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507B1 -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507B1
KR102122507B1 KR1020190089210A KR20190089210A KR102122507B1 KR 102122507 B1 KR102122507 B1 KR 102122507B1 KR 1020190089210 A KR1020190089210 A KR 1020190089210A KR 20190089210 A KR20190089210 A KR 20190089210A KR 102122507 B1 KR102122507 B1 KR 102122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uilding wall
wall construction
hook
climbing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정모
배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진알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진알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진알씨에스
Priority to KR1020190089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구조물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결합공이 구비된 레일; 일측은 구조물에 결합되며, 타측에는 걸림후크가 구비된 클라이밍 슈; 상기 레일의 상기 제1결합공 상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레일의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부; 상기 클라이밍 슈의 상기 걸림후크는 상기 제1결합공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1결합공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레일의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후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 {Building wall construction climbing system with intuitive confirmation of system seating}
본 발명은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에 사물 인터넷(IOT)이 가능한 하중 센서를 부착하며, 레일을 지지하면서 레일을 상승시킬 수 있는 클라이밍 슈를 통해 인양 시스템의 시공 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건물을 신축할 때,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기간 양생시켜 건물을 시공하게 된다. 콘크리트 타설에 필요한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발판, 비계 등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최근에는 작업발판, 비계 등을 설치하기 위해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RCS, Rail Climing system)을 사용하고 있다.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은 거푸집 설치를 위한 작업발판, 비계 등을 레일에 결합하여 일체로 제작한 것으로,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은 구조물의 일측에 설치되는 클라이밍 슈와 맞물리게 되면서 크레인 없이 유압으로 상승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부가 시공되면, 구조물의 일측에 클라이밍 슈를 설치하고, 클라이밍 슈에 작업발판, 비계 등이 설치된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을 고정시킨다. 클라이밍 슈에 고정된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고, 이를 통해 구조물의 일부를 시공하게 된다.
구조물의 일부를 시공한 이후에는, 클라이밍 슈에 구비된 유압 실린더를 통해 레일을 상부로 올리게 되고, 다시 상술한 방법을 반복하면서 구조물의 상부를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은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유압을 통해 레일을 상승시키면서 구조물의 시공을 진행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은 레일에 가해지는 하중 또는 레일에 의해 클라이밍 슈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클라이밍 슈에 레일을 결합시킬 때, 클라이밍 슈에 레일이 정확하게 결합되지 않거나 특정 부품에 결합이 발생함에 따라 클라이밍 슈를 통해 레일을 지탱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일 지점에서 클라이밍 슈가 레일을 지탱하지 못하는 경우 다른 지점으로 집중하중이 발생하게 되고, 집중하중이 발생하는 부분에서 부품의 파손이 발생함에 따라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 전체가 지지 되지 못하고 붕괴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붕괴는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데, 종래의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은 레일에 가해지는 하중 또는 레일에 의해 클라이밍 슈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지 못함에 따라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에 사용되는 레일은 클라이밍 슈에 안착되어 사용되는데, 종래의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은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에 사용되는 다수의 핀과 철물에 의해 레일의 안착 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경우 클라이밍 슈의 부피가 커짐에 따라 사용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종래의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경우 클라이밍 슈를 통해서 역인양(레일을 하강시키는 인양)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에 사물 인터넷(IOT)이 가능한 하중 센서를 부착하며, 레일을 지지하면서 레일을 상승시킬 수 있는 클라이밍 슈를 통해 인양 시스템의 시공 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은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구조물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결합공이 구비된 레일; 일측은 구조물에 결합되며, 타측에는 걸림후크가 구비된 클라이밍 슈; 상기 레일의 상기 제1결합공 상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레일의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부; 상기 클라이밍 슈의 상기 걸림후크는 상기 제1결합공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1결합공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레일의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후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상기 레일은,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양측에서 외부로 돌출되면서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상기 클라이밍 슈는, 상기 걸림후크가 결합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양측에서,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티컬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버티컬 가이드는 상기 레일의 상기 날개부를 감싸도록 회전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상기 버티컬 