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2227A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02227A KR20200102227A KR1020190020594A KR20190020594A KR20200102227A KR 20200102227 A KR20200102227 A KR 20200102227A KR 1020190020594 A KR1020190020594 A KR 1020190020594A KR 20190020594 A KR20190020594 A KR 20190020594A KR 20200102227 A KR20200102227 A KR 202001022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rack
- main body
- dishwasher
- guid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4851 dish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3—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supporting leg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74—Arrange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e.g. control units or cab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의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세척 공간을 풀다운 방식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식기가 수납되는 제1랙;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식기가 수납되는 제2랙;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감지부; 상기 본체의 바닥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편의성이 개선된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하여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가 세척되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종래의 식기 세척기(US 7,731,805)는 내부에 세척조가 형성되는 터브와, 터브 저면에 장착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섬프 내부에 장착된 세척 펌프의 펌핑 작용에 의해, 세척수가 분사 노즐로 이동되고, 상기 분사노즐로 이동된 세척수는 분사 노즐 단부에 형성된 분사구를 통하여 고압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고압으로 분사되는 세척수가 식기 표면에 부딪혀서, 식기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과 같은 오물이 터브 바닥으로 낙하된다.
식기 세척기에는 통상적으로 복수 개의 랙이 구비되어서, 각각의 랙이 전후 방으로 인출가능하게 구비된다. 각각의 랙이 전방으로 인출되는 경우에는 식기 세척기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이동되어서, 식기 세척기가 전방으로 전복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랙을 전방으로 인출하더라도 식기 세척기가 전방으로 인출되지 않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아래쪽에 설치된 랙에 식기를 수납하기 위해서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어서, 식기 수납이 편리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의 본체 내부에 전도 방지구조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어 개방시에 인출되어 바닥면과 접촉면적을 넓게 해서, 랙을 인출할 때에 전복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원이 공급되어 지지부가 구동되는 방식과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지지부가 인출되는 구조를 게시한다.
본 발명은 식기의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세척 공간을 풀다운 방식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도어에 링크부에 의해서 연결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세척 공간을 개방하면, 바닥면에 접지를 유지하면서 상기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복수 개의 랙이 전방으로 인출되어 식기 세척기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이동되더라도, 지지부에 의해서 식기 세척기의 접지 면적이 증가해서 안정성이 향상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식기의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세척 공간을 풀다운 방식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감지부; 상기 본체의 바닥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는 지지부;및 상기 감지부에서 도어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지지부를 전방으로 인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복수 개의 랙이 전방으로 인출되기 위해 가이드 레일을 구비할 수 있는데, 가이드 레일에서 랙에 제공하는 인출 거리를 증가시켜서, 사용자가 랙에 식기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높이를 달리하는 두 개의 랙을 포함하고, 각각의 랙은 높이가 변화되어서, 서로 자리를 바꾸도록 배치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한 후에, 랙을 전방으로 인출하더라도 식기 세척기가 전방으로 전복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가 랙에 식기를 수납하기 편할 정도로 랙이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인출 거리가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에 위치한 랙을 상측으로 이동시킬 때에 사용자가 하부에 위치한 랙을 잡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허리를 숙일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의 허리에 무리가 가는 행동을 하지 않아서 사용자의 불편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내부를 설명한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
도 4와 도 5는 두 개의 랙이 위치를 교환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도어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9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10은 도 8 및 도 9를 비교한 도면.
도 11은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내부를 설명한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
도 4와 도 5는 두 개의 랙이 위치를 교환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도어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9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10은 도 8 및 도 9를 비교한 도면.
도 11은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는 식기 세척기의 정면에 세척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10)가 마련되고, 상기 도어(10)의 후방에는 식기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본체(20)가 마련된다.
도 2는 도 1의 내부를 설명한 도면이고, 도 4a는 랙이 이동되는 과정 중에 일부 요부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4a를 참조해서, 도 1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20)의 내부를 설명한다.
