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1804A - 전동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전동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1804A
KR20210011804A KR1020190089143A KR20190089143A KR20210011804A KR 20210011804 A KR20210011804 A KR 20210011804A KR 1020190089143 A KR1020190089143 A KR 1020190089143A KR 20190089143 A KR20190089143 A KR 20190089143A KR 20210011804 A KR20210011804 A KR 20210011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ealing
annular
inverter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2268B1 (ko
Inventor
석호현
박찬혁
이은섭
김명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9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268B1/ko
Priority to PCT/KR2020/009641 priority patent/WO2021015546A1/ko
Publication of KR20210011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2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F04C2240/403Electric motor with inverter for speed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5Fastening means, e.g. bo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05B2260/301Retaining bolts or n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6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leads, i.e. conducting wire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ressor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압축부를 구비하며, 상기 압축부와 연결되어 상기 압축부를 구동하는 모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결합되고, 상기 모터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 인버터부를 구비하며, 일 측이 상기 인버터부 내로 노출되고, 타 측이 상기 하우징 내로 노출되는 기밀단자 조립체를 구비하고, 일 단은 상기 기밀단자 조립체의 타 측에 접속되고, 타 단은 상기 모터부에 접속되는 복수 개의 버스바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기밀단자 조립체와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를 감싸 밀폐하는 제1 절연커버부를 구비함으로써, 메인 하우징 내에서 모터부와 인버터부를 연결하는 도전체가 냉매로부터 밀폐되는 전동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동식 압축기{MOTOR OPERATED COMPRESSOR}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롤 방식의 전동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된 바 있다. 최근 들어 자동차 부품의 전장화 추세에 따라 모터를 이용하여 전기로 구동되는 전동식 압축기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전동식 압축기는 고압축비 운전에 적합한 스크롤 압축 방식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크롤 방식의 전동식 압축기(이하, "전동식 압축기"라 함)는 전동부, 압축부 및 전동부와 압축부를 연결하는 회전축으로 구성된다.
전동부는 회전모터 등으로 구비되어 밀폐된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다. 압축부는 전동부의 일측에 위치되며, 고정스크롤과 선회스크롤로 구성된다. 회전축은 전동부의 회전력을 압축부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은 낮고 전류는 높은 "저전압 고전류" 방식의 전동식 압축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는 전동식 압축기가 차량에 구비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빠른 시간에 충전이 가능한 저전압 고전류 방식이 유리함에 기인한다.
전동식 압축기의 전동부는 주로 3상 유도전동기로 된 구동모터가 적용된다. 이러한 구동모터는 3상(U, V, W상)의 전원을 모터구동회로인 인버터로부터 공급받기 위하여 구동모터의 엔드코일로부터 3개의 코일이 인출되고, 인출된 각 코일의 단부에는 터미널이 각각 구비된다. 3개의 터미널은 구동모터의 절연하우징에 구비된 모터측 터미널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 인버터에는 인버터측 터미널 하우징이 구비되고, 인버터측 터미널 하우징의 내부에는 3개의 출력단자가 구비된다. 따라서, 인버터와 구동모터의 사이에는 인버터로부터 3상의 전원을 구동모터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단자가 필요하게 된다. 이 연결단자를 통상 3상 기밀단자(3-Phase Hermetic Terminal)라고 한다.
종래의 기밀단자는 선행기술(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7889호, 2013.06.03.)에 개시된 바와 같다. 선행기술에 개시된 종래의 기밀단자는 터미널 커넥터가 코일의 측면 및 코어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고, 코일보다 축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는 형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밀단자는, 터미널과 코일이 결합되는 터미널 커넥터가 코일의 측면에 위치함으로써 코일과 멀어져 절연영역이 확장될 수 있으나, 여전히 터미널과 코일의 결합부에 금속이 노출되어 있어, 흡입구로 유입되는 냉매 및 오일에 의해 절연이 파괴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밀단자는 선행기술(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36102호, 2019.01.02.)에 개시된 바와 같다. 선행기술에 개시된 종래의 기밀단자는 고정자의 외주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터미널 하우징에 터미널 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 슬롯에 코일을 조립한 후 커버를 조립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밀단자는, 여전히 터미널과 슬롯의 조립부로 기체 혹은 액체 상태의 냉매 및 오일이 유입될 수 있어 절연이 파괴될 수 있다.
선행기술: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57889호, 2013.06.03.) 선행기술: 한국등록특허 제10-1936102호, 2019.01.02.)
본 발명의 목적은, 인버터부와 모터부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기밀단자 조립체 및 버스바(busbar)를 메인 하우징 내부에서 냉매 또는 오일에 금속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 밀폐함으로써, 높은 절연저항을 갖는 전동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기밀단자와 조립체와 모터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버스바를 축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열함으로써, 버스바를 감싸는 절연부재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동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부에 권취된 권선코일의 리드선과 버스바의 결선부가 모터부의 일 측의 외주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절연커버부 내에 밀폐되어 결선됨으로써, 금속부를 냉매 또는 오일에 노출되지 않고, 높은 절연저항을 갖는 전동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하우징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기밀단자 조립체를 수용하는 관통구멍을 실링부재 및 플레이트로 막아 밀폐함으로써, 메인 하우징 내부의 냉매 또는 오일이 인버터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동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실링부재를 지지하는 단차부에 2차 실링부재를 형성함으로써, 하우징 내부의 냉매 또는 오일이 인버터부로 유입되는 것을 이중으로 차단하는 전동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2차 실링부재가 삽입되는 실링홈에 단차를 형성하여, 2차 실링부재의 밀폐력이 향상된 전동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하우징의 일 측에 형성되어 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볼트를 수용하는 볼트구멍과 실링부재를 지지하는 단차부 사이에 이탈방지벽을 구비하여, 실링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해결 수단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터부와 인버터부 사이에서 일 측이 상기 인버터부 내로 노출되고, 타 측이 상기 하우징 내로 노출되는 기밀단자 조립체가 구비되고, 일 단은 상기 기밀단자 조립체의 타 측에 접속되고, 타 단은 상기 모터부에 접속되는 복수 개의 버스바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기밀단자 조립체와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를 감싸 밀폐하는 제1 절연커버부가 구비되는 전동식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버스바의 적어도 일부는 축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 상기 복수의 버스바는, 축방향 연장부 및 방사방향 연장부를 구비하는 제1 버스바, 축방향 연장부 및 방사방향 연장부를 구비하는 제2 버스바 및 축방향 연장부 및 방사방향 연장부를 구비하는 제3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버스바의 축방향 연장부의 길이는 제1 버스바보다 길고 제3 버스바보다 짧으며, 상기 제2 버스바의 원주방향 연장부의 길이는 제1 버스바보다 길고 제3 버스바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밀단자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 측은 상기 인버터부를 향하고 타 측은 상기 하우징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몸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재를 관통하는 중공형 절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절연부재에 의해 감싸지고, 일 단은 상기 몸체부재의 일 측으로부터 돌출되고 타 단은 상기 몸체부재의 타 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버스바의 일 단에 접속되는 도전부재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1 절연커버부는 상기 몸체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밀봉하여 상기 몸체부재의 타 측을 밀폐할 수 있다.
또,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는 각각 상기 모터부에 구비된 권선코일의 리드선과 결선되는 결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선부의 단부는 상기 제1 절연커버부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선부의 단부는 제2 절연커버부에 의해 감싸져 밀폐될 수 있다.
