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018A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018A
KR20200119018A KR1020190041303A KR20190041303A KR20200119018A KR 20200119018 A KR20200119018 A KR 20200119018A KR 1020190041303 A KR1020190041303 A KR 1020190041303A KR 20190041303 A KR20190041303 A KR 20190041303A KR 20200119018 A KR20200119018 A KR 20200119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ack
steam
unit
spray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준
남보현
박규태
손정규
유선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1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9018A/ko
Priority to PCT/KR2019/017276 priority patent/WO2020122519A1/ko
Publication of KR20200119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6Arrangements for lifting rack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34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Rotary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4Arrangements for changing the height of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04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의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부; 식기가 수납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랙; 상기 제1랙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측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랙과 함께 이동되는 제1분사부; 식기가 수납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랙; 및 상기 제2랙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측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2랙과 함께 이동되는 제2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분사부와 상기 제2분사부 중 어느 하나는 물을 상기 분사 노즐로 안내하는 물관과 스팀을 상기 분사 노즐로 안내하는 스팀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편의성이 개선된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하여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가 세척되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내부에 세척조가 형성되는 터브와, 터브 저면에 장착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섬프 내부에 장착된 세척 펌프의 펌핑 작용에 의해, 세척수가 분사 노즐로 이동되고, 상기 분사노즐로 이동된 세척수는 분사 노즐 단부에 형성된 분사구를 통하여 고압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고압으로 분사되는 세척수가 식기 표면에 부딪혀서, 식기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과 같은 오물이 터브 바닥으로 낙하된다.
또한 기존의 식기세척기는 두 개의 랙 중에 하단에 설치된 랙에 세척을 하는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식기세척기 케이스 하단에 고정되는 노즐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식기 세척기에는 통상적으로 복수 개의 랙이 구비되어서, 각각의 랙에는 식기가 수납된다. 하부에 위치한 랙에 식기를 수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허리를 굽혀야 하는 불편이 있기 때문에, 선행 기술인 US 7,731,805, US 9,004,622에는 하부에 위치한 랙을 상단으로 끌어올리는 구조를 게시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에 의하더라도 하부에 위치한 랙을 끌어올리는 선행 동작이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랙을 끌어올리기 위해서 허리를 숙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특히 하부에 위치한 랙을 끌어올릴 때에 랙에 식기가 일부 수납되어 있으면 무겁기 때문에 사용자가 허리를 굽힌 상태에서 몸에 무리가 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아래쪽에 설치된 랙에 식기를 수납하기 위해서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어서, 식기 수납이 편리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랙의 위치가 변화된 상태에도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랙의 위치가 변화된 상태에서도, 랙에 수납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 공간의 다양한 위치에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해서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높이를 달리하는 두 개의 랙을 포함하고, 각각의 랙은 높이가 변화되어서, 서로 자리를 바꾸도록 배치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랙의 위치가 변화된 상태에도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구성요소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하랙 하단에 모두 탈착식 워터 노즐을 적용함으로써 회전 시에도 동일하게 세척을 수행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하랙 하단에 모두 탈착식 스팀 노즐을 적용함으로써 회전시에도 동일하게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상/하랙 하단에 모두 적용된 스팀 노즐로, 렉의 위치에 상관없이 동일한 스팀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단 랙은 작은 크기의 그릇을, 하단 렉은 큰 크기의 그릇을 로딩하여 세척하는데, 그릇을 수납하는 공간의 크기가 각각 다르다. 한편 랙이 회전되는 동안에도 다른 크기의 공간을 유지하면서 랙의 높이가 변화되는데, 이때 세척 노즐에 급수가 가능해서 세척이 가능하다.
즉 랙이 회전하여 상/하단으로 서로 위치가 바뀌어도, 각각 세척 노즐을 탑재하고 위치가 변경되므로, 세척기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 랙과 하부 랙에는 각각 세척 노즐을 부착하여 각 랙이 회전하여 위치가 변경되어도 세척할 수 있다. 랙이 회전하여 정지하는 장착 위치에 맞는 급수 노즐이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랙이 회전하여 위치가 바뀌어도 급수가 가능하게 급수 노즐이 세 개가 구비된다.
상부 랙과 하부 랙은 상하 회전하여 위치가 반전되어도 세척이 가능하도록 각각 독립된 세척 노즐을 탑재한다. 세척 노즐은 랙과 함께 이동되어서, 랙의 위치가 변화되더라도 랙에 수납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에 위치한 랙을 상측으로 이동시킬 때에 사용자가 하부에 위치한 랙을 잡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허리를 숙일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의 허리에 무리가 가는 행동을 하지 않아서 사용자의 불편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랙의 위치를 변화시킨 상태에서도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다양한 위치에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해서, 수납된 식기에 대한 세척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내부를 설명한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
도 4와 도 5는 두 개의 랙이 위치를 교환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내부를 설명한 도면.
도 7은 제1랙이 제2랙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설명한 도면.
도 8은 제2랙이 제1랙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설명한 도면.
도 9는 랙과 분사부를 설명한 도면.
도 10은 랙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분사부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분사부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13은 분사부의 요부를 설명한 도면.
도 14는 물이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15는 분사 노즐을 설명한 도면.
도 16은 분사 노즐에서 공급되는 물의 궤적을 설명한 도면.
도 17은 분사 노즐의 요부를 설명한 도면.
도 18은 스팀관을 설명한 도면.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과 분사부를 설명한 도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는 식기 세척기의 정면에 세척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10)가 마련되고, 상기 도어(10)의 후방에는 식기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본체(20)가 마련된다.
도 2는 도 1의 내부를 설명한 도면이고, 도 4a는 랙이 이동되는 과정 중에 일부 요부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4a를 참조해서, 도 1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20)의 내부를 설명한다.
식기가 세척되는 세척공간에는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는 제1랙(100)과 상기 제2랙(100)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하는 제2랙(200)이 구비된다.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에는 각각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은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측은 사용자가 식기를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개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20)에는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이 각각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30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300)의 일단에는 상기 제1랙(100)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300)의 타단에는 상기 제2랙(200)이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부(300)가 회전되면,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이 회전되면서 각각의 랙의 높이와 위치가 달라진다.
상기 가이드부(300)는 가이드 회전 중심부(310)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300)는 상기 가이드 회전 중심부(31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가이드 회전 중심부(310)는 상기 본체(200)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회전 중심부(310)에서 상기 제1랙(100)이 상기 가이드부(300)에 설치된 부분까지의 거리는 상기 가이드 회전 중심부(310)에서 상기 제2랙(200)이 상기 가이드부(300)에 설치된 부분까지의 거리는 다르다.
