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22519A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22519A1
WO2020122519A1 PCT/KR2019/017276 KR2019017276W WO2020122519A1 WO 2020122519 A1 WO2020122519 A1 WO 2020122519A1 KR 2019017276 W KR2019017276 W KR 2019017276W WO 2020122519 A1 WO2020122519 A1 WO 202012251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ack
dishwasher
water
wir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727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남보현
유선일
손정규
박규태
이원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2059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102226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2059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102227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4130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119018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4130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119017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4189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119564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5489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129856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5489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129857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012251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2251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hwash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hwasher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 the dishwasher is a household appliance that washes food residues on the surface of the dishes by high-pressur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spray nozzle.
  • the conventional dishwasher (US 7,731,805) is composed of a tub in which a washing tank is formed, and a sump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tub to store washing water.
  • the washing water is moved to the injection nozzle, and the washing water moved to the injection nozzle is injected at high pressure through the injection hole formed at the end of the injection nozzle. Then, the washing water sprayed at the high pressure hits the surface of the tableware, and dirt such as food scraps on the tableware falls to the bottom of the tub.
  • the dishwasher is usual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acks, so that each rack is provided withdrawable to the front and rear rooms. When each rack is pulled forwar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ishwasher is moved forward,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dishwasher may tip over.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dishwasher in which the dishwasher is not withdrawn even when the rack is pulled forward.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hwasher that is convenient for the user to store the dishes since the user does not have to bend over to store the dishes in the rack installed at the bottom.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hwasher that provides a structure capable of storing a corresponding tableware when washing dishes such as wine glasses or dishes, and a lot of other tableware when not washing dishes such as wine glasses or dishes. will b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hwasher capable of conveniently storing dishes in a rack when dishes such as wine glasses or dishes are not washed.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hwasher with improved hygiene of the rack. It is to provide a dishwasher that is not deformed while the configuration of the rack is moved to a thin configuration such as a wir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hwasher capable of washing dishes even when the position of the rack is chang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hwasher capable of improving washing power by supplying water or steam to various locations in the washing space.
  •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all prevention structure inside the body of the dishwashe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hwasher that is drawn out when the door is opened to widen the contact area with the bottom surface, and prevents the roll from tipping over when the rack is pulled out.
  •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ethod in which the support is driven by supplying power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 is drawn out even when the power is not supplied.
  •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providing a washing space for dishes;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washing space in a pull-down manner; It is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connected to the door by a link portion, and when the door opens the washing space, while maintaining the ground on the bottom surface is drawn out from the main body; a dishwasher comprising a to provide.
  •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that provides a washing space for dishes;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washing space in a pull-down manner; A door detection unit detecting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It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a support portion drawn out from the main body; And when the door opening is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a control unit for drawing out the support portion forward; provides a dishwasher.
  • a plurality of racks may be provided with guide rails to be withdrawn in the front, thereby increasing the withdrawal distance provided by the guide rails to the rack, thereby providing a structure in which the user can easily store dishes in the rack.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racks having different heights, and each rack has a changed height, thereby providing a dishwasher that can be arranged to change positions with each other.
  • the main body providing a washing space for dishes;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washing space in a pull-down manner; A first rack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receiving dishes; A second rack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receiving dishes; A door detection unit detecting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It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a support portion drawn out from the main body; And when the door opening is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a control unit for drawing out the support portion forward; provides a dishwasher.
  • the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detection unit detects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door.
  • control unit is a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ithdrawal distance of the support portion varies depending on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 control unit is a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ithdrawal distance of the support increases a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increases.
  • control unit when the door is opened more than a certain angle, the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to start pulling out the support.
  • the support when the door closes the washing space, the support is drawn into the main body, the dishwasher.
  • Dishwasher comprising a screw that is rotated by the motor, coupled to one end of the support.
  • the support portion is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upling piece to which the screw is rotatably coupled.
  • the dishwasher including a gear box for coupling the screw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 the dishwash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includes a guide portion for rotating the first rack and the second rack together.
  • the first guide rail is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moves the first rack in the front-rear direction
  • the second guide rail is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moves the second rack in the front-rear direction.
  •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hwasher capable of changing a structure capable of storing dishes, even without putting a hand inside the rack.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hwasher that allows the user to intuitively understand how to operate because the manipulation unit operated by the user is rotated simultaneously by the same angl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tructure capable of storing the dishes.
  •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two wire structures when operating one operation unit, so that the user's operation can be simplified.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racks having different heights, and each rack has a changed height, thereby providing a dishwasher that can be arranged to change positions with each other.
  • the main body providing a washing space for dishes; And a rack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receiving dishes.
  • the rack includes a first wire assembly provided to be fixed to the rack, a second wire assembly provided to rotate on the rack, and a front surface of the rack. It is disposed, and includes a manipula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assembly, and the manipulation portion provides a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wire assembly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ng direction.
  • the first wire assembly forms a bottom of the rack, and includes a wire on which a tableware is mounted, and the second wire assembly has a first position overlapping the first wire assembly.
  •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in, or rotated from the first position is disposed in a second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wire assembly.
  • the second wire assembly includes a wine holder wire for fixing the wine glasses, and the opera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wine holder wire, so that the wine holder operation portion is rotated together when the wine holder wire is rotated.
  •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 the wine holder wire is a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ine holder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for hanging wine glasses on one side.
  • the wine holder wire and the wine holder wire operation portion is connected by a plurality of gears, the wine holder wire and the wine holder wire operation portion is rotated at the same time in the same rotation direction dishwasher .
  • the second wire assembly includes a first plate fixing wire for fixing a dish, and a second plate fixing wire, and the operation unit fixes the first plate fixing wire and the second plate.
  • a dish holder manipulation unit connected to a wire and rotating with the two wir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the first plate fixing wire and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are rotated.
  • a pinion gear is provided on a rotating shaft of the first plate fixing wire, a pinion gear is provided on a rotating shaft of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and a pinion gear is provided on the plate holder operation part, respectively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rack gear for simultaneously rotating the pinion gear in the same direction.
  •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plate fixing wire and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ar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first plate fixing wire and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are simultaneously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 Dishwasher characterized by.
  • the operation portion includes a wine holder operation portion providing a structure for fixing a wine glass and a plate holder operation portion providing a structure for fixing a plate, and the two operation portion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independently.
  • the rack includes a first rack and a second rack rotatably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and when the guide portion is rotated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rack and the second rack are moved together.
  • the main body providing a washing space for dishes; And a rack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receiving dishes.
  • the rack includes a first wire assembly provided to be fixed to the rack, a second wire assembly provided to rotate on the rack, and a front surface of the rack. It is disposed, and includes a manipula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assembly, and when the manipulation portion is pressed, the second wire assembly is provided with a dishwasher.
  • the first wire assembly forms a bottom of the rack, and includes a wire on which a tableware is mounted, and the second wire assembly has a first position overlapping the first wire assembly.
  •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in, or rotated from the first position is disposed in a second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wire assembly.
  • the second wire assembly when the operation unit is pressed downward, the second wire assembly is rotated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while moving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 the operation portion includes a wine holder operation portion, the second wire assembly is rotated when the wine holder operation portion is press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ine holder wire for fixing the wine glasses syringe.
  • the wine holder wire is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ine holder is provided with a through-hole for hanging wine glasses on one side.
  • a gear is provided on a rotating shaft of the wine holder wire, and the wine holder operation unit has a first push bar, a first catch bar pressed by the first push bar, and a force applied to the first catch bar.
  • a dishwasher comprising a first spring that provides a restoring force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removed.
  • the operation portion includes a plate holder operation portion, the second wire assembly is rotated when the plate holder operation portion is pressed, the first plate fixing wire for fixing the plate, and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Including, but, the first dish fixed wire and the second dish fixed wire are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rotated together.
  • a pinion gear is provided on a rotating shaft of the first plate fixing wire
  • a pinion gear is provided on a rotating shaft of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 the dish holder operation unit includes a second push bar and the first 2 comprises a second locking bar pressed by the push bar, a rack gear whose movement is restricted by the second locking bar, and a second spring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force is removed from the second locking bar,
  • the rack gear is engaged with the two pinion gears, and each of the pinion gears rotates at the same time.
  • the dishwasher further comprises a damper for damping the movement speed of the rack gear.
  •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plate fixing wire and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ar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first plate fixing wire and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are rotated simultaneously in the same direction.
  • Dishwasher characterized by.
  • the operation portion includes a wine holder operation portion that provides a structure for fixing a wine glass, and a plate holder operation portion that provides a structure for fixing a plate, and the two operation portion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 Dishwasher characterized by operating independently.
  • the rack includes a first rack and a second rack rotatably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and when the guide portion is rotated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rack and the second rack are moved together.
  • the main body providing a washing space for dishes; A guide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 first rack in which tableware is stored; A first rack seating portion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and coupled to the first rack; A second rack in which tableware is stored; And a second rack seating part coupled to the guide part so as to be rotatable and coupled to the second rack.
  • a dishwasher including a;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rack, including an injection nozzle for spraying water toward the upper side, and a first injection unit moved together with the first rack.
  • a dishwasher comprising a;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rack, including a spray nozzle for spraying water toward the upper side, and a second injection part moved together with the second rack.
  • the first rack or the second rack is disposed between an upper frame disposed at an upper edge, a lower frame disposed at a lower edge, and disposed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side.
  •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side wires that are connected to the frame and the lower fram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ach height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ide wire. .
  •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re elongat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first rack or the second rack, and surround four corners of the first rack or the second rack.
  • Dishwasher characterized by.
  • the first rack or the second rack is disposed so that the first lower wire and the second lower wire forming the bottom of the first rack or the second rack perpendicularly intersect each other,
  • the first lower wire is arranged so th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second lower wire is a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first lower wire and the second lower wire are dishwasher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side wire.
  •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rack or the second rack is provided with a manipulation unit operated by a user, and a recessed portion exposing the manipulation uni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rack mounting unit or the second rack mounting unit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 the first rack seating portion or the second rack seating portion a hollow is disposed in the center, and the first rack or a portion of the second rack is accommodated in the hollow so that the first rack or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rack is coupled to the first rack seating portion or the second rack seating portion.
  • a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an inclined surface is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rack seating part or the second rack seating part to guide a position where the first rack or the second rack is seat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hwasher capable of performing the same washing at the time of rotation by applying a detachable water nozzle to both the upper and lower racks.
  • a detachable steam nozzle to both the upper and lower racks, washing can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when rotating. It is a steam nozzle applied to both the top and bottom of the rack, and the same steam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rack.
  • the upper rack loads and washes a small sized bowl
  • the lower rack loads and washes a large sized bowl
  • the sizes of the spaces for storing the bowls are different.
  • the rack is rotating, the height of the rack is changed while maintaining a different sized space.
  • the main body providing a washing space for dishes;
  • a guide portion coupled to the main body;
  • a first injection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rack, including an injection nozzle for spraying water toward the upper side, and moved together with the first rack;
  • a second injection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rack and spraying water toward the upper side, and a second injection unit that moves together with the second rack.
  • the spray nozzle is provided with a water jet port through which water is sprayed, and an angle of water sprayed from two different spray nozzles disposed in one rack is provided with a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different. do.
  • the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jet is dispos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of the first rack or the second rack.
  • the spray nozzle includes a protrusion provided on an upper side, and the water spray hole is formed in the protrusion.
  • the protrusion includes a first inclined surface opposite to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pray nozzle, and the water jet opening is formed in the first inclined surface.
  • the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prayed through the water injection hole is spray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ray nozzle is rotated.
  •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characterized in that, as it is disposed farther from the central spraying nozzle, the spraying direction of the water jetting port is directed upward.
  • a water pipe for guiding water to the spray nozzle includes a guide piece for guiding water supplied to the spray nozzle in a direction away from a rotation center of the spray nozzle Dishwasher characterized by.
  • the main body providing a washing space for dishes;
  • a guide portion coupled to the main body;
  • a first injection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rack, including an injection nozzle for spraying water toward the upper side, and moved together with the first rack;
  • a second injection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rack, including an injection nozzle for spraying water toward the upper side, and moved together with the second rack; including, the first injection unit and the second Any one of the spray units provides a dishwasher characterized by having a water pipe guiding water to the spray nozzle and a steam pipe guiding steam to the spray nozzle.
  • the water pipe and the steam pip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water and steam are not mixed until water and steam are injected through the spray nozzle.
  • the water pipe includes a first water pipe and a second water pip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team pipe.
  • the water pipe includes a water supply unit through which water is guided in the main body, and a water transfer unit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to guide water to the spray nozzle.
  • the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delivery portion is provided with a body portion on which the spray nozzle is seated.
  • a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team pipe passes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 the body part includes a central body part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water transfer part, and the water supply part includes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entral body part.
  • the steam pipe includes a steam supply unit through which steam is guided in the main body, and a steam transmission unit connected to the steam supply unit to guide steam to the injection nozzle.
  • the steam delivery part is provided with a steam nozzle tube through which steam is guided to the spray nozzle, and the steam nozzle tube is dispos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steam delivery part.
  • the dishwasher does not tip over even if the rack is pulled out forward.
  • the withdrawal distance may be secured so that the rack can be withdrawn to the front enough to accommodate the user in the rack.
  • the user when moving the rack located at the bottom to the upper side, the user does not have to hold the lower rack, so there is no need to bow down. Therefore, the user's discomfort may be improved because the user's waist is not subjected to excessive action.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ore a large amount of dishes in a form different from general dishes such as wine glasses or dishes.
  • the structure of the rack can be changed to accommodate more other dishes.
  • the bottom of the rack can be flattened so that the user can comfortably store general dishes in the rack.
  • the rack can be separated from the dishwasher, and the rack can be washed, thereby improving hygiene.
  • dishes can be washed even when the position of the rack is changed.
  • washing power for the stored dishes can be improved.
  • FIG. 1 is a front view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ior of FIG. 1;
  • FIG.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4 and 5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wo racks exchange positions.
  • FIG 6 and 7 are views from the bottom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is not open.
  •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open state.
  • FIGS. 8 and 9 are views comparing FIGS. 8 and 9.
  •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mbodiment.
  • FIG. 13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not opened in another embodiment.
  • FIG. 14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in another embodiment.
  • 1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 1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rack is located above the second rack.
  • 1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rack is located above the first rack.
  • FIG. 18 is a view illustrating a rack and an injection unit.
  • 20 is a view showing an injection unit.
  • 2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ain parts of an embodiment.
  • 22 is a view illustrating a rack and a rack seat.
  • 2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 24 and 25 are views illustrating operation of the second wire assembly in the embodiment of FIG. 23.
  • 2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FIG. 27 and 2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wire assembly in another embodiment of FIG. 26.
  • 2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30 and 31 ar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second wire assembly in the embodiment of FIG. 29.
  • 3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34 is a view for explaining main parts of an injection unit.
  • 35 is a view explaining a process of moving water.
  • 3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jection nozzle.
  • 3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rajectory of water supplied from the injection nozzle.
  • 38 is a view for explaining a main part of an injection nozzle.
  • 3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eam pipe.
  • FIG. 40 is a view explaining a rack and an injec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FIG. 1 is a front view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door 10 for opening and closing a washing space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dishwasher, and a main body 20 for providing a dish washing space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oor 10.
  •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ior of FIG. 1
  • FIG. 4A is a view showing some main parts during a process of moving a rack.
  • a first rack 100 positioned relatively high and a second rack 200 positioned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second rack 100 are provided in the washing space in which the dishes are washed.
  • the first rack 100 and the second rack 200 are provided with spaces for storing dishes.
  • the first rack 100 and the second rack 200 are made of wire, and an opening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to allow a user to mount dishes on the first rack 100 and the second rack 200. Can be.
  • the main body 20 is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300 in which the first rack 100 and the second rack 200 are rotatably coupled, respectively.
  • the first rack 10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guide part 300
  • the second rack 20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guide part 300.
  • the guide part 300 is provided with a guide rotation center 310, and the guide part 300 is rotated around the guide rotation center 310.
  • the guide rotation center 310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main body 200.
  • the distance from the guide rotation center 310 to the portion where the first rack 100 is installed in the guide part 300 is the second rack 200 in the guide rotation center 310, the guide part 300 The distance to the part installed in is different.
  • the second rack 200 secures a space in which larger dishes than the first rack 100 can be stored, so that the user stores relatively small dishes in the first rack 100 and relatively large dishes. Is stored in the second rack 200 to wash the dishes.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rack 200 is located lower than the first rack 100 (the state of FIG. 2 ), the height interval at which the second rack 20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rack 100 is the The first rack 100 is large compared to the height gap dropped on the ceiling of the main body 200. In order to make the height space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rack 100 different from the height space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rack 200, the first rack is centered around the rotation center 310 of the guide part 300. The 100 and the second rack 200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locations.
  • the guide part 300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20.
  • the guide part 300 includes a first protrusion 320 provided adjacent to the first rack 100 and a second protrusion 340 provided adjacent to the second rack 200.
  • the first protrusion 320 and the second protrusion 340 are inserted to provide a guide plate 400 in which guide grooves 440 and 420 are guided.
  • the guide plate 400 is disposed to be fixed to the left and right walls of the main body 20, and the guide grooves 440 and 420 are recessed inward, so that the first protrusion 320 and the second protrusion ( 340) can be guided.
  • the guide grooves 440 and 420 are openings through which the first protrusion 320 and the second protrusion 340 may be introduced into or out of the guide grooves 440 and 420. Is formed.
  • the guide grooves 440 and 420 include a first guide groove 420 in which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first projection 320 is guided, and a second guide groove 440 in which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second projection 340 is guided. It includes.
  • the first guide groove 420 and the second guide groove 440 are formed together in the guide plate 400, but the grooves do not overlap each other. Therefore, the protrusion that has entered one of the guide grooves 420 and 440 cannot be moved to the other guide groove.
  • the entire trajectory of the first guide groove 420 is larger than the trajectory of the second guide groove 440, and the first protrusion 320 guided in the first guide groove 420 is the second guide It is moved in the guide plate 400 while drawing a trajectory larger than the second protrusion 320 guided in the groove 440.
  • the first guide groove 420 includes a first horizontal groove 422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first vertical groove 424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Two first horizontal grooves 422 are disposed at both ends based on the first vertical groove 424. An opening for the first protrusion 320 to enter the first guide groove 420 is provided in the first horizontal groove 424.
  • the first vertical groove 424 forms a convex curve trajectory toward the rear, and the first protrusion 320 moves while forming a curved trajectory inside the first vertical groove 424.
  • the second guide groove 440 includes a second horizontal groove 442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second vertical groove 444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Two second horizontal grooves 442 are disposed at both ends based on the second vertical grooves 444. An opening for the second protrusion 340 to enter the second guide groove 440 is provided in the second horizontal groove 444.
  • the second vertical groove 444 forms a convex curve trajectory toward the rear, and the second protrusion 340 is moved while forming a curved trajectory inside the second vertical groove 444.
  • a lower part of the first rack 100 is provided with a first injection unit 700 that moves together when the first rack 100 is moved.
  • the first injection unit 700 may supply water or steam to dishes stored in the first rack 100 by spraying water or steam upwards toward the first rack 100.
  • a second injection unit 800 When the second rack 200 is moved, a second injection unit 800 is moved below the second rack 200.
  • the second injection unit 800 may supply water or steam to dishes stored in the second rack 200 by spraying water or steam upwards toward the second rack 200.
  • the main body 200 is provided with a rail 500 for guiding horizontal movement.
  • the rail 500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guide rotation center 310 of the guide part 300.
  • a cover member 610 and a horizontal driving part 600 are provided while surrounding the rail 500 with the rail 500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cover member 610 and the horizontal driving part 60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may be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guided by the rail 500.
  • the horizontal driving part 600 is coupled to the guide part 300, so that the guide part 300 can be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 a driving motor 630 that provides power to the horizontal driving unit 600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horizontal driving unit 600.
  • the driving motor 630 provides rotational force to the horizontal driving unit 600, and when the driving motor 630 is driven to generate rotational force, the horizontal driving unit 600 may be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 the driving motor 630 may selectively provide driving force for advancing or reversing the horizontal driving unit 60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rack 100 or the second rack 200.
  • a plurality of gears are provided inside the horizontal driving part 600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motor 630 through the gear inside the horizontal driving part 600, so that the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rail 500
  • the driving unit 600 may be implemented to move.
  • a plurality of gears are also provided inside the guide part 300 so that the horizontality of the first rack 100 and the second rack 200 is maintained while the guide part 300 is rotated, so that the stored tableware Can prevent it from falling off the rack.
  • the horizontal driving part 600 and the guide part 300 are coupled to the gear of the horizontal driving part 600 so as to engage a gear provided inside the guide part 300 and transmit rotational force. That is, it is possible that one rotation axis among the gears of the horizontal driving part 600 is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gear of the guide part 300.
  • the first rack 100 includes a first guide rail 150 that allows the first rack 100 to be pulled forward.
  • the first rack 100 is supported on both sides by the first guide rail 150, so that the height can be moved forward without changing.
  • the first guide rail 150 is coupled to the guide part 300.
  • the second rack 200 includes a second guide rail 250 to allow the second rack 200 to be pulled forward.
  • the second rack 200 is supported on both sides by the second guide rail 250, so that the height can be moved forward without changing.
  • the second guide rail 250 is coupled to the guide part 300.
  • FIG.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first rack 100 and the second rack 200 includes a sensing unit 900 that detects moving a rack located above.
  • the detection unit 900 transmits to the control unit 1000 that a related signal has occurred.
  • the sensing unit 900 may sense a force applied to the rack accordingly when an action of pressing the rack occurs.
  • the control unit 1000 drives the driving motor 630 when the signal set by the user to change the height of the rack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900.
  • the driving motor 630 is driven, a rotational force is generated in the driving motor 630, and the guide unit 300 may be rotated while the horizontal driving unit 600 is horizontally moved.
  • 4 and 5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wo racks exchange positions.
  • the first rack 10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second rack 20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 the second rack 20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first rack 10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 FIG 4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first rack 100 and the second rack 200 change positions with each other while the first rack 10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 the first rack 100 may be moved downward and the second rack 200 may be moved upward.
  • the first rack 100 can be pressed downward to exert a force on the first rack 100.
  • the sensing unit 900 senses the force applied to the first rack 100 by the user,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000.
  • the control unit 1000 drives the driving motor 630 to provide a force for the horizontal driving unit 600 to be horizontally moved.
  • the first protrusion 320 is pulled forward from the first horizontal groove 422. Since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fraudulent first projection 320 is guided by the first horizontal groove 422, the movement of the guide unit 300 follows the predetermined trajectory. At the same time, the second protrusion 340 is moved upward along the second vertical groove 444.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vertical groove 444 is formed convex toward the rear (corresponding to the right side based on FIG. 4 ), the second protrusion 340 is moved while having a convex trajectory toward the rear.
  • the movement trajectory is in a restrained state.
  • the movement of the guide part 400 follows a predetermined trajectory.
  • the guide rotation center 310 of the guide part 400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driving part 600, and the horizontal driving part 600 cannot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an only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refore, the guide portion 400 is constrained at two points, so that the movement trajectory can be constant.
  • the user does not need to bend a waist in order to receive dishes in the second rack 200. That is, the user may move the second rack 200 upward to store dishes.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rack 200 is moved upward, the first rack 100 is moved downward.
  • FIG 5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first rack 100 and the second rack 200 change positions with each other while the second rack 20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 each rack is moved while forming a trajectory close to an ellipse rather than a circle. While the first rack 100 and the second rack 200 are moved rearward and ascending, the moving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horter than the front trajectory.
  • FIG. 6 and 7 are views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viewed from below.
  • the dishwasher includes a support 1200 provided under the main body 20.
  • the support part 1200 is connected to the door 10 by a link part 1300.
  • the support part 1200 is drawn out from the main body while maintaining ground on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dishwasher is placed.
  • Each support portion 23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main body 20, and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loor on which the dishwasher is mounted.
  • the base 23 is disposed at four corners of the bottom surface 22 so that the bottom surface 22 does not contact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dishwasher is placed.
  • the supporter 1200 is provided with two wheels 1390 at the front, so that the supporter 1200 can be pulled forward while the supporter 1200 remains grounded on the floor on which the dishwasher is placed. .
  • the wheel 1390 is disposed near the vertex of the support part 1200 to support the support part 1200 from both sides.
  •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s disposed to be retracted rearward compared to the space in which the door 10 is disposed, so that the front surface 1201 of the support part 1200 is also located behind the door 10.
  •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not opened
  •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 FIG. 10 is a view comparing FIGS. 8 and 9.
  • the link unit 1300 connecting the door 10 and the support unit 1200 is provided with a first link 1320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door 10. ,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1320, the second link (134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haft 1346 fixed to the center, and the second link (1340), the second link (1340) It includes a third link (1360) for converting the motion of the linear motion, and a stretchable part (1370) connected to the third link (1360) is possible to change the length.
  • the first link 13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bar,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oor 10.
  •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1320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1322 in the lateral direction.
  • the second link 1340 is fixed to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central portion can rotate.
  • the second link 1340 may be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bout the rotation axis 1346.