또, 상기 제2 절연커버부는, 상기 모터부의 일 측의 외주로부터 상기 인버터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결선부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외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벽부에 결합되는 실링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결선부의 단부는 상기 제1 절연커버부, 상기 실링커버 및 상기 외벽부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벽부에는 축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커버에는 축방향으로 함몰된 결합오목부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절연부재를 수용하는 플레이트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을 덮는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상기 관통구멍의 외주를 따라 소정 깊이로 함몰된 환형 제1 단차부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부재의 일 측의 외주를 따라 소정 깊이 함몰된 환형 제2 단차부를 구비하고, 일 측면의 외주측은 상기 제1 단차부에 의하여 지지되고, 일 측면의 내주측은 상기 제2 단차부에 의해 지지되며, 일 측면의 반대방향 타 측면은 상기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환형 제1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전동식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단차부 및 제2 단차부에는 각각 환형 실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 실링홈의 각각에는 환형 제2 실링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단차부에 형성된 환형 실링홈의 내측면의 높이는 외측면보다 낮고, 상기 제2 단차부에 형성된 환형 실링홈의 외측면의 높이는 내측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는 상기 제1 단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제1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제1 볼트구멍과 대응되는 제2 볼트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는 제1 및 제2 볼트구멍에 수용되는 볼트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단차부와 상기 제1 볼트구멍 사이에는 이탈방지벽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터부와 인버터부 사이에서 일 측이 상기 인버터부 내로 노출되고, 타 측이 상기 하우징 내로 노출되는 기밀단자 조립체가 구비되고, 중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도전부재를 감싸는 복수의 절연부재가 구비되며, 일 단은 상기 도전부재의 타 측에 접속되고, 타 단은 상기 모터부에 접속되는 복수의 버스바가 구비되고, 일 측이 상기 인버터부를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복수의 도전부재, 상기 복수의 절연부재 및 상기 복수의 버스바를 감싸 밀폐하는 절연커버부를 구비하는 전동식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복수의 버스바는 각각 상기 모터부에 구비된 권선코일의 리드선과 결선되는 결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선부의 단부는 상기 절연커버부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부의 일 측의 외주로부터 상기 인버터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결선부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외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벽부에 결합되는 실링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결선부의 단부는 상기 절연커버부, 상기 실링커버 및 상기 외벽부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또, 상기 절연부재를 수용하는 플레이트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을 덮는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상기 관통구멍의 외주를 따라 소정 깊이로 함몰된 환형 제1 단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연커버부의 일 측의 외주를 따라 소정 깊이 함몰된 환형 제2 단차부를 구비하고, 일 측면의 외주측은 상기 제1 단차부에 의하여 지지되고, 일 측면의 내주측은 상기 제2 단차부에 의해 지지되며, 일 측면의 반대방향 타 측면은 상기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환형 제1 실링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는 인버터부와 모터부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기밀단자 조립체 및 이와 연결된 버스바(busbar)를 구비하고, 메인 하우징 내부에 노출되는 기밀단자 조립체와 이와 연결된 버스바를 외주면을 따라 제1 절연커버부로 감싸 밀폐함으로써, 도전성을 갖는 금속으로 형성된 기밀단자 조립체의 도전부재와 버스바가 메인 하우징 내부에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금속부의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높은 절연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는 기밀단자와 조립체와 모터부를 축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버스바로 연결하고, 복수의 버스바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서로 축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열함으로써, 버스바를 감싸는 제1 절연커버부의 부피를 감소시켜 생산비를 절감하고 압축기를 소형화 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는 모터부에 권취된 권선코일의 리드선과 버스바의 결선부가 모터부의 일 측의 외주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2 절연커버부 내의 수용홈에서 밀폐됨으로써, 도전성을 갖는 금속으로 버스바의 결선부가 메인 하우징 내부에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금속부의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높은 절연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는 메인 하우징의 관통구멍을 플레이트로 복개하고, 플레이트, 메인 하우징에 형성된 제1 단차부 및 기밀단자 조립체에 형성된 제2 단차부로 이루어진 공간에 1차 실링부재를 삽입하여 밀폐함으로써, 메인 하우징 내부의 냉매 또는 오일이 인버터부로 유입되어 인버터부측으로 돌출된 도전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높은 절연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는 실링부재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단차부에 2차 실링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메인 하우징 내부의 냉매 또는 오일이 1차 실링부재의 틈새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메인 하우징과 인버터부 사이의 실링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인 하우징 내부의 냉매 또는 오일이 인버터부로 유입되어 인버터부측으로 돌출된 도전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높은 절연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는 2차 실링부재가 삽입되는 실링홈의 대향하는 양면 중, 냉매가 유입되는 면의 축방향 높이가 더 낮도록 단차를 형성하여, 냉매의 압력에 의해 2차 실링부재가 가압됨으로써, 2차 실링부재의 밀폐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는 메인 하우징의 일 측에 형성되어 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볼트를 수용하는 볼트구멍과 실링부재를 지지하는 단차부 사이에 이탈방지벽을 구비하여, 실링부재가 볼트의 결합 시 볼트구멍으로 끌려 들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메인 하우징 내부의 냉매의 압력에 의해 실링부재가 볼트구멍으로 이탈되고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3상 기밀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2b은 도 2a에 도시된 3상 기밀단자의 분해도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3상 기밀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3b는 도3a의 Ⅰ-Ⅰ을 따라 취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3c는 도3a의 Ⅱ-Ⅱ을 따라 취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4a는 본 발명의 따른 기밀단자와 모터부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기밀단자가 결합된 모터부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5는 도 4b의 모터부에 실링커버가 결합된 모터부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된 플레이트-하우징-모터부를 도시하는 분해도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된 플레이트-하우징-모터부를 도시하는 결합도다.
도 8a는 도 7의 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8b는 도 8a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다.
도 9는 도 7의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에서 사용될 용어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환형"이라는 용어는 내주와 외주를 갖는 형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외주와 내주의 곡률이 다른 형태일 수 있고, 다각형 형태의 외주와 원형 내주를 갖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축방향"이라는 용어는 후술하는 회전축(330)의 길이방향 또는 메인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원주방향"이라는 용어는 후술하는 원기둥형 메인 하우징(110)의 원형 측면을 따라 회전하는 방향으로써,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사방향"이라는 용어는 후술하는 회전축으로부터 원기둥형 메인 하우징(110)의 원형 측면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압축기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에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의 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1은 냉매 134A를 사용하는 전동식 압축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나, 이산화탄소(CO2) 냉매를 사용하는 전동식 압축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는, 하우징(100), 압축부(200), 모터부(300), 인버터부(400) 및 기밀단자 조립체(5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전동식 압축기의 외관을 형성한다.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은 밀폐되고, 하우징(100)의 내부공간에는 압축부(200)와 모터부(300), 그리고 기밀단자 조립체(500)의 일부가 수용된다. 인버터부(400)는 하우징(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기밀단자 조립체(500)를 이용하여 모터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우징(100)은 지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압축부(200)와 모터부(300)는 횡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압축부(200)는 후방측에, 모터부(300)는 전방측에 각각 배치된다. 도 1의 우측을 전방, 좌측을 후방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은 모터실(S1)을 형성하는 메인 하우징(110)과, 토출실(S2) 및 유분리실을 형성하는 리어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메인 하우징(110)의 후방단과 리어 하우징(120)의 전방단은 서로 결합되어 하우징(100)의 내부공간이 밀폐된다.
메인 하우징(110)은 모터실(S1)에 연통되도록 흡기구(미도시)가 관통형성된다. 흡기구는 압축부(200)를 기준으로 인버터부(400)방향인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 부근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흡기구를 통해 모터실(S1) 내부로 흡입되는 냉매는 모터부(300)를 통과하여 압축부(200)로 흡입된다.
리어 하우징(120)은 후술할 고정스크롤(220)의 후방측에서 메인 하우징(110)에 결합된다. 리어 하우징(120)에는 유분리실에 연통되어 유분리된 냉매를 응측구(미도시)로 배출하는 배기구(12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토출실(S2)로 토출되는 냉매는 유분리실에서 오일을 분리한 후 배기구(121)를 통해 압축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부(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부(200)는 프레임(210), 프레임(210)에 고정되는 고정스크롤(또는, 제1 스크롤)(220), 프레임(210)과 고정스크롤(220) 사이에 구비되는 선회스크롤(또는, 제2 스크롤)(230)을 포함한다.
프레임(210)은 메인 하우징(110)의 중간에 고정 설치된다. 프레임(210)은 모터부(300)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후술할 회전축(330)을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선회스크롤(230)을 축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프레임(210)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프레임(210)은 메인 하우징(110)에 용접되어 고정될 수도 있고, 메인 하우징(110)과 리어 하우징(120)의 사이에서 두 하우징(110)(120) 사이의 체결력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도 있다.
프레임(210)의 후방면 중앙에는 메인 베어링(171)을 수용하는 베어링 수용부(211)가 형성되고, 베어링 수용부(211)의 중앙에는 회전축(350)을 수용하는 축수구멍(212)이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메인 베어링(171)은 부시 베어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 1과 같이 깊은 홈 볼 베어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 베어링(171)이 볼 베어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프레임(210)의 축수구멍(212)을 통과하는 회전축(330)은 메인 베어링(171)에 의해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또, 축수구멍(212)의 전방단에는 제1 실링부재(181)가 삽입된다. 제1 실링부재(181)는 U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축(3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환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실링부재(181)는 후술한 제2 실링부재(182)와 배압실(S3)을 실링한다.
또, 메인 하우징(110)의 모터실(S1)로 흡입되는 냉매는 프레임(210)의 가장자리를 지나 압축부(200)로 안내된다. 이에 따라, 모터실(S1)로 흡입되는 냉매는 압축실(V)로 흡입된다.
또, 프레임(210)의 후방면에서 베어링 수용부(214)와 흡입안내홈(2221)의 사이에는 선회스크롤(230)의 자전을 방지하기 위한 자전방지기구(213)가 구비된다. 자전방지기구로는, 올담링 또는 핀앤링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전동식 압축기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고정스크롤(220)은 프레임(210)과 함께 메인 하우징(110)과 리어 하우징(120)의 사이에 고정되고, 선회스크롤(230)은 회전축(330)에 결합되어 프레임(210)과 고정스크롤(220) 사이에서 선회운동을 한다. 이에 따라, 고정스크롤(220)은 하우징(100)에 고정 결합되어 선회스크롤(230)과 함께 두 개 한 쌍으로 된 흡입압실, 중간압실, 토출압실을 포함하는 압축실(V)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스크롤(220)은 고정경판부(221), 측벽부(222) 및 고정랩(223)을 포함한다.
고정경판부(221)는 대략 원판모양으로 형성된다. 다만, 고정경판부(221)의 외주면에는 하우징(100)의 내주면으로 돌출되는 체결돌부(미부호)가 맞물려 삽입되도록 체결홈부(미부호)가 형성될 수 있다.
또, 고정경판부(221)의 중심 부근에는 토출구(2211)가 형성된다. 토출구(2211)는 최종 압축실인 토출압실에서 토출실(S2)로 냉매를 토출하고, 고정경판부(221)의 후방면에는 토출구(2211)를 계폐하는 체크밸브(225)가 설치된다.
측벽부(222)는 고정경판부(221)의 전방면 가장자리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높이만큼 연장되어 환형으로 형성된다. 측벽부(222)의 외주면에는 흡입안내홈(2221)이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흡입안내홈(2221)의 중간에는 측벽부(222)를 관통하는 흡입구(2222)가 형성된다.
또, 측벽부(222)의 축방향 높이는 후술할 고정랩(223)의 축방향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측벽부(222)의 내경은 선회경판부(23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선회스크롤(230)은 고정스크롤(220)의 측벽부(222) 안쪽에 삽입되어 선회운동을 하게 된다.
고정랩(223)은 고정경판부(221)의 전방면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고정랩(223)은 후술할 선회랩(232)과 같이 인벌류트 형상, 대수나선 형상 또는 비 인벌류트 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동식 압축기에서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선회스크롤(230)은 프레임(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으로, 선회경판부(231), 선회랩(232)을 포함한다.
선회경판부(231)는 대략 원판모양으로 형성된다. 선회경판부(231)의 외경은 고정스크롤(22)의 측벽부(222)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선회스크롤(230)은 고정스크롤(220)의 내부로 삽입된다. 하지만, 이는 압축기의 형태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회경판부(231)는 고정스크롤(220)의 측벽부(22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정스크롤(220)의 측벽부(222) 전방면과 스러스트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선회경판부(231)의 후방면에는 고정랩(223)과 맞물리는 선회랩(23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선회경판부(231)의 후방면은 선회랩(232)과 함께 압축실(V)을 형성하게 된다. 압축실(V)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가면서 흡입압실, 중간압실, 토출압실이 연속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선회경판부(231)의 전방면 가장자리에는 프레임(210)과의 사이를 방사방향으로 실링하는 제2 실링부재(182)가 결합된다. 제2 실링부재(182)는 앞서 설명한 제1 실링부재(181)와 함께 배압실(S3)을 실링하게 된다.
