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04308A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04308A1
WO2020204308A1 PCT/KR2019/018162 KR2019018162W WO2020204308A1 WO 2020204308 A1 WO2020204308 A1 WO 2020204308A1 KR 2019018162 W KR2019018162 W KR 2019018162W WO 2020204308 A1 WO2020204308 A1 WO 202020430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rolley
storage unit
dishwasher
was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816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원준
남보현
유선일
손정규
박규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3747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115013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020430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0430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hwash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hwasher having a trolley for moving and washing dishes to improve movement convenience and washing performance of dishes.
  • a dishwasher is a device for washing stored dishes by spraying washing water at high pressure and drying them. Specifically, the dishwasher operates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at high pressure into the tub in which the dishes are accommodated, and foreign matters such as food waste on the surface of the dish are washed by contacting the sprayed washing water with the dishes.
  • the dishwasher is configured to filter food waste contained in the washing water by a filter to recycle the used washing water again, and to remove and supply detergent to the washing water so that food waste can be separated smoothly.
  • a dishwasher has been widely used that increases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by a heater or increases the efficiency of washing by generating steam.
  • a general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 case forming the outer shape, a washing tank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forming a washing space for dishes, a door positioned in front of the washing tank to open and close the washing tank, and a dish provided under the washing tank. It is possible to withdraw between the drive unit that supplies, collects, circulates, and drains the washing water for washing, the lower/upper/top jetting unit that sprays the washing water supplied by the drive unit into dishes, and the inner lower/upper/top jetting unit of the washing tank And a lower/upper/top storage unit that can be selectively loaded according to the type and size of dishes.
  • each of the storage units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ving rollers under each of them, and is guided by a separate guide rail provided inside the washing tank to be withdrawn and stored.
  • the above-described lower receiving part is located adjacent to the lower spraying part and relatively large-sized dishes are seated, the upper receiving part is located adjacent to the upper dispensing part and relatively small sized dishes are placed, and the top receiving part is the top spraying part. It is located adjacent to and is equipped with utensils (eg cutlery, knives, etc.) and cooking utensils (eg, ladle, whisk, etc.) of a smaller size than tableware.
  • utensils eg cutlery, knives, etc.
  • cooking utensils eg, ladle, whisk, etc.
  • the door of the dishwasher is opened, one of the storage units inside the washing tank is taken out, the dishes are stored in the withdrawn storage unit, and the withdrawn storage unit is After pushing it into the washing tub, close the door to store the dishes.
  • washing water is individually or simultaneously supplied to the upper/lower/top spraying unit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nd the dishes loaded in the lower/upper/top storage units are washed.
  • each is provided to be withdrawn along the guide rail while seated on the guide rail.
  • each guide rail it is fixed to the side wall inside the washing tank, and the vertical position of each receiving part moving along the guide rail is also fixed.
  • the space or place where the tableware is used (for example, the space where the table is located) is far from the location where the dishwasher is installed, the user repeatedly transfers a plurality of dishes to the dishwasher, There is no choice but to store dishes in the room.
  • the storage height of the lower/upper/top storage part of the dishwasher is fixedly formed, so that the user can bow down the table according to the height of each storage unit to lower/upper/top the dishwasher. There wa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lectively receive payments.
  • the height of the lower/upper/top storage is fixedly formed, and only the function to be drawn out to the front of the dishwasher is included, so that the user can store and load dishes in the lower/upper/top storage. In order to do so, you have to bend your back.
  • Patent Document 1 relates to a mobile dishwasher that collects and cleans food items in a food center, and the mobile dishwasher of Patent Document 1 has a nozzle through which the washing machine body can spray detergent,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dishwasher body. It includes a first cart.
  • Patent Document 1 The dishwasher of Patent Document 1 is used in a business such as a food center, and it is difficult to use as a household dishwasher.
  • the first cart which is separated from the dishwasher and loaded with dishes, it is formed in a simple wire frame shape like a conventional dishwasher, and remains in the dishes loaded in the first cart or remains on the dishes after wash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ashing water may fall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art.
  • Patent Document 1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of the dishwasher is provided in the first cart, so that when the first cart is removed from the dishwasher, the washing space of the dishwasher is inevitably maintained in an exposed state. There is a bad problem.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hwasher capable of separating a storage unit in which dishes are accommodated from a washing space in which dishes are wash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hwasher capable of more conveniently storing dishes to be washed in a dishwasher.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hwasher capable of moving dishes to be washed in a dishwasher more convenientl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hwasher capable of varying the height of loading and unloading dishes when loading or unloading dishes into the dishwasher.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forming a storage part in which dishes are loaded in a closed enclosure shape, it is possible to prevent food waste and washing water remaining on the dishes from falling when the dishes are move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forms a trolley forming a loading space in which dishes are loaded and washed, and a space in which the trolley is pulled out and inserted, and at the same time, the dishes loaded on the trolley are stor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dishwasher body forming a washing space to be washed.
  •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parate and combine a trolley on which dishes are loaded from the main body, so that a user can use the trolley to transport dishes, and at the same time, the trolley itself is loaded for washing dishes.
  • a trolley on which dishes are loaded from the main body so that a user can use the trolley to transport dishes, and at the same time, the trolley itself is loaded for washing dishes.
  • the main body of the dishwasher has an outer case that forms an outer shape and has an open front surface, an inner case that forms a washing space in which the front surface is opened, and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washing space to wash dishes.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device for heating and circulating the washing water.
  • Such a dishwasher may facilitate maintenance of a washing space of a main body and a loading space of a trolley because the main agent and a trolley on which dishes are loaded are provided separately.
  •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door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for the introduction and withdrawal of the trolley, and the door is rotated horizontally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open the washing space.
  • the door is preferably provided to open the cleaning space by rotating in a vertic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 the user's convenience may be increased according to the withdrawal and retrieval of dishes and the retraction and retrieval of the trolley by varying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the door.
  • the operation unit and the display unit be provided on the front or uppe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operation unit and the display unit are located on the front or upper surface of the doo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se the operation unit and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open/close state of the door. You can check.
  • a drain portion through which washing water sprayed to the trolley positioned in the washing space and food waste remaining from the dishes loaded on the trolley may be collected and drained may be formed under the washing space formed in the main body.
  • a device unit provided with a sump, a pump, etc. may be located below the drainage part.
  • the drain unit is provided in a drainage inclined surface inclined to collect washing water and food waste, a drainage hol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drainage inclined surface to guide the washing water and food wastes guided by the drainage inclined surface to the device unit, and the drainage hole. It is desirable to have a filter for filtering relatively large food waste.
  • the washing water sprayed onto the dishes loaded on the trolley and food wastes of the dishes are drained and filter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be recycled and used.
  • a trolley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lower part of the trolley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washing space so that the trolley can be inserted into the washing space. I can.
  • the height of the trolley is raised when entering the trolley so that the trolley contacts the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space to form watertightness with the washing space.
  • Rails can be provided.
  • the trolley has a pair of rear roller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 pair of front roller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ar rollers, and the height of the trolley is raised by sequentially raising and lowering the rear rollers and the front rollers. I can make it.
  • the lifting rail includes a front roller seating groov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n the front roller when the trolley is retracted, a first rising slop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front roller seating groove and forming an inclined surface on which the rear roller and the front roller are raised, and the front A descending slop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roller seating groove and lowering the rear roller passing through the front roller seating groove, and a second rising slop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lowering slope and raising the rear roller to the position of the front roller seating groove can be formed.
  • the rear roller is supported by the second rising slope
  • the front roller is supported by the front roller seating groove, so that the play of the trolley can be raised and supported, and the front roller is seated on the second rising slope where the rear roller is additionally supported.
  • a rear roller seating groove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front roller seating groove may be further formed.
  • a trolley sealing step that extends from the washing space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washing space, and a sealing edge that is extended than the washing space and smaller than the trolley sealing step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trolley, so that watertightness between the washing space and the trolley is reduced when the trolley is raised.
  • a trolley sealer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aling step to form a watertight lower portion of the cleaning space by contacting the sealing edges.
  • the trolle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llers so as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a pair of lower supports inserted into the trolley insertion space, and connected to each lower support, and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in which dishes are loaded are detachably provid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water collecting base positioned between a pair of supports and a pair of lower supports, and collecting washing water and food wastes falling from the storage unit.
  • the trolley is provided to adjust the height at which dishes are loaded by having a fixed support fixed to the lower support of the support, and a pair of lifting supports that are provided to be elevating and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fixed support so that the storage unit is detachably supported. desirable.
  • an elevating cylinder that provides a predetermined pressur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levating support rises with respect to the fixed support, and an elevating fixing device selectively fixing the elevating position of the elevating support with respect to the fixed support are provided. And, the user can more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trolley by the rising pressure of the lifting cylinder.
  • the height of the trolley may be more easily increased by the lifting pressure of the lifting cylinder, and the height of the trolley may be fixed by the lifting fixing devi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bending or squatting in order to load and take out dishes.
  • the fixing support has at least two locking grooves formed on one surface, and the lifting fixing device is mounted in the locking groove to limit the height of the lifting support.
  • the lifting fixing device includes a lifting lever rotatably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support, a lifting link that is movably provided along the lifting support, and a lifting link that is mov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lever, and a locking groov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ifting link. It can be provided with a moving hook that is separated from.
  • the moving hook of the lifting fix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slide protrusion provided so that the moving hook is mov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link space, and the lifting link is inserted so that the slide protrusion is slidable, and the lifting link moves upward.
  • An inclined slot in which the hook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ok is disengaged from the hooking groove is formed, the hooking groove is formed in a shape symmetrical to both sides of the fixing support, and the lifting link and the moving hook are provided in a shape symmetrical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oking groove. Can be.
  • a trolley sealing step that extends from the washing space is formed under the washing space of the main body, and a sealing edge that is larger than the washing space and smaller than the trolley sealing step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base.
  • the sealing edge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trolley sealing step to form a watertight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space.
  • the collection base is a collection slope that is inclined so that washing water and food waste falling from the storage unit can be collected, and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ollection slope to discharge washing water and food waste guided by the collection slope to the lower part of the washing space. A water hole is formed.
  • the lower support of the trolley includes a fixed roller part to which the support is connected and provided with a rear roller, and a telescopic roll lock part which is provided to be stretch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roller part and provided with a front roller.
  •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device is provided to reduce the space betwee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roller part and the fixed roller part, and to expand betwee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roller part and the fixed roller part as the trolley is withdrawn from the cleaning space Can prevent the trolley from tipping over.
  • the dishwa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rolley fixing hook for fixing the retracted state of the trolley while forming a washing space for dishes in the main body, and the trolley is fixed to the trolley fixing hook of the washing space at one of the storage parts. It is preferable to have a trolley release device for releasing the state.
  • a trolley fixing latch is provided that is mounted on the trolley fixing hook of the trolley to limit the moving state of the trolley, and the trolley release device may release the mounting state of the trolley fixing latch and the trolley fixing hook by controlling the trolley fixing latch.
  • the trolley release device is elastically supported so as to be lowered along the elevating support on the elevating support, and a latch bar on which a trolley fixing latch mounted on the trolley fixing hook is formed is provided, and a trolley withdrawal lever provided in front of the storage unit, It is provided as a lock release bar that is linked to the trolley withdrawal lever and moves along the storage unit, and a direction changing part that rotat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ock release bar to press the latch bar to separate the crawley fixing latch from the trolley fixing hook.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ss the latch bar and unlock the trolley fixing hook by the trolley fixing latch.
  • the dishwa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release device for setting a fixed state of the storage unit and the trolley in order to withdraw the storage unit independently from the movement of the trolley in one of the storage units.
  • the storage unit releasing device fixes the storage unit to the trolley as the storage unit is retracted toward the trolley, and is released from the trolley as the storage unit is pres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orage unit is pulled out.
  • the receiving unit releasing device includes a receiving unit withdrawal lever provided in front of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unit, a receiving unit linking bar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trolley withdrawal lever and moved along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unit, and the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ceiving unit.
  • the receiv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unit that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when the unit is retracted to fix the receiving unit, and is rais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ceiving unit interlocking bar in the withdrawal direction to release the fixed state of the receiving unit.
  • a plurality of slide protrusions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linkage bar, and the receiving unit locking unit includes an elevating plate in which a slide protrusion is inserted, and an inclined slot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elevate as the slide protrusion moves. can do.
  • the trolley may support the storage unit so as to be movable in the withdrawal and retractable directions, and include a seating portion in which a fixing groove is formed, and the lifting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that is separated and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as it is raised and lowered.
  • the trolley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in which dishes are loaded, and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different sizes of dishes.
  •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different sizes of dishes.
  • relatively small dishware such as paper cutlery, cutlery, etc.
  • the second storage unit and the third storage unit are relatively larger than the first storage unit. It may be provided to be accommodated.
  • first, second, and third storage portions are supported by a withdrawal rail so as to be movable in a forward direction of the trolley with respect to the trolley.
  • a trolley withdrawal lever through which the trolley is withdrawn from the main body and a storage unit withdrawal lever through which the first storage unit is withdrawn from the trolley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user can selectively withdraw the trolley or the storage part by the trolley withdrawal lever and the storage part withdrawal lever.
  • the second storage unit or the third storage unit forms a lower portion of each storage unit, forms a space in which the washing water is moved, and a spray plat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upper injection units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loading plat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ires on an upper surface of the plate to place dishes, and a side plate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ray play may be provided.
  • the second and third storage units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case in which the top is opened by the spray plate and the side plate, and the food waste remaining on the dishes loaded therein and the washing water remaining on the dishes after washing the dishes are trolley It can prevent leakage to the outside when moving.
  • the spray plate is provided with an upper spray part, and an upper plate having a discharge slope formed inclined to move the washing water after washing dishes and a drain groove formed below the discharge slope, and the washing water is fasten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 a lower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flow path that moves to the upper spray part and a discharge part that drains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drain groove to the outside of the spray plate.
  • the upper plate may hav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o which the upper injection part is fastened, and a plurality of flow paths for guiding the washing water to the through-hole may be formed in a radial shape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 the upper injection part is fastened to the through hole, and may include a fixed frame in which a rotation shaft part supported by a plurality of frames is formed, and a rotation nozzle part in which separation is prevented and rotatably fastened to the rotation shaft part and a plurality of nozzles are formed.
  • the rotating nozzle unit may be rotated in a floating state by the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 a plurality of nozzles formed in the rotating spray unit may be formed to spray washing wat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one direction so that the rotating nozzle unit rotates in one direction.
  •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plate, and a lower spraying unit for spraying washing water to another receiving unit positioned below the receiving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 the water supply connector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erminal has an elastic connector that is pressed and moved by the water supply terminal when the trolley or storage part is brought into the washing space, and the discharge part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lower plate, and the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drainage groove
  • a discharge hole to be drained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door that is rotatably fastened to one side of the discharge hole and opens and closes the discharge ho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lescopic connector.
  • an opening protrus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elescopic connector, and the discharge door is rotated and opened by the opening protrus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lescopic connector, and the discharge door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to always shield the discharge hole.
  • a loading plat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ires on an upper surface of the spray plate to place dishes and a side plate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ray play may be provided.
  • a dishwasher capable of separating a storage unit in which dishes are stored from a washing space in which dishes are washed can be provided.
  • dishes to be washed in the dishwasher can be more conveniently stored.
  • dishes to be washed in the dishwasher can be moved more conveniently.
  • the height of loading and withdrawing dishes can be varied.
  •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storage part in which dishes are loaded in a closed enclosure shape, it is possible to prevent food waste and washing water remaining in the dishes from leaking out of the storage part when the trolley is mov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door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olley withdrawal state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ain body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simplified diagram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main body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olley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to 8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trolley and a storage unit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9 to 10 are simplified diagrams showing withdrawal of a trolley from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simplified diagram showing a state of a lower support when a trolley is retracted in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simplified diagram showing a state of a lower support when a trolley is withdrawn in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simplified diagram showing a lifting rail and a trolley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simplified diagram showing a trolley retracting process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 side view showing the lifting structure of the trolley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 is a flow chart showing an elevating operation of a trolley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7 is a plan view showing a trolley withdrawal structure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side view showing a trolley take-out structure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9 is a simplified diagram showing withdrawal of a trolley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0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pulling in and withdrawing a trolley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1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storage unit 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2 is a side view showing a pull-out structure of a first storage unit 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3 is a simplified diagram showing withdrawal of a first storage unit 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4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of inserting and withdrawing a first storage unit in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storage part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storage part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ray plate of a second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8 to 29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second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pper injection unit and a lower inj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supply part and a discharge part of a second storag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each defined component i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ing the technical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each of the names defined for each component may be called a different name in the ar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open state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olley withdrawal state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hwasher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hwasher 10 includes a trolley 200 in which a plurality of dishes (not shown) are loaded and movably provided, and the trolley 200 is withdrawn and inserted. And a main body 100 for washing dishes loaded on the trolley 200.
  • the trolley 200 includes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300, 400, 500 in which dishes are loaded, and the washing space of the main body 100 along the ground on which the main body 100 of the dishwasher 10 is installed ( 121).
  • each of the storage units 300, 400, 500 provided in the trolley 200 it may be provided to slide to the front of the trolley 200 regardless of the withdrawal of the trolley 200, and the trolley may also be provided with each storage unit. (300, 400, 500) It is possible to move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irrespective of withdrawal.
  • the dishwasher body 100 is provided with a washing space 121 in which dishes loaded in the trolley 200 are washed at the same time as the trolley 200 is inserted, and rotates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trolley 200 is inserted and withdrawn.
  • a door 15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shing space 121 is provided.
  • the main body 100 forms a space into which the trolley 200 is inserted and at the same time forms a space for washing a plurality of dishes loaded on the trolley 200.
  • the main body 100 includes an outer case 110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dishwasher 10, and an inner case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case 110 and forming a space in which dishes are washed by the trolley 200 It has 120.
  • the device unit 130 performs water supply/drainage/circulation of washing water for washing dishes, and the trolley is formed on both sides between the outer case 110 and the device unit 130.
  • a trolley insertion space 140 is provided that forms a space into which the 200 can be inserted.
  • a door 150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outer case 110 to open and close the washing space 121 to be rot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carry in/out of the trolley 200 and to carry out dishes.
  • the outer case 110 includes a top cover 111 forming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of the dishwasher 10, a side cover 113 forming side and rear surfaces, and a base (not shown).
  • each of the covers 111 and 113 may be individually formed and may form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but may be integrally formed to share at least one surface as necessary.
  • the inner case 120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case 110 to form a space for washing dishes,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ase 1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side the outer case 110. It is fixed at (110).
  • a separate support frame (not shown) for fixing the inner case 120 and the outer case 110 and a separate washing water passage for moving the washing water (not shown) City) may be provided.
  • the front surface (that is, the surface opened by the door 150) may be formed in an open case shape in order to form watertightness of the washing space 121 in general.
  • the inner case 120 may be integrally molded for watertightness of the cleaning space 121,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case 120 may be formed in separate configurations if necessary.
  • a drain 123 for collecting washing water generated when washing dishes in the washing space 121 and guiding the washing water to the apparatus 130 is formed under the washing space 121 of the inner case 120.
  • a drain hole 125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to the device 13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rain 123.
  • the drainage portion 123 in which the drainage hole 125 is formed is a drainage slope 123a inclined toward the drainage hole 125 so that the washing water falling into the drainage portion 123 can be smoothly guided to the drainage hole 125. Is formed.
  • a separate filter 123b (refer to FIG. 5) for filtering relatively larg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shing water drained to the device 130 may be detachably provided in the drain hole 125.
  • a trolley sealing step 127 for forming watertightness with the trolley 200 is formed by extending and fitt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below the inner surface of the washing space 121 formed by the inner case 120.
  • the trolley sealing step 127 is inserted into the washing space 121, the trolley 200 is inserted into the corner of the collecting base 210 of the trolley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corner of the collecting base 210 comes into contact with water. Is formed to form.
  • a trolley sealer 129 (refer to FIG. 25) may be further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trolley sealing step 127 to improve watertightness between the water collecting base 210 of the trolley 200 and the trolley sealing step 127.
  • the trolley sealer 129 may be provided to extend along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trolley sealing step 127 so as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corner of the trolley 200 collecting base 210 when the trolley 200 is inserted into the washing space.
  • the trolley sealer 129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preferably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silicone.
  • a trolley fixing hook 120a for processing the retracting state of the trolley 200 when the trolley 200 is inserted into the washing space It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trolley fixing hook 120a is mounted with a trolley fixing latch 245 (refer to FIG. 18) of the trolley 200 to be described later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trolley 200, and the trolley fixing latch 245 is a trolley. As it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hook 120a, the fixing of the trolley 200 may be released.
  • the device unit 130 is located under the inner case 120 and is for circulating the washing water for washing dishes in the washing space 121 and to be provided under the drain unit 123 of the inner case 120. I can.
  • the device unit 130 collects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drain hole 125 of the drain unit 123, and the spray plate 420 of the second and third storage units 400 and 500 to be described later collects the collected washing water (Fig. 26), or the washing water collected in the sump after washing of dishes is completed is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 the device unit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separate drawing.
  • the trolley insertion space 140 may be provided below the inner case 120 and on both sides of the device unit 130 as shown in FIGS. 3 to 4.
  • the trolley insertion space 140 is formed in a shape symmetrical to both sides of the device unit 130 so that a pair of lower supports 220 formed in the trolley 20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 each trolley insertion space 14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entrance side extends to a predetermined width so that the lower support 220 can be smoothly inserted.
  • a pair of lifting rails 143 for raising the trolley 200 so that the height of the trolley 200 itself can be increased to a predetermined height according to the insertion of the trolley 200 It can be provided.
  • a pressing step for pressing the interlocking cam 224 of the telescopic device 223 (see FIG. 9) provided in the trolley 200 when the trolley 200 is inserted. 141) may be provided.
  • the door 150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cleaning space 121 by rotating horizontally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as shown in FIGS. 1 to 2.
  • the door 150 may open the simple washing space 121 to enable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trolley 200 to be withdrawn when the trolley 200 is stored in the washing space 121.
  • the washing space 121 may be opened so that the trolley 200 accommodated in the washing space 121 can be withdrawn.
  • the door 150 is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at the same time includes at least one pair of horizontal pivoting hinges 151 between the outer case 110 and the inner case 120.
  •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pair of horizontal pivoting hinges 151 may be provided as an elastic hinge (not shown)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150 is opened.
  • a separate handle groove or handle may be provided to protrude to open and close the door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 separate handle groove or handle may or may not be provided.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push-open type door lock 153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locked state is released by pressing the door 150 toward the main body.
  • the front portion of the washing space 121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re kept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door lock 153 is preferably locat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horizontal pivoting hinge 151 and may be remade between the outer case 110 and the inner case 120.
  • a door lock hook 155 inserted into the door lock 153 and fixedly supported may be provided on the rotating side of the door 150.
  • a door sealing 150a for may be provided.
  • the door sealing 150a is thicker than the gap betwee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door 150 formed to use the push-open type door lock 153 of the door 150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
  • the front part of the cleaning space 121 of the main body 100 can be sealed, and when the door is pressed to open the door 150, the push-open type door lock 153 is released. Can form a working play that can.
  • operation units 157a and 158a and display units 157b and 158b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hwasher 10 and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dishwasher 10 are provided on the front and upper surfaces of the door 150. It can be provided.
  • a front operation unit 157a and a front display unit 157b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door 150, and an upper operation unit 158a and an upper display unit 158b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150. .
  • the front operation unit 157a and the front display unit 157b operate the dishwasher 10 or operate the dishwasher 10 while the door 150 closes the washing space in the operation of the dishwasher 10. It is to indicate the status.
  • the upper operation unit 158a and the upper display unit 158b operate the dishwasher 10 or operate the dishwasher 10 while the door 150 is open to the washing space when operating the dishwasher 10. It is to indicate the status.