  • the protrusion 1342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hole of the guide groove 1322 to be guid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322.
  • the guide groove 1322 is formed long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link 1320, so that the protrusion 1342 move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1322 within the guide groove 1322. It is possible.
  • the protrusion 1342 has a shape similar to a rectangle having a curved corner, and the guide groove 1322 is raised to increase the height such that the protrusion 1342 is gu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1322. Similar to, it is possible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longer than the projection (1342).
  •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1340 is connected to the third link 1360.
  • the third link 136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link 1340.
  • the elastic part 137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link 1360. That is,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1370 is disposed to be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1370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dishwasher is placed.
  • the stretchable portion 1370 may be lengthened or shortene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art 1370 may be a Java line in which a plurality of bars are rotatably connected while being symmetrical to each other. That i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third link 1360, the length of the stretchable part 1370 may be shortened or lengthened.
  •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1370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bars are intersected with each other to be rotatable with each other.
  • the stretchable part 1370 may be lengthened or shortened according to a direction in which a plurality of bars are rotated.
  •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1370 is provided with a fixing unit 1372 for fixing one end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1370 so as not to move to the main body 20.
  • the fixing part 1372 is fixed to the elastic part 1370, so that even when the position or state of the third link 1360 changes, the fixing part 1372 remains fixed.
  • One end of the stretchable part 1370 is fixed to the support part 1200, so that when the stretchable part 1370 is tensioned, the support part 1200 may be withdrawn from the main body 20. On the other hand, when the elastic part 1370 is reduced, the support part 1200 may be drawn into the main body 20.
  • One end of the stretchable part 1370 is coupled to the support part 1200 in a rotatable manner, so that only the linear motion of the stretchable part 1370 can affect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art 1200.
  • the main body 20 is provided with a rail 1380 for guidi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expansion/contraction part 1370.
  • the rail 1380 is fixed to the main body 20 and is disposed lo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1200.
  •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provided on the expansion/contraction part 1370 are movably coupled to the rail 1380 so that some projections are inserted into the rail 1380 so that the expansion/contraction part 1370 is provided. The length of can be changed.
  • the main body 20 has a front surface 1201 where the support part 1300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space, and is disposed rearward than a portion where the door 10 is disposed.
  • the door 10 is coupled by the hinge shaft 30 to open the washing space in a pull-down manner to the main body 20.
  • the hinge shaft 30 is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door 10 can be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ith the horizontal axis as the rotation axis relative to the main body 20.
  • the door 10 is disposed so as to extend downward of the hinge shaft 30, so that when the door 10 is complete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hinge shaft 30, the lower end of the door 10 is the main body 10 ) May be in contact with the front face 21. That is, the door 10 is formed to extend to both sides around the hinge shaft 30.
  • the first link 13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oor 10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hinge axis 30 in the door 10. Therefore, when the door 10 is rotated, one end of the first link 1320 draws a trajectory that is rotated around the hinge axis 30.
  • the washing space When the user closes the washing space with the door 10 closed, the washing space is opened when the door 10 is rotated downward. The user can hold the upper side of the door 10 and rotate the door 10 relative to the hinge shaft 30.
  • the first link 132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oor 10 is also rotated.
  • the first link 1320 is also rotated with respect to the hinge shaft 30. Since the protrusion 1342 can be moved to a certain extent within the guide groove 1322, when the door 1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first link 1320 together with the door 10 However, the second link 1340 is not moved.
  • the door 1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o open the washing space.
  • the rear end of the first link 1320 is moved approximately rearward. That is, even if the first link 1320 moves, the second link 1340 is not moved until the protrusion 1342 contacts one end of the guide groove 1322 from the inside of the guide groove 1322. Does not. That is, even if the door 10 is rotated until the guide groove 1322 contacts the protrusion 1342 and the second link 1340 moves, the support part 1200 is not pulled forward.
  • the door 10 does not weigh much compared to the main body 20 in which dishes are stored.
  • the support part 1200 maintains a state that is not withdrawn from the main body 20.
  • the front surface 21 of the main body 20 and the front surface 1201 of the support part 1200 are disposed on one plan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user may not recognize the existence of the support part 1200.
  • the second link 1340 starts to move, and the support 1200 can start to be pulled forward.
  • the withdrawal distance of the support part 1200 may vary according to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10. Specifically, a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10 increases or decreases, the withdrawal distance of the support part 1200 may be increased.
  • a portion in which the third link 136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elastic part 1370 is intended to be moved to the left.
  • the elastic part 1370 is fixed to the rail 1380 so as to be movable only in the left-right direction (based on FIGS. 8 to 10), and one end of the elastic part 1370 is fixed to the main body 20 It is fixed through (1372). Therefore, when the portion of the third link 1360 coupled to the telescopic portion 1370 moves to the left, the length of the telescopic portion 1370 is extended, and the supporter 1200 is located in the door 10 Direction.
  • the wheel 1390 is disposed at the same height as the base 23 of the main body 20 of the dishwasher is disposed, so that the support 1200 is withdrawn or drawn in from the main body 20.
  • the wheel 1390 remains grounded on the floor.
  • an area in which the main body 20 is grounded on the floor increases, so that even if the dishwasher is moved toward the door towar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ishwasher, the dishwasher can be prevented from tipping over.
  • the support part 1200 is introduced into the body 1200.
  • the door 10 is rotated 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hinge shaft 30, the door 10 closes the washing space, and the process in which the support part 1200 is drawn into the body 20 is described above. Is made in reverse order.
  •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mbodiment.
  • a first guide rail 150 coupled to the main body 20 and moving the first rack 100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second guide moving the second rack in the front-rear direction It includes a rail 250.
  • the support part 1200 can be withdra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oor 10, the user can withdraw the first rack 100 and the second rack 200 more than the prior art. have.
  • the first rack 100 and the second rack 200 are rotated by the guide unit 300, the first rack 100 or the second rack 200 is directed toward the user a lot forward. Can be withdrawn.
  •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ntire dishwasher is moved toward the front toward the user, and the possibility of the dishwasher to overturn may increase.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door 10 is open to the washing space, the support part 1200 is pulled forward, so that the area where the dishwash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loor is increased, so that even if the center of gravity is moved, it is prevented from tipping over. do.
  • the door detection unit 1410 may provide rela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000.
  • the door detection unit 1410 may detect whether the user has opened the door 10. In this case, the door detection unit 1410 can detect whether the door 10 has contacted the main body 20. On the other hand, the door detection unit 1410 can detect how much the door 10 is opened. In this case, the door detection unit 141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hinge shaft 30, so that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angle at which the door 10 is rotated.
  • the door detection unit 1410 may detect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door to provide it to the control unit 1000.
  • control unit 1000 may drive the motor 1420 so that the support unit 1200 is moved.
  • the motor 1420 may generate a rotational force to move the support part 1200.
  •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not opened in another embodiment
  •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in another embodiment.
  •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door detection un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unlike the one embodiment,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support unit is moved by the force of the motor.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verlapped content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 will be mainly described.
  • the motor 1420 capable of drawing out the support part 1200 is provided below the main body 20.
  • the motor 1420 is provided with a gear box 1450 that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1420.
  • a coupling piece 144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upport part 1200, and the coupling piece 1440 and the gear box 1450 are coupled by a screw 1430.
  • the gear box 1450 connects the screw 1430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1420 so that when the motor 1420 is rotated, the screw 1430 can also b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Since the screw 14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iece 1440, when the screw 1430 is rotated, the coupling piece 1440 performs horizontal movement in the left-right direction (based on FIGS. 13 and 14). Is done.
  •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1420 provides a force through which the support part 1200 can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gear box 1450, the screw 1430, and the coupling piece 1440.
  • the coupling piece 1440 is provided on the support portion 1200, and when the coupling piece 1440 is moved, the support portion 1200 is also moved accordingly.
  • the control unit 1000 may rotate the motor 1420 so that the support unit 1200 is withdrawn from the main body 20. In this case, when the door is opened by the door detection unit 1410, the control unit 1000 may immediately drive the motor 1420 to withdraw the support unit 1200.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000 may wait for the door detection unit 1410 to open the door at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and then drive the motor 1420 to withdraw the support unit 120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0 may increase the withdrawal distance of the supporter 1200 a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increases.
  • control unit 1000 may cause the withdrawal distance of the support unit 1200 to decrease a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decreases. At this time, when the angle detected by the door detection unit 1410 is less than or equal to a certain angle, the support unit 1200 is completely drawn into the main body 20 so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unit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form one plane. can do.
  • FIG. 1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 components related to the first rack and the second rack are omitted, and the door 10 is a state in which the washing space provided in the main body 20 is opened, and the state in which the dishwasher is viewed from the front is described. .
  • FIG. 1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rack is located above the second rack
  • FIG. 1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rack is positioned above the first rack.
  • 16 and 17 are views showing a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10 is opened, and unlike FIG. 15, two racks are shown together.
  • three water supply units are provided on the rear wall of the main body 20 constituting the washing space in one embodiment.
  • the three water supply parts supply water to the first water supply part 700 provided under the first rack 100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art 800 provided under the second rack 200. .
  • the three water supply units 1510, 1520, and 1530 are connected to a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main body 20, so that water is supplied to the body through each water supply unit 1510, 1520, 1530. Can supply.
  • the three water supply units 1510, 1520, and 1530 are disposed on the rear wall of the washing space forming a space for washing dishes in the main body 20. Therefore, a flow path for supplying water or the like from the main body 20 to the three water supply units 1510, 1520, and 1530 is between the rear wall forming the washing space of the main body 20 and the rear wall forming the exterior of the main body 20. It may be composed of a tube that is placed on. At this time, the tube extends from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20 to the position where each water supply unit 1510, 1520, 1530 is disposed, and a flow path capable of supplying water or the like to the water supply unit may be formed.
  • the three water supply units 1510, 1520, and 1530 include a first water supply unit 1510, a second water supply unit 1520, and a third water supply unit 1530, which are arranged in ord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At this time,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water supply unit 1510 and the second water supply unit 1520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water supply unit 1520 and the third water supply unit 1530.
  • the three water supply units 1510, 1520, and 1530 are arranged in a line so as to have different positions and different heights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Each water supply unit 1510, 1520, and 1530 includes a water supply pipe through which water is supplied and a steam supply pipe through which steam is supplied.
  • the first water supply unit 1510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ipe 1512 and a steam supply pipe 1514, it is possible to supply water and steam together through one water supply unit.
  • the water supply pipe 1512 and the steam supply pipe 1514 are composed of two pipes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water and steam may be supplied to the injection unit without being mixed.
  • the water supply pipe 1512 and the steam supply pipe 1514 form two separate pipes inside one water supply unit 1510, and the two separated pipes are arrang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second water supply unit 1520 is disposed in the center
  • the first water supply unit 151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 the third water supply unit 153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Is placed.
  •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water supply unit 1510 and the second water supply unit 1520 may be narrow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water supply unit 1520 and the third water supply unit 1530. This distance is related to the first rack 100 and the second rack 200 installed in the guide part 300. Tableware of a relatively small size is stored in the first rack 100, and tableware of a relatively large size is stored in the second rack 200. Even if the positions of the first rack 100 and the second rack 200 are changed, the space in which the dishes are stored in each rack is arranged to be maintained.
  • the third water supply unit 15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jection unit 800. That is, water or steam supplied from the main body 20 to the first water supply unit 1510 is transferred to the first injection unit 700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unit 1510. In this case, when the first water supply unit 1510 is connected to the first injection unit 700, the injection unit is not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supply unit 1520.
  • the second water supply unit 1520 is provided with a sensing sensor that detects which one of the injection units is connected,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supply water and steam through the second water supply unit 1520.
  • the sensing sensor can also operate with an electrical signal.
  • the sensing sensor has a mechanical structure, and when the inj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supply part 1520, the mechanical structure provided in the second water supply part 1520 changes while the second water supply part 1520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low path supplied from is opened. Specifically, the cover provided in the second water supply unit 1520 is opened, and a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and steam is supplied may be provided.
  • the second rack ( 200) and the distance to the ceiling of the washing space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first rack 100 to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rack 200.
  • the third water supply unit 1530 is connected to the first injection unit 700
  • the second water supply unit 15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jection unit 800. That is, water or steam supplied from the main body 20 to the second water supply unit 152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injection unit 800 through the second water supply unit 1520.
  • an injection unit is not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supply unit 1510.
  • the first water supply unit 1510 is provided with a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which one of the injection units is connected,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supply water and steam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unit 1510.
  • the sensing sensor can also operate with an electrical signal.
  • the detection sensor has a mechanical structure, and when the inj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supply part 1510, the fastening provided in the first water supply part 1510 is released and the flow path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art is opened. It is also possible to have Specifically, the cover provided in the first water supply unit 1510 is open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and steam are supplied.
  • three water supply units for supplying water and the like for washing dishes stored in the rack are provided, while two spray units for spraying water or the like directly in the rack are provided.
  • the position of the rack can be changed,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nvironment for washing dishes even when the position of the rack is changed. That is, even when the first rack 100 is positioned above the second rack 200 and the second rack 200 is positioned above the first rack 100, both dishes are washed. can do.
  • the number of water supply parts is provided as compared to the number of the injection parts.
  • the height of the rack arranged at the bottom is kept constant from the bottom of the washing space.
  • the height of the rack disposed at the top changes from the bottom of the washing space, so that two water supply units for supplying water and the like to the rack located at the upper side are provided.
  • the two water supply units are disposed at different heights, so that the rack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can supply water for washing dishes even if it corresponds to any of the first rack 100 or the second rack 200.
  • FIG. 18 is a view illustrating a rack and an injection unit
  • FIG. 19 is a view showing a rack
  • FIG. 20 is a view showing an injection unit.
  • the first rack 100 and the second rack 200 are expressed together, and in FIGS. 19 and 20, one of two racks and one of two injection parts are expressed.
  • the first rack and the second rack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shape to each other, and the two injection parts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shape to each other.
  • the racks 100 and 200 include upper frames 102 and 202 disposed at upper corners and lower frames 104 and 204 disposed at lower corners.
  • the upper frame (102, 202) and the lower frame (104, 204) are arranged to surround the entire surface of the corner while forming an upper or lower appearance. Since the rack is entirely rectangular when viewed from above, the frame has a shape extending along the corners of the square.
  • the frame has a width and height sufficient to be grasped by a user,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 certain level of area.
  • the frame may be made of aluminum.
  • Side wires 106 and 206 are disposed between the upper frames 102 and 202 and the lower frames 104 and 204.
  • the side wires 106 and 206 are formed in a sha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forming a gap.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ide wires 106 and 206 extend below the lower frames 104 and 204.
  • the upper frames 102 and 202 and the lower frames 104 and 204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ide wires 106 and 206.
  • the first lower wires 108 and 208 and the second lower wires 109 and 209 forming the lower portion of the rack are disposed below the racks 100 and 200.
  • the first lower wires 108 and 208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acks 100 and 200, and the second lower wires 109 and 209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a grid with each other.
  • Tableware may be stored in a space formed by the first lower wires 108 and 208 and the second lower wires 109 and 209 and the side wires 106 and 206.
  • the first lower wires 108 and 208 are arranged so that a plurality of them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water may fall into the space between the spaces.
  • a plurality of the second lower wires 109 and 209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water may drop into the space between the spaces.
  • the first lower wires 108 and 208 and the second lower wires 109 and 209 cross each other while forming a cross shape.
  • the first lower wires 108 and 208 and the second lower wires 109 and 209 may be combined with the side wires 106 and 206.
  • the side wires 106 and 206 extend to the lower portions of the lower frames 104 and 204, the first lower wires 108 and 208 and the second lower wires 109 and 209 are the lower frame 104 , 204).
  • one end of the side wires 106 and 206 is coupled to the upper frames 102 and 202.
  • the side wires 106 and 206 ar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lower frames 106 and 206 and may include a bent portion extending in an inclined direction rather than a vertical direction in a section extending downward.
  • side wires 106 and 206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any one of the first lower wires 108 and 208 and the second lower wires 109 and 209.
  • the injection parts 700 and 800 include supply parts 710 and 810 that can receive water or steam from the water supply part.
  • the flow paths through which water and steam can move are divided in the supply parts 710 and 810.
  • the supply parts 710 and 810 extend toward a rear wall constituting a washing space for washing the expression of the main body 20, and may be coupled to the water supply part.
  • connection parts 712 and 812 that can be fastened to the water supply part.
  • the connection parts 712 and 812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supply parts 710 and 810, so that the water supply part can be easily fastened.
  • the other ends of the supply parts 710 and 810 are provided with transfer parts 714 and 814 that are branched and moved into a plurality of M-ring flow paths supplied from the supply parts 710 and 810.
  • a plurality of the transmission units 714 and 814 are provided, and are connected to one supply unit 710 and 810.
  • a flow path through which steam and water can be moved is independently provided, so that the water and steam moved through the supply units 710 and 810 are transferred to the delivery units 714 and 814. Can be guided.
  • the injection units 700 and 800 include injection nozzles 722 and 724 for spraying water or steam to the rack provided on the upper side.
  • injection nozzles 722 and 724 for spraying water or steam to the rack provided on the upper side.
  • water and steam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may be sprayed toward dishes stored in a rack. Water and steam injected from the spray nozzle are sprayed upward.
  • the injection nozzles 724 and 824 are provided at one end of the transmission parts 714 and 814, respectively. That is, at least one injection nozzle 724 or 824 is disposed in one transmission unit 714 or 814.
  • Central injection nozzles 722 and 822 are provided at a portion branched from the supply units 710 and 810 to the transmission units 714 and 814.
  • the central jetting nozzles 722 and 822 may have the same size as the jetting nozzles 724 and 824, but it is possible to have a relatively large size. Since the central spraying nozzles 722 and 822 are different in size from the spraying nozzles 724 and 824, the operation mechanisms and shapes are the same, and therefore the injection nozzles 724 and 824 are mainly described, and the central spraying is performed. The same applies to the nozzles 722 and 822.
  • the injection nozzles 724 and 824 are also provided in the supply units 710 and 810, and the injection units 700 and 800 all include nine injection nozzles 724, 824, 722, and 822. Equipped with nine spray nozzles, water and steam can be sprayed into a large space toward the dishes stored in the rack.
  • the injection nozzle includes a water injection hole 728 for spraying water upward and a steam injection hole 729 for spraying steam upward. Since the water jet hole 728 and the steam jet hole 729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ater and steam may be jetted individually. For example, it is possible that steam is not sprayed while water is being sprayed, and water is not sprayed while steam is being sprayed.
  • the steam injection hole 729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injection nozzle, it is possible that the water injection hole 728 is biased toward one side of the injection nozzle.
  • the upper cover on which the water jet port and the steam jet port are disposed is rotatably provided, so that the water jet port 728 can be rotated while water is jetted through the water jet port 728.
  • the water jetting port is arranged at an angle rather than the upper side, so that it is possible to spray water to various areas while the upper cover is rotated.
  • the injection parts 700 and 800 are provided with coupling pieces 730 and 830 for coupling the injection parts 700 and 800 to the racks 100 and 200.
  • the coupling pieces (730, 830) are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ack (100, 200), so that when the rack (100, 200) is moved, the injection unit (700, 800) is also moved.
  • the coupling pieces 730 and 830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transmission parts 730 and 830 or the supply parts 710 and 810.
  • the coupling pieces 730 and 830 need not be provided in all the transmission parts 714 and 814, and may be provided only in some transmission parts.
  • the coupling pieces 730 and 830 are protruding pieces 732 and 832 protruding from the transmission parts 714 and 814 or the supply parts 710 and 810, and bending pieces bent from the protruding pieces 732 and 832 (734, 834, 738, 838), the bending piece (734, 834, 738, 838) is fixed to the rack the way the hook (100, 200).
  • the bending piece is a first bending piece (734, 834)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one end of the protruding pieces (732, 832) and a second extending at a certain angle from one end of the first bending piece (734, 834) And bending pieces 738 and 838.
  • the first bending pieces 734 and 834 and the second bending pieces 738 and 838 have locking grooves 736 and 836 formed therebetween, so that the lower wires of the racks 100 and 200 are the locking grooves ( 736, 836).
  • the first injection portion 700 and the second injection portion 800 includes supply portions 710 and 810 extending toward the rear wall of the main body 20, respectively, and the supply portion 710, 810) is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three water supply. That is, including three water supply units and two supply units, the two supply units can always be combined with the water supply unit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rack.
  • the injection unit (700, 800) is coupled to each rack is rotated together when the rack is rotated.
  • the spray nozzles of the spray units 700 and 800 are arranged to face the bottom of the rack, so that water or steam sprayed through the spray nozzles is sprayed into dishes stored in the rack.
  • the ejection unit (700, 800) When the rack (100, 200) is pulled forward through the guide rail, the ejection unit (700, 800) is also drawn out, and when the rack (100, 200) is drawn backward through the guide rail, the The injection parts 700 and 800 are also introduced.
  • 2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ain parts of an embodiment.
  • the first guide rail 150 is provided with a first rack seating portion 80 on which the first rack 100 is seated.
  • the first rack 100 may be mounted 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rack seating portion 80.
  • the first rack seating portion 80 forms a hollow shape on the inner side, and forms a square shape having four sides as a whole.
  • the first guide rail 150 is provided on each of the guide portions 300, and two are provided as a whole. Therefore, both sides of the first rack seating portion 80 may be supported by the two first guide rails 150.
  • the first rack seating portion 80 can be pulled forward, the first rack 100 is also mounted on the first rack seating portion 80. Together they can be withdrawn. Therefore, in order to store the dishes in the first rack, the user may take out the first rack 100 and then finish storing the dishes, and then move the first rack 100 to the rear.
  • the second guide rail 250 is provided with a second rack seating portion 180 on which the second rack 200 is seated.
  • the second rack 200 may be mounted on an upper side of the second rack seating portion 180.
  • the second rack seating portion 180 forms a hollow shape on the inner side, and forms a square shape having four sides as a whole.
  • the second guide rail 250 is provided on each of the guide parts 300, and two are provided as a whole. Therefore, both sides of the second rack seating portion 180 may be supported by the second guide rails 250.
  • the second rack seating portion 180 can be pulled forward, the second rack 200 is also mounted on the second rack seating portion 180. Together they can be withdrawn. Therefore, the user may move the second rack 200 to the rear after finishing the storage of the tableware after taking out the 21st rack 200 in the forward direction in order to store the dishes in the second rack.
  • the two guide portions 300 are provided with reinforcing portions 1002 and 1100 connecting each other.
  • the reinforcing portions 1002 and 1100 include a first reinforcing portion 1002 partially disposed under the first rack 100 and a second reinforcing portion partially disposed under the second rack 200. (1100).
  • the first reinforcing part 1002 and the second reinforcing part 1100 may respectively connect the guide parts 300 to prevent left and right distortions, etc., occurring when the guide part is rotated. Since the tableware is stored in the first rack 100 and the second rack 200, there is room for warping while rotating while weighing a certain amount, but the reinforcing portions 1002 and 1100 reinforce strength. Therefore, the two racks can be stably rotated.
  • the first reinforcing part 1002 includes a first arm 1010 rotatably coupled to the two guide parts 300, and a first member 10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arm 1010. ), and a first bar 1030 connecting the two first members 1020.
  • the first reinforcement unit 1002 includes two first arms 1010, two first members 1020, and one first bar 1030.
  • the first arm 1010 is coupled to the first wheel 318, and when the first wheel 318 is rotated, the first arm 1010 is also rotated.
  • the first arm 1010 extends forward, and the first member 1020 extends by b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arm 1010, and the first bar 1030 is the first arm. It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1010).
  •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002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strength may be reinforced by the shape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002.
  • the first arm 1010 extends from the first wheel 318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length in the height direction is formed longer than a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 the first member 102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arm 1020, and the first member 1020 has a curvature and a downward bending shape.
  • the first bar 103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first member 1020, and the length of the first bar 1030 is longer than that of the height direction.
  • the first reinforcing part 1002 is formed of a letter'C', and is made of a plate material having a width direction wider than the thickness, and the first part 10b is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reinforcing portion 1002.
  • each member is integrally formed as one member, there is no portion to which each member is connected, so that strength can be improved.
  • the second reinforcing part 1100 includes a second arm 1110 rotatably coupled to the two guide parts 300 and a second member 11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arm 1110. ), and a second bar 1230 connecting the two second members 1120.
  • the second reinforcement unit 1100 includes two second arms 1110, two second members 1120, and one second bar 1130.
  • the second arm 1110 is coupled to the second wheel 338, and when the second wheel 338 is rotated, the second arm 1110 is also rotated.
  • the second arm 1110 is extended forward, and the second member 1120 is partially bent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arm 1110, and the second bar 1130 is the first It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wo arms 1110.
  • the second reinforcing part 1100 may have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strength may be reinforced by the shape of the second reinforcing part 1100.
  • the second member 1120 may include a vertical member 1115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second arm 1110. That is, unlike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002,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1100 further includes a vertical member 1115 extending linearly in a vertical direction, and further downwards compared to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002. It can be formed long.
