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1829A -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 - Google Patents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1829A
KR20210011829A KR1020190089211A KR20190089211A KR20210011829A KR 20210011829 A KR20210011829 A KR 20210011829A KR 1020190089211 A KR1020190089211 A KR 1020190089211A KR 20190089211 A KR20190089211 A KR 20190089211A KR 20210011829 A KR20210011829 A KR 20210011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load sensor
climbing
wall construction
build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7339B1 (ko
Inventor
구정모
배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진알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진알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진알씨에스
Priority to KR1020190089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3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11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에 관한 것으로,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구조물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결합공이 구비된 레일; 상기 레일의 상기 제1결합공 상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레일의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에 구비되는 하중 센서; 상기 하중 센서에는, 상기 하중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중 센서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 {IOT(internet of things) applicable climbing rail of climbing system for building wall construction}
본 발명은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에 사물 인터넷(IOT)이 가능한 하중 센서를 부착하고, 인터넷 망을 통해 하중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라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시스템의 안전 여부 및 주요 정보를 전달해 줄 수 있는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건물을 신축할 때,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기간 양생시켜 건물을 시공하게 된다. 콘크리트 타설에 필요한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발판, 비계 등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최근에는 작업발판, 비계 등을 설치하기 위해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RCS, Rail Climing system)을 사용하고 있다.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은 거푸집 설치를 위한 작업발판, 비계 등을 레일에 결합하여 일체로 제작한 것으로,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은 구조물의 일측에 설치되는 클라이밍 슈와 맞물리게 되면서 크레인 없이 유압으로 상승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부가 시공되면, 구조물의 일측에 클라이밍 슈를 설치하고, 클라이밍 슈에 작업발판, 비계 등이 설치된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을 고정시킨다. 클라이밍 슈에 고정된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고, 이를 통해 구조물의 일부를 시공하게 된다.
구조물의 일부를 시공한 이후에는, 클라이밍 슈에 구비된 유압 실린더를 통해 레일을 상부로 올리게 되고, 다시 상술한 방법을 반복하면서 구조물의 상부를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은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유압을 통해 레일을 상승시키면서 구조물의 시공을 진행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은 레일에 가해지는 하중 또는 레일에 의해 클라이밍 슈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클라이밍 슈에 레일을 결합시킬 때, 클라이밍 슈에 레일이 정확하게 결합되지 않거나 특정 부품에 결합이 발생함에 따라 클라이밍 슈를 통해 레일을 지탱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일 지점에서 클라이밍 슈가 레일을 지탱하지 못하는 경우 다른 지점으로 집중하중이 발생하게 되고, 집중하중이 발생하는 부분에서 부품의 파손이 발생함에 따라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전체가 지지 되지 못하고 붕괴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의 붕괴는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데, 종래의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은 레일에 가해지는 하중 또는 레일에 의해 클라이밍 슈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지 못함에 따라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에 사물 인터넷(IOT)이 가능한 하중 센서를 부착하고, 인터넷 망을 통해 하중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라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시스템의 안전 여부 및 주요 정보를 전달해 줄 수 있는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은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구조물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결합공이 구비된 레일; 상기 레일의 상기 제1결합공 상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레일의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부; 기 걸림부에 구비되는 하중 센서; 상기 하중 센서에는, 상기 하중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중 센서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의 상기 하중 센서는, 상기 걸림부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은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구조물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2결합공이 구비된 보강 레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 레일은, 상기 제1결합공과 상기 제2결합공이 연통되도록 상기 레일에 결합되며, 상기 걸림부는, 제2결합공 상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보강 레일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의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하중 센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 센서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지정된 값 이상이면, 외부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 센서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모바일 기기에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의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하중 센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 센서가 구비된 상기 레일은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하중 센서에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통해 복수 개의 상기 레일 중 이상 지점을 판별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은 일측은 구조물에 결합되며, 타측에는 걸림후크가 구비된 클라이밍 슈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라이밍 슈의 상기 걸림후크는 상기 제1결합공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1결합공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레일의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후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하중 센서는, 상기 레일에 의해 상기 걸림후크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레일에 사물 인터넷(IOT)이 가능한 하중 센서를 부착하고, 인터넷 망을 통해 하중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라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시스템의 안전 여부 및 주요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를 통해 하중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 중 예상과 다른 값이 측정되는 것을 판별할 수 있고, 이를 사용자 및 작업자에게 알림으로써 클라이밍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의 레일, 클라이밍 슈, 유압 실린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의 레일에 클라이밍 슈가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의 레일에 클라이밍 슈가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중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통신 장치 및 제어부에 전송하여, 알림 장치 및 모바일 기기에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일과 보강 레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일에 볼트, 너트, 와셔를 사용하여 보강 레일을 결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에 관한 것으로, 레일에 사물 인터넷(IOT)이 가능한 하중 센서를 부착하고, 인터넷 망을 통해 하중 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라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시스템의 안전 여부 및 주요 정보를 전달해 줄 수 있는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은 레일(110), 걸림부(120), 하중 센서(130), 통신 장치(150)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110)은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구조물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결합공(11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레일(110)은 후술할 클라이밍 슈(200)를 통해 구조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레일(110)에는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과 같은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작업 발판, 비계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공(111)은 상기 레일(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결합공(111)은 상기 레일(110)을 관통하는 사각형 형상의 관통공일 수 있다.
