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8119A - 가구 또는 가전제품의 선반의 슬라이딩-피봇팅 장치, 가구 및 가전제품 - Google Patents

가구 또는 가전제품의 선반의 슬라이딩-피봇팅 장치, 가구 및 가전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8119A
KR20170118119A KR1020177025279A KR20177025279A KR20170118119A KR 20170118119 A KR20170118119 A KR 20170118119A KR 1020177025279 A KR1020177025279 A KR 1020177025279A KR 20177025279 A KR20177025279 A KR 20177025279A KR 20170118119 A KR20170118119 A KR 20170118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shelf
furniture
pivoting devic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벤자민 벡스터모엘러
다니엘 레하게
Original Assignee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70118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1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47B46/00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by displacement in a vertical plane; by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60Tiltably- or pivotally-arrang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6Arrangements for lifting rack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7Arrangements for extracting racks, e.g. roll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8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with telescopic rail system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 또는 가전제품의 바디(2)로부터 선반(11)을 인출 및 들어올리기 위한 가구 또는 가전제품의 선반(11)의 슬라이딩-피봇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딩-피봇팅 장치는, 측벽(21, 22)의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회전되고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2)의 상기 측벽(21, 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1 단부와 고정되는 적어도 2개의 피봇 암(3, 4); 상기 바디(2) 내부의 하부 위치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바디(2)의 외부로 상승된 상부 위치로 회전 가능하여 상기 측벽(21, 22)의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5); 및 상기 선반(15)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5)에서 선형적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레일(6);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위치와 상기 하부 위치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중간 위치에 상기 선반(11)의 로킹을 위해 상기 가이드 레일(5) 및 상기 피봇 암(3, 4)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선반(11) 또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6) 상에 고정된 분리 유닛(9)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로킹 장치;를 더 포함한다.
나아가, 가구 및 가전제품이 더 설명된다.

Description

가구 또는 가전제품의 선반의 슬라이딩-피봇팅 장치, 가구 및 가전제품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에 따라 가구 또는 가전제품의 바디로부터 선반을 인출 및 들어올리기 위한 가구 또는 가전제품의 선반의 슬라이딩-피봇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나아가 슬라이딩-피봇팅 장치를 구비하는 가구 또는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슬라이딩-피봇팅 장치는 예를 들어 WO 2014/033092 A1에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상기 슬라이딩-피봇팅 장치는 실제로 그 자체로 증명되었다.
완성된 슬라이딩-피봇팅 절차가 더 신뢰성 있게 결정될 수 있고 가능한 최소의 힘으로 상기 선반의 언로딩 위치에 달성되도록 선반의 언로딩 위치에 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가지는 가구 또는 가전제품의 슬라이딩-피봇팅 장치, 청구항 11의 특징을 가지는 가구 및 청구항 12의 특징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슬라이딩-피봇팅 장치는 제1 단부에서 상기 바디의 측벽의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는 적어도 2개의 피봇 암을 구비하며, 따라서 이들은 상기 측벽의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회전 가능하고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다.
가이드 레일은 상기 피봇 암들의 제2 단부에 각각 고정되며, 따라서 이는 상기 측벽의 평면과 평행하게 회전되며, 따라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바디의 내부의 하부 위치로부터 상승되어 상기 바디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의 상부 위치로 회전된다.
선반이 고정되며 선형적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레일은 상기 선반의 양 측의 상기 가이드 레일에서 이동한다.
상기 슬라이딩-피봇팅 장치는 나아가 상기 피봇 암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 배치되고, 상기 선반 또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고정된 분리 유닛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위치와 상기 상부 위치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중간 위치에 상기 선반을 로킹하기 위해 사용되는 로킹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선반이 상기 분이 유닛의 도움으로 분리될 수 있는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선반의 로킹에 의해, 사용자가 로킹이 해제 되었는지 여부 및 언제 로킹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분리 유닛의 작동에 의해 능동적으로 해제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선반이 로킹될 수 있는 상기 하부 위치와 상기 상부 위치의 중간인 상기 선반의 중간 위치는 사용자가 큰 힘의 적용 없이 상기 중간 위치의 상기 전체 선반에 완전한 접근을 가진다는 이점이 있다.
