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6102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6102A
KR20180006102A KR1020160086787A KR20160086787A KR20180006102A KR 20180006102 A KR20180006102 A KR 20180006102A KR 1020160086787 A KR1020160086787 A KR 1020160086787A KR 20160086787 A KR20160086787 A KR 20160086787A KR 20180006102 A KR20180006102 A KR 20180006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drawer
mini
hidden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윤지영
김준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6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6102A/ko
Publication of KR20180006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1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6In-sink dishwash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drawer-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1Baskets, e.g. for conveyor-type, in-sink type or hood-type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7Arrangements for extracting racks, e.g. roller support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에 매립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인출가능하고, 내부에 형성된 미니랙 공간 및 히든랙 공간을 포함하는 드로어; 상기 드로어에 배치되어 식기가 로딩되는 미니랙 및 히든랙을 포함하는 랙; 상기 드로어가 인출될 때, 상기 미니랙 또는 미니랙 공간을 상기 캐비닛 밖으로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고, 상기 히든랙 또는 히든랙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가이드모듈; 및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작동되고, 상기 드로어의 인출 길이를 제한하여 상기 미니랙 또는 미니랙 공간의 외부 노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조작모듈;을 포함한다.
싱크대에 빌트인된 식기세척기에서, 드로어를 인출하여 식기를 로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싱크대에 빌트인되어 설치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하여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가 세척되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식기세척기는 설치 형태에 따라 싱크대의 상부에 단독으로 배치되는 형태와, 싱크대 내부에 빌트인되는 형태로 구분된다.
싱크대 내부에 빌트인 형태로 설치되는 식기세척기의 경우, 상측으로만 개폐되기 때문에 사용 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83834
본 발명은 메인 세척모드와 미니랙 세척모드가 구분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미니랙 및 히든랙이 구비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미니랙 및 히든랙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미니랙 또는 히든랙의 인출길이를 선택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세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한 과일, 컵 등을 미니랙에 로딩한 경우, 물만으로 간단하게 세척하는 미니랙 세척모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싱크대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에 매립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인출가능한 드로어; 상기 드로어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드로어가 인출될 때, 상기 드로어 중 일부만 상기 캐비닛 밖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드로어를 안내하는 가이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은 미니랙 및 히든랙을 포함하고, 상기 드로어의 내부는 상기 미니랙이 배치되는 미니랙 공간 및 상기 히든랙이 배치되는 히든랙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어가 인출될 때, 상기 미니랙 또는 미니랙 공간을 상기 캐비닛 밖으로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고, 상기 히든랙 또는 히든랙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가이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모듈은, 상기 캐비닛에 배치된 제 1 걸림부재; 상기 드로어에 배치되고, 상기 드로어의 인출 시 상기 제 1 걸림부재와 선택적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하여 상기 드로어의 인출 길이를 제한하는 제 2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작동되고, 상기 제 1 걸림부재 및 제 2 걸림부재의 상호걸림을 선택적으로 구현시키는 조작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듈은, 상기 캐비닛 외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력이 입력되는 조작부; 상기 제 1 걸림부재 또는 제 2 걸림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가 작동될 때, 상기 제 1 걸림부재 및 제 2 걸림부재의 상호 걸림을 해제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 1 걸림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 1 걸림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제 2 걸림부재의 이동경로 상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상기 미니랙 및 히든랙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랙은, 상기 미니랙 및 히든랙을 구분하는 파티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티션은 선택적으로 상기 미니랙 및 히든랙을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파티션은 상기 랙에 연결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싱크대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에 매립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인출가능하고, 내부에 형성된 미니랙 공간 및 히든랙 공간을 포함하는 드로어; 상기 드로어에 배치되어 식기가 로딩되는 미니랙 및 히든랙을 포함하는 랙; 상기 드로어가 인출될 때, 상기 미니랙 또는 미니랙 공간을 상기 캐비닛 밖으로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고, 상기 히든랙 또는 히든랙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가이드모듈; 및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작동되고, 상기 드로어의 