  • the front manipulation unit 157a and the top manipulation unit 158a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ush buttons or touch buttons formed in the same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dishwasher, and the front display unit 157b and the top display unit 158b are also I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D or LCD panels formed in the same configuration.
  • the shapes of the front manipulation unit 157a and the front display unit 157b, the front manipulation unit 157a, and the top manipulation unit 158a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150 preferably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sealing 150a formed on the door 150, is used to supply detergent or rinse necessary in the washing process of the dishes by the dishwasher 10.
  • a separate detergent supply device 159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washing space 121 of the main body 100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shield the washing space 121 of the main body 100 even in a state where the trolley 200 is withdrawn from the main body 100, and even when the trolley 20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0, the main body ( The washing space 121 of 100) can be selectively shielded.
  • FIG. 5 is a simplified diagram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main body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inner case 120 is provided inside the outer case 110 forming the main body 100, and the inner case 120 has a washing space 121 on the upper side and a device unit ( 130) is provided.
  • the above-described trolley insertion space 14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evice unit 130 and the lower side of the inner case 120.
  • the washing water supplied or circulated by the pump unit 133 to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and third storage units 400 and 500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rear wall of the washing space 121 to supply the upper water supply stage 121a ) And the lower water supply stage 121b are formed.
  • the device unit 130 is located under the drain unit 123 and is provided to circulate, heat, and drain the washing water collected and introduced from the drain unit 123.
  • the device unit 130 includes a sump 132 for temporarily storing washing water collected from the drain unit 123 and flowing in, and a water supply passage for supplying washing water supplied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not shown) to the sump 132. (132a), a circulation passage (132c) for supplying or circulating the washing water supplied or recovered to the sump (132) to the washing space (121), and the washing water recovered to the sump (132) after washing of the dishes is completed is drained.
  • a drain passage (132d) may be provided.
  • a water supply valve 132b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passage 132a may be further provided in order to control the supply amount of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 a drain pump (not shown) for washing dishes and draining the washing water collected by the sump 132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drain passage 132d.
  • a pump unit 133 for supplying and circulating the washing water supplied and recovered to the sump 132 to the washing space 121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circulation passage 132c.
  • the pump unit 133 is a heating chamber 135 provided with a heater 135a for heating the supplied washing water, and a pumping chamber 134 provided with an impeller (not shown) for supplying and purifying the washing water. It can be provided.
  • the pumping chamber 134 is located above the heating chamber 135 and moves the washing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eating chamber 135 and the washing water heated by the heater 135a of the heating chamber 135 to a predetermined pressure. I can.
  • the pumping chamber 134 is connected to a circulation water supply passage 134a for guiding the washing water moved from the pumping chamber 134 to the washing space. Opening and closing the circulation water supply passage 134a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is moved to the circulation water supply passage 134a, or selectively guiding the wash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circulation water supply passage 134a to the upper water supply stage 121a or the lower water supply stage 121b It is provided with a circulation valve (134b) for.
  • an upper water supply passage 134c for guiding the washing water to the upper water supply terminal 121a or the lower water supply terminal 121b, and The lower water supply passage 134d is connected.
  • the heating chamber 135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mp 132 to heat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sump 132.
  • a pumping chamber 134 is positioned above the heating chamber 135, and the washing water heated in the heating chamber 135 is supplied to the circulation water supply passage 134a by the impeller of the pumping chamber 134.
  • a steam passage 135b for supplying steam generated from the washing water heated in the heating chamber 135 to the washing space 121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heating chamber 135.
  • the steam flow path 135b is connected to a steam nozzle (not shown) separately provided in the cleaning space 121 so as to directly supply the steam generated from the heating chamber 135 to the cleaning space 121 and is cleaned through the steam nozzle. Steam can be injected into the space.
  • the steam passage 135b is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water supply passage 134a provided in the pumping chamber 134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water supply passage 134c or the lower portion by the circulation valve 134b provided in the circulation water supply passage 134a. Supply to the water supply passage 134d may be controlled.
  • the spray plate 420 provided in the second and third storage portions 400 and 500 of the trolley 200 to be described later, FIG. 26) may be sprayed into the washing space 121.
  •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pump unit 133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passage 132c. Is moved.
  • the washing water moved to the pump unit 133 passes through the heating chamber 135 of the pump unit 133 and is supplied to the circulation water supply passage 134a by the impeller of the pumping chamber 134, or the heating chamber 135 ) Can be heated by the heater and supplied to the circulation water supply passage (134a).
  •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circulation water supply passage 134a is individually supplied to the upper water supply stage 121a or the lower water supply stage 121b by the circulation valve 134b, or the upper water supply stage by the circulation valve 134b. Washing water may be supplied to 121a and the lower water supply terminal 121b at the same time.
  •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upper water supply terminal 121a and the lower water supply terminal 121b is a spray plate 420 provided in the second and third storage units 400 and 500 of the trolley 200 to be described later, FIG. 26 Reference) may be sprayed into the washing space 121.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olley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olley and a storage unit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table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 the trolley 200 includes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300, 400, and 500 in which dishes are mounted and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300, 400, 500 in which dishes are loaded as shown in FIGS. 6 to 8 It is to support the body 100 to be movable from the outside, and to be movable to the washing space 121 in the body 100.
  • This trolley 200 includes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300, 400, 500 in which dishes are loaded in order to wash dishes, and a first storage unit 300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trolley 200 and a first A second storage unit 400 located below the storage unit 300 and a third storage unit 500 located below the second storage unit 400 may be provided.
  • the first storage unit 300 relatively small dishes such as small spoons, chopsticks, forks, and knights are stored, 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and third storage units 400 and 500, the relatively bulky tableware, etc. Large dishes can be loaded.
  • first, second, and third storage units (300, 400, 500)
  • all of them are detachably provided on the trolley 200,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orage units (300, 400, 500) are withdrawn to the front. It may be provided to be possible.
  •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orage units 300, 400, and 5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fter the description of the trolley.
  • the trolley 200 is mounted on a pair of lower supports 220, each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trolley insertion space 140 formed in the body 100, each lower support 220, and each receiving unit 300, A collection base 210 that collects washing water generated from 400 and 500 and guides i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ase 120 of the main body 100, and a pair of fixed supports 23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collection base 210 And, it is provided to each of the fixed support 230 to be elevating and includes an elevating support 240 for varying the height of each receiving portion (300, 400, 500).
  • the lower support 220, the fixed support 230, and the elevating support 240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in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water collecting base 210.
  • the water collecting base 210 is provided to be horizontally movable along the ground by each lower support 220, and a collecting hole 211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is provided at an inner predetermined part,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llecting hole 211
  • the water collecting inclined surface 212 inclined toward the collecting hole 211 is formed so that the washing water falling into the collecting base 210 can be smoothly guided to the collecting hole 211.
  • the corner of the water collecting base 210 has a sealing corner 213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rolley sealing step 127 so that both sides and rear surfaces are inserted into the trolley sealing step 127 formed in the inner case 120 Is formed.
  • the edge of the water collecting base 210 on which the sealing edge 213 is formed is formed to be slightly expanded than the washing space formed by the inner case 1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edge 213 is a trolley of the inner case 120 Watertightness between the inner case 120 and the water collecting base 210 may be maintained in contact with the trolley sealer 129 provided on the sealing step 127.
  • the lower support 220 is provided in a symmetrical shape on both lower sides of the collecting base 210, as shown in Figs. 9 to 10, each lower support 220 is inserted into a trolley formed in the body 100 It is formed under the water collecting base 210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space 140.
  • the lower support 220 is provided with a rear roller 222 and a front roller 227, respectively, so that the trolley 200 can be moved to the washing space.
  • the lower support 220 may include a fixed roller part 221 to which the rear roller 222 is fixed and an elastic roller part 226 to which the front roller 227 is fixed.
  • the fixed roller part 221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base 210, and the elastic roller part 226 is provided to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fixed roller part 221 to be withdrawn.
  • the rear roller 222 is provided on the fixed roller part 221 so as to be position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cleaning space 121 when the trolley 200 is inserted into the cleaning space 121, and the front roller 227 is a trolley.
  • the elastic roller part 226 When 200 is inserted into the washing space 121, it is provided on the elastic roller part 226 so as to be position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washing space 121.
  • FIG. 11 is a simplified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lower support when the trolley is retracted 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state of the lower support when the trolley is withdrawn 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mplified diagram.
  • the lower support 220 includes a front roller 227 and a rear roller supporting the trolley 200 when the trolley 200 is withdrawn from the main body 100 of the dishwasher 10. It is to secure the support state of the trolley 200 more safely by expanding the gap between (222).
  • the lower support 220 is provided to extend and contract in a telescopic manner with respect to the fixed roller unit 221 provided with the rear roller 222 supporting the rear of the trolley 200 and the fixed roller unit 221
  • the telescopic roller portion 226 having a front roller 227 that supports the front of 200, and the trolley 200 is provided between the fixed roller portion 221 and the elastic roller portion 226
  • the telescopic roller unit 226 is inserted into the fixed roller unit 221 as it is introduced into the washing space 121 of the trolley 200, and the telescopic roller unit 226 is fixed as the trolley 200 is drawn out from the washing space 121 It is provided with a telescopic device 223 to be withdrawn from the roller portion 221.
  • the fixed roller part 221 forms the rear of the lower support 220, has a hollow in which the front side is opened, and an expansion/contraction device 223 is provided therein.
  • the rear roller 222 provided in the fixed roller unit 221 may have a rotation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order to improve the horizontal mobility of the trolley 200.
  • a pressure step insertion space 221a into which a pressure step 141 provided in the washing space 121 of the main body 100 is inserted is formed between the fixing roller part 221 and the water collecting base 210.
  • a part of the interlocking cam 224 of the telescopic device 223 to be described later is exposed in the pressing step insertion space 221a, and when the trolley 200 is inserted into the cleaning space, the pressing step 141 is the pressing step insertion space 221a. ), the interlocking cam 224 is pressed and rotated by the pressing step 141 so that the telescopic device 223 may be operated.
  • the expansion roller unit 226 is coupled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hollow of the fixed roller unit 221, and the fixed roller unit 221 due to the operation of the expansion device 223 as the trolley is inserted or withdrawn into the washing space. It slides along the hollow of the rear roller 222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roller 227 can be separated or reduced.
  • the elastic roller part 226 is formed in a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ollow formed in the fixed roller part 221.
  • both the front roller 227 and the rear roller 222 may have a rotation axis in a vertical direction, but one of the front roller 227 or the rear roller 222 may be provided so that rot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ixed.
  • the telescopic device 223 is located inside the hollow of the fixed roller part 221, one side is fixed to the fixed roller part 221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telescopic roller part 226, the telescopic link part 225,
  • An interlocking cam 224 that is provided rotatably by being exposed to the pressure stepped insertion space 141 of the fixed roller part 221 and rotates under the pressure applied by the pressure step 141 to operate the telescopic link part 225 ) Is provided.
  •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device 223 is located inside the hollow of the fixed roller part 221 and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link part 225 so that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roller part 226 with respect to the fixed roller part 221
  • a separate extension rail 225b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elastic roller unit 226 when it is stretched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extension rail 225b may be provided to be stretchable in a telescope format.
  • extension rail 225b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spring (not shown) that exerts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roller portion 226 is drawn out from the fixed roller portion 221. That is, the elastic roller unit 226 is always in a state of receiv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xed roller unit 221 when the external force by the elastic device 223 is removed.
  • the interlocking cam 224 is located rotatably by the rotation shaft 224a adjacent to the pressing step insertion space 221a of the fixed roller unit 221, and a pressing protrusion exposed to the pressing step insertion space 221a on one side (224b), and a connection protrusion (224c)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opposite position of the pressing protrusion (224b) is formed.
  • the elastic link unit 225 is provided so that the entire length of the elastic link unit 225 is stretched and contracted while a plurality of unit links repeatedly cross each other so that each unit link is rotated. That is, the elastic link unit 225 is coupled to be rotatable while a plurality of unit links cross each other, and the length of the elastic link unit 225 may be expanded or contrac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each unit link is rotated.
  • the crossing point of the unit link at one end of the telescopic link unit 225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fixed roller unit 221, and the crossing point of the unit link at the other end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telescopic roller unit 226.
  • a connecting link 224d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interlocking cam 224 to the telescopic link unit 225 Is connected. That is, as the interlocking cam 224 is rotated, a connecting link 224d connecting the connecting protrusion 224c and the telescopic link unit 225 is provided to the connecting protrusion 224c.
  • the connecting link 224d is moved by the connecting protrusion 224c, and the intersection of the unit link to which the connecting link 224d is connected is at the end of the telescopic link unit 225 While moving relative to the elastic link unit 225 is expanded.
  • the interlocking cam 224 rotates together, and the connecting protrusion 224c formed on the interlocking cam 224 is also rotated, and the connecting link 224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rotrusion 224c is Is moved.
  •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nnecting link 224d is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nterval between the intersection points of the unit links of the elastic link unit 225 is reduced, and the elastic link unit 225 is contracted.
  • the elastic roller unit 226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fixed roller unit 221 to expand and contract.
  • the pull-in of the trolley 200 is completed.
  • the elastic roller part is elastically suppor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xed roller part by a spring provided between the expansion roller part and the fixed roller part, and as the external force by the pressure step applied to the interlocking cam is removed, it is fixed with the expansion roller part.
  • the roller portion is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ront roller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roller portion and a distance between the rear roller of the fixed roller portion is increased.
  •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device 223 may be implemented by a sensor that detects the withdrawal of the trolley 200, a motor that moves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roller, and a power transmission device.
  • the stretching roller unit 226 and the stretching device 223 as described above may not be installed if the stability of the trolley 200 is ensured.
  • FIG. 13 is a simplified view showing a lifting rail and a trolley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rear roller 222 and a front roller provided in the trolley 200 when the trolley 200 is in or out of the trolley 200 is provided under the trolley insertion space 140 provided in the dishwasher body 100.
  • An elevating rail 143 is provided to support the 227 to change the height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trolley 200.
  • the lifting rails 143 provided in the trolley insertion space 140 are each provided in the trolley insertion space 140 provided in a symmetrical shape under the washing space, and hereinafter, one side trolley insertion spac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will be described on behalf of one side of the lifting rail 143 provided in (140).
  • the elevating rail 143 sequentially raises and lowers the rear roller 222 and the front roller 227 of the trolley 200 as the trolley 200 is inserted into the washing space of the main body to collect the trolley 200.
  • the sealing edge 213 formed on the base 210 is in contact with the trolley sealing step 127 formed in the washing space 121.
  • the lifting rail 143 is a first rising inclined surface (145a), a front roller seating groove (145b), a descending inclined surface (145c) and a second rising inclined surface (145d) sequentially formed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olley 200 is retracted. They can be formed continuously with varying a predetermined angle.
  • a first rising inclined surface 145a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lifting rail 143.
  • the first rising inclined surface 145a allows the rear roller 222 and the front roller 227 of the trolley 200 to be sequentially seated on the lifting rail 143 when the washing space 121 of the trolley 200 enters.
  • the first rising inclined surface 145a may be formed as a straight or concave inclined surface having a relatively gentle slope so that the rear roller 222 and the front roller 227 can easily climb.
  • a front roller seating groove 145b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rising inclined surface 145a.
  • the front roller seating groove (145b) is provided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roller 227 at a predetermined height when the trolley 20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washing space, and the trolley 20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washing space 121 When it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roller 227.
  • the height of the front roller mounting groove (145b) is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aling edge 213 of the collecting base 210 formed in the trolley 200 does not completely contact the trolley sealing step 127 of the washing space 121 The height is formed so that it rises only up to.
  • a descending inclined surface 145c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ront roller seating groove 145b.
  • the descending inclined surface 145c is moved by lowering the height of the trolley 200 so that the rear roller 222 passing through the front roller seating groove 145b can be smoothly moved under the sealing step 127.
  • a trolley sealer 129 for forming watertightness between the sealing edge 213 of the trolley 200 and the trolley sealing step 127 is provided under the trolley sealing step 127, and the trolley sealer 129 It is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ilicon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Therefore, when the trolley 200 is moved along the elevating rail 143, the sealing edge 213 of the trolley 200 is of the trolley 200 in order to minimize contact with the trolley sealer 129 of the sealing step 127. When moving,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height of the sealing edge 213.
  • a second rising inclined surface 145d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descending inclined surface 145c.
  • the second rising slope 145d raises the rear of the sealing edge 213 of the trolley 200 so that the rear of the sealing edge 213 is pressed against the trolley sealer 129 of the sealing step 127.
  • the second rising inclined surface 145d is the rear roller ( It serves to raise the height of 222).
  • the height of the rear roller 222 raised by the second rising inclined surface 145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equal to or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ront roller 227 seated in the front roller seating groove 145b.
  • a rear roller seating groove (not shown) that supports the position of the rear roller 222 when the front roller 227 is seated in the front roller seating groove 145b Can be further formed.
  •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roller seating groove and the front roller seating groove 145b is formed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roller 222 and the front roller 227, and the rear roller seating groove and the front roller seating groove 145b The height is also formed the same.
  • the rear roller seating groove or the front roller seating groove 145b is preferably formed in a concave groove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roller 222 or the front roller 227.
  • FIG. 14 is a simplified diagram showing a trolley retracting process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of FIG. 14 shows a state before the lower support 220 of the trolley 200 is inserted into the body 100
  • (b) of FIG. 14 is a lower support 220 of the trolley 200 ) Shows an intermediate state in which the trolley insertion space 140 of the body 100 is inserted
  • FIG. 14(c) shows the lower support 220 of the trolley 200 is the trolley insertion space of the body 100 ( 140) shows a state of being fully inserted.
  • the door 150 of the main body 100 is opened to open the washing space 121. Thereafter, the trolley 200 is moved by pressing the trolley 200 into the washing space 121 by fitting the lower support 220 of the trolley 200 to the trolley insertion space 140 of the washing space 121.
  • the rear roller 222 of the lower support 220 first moves while ascen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first ascending slope 145a. It is moved to the descending inclined surface (145c) past the front roller seating groove (145b).
  • the sealing edge 213 on the rear roller 222 side is the trolley sealer 129 of the sealing step 127 ) Is temporarily touched while compressing. Thereafter, as the rear roller 222 passes through the front roller seating groove 145b and moves to the descending slope 145c, the sealing edge 213 on the rear roller 222 side is spaced apart from the trolley sealer 129.
  • the rear roller 222 of the trolley 200 moves along the second rising slope 145d. Accordingly, as the height of the rear roller 222 of the trolley 200 rises, the sealing edge 213 on the side of the rear roller 222 rises while compressing the trolley sealer 129.
  • the front roller 227 of the trolley 200 moves along the ground and rises along the first rising inclined surface 145a, passing through the first rising inclined surface 145a, and is seated in the front roller mounting groove 145b.
  • the sealing edge 213 on the front roller 227 side becomes the trolley sealer of the sealing step 127 ( It rises while pressing 129).
  • the front roller 227 is seated in the front roller seating groove 145b, the front roller 227 is limited in movement by the front roller seating groove 145b, and the movement of the trolley 200 is restricted.
  • the trolley 200 raised by the lifting rail 143 and the trolley sealer 129 of the trolley sealing step 127 in which the sealing edge 213 of the trolley 200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space 121 ) May form a watertight between the trolley 200 and the washing space 121.
  • 15 is a side view showing the lifting structure of the trolley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xed support 230 and the lifting support 240 are located in a symmetrical shape on both upper sides of the water collecting base 210, and the fixed support 23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base 210, respectively. It is installed and the lifting support 240 is coupled to each of the fixed support 230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fixed support 230 and the elevating support 240 of the trolley 200 are provided between the fixed support 230 and the elevating support 240 to apply a predetermined pressure to the elevating support 240 with respect to the fixed support 230
  • a lifting cylinder 232 supporting the lifting cylinder 232 to be raised by an elastic force and a lifting fixing device 250 for lifting the lifting support 240 with respect to the fixed support 230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lifting support 240 May be provided.
  • the fixed support 230 and the lifting support 240 are provided in a symmetrical shape on both upper sides of the collecting base 210, and the lifting cylinder 232 and the lifting fixing device 250 are also fixed support 230 and lifting It may be provided in a form symmetrical to the support 240.
  • the elevating support 240 is formed with an elevating space 241 into which the fixed support 230 is slidably inserted in the lower part so that the elevating support 240 can be elevated in a telescope shape with respect to the fixed support 230
  • a link space 242 to which the lifting link 253 of the lifting fixing device 250 to be described later moves is formed.
  • the fixed support 23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ifting space 241 to be inserted into the lifting space 241 of the lifting support 240, and a hollow 234 in which the lifting cylinder 232 is provided. ) Is formed.
  • the lower part of the lifting space 241 of the lifting support 240 is opened, and the hollow 234 of the fixed support 230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upper part is opened.
  • the lifting cylinder 232 is fasten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hollow 234 of the fixed support 230 and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space 241 of the lifting support 240 to provide a predetermined pressure between the fixed support 230 and the lifting support 240. It is supported by an elastic force and the lifting support 240 is supported so as to rise with respect to the fixed support 230.
  • an upper locking groove 231a and a lower locking groove 231b to which the moving hook 254 of the lifting fixing device 250 to be described later are fastened may be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fixing support 230.
  • the position of the upper locking groove 231a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upward position of the lifting support 240 that is elevated by the lifting cylinder 232.
  • the position of the lower locking groove 231b may correspond to a downward position of the lifting support 240.
  • an additional locking groove (not shown)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upper locking groove 231a and the lower locking groove 231b.
  • the lifting cylinder 232 is preferably provided as a gas cylinder filled with gas, and always applies pressure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lifting support 240 by the pressure of the gas, and the lifting cylinder ( When pressur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232 is descending, the gas is compressed to support the lifting support 240 so as to descend. Since the lifting cylinder 232 is a 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the lifting fixing device 250 is located under the first mounting portion 247 and operated by a user to release the fixed state of the fixed support 230 and the lifting support 240, the lifting lever 251, and lifting
  • the lifting link 253 which is interlocked by the lever 251 and moved along the link space 242 of the lifting support 240 and the upper/lower part of the fixed support 230 are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ifting link 253 It has a moving hook mounted on the hook.
  • the lifting lever 251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inner upper part of the lifting support 240 by a rotation shaft 251a.
  • One end of the lifting lever 251 extends outward from the inside of the lifting support 240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ifting support 240, and the lifting link 253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ifting lever 251.
  • the lifting link 253 connected to the other end may be lifted using the rotation shaft 251a as a rotation shaft.
  • the elevating link 253 extend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support 240 along the link space 242 formed in the elevating support 240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locking groove 231b of the fixed support 230.
  • the elevating link 253 is a vertical portion 253b provided in a pair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elevating support 240 to correspond to the upper/lower locking grooves 231a and 231b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fixed support 230 ) And a horizontal connection part 253a connected to the lifting lever 251 while connecting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part 253b.
  • the moving hook 254 is provided to be movable inside the link space 242 so as to be selectively inserted and detached from the upper/lower locking grooves 231a and 231b in the link space 242, and the elevating link 253 It may be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portion 253b of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upper/lower locking grooves 231a and b231b.
  • the moving hook 254 includes a plurality of slide protrusions 254a that are connected to the vertical portion 253b to slide. Meanwhile, an inclined slot 253c into which the slide protrusion 254a of the moving hook 254 is inserted is formed under each vertical portion 253b.
  • the inclined slot 253c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moving hook 254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upper locking groove 231a or the lower locking groove 231b as the vertical portion 253b rises. Therefore, the moving hook 254 may be moved horizontally along the inclined slot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portion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upper locking groove 231a or the lower locking groove 231b.
