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544A -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544A
KR20210012544A KR1020190090453A KR20190090453A KR20210012544A KR 20210012544 A KR20210012544 A KR 20210012544A KR 1020190090453 A KR1020190090453 A KR 1020190090453A KR 20190090453 A KR20190090453 A KR 20190090453A KR 20210012544 A KR20210012544 A KR 20210012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voltage sensing
battery module
assembly
modu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0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2544A/ko
Priority to US16/937,929 priority patent/US11581591B2/en
Priority to DE102020119584.2A priority patent/DE102020119584A1/de
Priority to CN202010724807.5A priority patent/CN112366426B/zh
Publication of KR20210012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5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01K1/026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arrangements for monitoring a plurality of temperatures, e.g. by multiplex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incorporated circuit board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는 다수의 셀; 각 셀을 사이에 두고, 교대로 적층된 제1 카트리지(카트리지 A)와 제2 카트리지(카트리지 B)를 포함하는 다수의 카트리지; 및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를 조립하기 위해, 상기 적층된 각 카트리지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삽입되는 코킹 파이프를 포함하고, 전압센싱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핵심 부품들 중 버스바는 상기 제1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4개의 프레임들 중 단변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에 배치되고, 전압센싱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핵심 부품들 중 센싱 와이어는 상기 제2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4개의 프레임들 중 단변을 형성하는 2개의 프레임들과 장변을 형성하는 1개의 프레임에 걸쳐 매설된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BATTERY MODULE ASSEMBLE}
본 발명은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종래의 배터리 모듈(100)은 다수의 파우치형 전지셀들(200), 한 쌍의 전지 셀(두 개의 전지 셀들) 또는 3개 이상의 전지셀들의 외면 전체를 감싸는 셀 커버(310) 및 상하로 분리되어 조립식 체결구조로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부재(400)와 하부 프레임 부재(500)로 구성된다. 한편, 도 1에서 참조 번호223은 전극 단자이고, 참조 번호 600 및 601은 버스 바를 나타낸다. 나머지 참조 번호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종래의 배터리 모듈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셀 커버(310)가 한 쌍의 전지셀(두 개의 전지셀들) 또는 3개 이상의 전지셀들을 감싸도록 포밍 구조(Forming structure, 성형 구조물)로 가공되는데, 이때, 셀 커버(310)는 사이즈 축소를 위해 얇은 알루미늄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알루미늄 재질의 경우, 수분에 의한 절연 파괴 가능성이 높다.
둘째,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하부 분리형 프레임을 조립하기 위한 인서트 너트 구조(조립 구조)와 배터리 모듈을 차량 내부에 마운팅 하기 위한 인서트 볼트 구조(마운팅 구조)가 필요하기 때문에, 배터리 모듈 사이즈 증대 및 부품수가 증대한다.
셋째, 하부 프레임 부재(500)는 사출 공법으로 제작되는데, 사출 공법의 한계로 인해, 하부 프레임 부재(500)를 구성하는 수직 형상의 격벽부(살)가 도 1에 도시된 점선 화살표 방향과 같이 내측으로 수축되는 현상(살 휨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전지 셀들을 감싸는 셀 커버를 하부 프레임 부재(500)에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해, 삽입 전에 작업자는 격벽부를 수회 내지 수십 회에 걸쳐 손으로 벌리는 수작업이 필요하며, 이러한 수작업은 조립 사이클 타임(조립 공정 시간)을 증가 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사이즈 및 부품 수를 줄이고, 동시에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조립 사이클 타임을 줄일 수 있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는, 다수의 셀; 각 셀을 사이에 두고, 수직 방향으로 적층된 다수의 카트리지; 및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를 조립하기 위해, 상기 적층된 각 카트리지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삽입되는 코킹 파이프를 포함하고, 전압센싱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버스바와 센싱 와이어가 상기 코킹 파이프에 의해 조립된 상기 다수의 카트리 중 제1 카트리지(카트리지 A)와 제2 카트리지(카트리지 B)에 각각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는, 다수의 셀; 각 셀을 사이에 두고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며, 전압센싱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버스바를 구비한 제1 카트리지(카트리지 A)와 상기 전압센싱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센싱 와이어를 구비한 제2 카트리지(카트리지 B)를 포함하는 다수의 카트리지; 및 상기 적층된 각 카트리지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삽입되는 코킹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센싱 어셈블리는,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가 적층된 조립체의 후면을 커버하는 전압센싱 하부 하우징(405); 및 상기 전압센싱 하부 하우징(405)을 커버하는 전압센싱 상부 하우징(409)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는, 다수의 셀; 각 셀을 사이에 두고, 교대로 적층된 제1 카트리지(카트리지 A)와 제2 카트리지(카트리지 B)를 포함하는 다수의 카트리지; 및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를 조립하기 위해, 상기 적층된 각 카트리지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삽입되는 코킹 파이프를 포함하고, 전압센싱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핵심 부품들 중 버스바는 상기 제1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4개의 프레임들 중 단변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에 배치되고, 전압센싱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핵심 부품들 중 센싱 와이어는 상기 제2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4개의 프레임들 중 단변을 형성하는 2개의 프레임들과 장변을 형성하는 1개의 프레임에 걸쳐 매설된다.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에 따르면, 코킹 파이프를 이용하여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조립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전체 조립 사이클 타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하부 프레임 부재 없이, 코킹 파이프를 이용하여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를 조립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하부 프레임 부재의 격벽부의 휨 현상으로 인해, 전지 셀들을 감싸는 셀 커버를 하부 프레임 부재에 삽입하기 전에 하부 프레임 부재의 격벽부를 수회 내지 수십 회에 걸쳐 벌리는 수작업이 불필요하며,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조립 사이클 타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코킹 파이프와 커플링 부재를 이용하여 외부 부재 없이 면압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코킹 파이프를 이용하여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조립 구조와 마운팅 구조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사이즈 및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A, B의 사공간에 전압 센싱을 위한 센싱 와이어 및 버스 바를 낱개로 구비함으로써, 전압센싱 어셈블리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불필요하고, 부품 총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도시된 구성요소들을 적층한 상태에서 적층된 구성요소들을 구속시키기 위한 부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부품들에 의해 조립된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최종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코킹 파이프의 확대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코킹 파이프에 의한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조립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4에 도시한 커플링 부재의 확대도.
도 9는 도 2에 도시한 상부 카트리지의 내면과 외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2에 도시한 하부 카트리지의 내면과 외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9 및 10에 도시된 상/하부 카트리지 상에 카트리지 A가 적층된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도 2에 도시한 카트리지 A의 확대도.
도 13은 도 2에 도시한 카트리지 C의 확대도.
도 14는 도 2에 도시한 카트리지 B의 확대도.
도 15 내지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가 케이스에 마운팅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8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전압센싱 어셈블리와 온도센싱 와이어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압센싱 어셈블리와 온도센싱 와이어링이 적용된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최종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도시된 구성요소들을 조립한 상태에서 조립된 구성요소들을 구속시키기 위한 부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부품들에 의해 조립된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최종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는 종래와 같이 셀 커버(310)가 삽입되는 상/하부 프레임 부재(400, 500)와 같은 외부 부재 없이, 조립 구조와 마운팅 구조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전체 사이즈, 부품 수 및 조립 사이클 타임을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는 다수의 카트리지들(110, 130, 140, 150, 160) 및 다수의 셀(121, 122, 123, 124)을 포함한다.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는 다수의 카트리지들(110, 130, 140, 150, 160) 사이에는 하나의 셀이 배치되어, 다수의 카트리지들(110, 130, 140, 150, 160) 및 다수의 셀(121, 122, 123, 124)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다수의 카트리지들(110, 130, 140, 150, 160)은 각 셀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는 상부 카트리지(110), 하부 카트리지(160) 및 이들 사이에 적층되는 다수의 중간 카트리지(130, 140, 150)를 포함한다.