식기가 세척되는 세척공간에는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는 제1랙(100)과 상기 제2랙(100)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하는 제2랙(200)이 구비된다.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에는 각각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은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측은 사용자가 식기를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개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20)에는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이 각각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30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300)의 일단에는 상기 제1랙(100)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300)의 타단에는 상기 제2랙(200)이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부(300)가 회전되면,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이 회전되면서 각각의 랙의 높이와 위치가 달라진다.
상기 가이드부(300)는 가이드 회전 중심부(310)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300)는 상기 가이드 회전 중심부(31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가이드 회전 중심부(310)는 상기 본체(200)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회전 중심부(310)에서 상기 제1랙(100)이 상기 가이드부(300)에 설치된 부분까지의 거리는 상기 가이드 회전 중심부(310)에서 상기 제2랙(200)이 상기 가이드부(300)에 설치된 부분까지의 거리는 다르다.
상기 제2랙(200)에는 상기 제1랙(100)보다 큰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서,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작은 식기는 상기 제1랙(100)에 수납하고, 상대적으로 큰 식기는 상기 제2랙(200)에 수납해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랙(200)이 상기 제1랙(100)에 비해서 아래쪽에 위치한 상태(도 2의 상태)에서는 상기 제2랙(200)이 상기 제1랙(100)로부터 떨어진 높이 간격은 상기 제1랙(100)이 상기 본체(200)의 천장에 떨어진 높이 간격에 비해서 크다. 상기 제1랙(100)에 수납가능한 높이 공간과 상기 제2랙(200)에 수납가능한 높이 공간을 다르게 하기 위해서, 상기 가이드부(300)의 상기 회전 중심부(310)를 중심으로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00)에는 상기 본체(20)의 내부 벽을 향해서 돌출된 돌기가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부(300)는 상기 제1랙(100)에 인접하게 마련된 제1돌기(320)와 상기 제2랙(200)에 인접하게 마련된 제2돌기(34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00)의 내측 벽에는 상기 제1돌기(320)와 상기 제2돌기(340)가 삽입되어서, 안내되는 가이드 홈(440, 420)이 형성된 가이드 판(400)이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판(400)은 상기 본체(20)의 좌측 및 우측 벽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홈(440, 420)은 내측으로 함몰되어서, 상기 제1돌기(320)와 상기 제2돌기(340)의 이동 궤적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440, 420)은 상기 제1돌기(320)와 상기 제2돌기(340)이 상기 가이드 홈(440, 420)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가이드 홈(440, 420)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440, 420)은 상기 제1돌기(320)의 이동 궤적이 안내되는 제1가이드 홈(420)와 상기 제2돌기(340)의 이동 궤적이 안내되는 제2가이드 홈(4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가이드 홈(420)과 상기 제2가이드 홈(440)은 상기 가이드 판(400)에 함께 형성되어 있지만, 홈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홈(420, 440)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홈(440, 420)으로 진입한 돌기는 다른 가이드 홈으로 이동될 수 없다.
상기 제1가이드 홈(420)의 전체 궤적은 상기 제2가이드 홈(440)의 궤적보다 커서, 상기 제1가이드 홈(420)의 내부에서 안내되는 상기 제1돌기(320)는 상기 제2가이드 홈(440)의 내부에서 안내되는 상기 제2돌기(320)보다 큰 궤적을 그리면서 상기 가이드 판(400)에서 이동된다.
상기 제1가이드 홈(420)은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1수평 홈(422)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1수직 홈(424)을 포함한다. 상기 제1수직홈(424)를 기준으로 양단에 두 개의 상기 제1수평 홈(422)이 배치된다. 상기 제1돌기(320)가 상기 제1가이드 홈(420)으로 진입하기 위한 개구부는 상기 제1수평 홈(424)에 마련된다. 상기 제1수직 홈(424)은 후방을 향해서 볼록한 곡선 궤적을 이루어서, 상기 제1돌기(320)는 상기 제1수직 홈(424)의 내부에서 곡선 궤적을 이루면서 이동된다.