  • the second arm 1110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second wheel 338, and a length in the height direction is formed longer than a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 the second member 112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arm 1120, and the second member 1120 has a curvature and a downward bending shape.
  • the second member 1120 has a vertical member 1115 having a straight line shape that is not curved, and extends downward by the length of the vertical member 1115.
  • the second bar 113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second member 1120, and the second bar 1130 has a length in a width direction longer than a length in a height direction.
  • the second reinforcing part 1100 is formed of a letter'C', and is made of a plate material having a width direction wider than the thickness, but the second part 1120 is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reinforcing portion 1100.
  • each member is integrally formed as one member, there is no portion to which each member is connected, so that strength can be improved.
  •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1100 may be made of a plate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vertical member 1115.
  • FIG. 22 is a view illustrating a rack and a rack seating portion. Since the first rack and the first rack seating portion have the same shape as the second rack and the second rack seating unit, the first rack and the first rack seating unit or the second rack and the second rack seating unit are represented in FIG. 22. . Therefore, the contents described in FIG. 22 may be applied to the first rack and the first rack seating portion, or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rack and the second rack seating portion.
  • the first rack 100 or the second rack 200 includes upper frames 102 and 202 disposed at upper corners and lower frames 104 and 204 disposed at lower corners. , It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connecting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ide wires (106, 206)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side wires 106 and 206 may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as a whole and be made of a metal material including aluminum.
  • each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ide wires 106 and 206.
  • the side wire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rder to secure a space through which water or steam can pass between the racks. Therefore, when the first rack 100 or the second rack 200 is composed of only the side wires 106 and 206, the strength of the rack may be weakened.
  • the rack is rotatably arranged in the guide portion, and the position of the rack is changed while the guide portion is rotated. Since the movement or rotation of the rack occurs while the dishes are stored in the rack,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ack is deformed due to various unexpected forces applied to the rack while the dishes are stored.
  •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re disposed on the upper edge and the lower edge of the rack, respectively. Since the height of each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ide wires 106 and 206, it is possible to secure increased strength than the side wires 106 and 206, and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rack. .
  • the upper frame (102, 202) and the lower frame (104, 204)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edge of the first rack (100) or the second rack (200), the first rack or the second It is arranged to surround the four corners of the rack. Since the upper frames 102 and 202 and the lower frames 104 and 204 wrap the ends of the side wires 106 and 206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scratched at the ends of the side wires. .
  • the upper frames 102 and 202 and the lower frames 104 and 204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 the side wires 106 and 206 are vertic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s of the upper frames 102 and 202 and the lower frames 104 and 204, the strength of the rack can be improved even by the arrangement. Can be.
  • the first rack 100 or the second rack 200 includes first lower wires 108 and 208 and second lower wires 109 and 209 forming the bottom of the first rack or the second rack. Are arranged so that they intersect each other perpendicularly.
  • the first lower wire (108, 208) is arranged so th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second lower wire (109, 209) is arranged so th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ater or steam is moved between the lower wire to supply to the tableware Space can be secured.
  • the first lower wires 108 and 208 and the second lower wires 109 and 209 are coupled to the side wires 106 and 206, so that the rack has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and strength can be improved.
  • the first lower wires 108 and 208 and the second lower wires 109 and 209 are arranged while forming a horizontal plane, while the side wires 106 and 206 are arranged along a normal direction in a horizontal plane. Because it is.
  • the first lower wires 108 and 208 and the second lower wires 109 and 209 may be welded to the side wires 106 and 206, or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separate members.
  • the front panel of the first rack 100 or the second rack 200 may be provided with manipulation units 110 and 210 operated by a user.
  • the operation units 110 and 210 may include a dial that the user can turn by hand or a button that the user can press.
  • the position of the wire provided in the first rack 100 or the second rack 200 may be changed or an operation in which a part of the wire is rotated may be performed.
  • a depression 85 exposing the manipulation units 110 and 210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rack seating portion 80 or the second rack seating portion 180.
  • the first rack seating portion 80 or the second rack seating portion 180 is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rail 150, the side 83 and the front end connecting the front end of the two sides 83 ( 81) and a rear surface 82 connecting the rear ends of the two side surfaces 83. That is, the first rack seating portion 80 and the second rack seating portion 180 have a rectangular shape having four sides as a whol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first rack 100 and the second rack 200. Achieve.
  • the recessed portion 85 is formed so that the height is lowered on the front surface 81, so that the user is in a state where the first rack or the second rack is seated on the first rack seating portion or the second rack seat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access the operation unit (110, 210).
  • the depression 85 is formed so that the height is lower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81. That is, both ends of the front surface 81 have a relatively high height, while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81 has a relatively low height. Since the operation units 110 and 210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center than both ends of the first rack 100 or the second rack 200, the recessed portion 85 of the operation unit 110, 210 It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 a plurality of the operation units 110 and 210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rack 100 or the second rack 200.
  • the recessed portion 85 is not a shape of each of the operation portions 110 and 210, but it is possible to form a long elongated groove through which the entire combined portion can be exposed.
  • the first rack seating portion 80 or the second rack seating portion 180, the hollow 87 is disposed in the center, the first rack 100 or the second rack (87) in the hollow (87) A part of 200) is accommodated and the first rack or the second rack is coupled to the first rack seating portion 80 or the second rack seating portion 180.
  • the user may combine or separate the first rack or the second rack to the first rack seating portion or the second rack seating portion according to convenience.
  • the rack can be separated from the rack seating portion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dishes in the rack. After storing the dishes in the rack, it is possible to join the rack back to the rack seat.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rack from the rack seat to clean the rack. After the user has cleaned the rack, it is possible to re-join the rack to use the dishwasher.
  • An inclined surface 86 is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rack seating portion 80 or the second rack seating portion 180 to determine a position where the first rack 100 or the second rack 200 is seated. I can guide you.
  • the inclined surface 86 is formed to be lower in height as it approaches the hollow 87.
  • the inclined surface 86 may be formed to have a higher height from the hollow 87 toward the side wires 106 and 206. Therefore, when the user combines the first rack 100 or the second rack 200 with the first rack seating portion 80 or the second rack seating portion 180, the first rack 100 Alternatively, the second rack 180 may be guided toward the hollow 87.
  • the inclined surface 86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rear surface 82, the side surface 83, or the front surface 81. In addition, the inclined surface 86 may be formed on both the rear 82, the side 83 or the upper side of the front 81.
  • FIG. 2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S. 24 and 25 ar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second wire assembly in the embodiment of FIG. 23. Since the rack to be described later is applicable to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racks at the same time, reference numerals are limited to the first rack 100.
  • the second wire assembly 14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so that the second wire assembly and the first wire assembly overlap each other.
  • the second wire assembly 140 is disposed at a second position, so that the second wire assembly and the first wire assembly are vertically disposed.
  • the rack (100, 200) is provided with a first wire assembly 130 provided to be fixed to the rack, a second wire assembly 140 provided to rotate in the rack, and the front of the rack It is, and includes an operation unit 110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assembly 140.
  • the first wire assembly 130 forms a bottom of the rack, and includes a wire on which the tableware is mounted.
  • wires are arranged in a lattice form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n the floor, so that a tableware can be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wires.
  • the first wire assembly 130 may be disposed with each other at intervals such that the tableware does not fall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ire.
  • the wires constituting the first wire assembly 130 are disposed to form a flat surface, and the height is not changed by being caught by the first wire assembly 130 when the dishes stored on the upper side are placed. That is, the user can freely store the tableware without consider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tableware is placed or the position where the tableware is placed when storing the tableware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wire assembly 130.
  • the second wire assembly 140 is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overlapping the first wire assembly 130 or is rotat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be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wire assembly 130. Can be placed on.
  • the first wire assembly 130 is arranged to form a flat surface at the bottom of the rack, so that the user can comfortably store dishes in the rack. This is because the second wire assembly 140 is not provided with a structure to allow the tableware to be stored or to be mounted in a specific direc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wire assembly 140 is disposed in the second position, the user can receive dishes such as wine glasses or dishes using the second wire assembly 140.
  • the second wire assembly 140 may include a wine holder wire 143 for fixing the wine glasses and a wine holder 144 having a through hole 146 for hanging wine glasses on one side. Both ends of the wine holder wire 143 are coupled to the rack 100, and may be composed of wires forming a'c' shape as a whole. Among the wires of the wine holder wire 143, the wine holder 144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located at the center. The wine holder 144 is arranged so th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through-holes 146 formed in each wine holder 144 may be formed with openings so that a thin neck portion of the wine glasses can be caught.
  • Each wine holder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ize of the wine glasses so that one wine glass can be fixed to each of the wine holders 144.
  • the wine holder 144 is formed thicker than the wine holder wire 143, and compared to the wine holder wire 143, such as plastic, to prevent damage to the wine glasses when the wine glasses are caught in the wine holder. It can be made of soft materials.
  • the wine holder wire 143 is configured such that a single elongated wire is deformed with a letter'U' and fixed at both ends thereof, and a plurality of the wine holders 144 ar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wine holder wire 143 Can be.
  • the second wire assembly 140 includes a first plate fixing wire 141 for fixing a dish and a second plate fixing wire 142.
  • the first plate fixing wire 141 and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142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each other, so that the plate is erected by the first plate fixing wire 141 and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142. Can be fixed by losing.
  • the first plate fixing wire 141 and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142 may include wire rib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ate may be individually mounted on each wire rib.
  • the rotation axes of the first plate fixing wire and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ar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plate fixing wire and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can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from each other.
  • the first plate fixing wire and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may include a wire forming one long axis of rotation, and a plurality of wire ribs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wir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e plate may be mounted between the wire ribs.
  • the two dish fixing wires are configured in the same shape as each other, so that one dish is erected by the wire ribs of the first dish fixing wire and the wire ribs of the second dish fixing wire and can be stored in the rack.
  • the operation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wine holder wire 143 and includes a wine holder operation unit 112 that is rotated when the wine holder wire 143 is rotated.
  • the operation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fixing wire 141 and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142, and the first plate fixing wire 141 and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142 are When rotated, it includes a dish holder operation unit 122 that is rotated together on two wir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a plurality of wine holder manipulation parts 112 and a dish holder manipulation part 122 ar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ack 100, so that the user can individually adjust the second wire assembly disposed in the rack to store various dishes. .
  • the wine holder manipulation unit 112 and the dish holder manipulation unit 122 may be alternately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ack 100.
  • the wine holder manipulation unit 112 may be disposed. have. Since the wine holder wire 143 has a larger turning radius than the dish fixing wir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ne holder wire 143 is disposed at the edge rather than the center portion of the rack 100.
  • FIG. 24A is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portion is not rotated as in FIG. 23A, so that the second wire assembly is disposed to overlap the first wire assembly
  • FIG. 24B is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ortion is rotated as in FIG. 23B, so that the second wire assembly Is a state that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wire assembly.
  • 24 shows an operation unit
  • FIG. 25 is a view in which the operation unit is omitted in FIG. 24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the wine holder wire 143 and the wine holder wire manipulation unit 112 are connected by a plurality of gears, and the wine holder wire 143 and the wine holder wire manipulation unit 112 Is simultaneously rotated in the same rotation direction.
  • the wine holder manipulation unit 112 and the gear 113 are coupled to share a rotation axis, so that the wine holder manipulation unit 112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gear 113.
  • the gear 113 is rotated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 the gear 113 is in contact with the gear 114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wine holder wire 143, so that the rotation of the gear 113 is transmitted to the gear 114 as it is. Therefore, the rotation of the wine holder operation unit 112 is transmitted to the wine holder wire 143 as it is, so that the wine holder operation unit 112 can b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wine holder wire 143. Therefore, while the user rotates the wine holder operation unit 112, it can be seen that the wine holder wire 143 is rotated.
  • a pinion gear 124 is provided on a rotation axis of the first plate fixing wire 141, a pinion gear 125 is provided on a rotation axis of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142, and the plate holder operation part 122 is A pinion gear 123 is provided, and a rack gear 127 that rotates each pinion gear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same time is provided.
  • the rack gear 127 may be covered by a cover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user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ack 100.
  • the rack 100 is preferably extended to the extent that it can connect all of the pinion gears so as to transmit power to each pinion gear.
  • a protrusion 129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ack gear 127, and the protrusion 129 is inserted into a guide groove 128 provided in the rack 100.
  • the guide groove 128 may guide the trajectory of the rack gear 127 moving to the left and right. 24A and 25A, when the operation units 112 and 122 are not rotated, the protrusion 129 of the rack gear 127 is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24B and 25B, in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units 112 and 122 are rotated, the protrusion 129 of the rack gear 127 is positioned relatively to the right.
  • the guide groove 128 is the same height as the protrusion 129, but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the protrusion 129 can be mov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guide groove 128.
  • the rack gear 127 moves and the connected pinion gear rotates, the rotation of the dish holder operation part 122 is transmitted to the dish fixing wires 141 and 142 through the rack gear 127 so that the dish fixing wire is rotated. (141, 142) can be rotated.
  • the pinion gear or the gear described above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rack, and is covered by a cover, so that the pinion gear and the gear are not exposed to the user.
  • the operation unit 110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wire assembly 140 is rotated,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that his power is well transmitted.
  • the wine holder operation unit 112 and the plate holder operation unit 122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oper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at is, even if the wine holder manipulation unit 112 is rotated, the dish holder manipulation unit 122 is not rotated, and vice versa. In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does not wash the dish and only wants to clean the wine glasses, the dish holder manipulation unit 122 is not operated, and only the wine holder manipulation unit 112 is operated to store the wine glasses in the rack.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does not wash the wine glasses and only wants to wash the dish, the wine holder manipulation unit 112 is not operated, and only the dish holder manipulation unit 122 is operated to store the dish in the rack.
  • FIG. 2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r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FIGS. 27 and 28 ar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second wire assembly in another embodiment of FIG. 26.
  • Other embodiments have many similar parts to FIGS. 23 to 25, and common or overlapping parts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the wall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rack.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operate the wire by putting a hand inside the rack.
  • the manipulation units 112 and 122 are configur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ack 100.
  • the wine holder operation part 112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gear 113a.
  • the gear 113a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gears 114a and rotates the gear 114a coupled to the wine holder wire 143, one of them, to rotate the wine holder wire 143. have.
  • the dish holder manipulation section 122 is coupled to the pinion gear 123a, so that when the dish holder manipulation section 122 is rotated, the pinion gear 123a is rotated together.
  •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inion gear (123a) is transmitted to the rack gear (127a) through another pinion gear (126a), the rack gear (127a) is left or righ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ish holder operation unit 122 Is moved.
  • the rack gear 127a has a protrusion 129a, and a path can be guided along the guide groove 128a.
  • the rack gear 127a is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124a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fixing wire 141 and the pinion gear 125a connected to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142, so that the rack gear ( When 127a)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the first plate fixing wire 141 and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142 may be rotated. Both the pinion gear and the rack gear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ack 100 are covered by a cover, and are not exposed to the user.
  • FIGS. 30 and 31 ar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second wire assembly in the embodiment of FIG. 29. Since the rack to be described later is applicable to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racks at the same time, reference numerals are limited to the first rack 100.
  • the second wire assembly 2140 is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so that the second wire assembly and the first wire assembly overlap each other.
  • the second wire assembly 2140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so that the second wire assembly and the first wire assembly are vertically disposed with each other.
  • the racks 100 and 200 include a first wire assembly 2130 provided to be fixed to the rack, a second wire assembly 2140 provided to rotate on the rack, and a front surface of the rack And, it includes an operation unit 2110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assembly 2140.
  • the first wire assembly 2130 forms a bottom of the rack, and includes a wire on which the tableware is mounted.
  • wires are arranged in a lattice form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n the floor, so that a tableware can be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wires.
  • the first wire assembly 2130 may be disposed with each other at intervals such that tableware does not fall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ire.
  • the wires constituting the first wire assembly 2130 are arranged to form a flat surface, and the height is not changed by being caught by the first wire assembly 2130 when the dishes stored on the upper side are placed. That is, the user can freely store the tableware without consider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tableware is placed or the position where the tableware is placed when storing the tableware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wire assembly 2130.
  • the second wire assembly 2140 is disposed in a first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wire assembly 2130, or is rotated from the first position and positioned in a second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wire assembly 2130. Can be placed on.
  • the second wire assembly 2140 When the second wire assembly 2140 is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wire assembly 2130 is disposed to form a flat surface at the bottom of the rack, such as the first wire assembly 2130, so that the user can comfortably store dishes in the rack. This is because the second wire assembly 2140 is not provided with a structure to allow the tableware to be stored or mounted in a specific direc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wire assembly 2140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user can receive dishes such as wine glasses or dishes using the second wire assembly 2140.
  • the second wire assembly 2140 may include a wine holder wire 2143 for fixing a wine glass and a wine holder 2144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2146 for hanging a wine glass on one side. Both ends of the wine holder wire 2143 are coupled to the rack 100, and may be composed of wires forming a'c' shape as a whole. Among the wires of the wine holder wire 2143, the wine holder 2144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located in the center. The wine holder 2144 is arranged so th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through-holes 2146 formed in each wine holder 2144 may be formed with openings so that a thin neck portion of the wine glasses can be respectively caught.
  • Each wine holder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ize of the wine glasses so that one wine glass can be fixed to each of the wine holders 2144.
  • the wine holder 2144 is formed thicker than the wine holder wire 2143, and compared to the wine holder wire 2143, such as plastic, to prevent damage to the wine glasses when the wine glasses are caught in the wine holder. It can be made of soft materials.
  • the wine holder wire 2143 is configured such that one long elongated wire is deformed with a letter'U' and fixed at both ends thereof, and a plurality of the wine holders 2144 ar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wine holder wire 2143. Can be.
  • the second wire assembly 2140 includes a first plate fixing wire 2141 for fixing a dish, and a second plate fixing wire 2142.
  • the first plate fixing wire 2141 and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2142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each other, so that the plate is erected by the first plate fixing wire 2141 and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2142. Can be fixed by losing.
  • the first plate fixing wire 2141 and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2142 may include wire rib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ate may be individually mounted on each wire rib.
  • the rotation axes of the first plate fixing wire and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ar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plate fixing wire and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can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from each other.
  • the first plate fixing wire and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may include a wire forming one long axis of rotation, and a plurality of wire ribs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wir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e plate may be mounted between the wire ribs.
  • the two dish fixing wires are configured in the same shape as each other, so that one dish is erected by the wire ribs of the first dish fixing wire and the wire ribs of the second dish fixing wire and can be stored in the rack.
  • the operation portion 2110 includes a wine holder operation portion 2112 connected to the wine holder wire 2143, and when the wine holder operation portion 2112 is pressed, the wine holder wire 2143 is rotated.
  • the operation portion 2110 includes a dish holder operation portion 2122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fixing wire 2141 and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2142, and when the plate holder operation portion 2122 is pressed, The first plate fixing wire 2141 and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2142 are rotated.
  • a plurality of wine holder manipulation units 2112 and a dish holder manipulation unit 2122 ar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ack 100, so that a user can individually adjust the second wire assembly disposed in the rack to store various dishes. .
  • the wine holder manipulation unit 2112 and the dish holder manipulation unit 2122 may be alternately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ack 100.
  • the wine holder operation unit 2112 may be disposed. have. Since the wine holder wire 2143 has a larger turning radius than the dish fixing wir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ne holder wire 2143 is disposed at an edge rather than a central portion of the rack 100.
  • FIG. 30 is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unit is not pressed, as in FIG. 29A, so that the second wire assembly is disposed to overlap the first wire assembly
  • FIG. 31 is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as shown in FIG. 29B, so that the second wire assembly is It is in a state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wire assembly.
  • a gear 2114a is provided on a rotating shaft of the wine holder wire 2143, and when the wine holder wire 2143 is rotated, the gear 2114a is rotated together.
  • the wine holder operation unit 2112 includes a first push bar 2113 connected to one end of a contact portion pressed by a user, a first catch bar 2115 and a first catch bar pressed by the first push bar 2113 2115 includes a first spring 2116 that provides a restoring force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force is removed.
  • the first push bar 2113 is pushed rearward based on the drawings of FIGS. 30 and 31 when the wine holder operating portion 2112 is pressed by a user. At this time, the first push bar 2113 may be rotated counterclockwise based on a rotation axis disposed at the center.
  • the first push bar 2113 is formed in a bent form, not in a straight line, so that one end is disposed at a position biased to one side of the rack rather than the central position of the wine holder operating part 2112.
  • One end of the first engaging bar 2115 is coupled to the first spring 2116.
  • the first push bar 2113 When the wine holder operation unit 2112 is pressed, the first push bar 2113 is moved rearward, and the first spring bar 2115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o compress the first spring 2116. .
  • the compressed first spring 2116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hape, and the wine holder manipulation unit 2112 may return to the unpressed position.
  • One end of the first locking bar 2115 may have a tapered shape and may have a relatively thin thickness toward the end.
  • the first catching bar 2115 may be bent multiple times to extend in various directions.
  • the gear 2114a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wine holder wire 2143 is coupled to engage a plurality of gears 2114b and 2114c. When one of the three gears is rotated, the other gears can also be engaged and rotated.
  • a spring 2114e is provided at the most distal gear 2114c, so that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gear is removed, it can be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of the gear 2114c.
  • the spring 2114e is applicable to any component surface capable of providing a restoring force in a range that does not change the surface where the gear 2114c abuts another gear.
  • a groove 2114d into which one end of the first catching bar 2115 can be inserte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ear 2114c.
  • the gear 2114c is not rotated and constrained.
  • the first catching bar 2115 does not restrain the gear 2114c, and is restor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2114e.
  • the gear 2114c is rotated.
  • the first wine holder wire 2143 may be rotated counterclockwise to move to the second position. Then, when the user rotates the wine holder wire 2143 clockwise, the spring 2114e is twisted due to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by the gear 2114a, thereby accumulating power. Then, when the wine holder wire 2143 is sufficiently rotated, one end of the first catching bar 2115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114d, and the gear 2114c is fixed in the state shown in FIG. 30.
  • a pinion gear 2124a is provided on a rotation axis of the first plate fixing wire 2141, and a pinion gear 2125a is provided on a rotation axis of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2142.
  • the pinion gear 2124a has gears 2124b arranged to mesh with each other, so that the pinion gears 2124a and the gears 2124b are rotated together.
  • the pinion gear 2125a has gears 2125b arranged to mesh with each other, so that the pinion gear 2125a and the gear 2125b are rotated together.
  • the dish holder operation part 2122 includes a second push bar 2123a connected to one end of a contact portion pressed by a user, a second catch bar 2123b pressed by the second push bar 2123a, and the second catch. It includes a rack gear 2127a whose movement is restricted by the bar 2123b and a second spring 2123c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force is removed from the second catching bar 2123b.
  • the second push bar 2123a is pushed rearward based on the drawings of FIGS. 30 and 31 when the dish holder operation portion 2122 is pressed by a user. At this time, the second push bar 2123a may be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based on a rotation axis disposed at the center.
  • the second push bar 2123a is formed in a bent form, not in a straight line, so that one end is disposed at a position biased to one side of the rack rather than the central position of the dish holder manipulation unit 2122.
  • One end of the second catching bar 2123b is coupled to the second spring 2123c.
  • the second push bar 2123a When the dish holder operation portion 2122 is pressed, the second push bar 2123a is moved rearward, and the second spring bar 2123b is rotated clockwise to compress the second spring 2123c. At this time, 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dish holder manipulation part 2122 is removed, the compressed second spring 2123c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hape, and the dish holder manipulation part 2122 may return to the unpressed position.
  • One end of the second catching bar 2123b may have a tapered shape and may be relatively thinner toward the end.
  • the second hanging bar 2123b may be bent multiple times to extend in various directions.
  • the second hanging bar 2123b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 the rack gear 2127a is provided to mesh with the gears 2124b and 2125b, so that the gears 2124b and 2125b can be rotated when the rack gear 2127a moves from side to side.
  • the pinion gears 2124a and 2125a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dish fixing wire are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gears 2124b and 2125b, so that the first plate fixing wire 2141 and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2142 are rotated.
  • the pinion gears 2124a and 2125a are simultaneously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so that the first plate fixing wire 2141 and the second plate fixing wire 2142 are simultaneously rotat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o be moved. Can be.
  • a third spring 2123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ack gear 2127a, and a damper 2129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rack gear 2127a. Specifically, a third spring 2123d is coupled to the left end of the rack gear 2127a, and a damper 2129 is coupled to the right end of the rack gear 2127a.
  • the third spring 2123d is compressed when the second hooking bar 2123b restricts movement of the rack gear 2127a to the right as shown in FIG. 30 at a position at one end of the rack gear 2127a. Remain intact. Then, when the user presses the plate holder operation part 2122, the second catching bar 2123b is rotated clockwise around the rotation center so that the second catching bar 2123b moves the rack gear 2127a.
  • the third spring 2123d may move the rack gear 2127a to the right by a restoring force.
  • the third spring 2123d maintains a compressed stat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has a restoring force to be stretched to the original length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 the damper 2129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rack gear 2127a can be compressed,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peed during compression.