상기 제2랙(200)에는 상기 제1랙(100)보다 큰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서,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작은 식기는 상기 제1랙(100)에 수납하고, 상대적으로 큰 식기는 상기 제2랙(200)에 수납해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랙(200)이 상기 제1랙(100)에 비해서 아래쪽에 위치한 상태(도 2의 상태)에서는 상기 제2랙(200)이 상기 제1랙(100)로부터 떨어진 높이 간격은 상기 제1랙(100)이 상기 본체(200)의 천장에 떨어진 높이 간격에 비해서 크다. 상기 제1랙(100)에 수납가능한 높이 공간과 상기 제2랙(200)에 수납가능한 높이 공간을 다르게 하기 위해서, 상기 가이드부(300)의 상기 회전 중심부(310)를 중심으로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00)에는 상기 본체(20)의 내부 벽을 향해서 돌출된 돌기가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부(300)는 상기 제1랙(100)에 인접하게 마련된 제1돌기(320)와 상기 제2랙(200)에 인접하게 마련된 제2돌기(34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00)의 내측 벽에는 상기 제1돌기(320)와 상기 제2돌기(340)가 삽입되어서, 안내되는 가이드 홈(440, 420)이 형성된 가이드 판(400)이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판(400)은 상기 본체(20)의 좌측 및 우측 벽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홈(440, 420)은 내측으로 함몰되어서, 상기 제1돌기(320)와 상기 제2돌기(340)의 이동 궤적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440, 420)은 상기 제1돌기(320)와 상기 제2돌기(340)이 상기 가이드 홈(440, 420)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가이드 홈(440, 420)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440, 420)은 상기 제1돌기(320)의 이동 궤적이 안내되는 제1가이드 홈(420)와 상기 제2돌기(340)의 이동 궤적이 안내되는 제2가이드 홈(4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가이드 홈(420)과 상기 제2가이드 홈(440)은 상기 가이드 판(400)에 함께 형성되어 있지만, 홈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홈(420, 440)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홈(440, 420)으로 진입한 돌기는 다른 가이드 홈으로 이동될 수 없다.
상기 제1가이드 홈(420)의 전체 궤적은 상기 제2가이드 홈(440)의 궤적보다 커서, 상기 제1가이드 홈(420)의 내부에서 안내되는 상기 제1돌기(320)는 상기 제2가이드 홈(440)의 내부에서 안내되는 상기 제2돌기(320)보다 큰 궤적을 그리면서 상기 가이드 판(400)에서 이동된다.
상기 제1가이드 홈(420)은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1수평 홈(422)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1수직 홈(424)을 포함한다. 상기 제1수직홈(424)를 기준으로 양단에 두 개의 상기 제1수평 홈(422)이 배치된다. 상기 제1돌기(320)가 상기 제1가이드 홈(420)으로 진입하기 위한 개구부는 상기 제1수평 홈(424)에 마련된다. 상기 제1수직 홈(424)은 후방을 향해서 볼록한 곡선 궤적을 이루어서, 상기 제1돌기(320)는 상기 제1수직 홈(424)의 내부에서 곡선 궤적을 이루면서 이동된다.
상기 제2가이드 홈(440)은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수평 홈(442)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수직 홈(444)을 포함한다. 상기 제2수직홈(444)를 기준으로 양단에 두 개의 상기 제2수평 홈(442)이 배치된다. 상기 제2돌기(340)가 상기 제2가이드 홈(440)으로 진입하기 위한 개구부는 상기 제2수평 홈(444)에 마련된다. 상기 제2수직 홈(444)은 후방을 향해서 볼록한 곡선 궤적을 이루어서, 상기 제2돌기(340)는 상기 제2수직 홈(444)의 내부에서 곡선 궤적을 이루면서 이동된다.
상기 제1랙(100)의 하부에는 상기 제1랙(100)이 이동되면 함께 이동되는 제1분사부(700)가 마련된다. 상기 제1분사부(700)는 상기 제1랙(100)을 향해서 상방향으로 물 또는 스팀을 분사해서 상기 제1랙(100)에 수납되어 있는 식기에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랙(200)의 하부에는 상기 제2랙(200)이 이동되면 함께 이동되는 제2분사부(800)가 마련된다. 상기 제2분사부(800)는 상기 제2랙(200)을 향해서 상방향으로 물 또는 스팀을 분사해서 상기 제2랙(200)에 수납되어 있는 식기에 물 또는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본체(200)에는 수평 운동을 안내하는 레일(500)이 구비된다. 상기 레일(500)은 상기 가이드 부(300)의 상기 가이드 회전 중심부(310)를 바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레일(500)을 사이에 두고, 상기 레일(500)을 감싸면서 커버 부재(610)와 수평 구동부(600)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 부재(610)와 상기 수평 구동부(600)는 서로 결합되어서, 상기 레일(500)에서 안내하는 것처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수평 구동부(600)는 상기 가이드부(300)에 결합되어서, 상기 가이드부(3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수평 구동부(600)의 하단에는 상기 수평 구동부(600)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63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 모터(630)는 상기 수평 구동부(600)에 회전력을 제공해서, 상기 구동 모터(630)가 구동되어 회전력이 발생되면, 상기 수평 구동부(600)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630)는 상기 제1랙(100) 또는 상기 제2랙(20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수평 구동부(60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평 구동부(60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기어가 구비되어서, 상기 구동 모터(63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상기 수평 구동부(600) 내부의 기어를 통해서 전달해서, 상기 레일(500)에 대해서 상기 수평 구동부(600)가 이동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300)의 내부에도 복수 개의 기어가 구비되어서, 상기 가이드 부(300)가 회전되는 동안에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의 수평이 유지되어서, 수납된 식기가 랙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평 구동부(600)의 기어는 상기 가이드 부(300)의 내부에 구비된 기어에 맞물려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구동부(600)와 상기 가이드 부(300)가 결합된다. 즉 상기 수평 구동부(600)의 기어 중에 하나의 회전축이 상기 가이드 부(300)의 기어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랙(100)은 상기 제1랙(100)이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1가이드 레일(1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랙(100)은 상기 제1가이드 레일(150)에 의해서 양측이 지지되어서, 높이는 변화하지 않고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 레일(150)이 상기 가이드 부(300)에 결합된다.
