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836A - 치아 교정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치아 교정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836A
KR20210010836A KR1020200089061A KR20200089061A KR20210010836A KR 20210010836 A KR20210010836 A KR 20210010836A KR 1020200089061 A KR1020200089061 A KR 1020200089061A KR 20200089061 A KR20200089061 A KR 20200089061A KR 20210010836 A KR20210010836 A KR 20210010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rthodontic bracket
hinge pin
arch wir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3734B1 (ko
Inventor
청 시앙 훙
Original Assignee
청 시앙 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 시앙 훙 filed Critical 청 시앙 훙
Publication of KR20210010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7Sliding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8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with occlusal or gingival archwire slot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5Locking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 A61C7/303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4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using lock p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체, 커버 및 탄성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브래킷이 제공된다. 상기 본체는 아치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아치와이어 슬롯을 구비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버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개방 위치는 상기 아치와이어 슬롯을 노출시키고, 상기 폐쇄 위치는 상기 아치와이어 슬롯을 가린다. 상기 탄성 스프링 요소는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를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치아 교정용 브래킷{ORTHODONTIC BRACKET}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7월 19일자 출원되고 그 전체가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 미국 가출원 제62/876,127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출원은 개괄적으로 치과용 치아 교정 브래킷, 특히 힌지형 커버를 갖는 치아 교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오정렬된 치아는 사람의 치아 외관, 기능 및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치아 교정 조정의 목표는 치아 기능과 외관을 개선시키는 올바른 위치 또는 배향으로 치아를 이동시키기 위해 기계적 힘을 가하는 기구를 사용하여 치아를 적절한 정렬 상태로 만드는 것이다.
종래의 브레이스(brace)는 치아에 교정력을 유도하기 위해 아치와이어(archwire) 및 브래킷을 사용한다. 아치와이어는 미리 성형되어, 치아 표면에 부착된 브래킷을 통해 치아를 상호 연결한다. 처음 설치시, 아치와이어는 오정렬된 치아를 수용하기 위해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아치와이어는 탄성적이며 브래킷을 통해 치아에 힘을 가하여 치아가 사전 성형된 형태의 아치와이어와 정렬되게 한다. 아치와이어는 치아에 지속적인 힘을 가하여 치아를 최종 위치로 유도한다. 전통적인 와이어는 결찰사(ligature)를 사용하여 브래킷에 고정되고 강한 힘이 치아에 전달된다. 자체-결찰(self-ligating) 브래킷에 의해, 아치와이어는 아치와이어 슬롯 내에서 더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으므로 환자에 대한 압력과 불편함을 줄이면서 교정 치아 이동을 획득할 수 있다.
종래의 자체-결찰 브래킷은 베이스에 부착된 브래킷 본체로 구성된다. 아치와이어 슬롯은 브래킷 본체를 가로질러 치은과 교합 결합 윙 사이에서 근심(近心)에서 말단으로 연장된다. 아치와이어 슬롯은 아치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해 베이스와 반대 방향으로 가장자리 방향으로 개방된다. 브래킷은 아치와이어를 개방 위치에 배치 및 제거할 수 있게 하고 아치와이어 슬롯 내의 아치와이어를 폐쇄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제자리에 고정시키도록 활주 또는 스윙되는 고정 커버를 추가로 포함한다. 종래 기술은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도록 설계된 다양한 고정 커버를 개시한다.
자체-결찰 브래킷에 의한 아치와이어의 설치는 고정 커버의 개폐를 조작하도록 설계된 특수 도구를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아치와이어의 배치 및 제거는 혼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환자가 아닌 다른 사람(예, 치과 의사)에 의해 수행된다. 이러한 조작은 특히 설측(ligual) 브래킷의 경우 어려울 수 있다. 고정 커버의 구조는 브래킷 본체에 추가의 모서리와 돌출부를 도입하여 환자에게 더 많은 불편을 야기한다.