동시에, 슬라이딩-피봇팅 장치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의 경우, 바스켓으로 설계된 선반의 전방 모서리는 상기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전방 모서리를 넘어 돌출되지 않으며,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접시 바스켓이 일반적인 인출을 통해 장착된 경우, 깨끗한 접시에 잔류하는 물은 상기 식기 세척기의 도어를 넘어 바닥에 떨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의 변형은 종속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킹 장치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방향으로 돌출된 핀을 구비하며, 스프링이 장착되고 상기 피봇 암들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한 웹을 구비하고, 이는 적어도 3개의 로킹 포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 고정된 가이드 요소를 따라 가이드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홈으로 형성된 상기 가이드 요소의 상기 로킹 포인트들은 상기 피봇 암들의 각각의 위치의 확실한 유지를 보장한다.
상기 핀은 상기 스프링-마운트 웹에 의한 스프링 프리 텐션에 의해 상기 로킹 포인트들에 도달할 때 각각의 홈 내로 가압된다.
제1 로킹 포인트에서 상기 선반은 상기 하부 위치에 위치하고, 제2 로킹 포인트에서 상기 선반은 상기 중간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핀이 제3 로킹 포인트로 후퇴될 때 상기 선반은 상기 상부 위치로 위치한다.
이러한 로킹 위치를 언 로킹하기 위한 분리 유닛은 이에 연결된 작동 요소를 통해 작동 가능하다.
상기 작동 요소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핸들부, 특히 핸들 레버, 회전 핸들 또는 작동 버튼으로 설계된다.
상기 작동 요소와 상기 분리 유닛 간의 연결은 이 경우에 기계적 트랜스미션 수단, 예를 들어 브레이크 케이블(Bowden cable)을 통해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푸쉬 로드, 기어 유닛, 벨트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른 트랜스미션 수단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식기 세척기와 같은 가전제품의 슬라이딩-피봇팅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힘에 의해 이동되는 기계적 트랜스미션 수단을 사용하는 것은 전기 에너지의 추가적인 소모를 방지한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기계적 트랜스미션 수단의 사용의 경우 전기적 트랜스미션 수단의 경우와 같은 습기에 대한 절연이 필요하지 않다.
상기 슬라이딩-피봇팅 장치의 상기 분리 유닛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 요소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에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이것의 사용으로 핀이 이동될 수 있고, 특히 상기 로킹 포인트의 외부로 가압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정지부는 상기 피봇 암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고, 가구 또는 가전제품의 상기 바디내의 상기 선반의 수평 운동은 상기 정지부에 대해 상기 하우징을 정지 시킴으로서 전체 회전 범위를 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억압되거나 완전히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선반의 언 래치(unlatching)가 완료된 후에 상기 바디로 상기 선반을 푸싱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반의 로킹 위치에 도달하는 것은 청각적으로 인지 가능하고 따라서 사용자에게 소정의 위치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다는 피드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a는 바디에 완전히 푸쉬된 선반을 구비하고, 바디에 설치된 슬라이딩-피봇팅 장치의 사시도.
도 1b는 가이드 요소의 제1 실시예를 구비하는 도 1a에 따른 바디로 넣어진 선반의 위치에서의 슬라이딩-피봇팅의 단면도.
도 1c는 가이드 요소의 제2 실시예를 구비하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선반의 위치에서의 가이드 요소의 핀의 위치를 도시한 상세도.
도 2a 내지 도 2c는 피봇 암의 피봇팅 운동을 위해 해제된 위치로 바디의 수평 외부로 연장된 선반의 도 1a 내지 도 1c에 대하는 슬라이딩-피봇팅 장치를 도시.
도 3a는 중간 위치에 래치된 위치에서 몸체에 고정된 슬라이딩-피봇팅 장치의 사시도.
도 3b 및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잠긴 중간 위치에서 도 1b 및 도 1c에 따른 슬라이딩-피봇팅 장치를 도시.
도 3d는 도 3a에 도시된 위치에 잠금된 선반에서 비 작동 위치의 분리 유닛의 측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분리 유닛에 의해 잠금 해제되는 슬라이딩-피봇팅 장치의 중간 위치에서 도 3a 내지 도 3d에 따른 슬라이딩-피봇팅 장치를 도시.
도 5a 내지 도 5d는 선반이 상부 위치에 잠금된 상태에서 도 3a 내지 도 3d에 따른 슬라이딩-피봇팅 장치를 도시.