상기 제2가이드 홈(440)은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수평 홈(442)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수직 홈(444)을 포함한다. 상기 제2수직홈(444)를 기준으로 양단에 두 개의 상기 제2수평 홈(442)이 배치된다. 상기 제2돌기(340)가 상기 제2가이드 홈(440)으로 진입하기 위한 개구부는 상기 제2수평 홈(444)에 마련된다. 상기 제2수직 홈(444)은 후방을 향해서 볼록한 곡선 궤적을 이루어서, 상기 제2돌기(340)는 상기 제2수직 홈(444)의 내부에서 곡선 궤적을 이루면서 이동된다.
상기 제1랙(100)의 하부에는 상기 제1랙(100)이 이동되면 함께 이동되는 제1분사부(700)가 마련된다. 상기 제1분사부(700)는 상기 제1랙(100)을 향해서 상방향으로 물 또는 스팀을 분사해서 상기 제1랙(100)에 수납되어 있는 식기에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랙(200)의 하부에는 상기 제2랙(200)이 이동되면 함께 이동되는 제2분사부(800)가 마련된다. 상기 제2분사부(800)는 상기 제2랙(200)을 향해서 상방향으로 물 또는 스팀을 분사해서 상기 제2랙(200)에 수납되어 있는 식기에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본체(200)에는 수평 운동을 안내하는 레일(500)이 구비된다. 상기 레일(500)은 상기 가이드 부(300)의 상기 가이드 회전 중심부(310)를 바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레일(500)을 사이에 두고, 상기 레일(500)을 감싸면서 커버 부재(610)와 수평 구동부(600)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 부재(610)와 상기 수평 구동부(600)는 서로 결합되어서, 상기 레일(500)에서 안내하는 것처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수평 구동부(600)는 상기 가이드부(300)에 결합되어서, 상기 가이드부(3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수평 구동부(600)의 하단에는 상기 수평 구동부(600)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63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 모터(630)는 상기 수평 구동부(600)에 회전력을 제공해서, 상기 구동 모터(630)가 구동되어 회전력이 발생되면, 상기 수평 구동부(600)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630)는 상기 제1랙(100) 또는 상기 제2랙(20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수평 구동부(60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평 구동부(60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기어가 구비되어서, 상기 구동 모터(63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상기 수평 구동부(600) 내부의 기어를 통해서 전달해서, 상기 레일(500)에 대해서 상기 수평 구동부(600)가 이동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300)의 내부에도 복수 개의 기어가 구비되어서, 상기 가이드 부(300)가 회전되는 동안에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의 수평이 유지되어서, 수납된 식기가 랙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평 구동부(600)의 기어는 상기 가이드 부(300)의 내부에 구비된 기어에 맞물려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구동부(600)와 상기 가이드 부(300)가 결합된다. 즉 상기 수평 구동부(600)의 기어 중에 하나의 회전축이 상기 가이드 부(300)의 기어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랙(100)은 상기 제1랙(100)이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1가이드 레일(1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랙(100)은 상기 제1가이드 레일(150)에 의해서 양측이 지지되어서, 높이는 변화하지 않고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 레일(150)이 상기 가이드 부(300)에 결합된다.
상기 제2랙(200)은 상기 제2랙(200)이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가이드 레일(250)을 포함한다. 상기 제2랙(200)은 상기 제2가이드 레일(250)에 의해서 양측이 지지되어서, 높이는 변화하지 않고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 레일(250)이 상기 가이드 부(300)에 결합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 중에서 상측에 위치한 랙을 이동시키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900)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900)는 상측에 위치한 랙을 이동시킨 후에 특정한 변화가 감지되면, 관련된 신호가 발생했음을 제어부(1000)에 전달한다. 상기 감지부(900)는 사용자가 상측에 위치한 랙의 높이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랙을 누르는 행위가 발생하면 그에 따라 랙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감지부(900)에서 사용자가 랙의 높이를 변화하고자 하는 신호로 설정된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구동 모터(630)를 구동한다. 상기 구동 모터(630)가 구동되면, 상기 구동 모터(630)에서 회전력이 발생되고, 상기 수평 구동부(600)가 수평 이동되면서 상기 가이드 부(300)가 회전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두 개의 랙이 위치를 교환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상기 제1랙(100)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랙(200)이 하측에 배치된다. 반면에 도 5에서는 상기 제2랙(200)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랙(100)이 하측에 배치된다.