인출 길이를 제한하여 상기 미니랙 또는 미니랙 공간의 외부 노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조작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모듈은, 상기 캐비닛에 배치된 제 1 걸림부재; 상기 드로어에 배치되고, 상기 드로어의 인출 시 상기 제 1 걸림부재와 선택적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하여 상기 드로어의 인출 길이를 제한하는 제 2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걸림부재 및 제 2 걸림부재가 상호 걸림을 형성할 때, 상기 미니랙 또는 미니랙 공간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듈은, 상기 캐비닛 외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력이 입력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에 사용자의 조작력이 입력될 때, 상기 제 1 걸림부재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 1 걸림부재 및 제 2 걸림부재를 상호 걸림 또는 걸림 해제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어의 인출 및 수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캐비닛 또는 드로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미니랙 또는 미니랙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또는 상기 미니랙 또는 미니랙 공간이 외부로 노출된 후 다시 수납된 경우, 상기 미니랙만 세척을 수행하는 미니랙 세척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모듈에 상기 미니랙 세척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히든랙 또는 히든랙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또는 상기 히든랙 또는 히든랙 공간이 외부로 노출된 후 다시 수납된 경우, 상기 미니랙만 세척을 수행하는 미니랙 세척모드를 또는 상기 미니랙 및 히든랙 전체에 대해 세척을 수행하는 메인 세척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모듈에 상기 미니랙 세척모드 및 메인 세척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싱크대에 빌트인된 식기세척기에서, 드로어를 인출하여 식기를 로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드로어를 인출할 때, 식기를 로딩할 수 있는 미니랙 공간만을 선택적으로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미니랙 공간 또는 미니랙만 인출된 경우, 미니랙만을 세척할 수 있는 미니랙 세척모드가 활성화되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히든랙 또는 히든랙 공간이 인출된 경우, 미니랙 세척모드 및 메인 세척모드가 모두 활성화되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미니랙 세척모드는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 세척수만으로 미니랙 공간을 세척하기 때문에, 과일 또는 컵 등을 간단히 세척할 수 있고, 작동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랙에 배치된 파티션을 통해 미니랙 및 히든랙을 연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드로어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랙의 파티션 사용예가 도시된 예시 1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랙의 파티션 사용예가 도시된 예시 2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드로어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드로어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드로어의 인출 상태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드로어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랙의 파티션 사용예가 도시된 예시 1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랙의 파티션 사용예가 도시된 예시 2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드로어의 개략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드로어의 개략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드로어의 인출 상태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싱크대(10)에 수납된다. 상기 식기세척기(100)는 싱크대(10)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구조이다. 상기 식기세척기(100)의 상측면은 싱크대(10)의 상판(11)과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100)는 싱크대(10)에 수납되고, 외측면이 싱크대(10)와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판(11)과 식기세척기(100)의 상면이 연속된 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싱크대를 넓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100)는 캐비닛(110)과, 상기 캐비닛(1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110)의 전방으로 인출가능하고,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을 개폐하는 드로어(120)와, 상기 드로어(120)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모듈(150)과, 상기 드로어(120)에 배치되고 식기가 로딩되는 랙(130)과, 상기 랙(130)에 로딩되는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모듈(140)과, 상기 분사모듈(14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모듈(160)과, 상기 드로어(120)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모듈(170)과, 상기 드로어(120)의 인출을 안내 또는 제한시키는 가이드모듈(180)과, 상기 드로어(120)의 인출 또는 수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모듈(190)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10)은 외관을 형성하고, 적어도 1면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캐비닛(110)은 전면이 개구되고 나머지 면은 막히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캐비닛(110)은 싱크대(10)에 삽입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면만 구성되고, 나머지 면을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면은 드로어(120)에 의해 폐쇄되고, 상면은 캐비닛(110)에 의해 폐쇄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드로어(120)는 상기 캐비닛(110)에 수납된다. 상기 드로어(120)는 캐비닛(110)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인출될 수 있고, 캐비닛(110)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되어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120)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인출 또는 수납이 이루어진다.