다수의 중간 카트리지(130, 140, 150)는 다수의 카트리지 A(130), 다수의 카트리지 B(140) 및 하나의 카트리지 C(150)를 포함한다.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카트리지 C(150)와 상부 카트리지(110) 사이에 카트리지 A 및 카트리지 B가 적층되고, 카트리지 C(150)와 하부 카트리지(160) 사이에 카트리지 A 및 카트리지 B가 교대로 적층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에서는, 상부 카트리지(110), 하부 카트리지(160) 및 카트리지 C(150)가 각각 1개씩 구비되며, 카트리지 A(130) 및 카트리지 B(140)가 각각 5개씩 구비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카트리지들(110, 130, 140, 150, 160) 및 다수의 셀(121, 122, 123, 124)이 적층된 구조물(도 3의 100')을 구속하는 다수의 코킹 파이프(170: 171, 172, 173, 174)와 다수의 커플링 부재(180: 181, 182, 183, 184)를 더 포함한다.
코킹 파이프(170)는 다수의 카트리지들(110, 130, 140, 150, 160) 및 다수의 셀(121, 122, 123, 124)이 적층된 구조물(도 3의 100')의 모서리를 구속(고정 또는 결합)한다. 커플링 부재(180)는 다수의 카트리지들(110, 130, 140, 150, 160) 및 다수의 셀(121, 122, 123, 124)이 적층된 구조물(100')의 측면을 구속(고정 또는 결합)한다.
다수의 카트리지들(110, 130, 140, 150, 160) 및 다수의 셀(121, 122, 123, 124)이 적층된 구조물(도 3의 100')은, 코킹 파이프(170)와 커플링 부재(180)에 의해 구속(고정 또는 결합)됨으로써, 단위 모듈의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로 구성된다.
코킹 파이프들(171, 172, 173, 174)은 양 끝단이 'T' 자 형태의 코킹(caulking) 구조로 가공되어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모서리들에서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를 수평 및 수직(X, Y, Z 방향)으로 구속(고정 또는 결합)한다.
커플링 부재들(181, 182, 183, 184)은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양 측면에 락킹되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가공된 양끝단을 가지며, 양끝단이 상부 카트리지(110)의 장변과 하부 카트리지(160)의 장변에 구비된 락킹 구조(상부 걸림홈(도 8의 81) 및 하부 걸림홈(도 8의 83)에 각각 락킹된다.
이에 따라, 커플링 부재들(181, 182, 183, 184)은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양측면에서 적층된 카트리지들(110, 130, 140, 150, 160)과 셀들(121, 122, 123, 124)을 수직 방향(Z 방향)으로 구속(고정 또는 결합)한다.
한편, 도 4 및 5에서, 참조 번호 192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전면을 커버하는 프런트 커버(Front cover)를 지시한다.
도 5에서, 참조 번호 194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후면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Rear cover)를 지시하고, 도 5의 우측 상단에 도시한 'A'는 리어 커버(194)가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후면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도 3에서는 다수의 카트리지와 다수의 셀이 적층된 구조물(100')이 도시되는데, 구조물(100')은 카트리지의 적층 순서는 상부 카트리지, 카트리지 A, 카트리지 B, 카트리지 C, 카트리지 B, 카트리지 A, 카트리지 B, 카트리지 A, 카트리지 B, 카트리지 A, 카트리지 B, 카트리지 A 및 하부 카트리지의 순서로 적층되고, 카트리지 사이마다 하나의 셀이 적층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을 구성하는 각 부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코킹 파이프(170)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코킹 파이프의 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코킹 파이프는 다수의 카트리지들(110, 130, 140, 150, 160) 및 다수의 셀(121, 122, 123, 124)이 적층된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모서리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모서리를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코킹 파이프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높이만큼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몸체(170A)를 가지며, 상기 몸체(170A)의 양단부(170B, 170C)는 'T'자 형태의 코킹부(코킹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원통 형상의 몸체(170A)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모서리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모서리를 X, Y방향으로 구속한다.
원통 형상의 몸체(170A)가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모서리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원통 형상의 몸체(170A)의 양단부가 'T'자 형태의 코킹 구조로 가공됨으로써,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모서리를 Z방향으로 구속하게 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코킹 파이프에 의한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조립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양측 단부 중에서 한쪽 단부만에만 'T' 형상으로 사전에 코킹된 코킹 파이프를 준비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단계 S110에서 사전에 코킹된 단부를 코킹 파이프의 하단부로 지칭하고, 코킹되지 않고, 파이프 형태를 갖는 단부를 코킹 파이프의 상단부로 지칭한다.
이어, (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단부(73)만 코킹되어 있는 코킹 파이프를 다수의 카트리지들(110, 130, 140, 150, 160) 및 다수의 셀(121, 122, 123, 124)이 적층된 구조물(100')의 모서리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한다. 코킹되지 않은 상단부(71)부터 관통홀에 삽입한다. 이때, 삽입은 구조물(100')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진행되고, 하단부(73)의 코킹 구조에 의해 더 이상 삽입이 진행되지 않을 때까지 진행된다.
이어, (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코킹 파이프가 완전 삽입되면, 코킹 파이프의 상단부가 관통홀의 위쪽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코킹 파이프의 상단부(71)를 가압 지그를 이용하여 코킹한다.
이어, (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코킹 파이프의 상단부(71)가 코킹되는 과정에서 구조물(100')의 모서리가 코킹 파이프에 의해 X, Y, Z 방향으로 모두 구속되고,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가 1차적으로 조립된다. 동시에, 코킹 파이프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4개의 모서리들을 X, Y 방향(수평 방향)은 물론 Z 방향(수직방향으로)으로 구속함으로써,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면압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면압 유지에 따라, 셀이 부풀어 올라 볼록해지는 스웰링(swelling) 현상을 방지하여, 셀 내구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커플링 부재(180)
도 8은 도 4에 도시한 커플링 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술한 코킹 파이프(170)에 의해,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를 1차적으로 구속한 후, 커플링 부재(180)를 이용하여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를 2차적으로 구속한다.
커플링 부재(180)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측면에서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를 수직 방향으로 구속한다.
커플링 부재(180)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또는 구조물(100'))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되는 몸체(180A), 상기 몸체(180A)의 한쪽 단부(이하, '상단부'라 함)에 형성된 고리부(180A) 및 상기 상기 몸체(180A)의 다른쪽 단부(이하, '하단부'라 함)에 형성된 탄성 돌기(180C)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고리부(180A)는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상부 카트리지(110)의 장변에 형성된 상부 걸림홈(81)에 체결된다.
탄성 돌기(180C)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하부 카트리지(160)의 장변에 형성된 하부 걸림홈(83)에 착탈식으로 체결된다.
체결 방법은, 먼저, 몸체(180A)의 상단부에 형성된 고리부(180A)를 상부 카트리지(110)의 상부 걸림홈(81)에 형성된 걸림턱(81A)에 걸친 상태에서 몸체(180A)의 하단부에 형성된 탄성 돌기(180C)를 하부 카트리지(160)의 하부 걸림홈(83)의 걸림턱(83A)에 걸리도록 하부 걸림홈(83)의 내부로 밀어 넣음으로써, 체결될 수 있다.
