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710A -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710A
KR20210036710A KR1020190119080A KR20190119080A KR20210036710A KR 20210036710 A KR20210036710 A KR 20210036710A KR 1020190119080 A KR1020190119080 A KR 1020190119080A KR 20190119080 A KR20190119080 A KR 20190119080A KR 20210036710 A KR20210036710 A KR 20210036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ub
motor
dishwash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훈
김진태
이재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9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6710A/ko
Publication of KR20210036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7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1Connections of the door to the casing, e.g. door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wing doors or windows, i.e. opening inwards and out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8Door closed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에는, 터브, 도어 및 개방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개방장치에는, 모터, 상기 모터의 양 측으로 연장된 서포터, 상기 서포터의 양 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터브에 결합가능하게 마련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가 상기 터브에 결합되는 경우 ON되고, 상기 후크가 상기 터브에서 분리되는 경우 OFF되는 개방센서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개방센서가 ON에서 OFF로 변경되는 때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가 더 포함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DISH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세척수에 의하여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가 세척되도록 하는 가전기기이다. 자세하게는, 상기 식기세척기에는, 세척실이 형성된 터브, 상기 세척실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 및 상기 터브의 내부에는 식기가 안착하는 안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이 상기 랙에 안착된 식기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함에 따라, 상기 식기가 세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기세척기에는, 상기 터브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세척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도어를 상기 터브에서 회동하여 상기 세척실을 개방하고, 상기 세척실에 식기를 수납하거나 상기 세척실에서 식기를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자동으로 도어를 회동하여 상기 세척실을 개방하는 개방장치가 아래와 같은 선행문헌에 개시된 바 있다.
<선행문헌>
1. 유럽등록특허 : EP02394558(2016년 09월 21일)
2. 발명의 명칭 : 식기세척기
상기 선행문헌에 기재된 식기세척기에는, 도어의 상부를 밀어 회동시키는 개방장치가 구비된다. 이때, 이와 같은 개방장치에 의해서는 상기 도어가 비교적 작은 개방각도로 회동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세척실 내에 식기를 수납하거나 세척실에서 식기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다시 도어를 개방하여야 한다.
즉, 선행문헌의 개방장치를 통해서는 상기 도어를 완전히 자동으로 개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에는, 상기 도어의 개방 또는 상기 개방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제어에 관한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 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 쌍의 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개방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가 안정적으로 개방되며, 상기 도어가 개방된 직후에도 바로 상기 세척실을 폐쇄될 수 있도록 구비된 개방장치를 포함한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신속하게 복귀되는 개방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한 쌍의 도어를 갖는 소형(컴팩트형)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개방장치를 갖는다. 상기 개방장치는 1) 도어의 양 측이 균형있게 개방되도록 배치되며, 2) 도어의 자동개방 직후에도 사용자에 의해 도어가 폐쇄될 수 있도록,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에는, 세척실이 형성된 터브, 상기 세척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터브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도어 및 상기 도어가 상기 터브에서 회동되도록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개방장치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장치에는, 모터, 상기 모터의 양 측으로 연장된 서포터, 상기 서포터의 양 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터브에 결합가능하게 마련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가 상기 터브에 결합되는 경우 ON되고, 상기 후크가 상기 터브에서 분리되는 경우 OFF되는 개방센서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센서가 ON에서 OFF로 변경되는 때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가 더 포함된다.
한편,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는, 터브, 상기 터브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도어 및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개방장치가 포함됨을 전제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가 상기 터브에 결합되는 경우 ON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터브에서 분리되는 경우 OFF되는 개방센서를 확인하고,
상기 개방센서가 ON에서 OFF로 변경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개방센서가 ON에서 OFF로 변경되는 때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상기 개방장치에 구비된 모터를 작동시킨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개방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터브에서 도어를 회동하여 세척실을 개방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세척이 완료된 후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상기 터브 내에 존재하는 수증기가 외부로 분출되어 식기가 효과적으로 건조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모터가 항상 같은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제어함에 따라, 상기 개방장치의 오작동에 의한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개방장치가 반복적으로 사용되어도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개방장치는 상기 한 쌍의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된 직후에도 사용자가 도어를 회동하여 상기 세척실을 폐쇄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특수한 상황에서도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방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식기세척기의 개방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방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방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1)에는, 터브(10) 및 도어(20)가 포함된다.
