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7750A -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7750A
KR20210157750A KR1020200075940A KR20200075940A KR20210157750A KR 20210157750 A KR20210157750 A KR 20210157750A KR 1020200075940 A KR1020200075940 A KR 1020200075940A KR 20200075940 A KR20200075940 A KR 20200075940A KR 20210157750 A KR20210157750 A KR 20210157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ngform
sensor
gang form
smart
i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준호
공재환
구정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진알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진알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진알씨에스
Priority to KR1020200075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7750A/ko
Publication of KR20210157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7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1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environment, e.g. temperature; relating to lo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yr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갱폼에 풍속 센서, 자이로 센서, 콘크리트 경화 센서, 하중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구비하고, 인터넷 망을 통해 센서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라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갱폼의 안전 여부 및 주요 상태를 전달해 줄 수 있는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외부 거푸집을 포함하는 갱폼; 상기 갱폼에 설치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부; 상기 센서부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 {IOT(internet of things) applicable gang form system}
본 발명은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갱폼에 풍속 센서, 자이로 센서, 콘크리트 경화 센서, 하중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구비하고, 인터넷 망을 통해 센서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라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갱폼의 안전 여부 및 주요 상태를 전달해 줄 수 있는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건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철근을 배근하여 골격을 형성하고, 골격의 외측에 다수의 거푸집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 기간 양생과정을 거쳐 건물의 골조를 시공한다. 이때, 콘크리트 타설시 건물 골조의 외형 형상으로 양생될 수 있도록 거푸집을 사용한다.
갱폼은 주로 고층 아파트와 같이 평면상 상, 하부가 동일한 단면 구조물에 사용되는 것으로, 외부 거푸집과 발판용 케이지를 일체로 하여 제작되는 것이다. 갱폼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외부 거푸집으로 이용되면서 작업용 발판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하나의 층이 시공된 이후에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갱폼을 상부로 인양시키면서 다른 하나의 층을 시공하게 된다.
갱폼은 다양한 건설 현장에 사용되는데 종래의 갱폼을 사용하는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갱폼은 건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 복수 개가 구비되며, 갱폼 하나당 상당히 큰 무게를 가지게 된다.
건축물을 안전하게 시공하기 위해서는 무게가 무거운 갱폼의 안전 여부 및 주요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하는데, 종래의 갱폼을 이용한 시스템은 갱폼의 안전 여부 및 주요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건축물을 안전하게 시공하기 위해서는 시공 현장 외부에서 갱폼의 주요 상태를 지속적으로 파악해야 하는데, 종래의 갱폼을 이용한 시스템을 통해서는 시공 현장 외부에서 갱폼의 주요 상태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갱폼의 경우 하나의 층을 시공한 이후 상부로 인양되면서 다른 하나의 층을 시공하게 되는데, 각각의 층에 따른 풍속, 하중, 처짐, 기울임 등에 의한 갱폼의 주요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건축물을 안전하게 시공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층별로 갱폼의 주요 상태를 파악해야 하나 종래의 갱폼을 이용한 시스템을 통해서는 이와 같은 갱폼의 주요 상태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갱폼에 풍속 센서, 자이로 센서, 콘크리트 경화 센서, 하중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구비하고, 인터넷 망을 통해 센서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라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갱폼의 안전 여부 및 주요 상태를 전달해 줄 수 있는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은, 외부 거푸집을 포함하는 갱폼; 상기 갱폼에 설치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부; 상기 센서부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의 상기 센서부는, 상기 갱폼에 설치되면서, 상기 갱폼으로 불어오는 풍속을 측정할 수 있는 풍속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풍속 센서는 상기 갱폼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의 상기 센서부는 제1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자이로 센서는, 상기 갱폼의 상승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의 상기 센서부는 제2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자이로 센서는, 상기 갱폼이 고정될 때, 상기 갱폼의 변형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의 상기 갱폼에는 개폐가 가능한 안전 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안전 브라켓에 설치되면서 상기 안전 브라켓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제3자이로 센서를 포함 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의 상기 센서부는 콘크리트의 경화를 감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경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경화 센서는, 상기 외부 거푸집에 설치되면서 타설된 콘크리트의 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은 인양 후크를 통해 상기 갱폼을 인양하는 인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양부의 상기 인양 후크에는, 상기 갱폼의 하중을 감지할 수 있는 하중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의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모바일 기기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갱폼에 풍속 센서, 자이로 센서, 콘크리트 경화 센서, 하중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구비하고, 인터넷 망을 통해 센서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라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갱폼의 안전 여부 및 주요 상태를 전달해 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공 현장 외부에서 지속적으로 갱폼의 안전 여부 및 주요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갱폼에 풍속 센서, 자이로 센서, 콘크리트 경화 센서, 하중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구비함에 따라, 각각의 층에서 풍속, 하중, 처짐, 기울임 등에 의한 갱폼의 주요 상태가 변하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갱폼의 상부에 설치되는 풍속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갱폼에 설치되는 자이로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갱폼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경화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인양부의 인양 후크에 하중 센서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 및 제어부를 통해 모바일 기기나 알림 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갱폼에 풍속 센서, 자이로 센서, 콘크리트 경화 센서, 하중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구비하고, 인터넷 망을 통해 센서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라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갱폼의 안전 여부 및 주요 상태를 전달해 줄 수 있는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은, 갱폼(110), 센서부(120), 송신부(130), 통신 장치(140)를 포함한다.