도 6a 내지 도 6d는 상부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된 슬라이딩-피봇팅 장치의 위치에서 도 5a 내지 도 5d에 따른 슬라이딩-피봇팅 장치를 도시.
도 7a는 분리 유닛에 작동 요소를 연결하는 전달 수단 및 작동 요소를 도시한 슬라이딩-피봇팅 장치의 도 1a에 대응되는 사시도.
도 7b 및 도 7c는 분리 유닛의 다른 상세도.
도 7d 및 도 7e는 잠금 위치에 위치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분리 유닛의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e는 가구 또는 가전제품의 바디로 완전히 후퇴되기 전, 아래 쪽으로 피봇되어 상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의 선반의 후퇴 동안 이동 순서를 설명하기 위해, 슬라이딩-피봇팅 장치에 고정된 선반을 구비하는 가구 또는 가전제품의 측면도.
도 9a 내지 도 9d는 분리 유닛을 작동시키기 작동 요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하기의 설명에서, 상부, 하부, 좌측, 우측, 전측, 후측 등과 같은 용어는 각 도면에서 선택된 슬라이딩-피봇팅 장치, 선반, 피봇 암, 분리 유닛, 가이드 요소 등의 오로지 예시적인 설명 및 위치와 관련 있다.
이러한 용어는 제한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는 다양한 작동 위치 또는 거울-대칭 디자인 등으로 인해 이러한 레퍼런스가 변경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a에서, 가구 또는 가전제품의 바디는 참조번호 2로 식별된다.
선반(11)을 인출하고 올리기 위한 슬라이딩-피봇팅 장치는 상기 바디(2)의 측벽(21, 22)에 각각 고정된다.
이 경우, 이러한 슬라이딩-피봇팅 장치들은 적어도 2개의 피봇 암(3, 4)을 구비한다.
상기 피봇 암(3, 4)은 상기 바디(2)의 상기 측벽(21, 22) 상에 고정되고,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월 홀도(10) 상에 고정되며, 제1 단부(31, 41)와 함께 상기 측벽(21, 22) 중 하나에 차례로 고정되고, 따라서 이들은 상기 측벽(21, 22)의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회전 가능하고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5)은 상기 피봇 암(3, 4)의 제2 단부(32, 42) 각각에 상기 측벽(21, 22)의 평면에 평행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레일(5)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디(2)의 내부의 하부 위치로부터 도 5a 및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디(2)의 외측의 상부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피봇팅 장치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세부 내용은 WO 2014/033092 A1에 보다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상기 슬라이딩-피봇팅 장치의 많은 세부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상기 바디(2)의 내부에 완전히 수납된 위치로부터 상기 선반(11)의 이동은 이 경우에 상기 가이드 레일(5)에 직선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선반(11)에 고정된 슬라이드 레일(6)에 의해 가능하다.
도 1b 및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피봇팅 장치는 상기 선반(11)을 여러 위치에 로킹하기 위해 상기 피봇 암(3, 4) 중 하나 및 상기 가이드 레일(5)에 배치된 로킹 장치를 구비한다.
이 경우, 가이드 요소(7')의 제1 변형예는 도 1b에 도시되어 있고, 가이드 요소(7)의 제2 변형예는 도 1c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로킹 장치는 바람직하게 이 경우 상기 피봇 암(3, 4) 상에서 회전 가능하고, 적어도 3개의 로킹 포인트(71, 72, 73)를 구비하는 가이드 요소(7, 7')를 따라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레일(5) 상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5)의 방향으로 돌출된 핀(121)을 구비하는 스프링-마운트 웹(12)을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마운트 웹(12)에 의한 스프링 텐션으로 인해, 상기 핀(121)은 상기 로킹 포인트(71, 72, 73)의 각각에 도달할 때 홈으로 가압된다.
상기 제1 로킹 포인트(71)에서 상기 선반(11)은 하부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로킹 포인트(72)에서 상기 선반(11)은 중간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3 로킹 포인트(73)으로 상기 핀(121)이 후퇴할 때 상기 선반(11)은 상부 위치로 위치한다.
상기 핀(121)은 도 1a에 도시된 상기 바디(2)의 내부의 상기 선반(11)의 위치에서 상기 제1 로킹 포인트(71)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피봇팅 장치의 회전 운동은 차단된다.
상기 핀(121)은 상기 제2 피봇 암(4)의 제2 단부(42)에서 직사각형 홀(44)에 가이드되며 상기 로킹 포인트(71)에 탄성적으로 프리 텐션된다.