선회경판부(231)의 중앙부에는 중간압실을 배압실(S3)에 연통시키는 배압구멍(231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배압실(S3)의 압력과 중간압실(V)의 압력간 차이에 따라 냉매와 오일이 배압실(S3)과 중간압실(V)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선회랩(232)은 선회경판부(231)의 후방면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선회랩(232)은 앞서 설명한 고정랩(223)과 마찬가지로 인벌류트 형상, 대수나선 형상 또는 비 인벌류트 형상 등 압축기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도 고정랩과 마찬가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 선회경판부(231)의 전방면 중앙에는 보스부(233)가 형성되고, 보스부(233)에는 편심 베어링(173)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편심 베어링(173)은 부시 베어링 또는 볼 베어링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부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부(300)는 메인 하우징(110)의 모터실(S1)에 수용되어, 압축부(200)가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모터부(300)는 인버터부(400)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되고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모터부(300)는 후술할 기밀단자 조립체(500)에 의해 인버터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부(300)는 후술할 회전축(330)에 의해 압축부(200)와 연결된다. 회전축(330)의 일단은 후술할 모터부(300)의 회전자(320)에 결합되고, 타단은 선회스크롤(23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모터부(300)에서 생성된 회전력은 회전축(330)에 의해 압축부(200)의 선회스크롤(230)에 전달될 수 있다.
모터부(300)는 하우징(100)에 고정되는 고정자(310), 고정자(3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자(320)를 포함한다.
고정자(310)는 인버터부(400)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전자기장을 형성한다. 고정자(310)가 형성한 전자기장에 의해 회전자(320)가 회전되어 압축부(200)의 선회스크롤(230)이 회전하기 위한 회전력이 생성된다.
고정자(310)는 고정자 코어(311), 고정자 코어(311)에 권선되는 권선코일(312), 고정자 코어(311)와 권선코일(312) 사이를 절연하는 내벽부(313)를 포함한다.
고정자 코어(311)는 모터실(S1)을 이루는 메인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고정설치된다. 이에 따라, 고정자(310)는 인버터부(400)로부터 전원 및 제어신호가 인가되더라도 그 자체는 회전되지 않는다.
고정자 코어(311)는 환형으로 된 다수 장의 얇은 전기강판이 축방향으로 적층되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자 코어(311)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심에는 회전자 수용부(3111)가 구비된다. 회전자 수용부(3111)에는 회전자(32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 고정자 코어(311)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다수 개의 티스가 각각 슬릿을 사이에 두고 연속으로 형성된다. 티스에는 3상(3-phase) 코일이 집중권 또는 분산권으로 권선되어 권선코일(312)을 형성하게 된다.
권선코일(312)은 고정자 코어(311)의 축방향 양단에 각각 엔드코일(3121)(3122)을 형성하고, 양쪽 엔드코일 중에서 전방측 엔드코일(3121)에서는 3상의 코일이 인출된다. 인출된 3상의 코일(3123)의 단부는 각각 후술할 버스바(busbar)의 결선부에 각각 결합되고, 버스바는 후술할 제1 및 제2 절연커버부에 의해 감싸져 밀봉되며, 제1 절연커버부는 고정자의 내주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 내벽부에 맞물려 고정된다. 이에 대하여 후술한다.
코일절연부재(313, 314, 315)는 통상 인슐레이터라고 하고, 플라스틱과 같인 절연소재로 형성된다. 코일절연부재(313, 314, 315)는 고정자 코어(311)를 관통하거나 또는 고정자 코어(311)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다.
고정자 코어(311)의 양단에 결합되는 경우, 코일절연부재(313, 314, 315)의 일 측면은 각각의 슬릿(미도시)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 측면은 내주면과 외주면에서 각각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벽부(313) 및 외벽부(314, 315)를 형성한다. 권선코일(312)은 내벽부(313)와 외벽부(314, 315) 사이에서 슬롯을 통과하여 각각의 티스에 권선된다.
전방측에 위치하는 내벽부(313)와 외벽부(314, 315)에 후술할 기밀단자 조립체(500), 버스바(610) 및 제1 절연커버부(650)가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버스바(610)의 결선부에는 앞서 설명한 인출된 3상의 코일(3123)이 결합된다.
기밀단자 조립체(500)는 일 측이 인버터부(400) 내로 돌출되고, 타 측이 메인 하우징(110) 내로 돌출되고, 버스바(610)는 기밀단자 조립체(500)와 모터부(300) 사이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메인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기밀단자 조립체(500)와 버스바(610)가 제1 절연커버부(650)에 의해 감싸져 밀폐된다.
회전자(320)는 고정자(310)와 기설정된 공극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고정자(310)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자(320)가 전자기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회전자(320)는 회전자 코어(321) 및 영구자석(미도시)을 포함한다.
회전자 코어(321)는 고정자 코어(311)와 같이 환형으로 된 다수 장의 얇은 전기강판을 축방향으로 적층하여 형성된다. 회전자 코어(321)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심에 회전축 수용부(3211)가 형성된다.
회전축 수용부(3211)를 중심으로 복수 개의 영구자석이 매입되어 결합되고, 영구자석의 중심부 주변 또는 영구자석의 단부 주변에는 자로장벽(미부호)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회전자는 인버터부(400)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고정자(310)의 권선코일(312)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기장에 의해 회전된다.
회전축 수용부(3211)에는 회전축(330)이 열간압입으로 결합된다. 회전축(330)은 압축기의 형태에 따라 모터부(300)를 사이에 두고 양단이 반경방향으로 지지되거나 또는 모터부(300)의 일 측에서 반경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1은 회전축(330)이 모터부(300)의 양쪽에서 지지되는 구조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버터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버터부(400)는 모터부(300)에 전원 및 제어신호를 인가하거나 해제하여 전동식 압축기(1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인버터부(400)는 외부로부터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모터부(300)에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인버터부(400)는 모터부(3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인버터부(400)와 모터부(300)를 통전시키는 기밀단자 조립체(500)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부(400)는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측에 설치된다. 하지만 인버터부(400)가 반드시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측에만 설치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인버터부(400)는 메인 하우징(110)의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인버터부(400)는 모터부(300)와 통전 가능하면 어느 위치에 설치되도 무방하다.
또, 인버터부(400)의 내부에는 전원 및 제어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외부와의 불필요한 통전 및 제어신호의 잡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버터부(400)의 외관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인버터부(400)의 외관을 이루는 부재는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버터부(400)는 인버터 하우징(410), 인버터 커버(420) 및 인버터유닛(430)을 포함한다.
인버터 하우징(410)은 인버터 커버(420)와 결합되어 인버터부(400)의 외측을 형성한다. 인버터 하우징(410)은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측에 결합된다. 인버터 하우징(410)의 후방측은 개구됨에 따라, 인버터 하우징(410)은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측에 의해 덮인다. 모터부(300)를 마주보는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면 중앙에는 회전축 지지부(118)가 구비되고,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측 가장자리에는 후술할 기밀단자 조립체(500)가 삽입되도록 관통공(도 6에 도시)(1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설명한다.
인버터 커버(420)는 인버터 하우징(410)과 결합되고, 인버터 하우징(410)은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측과 결합된다. 이에 의해, 인버터 커버(420), 인버터 하우징(410) 및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측 사이에 인버터실이 형성되어, 인버터유닛(430)이 수용될 수 있다.
또, 인버터 커버(420)와 인버터 하우징(410) 및 메인 하우징(110)은 별도의 체결 수단(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인버터 커버(420) 및 메인 하우징(110의 형상은 인버터 하우징(410)의 형상과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버터유닛(430)은 인쇄회로기판(PCB)(431)과, 인쇄회로기판(431)에
부착되는 반도체소자(미부호) 및 터미널 결합모듈(미부호)을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431)과 반도체소자 그리고 터미널 결합모듈의 기본적인 구조 및 결합관계, 작용은 인버터 압축기에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밀단자 조립체, 버스바 및 제1 절연커버부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밀단자 조립체(500), 버스바(610) 및 제1 절연커버부(650)와 관련하여 도 2 내지 도3을 참조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의 전방은 도 2 및 3의 하방을 의미하고, 도 1의 전방은 도 2 및 3의 상방을 의미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에서 기밀단자 조립체(500) 및 버스바(610)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밀단자 조립체(500)는 복수의 도전부재(510), 복수의 도전부재(510)를 감싸는 중공형 절연부재(521) 및 중공형 절연부재(521)를 수용하는 몸체부재를 포함한다.
도전부재(51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전부재는 다각기둥 형상 또는 핀 형상 등 중공형 절연부재(521)에 감싸져 일 단부 및 타 단부가 인버터부(400)와 메인 하우징(110)으로 각각 돌출될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중공형 절연부재(521)는 내주면과 외주면을 갖는 형상이고, 도전부재(510)는 절연부재(521)의 내주면에 의해 감싸진다. 도전부재(510)는 절연부재(521)의 내주면에 의해 방사방향으로 지지된다.
몸체부재(520)는 복수의 절연부재를 감싸는 중공형 절연부재(521)를 수용하고, 도전부재(510)와 중공형 절연부재(521)는 몸체부재에 삽입되어 일 측이 인버터부(400)로, 타 측이 메인 하우징(110) 내로 돌출된다. 즉, 도전부재(510)의 일 단부는 몸체부재(520)의 전방측에서 돌출되고, 타 단부는 몸체부재(520)의 후방측에서 돌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3상(U, V, W상)의 전원을 모터구동회로인 인버터로부터 공급받기 위하여, 복수의 도전부재(510)는 3상과 각각 연결되는 제1, 제2 및 제3 도전부재(511, 512, 5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제3 도전부재(511, 512, 513)는 중공형 절연부재(521)에 수용되어 일 단부가 상기 인버터부(400)에 노출되고, 타 단부가 상기 메인 하우징에 노출된다. 즉, 제1, 제2 및 제3 도전부재(511, 512, 513))의 일 단부는 몸체부재(520)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타 단부는 몸체부재(520)의 후방으로 돌출된다.