상기 걸림부(120)는 상기 레일(110)의 상기 제1결합공(111) 상부에서 상기 레일(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부(120)는 후술할 상기 클라이밍 슈(200)의 걸림후크(210)가 걸릴 수 있는 부분이 되는 곳으로, 상기 레일(110)의 상기 걸림부(120)는 상기 걸림후크(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은 상기 클라이밍 슈(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밍 슈(200)는 일측이 구조물에 결합되며, 타측에는 걸림후크(210)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클라이밍 슈(200)의 상기 걸림후크(210)는 상기 제1결합공(111)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1결합공(111)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걸림후크(210)가 상기 제1결합공(111)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1결합공(111) 외부로 돌출되면, 상기 걸림부(120)는 상기 걸림후크(210)에 걸리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걸림부(120)는 상기 걸림후크(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클라이밍 슈(200)는 일측이 구조물에 결합되면서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클라이밍 슈(200)의 상기 걸림후크(210)를 통해 상기 걸림부(120)를 지지하게 되면, 상기 레일(110)의 하중이 상기 걸림부(120)-상기 걸림후크(210)-상기 클라이밍 슈(200)로 전달되면서 상기 레일(110)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라이밍 슈(200)의 일측이 결합되는 구조물은 이미 시공이 되어 있는 부분이 될 수 있으며, 상기 클라이밍 슈(200)를 지지할 수 있을 만큼 지지력이 발현될 수 있는 구조물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클라이밍 슈(200)는 상기 걸림후크(210)가 결합된 본체부(220)와 상기 본체부(2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티컬 가이드(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레일(110)은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부(112)와, 상기 기둥부(112)의 양측에서 외부로 돌출되면서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밍 슈(200)의 상기 걸림후크(210)가 상기 제1결합공(111)을 관통하면서 상기 걸림부(120)에 걸리게 되면, 상기 버티컬 가이드(230)를 상기 본체부(220)에 대하여 회전시켜 상기 레일(110)의 상기 날개부(113)를 감싸게 하면서, 상기 레일(110)을 상기 클라이밍 슈(200)에 고정시킨다.
상기 레일(110)이 상기 클라이밍 슈(200)에 고정된 이후에는, 상기 버티컬 가이드(230)가 회전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버티컬 가이드(230)와 상기 본체부(220)에 동시에 끼워지는 가이드 핀(240)을 통해 상기 버티컬 가이드(23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레일(110)을 상기 클라이밍 슈(200)에 고정시킨 이후에는, 상기 레일(110)에 구비된 작업 발판, 비계 등을 통해 구조물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레일(110)을 통해 구조물의 작업이 끝나면, 상기 레일(110)을 상승시켜 작업이 완료된 구조물의 상부를 다시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레일(110)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유압 실린더(2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유압 실린더(250)의 일단은 상기 클라이밍 슈(200)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유압 실린더(250)의 타단은 상기 레일(1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250)를 통해 상기 레일(110)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레일(110)을 상기 클라이밍 슈(200)에서 해체시킨다.