적어도 하나의 작동 요소(8)는 상기 선반(11)의 전방 모서리 상에 고정되고,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특히 브레이크 케이블(Bowden cable)인 트랜스미션 수단(82)을 통해 상기 로킹 장치의 언 로킹을 위해 사용되는 분리 유닛(9)과 연결된다.
상기 분리 유닛(9)은 여기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선반(11)의 후방 영역에 고정된다.
상기 슬라이딩 레일(6) 상에 상기 분리 유닛(9)의 고정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공유된 작동 요소에 의해 작동되는 분리 유닛(9)은 상기 선반(11)의 로킹 장치의 동기화된 언 로킹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선반(11)의 양 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분리 유닛(9)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분리 유닛(9)은 상기 분리 유닛(9)을 상기 선반(11) 또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6)에 고정하기 위해 하우징 베이스(91), 상기 작동 요소(8)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94)에서 이동되는 슬라이드(95)를 구비하는 하우징(93)을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드(95)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후측에 엔드 피스에 브레이크 케이블이 놓여짐으로서 구현되는 상기 기계적인 트랜스미션 수단(82)의 플러그(83)에 의해 종결되는 세로 슬롯(952)을 구비하는 웹(951)을 구비한다.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은 편향 요소(92) 상의 가이드 슬롯(921)에 상기 웹(951) 에 수용된다.
상기 작동 요소(8)의 작동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82)은 상기 가이드(94) 내의 상기 슬라이드(95)를 상기 편향 요소(92)의 방향으로 상측으로 당기며, 동시에,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핀(121)을 상기 가이드 요소(7)의 상기 로킹 포인트(72) 밖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피봇팅 장치는 현재 위치로부터 언 로킹된다.
언 로킹이 완료된 후, 상기 선반(11)은 상측 위치로 또는 하측 위치로 더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요소(7')의 제1 변형예에서(도 1b에 도시됨), 상기 작동 요소(8)의 작동은 언 로킹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상기 분리 유닛(9)의 추가적인 설계는 도 2 내지 도 6에 기초하여 가구의 바디(2)로부터 상기 선반(11)의 예시적인 인출 및 상승 절차에 기초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2a 내지 도 2c는 상기 선반이 상기 바디(2)의 인테리어(23)로부터 외부로 수평 이동 후를 도시한다.
도 2b 및 도 2c에 볼 수 있듯이, 상기 선반의 수평 이동 동안, 상기 분리 유닛(9)은 상기 바디(2)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상기 선반(11)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분리 유닛(9)의 상기 가이드(94)의 전방 웹(96)은 인출 방향(x)으로 상기 가이드 요소(7)의 제1 로킹 포인트(71)의 외부로 상기 핀(121)을 가압하며, 따라서 상기 피봇 암(3, 4)의 상승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언 로킹은 이 경우 상기 작동 요소(8)의 작동을 요구하지 않는다.
도 3a는 상기 선반(11)이 도 1a에 도시한 하부 위치와 도 5a에 도시한 상부 위치의 사이인 중간 위치에 위치한 것을 도시한다.
이 경우, 상기 피봇 암(3, 4)은 초기의 수직 위치로부터 경사진 위치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된다.
도 3b 및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운동 동안, 상기 핀(121)은 캠을 통해 상기 제1 캐치 포인트(71)로부터 제2 캐치 포인트(72)로 이동된다.
상기 제2 로킹 포인트(72)는 상기 2개의 로킹 포인트(71, 72) 사이에 형성된 캠에 의해 언 로킹 없이 하부 위치로 다시 독립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상부 위치로의 상기 선반(11)의 직접적인 추가적인 이동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조적으로, 상기 가이드 요소(7)의 형성에 의해 방해받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선반(11)은 필요하다면 도 2a에 도시된 하부 위치로부터 도 5a에 도시된 상부 위치로 직접적으로 상승될 수 있다.
도 1b에 따른 상기 가이드 요소(7')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부 위치로의 추가적인 상기 선반의 이동은 상기 2개의 로킹 포인트(72, 73) 사이에 형성된 캠에 의해 방지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선반(11)은 상기 작동 요소(8)의 도움으로 능동적인 언 로킹에 의해 상부 위치로 더 상승될 수 있다.