상기 터브(10)는 상기 식기세척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터브(10)는 내부에 세척실(11)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세척실(11)은 세척수가 분사되어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세척실(11)에는 식기 등이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식기가 안착될 수 있으며, 세척수가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착부는 소정의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어 식기가 안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터브(10)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마련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터브(10)는 바닥면에 안착되고, 상부로 연장되며 내부공간이 마련된 직육면체로 구비된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세척실(11)을 개폐하도록 상기 터브(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상기 터브(10)가 전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됨에 따라, 상기 도어(20)는 상기 터브(10)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도어(20)에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23, 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23, 24)는 사용자에 의해 눌림가능하게 마련되거sk, 사용자의 접촉을 센싱하는 형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에는 상기 식기세척기(1)의 전원을 ON/OFF하는 전원부나 상기 식기세척기(1)의 각종 기능을 선택하는 입력부로 구비되는 복수의 버튼(23)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에는, 상기 도어(20)의 개방을 위한 개방입력부(24)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20)는 서로 구분되는 한 쌍의 도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도어(20)는 상하로 각각 배치되는 상부도어(21) 및 하부도어(22)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도어(21) 및 상기 하부도어(22)는 사각 평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도어(21)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도어(22)의 상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터브(10)의 전면이 상기 도어(20)에 의해 완전히 커버되고, 상기 세척실(11)이 폐쇄된다. 특히, 세척수 등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도어(21)와 상기 하부도어(22)는 밀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도어(21) 및 상기 하부도어(22)는 상기 터브(10)의 전면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상부도어(21)는 상단부가 회전중심이 되어 하단부가 상기 터브(10)의 전방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도어(22)는 하단부가 회전중심이 되어 상단부가 상기 터브(10)의 전방으로 회동된다.
그에 따라, 상기 터브(10)의 전면이 개방되어 상기 세척실(11)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세척실(11)이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세척실(11)로 식기를 투입하거나, 상기 세척실(11)에서 식기를 회수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상기 도어(20)를 자동으로 개방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세척실(11)에 투입된 식기의 세척이 완료된 경우, 식기의 완전건조를 위하여 상기 도어(20)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식기세척기(1)에는 상기 도어(20)를 개방하는 개방장치(100)가 포함된다. 이하, 상기 개방장치(10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방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이해의 편의상 상기 하부도어(22)의 일부를 생략하여 상기 식기세척기(1)의 전면을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방장치(100)는 상기 도어(20)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개방장치(100)는 한 쌍의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방장치(100)는 상기 하부도어(22)에 설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하부도어(22)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장치(1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부도어(22)의 내부공간에 설치된다. 즉, 상기 개방장치(100)는 상기 하부도어(22)의 내측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하부도어(22)의 내부공간을 도시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도어(22)의 전단부를 생략하였다.
또한, 상기 하부도어(22)의 내부공간에는 PCB 등 제어장치(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장치(30)는 상기 스위치(23, 24)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23, 24)에 입력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도어(22)의 내측에는 각종 장치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해의 편의상, 나머지 구성은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도어(22)에는 상기 개방장치(100) 중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는 도어개방홀(102)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개방홀(102)에 상기 개방장치(100)의 후크(120, 130)가 관통되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도어개방홀(102)을 통해 상기 후크(120, 13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부도어(2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브(10)에는 상기 도어개방홀(102)과 대응되는 위치에 터브개방홀(1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도어(22)가 상기 세척실(11)을 폐쇄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도어개방홀(102) 및 상기 터브개방홀(12)은 서로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도어개방홀(102) 및 상기 터브개방홀(12)은 양 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으로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개방홀에서 돌출된 후크(120, 1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터브개방홀(12)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후크(120, 130)가 상기 터브개방홀(12)에 삽입되어 설치됨에 따라, 상기 하부도어(22)가 상기 터브(1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브개방홀(12)의 내측에는 상기 후크(120, 130)가 결합되는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크(120, 130)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하부도어(22)가 상기 터브(1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도어(22)가 상기 터브(11)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세척실(11)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120, 130)가 상기 결합홈에서 분리되는 경우, 상기 하부도어(22)가 상기 터브(11)에서 고정해제된다. 