상기 가이드 핀(240)을 제거하면서, 상기 버티컬 가이드(230)를 상기 레일(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클라이밍 슈(200)를 상기 레일(110)에서 떼어내면, 상기 유압 실린더(250)를 통해 상기 레일(110)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유압 실린더(250)를 통해 상기 레일(110)이 상승 되면, 상기 클라이밍 슈(200)에 상기 레일(110)을 다시 고정시킨 후 구조물의 작업이 진행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하중 센서(130)는 상기 걸림부(120)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하중 센서(130)는 상기 레일(110)에 의해 상기 걸림후크(210)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중 센서(130)는 상기 걸림후크(210)에 의해 상기 걸림부(120)가 지지되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하중 센서(130)에는 상기 하중 센서(13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중 센서(130)는 사물 인터넷(IOT)이 가능한 하중 센서로, 상기 하중 센서(130)의 상기 송신부는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하중 센서(13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하중 센서(130)의 상기 송신부는 인터넷 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통신 수단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은 상기 하중 센서(130)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장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장치(150)는 상기 하중 센서(130)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장치일 수 있으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서버 장치, 모바일 기기 등이 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통신 장치(150)는 상기 하중 센서(13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판별할 수 있는 제어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하중 센서(130)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지정된 값 이상이면, 외부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통신 장치(150)와 상기 제어부(160)를 통해 상기 하중 센서(13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게 되며, 분석된 데이터를 통해 IOT 기반의 건설 현장 관리가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클라이밍 슈(200)가 상기 레일(110)에 잘못 설치되거나 클라이밍 시스템의 부품 중 일부에 결함이 발생하면, 상기 하중 센서(130)에서 예상되는 하중보다 높은 값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하중 센서(130)에서 예상되는 하중보다 높은 값이 측정되는 것은 상기 레일(110)이 붕괴될 수도 있는 위험 상황이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160)는 외부로 위험 알림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상기 위험 알림 신호는 경고음, 경고등을 발생시키는 알림 장치(171)에서 발생하는 신호일 수 있으며, 외부에 위험을 알릴 수 있다면 다양한 신호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중 센서(130)를 통해 측정되는 하중을 실시간으로 관리함에 따라 작업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붕괴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하중 센서(13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모바일 기기(IT 기기)(172)에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172)는 스마트폰이 될 수도 있으며, 인터넷 망으로 작동되는 다양한 기기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를 통해 상기 하중 센서(13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기기(172)로 전달함에 따라 상기 하중 센서(130)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하중 센서(130)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지정된 값이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160)를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172)로 위험 전달 메시지를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를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172)로 상기 하중 센서(130)의 데이터를 전달함에 따라 상기 레일(110)의 하중을 빅데이터화 하여 분석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구조물의 작업 도중 상기 레일(110)에 가해지는 하중을 관리 및 분석할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의 상기 레일(110)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중 센서(130)도 복수 개의 상기 레일(110) 각각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복수 개의 상기 하중 센서(130)에서부터 데이터를 각각 수신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상지점을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지점에서 상기 레일(110)이 상기 클라이밍 슈(200)에 의해 지지되지 않으면, 특정 지점의 상기 하중 센서(130) 값이 예상되는 값과 다르게 측정되는 이상 지점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160)는 복수 개의 상기 하중 센서(130)에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상 지점 여부를 판별하면서, 복수 개의 상기 레일(110) 중 어느 지점에서 이상 지점이 발생 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하중 센서(130)가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레일(110) 중 어느 지점에서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알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은 복수 개의 상기 하중 센서(130)를 통해 하중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160)를 통해 복수 개의 하중 데이터를 판별함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레일(110) 중 어느 지점에서 이상이 발생 하였는지 