  • FIG. 16 is a flow chart showing an elevating operation of a trolley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6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support of the trolley is lowered
  • Figure 16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support of the trolley is raised.
  • the lifting support 240 is moved upward by the lifting cylinder 232 provided between the fixed support 230 and the lifting support 240
  • the elevating support 240 rises, and the elevating support 240 that rises is the moving hook 254 of the elevating support 240 as shown in FIG. 16 (b), and the upper locking groove 231a of the fixed support 230 ) Is inserted and mounted to fix the elevation of the lifting support 240.
  • the moving hook 254 slides off the upper locking groove 231a by the slope formed in the moving hook 246 and lifts. The fixed state of the support is released.
  • the lifting support 240 is lowered with respect to the fixed support 230 by the pressure applied by the user, and when the pressure applied by the user is released, the moving hook 254 is inserted into the lower locking groove 231b to move up and down.
  • the support 240 is fixed.
  • the elevating support 240 has a trolley withdrawal lever 331 of the first storage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for fixing the trolley 200 to the washing space 121 when the trolley 200 is inserted into the washing space.
  • 18 is provided with a trolley fixing latch 245 and a latch bar 246 for releasing the retracted state of the trolley 200.
  • the trolley fixing latch 245 has an inclined end so that the trolley 200 is inserted into the washing space 121 and contacts the trolley fixing hook 120a so that the latch bar 246 is press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s 200 is inserted into the washing space 121, the trolley fixing latch 245 and the trolley fixing hook 120a are fastened.
  • the latch bar 246 is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trolley withdrawal lever 331 provided in the first storage unit 300 to lower the trolley fixing latch 245, and the lowered trolley fixing latch 245 is an inner As the trolley is separated from the trolley fixing hook 120a provided in the washing space 121 of the case 120, the retracted and fixed state of the trolley 200 may be released.
  • first, second, and third storage units (300, 400, 500) they are provided to be seated 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eating portions (247, 248, 249) provided in the trolley 200, and preferably
  • the first storage unit 300 is seated on the first seating portion 247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trolley 200
  • the second storing portion 400 is a second seating portion located under the first seating portion 247.
  • the seating portion 248 is seated
  • the third receiving portion 500 is seated in the lowermost third seating portion 249.
  • the first storage unit is formed in a different structure from the second and third storage units, so that relatively small dishes can be accommodated, and the second and third storage units 400 and 500 are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and thus have a relatively large volume. Tableware can be loaded.
  • the first storage unit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7 to 24.
  • the first storage part 300 forms a first loading frame 310 formed by a plurality of wires intersecting so as to load dishes, and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loading frame 310, and a first seating part 247 ) And has an outer frame 320 that is seated on.
  • the food waste and residual washing water of the dishes pass through the first loading frame 310 and are located under the first storage unit 300
  • the second storage unit 400 may be dropped, and food waste and residual washing water that have fallen to the second storage unit 400 remain in the second storage unit 400.
  • first withdrawal rail 247a described above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seating portion 247 and the outer frame 320, and the first receiving part 300 is controlled by the first withdrawal rail 247a. It can be withdrawn to the front of the trolley 200 with respect to 1 seating portion 247.
  • the first storage unit 300 may be pulled out to the front of the trolley 200 in order to accommodate relatively small dishes and used to pull out the trolley 200 from the washing space.
  • the trolley 200 may be used when the trolley 200 is withdrawn from the washing space 121 and when the first storage unit 300 itself is withdrawn from the trolley 200. And the washing space 121 and the trolley 200 and the first storage unit 300 are provided to be fixed in a variable state.
  • the first storage unit 300 includes the trolley 200 and the first storage unit 300 in order to withdraw the first storage unit 300 from the trolley 200 while the trolley 200 is fixed to the washing space 121. It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art withdrawal lever 345 for releasing the state of engagement between the payments 300.
  • FIG. 17 is a plan view showing a trolley withdrawal structure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side view showing a trolley withdrawal structure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9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mplified diagram showing the withdrawal of the trolley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 the first storage unit 300 may serve as a handle through which the trolley 200 is withdrawn from the washing space 121. At this time, the first storage unit 300 maintains a state fixed to the trolley 200.
  • the trolley 200 i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rolley 200 is inserted into the washing space 121, the trolley fixing latch 245 provided in the trolley 200 is fixed to the trolley provided in the washing space 121 It is inserted into the hook (129a)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trolley 200 is limited.
  • the trolley 200 is fixed in order to withdraw the trolley 200 from the washing space 121 of the main body 100 using both hands.
  • a trolley release device 330 for releasing the is provided.
  • the trolley release device 330 is provided to be rotatable on both sides in front of the outer frame 320 of the first storage unit 300, and the user can use both hands to attach the first storage unit 300
  • the lever 331 and the lock release bar 332 that extends along both side walls of the outer frame 320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storage unit 300 and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trolley withdrawal lever 331 , It is located at the end side of the unlocking bar 332 and includes a direction changing part 333 for convert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unlocking bar 332 into a vertical movement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unlocking bar 332.
  • the trolley withdrawal lever 331 is a pair of outer handles (331a) by the rotation shaft (331b) so that the user can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left / right side of the first storage unit 300 It is provided to be rotatable.
  • a pair of locks extending from the outer handles (331a) to the rear of the first storage portion (300) on both sides of the outer frame (320) of the first storage portion (300)
  • the bar 332 is movably connected.
  • a pair of outer handles 331a located on both front sides of the first storage part 300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bar 331b connecting the pair of outer handles 331a to the pair of outer handles ( 331a) may be provided to be interlocked.
  • a pair of outer handles 331a may be provided to be individually rotatable by separate rotation shafts 331b.
  • a pair of outer handles 331a are provided to rotate individually, a user can always attach a pair of outer handles 331a at the same time to withdraw the trolley 200 to withdraw the trolley 200.
  • each outer handle 331a may be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of the unlocking bar 332 and the direction changing part 333,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e side locking release bar 332 and the direction changing part I will explain on behalf of (333).
  • the lock release bar 332 is provided in the outer frame 320 of the first storage unit 300 to be slidably moved in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first storage unit 300.
  • An interlocking hole 332a for rotatably connected to the outer handle 331a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unlocking bar 332, and the interlocking hole 332a of the unlocking bar 332 is interlocked with the outer handle 331a. It is axially coupled to the shaft 331c, and as the outer handle 331a is rotated, it may be slid i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frame 320.
  • a gear rack 332b meshed with the direction changing portion 333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unlocking bar 332.
  • the gear rack 332b rotates the direction changing part 333 meshing with the gear rack 332b according to the slide movement of the lock release bar 332 so that the latch bar 246 is pressed by the direction changing part 333 do.
  • the lock release bar 332 is provided with the first storage unit so that the lock release bar 332 is always moved to the rear of the first storage unit 300.
  • a separate elastic member (not shown)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rear side of the 300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333 is located under the gear rack 332b of the unlocking bar 332 and has a rotation shaft 333b at the center portion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gear rack 332b to rotate, and a gear rack 332b side A pinion gear portion 333a engaged with the rack 332b is formed, and a direction change portion 333 is rot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inion gear portion 333a to pressurize the latch bar 246 of the trolley 200
  • the protrusion 333c is formed.
  • the first storage unit 300 as described above includes trolley fixing hooks 120a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washing space 121 when the trolley 200 is brought into the washing space 121 of the main body 100.
  • the trolley fixing latch 245 of the latch bar 246 provided in the trolley 200 is mounted so that the movement of the trolley may be restricted.
  • the lock release bar 332 is moved, and the direction change unit 333 is mo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ock release bar 332.
  • 246 is pressed to lower the latch bar, and as the trolley fixing latch 245 formed in the latch bar 246 is separated from the trolley fixing hook 129a of the washing space, the fixed state of the trolley 200 is released. Accordingly, when the user holds the trolley withdrawal lever 331 and pulls i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olley 200 is withdrawn, the trolley 200 may be withdrawn from the washing space 121.
  • FIG. 20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pulling in and withdrawing a trolley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of FIG. 20 shows a state in which the trolley 200 is inserted into the washing space 121 of the body 100
  • the trolley withdrawal lever 331 and the lock release bar 332 of the first storage unit 300 are moved to the rear of the first storage unit 300 by an elastic member provided separately. It is elastically supported in a state, and the rotation protrusion 333c of the direction change unit 333 maintains a rotated state without pressing the latch bar 246 of the trolley 200.
  • the user in order to withdraw the trolley 200 from the washing space 121 of the main body 100, as shown in (b) of FIG. 20, the user has trolley withdrawal levers located on both front sides of the first storage unit 300.
  • the outer handle 331a of 331 is attached with both hands, and the trolley 200 is pres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drawn out.
  • the outer handle 331a is pressed, the outer handle 331a is rotated around the rotation shaft 331b, and the lock release bar 332 fastened to the interlocking shaft 331c on the rotating side of the outer handle 331a Is slid to the front of the first storage unit 30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outer handle 331a.
  • the direction change part 333 engaged with the gear rack 332b of the lock release bar 332 rotates, and as the direction change part 333 rotates, the direction change part
  • the pivoting protrusion 333c of 333 presses the latch bar 246 of the trolley 200.
  • the latch bar 246 of the trolley 200 As the latch bar 246 of the trolley 200 is pressed, the latch bar 246 is lowered, and the trolley fixing latch 245 of the latch bar 246 is lowered, and the trolley fixing hook 120a of the washing space 121 ) And the fastening state are separated, and the fixed state of the trolley 200 is released.
  • the user can withdraw the trolley 200 by pulling the first storage unit 30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olley 200 is withdrawn while the outer handle 331a of the first storage unit 300 is attached.
  • the first storage unit 300 it is kept fixed to the trolley 200 by the storage unit locking device 347, and the first storage unit 300 is not withdrawn from the trolley 200 and the trolley (200) itself can be withdrawn.
  • FIG. 21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storage part 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2 is a side view showing a pull-out structure of the first storage part 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3 is a view It is a simplified diagram showing the withdrawal of the first storage unit 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storage unit 300 needs to be drawn out to the front of the trolley 200 to store relatively small dishes with respect to the trolley 200 while the trolley 200 is fixed to the washing space 121 There is.
  • the trolley 200 maintains a fixed state in the washing space 121, and the first storage unit 300 is seated on the first seating portion 247 of the trolley 200, and the in/out is restricted and fixed. Maintain the state.
  • the user uses one hand to move the first storage unit 300 from the trolley 200 inserted into the washing space 121 of the main body 100.
  • a receiving unit releasing device 330 for releasing a fixed state of the first storing unit 300 is provided in order to withdraw.
  • the storage unit release device 330 is located in the front center of the first storage unit 300, that is, between a pair of trolley withdrawal levers 331, and the first storage unit 300 with respect to the trolley 200
  • the receiving unit withdrawal levers 345 mounted by the user in order to withdraw the storage unit, extending along both side walls of the outer frame 320 from both sides of the receiving unit withdrawal levers, and moving in conjunction with the receiving unit withdrawal levers 345
  • the payment interlocking bar 346 and the storage interlocking bar 346 are provided to b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middle part,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nterlocking bar 346 of the accommodating part is switched to release the fixed state of the first storage unit 300 And a receiving portion locking portion (347).
  • the storage unit withdrawal lever 345 has a central handle 345a positioned between the trolley withdrawal levers 331 provid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storage unit 300 and the first storage unit 300 It is provided to slide in the in/out direction of the.
  • the central handle 345a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storage unit 300 and the trolley withdrawal lever 331 is positioned at the left/right sides of the central handle 345a.
  • the trolley 200 in the case of the trolley 200, a relatively larger force is required than the withdrawal of the first storage unit 300, and 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storage unit 300 from being withdrawn when the trolley 200 is withdrawn, the trolley 200 ) Is to be withdrawn using both hands, and when the first storage unit 300 is withdrawn, relatively less force is required than when the trolley 200 is withdrawn, so the first storage unit 300 is moved using one hand. Make it possible to withdraw.
  • extension bars 345b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outer frame 320 of the first storage unit 30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handle 345a, and outer frame 320 at both ends of the extension bar 345b
  • An interlocking bar 346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both sides of the outer frame 320 to the rear of the outer frame 320 is provided.
  • a receiving unit locking unit 347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linking bar 346 to set a locked state of the first receiving unit 300 by being fastened to the lifting support 240 of the trolley 200.
  • each receiving unit linkage bar 346 and the receiving unit locking unit 347 may be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inside both sides of the outer frame 320.
  • one side receiving unit linking bar ( 346) and the receiving part locking part 347 will be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 the above-described storage unit interlocking bar 346 is connected by the central handle 345a and the extension bar 345b so as to move from the inside of the outer frame 320 of the first storage unit 30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entral handle 345a. It is mov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inlet and outlet directions of the first storage unit 300.
  • a plurality of slide protrusions 346a that are connected to the receiving unit locking unit 347 to be slidably connected to the receiving unit locking unit 347 are formed to protrude on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linking bar 346.
  • a storage unit locking unit that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torage unit interlocking bar 346 ( 347) is provided.
  • the receiving part locking part 347 is provided with a lifting plate 347a inside the outer frame 320, and a slide protrusion 346a of the receiving part interlocking bar 346 is inserted inside the lifting plate 347a.
  • An inclined slot 347b is formed.
  • a locking protrusion for restricting or releas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storage unit 300 by being inserted or removed from the platform 240 of the trolley 200 according to the lifting of the lifting plate 347a (347c) is formed.
  • a first fixing groove 247b into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347c of the lifting plate 347a is inserted and separated is further formed in the first seating portion 247 in which the first receiving portion 300 is seated.
  • the inclined slot 347b formed in the lifting plate 347a is inserted into the slide protrusion 346a of the receiving unit linking bar 346, and the lifting plate 347a is mo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ceiving unit linking bar 346 It is formed so that the upper part is inclined rearward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eceiving part interlocking bar 346 so as to be elevated.
  • the lifting plate 347a is raised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347c of the lifting plate 347a becomes the first seating part 247 ) Is separated from the first fixing groove 247b so that the first storage unit 300 is converted into a movable state.
  • the locking protrusion 347c of the elevating plate 347a becomes the first mounting unit 247 It is moved by sliding toward the first fixing groove 247b and the locking protrusion 347c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 247b by the weight of the elevating plate 347a so that the first storage unit 300 cannot be moved.
  • the locking protrusion 347c of the lifting plate 347a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 247b formed in the first seating portion 247 of the trolley 200 according to the moving position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300 And while being separat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oving state of the first storage unit 300.
  • FIG. 24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of inserting and withdrawing a first storage unit in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of FIG. 24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first storage unit 300 is restricted with respect to the trolley 200
  • (b) of FIG. 24 is the first storage unit 300 and the trolley 200 )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 is released.
  • the lifting plate 347a of the storage part locking part 347 is in its own weight.
  • the locking protrusion 347c which is lowered by the lifting plate 347a,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first fixing groove 247b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247 is inserted.
  • the user in order to withdraw the first storage unit 300 from the washing space 121 of the main body 100, as shown in (b) of FIG. 24, the user is located in the front center of the first storage unit 300.
  • the central handle 345a of the receiving part withdrawal lever 345 is mounted with one hand, and the first receiving part 300 is pres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withdrawn.
  • the central handle 345a As the central handle 345a is pressed, the central handle 345a slides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first storage unit 300, and the storage unit extension bar 345b connected to the central handle 345a moves to interlock with the storage unit. The bar is moved to the front side of the first storage unit 300.
  • the slide protrusion 346a of the storage unit interlocking bar 346 contacts the inclined slot 347b of the lifting plate 347a so that the lifting plate 347a is moved upward. It is moved, and the locking protrusion 347c of the lifting plate 347a is separated from the first fixing groove 247b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247, and the first storage unit is converted to a state in which it is possible to withdraw.
  • the trolley 200 it is kept fixed to the washing space 121 by the trolley withdrawal lever 331, and the trolley 200 is not withdrawn from the washing space 121 and the first storage unit 300 ) Itself can be withdrawn.
  • the second and third storage units 400 and 5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5 to 31.
  • the second and third storage units 400 and 500 may be form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nd will be described with the second storage unit 400 as a representative.
  •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storage portion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storage portion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cond storage unit 400 forms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torage unit 400 and sprays the washing water supplied at the same time to the dishes loaded on the second storage unit 400. It is equipped.
  • the second storage unit 400 includes a spray plate 420 in which the washing water sprayed onto the dishes is collected, and a plurality of wires are spaced apart from the top surface of the spray plate 4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space in which dishes are supported and loaded.
  • a second loading frame 410 formed of 411 and extending up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ray plate 420 and forming the outside of the second storage part 400 prevents scattering of washing water after washing dishes. It has a side plate 430.
  • each component in the case of the spray plate 420, the second loading frame 410, and the side plate 430 forming the second storage unit 400, each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y fastened. Therefore, when washing the second storage unit 400, each component can be separated and each component can be individually cleaned.
  • the space forming the interior of the second storage unit 400 may be formed in a watertight state.
  • a separate sealing (not shown) for forming watertight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coupling side of the spray plate 420 or the side plate 43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food waste and washing water remaining on the dishes load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40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400.
  • the second loading frame 410 is mounted on the spray plate 420 to support a plurality of dishes.
  • the second loading frame 410 is provided between a plurality of wires 411 and a plurality of wires 411 arranged side by side in one direction on the top of the spray plate 420 and rotates separately from the wire 411 to stand up.
  • a pin 412 may be provided.
  • a plurality of wires 411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dishes are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wires 411, or a lower portion of the dishes is inserted between the spaces where the plurality of wires 411 are spaced apart. Can be seated upright.
  • the guide pin 412 is provid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rotation shaft pins 413 provi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wires 411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wires 411 It is provided to be rotated by a separate rotation lever 414 provided at the end of the rotation shaft pin 413.
  • the plurality of rotation shaft pins 413 are rotatably supported by a separate wire support 415 and are provided to extend to the top of the wire 411, and the rotation lever 414 is based on the wire support 415 It may be fastened to the rotation shaft pin 413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shaft pin 413.
  • the second loading frame 410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and a detailed name will be omitted. However, if the spray plate 420, the side plate 430, and the second loading frame 410 constituting the second storage part 400 are included, it can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ide plate 430 is provided to extend upwardly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ray plate 420.
  • the side plate 430 form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torage unit 400 so that washing water and food waste sprayed onto the dishes loaded on the second storage frame 410 scatters and flows out of the second storage unit 400. Can be prevented.
  • the side plate 430 is configured to prevent washing water or food waste of the second storage unit 400 from the second storage unit ( 400) or to the outside of the trolley 200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and outflow.
  • the side plate 43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in order to increase the aesthetic effect, and a pair of rear sides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second withdrawal rail (248a) provided in the trolley 200
  • the rail groove 431 may be formed, and a connector groove 432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y connector 427 of the spray plate 420 to be described later is exposed may be formed in the rear central portion.
  • the spray plate 420 forms an inner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torage part 400 and sprays washing water to the dishes stored in the second loading frame 410,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plate 421
  • a lower plate 425 (refer to FIG. 27)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late 421 and sprays washing water to another receiving unit positioned under the second receiving unit is provided.
  • washing water passages 421c and 426b for moving the washing water are formed, and the washing water passages 421c and 426b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421. It may be formed by a flow path 421c and a lower flow path 426b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425.
  • the upper flow path 421c and the lower flow path 426b extend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be moved to the upper spray part 423 of the upper plate 421 and the lower spray part 425a of the lower plate 425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branched.
  • the upper flow path 421c and the lower flow path 426b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hen describing the upper injection part 423 and the lower injection part 425a.
  • the trolley 20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0 at the rear central portion of the spray plate 420, it is connected to a water supply unit (not shown) provided at the rear of the washing space 121 of the main body 100, A water supply connector 427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connector 427 is provided, and on both sides of the water supply connector 427, a discharge unit 428 for draining the washing water falling to the spray plate 420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400 ) May be provided.
  • a water supply connector 427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connector 427 is provided, and on both sides of the water supply connector 427, a discharge unit 428 for draining the washing water falling to the spray plate 420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400 ) May be provided.
  • FIGS. 28 to 29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second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pper plate 42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box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inner surface is a discharge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be moved to the drain groove 422a formed at the rear of the upper plate 421 422 may be formed.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21a and 421b to which a plurality of upper injection parts 423 for spraying washing water are fastened may be formed in the center and outside of the upper plate 421.
  • the through-holes 421a and 421b include a central through-hole 421a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421, and the center through-hole 421a and the upper pl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ased on the central through-hole 421a.
  • An outer through hole 21b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corners of the 421 may be provided.
  • the central through-hole 421a and the outer through-hole 21b may be disposed in various positions and siz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pper plate 421.
  • upper injection parts 423 for spraying washing water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central through hole 421a and the outer through hole 21b, and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installed upper injection part 423.
  • the upper flow path 421c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421 is formed to guide the wa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connector 427 to each of the upper injection units 423 or the lower injection units 425a.
  • the upper flow path 421c guides the water supply connector 427 to the upper injection part 423 provided in the central through hole 421a, and at the same time, a plurality of upper injection parts 423 provided in the outer through hole 21b. Guide washing water with.
  • the upper flow path 421c extends from the central through hole 421a side to the outer through hole 21b so as to guide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connector 427 from the central through hole 421a to the outer through hole 21b.
  • a plurality of flow paths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radiating form.
  • a drain groove 422a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discharge inclined surface 422 of the upper plate 421 to drain the washing water and food waste moving along the discharge inclined surface 422.
  • the drainage groove 422a may be formed as at least one groove located at the rear of the upper plate 421, and may be provided in a pair symmetrical around the water supply connector 427.
  • a lower surface fastening groove 424a into which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late 425 is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late 421 extends along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late 421.
  • the lower plate 425 is fasten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421 to form a moving passage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moves to the upper injection part 423 and the lower injection part 425a, and a water supply connector through which external washing water flows
  • a discharge part 428 is provided through which washing water and food wastes are discharged through 427 and the drain groove 422a of the upper plate 421.
  • the lower plate 425 is formed in a rectangular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421,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plate 425 has a lower surface fastening groove formed on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plate 421 ( An upper fastening protrusion 424b inserted into 424a)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late 425.
  • a protruding surface 426a protruding toward the upper plate 421 and proximat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421 is formed inside the housing portion of the lower plate 425 having the shape of the case, and the protruding surface 426a has an upper
  • the lower flow path 426b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flow path 421c of the plate 421 and guides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connector 427.
  • the lower flow path 426b formed on the protruding surface 426a is at the side of the central through-hole 421a to guide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connector 427 from the central through-hole 421a to the outer through-hole 21b.
  • a plurality of flow paths extending toward the outer through-hole 21b may be formed in a radial shape.
  • a lower through hole 426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rotruding surface 426a of the lower plate 425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central through hole 421a of the upper plate 421, and the lower through hole 426d is 2
  • a lower spraying part 425a for spraying washing water to another receiving part 500 located under the receiving part 400 may be installed.
  • a plurality of flow paths branched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other upper injection unit 423 positioned in the outer through-hole 21b of the upper plate 421 at the positions of the upper injection unit 423 and the lower injection unit 425a Can be formed.
  • FIG. 3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pper injection unit and a lower inj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ize of the upper injection part 423 may var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enter through hole 421a and the outer through hole 21b. It may be formed, and may have the same structure. Therefore, the upper injection part 423 installed in the central through hole 421a and the outer through hole 21b will be described together.
  • the upper injection part 423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xing frame 423b fastened to the central through hole 421a and the outer through hole 21b, and the fixing frame 423b, and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423a and steam A nozzle 423d may be formed and a rotating nozzle part 423c for spraying washing water and steam to dishes loaded in the second storage part 400 may be provided.
  • the fixed frame 423b has a circular through-hole formed so that the rotation nozzle part 423c is rotatably fastened, and a plurality of rotation shaft parts 423e for rotatably fastening the rotation nozzle part 423c at the center thereof are extended. It may be connected and provided by a frame (not shown).