종래 기술인 미국 특허 제7,674,110호에서, Oda는 회전축에 대해 동일 선상이 아닌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힌지형 커버가 있는 자체-결찰 브래킷을 개시하였다. 힌지 핀은 일부가 휘어져서 커버가 브래킷 본체와 고정되게 하고 커버를 폐쇄 위치에서 해제하도록 고정 해제되게 한다. 힌지 구멍은 휘어진 핀 부분이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다른 선행 기술인 미국 특허 제7,695,277호에서 Stevens는 브래킷 본체의 빈 공간 내에서 수직 또는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힌지 핀이 있는 힌지형 커버를 갖춘 자체-결찰 브래킷을 개시하였다. 힌지 핀의 이동에 의해 힌지형 커버는 제자리에 고정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질의 커버가 단단한 베이스의 고정부에 걸릴정도로 충분히 편향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래칭 메커니즘을 활성화하는 데 별도의 구성 요소로서 스프링 요소가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유연한 핀과 힌지 구멍 공간만으로는 특히 개방 위치에서 커버가 불안정해질 수 있으며, 커버가 부주의하게 폐쇄되거나 너무 넓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특징부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커버를 파손시킬 수 있는 예측할 수 없는 작업자의 동작으로 인한 염려의 원인이 된다. 또한, 양자의 설계는 모드 다수의 돌출부와 고르지 않은 표면을 포함하고 있어서 환자의 불편함을 유발한다. 종래 기술에 비해 몇 가지 개선된 새로운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과용으로 더 양호한 치아 교정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종래 제품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체, 커버 및 탄성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브래킷을 제공한다. 본체는 아치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아치와이어 슬롯을 포함한다. 커버는 본체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커버는 아치와이어 슬롯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 위치와 아치와이어 슬롯을 폐쇄하기 위한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탄성 스프링 요소는 본체에 배치되고, 커버 및 본체에 결합되고, 커버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체는 구멍을 가지며, 커버는 구멍 내에 갇히는 힌지 핀을 가지며, 구멍은 구멍의 장축을 따른 힌지 핀의 병진 이동을 허용하고 힌지 핀의 핀축을 중심으로 한 힌지 핀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힌지 핀은 구멍의 제1 단부로부터 구멍의 제2 단부 - 구멍의 제2 단부는 제1 단부보다 아치와이어 슬롯으로부터 더 멀리 있음 - 까지 이동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는 추가로 돌출부를 구비하고, 본체는 오목한 슬롯을 추가로 구비하며,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돌출부는 오목한 슬롯과 맞물리고, 탄성 스프링 요소는 탄성 위치 에너지를 저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는 돌출부가 오목한 슬롯으로부터 분리될 때 분리된 위치에 있다. 힌지 핀이 구멍의 장축을 따라 구멍의 제1 단부로부터 구멍의 제2 단부 측으로 이동되고 돌출부가 오목한 슬롯으로부터 분리되면, 탄성 스프링 요소의 탄성 위치 에너지가 방출되어 커버를 분리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회전시키는 힘을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탄성 스프링 요소는 힌지 핀과 커버 사이에 배치된 판 스프링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탄성 스프링 요소는 힌지 핀 주위로 감겨진 토션 스프링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는 힌지 핀에 연결된 연결부를 가지며,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구멍은 연결부에 의해 덮인다.
일부 실시예에서, 아치와이어 슬롯은 서로 연결되는 측벽 및 전향(轉向) 벽을 구비하며, 전향 벽은 구멍의 측벽 및 구멍의 장축에 대해 경사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향 벽은 구멍의 장축에 대해 경사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향 벽은 아치와이어를 제1 출구 방향에서 제2 출구 방향으로 이동되게 안내하고, 제1 출구 방향은 제2 출구 방향과 평행하지 않다.