  • the damper 2129 is compressed to the right, where the speed of the rack gear 2127a can be reduced. .
  • the plate fixing wires 2141 and 2142 are rotated too quickly. Can be.
  • the wire is rotated at an appropriate speed, when the wire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t operates stably and the impression that damage is prevented can be obtained.
  •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damper 2129 on one side of the rack gear 2127a, so that the speed of the rack gear 2127a is changed.
  • the user can store the plate between the plate fixing wires 2141 and 2142. Meanwhile, after the dish washing is completed, the dish fixing wires 2141 and 2142 may be rotated to a first position using a hand.
  • the rack gear 2127a may be moved to the left as shown in FIG. 30.
  • the dish fixing wires 2141 and 2142 are rotated to a first position, one end of the rack gear 2127a is moved to a position that can be caught by the second catching bar 2123b.
  • the rack gear 2127a When the rack gear 2127a is sufficiently moved to the left, the left end of the rack gear 2127a is rotated while the second locking bar 2123b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spring 2123c.
  • the rack gear 2127a does not move to the left even when the user releases the hand from the dish fixing wires 2141 and 2142 by touching the second hanging bar 2123b. Accordingly, the dish fixing wires 2141 and 2142 overlap with the first wire assembly 2130 to achieve a state arranged parallel to the floor.
  • the user can hang the wine glasses on the wine holder wire 2143.
  • the wine holder wire 2143 may be rotated using a hand from a second position to a first position.
  • the grooves 2114d of the gears 2114c are rotated while the gears 2114a, 2114b, and 2114c are rotated together. It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bar 2115 and fixed. Accordingly, the wine holder wire 2143 may overlap with the first wire assembly 2130 to maintain a fixed state.
  • the wine holder operation unit 2112 and the plate holder operation unit 2122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oper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at is, even if the wine holder manipulation unit 2112 is rotated, the dish holder manipulation unit 2122 is not rotated, and vice versa. In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does not wash the dishes and only wants to clean the wine glasses, the dish holder manipulation unit 2122 is not operated, and only the wine holder manipulation unit 2112 is operated to store the wine glasses in the rack. On the other hand, in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does not wash the wine glasses and only wants to wash the dishes, the wine holder manipulation unit 2112 does not operate, and only the dish holder manipulation unit 2122 can be operated to store dishes in the rack.
  • the second wire assembly 2140 When the operation unit 2110 is pressed, the second wire assembly 2140 may be rotated. The operation unit 2110 is pressed down the rack, and the second wire assembly 2140 may be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 chang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wire assembly 2140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the user can fix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wire assembly 2140 by rotating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 3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r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the same technique applied to FIGS. 30 and 31 is applied to the rack of the same shape as FIG. 32,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tructure and operation will be omitted.
  • the wall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rack.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operate the wire by putting a hand inside the rack.
  • the operation units 2112 and 2122 may be configur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ack 100 to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Even in the racks 100 and 200, the operation unit 2110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rack, so that the user can store and wash dishes such as dishes or wine glasses by pressing the operation unit 2110 downward.
  • Fig. 3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jection part
  • Fig. 34 is a view illustrating a main part of the injection part.
  • 33 and 34 are techniques that can be commonly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injection parts.
  • injection unit is used so that the first injection unit and the second injection unit may be collectively used.
  • the injection units 700 and 800 include water pipes 740 and 840 for guiding water to the injection nozzles 724 and 724 and steam pipes for guiding steam to the injection nozzles 724 and 824 ( 770, 870).
  •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724 and 824 are provided, and it is possible that approximately nine are provided.
  • the nine injection nozzles 724 and 824 include central injection nozzles 722 and 822 disposed centrally.
  • the central injection nozzles 722 and 822 may be larger in size than other injection nozzles.
  • the water pipes 740 and 840 and the steam pipes 770 and 87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water and steam are preferably not mixed until water and steam are injected through the spray nozzles 724 and 824. That is, since a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moves in the water pipe and a flow path through which steam moves in the steam pipe are divided, water and steam are not mixed until they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injection nozzles 724 and 824. Therefore, there is no phenomenon that the amount of steam discharged is reduced by mixing with water while steam is being supplied.
  • the water pipes 740 and 840 include first water pipes 752 and 852 and second water pipes 754 and 854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team pipes 770 and 870. That is, when water moves, the two water flow paths are moved through the first water pipes 752 and 852 and the second water pipes 754 and 854, while steam can be moved through one flow path. Since water pipes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steam pipes 770 and 870, water pipes and water are not mixed, and steam and water can secure separate flow paths from each other. In addition, since the steam pipe and the water pipe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o mainta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pace occupied by the steam pipe and the water pipe in the washing space is reduced, so that the washing space can be efficiently used.
  • the water pipes 740 and 840 ar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s 750 and 850 where water is guided from the main body, and water transfer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s 750 and 850 to guide water to the injection nozzles 724 and 824 Parts 742, 842.
  • the water transfer parts 742 and 842 are provided with body parts 744 and 844 on which the spray nozzles 724 and 824 are seated.
  • the body portion has a predetermined space, and the injection nozzles 724 and 824 are mounted on the upper side thereof, so that the injection nozzles 724 and 824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portions 744 and 844.
  • the body parts 744 and 844 may form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pace, and may accommodate a part of the spray nozzles 724 and 824.
  • the central body parts 746 and 846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water transfer parts 742 and 842, and the central spray nozzles 722 and 822 may be seated at the central body parts 746 and 846.
  • the central injection nozzles 722 and 822 may differ in size from the injection nozzles 724 and 824, and a mechanism or a shape that operates only similarly may be similarly applied.
  • Through holes 745 and 845 forming a circle are formed at the centers of the body parts 744 and 844 and the central body parts 746 and 846.
  • the through holes 745 and 845 are disposed at a rotation center where the spray nozzle is rotated, so that the spray nozzle can be rotated around the through hole.
  • the water supply parts 750 and 850 include connection parts 757 and 857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entral body parts 746 and 846.
  • the connecting portions 757 and 857 close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ral body portions 746 and 846 and are coupled to the central body portions 746 and 846 to form a space in which water can move.
  • the central body parts 746 and 846 are open at the bottom, and are guided through the water supply parts 750 and 850 while the connecting parts 757 and 857 are coupled. Water may be transferred to the central body parts 746 and 846 through the connecting parts 757 and 857.
  • the connection parts 757 and 857 form a space having a cross section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through which water moves in the water supply parts 750 and 850 so that water can be guided to the water delivery parts 742 and 842 through the connection part. have.
  •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s 750 and 850 may spread water widely through the water transfer units 742 and 842 having a plurality of flow paths.
  • the steam pipes 770 and 870 are steam supply units 772 and 872 through which steam is guided in the main body, and steam connected to the steam supply units 772 and 872 to guide steam to the injection nozzles 724 and 824. And transmission units 778 and 878.
  • the steam supplied from the steam supply units 772 and 872 may be widely spread through the steam transmission units 778 and 878 having a plurality of flow paths.
  • Steam delivery pipes 778 and 878 are provided with steam nozzle pipes 779 and 879 through which steam is guided to the injection nozzles 724 and 824, and the steam nozzle pipes 779 and 879 include the steam delivery portion ( 778, 878). Since the steam discharged through the steam nozzle pipes 779 and 879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device capable of varying the pressure to be injected, the steam transmission parts 778 and 878 steam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s it rises naturally, i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discharged. Since steam has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the property to be raised is strong, and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washing spac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team nozzle tube.
  • the steam nozzle pipes 779 and 879 are vertically dis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s 745 and 845.
  • the ends of the steam nozzle pipes 779 and 879 are arranged to engage the steam jet ports 729 and 829 formed in the spray nozzles 724 and 824.
  • the steam moved through the steam nozzle pipes 779 and 879 may be injected into the washing space through the steam injection holes 729 and 829.
  • 35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oving water. The process of moving water from the main body to the spray nozz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5.
  • the water supply units 750 and 850 may include two water pipes 752, 852, 754, and 854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team pipe to secure a space in which water can be moved.
  • a constant volume can be maintained without changing in the amount of water by mixing with the steam while the water is moving in the water pipe.
  • the connecting parts 757 and 857 Since the lower ends of the connecting parts 757 and 857 form a space such as a cylinder, water supplied from the main body can be collected while being rotated in the connecting parts 757 and 857. At this time, since the water supply units 750 and 850 include two independent flow paths through which water can be moved, water can be collected while rotating in the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within the connecting portions 757 and 857.
  • the water collected in the connecting portions 757 and 857 is moved to the central body portions 746 and 846 located above the connecting portions 757 and 857 as shown in FIGS. 35B and 35C.
  • the lower and side surfaces of the connecting portions 757 and 857 are blocked, and since an opening is formed on the upper side coupled to the central body portions 746 and 846, water rises from the connecting portions 757 and 857, so that the central body portion (746, 846).
  • a separate member may be used, but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driving member, water does not allow the inner space of the connecting portions 757 and 857. When filled, water can naturally move to the central body portions 746 and 846.
  • Through-holes 747 and 847 through which the water can move to the respective flow paths are formed in the central body parts 746 and 846 through the water transfer parts 742 and 842.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747 and 847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central body parts 746 and 846, so that water can be guided to each of the flow paths. Since the through holes 747 and 847 form an inlet of a pipe through which water moves, water may be guided to various positions of the washing space through the through holes 747 and 847 even though they are not sprayed into the washing space.
  • the water transfer parts 742 and 842 may be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a plurality of pipes through which water can be guided to individual positions is radially coupled around the central body parts 746 and 846.
  • FIG. 36 is a view illustrating an injection nozzle.
  • 36A is a view of the injection nozzle installed on the body portion viewed from the side
  • FIG. 36B is a view of the injection nozzle installed on the body portion viewed from above, showing the internal shape. Since the spray nozzles 724 and 824 are generally similar to the central spray nozzles 722 and 822,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not limited to the spray nozzle, but can be applied to the central spray nozzle.
  • the injection nozzles 724 and 824 are seated on the body portions 744 and 844 of the injection portion.
  • the injection nozzles 724 and 824 include protrusions 726 and 826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d the water injection holes 728 and 828 are formed on the protrusions 726 and 826.
  • the protrusions 726 and 826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protrusions 726 and 826 include first inclined surfaces 727 and 827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729 and 829.
  • the protrusion may include a curved portion at a portion raised by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On the other hand, the curved portion may form a single plane or may form a curved surface.
  • the first inclined surfaces 727 and 827 may have an angle inclined upwardly relative to the second inclined surfaces 729 and 829. For example, when the second inclined surfaces 729 and 829 form an angle of approximately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pray nozzle, the first inclined surfaces 727 and 827 also form an angle of approximately 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pray nozzle. It is possible.
  • the first inclined surfaces 727 and 827 are formed with water jet openings 728 and 828 through which water is jetted.
  • the first inclined surfaces 727 and 827 are formed to face the surface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jection nozzles 724 and 824 are rotated.
  • the first inclined surfaces 727 and 827 are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injection nozzles 724 and 824, not at the front, relativ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when rotation is rotated. Therefore, water sprayed through the water injection holes 728 and 828 is direc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ray nozzle is rotated.
  • the water jet holes 728 and 828 may form one hole, but it is also possible that a plurality of water jet holes are formed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s 727 and 827. In this case, water may be more evenly sprayed at various locations in the washing space.
  • wing portions 725 and 825 that are hit by contact wit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ransfer portions 742 and 842 are provided.
  • the wing portions 725 and 825 extend radially toward the rotation centers of the injection nozzles 724 and 824, and a plurality of rotation centers are provided to rotate the spray nozzl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water.
  • the wing portions 725 and 825 are formed in a rib shape having a height, so that it is possible to have a large area so that water can easily receive the momentum of water when it strikes the wing portions 725 and 825.
  • the water transfer parts 742 and 842 extend to a height that will not reach the upper surfaces of the spray nozzles 724 and 824, so that some water hits the wing parts 725 and 825, and some of the water blowing parts ( 725, 825 flows from the upper side, it can be injected into the washing space through the water injection holes (728, 828).
  • the water moving from the water transfer parts 742 and 842 to the body parts 744 and 844 is formed with guide pieces 741 and 841 to be guid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spray nozzles 724 and 824. do.
  • the guide pieces 741 and 841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moves,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flow path is changed.
  • the water transfer parts 742 and 842 are a part of a water pipe through which water moves, and in a portion where the guide pieces 741 and 841 are not formed, water is directed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spray nozzles 724 and 824. do.
  • FIG. 3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rajectory of water supplied from the injection nozzle
  • FIG. 3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ain part of the injection nozzle.
  • the central spray nozzles 722 and 822 allow water to be sprayed in the widest range in the washing space as shown in FIG. 37.
  • the first inclined surfaces 727 and 827 of the central spray nozzles 722 and 822 may have a smaller vertical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surface than the inclined surfaces of other spray nozzles. As shown in FIG. 38A, for example, for the horizontal plane, the first inclined planes 727 and 827 may have a normal approximately 40 degrees. Since the water jetting holes 728 and 828 jet water in the norm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s 727 and 827, water may be jetted wider than other jet nozzles.
  • the injection nozzles disposed in the C zones disposed farthest from the central injection nozzles 722 and 822 allow water to be sprayed in the narrowest range in the washing space as shown in FIG. 37.
  • corresponding spray nozzles 724 and 824 may be disposed on a line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diagonal direction.
  • the first inclined surfaces 727 and 827 of the spray nozzles 724 and 824 have a larger vertical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surface compared to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other spray nozzles.
  • the first inclined planes 727 and 827 may have a normal approximately 60 degrees. Since the water jetting holes 728 and 828 jet water in the norm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s 727 and 827, water may be narrower than other jet nozzles.
  • the injection nozzles disposed closer than the C zones disposed farthest from the central injection nozzles 722 and 822 allow water to be sprayed in an intermediate range from the washing space as shown in FIG. 37.
  • the corresponding spray nozzles 724 and 824 may be disposed on a line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 the first inclined surfaces 727 and 827 of the spray nozzles 724 and 824 may have an intermediate vertical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surface compared to the inclined surfaces of other spray nozzles.
  • the first inclined surfaces 727 and 827 may have a normal of approximately 50 degrees. Since the water jetting holes 728 and 828 jet water in the norm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s 727 and 827, water may be jetted to an area having a medium-range range compared to other jet nozzles. .
  • the angle of the water sprayed from two different spray nozzles arranged in one rack is implemented differently. Therefore, the water sprayed from the spray nozzle is sprayed onto the dishes stored in the rack without fail, thereby improving washing power.
  • 3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eam pipe. 39, the steam supplied from the main body is supplied through the steam supply units 772 and 872, and is guided to the steam transmission units 778 and 878 hav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steam is moved, so that the steam delivery It can be moved to various positions through the parts (778, 878).
  • the steam moved from the steam transmission units 778 and 878 is sprayed to various positions of the washing space through a plurality of steam nozzle pipes 779 and 879 to provide steam to the dishes.
  • FIG. 40 is a view illustrating a rack and an injec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the side walls 101 and 201 may be provided on the racks 100 and 200.
  • the side walls 101 and 201 may be provided, there may be an advantage that water accommodated in the racks 100 and 200 does not leak out of the racks 100 and 200.
  •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for the spray nozzle, water pipe, steam pipe, and the like may be applied. Since it is determined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apply to other embodiments, the same applied content will not be described again to avoid duplication of description.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의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세척 공간을 풀다운 방식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식기가 수납되는 제1랙;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식기가 수납되는 제2랙;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도어에 링크부에 의해서 연결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세척 공간을 개방하면, 바닥면에 접지를 유지하면서 상기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편의성이 개선된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하여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가 세척되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종래의 식기 세척기(US 7,731,805)는 내부에 세척조가 형성되는 터브와, 터브 저면에 장착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섬프 내부에 장착된 세척 펌프의 펌핑 작용에 의해, 세척수가 분사 노즐로 이동되고, 상기 분사노즐로 이동된 세척수는 분사 노즐 단부에 형성된 분사구를 통하여 고압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고압으로 분사되는 세척수가 식기 표면에 부딪혀서, 식기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과 같은 오물이 터브 바닥으로 낙하된다.
식기 세척기에는 통상적으로 복수 개의 랙이 구비되어서, 각각의 랙이 전후 방으로 인출가능하게 구비된다. 각각의 랙이 전방으로 인출되는 경우에는 식기 세척기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이동되어서, 식기 세척기가 전방으로 전복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랙을 전방으로 인출하더라도 식기 세척기가 전방으로 인출되지 않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아래쪽에 설치된 랙에 식기를 수납하기 위해서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어서, 식기 수납이 편리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와인잔이나 접시와 같은 식기를 세척할 때에는 해당되는 식기를 수납하고, 와인잔이나 접시와 같은 식기를 세척하지 않을 때에는 다른 식기를 많이 수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인잔이나 접시와 같은 식기를 세척하지 않을 때에는 랙에 식기를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랙의 위생성이 향상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랙의 구성이 와이어와 같은 얇은 구성으로 이동이 되는 동안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랙의 위치가 변화된 상태에도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 공간의 다양한 위치에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해서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의 본체 내부에 전도 방지구조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어 개방시에 인출되어 바닥면과 접촉면적을 넓게 해서, 랙을 인출할 때에 전복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원이 공급되어 지지부가 구동되는 방식과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지지부가 인출되는 구조를 게시한다.
본 발명은 식기의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세척 공간을 풀다운 방식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도어에 링크부에 의해서 연결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세척 공간을 개방하면, 바닥면에 접지를 유지하면서 상기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복수 개의 랙이 전방으로 인출되어 식기 세척기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이동되더라도, 지지부에 의해서 식기 세척기의 접지 면적이 증가해서 안정성이 향상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식기의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세척 공간을 풀다운 방식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감지부; 상기 본체의 바닥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는 지지부;및 상기 감지부에서 도어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지지부를 전방으로 인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복수 개의 랙이 전방으로 인출되기 위해 가이드 레일을 구비할 수 있는데, 가이드 레일에서 랙에 제공하는 인출 거리를 증가시켜서, 사용자가 랙에 식기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높이를 달리하는 두 개의 랙을 포함하고, 각각의 랙은 높이가 변화되어서, 서로 자리를 바꾸도록 배치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제1실시예]
제1실시예에서는 식기의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세척 공간을 풀다운 방식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식기가 수납되는 제1랙;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식기가 수납되는 제2랙;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감지부; 상기 본체의 바닥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는 지지부;및 상기 감지부에서 도어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지지부를 전방으로 인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감지부는 도어의 개방 정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1실시예에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에 따라 상기 지지부의 인출 거리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지지부의 인출 거리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일정 각도 이상 개방되면, 상기 지지부를 인출하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세척 공간을 닫으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서 회전되고,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스크류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를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하는 기어박스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랙와 상기 제2랙을 함께 회전시키는 가이드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1랙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가이드 레일과,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2랙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본 발명은 랙 내부에 손을 넣지 않더라도, 식기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가 식기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와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 만큼 동시에 회전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작동 방식을 이해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또한 발명은 하나의 조작부를 조작하는 경우에 두 개의 와이어 구조물을 이동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의 동작이 간단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높이를 달리하는 두 개의 랙을 포함하고, 각각의 랙은 높이가 변화되어서, 서로 자리를 바꾸도록 배치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에서는 식기의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식기가 수납되는 랙;을 포함하고, 상기 랙은, 상기 랙에 고정되도록 마련된 제1와이어 어셈블리와, 상기 랙에 회전하도록 마련된 제2와이어 어셈블리와, 상기 랙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가 회전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는 상기 랙의 바닥을 형성하고, 상측에 식기가 거치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는,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에 중첩되는 제1위치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1위치로부터 회전되어서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는 와인잔을 고정하는 와인 홀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에 연결되어서,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가 회전되면 함께 회전되는 와인 홀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는 일면에 와인잔을 걸 수 있는 관통공이 마련된 와인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와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 조작부는 복수 개의 기어에 의해서 연결되고,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와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 조작부는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는, 접시를 고정하는 제1접시 고정 와이어와, 제2접시 고정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와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와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가 회전되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두 개의 와이어와 함께 회전되는 접시 홀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의 회전축에는 피니언 기어가 마련되고,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의 회전축에는 피니언 기어가 마련되며,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에는 피니언 기어가 마련되고, 각각의 피니언 기어를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랙 기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와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와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는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2실시예에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와인잔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와인 홀더 조작부와, 접시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접시 홀더 조작부를 포함하고, 두 개의 조작부는 이격되도록 배치되어서,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랙은 상기 가이드 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랙과 제2랙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가 회전되면 상기 제1랙과 상기 제2랙이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3실시예]
제3실시예에서는 식기의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식기가 수납되는 랙;을 포함하고, 상기 랙은, 상기 랙에 고정되도록 마련된 제1와이어 어셈블리와, 상기 랙에 회전하도록 마련된 제2와이어 어셈블리와, 상기 랙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눌려지면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는 상기 랙의 바닥을 형성하고, 상측에 식기가 거치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는,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에 중첩되는 제1위치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1위치로부터 회전되어서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가 하방으로 눌려지면,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는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와인 홀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는,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가 눌려지면 회전되고, 와인잔을 고정하는 와인 홀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는 일면에 와인잔을 걸 수 있는 관통공이 마련된 와인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의 회전축에는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는, 제1푸쉬바와, 상기 제1푸쉬바에 의해서 눌려지는 제1걸림바 및 상기 제1걸림바에 힘이 제거되는 경우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접시 홀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는,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가 눌려지면 회전되고, 접시를 고정하는 제1접시 고정 와이어와, 제2접시 고정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와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의 회전축에는 피니언 기어가 마련되고,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의 회전축에는 피니언 기어가 마련되며,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는, 제2푸쉬바와, 상기 제2푸쉬바에 의해서 눌려지는 제2걸림바와, 상기 제2걸림바에 의해서 이동이 제한되는 랙 기어 및 상기 제2걸림바에 힘이 제거되는 경우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랙 기어는 상기 두 개의 피니언 기어에 맞물려, 각각의 피니언 기어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는, 상기 랙 기어의 이동 속도를 감쇠시키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와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와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는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와인잔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와인 홀더 조작부와, 접시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접시 홀더 조작부를 포함하고, 두 개의 조작부는 이격되도록 배치되어서,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랙은 상기 가이드 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랙과 제2랙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가 회전되면 상기 제1랙과 상기 제2랙이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4실시예]
제4실시예에서는 식기의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 식기가 수납되는 제1랙; 상기 가이드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랙에 결합되는 제1랙 안착부; 식기가 수납되는 제2랙; 및 상기 가이드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랙에 결합되는 제2랙 안착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랙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측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랙과 함께 이동되는 제1분사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랙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측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2랙과 함께 이동되는 제2분사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랙 또는 상기 제2랙은, 상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상측 프레임과, 하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하측 프레임과, 상기 상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을 연결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측면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의 각각의 높이는 상기 측면 와이어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은 상기 제1랙 또는 상기 제2랙의 모서리 둘레를 따라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1랙 또는 상기 제2랙의 네 개의 모서리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랙 또는 상기 제2랙은, 상기 제1랙 또는 상기 제2랙의 바닥을 형성하는 제1하측 와이어와 제2하측 와이어가 서로 수직하게 교차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하측 와이어는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하측 와이어는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하측 와이어와 상기 제2하측 와이어는 상기 측면 와이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랙 또는 상기 제2랙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랙 안착부 또는 상기 제2랙 안착부의 전면에는 상기 조작부를 노출시키는 함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랙 안착부 또는 상기 제2랙 안착부는, 중앙에 중공이 배치되고, 상기 중공에 상기 제1랙 또는 상기 제2랙의 일부가 수납되어 상기 제1랙 또는 상기 제2랙이 상기 제1랙 안착부 또는 상기 제2랙 안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랙 안착부 또는 상기 제2랙 안착부의 상측에는 경사면이 구비되어, 상기 제1랙 또는 상기 제2랙이 안착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중공에 가까워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가 회전되면 상기 제1랙과 상기 제2랙이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본 발명은 상/하랙 하단에 모두 탈착식 워터 노즐을 적용함으로써 회전 시에도 동일하게 세척을 수행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하랙 하단에 모두 탈착식 스팀 노즐을 적용함으로써 회전시에도 동일하게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상/하랙 하단에 모두 적용된 스팀 노즐로, 렉의 위치에 상관없이 동일한 스팀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단 랙은 작은 크기의 그릇을, 하단 렉은 큰 크기의 그릇을 로딩하여 세척하는데, 그릇을 수납하는 공간의 크기가 각각 다르다. 한편 랙이 회전되는 동안에도 다른 크기의 공간을 유지하면서 랙의 높이가 변화되는데, 이때 세척 노즐에 급수가 가능해서 세척이 가능하다.