상기 제2랙(200)은 상기 제2랙(200)이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가이드 레일(250)을 포함한다. 상기 제2랙(200)은 상기 제2가이드 레일(250)에 의해서 양측이 지지되어서, 높이는 변화하지 않고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 레일(250)이 상기 가이드 부(300)에 결합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 중에서 상측에 위치한 랙을 이동시키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900)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900)는 상측에 위치한 랙을 이동시킨 후에 특정한 변화가 감지되면, 관련된 신호가 발생했음을 제어부(1000)에 전달한다. 상기 감지부(900)는 사용자가 상측에 위치한 랙의 높이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랙을 누르는 행위가 발생하면 그에 따라 랙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감지부(900)에서 사용자가 랙의 높이를 변화하고자 하는 신호로 설정된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구동 모터(630)를 구동한다. 상기 구동 모터(630)가 구동되면, 상기 구동 모터(630)에서 회전력이 발생되고, 상기 수평 구동부(600)가 수평 이동되면서 상기 가이드 부(300)가 회전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두 개의 랙이 위치를 교환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상기 제1랙(100)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랙(200)이 하측에 배치된다. 반면에 도 5에서는 상기 제2랙(200)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랙(100)이 하측에 배치된다.
도 4는 상기 제1랙(100)이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이 서로 위치를 바꾸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i의 과정을 통해서, 상기 제1랙(100)은 하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랙(200)은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4a에서와 같이 상기 제1랙(100)을 높이 변화 없이 전방으로 인출한 후에, 상기 제1랙(100)을 하방으로 눌러서 상기 제1랙(100)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900)은 사용자가 상기 제1랙(100)에 가해진 힘을 감지해서, 상기 제어부(1000)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구동 모터(630)를 구동시켜서, 상기 수평 구동부(600)가 수평 이동 될 수 있는 힘을 제공한다.
상기 제1돌기(320)는 상기 제1수평 홈(422)로부터 전방으로 빠져나온다. 사기 제1돌기(320)는 상기 제1수평 홈(422)에 의해서 이동 궤적이 안내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부(300)의 이동이 정해진 궤적에 따르게 된다. 동시에 상기 제2돌기(340)는 상기 제2수직 홈(444)을 따라서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2수직 홈(444)은 후방(도 4를 기준으로 우측에 해당됨)을 향해서 볼록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2돌기(340)는 후방을 향해서 볼록한 궤적을 가지면서 이동된다.
상기 제1돌기(320)가 상기 제1가이드 홈(420)으로부터 벗어나기는 했지만, 상기 제2돌기(340)가 상기 제2가이드 홈(440)에 삽입되어서 이동 궤적이 구속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부(400)의 이동은 정해진 궤적을 따른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400)의 상기 가이드 회전 중심부(310)는 상기 수평 구동부(600)에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수평 구동부(600)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이 불가하고, 수평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부(400)는 두 점에서 구속되어서 이동 궤적이 일정해질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630)에서 지속적으로 회전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수평 구동부(600)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수평 구동부(400)에 결합된 커버 부재(61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4g에 따르면, 상기 제2돌기(340)이 상기 제2수직 홈(444)를 벗어나, 상기 제2수평 홈(442)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돌기(320)가 상기 제1수평 홈(442)로 다시 들어온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2랙(200)이 하부에 위치할 때에, 상기 제2랙(200)에 식기를 수납하기 위해서, 허리를 굽힐 필요가 없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제2랙(200)을 상측으로 이동시켜서,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랙(200)이 상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제1랙(100)은 하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2랙(200)이 상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제2랙(200)의 바닥과 상기 본체(20)의 천장과의 거리는 식기를 수납할 정도로 유지될 수 있어서, 상기 제2랙(200)에 상기 제1랙(100)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큰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제2랙(200)이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이 서로 위치를 바꾸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에 따른 과정은 도 4에 따른 과정과 달리, 상기 제2랙(200)이 상기 제1랙(100)이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는 차이만 있기 때문에, 도 4에서 설명한 내용을 준용할 수 있고,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 중에 어느 하나가 전방으로 이동되어서 하부로 이동되는 동안에는 각각의 랙은 원형이 아니라 타원에 가까운 궤적을 이루면서 이동된다.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은 후방으로 이동되어서 상승하는 동안은 전방의 궤적에 비해서 전후 길이방향의 이동 거리가 짧다.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은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이 이동되는 동안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내부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6에서는 제1랙, 제2랙 등에 관한 구성요소는 생략된 상태이고, 도어(10)가 본체(20)에 마련된 세척 공간을 개방한 상태로, 정면에서 식기 세척기를 바라본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7은 제1랙이 제2랙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고, 도 8은 제2랙이 제1랙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도어(10)가 개방된 상태에서 측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6과는 달리 두 개의 랙이 함께 도시되어 있는 상태를 표현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세척 공간을 이루는 본체(20)의 후벽에는 세 개의 급수부가 마련된다. 세 개의 급수부는 상기 제1랙(100)의 하부에 마련되는 상기 제1급수부(700)과 상기 제2랙(200)의 하부에 마련되는 상기 제2급수부(800)에 물을 공급한다.
세 개의 상기 급수부(1510, 1520, 1530)는 상기 본체(20)에서 물이 공급될 수 있는 유로가 연결되어서, 각각의 급수부(1510, 1520, 1530)를 통해서 물을 본체로 공급되는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세 개의 급수부(1510, 1520, 1530)는 상기 본체(20)에서 식기를 세척하는 공간을 이루는 세척 공간의 후벽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체(20)로부터 상기 세 개의 급수부(1510, 1520, 1530)에 물 등을 공급하는 유로는 상기 본체(20)의 세척 공간을 이루는 후벽과 상기 본체(20)의 외관을 이루는 후벽의 사이에 배치되는 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관은 상기 본체(20)의 하측에서부터 각각의 급수부(1510, 1520, 1530)가 배치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서, 물 등을 급수부에 공급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 개의 급수부(1510, 1520, 1530)는, 상측부터 하측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1급수부(1510), 제2급수부(1520) 및 제3급수부(15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급수부(1510)와 상기 제2급수부(1520)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급수부(1520)와 상기 제3급수부(1530)와의 간격이 다르게 배치된다.