커플링 부재(180)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측면에서 배터리 어셈블리를 수직방향으로 구속하게 된다. 이러한 커플링 부재(180)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면압 유지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커플링 부재(180)의 재질은 탄성재질 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질 일 수 있다. 커플링 부재(180)은 사출 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카트리지(110 및 160)
도 9는 도 2에 도시한 상부 카트리지의 내면과 외면(또는 상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2에 도시한 하부 카트리지의 내면(또는 하부면)과 외면(또는 상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의 위에는 상부 카트리지(110)의 외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고, 아래에는 상부 카트리지(110)의 내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상부 카트리지(110)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최상단에 적층되는 구성으로, 크게,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111)와 상기 플레이트(111)의 모서리에 구비된 모서리부(1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최외곽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플레이트(111)의 외면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니컴(Honeycomb, 벌집) 모양으로 패터닝될 수 있다.
플레이트(111)의 의 내면에는 상부 카트리지(110) 하부에 적층되는 셀(도 2의 121) 위치를 고정하고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112)이 구비된다. 이러한 수납 공간(112)은 셀(도 2의 121)의 위치를 고정하고 수납하기 위해 셀(도 2의 121)과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111)의 단변에는 셀(도 2의 121)의 셀 리드 단자(도 2의 121A)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셀 리드 단자(도 2의 121A)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113)가 구비된다. 커버 부재(113)는 셀 리드 단자(도 2의 121A)를 충분히 커버하는 사이즈를 갖도록 형성된다.
모서리부(114)는 전술한 코킹 파이프(170)가 삽입되는 홀(114A, 상부홀)을 갖는 모서리부(114)가 구비된다. 홀(또는 상부홀)(114A)의 내주면 상에는 부싱 부재(114B)가 구비된다. 부싱 부재(114B)는 홀(또는 상부홀)(114A)과 코킹 파이프(170) 사이에 구비되어, 코킹 파이프(170)의 상단부를 가압 지그를 이용하여 코킹 구조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상부 카트리지는 물론 나머지 카트리지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부싱 부재(114B)의 재질은 물리적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플레이트(111)의 장변에는 전술한 커플링 부재(180)의 상단에 형성된 고리부(180B)가 체결되는 상부 결합홈(81)이 구비된다. 상부 결합홈(81)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도 8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10의 위에는 하부 카트리지(160)의 내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고, 아래에는 하부 카트리지(160)의 외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부 카트리지(110)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최하단에 적층되는 구성으로서,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161)와 플레이트(161)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모서리부(16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161)의 내면에는 하부 카트리지(110) 상부에 적층되는 셀(도 2의 124)의 위치 고정 및 셀(도 2의 124)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162)이 구비된다. 수납 공간(162)은 셀을 수납하기 위해 셀(도 2의 124)과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최외곽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플레이트(161)의 외면은 허니컴(Honeycomb, 벌집) 패턴으로 패터닝될 수 있다.
플레이트(161)의 단변에는 그 상부에 적층되는 셀(124)의 전극부(도 2의 124A, 최외각 전극부)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셀의 전극부(도 2의 124A)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163)가 구비된다.
플레이트(161)의 장변에는 전술한 커플링 부재(180)의 하단에 형성된 탄성 돌기(도 8의 180C)가 체결되는 하부 결합홈(83)이 구비된다. 하부 결합홈(83)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도 8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모서리부(164)는 전술한 코킹 파이프(170)가 삽입되는 홀(또는 하부홀)(164A)을 갖도록 구성된다. 홀(또는 하부홀)(164A)의 내주면 상에는 부싱 부재(164B)가 구비된다. 부싱 부재(164B)는 홀(114A)과 코킹 파이프(170) 사이에 구비되어, 코킹 파이프(170)의 상단부를 가압 지그를 이용하여 코킹 구조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하부 카트리지(160)는 물론 나머지 카트리지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부싱 부재(164B)의 재질은 물리적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카트리지(110)의 각 모서리부(114)는 하부에 적층되는 카트리지 A(도 2의 130)의 위치 고정을 위한 'ㄱ'형상의 안착턱(114C)을 갖도록 구성된다. 유사하게, 하부 카트리지(160)의 각 모서리부(164)는 상부에 적층되는 카트리지 A의 위치 고정을 위한 'ㄱ' 형상의 안착턱(164C)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상/하부 카트리지(110, 160)와 카트리지 A(130)는 용이하게 적층될 수 있다.
카트리지 A(130)
도 12는 도 2에 도시한 카트리지 A의 확대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카트리지 A(130)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제1 내지 제4 프레임(F1, F2, F3, F4)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프레임(F1, F2)은 카트리지 A(130)의 단변을 구성하고, 제3 및 제4 프레임(F3, F4)은 카트리지 A(130)의 장변을 구성한다. 이러한 카트리지 A(130)는 사출 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카트리지 A(130)는 셀 냉각을 위한 다수의 냉각 유로(131A, 131B)를 구비한다. 다수의 냉각 유로(131A, 131B)는 제3 프레임(F3)에서 제4 프레임(F4) 또는 제4 프레임(F4)에서 제3 프레임(F3)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 유로를 구비하기 위해, 제3 및 제4 프레임(F3, F4)은 공기 유입되는 다수의 공기 유입구(132)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냉각 유로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공기 유입구(132)를 연결하는 통로로서, 이러한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제3 프레임(F3)의 내측벽과 제4 프레임(F4)의 내측벽을 연결하는 다수의 측벽(131C)이 구비된다. 이러한 측벽(131C) 구조에 의해, 다수의 냉각 유로(131A, 131B)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3 및 제4 프레임(F3, F4)의 양쪽 외측면에는 전술한 커플링 부재(180)의 몸체(도 8의 180A)가 안착되는 안착홈(134)이 구비된다. 안착홈(134)이 형성되는 위치는 상부 카트리지(110)의 상부 걸림홈(도 8의 81) 및 하부 카트리지(160)의 하부 걸림홈(도 8의 8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부 카트리지(110)의 상부 걸림홈(도 8의 81) 및 하부 카트리지(160)의 하부 걸림홈(도 8의 83)을 수직 방향(Z 방향) 연결하는 선 상에 구비된다.
또한, 카트리지 A(130)의 한쪽 단변, 즉, 제1 프레임(F1)에는 상하로 인접한 셀들의 전극부 간의 쇼트 방지를 위한 격벽 부재(133)가 구비된다.
또한, 카트리지 A(130)의 내면에는 셀 위치 고정을 위해, 고정 부재(138-1, 138-2, 138-3, 138-4)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고정 부재(138-1, 138-2, 138-3, 138-4)는 카트리지 A(130) 단변, 즉, 제1 및 제2 프레임(F1, F2)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측벽(138_1, 138_2)과 안착홈(134)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측벽(138_3, 138_4)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138-1, 138-2, 138-3, 138-4)에 의해, 카트리지 A(130)에 수납되는(적층되는) 셀의 위치가 고정된다.