  • the rotating nozzle part 423c is seated and fastened to the rotating shaft part 423e in a state with a predetermined clearance in a state in which separation in the upward direction is prevented.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rotating nozzle unit 423c, the washing water may be sprayed through the spray nozzle 423a as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upper flow path 421c and the lower flow path 426b of the spray plate 420.
  • the rotating nozzle unit 423c maintains a state seated on the rotating shaft unit 423e by its own weight, and whe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he rotating shaft unit 423e is applied by the supply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Washing water can be sprayed in a floating state.
  • a separate bearing member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rotation shaft part 423e in which the rotation nozzle part 423c is installed so that rotation of the rotation nozzle part 423c can be smoothly performed.
  • the spray nozzle 423a formed in the rotating nozzle part 423c it is formed to spray the washing water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one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ng nozzle part 423c is rotated so that the rotating nozzle part 423c can be rotated in one direction. do.
  • the rotating nozzle unit 423c may spray the washing water while being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injection repulsive force of the washing water according to the injection of the washing water.
  •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423a formed in the rotating nozzle unit 423c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injection distances based on the center of the rotating nozzle unit 423c.
  • the washing water sprayed while rotating the rotating nozzle part 423c is formed to have different spraying distances,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to different positions, thereby increasing the washing effect of the dishes.
  • the lower injection part 425a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xing frame 425b fastened to the lower through hole 426d and the fixing frame 425b, and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425d are formed to form the second storage part 400 )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ng nozzle part 425c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other receiving part 500 located under the.
  • the fixed frame 425b has a circular through hole formed so that the rotation nozzle part 425c is rotatably fastened, and a plurality of rotation shaft parts 425e for rotatably fastening the rotation nozzle part 425c at the center are extended. It may be connected and provided by a frame (not shown).
  • the rotation nozzle part 425c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rotation shaft part 425e in a state in which separation in the downward direction is prevented.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rotating nozzle unit 425c, as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upper flow path 421c and the lower flow path 426b of the spray plate 420,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torage unit through the spray nozzle 425d. can do.
  • a separate bearing member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rotation shaft part 425e in which the rotation nozzle part 425c is installed so that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nozzle part 425c can be smoothly performed.
  • the rotating nozzle part 425c is formed to spray the washing water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one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ng nozzle part 425c is rotated so that the rotating nozzle part 425c can be rotated in one direction. do.
  • the rotating nozzle unit 425c may spray the washing water while being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injection repulsive force of the washing water according to the injection of the washing water.
  •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425d formed on the rotating nozzle unit 425c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injection distances based on the center of the rotating nozzle unit 425c.
  • the washing water sprayed while rotating the rotating nozzle unit 425c is formed to have different spraying distances,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to different positions, thereby increasing the washing effect of the dishes.
  • the number and size of the second storage unit 400 may be varied and installed, and various numbers, locations, and sizes Such variations may be possible.
  • FIG. 3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supply part and a discharge part of a second storag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1(a) shows a state before the second storage part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washing space
  • FIG. 31(b)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torage part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washing space.
  • a water supply connector 427 may be provided at the rear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plate 425.
  • the water supply connector 427 is provided to receive the washing water from the upper water supply terminal 121a (see FIG. 31) provided in the washing space, and the water supply connector 427 is connected or separated from the upper water supply terminal 121a. Accordingly, it may be provided to open or close the discharge part 428.
  • the second storage unit 400 or the third storage unit 500 it is provided so as to be inserted and withdrawn from the washing space 121 of the main body 100 while seated on the trolley 200.
  • the washing water for washing dishes in the second and third storage units 400 and 500 is The discharge part 428 must be opened so that the discharge part 428 is drained from the 3 storage parts 400 and 500 to the washing space 121, and the trolley 200 or the second and third storage parts 400 and 500 clean the main body 100
  • the discharge part 428 needs to be closed so that it can remain inside.
  • the discharge part 428 is provided to selectively control the discharge stat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and separation of the water supply connector 427.
  • the water supply connector 427 is connected to the upper water supply terminal 121a provided in the washing space 121 as the trolley 200 or the second storage unit 400 is introduced into the washing space,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water supply terminal 121a ) May be provided with a telescopic connector 427a that is pressed and moved to be inserted into the water supply connector 427.
  • the telescopic connector 427a may form a fastening clearance with the upper water supply end 121a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the trolley 200 and the second storage unit 400, and a predetermined gap with respect to the upper water supply end 121a By exerting an elastic force,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upper water supply terminal 121a can be improved.
  • the telescopic connector 427a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unit 428 as it expands and contracts in contact with the upper water supply end 121a when the trolley 200 and the second storage unit 400 are inserted.
  • the discharge part 428 includes a discharge hole 429 formed at the rear of the lower plate 425 and a discharge door 428a adjacent to the discharge hole 429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hole 429.
  • the discharge door 428a is provided to open the discharge hole 429 as it is hinged and rot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discharge hole 429.
  • the discharge door 428a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eparate spring (not shown)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so that the discharge door 428a can always be rotated in the direction of shielding the discharge hole 429.
  • the discharge hole 429 A drain sealer 428e that contacts and forms watertight may be further provided.
  • one side of the expansion connector 427a is provided with an opening protrusion 427b for rotating the discharge door 428a when the expansion connector 427a contacts the discharge door 428a and moves in contact with the upper water supply end 121a. .
  • the elastic connector 427a of the water supply connector 427 is pressed and moved by the upper water supply terminal 121a, and the elastic connector ( As 427a is moved, the opening protrusion of the elastic connector 427a rotates the discharge door 428a to open the discharge hole 429.
  • the opening protrusion 427b for rotating the discharge door 428a of the discharge unit 428 is moved together, and the discharge door 428a is moved to the discharge hole 429 It is rotated by a spring (not shown) in the shielding direction to shield the discharge hole 429.
  • the telescopic connector 427a is moved, and as the telescopic connector 427a is moved, it is discharged by the opening protrusion 427b of the telescopic connector 427a. As the discharge door 428a of the portion 428 is rotated, the discharge hole 429 is opened.
  • the injection plate 420 form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torage unit 400 and the side plate 430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jection plate 420 ),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of food waste or residual washing water from the dishes load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400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400.
  • the second storage unit 400 is formed in a case shape by the spray plate 420 and the side plate 430, and a second loading frame 410 in which dishes are loaded is positioned inside.
  • the food waste and residual washing water of the tableware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400 by the side plate 430, an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torage unit 400 by the spray plate 420. Leakage can be prevented.
  • the discharge door 428a of the discharge unit 428 provided in the spray plate 420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state in which the trolley 200 is in and withdrawn. Emissions can be blocked.
  • the discharge door 428a of the discharge unit 428 blocks the discharge hole 429, thereby preventing the second storage unit 400 Food waste or residual washing water that has fallen onto the spray plate 420 does not leak from the top of the spray plate 420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storage unit 400.
  • the discharge door 428a of the discharge unit 428 opens the discharge hole 429, so that the second storage unit 400 is Food waste or residual washing water that has fallen to the spray plate 420 is discharged from the top of the spray plate 420 through the discharge hole 429, and the discharged food waste or residual washing water falls into the washing space 121, and is cleaned.
  • Food waste or residual washing water that has fallen into the space 121 is collected into the sump 132 of the apparatus unit 130 through the drain unit 123 provided under the washing space 121.
  • the food waste or residual washing water of the dishes loaded in the first loading part 300 and the second loading part 400 (or the third loading part 500) of the trolley 200 is withdrawn from the trolley 200. Regardless of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food waste or residual washing water from leaking out of the trolley 200 by falling and remaining on the second loading unit 400 or the third loading unit 500.
  •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dishwasher capable of separating a storage unit in which dishes are stored from a washing space in which dishes are washed.
  •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conveniently store and move dishes to be washed in the dishwasher.
  •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convenience to a user by varying the height of loading and unloading dishes when loading or unloading dishes into the dishwasher.
  •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food waste and washing water remaining on the dishes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unit when the trolley is moved by forming the storage unit in which the dishes are loaded in a closed enclosure shape. have.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식기가 적재 및 세척되는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트롤리와, 트롤리가 인출 및 인입되는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트롤리에 적재된 식기가 세척되는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식기 세척기 본체를 구비함으로써, 식기가 세척되는 세척공간과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분리하여 세척될 식기를 보다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식기 세척기에서 세척될 식기를 보다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기의 이동을 및 세척을 위한 트롤리를 구비하여 식기의 이동 편의성 및 세척 성능을 향상시킨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수납된 식기에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세척한 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식기가 수납되는 터브 내부에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사되고, 분사되는 세척수가 식기에 닿아서 식기 표면에 묻어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이 세척되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는 세척수에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를 필터에 의해 걸러내어 사용된 세척수를 다시 재활용할 수 있고, 세척수에 세제를 풀어 공급함으로써, 음식물 찌꺼기가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최근에는 히터에 의해 세척수의 온도를 높이거나, 스팀을 발생시켜 세척 수행의 효율을 높이는 식기 세척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식기 세척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식기의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와, 세척조의 전방에 위치하여 세척조를 개폐하는 도어와, 세척조의 하부에 마련되어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 집수, 순환, 배수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에 의해 공급되는 세척수를 식기로 분사하는 하부/상부/탑 분사부와, 세척조의 내부 하부/상부/탑 분사부 사이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식기의 종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재될 수 있는 제 하부/상부/탑 수납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각 수납부는 각각 하부에 다수의 이동롤러를 구비하고 있으며 세척조의 내측에 구비되는 별도의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인출 및 수납가능하게 마련된다.
한편, 상술한 하부 수납부는 하부 분사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비교적 큰 사이즈의 식기가 안착되며, 상부 수납부는 상부 분사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식기가 안착되고, 탑 수납부는 탑 분사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식기보다 작은 사이즈의 식사 도구(예를 들어 수저, 나이프 등) 및 요리 도구(예를 들어 국자, 거품기 등)가 안착된다.
한편, 사용자가 식기 세척기를 이용하여 식기 등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를 열고 세척조 내부의 수납부 중 하나를 밖으로 인출하고, 인출된 수납부에 식기를 수납하고, 인출된 수납부를 식기 세척기의 세척조 내부로 밀어 넣은 후, 도어를 닫아 식기를 수납한다.
이후, 식기 세척기를 작동시키면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부/하부/탑 분사부로 세척수가 개별 또는 동시 공급되면서 하부/상부/탑 수납부에 적재된 식기의 세척이 진행된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하부/상부/탑 수납부의 경우 각각 가이드 레일에 안착된 상태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인출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각각의 가이드 레일의 경우 세척조의 내부의 측벽에 고정된 상태이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각 수납부의 수직위치 또한 고정된 상태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경우 사용자가 세척을 하고자 하는 식기를 직접 식기 세척기로 이송하여 식기 세척기의 하부/상부/탑 수납부에 개별적으로 수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식기의 사용공간 또는 장소(예를 들어 식탁이 위치하는 공간)가 식기 세척기가 설치되는 위치와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 사용자가 다수의 식기를 개별적으로 식기 세척기로 이송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식기 세척기에 식기를 수납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경우 식기 세척기의 하부/상부/탑 수납부의 수납 높이가 각각 고정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각 수납부의 높이에 따라 허리를 숙여 식기를 하부/상부/탑 수납부에 선택적으로 수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식기 세척기의 경우 하부/상부/탑 수납부의 높이가 고정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단지 식기 세척기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기능만 포함되어 있어 사용자가 하부/상부/탑 수납부에 식기를 수납 및 적재하기 위해서는 허리를 굽혀야 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일반적인 식기 세척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형태의 식기 세척기(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5506호,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가 개발되었다.
특허문헌 1은 푸드 센터의 음식기를 수집하여 세척하는 이동형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허문헌 1의 이동형 식기 세척기는 세척기 본체가 세제를 분사할 수 있는 노즐을 구비하고, 식기 세척기 본체에서 분리될 수 있는 제1 카트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식기 세척기는 푸드 센터와 같은 업소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용 식기 세척기로 사용하기에는 큰 무리가 있다.
즉, 식기 세척기에서 분리되어 식기가 적재되는 제 1카트의 경우 기존의 식기 세척기와 같이 단순 와이어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어 제 1카트에 적재되는 식기에 잔류하는 음식물 찌꺼기 또는 식기의 세척 이후에 식기에 잔류하는 세척수가 제 1카트의 외부로 낙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식기 세척기의 경우 제 1카트가 식기 세척기의 본체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고, 제 1카트의 이동을 위한 바퀴가 식기 세척기의 외부에 위치하게 되어 있어, 식기의 세척시 비산되는 세척수가 식기 세척기의 외부로 누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경우 식기 세척기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가 제 1카트에 구비되어 제 1카트를 식기 세척기에서 인출할 경우 식기 세척기의 세척공간이 노출된 상태로 유지될 수밖에 없는 구조로 시각적으로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식기가 세척되는 세척공간과 분리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기 세척기에서 세척될 식기를 보다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기 세척기에서 세척될 식기를 보다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기 세척기에 식기를 적재하거나 인출할 때 식기의 적재 및 인출 높이를 가변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기가 적재되는 수납부를 밀폐형 함체형상으로 형성하여, 식기의 이동시 식기에 잔류하는 음식물 찌꺼기 및 세척수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식기가 적재 및 세척되는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트롤리와, 트롤리가 인출 및 인입되는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트롤리에 적재된 식기가 세척되는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식기 세척기 본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본체로부터 식기가 적재되는 트롤리를 분리 및 결합할 수 있어 사용자가 트롤리를 이용하여 식기의 운반에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트롤리 자체가 식기가 세척되기 위한 적재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식기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 할 수 있다.
여기서, 식기 세척기의 본체는 외형을 형성하고 전방면이 개방되는 아웃터 케이스와, 아웃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며 전방면이 개방되는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 및 세척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며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가열 및 순환시키는 장치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는 본제와 식기가 적재되는 트롤리가 분리되어 구비됨으로써 본체의 세척공간 및 트롤리의 적재공간의 유지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본체는 트롤리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하여 본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가 구비되며, 도어는 본체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어 세척공간을 개방할 수 있다. 다르게는 도어는 본체의 하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회전되어 세척공간을 개방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어의 경우 도어의 개폐 방향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식기의 인출 및 적개, 트롤리의 인입 및 인출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전방면 또는 상부면에 조작부 및 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어의 전방면 또는 상부면에 조작부 및 표시부가 위치함으로써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부를 사용하거나 및 표시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체에 형성되는 세척공간의 하부에는 세척공간에 위치하는 트롤리에 분사되는 세척수 및 트롤리에 적재된 식기에서 잔류하는 음식물 찌꺼기가 집수 및 배수되는 배수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수부의 하부에는 섬프, 펌프 등이 구비되는 장치부가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배수부는 세척수 및 음식물 찌꺼기가 모일 수 있도록 경사지는 배수 경사면과, 배수 경사면의 가장 하측에 구비되어 배수 경사면에 의해 안내되는 세척수 및 음식물 찌꺼기를 장치부로 안내되는 배수홀과, 배수홀에 구비되어 비교적 큰 음식물 찌꺼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수부의 경우 트롤리에 적재된 식기로 분사되는 세척수 및 식기의 음식물 찌꺼기를 배수함과 동시에 필터링하여 세척수를 재순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세척공간의 하부에는 트롤리가 세척공간에 삽입될 수 있도록 트롤리의 하부가 삽입되는 트롤리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트롤리 삽입공간에 트롤리의 하부가 삽입되어 트롤리에 적재된 식기가 세척공간에 위치 할 수 있다.
한편, 트롤리의 세척공간 인입시 세척공간의 세척수 또는 음식물 찌꺼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트롤리의 인입시 트롤리의 높이를 상승시켜 트롤리가 세척공간의 하부와 접하여 세척공간과의 수밀을 형성하도록 하는 승강레일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트롤리는 지면에 접하는 한쌍의 후방 롤러 및 후방 롤러에 대하여 소정거리 이격되며 지면에 접하는 한쌍의 전방 롤러를 구비하며, 후방 롤러와 전발 롤러를 순차적으로 승강 및 하강을 반복하여 트롤리의 높이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승강 레일은 트롤리의 인입시 전방 롤러에 위치에 대응되는 전방 롤러 안착홈과, 전방 롤러 안착홈의 선단에 형성되며 후방 롤러 및 전방 롤러가 상승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 1상승 경사면과, 전방 롤러 안착홈에 후단에 형성되며 전방 롤러 안착홈을 통과한 후방 롤러를 하강시키는 하강 경사면과, 하강 경사면 후단에 형성되며 후방 롤러를 전방 롤러 안착홈의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제 2상승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후방 롤러는 제 2상승 경사면에 의해 지지되며, 전방 롤러는 전방 롤러 안착홈에 지지되어 트롤리의 놀이가 상승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후방 롤러가 지지되는 제 2상승 경사면에는 전방 롤러가 안착되는 전방 롤러 안착홈과 동일한 높이의 후방 롤러 안착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세척공간의 하부에는 세척공간보다 확장되는 트롤리 씰링단턱이 형성되고, 트롤리의 하부에는 세척공간보다 확장되고 트롤리 씰링단턱보다는 작은 씰링 모서리가 형성되어 트롤리의 상승시 세척공간과 트롤리 사이의 수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씰링 단턱의 하부에는 씰링모서리가 접하여 세척공간의 하부 수밀을 형성하는 트롤리 씰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트롤리는 지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다수의 롤러가 구비되며, 트롤리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한 쌍의 하부 지지대와, 각 하부 지지대에 연결되며, 식기가 적재되는 다수의 수납부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한 쌍의 하부 지지대 사이에 위치하며, 수납부에서 낙하하는 세척수 및 음식물 찌꺼기가 집수되는 집수 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트롤리는 지지대 하부 지지대에 고정되는 고정 지지대와, 고정 지지대에 대하여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수납부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승강 지지대를 구비함으로써, 식기가 적재되는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정 지지대와 승강 지지대 사이에는 고정 지지대에 대하여 승강 지지대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압력을 제공하는 승강 실린더와, 고정 지지대에 대하여 승강 지지대의 승강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승강 고정장치가 마련될 수 있으며, 승강 실린더의 상승압력에 의해 사용자가 보다 쉽게 트롤리의 높이를 조절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트롤리의 높이 조절할 경우 승강 실린더의 상승압력에 의해 보다 쉽게 트롤리의 높이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승강 고정장치에 의해 트롤리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식기를 적재 및 인출하기 위하여 허리를 굽히거나, 쪼그리고 앉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고정 지지대는 일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되며, 승강 고정장치는 걸림홈에 거치되어 승강 지지대의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승강 고정장치는 승강 지지대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레버와, 승강 지지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승강레버의 작동에 따라 이동되는 승강링크와, 승강링크의 이동에 따라 걸림홈에서 이탈되는 이동후크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승강 고정장치의 이동후크는 이동후크는 링크공간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드 돌기가 구비되며, 승강링크는 슬라이드 돌기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며, 승강링크가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동후크가 걸림홈에서 이탕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사 슬롯이 형성되며, 걸림홈은 고정 지지대의 양측면에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승강링크 및 이동후크는 걸림홈에 대응되는 위치로 대칭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체의 세척공간 하부에는 세척공간보다 확장되는 트롤리 씰링단턱이 형성되고, 집수 베이스의 외주면에는 세척공간보다 확장되고 트롤리 씰링단턱보다는 작은 씰링 모서리가 형성된다.
이러한, 트롤리는 세척공간에 삽입될 때 트롤리 씰링단턱의 하부에 씰링 모서리가 접하여 세척공간의 하부 수밀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집수 베이스는 수납부에서 낙하하는 세척수 및 음식물 찌꺼기가 모일 수 있도록 경사지는 집수 경사면과 집수 경사면의 가장 하측에 구비되어 집수 경사면에 의해 안내되는 세척수 및 음식물 찌꺼기를 세척공간의 하부로 배출하는 집수홀이 형성된다.
한편, 트롤리의 하부 지지대는 지지대가 연결되며 후방 롤러가 구비되는 고정 롤러부와, 고정 롤러부에 대하여 신축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방 롤러가 구비되는 신축 롤럭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고정 롤러부 내측에는 트롤리가 세척공간에 인입됨에 따라 신축 롤러부와 고정 롤러부 사이를 축소하고, 트롤리가 세척공간에서 인출됨에 따라 신축 롤러부와 고정 롤러부 사이를 확대하는 신축장치가 구비되어 트롤리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본체에 식기의 세척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트롤리의 인입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트롤리 고정후크를 구비하며, 수납부 중 하나에 트롤리가 세척공간의 트롤리 고정후크에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트롤리 해제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트롤리의 트롤리 고정후크에 거치되어 트롤리의 이동 상태를 제한하는 트롤리 고정렛치가 구비되며, 트롤리 해제장치는 트롤리 고정렛치를 제어하여 트롤리 고정렛치와 트롤리 고정후크의 거치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한편, 트롤리 해제장치는 승강지지대에 승강지지대를 따라 하강 가능하도록 탄성지지되며, 트롤리 고정후크에 거치되는 트롤리 고정렛치가 형성되는 렛치바가 마련되며, 수납부의 전방에 구비되는 트롤리 인출레버와, 트롤리 인출레버에 연동되어 수납부를 따라 이동되는 잠금 해제바와, 잠금 해제바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어 렛치바를 가압하여 크롤리 고정렛치를 트롤리 고정후크에서 이탈시키는 방향 전환부로 구비된다. 이에 렛치바를 가압하며 트롤리 고정렛치에 의한 트롤리 고정후크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수납부 중 하나에 트롤리의 이동과 독립적으로 수납부를 인출하기 위하여 수납부와 트롤리의 고정 상태를 설정하는 수납부 해제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납부 해제장치는 수납부가 트롤리 측으로 인입됨에 따라 수납부를 트롤리에 고정하며, 수납부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트롤리와의 고정이 해제된다.