가이드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부재는, 상기 레일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제1축과 교차하는 제2축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에 대해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은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서부터 돌출되는 2개 이상의 핀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부재에는 2개 이상의 제1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2부재에는 2개 이상의 제2통공이 구비되며, 2개 이상의 상기 제1통공과 2개 이상의 상기 제2통공을 나란하게 한 이후, 상기 가이드 핀의 2개 이상의 상기 핀부를 상기 제1통공과 상기 제2통공에 삽입하여 상기 제1부재에 대한 상기 제2부재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상기 걸림후크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걸림후크는, 상기 제1결합공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레일의 상기 걸림부가 안착되는 제1안착부와, 상기 제1안착부에서 분기되는 제2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제1안착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대와 상기 제2안착부의 회전 경로상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2안착부의 일측과 접촉되는 제2지지대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상기 제2안착부에는, 고정볼트가 끼워질 수 있는 안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에는, 고정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공이 구비되며, 상기 안착홈과 상기 고정공이 나란하도록 상기 제2안착부를 회전시킨 후 고정볼트를 상기 고정공에 삽입하여, 상기 걸림후크의 일방향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은 상기 레일을 상승시킬 수 있는 유압 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라이밍 슈의 일측에는 상기 레일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파여진 결합홈이 구비되며, 상기 유압 실린더의 일측은 상기 레일에 결합되며, 상기 유압 실린더의 타측은 상기 결합홈에 끼워질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은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구조물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2결합공이 구비된 보강 레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 레일은, 상기 제1결합공과 상기 제2결합공이 연통되도록 상기 레일에 결합되며, 상기 걸림부는, 제2결합공 상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보강 레일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부에 구비되는 하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레일을 지지하면서 레일을 상승시킬 수 있는 클라이밍 슈를 통해 인양 시스템의 시공 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클라이밍 슈의 걸림후크가 레일의 제1결합공을 관통하도록 결합함에 따라 육안으로 클라이밍 슈의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레일에 사물 인터넷(IOT)이 가능한 하중 센서를 부착하고, 인터넷 망을 통해 하중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라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시스템의 안전 여부 및 주요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레일, 클라이밍 슈, 유압 실린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레일에 클라이밍 슈가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레일에 클라이밍 슈가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에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가 구비된 것과, 걸림후크에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일과 클라이밍 슈를 분리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5(a) 내지 도 5(d)에서 레일을 제거하고 클라이밍 슈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도 5(a) 내지 도 5(d)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압 실린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압 실린더를 통해 레일을 상승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일과 보강 레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일에 볼트, 너트, 와셔를 사용하여 보강 레일을 결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레일에 사물 인터넷(IOT)이 가능한 하중 센서를 부착하며, 레일을 지지하면서 레일을 상승시킬 수 있는 클라이밍 슈를 통해 인양 시스템의 시공 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은 레일(110), 클라이밍 슈(200), 걸림부(120), 걸림후크(210)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110)은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구조물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결합공(11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레일(110)은 상기 클라이밍 슈(200)를 통해 구조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레일(110)에는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과 같은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작업 발판, 비계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공(111)은 상기 레일(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결합공(111)은 상기 레일(110)을 관통하는 사각형 형상의 관통공일 수 있다.
상기 클라이밍 슈(200)는 일측이 구조물에 결합되며, 타측에는 걸림후크(210)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클라이밍 슈(200)의 상기 걸림후크(210)는 상기 제1결합공(111)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1결합공(111)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걸림부(120)는 상기 레일(110)의 상기 제1결합공(111) 상부에서 상기 레일(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부(120)는 상기 클라이밍 슈(200)의 걸림후크(210)가 걸릴 수 있는 부분이 되는 곳으로, 상기 레일(110)의 상기 걸림부(120)는 상기 걸림후크(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걸림후크(210)가 상기 제1결합공(111)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1결합공(111) 외부로 돌출되면, 상기 걸림부(120)는 상기 걸림후크(210)에 걸리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걸림부(120)는 상기 걸림후크(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클라이밍 슈(200)는 일측이 구조물에 결합되면서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클라이밍 