상기 세 개의 급수부(1510, 1520, 1530)는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한 위치를 가지면서 서로 높이를 달리하도록 일렬로 배치된다. 각각의 급수부(1510, 1520, 1530)는 물이 공급되는 물 공급관과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 공급관를 구비한다. 상기 제1급수부(1510)은 물 공급관(1512)과 스팀 공급관(1514)를 구비해서, 하나의 급수부를 통해서 물과 스팀을 함께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물 공급관(1512)과 상기 스팀 공급관(1514)는 서로 분리된 두 개의 관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물과 스팀은 섞이지 않은 상태에서 분사부로 공급될 수 있다. 물 공급관(1512)과 스팀 공급관(1514)는 하나의 급수부(1510)의 내부에 두 개의 분리된 관을 이루면서, 두 개의 분리된 관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세 개의 급수부(1510, 1520, 1530) 중에서 상기 제2급수부(1520)가 가운데에 배치되고, 상측에는 상기 제1급수부(1510)가 배치되고, 하측에는 상기 제3급수부(1530)가 배치된다.
상기 제1급수부(1510)와 상기 제2급수부(1520)의 간격은 상기 제2급수부(1520)와 상기 제3급수부(1530)의 간격보다 좁은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간격은 상기 가이드부(300)에 설치되는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과 관련된다. 상기 제1랙(100)에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식기가 수납되고, 상기 제2랙(200)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식기가 수납된다. 상기 제1랙(100)과 상기 제2랙(200)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각각의 랙에서 식기가 수납되는 공간은 유지될 수 있도록 배치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랙(100)이 상기 제2랙(200)의 위에 배치되는 상태에는, 상기 제1랙(100)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식기가 수납되기 때문에 상기 제1랙(100)과 세척 공간의 천장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2랙(200)에서 상기 제1랙(100)의 하부까지의 거리보다 작아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1급수부(1510)가 상기 제1분사부(700)에 연결되면, 상기 제3급수부(1530)는 상기 제2분사부(800)에 연결된다. 즉 상기 본체(20)에서 상기 제1급수부(1510)로 공급되는 물 또는 스팀은 상기 제1급수부(1510)를 통해서 상기 제1분사부(700)로 전달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1급수부(1510)가 상기 제1분사부(700)에 연결되면, 상기 제2급수부(1520)에는 분사부가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2급수부(1520)에는 물과 스팀이 랙으로 공급되지 않는다. 상기 제2급수부(1520)에는 분사부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서, 상기 제2급수부(1520)를 통해서 물과 스팀을 공급할 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감지 센서는 전기적인 신호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는 달리 감지 센서는 기계적인 구조로 이루어져서, 분사부가 상기 제2급수부(1520)에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제2급수부(1520)에 마련된 기계적인 구조가 변화되면서 상기 제2급수부(1520)에서 공급되는 유로가 개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급수부(1520)에 마련된 커버가 열리면서 물과 스팀이 공급되는 유로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2랙(200)이 상기 제1랙(100)의 위에 배치되는 상태에는, 상기 제1랙(100)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식기가 수납되기 때문에 상기 제2랙(200)과 세척 공간의 천장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랙(100)에서 상기 제2랙(200)의 하부까지의 거리보다 작아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3급수부(1530)가 상기 제1분사부(700)에 연결되면, 상기 제2급수부(1520)는 상기 제2분사부(800)에 연결된다. 즉 상기 본체(20)에서 상기 제2급수부(1520)로 공급되는 물 또는 스팀은 상기 제2급수부(1520)를 통해서 상기 제2분사부(800)로 전달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2급수부(1520)가 상기 제2분사부(800)에 연결되면, 상기 제1급수부(1510)에는 분사부가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1급수부(1510)에는 물과 스팀이 랙으로 공급되지 않는다. 상기 제1급수부(1510)에는 분사부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서, 상기 제1급수부(1510)를 통해서 물과 스팀을 공급할 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감지 센서는 전기적인 신호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는 달리 감지 센서는 기계적인 구조로 이루어져서, 분사부가 상기 제1급수부(1510)에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제1급수부(1510)에 마련된 체결이 해제되면서 급수부에서 공급되는 유로가 개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급수부(1510)에 마련된 커버가 열리면서 물과 스팀이 공급되는 유로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랙에 수납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물 등을 공급하는 급수부는 세 개가 구비되는 반면에 랙에 직접 물 등을 분사하는 분사부는 두 개가 구비된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랙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는데, 랙의 위치가 변화된 상태에서도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랙(100)이 상기 제2랙(200)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와, 상기 제2랙(200)이 상기 제1랙(100)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도 모두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두 가지 상태에서도 모두 각각의 분사부는 급수부에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분사부의 개수에 비해서 급수부의 개수가 많이 구비된다는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랙의 위치가 바뀌게 되면, 하부에 배치되는 랙의 높이는 세척 공간의 바닥으로부터 일정하게 유지된다. 반면에, 두 개의 랙의 위치가 바뀔 때에 상부에 배치되는 랙의 높이는 세척 공간의 바닥으로부터 높이가 변화되기 때문에, 상측에 위치하는 랙에 물 등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가 두 개 마련된다. 이때 두 개의 급수부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어서, 상측에 위치하는 랙이 상기 제1랙(100)이거나 상기 제2랙(200) 중 어느 랙에 해당하더라도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9는 랙과 분사부를 설명한 도면이고, 도 10은 랙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분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서는 제1랙(100)과 제2랙(200)을 함께 표현했고, 도 10 및 도 11에서는 두 개의 랙 중에 어느 하나와 두 개의 분사부 중 어느 하나를 표현한 도면이다. 제1랙과 제2랙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를 이루고, 두 개의 분사부는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랙(100, 200)은 상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상측 프레임(102, 202)과 하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하측 프레임(104, 204)을 포함한다. 상기 상측 프레임(102, 202)과 상기 하측 프레임(104, 204)은 상측 또는 하측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모서리 전체 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랙은 위에서 내려다 봤을 때에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프레임은 사각형의 모서리를 따라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프레임은 사용자가 잡을 수 있을 정도의 폭과 높이를 가져서, 일정 수준의 면적을 가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측 프레임(102, 202)과 상기 하측 프레임(104, 204)의 사이에는 측면 와이어(106, 206)가 배치된다. 상기 측면 와이어(106, 206)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가 간격을 이루면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측면 와이어(106, 206)는 상기 하측 프레임(104, 204)보다 하부까지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측면 와이어(106, 206)에 의해서 상기 상측 프레임(102, 202)와 상기 하측 프레임(104, 204)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랙(100, 200)의 하부에는 랙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1하측 와이어(108, 208)와 제2하측 와이어(109, 209)가 배치된다. 상기 제1하측 와이어(108, 208)는 랙(100, 200)의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하측 와이어(109, 209)는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서 서로 격자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하측 와이어(108, 208)와 상기 제2하측 와이어(109, 209)와 상기 측면 와이어(106, 206)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측 와이어(108, 208)은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이격된 사이 공간으로 물이 낙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하측 와이어(109, 209)은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이격된 사이 공간으로 물이 낙하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측 와이어(108, 208)과 상기 제2하측 와이어(109, 209)는 십자가 형상을 이루면서 서로 교차된다.