도 3b 및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95)는 상기 가이드(94) 내의 위치의 상기 작동 요소(8)의 비 작동 상의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핀(121)은 상기 스프링-마운트 웹(12)에 의해 프리-텐션 때문에 상기 제2 로킹 포인트(72)의 잠금 위치에 유지된다.
이 경우, 상기 핀(121)은 상기 선반(11)의 수평 이동 중에 인렛 채널(97)을 통하여 상기 언로킹 웹(96)을 향해 이동한다.
상기 피봇 암(3, 4)의 후속적인 회전 동안, 상기 핀(121)은 상기 분리 유닛(9)의 상기 가이드(94)내의 상기 언로킹 웹(96)을 따라 가이드 되어 상기 슬라이드(95) 위로 이동된다.
상기 작동 요소(8)의 비 작동의 경우, 상기 핀(121)은 상기 스프링-마운트 웹(12)에 의해 상기 제2 로킹 포인트(72)로 가압된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약 상기 작동 요소(8)가 작동되면, 도 4b 및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95)는 상기 가이드(94)에서 상측으로 가압되고, 동시에 상기 스프링-마운트 웹(12)에 의한 프리 텐션에 대항하여 상기 제2 로킹 포인트(72)의 외부로 상기 핀(121)을 가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 요소(7)의 사용 시에, 상기 선반(11)은 상기 가이드 요소(7)가 상기 제2 로킹 포인트(72)위에 경사를 가지므로 힘의 인가에 의해 상부로 가압될 수 있다.
도 5a는 상단 위치의 상기 선반(11)을 도시한다.
도 5b 및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핀(121)은 상기 스프링-마운트 웹(12)에 의한 프리 텐션으로 인해 상기 가이드 요소(7)의 상기 제3 로킹 포인트(73)에 삽입된다.
이 경우, 상기 제3 로킹 포인트(73)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요소(7)는 상기 선반(11)의 밀어 넣는 방향으로 정지부(74)를 형성한다.
상기 선반(11)의 푸싱은 바람직하게 이 경우 상기 피봇 암(3, 4) 중 어느 하나,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피봇 암(4) 상에 배치되고, 상기 피봇 암(3, 4)의 전체 회전 이동 동안 상기 하우징(93)을 가압하는 정지부(43)에 의해 전체 회전 절차 동안 방지된다.
상기 선반(11)을 상부 위치로부터 다시 하부 위치로 회전 시키기 위해, 상기 핀(121)은 상기 제3 로킹 포인트(73)의 외부로 가압되어야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 요소(8)는 다시 작동되어야 하고, 이는 상기 가이드(94) 내의 상기 분리 유닛(9)의 상기 슬라이드(95)의 상부로의 이동을 가져다 온다.
동시에, 상기 핀(121)은 도 6b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으로 형성된 상기 제3 로킹 포인트(73)로부터 외부로 가압된다.
상기 작동 요소(8)는 이 경우에 다르게 설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 요소(8)는 핸들로서, 특히 작동 핸들(81)을 구비하는 핸들 레버로서 설계된다.
상기 핸들 레버는 이 경우에 스스로 상기 선반(11) 상에서 또는 상기 선반(11) 상에 고정된 로드(111)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a에 도시된 변형된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 요소(8)는 자전거의 핸드브레이크 레버와 유사한 핸드 레버(81)로 설계된다.
도 9b에 도시된 변형된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 요소(8')는 로드(111) 상의 두 포인트(84)로 배치되고, 사용자는 상기 로드(111)에 대항하여 상기 작동 핸들(81')을 가압하여 상기 분리 유닛(9)을 작동시킨다.
도 9c에서, 상기 작동 요소(8'')는 상기 로드(111)에 대해 상기 작동 핸들(8'')을 회전시켜 작동된다.
도 9d에 도시된 또 다른 변형예에서, 상기 작동 요소(8''')는 상기 로드(11) 상에 배치된 하우징(85''')을 구비하는 푸쉬버튼(81''')으로 설계된다.
상기 작동 요소(8, 8', 8", 8'")의 모든 변형예에서, 이는 기계적인 트랜스미션 수단982)에 의해 상기 분리 유닛(9)에 연결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e는 식기 세척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가구 또는 가전제품(1)의 상기 슬라이딩-피봇팅의 슬라이딩-피봇 절차를 다시 한번 도시한다.