또한, 수납부 해제장치는 수납부의 인출 방향 전방에 구비되는 수납부 인출레버와, 트롤리 인출레버에 연동되어 수납부의 인출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수납부 연동바와, 수납부의 이동에 따라 수납부의 인입시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수납부를 고정하고, 수납부 연동바의 인출방향 이동에 따라 상승되어 수납부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수납부 잠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수납부 연동바의 일면에는 다수의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수납부 잠금부는 슬라이드 돌기가 삽입되며, 슬라이드 돌기가 이동됨에 따라 승강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 슬롯이 형성되는 승강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트롤리는 수납부가 인출 및 인입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며, 고정홈이 형성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며, 승강 플레이트는 승강됨에 따라 고정홈에 이탈 및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트롤리에는 식기가 적재되는 다수의 수납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다수의 수납부는 각기 다른 식기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상부에 위치하는 제 1수납부의 경우 종지, 수저 등과 비교적 크기가 작은 식기류가 수납되도록 구비되며, 제 2수납부 및 제 3수납부는 제 1수납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식기가 수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 1, 2, 3수납부는 트롤리에 대하여 트롤리의 전방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인출레일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수납부의 경우 트롤리가 본체에서 인출되기 위한 트롤리 인출레버와, 제 1수납부가 트롤리에서 인출되기 위한 수납부 인출레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트롤리 인출레버 및 수납부 인출레버에 의해 사용자가 트롤리 또는 수납부를 선택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한편, 제 2수납부 또는 제 3수납부는 각 수납부의 하부를 형성하고, 내부에 세척수가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면에 세척수가 분사되는 다수의 상부 분사부가 구비되는 분사 플레이트와, 분사 플레이트의 상면에 다수의 와이어로 구비되어 식기가 안착되는 적재 플레이트와, 분사 플레이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측면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수납부 및 제 3수납부는 분사 플레이트 및 측면 플레이트에 의해 상부가 개방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적재되는 식기에 잔류하는 음식물 찌꺼기 및 식기의 세척 후 식기에 잔류하는 세척수가 트롤리의 이동시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사 플레이트는 상부 분사부가 구비되며, 식기를 세척한 세척수가 이동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배출 경사면 및 배출 경사면의 하측에 형성되는 배수홈을 구비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체결되어 세척수가 상부 분사부로 이동되는 유로 및 배수홈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를 분사 플레이트의 외부로 배수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하부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부 플레이트는 상부 분사부가 체결되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과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관통홀로 세척수를 안내하는 다수의 유로가 방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 분사부는 관통홀에 체결되며, 다수의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축부가 형성된 고정 프레임과, 회전축부에 이탈이 방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며 다수의 노즐이 형성되는 회전 노즐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회전 노즐부는 세척수가 공급됨에 따라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부유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 분사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노즐은 회전 노즐부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일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관통홀에 수납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다른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급수단에 연결되는 급수 커넥터는 트롤리 또는 수납부가 세척공간으로 인입시 급수단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되는 신축 커넥터를 구비하며, 배출부는 하부 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하며, 배수홈을 통과한 세척수가 배수되는 배출홀과, 배출홀에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신축 커넥터의 이동에 따라 배출홀을 개폐하는 배출도어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신축 커넥터의 일측에 개방돌기가 구비되며, 배출도어는 신축 커넥터의 이동에 따라 개방돌기에 의해 회전되어 개방되고, 배출도어는 배출홀을 항시 차폐하도록 탄성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 2, 3수납부의 경우 분사 플레이트의 상면에 다수의 와이어로 구비되어 식기가 안착되는 적재 플레이트 및 분사 플레이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측면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측면 플레이드의 경우 적재 플레이트에 적대된 식기를 향하여 분사되는 세척수 및 식기에 남아잇는 음식물 찌꺼기가 수납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따르면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식기가 세척되는 세척공간과 분리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에서 세척될 식기를 보다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에서 세척될 식기를 보다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에 식기를 적재하거나 인출할 때 식기의 적재 및 인출 높이를 가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따르며 식기가 적재되는 수납부를 밀폐형 함체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트롤리의 이동시 식기에 잔류하는 음식물 찌꺼기 및 세척수가 수납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트롤리 인출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 본체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트롤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트롤리와 수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트롤리의 인출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트롤리의 인입시 하부 지지대의 상태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트롤리의 인출시 하부 지지대의 상태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승강 레일과 트롤리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트롤리 인입과정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트롤리의 승강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트롤리의 승강 작동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트롤리 인출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트롤리 인출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트롤리 인출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트롤리 인입 및 인출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제 1수납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제 1수납부의 인출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제 1수납부의 인출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제 1수납부의 인입 및 인출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 2수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 2수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수납부의 분사 플레이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수납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분사부 및 하부 분사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수납부의 급수부 및 배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트롤리 인출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10)는 다수의 식기(미도시)가 적재되며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트롤리(200)와, 상기 트롤리(200)가 인출 및 인입되며 트롤리(200)에 적재된 식기를 세척하는 본체(100)를 구비한다.
여기서, 트롤리(200)는 식기가 적재되는 다수의 수납부(300, 400, 500)를 구비하며, 식기 세척기(10)의 본체(100)가 설치되는 지면을 따라 본체(100)의 세척공간(121)에서 인입출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트롤리(200)에 구비되는 각 수납부(300, 400, 500)의 경우 트롤리(200)의 인입출과 상관없이 트롤리(200)의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트롤리도 각 수납부(300, 400, 500) 인입출과 상관없이 본체(100)의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식기 세척기 본체(100)는 트롤리(200)가 삽입됨과 동시에 트롤리(200)에 적재된 식기가 세척되는 세척공간(121)이 구비되며, 트롤리(200)의 인입 및 인출시 수평방향으로 회동되어 세척공간(121)을 개폐하는 도어(150)가 구비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100)는 트롤리(20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트롤리(200)에 적재된 다수의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체(100)는 식기 세척기(10)의 외형을 형성하는 아웃터 케이스(110)와, 아웃터 케이스(110)의 내측에 설치되며 트롤리(200)가 상비되어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20)를 구비한다.
여기서, 이너 케이스(120)의 하부에는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의 급수/배수/순환을 수행하는 장치부(130)와, 아웃터 케이스(110)와 장치부(130)의 사이 양측에 형성되어 트롤리(2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트롤리 삽입공간(140)이 구비된다.
또한, 아웃터 케이스(110)의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회전되어 트롤리(200)의 인입출 및 식기의 인입출을 위하여 세척공간(121)을 개폐하는 도어(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웃터 케이스(110)는 식기 세척기(10) 본체(100)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커버(111), 측면 및 후면을 형성하는 사이드커버(113) 및 베이스(미도시)를 구비한다.
여기서, 각 커버(111, 113)는 개별적으로 형성되며 본체(100)의 외면을 형성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적어도 일면 이상을 공유하는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120)는 아웃터 케이스(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식기사 세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아웃터 케이스(110)의 내측에 아웃터 케이스(110)에 대하여 소정 간격 이격되어 아웃터 케이스(110)에 고정된다.
또한, 이너 케이스(120)와 아웃터 케이스(110) 사이에는 이너 케이스(120) 및 아웃터 케이스(110)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 프레임(미도시) 및 세척수가 이동되기 위한 별도의 세척수 유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프레임 및 세척수 유로의 경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이너 케이스(120)의 경우 통상적으로 세척공간(121)의 수밀을 형성하기 위하여 전면(즉, 도어(150)에 의해 개방되는 면)이 개방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너 케이스(120)의 경우 세척공간(121)의 수밀을 위하여 일체로 성형 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너 케이스(120)의 상부 및 하부가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너 케이스(120)의 세척공간(121) 하부에는 세척공간(121)에서 식기의 세척시 발생하는 세척수를 회수하여 장치부(130)로 안내하기 위한 배수부(123)가 형성된다. 배수부(123)는 중앙부에 세척수가 장치부(130)로 배출되기 위한 배수홀(125)이 형성된다.
또한, 배수홀(125)이 형성되는 배수부(123)는 배수부(123)로 낙하되는 세척수가 배수홀(125)로 원활히 안내될 수 있도록 배수홀(125) 측으로 경사지는 배수 경사면(123a)이 형성되다.
여기서 배수홀(125)에는 장치부(130)로 배수되는 세척수에 포함된 비교적 큰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별도의 필터(123b, 도 5참고)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이너 케이스(120)에 의해 형성되는 세척공간(121)의 내측면 하부에는 트롤리(200)와의 수밀을 형성하기 위한 트롤리 씰링단턱(127)이 내주면을 따라 연장 합입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트롤리 씰링단턱(127)은 트롤리(200)가 세척공간(121)에 인입됨에 따라 후술할 트롤리(200)의 집수 베이스(210) 모서리가 삽입됨과 동시에 집수 베이스(210)의 모서리 상면이 접하여 수밀을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트롤리(200)의 집수 베이스(210)와 트롤리 씰링단턱(127) 사이의 수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트롤리 씰링단턱(127) 하면에 트롤리 실러(129)(도 25 참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트롤리 실러(129)는 트롤리 씰링단턱(127)의 내측 상면을 따라 연장되어 트롤리(200)의 세척공간 삽입시 트롤리(200) 집수 베이스(210)의 모서리 상면에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트롤리 씰러(129)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너 케이스(120)에 의해 형성되는 세척공간(121)의 내측면 양측에는 트롤리(200)가 세척공간에 인입되었을 때 트롤리(200)의 인입상태를 공정하기 위한 트롤리 고정 후크(120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트롤리 고정 후크(120a)는 후술할 트롤리(200)의 트롤리 고정렛치(245)(도 18 참고)가 거치되어 트롤리(2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으며, 트롤리 고정렛치(245)가 트롤리 고정 후크(120a)에서 이탈됨에 따라 트롤리(200)의 고정을 해제될 수 있다.
장치부(130)는 이너 케이스(1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세척공간(121) 내부에서 순환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너 케이스(120)의 배수부(123)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부(130)는 배수부(123)의 배수홀(125)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집수하여 집수된 세척수를 후술할 제 2, 3수납부(400, 500)의 분사 플레이트(420)(도 26 참고)로 공급하거나, 식기의 세척이 완료되어 섬프에 집수된 세척수를 본체(100) 외부로 배수한다. 장치부(130)에 대해서는 별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트롤리 삽입공간(140)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너 케이스(120)의 하부, 장치부(13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트롤리 삽입공간(140)은 후술할 트롤리(200)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지지대(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장치부(130)의 양측에 각각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각 트롤리 삽입공간(140)은 하부 지지대(220)가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입구측이 소정 폭으로 확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트롤리 삽입공간(140)의 하면에는 트롤리(200)의 삽입에 따라 트롤리(200) 자체의 높이가 소정 높이로 상승될 수 있도록 트롤리(200)를 상승시키는 한 쌍의 승강레일(143)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각 트롤리 삽입공간(140)의 내측단부에는 트롤리(200)가 삽입될 때 트롤리(200)에 구비되는 신축장치(223)(도 9참고)의 연동캠(224)을 가압하는 가압단턱(14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5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에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회동되어 세척공간(121)을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도어(150)는 단순 세척공간(121)을 개방하여 세척공간(121)에 트롤리(200)가 수납되었을 때 트롤리(200)의 수납부를 인출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르게는 세척공간(121)을 개방하여 세척공간(121)에 수납된 트롤리(200)를 인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어(150)는 본체(100)의 일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아웃터 케이스(110)와 이너 케이스(120) 사이에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수평회동 힌지(151)를 구비한다. 여기서,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수평회동 힌지(151) 중 적어도 하나는 도어(15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탄성 힌지(미도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150)를 개폐하기 위해서 별도의 손잡이 홈 또는 손잡이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별도의 손잡이 홈 또는 손잡이가 형성 또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어(150)를 본체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푸쉬-오픈 형태의 도어락(153)이 구비될 있다.
따라서 푸쉬-오픈 형태의 도어락(153)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어(150)가 세척공간(121)을 폐쇄할 때 본체(100)의 세척공간(121) 전면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또한, 도어락(153)은 바람직하게는 수평회동 힌지(151)의 대향되는 측에 위치하며 아웃터 케이스(110)와 이너 케이스(120) 사이에 재제될 수 있다. 또한 도어(150)의 회동측에는 도어락(153)에 삽입되어 고정 지지되는 도어락 후크(155)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150)의 내측면(즉, 본체(100)의 세척공간에 대응되는 일면)에는 수평회동 힌지(151) 및 도어락 후크(155)의 내측으로 세척공간(121)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도어 씰링(150a)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 씰링(150a)은 도어(150)의 푸시-오픈 형태의 도어락(153)을 사용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도어(150)와 본체(100)의 전면 사이의 간격보다 두껍고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어(150)의 폐쇄시에는 본체(100)의 세척공간(121) 전면부를 씰링할 수 있으며, 도어(150)의 개방을 위하여 도어를 가압할 때 푸쉬-오픈 형태의 도어락(153)을 해제할 수 있는 작동 유격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어(150)의 전면 상측과 상면에는 식기 세척기(10)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식기 세척기(1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조작부(157a, 158a) 및 표시부(157b, 158b)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150)의 전면부에는 전면 조작부(157a) 및 전면 표시부(157b)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도어(150)의 상면에는 상면 조작부(158a) 및 상면 표시부(158b)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 조작부(157a) 및 전면 표시부(157b)는 식기 세척기(10)의 조작에 있어 도어(150)가 세척공간을 폐쇄한 상태에서 식기 세척기(10)를 조작하거나 식기 세척기(1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면 조작부(158a) 및 상면 표시부(158b)는 식기 세척기(10)의 조작에 있어 도어(150)가 세척공간을 개방한 상태에서 식기 세척기(10)를 조작하거나 식기 세척기(1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전면 조작부(157a) 및 상면 조작부(158a)는 식기 세척기를 제어하기 위한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푸쉬 버튼 또는 터치 버튼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전면 표시부(157b) 및 상면 표시부(158b) 또한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LED 또는 LCD패널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전면 조작부(157a) 및 전면 표시부(157b)와 전면 조작부(157a) 및 상면 조작부(158a)의 형태는 다양한 실시에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추가적으로, 도어(150)의 내측면, 바람직하게는 도어(150)에 형성되는 도어 씰링(150a)의 내측면으로는 식기 세척기(10)에 의한 식기의 세척 과정에서 필요한 세제 또는 린스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세제공급장치(15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도어(150)의 경우 본체(1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으며, 트롤리(200)의 인입출과 상관없이 항시 본체(100)의 세척공간 전면을 차폐할 수 있다.
즉, 트롤리(200)가 본체(100)에서 인출된 상태에서도 본체(100)의 세척공간(121)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으며, 트롤리(200)가 본체(100)에 인입된 상태에서도 본체(100)의 세척공간(121)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장치부(130)에 대하여 첨부한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 본체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를 형성하는 아웃터 케이스(110)의 내측에는 이너 케이스(120)가 구비되며, 이너 케이스(120)에는 상측에 세척공간(121) 및 하측에 장치부(1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장치부(130)와 이너 케이스(120) 하부 양측에는 상술한 트롤리 삽입공간(140)이 형성된다.
여기서, 세턱공간(121)의 후방 벽면에는 후술할 펌프유닛(133)에 의해 공급 또는 순환되는 세척수가 후술할 제 2, 3수납부(400, 500)에 연결되어 공급하기 위한 상부 급수단(121a)과 하부 급수단(121b)이 형성된다.
한편, 상부 급수단(121a)과 하부 급수단(121b)은 트롤리(200)가 세척공간(121)에 삽입됨에 따라 제 2, 3수납부(400, 500)에 각각 구비되는 급수커넥터(427, 도 31참고)에 삽입되어 제 2, 3수납부(400, 500)로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장치부(130)는 배수부(123)의 하부에 위치하며, 배수부(123)에서 집수되어 유입되는 세척수를 순환, 가열, 배수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장치부(130)는 배수부(123)에서 집수되어 유입되는 세척수가 일시 저장되는 섬프(132)와, 외부 급수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섬프(132)로 공급하는 급수유로(132a)와, 섬프(132)에 공급 또는 회수되는 세척수를 세척공간(121)으로 공급 또는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유로(132c)와, 식기의 세척이 완료되어 섬프(132)로 회수되는 세척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유로(132d)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급수유로(132a)에는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의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급수유로(132a)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급수밸브(132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수유로(132d)에는 식기를 세척하고 섬프(132)로 집되는 세척수를 배수하기위한 배수펌프(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순환유로(132c)에는 섬프(132)로 공급 및 회수되는 세척수를 세척공간(121)으로 공급 및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유닛(13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펌프유닛(133)은 공급되는 세척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35a)가 구비되는 히팅챔버(135)와, 세척수를 공급 및 순화시키기 위한 임팰러(미도시)가 구비되는 펌핑챔버(134)를 구비할 수 있다.
펌핑챔버(134)는 히팅챔버(135)의 상부에 위치하며, 히팅챔버(135)를 통과한 세척수 및 히팅챔버(135)의 히터(135a)에 의해 가열된 세탁수를 소정의 압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펌핑챔버(134)에는 펌핑챔버(134)에서 이동되는 세척수를 세척공간으로 안내하기 위한 순환 급수유로(134a)가 연결된다. 순환 급수유로(134a)에는 세척수가 이동되는 순환 급수유로(134a)를 개폐하거나, 순환 급수유로(134a)를 이동하는 세척수를 상부 급수단(121a) 또는 하부 급수단(121b)으로 선택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순환밸브(134b)를 구비한다.
한편, 순환밸브(134b)와 상부 급수단(121a) 또는 하부 급수단(121b) 사이에는 각각 세척수를 상부 급수단(121a) 또는 하부 급수단(121b)으로 안내하기위한 상부 급수유로(134c) 및 하부 급수유로(134d)가 연결된다.
그리고 히팅챔버(135)는 섬프(132)의 하부에 연결되어 섬프(132)에 저장되는 세척수를 가열한다. 히팅챔버(135)의 상부에는 펌핑챔버(134)가 위치하며 히팅챔버(135)에서 가열된 세척수는 펌핑챔버(134)의 임팰러에 의해 순환 급수유로(134a)로 공급된다.
한편, 히팅챔버(135)의 상측에는 히팅챔버(135)에서 가열된 세척수에서 발생되는 스팀을 세척공간(121)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팀유로(135b)가 연결된다.
여기서, 스팀유로(135b)는 히팅챔버(135)에서 발생되는 스팀을 세척공간(121)에 직접 공급하도록 세척공간(121)에 별도 구비되는 스팀노즐(미도시)에 연결되어 스팀노즐을 통하여 세척공간 내부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스팀유로(135b)는 펌핑챔버(134)에 구비되는 순환 급수유로(134a)에 연결되어 순환 급수유로(134a)에 마련되는 순환밸브(134b)에 의해 상부 급수유로(134c) 또는 하부 급수유로(134d)로의 공급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급수유로(134c) 또는 하부 급수유로(134d)로 공급되는 스팀의 경우 후술할 트롤리(200)의 제 2, 3수납부(400, 500)에 구비되는 분사 플레이트((420), 도 26 참조)에 의해 세척공간(121)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장치부(130)의 경우 급수유로(132a)를 통하여 세척수가 급수됨에 따라 섬프(132)에 일정량의 세척수가 급수되면, 순환유로(132c)에 연결된 펌프유닛(133)측으로 세척수가 이동된다.
여기서, 펌프유닛(133)으로 이동된 세척수는 펌프유닛(133)의 히팅챔버(135)를 통과하여 펌핑챔버(134)의 임팰러에 의해 순환 급수유로(134a)로 공급되거나, 히팅챔버(135)에서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순환 급수유로(134a)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순환 급수유로(134a)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순환밸브(134b)에 의해 상부 급수단(121a) 또는 하부 급수단(121b)으로 세척수를 개별 공급하거나, 순환밸브(134b)에 의해 상부 급수단(121a) 및 하부 급수단(121b)에 동시에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급수단(121a) 및 하부 급수단(121b)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후술할 트롤리(200)의 제 2, 3수납부(400, 500)에 구비되는 분사 플레이트((420), 도 26 참조)에 의해 세척공간(121)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트롤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트롤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트롤리와 수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다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트롤리(20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가 적재되는 다수의 수납부(300, 400, 500)가 안착됨과 동시에 식기가 적재된 다수의 수납부(300, 400, 500)를 본체(100) 외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고, 본체(100)에 세척공간(121)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트롤리(200)는 식기가 세척되기 위하여 식기가 적재되는 다수의 수납부(300, 400, 500)를 구비하며, 트롤리(200)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제 1수납부(300)와, 제 1수납부(300)하부에 위치하는 제 2수납부(400)와, 제 2수납부(400) 하부에 위치하는 제 3수납부(50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수납부(300)의 경우 작은 숟가락, 젓가락, 포크, 나이트 등과 같이 비교적 부피가 작은 식기가 수납되며, 제 2, 3수납부(400, 500)의 경우 대접, 접시 등과 같이 비교적 부피가 큰 식기가 적재될 수 있다.
또한, 제 1, 2, 3수납부(300, 400, 500)의 경우 모두 트롤리(2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 1, 2, 3수납부(300, 400, 500)를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1, 2, 3수납부(300, 400, 500)에 대해서는 트롤리의 설명 이후에 상세히 하도록 한다.
한편, 트롤리(200)는 본체(100)에 형성되는 트롤리 삽입공간(140)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하부 지지대(220)와, 각 하부 지지대(220) 상부에 안착되며 각 수납부(300, 400, 500)에서 발생되는 세탁수를 집수하여 본체(100)의 이너 케이스(120) 하부로 안내하는 집수 베이스(210)와, 집수 베이스(210)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 지지대(230)와, 각 고정 지지대(230)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각 수납부(300, 400, 500)의 높이를 가변하는 승강 지지대(240)를 구비한다.
여기서, 하부 지지대(220), 고정 지지대(230), 승강 지지대(240)는 각각 집수 베이스(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단순화를 위하여 하부 지지대(220), 고정 지지대(230), 승강 지지대(240)의 일측 구조만을 설명하고 타측 구조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집수 베이스(210)는 각 하부 지지대(220)에 의해 지면을 따라 수평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내측 소정부에는 상하부를 관통하는 집수홀(211)이 구비되며, 집수홀(211)의 외주면으로는 집수 베이스(210)로 낙하되는 세척수가 집수홀(211)로 원활히 안내될 수 있도록 집수홀(211) 방향으로 경사지는 집수 경사면(212)이 형성된다.
또한, 집수 베이스(210)의 모서리는 이너 케이스(120)에 형성되는 트롤리 씰링단턱(127)에 양측면 및 후면이 삽입되도록 트롤리 씰링단턱(127)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씰링 모서리(213)가 형성된다.
여기서 씰링 모서리(213)가 형성되는 집수 베이스(210)의 모서리는 이너 케이스(120)에 의해 형성되는 세척공간보다 다소 확장되어 형성되며, 씰링 모서리(213)의 상면은 이너 케이스(120)의 트롤리 씰링단턱(127)에 구비되는 트롤리 실러(129)에 접하여 이너 케이스(120)와 집수 베이스(210) 사이의 수밀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지지대(220)는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수 베이스(210)의 하부 양측에 대칭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각 하부 지지대(220)는 본체(100)에 형성되는 트롤리 삽입공간(140)에 대응되는 위치로 집수 베이스(210)의 하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 지지대(220)는 트롤리(200)가 세척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후방 롤러(222)와 전방 롤러(227)가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하부 지지대(220)는 후방 롤러(222)가 고정되는 고정 롤러부(221)와 전방 롤러(227)가 고정되는 신축 롤러부(226)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고정 롤러부(221)는 집수 베이스(210)의 하면에 고정되며, 신축 롤러부(226)는 고정 롤러부(221)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인출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후방 롤러(222)는 트롤리(200)가 세척공간(121)에 삽입되었을 때 세척공간(121)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고정 롤러부(221)에 구비되며, 전방 롤러(227)는 트롤리(200)가 세척공간(121)에 삽입되었을 때 세척공간(121)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신축 롤러부(226)에 구비된다.
이하, 첨부한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하부 지지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트롤리의 인입시 하부 지지대의 상태를 나타낸 간략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트롤리의 인출시 하부 지지대의 상태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대(220)는 트롤리(200)가 식기 세척기(10)의 본체(100)에서 인출될 때 트롤리(200)를 지지하는 전방롤러(227)와 후방롤러(222) 사이의 간격을 확장하여 트롤리(200)의 지지 상태를 보다 안전하게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하부 지지대(220)는 트롤리(200)의 후방을 지지하는 후방롤러(222)가 구비되는 고정 롤러부(221)와, 고정 롤러부(221)에 대하여 텔레스코프 방식으로 신축되도록 구비되며 트롤리(200)의 전방을 지지하는 전방롤러(227)를 구비하는 신축 롤러부(226)와, 고정 롤러부(221)와 신축 롤러부(226) 사이에 구비되어 트롤리(200)가 본체(100)의 세척공간(121)에 인입됨에 따라 신축 롤러부(226)가 고정 롤러부(221)로 인입되도록 하고, 트롤리(200)가 세척공간(121)에서 인출됨에 따라 신축 롤러부(226)가 고정 롤러부(221)에서 인출되도록 하는 신축장치(223)를 구비한다.
여기서, 고정 롤러부(221)는 하부 지지대(220)의 후방을 형성하며, 전방측이 개구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신축장치(223)가 구비된다. 한편, 고정 롤러부(221)에 구비되는 후방롤러(222)는 트롤리(200)의 수평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갖을 수 있다.