기밀단자 조립체(500)의 전방측으로 돌출된 도전부재(510)는 인버터부(4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기밀단자 조립체(500)의 후방측으로 돌출된 도전부재(510)는 메인 하우징(110) 내에 위치하는 버스바(610)의 일 측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버스바(610)의 타 측은 모터부(3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통해, 인버터부(400)와 모터부(300)는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버스바(610)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복수의 버스바(610)는 복수의 도전부재(510)의 타 단부를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수용부로부터 축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복수의 버스바(610)는 복수의 수용부로부터 서로 다른 길이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다른 길이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의 단부 혹은 중간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결선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결선부가 모터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하나의 연결부에서 복수개의 결선부가 방사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버스바(610)는 제1, 제2 및 제3 버스바(611, 612, 6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버스바(611, 612, 613)는 제1, 제2 및 제3 도전부재(511, 512, 513)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제2 및 제3 수용부(6111, 6121, 6131)를 각각 구비하고, 이로부터 축방향으로 제1, 제2, 및 제3 수직연장부(6112, 6122, 6132)가 연장되고, 제1, 제2, 및 제3 수직연장부(6112, 6122, 6132)의 단부로부터 제1, 제2 및 제3 수평연장부(6113, 6123, 6133)가 각각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수용부(6111)는 제1 도전부재(511)의 타 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환형으로 형성되고, 제1 수용부(6111)의 내주면의 직경은 제1 도전부재(511)의 직경과 같거나 조금 작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제1 도전부재(511)는 제1 수용부(6111)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압입됨으로써, 연결부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면, 전류가 연결부에 흐를 경우, 연결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및 제3 수용부(6121, 6131)는 제1 수용부(6111)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제1 수용부(6111)로부터 축방향으로 제1 수직연장부(6112)가 연장된다. 즉, 제1 수직연장부는(6112) 제1 수용부(6111)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된다. 제1 수직연장부(6112)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제1 수평연장부(6113)가 연장된다. 즉, 제1 수평연장부(61113)는 고정자(310)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외벽부(315)를 따라 연장된다.
제1 수직연장부(6112) 단변과 장변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수평연장부(6113)는 단변과 원주방향을 따라 굴곡진 장변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편의상, 플레이트의 높이를 두께, 플레이트의 단변의 길이를 폭이라고 한다. 제1 수직연장부(6112)의 단변과 제1 수평연장부(6113)의 장변이 제1 수용부(6111)측으로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수용부(6111)와 제1 수평연장부(6113)가 축방향으로 중첩됨으로써 후술할 제1 절연커버부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수평연장부(6113)의 단부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제1 결선부(6115)가 연장된다. 제1 결선부(6115)는 후술할 외벽부(315)에 형성된 지지홈(3152)에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된다. 또, 제1 수평연장부(6113)의 중간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제1 결선부(6114)가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수평연장부(6113)에서 방사방향으로 복수의 결선부가 연장될 수 있다.
제2 및 제3 버스바(612, 613)는 제1 버스바(611)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다만, 제2 수직연장부(6122)의 축방향 길이는 제1 수직연장부(6112)의 축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제3 수직연장부(6132)의 축방향 길이는 제2 수직연장부(6122)의 축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 제2 수평연장부(6123)의 원주방향 길이는 제1 수평연장부(6113)의 원주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제3 수평연장부(6133)의 원주방향 길이는 제2 수평연장부(6123)의 원주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제1, 제2 및 제3 수직연장부(6112, 6122, 6132)는 서로 축방향으로 소정의 높이 차를 두고 배치된다. 즉, 제1 수평연장부(6113)와 제2 수평연장부(6123)는 제1 수직연장부(6112)와 제2 수직연장부(6122)의 축방향 길이차이만큼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제2 수평연장부(6123)와 제3 수평연장부(6133)는 제2 수직연장부(6122)와 제3 수직연장부(6132)의 축방향 길이차이만큼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제1, 제2 및 제3 수직연장부(6112, 6122, 6132)는 적어도 일부가 축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그러면, 제1, 제2 및 제3 버스바(610)를 감싸서 밀봉하는 제1 절연커버부(650)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뒤에서 자세히 서술하도록 한다.
제1 결선부(6114, 6115)는 제1 수평연장부(6113)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결선부(6124, 6125)는 제2 수평연장부(6123)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수평연장부(6113)와의 축방향 높이 차이만큼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이로부터 다시 방사방향으로 연장된다. 제3 결선부(6134, 6135)는 제3 수평연장부(6133)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수평연장부(6113)와의 축방향 높이 차이만큼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이로부터 다시 방사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제2 및 제3 결선부는 계단형으로 연장되어 형상된다.
이를 통해, 제1, 제2 및 제3 결선부의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는 같은 높이로 후술할 외벽부(315)를 향해 연장되고, 외벽부(315)에 형성된 수용홈(3152)에 각각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그러면, 외벽부(315) 및 이와 조립되어 제1, 제2 및 제3 결선부(6114, 6115, 6124, 6125, 6134, 6135)를 밀폐하는 실링커버(316)를 보다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으며, 압축기의 운행시 제1, 제2 및 제3 결선부(6114, 6115, 6124, 6125, 6134, 6135) 중 어느 하나에 더 많은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뒤에서 자세히 서술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압축기에서 기밀단자 조립체(500), 버스바(610) 및 제1 절연커버부(650)를 결합하여 도시하는 사시도다.
제1, 제2 및 제3 도전부재(510)가 중공형 절연부재(521)에 의해 감싸져 몸체부재(520)의 일 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삽입되어 일 단부가 인버터부(400) 측으로, 타 단부가 메인 하우징(110) 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몸체부재(520)는 중공형 절연부재(521)를 감싸도록 성형될 수 있다. 또는, 몸체부재(520)에 중공형 절연부재(521)의 외경과 거의 같은 크기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중공형 절연부재(521)가 삽입공으로 압입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110) 내부로 돌출된 도전부재(510)의 타 단부는 버스바(610)의 수용부(6111, 6121, 6131)와 연결된다. 수용부(6111, 6121, 6131)에는 도전부재(510)의 타 단부가 삽입되는 수용공이 형성되고, 수용공의 직경은 도전부재(510)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수용부(6111, 6121, 6131)와 도전부재(510)의 접촉면에 저항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용부(6111, 6121, 6131)와 도전부재(510) 사이의 접촉면은 소정 넓이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도전부재(510)의 단부는 축방향과 수직한 동일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수용공이 형성된 복수의 수용부(6111, 6121, 6131) 또한 축방향과 수직한 동일 평면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되고, 복수의 수용부(6111, 6121, 6131)로부터 제1, 제2 및 제3 수직연장부(6112, 6122, 6132)가 하방으로 연장된다. 제1, 제2 및 제3 수직연장부(6112, 6122, 6132)는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플레이트 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제2 및 제3 수직연장부(6112, 6122, 6132)의 길이는 순차적으로 증가한다. 즉, 제1 수직연장부(6112)의 단부가 제2 수직연장부(6122)의 단부보다, 제2 수직연장부(6122)의 단부가 제3 수직연장부(6132)의 단부보다 축방향으로 전방에 위치된다.
제1, 제2 및 제3 수직연장부(6112, 6122, 6132)의 단부로부터 제1, 제2 및 제3 수직연장부(6112, 6122, 6132)가 연장된다. 제1, 제2 및 제3 수직연장부(6112, 6122, 6132)는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플레이트 형으로 형성된다. 제1, 제2 및 제3 수직연장부(6112, 6122, 6132)의 단변과 제1, 제2 및 제3 수직연장부(6112, 6122, 6132)의 장변이 접촉되어 수직연장부(6112, 6122, 6132)와 수평연장부(6113, 6123, 6133)가 수직을 이룬다. 수평연장부(6113, 6123, 6133)는 수용부(6111, 6121, 6131)와 축방향으로 중첩된다.
제1, 제2 및 제3 수직연장부(6112, 6122, 6132)가 축방향과 수직한 동일 평면상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바, 제3 수평연장부(6133)는 제1 수직연장부(6112)를 향해 제1 수평연장부(6113)와 이격된 길이만큼 곧게 연장되고, 제2 수평연장부(6123)는 제1 수직연장부(6112)를 향해 제1 수평연장부(6113)와 이격된 길이만큼 곧게 연장된다. 이를 통해, 제1, 제2, 제3 수평연장부(6113, 6123, 6133)는 제1 수직연장부(6112)의 하방에서 축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중첩되고, 이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방향 외측으로 굴곡된다. 제1, 제2 및 제3 수직연장부(6112, 6122, 6132)의 원주방향 길이는 제1 수평연장부(6113)가 가장 짧고, 제3 수평연장부(6133)가 가장 길게 형성된다.
제1, 제2 및 제3 수직연장부(6112, 6122, 6132)는 소정 높이차를 두고 축방향으로 중첩되도록 형성되고, 제1 결선부(6114, 6115)는 제1 수평연장부(6113)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및 제3 결선부는 전방 축방향 및 방사방향으로 상승하는 계단형으로 형성되어, 제1, 제2 및 제3 결선부의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는 축방향으로 동일 높이에 위치된다. 제1, 제2 및 제3 결선부(6114, 6115, 6124, 6125, 6134, 6135)는 폭이 좁고, 제1, 제2 및 제3 수직연장부(6112, 6122, 6132)와 축방향 같은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결선부의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는 축방향 상방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굽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휘어져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로 코일의 리드선(3123)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도 3a는 결합된 기밀단자 조립체(500) 및 버스바(610)를 제1 절연커버부(650)가 감싸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기밀단자 조립체(500)의 하방측와 버스바(610)는 제1 절연커버부(650)에 의해 감싸져 밀폐된다.
도전부재(510)의 일 단부는 인버터부(400)와 연결되고, 도전부재(510)와 연결된 버스바(610)의 결선부(6114, 6115, 6124, 6125, 6134, 6135)는 모터로부터 인출된 코일의 리드선(3123)과 결합함으로써, 인버터부(400)와 모터부(300)는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즉, 도전부재(510)와 버스바(610)는 모두 도전성이 있는 도체인 바, 메인 하우징(110) 전방측에 위치한 흡입구(미도시)에서 유입된 냉매 또는 오일에 노출되는 경우 절연파괴가 발생할 수 있다.
