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589A -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589A
KR20210012589A KR1020190090585A KR20190090585A KR20210012589A KR 20210012589 A KR20210012589 A KR 20210012589A KR 1020190090585 A KR1020190090585 A KR 1020190090585A KR 20190090585 A KR20190090585 A KR 20190090585A KR 20210012589 A KR20210012589 A KR 20210012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
hole
bush
cover portion
en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현승
문치명
박창언
신인철
임권수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0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2589A/ko
Publication of KR20210012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5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 F04C29/065Noise dampening volumes, e.g. muffler chambers
    • F04C29/066Noise dampening volumes, e.g. muffler chambers with means to enclose the source of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3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the compres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21Systems for the equilibration of forces acting on the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5Fastening means, e.g. bo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05B2260/301Retaining bolt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05B2260/962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by means creating "anti-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를 수용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을 감싸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마운팅 볼트에 의해 차량에 장착되는 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러그까지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압축기구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차량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축기{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로부터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차량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A/C)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장치의 냉방시스템은 증발기로부터 인입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로 압축시켜 응축기로 보내기 위한 압축기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압축기는 케이싱(110) 및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압축기구(12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110)은 마운팅 볼트에 의해 차량에 장착되는 러그(115)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압축기에 있어서는, 압축기구(120)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차량으로 전달되어, 차량의 탑승자에게 피로와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5420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압축기구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차량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를 수용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을 감싸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마운팅 볼트에 의해 차량에 장착되는 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러그까지 감싸도록 형성되는 압축기를 제공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러그를 감싸는 러그 커버부 및 상기 케이싱에서 상기 러그를 제외한 부분을 감싸는 메인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러그 커버부는 상기 러그 커버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부시가 삽입되는 포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켓은 상기 부시를 사전에 결정된 위치로 포지셔닝 시키는 포지셔닝 면을 포함하고, 상기 부시는 상기 포지셔닝 면에 안착되는 안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러그는 상기 차량에 대향되는 제2 러그 선단면 및 상기 제2 러그 선단면의 배면을 이루는 제1 러그 선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러그 커버부는 상기 제1 러그 선단면을 감싸는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 및 상기 제2 러그 선단면을 감싸는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러그는 상기 제1 러그 선단면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제2 러그 선단면의 외주부까지 연장되는 러그 외주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러그 커버부는 상기 러그 외주면을 감싸는 러그 외주면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러그는 상기 제1 러그 선단면으로부터 상기 제2 러그 선단면까지 상기 러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러그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는 상기 러그 관통공에 연통되는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는 상기 러그 관통공에 연통되는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은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 관통공에 연통되는 차량 마운팅 홀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볼트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레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가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를 기준으로 상기 러그의 반대측에 위치되고, 상기 레그부가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 관통공, 상기 러그 관통공,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차량 마운팅 홀에 삽입 체결되고,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가 상기 헤드부와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가 상기 차량과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부시는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가 상기 헤드부와 상기 러그에 의한 압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에 형성되는 제1 