또한 고정 롤러부(221)와 집수 베이스(210) 사이에는 본체(100)의 세척공간(121)에 구비되는 가압단턱(141)이 삽입되는 가압단턱 삽입공간(221a)이 형성된다. 가압단턱 삽입공간(221a)에는 후술할 신축장치(223)의 연동캠(224)의 일부가 노출되며, 트롤리(200)가 세척공간을 삽입될 때 가압단턱(141)이 가압단턱 삽입공간(221a)으로 삽입되면서 가압단턱(141)에 의해 연동캠(224)이 가압되어 회전되어 신축장치(223)가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신축 롤러부(226)는 고정 롤러부(221)의 중공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트롤리가 세척공간에 인입 또는 인출됨에 따라 신축장치(223)의 작동에 의래 고정 롤러부(221)의 중공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후방롤러(222)와 전방롤러(227) 사이의 거리를 이격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신축 롤러부(226)는 고정 롤러부(221)에 형성되는 중공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소정 길이를 갖는 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신축 롤러부(226)에 구비되는 전방롤러(227)의 경우 트롤리(200)의 수평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갖을 수 있다.
여기서, 전방롤러(227) 및 후방롤러(222) 모두가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갖을 수 있으나, 전방롤러(227) 또는 후방롤러(222) 중 하나는 수평방향의 회전이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신축장치(223)는 고정 롤러부(221)의 중공 내부에 위치하며 일측이 고정 롤러부(221)에 고정되고 타측이 신축 롤러부(226)에 고정되는 신축링크부(225)와, 고정 롤러부(221)의 가압단턱 삽입공간(141)에 일부가 노출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가압단턱(141)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회전되어 신축링크부(225)를 작동시키는 연동캠(224)이 구비된다.
또한, 신축장치(223)는 고정 롤러부(221)의 중공 내부에 위치하며 신축링크부(225)의 작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신축 롤러부(226)가 고정 롤러부(221)에 대하여 신축될 때 신축 롤러부(226)의 이동을 안내하는 별도의 신장레일(225b)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신장레일(225b)은 텔레스코프 형식으로 신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신장레일(225b)에는 신축 롤러부(226)가 고정 롤러부(221)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발휘하는 별도의 스프링(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신축 롤러부(226)는 항상 신축장치(223)에 의한 외력이 제거될 경우 고정 롤러부(221)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 상태이다.
한편, 연동캠(224)은 고정 롤러부(221)의 가압단턱 삽입공간(221a)에 인접하여 회전축(224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며 일측에 가압단턱 삽입공간(221a)으로 노출되는 가압돌기(224b)와, 가압돌기(224b)의 대향되는 위치에서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돌기(224c)가 형성된다.
여기서, 신축링크부(225)는 다수의 단위 링크가 서로 반복 교차하여 각 단위 링크가 회전되면서 신축링크부(225) 전체의 길이가 신축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즉, 신축링크부(225)는 다수의 단위링크가 서로 교차되면서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각 단위 링크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신축링크부(225)의 길이가 신축될 수 있다.
이러한 신축링크부(225)의 일측 끝단부의 단위링크의 교차점은 고정 롤러부(221)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며, 타측 끝단부의 단위링크의 교차점은 신축 롤러부(226)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한편, 연동캠(224)의 연결돌기(224c)와 신축링크부(225)의 단위링크 중간 교차점 사이에는 연동캠(224)의 회전력을 신축링크부(225)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링크(224d)가 연결된다. 즉, 연동캠(224)이 회전됨에 따라 연결돌기(224c)에 연결돌기(224c)와 신축링크부(225)를 연결하는 연결링크(224d)가 구비된다. 여기서, 연동캠(224)이 회전됨에 따라 연결돌기(224c)에 의해 연결링크(224d)가 이동되며서 연결링크(224d)가 연결된 단위 링크의 교차부분이 신축링크부(225)의 끝단부에 대하여 이동되면서 신축링크부(225)가 신축된다.
이하, 트롤리(200)의 세척공간(121) 인입 및 인출에 따른 하부 지지대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트롤리(200)가 세척공간에 인입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롤리(200)가 본체(100)의 세척공간(121)에 인입된 경우에는 트롤리(200)가 세척공간(121)에 인입됨에 따라 세척공간(121)에 구비되는 가압단턱(141)이 하부 지지대(220)의 가압단턱 삽입공간(221a)으로 개재되고, 가압단턱(141)에 의해 신축장치(223)의 연동캠(224)에 형성된 가압돌기(224b)가 회전된다.
여기서, 가압돌기(224b)가 회전됨에 따라 연동캠(224)이 같이 회전되고, 연동캠(224)에 형성된 연결돌기(224c)도 같이 회전되면서 연결돌기(224c)에 연결된 연결링크(224d)가 이동된다. 여기서, 연결링크(224d)의 이동방향은 신축링크부(225)의 단위링크들의 교차점의 간격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신축링크부(225)가 수축되어 진다.
이에 신축링크부(225)의 양단에 체결된 고정 롤러부(221)와 신축 롤러부(226) 사이의 거리가 축소되면서 신축 롤러부(226)가 고정 롤러부(221)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신축 롤러부(226)의 전방롤러(227)와 고정 롤러부(221)의 후방롤러(22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면서 트롤리(200)의 인입이 완료된다.
한편, 트롤리(200)가 본체(100)의 세척공간(121)에서 인출되는 상태를 설명하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세척공간(121)에 인입된 트롤리(200)가 인출될 경우에는 트롤리(200)가 세척공간(121)에서 인출됨에 따라 세척공간(121)에 구비되는 가압단턱(141)이 하부 지지대(220)의 가압단턱 삽입공간(221a)에서 이탈되고, 연동캠(224)의 가압돌기(224b)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된다.
여기서, 신축 롤러부와 고정 롤러부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에 의해 신축 롤러부가 고정 롤러부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으며, 연동캠에 가해지던 가압단턱에 의한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신축 롤러부와 고정 롤러부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신축 롤러부의 전방 롤러와 고정 롤러부의 후방 롤러 사이의 거리가 멀어진다.
한편, 신축장치(223)는 트롤리(200)의 인입출을 감지하는 센서, 신축 롤러부를 이동시키는 모터 및 동력전달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신축 롤러부(226) 및 신축장치(223)는 트롤리(200)의 안정성이 확보된다면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체(100)의 트롤리 삽입공간(140)에 구비되는 승강레일(143)과 트롤리(200)의 인입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승강 레일과 트롤리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 본체(100)에 구비되는 트롤리 삽입공간(140)의 하부에는 트롤리(200)의 인입 또는 인출시 트롤리(200)에 구비되는 후방 롤러(222) 및 전방 롤러(227)를 지지하여 트롤리(200)의 전후방 높이를 가변하는 승강레일(143)이 구비된다.
여기서, 트롤리 삽입공간(140)에 구비되는 승강레일(143)은 세척공간의 하부에 대칭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트롤리 삽입공간(140)에 각각 마련되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측 트롤리 삽입공간(140)에 구비되는 일측 승강레일(143)을 대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승강레일(143)은 본체의 세탁공간으로 트롤리(200)가 인입됨에 따라 트롤리(200)의 후방 롤러(222)와 전방 롤러(227)를 순차적으로 상승 및 하강시켜 트롤리(200)의 집수 베이스(210)에 형성된 씰링 모서리(213)가 세척공간(121)에 형성되는 트롤리 씰링 단턱(127)에 접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트롤리(200)가 세척공간으로 인입되었을 경우 식기의 세척시 세척수 또는 음식물 찌꺼기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세척공간(121)과 트롤리(200) 사이의 수밀을 형성하여야 한다. 따라서 트롤리(200)가 세척공간(121)으로 인입될 때 승강레일(143)에 의해 트롤리(200)의 후방과 전방이 순차적으로 상승되어 트롤리(200)의 집수 베이스(210)에 형성된 씰링 모서리(213)가 세척공간(121)의 씰링 단턱(127)에 접하여 수밀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승강레일(143)은 트롤리(200)가 인입되는 방향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제 1상승 경사면(145a), 전방 롤러 안착홈(145b), 하강 경사면(145c) 및 제 2상승 경사면(145d)들이 소정의 각도를 변화시키며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승강레일(143)의 선단에는 제 1상승 경사면(145a)이 형성된다. 제 1상승 경사면(145a)은 트롤리(200)의 세척공간(121) 인입시 트롤리(200)의 후방 롤러(222) 및 전방 롤러(227)가 순차적으로 승강레일(143)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 1상승 경사면(145a)은 후방 롤러(222) 및 전방 롤러(227)가 쉽게 걸쳐져 올라갈 수 있도록 비교적 완만한 경사를 갖는 직선 또는 오목한 곡면을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질수 있다.
한편, 제 1상승 경사면(145a)의 후단에는 전방 롤러 안착홈(145b)이 형성된다. 전방 롤러 안착홈(145b)은 트롤리(200)가 세척공간에 완전히 인입되었을 때 전방 롤러(227)의 하부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트롤리(200)가 세척공간(121)에 완전히 인입되었을 때 전방 롤러(227)의 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전방 롤러 안착홈(145b)의 높이는 트롤리(200)에 형성되는 집수 베이스(210)의 씰링 모서리(213)가 세척공간(121)의 트롤리 씰링 단턱(127)에 완전히 접하지 않는 인접하는 위치까지만 상승되도록 높이가 형성된다.
그리고, 전방 롤러 안착홈(145b)의 후단에는 하강 경사면(145c)이 형성된다. 하강 경사면(145c)은 전방 롤러 안착홈(145b)을 지나온 후방 롤러(222)가 씰링 단턱(127)의 하부에서 원활이 이동될 수 있도록 트롤리(200)의 높이를 낮추어 이동되도록 한다.
즉, 트롤리 씰링 단턱(127)의 하부에는 트롤리(200)의 씰링 모서리(213)와 트롤리 씰링 단턱(127) 사이의 수밀을 형성하기 위한 트롤리 씰러(129)가 구비되며, 트롤리 씰러(129)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트롤리(200)가 승강레일(143)을 따라 이동될 때 트롤리(200)의 씰링 모서리(213)가 씰링 단턱(127)의 트롤리 씰러(129)와의 접촉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트롤리(200)의 이동시에는 씰링 모서리(213)의 높이를 낮출 필요가 있다.
한편, 하강 경사면(145c)의 후단에는 제 2상승 경사면(145d)이 형성된다. 제 2상승 경사면(145d)은 트롤리(200)의 씰링 모서리(213)의 후방을 상승시켜 씰링 모서리(213)의 후방이 씰링 단턱(127)의 트롤리 씰러(129)에 가압되도록 한다.
즉, 제 2상승 경사면(145d)은 트롤리(200)의 후방 롤러(222)가 제 1상승 경사면(145a), 전방 롤러 안착홈(145b) 및 하강 경사면(145c)을 통과한 이후에 후방 롤러(222)의 높이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 2상승 경사면(145d)에 의해 상승되는 후방 롤러(222)의 높이는 전방 롤러 안착홈(145b)에 안착되는 전방 롤러(227)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더 높은 위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상승 경사면(145d)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방 롤러(227)가 전방 롤러 안착홈(145b)에 안착되었을 때 후방 롤러(222)의 위치를 지지하는 후방 롤러 안착홈(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후방 롤러 안착홈과 전방 롤러 안착홈(145b) 사이의 거리는 후방 롤러(222)와 전방 롤러(227)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후방 롤러 안착홈과 전방 롤러 안착홈(145b)의 높이도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후방 롤러 안착홈 또는 전방 롤러 안착홈(145b)은 후방 롤러(222) 또는 전방 롤러(227)의 외주면 곡률에 대응되는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트롤리가 본체의 세척공간으로 인입될 때 승강레일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트롤리 인입과정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여기서, 도 14의 (a)는 트롤리(200)의 하부 지지대(220)가 본체(100)에 인입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4의 (b)는 트롤리(200)의 하부 지지대(220)가 본체(100)의 트롤리 삽입공간(140)에 인입되는 중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4의 (c)는 트롤리(200)의 하부 지지대(220)가 본체(100)의 트롤리 삽입공간(140)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롤리(200)를 본체(100)에 인입하기 위해서는 본체(100)의 도어(150)를 열어 세척공간(121)을 개방한다. 이후, 트롤리(200)의 하부 지지대(220)를 세척공간(121)의 트롤리 삽입공간(140)에 맞추어 트롤리(200)를 세척공간(121)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킨다.
이때 트롤리(200)의 하부 지지대(220)는 트롤리 삽입공간(140)으로 삽입되면서 하부 지지대(220)의 후방 롤러(222)가 먼저 제 1상승 경사면(145a)을 따라 소정의 높이로 상승하면서 이동되고 전방 롤러 안착홈(145b)을 지나 하강 경사면(145c)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후방 롤러(222)가 제 1상승 경사면(145a) 및 전방 롤러 안착홈(145b)을 통과할때 후방 롤러(222) 측의 씰링 모서리(213)는 씰링 단턱(127)의 트롤리 씰러(129)을 압축하면서 일시적으로 접하게 된다. 이후, 후방 롤러(222)가 전방 롤러 안착홈(145b)을 지나 하강 경사면(145c)으로 이동됨에 따라 후방 롤러(222) 측의 씰링 모서리(213)는 트롤리 씰러(129)에서 이격된다.
한편, 도 1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롤러(222)가 하강 경사면(145c)을 따라 제 2상승 경사면(145d)으로 이동될 때에는 트롤리(200)의 씰링 모서리(213)와 씰링 단턱(127)의 트롤리 씰러(129)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트롤리(200)가 본체(100)에 인입되는 과정 중에는 트롤리(200)의 씰링 모서리(213)와 씰링 단턱(127)의 트롤리 씰러(129)는 마찰되지 않는 상태로 트롤리(200)가 이동될 수 있다.
이후, 도 1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롤리(200)의 후방 롤러(222)가 제 2상승 경사면(145d)을 따라 이동한다. 이에 트롤리(200)의 후방 롤러(222)의 높이가 상승하면서 후방 롤러(222) 측의 씰링 모서리(213)가 트롤리 씰러(129)를 압축하면서 상승한다.
한편, 트롤리(200)의 전방 롤러(227)는 지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 1상승 경사면(145a)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제 1상승 경사면(145a)을 지나 전방 롤러 안착홈(145b)에 안착된다. 여기서, 전방 롤러(227)가 제 1상승 경사면(145a)을 지나 전방 롤러 안착홈(145b)에 안착됨에 따라 전방 롤러(227) 측의 씰링 모서리(213)가 씰링 단턱(127)의 트롤리 씰러(129)를 가압하면서 상승한다.
또한, 전방 롤러(227)가 전방 롤러 안착홈(145b)에 안착됨에 따라 전방 롤러(227)가 전방 롤러 안착홈(145b)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며, 트롤리(200)의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승강레일(143)에 의해 상승되어 인입되는 트롤리(200)는 트롤리(200)의 씰링 모서리(213)가 세척공간(121)의 하부에 구비되는 트롤리 씰링 단턱(127)의 트롤리 씰러(129)에 밀착되어 트롤리(200)와 세척공간(121) 사이의 수밀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15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트롤리의 승강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트롤리의 승강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지지대(230) 및 승강 지지대(240)는 집수 베이스(210)의 상부 양측에 대칭 되는 형태로 위치되며, 집수 베이스(210)의 상면에 고정 지지대(230)가 각각 설치되고 각 고정 지지대(230)에는 승강 지지대(240)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대칭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승강 지지대(240)의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제 1, 2, 3수납부(300, 400, 500)가 안착되는 제 1, 2, 3안착부(247, 248, 249)가 각각 대향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트롤리(200)의 고정 지지대(230)와 승강 지지대(240)에는 고정 지지대(230)와 승강 지지대(240) 사이에 구비되어 고정 지지대(230)에 대하여 승강 지지대(240)를 소정의 압력과 탄성력으로 상승되도록 지지하는 승강 실린더(232)와, 고정 지지대(230)에 대하여 승강 지지대(240)를 승강시킴과 동시에 승강된 승강 지지대(24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승강 고정장치(25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고정 지지대(230) 및 승강 지지대(240)는 집수 베이스(210)의 상부 양측에 대칭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승강 실린더(232) 및 승강 고정장치(250) 또한 고정 지지대(230) 및 승강 지지대(240)에 대칭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단순화를 위하여 일측 고정 지지대(230), 승강 지지대(240), 승강 실린더(232) 및 승강 고정장치(250)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승강 지지대(240)는 고정 지지대(230)에 대하여 승강 지지대(240)가 텔레스코프 형태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하부에 고정 지지대(23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승강공간(241)이 형성되며, 승강공간(241)의 전후 방향에는 후술할 승강 고정장치(250)의 승강링크(253)가 이동되는 링크공간(242)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 지지대(230)는 승강 지지대(240)의 승강공간(241)에 삽입되도록 승강공간(24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승강 실린더(232)가 구비되는 중공(234)이 형성된다. 여기서 승강 지지대(240)의 승강공간(241)은 하부가 개방되며, 고정 지지대(230)의 중공(234)은 상부가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승강 실린더(232)는 고정 지지대(230)의 중공(234) 하부와 승강 지지대(240)의 승강공간(241) 상부 사이에 체결되어 고정 지지대(230)와 승강 지지대(240) 사이를 소정의 압력과 탄성력으로 지지하여 고정 지지대(230)에 대하여 승강 지지대(240)가 상승하도록 지지한다.
한편, 고정 지지대(230)의 전후방향에는 후술할 승강 고정장치(250)의 이동후크(254)가 체결되는 상부 걸림홈(231a)과, 하부 걸림홈(231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걸림홈(231a)의 위치는 승강 실린더(232)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 지지대(240)의 상향 위치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걸림홈(231b)의 위치는 승강 지지대(240)의 하향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부 걸림홈(231a)과 하부 걸림홈(231b) 사이에 추가적으로 걸림홈(미도시)을 더 형성할 수 도 있다.
한편, 승강 실린더(232)는 가스가 충전되는 가스식 실린더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스의 압력에 의해 항시 승강 지지대(240)를 상승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며,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승강 실린더(232)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가스가 압축되어 승강 지지대(240)가 하강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승강 실린더(232)는 공지의 기술임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승강 고정장치(250)는 제 1안착부(247) 하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 고정 지지대(230)와 승강 지지대(24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승강레버(251)와, 승강레버(251)에 의해 연동되어 승강 지지대(240)의 링크공간(242)을 따라 이동되는 승강링크(253)와, 승강링크(253)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여 고정 지지대(230)의 상부/하부 걸림에 거치되는 이동후크를 구비한다.
여기서, 승강레버(251)는 승강 지지대(240)의 내측 상부에 회동축(251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승강레버(251)의 일단부는 승강 지지대(24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승강 지지대(240)의 외부로 노출되며, 승강레버(251)의 타단부에는 승강링크(253)가 연결된다.
이러한 승강레버(251)는 사용자에 의해 일단부가 가압됨에 따라 회동축(251a)을 회전축으로 하여 타단부에 연결되는 승강링크(253)를 승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승강링크(253)는 승강 지지대(240)에 형성되는 링크공간(242)을 따라 승강 지지대(240)의 상부에서 고정 지지대(230)의 하부 걸림홈(231b)에 대응되는 위치로 연장된다.
이러한 승강링크(253)는 고정 지지대(230)의 전후 방향에 형성되는 상부/하부 걸림홈(231a, 231b)에 대응되도록 승강 지지대(240)의 전방 및 후방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수직부(253b)와, 수직부(253b)의 상부를 연결함과 동시에 승강레버(251)와 연결되는 수평연결부(253a)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후크(254)는 링크공간(242)에서 상부/하부 걸림홈(231a, 231b)에 선택적으로 삽입 및 이탈 가능하도록 링크공간(242)에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승강링크(253)의 수직부(253b)의 상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부/하부 걸림홈(231a, b231b)에서 이탈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후크(254)는 수직부(253b)에 연결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다수의 슬라이드 돌기(254a)를 구비한다. 한편, 각 수직부(253b)의 하부에는 이동후크(254)의 슬라이드 돌기(254a)가 삽입되는 경사슬롯(253c)이 형성된다.
여기서 경사슬롯(253c)은 수직부(253b)가 상승함에 따라 이동후크(254)가 상부 걸림홈(231a) 또는 하부 걸림홈(231b)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이동후크(254)는 수직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경사슬롯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상부 걸림홈(231a) 또는 하부 걸림홈(231b)에서 이탈 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 16을 참조하여 트롤리의 승강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트롤리의 승강 작동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여기서 도 16 (a)은 트롤리의 승강 지지대사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6 (b)은 트롤리 승강 지지대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 (a) 도시한 바와 같이 트롤리(200)의 높이를 상향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트롤리(200)의 제 1안착부(247) 하부에 위치하는 승강레버(251)를 취부하여 가압하면, 승강레버(251)가 회동축(251a)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승강레버(251)에 승강링크(253)가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승강링크(253)가 상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승강링크(253)의 수직부(253b) 경사슬롯(253c)에 체결된 이동후크(254)의 슬라이드 돌기(254a)는 경사슬롯(253c)을 따라 수평 이동되어 하부 걸림홈(231b)에서 이탈된다.
여기서, 이동후크(254)가 하부 걸림홈(231b)에서 이탈됨에 따라 고정 지지대(230)와 승강 지지대(240) 사이에 구비되는 승강 실린더(232)에 의해 승강 지지대(240)가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승강 지지대(240)가 상승하며, 상승하는 승강 지지대(240)는 도 16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지지대(240)의 이동후크(254)가 고정 지지대(230)의 상부 걸림홈(231a)에 삽입되어 거치되어 승강 지지대(240)의 상승이 고정된다.
한편, 트롤리의 높이를 하향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승강 지지대(240)의 상부를 가압함에 따라 이동후크(246)에 형성된 경사에 의해 이동후크(254)가 상부 걸림홈(231a)을 미끄러지면서 이탈되어 승강 지지대의 고정상태가 해제된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승강 지지대(240)가 고정 지지대(230)에 대하여 하강하게 되고 사용자가 가압하던 압력을 해제하면 이동후크(254)가 하부 걸림홈(231b)에 삽입되어 승강 지지대(240)가 고정된다.
한편, 승강 지지대(240)에는 트롤리(200)가 세척공간에 인입되었을 때 트롤리(200)를 세척공간(121)에 고정하기 위한 후술할 제 1수납부(300)의 트롤리 인출레버(331)(도 18참고)와 연동되어 트롤리(200) 인입 상태를 해제하는 트롤리 고정렛치(245) 및 렛치바(246)가 구비된다.
여기서, 트롤리 고정렛치(245)는 트롤리(200)가 세척공간(121)에 인입되면서 트롤리 고정후크(120a)에 접촉함에 따라 렛치바(246)가 하강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트롤리(200)가 세척공간(121)에 삽입됨에 따라 트롤리 고정렛치(245)와 트롤리 고정후크(120a)가 체결된다.
여기서, 렛치바(246)는 제 1수납부(300)에 구비되는 트롤리 인출레버(331)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어 트롤리 고정렛치(245)를 하강시키고, 하강되는 트롤리 고정렛치(245)는 이너 케이스(120)의 세척공간(121)에 구비되는 트롤리 고정후크(120a)에서 이탈되면서 트롤리(200)의 인입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제 1, 2, 3수납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 1, 2, 3수납부(300, 400, 500)의 경우 트롤리(200)에 구비되는 제 1, 2, 3안착부(247, 248, 249)에 안착되록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제 1수납부(300)는 트롤리(200)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제 1안착부(247)에 안착되고, 제 2수납부(400)는 제 1안착부(247)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안착부(248)에 안착되며, 제 3수납부(500)는 최하부의 제 3안착부(249)에 안착된다.
또한, 제 1수납부는 제 2, 3수납부와 다른 구조로 형성되어 비교적 부피가 작은 식기가 수납될 수 있으며, 제 2, 3수납부(400, 500)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비교적 부피가 큰 식기가 적재될 수 있다.