카트리지 C(150)
도 13은 도 2에 도시한 카트리지 C의 확대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카트리지 C(150)는 + 및 - 단자(159)를 구비한 점을 제외하면, 카트리지 A(130)와 거의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카트리지 C(150)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제1 내지 제4 프레임(F1, F2, F3, F4)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프레임(F1, F2)은 카트리지 C(150)의 단변을 구성하고, 제3 및 제4 프레임(F3, F4)은 카트리지 C(150)의 장변을 구성한다. 이러한 카트리지 C(150)는 사출 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카트리지 C(150)는 셀 냉각을 위한 다수의 냉각 유로(151A, 151B)를 구비한다. 다수의 냉각 유로를 구비하기 위해, 카트리지 C(150)의 양측면, 즉, 제3 및 제4 프레임(F3, F4)에는 공기 유입되는 다수의 공기 유입구(152)가 구비된다. 다수의 냉각 유로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공기 유입구(152)를 연결하는 통로로서, 이러한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제3 프레임(F3)의 내측벽과 제4 프레임(F4)의 내측벽을 연결하는 다수의 측벽(151C)이 구비된다. 이러한 다수의 측벽(151C) 구성에 의해, 다수의 냉각 유로(131A, 131B)가 형성된다.
또한, 카트리지 C(150)의 양쪽 장변, 즉, 제3 및 제4 프레임(F3, F4에는 전술한 커플링 부재(160)의 몸체(도 8의 180A)가 안착되는 안착홈(154)이 구비된다. 안착홈(154)이 형성되는 위치는 상부 카트리지(110)의 상부 걸림홈(도 8의 81), 하부 카트리지(160)의 하부 걸림홈(도 8의 83) 및 카트리지 A(도12의 130)의 안착홈(도 12의 13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부 카트리지(110)의 상부 걸림홈(도 8의 81), 하부 카트리지(160)의 하부 걸림홈(도 8의 83) 및 카트리지 A(130)의 안착홈(134)을 수직 방향(Z 방향) 연결하는 선 상에 구비된다.
또한, 카트리지 C(150)의 한쪽 단변, 즉, 제1 프레임(F1)에는 인접한 셀들의 전극부 간의 쇼트 방지를 위한 격벽 부재(153)가 구비된다.
또한, 카트리지 C(150)의 다른쪽 단변, 즉, 제2 프레임(F2)에는 전압 센싱을 위한 버스바(155), 온도 센서가 삽입되는 홀(156) 및 셀 리드 용접을 위한 대피 구조(157)가 구비된다.
또한, 카트리지 C(150)의 내면에는 셀 위치 고정을 위해, 고정 부재가 형성된다. 고정 부재는 카트리지 C(150) 단변(F1, F2)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측벽(158_1, 158_2)과 안착홈(154)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측벽(158_3, 158_4)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158_1, 158_2, 158_3, 158_4)에 의해, 카트리지 C(150)에 수납되는(적층되는) 셀의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카트리지 C(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A(130)와는 다르게 + 및 - 단자(159)를 구비하는데, + 및 - 단자(159)는 제1 프레임(F1)의 외측벽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F1)의 상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 B(140)
도 14는 도 2에 도시한 카트리지 B의 확대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카트리지 B(140)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바라볼 때, 중앙 부분이 비어 있는 사각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 B(140)의 모서리 부분에는 홀(또는 중간홀)(141A)이 형성된 모서리부(141)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셀을 사이에 두고, 다수의 카트리지가 적층될 때, 카트리지 B(140)의 모서리부(141)에 형성된 홀(또는 중간홀)(141A)은 상부 카트리지(110)의 모서리부(도 9의 114)에 형성된 홀(또는 중간홀)(114A) 및 하부 카트리지(160)의 모서리부(도 10의 164)에 형성된 홀(164A)과 연통하여 코킹 파이프(도 6의 170)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형성하게 된다.
홀(141A)의 내주면 상에는 부싱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부싱 부재는 홀(또는 중간홀)(141A)과 코킹 파이프(170) 사이에 구비되어, 코킹 파이프(170)의 상단부를 가압 지그를 이용하여 코킹 구조로 가공하거나 코킹 파이프(17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카트리지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카트리지 B(140)는 4개의 모서리부(141)를 연결하는 4개의 프레임(F1, F2, F3, F4)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프레임(F1, F2)은 카트리지 B(140)의 단변을 구성하고, 제3 및 제4 프레임(F3, F4)의 장변을 구성한다. 이러한 4개의 프레임(F1, F2, F3, F4)에 상에 카트리지 A(130) 및 카트리지 C(150)의 테두리가 적층될 수 있다.
카트리지 A(130) 및 카트리지 C(150)의 테두리가 적층될 때, 카트리지 A(130) 및 카트리지 C(150)의 위치 고정을 위해, 모서리부(141)는 'ㄱ'형상의 안착턱(141C)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B(140)는 셀(도2의 122)의 수납을 위한 안착부(142)와 측면부(143)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착부(142)는 셀의 적어도 일부분이 안착되는 구성요소로서, 셀(도2의 122)의 하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도2의 122)의 하부가 평평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안착부(142)의 상면 역시 평평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부(143)는 안착부(142)의 테두리에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부(143)는 카트리지 B(140)에 셀(도2의 122)이 수납되는 경우, 셀의 측면에 위치하여 셀(도2의 122)의 측면을 커버하고 셀(도2의 122)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또한, 카트리지 B(140)는 전압 센싱을 위한 버스바(144)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버스바(144)는 카트리지 B(140)의 제1 프레임(F1)에 형성된 제1 매설홈(145)에 매설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버스바(144)의 일부는 제1 프레임(F1)의 측면 위로 노출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1 매설홈(145)에 매설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B(140)는 전술한 커플링 부재(180)의 몸체(도 8의 180A)가 안착되는 안착홈(148)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착홈(148)은 커플링 부재(180)가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측면에서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를 구속하기 위해 장변을 구성하는 제3 및 제4 프레임(F3, F4)의 외측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B(140)는 카트리지 B(140)의 상부에 배치되는 셀의 전극부와 카트리지 B(140)의 하부에 배치되는 셀의 전극부 간의 쇼트 방지를 위해 격벽 부재(149)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격벽 부재(149)는 셀의 전극부를 커버할 수 있는 사이즈로 제2 프레임(F2)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5 내지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가 케이스에 마운팅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코킹 파이프(도 6의 170)와 커플링 부재(도 8의 180)에 의해, 각 셀을 사이에 두고 다수의 카트리지가 조립되어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가 완료되면,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를 케이스에 마운팅하는 작업이 진행된다.
먼저, 도 15를 참조하면, 코킹 파이프(도 6의 170)와 커플링 부재(도 8의 180)를 이용하여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조립이 완료되면,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양측면을 커버하는 측면 커버 부재(210)가 조립된다.
측면 커버 부재(210, 220)는 제1 측면 커버 부재(210) 및 제2 측면 커버 부재(220)를 포함한다.
제1 측면 커버 부재(210)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한쪽 측면에 결합되어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한쪽 측면을 커버한다. 제1 측면 커버 부재(210)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한쪽 측면을 커버하도록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212)와 플레이트(212)의 단변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214)로 구성된다. 돌출부(214)는 체결부(216)가 관통하는 체결공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체결부(216)는 돌출부(214)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카트리지 B(140)의 모서리부(141)의 측면에 형성된 체결공(도 14 및 도 15의 141B)에 체결되어 제1 측면 커버 부재(210)를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한쪽 측면에 체결시킨다. 체결부(216)는, 예를 들면, 볼트 부재일 수 있다. 체결방식은 볼트 결합 방식일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212)는 플레이트(212)의 장변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장방형의 구멍(212A)을 가지며, 장방형의 구멍(212A)은 공기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한다. 즉, 적층된 카트리지 A(130)의 공기 유입구(도 12의 132)와 카트리지 C(150)의 공기 유입구(도 13의 152)로 유입되는 공기의 통로 역할하며, 공기의 통로 역할을 하는 측면에서 제1 측면 커버 부재(210)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덕트 역할을 수행한다.