상기 갱폼(110)은 외부 거푸집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외부 거푸집(111)은 콘크리트(10)의 타설을 위한 거푸집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갱폼(110)에는 작업자의 작업용 발판으로 사용되는 케이지(112)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작업, 후속 미장 및 견출작업 등을 위해 상기 케이지(112)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은 인양 후크(151)를 통해 상기 갱폼(110)을 인양하는 인양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갱폼(110)을 통해 하나의 층을 시공하여 콘크리트(10)가 양생되면, 상기 갱폼(110)은 상기 인양부(150)를 통해 상부로 올려지면서 다른 하나의 층을 다시 시공하게 된다.
상기 인양부(150)에는 상기 인양 후크(15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인양 후크(151)에 상기 갱폼(110)을 연결하여 상기 갱폼(110)을 상부로 올릴 수 있게 된다. 상기 인양부(150)는 상기 인양 후크(151)를 구비하는 타워 크레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갱폼(110)을 인양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갱폼(110)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갱폼(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갱폼(110)의 주요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갱폼(110)에 설치되면서 상기 갱폼(110)으로 불어오는 풍속을 측정할 수 있는 풍속 센서(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갱폼(110)은 하나의 층에 대한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인양부(150)를 통해 상부로 인양되는데, 이 때 상기 갱폼(110)으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한 풍하중을 받게 된다. 건축물을 안전하게 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갱폼(110)에 불어오는 바람의 풍속을 측정하여, 상기 갱폼(110)에 작용할 수 있는 풍하중을 정확히 계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풍속은 지면에서부터 거리가 떨어질수록 방향 및 풍속이 변하게 된다. 종래의 건설 현장에서는 풍속계를 통해 풍속을 측정하지만, 종래의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풍속계는 특정 지점에 고정됨에 따라 갱폼에 직접적으로 불어오는 풍속을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갱폼은 하나의 층을 시공할수록 계속 상부로 인양되는데, 특정 지점에 고정되는 풍속계를 통해서는 높이가 변하는 갱폼의 풍속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풍속 센서(121)를 상기 갱폼(110)의 상부에 설치한다. 상기 풍속 센서(121)는 상기 갱폼(110)의 상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갱폼(110)과 함께 상승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풍속 센서(121)를 통해 상기 갱폼(110)으로 불어오는 바람의 풍속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풍속 센서(121)를 상기 갱폼(110)의 상부에 설치함에 따라 상기 갱폼(110)의 인양 시 인양이 가능한 환경인지를 확인 점검할 수 있으며, 상기 풍속 센서(121)를 상기 갱폼(110)의 상부에 설치함에 따라 상기 갱폼(110)의 인양 적정성에 대한 풍속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센서부(120)는 제1자이로 센서(122), 제2자이로 센서(123), 제3자이로 센서(124)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물체의 방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다.