도 4는 상기 제1랙(100)이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이 서로 위치를 바꾸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i의 과정을 통해서, 상기 제1랙(100)은 하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랙(200)은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4a에서와 같이 상기 제1랙(100)을 높이 변화 없이 전방으로 인출한 후에, 상기 제1랙(100)을 하방으로 눌러서 상기 제1랙(100)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900)은 사용자가 상기 제1랙(100)에 가해진 힘을 감지해서, 상기 제어부(1000)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구동 모터(630)를 구동시켜서, 상기 수평 구동부(600)가 수평 이동 될 수 있는 힘을 제공한다.
상기 제1돌기(320)는 상기 제1수평 홈(422)로부터 전방으로 빠져나온다. 사기 제1돌기(320)는 상기 제1수평 홈(422)에 의해서 이동 궤적이 안내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부(300)의 이동이 정해진 궤적에 따르게 된다. 동시에 상기 제2돌기(340)는 상기 제2수직 홈(444)을 따라서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2수직 홈(444)은 후방(도 4를 기준으로 우측에 해당됨)을 향해서 볼록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2돌기(340)는 후방을 향해서 볼록한 궤적을 가지면서 이동된다.
상기 제1돌기(320)가 상기 제1가이드 홈(420)으로부터 벗어나기는 했지만, 상기 제2돌기(340)가 상기 제2가이드 홈(440)에 삽입되어서 이동 궤적이 구속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부(400)의 이동은 정해진 궤적을 따른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400)의 상기 가이드 회전 중심부(310)는 상기 수평 구동부(600)에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수평 구동부(600)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이 불가하고, 수평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부(400)는 두 점에서 구속되어서 이동 궤적이 일정해질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630)에서 지속적으로 회전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수평 구동부(600)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수평 구동부(400)에 결합된 커버 부재(61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4g에 따르면, 상기 제2돌기(340)이 상기 제2수직 홈(444)를 벗어나, 상기 제2수평 홈(442)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돌기(320)가 상기 제1수평 홈(442)로 다시 들어온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2랙(200)이 하부에 위치할 때에, 상기 제2랙(200)에 식기를 수납하기 위해서, 허리를 굽힐 필요가 없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제2랙(200)을 상측으로 이동시켜서,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랙(200)이 상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제1랙(100)은 하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2랙(200)이 상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제2랙(200)의 바닥과 상기 본체(20)의 천장과의 거리는 식기를 수납할 정도로 유지될 수 있어서, 상기 제2랙(200)에 상기 제1랙(100)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큰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제2랙(200)이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이 서로 위치를 바꾸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에 따른 과정은 도 4에 따른 과정과 달리, 상기 제2랙(200)이 상기 제1랙(100)이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는 차이만 있기 때문에, 도 4에서 설명한 내용을 준용할 수 있고,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 중에 어느 하나가 전방으로 이동되어서 하부로 이동되는 동안에는 각각의 랙은 원형이 아니라 타원에 가까운 궤적을 이루면서 이동된다.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은 후방으로 이동되어서 상승하는 동안은 전방의 궤적에 비해서 전후 길이방향의 이동 거리가 짧다.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은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이 이동되는 동안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는 상기 본체(20)의 하부에 마련되는 지지부(12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200)는 상기 도어(10)에 링크부(1300)에 의해서 연결된다. 상기 도어(10)가 상기 세척 공간을 개방하면, 상기 지지부(1200)는 상기 식기 세척기가 놓여지는 바닥면에 접지를 유지하면서 상기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된다.
도 6에서는 상기 도어(10)가 완전히 세척 공간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1200)가 전방으로 완전히 인출된 상태이고, 도 7에서는 상기 도어(10)가 세척 공간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1200)가 상기 본체(10)로 완전히 인입된 상태이다.