그에 따라, 중력 또는 설치구조 등에 의해 상기 하부도어(22)가 상기 터브(11)에서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120, 130)는 상기 터브개방홀(12)에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도어(21)는 상기 하부도어(22)와 링크구조(미도시) 등으로 연결되어 배치된다. 이와 같은 링크구조는 상기 터브(1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하부도어(22)가 회동되면, 상기 상부도어(21)가 함께 회동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개방장치(100)를 통해 한 쌍의 도어가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정리하면, 상기 하부도어(22)는 상기 터브(10)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상부도어(21) 및 하부도어(22)는 상기 세척실(11)을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개방장치(100)에 의해 상기 하부도어(22)가 상기 터브(10)에서 고정해제되면, 상기 상부도어(21) 및 상기 하부도어(22)가 회동되어 상기 세척실(11)을 개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방장치(100)에는 모터(110)가 포함된다. 상기 모터(110)는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는 원웨이 모터(one-way motor)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터(110)는 비교적 부피가 적어 상기 하부도어(22)의 공간활용도가 증대될 수 있으며 상기 식기세척기(1)의 소형화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개방장치(100)에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서포터(140)가 포함된다. 상기 서포터(140)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막대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포터(140)의 좌우방향 길이는 상기 도어개방홀(102)의 이격거리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140)는 상기 모터(110)를 중심으로 양 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즉, 상기 서포터(140)는 상기 모터(110)의 양 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도어(22)의 내부공간 제한에 의해, 상기 모터(110)는 상기 서포터(140)의 일 측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140)는 상기 모터(110)의 작동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모터(110)에 의해, 상기 서포터(140)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장치(100)에는, 상기 서포터(140)의 양 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후크(120, 130)가 포함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후크(120, 130)는 상기 터브(10)에 결합가능하게 상기 하부도어(22)에서 돌출되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후크(120, 130)는 상기 도어개방홀(102)을 관통하여 상기 터브개방홀(12)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후크(120, 130)는 상기 서포터(140)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후크(120, 130)는 상기 서포터(140)와 연동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후크(120, 130)와 상기 서포터(140)는 소정의 링크구조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설계에 따라 다르게 변형될 수 있는 것으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모터(11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서포터(140)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면, 상기 후크(120, 130)가 상기 터브(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서포터(140)와 연결된 상기 후크(120, 130)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며, 상기 터브(10)에 마련된 결합홈에서 분리된다. 그에 따라, 상기 하부도어(22)가 상기 터브(10)에서 고정해제되고, 상기 상부도어(21) 및 상기 하부도어(22)가 회동되어 상기 세척실(11)을 개방한다.
또한, 상기 개방장치(100)에는 상기 모터(110)와 상기 서포터(140)를 연결하는 기어모듈(150)이 포함된다. 상기 기어모듈(150)은 상기 모터(11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서포터(140)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연결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기어모듈(15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식기세척기의 개방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상기 개방장치(100) 중 상기 모터(110) 및 상기 기어모듈(150)을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모듈(150)에는,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연결기어(152) 및 상기 연결기어(152)에 결합되어 상하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연결랙(200)이 포함된다. 즉, 상기 기어모듈(150)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형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어(152)는 상기 모터(11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된다. 이때, 상기 연결기어(152)는 상기 모터(110)에 직접 연결되거나, 보조기어(154)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조기어(154)의 개수 및 크기는 설계에 따라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어(152)에는 회전중심에서 일 측으로 이격되고 회전방향과 수직하게 돌출된 연결돌기(155)가 형성된다. 도 5 상에서, 상기 연결돌기(155)가 지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연결기어(152)가 회전되면 상기 연결돌기(155)도 소정의 회전반경으로 회전된다.