상기 제1자이로 센서(122)는 상기 갱폼(110)의 상승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자이로 센서(122)는 상기 갱폼(110)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갱폼(110)의 상승을 감지하여 1개층의 공정속도를 확인하면서 전체층의 공정을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자이로 센서(122)는 상기 갱폼(110)의 상승을 감지하여 현재 인양중인 갱폼, 인양되기 전의 갱폼, 인양된 후의 갱폼 등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자이로 센서(122)를 통해 현재 인양중인 갱폼, 인양되기 전의 갱폼, 인양된 후의 갱폼 등을 감지함에 따라 전체적인 시공상황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자이로 센서(122)를 통해 인양이 감지된 정보를 누적하여, 복수 개의 동으로 이루어진 시공 현장에서 각 동별로 현재 시공층, 공정률, 잔여공정, 예상공정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자이로 센서(123)는 상기 갱폼(110)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갱폼(110) 고정될 때, 상기 갱폼(110)의 변형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자이로 센서(123)는 상기 갱폼(110)의 처짐, 기울임 등의 변형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자이로 센서(123)를 통해 상기 갱폼(110)의 처짐, 기울임 등의 변형량을 측정함에 따라 상기 갱폼(110)이 고정된 후 처짐, 기울임 등의 사고인자를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자이로 센서(123)를 통해 상기 갱폼(110)의 처짐, 기울임 등의 사고 징후를 감지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자이로 센서(123)에서 사고 징후가 감지되면 작업자 대피 경보를 발생시켜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자이로 센서(122)와 상기 제2자이로 센서(123)는 하나의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자이로 센서를 통해 상기 갱폼(110)의 상승을 감지하거나 상기 갱폼(110)의 변형량을 측정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자이로 센서(122)와 상기 제2자이로 센서(123)는 분리되어 각각 상기 갱폼(1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갱폼(110)에는 개폐가 가능한 안전 브라켓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안전 브라켓을 개폐함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케이지(112)에 출입하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3자이로 센서(124)는 상기 안전 브라켓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안전 브라켓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3자이로 센서(124)는 상기 갱폼(110)이 인양될 때 상기 안전 브라켓이 열려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갱폼(110) 인양전 작업자의 실수로 상기 안전 브라켓이 열린 것을 상기 제3자이로 센서(124)를 통해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콘크리트 경화 센서(125)는 콘크리트의 경화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하나의 층을 시공하고 상기 갱폼(110)을 상부로 인양할 때, 시공된 층에 상기 갱폼(110)을 고정시켜야 한다.
따라서, 시공된 콘크리트가 경화되어 충분한 강도를 가지게 된 이후에 상기 갱폼(110)을 인양해야 한다. 시공된 콘크리트가 충분히 경화되지 않아 콘크리트의 강도가 약하면 상기 갱폼(110)을 인양할 수 없게 되며, 콘크리트의 강도를 위해 콘크리트를 지나치게 오래 경화시키면 작업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콘크리트 경화 센서(125)는 상기 갱폼(110)의 인양 전 콘크리트의 강도를 감지하여 인양이 가능한지를 검증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콘크리트 경화 센서(125)는 상기 갱폼(110)에 설치되면서 타설된 콘크리트의 강도를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경화 센서(125)를 통해 콘크리트의 강도를 감지함에 따라 안전하고 적절한 시점에 상기 갱폼(110)을 인양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인양부(150)에는 상기 갱폼(110)의 하중을 감지할 수 있는 하중 센서(1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갱폼(110)은 상기 인양부(150)를 통해 상부로 인양되며, 상기 인양부(150)의 상기 인양 후크(151)에는 상기 갱폼(110)의 하중을 감지할 수 있는 상기 하중 센서(1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중 센서(152)는 상기 인양 후크(151)에 연결된 상기 갱폼(110)의 하중, 마찰, 적재 등을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갱폼(110)을 상기 인양 후크(151)에 연결시, 상기 하중 센서(152)가 상기 갱폼(110)의 하중, 마찰, 적재 중량을 감지하여 상기 갱폼(110)의 인양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인자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6(b)을 참조하면, 상기 송신부(130)는 상기 센서부(120), 상기 하중 센서(152)에 구비되면서 상기 센서부(120), 상기 하중 센서(152)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갱폼(110)에 구비된 상기 센서부(120)와 상기 인양부(150)에 구비된 상기 하중 센서(152)는 사물 인터넷(IOT)이 가능한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송신부(130)는 상기 풍속 센서(121), 상기 제1자이로 센서(122), 상기 제2자이로 센서(123), 상기 제3자이로 센서(124), 상기 콘크리트 경화 센서(125), 상기 하중 센서(152)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송신부(130)는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풍속 센서(121), 상기 제1자이로 센서(122), 상기 제2자이로 센서(123), 상기 제3자이로 