제2 측면 커버 부재(220)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다른쪽 측면에 결합되어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다른쪽 측면을 커버한다. 제2 측면 커버 부재(220)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다른쪽 측면을 커버하도록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222)와 플레이트(222) 상에 구비된 냉각팬(224)을 포함한다.
플레이트(222)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팬(224)의 동작에 따라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구비하며, 냉각팬은 배출구를 커버하도록 플레이트(222)의 외면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플레이트(222)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다른쪽 측면에 결합되기 위해, 체결부(226)가 관통하는 체결공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체결공은 플레이트(222)의 모서리 부근에 형성되며, 체결부(226)는 플레이트(222)의 모서리 부근에 형성된 체결공을 관통하여 카트리지 B(140)의 모서리부(141)의 측면에 형성된 체결공(도 14 및 도 15의 141B)에 체결되어 제2 측면 커버 부재(220)를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다른쪽 측면에 체결시킨다.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양측면에 측면 커버 부재가 체결되면, 양측면에 측면 커버 부재가 체결된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를 케이스에 수납(고정 또는 마운팅)하는 작업이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도 16 및 17을 참조하면,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가 마운팅되는(수납되는) 케이스는 하부 케이스(310)와 상부 케이스(도 17의 320)를 포함한다.
하부 케이스(31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상의 바닥 부재(311)와 바닥부재(311)의 테두리에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측벽부재들(312, 313, 314 및 315)을 포함하고, 이러한 구성들(311, 312, 313, 314 및 315)에 의해, 측면 커버 부재(212, 222)가 체결된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가 마운팅되는(수납되는) 수납 공간이 제공된다.
바닥 부재(311)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출부(311A)가 구비되며, 각 돌출부(311A)는 장볼트(10)의 끝단부와 체결되는 체결공을 갖는다. 장볼트(10)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모서리에 구비된 코킹 파이프(도 6의 170)를 관통하여,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장볼트(10)의 끝단부와 상기 돌출부(311A)의 체결공이 체결됨으로써,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가 하부 케이스(310)의 내부 공간에 수납되고, 동시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한편, 제1 측벽 부재(312)는 케이스의 전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제1 측벽부재(312)에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또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으로부터 변환된 고전압)을 전달하는 와이어와 고전압 출력 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한 구멍(312A)이 구비된다.
제2 측벽 부재(313)는 케이스의 한쪽 측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측면에 체결된 측면 커버 부재(도 15의 212)에 형성된 장방향의 구멍(212A)과 연통하는 장방향의 구멍(313A)이 구비된다.
제3 측벽 부재(314)는 케이스의 다른쪽 측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로부터 출력되는 저전압(또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으로부터 변환된 저전압)을 전달하는 와이어와 저전압 출력 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한 구멍(314A)이 구비된다.
제4 측벽 부재(315)는 케이스의 후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로부터 입출력되는 차량 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와 차량 신호 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한 구멍(315A)가 구비된다.
이러한 하부 케이스(310)의 내부에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수납이 완료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가 하부 케이스(310)의 내부 공간을 차지하는 공간 이외의 여분의 공간에 기타 전장부품들, 예를 들면, BMS, LDC, 저전압 출력을 위한 부품, 고전압 출력을 위한 부품, 차량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부품들을 수납한 후, 상부 케이스(320)와 하부 케이스를 결합한다. 이후, 하부 케이스의 각 측벽 부재에 형성된 구멍들에 고전압 출력 커넥터, 저전압 출력 커넥터, 차량 신호 커넥터 및 덕트를 볼트 체결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를 케이스에 마운팅하는 작업이 완료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에 적용되는 전압 센싱 어셈블리와 온도센싱 와이어링 어셈블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전압센싱 어셈블리와 온도센싱 와이어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압센싱 어셈블리와 온도센싱 와이어링 부재가 조립된 최종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압센싱 어셈블리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와 독립된(분리된) 어셈블리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일체형으로 구현된다. 여기서,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와 전압센싱 어셈블리가 일체형으로 구현된다는 의미는 전압센싱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 요소들이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 내에 구비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전압 센싱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 중에서 전압 센싱을 위한 버스바 및 전압 센싱을 위한 와이어가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를 구성하는 일부 카트리지들 내에 각각 내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압 센싱 어셈블리(400)는 도 18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센싱을 위한 버스바(401), 전압 센싱을 위한 센싱 와이어(403), 전압 센싱 하부 하우징(405), 전압 센싱 와이어링 부재(407), 전압 센싱 상부 하우징(409)를 포함한다.
버스바 (401)
도 18을 참조하면, 버스바(401)는 카트리지 A(130)에 구비되며, 예를 들면, 카트리지 A(130)의 단변을 형성하는 제2 프레임(F2 또는 후면 프레임) 상에 배치된다.
제2 프레임(F2) 상에 배치되는 버스바(401)는 제1 버스바(401A), 제2 버스바(401B) 및 제1 버스바(401A)와 제2 버스바(401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401C)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버스바(401A 및 401B)와 연결부(401C)는 동일한 재질의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버스바(401A)는 제2 프레임(F2 또는 후면 프레임)의 제1 돌출부(31) 상에 배치된다. 제1 돌출부(31)는 카트리지 A(130)의 장변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2 버스바(401B)는 제2 프레임(F2 또는 후면 프레임)의 제2 돌출부(33)에 배치된다. 제2 돌출부(33)는 제2 프레임(F2 또는 후면 프레임)으로부터 제1 돌출부(31)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제2 돌출부(33)의 돌출길이(L2)는 제1 돌출부(31)의 돌출길이(L1)보다 길다. 제2 돌출부(33)의 돌출길이(L2)가 제1 돌출부(31)의 돌출길이(L1)보다 긴 이유는 제2 돌출부(33) 상에 배치되는 제2 버스바(401B)가 아래에서 설명한 전압 센싱 하부 하우징(405)에 구비된 센싱 단자(405A)와 연결되기 위함이다.
연결부(401C)는 제2 프레임(F2)으로부터 제1 돌출부(31)와 제2 돌출부(33)가 돌출됨에 따라 제1 돌출부(31)와 제2 돌출부(33) 사이에 형성되는 굴곡을 따라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절곡된 형상은, 예를 들면, 'ㄷ' 형상일 수 있다.
제1 버스바(401A)는, 도 19에 도시된 카트리지 A(130)의 하부에 배치되는 셀(122)의 셀 리드 단자(122A)와 면 접촉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셀 리드 단자(122A)의 일단부는 셀 평면에 수직한 방향(상부 방향)으로 절곡된(벤딩된) 형상('┑'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형태에 의해, 셀 리드 단자(122A)의 일단부와 제1 버스바(410 A) 간의 면 접촉이 가능해질 수 있다.