세척 바스켓으로 설계된 상기 선반(11)의 상부 위치에서, 상기 선반(11)의 선단 모서리가 상기 식기 세척기 도어(24)의 선단 모서리를 넘어 돌출되지 않는 것을 도 8a에서 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세척 바스켓에 위치된 또는 상기 바스켓에 실리는 중의 접시 상에 남아있는 물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액체 또는 음식물 찌꺼기가 상기 가전제품(1)이 위치된 바닥 상에 쏟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대조적으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가적인 미들 레일(6a)을 포함하는 완전히 인출된 상기 선반(11')에서, 상기 선반(11')의 선단 모서리는 상기 식기 세척기 도어(24)의 선단 모서리를 넘어 돌출한다.
그러나, 선택적으로 하부 위치로 상기 하부 선반(11')에 대한 완전한 접근을 구현하기 위해서, 완전한 인출의 사용이 필요하다.
상기 선반(11)이 로킹되는 도 8c에 도시된 중간 위치에서, 상기 선반(11)은 상기 식기 세척기 도어(24)의 선단 모서리를 넘어 돌출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선반(11)의 내용물에 대한 완전한 접근은 이러한 중간 위치에서 또 다시 가능하다.
도 8d 및 도 8e는 상기 선반(11)이 상기 가전제품(1)의 상기 본체(2)로 푸쉬되기 전의 하부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다.
또한, 상부 선반(13)은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선형 이동에 의해 상기 본체(2)에 대해여 이동 가능하다.
1: 가구 또는 가전제품
2: 바디
21: 측벽
22: 측벽
23: 인테리어
24: 식기 세척기 도어
3: 피봇 암
31: 제1단부
32: 제2 단부
4: 피봇 암
41: 제1 단부
42: 제2 단부
43: 정지부
44: 직사각형 홀
5: 가이드 레일
6, 6': 슬라이드 레일
6a': 미들 레일
7, 7': 가이드 요소
71: 로킹 포인트
72: 로킹 포인트
73: 로킹 포인트
74: 정지부
8, 8'': 작동 요소
81: 핸드 레버
81', 81'': 핸들
81''': 푸쉬버튼
82: 트랜스미션 수단
83: 플러그
84': 포인트
85''': 하우징
9: 분리 유닛
91: 하우징 베이스
92: 편향 요소
921: 가이드 슬롯
93: 하우징
94: 가이드
95: 슬라이드
951: 웹
952: 세로 슬롯
96: 언로킹 웹
97: 인렛 채널
10: 사이드 월 홀더
11, 11': 선반
111: 로드
12: 웹
121: 핀
13: 선반
X: 인출 방향

Claims (13)

  1. 가구 또는 가전제품의 바디(2)로부터 선반(11)을 인출 및 들어올리기 위한 가구 또는 가전제품의 선반(11)의 슬라이딩-피봇팅 장치에 있어서,
    측벽(21, 22)의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회전되고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2)의 상기 측벽(21, 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1 단부와 고정되는 적어도 2개의 피봇 암(3, 4);
    상기 바디(2) 내부의 하부 위치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바디(2)의 외부로 상승된 상부 위치로 회전 가능하여 상기 측벽(21, 22)의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피봇 암(3, 4)의 각각의 제2 단부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5); 및
    상기 선반(15)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5)에서 선형적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레일(6);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위치와 상기 하부 위치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중간 위치에 상기 선반(11)의 로킹을 위해 상기 가이드 레일(5) 및 상기 피봇 암(3, 4)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선반(11) 또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6) 상에 고정된 분리 유닛(9)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로킹 장치;를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피봇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장치는,
    상기 가이드 레일(5)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핀(121)을 구비하며, 상기 피봇 암(3, 4)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한 스프링-마운트 웹(12)을 구비하고,
    적어도 3개의 로킹 포인트(71, 72, 73)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5)에 고정되는 가이드 요소(7, 7')를 따라 가이드 되는,
    슬라이딩-피봇팅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유닛(9)은,
    상기 분리 유닛에 연결된 작동 요소(8, 8', 8", 8'")를 통해 작동 가능한,
    슬라이딩-피봇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요소(8', 8")는,
    핸들인,
    슬라이딩-피봇팅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요소(8', 8")는,
    핸드 레버(81)인,
    슬라이딩-피봇팅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요소(8'")는,
    작동 버튼인,
    슬라이딩-피봇팅 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요소(8, 8', 8", 8'")는,
    상기 분리 유닛(9)에 기계적 트랜스미션 수단(82)을 통해 연결되는,
    슬라이딩-피봇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트랜스미션 수단(82)은,
    브레이크 케이블(Bowden cable)인,
    슬라이딩-피봇팅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유닛(9)은,
    상기 핀(121)이 상기 로킹 포인트(71, 72, 73)의 외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작동 요소(8, 8', 8", 8'")에 의해 가이드(94)에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95)를 구비하는 하우징(93)을 구비하는,
    슬라이딩-피봇팅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정지부(43)는 상기 피봇 암(3, 4)들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피봇 암(3, 4)의 회전 이동의 일부 동안, 상기 가구 또는 상기 가전제품의 상기 바디(2)내의 상기 선반(11)의 수평 이동은,
    상기 정지부(43)에 대한 상기 하우징(93)의 정지에 의해 방지되는,
    슬라이딩-피봇팅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11)의 로킹 위치의 적어도 하나는,
    청각적으로 인지가능한,
    슬라이딩-피봇팅 장치.