슈(200)의 상기 걸림후크(210)를 통해 상기 걸림부(120)를 지지하게 되면, 상기 레일(110)의 하중이 상기 걸림부(120)-상기 걸림후크(210)-상기 클라이밍 슈(200)로 전달되면서 상기 레일(110)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라이밍 슈(200)의 일측이 결합되는 구조물은 이미 시공이 되어 있는 부분이 될 수 있으며, 상기 클라이밍 슈(200)를 지지할 수 있을 만큼 지지력이 발현될 수 있는 구조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은 상기 클라이밍 슈(200)의 상기 걸림후크(210)가 상기 제1결합공(111)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1결합공(111)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걸림부(120)를 지지함에 따라, 상기 레일(110)이 상기 클라이밍 슈(200)에 안착된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클라이밍 슈(200)에 상기 레일(110)이 안착되면, 상기 걸림후크(210)는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걸림후크(210)에 상기 걸림부(120)가 안착된 것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직관적으로 상기 클라이밍 슈(200)에 상기 레일(110)이 안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레일(110)은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부(112)와, 상기 기둥부(112)의 양측에서 외부로 돌출되면서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둥부(112)는 상기 걸림후크(210)가 관통될 수 있는 상기 제1결합공(111)이 구비되어 있는 부분으로, 'ㄷ'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날개부(113)는 상기 기둥부(112)의 측면 끝단에서 상기 기둥부(112)의 측면과 수직한 각도를 이루면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기둥부(112)와 상기 날개부(113) 모두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클라이밍 슈(200)는 상기 걸림후크(210)가 결합된 본체부(220)와 상기 본체부(220) 양측에서, 상기 본체부(2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티컬 가이드(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220)는 상기 클라이밍 슈(200)의 프레임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걸림후크(210)가 상기 본체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걸림후크(210)는 상기 제1결합공(111)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레일(110)의 상기 걸림부(120)가 안착되는 제1안착부(212)와 상기 제1안착부(212)에서 분기되는 제2안착부(213)와 상기 걸림후크(210)가 상기 본체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결합지점(2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20)는 상기 제1안착부(212)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대(221)와 상기 제2안착부(213)의 회전 경로 상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2안착부(213)의 일측과 접촉되는 제2지지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제1지지대(221)는 상기 제1안착부(212)의 하부를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안착부(212)의 하부를 받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안착부(212)에는 상기 걸림부(120)가 안착되면서 상기 레일(110)의 하중이 전달되는데, 상기 제1지지대(221)가 상기 제1안착부(212)를 받침에 따라 상기 레일(110)의 하중이 상기 본체부(220)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레일(110)의 하중-상기 걸림부(120)-상기 제1안착부(212)-상기 제1지지대(221)-상기 본체부(220)(상기 클라이밍 슈(200))-구조물의 일측으로 힘이 전달되면서 상기 레일(11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은 상기 걸림후크(210)에 상기 제2안착부(213)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220)에 상기 제2지지대(222)를 구비함에 따라 상기 레일(110)을 이중 지지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후크(210)는 상기 제1안착부(212)에서 분기되는 상기 제2안착부(213)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안착부(213)의 일측은 상기 제2지지대(222)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안착부(212)가 상기 걸림부(120)를 통해 하중을 받을 때, 상기 제2안착부(213)의 회전 경로 상에 구비된 상기 제2지지대(222)가 상기 제2안착부(213)의 회전을 제한하면서 상기 제2안착부(213)를 지지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레일(110)이 이중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일(110)의 하중은, 상기 걸림부(120)-상기 제1안착부(212)-상기 제1지지대(221)-상기 본체부(220)(상기 클라이밍 슈(200))-구조물의 일측으로 한 번 지지되고, 상기 걸림부(120)-상기 제1안착부(212)-상기 제2안착부(213)-상기 제2지지대(222)-상기 본체부(220)(상기 클라이밍 슈(200))-구조물의 일측으로 이중 지지됨에 따라 상기 클라이밍 슈(200)를 통해 상기 레일(11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은 상기 레일(110)을 통해 구조물의 일부를 시공하고 상승(인양)하게 되는데, 필요에 따라서 상기 레일(110)은 하강(역인양)할 수도 있다. 상기 레일(110)을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걸림부(120)가 상기 걸림후크(210)에 걸리지 않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걸림후크(210)를 상기 본체부(220)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후크(210)는 상기 걸림부(120)에 의해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본체부(22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걸림후크(210)가 상기 본체부(220) 내부로 회전하면, 상기 걸림후크(210)는 상기 제1결합공(111)으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상기 걸림부(120)가 상기 걸림후크(210)에 걸리지 않을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레일(110)을 하강(역인양) 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걸림후크(210)를 상기 본체부(220) 내부로 회전시키고, 상기 레일(110)을 하강(역인양) 시킬 때, 상기 걸림후크(210)의 회전이 풀리면서 상기 제1결합공(111)을 돌출되는 것을 방지해야 상기 레일(110)의 하강(역인양)을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220)에는 고정볼트(224)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공(223)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안착부(213)에는 상기 고정볼트(224)가 끼워질 수 있는 안착홈(2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214)은 상기 걸림후크(210)가 상기 본체부(220)의 외부 방향(상기 제1결합공(111)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안착홈(214)은 상기 제2안착부(213)의 일측에 파여져 있는 홈이 될 수 있다.