제1 절연커버부(650)는 도전부재(510) 및 버스바(610)가 기체 또는 액체 상태의 냉매 또는 오일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부재(520)의 후방측, 메인 하우징(110)으로 돌출된 도전부재(510)의 타 단부 및 버스바(610)를 감싸 밀봉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제1 절연커버부(650)는 메인 하우징(110) 측으로 노출된 도체들을 감싸 밀봉한다. 즉, 메인 하우징(110) 측으로 돌출된 도전부재(510)의 타 단부, 수용부(6111, 6121, 6131), 수직연장부(6112, 6122, 6132), 수평연장부(6113, 6123, 6133) 및 결선부(6114. 6115, 6124, 6125, 6134, 6135)의 일부를 감싸 밀봉하도록 형성된다.
메인 하우징(110) 내에 위치되는 도체들을 모두 밀봉함으로써,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측으로부터 유입된 냉매 또는 오일에 의해 절연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봉하는 방식으로는, 사출성형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사출성형이란 플라스틱을 가열하여 융해시킨 후 고압으로 금형 내에 사출하여 압력을 유지한 채로 냉각 고화시켜 성형하는 방식이다.
즉, 기설정된 형상의 금형에 서로 결합된 기밀단자 조립체(500)와 버스바(610)를 위치시킨 후, 융해된 절연재료를 금형 내로 사출시키고 이를 냉각 고화시켜 제1 절연커버부(65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몸체부재(520)와 제1 절연커버부(65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기설정된 형상의 금형에 서로 연결된 도전부재(510), 이를 감싸는 절연부재(521) 및 도전부재(510)와 연결된 버스바(610)를 위치시킨 후, 융해된 절연재료를 금형 내로 사출시키고 이를 냉각 고화시켜 절연커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몸체부재(520)와 제1 절연커버부(650)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조를 통하여 인버터부(400)측에 노출되는 도전부재(510)의 일 단부와 후술하는 제2 절연커버부에서 코일의 리드선(3123)과 결합되는 결선부(6114. 6115, 6124, 6125, 6134, 6135)의 단부를 제외하고 도전부재(510)와 버스바(610)의 표면이 완벽하게 밀폐될 수 있다.
다만, 제1 절연커버부(650)를 성형 시, 모터부(300)로부터 인출된 코일의 리드선(3123)과 결합되는 결선부의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는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인버터부(400)로 돌출된 도전부재(510)의 일 단부 역시 인버터부(400) 내에서 노출된다.
인버터부(400)로 노출되는 도전부재(510)는 후술하는 고무 실링부재를 이용한 외부밀폐구조를 통해 기체 또는 액체 상태의 냉매 또는 오일로부터 차단되고, 결선부의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는 후술하는 제2 절연커버부 의해 밀폐 된다.
제1 절연커버부(650)는 몸체부재(520)의 외주면을 따라 밀봉하여 몸체부재(520)의 타 측을 밀폐하고, 몸체부재(520)의 타 측으로부터 메인 하우징(110) 내로 돌출된 도전부재(510)의 타 단부, 수용부(6111, 6121, 6131), 수직연장부(6112, 6122, 6132), 수평연장부(6113, 6123, 6133), 결선부(6114, 6115, 6124, 6125, 6134, 6135)의 일부를 따라 이들을 밀폐하도록 형성된다.
몸체부재(520)의 타 측과, 몸체부재(520)의 타 측으로부터 메인 하우징(110) 내로 돌출된 도전부재(510)의 타 단부, 수용부(6111, 6121, 6131), 수직연장부(6112, 6122, 6132) 및 수평연장부(6113, 6123, 6133)의 일부는 축방향 절연부(651)에 의해 밀폐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평연장부(6113, 6123, 6133)의 나머지는 원주방향 절연부(652)에 의해 밀폐된다.
제1 절연커버부(650)는 결선부(6114, 6115, 6124, 6125, 6134, 6135)를 감싸는 부분에 결선부(6114, 6115, 6124, 6125, 6134, 6135)를 감싸고 원주방향 절연부(652)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멈춤부(6521) 및 단자가이드부(6522)를 포함한다. 멈춤부(6521)는 결선부(6114, 6115, 6124, 6125, 6134, 6135)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고, 단자가이드부(6522)는 멈춤부(6521)로부터 연장되고 결선부(6114, 6115, 6124, 6125, 6134, 6135)의 넓고 멈춤부보다 좁은 폭을 갖는 단자가이드부(6522)를 포함한다.
단자가이드부(6522)의 폭은 결선부(6114, 6115, 6124, 6125, 6134, 6135)가 삽입되는 외벽부(315)의 수용홈(3152)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고, 멈춤부(6521)의 폭은 수용홈(3152)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결선부의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 및 이를 감싸는 단자가이드부(6522)가 수용홈(3152)과 맞물려 소정 길이 이상 삽입되는 경우 외벽부(315)를 가압하여 결선부(6114, 6115, 6124, 6125, 6134, 6135)를 고정한다.
단자가이드부(6522)는 결선부(6114, 6115, 6124, 6125, 6134, 6135) 및 결선부의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의 축방향 상방 일부가 노출되도록 결선부(6114, 6115, 6124, 6125, 6134, 6135)를 감싼다. 단자가이드부(6522)의 폭이 외벽부(315)의 수용홈(3152)의 폭과 거의 같도록 형성됨으로써, 결선부의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가 수용홈(3152)으로 미끄러지듯 삽입되도록 가이드한다.
결선부의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와 함께 수용홈(3152)으로 삽입된 단자가이드부(6522)는 결선부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를 지지하여 고정시킨다.
제1 절연커버부(650)의 회전축과 대향하는 면에는 결합홈(654)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654)은 내측면의 하방에 형성되어 고정자의 내측 단부로부터 연장된 내벽부와 맞물려 결합된다.
결합홈(654)은 제1 절연커버부(650)의 회전축과 대향하는 면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654)은 고정자의 내측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내벽부와 결합되어 기밀단자 조립체(500) 및 버스바(610)를 축방향으로 지지한다.
도 3b는 도 3a의 Ⅰ-Ⅰ을 따라 취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메인 하우징(110) 내의 도전부재(510), 버스바(610) 및 몸체부재(520)가 완전하게 밀폐되는 구조가 상세히 도시된다.
도전부재(510)의 일 단부는 인버터부(400)측으로 돌출되고, 타 단부는 이를 감싸는 제1 절연커버부(650)에 의하여 밀폐된다.
또한, 도전부재(510)의 타 단부와 결합되는 버스바(610)의 수용부(6111, 6121, 6131), 수용부(6111, 6121, 6131)로부터 연장되는 수직연장부(6112, 6122, 6132), 수직연장부(6112, 6122, 6132)로부터 연장되는 수평연장부(6113, 6123, 6133)가 제1 절연커버부(650)에 의해 감싸져 밀폐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버스바(610)의 적어도 일부는 축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열된다.
제1 절연커버부(650)의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수용부(6111, 6121, 6131)와 수평연장부(6113, 6123, 6133)는 축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제2 수직연장부(6122)의 하방으로 제2 수평연장부(6123)와 제3 수평연장부(6133)가 축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3b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수직연장부(6112)의 하방으로 제1, 제2 및 제3 수직연장부(6112, 6122, 6132)가 축방향으로 중첩되도록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중첩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기밀단자 조립체(500)의 몸체부재(520)의 인버터부(400)를 향하는 측의 외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길이 함몰된 환형 제2 단차부(522)가 형성될 수 있고, 환형 제2 단차부(522)에는 환형 제2 실링부재(901, 902)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c는 도 3a의 Ⅱ-Ⅱ 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도전부재(510)와 버스바(610)의 수용부(6111, 6121, 6131)가 완전하게 밀폐되는 구조가 상세히 도시된다.
제1, 제2 및 제3 도전부재(510)의 일 단부는 인버터부(400)측으로 돌출되고, 타 단부는 이를 감싸는 제1 절연커버부(650)에 의하여 밀폐된다.
또한, 제1, 제2 및 제3 도전부재(510)의 타 단부와 결합되는 버스바(610)의 수용부(6111, 6121, 6131)가 제1 절연커버부(650)에 의해 감싸져 밀폐된다.
즉, 제1 절연커버부(650)는 기밀단자 조립체(500)와 복수 개의 버스바(610)를 감싸 밀폐한다. 제1 절연커버부(650)는 몸체부재(520)의 외주면을 따라 밀봉하여 상기 몸체부재(520)의 타 측을 밀폐하고, 몸체부재(520)의 타 측으로부터 돌출된 제1, 제2 및 제3 도전부재(510)의 타 단부 및 타 단부와 결합된 버스바(610)의 수용부(6111, 6121, 6131)의 둘레를 따라 감싸도록 형성된다.
Ⅱ-Ⅱ 선은 제1, 제2 및 제3 도전부재(510)를 연결한 선이므로 도 3c에서는 제1, 제2 및 제3 버스바(610)의 제1, 제2 및 제3 수용부(6111, 6121, 6131)만이 도시된다.
기밀단자 조립체(500)의 몸체부재(520)의 인버터부(400)를 향하는 측의 외주를 따라 소정 깊이 함몰된 환형 제2 단차부(522)가 형성될 수 있고, 환형 제2 단차부(522)에는 환형 제2 실링부재(901)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따른 기밀단자 조립체(500)가 모터부(300)가 결합되기 전 모습을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4a를 참조하면, 도 3a에서 도시된 서로 결합된 기밀단자 조립체(500), 버스바(610) 및 제1 절연커버부(650)가 도시되고, 이와 결합되는 모터부(300)가 도시된다.
모터부(300)는 고정자(310)를 포함하고, 고정자(310)의 전방측의 엔드코일(3121)을 사이에 두고 내측으로는 내벽부(313)가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외벽부(315)가 형성된다.
외벽부(315)는 버스바(610)의 결선부(6114, 6115, 6124, 6125, 6134, 6135)가 삽입되는 수용홈(3152)이 형성되는 제1 외벽부(315)와 수용홈(3152)이 형성되지 않는 제2 외벽부로 구분된다.