상기 드로어(120)는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드로어(120)의 형태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드로어(120)의 인출길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드로어(120)는 2단으로 인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 드로어(120)를 당길 경우, 상기 드로어(120)의 전체 길이 중 일부만 인출된다.
상기 랙(130)은 상기 드로어(12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랙(130)에 식기가 로딩될 수 있다. 상기 랙(130)은 미니랙(131) 및 히든랙(13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미니랙(131) 및 히든랙(132)은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미니랙(131) 및 히든랙(132)은 각각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120)의 내부는 미니랙 공간(121) 및 히든랙 공간(122)으로 구성된다. 상기 미니랙 공간(121)에 미니랙(131)이 배치되고, 상기 히든랙 공간(122)에 히든랙(132)이 배치된다.
상기 드로어(120)는 상기 미니랙 공간(121) 및 히든랙 공간(122)을 포함하는 드로어하우징(126)과, 상기 드로어하우징(126)의 전방 측에 배치되는 손잡이(127)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127)는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127)에 식기세척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모듈(1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듈(150)은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듈(150)은 상기 손잡이(127)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조작모듈(150)은 조작신호의 입력 및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듈(150)에 식기세척기를 제어하는 제어부(155)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로어(120)에 제어부(15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미니랙 공간(121)은 상기 드로어(120)의 1/3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니랙 공간(121)의 인출 길이는 상기 드로어(120) 인출 길이의 1/3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랙(130)은 상기 미니랙(131) 및 히든랙(132)을 구분하는 파티션(135)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파티션(135)은 상기 미니랙(131) 및 히든랙(132)을 구획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미니랙(131) 및 히든랙(132)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미니랙(131) 및 히든랙(132)이 연결될 경우, 하나의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파티션(135)은 상기 랙(130) 내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에에서 상기 파티션(135)은 상기 랙(1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파티션(135)의 회전에 의해 상기 미니랙(131) 및 히든랙(132)이 연결된다.
상기 미니랙(131) 및 히든랙(132)이 파티션(135)에 의해 구획될 때 세워지고, 상기 미니랙(131) 및 히든랙(132)이 연결될 때, 파티션(135)이 눕혀진다.
상기 파티션(135)을 회전시키기 위해 랙(135) 및 파티션(135)을 연결하는 부분에 힌지(136)가 배치된다. 상기 힌지(136)는 상기 파티션(35)의 회전중심을 제공한다.
상기 힌지(136)는 상기 랙(130)의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파티션(135)은 상기 힌지(136)를 중심으로 상측에서 회전된다.
세워진 상기 파티션(135)은 상기 미니랙(131) 및 히든랙(132)의 내부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상기 파티션(135)은 상기 미니랙(131) 및 히든랙(132)을 구획하고 세척수의 이동을 차단시킬 수 있다.
세워진 상기 파티션(135)은 상기 미니랙(131)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히든랙(132)으로 넘어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티션(135)은 상기 히든랙(132)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미니랙(131)으로 넘어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세워진 상기 파티션(135)은 상기 미니랙(131)에 로딩된 식기를 세척할 때,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가 히든랙(132)으로 이동되어 히든랙 공간(122)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분사모듈(140)은 상기 드로어(12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분사모듈(140)은 상기 랙(13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분사모듈(140)은 상기 드로어(120)의 내측면에서 상기 랙(130)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모듈(140)은 상기 미니랙 공간(121)에 배치된 미니랙 분사모듈(141)과, 상기 히든랙 공간(122)에 배치된 히든랙 분사모듈(14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미니랙 분사모듈(141)은 상기 미니랙(131) 하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미니랙 분사모듈(141)은 미니랙 공간(121)을 형성하는 드로어(12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히든랙 분사모듈(142)은 상기 히든랙(132) 하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히든랙 분사모듈(142)은 상기 히든랙 공간(122)을 형성하는 드로어(12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사모듈(140)은 상기 미니랙 분사모듈(141) 또는 히든랙 분사모듈(1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는 분사모듈펌프(143)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모듈펌프(143)는 상기 드로어(120) 내부의 세척수를 순환시킬 수 있는 순환펌프일 수 있다. 상기 분사모듈펌프(143)는 상기 드로어(120)의 하측에 모인 세척수를 회수하고, 회수된 세척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급수모듈(160)은 외부에서 공급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모듈펌프(160)에 제공한다. 상기 급수모듈(160)은 싱크대(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모듈(160)은 싱크대(10)의 수전일 수 있다.