상기 고정공(223)은 상기 본체부(220)에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볼트(224)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도 4(b)와 같이 상기 안착홈(214)과 상기 고정공(223)이 나란하도록 상기 제2안착부(213)를 회전시킨 후, 상기 고정볼트(224)를 상기 고정공(223)에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안착홈(214)과 상기 고정공(223)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안착홈(214)에도 상기 고정볼트(224)의 일측이 끼워지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걸림후크(210)의 일방향 회전(상기 결합공(111) 외부로 돌출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클라이밍 슈(200)에 상기 레일(110)을 결합시켜 상기 레일(110)을 지지한 이후에, 상기 클라이밍 슈(200)에서 상기 레일(110)을 분리시켜 상기 레일(110)을 상승시키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상기 클라이밍 슈(200)에 상기 레일(110)을 결합하고 분리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상기 클라이밍 슈(200)가 상기 레일(110)에서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a) 내지 도 5(d)에서 상기 레일(110)을 제거하였을 때 상기 클라이밍 슈(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상기 도 7(a) 내지 도 7(d)는 도 5(a) 내지 도 5(d)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클라이밍 슈(200)에 상기 레일(110)을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클라이밍 슈(200)의 상기 버티컬 가이드(230)가 회전하면서 상기 레일(110)을 감싸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버티컬 가이드(230)는 상기 본체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부재(231)와 상기 제1부재(2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부재(232)를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부재(232)는 상기 레일(110)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축(233)을 중심으로 상기 제1부재(231)에 대해 회전 가능한 것이며, 상기 제1부재(231)는 상기 제1축(233)과 교차하는 제2축(234)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220)에 대해 회전 가능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축(233)과 교차하는 상기 제2축(234)은 상기 제1축(233)과 수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 상기 제1축(233)이 z축일 경우, 상기 제2축(234)은 x축일 수 있다. 상기 제2부재(232)는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상기 레일(110)의 상기 기둥부(112)의 측면과 접촉될 수 있는 것으로, 일측에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판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232)는 상기 제1축(23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판 부재를 상기 기둥부(112)의 측면에 접촉시키면서 상기 레일(110)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클라이밍 슈(200)에 상기 레일(110)을 결합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클라이밍 슈(200)의 상기 걸림후크(210)가 상기 레일(110)의 상기 제1결합공(111)을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부(220)와 상기 레일(110)을 결합시킨다. 이 때, 상기 걸림후크(210)는 상기 제1결합공(111)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레일(110)의 상기 걸림부(120)를 지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2부재(232)를 상기 제1축(233)을 중심으로 상기 제1부재(231)에 대해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2부재(232)가 상기 레일(110)의 상기 날개부(113)를 감싸도록 한다. 상기 제2부재(232)가 상기 레일(110)의 상기 날개부(113)를 감싸게 될 때, 상기 제2부재(232)의 일측에 있는 판 부재는 상기 기둥부(112)의 측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레일(110)을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제2부재(232)가 상기 제1부재(231)에 대하여 회전하여 상기 레일(110)에 결합된 이후에는, 상기 제2부재(232)의 회전을 제한하여야 상기 레일(110)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은 가이드 핀(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240)은 작업자가 파지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파지부(241)와 상기 파지부(241)에서부터 돌출되는 2개 이상의 핀부(242)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핀(240)을 통해 상기 제2부재(232)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서, 상기 제1부재(231)에는 2개 이상의 제1통공(243)이 구비되고, 상기 제2부재(232)에는 2개 이상의 제2통공(244)이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통공(243)과 상기 제2통공(244)은 상기 제1축(233)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으로, 상기 가이드 핀(240)의 상기 핀부(242)가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통공(243)과 상기 제2통공(244)은 2개 이상이 형성되어야 한다. 2개 이상의 상기 제1통공(243)과 2개 이상의 상기 제2통공(244)을 각각 나란하게 한 이후에, 상기 가이드 핀(240)의 2개 이상의 상기 핀부(242)를 상기 제1통공(243)과 상기 제2통공(244)에 동시에 삽입함에 따라 상기 제1부재(231)에 대한 상기 제2부재(232)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통공(243)과 상기 제2통공(244)이 하나이면서, 상기 핀부(242)가 하나만 삽입되면, 하나의 상기 핀부(242)를 중심으로 상기 제2부재(232)가 상기 제1부재(23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되지만, 상기 제1통공(243)과 상기 제2통공(244)이 2개 이상이 되면서 2개 이상의 상기 핀부(242)가 삽입되면, 상기 제1부재(231)에 대한 상기 제2부재(232)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핀부(242)에서 하나의 핀부는 다른 하나의 핀부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상기 핀부(242)의 길이를 다르게 하면, 상기 가이드 핀(240)을 다 뽑아내지 않으면서 상기 제1부재(231)에 대한 상기 제2부재(232)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상기 제1부재(231)에 대한 상기 제2부재(232)의 회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장 긴 길이를 가진 상기 핀부(242)만을 상기 제1통공(243)과 상기 제2통공(244)에 삽입할 경우에는, 상기 제1부재(231)에 대한 상기 제2부재(232)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가장 긴 길이를 가진 상기 핀부(242)와 짧은 길이를 가진 상기 핀부(242)가 동시에 상기 제1통공(243)과 상기 제2통공(244)에 삽입할 경우에는, 상기 제1부재(231)에 대한 상기 제2부재(232)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클라이밍 슈(200)에 상기 레일(110)을 결합시키고, 상기 레일(110)에 구비된 작업 발판, 비계 등을 통해 구조물의 일부를 작업할 수 있게 된다. 구조물의 작업이 진행된 이후에는 상기 레일(110)을 상승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레일(110)을 상기 클라이밍 슈(200)에서 분리시켜야 한다. 상기 클라이밍 슈(200)에서 상기 레일(110)을 분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a), 도 5(b), 도 6(a), 도 6(b), 도 7(a), 도 7(b)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 가이드 핀(240)을 분리시켜, 상기 제2부재(232)를 상기 제1부재(231)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핀(240)의 상기 핀부(242) 중 가장 긴 길이를 가진 상기 핀부(242)만을 상기 제1통공(243)과 상기 제2통공(244)에 삽입하여, 상기 제1부재(231)에 대한 상기 제2부재(232)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
이후, 도 5(c), 도 6(c), 도 7(c)와 같이 상기 제2부재(232)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2부재(232)를 상기 레일(110)의 상기 날개부(113)에서 분리시킨다. 상기 제2부재(232)를 상기 레일(110)의 상기 날개부(113)에서 분리시킨 이후에는, 도 5(d), 도 6(d), 도 7(d)와 같이 상기 제1부재(231)를 상기 제2축(234)을 기준을 하여 상기 본체부(220)에 대해 회전시킨다.