상기 본체(20)의 바닥면(22)에는 네 개의 받침부(23)가 구비되어서, 상기 식기 세척기가 거치되는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 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받침부(23)는 상기 바닥면(22)의 네 모서리에 배치되어서, 상기 바닥면(22)이 식기 세척기가 놓이는 바닥면에 맞닿지 않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1200)에는 전방에 두 개의 바퀴(1390)가 구비되어서, 상기 지지부(1200)가 식기 세척기가 놓이는 바닥에 접지된 상태에 유지되면서, 상기 지지부(1200)가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퀴(1390)는 상기 지지부(1200)의 꼭지점 부근에 배치되어서, 상기 지지부(1200)를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부(1200)가 상기 본체(20)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부(1200)의 전면(1201)와 상기 본체(10)의 전면(21)이 서로 평행이 되게 배치된다.
상기 본체(10)의 전면은 상기 도어(10)가 배치되는 공간에 비해서, 후방으로 후퇴되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지지부(1200)의 전면(1201)도 상기 도어(10)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도 8은 도어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9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8 및 도 9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10)와 상기 지지부(1200)를 연결하는 링크부(1300)는 상기 도어(10)의 하단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1320)와, 상기 제1링크(1320)에 연결되고, 중앙에 고정된 회전축(1346)에 대해서 회전되는 제2링크(1340)와, 상기 제2링크(1340)에 연결되어, 상기 제2링크(1340)의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제3링크(1360)와, 상기 제3링크(1360)에 연결되어 길이의 변화가 가능한 신축부(137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링크(1320)는 긴 바의 형태로 이루어져서, 일단은 상기 도어(10)의 하면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링크(1320)의 타단은 측면 방향으로 안내홈(1322)가 형성된다.
상기 제2링크(1340)은 중앙 부위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0)에 고정된다. 상기 제2링크(1340)은 상기 회전축(1346)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링크(1340)의 일단에는 상기 안내홈(1322)에 삽입되어서, 상기 안내홈(1322)에 의해서 이동 궤적이 안내되는 돌기(1342)가 마련된다. 상기 돌기(1342)는 상기 안내홈(1322)에 삽입되어서 가이드되도록, 상기 안내홈(1322)의 구멍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1322)은 상기 제1링크(1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서, 상기 돌기(1342)는 상기 안내홈(1322)의 내에서 안내홈(13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돌기(1342)는 모서리가 곡선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에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안내홈(1322)은 상기 돌기(1342)가 안내홈(13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안내되도록 높이는 상기 돌기(13342)에 유사한데, 길이 방향은 상기 돌기(1342)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링크(1340)의 타단에는 상기 제3링크(1360)에 연결된다. 상기 제3링크(1360)는 상기 제2링크(1340)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3링크(1360)의 타단에는 상기 신축부(1370)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신축부(1370)가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신축부(1370)는 상기 식기 세척기가 놓이는 바닥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신축부(1370)는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서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질 수 있다. 상기 신축부(1370)는 복수 개의 바가 서로 대칭을 이루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자바라인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3링크(1360)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신축부(1370)는 길이가 짧아지거나 길어질 수 있다.
상기 신축부(1370)는 복수 개의 바가 서로 교차되면서, 서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신축부(1370)는 복수 개의 바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길이가 길어질 수도 있고,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상기 신축부(1370)은 상기 신축부(1370)의 일단이 상기 본체(20)에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1372)가 마련된다. 상기 신축부(1370)는 상기 고정부(1372)가 고정되어서, 상기 제3링크(1360)의 위치나 상태가 변화하더라도, 상기 고정부(1372)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신축부(1370)의 일단은 상기 지지부(1200)에 고정되어서, 상기 신축부(1370)가 인장되면 상기 지지부(1200)가 상기 본체(2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신축부(1370)가 축소되면 상기 지지부(1200)가 상기 본체(20)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신축부(1370)의 일단은 상기 지지부(1200)에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결합되어서, 상기 신축부(1370)의 직선 방향 운동만이 상기 지지부(1200)의 위치에 영향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20)에는 상기 신축부(1370)의 연장 방향을 안내하는 레일(1380)이 구비된다. 상기 레일(1380)는 상기 본체(20)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12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상기 레일(1380)에는 상기 신축부(1370)에 마련된 복수 개의 돌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일부 돌기가 상기 레일(138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신축부(1370)의 길이가 변화할 수 있다.