제1 외벽부(315)의 전방측에는 결선부의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 및 이를 감싸는 단자가이드부(6522)를 수용하여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용홈(3152)이 형성된다. 또한, 수용홈(3152)의 폭은 단자가이드부(6522)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단자가이드부(6522) 및 결선부의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를 지지하여 고정한다.
단자가이드부(6522)의 결선부(6114, 6115, 6124, 6125, 6134, 6135)가 연장하는 방향의 길이는 단자가이드부(6522)가 모두 수용홈(3152)에 수용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제1 외벽부(315)의 전방측에는 결합돌부(3151)가 축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부(3151)는 후술하는 실링커버(316)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제1 절연커버부(650) 중 회전축과 대향하는 면의 후방측에 결합홈(654)이 형성되고, 결합홈(654)은 내벽부(313)와 맞물려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결선부의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 및 이를 감싸는 단자가이드부(6522)가 수용홈(3152)과 맞물려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또한, 고정자(310)의 후방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연결홈(3101)이 형성된다. 고정자(310)의 후방측의 하나의 엔드코일(3121)로부터 인출된 코일이 연결홈(3101)을 통하여 다른 하나의 엔드코일(3121)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정자(310)는 전방측의 하나의 엔드코일(3121)로부터 인출된 코일이 제2 외벽부(314)의 내부를 통하여 다른 하나의 엔드코일(3121)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따른 기밀단자 조립체(500)와 모터부(300)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4b를 참조하면, 버스바(610)의 결선부의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 및 단자가이드부(6522)가 제1 외벽부(315)에 형성된 수용홈(3152)에 삽입되고, 제1 절연커버부(650)에 형성된 결합홈(654)과 내벽부(313)가 결합된다. 이를 통해, 기밀단자 조립체(500) 및 버스바(610)가 모터부(300)에 지지되어 고정된다.
단자가이드부(6522)의 결선부(6114, 6115, 6124, 6125, 6134, 6135)가 연장되는 방향의 길이는 수용홈(3152)에 모두 수용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어, 수용홈(3152)에 삽입 후 멈춤부(6521)에 의해 가압되어 정지될 때까지 삽입된다.
결선부의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는 인버터부(400)측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굽쇠형으로 형성되고, 결선부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의 마주보는 면 사이에 전방측 엔드코일(3121)로부터 인출된 3상 코일이 결합된다.
3상 코일은 절연피복에 의하여 감싸져 있고, 결선부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에 결합되는 부분만 피복을 제거하여 서로 통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피복이 제거된 코일(3123)과 결선부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는 결선부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의 마주보는 면이 코일(3123)을 가압하도록 하여 결합될 수 있고, 결선부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와 코일을 맞물리고 납땜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버스바(610)의 결선부(6114, 6115, 6124, 6125, 6134, 6135)는 절연코팅제로 코팅될 수 있다. 결선부(6114, 6115, 6124, 6125, 6134, 6135)가 절연코팅제로 코팅되는 경우, 코일의 도선(3123)과 접촉되는 면의 코팅을 제거하여 서로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코일의 도선과 결선부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를 결합한 후, 접촉면에 냉매 또는 오일과의 노출을 방지하는 보호코팅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보호코팅은 에폭시코팅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절연커버부(315, 316)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4b의 모터부(300)에 실링커버(316)가 결합된 모터부(300)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5를 참조하면, 결선부의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가 제2 절연커버부(315, 316)에 의해 감싸져 밀폐된다.
제2 절연커버부(315, 316)는 모터부(300)의 일 측의 외주로부터 인버터부(400) 방향으로 돌출되고 결선부의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를 수용하는 수용홈(3152)이 형성된 외벽부(315) 및 외벽부(315)에 결합되는 실링커버(316)를 포함한다.
결선부의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 및 단자가이드부(6522)는 수용홈(3152)에 삽입되어 수용되고, 실링커버(316)는 축방향으로 결선부의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며, 외벽부(315)에는 축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부(3151)가 형성되고, 실링커버(316)에는 축방향으로 함몰된 결합오목부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된다.
이를 통해, 결선부의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는 제1 절연커버부(650), 실링커버(316) 및 외벽부(315)에 의해 감싸져 밀폐된다.
결선부의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는 단자 가이드부(6522)에 의해서 감싸지고, 전방측이 노출된다. 다만, 단자가이드부(6522)는 멈춤부(6521)에 의해 멈추기 전까지 수용홈(3152)에 삽입되는 바, 수용홈(3152)에 전부 수용되고, 결선부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의 노출부는 모두 수용홈(3152)에 수용된다. 여기서, 수용홈(3152)은 실링커버(316)에 의해 밀폐되고, 실링커버(316)는 멈춤부(6521)의 전방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방사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결선부(6114, 6115, 6124, 6125, 6134, 6135)가 메인하우징 내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완전히 밀폐한다.
실링커버(316), 외벽부(315) 및 멈춤부(6521)가 접촉하는 경계선을 따라 냉매 또는 오일의 유입을 방지하는 보호코팅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보호코팅은 에폭시코팅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하우징(110)과 인버터부(400) 사이의 밀폐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된 플레이트(800)-메인 하우징(110)-모터부(300)를 도시하는 분해도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모터부(300)가 도시되고, 기밀단자 조립체가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측에 형성된 관통구멍(115)을 통해 인버터부(400)로 돌출되는 경우, 메인 하우징(110)으로부터 인버터부(400)로 냉매 또는 오일이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구조를 도시한다.
플레이트(800)는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층에 형성된 관통구멍(115)을 덮고 기밀단자 조립체의 도전부재(510) 및 중공형 절연부재(521)를 수용한다. 플레이트(800)에는 도전부재(510) 및 중공형 절연부재(521)를 수용하기 위한 플레이트 구멍(801)이 형성된다. 플레이트 구멍(801)은 복수의 중공형 절연부재(521)를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형 절연부재(521)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 복수의 구멍일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중공형 절연부재(521)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하나의 구멍일 수 있다.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측에는 관통구멍(115)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깊이 함몰된 제1 단차부(113)가 형성되고, 제1 단차부(113)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복수의 제1 볼트구멍(112)이 형성된다.
플레이트(800)에는 플레이트 구멍(801)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제1 볼트구멍(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제2 볼트구멍(802)이 형성된다.
복수의 볼트(810)는 제2 볼트구멍(802)을 통과하여 제1 볼트구멍(112)에 나사 결합되고, 플레이트(800)는 볼트(810) 헤드와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측 사이에 위치해 볼트(810) 헤드에 의해 메인 하우징(110)을 향하여 가압된다.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 측에 관통구멍(115)의 외주를 따라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환형 제1 단차부(113)가 형성되고, 몸체부재(520)의 전방 측의 외주를 따라 소정 깊이 함몰된 환형 제2 단차부(522)가 형성된다.
환형 제1 단차부(113) 및 환형 제2 단차부(522)와 플레이트(800) 사이에는 환형 제1 실링부재(900)가 위치되고, 환형 제1 실링부재(900)의 후방 측면의 외주측은 제1 단차부(113)에 의하여 지지되며, 후방 측면의 내주측은 상기 제2 단차부(522)에 의해 지지되고, 후방측면의 반대방향 전방측면은 플레이트(800)에 의해 지지된다.
제1 환형 실링부의 외주는 제1 단차부(113)의 외주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1 환형 실링부의 내주는 제2 단차부(522)의 내주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제1 환형 실링부의 두께는 제1 단차부(113) 및 제2 단차부(522)가 함몰된 깊이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플레이트(800)가 메인하우징의 전방측에 결합되고 환형 제1 실링부재(900)가 플레이트(800)와 제1 및 제2 단차부(113, 522) 사이에 위치될 때, 제1 단차부(113)의 외주는 환형 제1 실링부재(900)의 외주를 포함하고, 환형 제1 실링부재(900)의 내주는 제2 단차부(522)의 내주를 포함하며, 환형 제1 실링부재(900)의 내주는 플레이트 구멍(801)의 내주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를 통하여 메인 하우징(110) 내의 기체 또는 액체 상태의 냉매 또는 오일이 인버터부(4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즉,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측이 밀폐됨으로써, 인버터부(400)측으로 돌출된 도전부재(510)가 기체 또는 액체 상태의 냉매 또는 오일로부터 차단되고, 버스바(610)의 결선부(6114, 6115, 6124, 6125, 6134, 6135)가 제2 절연커버부(315, 316)내에서 밀폐됨으로써, 결선부(6114, 6115, 6124, 6125, 6134, 6135)가 기체 또는 액체 상태의 냉매 또는 오일로부터 차단된다.
상기 구조를 통해서, 메인 하우징(110) 내의 기밀단자 조립체 및 기밀 단자 조립체와 모터부(300)를 연결하는 버스바(610)가 제1 절연커버부(650)에 의해 밀폐되고, 결선부의 단부(6114a, 6115a, 6124a, 6125a, 6134a, 6135a)와 모터부(300)로부터 인출된 코일의 리드선(3123)의 결합부가 제2 절연커버부(315, 316)에서 밀폐됨으로써, 메인 하우징(110) 내에 위치한 금속부가 모두 밀폐되어 냉매 또는 오일로부터 차단된다.
또한, 플레이트(800)의 후방측면과 제1 및 제2 단차부(113, 522)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환형 제1 실링부재(900)가 삽입되어 메인 하우징(110)을 밀폐하는 바, 메인 하우징(110) 내의 냉매 또는 오일이 인버터부(400)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즉, 메인 하우징(110) 내부의 금속부를 밀폐하고, 메인 하우징(110)을 밀폐함으로써 높은 절연저항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플레이트(800)-메인 하우징(110)-모터부(300)가 결합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플레이트(800)는 플레이트 구멍(801)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복수의 볼트(810)에 의하여 메인 하우징(110)에 결합되고, 플레이트 구멍(801)으로 복수의 중공형 절연부재(521)가 수용되며, 복수의 중공형 절연부재(521)로부터 복수의 도전부재(510)가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전부재(510)는 그 양단이 각각 인버터유닛(430)과 모터부(300)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원 및 제어신호를 인버터부(400)로부터 모터부(30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도전부재(510)는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전부재(512)는 구리(Cu), 동(copper) 인청동(phosphor bronze)등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강성 보강을 위해 철(Fe), 철-니켈(Fe-Ni), 주석(Tin) 등으로 도금될 수 있다.