상기 제1부재(231)를 상기 본체부(220)에 대해 회전한 이후에는, 상기 클라이밍 슈(200)의 상기 걸림후크(210)를 상기 레일(110)의 상기 제1결합공(111)에서 빼내면서, 상기 클라이밍 슈(200)에서 상기 레일(110)을 분리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클라이밍 슈(200)의 상기 버티컬 가이드(230)는 상기 제1축(233)을 기준으로 상기 제2부재(232)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1축(233)과 교차하는 상기 제2축(234)을 기준으로 상기 제1부재(231)를 회전시켜 상기 클라이밍 슈(200)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서로 교차하는 상기 제1축(233)과 상기 제2축(234)을 통해 상기 제2부재(232)와 상기 제1부재(231)를 각각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버티컬 가이드(230)의 회전 반경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클라이밍 슈(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클라이밍 슈(200)의 부피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은 상기 레일(110)을 상승시킬 수 있는 위한 유압 실린더(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밍 슈(200)에서 상기 레일(110)을 분리시키면 상기 레일(110)은 상부로 상승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상기 유압 실린더(250)를 이용하여 상기 레일(110)을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 유압 실린더(250)는 유압을 공급하는 실린더부(251)와 유압에 의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로드부(252)와 상기 로드부(252)의 일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레일(110)에 결합될 수 있는 받침부(253)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253)는 상부가 평평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레일(110)의 상기 걸림부(120)를 받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유압 실린더(250)의 일측은 상기 레일(110)에 결합되는데, 상기 유압 실린더(250)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받침부(253)가 상기 제1결합공(111)을 관통하면서 상기 걸림부(120)를 받침으로써 상기 유압 실린더(250)의 일측이 상기 레일(110)에 결합된다.
상기 유압 실린더(250)의 타측은 상기 클라이밍 슈(200)에 결합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클라이밍 슈(200)의 일측에는 상기 레일(110)의 연장된 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파여진 결합홈(225)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225)을 통해 상기 유압 실린더(250)의 타측을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홈(225)은 상기 본체부(220)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레일(110)이 배치되어 있는 곳에서부터 상기 레일(110)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향 사선으로 연장된 홈이다. 상기 결합홈(225)을 통해 상기 유압 실린더(250)의 타측을 상기 클라이밍 슈(200)에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유압 실린더(25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에는 핀,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유압 실린더를 설치하였는데, 이와 같이 핀, 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은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압 실린더(250)는 사선으로 연장된 상기 결합홈(225)에 끼우는 것만으로 유압 실린더(250)의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압 실린더(250)의 타측을 상기 결합홈(225)에 끼우면, 상기 유압 실린더(250)는 사선으로 설치된다. 상기 유압 실린더(250)를 통해 상기 레일(110)을 상승시킬 때 상기 레일(110)에 의해 작용하는 하중은 수직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유압 실린더(250)가 상기 결합홈(225)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과 서로 다른 방향이기 때문에, 상기 유압 실린더(250)는 상기 결합홈(225)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상기 레일(110)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a) 내지 도 9(d)는 상기 유압 실린더(250)를 통해 상기 레일(110)을 상승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와 같이 상기 유압 실린더(250)의 타측을 상기 클라이밍 슈(200)의 상기 결합홈(225)에 결합시키고, 상기 유압 실린더(250)의 일측을 상기 받침부(253)로 상기 레일(110)에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클라이밍 슈(200)는 일측이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유압 실린더(250)도 상기 클라이밍 슈(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9(b)와 같이 상기 실린더부(251)의 유압으로 상기 로드부(252)를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레일(110)은 상승하게 된다. 상기 레일(110)이 상승되면, 도 9(c)와 같이 상기 클라이밍 슈(200)에 상기 레일(110)을 다시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레일(110)에 상기 클라이밍 슈(200)가 고정되는 지점은 상기 레일(110)이 상승하기 전에 결합되어 있는 제1결합공과 다른 제1결합공이며, 상기 레일(110)이 상승함에 따라 상승하기 전의 제1결합공보다 아래쪽에 위치한 제1결합공에 상기 클라이밍 슈(200)가 결합된다. 또한, 다른 클라이밍 슈(200)를 구비하여 상기 레일(110)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 클라이밍 슈(200)에 상기 레일(110)이 고정되면, 상기 유압 실린더(250)를 분리하게 되면서 상기 레일(110)의 인양 작업이 완료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은 상기 걸림부(120)에 구비되는 하중 센서(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중 센서(130)는 상기 레일(110)에 의해 상기 걸림후크(210)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중 센서(130)는 상기 걸림후크(210)에 의해 상기 걸림부(120)가 지지되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하중 센서(130)에는 상기 하중 센서(13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중 센서(130)는 사물 인터넷(IOT)이 가능한 하중 센서로, 상기 하중 센서(130)의 상기 송신부는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하중 센서(13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하중 센서(130)의 상기 송신부는 인터넷 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통신 