상기 급수모듈(160)은 드로어(120)의 인출 길이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여야 한다. 상기 급수모듈(106)은 재질의 호스(162)를 포함한다. 상기 드로어(120)가 인출되는 길이에 따라 상기 호스(162)가 권선된 상태에서 풀리면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120)가 인출되는 길이에 따라 상기 호스(162)는 늘어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호스(162)는 자바라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급수모듈(160)은 급수펌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모듈(170)은 상기 드로어(120)에 저장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시킨다. 상기 배수모듈(170)은 배수펌프(172) 및 배수호스(174)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호스(174)는 드로어(120) 저면에 연결된다. 상기 드로어(120)의 저면은 세척수를 모을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120)의 저면에는 상기 배수호스(174)가 연결되는 배수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펌프(172)는 상기 배수호스(174)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172)는 상기 배수호스(174) 및 드로어(1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랙(130)은 드로어(120)에 수납된 상태로 이동되기 때문에, 급수모듈(160) 및 배수모듈(170)이 드로어(120)의 인출거리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여야 한다.
상기 배수호스(174)는 상기 급수호스(162)와 마찬가지로 말린 상태에서 풀리면서 인출길이 대응되거나, 또는 자라바 구조를 통해 자체 길이가 신축될 수 될 수 있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드로어(120)의 인출 길이를 제한하거나 감지할 수 있는 가이드모듈(180)이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모듈(180)은 캐비닛(110) 및 드로어(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모듈(180)은 상기 캐비닛(110)에 배치된 제 1 걸림부재(181)와, 상기 드로어(120)에 배치된 제 2 걸림부재(182)와, 상기 캐비닛(110) 또는 드로어(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드로어(12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10) 또는 드로어(120)의 전면에 조작부(151)가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151)는 조작모듈(150)의 일부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드로어(120)의 수납 또는 인출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모듈(190)을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151)는 상기 조작모듈(150)의 구성 중 일부일 수 있다.
상기 조작부(151)에 입력된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제 1 걸림부재(181) 또는 제 2 걸림부재(18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작동된다. 상기 걸림부재(181)(182)들의 작동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동의 경우, 상기 조작부(151)에 입력된 조작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액추에이터(183)가 설치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모터, 유압실린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수동의 경우 상기 조작부(151)에 입력된 조작력을 제 1 걸림부재(181) 또는 제 2 걸림부재(18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조작력을 전달하는 링크, 와이어, 탄성부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부(151)에 입력된 조작신호에 의해 캐비닛(110)에 배치된 상기 제 1 걸림부재(181)가 작동되는 구조가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183)는 모터가 사용된다. 상기 조작부(151)에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액추에이터(183)는 상기 제 1 걸림부재(18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걸림부재(181)는 상기 제 2 걸림부재(182)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걸림부재(182)와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걸림부재(181)의 회전 시 상기 제 2 걸림부재(182)와의 상호 걸림이 회피될 수 있다.
상기 제 2 걸림부재(182)가 상기 제 1 걸림부재(181)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드로어(120)는 미니랙 공간(121)만 인출된다.
상기 제 2 걸림부재(182)가 상기 제 1 걸림부재(181)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기 않는 경우, 상기 드로어(120)는 히든랙 공간(122)까지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걸림부재(181)는 회전축(184)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184)은 상기 캐비닛(1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걸림부재(181)가 수직하게 세워질 경우, 상기 제 2 걸림부재(182)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걸림부재(181)가 수평하게 뉘여질 경우, 상기 제 2 걸림부재(182)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지 않는다.