상기 연결랙(200)은 상기 연결돌기(155)에 끼워져, 상기 연결돌기(155)가 회전됨에 따라, 상하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랙(200)이 상하운동되며 상기 서포터(140)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연결랙(200)이 상부로 이동되며 상기 서포터(140)와 접하며, 상기 서포터(140)의 일측을 밀어 회전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랙(200)은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서포터(140)와 접촉되는 접촉연결부(210) 및 상기 연결돌기(155)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연결홈(H)이 형성된 연결홈형성부(2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랙(200)이 상부로 이동되며 상기 서포터(140)와 접하도록, 상기 접촉연결부(210)가 상기 연결홈형성부(220)의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접촉연결부(210)는 상기 서포터(140)와 접촉되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연결부(210)는 상부로 길게 연장된 사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홈형성부(220)는 상기 연결홈(H)을 형성하도록, 소정의 프레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홈(H)은, 제 1 연결단 내지 제 5 연결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단은 상기 연결홈(H)을 형성하는 가장자리로 이해되며, 설명의 편의상 5개로 구분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연결홈(H)은 서로 연결된 제 1 연결단(224) 및 2 연결단(222)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연결단(224) 및 상기 제 2 연결단(222)은 각각 직선으로 연장되고, 서로 예각을 형성하도록 연결된다, 즉, 상기 제 1 연결단(224) 및 상기 제 2 연결단(222)의 연결각도(a)는 0보다 크고 90도 보다 작게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각도(a)는 60도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단(224)과 상기 제 2 연결단(222)의 사이에 첨단(225, cutting edge)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연결단(224)과 상기 제 2 연결단(222)은 하부로 뾰족한 첨단(225)을 형성한다. 즉, 상기 연결홈(H)에는, 하부로 뾰족한 첨단(225)이 형성된다.
다르게 말하면, 상기 제 1 연결단(224)과 상기 제 2 연결단(222)은 'V'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홈(H)의 일부는 'V'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연결홈(H)은 상기 제 1 연결단(224) 및 상기 제 2 연결단(222)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 3 연결단(226) 및 제 4 연결단(228), 상기 제 3 연결단(226) 및 상기 제 4 연결단(228)을 연결하도록 연장되는 제 5 연결단(227)이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홈(H)은 시계방향으로 상기 제 1 연결단(224), 상기 제 2 연결단(222), 상기 제 4 연결단(228), 상기 제 5 연결단(227) 및 상기 상기 제 3 연결단(226)이 차례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3 연결단(226), 상기 제 4 연결단(228) 및 상기 제 5 연결단(227)은 각각 곡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홈(H)는 직선 및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연결단(226) 및 상기 제 4 연결단(228)은 상기 제 1 연결단(224) 및 상기 제 2 연결단(222)에서 양 측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연장된다. 그리고, 하부로 구부러져 연장되며, 상기 제 5 연결단(227)에 의해 연결된다.
이와 같은 형상을 참조하여, 상기 개방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방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 도 10은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각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기재의 편의상, 도 7 내지 도 10에서는 개방장치(100)의 일부를 생략하였고, 상기 서포터(140)의 일부를 대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110)는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이하, 상기 모터(110)가 상기 연결기어(152)를 시계방향(CW)으로 회전되도록 작동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7에 도시된 제 1 상태를 초기상태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기어(152)는 상기 연결돌기(155)가 회전중심의 좌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랙(200)은 상기 연결돌기(155)가 상기 제 3 연결단(226)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110)가 작동되며, 상기 연결기어(15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돌기(255)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측 및 우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돌기(255)가 상기 제 3 연결단(226)을 상측으로 밀어 상기 연결랙(200)이 상부로 이동된다.
이때, 도 8과 같이, 상기 연결돌기(255)가 상측 및 우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3 연결단(226)과 상기 제 1 연결단(224)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단(226)이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서포터(140)와 접촉된다.
계속하여 상기 연결기어(15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연결돌기(255)가 상측 및 우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도 9와 같이, 상기 연결돌기(255)는 최상단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기어(152)는 상기 연결돌기(155)가 회전중심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기어(152)는 상측 및 우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1 연결단(224)과 상기 제 2 연결단(222)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연결돌기(152)는 상기 첨단(224)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돌기(255)가 상기 제 1 연결단(224)을 상측으로 밀어 상기 연결랙(200)이 상부로 더 이동된다. 그에 따라, 상기 연결랙(200)이 상기 서포터(140)를 밀며 상부로 더 이동되고, 상기 서포터(140)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된다. 즉, 상기 서포터(140) 및 상기 후크(120, 130)가 회전된다. 그에 따라, 상기 후크(120, 130)가 상기 터브(10)에서 결합해제되고, 상기 도어(20)가 회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기어(152)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연결돌기(155)가 최상부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연결돌기(152)가 상기 제 1 연결단(224)과 상기 제 2 연결단(222)의 사이에 형성된 첨단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랙(200)이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서포터(140) 및 상기 후크(120, 130)가 회전되고, 상기 도어(20)가 회동된다.