상기 제1하측 와이어(108, 208) 및 상기 제2하측 와이어(109, 209)는 상기 측면 와이어(106, 206)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면 와이어(106, 206)가 상기 하측 프레임(104, 204)의 하부까지 연장되면, 상기 제1하측 와이어(108, 208)와 상기 제2하측 와이어(109, 209)는 상기 하측 프레임(104, 204)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 와이어(106, 206)는 일단은 상기 상측 프레임(102, 202)에 결합된다. 상기 측면 와이어(106, 206)는 상기 하측 프레임(106, 206)의 내측면에 결합이 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구간에서 수직방향이 아닌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와이어(106, 206)는 상기 제1하측 와이어(108, 208)과 상기 제2하측 와이어(109, 209) 중에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분사부(700, 800)은 상기 급수부로부터 물 또는 스팀을 공급받을 수 있는 공급부(710, 810)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부(710, 810)은 내부에 물과 스팀이 이동될 수 있는 유로가 구분되어 있다. 상기 공급부(710, 810)는 상기 본체(20)의 식를 세척하는 세척 공간을 구성하는 후벽을 향해서 연장되어, 상기 급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710, 810)의 일단에는 상기 급수부에 체결될 수 있는 연결부(712, 812)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712, 812)는 상기 공급부(710, 810)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어서, 상기 급수부에 체결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710, 810)의 타단에는 상기 공급부(710, 810)에서 공급되는 무링 여러 개의 유로로 분기되어 이동되는 전달부(714, 814)가 구비된다. 상기 전달부(714, 814)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서, 하나의 공급부(710, 810)에 연결된다. 상기 전달부(714, 814)도 스팀과 물이 이동될 수 있는 유로가 내부에 독립적으로 마련되어서, 상기 공급부(710, 810)를 통해서 이동된 물과 스팀이 상기 전달부(714, 814)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700, 800)은 상측에 마련된 랙에 물 또는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722, 724)을 포함한다. 상기 분사 노즐(722, 724, 822, 824)에서는 상기 급수부에서 공급된 물과 스팀이 랙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과 스팀은 상측을 향해서 분사된다.
상기 분사 노즐(724, 824)는 상기 전달부(714, 814)의 일단에 각각 마련된다. 즉 하나의 전달부(714, 814)에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724, 824)이 배치된다.
상기 공급부(710, 810)에서 상기 전달부(714, 814)로 분기되는 부분에는 중앙 분사 노즐(722, 822)이 마련된다. 상기 중앙 분사 노즐(722, 822)는 상기 분사 노즐(724, 824)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중앙 분사 노즐(722, 822)은 상기 분사 노즐(724, 824)과 비교해서, 크기만 다를 뿐 작동 메카니즘이나 형상 등은 동일하기 때문에, 분사 노즐(724, 824)을 위주로 설명하고, 중앙 분사 노즐(722, 822)은 동일한 내용이 적용된다.
상기 공급부(710, 810)에도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이 마련되어서, 분사부(700, 800)에는 모두 9개의 분사 노즐(724, 824, 722, 822)을 포함한다. 9개의 분사 노즐이 구비되어서, 랙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서 넓은 공간으로 물과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분사 노즐은 상측으로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구(728)와 상측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구(729)를 구비한다. 상기 물 분사구(728)와 상기 스팀 분사구(729)는 서로 분리되어 있어서, 물과 스팀은 개별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이 분사되는 동안 스팀이 분사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고, 스팀이 분사되는 동안 물이 분사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스팀 분사구(729)은 상기 분사 노즐의 중앙에 한 개가 배치되는 반면에, 상기 물 분사구(728)은 상기 분사 노즐의 일측에 치우치게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분사 노즐에서 물 분사구와 스팀 분사구가 배치되는 상측 커버는 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되어서, 상기 물 분사구(728)을 통해서 물이 분사되는 동안에 상기 물 분사구(728)이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물 분사구는 상측이 아니라 소정 각도로 경사진채 배치되어서, 상측 커버가 회전되는 동안 다양한 영역에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분사부(700, 800)에는 상기 분사부(700, 800)를 상기 랙(100, 200)에 결합하는 결합편(730, 830)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편(730, 830)은 랙(100, 200)의 하부에 체결되어서, 랙(100, 200)이 이동할 때에 상기 분사부(700, 800)도 함께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편(730, 830)은 상기 전달부(730, 830) 또는 상기 공급부(710, 810)의 상측면에 마련된다. 상기 결합편(730, 830)은 모든 전달부(714, 814)에 마련된 필요는 없고, 일부 전달부에만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편(730, 830)은 상기 전달부(714, 814) 또는 상기 공급부(710, 810)에서 돌출된 돌출편(732, 832)과, 상기 돌출편(732, 832)에서 절곡된 절곡편(734, 834, 738, 838)을 포함하고, 상기 절곡편(734, 834, 738, 838)이 상기 랙(100, 200)에 걸리는 방식을 랙에 고정된다.
상기 절곡편은 상기 돌출편(732, 832)의 일단에서 소정 각도로 연장되는 제1절곡편(734, 834)과 상기 제1절곡편(734, 834)의 일단에서 일정 각도로 연장되는 제2절곡편(738, 838)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절곡편(734, 834)과 상기 제2절곡편(738, 838)은 그 사이에 걸림홈(736, 836)이 형성되어서, 랙(100, 200)의 하측 와이어가 상기 걸림홈(736, 836)의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선 상기 제1분사부(700) 및 상기 제2분사부(800)는, 각각 상기 본체(20)의 후벽을 향해서 연장되는 공급부(710, 81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710, 810)는 상기 세 개의 급수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다. 즉 세 개의 급수부와 두 개의 공급부를 포함해서, 두 개의 공급부는 랙의 위치에 무관하게 항상 급수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700, 800)는 각각의 랙에 결합되어 랙이 회전되면 함께 회전된다. 상기 분사부(700, 800)의 분사 노즐은 랙의 하부를 바라보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분사 노즐을 통해서 분사되는 물 또는 스팀은 랙에 수납된 식기로 분사된다.
