간; 및
    상기 도어가 상기 제 3 개방각도로 상기 터브에서 회동된 제 4 구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이동모터는 상기 제 1 구간, 상기 제 2 구간, 상기 제 3 구간 및 상기 제 4 구간에서 서로 다른 RPM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방각도는 45도 이하이고,
    상기 제 2 개방각도는 70도 이하이며,
    상기 제 3 개방각도는 9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간에는,
    제 1 구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랙이 상기 세척실의 외측으로 인출되며 상기 도어에 접하여 상기 도어가 상기 터브에서 회동되는 제 2, 3 구간이 포함되고,
    상기 이동모터는 상기 제 1 구간 및 상기 제 2, 3 구간에서 서로 다른 RPM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랙에는,
    서로 교차되어 식기가 안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롤러; 및
    상기 프레임에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롤러보다 상부에 위치되는 보조롤러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구간에는 상기 보조롤러와 상기 도어가 접하고, 상기 제 3 구간에는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도어가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동모터는 상기 제 2 구간 및 상기 제 3 구간에서 서로 다른 RPM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간에는,
    상기 도어가 상기 터브에서 최대로 회동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랙이 상기 세척실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제 4 구간이 더 포함되고,
    상기 이동모터는 상기 제 1 구간, 상기 제 2 구간, 상기 제 3 구간 및 상기 제 4 구간에서 서로 다른 RPM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8. 제 3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모터는
    상기 제 1 구간에는 제 1 RPM으로 작동되고,
    상기 제 2 구간에는 상기 제 1 RPM보다 큰 제 2 RPM으로 작동되고,
    상기 제 3 구간에는 상기 제 2 RPM보다 큰 제 3 RPM으로 작동되며,
    상기 제 4 구간에는 상기 제 3 RPM보다 큰 제 4 RPM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랙에 결합되는 기어랙;
    상기 기어랙과 맞물려 설치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와 상기 이동모터를 연결하는 기어박스가 더 포함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랙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랙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제 1 개방각도 이상으로 상기 터브에서 회동되는 것을 감지하는 스위치가 포함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방각도는 45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랙을 상기 세척실의 외측으로 인출하며, 상기 이동모터는 RPM이 증가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랙이 상기 세척실의 외측으로 인출되며 상기 도어에 접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랙에 의해 상기 도어가 상기 터브에서 회동되도록, 상기 이동모터의 RPM이 증가되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랙에는 상부랙 및 상기 상부랙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랙이 포함되고,
    상기 이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하부랙이 상기 세척실의 외측으로 이동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20190093044A 2019-07-31 2019-07-31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20210014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044A KR20210014942A (ko) 2019-07-31 2019-07-31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044A KR20210014942A (ko) 2019-07-31 2019-07-31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942A true KR20210014942A (ko) 2021-02-10

Family

ID=74561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044A KR20210014942A (ko) 2019-07-31 2019-07-31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49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08530A (zh) * 2021-06-25 2021-08-06 华帝股份有限公司 洗碗机及洗碗机的控制方法
WO2023277580A1 (ko) * 2021-07-01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08530A (zh) * 2021-06-25 2021-08-06 华帝股份有限公司 洗碗机及洗碗机的控制方法
CN113208530B (zh) * 2021-06-25 2022-04-01 华帝股份有限公司 洗碗机及洗碗机的控制方法
WO2023277580A1 (ko) * 2021-07-01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347B1 (ko) 식기 세척기
US20170138109A1 (en) Water-conducting domestic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water-conducting domestic appliance
KR20210014942A (ko)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JP7317465B2 (ja) 食器洗い機
US20130300269A1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 rack assembly of an appliance
KR100598344B1 (ko) 식기세척기
WO2018110287A1 (ja) 食器洗い機
JP7153831B2 (ja) 食器洗い機
JP5990780B2 (ja) 食器洗い機
JP2014204774A (ja) 食器洗い機
JP6920587B2 (ja) 食器洗い機
JP2023118934A (ja) 食器洗い機
KR20110072372A (ko) 냉장고
JP7126037B2 (ja) 食器洗い機
JP7165893B2 (ja) 食器洗い機
KR20210014941A (ko) 식기세척기
JP4650335B2 (ja) 食器洗い機
WO2014102330A2 (en) A dishwasher
KR20180006102A (ko) 식기세척기
KR20200102227A (ko) 식기 세척기
KR20200102226A (ko) 식기 세척기
JP2006141700A (ja) 食器洗い機
JP2024040392A (ja) 食器洗い機
KR20210036710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36709A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