즉 랙이 회전하여 상/하단으로 서로 위치가 바뀌어도, 각각 세척 노즐을 탑재하고 위치가 변경되므로, 세척기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제5실시예]
제5실시예에서는 식기의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부; 식기가 수납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랙; 상기 제1랙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측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랙과 함께 이동되는 제1분사부; 식기가 수납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랙; 및 상기 제2랙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측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2랙과 함께 이동되는 제2분사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분사부에는 복수 개의 분사 노즐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분사 노즐에는 물이 분사되는 물 분사구가 구비되며, 하나의 랙에 배치된 서로 다른 두 개의 상기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의 각도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제5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물 분사구는 상기 제1랙 또는 상기 제2랙의 바닥에 대해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5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은 상측에 마련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 분사구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5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분사 노즐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에 대향되는 제1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물 분사구는 상기 제1경사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5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물 분사구를 통해서 분사되는 물은 상기 분사 노즐이 회전되는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5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분사 노즐 중에 중앙에 배치된 중앙 분사 노즐은 다른 물 분사구에 비해서 더 수평을 향해서 물이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5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분사 노즐에 멀리 배치될수록 상기 물 분사구의 분사 방향은 상측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5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은 공급되는 물에 의해서 회전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5실시예에 있어서, 물을 상기 분사 노즐로 안내하는 물관이 구비되고, 상기 물관에는 상기 분사 노즐에 공급되는 물이 상기 분사 노즐의 회전 중심에서 벗어난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5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가 회전되면, 상기 제1분사부와 상기 제2분사부가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6실시예]
제6실시예에서는 식기의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부; 식기가 수납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랙; 상기 제1랙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측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랙과 함께 이동되는 제1분사부; 식기가 수납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랙; 및 상기 제2랙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측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2랙과 함께 이동되는 제2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분사부와 상기 제2분사부 중 어느 하나는 물을 상기 분사 노즐로 안내하는 물관과 스팀을 상기 분사 노즐로 안내하는 스팀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제6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물관과 상기 스팀관은 서로 분리되어서, 상기 분사 노즐을 통해서 물과 스팀이 분사되기 전까지 물과 스팀은 섞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6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물관은 상기 스팀관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물관과 제2물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6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물관은 상기 본체에서 물이 안내되는 물 공급부와, 상기 물 공급부에 연결되어서 물을 상기 분사 노즐로 안내하는 물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6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물 전달부는 상기 분사 노즐이 안착되는 몸체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6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중앙에는 상기 스팀관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6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물 전달부의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 공급부는 상기 중앙 몸체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6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팀관은 상기 본체에서 스팀이 안내되는 스팀 공급부와, 상기 스팀 공급부에 연결되어서 스팀을 상기 분사 노즐로 안내하는 스팀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6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팀 전달부에는 상기 분사 노즐까지 스팀이 안내되는 스팀 노즐관이 마련되고, 상기 스팀 노즐관은 상기 스팀 전달부에 대해서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6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팀 노즐관은 상기 분사 노즐이 회전되는 회전 중심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6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가 회전되면, 상기 제1분사부와 상기 제2분사부가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제6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가 회전되면 상기 제1랙과 상기 제2랙이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한 후에, 랙을 전방으로 인출하더라도 식기 세척기가 전방으로 전복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가 랙에 식기를 수납하기 편할 정도로 랙이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인출 거리가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에 위치한 랙을 상측으로 이동시킬 때에 사용자가 하부에 위치한 랙을 잡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허리를 숙일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의 허리에 무리가 가는 행동을 하지 않아서 사용자의 불편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인잔이나 접시와 같이 일반적인 식기와는 다른 형태의 식기를 다량으로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와인잔이나 접시와 같은 식기를 수납하지 않을 때에는 다른 식기를 더 많이 수납할 수 있도록 랙 내부의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인잔이나 접시와 같은 식기를 수납하지 않을 때에는 사용자가 일반적인 식기를 편하게 랙에 수납할 수 있도록, 랙의 바닥을 평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시와 같은 식기를 수납할 때에 필요한 두 개의 구조물을 하나의 조작으로 변화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랙을 식기 세척기로부터 분리해서, 랙을 세척할 수 있어서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랙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부재가 있어서, 랙에 식기가 수납된 상태에서, 랙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랙이 이동되는 동안에도 랙에 변형이 발생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랙의 위치를 변화시킨 상태에서도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다양한 위치에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해서, 수납된 식기에 대한 세척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내부를 설명한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
도 4와 도 5는 두 개의 랙이 위치를 교환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도어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9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10은 도 8 및 도 9를 비교한 도면.
도 11은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15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내부를 설명한 도면.
도 16은 제1랙이 제2랙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설명한 도면.
도 17은 제2랙이 제1랙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설명한 도면.
도 18는 랙과 분사부를 설명한 도면.
도 19은 랙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분사부를 도시한 도면.
도 21는 일 실시예의 요부를 설명한 도면.
도 22은 랙과 랙 안착부를 설명한 도면.
도 23는 일 실시예에 따른 랙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24 및 도 25은 도 23의 일 실시예에서 제2와이어 어셈블리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2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27 및 도 28는 도 26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와이어 어셈블리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2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랙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30 및 도 31은 도 29의 일 실시예에서 제2와이어 어셈블리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32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33는 분사부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34은 분사부의 요부를 설명한 도면.
도 35는 물이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36는 분사 노즐을 설명한 도면.
도 37은 분사 노즐에서 공급되는 물의 궤적을 설명한 도면.
도 38은 분사 노즐의 요부를 설명한 도면.
도 39은 스팀관을 설명한 도면.
도 40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과 분사부를 설명한 도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는 식기 세척기의 정면에 세척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10)가 마련되고, 상기 도어(10)의 후방에는 식기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본체(20)가 마련된다.
도 2는 도 1의 내부를 설명한 도면이고, 도 4a는 랙이 이동되는 과정 중에 일부 요부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4a를 참조해서, 도 1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20)의 내부를 설명한다.
식기가 세척되는 세척공간에는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는 제1랙(100)과 상기 제2랙(100)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하는 제2랙(200)이 구비된다.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에는 각각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은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측은 사용자가 식기를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개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20)에는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이 각각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30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300)의 일단에는 상기 제1랙(100)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300)의 타단에는 상기 제2랙(200)이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부(300)가 회전되면,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이 회전되면서 각각의 랙의 높이와 위치가 달라진다.
상기 가이드부(300)는 가이드 회전 중심부(310)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300)는 상기 가이드 회전 중심부(31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가이드 회전 중심부(310)는 상기 본체(200)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회전 중심부(310)에서 상기 제1랙(100)이 상기 가이드부(300)에 설치된 부분까지의 거리는 상기 가이드 회전 중심부(310)에서 상기 제2랙(200)이 상기 가이드부(300)에 설치된 부분까지의 거리는 다르다.
상기 제2랙(200)에는 상기 제1랙(100)보다 큰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서,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작은 식기는 상기 제1랙(100)에 수납하고, 상대적으로 큰 식기는 상기 제2랙(200)에 수납해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랙(200)이 상기 제1랙(100)에 비해서 아래쪽에 위치한 상태(도 2의 상태)에서는 상기 제2랙(200)이 상기 제1랙(100)로부터 떨어진 높이 간격은 상기 제1랙(100)이 상기 본체(200)의 천장에 떨어진 높이 간격에 비해서 크다. 상기 제1랙(100)에 수납가능한 높이 공간과 상기 제2랙(200)에 수납가능한 높이 공간을 다르게 하기 위해서, 상기 가이드부(300)의 상기 회전 중심부(310)를 중심으로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00)에는 상기 본체(20)의 내부 벽을 향해서 돌출된 돌기가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부(300)는 상기 제1랙(100)에 인접하게 마련된 제1돌기(320)와 상기 제2랙(200)에 인접하게 마련된 제2돌기(34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00)의 내측 벽에는 상기 제1돌기(320)와 상기 제2돌기(340)가 삽입되어서, 안내되는 가이드 홈(440, 420)이 형성된 가이드 판(400)이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판(400)은 상기 본체(20)의 좌측 및 우측 벽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홈(440, 420)은 내측으로 함몰되어서, 상기 제1돌기(320)와 상기 제2돌기(340)의 이동 궤적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440, 420)은 상기 제1돌기(320)와 상기 제2돌기(340)이 상기 가이드 홈(440, 420)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가이드 홈(440, 420)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440, 420)은 상기 제1돌기(320)의 이동 궤적이 안내되는 제1가이드 홈(420)와 상기 제2돌기(340)의 이동 궤적이 안내되는 제2가이드 홈(4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가이드 홈(420)과 상기 제2가이드 홈(440)은 상기 가이드 판(400)에 함께 형성되어 있지만, 홈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홈(420, 440)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홈(440, 420)으로 진입한 돌기는 다른 가이드 홈으로 이동될 수 없다.
상기 제1가이드 홈(420)의 전체 궤적은 상기 제2가이드 홈(440)의 궤적보다 커서, 상기 제1가이드 홈(420)의 내부에서 안내되는 상기 제1돌기(320)는 상기 제2가이드 홈(440)의 내부에서 안내되는 상기 제2돌기(320)보다 큰 궤적을 그리면서 상기 가이드 판(400)에서 이동된다.
상기 제1가이드 홈(420)은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1수평 홈(422)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1수직 홈(424)을 포함한다. 상기 제1수직홈(424)를 기준으로 양단에 두 개의 상기 제1수평 홈(422)이 배치된다. 상기 제1돌기(320)가 상기 제1가이드 홈(420)으로 진입하기 위한 개구부는 상기 제1수평 홈(424)에 마련된다. 상기 제1수직 홈(424)은 후방을 향해서 볼록한 곡선 궤적을 이루어서, 상기 제1돌기(320)는 상기 제1수직 홈(424)의 내부에서 곡선 궤적을 이루면서 이동된다.
상기 제2가이드 홈(440)은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수평 홈(442)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수직 홈(444)을 포함한다. 상기 제2수직홈(444)를 기준으로 양단에 두 개의 상기 제2수평 홈(442)이 배치된다. 상기 제2돌기(340)가 상기 제2가이드 홈(440)으로 진입하기 위한 개구부는 상기 제2수평 홈(444)에 마련된다. 상기 제2수직 홈(444)은 후방을 향해서 볼록한 곡선 궤적을 이루어서, 상기 제2돌기(340)는 상기 제2수직 홈(444)의 내부에서 곡선 궤적을 이루면서 이동된다.
상기 제1랙(100)의 하부에는 상기 제1랙(100)이 이동되면 함께 이동되는 제1분사부(700)가 마련된다. 상기 제1분사부(700)는 상기 제1랙(100)을 향해서 상방향으로 물 또는 스팀을 분사해서 상기 제1랙(100)에 수납되어 있는 식기에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랙(200)의 하부에는 상기 제2랙(200)이 이동되면 함께 이동되는 제2분사부(800)가 마련된다. 상기 제2분사부(800)는 상기 제2랙(200)을 향해서 상방향으로 물 또는 스팀을 분사해서 상기 제2랙(200)에 수납되어 있는 식기에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본체(200)에는 수평 운동을 안내하는 레일(500)이 구비된다. 상기 레일(500)은 상기 가이드 부(300)의 상기 가이드 회전 중심부(310)를 바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레일(500)을 사이에 두고, 상기 레일(500)을 감싸면서 커버 부재(610)와 수평 구동부(600)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 부재(610)와 상기 수평 구동부(600)는 서로 결합되어서, 상기 레일(500)에서 안내하는 것처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수평 구동부(600)는 상기 가이드부(300)에 결합되어서, 상기 가이드부(3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수평 구동부(600)의 하단에는 상기 수평 구동부(600)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63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 모터(630)는 상기 수평 구동부(600)에 회전력을 제공해서, 상기 구동 모터(630)가 구동되어 회전력이 발생되면, 상기 수평 구동부(600)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630)는 상기 제1랙(100) 또는 상기 제2랙(20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수평 구동부(60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평 구동부(60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기어가 구비되어서, 상기 구동 모터(63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상기 수평 구동부(600) 내부의 기어를 통해서 전달해서, 상기 레일(500)에 대해서 상기 수평 구동부(600)가 이동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300)의 내부에도 복수 개의 기어가 구비되어서, 상기 가이드 부(300)가 회전되는 동안에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의 수평이 유지되어서, 수납된 식기가 랙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평 구동부(600)의 기어는 상기 가이드 부(300)의 내부에 구비된 기어에 맞물려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구동부(600)와 상기 가이드 부(300)가 결합된다. 즉 상기 수평 구동부(600)의 기어 중에 하나의 회전축이 상기 가이드 부(300)의 기어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랙(100)은 상기 제1랙(100)이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1가이드 레일(1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랙(100)은 상기 제1가이드 레일(150)에 의해서 양측이 지지되어서, 높이는 변화하지 않고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 레일(150)이 상기 가이드 부(300)에 결합된다.
상기 제2랙(200)은 상기 제2랙(200)이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가이드 레일(250)을 포함한다. 상기 제2랙(200)은 상기 제2가이드 레일(250)에 의해서 양측이 지지되어서, 높이는 변화하지 않고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 레일(250)이 상기 가이드 부(300)에 결합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 중에서 상측에 위치한 랙을 이동시키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900)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900)는 상측에 위치한 랙을 이동시킨 후에 특정한 변화가 감지되면, 관련된 신호가 발생했음을 제어부(1000)에 전달한다. 상기 감지부(900)는 사용자가 상측에 위치한 랙의 높이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랙을 누르는 행위가 발생하면 그에 따라 랙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감지부(900)에서 사용자가 랙의 높이를 변화하고자 하는 신호로 설정된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구동 모터(630)를 구동한다. 상기 구동 모터(630)가 구동되면, 상기 구동 모터(630)에서 회전력이 발생되고, 상기 수평 구동부(600)가 수평 이동되면서 상기 가이드 부(300)가 회전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두 개의 랙이 위치를 교환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상기 제1랙(100)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랙(200)이 하측에 배치된다. 반면에 도 5에서는 상기 제2랙(200)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랙(100)이 하측에 배치된다.
도 4는 상기 제1랙(100)이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이 서로 위치를 바꾸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i의 과정을 통해서, 상기 제1랙(100)은 하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랙(200)은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4a에서와 같이 상기 제1랙(100)을 높이 변화 없이 전방으로 인출한 후에, 상기 제1랙(100)을 하방으로 눌러서 상기 제1랙(100)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900)은 사용자가 상기 제1랙(100)에 가해진 힘을 감지해서, 상기 제어부(1000)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구동 모터(630)를 구동시켜서, 상기 수평 구동부(600)가 수평 이동 될 수 있는 힘을 제공한다.
상기 제1돌기(320)는 상기 제1수평 홈(422)로부터 전방으로 빠져나온다. 사기 제1돌기(320)는 상기 제1수평 홈(422)에 의해서 이동 궤적이 안내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부(300)의 이동이 정해진 궤적에 따르게 된다. 동시에 상기 제2돌기(340)는 상기 제2수직 홈(444)을 따라서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2수직 홈(444)은 후방(도 4를 기준으로 우측에 해당됨)을 향해서 볼록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2돌기(340)는 후방을 향해서 볼록한 궤적을 가지면서 이동된다.
상기 제1돌기(320)가 상기 제1가이드 홈(420)으로부터 벗어나기는 했지만, 상기 제2돌기(340)가 상기 제2가이드 홈(440)에 삽입되어서 이동 궤적이 구속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부(400)의 이동은 정해진 궤적을 따른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400)의 상기 가이드 회전 중심부(310)는 상기 수평 구동부(600)에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수평 구동부(600)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이 불가하고, 수평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부(400)는 두 점에서 구속되어서 이동 궤적이 일정해질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630)에서 지속적으로 회전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수평 구동부(600)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수평 구동부(400)에 결합된 커버 부재(61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4g에 따르면, 상기 제2돌기(340)이 상기 제2수직 홈(444)를 벗어나, 상기 제2수평 홈(442)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돌기(320)가 상기 제1수평 홈(442)로 다시 들어온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2랙(200)이 하부에 위치할 때에, 상기 제2랙(200)에 식기를 수납하기 위해서, 허리를 굽힐 필요가 없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제2랙(200)을 상측으로 이동시켜서,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랙(200)이 상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제1랙(100)은 하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2랙(200)이 상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제2랙(200)의 바닥과 상기 본체(20)의 천장과의 거리는 식기를 수납할 정도로 유지될 수 있어서, 상기 제2랙(200)에 상기 제1랙(100)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큰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제2랙(200)이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이 서로 위치를 바꾸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에 따른 과정은 도 4에 따른 과정과 달리, 상기 제2랙(200)이 상기 제1랙(100)이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는 차이만 있기 때문에, 도 4에서 설명한 내용을 준용할 수 있고,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 중에 어느 하나가 전방으로 이동되어서 하부로 이동되는 동안에는 각각의 랙은 원형이 아니라 타원에 가까운 궤적을 이루면서 이동된다.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은 후방으로 이동되어서 상승하는 동안은 전방의 궤적에 비해서 전후 길이방향의 이동 거리가 짧다.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은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이 이동되는 동안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는 상기 본체(20)의 하부에 마련되는 지지부(12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200)는 상기 도어(10)에 링크부(1300)에 의해서 연결된다. 상기 도어(10)가 상기 세척 공간을 개방하면, 상기 지지부(1200)는 상기 식기 세척기가 놓여지는 바닥면에 접지를 유지하면서 상기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된다.
도 6에서는 상기 도어(10)가 완전히 세척 공간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1200)가 전방으로 완전히 인출된 상태이고, 도 7에서는 상기 도어(10)가 세척 공간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1200)가 상기 본체(10)로 완전히 인입된 상태이다.
상기 본체(20)의 바닥면(22)에는 네 개의 받침부(23)가 구비되어서, 상기 식기 세척기가 거치되는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 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받침부(23)는 상기 바닥면(22)의 네 모서리에 배치되어서, 상기 바닥면(22)이 식기 세척기가 놓이는 바닥면에 맞닿지 않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1200)에는 전방에 두 개의 바퀴(1390)가 구비되어서, 상기 지지부(1200)가 식기 세척기가 놓이는 바닥에 접지된 상태에 유지되면서, 상기 지지부(1200)가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퀴(1390)는 상기 지지부(1200)의 꼭지점 부근에 배치되어서, 상기 지지부(1200)를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부(1200)가 상기 본체(20)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부(1200)의 전면(1201)와 상기 본체(10)의 전면(21)이 서로 평행이 되게 배치된다.
상기 본체(10)의 전면은 상기 도어(10)가 배치되는 공간에 비해서, 후방으로 후퇴되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지지부(1200)의 전면(1201)도 상기 도어(10)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도 8은 도어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9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8 및 도 9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10)와 상기 지지부(1200)를 연결하는 링크부(1300)는 상기 도어(10)의 하단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1320)와, 상기 제1링크(1320)에 연결되고, 중앙에 고정된 회전축(1346)에 대해서 회전되는 제2링크(1340)와, 상기 제2링크(1340)에 연결되어, 상기 제2링크(1340)의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제3링크(1360)와, 상기 제3링크(1360)에 연결되어 길이의 변화가 가능한 신축부(137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링크(1320)는 긴 바의 형태로 이루어져서, 일단은 상기 도어(10)의 하면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링크(1320)의 타단은 측면 방향으로 안내홈(1322)가 형성된다.
상기 제2링크(1340)은 중앙 부위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0)에 고정된다. 상기 제2링크(1340)은 상기 회전축(1346)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링크(1340)의 일단에는 상기 안내홈(1322)에 삽입되어서, 상기 안내홈(1322)에 의해서 이동 궤적이 안내되는 돌기(1342)가 마련된다. 상기 돌기(1342)는 상기 안내홈(1322)에 삽입되어서 가이드되도록, 상기 안내홈(1322)의 구멍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1322)은 상기 제1링크(1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서, 상기 돌기(1342)는 상기 안내홈(1322)의 내에서 안내홈(13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돌기(1342)는 모서리가 곡선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에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안내홈(1322)은 상기 돌기(1342)가 안내홈(13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안내되도록 높이는 상기 돌기(13342)에 유사한데, 길이 방향은 상기 돌기(1342)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링크(1340)의 타단에는 상기 제3링크(1360)에 연결된다. 상기 제3링크(1360)는 상기 제2링크(1340)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3링크(1360)의 타단에는 상기 신축부(1370)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신축부(1370)가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신축부(1370)는 상기 식기 세척기가 놓이는 바닥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신축부(1370)는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서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질 수 있다. 상기 신축부(1370)는 복수 개의 바가 서로 대칭을 이루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자바라인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3링크(1360)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신축부(1370)는 길이가 짧아지거나 길어질 수 있다.
상기 신축부(1370)는 복수 개의 바가 서로 교차되면서, 서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신축부(1370)는 복수 개의 바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길이가 길어질 수도 있고,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상기 신축부(1370)은 상기 신축부(1370)의 일단이 상기 본체(20)에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1372)가 마련된다. 상기 신축부(1370)는 상기 고정부(1372)가 고정되어서, 상기 제3링크(1360)의 위치나 상태가 변화하더라도, 상기 고정부(1372)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신축부(1370)의 일단은 상기 지지부(1200)에 고정되어서, 상기 신축부(1370)가 인장되면 상기 지지부(1200)가 상기 본체(2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신축부(1370)가 축소되면 상기 지지부(1200)가 상기 본체(20)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신축부(1370)의 일단은 상기 지지부(1200)에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결합되어서, 상기 신축부(1370)의 직선 방향 운동만이 상기 지지부(1200)의 위치에 영향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20)에는 상기 신축부(1370)의 연장 방향을 안내하는 레일(1380)이 구비된다. 상기 레일(1380)는 상기 본체(20)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12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상기 레일(1380)에는 상기 신축부(1370)에 마련된 복수 개의 돌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일부 돌기가 상기 레일(138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신축부(1370)의 길이가 변화할 수 있다.
상기 본체(20)는 세척 공간의 하부에 상기 지지부(1300)가 결합되는 전면(1201)은 상기 도어(10)가 배치되는 부분보다 후방으로 배치된다.
상기 도어(10)는 상기 본체(20)에 풀 다운 방식으로 세척 공간을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축(30)에 의해서 결합된다. 상기 힌지축(30)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서, 상기 도어(10)는 상기 본체(20)에 대해서 수평 방향을 회전축으로 해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는 상기 힌지축(30)의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도어(10)가 상기 힌지축(30)에 대해서 완전히 회전되면, 상기 도어(10)의 하단은 상기 본체(10)의 전면(21)에 맞닿을 수 있다. 즉 상기 도어(10)는 상기 힌지축(3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도 8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10)에서 상기 힌지축(30) 보다 낮은 위치에 상기 제1링크(1320)가 상기 도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0)가 회전되면, 상기 제1링크(1320)의 일단은 상기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궤적을 그리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10)가 세척 공간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10)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면 세척 공간을 개방한다. 사용자는 상기 도어(10)의 상측을 잡고, 상기 도어(10)를 상기 힌지축(30)에 대해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10)가 회전되면, 상기 도어(10)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제1링크(1320)도 함께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1링크(1320)는 상기 도어(10)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제1링크(1320)도 상기 힌지축(30)에 대해서 회전된다. 상기 안내홈(1322) 내에서 상기 돌기(1342)가 어느 정도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도어(10)가 소정 각도 만큼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링크(1320)가 상기 도어(10)와 함께 이동되지만, 상기 제2링크(1340)는 이동되지 않는다.
상기 도어(1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세척 공간을 개방하는데, 상기 도어(1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링크(1320)의 후단은 대략 후방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돌기(1342)가 상기 안내홈(1322)의 내부에서 상기 안내홈(1322)의 일단에 맞닿을 때까지, 상기 제1링크(1320)가 이동더라도 상기 제2링크(1340)는 이동되지 않는다. 즉 상기 안내홈(1322)이 상기 돌기(1342)에 맞닿아서 상기 제2링크(1340)가 이동될 때까지, 상기 도어(10)가 회전되더라도 상기 지지부(1200)는 전방으로 인출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상기 도어(10)는 식기가 수납되는 본체(20)에 비해서 무게가 많이 나가지 않는다. 따라서, 도어의 일부 개방하더라도, 식기 세척기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많이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전복의 위험성이 없고, 상기 지지부(1200)를 전방으로 인출해서 접지 면적을 증가시킬 필요는 없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10)가 일정 각도 이하로 개방되면, 상기 지지부(1200)는 상기 본체(20)로부터 인출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본체(20)의 전면(21)과 상기 지지부(1200)의 전면(1201)이 서로 하나의 평면 상에 배치되어서, 사용자는 상기 지지부(1200)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다가 사용자가 상기 도어(10)를 일정 각도 이상 개방하면, 상기 제2링크(1340)이 이동되기 시작하면서, 상기 지지부(1200)가 전방으로 인출되기 시작할 수 있다.