상기 감지모듈(190)은 제 1 감지부(191) 및 제 2 감지부(19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감지부(191)는 캐비닛(110)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감지부(192)는 드로어(120)에 배치된다.
상기 감지모듈(190)은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모듈(190)은 마그네틱 센서, 광센서, 택트스위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모듈(190)은 마그네틱 센서가 사용된다. 상기 제 2 감지부(192)는 영구자석이 사용되고, 상기 제 1 감지부(191)는 상기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는 마그네틱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 및 마그네틱센서의 위치를 반대로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 2 감지부(192)를 마그네틱 센서로 사용하는 경우, 배선을 수납하는데 보다 용이한 점이 있다.
상기 감지모듈(190)은 드로어(120)의 수납된 위치를 감지해도 되고, 인출된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모듈(190)은 드로어(120)의 수납된 위치를 감지하게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제 1 감지부(191)는 캐비닛(110)의 가장 안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감지부(192)는 드로어(120)의 후방 측에 배치된다.
상기 드로어(120)가 정위치까지 수납될 경우, 상기 제 1 감지부(191)가 상기 제 2 감지부(191)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부(191)가 상기 제 2 감지부(192)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상기 드로어(120)가 인출되거나 정위치에 위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작동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51)에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5)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가이드모듈(180)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55)는 상기 가이드모듈(180)의 액추에이터(183)에 제어신호를 보내 상기 액추에이터(183)를 작동시키고, 상기 액추에이터(183)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 1 걸림부재(181)가 회전된다.
상기 제 1 걸림부재(181)가 회전된 경우, 상기 드로어(120)는 히든랙공간(122)까지 인출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드로어(120)가 수납되어 상기 감지모듈(190)에서 제어부(155)에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부(155)는 상기 제 1 걸림부재(181)를 자동으로 원위치 시킨다.
상기 드로어(120)가 정위치까지 수납된 경우, 상기 제 1 감지부(191)에서 상기 제 2 감지부(192)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155)에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155)는 상기 제 2 감지부(192)의 감지신호를 통해 드로어(120)가 수납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55)는 상기 액추에이터(183)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걸림부재(181)를 원위치시킨다. 상기 제 1 걸림부재(181)의 원위치는 사용자가 조작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실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드로어(120)가 히든랙 공간(122)까지 인출된 후 다시 수납된 경우, 제어부는 상기 드로어(120)가 미니랙 공간(121)까지만 인출되게 제어한다.
한편, 상기 조작부(151)의 조작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걸림부재(181) 및 제 2 걸림부재(182)가 상호 걸림을 형성하고, 상기 드로어(120)는 미니랙 공간(121)까지만 인출된다.
즉, 사용자가 의도하여 조작부(151)를 조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드로어(120)는 미니랙(131)만 노출된다.
상기 미니랙(131)만 노출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미니랙 세척모드를 활성화시킨다.
상기 미니랙 세척모드는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니랙 세척모드는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물로만 세척을 실시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과일이나 컵을 세척하는 경우 세제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미니랙 세척모드를 사용할 경우, 세척수만으로 세척을 실시하여 작동시간이 매우 짧다.
또한 미니랙 세척모드는 미니랙 분사모듈에서만 세척수가 분사되기 때문에, 사용되는 세척수의 양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151)의 조작 없이, 드로어(120)를 인출하는 경우, 미니랙(131)만 인출된다. 사용자는 인출된 미니랙(131)에 과일 또는 컵 등을 로딩한 후, 상기 드로어(120)를 수납시킨다.
상기 드로어(120)의 수납은 감지모듈(19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드로어(120)가 수납되면, 제어부는 미니랙 세척모드를 활성화시킨다.