쉽게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하중 센서(130)는 상기 걸림부(120)에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하중 센서(130)는 상기 걸림부(120)의 외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중 센서(130)는 'ㄷ'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레일(110)의 상기 기둥부(112) 외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하중 센서(130)와 상기 레일(110)이 동시에 상기 걸림후크(210)로부터 하중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중 센서(130)를 상기 레일(110)의 외면에 부착하여 상기 하중 센서(130)와 상기 레일(110)이 동시에 하중을 받을 수 있게 하면, 상기 하중 센서(130)가 파손되어도 상기 레일(110)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하중 센서(130)가 상기 레일(11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상기 하중 센서(130)가 상기 레일(110)이 직접적으로 지지되는 부분에 구비되면, 상기 하중 센서(130)의 파손에 의해 상기 레일(110)의 지지력이 영향을 받을 위험이 있다.(상기 하중 센서(130)는 로드셀 등이 사용되는데, 이와 같은 재질은 쉽게 파손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하중 센서(130)를 상기 레일(110)의 외면에 부착하여 상기 하중 센서(130)와 상기 레일(110)이 동시에 하중을 받을 수 있게 하면, 상기 하중 센서(130)가 파손되어도 상기 레일(110)의 지지력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되고, 이를 통해 클라이밍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 도 6(a) 내지 도 6(c)을 참조하면, 상기 레일(110)에 상기 걸림부(120)와 상기 하중 센서(130)가 직접 구비될 수 있으나, 보강 레일(140)이 상기 레일(110)에 결합되면서 상기 걸림부(120)와 상기 하중 센서(13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 도 6(a) 내지 도 6(c)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 레일(140)은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보강 레일(140)에는 구조물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2결합공(14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강 레일(140)은 상기 제1결합공(111)과 상기 제2결합공(141)이 연통되도록 상기 레일(110)에 결합되며, 이 경우 상기 걸림부(120)는 상기 제1결합공(111) 상부가 아닌 상기 제2결합공(141) 상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보강 레일(14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120)가 상기 보강 레일(140)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하중 센서(130)도 상기 보강 레일(140)의 상기 걸림부(12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 레일(140)은 볼트(142), 너트(143), 와셔(144)를 통해 상기 레일(1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 레일(140)에 의해 상기 레일(110)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레일(140)은 상기 레일(110)의 강도 보강 이외의 다른 장치의 결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등,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보강 레일(140)이 상기 레일(11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클라이밍 슈(200)의 상기 걸림후크(210)는 상기 제1결합공(111) 및 상기 제2결합공(141)을 관통하여, 상기 제2결합공(141)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보강 레일(140)에 구비된 상기 걸림부(120)에 걸리면서 상기 레일(110) 및 상기 보강 레일(140)을 지지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은 사물 인터넷(IOT)이 가능한 하중 센서(130)를 부착하고, 인터넷 망을 통해 하중 센서(13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라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시스템의 안전 여부 및 주요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은 제어부(160)를 통해 하중 센서(130)에서 측정된 데이터 중 예상과 다른 값이 측정되는 것을 판별할 수 있고, 이를 사용자 및 작업자에게 알림 장치(171), 모바일 기기(172) 등을 통해 알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레일(110)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여 레일(110)이 붕괴 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면서 클라이밍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은 복수 개의 하중 센서(130)를 구비하고, 제어부(160)를 통해 복수 개의 하중 센서(13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판별함에 따라 어느 지점의 레일(110)에서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레일 111...제1결합공
112...기둥부 113...날개부
120...걸림부 130...하중 센서
140...보강 레일 141...제2결합공
142...볼트 143...너트
144...와셔 150...통신 장치
160...제어부 171...알림 장치
172...모바일 기기 200...클라이밍 슈
210...걸림후크 220...본체부
230...버티컬 가이드 240...가이드 핀
250...유압 실린더

Claims (7)

  1. 구조물의 작업을 위한 발판이 구비되면서 구조물을 따라 상승하는 클라이밍 시스템에 있어서,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구조물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결합공이 구비된 레일;
    상기 레일의 상기 제1결합공 상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레일의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에 구비되는 하중 센서;
    상기 하중 센서에는, 상기 하중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중 센서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센서는,
    상기 걸림부의 외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
  3. 제1항에 있어서,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구조물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2결합공이 구비된 보강 레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 레일은, 상기 제1결합공과 상기 제2결합공이 연통되도록 상기 레일에 결합되며,