계속하여 상기 연결기어(15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연결돌기(155)는 하측 및 우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도 10과 같이, 상기 연결돌기(155)는 최상단에서 하측으로 이동되어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기어(152)는 상기 연결돌기(155)가 회전중심의 우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기어(152)는 하측 및 우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2 연결단(222)과 상기 제 4 연결단(228)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연결랙(200)이 하부로 이동된다. 이때, 도 8과 같이, 상기 연결랙(200)은 상기 서포터(140)와 접촉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랙(200)은 상기 연결돌기(155)가 상기 첨단(225)에 배치되는 경우에만 상기 서포터(140)를 밀어서 회동시킬 수 있다. 정확하게는, 상기 연결돌기(155)가 상기 첨단(225)과 매우 인접하게 위치되는 경우만을 의미한다. 그에 따라, 상기 연결랙(200)이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서포터(140) 및 상기 후크(120, 130)가 회동된 시간은 매우 짧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도어(20)를 개방시키는 상기 개방장치(100)의 작동시간이 매우 짧게 구비된다. 그에 따라, 상기 개방장치(100)에 의해 상기 세척실(11)이 개방된 직후에도, 상기 후크(120, 130)가 바르게 복귀되어 상기 세척실(11)를 다시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계속하여 상기 연결기어(15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연결돌기(155)는 도 10에서 도 7의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돌기(155)는 계속하여 회전중심의 하측에 위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연결랙(200)은 상기 서포터(140)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기어(142)가 1회전(360도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결랙(200)이 상부로 이동되고 복귀된다. 즉, 상기 연결기어(142)가 1회전되면, 상기 서포터(140) 및 상기 후크(120, 130)가 1번 회동되어 복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자동으로 도어를 개방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개방장치(100)가 신속하게 복귀됨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도어의 자동개방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1)에는, 상기 개방장치(100)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개방센서(3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방센서(300) 및 이를 이용한 제어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방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기세척기(1)에는 개방센서(300)가 포함된다. 도 11에서는 상기 개방센서(300)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후크(120)를 함께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후크(120)와 결합되도록 상기 터브(10)에 형성된 결합홈(14)을 함께 도시하였다.
이때. 상기 개방센서(300)는 상기 후크(120)가 상기 결합홈(14)에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개방센서(300)는 상기 하부도어(21)와 상기 터브(10)의 결합상태를 감지하도록 설치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개방센서(300)는 상기 결합홈(14)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개방센서(300)는 상기 터브(10)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개방센서(300)는 상기 터브(10)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120)와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접촉센서에 해당된다.
즉, 상기 개방센서(300)는 상기 후크(120)가 상기 결합홈(14)에 결합된 경우 접촉을 감지하여 ON된다. 한편, 상기 개방센서(300)는 상기 후크(120)가 상기 결합홈(14)에서 분리된 경우, 접촉이 감지되지 않아 OFF된다.
정리하면, 상기 개방센서(300)는 상기 후크(120)가 상기 터브(10)에 결합되는 경우 ON되고, 상기 후크(120)가 상기 터브(10)에서 분리되는 경우 OFF된다. 다르게 말하면, 상기 개방센서(300)는 상기 도어(20)가 상기 터브(10)에 결합되는 경우 ON되고, 상기 도어(20)가 상기 터브(10)에서 분리되는 경우 OFF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1)에는, 제어부(310)가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310)는 앞서 설명한 제어장치(30)에 해당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하부도어(2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10)는 다른 구성에 배치되거나, 외부 장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앞서 설명한 전원부, 입력부(23) 및 개방입력부(24)에 의해 사용자의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전원부, 입력부(23) 및 개방입력부(24)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되는 신호가 상기 제어부(31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개방센서(300)의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개방센서(300)의 ON/OFF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모터(1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모터(110)를 작동시키거나 상기 모터(11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1)에는, 타이머(320) 및 신호발생부(3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타이머(320)는 상기 제어부(310)의 신호에 의해 소정의 시간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신호발생부(330)는 상기 제어부(310)의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전달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상기 식기세척기(1)의 식기의 세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세척실에 세척을 위한 식기가 수납되고, 상기 식기의 세척을 시작하는 신호가 입력된 상태를 전제로 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방센서(300)가 ON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즉, 상기 도어(20)가 상기 터브(10)에 결합되어 상기 세척실(11)이 폐쇄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개방센서(300)의 ON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즉, 상기 개방센서(300)가 OFF인 경우 문열림 신호를 발생한다(S20). 