상기 미니랙 세척모드의 활성화된 상태를 조작모듈(150)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활성화된 미니랙 세척모드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155)는 미니랙(131)에 배치된 제 1 분사모듈(141)로만 세척수를 공급하고, 공급된 세척수를 통해 상기 미니랙(131)에 세척수를 분사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미니랙 공간(121)만 인출가능한 상태에서 미니랙 세척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미니랙(131)만 인출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미니랙 세척모드를 활성화시켜도 무방하다. 미니랙(131)만 인출 가능한 상태는 조작부(151)에 조작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상황을 의미한다.
상기 미니랙 세척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는, 상기 미니랙 또는 미니랙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또는 상기 미니랙 또는 미니랙 공간이 외부로 노출된 후 다시 수납된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51)를 조작하여 히든랙 공간(132)이 인출가능한 상태이거나 또는 히든랙 공간(132)이 인출된 경우, 메인 세척모드 및 미니랙 세척모드를 모두 활성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세척모드는 세제를 사용하는 식기세척 행정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세척모드는 급수-헹굼-세척-건조를 포함하는 일련의 식기세척 행정을 포함한다.
상기 히든랙(132)을 인출할 수 있는 상태에서 상기 메인 세척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히든랙(132)을 인출할 수 있는 상태는 조작부(151)에 조작신호가 입력된 상태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히든랙(132)을 인출할 수 있는 상태는 조작부(151)에 조작신호가 입력된 후, 상기 제 1 걸림부재(181) 및 제 2 걸림부재(182)의 상호 걸림이 해제된 상태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메인 세척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는, 상기 히든랙 또는 히든랙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또는 상기 히든랙 또는 히든랙 공간이 외부로 노출된 후 다시 수납된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싱크대 11 : 상판
100 : 식기세척기 110 : 캐비닛
120 : 드로어 121 : 미니랙 공간
122 : 히든랙 공간 130 : 랙
131 : 미니랙 132 : 히든랙
140 : 분사모듈 141 : 미니랙 분사모듈
142 : 히든랙 분사모듈 150 : 조작모듈
151 : 조작부 155 : 제어부
160 : 급수모듈 170 : 배수모듈
180 : 가이드모듈 181 : 제 1 걸림부재
182 : 제 2 걸림부재 190 : 감지모듈
191 : 제 1 감지부 192 : 제 2 감지부

Claims (16)

  1. 싱크대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에 매립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인출가능한 드로어;
    상기 드로어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모듈;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로어가 인출될 때, 상기 드로어 중 일부만 상기 캐비닛 밖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드로어를 안내하는 가이드모듈;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랙은 미니랙 및 히든랙을 포함하고,
    상기 드로어의 내부는 상기 미니랙이 배치되는 미니랙 공간 및 상기 히든랙이 배치되는 히든랙 공간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드로어가 인출될 때, 상기 미니랙 또는 미니랙 공간을 상기 캐비닛 밖으로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고, 상기 히든랙 또는 히든랙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가이드모듈;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모듈은,
    상기 캐비닛에 배치된 제 1 걸림부재; 상기 드로어에 배치되고, 상기 드로어의 인출 시 상기 제 1 걸림부재와 선택적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하여 상기 드로어의 인출 길이를 제한하는 제 2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작동되고, 상기 제 1 걸림부재 및 제 2 걸림부재의 상호걸림을 선택적으로 구현시키는 조작모듈;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작모듈은,
    상기 캐비닛 외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력이 입력되는 조작부;
    상기 제 1 걸림부재 또는 제 2 걸림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가 작동될 때, 상기 제 1 걸림부재 및 제 2 걸림부재의 상호 걸림을 해제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 1 걸림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 1 걸림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제 2 걸림부재의 이동경로 상에서 이탈시키는 식기세척기.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미니랙 및 히든랙은 일체로 형성된 식기세척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미니랙 및 히든랙을 구분하는 파티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티션은 선택적으로 상기 미니랙 및 히든랙을 연통시키는 식기세척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상기 랙에 연결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식기세척기.