수단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은 상기 하중 센서(130)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하중 센서(130)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장치일 수 있으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서버 장치, 모바일 기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하중 센서(13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판별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 센서(130)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지정된 값 이상이면, 외부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하중 센서(13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게 되며, 분석된 데이터를 통해 IOT 기반의 건설 현장 관리가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라이밍 슈(200)가 상기 레일(110)에 잘못 설치되거나 인양 시스템의 부품 중 일부에 결함이 발생하면, 상기 하중 센서(130)에서 예상되는 하중보다 높은 값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하중 센서(130)에서 예상되는 하중보다 높은 값이 측정되는 것은 상기 레일(110)이 붕괴될 수도 있는 위험 상황이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 위험 알림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상기 위험 알림 신호는 경고음, 경고등을 발생시키는 알림 장치에서 발생하는 신호일 수 있으며, 외부에 위험을 알릴 수 있다면 다양한 신호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중 센서(130)를 통해 측정되는 하중을 실시간으로 관리함에 따라 작업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붕괴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 센서(13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모바일 기기(IT 기기)에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는 스마트폰이 될 수도 있으며, 인터넷 망으로 작동되는 다양한 기기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하중 센서(13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달함에 따라 상기 하중 센서(130)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하중 센서(130)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지정된 값이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로 위험 전달 메시지를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로 상기 하중 센서(130)의 데이터를 전달함에 따라 상기 레일(110)의 하중을 빅데이터화 하여 분석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구조물의 작업 도중 상기 레일(110)에 가해지는 하중을 관리 및 분석할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상기 레일(110)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중 센서(130)도 복수 개의 상기 레일(110) 각각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하중 센서(130)에서부터 데이터를 각각 수신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상지점을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지점에서 상기 레일(110)이 상기 클라이밍 슈(200)에 의해 지지되지 않으면, 특정 지점의 상기 하중 센서(130) 값이 예상되는 값과 다르게 측정되는 이상 지점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하중 센서(130)에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상 지점 여부를 판별하면서, 복수 개의 상기 레일(110) 중 어느 지점에서 이상 지점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하중 센서(130)가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레일(110) 중 어느 지점에서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알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은 복수 개의 상기 하중 센서(130)를 통해 하중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를 통해 복수 개의 하중 데이터를 판별함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레일(110) 중 어느 지점에서 이상이 발생 하였는지 쉽게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하중 센서(130)는 상기 걸림부(120)에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하중 센서(130)는 상기 걸림부(120)의 외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중 센서(130)는 'ㄷ'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레일(110)의 상기 기둥부(112) 외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하중 센서(130)와 상기 레일(110)이 동시에 상기 걸림후크(210)로부터 하중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중 센서(130)를 상기 레일(110)의 외면에 부착하여 상기 하중 센서(130)와 상기 레일(110)이 동시에 하중을 받을 수 있게 하면, 상기 하중 센서(130)가 파손되어도 상기 레일(110)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하중 센서(130)가 상기 레일(11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상기 하중 센서(130)가 상기 레일(110)이 직접적으로 지지되는 부분에 구비되면, 상기 하중 센서(130)의 파손에 의해 상기 레일(110)의 지지력이 영향을 받을 위험이 있다.(상기 하중 센서(130)는 로드셀 등이 사용되는데, 이와 같은 재질은 쉽게 파손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하중 센서(130)를 상기 레일(110)의 외면에 부착하여 상기 하중 센서(130)와 상기 레일(110)이 동시에 하중을 받을 수 있게 하면, 상기 하중 센서(130)가 파손되어도 상기 레일(110)의 지지력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되고, 이를 통해 인양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상기 레일(110)에 상기 걸림부(120)와 상기 하중 센서(130)가 직접 구비될 수 있으나, 보강 레일(140)이 상기 레일(110)에 결합되면서 상기 걸림부(120)와 상기 하중 센서(13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0,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 레일(140)은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보강 레일(140)에는 구조물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2결합공(14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강 레일(140)은 상기 제1결합공(111)과 상기 제2결합공(141)이 연통되도록 상기 