센서(124), 상기 콘크리트 경화 센서(125), 상기 하중 센서(152)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송신부(130)는 인터넷 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통신 수단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송신부(130)는 상기 풍속 센서(121), 상기 제1자이로 센서(122), 상기 제2자이로 센서(123), 상기 제3자이로 센서(124), 상기 콘크리트 경화 센서(125), 상기 하중 센서(152)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풍속 센서(121), 상기 제1자이로 센서(122), 상기 제2자이로 센서(123), 상기 제3자이로 센서(124), 상기 콘크리트 경화 센서(125), 상기 하중 센서(152)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면 다양한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통신 장치(140)는 상기 갱폼(110)에 구비된 상기 센서부(120)와 상기 인양부(150)에 구비된 상기 하중 센서(152)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통신 장치(140)는 상기 센서부(120)와 상기 하중 센서(152)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장치일 수 있으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서버 장치, 모바일 기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장치(140)는 상기 센서부(120)와 상기 하중 센서(152)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판별할 수 있는 제어부(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장치(140)와 상기 제어부(141)를 통해 상기 센서부(120)와 상기 하중 센서(152)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게 되며, 분석된 데이터를 통해 IOT 기반의 건설 현장 관리가 가능해진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41)는 상기 센서부(120)와 상기 하중 센서(152)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모바일 기기(IT 기기)(142)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142)는 스마트폰이 될 수도 있으며, 인터넷 망으로 작동되는 다양한 기기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1)를 통해 상기 센서부(120)와 상기 하중 센서(152)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기기(142)로 전달함에 따라 상기 센서부(120)와 상기 하중 센서(152)의 데이터를 작업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41)는 외부로 위험 알림 신호를 보낼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41)는 상기 센서부(120)와 상기 하중 센서(152)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판별하여 위험을 감지하는 경우, 경고음, 경고등을 발생시키는 알림 장치(143)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위험을 인지할 수 있게 되면서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알림 장치(143)에서 발생하는 신호는 경고음, 경고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에 위험을 알릴 수 있다면 다양한 신호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1)를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142)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알림 장치(143)를 통해 외부로 위험을 알림에 따라 IOT 기반의 건설 현장 관리가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상기 갱폼(110) 인양 전 상기 콘크리트 경화 센서(125)를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142)로 전송된 콘크리트의 강도를 통해 상기 갱폼(110)의 인양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상기 갱폼(110) 인양 전 상기 풍속 센서(121)를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142)로 전송된 풍속을 확인함에 따라 상기 갱폼(110)의 인양이 가능한 환경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작업자는 상기 제1자이로 센서(122)로 감지된 상기 갱폼(110)의 상승 여부를 상기 모바일 기기(142)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1개 층의 공정 속도 확인 및 전체층 공정 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자는 상기 모바일 기기(142)와 상기 제1자이로 센서(122)를 통해 인양중인 갱폼, 인양되기 전의 갱폼, 인양된 후의 갱폼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모바일 기기(142)와 상기 제1자이로 센서(122)를 통해 인양이 감지된 정보를 누적하여, 복수 개의 동으로 이루어진 시공 현장에서 각 동별로 현재 시공층, 공정률, 잔여공정, 예상공정 등을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갱폼(110)을 인양 시 상기 인양부(150)의 상기 하중 센서(152)는 상기 갱폼(110)의 자중, 마찰, 적재 중량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갱폼(110)의 자중, 마찰, 적재 중량에서 위험인자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41)에서 상기 알림 장치(143)로 신호를 보내거나 상기 모바일 기기(142)로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라 작업자에게 위험 여부를 알릴 수 있게 된다.
상기 갱폼(110)의 인양 전 상기 제3자이로 센서(124)를 통해 상기 안전 브라켓의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갱폼(110)의 인양 전 작업자의 실수로 안전 브라켓이 열려 있게 되면, 상기 제어부(141)에서 상기 알림 장치(143)로 신호를 보내거나 상기 모바일 기기(142)로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라 작업자에게 위험 여부를 알릴 수 있게 된다.