상기 도어(1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각도가 증가되면, 상기 제2링크(1340)의 이동이 증가되면서 상기 지지부(1200)가 전방으로 인출되는 길이가 증가 된다. 즉 상기 도어(10)의 개방 각도에 따라 상기 지지부(1200)의 인출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10)의 개방 각도가 증감함에 따라 상기 지지부(1200)의 인출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링크(1320)에서 상기 안내홈(1322)이 형성된 부분은 후방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제2링크(1340)가 상기 회전축(1346)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2링크(1340)의 상단은 우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링크(1340)의 하단은 좌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2링크(1340)의 하단은 상기 제3링크(136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제2링크(1340)의 하단이 상기 회전축(1346)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3링크(1360)은 좌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3링크(1360)가 상기 신축부(137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은 좌측으로 이동되려고 한다. 상기 신축부(1370)는 상기 레일(1380)에 좌우방향(도 8 내지 도 10을 기준)으로만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신축부(1370)의 일단은 상기 본체(20)에 상기 고정부(1372)를 통해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3링크(1360)가 상기 신축부(1370)에 결합된 부분이 좌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신축부(1370)의 길이는 연장되면서, 상기 지지부(1200)는 상기 도어(10)가 위치한 방향으로 인출된다.
이때 상기 바퀴(1390)가 식기 세척기의 본체(20)의 받침부(23)가 배치된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지지부(1200)가 상기 본체(20)로부터 인출되거나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바퀴(1390)은 바닥에 접지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지지부(1200)가 인출되면 본체(20)가 바닥에 접지되는 면적이 증가해서, 상기 식기 세척기의 무게 중심으로 도어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식기 세척기가 전복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10)가 세척 공간을 닫으면, 상기 지지부(1200)는 상기 본체(1200)로 인입된다. 상기 도어(10)가 상기 힌지축(30)에 대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도어(10)가 세척 공간을 밀폐하는데, 상기 지지부(1200)가 상기 본체(20)로 인입되는 과정은 상술한 설명을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도 11은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1을 설명하면, 상기 본체(20)에 결합되고, 상기 제1랙(10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가이드 레일(150)과, 상기 제2랙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가이드 레일(2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1200)가 상기 도어(10)의 이동에 따라 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을 종래 기술보다 더 많이 인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이 상기 가이드부(300)에 의해서 회전될 때에는 상기 제1랙(100) 또는 상기 제2랙(200)이 사용자를 향해서 많이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랙에 식기가 수납된 상태에서는 랙이 회전되는 동안 식기 세척기 전체의 무게 중심이 사용자를 향한 전방 쪽으로 이동되고, 식기 세척기의 전복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10)가 세척 공간을 개방한 상태에는 상기 지지부(1200)가 전방으로 인출되어서, 식기 세척기가 바닥에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되어, 무게 중심이 이동되더라도 전복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어 감지부(1410)에서 관련 정보를 상기 제어부(10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감지부(1410)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10)를 개방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어 감지부(1410)는 상기 도어(10)가 상기 본체(20)에 접촉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상기 도어 감지부(1410)는 상기 도어(10)를 얼마나 개방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경우에 상기 도어 감지부(1410)는 상기 힌지축(30)에 인접하게 구비되어서, 상기 도어(10)가 회전된 각도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 감지부(1410)는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와 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를 감지해서 상기 제어부(1000)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1000)는 모터(1420)를 구동해서, 상기 지지부(1200)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터(1420)는 회전력을 발생시켜서, 상기 지지부(1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다른 실시예는 일 실시예와 달리 상기 도어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가 제어부에 전달되어서, 모터에 의한 힘에 의해서 지지부가 이동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20)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부(1200)를 인출시킬 수 있는 상기 모터(1420)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1420)에는 상기 모터(1420)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기어 박스(145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1200)에는 일단에 결합편(1440)이 마련되고, 상기 결합편(1440)과 상기 기어 박스(1450)는 스크류(1430)에 의해서 결합된다. 상기 기어 박스(1450)는 상기 스크류(1430)를 상기 모터(1420)의 회전축에 연결해서, 상기 모터(1420)가 회전되면 상기 스크류(1430)도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편(1440)에는 상기 스크류(1430)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스크류(1430)가 회전되면 상기 결합편(1440)는 좌우 방향(도 13 및 도 14를 기준)으로 수평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모터(1420)에 의해서 발생되는 회전력은 상기 기어 박스(1450), 상기 스크류(1430) 및 상기 결합편(1440)을 통해서 상기 지지부(120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힘을 제공한다. 상기 결합편(1440)은 상기 지지부(1200)에 구비되어서, 상기 결합편(1440)이 이동되면 그에 따라 상기 지지부(1200)도 함께 이동된다.
상기 제어부(1000)에서는 상기 모터(1420)를 회전시켜서, 상기 지지부(1200)가 상기 본체(20)로부터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도어 감지부(1410)에서 도어 개방이 되면 상기 모터(1420)을 즉시 구동해서, 상기 지지부(1200)를 인출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도어 감지부(1410)에서 도어 개방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이루어질 때까지 기다린 후에, 상기 모터(1420)을 구동해서, 상기 지지부(1200)를 인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지지부(1200)의 인출 거리가 증가하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지지부(1200)의 인출 거리가 감소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감지부(1410)에서 감지되는 각도가 일정 각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1200)가 상기 본체(20)에 완전히 인입되어서 상기 지지부의 전면과 상기 본체의 전면이 하나의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할 수 있다.
도 15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내부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5에서는 제1랙, 제2랙 등에 관한 구성요소는 생략된 상태이고, 도어(10)가 본체(20)에 마련된 세척 공간을 개방한 상태로, 정면에서 식기 세척기를 바라본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6은 제1랙이 제2랙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고, 도 17은 제2랙이 제1랙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6과 도 17은 도어(10)가 개방된 상태에서 측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5과는 달리 두 개의 랙이 함께 도시되어 있는 상태를 표현한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세척 공간을 이루는 본체(20)의 후벽에는 세 개의 급수부가 마련된다. 세 개의 급수부는 상기 제1랙(100)의 하부에 마련되는 상기 제1급수부(700)과 상기 제2랙(200)의 하부에 마련되는 상기 제2급수부(800)에 물을 공급한다.
세 개의 상기 급수부(1510, 1520, 1530)는 상기 본체(20)에서 물이 공급될 수 있는 유로가 연결되어서, 각각의 급수부(1510, 1520, 1530)를 통해서 물을 본체로 공급되는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세 개의 급수부(1510, 1520, 1530)는 상기 본체(20)에서 식기를 세척하는 공간을 이루는 세척 공간의 후벽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체(20)로부터 상기 세 개의 급수부(1510, 1520, 1530)에 물 등을 공급하는 유로는 상기 본체(20)의 세척 공간을 이루는 후벽과 상기 본체(20)의 외관을 이루는 후벽의 사이에 배치되는 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관은 상기 본체(20)의 하측에서부터 각각의 급수부(1510, 1520, 1530)가 배치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서, 물 등을 급수부에 공급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 개의 급수부(1510, 1520, 1530)는, 상측부터 하측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1급수부(1510), 제2급수부(1520) 및 제3급수부(15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급수부(1510)와 상기 제2급수부(1520)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급수부(1520)와 상기 제3급수부(1530)와의 간격이 다르게 배치된다.
상기 세 개의 급수부(1510, 1520, 1530)는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한 위치를 가지면서 서로 높이를 달리하도록 일렬로 배치된다. 각각의 급수부(1510, 1520, 1530)는 물이 공급되는 물 공급관과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 공급관를 구비한다. 상기 제1급수부(1510)은 물 공급관(1512)과 스팀 공급관(1514)를 구비해서, 하나의 급수부를 통해서 물과 스팀을 함께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물 공급관(1512)과 상기 스팀 공급관(1514)는 서로 분리된 두 개의 관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물과 스팀은 섞이지 않은 상태에서 분사부로 공급될 수 있다. 물 공급관(1512)과 스팀 공급관(1514)는 하나의 급수부(1510)의 내부에 두 개의 분리된 관을 이루면서, 두 개의 분리된 관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세 개의 급수부(1510, 1520, 1530) 중에서 상기 제2급수부(1520)가 가운데에 배치되고, 상측에는 상기 제1급수부(1510)가 배치되고, 하측에는 상기 제3급수부(1530)가 배치된다.
상기 제1급수부(1510)와 상기 제2급수부(1520)의 간격은 상기 제2급수부(1520)와 상기 제3급수부(1530)의 간격보다 좁은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간격은 상기 가이드부(300)에 설치되는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과 관련된다. 상기 제1랙(100)에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식기가 수납되고, 상기 제2랙(200)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식기가 수납된다.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각각의 랙에서 식기가 수납되는 공간은 유지될 수 있도록 배치한 것이다.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랙(100)이 상기 제2랙(200)의 위에 배치되는 상태에는, 상기 제1랙(100)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식기가 수납되기 때문에 상기 제1랙(100)과 세척 공간의 천장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2랙(200)에서 상기 제1랙(100)의 하부까지의 거리보다 작아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1급수부(1510)가 상기 제1분사부(700)에 연결되면, 상기 제3급수부(1530)는 상기 제2분사부(800)에 연결된다. 즉 상기 본체(20)에서 상기 제1급수부(1510)로 공급되는 물 또는 스팀은 상기 제1급수부(1510)를 통해서 상기 제1분사부(700)로 전달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1급수부(1510)가 상기 제1분사부(700)에 연결되면, 상기 제2급수부(1520)에는 분사부가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2급수부(1520)에는 물과 스팀이 랙으로 공급되지 않는다. 상기 제2급수부(1520)에는 분사부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서, 상기 제2급수부(1520)를 통해서 물과 스팀을 공급할 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감지 센서는 전기적인 신호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는 달리 감지 센서는 기계적인 구조로 이루어져서, 분사부가 상기 제2급수부(1520)에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제2급수부(1520)에 마련된 기계적인 구조가 변화되면서 상기 제2급수부(1520)에서 공급되는 유로가 개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급수부(1520)에 마련된 커버가 열리면서 물과 스팀이 공급되는 유로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2랙(200)이 상기 제1랙(100)의 위에 배치되는 상태에는, 상기 제1랙(100)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식기가 수납되기 때문에 상기 제2랙(200)과 세척 공간의 천장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랙(100)에서 상기 제2랙(200)의 하부까지의 거리보다 작아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3급수부(1530)가 상기 제1분사부(700)에 연결되면, 상기 제2급수부(1520)는 상기 제2분사부(800)에 연결된다. 즉 상기 본체(20)에서 상기 제2급수부(1520)로 공급되는 물 또는 스팀은 상기 제2급수부(1520)를 통해서 상기 제2분사부(800)로 전달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2급수부(1520)가 상기 제2분사부(800)에 연결되면, 상기 제1급수부(1510)에는 분사부가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1급수부(1510)에는 물과 스팀이 랙으로 공급되지 않는다. 상기 제1급수부(1510)에는 분사부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서, 상기 제1급수부(1510)를 통해서 물과 스팀을 공급할 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감지 센서는 전기적인 신호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는 달리 감지 센서는 기계적인 구조로 이루어져서, 분사부가 상기 제1급수부(1510)에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제1급수부(1510)에 마련된 체결이 해제되면서 급수부에서 공급되는 유로가 개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급수부(1510)에 마련된 커버가 열리면서 물과 스팀이 공급되는 유로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랙에 수납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물 등을 공급하는 급수부는 세 개가 구비되는 반면에 랙에 직접 물 등을 분사하는 분사부는 두 개가 구비된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랙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는데, 랙의 위치가 변화된 상태에서도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랙(100)이 상기 제2랙(200)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와, 상기 제2랙(200)이 상기 제1랙(100)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도 모두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두 가지 상태에서도 모두 각각의 분사부는 급수부에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분사부의 개수에 비해서 급수부의 개수가 많이 구비된다는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랙의 위치가 바뀌게 되면, 하부에 배치되는 랙의 높이는 세척 공간의 바닥으로부터 일정하게 유지된다. 반면에, 두 개의 랙의 위치가 바뀔 때에 상부에 배치되는 랙의 높이는 세척 공간의 바닥으로부터 높이가 변화되기 때문에, 상측에 위치하는 랙에 물 등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가 두 개 마련된다. 이때 두 개의 급수부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어서, 상측에 위치하는 랙이 상기 제1랙(100)이거나 상기 제2랙(200) 중 어느 랙에 해당하더라도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8는 랙과 분사부를 설명한 도면이고, 도 19은 랙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0은 분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에서는 제1랙(100)과 제2랙(200)을 함께 표현했고, 도 19 및 도 20에서는 두 개의 랙 중에 어느 하나와 두 개의 분사부 중 어느 하나를 표현한 도면이다. 제1랙과 제2랙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를 이루고, 두 개의 분사부는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랙(100, 200)은 상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상측 프레임(102, 202)과 하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하측 프레임(104, 204)을 포함한다. 상기 상측 프레임(102, 202)과 상기 하측 프레임(104, 204)은 상측 또는 하측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모서리 전체 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랙은 위에서 내려다 봤을 때에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프레임은 사각형의 모서리를 따라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프레임은 사용자가 잡을 수 있을 정도의 폭과 높이를 가져서, 일정 수준의 면적을 가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측 프레임(102, 202)과 상기 하측 프레임(104, 204)의 사이에는 측면 와이어(106, 206)가 배치된다. 상기 측면 와이어(106, 206)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가 간격을 이루면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측면 와이어(106, 206)는 상기 하측 프레임(104, 204)보다 하부까지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측면 와이어(106, 206)에 의해서 상기 상측 프레임(102, 202)와 상기 하측 프레임(104, 204)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랙(100, 200)의 하부에는 랙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1하측 와이어(108, 208)와 제2하측 와이어(109, 209)가 배치된다. 상기 제1하측 와이어(108, 208)는 랙(100, 200)의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하측 와이어(109, 209)는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서 서로 격자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하측 와이어(108, 208)와 상기 제2하측 와이어(109, 209)와 상기 측면 와이어(106, 206)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측 와이어(108, 208)은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이격된 사이 공간으로 물이 낙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하측 와이어(109, 209)은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이격된 사이 공간으로 물이 낙하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측 와이어(108, 208)과 상기 제2하측 와이어(109, 209)는 십자가 형상을 이루면서 서로 교차된다.
상기 제1하측 와이어(108, 208) 및 상기 제2하측 와이어(109, 209)는 상기 측면 와이어(106, 206)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면 와이어(106, 206)가 상기 하측 프레임(104, 204)의 하부까지 연장되면, 상기 제1하측 와이어(108, 208)와 상기 제2하측 와이어(109, 209)는 상기 하측 프레임(104, 204)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 와이어(106, 206)는 일단은 상기 상측 프레임(102, 202)에 결합된다. 상기 측면 와이어(106, 206)는 상기 하측 프레임(106, 206)의 내측면에 결합이 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구간에서 수직방향이 아닌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와이어(106, 206)는 상기 제1하측 와이어(108, 208)과 상기 제2하측 와이어(109, 209) 중에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분사부(700, 800)은 상기 급수부로부터 물 또는 스팀을 공급받을 수 있는 공급부(710, 810)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부(710, 810)은 내부에 물과 스팀이 이동될 수 있는 유로가 구분되어 있다. 상기 공급부(710, 810)는 상기 본체(20)의 식를 세척하는 세척 공간을 구성하는 후벽을 향해서 연장되어, 상기 급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710, 810)의 일단에는 상기 급수부에 체결될 수 있는 연결부(712, 812)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712, 812)는 상기 공급부(710, 810)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어서, 상기 급수부에 체결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710, 810)의 타단에는 상기 공급부(710, 810)에서 공급되는 무링 여러 개의 유로로 분기되어 이동되는 전달부(714, 814)가 구비된다. 상기 전달부(714, 814)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서, 하나의 공급부(710, 810)에 연결된다. 상기 전달부(714, 814)도 스팀과 물이 이동될 수 있는 유로가 내부에 독립적으로 마련되어서, 상기 공급부(710, 810)를 통해서 이동된 물과 스팀이 상기 전달부(714, 814)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700, 800)은 상측에 마련된 랙에 물 또는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722, 724)을 포함한다. 상기 분사 노즐(722, 724, 822, 824)에서는 상기 급수부에서 공급된 물과 스팀이 랙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과 스팀은 상측을 향해서 분사된다.
상기 분사 노즐(724, 824)는 상기 전달부(714, 814)의 일단에 각각 마련된다. 즉 하나의 전달부(714, 814)에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724, 824)이 배치된다.
상기 공급부(710, 810)에서 상기 전달부(714, 814)로 분기되는 부분에는 중앙 분사 노즐(722, 822)이 마련된다. 상기 중앙 분사 노즐(722, 822)는 상기 분사 노즐(724, 824)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중앙 분사 노즐(722, 822)은 상기 분사 노즐(724, 824)과 비교해서, 크기만 다를 뿐 작동 메카니즘이나 형상 등은 동일하기 때문에, 분사 노즐(724, 824)을 위주로 설명하고, 중앙 분사 노즐(722, 822)은 동일한 내용이 적용된다.
상기 공급부(710, 810)에도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이 마련되어서, 분사부(700, 800)에는 모두 9개의 분사 노즐(724, 824, 722, 822)을 포함한다. 9개의 분사 노즐이 구비되어서, 랙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서 넓은 공간으로 물과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분사 노즐은 상측으로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구(728)와 상측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구(729)를 구비한다. 상기 물 분사구(728)와 상기 스팀 분사구(729)는 서로 분리되어 있어서, 물과 스팀은 개별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이 분사되는 동안 스팀이 분사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고, 스팀이 분사되는 동안 물이 분사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스팀 분사구(729)은 상기 분사 노즐의 중앙에 한 개가 배치되는 반면에, 상기 물 분사구(728)은 상기 분사 노즐의 일측에 치우치게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분사 노즐에서 물 분사구와 스팀 분사구가 배치되는 상측 커버는 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되어서, 상기 물 분사구(728)을 통해서 물이 분사되는 동안에 상기 물 분사구(728)이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물 분사구는 상측이 아니라 소정 각도로 경사진채 배치되어서, 상측 커버가 회전되는 동안 다양한 영역에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분사부(700, 800)에는 상기 분사부(700, 800)를 상기 랙(100, 200)에 결합하는 결합편(730, 830)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편(730, 830)은 랙(100, 200)의 하부에 체결되어서, 랙(100, 200)이 이동할 때에 상기 분사부(700, 800)도 함께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편(730, 830)은 상기 전달부(730, 830) 또는 상기 공급부(710, 810)의 상측면에 마련된다. 상기 결합편(730, 830)은 모든 전달부(714, 814)에 마련된 필요는 없고, 일부 전달부에만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편(730, 830)은 상기 전달부(714, 814) 또는 상기 공급부(710, 810)에서 돌출된 돌출편(732, 832)과, 상기 돌출편(732, 832)에서 절곡된 절곡편(734, 834, 738, 838)을 포함하고, 상기 절곡편(734, 834, 738, 838)이 상기 랙(100, 200)에 걸리는 방식을 랙에 고정된다.
상기 절곡편은 상기 돌출편(732, 832)의 일단에서 소정 각도로 연장되는 제1절곡편(734, 834)과 상기 제1절곡편(734, 834)의 일단에서 일정 각도로 연장되는 제2절곡편(738, 838)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절곡편(734, 834)과 상기 제2절곡편(738, 838)은 그 사이에 걸림홈(736, 836)이 형성되어서, 랙(100, 200)의 하측 와이어가 상기 걸림홈(736, 836)의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선 상기 제1분사부(700) 및 상기 제2분사부(800)는, 각각 상기 본체(20)의 후벽을 향해서 연장되는 공급부(710, 81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710, 810)는 상기 세 개의 급수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다. 즉 세 개의 급수부와 두 개의 공급부를 포함해서, 두 개의 공급부는 랙의 위치에 무관하게 항상 급수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700, 800)는 각각의 랙에 결합되어 랙이 회전되면 함께 회전된다. 상기 분사부(700, 800)의 분사 노즐은 랙의 하부를 바라보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분사 노즐을 통해서 분사되는 물 또는 스팀은 랙에 수납된 식기로 분사된다.
상기 랙(100, 200)이 가이드 레일을 통해서 전방으로 인출될 때에, 상기 분사부(700, 800)도 함께 인출되고, 상기 랙(100, 200)이 가이드 레일을 통해서 후방으로 인입될 때에, 상기 분사부(700, 800)도 함께 인입된다.
도 21는 일 실시예의 요부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1를 참조하면, 상기 제1가이드레일(150)에는 상기 제1랙(100)이 안착되는 제1랙 안착부(80)가 구비된다. 상기 제1랙(100)은 상기 제1랙 안착부(80)의 상측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랙 안착부(80)은 내측에 중공 형상을 이루고, 전체적으로 네 개의 변을 구비하는 사각형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150)은 상기 가이드부(300)의 각각에 구비되어서, 전체적으로 두 개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랙 안착부(80)은 양측이 두 개의 상기 제1가이드 레일(15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 레일(150)에 대해서, 상기 제1랙 안착부(80)가 전방으로 인출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제1랙(100)도 상기 제1랙 안착부(80)에 거치된 상태에서 함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식기를 상기 제1랙에 수납하기 위해서, 상기 제1랙(100)을 전방으로 인출한 후에, 식기 수납을 마치고, 상기 제1랙(100)을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레일(250)에는 상기 제2랙(200)이 안착되는 제2랙 안착부(180)가 구비된다. 상기 제2랙(200)은 상기 제2랙 안착부(180)의 상측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랙 안착부(180)은 내측에 중공 형상을 이루고, 전체적으로 네 개의 변을 구비하는 사각형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2가이드레일(250)은 상기 가이드부(300)의 각각에 구비되어서, 전체적으로 두 개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랙 안착부(180)은 양측이 두 개의 상기 제2가이드 레일(25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 레일(250)에 대해서, 상기 제2랙 안착부(180)가 전방으로 인출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제2랙(200)도 상기 제2랙 안착부(180)에 거치된 상태에서 함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식기를 상기 제2랙에 수납하기 위해서, 상기 제21랙(200)을 전방으로 인출한 후에, 식기 수납을 마치고, 상기 제2랙(200)을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300)가 회전되는 동안에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이 함께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부(300)가 회전되는 동안에 좌우 흔들림 등에 의한 요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가이드부(300)을 서로 연결하는 보강부(1002, 1100)를 구비한다.
상기 보강부(1002, 1100)는 일부가 상기 제1랙(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보강부(1002)와, 일부가 상기 제2랙(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보강부(11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보강부(1002)와 상기 제2보강부(1100)는 각각 상기 가이드 부(300)를 연결해서, 가이드 부가 회전될 때에 발생하는 좌우 뒤틀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에는 식기가 수납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무게가 나가는데 회전되는 동안에 뒤틀림도 발생할 여지가 있지만, 상기 보강부(1002, 1100)가 강도를 보강하기 때문에 두 개의 랙이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1002)는, 상기 두 개의 가이드 부(30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암(1010)과, 상기 제1암(101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부재(1020)와, 상기 두 개의 제1부재(1020)를 연결하는 제1바(1030)를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상기 제1보강부(1002)는 두 개의 상기 제1암(1010)과 두 개의 상기 제1부재(1020)와, 한 개의 상기 제1바(10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암(1010)은 상기 제1휠(318)에 결합되어, 상기 제1휠(318)이 회전되면 상기 제1암(1010)도 함께 회전된다.
상기 제1암(1010)은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부재(1020)는 상기 제1암(1010)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밴딩되어 연장되고, 상기 제1바(1030)는 상기 제1암(1010)의 연장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보강부(1002)는 3차원적인 형상을 이루어서, 상기 제1보강부(1002)의 형상에 의해서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상기 제1암(1010)은 상기 제1휠(318)로부터 소정 길이 만큼 연장되는데, 높이 방향의 길이가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암(1020)의 그 일단에 상기 제1부재(1020)가 연결되는데, 상기 제1부재(1020)는 곡률을 가지고, 하방으로 밴딩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부재(1020)의 일단에는 상기 제1바(1030)가 배치되는데, 상기 제1바(1030)는 폭 방향의 길이가 높이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바(1030), 상기 제1부재(1020) 및 상기 제1암(1010)은 일체로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보강부(1002)는 'ㄷ'자로 형성되고, 폭 방향이 두께보다 넓게 형성된 판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부재(1020)에 해당되는 부분이 수직 방향으로 벤딩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보강부(1002)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부재가 하나의 부재로 일체로 형성되면, 각각의 부재가 연결되는 부위가 없어서,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부(1100)는, 상기 두 개의 가이드 부(30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암(1110)과, 상기 제1암(111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부재(1120)와, 상기 두 개의 제2부재(1120)를 연결하는 제2바(1230)를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상기 제2보강부(1100)는 두 개의 상기 제2암(1110)과 두 개의 상기 제2부재(1120)와, 한 개의 상기 제2바(1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암(1110)은 상기 제2휠(338)에 결합되어, 상기 제2휠(338)이 회전되면 상기 제2암(1110)도 함께 회전된다.