상기 본체(20)는 세척 공간의 하부에 상기 지지부(1300)가 결합되는 전면(1201)은 상기 도어(10)가 배치되는 부분보다 후방으로 배치된다.
상기 도어(10)는 상기 본체(20)에 풀 다운 방식으로 세척 공간을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축(30)에 의해서 결합된다. 상기 힌지축(30)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서, 상기 도어(10)는 상기 본체(20)에 대해서 수평 방향을 회전축으로 해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는 상기 힌지축(30)의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도어(10)가 상기 힌지축(30)에 대해서 완전히 회전되면, 상기 도어(10)의 하단은 상기 본체(10)의 전면(21)에 맞닿을 수 있다. 즉 상기 도어(10)는 상기 힌지축(3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도 8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10)에서 상기 힌지축(30) 보다 낮은 위치에 상기 제1링크(1320)가 상기 도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0)가 회전되면, 상기 제1링크(1320)의 일단은 상기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궤적을 그리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10)가 세척 공간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10)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면 세척 공간을 개방한다. 사용자는 상기 도어(10)의 상측을 잡고, 상기 도어(10)를 상기 힌지축(30)에 대해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10)가 회전되면, 상기 도어(10)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제1링크(1320)도 함께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1링크(1320)는 상기 도어(10)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제1링크(1320)도 상기 힌지축(30)에 대해서 회전된다. 상기 안내홈(1322) 내에서 상기 돌기(1342)가 어느 정도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도어(10)가 소정 각도 만큼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링크(1320)가 상기 도어(10)와 함께 이동되지만, 상기 제2링크(1340)는 이동되지 않는다.
상기 도어(1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세척 공간을 개방하는데, 상기 도어(1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링크(1320)의 후단은 대략 후방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돌기(1342)가 상기 안내홈(1322)의 내부에서 상기 안내홈(1322)의 일단에 맞닿을 때까지, 상기 제1링크(1320)가 이동더라도 상기 제2링크(1340)는 이동되지 않는다. 즉 상기 안내홈(1322)이 상기 돌기(1342)에 맞닿아서 상기 제2링크(1340)가 이동될 때까지, 상기 도어(10)가 회전되더라도 상기 지지부(1200)는 전방으로 인출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상기 도어(10)는 식기가 수납되는 본체(20)에 비해서 무게가 많이 나가지 않는다. 따라서, 도어의 일부 개방하더라도, 식기 세척기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많이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전복의 위험성이 없고, 상기 지지부(1200)를 전방으로 인출해서 접지 면적을 증가시킬 필요는 없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10)가 일정 각도 이하로 개방되면, 상기 지지부(1200)는 상기 본체(20)로부터 인출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본체(20)의 전면(21)과 상기 지지부(1200)의 전면(1201)이 서로 하나의 평면 상에 배치되어서, 사용자는 상기 지지부(1200)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다가 사용자가 상기 도어(10)를 일정 각도 이상 개방하면, 상기 제2링크(1340)이 이동되기 시작하면서, 상기 지지부(1200)가 전방으로 인출되기 시작할 수 있다.
상기 도어(1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각도가 증가되면, 상기 제2링크(1340)의 이동이 증가되면서 상기 지지부(1200)가 전방으로 인출되는 길이가 증가 된다. 즉 상기 도어(10)의 개방 각도에 따라 상기 지지부(1200)의 인출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10)의 개방 각도가 증감함에 따라 상기 지지부(1200)의 인출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링크(1320)에서 상기 안내홈(1322)이 형성된 부분은 후방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제2링크(1340)가 상기 회전축(1346)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2링크(1340)의 상단은 우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링크(1340)의 하단은 좌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2링크(1340)의 하단은 상기 제3링크(136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제2링크(1340)의 하단이 상기 회전축(1346)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3링크(1360)은 좌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3링크(1360)가 상기 신축부(137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은 좌측으로 이동되려고 한다. 상기 신축부(1370)는 상기 레일(1380)에 좌우방향(도 8 내지 도 10을 기준)으로만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신축부(1370)의 일단은 상기 본체(20)에 상기 고정부(1372)를 통해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3링크(1360)가 상기 신축부(1370)에 결합된 부분이 좌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신축부(1370)의 길이는 연장되면서, 상기 지지부(1200)는 상기 도어(10)가 위치한 방향으로 인출된다.