상기 랙(100, 200)이 가이드 레일을 통해서 전방으로 인출될 때에, 상기 분사부(700, 800)도 함께 인출되고, 상기 랙(100, 200)이 가이드 레일을 통해서 후방으로 인입될 때에, 상기 분사부(700, 800)도 함께 인입된다.
도 12는 분사부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분사부의 요부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상술한 제1분사부와 제2분사부에 공통되게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1분사부와 제2분사부를 통칭할 수 있도록 분사부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분사부(700, 800)는 물을 상기 분사 노즐(724, 724)로 안내하는 물관(740, 840)과 스팀을 상기 분사 노즐(724, 824)로 안내하는 스팀관(770, 870)을 구비한다.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은 복수 개가 구비되는데, 대략 9개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9개의 분사 노즐(724, 824)에는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 분사 노즐(722, 822)이 포함된다. 상기 중앙 분사 노즐(722, 822)은 다른 분사 노즐에 비해서 크기가 큰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물관(740, 840)과 상기 스팀관(770, 870)은 서로 분리되어서,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을 통해서 물과 스팀이 분사되기 전까지 물과 스팀은 섞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물관에서 물이 이동하는 유로와 상기 스팀관에서 스팀이 이동하는 유로는 구분되어 있어서, 물과 스팀이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의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는 혼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팀이 공급되는 도중에 물과 혼합되어 스팀의 배출량이 감소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물관(740, 840)은 상기 스팀관(770, 870)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물관(752, 852)과 제2물관(754, 854)를 포함한다. 즉 물은 이동할 때에 상기 제1물관(752, 852)과 제2물관(754, 854)를 통해서 두 개의 유로를 이용해서 이동하는 반면에 스팀은 하나의 유로를 통해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스팀관(770, 870)의 양측에 물관이 배치되기 때문에 물관과 물이 혼합되지 않고 스팀과 물은 서로 독립된 유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스팀관과 물관이 인접하게 배치되어,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스팀관과 물관이 세척 공간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어서, 세척 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물관(740, 840)은 상기 본체에서 물이 안내되는 물 공급부(750, 850)와, 상기 물 공급부(750, 850)에 연결되어서 물을 상기 분사 노즐(724, 824)로 안내하는 물 전달부(742, 842)를 포함한다.
상기 물 전달부(742, 842)는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이 안착되는 몸체부(744, 844)가 마련된다. 상기 몸체부는 소정 공간을 구비하고, 그 상측에 상기 분사 노즐(724, 824)가 거치되어서, 상기 분사 노즐(724, 824)는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744, 844)에 결합된다. 상기 몸체부(744, 844)는 대략 원기둥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물 전달부(742, 842)의 중앙에는 중앙 몸체부(746, 846)가 배치되고,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에는 상기 중앙 분사 노즐(722, 822)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중앙 분사 노즐(722, 822)은 상기 분사 노즐(724, 824)과 크기에서 차이가 날뿐 작동되는 메카니즘이나 형상 등은 모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744, 844)와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의 중앙에는 원형을 이루는 관통공(745, 845)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745, 845)는 상기 분사 노즐이 회전되는 회전 중심에 배치되어서,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부(750, 850)는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의 하부에 연결되는 연결부(757, 857)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757, 857)는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의 하부를 마감하고,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에 결합되어서 물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은 상기 몸체부(746, 846)와는 달리 하부가 개방되어서, 상기 연결부(757, 857)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물 공급부(750, 850)을 통해서 안내되는 물이 상기 연결부(757, 857)을 거쳐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57, 857)는 상기 물 공급부(750, 850)에서 물이 이동하는 단면적보다는 큰 단면을 가지는 공간을 형성해서 물이 상기 연결부를 통해서 상기 물 전달부(742, 842)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부(750, 850)에서 공급된 물은 복수 개의 유로를 가지는 물 전달부(742, 842)를 통해서 물이 넓게 퍼질 수 있다.
상기 스팀관(770, 870)은 상기 본체에서 스팀이 안내되는 스팀 공급부(772, 872)와, 상기 스팀 공급부(772, 872)에 연결되어서 스팀을 상기 분사 노즐(724, 824)로 안내하는 스팀 전달부(778, 878)를 포함한다. 상기 스팀 공급부(772, 872)에서 공급되는 스팀은 복수 개의 유로를 가지는 상기 스팀 전달부(778, 878)를 통해서 넓게 퍼질 수 있다.
상기 스팀 전달부(778, 878)에는 상기 분사 노즐(724, 824)까지 스팀이 안내되는 스팀 노즐관(779, 879)이 마련되고, 상기 스팀 노즐관(779, 879)은 상기 스팀 전달부(778, 878)에 대해서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스팀 노즐관(779, 879)을 통해서 배출되는 스팀은 분사되는 압력을 가변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스팀 전달부(778, 878)는 지면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스팀이 자연스럽게 상승되면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스팀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기 때문에 상승하려는 성질이 강한데, 상기 스팀 노즐관의 수직 방향을 따라서 세척 공간으로 쉽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스팀 노즐관(779, 879)은 상기 관통공(745, 845)를 관통해서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스팀 노즐관(779, 879)의 끝단은 상기 분사 노즐(724, 824)에 형성된 스팀 분사구(729, 829)에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상기 스팀 노즐관(779, 879)을 통해서 이동된 스팀은 상기 스팀 분사구(729, 829)를 통해서 세척 공간으로 분사될 수 있다.
한편 물이나 스팀이 상기 스팀관이나 물관의 내부를 통해서 안내될 때에는 세척 공간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물관 또는 스팀관을 통해서 세척 공간의 다양한 위치까지 전달될 수 있다. 물이나 스팀이 물관과 스팀관을 벗어나서 분사 노즐을 통해서 배출되면서, 세척 공간의 여러 장소로 분사될 수 있다.