즉, 상기 세척실(11)이 폐쇄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문열림 신호는 앞서 설명한 신호발생부(3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개방센서(300)의 ON이 확인되면, 식기 세척을 시작한다(S30). 그리고, 식기의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세척실(11)을 개방한다(S40). 자세하게는, 상기 식기의 세척이 완료된 신호가 입력되면, 식기의 완전건조를 위해 상기 세척실(11)을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척실(11)을 개방하기 위해, 상기 모터(110)가 작동된다. 즉, 상기 식기의 세척이 완료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모터(110)가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센서(300)가 OFF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도어(20)가 상기 터브(10)에서 회동되어 상기 세척실(11)이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개방센서(300)의 OFF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즉, 상기 개방센서(300)가 ON인 경우 에러신호를 발생한다(S60). 즉, 상기 세척실(11)이 개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에러신호는 앞서 설명한 신호발생부(3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방센서(300)가 ON으로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된 경우 상기 에러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모터(110)가 작동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후크(120)가 상기 결합홈(14)에서 분리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오작동된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개방센서(300)의 OFF가 확인되면, 상기 개방센서(300)가 ON에서 OFF로 변경되는 때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상기 모터(110)를 작동시킨다(S70). 이때,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을 설정시간이라 한다. 즉, 상기 개방센서(100)가 ON에서 OFF로 변경되는 때부터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모터(11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시간은 5초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식기의 세척이 완료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모터(110)가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센서(300)가 ON에서 OFF로 전환되면, 5초동안 상기 모터(110)를 작동시키고 정지시킨다.
즉, 상기 모터(110)의 작동시작은 식기의 세척이 완료된 신호에 의해 결정되고, 작동종료는 상기 개방센서(300)가 ON에서 OFF로 전환된 후 설정시간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은 모터(110)의 제어를 통해 상기 연결돌기(155) 및 상기 연결랙(200)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개방센서(300)가 ON에서 OFF로 전환되는 경우는 상기 연결랙(200)이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후크(120)가 회동된 경우를 의미한다. 이는 상기 연결돌기(155)가 상기 첨단(225)에 배치된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이를 기준으로 설정시간 동안만 상기 모터(110)가 작동되면, 상기 연결기어(152)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된다. 즉, 상기 연결돌기(155)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이동되며, 상기 연결랙(200)도 소정의 위치로 이동된다. 그에 따라, 상기 모터(110)가 정지되면 상기 연결돌기(155) 및 상기 연결랙(200)는 항상 같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방입력부(24)에 의해 상기 세척실(11)이 개방되는 경우에는 상기 모터(110)가 작동되지 않는다. 자세하게는, 상기 개방입력부(24)에 의해 상기 세척실(11)이 개방되는 경우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세척실(11)이 개방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개방입력부(24)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개방입력부(24)는 상기 서포터(140)와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개방입력부(24)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서포터(140)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개방입력부(24)에 의해 상기 서포터(140) 및 상기 후크(120)가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입력부(24)에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서포터(140)가 복귀된다. 따라서, 이는 상기 모터(110)의 작동과 무관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한 쌍의 후크 중 하나의 후크(120)에 대해서만 설명하였다. 상기 개방센서는 다른 하나의 후크(130)에도 동일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비용의 절감을 위하여 상기 센서는 한 쌍의 후크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후크(120, 130)에 각각 개방센서(300)가 구비되는 경우, 모든 개방센서(300)가 OFF된 경우에만 식기의 세척을 시작한다. 상기 개방센서(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ON인 경우 문열림 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세척이 완료되고, 모든 개방센서(300)가 OFF된 경우 설정시간만큼 모터를 작동한다. 상기 개방센서(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ON인 경우 에러신호를 발생한다.