도전부재(510)는 인버터부(400)내의 인쇄회로기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Ⅲ-Ⅲ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참조하여, 메인하우징의 전방측의 밀폐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8a는 도 7의 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8a를 참조하면, 도전부재(510)가 나열된 방향을 따라 취한 플레이트(800), 환형 제1 실링부재(900), 기밀단자 조립체(500) 및 제1 절연커버부(650)의 단면이 도시된다.
기밀단자 조립체(500)는 복수의 도전부재(510), 복수의 도전부재(510)를 감싸는 중공형 절연부재(521) 및 중공형 절연부재(521)를 감싸는 몸체부재(520)를 포함하고, 복수의 도전부재(510) 및 중공형 절연부재(521)의 일 측은 인버터부(400)로 돌출되고, 타 측은 메인 하우징 내로 돌출된다. 메인 하우징(110) 내로 돌출된 복수의 도전부재(510)의 타 측은 복수의 버스바(610)와 연결된다.
플레이트(800)가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측에 형성된 관통구멍(115)을 복개하는 바, 플레이트(800)를 기준으로 플레이트(800)의 후방 측은 메인 하우징(110)의 내부를 의미하고, 플레이트(800)의 전방 측은 메인 하우징(110)의 외부를 의미한다.
그러면, 환형 플레이트(800)와 도전부재(510)의 일 측이 메인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고, 몸체부재(520), 환형 플레이트(800)의 타 측 및 도전부재(510)의 타 측은 메인 하우징(110)의 내부로 돌출된다.
제1 절연커버부(650)는 메인 하우징(110) 내로 돌출된 기밀단자 조립체(500)와 복수 개의 버스바(610)를 감싸 밀폐한다.
즉, 제1 절연커버부(650)는 몸체부재(520)의 외주면을 따라 밀봉하여 몸체부재(520)의 타 측을 밀폐하고, 몸체부재(520)의 타 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중공형 절연부재(521), 도전부재(510) 및 도전부재(510)와 연결되는 버스바(610)를 감싸 밀폐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기설정된 형상의 금형에 기밀단자 조립체(500) 및 이와 연결된 복수의 버스바(610)를 넣고, 용융된 절연소재를 금형 내로 사출시킴으로써, 메인 하우징(110) 내로 돌출된 기밀단자 조립체(500)와 복수 개의 버스바(610)를 감싸 밀폐시킬 수 있다.
관통구멍(115)을 덮는 플레이트(800)는 볼트(810)에 의해 가압되고, 플레이트(800)는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 측을 가압한다. 플레이트 구멍(801)은 몸체부재(520)의 전방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절연부재(521)를 수용하고, 몸체부재(520)의 전방측면은 플레이트(800)에 의해 가압된다.
즉, 메인 하우징(110)의 관통구멍(115)은 플레이트(800)에 의해 복개되고, 플레이트 구멍(801)은 몸체부재(520)의 전방측면에 의해 복개됨으로써,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측이 밀폐된다.
메인 하우징(110) 내부의 냉매에 의한 압력 및 압축기 운행진동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냉매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레이트(800), 몸체부재(520), 메인 하우징(110) 사이에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 측에 관통구멍(115)의 외주를 따라 소정 깊이로 함몰된 환형 제1 단차부(113)가 형성되고, 몸체부재(520)의 전방 측의 외주를 따라 소정 깊이로 함몰된 환형 제2 단차부(522)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단차부(522)의 깊이는 거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단차부(113, 522)에는 환형 제1 실링부재(900)가 배치된다. 환형 제1 실링부재(900)의 후방 측면의 외주측은 제1 단차부(113)에 의하여 지지되고, 후방 측면의 내주측은 제2 단차부(522)에 의해 지지되며, 환형 제1 실링부재(900)의 전방 측면은 플레이트(800)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환형 제1 실링부재(900)의 축방향 두께는 제1 및 제2 단차부(113, 522)의 깊이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를 통하여, 메인 하우징(110) 내부의 냉매가 플레이트(800)와 메인 하우징(110)의 사이, 플레이트(800)와 몸체부재(520)의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메인 하우징(110) 내부와 인버터부(400) 내부 사이의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여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단차부(113, 522)와 환형 제1 실링부재(900)의 후방측면이 접하는 면에는 각각 2차 실링부가 형성될 수 있다.
환형 제1 및 제2 단차부(113, 522)에는 각각 환형 실링홈(114, 523)이 형성되고, 환형 실링홈(114, 523)의 각각에는 환형 제2 실링부재(901, 902)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단차부(113)에 삽입된 환형 제2 실링부재(902)는 환형 제1 실링부재(900)의 후방측을 가압하는 냉매가 방사방향 외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2 단차부(522)에 삽입된 환형 제2 실링부재(901)는 환형 제1 실링부재(900)의 후방측을 가압하는 냉매가 방사방향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실링구조를 이중으로 채용함으로써, 메인 하우징(110) 내부의 밀폐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뒤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8b는 도 8a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다.
도 8b를 참조하면, 플레이트(800), 몸체부재(520) 및 메인 하우징(110) 사이에 형성된 이중 실링구조가 상세히 도시된다.
플레이트(800)의 후방면, 환형 제1 단차부(113) 및 환형 제2 단차부(522) 사이의 공간에 환형 제1 실링부재(900)가 삽입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단차부(113, 522)와 환형 제1 실링부재(900)의 후방측면이 접하는 면에는 각각 2차 실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실링구조를 이중으로 채용함으로써, 메인 하우징(110) 내부의 밀폐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단차부(113)와 환형 제1 실링부재(900)의 후방측면이 접하는 면에 형성된 환형 실링홈(114)의 대향하는 양면 중 내측면(114b)의 높이는 외측면(114a)보다 낮고, 제2 단차부(522)와 환형 제1 실링부재(900)의 후방측면이 접하는 면에 형성된 환형 실링홈(523)의 대향하는 양면 중 외측면(523b)의 높이는 내측면(523a)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단차부(113)와 환형 제1 실링부재(900)의 후방측면이 접하는 면에서 냉매가 방사방향 외측으로 유입되는 경우, 환형 제2 실링부재(902)가 방사방향 외측으로 가압되고, 제2 단차부(522)와 환형 제1 실링부재(900)의 후방측면이 접하는 면에서 냉매가 방사방향 내측으로 유입되는 경우, 환형 제2 실링부재(901)가 방사방향 내측으로 가압됨으로써, 환형 제2 실링부재(901, 902)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단차부(113)와 제1 볼트구멍(112)에 삽입된 볼트(810) 사이에는 이탈방지벽(1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벽(116) 없이 환형 제1 실링부재(900)가 볼트(810)의 외주면과 직접 접하는 경우, 볼트(810)가 제1 볼트구멍(112)에 체결됨에 따라 환형 제1 실링부재(900)가 볼트(810)의 나사산(811)과 맞물려 볼트구멍(112)에 끌려들어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하우징(110) 내부의 냉매의 압력에 의해 환형 제1 실링부재(900)가 제1 볼트구멍(112)으로 이탈되어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1 단차부(113)와 제1 볼트구멍(112) 사이에 이탈방지벽(116)을 형성함으로써 환형 제1 실링부재(900)의 손상, 변형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9를 참조하면, 도전부재(510)가 나열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취한 플레이트(800), 환형 제1 실링부재(900), 기밀단자 조립체(500) 및 제1 절연커버부(650)의 단면이 도시된다.
도 9에 도시된 플레이트(800), 환형 제1 실링부재(900), 몸체부재(520) 사이의 메인 하우징(110) 밀폐구조는 도 8 및 도 9에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한 바, 이와 관련하여 도 8 및 9의 설명에 갈음한다.
기밀단자 조립체(500)는 복수의 도전부재(510), 복수의 도전부재(510)를 감싸는 중공형 절연부재(521) 및 중공형 절연부재(521)를 감싸는 몸체부재(520)를 포함하고, 복수의 도전부재(510) 및 중공형 절연부재(521)의 일 측은 인버터부(400)로 돌출되고, 타 측은 메인 하우징(110) 내로 돌출된다. 메인 하우징(110) 내로 돌출된 복수의 도전부재(510)의 타 측은 복수의 수용부(6111, 6121, 6131)와 연결되고, 복수의 수용부(6111, 6121, 6131)로부터 축방향으로 수직연장부(6112, 6122, 6132)가 연장되며, 수직연장부(6112, 6122, 6132)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수평연장부(6113, 6123, 6133)가 연장된다.
플레이트(800)가 메인 프레임의 전방측에 형성된 관통구멍(115)을 복개하는 바, 플레이트(800)를 기준으로 플레이트(800)의 후방 측은 메인 하우징(110)의 내부를 의미하고, 플레이트(800)의 전방 측은 메인 하우징(110)의 외부를 의미한다.
그러면, 환형 플레이트(800)와 도전부재(510)의 일 측이 메인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고, 몸체부재(520), 환형 플레이트(800)의 타 측 및 도전부재(510)의 타 측은 메인 하우징(110)의 내부로 돌출된다.
제1 절연커버부(650)는 메인 하우징(110) 내로 돌출된 기밀단자 조립체(500)와 복수 개의 수용부(6111, 6121, 6131), 수직연장부(6112, 6122, 6132) 및 수평연장부(6113, 6123, 6133)를 감싸 밀폐한다.
즉, 제1 절연커버부(650)는 몸체부재(520)의 외주면을 따라 밀봉하여 몸체부재(520)의 타 측을 밀폐하고, 몸체부재(520)의 타 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중공형 절연부재(521), 도전부재(510) 및 도전부재(510)와 연결되는 수용부(6111, 6121, 6131), 수직연장부(6112, 6122, 6132) 및 수평연장부(6113, 6123, 6133)를 감싸 밀폐한다.