이하, 제 1수납부(300)에 대하여 도 17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 1수납부(300)는 식기가 적재되도록 교차되는 다수의 와이어에 의해 형성되는 제 1적재 프레임(310)과, 제 1적재 프레임(310)의 외측면을 형성하며 제 1안착부(247)에 안착되는 외곽 프레임(320)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 1수납부(300)에 적재되는 식기에 음식물 찌꺼기 및 잔류 세척수가 있을 경우 식기의 음식물 찌꺼기 및 잔류 세척수는 제 1적재 프레임(310)을 통과하여 제 1수납부(3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수납부(400)에 낙하될 수 있으며, 제 2수납부(400)로 낙하된 음식물 찌꺼기 및 잔류 세척수는 제 2수납부(400)에 잔류하게 된다.
한편 제 1안착부(247)와 외곽 프레임(320) 사이에는 상술한 제 1인출레일(247a)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제 1수납부(300)는 제 1인출레일(247a)에 의해 제 1안착부(247)에 대하여 트롤리(200)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제 1수납부(300)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식기를 수납하기 위하여 트롤리(200)의 전방으로 인출됨과 동시에 세척공간에서 트롤리(200)를 인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즉, 제 1수납부(300)의 경우 트롤리(200)를 세척공간(121)에서 인출할 경우와 제 1수납부(300) 자체가 트롤리(200)에 대하여 인출될 경우에 따라 트롤리(200)와 세척공간(121) 및 트롤리(200)와 제 1수납부(300)의 고정상태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제 1수납부(300)는 트롤리(200)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트롤리(200)가 세척공간에서 인출될 수 있도록 트롤리(200)와 세척공간(121) 사이의 결합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트롤리 인출레버(331)가 구비된다.
또한, 제 1수납부(300)는 트롤리(200)가 세척공간(121)에 고정된 상태에서 트롤리(200)에 대해서 제 1수납부(300)를 인출하기 위하여 트롤리(200)와 제 1수납부(300) 사이의 결합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수납부 인출레버(345)를 구비한다.
먼저, 트롤리(20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 1수납부의 구성을 첨부한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상세히 하도록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트롤리 인출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트롤리 인출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트롤리 인출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수납부(300)는 트롤리(200)가 세척공간(121)에서 인출되기 위한 손잡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 1수납부(300)는 트롤리(2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트롤리(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트롤리(200)가 세척공간(121)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트롤리(200)에 구비되는 트롤리 고정렛치(245)가 세척공간(121)에 구비되는 트롤리 고정후크(129a)에 삽입되어 트롤리(200)의 이동상태가 제한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제 1수납부(300)의 외곽 프레임(320) 전방 양측에는 사용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본체(100)의 세척공간(121)에서 트롤리(200)를 인출하기 위하여 트롤리(20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트롤리 해제장치(330)가 구비된다.
여기서, 트롤리 해제장치(330)는 제 1수납부(300)의 외곽 프레임(320) 전방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사용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제 1수납부(300)를 취부할 수 있는 트롤리 인출레버(331)와, 제 1수납부(300)의 양측에서 외곽 프레임(320)의 양 측벽을 따라 연장되며, 트롤리 인출레버(331)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어 이동되는 잠금 해제바(332)와, 잠금 해제바(332) 단부측에 위치하며 잠금 해제바(332)의 왕복 이동에 따라 잠금 해제바(332)의 수평이동을 수직이동으로 전환하는 방향 전환부(333)를 구비한다.
여기서, 트롤리 인출레버(331)는 제 1수납부(300)의 전방측 좌/우 양측에 사용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취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외측 손잡이(331a)가 회동축(331b)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한 쌍의 외측 손잡이(331a)의 회동측에는 제 1수납부(300)의 외곽 프레임(320) 양측에서 외측 손잡이(331a)로부터 제 1수납부(30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잠금 해제바(332)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제 1수납부(300)의 전방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외측 손잡이(331a)는 한 쌍의 외측 손잡이(331a)를 연결하는 연결바(331b)에 의해 연결되어 한 쌍의 외측 손잡이(331a)가 연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외측 손잡이(331a)가 연결바(331b)에 의해 연동되도록 구비될 경우 사용자가 트롤리(200)를 인출하기 위해서 한 쌍의 외측 손잡이(331a) 중 어느 하나의 외측 손잡이(331a)만을 취부하여도 다른 나머지 하나의 외측 손잡이(331a)가 연동되어 하나의 외측 손잡이(331a)만을 이용하여 트롤리(200)를 인출할 수 있다.
다르게는 한 쌍의 외측 손잡이(331a)가 각각 별도의 회동축(331b)에 의해 개별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외측 손잡이(331a)가 개별적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될 경우 사용자는 트롤리(200)를 인출하기 위하여 항상 한 쌍의 외측 손잡이(331a)를 동시에 취부하여 트롤리(200)를 인출할 수 있다.
한편, 각 외측 손잡이(331a)에는 잠금 해제바(332) 및 방향 전환부(333)가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측 잠근 해제바(332) 및 방향 전환부(333)를 대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잠금 해제바(332)는 제 1수납부(300)의 외곽 프레임(320)의 내부에 제 1수납부(300)의 인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잠금 해제바(332)의 선단에는 외측 손잡이(331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연동홀(332a)이 형성되며, 잠금 해제바(332)의 연동홀(332a)은 외측 손잡이(331a)의 연동축(331c)에 축결합되며, 외측 손잡이(331a)가 회동됨에 따라 외곽 프레임(320)의 내측에서 슬라이드 이동 될 수 있다.
그리고 잠금 해제바(332)의 타측 하부에는 방향 전환부(333)에 치합되는 기어 랙(332b)이 형성된다. 기어 랙(332b)은 잠금 해제바(332)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기어 랙(332b)에 치합되는 방향 전환부(333)를 회전시켜 방향 전환부(333)에 의해 렛치바(246)가 가압되도록 한다.
한편, 외측 손잡이(331a) 또는 잠금 해제바(332)에는 잠금 해제바(332)가 항시 제 1수납부(300)의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잠금 해제바(332)를 제 1수납부(300)의 후방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방향 전환부(333)는 잠금 해제바(332)의 기어 랙(332b) 하부에 위치하며 기어 랙(332b)에 치합되어 회전되도록 중앙부에 회전축(333b)이 구비되며, 기어 랙(332b) 측에는 기어 랙(332b)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부(333a)가 형성되고, 피니언 기어부(333a)의 대향측에는 방향 전환부(333)가 회전됨에 따라 트롤리(200)의 렛치바(246)를 가압하는 회동 돌기부(333c)가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수납부(300)는 트롤리(200)가 본체(100)의 세척공간(121)으로 인입될 때 세척공간(121)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트롤리 고정후크(120a)와 트롤리(200)에 구비되는 렛치바(246)의 트롤리 고정렛치(245)가 거치되어 트롤리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트롤리 해제장치(330)의 트롤리 인출레버(331)를 가압함에 따라 잠금 해제바(332)가 이동되고, 잠금 해제바(332)의 이동에 따라 방향 전환부(333)가 렛치바(246)를 가압하여 렛치바를 하강시키며, 렛치바(246)에 형성된 트롤리 고정렛치(245)가 세척공간의 트롤리 고정후크(129a)에서 이탈되면서 트롤리(200)의 고정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사용자는 트롤리 인출레버(331)를 잡은 상태에서 트롤리(20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당기면 트롤리(200)가 세척공간(121)에서 인출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트롤리 해제장치(330)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트롤리 인입 및 인출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여기서, 도 20의 (a)는 트롤리(200)가 본체(100)의 세척공간(121)에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0의 (b)는 트롤리(200)가 본체(100)에서 인출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롤리(200)가 본체(100)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트롤리(200)의 트롤리 고정렛치(245)와 세척공간(121)의 트롤리 고정후크(120a)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제 1수납부(300)의 트롤리 인출레버(331) 및 잠금 해제바(332)는 별도 구비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잠금 해제바(332)가 제 1수납부(300)의 후방으로 이동되는 상태로 탄성지지되며, 방향 전환부(333)의 회동 돌기부(333c)는 트롤리(200)의 렛치바(246)를 가압하지 않는 상태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트롤리(200)를 본체(100)의 세척공간(121)에서 인출하기 위해서는 도 2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 1수납부(300)의 전방 양측에 위치하는 트롤리 인출레버(331)의 외측 손잡이(331a)를 양손으로 취부하고, 트롤리(20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외측 손잡이(331a)가 가압됨에 따라 외측 손잡이(331a)가 회동축(331b)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외측 손잡이(331a)의 회동측의 연동축(331c)에 체결되는 잠금 해제바(332)가 외측 손잡이(331a)의 회동에 따라 제 1수납부(300)의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잠금 해제바(332)가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잠금 해제바(332)의 기어 랙(332b)에 치합되어 있는 방향 전환부(333)가 회전되고, 방향 전환부(333)가 회전됨에 따라 방향 전환부(333)의 회동 돌기부(333c)가 트롤리(200)의 렛치바(246)를 가압한다.
트롤리(200)의 렛치바(246)가 가압됨에 따라 렛치바(246)가 하강하게 되며, 렛치바(246)의 트롤리 고정렛치(245)가 하강되면서 세척공간(121)의 트롤리 고정후크(120a)와 체결상태가 분리되어 트롤리(200)의 고정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사용자는 제 1수납부(300)의 외측 손잡이(331a)를 취부한 상태에서 제 1수납부(300)를 트롤리(20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당겨 트롤리(200)를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제 1수납부(300)의 경우 수납부 잠금장치(347)에 의해 트롤리(2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트롤리(200)에 대하여 제 1수납부(300)가 인출되지 않으며 트롤리(200) 자체가 인출될 수 있다.
이하, 제 1수납부(30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 1수납부(300)의 구성을 첨부한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상세히 하도록 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제 1수납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제 1수납부의 인출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제 1수납부의 인출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수납부(300)는 트롤리(200)가 세척공간(121)에 고정된 상태에서 트롤리(200)에 대하여 비교적 작은 식기를 수납하기 위하여 트롤리(200)의 전방으로 인출될 필요가 있다.
이때 트롤리(200)는 세척공간(12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 1수납부(300)는 트롤리(200)의 제 1안착부(247)에 안착된 상태서 인입출이 제한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제 1수납부(300)의 외곽 프레임(320) 전방 중앙에는 사용자가 한손을 이용하여 본체(100)의 세척공간(121)에 인입된 트롤리(200)에서 제 1수납부(300)를 인출하기 위하여 제 1수납부(30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수납부 해제장치(3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수납부 해제장치(330)는 제 1수납부(300)의 전방 중앙, 즉 한 쌍의 트롤리 인출레버(331)의 사이에 위치하며, 트롤리(200)에 대하여 제 1수납부(300)를 인출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취부되는 수납부 인출레버(345)와, 수납부 인출레버의 양측에서 외곽 프레임(320)의 양 측벽을 따라 연장되며 수납부 인출레버(345)에 연동되어 이동되는 수납부 연동바(346)와, 수납부 연동바(346) 중간부에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수납부 연동바(346)의 이동방향을 전환하여 제 1수납부(30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수납부 잠금부(347)를 구비한다.
여기서, 수납부 인출레버(345)는 제 1수납부(300)의 전방측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트롤리 인출레버(331)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손잡이(345a)가 제 1수납부(300)의 인입/인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상술한 중앙 손잡이(345a)의 경우 본체(100)의 세척공간(121)에서 트롤리(200)를 인출하기 위한 트롤리 인출레버(331)와는 별도로 분리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중앙 손잡이(345a)를 제 1수납부(300)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하며 트롤리 인출레버(331)를 중앙 손잡이(345a)의 좌/우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즉, 트롤리(200)의 경우 제 1수납부(300)의 인출보다는 상대적으로 큰 힘이 필요하며, 트롤리(200)의 인출시 제 1수납부(300)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트롤리(200)의 인출에는 양손을 이용하여 인출하도록 하며, 제 1수납부(300)의 인출시에는 트롤리(200)의 인출시 보다는 상대적으로 적은 힘이 필요함으로 한손을 이용하여 제 1수납부(300)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중앙 손잡이(345a)의 양측으로는 제 1수납부(300)의 외곽 프레임(320) 양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바(345b)가 구비되며, 연장바(345b)의 양단에는 외곽 프레임(320)의 양측 내부에서 외곽 프레임(32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납부 연동바(346)가 구비된다.
또한, 수납부 연동바(346)의 일면에는 트롤리(200)의 승강 지지대(240)에 체결되어 제 1수납부(300)의 잠금 상태를 설정하는 수납부 잠금부(347)가 구비된다.
한편, 각 수납부 연동바(346) 및 수납부 잠금부(347)는 외곽 프레임(320)의 양측 내부에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측 수납부 연동바(346) 및 수납부 잠금부(347)를 대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수납부 연동바(346)는 중앙 손잡이(345a)와 연장바(345b)에 의해 연결되어 중앙 손잡이(345a)의 이동에 따라 제 1수납부(300)의 외곽 프레임(320)의 내측에서 제 1수납부(300)의 인입 및 인출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수납부 연동바(346)의 일면에는 수납부 잠금부(347)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수의 슬라이드 돌기(346a)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수납부(300)의 외곽 프레임(3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수납부 연동바(346)의 하부에는 수납부 연동바(346)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수납부 잠금부(347)가 구비된다.
한편, 수납부 잠금부(347)는 외곽 프레임(320)의 내부에서 승강 플레이트(347a)가 구비되며, 승강 플레이트(347a)의 내측에는 수납부 연동바(346)의 슬라이드 돌기(346a)가 삽입되는 경사 슬롯(347b)이 형성된다.
여기서, 승강 플레이트(347a)의 하부에는 승강 플레이트(347a)의 승강에 따라 트롤리(200)의 승장 지지대(240)에 삽입 또는 이탈되어 제 1수납부(300)의 이동을 제한 또는 해제하는 걸림돌기(347c)가 형성된다.
또한, 제 1수납부(300)가 안착되는 제 1안착부(247)에는 승강 플레이트(347a)의 걸림돌기(347c)가 삽입 및 이탈되는 제 1고정홈(247b)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승강 플레이트(347a)에 형성되는 경사 슬롯(347b)은 수납부 연동바(346)의 슬라이드 돌기(346a)가 삽입되며, 수납부 연동바(346)의 이동에 따라 승강 플레이트(347a)가 승강되도록 수납부 연동바(346)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부가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수납부 연동바(346)가 제 1수납부(30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는 승강 플레이트(347a)가 상승되어 승강 플레이트(347a)의 걸림돌기(347c)가 제 1안착부(247)의 제 1고정홈(247b)에서 이탈되어 제 1수납부(300)가 이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제 1수납부(300)를 인입할 경우에는 제 1수납부(300)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이동됨에 따라 승강 플레이트(347a)의 걸림돌기(347c)가 제 1안착부(247)의 제 1고정홈(247b) 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되며 승강 플레이트(347a)의 자중에 의해 걸림돌기(347c)가 제 1고정홈(247b)에 삽입되어 제 1수납부(300)의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즉, 승강 플레이트(347a)의 걸림돌기(347c)는 트롤리(200)의 제 1안착부(247)에 형성되는 제 1고정홈(247b)에 제 1수납부(300)의 이동위치에 따라 삽입 및 이탈되면서 제 1수납부(300)의 이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제 1수납부의 수납부 해제장치(340)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제 1수납부의 인입 및 인출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여기서, 도 24의 (a)는 제 1수납부(300)가 트롤리(200)에 대하여 이동이 제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4의 (b)는 제 1수납부(300)가 트롤리(200)에 대하여 이동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수납부(300)가 본체(100)의 세척공간(121)으로 인입된 상태에서는 수납부 잠금부(347)의 승강 플레이트(347a)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승강 플레이트(347a)에 형성된 걸림돌기(347c)가 제 1안착부(247)의 제 1고정홈(247b)이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제 1수납부(300)를 본체(100)의 세척공간(121)에서 인출하기 위해서는 도 2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 1수납부(300)의 전방 중앙에 위치하는 수납부 인출레버(345)의 중앙 손잡이(345a)를 한손으로 취부하고, 제 1수납부(30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중앙 손잡이(345a)가 가압됨에 따라 중앙 손잡이(345a)가 제 1수납부(300)의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중앙 손잡이(345a)에 연결된 수납부 연장바(345b)가 이동되면서 수납부 연동바가 제 1수납부(300)의 전방측으로 이동된다.
한편, 수납부 연동바(346)가 이동됨에 따라 수납부 연동바(346)의 슬라이드 돌기(346a)가 승강 플레이트(347a)의 경사슬롯(347b)에 접촉하여 승강 플레이트(347a)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며, 승강 플레이트(347a)의 걸림돌기(347c)가 제 1안착부(247)의 제 1고정홈(247b)에서 이탈되어 제 1수납부가 인출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트롤리(200)의 경우 트롤리 인출레버(331)에 의해 세척공간(12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세척공간(121)에 대하여 트롤리(200)가 인출되지 않으며 제 1수납부(300) 자체가 인출될 수 있다.
이하, 제 2, 3수납부(400, 500)에 대하여 첨부한 도 25 내지 도 31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 2, 3수납부(400, 500)의 경우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수납부(400)를 대표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 2수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 2수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5 내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수납부(400)는 제 2수납부(400)의 하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공급되는 세척수를 제 2수납부(400)에 적재된 식기로 분사하도록 구비된다.
제 2수납부(400)는 식기로 분사된 세척수가 집수되는 분사 플레이트(420)와, 분사 플레이트(420)의 상면에 대하여 소정 간격 이격되어 식기가 지지되어 적재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와이어(411)로 형성되는 제 2적재 프레임(410)과, 분사 플레이트(420)의 외주면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2수납부(400)의 외측을 형성하여 식기를 세척한 세척수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측면 플레이트(430)를 구비한다.
한편, 제 2수납부(400)를 형성하는 분사 플레이트(420), 제 2적재 프레임(410), 측면플레이트(430)의 경우 각각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수납부(400)의 세척시 각 구성부를 분리하여 각 구성부를 개별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제 2수납부(400)를 형성하는 분사 플레이트(420), 측면플레이트(430)의 경우 체결되었을 때 제 2수납부(400)의 내부를 형성하는 공간이 수밀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수납부(400)의 수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분사 플레이트(420) 또는 측면플레이트(430) 결합측에는 수밀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씰링(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수납부(400)에 적재되는 식기에 잔류하는 음식물 찌꺼기 및 세척수가 제 2수납부(40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적재 프레임(410)은 분사 플레이트(420)의 상부에 안착되어 다수의 식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제 2적재 프레임(410)은 분사 플레이트(420)의 상부에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와이어(411)와 다수의 와이어(411) 사이에 구비되어 와이어(411)와 별도로 회동되어 기립하는 가이드핀(412)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와이어(411)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다수의 와이어(411) 상측에 식기가 안착되거나, 다수의 와이어(411)가 이격되는 공간에 사이에 식기의 하부가 삽입되어 식기가 기립된 상태로 안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핀(412)은 다수의 와이어(411)의 배열방향에 직교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회전축핀(413)에 다수의 와이어(411)의 배열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다수개가 연결되어 구비되며, 회전축핀(413)의 단부에 구비되는 별도의 회동레버(414)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다수의 회전축 핀(413)은 별도의 와이어 지지대(41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와이어(411)의 상부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회동 레버(414)는 와이어 지지대(415)를 기준으로 회전축 핀(413)의 반대편의 위치에서 회전축 핀(413)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회동 레버(414)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축 핀(413)이 회전되면서 회전축 핀(413)에 연결된 다수의 가이드 핀(412)이 와이어(411)에 대하여 기립되면서 식기의 지지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적재 프레임(410)의 경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상세한 성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하지만 제 2수납부(400)를 구성하는 분사 플레이트(420), 측면 플레이트(430), 제 2적재 프레임(410)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측면 플레이트(430)는 분사 플레이트(420)의 외주면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측면 플레이트(430)는 제 2수납부(400)의 외주면을 형성하여 제 2적재 프레임(410)에 적재된 식기로 분사되는 세척수 및 음식물 찌꺼기가 제 2수납부(400)의 외부로 비산 및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플레이트(430)는 제 2수납부(400)가 트롤리(200)에 안착되어 트롤리(200)와 함께 이동될 때 제 2수납부(400)의 세척수 또는 음식물 찌꺼기가 제 2수납부(400) 또는 트롤리(200)의 외부로 낙하 및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측면 플레이트(430)는 심미적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투명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방 양측에는 트롤리(200)에 구비되는 제 2인출레일(248a)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한 쌍의 레일 홈(431)이 형성되며, 후방 중앙부에는 후술할 분사 플레이트(420)의 급수 커넥터(427)가 노출되는 커넥터 홈(432)이 형성될 수 있다.
분사 플레이트(420)는 제 2수납부(400)의 내측 상면을 형성하며 제 2적재 프레임(410)에 수납된 식기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플레이트(421)와, 상부 플레이트(42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부 플레이트(421) 하부에 위치하며 제 2수납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다른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플레이트(425, 도 27 참고)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부 플레이트(421)와 하부 플레이트(425) 사이에는 세척수가 이동되기 위한 세척수 유로(421c, 426b)가 형성되며, 세척수 유로(421c, 426b)는 상부 플레이트(421)의 하면에 형성되는 상부 유로(421c)와, 하부 플레이트(425) 상면에 형성되는 하부 유로(426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유로(421c) 및 하부 유로(426b)는 후술할 상부 플레이트(421)의 상부 분사부(423) 및 하부 플레이트(425)의 하부 분사부(425a)로 세척수가 이동될 수 있도록 연장 및 분지 될 수 있다. 상부 유로(421c) 및 하부 유로(426b)에 대해서는 상부 분사부(423) 및 하부 분사부(425a)의 설명시 상세히 하도록 한다.
또한, 분사 플레이트(420)의 후방 중앙부에는 트롤리(200)가 본체(100)에 삽입됨에 따라 본체(100)의 세척공간(121) 후면에 구비되는 급수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유로 공간(426)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 커넥터(427)가 구비되며, 급수 커넥터(427)의 양측에는 분사 플레이트(420)로 낙하하는 세척수를 제 2수납부(400)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출부(428)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 27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분사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수납부의 분사 플레이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8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수납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421)는 소정 크기의 사각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면은 상부 플레이트(421)의 후방에 형성되는 배수홈(422a)으로 세척수가 이동될 수 있도록 배출 경사면(4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421)의 중앙 및 외측으로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상부 분사부(423)가 체결되는 다수의 관통홀(421a, 421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홀(421a, 421b)은 상부 플레이트(421)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중앙 관통홀(421a)과, 중앙 관통홀(421a)을 기준으로 전후좌우 방향 및 중앙 관통홀(421a)과 상부 플레이트(421)의 모서리 사이의 공간에 각각 형성되는 외곽 관통홀(21b)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중앙 관통홀(421a) 및 외곽 관통홀(21b)은 상부 플레이트(421)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위치 및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중앙 관통홀(421a) 및 외곽 관통홀(21b)에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부(423)가 각각 설치되며, 설치되는 상부 분사부(423)의 크기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 플레이트(421)의 하면에 형성되는 상부 유로(421c)는 급수 커넥터(427)를 통하여 공급되는 세척수를 각 상부 분사부(423) 또는 하부 분사부(425a)로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유로(421c)는 급수 커넥터(427)에서 중앙 관통홀(421a)에 구비되는 상부 분사부(423)로 안내함과 동시에 외곽 관통홀(21b)에 구비되는 다수의 상부 분사부(423)로 세척수를 안내한다.