  12. 가구 바디(2) 및 상기 가구 바디(2)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11, 11')을 구비하며, 상기 선반(11, 11')을 상기 가구 바디(2)로부터 인출 및 들어올릴 수 있는 슬라이딩-피봇팅 장치를 사용하는 가구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피봇팅 장치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설계되는,
    가구.
  13. 가전제품, 사용 가능 공간, 특히 세척 공간(23) 또는 조리 공간의 내부 측에 고정된 특히 적어도 하나의 선반(11)을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또는 조리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선반(11)을 상기 사용 가능 공간으로부터 인출 및 들어올릴 수 있는 슬라이딩-피봇팅 장치를 사용하는 가전제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피봇팅 장치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설계되는,
    가전제품.
KR1020177025279A 2015-02-19 2016-02-15 가구 또는 가전제품의 선반의 슬라이딩-피봇팅 장치, 가구 및 가전제품 KR201701181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02390.3A DE102015102390A1 (de) 2015-02-19 2015-02-19 Schiebe-Schwenkmechanik einer Ablage eines Möbels oder Haushaltsgerätes, Möbel und Haushaltsgerät
DE102015102390.3 2015-02-19
PCT/EP2016/053171 WO2016131775A1 (de) 2015-02-19 2016-02-15 Schiebe-schwenkmechanik einer ablage eines möbels oder haushaltsgerätes, möbel und haushaltsgerä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119A true KR20170118119A (ko) 2017-10-24

Family

ID=55359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279A KR20170118119A (ko) 2015-02-19 2016-02-15 가구 또는 가전제품의 선반의 슬라이딩-피봇팅 장치, 가구 및 가전제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2) EP3261489B1 (ko)
KR (1) KR20170118119A (ko)
CN (1) CN107249386B (ko)
DE (1) DE102015102390A1 (ko)
WO (1) WO20161317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0310B4 (de) * 2017-06-20 2023-06-29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CN107289725A (zh) * 2017-07-17 2017-10-24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抽屉组件以及冰箱
CN109900061A (zh) * 2017-12-08 2019-06-18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冰箱的搁板安装结构以及冰箱
CN108392664B (zh) * 2018-03-14 2023-04-28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升降机构和消毒设备
DE102018111663A1 (de) * 2018-05-15 2019-11-21 Paul Hettich Gmbh & Co. Kg Schiebe-Schwenkmechanik einer Ablage eines Möbels oder Haushaltsgerätes und Möbel oder Haushaltsgerät
DE102018132802A1 (de) * 2018-05-15 2019-11-21 Paul Hettich Gmbh & Co. Kg Schiebe-Schwenkmechanik einer Ablage eines Möbels oder Haushaltsgerätes und Möbel oder Haushaltsgerät
JP7381559B2 (ja) 2018-08-21 2023-11-15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材料の帯を捲縮するための装置
CN111374618B (zh) * 2018-12-28 2024-03-08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
IT201900003031A1 (it) * 2019-03-01 2020-09-01 Gimatic S R L Pinza per manipolatori industriali
DE102019107389A1 (de) * 2019-03-22 2020-09-24 Paul Hettich Gmbh & Co. Kg Schiebe-Schwenkmechanik für eine Ablage eines Möbels oder Haushaltsgerätes und Möbel bzw. Haushaltsgerät
DE102019107385A1 (de) * 2019-03-22 2020-09-24 Paul Hettich Gmbh & Co. Kg Schiebe-Schwenkmechanik für eine Ablage eines Möbels oder Haushaltsgerätes und Möbel bzw. Haushaltsgerät