부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시는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보다 탄성계수가 작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는 상기 헤드부에 접촉되는 제1 벽부 및 상기 제1 러그 선단면에 접촉되는 제2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켓은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포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시는 상기 제1 포켓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 관통공은 상기 제1 벽부에 형성되는 제1 홀 및 상기 제2 벽부에 형성되는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시는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과 연통되는 제1 부시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포켓은 상기 제1 부시가 상기 제1 포켓에 삽입되면 상기 제1 부시 관통공이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1 부시를 사전에 결정된 위치로 포지셔닝시키는 제1 포지셔닝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시는 상기 제1 포지셔닝면에 안착되는 제1 안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시는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가 상기 차량과 상기 러그에 의한 압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에 형성되는 제2 부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시는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보다 탄성계수가 작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는 상기 제2 러그 선단면에 접촉되는 제3 벽부 및 상기 차량에 접촉되는 제4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켓은 상기 제3 벽부와 상기 제4 벽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포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시는 상기 제2 포켓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 관통공은 상기 제3 벽부에 형성되는 제3 홀 및 상기 제4 벽부에 형성되는 제4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시는 상기 제3 홀 및 상기 제4 홀과 연통되는 제2 부시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포켓은 상기 제2 부시가 상기 제2 포켓에 삽입되면 상기 제2 부시 관통공이 상기 제3 홀 및 상기 제4 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2 부시를 사전에 결정된 위치로 포지셔닝시키는 제2 포지셔닝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시는 상기 제2 포지셔닝면에 안착되는 제2 안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를 수용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을 감싸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마운팅 볼트에 의해 차량에 장착되는 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러그까지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압축기구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차량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압축기가 마운팅 볼트에 의해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제1 부시와 제2 부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압축기가 마운팅 볼트에 의해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제1 부시와 제2 부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120)를 수용하는 케이싱(110) 및 상기 케이싱(110)을 감싸는 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구(12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22), 상기 모터(12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선회 운동되는 선회 스크롤(124), 상기 선회 스크롤(124)과 함께 압축실을 형성하는 고정 스크롤(126) 및 상기 모터(122)를 제어하는 인버터(12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구(120)는 본 실시예의 경우 소위 스크롤 방식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판식, 왕복동식 등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10)은, 상기 선회 스크롤(124) 및 상기 고정 스크롤(126)을 지지하는 센터 하우징(111), 상기 센터 하우징(111)과 함께 상기 모터(122)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프론트 하우징(112), 상기 압축실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수용하는 리어 하우징(113), 상기 프론트 하우징(112)과 함께 상기 인버터(128)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인버터 하우징(11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10)은, 마운팅 볼트(300)에 의해 차량(200)에 장착되는 러그(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러그(115)는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프론트 하우징(112)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센터 하우징(111), 상기 리어 하우징(113) 및 상기 인버터 하우징(114)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러그(115)는, 상기 차량(200)에 대향되는 제2 러그 선단면(115b), 상기 제2 러그 선단면(115b)의 배면을 이루는 제1 러그 선단면(115a), 상기 제1 러그 선단면(115a)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제2 러그 선단면(115b)의 외주부까지 연장되는 러그 외주면(115c) 및 상기 제1 러그 선단면(115a)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제2 러그 선단면(115b)의 중심부까지 상기 러그(115)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러그 관통공(115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130)는, 차음재로 형성되는 제1 커버층(130a) 및 상기 제1 커버층(130a)과 상기 케이싱(110) 사이에 개재되고 흡음재로 형성되는 제2 커버층(130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130)는, 상기 러그(115)를 감싸는 러그 커버부(132) 및 상기 케이싱(110)에서 상기 러그(115)를 제외한 부분(센터 하우징(111), 프론트 하우징(112), 리어 하우징(113), 인버터 하우징(114))을 감싸는 메인 커버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러그 커버부(132)는 상기 제1 커버층(130a)과 상기 제2 커버층(130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커버부(134)도 상기 제1 커버층(130a)과 상기 제2 커버층(130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러그 커버부(132)는, 상기 제1 러그 선단면(115a)을 감싸는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a), 상기 제2 러그 선단면(115b)을 감싸는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b) 및 상기 러그 외주면(115c)을 감싸는 러그 외주면 