레일(110)에 결합되며, 이 경우 상기 걸림부(120)는 상기 제1결합공(111) 상부가 아닌 상기 제2결합공(141) 상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보강 레일(14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120)가 상기 보강 레일(140)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하중 센서(130)도 상기 보강 레일(140)의 상기 걸림부(12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 레일(140)은 볼트(142), 너트(143), 와셔(144)를 통해 상기 레일(1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 레일(140)에 의해 상기 레일(110)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레일(140)은 상기 레일(110)의 강도 보강 이외의 다른 장치의 결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등,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보강 레일(140)이 상기 레일(11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클라이밍 슈(200)의 상기 걸림후크(210)는 상기 제1결합공(111) 및 상기 제2결합공(141)을 관통하여, 상기 제2결합공(141)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보강 레일(140)에 구비된 상기 걸림부(120)에 걸리면서 상기 레일(110) 및 상기 보강 레일(140)을 지지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은 클라이밍 슈(200)의 걸림후크(210)가 레일(110)의 제1결합공(111)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이후에 걸림부(120)에 걸리게 함에 따라, 외부에서 육안으로 클라이밍 슈(200)에 레일(110)이 결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은 걸림후크(210)에 제1안착부(212)와 제2안착부(213)를 구비하고, 본체부(220)에 제1지지대(221)와 제2지지대(222)를 구비함에 따라 레일(110)을 이중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은 걸림후크(210)를 본체부(220) 내부로 회전시킨 후 고정볼트(224)로 걸림후크(210)의 회전을 제한함에 따라 레일(110)의 역인양(하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은 클라이밍 슈(200)에 상향 사선으로 연장되는 결합홈(225)을 구비하고, 결합홈(225)에 유압 실린더(250)를 사선으로 결합시키면서 레일(110)을 인양함에 따라 유압 실린더(250)의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은 사물 인터넷(IOT)이 가능한 하중 센서(130)를 부착하고, 인터넷 망을 통해 하중 센서(13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라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시스템의 안전 여부 및 주요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은 제어부를 통해 하중 센서(130)에서 측정된 데이터 중 예상과 다른 값이 측정되는 것을 판별할 수 있고, 이를 사용자 및 작업자에게 알림 장치, 모바일 기기 등을 통해 알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레일(110)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여 레일(110)이 붕괴 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면서 인양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은 복수 개의 하중 센서(130)를 구비하고, 제어부를 통해 복수 개의 하중 센서(13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판별함에 따라 어느 지점의 레일(110)에서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레일 111...제1결합공
112...기둥부 113...날개부
120...걸림부 130...하중 센서
140...보강 레일 141...제2결합공
142...볼트 143...너트
144...와셔 150...통신 장치
200...클라이밍 슈 210...걸림후크
211...힌지 결합지점 212...제1안착부
213...제2안착부 214...안착홈
220...본체부 221...제1지지대
222...제2지지대 223...고정공
224...고정볼트 225...결합홈
230...버티컬 가이드 231...제1부재
232...제2부재 233...제1축
234...제2축 240...가이드 핀
241...파지부 242...핀부
243...제1통공 244...제2통공
250...유압 실린더 251...실린더부
252...로드부 253...받침부

Claims (10)

  1. 구조물의 작업을 위한 발판이 구비되면서 구조물을 따라 상승하는 인양 시스템에 있어서,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구조물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결합공이 구비된 레일;
    일측은 구조물에 결합되며, 타측에는 걸림후크가 구비된 클라이밍 슈;
    상기 레일의 상기 제1결합공 상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레일의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부;
    상기 클라이밍 슈의 상기 걸림후크는 상기 제1결합공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1결합공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레일의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후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레일은,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양측에서 외부로 돌출되면서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이밍 슈는,
    상기 걸림후크가 결합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양측에서,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티컬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버티컬 가이드는 상기 레일의 상기 날개부를 감싸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상기 기둥부는,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티컬 가이드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부재는, 상기 레일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제1축과 교차하는 제2축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서부터 돌출되는 2개 이상의 핀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부재에는 2개 이상의 제1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2부재에는 2개 이상의 제2통공이 구비되며,
    2개 이상의 상기 제1통공과 2개 이상의 상기 제2통공을 나란하게 한 이후, 상기 가이드 핀의 2개 이상의 상기 핀부를 상기 제1통공과 상기 제2통공에 삽입하여 상기 제1부재에 대한 상기 제2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후크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걸림후크는, 상기 제1결합공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레일의 상기 걸림부가 안착되는 제1안착부와, 상기 제1안착부에서 분기되는 제2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제1안착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대와 상기 제2안착부의 회전 경로상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2안착부의 일측과 접촉되는 제2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착부에는, 고정볼트가 끼워질 수 있는 안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에는, 고정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공이 구비되며,