제1 버스바(410 A)와 셀(122)의 셀 리드 단자(122A)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셀(122)의 셀 리드 단자(122A)와 카트리지 A(1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셀(121)의 셀 리드 단자(121A)가 면 접촉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셀(121)의 셀 리드 단자(121A)의 일단부도 셀 평면에 수직한 방향(하부 방향)으로 절곡된(벤딩된) 형태를 가지며, 이러한 형태에 의해, 셀 리드 단자(121A)의 일단부와 셀 리드 단자(122A)의 일단부 간의 면 접촉이 가능해질 수 있다. 결국, 제1 버스바(도 18의 401A), 셀(121)의 셀 리드 단자(도 19의 121A) 및 셀(122)의 셀 리드 단자(도 19의 122A)가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버스바(도 18의 401B)는 도 25에 도시된 전압 센싱 하부 하우징(405) 상에 형성된 센싱 단자(405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2 버스바(401B)와 전압 센싱 터미널(405A)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제2 버스바(401B)와 전압 센싱 터미널(405A)은 레이저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18을 참조하면, 카트리지 A(130)의 제2 프레임(F2)은 제1 및 제2 돌출부(31 및 33) 외에 제3 돌출부(35)를 더 가지며, 제3 돌출부(35)는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10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가 삽입되는 홀(35-1)을 구비한다.
센싱 와이어 (403)
도 20을 참조하면, 센싱 와이어(403)는 전압 센싱을 위한 와이어로서, 카트리지 B(140)에 구비(매설)된다.
이를 위해, 카트리지 B(140)는 센싱 와이어(403)가 매설되는 홈(145)을 구비한다. 홈(145)은 제1 프레임(F1 또는 전면 프레임), 제3 프레임(F3) 및 제2 프레임(F2 또는 후면 프레임)에 걸쳐 형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홈(145)은 제1 프레임(F1 또는 전면 프레임). 제4 프레임(F4) 및 제2 프레임(F2 또는 후면 프레임)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 B(140)에 구비된(매설된) 센싱 와이어(403)의 양 단부에는 버스바가 각각 연결된다.
센싱 와이어(403)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버스바(403A)는 카트리지 B(140)의 제1 프레임(F1 또는 전면 프레임) 상에 구비되고, 센싱 와이어(403)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버스바(403B)는 제1 프레임(F1 또는 전면 프레임)과 마주하는 제2 프레임(F2 또는 후면 프레임) 상에 구비된다.
제1 프레임(F1 또는 전면 프레임)에 구비되는 버스바(403A)는 'ㄱ'자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버스바(403A)를 절곡된 지점을 기준으로 일단부와 타단부로 구분할 경우, 일단부는 제1 프레임(F1 또는 전면 프레임) 상에 형성된 홈(145)에 매설되어 센싱 와이어(403)의 일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 프레임(F1 또는 전면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45) 상에 안착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마찬가지로, 버스바(403B)도 'ㄱ'자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버스바(403B)를 절곡된 지점을 기준으로 일단부와 타단부로 구분할 경우, 일단부는 제2프레임(F2 또는 후면 프레임) 상에 형성된 홈(145)에 매설되어 센싱 와이어(403)의 타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버스바(403B)의 타단부는 제2 프레임(F2)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47) 상에 안착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카트리지 B(140)의 제1 프레임(F1 또는 전면 프레임)에 안착되는 버스바(403A)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B(140)의 상부에 배치되는 셀(122)의 셀 리드 단자(122B) 또는 카트리지 B(140)의 하부에 배치되는 셀(123)의 셀 리드 단자(123B)와 면접촉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카트리지 B(140)의 버스바(403A)가 카트리지 B(140)의 하부에 배치되는 셀(123)의 셀 리드 단자(123B, 하부 방향으로 절곡된 단자)와 면접촉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셀(123)의 셀 리드 단자(123B)는 카트리지 B(140)의 상부에 배치되는 셀(122)의 셀 리드 단자(122B, 상부 방향으로 절곡된 단자)와 면접촉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결국, 카트리지 B(140)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셀(122)의 셀 리드 단자(122B)와 셀(123)의 셀 리드 단자(123B) 및 카트리지 B(140)에 배치되는 버스바(403A)는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도 19 및 21에서는 각 셀의 셀 리드 단자를 색상을 달리하여 도시하였다. 색상을 다르게 도시한 것은 각 셀 리드 단자의 재질이 다름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붉은 색으로 칠해진 셀 리드 단자(도 21의 122B)는 알루미늄(Al) 재질이고, 파란색으로 칠해진 셀 리드 단자(도 19의 122A, 도 21의 123B)는 구리(Cu) 재질일 수 있다.
도 22의 (A)는 카트리지들이 적층된 조립체의 전면을 바라볼 때, 카트리지 B(140)의 버스바(도 20의 403A)와 셀 리드 단자(Al+Cu) 간의 면접촉 부분(22A)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카트리지들이 적층된 조립체의 후면을 바라볼 때, 카트리지 A(130)의 버스바(도 18의 401A)와 셀 리드 단자(Al+Cu)가 면접촉 부분(22B)을 나타낸 것이다.
전압 센싱 하부 하우징 (405)
도 23 내지 25를 참조하면, 전압 센싱 하부 하우징(405)은 카트리지들이 적층된 조립체(100)의 후면(도 22의 (B))을 커버한다.
전압 센싱 하부 하우징(405)에는 세로 방향(또는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센싱 단자(405A, 405B)가 구비된다.
다수의 센싱 단자(405A, 405B)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센싱 하부 하우징(405)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좌측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는 좌측 센싱 단자들(405A)과 우측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는 우측 센싱 단자들(405B)을 포함한다.
좌측 센싱 단자들(405A)은 적층된 카트리지들 중에서 카트리지 A들 각각의 버스 바(도 18의 401B)와 레이저 용접에 의해 용접되고, 우측 센싱 단자들(405B)은 적층된 카트리지들 중에서 카트리지 B들 각각의 버스 바(도 20의 403B)와 레이저 용접에 의해 용접된다.
우측 센싱 단자들(405B) 사이 사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개구부에 의해 카트리지 A들 각각에 구비된 홀(35-1)이 외부로 노출된다. 여기서, 홀(35-1)은 온도 센서가 삽입되는 홀(도 18을 참조)이다.
전압 센싱 하부 하우징(405)은 카트리지 A들 각각에 구비된 홀(35-1)을 제외하면, 카트리지들이 적층된 조립체(100)의 후면 전체를 외부로부터 차단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22의 (B)에 도시된 카트리지 A(130)의 버스바(도 18의 401A)와 셀 리드 단자의 면접촉 부분(22B)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전압 센싱 하부 하우징(405)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들이 적층된 조립체(100)의 후면과 클립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클립 방식의 체결을 위해, 전압 센싱 하부 하우징(405)의 상단 중앙부와 하단 중앙부에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도 23의 405C)이 각각 형성되고, 상부 걸림홈(도 23의 405C)이 상부 카트리지(110)의 단변 중앙에 형성된 상부 걸림 돌기(116)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고, 마찬가지로 전압 센싱 하부 하우징(405)의 하부 걸림홈(도면에서 명확히 도시하지 않음)이 하부 카트리지(160)의 하부 걸림 돌기(도 10의 168)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전압 센싱 와이어링 부재(407)
전압 센싱 와이어링 부재(407)는 전압 센싱 하부 하우징(405)에 구비된 다수의 센싱 단자(405A, 405B)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407A), 다수의 라인(407B) 및 튜브(407C)를 포함한다.
커넥터(407A)는 각 셀의 전압 센싱을 위한 차량 내의 전자 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된다.