커버부(132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운팅 볼트(300)는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a), 상기 러그(115) 및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b)를 관통하여 상기 차량(20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압축기를 상기 차량(200)에 장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a)는 상기 러그 관통공(115d)의 일측 개구에 연통되는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 관통공(H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b)는 상기 러그 관통공(115d)의 타측 개구에 연통되는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 관통공(H2)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200)은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 관통공(H2)에 연통되는 차량 마운팅 홀(210)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볼트(300)는 헤드부(310) 및 상기 헤드부(310)로부터 연장되는 레그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310)가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a)를 기준으로 상기 러그(115)의 반대측에 위치되고, 상기 레그부(320)가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 관통공(H1), 상기 러그 관통공(115d),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 관통공(H2)을 관통하여 상기 차량 마운팅 홀(210)에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a)는 상기 헤드부(310)와 상기 제1 러그 선단면(115a) 사이에 개재되는데, 상기 마운팅 볼트(300)에 과도한 토크가 인가될 경우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a)가 상기 헤드부(310)와 상기 러그(115)에 의한 압축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b)가 상기 차량(200)과 상기 제2 러그 선단면(115b) 사이에 개재되는데, 상기 마운팅 볼트(300)에 과도한 토크가 인가될 경우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b)가 상기 차량(200)과 상기 러그(115)에 의한 압축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a)에는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a)가 상기 헤드부(310)와 상기 러그(115)에 의한 압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부시(14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b)에는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b)가 상기 차량(200)과 상기 러그(115)에 의한 압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부시(144)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부시(142)는,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a)가 상기 헤드부(310)와 상기 러그(115) 사이에서 압축될 때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a)보다 먼저 그리고 많이 변형됨으로써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a)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a)보다 탄성계수(=비압축률=응력/변형률)가 작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a)는, 상기 헤드부(310)에 접촉되는 제1 벽부(W1), 상기 제1 러그 선단면(115a)에 접촉되는 제2 벽부(W2) 및 상기 제1 벽부(W1)와 상기 제2 벽부(W2)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포켓(P1)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시(142)는 상기 제1 포켓(P1)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그부(320)가 상기 제1 벽부(W1), 상기 제1 부시(142) 및 상기 제2 벽부(W2)를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 관통공(H1)은 상기 제1 벽부(W1)에 형성되는 제1 홀(H11) 및 상기 제2 벽부(W2)에 형성되는 제2 홀(H1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시(142)는 상기 제1 홀(H11) 및 상기 제2 홀(H12)과 연통되는 제1 부시 관통공(142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부시(142)가 상기 제1 포켓(P1)에 삽입되면 상기 제1 부시 관통공(142a)이 상기 제1 홀(H11) 및 상기 제2 홀(H12)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1 포켓(P1)은 상기 제1 부시(142)를 사전에 결정된 위치로 포지셔닝 시키는 제1 포지셔닝면(F1)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시(142)는 상기 제1 포지셔닝면(F1)에 안착되는 제1 안착면(14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포지셔닝면(F1)과 상기 제1 안착면(142b)은 예를 들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2 부시(144)는,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b)가 상기 차량(200)과 상기 러그(115) 사이에서 압축될 때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b)보다 먼저 그리고 많이 변형됨으로써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b)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b)보다 탄성계수가 작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b)는, 상기 제2 러그 선단면(115b)에 접촉되는 제3 벽부(W3), 상기 차량(200)에 접촉되는 제4 벽부(W4) 및 상기 제3 벽부(W3)와 상기 제4 벽부(W4)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포켓(P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시(144)는 상기 제2 포켓(P2)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그부(320)가 상기 제3 벽부(W3), 상기 제2 부시(144) 및 상기 제4 벽부(W4)를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 관통공(H2)은 상기 제3 벽부(W3)에 형성되는 제3 홀(H21) 및 상기 제4 벽부(W4)에 형성되는 제4 홀(H2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시(144)는 상기 제3 홀(H21) 및 상기 제4 홀(H22)과 연통되는 제2 부시 관통공(144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부시(144)가 상기 제2 포켓(P2)에 삽입되면 상기 제2 부시 관통공(144a)이 상기 제3 홀(H21) 및 상기 제4 홀(H22)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2 포켓(P2)은 상기 제2 부시(144)를 사전에 결정된 위치로 포지셔닝 시키는 제2 포지셔닝면(F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시(144)는 상기 제2 포지셔닝면(F2)에 안착되는 제2 안착면(14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포지셔닝면(F2)과 상기 제2 안착면(144b)은 예를 들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즉,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모터(122)가 상기 인버터(128)에 의해 제어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선회 스크롤(124)이 상기 모터(12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선회 