상기 갱폼(110)이 인양되어 고정된 이후에는, 상기 제2자이로 센서(123)를 통해 상기 갱폼(110)의 처짐, 기울기 등의 변형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갱폼(110)의 처짐, 기울기 등의 변형량에서 위험 인자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41)에서 상기 알림 장치(143)로 신호를 보내거나 상기 모바일 기기(142)로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라 작업자에게 위험 여부를 알릴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은 갱폼에 갱폼(110)에 풍속 센서(121), 자이로 센서(122,123,124), 콘크리트 경화 센서(125)를 포함하는 센서부(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인양부(150)에 하중 센서(15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은 센서부(120)와 하중 센서(152)에 감지된 데이터를 인터넷 망을 통해 전송함에 따라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갱폼의 안전 여부 및 주요 상태를 전달해 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공 현장 외부에서 지속적으로 갱폼(110)의 안전 여부 및 주요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은, 갱폼(110)에 풍속 센서(121), 자이로 센서(122,123,124), 콘크리트 경화 센서(125)를 포함하는 센서부(120)를 구비하고, 인양부(150)에 하중 센서(152)를 구비함에 따라 각각의 층에서 풍속, 하중, 처짐, 기울임 등에 의한 갱폼(110)의 주요 상태가 변하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은, 풍속 센서(121), 자이로 센서(122,123,124), 콘크리트 경화 센서(125), 하중 센서(152)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송신부(130), 통신 장치(140), 제어부(141)를 통해 모바일 기기(142)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자 및 관리자는 갱폼(110)의 작업 공정 진행 상황이나 갱폼(110)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은, 풍속 센서(121), 자이로 센서(122,123,124), 콘크리트 경화 센서(125), 하중 센서(152)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송신부(130), 통신 장치(140), 제어부(141)를 통해 알림 장치(143)로 전송하여 위험 여부를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갱폼 120...센서부
121...풍속 센서 122...제1자이로 센서
123...제2자이로 센서 124...제3자이로 센서
125...콘크리트 경화 센서 130...송신부
140...통신 장치 141...제어부
142...모바일 기기 143...알림 장치
150...인양부 151...인양 후크
152...하중 센서

Claims (9)

  1. 콘크리트 양생을 위한 갱폼을 사용하는 갱폼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 거푸집을 포함하는 갱폼;
    상기 갱폼에 설치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부;
    상기 센서부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갱폼에 설치되면서, 상기 갱폼으로 불어오는 풍속을 측정할 수 있는 풍속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풍속 센서는 상기 갱폼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제1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자이로 센서는, 상기 갱폼의 상승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제2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자이로 센서는, 상기 갱폼이 고정될 때, 상기 갱폼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폼에는 개폐가 가능한 안전 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안전 브라켓에 설치되면서 상기 안전 브라켓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제3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콘크리트의 경화를 감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경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경화 센서는, 상기 갱폼에 설치되면서 타설된 콘크리트의 강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인양 후크를 통해 상기 갱폼을 인양하는 인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양부의 상기 인양 후크에는, 상기 갱폼의 하중을 감지할 수 있는 하중 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모바일 기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
KR1020200075940A 2020-06-22 2020-06-22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 KR202101577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940A KR20210157750A (ko) 2020-06-22 2020-06-22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940A KR20210157750A (ko) 2020-06-22 2020-06-22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750A true KR20210157750A (ko) 2021-12-29

Family

ID=79176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940A KR20210157750A (ko) 2020-06-22 2020-06-22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77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88639A1 (ja) エレベーターの自動呼び登録システム
KR102612901B1 (ko) 승객-개시 동적 엘리베이터 서비스 요청
JP6841379B2 (ja) エレベーターの自動呼び登録システム
KR20140132602A (ko) 타워크레인의 원격관리장치
KR20210157750A (ko) Iot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갱폼 시스템
KR101928332B1 (ko) 가설구조물 붕괴감지 모니터링 장치
KR20190134479A (ko) 위치 표시 시스템 및 위치 표시 방법
KR102276989B1 (ko) IoT를 활용한 스마트 갱폼 안전인양 시스템
KR102315834B1 (ko) 건설현장의 가설구조물 안전을 위한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71573B1 (ko) 안전용 규정설비 무단해체 감지 시스템
KR102307339B1 (ko) Iot 적용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의 클라이밍 레일
KR102122507B1 (ko)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
KR102229639B1 (ko) Iot 기반 현장관리 복합형 건설용 클라이밍 시스템
KR20170117644A (ko) 건축물 시공을 위한 안전시스템
CA2894154C (en) Embedment positioning system
KR101914529B1 (ko) 타워 크레인 운용 제어 시스템
KR102385655B1 (ko)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
CN212642090U (zh) 一种悬臂式外挂防护架的监测系统
JP2018008813A (ja) エレベーター用保守運転監視システム
KR102643139B1 (ko) 타워크레인의 풍속/중량 표시 및 경보 시스템
KR102396352B1 (ko) 무선 디바이스를 사용한 건설현장 데이터수집 시스템
JP6523227B2 (ja) エレベーター遠隔制御装置
KR102655811B1 (ko)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건축물 전주기 안전모니터링시스템
KR102372782B1 (ko) 회전형 레이저를 이용한 흙막이 변위 계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95016B1 (ko) 콘크리트 타설 중 실시간 동바리 붕괴 위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