상기 구조를 통하여, 메인 하우징(110) 내부의 금속부를 밀폐하고, 메인 하우징(110)을 밀폐함으로써 높은 절연저항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메인 하우징 112: 제1 볼트구멍
113: 제1 단차부 114: 실링홈
114a: 외측벽 114b: 내측벽
115: 관통구멍 116: 이탈방지벽
310: 고정자 3101: 연결홈
313: 내벽부 314: 제2 외벽부
315: 제1 외벽부 3151: 결합돌부
3152: 수용홈 3123: 리드선, 3상 코일
500: 기밀단자 조립체 510: 도전부재
511: 제1 도전부재 512: 제2 도전부재
513: 제3 도전부재 520: 몸체부재
521: 중공형 절연부재 522: 제2 단차부
523: 실링홈 523a: 내측벽
523b: 외측벽 610: 버스바
611: 제1 버스바 6111: 제1 수용부
6112: 제1 수직연장부 6113: 제1 수평연장부
6114, 6115: 제1 결선부 6114a, 6115a: 제1 결선부의 단부
612: 제2 버스바 6121: 제2 수용부
6122: 제2 수직연장부 6123: 제2 수평연장부
6124, 6125: 제2 결선부 6124a, 6125a: 제2 결선부의 단부
613: 제3 버스바 6131: 제3 수용부
6132: 제3 수직연장부 6133: 제3 수평연장부
6134, 6135: 제3 결선부 6134a, 6135a: 제3 결선부의 단부
650: 제1 절연커버부 654: 결합홈
651: 축방향 절연부 652: 방사방향 절연부
6521: 멈춤부 6522: 단자가이드부
800: 플레이트 801: 플레이트 구멍
802: 제2 볼트구멍 810: 볼트
811: 볼트 나사산 900: 제1 실링부재

Claims (17)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압축부;
    상기 압축부와 연결되어 상기 압축부를 구동하는 모터부;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결합되고, 상기 모터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 인버터부;
    일 측이 상기 인버터부 내로 노출되고, 타 측이 상기 하우징 내로 노출되는 기밀단자 조립체;
    일 단은 상기 기밀단자 조립체의 타 측에 접속되고, 타 단은 상기 모터부에 접속되는 복수의 버스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기밀단자 조립체와 상기 복수의 버스바를 감싸 밀폐하는 제1 절연커버부;를 포함하는 전동식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스바의 적어도 일부는 축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열되는 전동식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스바는,
    축방향 연장부 및 방사방향 연장부를 구비하는 제1 버스바;
    축방향 연장부 및 방사방향 연장부를 구비하는 제2 버스바; 및
    축방향 연장부 및 방사방향 연장부를 구비하는 제3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버스바의 축방향 연장부의 길이는 제1 버스바보다 길고 제3 버스바보다 짧으며,
    상기 제2 버스바의 원주방향 연장부의 길이는 제1 버스바보다 길고 제3 버스바보다 짧은 전동식 압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단자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 측은 상기 인버터부를 향하고 타 측은 상기 하우징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를 관통하는 중공형 절연부재; 및
    상기 절연부재에 의해 감싸지고, 일 단은 상기 몸체부재의 일 측으로부터 돌출되고 타 단은 상기 몸체부재의 타 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버스바의 일 단에 접속되는 도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커버부는,
    상기 몸체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밀봉하여 상기 몸체부재의 타 측을 밀폐하는 전동식 압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는 각각 상기 모터부에 구비된 권선코일의 리드선과 결선되는 결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선부의 단부는 상기 제1 절연커버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동식 압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선부의 단부는 제2 절연커버부에 의해 감싸져 밀폐되는 전동식 압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커버부는,
    상기 모터부의 일 측의 외주로부터 상기 인버터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결선부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외벽부; 및
    상기 외벽부에 결합되는 실링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결선부의 단부는 상기 제1 절연커버부, 상기 실링커버 및 상기 외벽부에 의해 밀폐되는 전동식 압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에는 축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커버에는 축방향으로 함몰된 결합오목부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전동식 압축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를 수용하는 플레이트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을 덮는 플레이트;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상기 관통구멍의 외주를 따라 소정 깊이로 함몰된 환형 제1 단차부;
    상기 몸체부재의 일 측의 외주를 따라 소정 깊이 함몰된 환형 제2 단차부; 및
    일 측면의 외주측은 상기 제1 단차부에 의하여 지지되고, 일 측면의 내주측은 상기 제2 단차부에 의해 지지되며, 일 측면의 반대방향 타 측면은 상기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환형 제1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전동식 압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부 및 제2 단차부에는 각각 환형 실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 실링홈의 각각에는 환형 제2 실링부재가 삽입되는 전동식 압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부에 형성된 환형 실링홈의 내측면의 높이는 외측면보다 낮고,
    상기 제2 단차부에 형성된 환형 실링홈의 외측면의 높이는 내측면보다 낮은 전동식 압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는 상기 제1 단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제1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제1 볼트구멍과 대응되는 제2 볼트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는 제1 및 제2 볼트구멍에 수용되는 볼트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전동식 압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부와 상기 제1 볼트구멍 사이에는 이탈방지벽이 형성되는 전동식 압축기.
  14.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압축부;
    상기 압축부와 연결되어 상기 압축부를 구동하는 모터부;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결합되고, 상기 모터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 인버터부;
    일 측이 상기 인버터부 내로 돌출되고, 타 측이 상기 하우징 내로 돌출되는 복수의 도전부재;
    중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도전부재를 감싸는 복수의 절연부재;
    일 단은 상기 도전부재의 타 측에 접속되고, 타 단은 상기 모터부에 접속되는 복수의 버스바;
    일 측이 상기 인버터부를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복수의 도전부재, 상기 복수의 절연부재 및 상기 복수의 버스바를 감싸 밀폐하는 절연커버부를 포함하는 전동식 압축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스바는 각각 상기 모터부에 구비된 권선코일의 리드선과 결선되는 결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선부의 단부는 상기 절연커버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동식 압축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의 일 측의 외주로부터 상기 인버터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결선부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외벽부; 및
    상기 외벽부에 결합되는 실링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결선부의 단부는 상기 절연커버부, 상기 실링커버 및 상기 외벽부에 의해 밀폐되는 전동식 압축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를 수용하는 플레이트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을 덮는 플레이트;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상기 관통구멍의 외주를 따라 소정 깊이로 함몰된 환형 제1 단차부;
    상기 절연커버부의 일 측의 외주를 따라 소정 깊이 함몰된 환형 제2 단차부; 및
    일 측면의 외주측은 상기 제1 단차부에 의하여 지지되고, 일 측면의 내주측은 상기 제2 단차부에 의해 지지되며, 일 측면의 반대방향 타 측면은 상기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환형 제1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전동식 압축기.
KR1020190089143A 2019-07-23 2019-07-23 전동식 압축기 KR102232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143A KR102232268B1 (ko) 2019-07-23 2019-07-23 전동식 압축기
PCT/KR2020/009641 WO2021015546A1 (ko) 2019-07-23 2020-07-22 전동식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143A KR102232268B1 (ko) 2019-07-23 2019-07-23 전동식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804A true KR20210011804A (ko) 2021-02-02
KR102232268B1 KR102232268B1 (ko) 2021-03-24

Family

ID=74193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143A KR102232268B1 (ko) 2019-07-23 2019-07-23 전동식 압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2268B1 (ko)
WO (1) WO2021015546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0145A (ja) * 2005-02-08 2006-09-21 Sanden Corp 電動圧縮機
JP2006291926A (ja) * 2005-04-14 2006-10-26 Sanden Corp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2012184752A (ja) * 2011-03-08 2012-09-27 Toyota Industries Corp 電動圧縮機
KR20130057889A (ko) 2011-11-24 2013-06-0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KR20170017912A (ko) * 2014-06-12 2017-02-15 시에바 디.오.오. - 포슬로브나 에노타 이드리야 전기 기계의 고정자
JP2018023222A (ja) * 2016-08-03 2018-02-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スバーユニット
JP2018537607A (ja) * 2016-11-07 2018-12-20 ハンオン システムズ 電気的連結手段を備えた電動圧縮機およびそのための固定子組立体
KR101936102B1 (ko) 2013-01-25 2019-01-0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0145A (ja) * 2005-02-08 2006-09-21 Sanden Corp 電動圧縮機
JP2006291926A (ja) * 2005-04-14 2006-10-26 Sanden Corp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2012184752A (ja) * 2011-03-08 2012-09-27 Toyota Industries Corp 電動圧縮機
KR20130057889A (ko) 2011-11-24 2013-06-0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KR101936102B1 (ko) 2013-01-25 2019-01-0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KR20170017912A (ko) * 2014-06-12 2017-02-15 시에바 디.오.오. - 포슬로브나 에노타 이드리야 전기 기계의 고정자
JP2018023222A (ja) * 2016-08-03 2018-02-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スバーユニット
JP2018537607A (ja) * 2016-11-07 2018-12-20 ハンオン システムズ 電気的連結手段を備えた電動圧縮機およびそのための固定子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268B1 (ko) 2021-03-24
WO2021015546A1 (ko)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75072B1 (en) Motor-driven compressor
KR101442101B1 (ko) 전동 압축기
EP2439826B1 (en) Cable entry seal for motor-driven compressor
US8757989B2 (en) Motor-driven compressor
US8323005B2 (en) Motor-driven compressor
EP2133571A2 (en) Motor-driven compressor
US9068563B2 (en) Electric connector for cooling a compressor drive circuit
US11581766B2 (en) Drive motor with flux barriers, and compressor having the same
JP6574044B2 (ja) 電気的連結手段を備えた電動圧縮機およびそのための固定子組立体
US10707715B2 (en) Motor-driven compressor
CN103328823A (zh) 压缩机用电动机及使用该电动机的电动压缩机
EP2620648B1 (en) Motor-driven compres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749729B2 (ja) 電動圧縮機
KR102172263B1 (ko) 전동식 압축기
CN110319000B (zh) 电动压缩机
KR102232268B1 (ko) 전동식 압축기
US11658538B2 (en) Motor operated compressor
CN111852864B (zh) 电动压缩机及电动压缩机的组装方法
WO2019123913A1 (ja) 電動圧縮機
KR20210007481A (ko) 모터의 고정자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압축기
JP7444107B2 (ja) 電動圧縮機
JP4062060B2 (ja) 密閉型圧縮機
KR20200107205A (ko) 로터리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