    상기 안착홈과 상기 고정공이 나란하도록 상기 제2안착부를 회전시킨 후 고정볼트를 상기 고정공에 삽입하여, 상기 걸림후크의 일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을 상승시킬 수 있는 유압 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라이밍 슈의 일측에는 상기 레일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파여진 결합홈이 구비되며,
    상기 유압 실린더의 일측은 상기 레일에 결합되며, 상기 유압 실린더의 타측은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구조물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2결합공이 구비된 보강 레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 레일은, 상기 제1결합공과 상기 제2결합공이 연통되도록 상기 레일에 결합되며,
    상기 걸림부는, 제2결합공 상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보강 레일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
  10. 구조물의 작업을 위한 발판이 구비되면서 구조물을 따라 상승하는 인양 시스템에 있어서,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구조물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결합공이 구비된 레일;
    일측은 구조물에 결합되며, 타측에는 걸림후크가 구비된 클라이밍 슈;
    상기 레일의 상기 제1결합공 상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레일의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부;
    상기 클라이밍 슈의 상기 걸림후크는 상기 제1결합공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1결합공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레일의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후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걸림부에 구비되는 하중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



KR1020190089210A 2019-07-23 2019-07-23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 KR102122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210A KR102122507B1 (ko) 2019-07-23 2019-07-23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210A KR102122507B1 (ko) 2019-07-23 2019-07-23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507B1 true KR102122507B1 (ko) 2020-06-12

Family

ID=71088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210A KR102122507B1 (ko) 2019-07-23 2019-07-23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5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306A (ko) * 2021-02-23 2022-08-30 주식회사 선진알씨에스 Iot 융합기술을 활용한 세이프티 클라이밍 갱폼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222B1 (ko) * 2005-12-15 2006-12-04 (주) 콘스텍 작업대용 가시설 구조물
KR20100010209U (ko) * 2009-04-09 2010-10-19 주식회사 신호시스템 크라이밍 레일
KR20110007306A (ko) * 2009-07-16 2011-01-24 금강공업 주식회사 가설대 승강장치
KR20140020126A (ko) * 2012-08-08 2014-02-18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멀티 레일 클라이밍 장치
KR101438191B1 (ko) * 2013-06-03 2014-09-05 (주)노전 자동 상승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222B1 (ko) * 2005-12-15 2006-12-04 (주) 콘스텍 작업대용 가시설 구조물
KR20100010209U (ko) * 2009-04-09 2010-10-19 주식회사 신호시스템 크라이밍 레일
KR20110007306A (ko) * 2009-07-16 2011-01-24 금강공업 주식회사 가설대 승강장치
KR20140020126A (ko) * 2012-08-08 2014-02-18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멀티 레일 클라이밍 장치
KR101438191B1 (ko) * 2013-06-03 2014-09-05 (주)노전 자동 상승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306A (ko) * 2021-02-23 2022-08-30 주식회사 선진알씨에스 Iot 융합기술을 활용한 세이프티 클라이밍 갱폼 시스템
KR102530076B1 (ko) * 2021-02-23 2023-05-09 주식회사 선진알씨에스 Iot 융합기술을 활용한 세이프티 클라이밍 갱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73119B1 (en) Tower crane device
CN109653516A (zh) 混凝土外挂板吊装施工方法
KR102122507B1 (ko)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
CN105347142B (zh) 一种施工升降机安装在地下室顶板上的穿板安装方法
CN108086697B (zh) 一种预埋件吊装精准定位装置及吊装精准定位方法
KR102307339B1 (ko)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
KR102229639B1 (ko) Iot 기반 현장관리 복합형 건설용 클라이밍 시스템
KR100609726B1 (ko)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
CN112709434A (zh) 钢梁安装方法
CN209890141U (zh) 一种钢结构网架提升定位系统
CN210152143U (zh) 用于混凝土外挂板吊装施工的连接结构
CN211691536U (zh) 一种清水混凝土外墙挂板简易提升机构
CN211920714U (zh) 上拉下支式外挂自爬塔吊的支撑体系
KR20220059108A (ko) 클라이밍 시스템 일체식 낙하물방지망 설치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
KR101254502B1 (ko) 반자동 샤클
CN111847272A (zh) 既有建筑物的改造用塔吊的支撑方法
KR100982277B1 (ko) 갱폼 추락 방지장치
KR102530076B1 (ko) Iot 융합기술을 활용한 세이프티 클라이밍 갱폼 시스템
CN219034610U (zh) 一种组合式基坑爬梯通道
KR20200099052A (ko) 갱폼 붕괴 방지용 안전장치
KR20210157750A (ko)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
CN220504477U (zh) 一种易于安装且适用范围广的悬挑脚手架
CN215326379U (zh) 一种钻孔灌注桩钢筋笼吊装用钢筋笼
CN220247551U (zh) 一种爬架结构
CN220036560U (zh) 一种悬挂式笼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