그에 따라, 상기 개방장치(100)가 반복적으로 동작되어도 항상 초기위치가 동일하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상기 도어(20)의 자동개방으로 인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1 : 식기세척기 10 : 터브
21 : 상부도어 22 : 하부도어
100 : 개방장치 110 : 모터
120, 130 : 후크 140 : 서포터
155 : 연결돌기 200 : 연결랙
300 : 개방센서

Claims (20)

  1. 세척실이 형성된 터브;
    상기 세척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터브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도어; 및
    상기 도어가 상기 터브에서 회동되도록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개방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개방장치에는,
    모터;
    상기 모터의 양 측으로 연장된 서포터;
    상기 서포터의 양 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터브에 결합가능하게 마련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가 상기 터브에 결합되는 경우 ON되고, 상기 후크가 상기 터브에서 분리되는 경우 OFF되는 개방센서가 포함되고,
    상기 개방센서가 ON에서 OFF로 변경되는 때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방센서가 ON에서 OFF로 변경되는 때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를 상기 터브에 분리하도록, 상기 서포터를 회전시키도록 결합되는 개방입력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방입력부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장치에는,
    상기 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서포터가 회전되도록, 상기 모터와 상기 서포터를 연결하는 기어모듈이 더 포함되고,
    상기 서포터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후크가 회전되어 상기 터브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모듈에는,
    상기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연결기어; 및
    상기 연결기어에 결합되어 상하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연결랙이 포함되고,
    상기 연결랙이 상부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서포터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어에는 회전중심에서 일 측으로 이격되고 회전방향과 수직하게 돌출된 연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랙은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서포터와 접촉되는 접촉연결부; 및
    상기 연결돌기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연결홈이 형성된 연결홈형성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홈에는 하부로 뾰족한 첨단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첨단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연결랙이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서포터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어가 1회전(360도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결랙이 상부로 이동되고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가 포함되고,
    상기 개방장치는 상기 하부도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장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부도어의 내측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도어는 상기 하부도어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실에서 식기의 세척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도어가 회동되어 상기 세척실을 개방하도록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실을 개방하도록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고, 상기 개방센서가 ON에서 OFF로 변경되는 때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센서는 상기 터브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와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접촉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6. 터브, 상기 터브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도어 및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개방장치가 포함된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터브에 결합되는 경우 ON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터브에서 분리되는 경우 OFF되는 개방센서를 확인하고,
    상기 개방센서가 ON에서 OFF로 변경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개방센서가 ON에서 OFF로 변경되는 때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상기 개방장치에 구비된 모터를 작동시키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 형성된 세척실에서 식기의 세척을 시작하는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개방센서가 ON인 경우 식기의 세척을 시작하고,
    상기 개방센서가 OFF인 경우, 문열림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 형성된 세척실에서 식기의 세척이 완료된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식기의 세척이 완료된 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모터를 작동시킨 후,
    상기 개방센서가 ON에서 OFF로 변경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개방센서가 ON에서 OFF로 변경되는 때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상기 개방장치에 구비된 모터를 작동시키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센서가 ON으로 유지되는 경우 에러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20190119080A 2019-09-26 2019-09-26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367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080A KR20210036710A (ko) 2019-09-26 2019-09-26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080A KR20210036710A (ko) 2019-09-26 2019-09-26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710A true KR20210036710A (ko) 2021-04-05

Family

ID=7546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080A KR20210036710A (ko) 2019-09-26 2019-09-26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67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8119A (ko) 가구 또는 가전제품의 선반의 슬라이딩-피봇팅 장치, 가구 및 가전제품
EP2052664B1 (en) Dishwasher
KR20110092315A (ko) 식기 세척기용 안전 장치
US11497380B2 (en) Detergent cartridge for a dishwasher incorporating detergent dispensing verification
US20150021929A1 (en) Appliance latch with uni-directional actuator
KR20050018611A (ko) 식기세척기
JP5990780B2 (ja) 食器洗い機
KR20210036710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36709A (ko) 식기세척기
US10575707B2 (en) Dishwasher appliances and user interfaces
KR20210036712A (ko) 식기세척기
US7651232B2 (en) Domestic appliance and switch for application in a domestic appliance
KR20210036711A (ko) 식기세척기
US7927431B2 (en) Switch assembly support system for a dishwashing appliance,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
US5001910A (en) Control system
US9307886B2 (en) Indexing passive diverter for an appliance
KR100566618B1 (ko) 식기 세척기
JP5315133B2 (ja) 食器洗浄機
JP2007007457A (ja) 食器洗い機
WO2020069801A1 (en) A dishwasher comprising a detergent dispenser
EP2101627B1 (en) A dishwasher
US119691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unintentional button activation and implementing an automatic response
KR102058074B1 (ko) 식기세척기
KR101860539B1 (ko) 리드스위치부를 갖는 세탁기 도어 이중 잠금장치
KR20060095353A (ko) 식기세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