다수의 라인(407B)은 전압 센싱 하부 하우징(405)에 구비된 다수의 센싱 단자(405A, 405B)와 커넥터(407A)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상기 튜브(407B) 내에 수용된다.
상기 튜브(407C)의 측면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홀을 통해 다수의 라인(407B)가 튜브(407C) 밖으로 인출된다. 상기 튜브(407C) 밖으로 인출된 다수의 라인(407B)은 다수의 센싱 단자(405A, 405B)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튜브(407C)의 일단부는 전압 센싱 하부 하우징(405) 상에 구비된 그립 부재(405D)에 의해 상기 전압 센싱 하부 하우징(405)의 다수의 센싱 단자(405A, 405B)가 배열된 세로 방향과 동일한 세로 방향으로 고정 설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다수의 라인(407B)이 서로 엉키지 않고, 다수의 센싱 단자(405A, 405B)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전압 센싱 상부 하우징 (409)
도 23 및 26을 참조하면, 전압 센싱 상부 하우징(409)은, 전압 센싱 하부 하우징(405)이 다수의 카트리지가 적층된 조립체(100)의 후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압 센싱 하부 하우징(405)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전압 센싱 하부 하우징(405)과 결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압 센싱 하부 하우징(405)의 다수의 센싱 단자(405A, 405B)의 외부 노출이 차단된다.
다만, 전압 센싱 상부 하우징(409)은 카트리지 A들 각각에 구비된 홀(35-1)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세로 방향(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홀(도 26의 409A)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전압 센싱 상부 하우징(409)은 온도센서가 삽입되는 홀(도 18의 35-1)을 제외한 나머지 전압 센싱 하부 하우징(405)의 전면을 커버한다.
전압 센싱 상부 하우징(409)을 전압 센싱 하부 하우징(405)에 결합하기 위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센싱 상부 하우징(409)의 상단과 하단에는 걸림 돌기(도 23의 409B)가 2개씩 형성될 수 있다.
전압 센싱 상부 하우징(409)의 걸림 돌기(409B)는 전압 센싱 하부 하우징(407)의 상단과 하단에 2개씩 형성된 걸림 돌기(405E)와 각각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다수의 카트리지가 적층된 조립체의 후면에 전압 센싱 상부 하우징(409)의 조립이 완료되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센싱 상부 하우징(409)에 형성된 홀(도 26의 409A)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홀(도 18의 35-1)에 온도센싱 와이어링 부재(500)가 결합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센싱 와이어링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온도센싱 와이어링 부재(500)는 커넥터(501), 온도센서(503) 및 커넥터(501)와 온도센서(503)를 연결하는 와이어링(505)를 포함한다.
커넥터(501)는 배터리 셀의 온도를 센싱하는 차량 내의 외부 전자 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된다. 온도센서(503)는 전압 센싱 상부 하우징(409)에 형성된 홀(409A)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홀(도 18의 35-1)에 삽입된다.
도 28에는 온도센싱 와이어링 부재(500)의 조립까지 완료된 최종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가 도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A, B의 사공간에 전압센싱 와이어 및 버스 바를 낱개로 구비함으로써, 전압센싱 어셈블리를 위한 별도의 공간 불필요하고, 부품 총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을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예시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예시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다수의 셀;
    각 셀을 사이에 두고, 수직 방향으로 적층된 다수의 카트리지; 및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를 조립하기 위해, 상기 적층된 각 카트리지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삽입되는 코킹 파이프를 포함하고,
    전압센싱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버스바와 센싱 와이어가 상기 코킹 파이프에 의해 조립된 상기 다수의 카트리 중 제1 카트리지(카트리지 A)와 제2 카트리지(카트리지 B)에 각각 구비된 것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카트리지(카트리지 A)는 단변을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F1)과 후면 프레임(F2) 및 장변을 형성하는 2개의 측면 프레임들(F3 및 F4)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형상으로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후면 프레임(F2) 상에 구비된 것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3. 제1항에서, 상기 제1 카트리지(카트리지 A)는 단변을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F1)과 후면 프레임(F2) 및 장변을 형성하는 2개의 측면 프레임들(F3 및 F4)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형상으로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후면 프레임(F2)으로부터 제1 길이(L1)로 돌출된 제1 돌출부(31) 상에 안착되는 제1 버스바(401A), 상기 후면 프레임으로부터 제1 길이(L1)이보다 더 긴 제2 길이(L2)로 돌출된 제2 돌출부(33) 상에 안착되는 제2 버스바(401B) 및 상기 제1 버스바(401A)와 상기 제2 버스바(401B)를 연결하는 연결부(401C)를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4. 제3항에서,
    상기 제1 버스바(401A)는,
    상기 제1 카트리지(카트리지 A)를 사이에 두고, 상부에 배치된 셀의 셀 리드 단자(121A)와 하부에 배치된 셀의 셀 리드 단자(122A)와 면접촉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5. 제3항에서,
    상기 제1 버스바(401A)는,
    상기 제1 카트리지(카트리지 A)를 사이에 두고, 상부에 배치된 셀의 셀 리드 단자(121A)와 하부에 배치된 셀의 셀 리드 단자(122A)와 면접촉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6. 제3항에서,
    상기 제2 버스바(401B)는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가 적층된 조립체의 후면을 커버하는 전압 센싱 하부 하우징(405)에 구비된 센싱 단자(405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7. 제1항에서,
    제2 카트리지(카트리지 B)는 단변을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F1)과 후면 프레임(F2) 및 장변을 형성하는 2개의 측면 프레임들(F3 및 F4)로 이루어진 사각 링 형상으로서,
    상기 센싱 와이어(403)는,
    상기 전면 프레임(F1), 상기 전면 프레임(F1)과 마주하는 상기 후면 프레임(F2) 및 상기 2개의 측면 프레임들(F3 및 F4) 중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에 걸쳐 형성된 홈에 매설되는 것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8. 제7항에서,
    상기 센싱 와이어는,
    양단부에 연결되는 제1 버스바(403A)와 제2 버스바(403B)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버스바(403A)는 상기 전면 프레임(F1)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버스바(403B)는 상기 후면 프레임(F2)에 구비되는 것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9. 제8항에서,
    상기 제1 버스바(403A)는,
    상기 제2 카트리지(카트리지 B)를 사이에 두고, 상부에 배치된 셀의 셀 리드 단자(122B)와 하부에 배치된 셀의 셀 리드 단자(123B)와 면접촉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10. 제8항에서,
    상기 제2 버스바(403B)는,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가 적층된 조립체의 후면을 커버하는 전압 센싱 하부 하우징(405)에 구비된 센싱 단자(405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11. 다수의 셀;
    각 셀을 사이에 두고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며, 전압센싱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버스바를 구비한 제1 카트리지(카트리지 A)와 상기 전압센싱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센싱 와이어를 구비한 제2 카트리지(카트리지 B)를 포함하는 다수의 카트리지; 및
    상기 적층된 각 카트리지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삽입되는 코킹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센싱 어셈블리는,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가 적층된 조립체의 후면을 커버하는 전압센싱 하부 하우징(405); 및
    상기 전압센싱 하부 하우징(405)을 커버하는 전압센싱 상부 하우징(409)
    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12. 제11항에서,
    상기 전압센싱 하부 하우징(405)은,
    상기 제1 카트리지(카트리지 A)에 구비된 버스바와 연결되는 센싱 단자(405A)와 상기 제2 카트리지(카트리지 B)에 구비된 센싱 와이어의 한쪽 단부에 연결된 버스바(403B)와 연결되는 센싱 단자(405B)를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13. 제12항에서,
    상기 전압센싱 어셈블리는,
    상기 전압센싱 하부 하우징(405) 상에 고정 설치되는 전압 센싱 와이어링 부재(40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압 센싱 와이어링 부재(407)는,
    각 셀의 전압 센싱을 위한 차량 내의 전자 장치에 연결되는 커넥터(407A);
    상기 커넥터와 상기 센싱 단자(405A 및 405B)를 연결하는 다수의 라인(407B)을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14. 제11항에서,
    상기 제1 카트리지(카트리지 A)는,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가 적층된 조립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
    상기 조립체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 프레임 및