운동되며 상기 고정 스크롤(126)과 함께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상기 커버(13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압축기구(120)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상기 차량(20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커버부(134)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압축기구(120)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상기 센터 하우징(111), 상기 프론트 하우징(112), 상기 리어 하우징(113) 및 상기 인버터 하우징(114)을 통해 외부로 방사된 후 상기 차량(200)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러그 외주면 커버부(132c)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압축기구(120)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상기 러그 외주면(115c)을 통해 외부로 방사된 후 상기 차량(200)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a)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압축기구(120)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상기 제1 러그 선단면(115a)을 통해 상기 마운팅 볼트(300)로 전달된 후 상기 차량(200)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b)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압축기구(120)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상기 제2 러그 선단면(115b)을 통해 상기 차량(200)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부시(142)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a)가 상기 헤드부(310)와 상기 러그(115)에 의한 압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부시(144)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b)가 상기 차량(200)과 상기 러그(115)에 의한 압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마운팅 볼트(300)로 상기 압축기를 상기 차량(200)에 장착시킬 때 상기 제1 부시(142)와 상기 제2 부시(144)를 별도로 파지하지 않도록 상기 제1 부시(142)와 상기 제2 부시(144)가 각각 상기 제1 포켓(P1)과 상기 제2 포켓(P2)이 삽입되게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포켓(P1)과 상기 제2 포켓(P2)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1 부시(142)가 상기 헤드부(310)와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a) 사이 또는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a)와 상기 제1 러그 선단면(115a)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 타입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시(144)가 상기 차량(200)과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b) 사이 또는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132b)와 상기 제2 러그 선단면(115b)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상기 제1 포켓(P1)과 상기 제2 포켓(P2)을 형성하는데 소요되는 원가가 절감되나, 상기 제1 부시(142)와 상기 제2 부시(144)를 별도로 조립해야 함에 따라 전체 제조원가는 오히려 증가될 수 있고, 제조 용이성 측면에서도 불리한 바,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 부시(142)와 상기 제2 부시(144)가 상기 제1 포켓(P1)과 상기 제2 포켓(P2)에 삽입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부시(142)와 상기 제2 부시(144)가 모두 구비되나, 상기 제1 부시(142)와 상기 제2 부시(144)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원가 및 중량이 절감되나, 소음과 진동 절연 측면에서 불리하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 부시(142)와 상기 제2 부시(144)가 모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압축기구(120)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이중으로 감쇄되도록 상기 커버(130)가 상기 제1 커버층(130a)과 상기 제2 커버층(130b)을 포함하나, 상기 제1 커버층(130a)과 상기 제2 커버층(130b)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원가 및 중량이 절감되나, 소음과 진동 절연 측면에서 불리하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 커버층(130a)과 상기 제2 커버층(130b)이 모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110: 케이싱 115: 러그
115a: 제1 러그 선단면 115b: 제2 러그 선단면
115c: 러그 외주면 115d: 러그 관통공
120: 압축기구 130: 커버
132: 러그 커버부 132a: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
132b: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 132c: 러그 외주면 커버부
134: 메인 커버부 142: 제1 부시
142a: 제1 부시 관통공 142b: 제1 안착면
144: 제2 부시 144a: 제2 부시 관통공
144b: 제2 안착면 200: 차량
210: 차량 마운팅 홀 300: 마운팅 볼트
310: 헤드부 320: 레그부
F1: 제1 포지셔닝면 F2: 제2 포지셔닝면
H1: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 관통공 H11: 제1 홀
H12: 제2 홀 H2: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 관통공
H21: 제3 홀 H22: 제4 홀
P1: 제1 포켓 P2: 제2 포켓
W1: 제1 벽부 W2: 제2 벽부
W3: 제3 벽부 W4: 제4 벽부

Claims (17)

  1.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를 수용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을 감싸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마운팅 볼트에 의해 차량에 장착되는 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러그까지 감싸도록 형성되는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러그를 감싸는 러그 커버부 및 상기 케이싱에서 상기 러그를 제외한 부분을 감싸는 메인 커버부를 포함하는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 커버부는 상기 러그 커버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부시가 삽입되는 포켓을 포함하는 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상기 부시를 사전에 결정된 위치로 포지셔닝 시키는 포지셔닝 면을 포함하고,