이때 상기 바퀴(1390)가 식기 세척기의 본체(20)의 받침부(23)가 배치된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지지부(1200)가 상기 본체(20)로부터 인출되거나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바퀴(1390)은 바닥에 접지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지지부(1200)가 인출되면 본체(20)가 바닥에 접지되는 면적이 증가해서, 상기 식기 세척기의 무게 중심으로 도어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식기 세척기가 전복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10)가 세척 공간을 닫으면, 상기 지지부(1200)는 상기 본체(1200)로 인입된다. 상기 도어(10)가 상기 힌지축(30)에 대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도어(10)가 세척 공간을 밀폐하는데, 상기 지지부(1200)가 상기 본체(20)로 인입되는 과정은 상술한 설명을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도 11은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1을 설명하면, 상기 본체(20)에 결합되고, 상기 제1랙(10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가이드 레일(150)과, 상기 제2랙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가이드 레일(2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1200)가 상기 도어(10)의 이동에 따라 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을 종래 기술보다 더 많이 인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이 상기 가이드부(300)에 의해서 회전될 때에는 상기 제1랙(100) 또는 상기 제2랙(200)이 사용자를 향해서 많이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랙에 식기가 수납된 상태에서는 랙이 회전되는 동안 식기 세척기 전체의 무게 중심이 사용자를 향한 전방 쪽으로 이동되고, 식기 세척기의 전복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10)가 세척 공간을 개방한 상태에는 상기 지지부(1200)가 전방으로 인출되어서, 식기 세척기가 바닥에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되어, 무게 중심이 이동되더라도 전복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어 감지부(1410)에서 관련 정보를 상기 제어부(10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감지부(1410)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10)를 개방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어 감지부(1410)는 상기 도어(10)가 상기 본체(20)에 접촉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상기 도어 감지부(1410)는 상기 도어(10)를 얼마나 개방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경우에 상기 도어 감지부(1410)는 상기 힌지축(30)에 인접하게 구비되어서, 상기 도어(10)가 회전된 각도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 감지부(1410)는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와 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를 감지해서 상기 제어부(1000)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1000)는 모터(1420)를 구동해서, 상기 지지부(1200)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터(1420)는 회전력을 발생시켜서, 상기 지지부(1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다른 실시예는 일 실시예와 달리 상기 도어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가 제어부에 전달되어서, 모터에 의한 힘에 의해서 지지부가 이동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20)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부(1200)를 인출시킬 수 있는 상기 모터(1420)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1420)에는 상기 모터(1420)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기어 박스(145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1200)에는 일단에 결합편(1440)이 마련되고, 상기 결합편(1440)과 상기 기어 박스(1450)는 스크류(1430)에 의해서 결합된다. 상기 기어 박스(1450)는 상기 스크류(1430)를 상기 모터(1420)의 회전축에 연결해서, 상기 모터(1420)가 회전되면 상기 스크류(1430)도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편(1440)에는 상기 스크류(1430)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스크류(1430)가 회전되면 상기 결합편(1440)는 좌우 방향(도 13 및 도 14를 기준)으로 수평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모터(1420)에 의해서 발생되는 회전력은 상기 기어 박스(1450), 상기 스크류(1430) 및 상기 결합편(1440)을 통해서 상기 지지부(120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힘을 제공한다. 상기 결합편(1440)은 상기 지지부(1200)에 구비되어서, 상기 결합편(1440)이 이동되면 그에 따라 상기 지지부(1200)도 함께 이동된다.