    상기 걸림부는, 제2결합공 상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보강 레일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하중 센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 센서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지정된 값 이상이면, 외부로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 센서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모바일 기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하중 센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 센서가 구비된 상기 레일은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하중 센서에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통해 복수 개의 상기 레일 중 이상 지점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
  7.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은 구조물에 결합되며, 타측에는 걸림후크가 구비된 클라이밍 슈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라이밍 슈의 상기 걸림후크는 상기 제1결합공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1결합공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레일의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후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하중 센서는, 상기 레일에 의해 상기 걸림후크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
KR1020190089211A 2019-07-23 2019-07-23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 KR102307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211A KR102307339B1 (ko) 2019-07-23 2019-07-23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211A KR102307339B1 (ko) 2019-07-23 2019-07-23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829A true KR20210011829A (ko) 2021-02-02
KR102307339B1 KR102307339B1 (ko) 2021-10-01

Family

ID=74559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211A KR102307339B1 (ko) 2019-07-23 2019-07-23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3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35432A (zh) * 2023-09-28 2023-11-10 广州三叠纪元智能科技有限公司 安全防护平台提升判定方法、装置和电子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240Y1 (ko) * 2005-12-21 2006-03-07 주식회사 근하기공 초경량 가이드 클라이밍 시스템
KR100653222B1 (ko) * 2005-12-15 2006-12-04 (주) 콘스텍 작업대용 가시설 구조물
KR20130001947A (ko) * 2011-06-28 2013-01-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갱폼 인양용 가이드레일 시스템
KR101438191B1 (ko) * 2013-06-03 2014-09-05 (주)노전 자동 상승장치
KR20160115605A (ko) * 2015-03-27 2016-10-06 주식회사 경성기업 곤돌라 과하중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222B1 (ko) * 2005-12-15 2006-12-04 (주) 콘스텍 작업대용 가시설 구조물
KR200410240Y1 (ko) * 2005-12-21 2006-03-07 주식회사 근하기공 초경량 가이드 클라이밍 시스템
KR20130001947A (ko) * 2011-06-28 2013-01-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갱폼 인양용 가이드레일 시스템
KR101438191B1 (ko) * 2013-06-03 2014-09-05 (주)노전 자동 상승장치
KR20160115605A (ko) * 2015-03-27 2016-10-06 주식회사 경성기업 곤돌라 과하중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35432A (zh) * 2023-09-28 2023-11-10 广州三叠纪元智能科技有限公司 安全防护平台提升判定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7035432B (zh) * 2023-09-28 2024-01-09 广州三叠纪元智能科技有限公司 安全防护平台提升判定方法、装置和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339B1 (ko) 202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41383B (zh) 一种贝雷梁悬吊模板支撑体系及其施工工法
Zhang et al. Reliability assessment of steel scaffold shoring structures for concrete formwork
CN110241739A (zh) 液压爬模数字化智能控制平台
KR102307339B1 (ko)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
CN109095351B (zh) 一种可回收钢筋笼吊筋吊装方法
CN104264589B (zh) 一种挂篮状态实时监测方法
KR102122507B1 (ko)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
CN103161313A (zh) 填充墙构造柱主筋与框架梁的连接方法
CN105347142B (zh) 一种施工升降机安装在地下室顶板上的穿板安装方法
KR20110014341A (ko) 안전펜스가 설치된 타워크레인 지지장치
KR102229639B1 (ko) Iot 기반 현장관리 복합형 건설용 클라이밍 시스템
CN113981977A (zh) 钻孔灌注桩基桩顶标高控制装置
KR102176755B1 (ko) 진동감쇄장치를 갖는 교량용 타워 구조물
KR102315834B1 (ko) 건설현장의 가설구조물 안전을 위한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CN209890141U (zh) 一种钢结构网架提升定位系统
CN112709434A (zh) 钢梁安装方法
CN110700303A (zh) 一种桩基型钢组合式塔吊基础施工方法
KR20170117644A (ko) 건축물 시공을 위한 안전시스템
CN212642090U (zh) 一种悬臂式外挂防护架的监测系统
KR20210157750A (ko)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
KR101914529B1 (ko) 타워 크레인 운용 제어 시스템
CN106197235A (zh) 一种船舶上层建筑整体吊装应力及变形监测方法
CN207846906U (zh) 一种装配式预制钢筋混凝土板式楼梯
KR102530076B1 (ko) Iot 융합기술을 활용한 세이프티 클라이밍 갱폼 시스템
CN111075173A (zh) 一种装配式混凝土支撑体系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