여기서, 상부 유로(421c)는 급수 커넥터(427)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중앙 관통홀(421a)에서 외곽 관통홀(21b)로 안내하도록 중앙 관통홀(421a) 측에서 외곽 관통홀(21b) 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유로가 방사되는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421)의 배출 경사면(422) 후방측에는 배출 경사면(422)을 따라 이동되는 세척수 및 음식물 찌꺼기가 배수되기 위한 배수홈(422a)이 형성된다.
여기서 배수홈(422a)은 상부 플레이트(421)의 후방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급수 커넥터(427)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421)의 하면 외주면에는 하부 플레이트(425)의 외주면 상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하면 체결홈(424a)이 상부 플레이트(421)의 하면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하부 플레이트(425)는 상부 플레이트(421)의 하면에 체결되어 세척수가 상부 분사부(423) 및 하부 분사부(425a)로 이동되는 이동 유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외부의 세척수가 유입되는 급수 커넥터(427) 및 상부 플레이트(421)의 배수홈(422a)을 통하여 배수되는 세척수 및 음식물 찌꺼기가 배출되는 배출부(428)가 구비된다.
한편, 하부 플레이트(425)는 상부 플레이트(421)의 하면 형상에 대응되는 사각 형태의 함체로 형성되며, 하부 플레이트(425)의 외주면에는 상부 플레이트(421)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하면 체결홈(424a)에 삽입되는 상면 체결돌기(424b)가 하부 플레이트(425)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함체 형상의 하부 플레이트(425)의 함체부 내측으로는 상부 플레이트(421) 측으로 돌출되어 상부 플레이트(421)의 하면에 근접하는 돌출면(426a)이 형성되며, 돌출면(426a)에는 상부 플레이트(421)의 상부 유로(421c)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급수 커넥터(427)에서 급수되는 세척수를 안내하는 하부 유로(426b)가 형성된다.
여기서, 돌출면(426a)에 형성되는 하부 유로(426b)는 급수 커넥터(427)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중앙 관통홀(421a)에서 외곽 관통홀(21b)로 안내하도록 중앙 관통홀(421a) 측에서 외곽 관통홀(21b) 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유로가 방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플레이트(425)의 돌출면(426a) 중앙부에는 상부 플레이트(421)의 중앙 관통홀(421a)의 위치에 대응되어 하부 관통홀(426d)이 형성되며, 하부 관통홀(426d)에는 제 2수납부(400)의 하부에 위치하는 다른 수납부(500)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부(425a)가 설치 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유로(426b) 및 상부 유로(421c)의 경우 하부 플레이트(425)에 하부 분사부(425a)가 구비될 경우 급수 커넥터(427)에서 상부 분사부(423) 및 하부 분사부(425a)의 위치로 세척수를 급수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부 분사부(423) 및 하부 분사부(425a)의 위치에서 상부 플레이트(421)의 외곽 관통홀(21b)에 위치하는 다른 상부 분사부(423) 측으로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다수의 분지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부 분사부 및 하부 분사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분사부 및 하부 분사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부 플레이트(421)의 중앙 관통홀(421a) 및 외곽 관통홀(21b)에 구비되는 상부 분사부(423)의 경우 중앙 관통홀(421a) 및 외곽 관통홀(21b)의 크기에 따라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중앙 관통홀(421a) 및 외곽 관통홀(21b)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 분사부(423)에 대해서 같이 설명하도록 한다.
상부 분사부(423)는 중앙 관통홀(421a) 및 외곽 관통홀(21b)에 체결되는 고정 프레임(423b)과, 고정 프레임(423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분사 노즐(423a) 및 스팀 노즐(423d)이 형성되어 제 2수납부(400)에 적재되는 식기에 세척수 및 스팀을 분사하는 회전 노즐부(423c)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프레임(423b)은 회전 노즐부(423c)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회전 노즐부(423c)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기 위한 회전축부(423e)가 다수의 연장프레임(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회전 노즐부(423c)는 회전축부(423e)에 상측 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소정의 유격을 갖는 상태로 안착되어 체결된다. 따라서 회전 노즐부(423c)의 경우 분사 플레이트(420)의 상부 유로(421c) 및 하부 유로(426b)를 통하여 세척수가 공급됨에 따라 분사 노즐(423a)을 통하여 세척수를 분사 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노즐부(423c)는 세척수의 공급이 없을 경우에는 자중에 의해 회전축부(423e)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세척수가 공급될 경우 세척수의 공급 압력에 의해 회전축부(423e)에 대하여 부유 상태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다르게는 회전 노즐부(423c)가 설치되는 회전축부(423e)에는 회전 노즐부(423c)의 회전이 원활히 될 수 있도록 별도의 베어링 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회전 노즐부(423c)에 형성되는 분사 노즐(423a)의 경우 회전 노즐부(423c)가 일방향으로 회전 될 수 있도록 회전 노즐부(423c)가 회전되는 일방향의 반대반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 노즐부(423c)는 세척수의 분사에 따라 세척수의 분사 반발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세척수를 분사 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노즐부(423c)에 형성되는 다수의 분사노즐(423a)은 회전 노즐부(423c)의 중심을 기준으로 각기 다른 분사 거리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회전 노즐부(423c)를 회전시키면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각기 다른 분사 거리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각기 다른 위치로 세척수가 분사되어 식기의 세척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하부 분사부(425a)는 하부 관통홀(426d)에 체결되는 고정 프레임(425b)과, 고정 프레임(425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분사 노즐(425d)이 형성되어 제 2수납부(400)의 하부에 위치하는 다른 수납부(500)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회전 노즐부(425c)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프레임(425b)은 회전 노즐부(425c)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회전 노즐부(425c)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기 위한 회전축부(425e)가 다수의 연장프레임(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회전 노즐부(425c)는 회전축부(425e)에 하측 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따라서 회전 노즐부(425c)의 경우 분사 플레이트(420)의 상부 유로(421c) 및 하부 유로(426b)를 통하여 세척수가 공급됨에 따라 분사 노즐(425d)을 통하여 제 2수납부의 하부로 세척수를 분사 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노즐부(425c)가 설치되는 회전축부(425e)에는 회전 노즐부(425c)의 회전이 원활히 될 수 있도록 별도의 베어링 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회전 노즐부(425c)에 형성되는 분사 노즐(425d)의 경우 회전 노즐부(425c)가 일방향으로 회전 될 수 있도록 회전 노즐부(425c)가 회전되는 일방향의 반대반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 노즐부(425c)는 세척수의 분사에 따라 세척수의 분사 반발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세척수를 분사 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노즐부(425c)에 형성되는 다수의 분사노즐(425d)은 회전 노즐부(425c)의 중심을 기준으로 각기 다른 분사 거리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회전 노즐부(425c)를 회전시키면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각기 다른 분사 거리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각기 다른 위치로 세척수가 분사되어 식기의 세척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부 분사부(423) 및 하부 분사부(425a)의 경우 제 2수납부(400)의 크기, 위치 등에 따라 그 개수 및 크기가 가변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다양한 개수, 위치, 크기 등의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급수부 및 배출부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수납부의 급수부 및 배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31(a)은 제 2수납부가 세척공간에 완전히 인입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31(b)은 제 2수납부가 세척공간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425)의 후방 중앙부에는 급수 커넥터(427)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급수 커넥터(427)는 세척공간에 구비되는 상부 급수단(121a, 도 31 참조)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급수 커넥터(427)가 상부 급수단(121a)에 연결 또는 분리됨에 따라 배출부(428)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 2수납부(400) 또는 제 3수납부(500)의 경우 트롤리(200)에 안착된 상태에서 본체(100)의 세척공간(121)에서 인입 및 인출 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트롤리(200) 또는 제 2, 3수납부(400, 500)가 세척공간(121) 내측에 위치할 경우에는 제 2, 3수납부(400, 500)에서 식기를 세척한 세척수가 제 2, 3수납부(400, 500)에서 세척공간(121)으로 배수되도록 배출부(428)가 개방되어야 하며, 트롤리(200) 또는 제 2, 3수납부(400, 500)가 본체(100)의 세척공간(121)에서 인출되었을 경우에는 제 2수납부(400) 또는 제 3수납부(500)의 잔류하는 세척수가 제 2수납부(400) 또는 제 3수납부(500)의 외부로 배수되지 않고 내측에 잔류할 수 있도록 배출부(428)가 폐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배출부(428)는 급수 커넥터(427)의 연결 및 분리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출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급수 커넥터(427)는 트롤리(200) 또는 제 2수납부(400)가 세척공간으로 인입됨에 따라 세척공간(121)에 구비되는 상부 급수단(121a)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부 급수단(121a)에 의해 가압되어 급수 커넥터(427)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이동되는 신축 커넥터(427a)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신축 커넥터(427a)는 트롤리(200) 및 제 2수납부(400)의 인입에 따른 상부 급수단(121a)과의 체결 유격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부 급수단(121a)에 대하여 소정의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부 급수단(121a)과의 연결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신축 커넥터(427a)는 트롤리(200) 및 제 2수납부(400)의 인입시 상부 급수단(121a)에 접하여 신축됨에 따라 배출부(428)를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배출부(428)는 하부 플레이트(425)의 후방에 형성되는 배출홀(429)과, 배출홀(429)에 인접하여 배출홀(429)을 개폐하는 배출도어(428a)를 구비한다. 여기서, 배출도어(428a)는 배출홀(429)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됨에 따라 배출홀(429)을 개방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배출도어(428a)는 배출도어(428a)가 항시 배출홀(429)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회동 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별도의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한편, 배출도어(428a)에는 배출홀(429)과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배출홀(429)을 향하는 일면에 배출도어(428a)가 배출홀(429)을 차폐할 경우 배출홀(429)에 접하여 수밀을 형성하는 배수씰러(428e)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신축 커넥터(427a)의 일측에는 배출도어(428a)에 접하여 신축 커넥터(427a)가 상부 급수단(121a)에 접하여 이동될 때 배출도어(428a)를 회동시키는 개방돌기(427b)가 구비된다.
따라서 트롤리(200) 및 제 2수납부(400)가 세척공간(121)에 인입되면서 급수 커넥터(427)의 신축 커넥터(427a)가 상부 급수단(121a)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되며, 신축 커넥터(427a)가 이동됨에 따라 신축 커넥터(427a)의 개방 돌기가 배출도어(428a)를 회동시켜 배출홀(429)을 개방한다.
한편, 도 31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롤리(200) 및 제 2수납부(400)가 세척공간에서 인출된 상태에서는 급수 커넥터(427)의 신축 커넥터(427a)에 가해지던 상부 급수단(121a)의 압력이 제거되며, 신축 커넥터(427a)가 초기 위치로 이동된다.
여기서, 신축 커넥터(427a)가 초기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배출부(428)의 배출도어(428a)를 회동시키는 개방돌기(427b)가 같이 이동되며, 배출도어(428a)가 배출홀(429)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회전되어 배출홀(429)을 차폐한다.
한편, 도 31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롤리(200) 및 제 2수납부(400)가 세척공간(121)에 인입됨에 따라 급수 커넥터(427)와 상부 급수단(121a)이 연결되어 세척수가 상부 유로(421c) 및 하부 유로(426b)를 통하여 상부 분사부(423) 및 하부 분사부(425a)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급수 커넥터(427)와 상부 급수단(121a)이 연결됨에 따라 신축 커넥터(427a)가 이동되며, 신축 커넥터(427a)가 이동됨에 따라 신축 커넥터(427a)의 개방돌기(427b)에 의해 배출부(428)의 배출도어(428a)가 회전되면서 배출홀(429)이 개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2수납부(400)의 경우 제 2수납부(400)의 하면을 형성하는 분사 플레이트(420) 및 분사 플레이트(420)의 외주면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측면 플레이트(430)에 의해 제 2수납부(400)에 적재되는 식기의 음식물 찌꺼기 또는 잔류 세척수가 제 2수납부(40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즉, 제 2수납부(400)는 분사 플레이트(420) 및 측면 플레이트(430)에 의해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식기가 적재되는 제 2적재 프레임(410)이 위치한다.
따라서 식기의 음식물 찌꺼기 및 잔류 세척수는 측면 플레이트(430)에 의해 제 2수납부(400) 외곽으로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으며, 분사 플레이트(420)에 의해 제 2수납부(400) 하부로의 누출이 방지 될 수 있다.
또한, 분사 플레이트(420)로 낙하되는 음식물 찌꺼기 또는 잔류 세척수의 경우 분사 플레이트(420)에 구비되는 배출부(428)의 배출도어(428a)에 의해 트롤리(200)의 인입 상태 및 인출 상태에 따라 배출이 차단될 수 있다.
즉, 트롤리(200)가 본체(100)의 세척공간(121)에서 인출되었을 경우에는 배출부(428)의 배출도어(428a)가 배출홀(429)을 차단함으로써 제 2수납부(400)의 분사 플레이트(420)로 낙하된 음식물 찌꺼기 또는 잔류 세척수가 분사 플레이트(420)의 상부에서 제 2수납부(400)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또한, 트롤리(200)가 본체(100)의 세척공간(121)에 인입되었을 경우에는 배출부(428)의 배출도어(428a)가 배출홀(429)을 개방함으로써 제 2수납부(400)의 분사 플레이트(420)로 낙하된 음식물 찌꺼기 또는 잔류 세척수가 분사 플레이트(420)의 상부에서 배출홀(429)을 통하여 배출되며, 배출된 음식물 찌꺼기 또는 잔류 세척수는 세척공간(121)으로 낙하되며, 세척공간(121)으로 낙하된 음식물 찌꺼기 또는 잔류 세척수는 세척공간(121)의 하부에 구비되는 배수부(123)를 통하여 장치부(130)의 섬프(132)로 집수된다.
따라서, 제 2적재부에 적재된 식기의 음식물 찌꺼기 및 잔류 세척수는 트롤리의 인입출에 상관없이 제 2적재부의 내부에 잔류하게 된다. 또한, 제 1적재부(300)에 적재된 식기의 음식물 찌꺼기 및 잔류 세척수의 경우도 제 1적재부(300)에서 제 2적재부(400)로 낙하되어 제 2적재부(400)의 내부에 잔류하게 된다.
즉, 트롤리(200)의 제 1적재부(300) 및 제 2적재부(400)(또는 제 3적재부(500))에 적재된 식기의 음식물 찌꺼기 또는 잔류 세척수들은 트롤리(200)의 인입출과 상관없이 제 2적재부(400) 또는 제 3적재부(500)에 낙하 및 잔류하여 트롤리(200) 외부로 음식물 찌꺼기 또는 잔류 세척수가 누출되는 것을 항시 예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식기가 세척되는 세척공간과 분리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식기 세척기에서 세척될 식기를 보다 편리하게 수납 및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식기 세척기에 식기를 적재하거나 인출할 때 식기의 적재 및 인출 높이를 가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식기가 적재되는 수납부를 밀폐형 함체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트롤리의 이동시 식기에 잔류하는 음식물 찌꺼기 및 세척수가 수납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음.

Claims (41)

  1. 식기가 적재되며, 식기가 적재된 상태에서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다수의 롤러가 구비되는 트롤리와,
    상기 식기의 세척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세척공간의 하부 양측에 상기 트롤리가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트롤리의 하부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트롤리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트롤리 삽입공간 사이에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순환 및 배수하는 장치부가 형성되는 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는 상기 세척공간에 인입됨에 따라 상기 세척공간의 하부에서 상기 세척공간의 수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공간은 상기 세척공간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씰링단턱을 구비하며, 상기 트롤리는 상기 세척공간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씰링단턱에 접하여 수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단턱은 씰러를 구비하며, 상기 트롤리는 상기 세척공간에 인입될 때 상기 씰러를 가압하여 수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단턱은 상기 세척공간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돌출 또는 함입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트롤리는 상기 씰링의 하면을 가압하는 씰링모서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 삽입공간은 상기 트롤리가 상기 세척공간으로 삽입될 때 상기 트롤리를 승강시키는 승강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는 전방 및 후방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레일은 상기 후방롤러와 상기 전방롤러를 순차적으로 승강시켜 상기 후방롤러와 상기 전방롤러를 상기 지면보다 높은 위치로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레일은 상기 트롤리가 상기 세척공간으로 인입됨에 따라, 상기 후방롤러가 상승되는 제 1상승 경사면과, 상기 후방롤러가 하강되는 하강경사면, 상기 전방롤러가 상기 제 1상승경사면을 따라 상승될 때 상기 후방롤러가 상승되는 제 2상승 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상승경사면의 최고점과 상기 제 2상승경사면의 최고점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전방롤러와 상기 후방롤러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는 후방 롤러가 구비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러부에 대하여 신축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방 롤러가 구비되는 신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는 상기 세척공간에 인입 또는 인출됨에 따라 상기 신축부를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신축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공간에는 가압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신축장치는 상기 트롤리가 상기 세척공간에 인입 및 입출됨에 따라 상기 가압단턱에 연동되어 상기 신축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장치는 상기 가압단턱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연동캠과, 상기 연동캠의 회전에 따라 신축되는 신축링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장치는 상기 신축부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공간의 측벽에 고정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트롤리에 상기 트롤리 고정후크에 체결되어 상기 트롤리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트롤리 해제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는 수납부가 구비되며, 상기 트롤리 해제장치는 상기 수납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 해제장치는 상기 수납부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는 트롤리 인출레버와, 상기 트롤리 인출레버에 연동되어 상기 고정후크에 삽입 및 이탈되는 고정렛치가 형성되는 렛치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는 상기 트롤리 인출레버에 연결되는 잠금 해제바와, 상기 잠금 해제바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렛치바를 이동시키는 방향 전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바는 기어 랙이 형성되며, 상기 방향 전환부는 상기 기어 랙에 치합되는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부 및 회전됨에 따라 상기 렛치바를 가압하는 회동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는 수납부가 구비되며, 상기 트롤리에 대하여 상기 수납부의 잠금상태를 설정하는 수납부 해제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인출레버는 상기 수납부의 중앙부에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해제장치는 상기 수납부가 상기 트롤리 측으로 인입됨에 따라 상기 수납부를 상기 트롤리에 고정하고, 상기 수납부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트롤리와의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해제장치는 상기 수납부의 인출 방향 전방에 구비되는 수납부 인출레버와, 상기 인출레버의 이동에 따라 상기 트롤리에 대한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수납부 잠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잠급부는 자중에 의해 상기 수납부를 고정하고, 상기 수납부 인출레버의 이동에 따라 상기 수납부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식기 세척기.
  25.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 인출레버는 상기 수납부의 인출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수납부 잠금부에 연결되는 수납부 연동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식기 세척기.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연동바는 다수의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 잠금부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경사 슬롯이 형성되는 승강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세척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힌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전방면 또는 상부면에 조작부 및 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부 상면에는 상기 세척공간의 세척수가 배수되는 배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는 상기 지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다수의 롤러가 구비되는 하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지지대에 구비되며 상기 세척공간의 하면을 형성하는 집수 베이스와, 상기 집수 베이스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하부 지지대에 고정되는 고정 지지대와, 상기 고정 지지대가 삽입되며 상기 고정 지지대에 대하여 수직 이동되는 승강 지지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대는 상기 승강 지지대를 소정의 압력으로 상승 시키는 승강 실린더와, 상기 승강지지대를 높이를 고정하는 승강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대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 고정장치는 상기 걸림홈에 거치되어 상기 승강 지지대의 높이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고정장치는 상기 승강 지지대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레버와, 상기 승강레버의 작동에 따라 이동되는 승강링크와, 상기 승강링크의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홈에서 이탈되는 이동후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5.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식기가 적재되는 다수의 수납부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수납부가 인출 가능하도록 인출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7.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베이스는 상기 트롤리의 인입시 상기 세척공간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베이스의 외주 모서리는 상기 세척공간의 내주면에 접하여 상기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9.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부 상면에는 상기 세척공간의 세척수가 배수되는 배수부가 구비되며, 상기 집수 베이스는 상기 세척공간의 세척수를 상기 배수부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는 식기가 적재되는 수납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납부는 누수가 방지되는 함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하부를 밀폐하도록 형성되고 세척수가 분사되는 다수의 회전 분사부가 구비되는 분사 플레이트와, 상기 식기가 안착되는 적재 플레이트와, 상기 분사 플레이의 외주면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어 측면을 밀폐하는 측면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PCT/KR2019/018162 2019-03-29 2019-12-20 식기 세척기 WO202020430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36991 2019-03-29
KR10-2019-0036989 2019-03-29
KR20190036990 2019-03-29
KR10-2019-0036985 2019-03-29
KR20190036989 2019-03-29
KR10-2019-0036991 2019-03-29
KR10-2019-0036984 2019-03-29
KR10-2019-0036983 2019-03-29
KR10-2019-0036990 2019-03-29
KR20190036985 2019-03-29
KR20190036984 2019-03-29
KR20190036983 2019-03-29
KR20190048426 2019-04-25
KR20190048427 2019-04-25
KR10-2019-0048427 2019-04-25
KR10-2019-0048426 2019-04-25
KR1020190137475A KR20200115013A (ko) 2019-03-29 2019-10-31 식기 세척기
KR10-2019-0137475 2019-10-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4308A1 true WO2020204308A1 (ko) 2020-10-08

Family

ID=72666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8162 WO2020204308A1 (ko) 2019-03-29 2019-12-20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02043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9014A (zh) * 2021-06-30 2021-10-15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用于清洗机的菜篮及清洗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3123A (ja) * 2004-08-04 2006-02-16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型食器洗浄乾燥機
KR20080011995A (ko) * 2006-08-02 2008-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저 전용 세척기
KR20110050510A (ko) * 2008-08-13 2011-05-13 디버세이, 인크 조정 가능한 청소 카트 및 방법
KR101258242B1 (ko) * 2011-04-04 2013-04-25 주식회사 코퍼스 소파기능을 갖는 신발장
US8919360B1 (en) * 2013-05-14 2014-12-30 Gilbert Frank Ransley Cabinet washer and rack system
KR20170071843A (ko) * 2015-12-16 2017-06-26 주식회사 전한슬라이드 푸쉬 오픈 슬라이드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3123A (ja) * 2004-08-04 2006-02-16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型食器洗浄乾燥機
KR20080011995A (ko) * 2006-08-02 2008-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저 전용 세척기
KR20110050510A (ko) * 2008-08-13 2011-05-13 디버세이, 인크 조정 가능한 청소 카트 및 방법
KR101258242B1 (ko) * 2011-04-04 2013-04-25 주식회사 코퍼스 소파기능을 갖는 신발장
US8919360B1 (en) * 2013-05-14 2014-12-30 Gilbert Frank Ransley Cabinet washer and rack system
KR20170071843A (ko) * 2015-12-16 2017-06-26 주식회사 전한슬라이드 푸쉬 오픈 슬라이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9014A (zh) * 2021-06-30 2021-10-15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用于清洗机的菜篮及清洗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85302A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WO2013085296A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WO2013085294A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WO2013085298A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WO2013085297A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EP3155323A1 (en) Oven
WO2019045318A1 (en) HOUSEHOLD DEVICE
EP3089643A1 (en) Dish washing machine
WO2015102357A1 (en) Dish washing machine
EP3200668A1 (en) Dish washing machine
EP3619384A1 (en) Home appliance
WO2020204308A1 (ko) 식기 세척기
WO2019045210A1 (ko) 식기세척기 및 가전제품
WO2020204311A1 (ko) 식기 세척기
WO2020218878A1 (en) Dishwasher
WO2015102355A1 (en) Dish washing machine
WO2013085301A1 (ko)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WO2023200076A1 (ko) 곡물세척장치
WO2023200077A1 (ko) 곡물세척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4096271A1 (ko) 식기세척기
WO2024096338A1 (ko) 식기세척기
WO2024096407A1 (ko) 식기세척기
WO2024096278A1 (ko) 식기세척기
WO2024096406A1 (ko) 식기세척기
WO2024096337A1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224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224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