상기 제어부(1000)에서는 상기 모터(1420)를 회전시켜서, 상기 지지부(1200)가 상기 본체(20)로부터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도어 감지부(1410)에서 도어 개방이 되면 상기 모터(1420)을 즉시 구동해서, 상기 지지부(1200)를 인출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도어 감지부(1410)에서 도어 개방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이루어질 때까지 기다린 후에, 상기 모터(1420)을 구동해서, 상기 지지부(1200)를 인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지지부(1200)의 인출 거리가 증가하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지지부(1200)의 인출 거리가 감소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감지부(1410)에서 감지되는 각도가 일정 각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1200)가 상기 본체(20)에 완전히 인입되어서 상기 지지부의 전면과 상기 본체의 전면이 하나의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도어
20: 본체
100: 제1랙 200: 제2랙
300: 가이드부 400: 가이드 판
500: 레일 600: 수평 구동부
700: 제1분사부 800: 제2분사부
1000: 제어부
100: 제1랙 200: 제2랙
300: 가이드부 400: 가이드 판
500: 레일 600: 수평 구동부
700: 제1분사부 800: 제2분사부
1000: 제어부
Claims (11)
- 식기의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세척 공간을 풀다운 방식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식기가 수납되는 제1랙;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식기가 수납되는 제2랙;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감지부;
상기 본체의 바닥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는 지지부;및
상기 감지부에서 도어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지지부를 전방으로 인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감지부는 도어의 개방 정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에 따라 상기 지지부의 인출 거리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지지부의 인출 거리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일정 각도 이상 개방되면, 상기 지지부를 인출하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세척 공간을 닫으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 제1항에 있어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서 회전되고,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스크류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를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하는 기어박스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랙와 상기 제2랙을 함께 회전시키는 가이드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1랙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가이드 레일과,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2랙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0594A KR20200102227A (ko) | 2019-02-21 | 2019-02-21 | 식기 세척기 |
PCT/KR2019/017276 WO2020122519A1 (ko) | 2018-12-10 | 2019-12-09 | 식기 세척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0594A KR20200102227A (ko) | 2019-02-21 | 2019-02-21 | 식기 세척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2227A true KR20200102227A (ko) | 2020-08-31 |
Family
ID=72234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0594A KR20200102227A (ko) | 2018-12-10 | 2019-02-21 | 식기 세척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02227A (ko) |
-
2019
- 2019-02-21 KR KR1020190020594A patent/KR2020010222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860227B1 (en) | Textile product treating apparatus having an ultrasonic cleaning device | |
US10244918B2 (en) | Dish 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US9598811B2 (en) | Washing machine | |
US9282873B2 (en) | Dish washing machine | |
JP4615185B2 (ja) | 人間工学的食器洗浄機 | |
CN106028897B (zh) | 洗碗机和其控制方法 | |
KR102094838B1 (ko) | 디스플레이 유닛을 갖는 가전 제품 | |
CN2925384Y (zh) | 餐具清洗机 | |
EP2155948B1 (en) | Laundry machine | |
US9706896B2 (en) | Dishwasher | |
KR20210014942A (ko) |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
KR20200102227A (ko) | 식기 세척기 | |
KR20200102226A (ko) | 식기 세척기 | |
KR20200119564A (ko) | 식기 세척기 | |
KR20200070994A (ko) | 식기 세척기 | |
JP3546809B2 (ja) | 食器洗浄機 | |
JP2004049443A (ja) | 食器洗浄機 | |
KR101146272B1 (ko) | 드럼세탁기의 세제 박스 | |
KR20210014941A (ko) | 식기세척기 | |
KR20200129856A (ko) | 식기 세척기 | |
CN219021022U (zh) | 清洁设备的基站及清洁设备系统 | |
KR20180006102A (ko) | 식기세척기 | |
KR20200119017A (ko) | 식기 세척기 | |
KR20180006100A (ko) | 식기세척기 | |
CN206880648U (zh) | 洗鞋机模块和具有其的滚筒洗衣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