  11. 싱크대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에 매립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인출가능하고, 내부에 형성된 미니랙 공간 및 히든랙 공간을 포함하는 드로어;
    상기 드로어에 배치되어 식기가 로딩되는 미니랙 및 히든랙을 포함하는 랙;
    상기 드로어가 인출될 때, 상기 미니랙 또는 미니랙 공간을 상기 캐비닛 밖으로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고, 상기 히든랙 또는 히든랙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가이드모듈; 및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작동되고, 상기 드로어의 인출 길이를 제한하여 상기 미니랙 또는 미니랙 공간의 외부 노출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조작모듈;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모듈은,
    상기 캐비닛에 배치된 제 1 걸림부재; 상기 드로어에 배치되고, 상기 드로어의 인출 시 상기 제 1 걸림부재와 선택적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하여 상기 드로어의 인출 길이를 제한하는 제 2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걸림부재 및 제 2 걸림부재가 상호 걸림을 형성할 때, 상기 미니랙 또는 미니랙 공간만 외부로 노출되는 식기세척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조작모듈은,
    상기 캐비닛 외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력이 입력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에 사용자의 조작력이 입력될 때, 상기 제 1 걸림부재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 1 걸림부재 및 제 2 걸림부재를 상호 걸림 또는 걸림 해제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드로어의 인출 및 수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캐비닛 또는 드로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5. 청구항 1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랙 또는 미니랙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또는 상기 미니랙 또는 미니랙 공간이 외부로 노출된 후 다시 수납된 경우,
    상기 미니랙만 세척을 수행하는 미니랙 세척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모듈에 상기 미니랙 세척모드가 활성화되는 식기세척기.
  16. 청구항 1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든랙 또는 히든랙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또는 상기 히든랙 또는 히든랙 공간이 외부로 노출된 후 다시 수납된 경우,
    상기 미니랙만 세척을 수행하는 미니랙 세척모드를 또는 상기 미니랙 및 히든랙 전체에 대해 세척을 수행하는 메인 세척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모듈에 상기 미니랙 세척모드 및 메인 세척모드가 활성화되는 식기세척기.
KR1020160086787A 2016-07-08 2016-07-08 식기세척기 KR201800061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787A KR20180006102A (ko) 2016-07-08 2016-07-08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787A KR20180006102A (ko) 2016-07-08 2016-07-08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102A true KR20180006102A (ko) 2018-01-17

Family

ID=61026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787A KR20180006102A (ko) 2016-07-08 2016-07-08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61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5012A (zh) * 2019-10-16 2020-02-07 广州江水清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碗篮隐藏式洗碗水槽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5012A (zh) * 2019-10-16 2020-02-07 广州江水清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碗篮隐藏式洗碗水槽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7195B2 (en) Ergonomic dishwashing machine
US8840201B2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 rack assembly of an appliance
US8900375B2 (en) Two level conduit docking port mechanism for a dishwashing appliance
US9743821B2 (en) Dispenser for multi-compartment dishwasher
US9119523B2 (en) Dishwasher appliance with rack assembly projections
KR20180088205A (ko) 싱크대
US20050284506A1 (en) Water level sensor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CN110998011B (zh) 洗涤物处理设备
US11058281B2 (en) Dishwasher including rack position sensor to control capture of rack images by a camera
KR102393509B1 (ko)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US9861257B2 (en) Detergent dispenser module for a dishwashing appliance
KR102486273B1 (ko) 식기세척기
US10478042B2 (en) Baskets for use in a dishwasher appliance
KR20180006102A (ko) 식기세척기
KR20210014942A (ko)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1934410B1 (ko) 주방용 수납 시스템
KR20060100620A (ko) 식기세척기의 가동 알림 장치 및 방법
US20190360144A1 (en) Washing machine appliance having a selective ventilation damper
JP3546809B2 (ja) 食器洗浄機
US9101257B2 (en) Appliance with an inset base element
US20130174877A1 (en) Low speed drain delay
JP6575073B2 (ja) 食器洗浄機
US11571105B2 (en) Spot detection assembly for a dishwasher appliance
KR101369321B1 (ko) 식기세척기
US20140190531A1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rack assemblies for appli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