    상기 부시는 상기 포지셔닝 면에 안착되는 안착면을 포함하는 압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는 상기 차량에 대향되는 제2 러그 선단면 및 상기 제2 러그 선단면의 배면을 이루는 제1 러그 선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러그 커버부는 상기 제1 러그 선단면을 감싸는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 및 상기 제2 러그 선단면을 감싸는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를 포함하는 압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는 상기 제1 러그 선단면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제2 러그 선단면의 외주부까지 연장되는 러그 외주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러그 커버부는 상기 러그 외주면을 감싸는 러그 외주면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압축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는 상기 제1 러그 선단면으로부터 상기 제2 러그 선단면까지 상기 러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러그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는 상기 러그 관통공에 연통되는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는 상기 러그 관통공에 연통되는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은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 관통공에 연통되는 차량 마운팅 홀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볼트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레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가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를 기준으로 상기 러그의 반대측에 위치되고,
    상기 레그부가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 관통공, 상기 러그 관통공,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차량 마운팅 홀에 삽입 체결되고,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가 상기 헤드부와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가 상기 차량과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는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가 상기 헤드부와 상기 러그에 의한 압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에 형성되는 제1 부시를 포함하는 압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시는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보다 탄성계수가 작은 재질로 형성되는 압축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는 상기 헤드부에 접촉되는 제1 벽부 및 상기 제1 러그 선단면에 접촉되는 제2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켓은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포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시는 상기 제1 포켓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러그 선단면 커버부 관통공은 상기 제1 벽부에 형성되는 제1 홀 및 상기 제2 벽부에 형성되는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시는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과 연통되는 제1 부시 관통공을 포함하는 압축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켓은 상기 제1 부시가 상기 제1 포켓에 삽입되면 상기 제1 부시 관통공이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1 부시를 사전에 결정된 위치로 포지셔닝시키는 제1 포지셔닝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시는 상기 제1 포지셔닝면에 안착되는 제1 안착면을 포함하는 압축기.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는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가 상기 차량과 상기 러그에 의한 압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에 형성되는 제2 부시를 포함하는 압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시는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보다 탄성계수가 작은 재질로 형성되는 압축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는 상기 제2 러그 선단면에 접촉되는 제3 벽부 및 상기 차량에 접촉되는 제4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켓은 상기 제3 벽부와 상기 제4 벽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포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시는 상기 제2 포켓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러그 선단면 커버부 관통공은 상기 제3 벽부에 형성되는 제3 홀 및 상기 제4 벽부에 형성되는 제4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시는 상기 제3 홀 및 상기 제4 홀과 연통되는 제2 부시 관통공을 포함하는 압축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켓은 상기 제2 부시가 상기 제2 포켓에 삽입되면 상기 제2 부시 관통공이 상기 제3 홀 및 상기 제4 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2 부시를 사전에 결정된 위치로 포지셔닝시키는 제2 포지셔닝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시는 상기 제2 포지셔닝면에 안착되는 제2 안착면을 포함하는 압축기.
KR1020190090585A 2019-07-26 2019-07-26 압축기 KR202100125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585A KR20210012589A (ko) 2019-07-26 2019-07-26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585A KR20210012589A (ko) 2019-07-26 2019-07-26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589A true KR20210012589A (ko) 2021-02-03

Family

ID=74572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585A KR20210012589A (ko) 2019-07-26 2019-07-26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258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204Y1 (ko) 1997-06-30 1999-08-02 신영주 차량용 에어컨 압축기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204Y1 (ko) 1997-06-30 1999-08-02 신영주 차량용 에어컨 압축기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37381A1 (en) Scroll-type compressor for vehicle
JP5637048B2 (ja) 電動圧縮機
US9518590B2 (en) Motor-driven compressor including a protecting cover
US9068458B2 (en) Shock protector for a compressor's drive circuit
CN102705196B (zh) 电动压缩机
JP5403004B2 (ja) 電動圧縮機
WO2006129448A1 (ja) 電動圧縮機
AU2007230458A1 (en) Compressor
JP4549968B2 (ja) 電動圧縮機
KR20210012589A (ko) 압축기
US20120251348A1 (en) Motor-driven compressor
US20220307506A1 (en) Electric compressor
JP4225101B2 (ja) 電動圧縮機
JP5053523B2 (ja) 電動圧縮機
JP2016223600A (ja) 気体圧縮機用の電磁クラッチ及び気体圧縮機
JP2008101571A (ja) 密閉型圧縮機
JP7468384B2 (ja) 電動圧縮機
KR200311780Y1 (ko) 차량용 압축기의 설치구조
US10253773B2 (en) Attachment structure for compressor
KR20210115578A (ko) 압축기
KR200305866Y1 (ko) 차량용 압축기의 설치구조
KR20210105244A (ko) 전동 압축기
JP2013221450A (ja) 気体圧縮機
CN114017344A (zh) 一种旋转式压缩机及制冷设备
KR20200053985A (ko) 전동식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