상기 제2암(1110)은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부재(1120)는 상기 제2암(1110)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일부가 밴딩되어 연장되고, 상기 제2바(1130)는 상기 제2암(1110)의 연장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보강부(1100)는 3차원적인 형상을 이루어서, 상기 제2보강부(1100)의 형상에 의해서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부재(1120)는 상기 제2암(1110)에서 수직하게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 부재(111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보강부(1002)와는 달리 상기 제2보강부(1100)는 수직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는 수직 부재(1115)를 더 포함해서, 상기 제1보강부(1002)에 비해서 하방으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암(1110)은 상기 제2휠(338)로부터 소정 길이 만큼 연장되는데, 높이 방향의 길이가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2암(1120)의 그 일단에 상기 제2부재(1120)가 연결되는데, 상기 제2부재(1120)는 곡률을 가지고, 하방으로 밴딩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2부재(1120)은 만곡되지 않은 직선 형태를 가지는 수직 부재(1115)를 가지는데, 상기 수직 부재(1115)의 길이 만큼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부재(1120)의 일단에는 상기 제2바(1130)가 배치되는데, 상기 제2바(1130)는 폭 방향의 길이가 높이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바(1130), 상기 제2부재(1120) 및 상기 제2암(1110)은 일체로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보강부(1100)는 'ㄷ'자로 형성되고, 폭 방향이 두께보다 넓게 형성된 판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부재(1120)에 해당되는 부분이 수직 방향으로 벤딩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2보강부(1100)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부재가 하나의 부재로 일체로 형성되면, 각각의 부재가 연결되는 부위가 없어서,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부(1100)는 상기 제1보강부(1002)와 달리, 상기 수직 부재(1115)의 길이만큼 더 길게 형성된 판재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2은 랙과 랙 안착부를 설명한 도면이다. 제1랙과 제1랙 안착부는, 제2랙과 제2랙 안착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도 22에서는 제1랙과 제1랙 안착부 또는 제2랙과 제2랙 안착부를 표현한 것이다. 따라서 도 22에서 설명된 내용은 제1랙과 제1랙 안착부에 적용되거나, 제2랙과 제2랙 안착부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2을 참조하면, 상기 제1랙(100) 또는 상기 제2랙(200)은, 상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상측 프레임(102, 202)과, 하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하측 프레임(104, 204)과, 상기 상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을 연결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측면 와이어(106, 206)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 와이어(106, 206)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알루미늄 등을 포함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의 각각의 높이는 상기 측면 와이어(106, 206)의 두께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 상기 측면 와이어는 랙의 사이로 물 또는 스팀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랙(100) 또는 상기 제2랙(200)을 측면 와이어(106, 206)만으로 구성하면 랙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랙은 가이드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배치되고, 가이드부가 회전되는 동안에 랙의 위치가 변화된다. 랙에 식기가 수납된 상태에서 랙의 이동 또는 회전이 발생하기 때문에 식기가 수납된 상태에서 랙에 여러 가지 예상하지 못한 힘이 걸려서 랙이 변형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랙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서, 상기 상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리임을 상기 랙의 상측 모서리와 하측 모서리에 각각 배치한다. 상기 상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의 각각의 높이는 상기 측면 와이어(106, 206)의 두께보다 크기 때문에, 측면 와이어(106, 206)보다는 증가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랙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프레임(102, 202)과 상기 하측 프레임(104, 204)은 상기 제1랙(100) 또는 상기 제2랙(200)의 모서리 둘레를 따라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1랙 또는 상기 제2랙의 네 개의 모서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상측 프레임(102, 202)과 상기 하측 프레임(104, 204)은 상기 측면 와이어(106, 206)의 끝단이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기 때문에, 사용자가 측면 와이어의 끝단에 긁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프레임(102, 202)과 상기 하측 프레임(104, 204)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반면에 상기 측면 와이어(106, 206)는 상기 상측 프레임(102, 202)과 상기 하측 프레임(104, 204)의 연장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배치된 구조에 의해서도 랙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1랙(100) 또는 상기 제2랙(200)은, 상기 제1랙 또는 상기 제2랙의 바닥을 형성하는 제1하측 와이어(108, 208)와 제2하측 와이어(109, 209)가 서로 수직하게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하측 와이어(108, 208)는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하측 와이어(109, 209)는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서, 하측 와이어 사이로 물 또는 스팀이 이동되어서 식기에 공급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측 와이어(108, 208)와 상기 제2하측 와이어(109, 209)는 상기 측면 와이어(106, 206)에 결합되어서, 랙이 입체적 구조를 가지고,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측 와이어(108, 208)와 상기 제2하측 와이어(109, 209)는 수평한 평면을 이루면서 배치되는 반면에, 상기 측면 와이어(106, 206)는 수평한 평면에 법선 방향을 따라 배치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1하측 와이어(108, 208)와 상기 제2하측 와이어(109, 209)는 상기 측면 와이어(106, 206)에 용접되거나, 별도의 부재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랙(100) 또는 상기 제2랙(20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110, 2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10, 210)는 사용자가 손으로 돌릴 수 있는 다이얼이나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10, 210)를 동작시키면, 상기 제1랙(100) 또는 상기 제2랙(200)에 구비된 와이어의 위치가 변화되거나 와이어 중 일부가 회전되는 동작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제1랙 안착부(80) 또는 상기 제2랙 안착부(180)의 전면에는 상기 조작부(110, 210)를 노출시키는 함몰부(8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랙 안착부(80) 또는 상기 제2랙 안착부(180)는 상기 제1가이드 레일(150)에 결합되는 측면(83)과 상기 두 개의 측면(83)의 전단을 연결하는 전면(81)과 상기 두 개의 측면(83)의 후단을 연결하는 후면(82)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1랙 안착부(80)와 상기 제2랙 안착부(180)는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의 형상과 유사하게 전체적으로 네 개의 변을 가지는 사각형상을 이룬다.
상기 함몰부(85)는 상기 전면(81)에서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제1랙 또는 상기 제2랙이 상기 제1랙 안착부 또는 상기 제2랙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10, 21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함몰부(85)는 상기 전면(81)의 중앙에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전면(81)의 양단은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게 연장된 반면에, 상기 전면(81)의 중앙은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연장된다. 상기 조작부(110, 210)는 상기 제1랙(100) 또는 상기 제2랙(200)의 양단 보다는 중앙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함몰부(85)는 상기 조작부(110, 21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부(110, 210)는 상기 제1랙(100) 또는 상기 제2랙(200)의 전면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함몰부(85)는 상기 조작부(110, 210)의 각각의 형상이 아니라, 전체가 합쳐진 부분이 노출될 수 있는 하나의 길게 연장된 홈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랙 안착부(80) 또는 상기 제2랙 안착부(180)는, 중앙에 중공(87)이 배치되고, 상기 중공(87)에 상기 제1랙(100) 또는 상기 제2랙(200)의 일부가 수납되어 상기 제1랙 또는 상기 제2랙이 상기 제1랙 안착부(80) 또는 상기 제2랙 안착부(180)에 결합된다.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서 상기 제1랙 또는 상기 제2랙을 상기 제1랙 안착부 또는 상기 제2랙 안착부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랙에 다수 개의 식기를 수납하고자 랙을 랙 안착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랙에 식기를 수납한 후에는 다시 랙을 랙 안착부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랙을 세척하기 위해서 랙을 랙 안착부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랙을 세척한 후에는 랙을 다시 랙에 결합해서, 식기 세척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랙 안착부(80) 또는 상기 제2랙 안착부(180)의 상측에는 경사면(86)이 구비되어, 상기 제1랙(100) 또는 상기 제2랙(200)이 안착되는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86)은 상기 중공(87)에 가까워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86)은 상기 중공(87)에서 상기 측면 와이어(106, 206)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1랙(100) 또는 상기 제2랙(200)을 상기 제1랙 안착부(80) 또는 상기 제2랙 안착부(180)에 결합할 때에, 상기 제1랙(100) 또는 상기 제2랙(180)이 상기 중공(87)을 향하게 유도할 수 있다. 즉 랙을 랙 안착부에 결합할 때에, 랙이 랙 안착부의 중공이 형성된 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랙이 랙 안착부에 결합되도록 설정된 위치를 찾아갈 수 있다. 상기 경사면(86)은 상기 후면(82), 상기 측면(83) 또는 상기 전면(81)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경사면(86)은 상기 후면(82), 상기 측면(83) 또는 상기 전면(81)의 상측에 모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3는 일 실시예에 따른 랙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24 및 도 25은 도 23의 일 실시예에서 제2와이어 어셈블리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후에 설명할 랙은 상술한 제1랙과 제2랙에 동시에 적용가능한 내용이기 때문에, 제1랙(100)에 도면부호를 한정해서 설명한다.
도 23a는 제2와이어 어셈블리(140)가 제1위치에 배치되어서, 제2와이어 어셈블리와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가 서로 중첩된다. 반면에 도 23b에서는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140)가 제2위치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와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도 23를 참조하면, 상기 랙(100, 200)은 상기 랙에 고정되도록 마련된 제1와이어 어셈블리(130)와, 상기 랙에 회전하도록 마련된 제2와이어 어셈블리(140)와, 상기 랙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140)에 연결되는 조작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130)는 랙의 바닥을 형성하고, 상측에 식기가 거치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130)는 바닥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와이어가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서, 와이어의 상측에 식기가 거치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130)는 식기가 와이어의 하부로 낙하되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가지고 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130)를 구성하는 와이어는 평평한 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서, 상측에 수납된 식기가 놓일 때에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130)에 걸려서 높이가 변화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130)의 상측에 식기를 수납할 때에 식기가 놓이는 방향이나 식기가 놓이는 위치를 특별히 고려하지 않고 자유롭게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140)는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130)에 중첩되는 제1위치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1위치로부터 회전되어서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130)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140)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130)와 같이 랙의 바닥에서 평평한 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서, 사용자는 식기를 편하게 랙에 수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140)가 수납되는 식기가 세우거나 특정한 방향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에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140)가 제2위치에 배치되면, 사용자는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140)를 이용해서 와인잔이나 접시와 같은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140)는 와인잔을 고정하는 와인 홀더 와이어(143) 및 일면에 와인잔을 걸 수 있는 관통공(146)이 마련된 와인 홀더(1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143)의 양단은 상기 랙(100)에 결합되고,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이루는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143)의 와이어 중에서 가운데에 위치하는 상측부에 상기 와인 홀더(144)가 배치된다. 상기 와인 홀더(144)는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와인 홀더(144)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146)에는 각각 와인잔의 얇은 목 부분이 걸릴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인 홀더(144)의 각각에 한 개의 와인잔이 고정될 수 있도록 각각의 와인 홀더는 서로 와인잔의 크기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와인 홀더(144)는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143)에 비해서 뚜껍게 형성되고, 와인잔이 상기 와인 홀더에 걸릴 때에 와인잔에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플라스틱과 같이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143)에 비해서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143)는 하나의 길게 연장된 와이어가 'ㄷ'자로 변형되어 양단이 고정되되,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143)의 중앙부에 상기 와인 홀더(144)가 복수 개 배치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140)는 접시를 고정하는 제1접시 고정 와이어(141)와, 제2접시 고정 와이어(1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141)와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142)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141)와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142)에 의해서 접시가 세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141)와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142)는 각각 복수 개의 이격되도록 배치된 와이어 리브를 포함하고, 각각의 와이어 리브에 접시가 개별적으로 세워진 형태로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와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서,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와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는 서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와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는 하나의 긴 회전축을 이루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일측에서 연장되되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리브의 사이에는 하나의 접시들이 거치될 수 있다. 두 개의 접시 고정 와이어는 서로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서,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의 와이어 리브와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의 와이어 리브에 의해서 하나의 접시가 세워진 상태로 상기 랙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10)는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143)에 연결되어서,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143)가 회전되면 함께 회전되는 와인 홀더 조작부(11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110)는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141)와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142)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141)와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142)가 회전되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두 개의 와이어에 함께 회전되는 접시 홀더 조작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랙(100)의 전면에는 복수 개의 와인 홀더 조작부(112)와 접시 홀더 조작부(122)가 배치되어서, 사용자는 랙에 배치되는 제2와이어 어셈블리를 개별적으로 조절해서, 다양한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 상기 랙(100)의 전면에는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112)와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122)가 번갈아 가면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랙(100)의 전면을 기준으로 가장 좌측에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112)가 배치되고,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122)가 두 개 연속 배치된 후에,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11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143)는 상기 접시 고정 와이어에 비해서 회전 반경이 크기 때문에, 상기 랙(100)의 중앙부위보다는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4a는 도 23a에서와 같이 조작부가 회전되지 않아서, 제2와이어 어셈블리가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에 중첩되도록 배치된 상태이고, 도 24b는 도 23b에서와 같이 조작부가 회전되어서,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가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이다. 도 24에는 조작부를 도시했는데, 도 25은 설명 편의상 도 24에서 조작부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24 및 도 25을 참조하면,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143)와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 조작부(112)는 복수 개의 기어에 의해서 연결되고,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143)와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 조작부(112)는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된다.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112)와 기어(113)는 회전축을 공유하도록 결합되어서,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112)는 상기 기어(113)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112)가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기어(113)는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기어(113)은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143)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기어(114)와 맞닿아 있어서, 상기 기어(113)의 회전은 상기 기어(114)에 그대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112)의 회전은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143)에 그대로 전달되어서,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112)는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143)와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112)를 돌리면서,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143)가 회전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141)의 회전축에는 피니언 기어(124)가 마련되고,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142)의 회전축에는 피니언 기어(125)가 마련되며,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122)에는 피니언 기어(123)가 마련되고, 각각의 피니언 기어를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랙 기어(127)이 마련된다. 상기 랙 기어(127)은 상기 랙(100)의 전면에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에 의해서 가려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랙(100)은 각각의 피니언 기어에 힘을 전달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피니언 기어를 모두 연결할 수 있을 만큼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랙 기어(127)의 일측에는 돌출부(129)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129)는 상기 랙(100)에 마련된 가이드 홈(128)에 삽입된다. 상기 랙 기어(127)이 좌우측으로 이동되는 궤적을 상기 가이드 홈(128)이 안내할 수 있다. 도 24a와 도 25a에서와 같이 상기 조작부(112, 122)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랙 기어(127)의 상기 돌출부(129)가 상대적으로 좌측에 위치해 있다. 반면에 도 24b와 도 25b에서와 같이 상기 조작부(112, 122)가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랙 기어(127)의 상기 돌출부(129)가 상대적으로 우측에 위치해 있다. 상기 가이드 홈(128)은 상기 돌출부(129)와 높이는 동일하되,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서, 상기 돌출부(129)가 상기 가이도 홈(128)의 좌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랙 기어(127)이 이동하면서 연결된 피니언 기어가 회전되면서,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122)의 회전이 상기 랙 기어(127)를 통해 상기 접시 고정 와이어(141, 142)에 전달되어 상기 접시 고정 와이어(141, 142)가 회전될 수 있다.
상술한 피니언 기어 또는 기어는 상기 랙의 전면에 배치되되, 커버에 의해서 가려져서, 사용자에게는 피니언 기어와 기어가 노출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작부(110)은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140)가 회전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힘이 잘 전달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110) 중에서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112)와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122)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서,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된다. 즉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112)가 회전되더라도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122)는 회전되지 않고, 그 반대 상황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접시는 세척하지 않고, 와인잔만 세척하고자 하는 상황에는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122)는 조작하지 않고,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112)만 조작해서 와인잔을 랙에 수납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와인잔은 세척하지 않고, 접시만 세척하고자 하는 상황에는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112)는 조작하지 않고,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122)만 조작해서 접시를 랙에 수납할 수 있다.
도 2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27 및 도 28는 도 26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와이어 어셈블리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다른 실시예는 도 23 내지 도 25과 유사한 부분이 많은데, 공통되거나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생략해서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달리 랙의 테두리에 벽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랙의 내부에 손을 넣어서 와이어를 조작하기 힘들다.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상기 조작부(112, 122)를 상기 랙(100)의 전면에 구성한다.
도 27 및 도 28를 참조하면,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112)는 기어(113a)와 함께 회전된다. 상기 기어(113a)는 복수 개의 기어(114a)에 서로 연결되어서, 그 중에 하나인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143)에 결합되는 기어(114a)를 회전시켜서,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14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122)는 피니언 기어(123a)에 결합되어서,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122)가 회전되면 상기 피니언 기어(123a)가 함께 회전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123a)의 회전력은 또 다른 피니언 기어(126a)를 통해서, 랙 기어(127a)에 전달되고, 상기 랙 기어(127a)는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122)의 회전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랙 기어(127a)는 돌출부(129a)를 구비해서, 상기 가이드 홈(128a)을 따라 경로가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랙 기어(127a)는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141)에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124a)와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142)에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125a)에 맞물려 있어서, 상기 랙 기어(127a)가 좌우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141)와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142)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랙(100)의 전면에 마련된 피니언 기어와 랙 기어는 모두 커버에 의해서 가려져,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는다.
도 2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랙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30 및 도 31은 도 29의 일 실시예에서 제2와이어 어셈블리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후에 설명할 랙은 상술한 제1랙과 제2랙에 동시에 적용가능한 내용이기 때문에, 제1랙(100)에 도면부호를 한정해서 설명한다.
도 29a는 제2와이어 어셈블리(2140)가 제1위치에 배치되어서, 제2와이어 어셈블리와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가 서로 중첩된다. 반면에 도 29b에서는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2140)가 제2위치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와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랙(100, 200)은 상기 랙에 고정되도록 마련된 제1와이어 어셈블리(2130)와, 상기 랙에 회전하도록 마련된 제2와이어 어셈블리(2140)와, 상기 랙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2140)에 연결되는 조작부(211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2130)는 랙의 바닥을 형성하고, 상측에 식기가 거치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2130)는 바닥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와이어가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서, 와이어의 상측에 식기가 거치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2130)는 식기가 와이어의 하부로 낙하되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가지고 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2130)를 구성하는 와이어는 평평한 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서, 상측에 수납된 식기가 놓일 때에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2130)에 걸려서 높이가 변화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2130)의 상측에 식기를 수납할 때에 식기가 놓이는 방향이나 식기가 놓이는 위치를 특별히 고려하지 않고 자유롭게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2140)는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2130)에 중첩되는 제1위치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1위치로부터 회전되어서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2130)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2140)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2130)와 같이 랙의 바닥에서 평평한 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서, 사용자는 식기를 편하게 랙에 수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2140)가 수납되는 식기가 세우거나 특정한 방향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에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2140)가 제2위치에 배치되면, 사용자는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2140)를 이용해서 와인잔이나 접시와 같은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2140)는 와인잔을 고정하는 와인 홀더 와이어(2143) 및 일면에 와인잔을 걸 수 있는 관통공(2146)이 마련된 와인 홀더(21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2143)의 양단은 상기 랙(100)에 결합되고,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이루는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2143)의 와이어 중에서 가운데에 위치하는 상측부에 상기 와인 홀더(2144)가 배치된다. 상기 와인 홀더(2144)는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와인 홀더(2144)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2146)에는 각각 와인잔의 얇은 목 부분이 걸릴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인 홀더(2144)의 각각에 한 개의 와인잔이 고정될 수 있도록 각각의 와인 홀더는 서로 와인잔의 크기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와인 홀더(2144)는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2143)에 비해서 뚜껍게 형성되고, 와인잔이 상기 와인 홀더에 걸릴 때에 와인잔에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플라스틱과 같이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2143)에 비해서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2143)는 하나의 길게 연장된 와이어가 'ㄷ'자로 변형되어 양단이 고정되되,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2143)의 중앙부에 상기 와인 홀더(2144)가 복수 개 배치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2140)는 접시를 고정하는 제1접시 고정 와이어(2141)와, 제2접시 고정 와이어(21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2141)와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2142)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2141)와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2142)에 의해서 접시가 세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2141)와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2142)는 각각 복수 개의 이격되도록 배치된 와이어 리브를 포함하고, 각각의 와이어 리브에 접시가 개별적으로 세워진 형태로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와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서,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와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는 서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와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는 하나의 긴 회전축을 이루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일측에서 연장되되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리브의 사이에는 하나의 접시들이 거치될 수 있다. 두 개의 접시 고정 와이어는 서로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서,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의 와이어 리브와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의 와이어 리브에 의해서 하나의 접시가 세워진 상태로 상기 랙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110)는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2143)에 연결되는 와인 홀더 조작부(2112)를 포함하고,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2112)가 눌려지면,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2143)가 회전된다. 또한 상기 조작부(2110)는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2141)와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2142)에 연결되는 접시 홀더 조작부(2122)를 포함하고,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2122)가 눌려지면,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2141)와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2142)가 회전된다.
상기 랙(100)의 전면에는 복수 개의 와인 홀더 조작부(2112)와 접시 홀더 조작부(2122)가 배치되어서, 사용자는 랙에 배치되는 제2와이어 어셈블리를 개별적으로 조절해서, 다양한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 상기 랙(100)의 전면에는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2112)와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2122)가 번갈아 가면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랙(100)의 전면을 기준으로 가장 좌측에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2112)가 배치되고,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2122)가 두 개 연속 배치된 후에,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211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2143)는 상기 접시 고정 와이어에 비해서 회전 반경이 크기 때문에, 상기 랙(100)의 중앙부위보다는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0는 도 29a에서와 같이 조작부가 눌려지지 않아서, 제2와이어 어셈블리가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에 중첩되도록 배치된 상태이고, 도 31은 도 29b에서와 같이 조작부가 눌려서,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가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이다.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2143)의 회전축에는 기어(2114a)가 구비되어서,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2143)가 회전되면, 상기 기어(2114a)가 함께 회전된다.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2112)는 사용자가 누르는 접촉부의 일단에 연결된 제1푸쉬바(2113)와, 상기 제1푸쉬바(2113)에 의해서 눌려지는 제1걸림바 (2115) 및 상기 제1걸림바(2115)에 힘이 제거되는 경우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2116)을 포함한다.
상기 제1푸쉬바(2113)는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2112)가 사용자에 의해서 눌릴 경우에 도 30 및 도 31의 도면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밀린다. 이때 상기 제1푸쉬바(2113)은 중앙에 배치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푸쉬바(2113)는 일직선이 아닌 꺽여진 형태를 이루어서,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2112)의 중앙 위치가 아닌 랙의 일측에 치우친 위치에 일단이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제1걸림바(2115)의 일단은 상기 제1스프링(2116)에 결합된다.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2112)가 눌려지면, 상기 제1푸쉬바(2113)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걸림바(2115)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1스프링(2116)을 압축한다. 이때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2112)가 눌려지는 힘이 제거되면 압축된 상기 제1스프링(2116)이 원래 형태로 복귀되면서,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2112)는 눌리지 않은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바(2115)의 일단은 테이퍼진 형상으로 끝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바(2115)는 복수 회 꺾인 형상을 이루어서,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2143)의 회전축에 설치된 기어(2114a)는 복수 개의 기어(2114b, 2114c)에 맞물리도록 결합된다. 세 개의 기어 중에 어느 하나가 회전되면, 다른 기어들도 맞물려서 회전될 수 있다. 가장 끝쪽에 위치한 기어(2114c)에는 스프링(2114e)이 구비되어서, 기어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기어(2114c)의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114e)은 상기 기어(2114c)이 다른 기어에 맞닿는 면을 변화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요소면 모두 적용가능하다. 상기 기어(2114c)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걸림바(2115)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홈(2114d)이 형성된다. 상기 홈(2114d)에 상기 제1걸림바(2115)의 일단이 삽입된 상태에는 상기 기어(2114c)가 회전되지 못하고 구속된 상태이다. 반면에 상기 홈(2114d)에 상기 제1걸림바(2115)의 일단이 빠져나오면, 상기 제1걸림바(2115)는 상기 기어(2114c)를 구속하지 못하고, 상기 스프링(2114e)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기어(2114c)는 회전된다. 이때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기어(2114a)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1와인 홀더 와이어(2143)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서,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다 사용자가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2143)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스프링(2114e)는 상기 기어(2114a)에 의해서 가해지는 회전력때문에 비틀어져서, 힘을 축적한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2143)이 충분히 회전되면 상기 홈(2114d)에 상기 제1걸림바(2115)의 일단이 삽입되면서, 상기 기어(2114c)가 도 30의 상태로 걸린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2141)의 회전축에는 피니언 기어(2124a)가 마련되고,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2142)의 회전축에는 피니언 기어(2125a)가 마련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2124a)에는 기어(2124b)가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피니언 기어(2124a)와 기어(2124b)가 함께 회전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2125a)에는 기어(2125b)가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피니언 기어(2125a)와 기어(2125b)가 함께 회전된다.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2122)는 사용자가 누르는 접촉부의 일단에 연결된 제2푸쉬바(2123a)와, 상기 제2푸쉬바(2123a)에 의해서 눌려지는 제2걸림바(2123b)와, 상기 제2걸림바(2123b)에 의해서 이동이 제한되는 랙 기어(2127a) 및 상기 제2걸림바(2123b)에 힘이 제거되는 경우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2123c)을 포함한다.