도 14는 물이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해서 물이 본체에서 분사 노즐까지 이동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a에서와 같이 물이 본체에서 상기 물 공급부(750, 850)를 통해서 상기 물 공급부(750, 850)에 마련된 상기 연결부(757, 857)까지 이동된다. 상기 물 공급부(750, 850)은 상기 스팀관의 양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물관(752, 852, 754, 854)를 포함해서 물이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스팀관과 물관이 분리되어 있어서, 상기 물관에서 물이 이동되는 동안에 스팀과 혼합되어 물의 양에 변화가 발생되지 않고 일정한 체적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57, 857)은 하측이 마감되고, 원기둥과 같은 공간을 이루기 때문에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상기 연결부(757, 857)내에서 회전이 되면서 포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 공급부(750, 850)는 물이 이동될 수 있는 두 개의 독립된 유로를 포함하기 때문에 물은 상기 연결부(757, 857) 내에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모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757, 857)에 모인 물은 도 14b와 도 14c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연결부(757, 857)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으로 이동된다. 상기 연결부(757, 857)의 하측과 측면은 막혀 있고,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에 결합된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물은 상기 연결부(757, 857)에서 상승되어서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으로 상승된다. 이때 물이 상기 연결부(757, 857)에서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으로 상승될 때에는 별도의 부재를 이용할 수 있지만, 별도의 구동 부재가 없더라도 물이 상기 연결부(757, 857) 내부 공간을 채워가면 자연스럽게 물이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에는 상기 물 전달부(742, 842)를 통해서 물이 각각의 유로로 이동될 수 있는 관통공(747, 847)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747, 847)은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의 측면에 복수 개가 형성되어서, 각각의 유로로 물이 안내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747, 847)은 물이 이동하는 파이프의 입구를 이루기 때문에 세척 공간에 분사되지 않더라도, 상기 관통공(747, 847)을 통해서 물은 세척 공간의 다양한 위치까지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물 전달부(742, 842)는 개별적인 위치로 물이 안내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파이프가, 상기 중앙 몸체부(746, 846)을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5는 분사 노즐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5a는 분사 노즐이 몸체부에 설치된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5b는 분사 노즐이 몸체부에 설치된 모습을 위에서 바라보되, 내부 형상이 표현된 도면이다. 상기 분사 노즐(724, 824)는 상기 중앙 분사 노즐(722, 822)과 비교해서 전체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내용은 분사 노즐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중앙 분사 노즐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상기 분사부의 상기 몸체부(744, 844)에는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이 안착된다.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은 상측에 마련된 돌출부(726, 826)를 포함하고, 상기 물 분사구(728, 828)는 상기 돌출부(726, 826)에 형성된다.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의 상측에는 물이 상면을 구비해서,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의 내부 물이 상측으로 그대로 분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상면에 상기 돌출부(726, 826)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726, 826)는 제1경사면(727, 827)과 제2경사면(729, 829)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에 의해서 상승된 부분에서 완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완곡부는 하나의 평면을 이루는 것도 가능하고 곡면을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경사면(727, 827)은 상기 제2경사면(729, 829)에 비해서 상측으로 경사진 각도가 완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경사면(729, 829)이 상기 분사 노즐의 상면에 대해서 대략 90도의 각도를 이루면 상기 제1경사면(727, 827)은 상기 분사 노즐의 상면에 대해서 대략 60도의 각도를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경사면(727, 827)에는 물이 분사되는 물 분사구(728, 828)가 형성된다. 상기 제1경사면(727, 827)은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이 회전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면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경사면(727, 827)은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이 회전이 회전될 때 회전 방향에 대해서 전방이 아니라 후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물 분사구(728, 828)를 통해서 분사되는 물은 상기 분사 노즐이 회전되는 방향에 반대 방향을 향한다.
상기 물 분사구(728, 828)는 하나의 구멍을 이룰 수 있지만, 상기 제1경사면(727, 827)에 복수 개의 물 분사구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세척 공간의 다양한 위치에 물이 더욱 고르게 분사될 수 있다.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의 내부에는 상기 물 전달부(742, 842)에서 공급되는 물에 접촉되어 타격되는 날개부(725, 825)가 구비된다. 상기 날개부(725 ,825)는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의 회전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되, 회전 중심에 대해서 복수 개가 구비되어서, 물의 이동에 따라 상기 분사 노즐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날개부(725 ,825)는 높이를 가지는 리브 형태로 이루어져서, 물이 상기 날개부(725 ,825)를 타격할 때에 물의 운동량을 쉽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넓은 면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물 전달부(742, 842)는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의 상면에 닿지 않을 높이까지 연장되어서, 물이 일부는 상기 날개부(725, 825)를 타격하되, 일부는 상기 날개부(725, 825)의 상측에서 유동해서, 상기 물 분사구(728, 828)을 통해서 세척 공간으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물 전달부(742, 842)에서 상기 몸체부(744, 844)로 이동되는 물은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의 회전 중심에서 벗어난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편(741, 841)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편(741, 841)은 물이 이동하는 유로의 일단에 형성되어서, 유로의 방향이 변화되도록 한다. 상기 물 전달부(742, 842)는 물이 이동되는 물관의 일부인데, 상기 안내편(741, 841)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물이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의 회전 중심을 향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물 전달부(742, 842)의 내부를 이동하는 물이 상기 안내편(741, 841)이 형성된 위치까지 이동해서, 상기 안내편(741, 841)에 닿으면서 유로의 방향이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의 회전 중심에서 벗어난 방향으로 변화된다. 따라서 상기 분사 노즐은 별도의 구동력이 없더라도 물의 힘에 의해서 회전가능하다. 상기 안내편(741, 841)에 의해서 물의 유로가 변화되면서, 물은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의 회전 중심의 접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6은 분사 노즐에서 공급되는 물의 궤적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17은 분사 노즐의 요부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의 공급되는 영역에서 차이가 있다. 즉 상기 중앙 분사 노즐(722, 822)에서 멀어질수록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의 도달 범위가 줄어드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중앙 분사 노즐(722, 822)은 도 16와 같이 세척 공간에서 가장 넓은 범위로 물이 분사되도록 한다. 상기 중앙 분사 노즐(722, 822)의 제1경사면(727, 827)은 다른 분사 노즐의 경사면에 비해서 수평면에 대해서 작은 수직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도 17a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수평면에 대해서 상기 제1경사면(727, 827)은 법선이 대략 40도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물 분사구(728, 828)는 대략 상기 제1경사면(727, 827)에 대해서 법선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기 때문에 다른 분사 노즐에 비해서 넓게 물이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중앙 분사 노즐(722, 822)에서 가장 멀리 배치되는 C존에 배치되는 분사 노즐은 도 16와 같이 세척 공간에서 가장 좁은 범위로 물이 분사되도록 한다. 