CN110584341B (zh) * 2019-09-30 2021-03-09 泰州宜科科技咨询有限公司 一种固定式防盗档案保险柜
CN114209157B (zh) * 2021-12-17 2022-12-09 云阳县天景初级中学 一种用于公共教室的卫生课桌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7311A (en) * 1956-07-19 1960-08-02 Hobart Mfg Co Dishwasher
US2919966A (en) * 1957-04-01 1960-01-05 Acme Appliance Mfg Company Retractable shelf
US3726580A (en) * 1971-06-01 1973-04-10 Gen Electric Rack level adjustment apparatus in an appliance cabinet
US5308158A (en) * 1992-08-20 1994-05-03 Doug Vogelgesang Pull down storage shelf assembly
IT1289498B1 (it) * 1996-12-20 1998-10-15 Smeg Spa Dispositivo di variazione della posizione in altezza per cestello di lavastoviglie regolabile ad altezze diverse
IT1317804B1 (it) * 2000-06-05 2003-07-15 Candy Spa Lavastoviglie con cestello regolabile in altezza
CN1883337A (zh) * 2005-06-21 2006-12-27 世塑有限公司 电动升降式储物柜
US7731805B2 (en) * 2006-11-30 2010-06-08 General Electric Company Dishwasher rack lift system
DE202009004771U1 (de) * 2009-04-30 2010-09-09 Paul Hettich Gmbh & Co. Kg 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einer in einem Haushaltsgerät über mindestens eine Auszugsführung geführten Ablage
CN202074775U (zh) * 2011-03-01 2011-12-14 海尔集团公司 升降搁物装置及冰箱
DE102012107993A1 (de) 2012-08-29 2014-03-06 Paul Hettich Gmbh & Co. Kg Schiebe-Schwenkmechanik einer Ablage eines Möbels, Möbel und Geschirrspüler
CN203850699U (zh) * 2014-05-20 2014-09-24 万控集团有限公司 一种低压抽出式抽屉用组合式推进联锁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5102390A1 (de) 2016-08-25
CN107249386A (zh) 2017-10-13
EP3261489A1 (de) 2018-01-03
WO2016131775A1 (de) 2016-08-25
EP3261489B1 (de) 2019-01-30
CN107249386B (zh) 2019-10-25
EP3473133A1 (de) 201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8119A (ko) 가구 또는 가전제품의 선반의 슬라이딩-피봇팅 장치, 가구 및 가전제품
KR102002419B1 (ko) 식기세척기
US9993072B2 (en) Sliding-pivoting mechanism of a shelf of a piece of furniture or of a domestic appliance, piece of furniture, and domestic appliance
US10876331B2 (en) Appliance door lock
KR102345178B1 (ko) 식기 세척기의 상승된 하부 랙의 잠금 해제 기구
KR20170118109A (ko) 가구 품목 또는 가전 기기의 선반용 슬라이딩 및 리프팅 메커니즘, 가구 및 가전 기기
JP5158121B2 (ja) 食器洗い機
US8567882B1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rack assemblies of appliances
KR20140120883A (ko) 잠금 디바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장치
JP2017524401A (ja) 家具の一部又は家庭用器具である棚のスライド回転機構、家具の一部、家庭用器具
CN113423305B (zh) 用于家具或家用电器的搁架的滑动枢转机构以及家具或家用电器
CN112135550B (zh) 家具或家用电器的架子的滑动枢转机构以及家具或家用电器
CN101991396B (zh) 洗碗机、尤其家用洗碗机
JP2008073474A (ja) キッチン設備
EP3067458B1 (en) Detergent box assembly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JP2009050331A (ja) 収納ユニット
CN111374618B (zh) 洗碗机
KR10241332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CN219012251U (zh) 洗碗机
JP5973327B2 (ja) 食器洗浄機
US20140190531A1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rack assemblies for appliances
CN114468610B (zh) 一种抽屉柜
JP2014069025A (ja) 食器洗い機
JP2005087265A (ja) 引き出し装置
KR20230063708A (ko) 식기세척기용 도어 자동 개폐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