상기 제2푸쉬바(2123a)는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2122)가 사용자에 의해서 눌릴 경우에 도 30 및 도 31의 도면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밀린다. 이때 상기 제2푸쉬바(2123a)은 중앙에 배치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푸쉬바(2123a)는 일직선이 아닌 꺽여진 형태를 이루어서,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2122)의 중앙 위치가 아닌 랙의 일측에 치우친 위치에 일단이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제2걸림바(2123b)의 일단은 상기 제2스프링(2123c)에 결합된다.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2122)가 눌려지면, 상기 제2푸쉬바(2123a)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걸림바(2123b)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2스프링(2123c)을 압축한다. 이때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2122)가 눌려지는 힘이 제거되면 압축된 상기 제2스프링(2123c)이 원래 형태로 복귀되면서,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2122)는 눌리지 않은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바(2123b)의 일단은 테이퍼진 형상으로 끝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바(2123b)는 복수 회 꺾인 형상을 이루어서,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걸림바(2123b)는 일단이 꺽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어(2124b, 2125b)에 맞물리도록 랙 기어(2127a)가 마련되어서, 상기 랙 기어(2127a)가 좌우로 이동하면 상기 기어(2124b, 2125b)는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기어(2124b, 2125b)에 전달된 회전력으로 접시 고정 와이어의 회전축에 결합된 피니언 기어(2124a, 2125a)가 회전되어서,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2141)와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2142)가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니언 기어(2124a, 2125a)는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되어서, 상기 제1접시 고정 와이어(2141)과 상기 제2접시 고정 와이어(2142)는 동시에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전되어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랙 기어(2127a)의 일측에는 제3스프링(2123d)이 구비되고, 상기 랙 기어(2127a)의 타측에는 댐퍼(2129)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랙 기어(2127a)의 좌측단에는 제3스프링(2123d)이 결합되고, 상기 랙 기어(2127a)의 우측단에는 댐퍼(2129)가 결합된다. 상기 제2걸림바(2123b)가 상기 랙 기어(2127a)의 일단에 위치에서, 도 30에서와 같이 상기 랙 기어(2127a)가 우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때에는 상기 제3스프링(2123d)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다 사용자가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2122)를 눌러서, 상기 제2걸림바(2123b)가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걸림바(2123b)가 상기 랙 기어(2127a)의 이동을 구속하지 못하는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스프링(2123d)은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랙 기어(2127a)를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3스프링(2123d)은 외력이 가해질 때에는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길이만큼 인장되려는 복원력을 가진다. 상기 랙 기어(2127a)의 타단에 배치되는 상기 댐퍼(2129)는 압축이 가능해서, 압축되는 동안 속도가 감소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랙 기어(2127a)가 상기 제3스프링(2123d)의 복원력에 의해서 우측으로 이동될 때에, 상기 댐퍼(2129)를 우측으로 압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랙 기어(2127a)의 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스프링(2123d)의 복원력이 그대로 상기 랙 기어(2127a)에 전달되어서, 상기 기어(2124a, 2124b, 2125a, 2125b)가 회전되면 상기 접시 고정 와이어(2141, 2142)가 너무 빨리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와이어가 적절한 속도로 회전되면서,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되면 안정적으로 동작을 하고, 파손이 방지된다는 인상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안정적인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랙 기어(2127a)의 일측에 상기 댐퍼(2129)를 구비해서, 상기 랙 기어(2127a)의 속도가 변화시킨다.
상기 접시 고정 와이어(2141, 2142)가 제2위치까지 회전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접시를 상기 접시 고정 와이어(2141, 2142)의 사이에 수납할 수 있다. 한편 접시 세척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접시 고정 와이어(2141, 2142)를 손을 이용해서 제1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접시 고정 와이어(2141, 2142)가 회전되면, 상기 기어(2124a, 2124b, 2125a, 2125b)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랙 기어(2127a)가 도 30에 도시된 것처럼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접시 고정 와이어(2141, 2142)가 제1위치까지 회전되면, 상기 랙 기어(2127a)의 일단은 상기 제2걸림바(2123b)에 걸릴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된다. 상기 랙 기어(2127a)가 좌측으로 충분히 이동하면, 상기 제2스프링(2123c)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제2걸림바(2123b)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랙 기어(2127a)의 좌측단이 상기 제2걸림바(2123b)에 맞닿아서 사용자가 상기 접시 고정 와이어(2141, 2142)에서 손을 떼더라도, 상기 랙 기어(2127a)는 좌측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접시 고정 와이어(2141, 2142)는 제1와이어 어셈블리(2130)와 중첩되어, 바닥에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2143)가 제2위치까지 회전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와인잔을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2143)에 걸 수 있다. 와인잔의 세척이 완료된 후에,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2143)을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손을 이용해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2143)가 제1위치로 회전된 상태에는 도 30에 도시된 것처럼, 기어(2114a, 2114b, 2114c)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기어(2114c)의 홈(2114d)이 상기 제1걸림바(2115)의 일단에 삽입되어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와인 홀더 와이어(2143)은 상기 제1와이어 어셈블리(2130)과 중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2110) 중에서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2112)와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2122)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서,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된다. 즉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2112)가 회전되더라도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2122)는 회전되지 않고, 그 반대 상황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접시는 세척하지 않고, 와인잔만 세척하고자 하는 상황에는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2122)는 조작하지 않고,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2112)만 조작해서 와인잔을 랙에 수납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와인잔은 세척하지 않고, 접시만 세척하고자 하는 상황에는 상기 와인 홀더 조작부(2112)는 조작하지 않고, 상기 접시 홀더 조작부(2122)만 조작해서 접시를 랙에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110)가 눌려지면,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214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110)는 랙의 하방으로 눌려지는데, 상기 제2와이어 어셈블리(2140)는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서,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2140)가 제2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2140)의 일부 구성요소를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회전시켜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2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32과 같은 형태의 랙도 도 30 및 도 31에 적용되는 기술이 동일하게 적용되어서, 구체적인 구조나 동작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달리 랙의 테두리에 벽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랙의 내부에 손을 넣어서 와이어를 조작하기 힘들다.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상기 조작부(2112, 2122)를 상기 랙(100)의 전면에 구성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랙(100, 200)에서도 상기 조작부(2110)가 랙의 전면에 구비되어,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2110)를 하방으로 눌러서 접시 또는 와인잔과 같은 식기를 수납하고 세척할 수 있다.
도 33는 분사부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4은 분사부의 요부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33 및 도 34은 상술한 제1분사부와 제2분사부에 공통되게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1분사부와 제2분사부를 통칭할 수 있도록 분사부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도 33를 참조하면, 분사부(700, 800)는 물을 상기 분사 노즐(724, 724)로 안내하는 물관(740, 840)과 스팀을 상기 분사 노즐(724, 824)로 안내하는 스팀관(770, 870)을 구비한다.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은 복수 개가 구비되는데, 대략 9개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9개의 분사 노즐(724, 824)에는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 분사 노즐(722, 822)이 포함된다. 상기 중앙 분사 노즐(722, 822)은 다른 분사 노즐에 비해서 크기가 큰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물관(740, 840)과 상기 스팀관(770, 870)은 서로 분리되어서,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을 통해서 물과 스팀이 분사되기 전까지 물과 스팀은 섞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물관에서 물이 이동하는 유로와 상기 스팀관에서 스팀이 이동하는 유로는 구분되어 있어서, 물과 스팀이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의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는 혼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팀이 공급되는 도중에 물과 혼합되어 스팀의 배출량이 감소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물관(740, 840)은 상기 스팀관(770, 870)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물관(752, 852)과 제2물관(754, 854)를 포함한다. 즉 물은 이동할 때에 상기 제1물관(752, 852)과 제2물관(754, 854)를 통해서 두 개의 유로를 이용해서 이동하는 반면에 스팀은 하나의 유로를 통해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스팀관(770, 870)의 양측에 물관이 배치되기 때문에 물관과 물이 혼합되지 않고 스팀과 물은 서로 독립된 유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스팀관과 물관이 인접하게 배치되어,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스팀관과 물관이 세척 공간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어서, 세척 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물관(740, 840)은 상기 본체에서 물이 안내되는 물 공급부(750, 850)와, 상기 물 공급부(750, 850)에 연결되어서 물을 상기 분사 노즐(724, 824)로 안내하는 물 전달부(742, 842)를 포함한다.
상기 물 전달부(742, 842)는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이 안착되는 몸체부(744, 844)가 마련된다. 상기 몸체부는 소정 공간을 구비하고, 그 상측에 상기 분사 노즐(724, 824)가 거치되어서, 상기 분사 노즐(724, 824)는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744, 844)에 결합된다. 상기 몸체부(744, 844)는 대략 원기둥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물 전달부(742, 842)의 중앙에는 중앙 몸체부(746, 846)가 배치되고,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에는 상기 중앙 분사 노즐(722, 822)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중앙 분사 노즐(722, 822)은 상기 분사 노즐(724, 824)과 크기에서 차이가 날뿐 작동되는 메카니즘이나 형상 등은 모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744, 844)와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의 중앙에는 원형을 이루는 관통공(745, 845)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745, 845)는 상기 분사 노즐이 회전되는 회전 중심에 배치되어서,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부(750, 850)는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의 하부에 연결되는 연결부(757, 857)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757, 857)는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의 하부를 마감하고,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에 결합되어서 물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은 상기 몸체부(746, 846)와는 달리 하부가 개방되어서, 상기 연결부(757, 857)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물 공급부(750, 850)을 통해서 안내되는 물이 상기 연결부(757, 857)을 거쳐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57, 857)는 상기 물 공급부(750, 850)에서 물이 이동하는 단면적보다는 큰 단면을 가지는 공간을 형성해서 물이 상기 연결부를 통해서 상기 물 전달부(742, 842)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부(750, 850)에서 공급된 물은 복수 개의 유로를 가지는 물 전달부(742, 842)를 통해서 물이 넓게 퍼질 수 있다.
상기 스팀관(770, 870)은 상기 본체에서 스팀이 안내되는 스팀 공급부(772, 872)와, 상기 스팀 공급부(772, 872)에 연결되어서 스팀을 상기 분사 노즐(724, 824)로 안내하는 스팀 전달부(778, 878)를 포함한다. 상기 스팀 공급부(772, 872)에서 공급되는 스팀은 복수 개의 유로를 가지는 상기 스팀 전달부(778, 878)를 통해서 넓게 퍼질 수 있다.
상기 스팀 전달부(778, 878)에는 상기 분사 노즐(724, 824)까지 스팀이 안내되는 스팀 노즐관(779, 879)이 마련되고, 상기 스팀 노즐관(779, 879)은 상기 스팀 전달부(778, 878)에 대해서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스팀 노즐관(779, 879)을 통해서 배출되는 스팀은 분사되는 압력을 가변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스팀 전달부(778, 878)는 지면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스팀이 자연스럽게 상승되면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스팀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기 때문에 상승하려는 성질이 강한데, 상기 스팀 노즐관의 수직 방향을 따라서 세척 공간으로 쉽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스팀 노즐관(779, 879)은 상기 관통공(745, 845)를 관통해서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스팀 노즐관(779, 879)의 끝단은 상기 분사 노즐(724, 824)에 형성된 스팀 분사구(729, 829)에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상기 스팀 노즐관(779, 879)을 통해서 이동된 스팀은 상기 스팀 분사구(729, 829)를 통해서 세척 공간으로 분사될 수 있다.
한편 물이나 스팀이 상기 스팀관이나 물관의 내부를 통해서 안내될 때에는 세척 공간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물관 또는 스팀관을 통해서 세척 공간의 다양한 위치까지 전달될 수 있다. 물이나 스팀이 물관과 스팀관을 벗어나서 분사 노즐을 통해서 배출되면서, 세척 공간의 여러 장소로 분사될 수 있다.
도 35는 물이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35를 참조해서 물이 본체에서 분사 노즐까지 이동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5a에서와 같이 물이 본체에서 상기 물 공급부(750, 850)를 통해서 상기 물 공급부(750, 850)에 마련된 상기 연결부(757, 857)까지 이동된다. 상기 물 공급부(750, 850)은 상기 스팀관의 양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물관(752, 852, 754, 854)를 포함해서 물이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스팀관과 물관이 분리되어 있어서, 상기 물관에서 물이 이동되는 동안에 스팀과 혼합되어 물의 양에 변화가 발생되지 않고 일정한 체적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57, 857)은 하측이 마감되고, 원기둥과 같은 공간을 이루기 때문에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상기 연결부(757, 857)내에서 회전이 되면서 포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 공급부(750, 850)는 물이 이동될 수 있는 두 개의 독립된 유로를 포함하기 때문에 물은 상기 연결부(757, 857) 내에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모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757, 857)에 모인 물은 도 35b와 도 35c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연결부(757, 857)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으로 이동된다. 상기 연결부(757, 857)의 하측과 측면은 막혀 있고,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에 결합된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물은 상기 연결부(757, 857)에서 상승되어서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으로 상승된다. 이때 물이 상기 연결부(757, 857)에서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으로 상승될 때에는 별도의 부재를 이용할 수 있지만, 별도의 구동 부재가 없더라도 물이 상기 연결부(757, 857) 내부 공간을 채워가면 자연스럽게 물이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에는 상기 물 전달부(742, 842)를 통해서 물이 각각의 유로로 이동될 수 있는 관통공(747, 847)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747, 847)은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의 측면에 복수 개가 형성되어서, 각각의 유로로 물이 안내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747, 847)은 물이 이동하는 파이프의 입구를 이루기 때문에 세척 공간에 분사되지 않더라도, 상기 관통공(747, 847)을 통해서 물은 세척 공간의 다양한 위치까지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물 전달부(742, 842)는 개별적인 위치로 물이 안내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파이프가,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을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6는 분사 노즐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36a는 분사 노즐이 몸체부에 설치된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6b는 분사 노즐이 몸체부에 설치된 모습을 위에서 바라보되, 내부 형상이 표현된 도면이다. 상기 분사 노즐(724, 824)는 상기 중앙 분사 노즐(722, 822)과 비교해서 전체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내용은 분사 노즐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중앙 분사 노즐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6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상기 분사부의 상기 몸체부(744, 844)에는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이 안착된다.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은 상측에 마련된 돌출부(726, 826)를 포함하고, 상기 물 분사구(728, 828)는 상기 돌출부(726, 826)에 형성된다.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의 상측에는 물이 상면을 구비해서,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의 내부 물이 상측으로 그대로 분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상면에 상기 돌출부(726, 826)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726, 826)는 제1경사면(727, 827)과 제2경사면(729, 829)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에 의해서 상승된 부분에서 완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완곡부는 하나의 평면을 이루는 것도 가능하고 곡면을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경사면(727, 827)은 상기 제2경사면(729, 829)에 비해서 상측으로 경사진 각도가 완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경사면(729, 829)이 상기 분사 노즐의 상면에 대해서 대략 90도의 각도를 이루면 상기 제1경사면(727, 827)은 상기 분사 노즐의 상면에 대해서 대략 60도의 각도를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경사면(727, 827)에는 물이 분사되는 물 분사구(728, 828)가 형성된다. 상기 제1경사면(727, 827)은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이 회전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면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경사면(727, 827)은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이 회전이 회전될 때 회전 방향에 대해서 전방이 아니라 후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물 분사구(728, 828)를 통해서 분사되는 물은 상기 분사 노즐이 회전되는 방향에 반대 방향을 향한다.
상기 물 분사구(728, 828)는 하나의 구멍을 이룰 수 있지만, 상기 제1경사면(727, 827)에 복수 개의 물 분사구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세척 공간의 다양한 위치에 물이 더욱 고르게 분사될 수 있다.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의 내부에는 상기 물 전달부(742, 842)에서 공급되는 물에 접촉되어 타격되는 날개부(725, 825)가 구비된다. 상기 날개부(725 ,825)는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의 회전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되, 회전 중심에 대해서 복수 개가 구비되어서, 물의 이동에 따라 상기 분사 노즐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날개부(725 ,825)는 높이를 가지는 리브 형태로 이루어져서, 물이 상기 날개부(725 ,825)를 타격할 때에 물의 운동량을 쉽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넓은 면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물 전달부(742, 842)는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의 상면에 닿지 않을 높이까지 연장되어서, 물이 일부는 상기 날개부(725, 825)를 타격하되, 일부는 상기 날개부(725, 825)의 상측에서 유동해서, 상기 물 분사구(728, 828)을 통해서 세척 공간으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물 전달부(742, 842)에서 상기 몸체부(744, 844)로 이동되는 물은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의 회전 중심에서 벗어난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편(741, 841)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편(741, 841)은 물이 이동하는 유로의 일단에 형성되어서, 유로의 방향이 변화되도록 한다. 상기 물 전달부(742, 842)는 물이 이동되는 물관의 일부인데, 상기 안내편(741, 841)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물이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의 회전 중심을 향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물 전달부(742, 842)의 내부를 이동하는 물이 상기 안내편(741, 841)이 형성된 위치까지 이동해서, 상기 안내편(741, 841)에 닿으면서 유로의 방향이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의 회전 중심에서 벗어난 방향으로 변화된다. 따라서 상기 분사 노즐은 별도의 구동력이 없더라도 물의 힘에 의해서 회전가능하다. 상기 안내편(741, 841)에 의해서 물의 유로가 변화되면서, 물은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의 회전 중심의 접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37은 분사 노즐에서 공급되는 물의 궤적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38은 분사 노즐의 요부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의 공급되는 영역에서 차이가 있다. 즉 상기 중앙 분사 노즐(722, 822)에서 멀어질수록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의 도달 범위가 줄어드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중앙 분사 노즐(722, 822)은 도 37와 같이 세척 공간에서 가장 넓은 범위로 물이 분사되도록 한다. 상기 중앙 분사 노즐(722, 822)의 제1경사면(727, 827)은 다른 분사 노즐의 경사면에 비해서 수평면에 대해서 작은 수직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도 38a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수평면에 대해서 상기 제1경사면(727, 827)은 법선이 대략 40도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물 분사구(728, 828)는 대략 상기 제1경사면(727, 827)에 대해서 법선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기 때문에 다른 분사 노즐에 비해서 넓게 물이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중앙 분사 노즐(722, 822)에서 가장 멀리 배치되는 C존에 배치되는 분사 노즐은 도 37와 같이 세척 공간에서 가장 좁은 범위로 물이 분사되도록 한다. 이때 랙이 대략 사각형 형상을 이룬다고 했을 때에, 해당되는 분사 노즐(724, 824)은 대략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된 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의 제1경사면(727, 827)은 다른 분사 노즐의 경사면에 비해서 수평면에 대해서 큰 수직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도 38c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수평면에 대해서 상기 제1경사면(727, 827)은 법선이 대략 60도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물 분사구(728, 828)는 대략 상기 제1경사면(727, 827)에 대해서 법선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기 때문에 다른 분사 노즐에 비해서 좁게 물이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중앙 분사 노즐(722, 822)에서 가장 멀리 배치되는 C존에 보다는 가깝게 배치되는 분사 노즐은 도 37와 같이 세척 공간에서 중간 범위로 물이 분사되도록 한다. 이때 랙이 대략 사각형 형상을 이룬다고 했을 때에, 해당되는 분사 노즐(724, 824)은 대략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의 제1경사면(727, 827)은 다른 분사 노즐의 경사면에 비해서 수평면에 대해서 중간 수직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도 38b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수평면에 대해서 상기 제1경사면(727, 827)은 법선이 대략 50도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물 분사구(728, 828)는 대략 상기 제1경사면(727, 827)에 대해서 법선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기 때문에 다른 분사 노즐에 비해서 중간 정도의 범위의 넓이를 가지는 영역에 물이 분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랙에 배치된 서로 다른 두 개의 상기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의 각도는 서로 다르게 구현한다. 따라서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이랙에 수납된 식기에 빠짐없이 분사되도록 해서,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9은 스팀관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39에서와 같이, 본체에서 공급되는 스팀은 상기 스팀 공급부(772, 872)를 통해서 공급되되, 복수 개의 스팀이 이동되는 유로를 가지는 상기 스팀 전달부(778, 878)로 안내되어서, 상기 스팀 전달부(778, 878)을 통해서 다양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스팀 전달부(778, 878)에서 이동되는 스팀은 복수 개의 스팀 노즐관(779, 879)를 통해서 세척 공간의 다양한 위치로 분사되어서, 식기에 스팀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과 스팀이 공급부를 통해서 본체로 공급된 후에, 전달부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세척 공간으로 안내된다. 이때 전달부와 공급부가 만나는 위치는 세척 공간의 중앙 부위이므로, 물과 스팀이 공급부에 의해서 중앙까지 안내된 후에, 전달부에 의해서 다양한 위치로 안내되어, 각각의 최종 위치까지 고르게 전달될 수 있다.
도 40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과 분사부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40에 도시된 것처럼, 다른 실시예에서는 랙(100, 200)에 측벽(101, 20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벽(101, 201)이 구비된 경우 랙(100, 200)에 수용된 물이 상기 랙(100, 200)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랙에 구비되는 분사부(700, 800)에 대해서, 상술한 분사 노즐, 물관, 스팀관 등에 대한 기술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당업자는 쉽게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7)

  1. 식기의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세척 공간을 풀다운 방식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식기가 수납되는 제1랙;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식기가 수납되는 제2랙;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도어에 링크부에 의해서 연결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세척 공간을 개방하면, 바닥면에 접지를 유지하면서 상기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에 따라 상기 지지부의 인출 거리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증감함에 따라 상기 지지부의 인출 거리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일정 각도 이상 개방되면, 상기 지지부가 인출되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일정 각도 이하로 개방되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되지 않은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식기 세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세척 공간을 닫으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세척 공간을 밀폐하면, 상기 지지부의 전면은 상기 본체의 전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도어의 하단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에 연결되고, 중앙에 고정된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되는 제2링크와,
    상기 제2링크에 연결되어, 상기 제2링크의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제3링크와,
    상기 제3링크에 연결되어 길이의 변화가 가능한 신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제2링크의 돌기가 결합되는 안내홈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홈은 상기 돌기보다 커서, 상기 안내홈에서 상기 돌기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단은 상기 제1링크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3링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의 일단은 상기 본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의 연장 방향을 안내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의 타단은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고정되어서, 상기 신축부가 펼쳐지면 상기 지지부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바닥에 접지되어 구르는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는 상기 지지부의 전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랙와 상기 제2랙을 함께 회전시키는 가이드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1랙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가이드 레일과,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2랙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PCT/KR2019/017276 2018-12-10 2019-12-09 식기 세척기 WO202012251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099 2018-12-10
KR20180158099 2018-12-10
KR10-2019-0020593 2019-02-21
KR1020190020593A KR20200102226A (ko) 2019-02-21 2019-02-21 식기 세척기
KR10-2019-0020594 2019-02-21
KR1020190020594A KR20200102227A (ko) 2019-02-21 2019-02-21 식기 세척기
KR1020190041303A KR20200119018A (ko) 2019-04-09 2019-04-09 식기 세척기
KR1020190041302A KR20200119017A (ko) 2019-04-09 2019-04-09 식기 세척기
KR10-2019-0041303 2019-04-09
KR10-2019-0041302 2019-04-09
KR10-2019-0041894 2019-04-10
KR1020190041894A KR20200119564A (ko) 2019-04-10 2019-04-10 식기 세척기
KR1020190054890A KR20200129856A (ko) 2019-05-10 2019-05-10 식기 세척기
KR10-2019-0054890 2019-05-10
KR1020190054891A KR20200129857A (ko) 2019-05-10 2019-05-10 식기 세척기
KR10-2019-0054891 2019-05-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22519A1 true WO2020122519A1 (ko) 2020-06-18

Family

ID=71075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7276 WO2020122519A1 (ko) 2018-12-10 2019-12-09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012251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2350A (en) * 1974-03-25 1975-10-14 Whirlpool Co Anti-tip mechanism for appliance
JPH1183303A (ja) * 1997-09-02 1999-03-26 Sanden Corp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KR19990014017U (ko) * 1997-09-30 1999-04-26 이영서 식기세척기의 도어 받침대
KR20080067128A (ko) * 2007-01-15 2008-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1617352B1 (ko) * 2015-01-07 2016-05-02 주식회사 전한슬라이드 적재선반 슬라이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2350A (en) * 1974-03-25 1975-10-14 Whirlpool Co Anti-tip mechanism for appliance
JPH1183303A (ja) * 1997-09-02 1999-03-26 Sanden Corp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KR19990014017U (ko) * 1997-09-30 1999-04-26 이영서 식기세척기의 도어 받침대
KR20080067128A (ko) * 2007-01-15 2008-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1617352B1 (ko) * 2015-01-07 2016-05-02 주식회사 전한슬라이드 적재선반 슬라이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85302A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WO2012087057A2 (ko) 의류처리장치
WO2013085296A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WO2013085299A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WO2013085294A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WO2013085298A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WO2015102358A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3085297A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AU2014374589A1 (en) Dish washing machine
WO2013085293A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WO2019212189A1 (ko) 청소기의 노즐
WO2015102357A1 (en) Dish washing machine
WO2019088745A1 (ko) 싱크 캐비닛 장치
EP3200668A1 (en) Dish washing machine
WO2015102287A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0013472A1 (ko) 청소기의 노즐
WO2019212195A1 (ko) 청소기의 노즐
WO2019045210A1 (ko) 식기세척기 및 가전제품
WO2020122519A1 (ko) 식기 세척기
WO2015102355A1 (en) Dish washing machine
WO2013085301A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WO2020204308A1 (ko) 식기 세척기
WO2024096269A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4096402A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4101524A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948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948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