    상기 조립체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프레임과 상기 후면 프레임이 단변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들이 장변을 형성하는 직사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버스바는 상기 후면 프레임 상에 구비된 것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15. 제14항에서,
    상기 후면 프레임은 상기 다수의 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가 삽입되는 홀(35-1)을 가지며,
    상기 전압센싱 하부 하우징(405)은,
    상기 홀(35-1)을 밖으로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는 것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16. 제15항에서,
    상기 전압센싱 상부 하우징(409)은,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홀(35-1)을 밖으로 노출시키는 홀(409A)을 갖는 것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17. 제11항에서,
    상기 전압센싱 하부 하우징(405)의 상단에 구비된 걸림홈(405C)과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 중에서 최상단에 적층된 상부 카트리지(110)의 단변에 구비된 걸림돌기(116)가 끼움방식으로 체결되고,
    상기 전압센싱 하부 하우징(405)의 하단에 구비된 걸림홈과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 중에서 최하단에 적층된 하부 카트리지(160)의 단변에 구비된 걸림 돌기(168)가 끼움방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전압센싱 하부 하우징(405)가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가 적층된 조립체의 후면에 결합되는 것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18. 제11항에서,
    상기 전압센싱 하부 하우징(405)의 상단에 구비된 걸림홈(405E)과 상기 전압센싱 상부 하우징(409)에 상단에 구비된 걸림 돌기(409B)가 끼움방식으로 체결되고,
    상기 전압센싱 하부 하우징(405)의 하단에 구비된 걸림홈과 상기 전압센싱 상부 하우징(409)에 하단에 구비된 걸림 돌기가 끼움방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전압센싱 상부 하우징(409)이 상기 전압센싱 하부 하우징(405)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전압센싱 하부 하우징(405)과 체결되는 것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19. 다수의 셀;
    각 셀을 사이에 두고, 교대로 적층된 제1 카트리지(카트리지 A)와 제2 카트리지(카트리지 B)를 포함하는 다수의 카트리지; 및
    상기 다수의 카트리지를 조립하기 위해, 상기 적층된 각 카트리지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삽입되는 코킹 파이프를 포함하고,
    전압센싱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핵심 부품들 중 버스바는 상기 제1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4개의 프레임들 중 단변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에 배치되고, 전압센싱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핵심 부품들 중 센싱 와이어는 상기 제2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4개의 프레임들 중 단변을 형성하는 2개의 프레임들과 장변을 형성하는 1개의 프레임에 걸쳐 매설되는 것인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KR1020190090453A 2019-07-25 2019-07-25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KR2021001254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453A KR20210012544A (ko) 2019-07-25 2019-07-25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US16/937,929 US11581591B2 (en) 2019-07-25 2020-07-24 Battery module assembly
DE102020119584.2A DE102020119584A1 (de) 2019-07-25 2020-07-24 Batteriemodulanordnung
CN202010724807.5A CN112366426B (zh) 2019-07-25 2020-07-24 电池模块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453A KR20210012544A (ko) 2019-07-25 2019-07-25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544A true KR20210012544A (ko) 2021-02-03

Family

ID=74099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453A KR20210012544A (ko) 2019-07-25 2019-07-25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81591B2 (ko)
KR (1) KR20210012544A (ko)
CN (1) CN112366426B (ko)
DE (1) DE1020201195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66452A1 (en) * 2022-04-22 2023-10-25 Hyundai Mobis Co., Ltd. Battery modul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module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000411A1 (de) 2022-02-03 2023-08-03 Mercedes-Benz Group AG Elektrischer Energiespeicher
WO2024103359A1 (zh) * 2022-11-17 2024-05-2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托盘及电池拘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458B1 (ko) * 2004-12-24 2008-12-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지 카트리지와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개방형 전지 모듈
KR100884944B1 (ko) 2006-05-29 2009-0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압 검출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0895203B1 (ko) * 2006-05-15 2009-05-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모듈
KR101174045B1 (ko) * 2010-09-29 2012-08-16 주식회사 명신이엔지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조립체
CN102751542B (zh) * 2012-06-17 2014-06-04 深圳市格瑞普电池有限公司 锂离子电池组以及锂离子电池组组合
JP6020903B2 (ja) * 2012-10-24 2016-11-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KR101820935B1 (ko) * 2014-06-02 2018-0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473767B1 (ko) * 2015-10-08 2022-12-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고전압 배터리 서브모듈
CN205645931U (zh) * 2016-05-05 2016-10-1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组框架结构
CN205810899U (zh) * 2016-05-24 2016-12-14 欣旺达电子股份有限公司 软包电池组装支架及软包电池组
JP2018063888A (ja) * 2016-10-13 2018-04-19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組電池
CN106356484B (zh) * 2016-10-19 2018-05-22 沃太能源南通有限公司 一种拼装式动力电池系统结构
KR102635431B1 (ko) * 2016-12-13 2024-02-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N208127284U (zh) * 2018-05-09 2018-11-20 江苏大秦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软包电池的支架及电池模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66452A1 (en) * 2022-04-22 2023-10-25 Hyundai Mobis Co., Ltd. Battery modul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modul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0119584A1 (de) 2021-01-28
CN112366426B (zh) 2023-08-11
US20210028514A1 (en) 2021-01-28
US11581591B2 (en) 2023-02-14
CN112366426A (zh) 2021-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12544A (ko)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KR101174045B1 (ko)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조립체
US9437847B2 (en) Battery pack
ES2607881T3 (es) Módulo de almacenamiento de energía que comprende unos medios de acuñamiento desplazables de una pluralidad de elementos de almacenamiento de energía
WO2013005516A1 (ja) 電池配線モジュール
JP2015050187A (ja) バッテリパック
BR102017010386A2 (pt) Battery assembly
JP3284850B2 (ja)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搭載構造
JP3985630B2 (ja) 電気接続箱および該電気接続箱の組立方法
WO2015159524A1 (ja) バスバーモジュール、バッテリ監視モジュールおよびバッテリモジュール
US9570723B2 (en) Electric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ic storage apparatus
JP2016009646A (ja) 配線モジュール
US9859646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mounting electrical connector on circuit board
KR20200131022A (ko)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3165696B (zh) 蓄电装置的车辆搭载构造
KR101800815B1 (ko) 셀 인서트 사출구조를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KR102199077B1 (ko) 전력저장장치 제조 방법
KR102347755B1 (ko) 배터리 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조립체
KR102182224B1 (ko) 전력저장장치
JP3589154B2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と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KR20200101091A (ko) 전력저장장치
KR102295702B1 (ko) 배터리 팩
KR102182219B1 (ko) 전력저장장치
KR102182221B1 (ko) 전력저장장치
KR102182228B1 (ko) 전력저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