이때 랙이 대략 사각형 형상을 이룬다고 했을 때에, 해당되는 분사 노즐(724, 824)은 대략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된 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의 제1경사면(727, 827)은 다른 분사 노즐의 경사면에 비해서 수평면에 대해서 큰 수직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도 17c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수평면에 대해서 상기 제1경사면(727, 827)은 법선이 대략 60도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물 분사구(728, 828)는 대략 상기 제1경사면(727, 827)에 대해서 법선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기 때문에 다른 분사 노즐에 비해서 좁게 물이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중앙 분사 노즐(722, 822)에서 가장 멀리 배치되는 C존에 보다는 가깝게 배치되는 분사 노즐은 도 16와 같이 세척 공간에서 중간 범위로 물이 분사되도록 한다. 이때 랙이 대략 사각형 형상을 이룬다고 했을 때에, 해당되는 분사 노즐(724, 824)은 대략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사 노즐(724, 824)의 제1경사면(727, 827)은 다른 분사 노즐의 경사면에 비해서 수평면에 대해서 중간 수직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도 17b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수평면에 대해서 상기 제1경사면(727, 827)은 법선이 대략 50도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물 분사구(728, 828)는 대략 상기 제1경사면(727, 827)에 대해서 법선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기 때문에 다른 분사 노즐에 비해서 중간 정도의 범위의 넓이를 가지는 영역에 물이 분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랙에 배치된 서로 다른 두 개의 상기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의 각도는 서로 다르게 구현한다. 따라서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이랙에 수납된 식기에 빠짐없이 분사되도록 해서,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8은 스팀관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8에서와 같이, 본체에서 공급되는 스팀은 상기 스팀 공급부(772, 872)를 통해서 공급되되, 복수 개의 스팀이 이동되는 유로를 가지는 상기 스팀 전달부(778, 878)로 안내되어서, 상기 스팀 전달부(778, 878)을 통해서 다양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스팀 전달부(778, 878)에서 이동되는 스팀은 복수 개의 스팀 노즐관(779, 879)를 통해서 세척 공간의 다양한 위치로 분사되어서, 식기에 스팀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과 스팀이 공급부를 통해서 본체로 공급된 후에, 전달부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세척 공간으로 안내된다. 이때 전달부와 공급부가 만나는 위치는 세척 공간의 중앙 부위이므로, 물과 스팀이 공급부에 의해서 중앙까지 안내된 후에, 전달부에 의해서 다양한 위치로 안내되어, 각각의 최종 위치까지 고르게 전달될 수 있다.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과 분사부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다른 실시예에서는 랙(100, 200)에 측벽(101, 20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벽(101, 201)이 구비된 경우 랙(100, 200)에 수용된 물이 상기 랙(100, 200)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랙에 구비되는 분사부(700, 800)에 대해서, 상술한 분사 노즐, 물관, 스팀관 등에 대한 기술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당업자는 쉽게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기 땜누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도어 20: 본체
100: 제1랙 200: 제2랙
300: 가이드부 400: 가이드 판
500: 레일 600: 수평 구동부
700: 제1분사부 800: 제2분사부
1000: 제어부

Claims (12)

  1. 식기의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부;
    식기가 수납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랙;
    상기 제1랙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측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랙과 함께 이동되는 제1분사부;
    식기가 수납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랙; 및
    상기 제2랙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측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2랙과 함께 이동되는 제2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분사부와 상기 제2분사부 중 어느 하나는 물을 상기 분사 노즐로 안내하는 물관과 스팀을 상기 분사 노즐로 안내하는 스팀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관과 상기 스팀관은 서로 분리되어서, 상기 분사 노즐을 통해서 물과 스팀이 분사되기 전까지 물과 스팀은 섞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관은 상기 스팀관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물관과 제2물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관은 상기 본체에서 물이 안내되는 물 공급부와,
    상기 물 공급부에 연결되어서 물을 상기 분사 노즐로 안내하는 물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전달부는 상기 분사 노즐이 안착되는 몸체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중앙에는 상기 스팀관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물 전달부의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 공급부는 상기 중앙 몸체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관은 상기 본체에서 스팀이 안내되는 스팀 공급부와,
    상기 스팀 공급부에 연결되어서 스팀을 상기 분사 노즐로 안내하는 스팀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전달부에는 상기 분사 노즐까지 스팀이 안내되는 스팀 노즐관이 마련되고, 상기 스팀 노즐관은 상기 스팀 전달부에 대해서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노즐관은 상기 분사 노즐이 회전되는 회전 중심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가 회전되면, 상기 제1분사부와 상기 제2분사부가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가 회전되면 상기 제1랙과 상기 제2랙이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190041303A 2018-12-10 2019-04-09 식기 세척기 KR20200119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303A KR20200119018A (ko) 2019-04-09 2019-04-09 식기 세척기
PCT/KR2019/017276 WO2020122519A1 (ko) 2018-12-10 2019-12-09 식기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303A KR20200119018A (ko) 2019-04-09 2019-04-09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018A true KR20200119018A (ko) 2020-10-19

Family

ID=73042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303A KR20200119018A (ko) 2018-12-10 2019-04-09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90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7660B2 (en) Upper spray arm water deflector
US10244918B2 (en) Dish 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2271800B1 (en) Washing machine
US9282873B2 (en) Dish washing machine
KR20150109944A (ko) 식기세척기
KR101871270B1 (ko) 식기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061527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98571B1 (ko)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
RU2498764C2 (ru)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KR20180025761A (ko) 식기세척기
JP2011224232A (ja) 食器洗い機
EP1847209B1 (en) Dispenser rinse system and method for a drawer-type dishwasher
EP3488757B1 (en) Dishwasher
KR102431199B1 (ko) 식기세척기
GB2295535A (en) Dishwasher with oscillating jets
KR101980706B1 (ko) 식기세척기
KR20200119018A (ko) 식기 세척기
KR20200119017A (ko) 식기 세척기
JP5146331B2 (ja) 食器洗い機
KR102674533B1 (ko) 식기 세척기
KR20220056415A (ko) 식기 세척기
KR20200070994A (ko) 식기 세척기
JP2011224233A (ja) 食器洗い機
KR102105963B1 (ko) 식기세척기
US11324381B2 (en) Dish wa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