일부 실시예에서, 아치와이어 슬롯은 측벽 및 전향 벽을 구비하고, 측벽은 전향 벽에 연결되고, 전향 벽은 측벽에 대해 경사진다. 측벽은 아치와이어를 제1 출구 방향으로 이동되게 안내하고, 전향 벽은 아치와이어를 제1 출구 방향으로부터 제2 출구 방향으로 이동되게 안내하고, 제1 출구 방향은 제2 출구 방향과 평행하지 않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는 만곡부를 가지는 커버 벽을 구비하고, 커버 벽은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아치와이어 슬롯을 폐쇄한다.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만곡부는 아치와이어를 전향 벽 측으로 안내 방향으로 이동되게 안내하고, 아치와이어는 전향 벽과 커버 벽에 의해 차단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 벽은 만곡부에 연결된 평탄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만곡부가 아치와이어를 안내 방향으로 이동되게 안내할 때, 아치와이어는 전향 벽과 커버 벽의 평탄부에 의해 차단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고 아치와이어의 푸싱력이 전향 벽 및 커버 벽에 대해 유도될 때, 커버 벽에 대해 유도된 푸싱력은 돌출부를 오목한 슬롯의 벽에 대해 푸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체 및 커버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브래킷을 제공한다. 본체는 아치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아치와이어 슬롯을 포함한다. 커버는 본체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커버는 본체의 구멍 내에 갇혀진 힌지 핀을 포함하며, 구멍은 힌지 핀의 이동 방향을 따른 병진 이동을 허용하고 힌지 핀의 핀축을 중심으로 한 힌지 핀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아치와이어 슬롯은 제1 출구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 및 제1 출구 방향으로 경사진 전향 벽을 구비한다. 전향 벽은 아치와이어로부터의 힘을 제1 출구 방향과 다른 제2 출구 방향으로 방향 전환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커버는 아치와이어 슬롯 내에서 아치와이어의 이동으로 인해 제1 출구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향 벽은 만곡된 구조를 가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체는 오목한 슬롯을 추가로 포함하고, 커버는 오목한 슬롯과 맞물릴 수 있는 돌출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힌지 핀의 이동 방향을 따른 병진 이동은 오목한 슬롯에 대한 맞물림 및 분리를 가능케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아치와이어 슬롯은 제1 출구 방향 및 제2 출구 방향에 수직한 연장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체는 후방부를 가지며,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후방부는 커버가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제한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예를 파악하는 것으로 더 완전히 이해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치아 교정 브래킷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치아 교정용 브래킷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치아 교정용 브래킷 - 치아 교정용 브래킷은 폐쇄 상태에 있음 - 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분리된 상태의 치아 교정용 브래킷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개방 상태의 치아 교정용 브래킷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아치와이어의 이동이 발생할 때 전향 벽에 의해 안내되는 아치와이어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아치와이어의 이동이 발생할 때 커버 벽의 만곡부에 의해 안내되는 아치와이어의 다른 상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전향 벽과 커버 벽에 의해 차단된 다른 유형의 아치와이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치아 교정 브래킷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치아 교정 브래킷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치아 교정 브래킷의 개략도이다.
치아 교정용 브래킷의 실시예의 구성 및 사용을 아래에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는 매우 다양한 특정 상황에서 구현될 수 있는 다수의 적용 가능한 창의적 개념을 제공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논의되는 특정 실시예는 실시예를 구성하고 사용하는 특정 방식을 단지 예시하는 것이며,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되는 각 용어는 본 개시 내용의 상대적인 기술과 배경 또는 맥락에 부합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화되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방식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치과용 치아 교정 브래킷(100)을 나타내는 개략도인 도 1을 참조한다. 치아 교정용 브래킷(100)은 예를 들어, 환자의 윗니 또는 아랫니의 내측 또는 외측에 장착될 수 있다. 연장 방향(DL)으로 연장되는 아치와이어(L)는 치아에 교정력을 유도하는 치아 교정용 브래킷(100)의 아치와이어 슬롯(P)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치아 교정용 브래킷(100)은 본딩 접착제를 사용하여 치아(예, 상부 송곳니)의 설측 표면에 본딩된다. 치아 교정용 브래킷(100)의 구조를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며, 여기서 도 2는 도 1의 치아 교정용 브래킷(100)의 분해도이다. 치아 교정용 브래킷(100)은 본체(10), 커버(20) 및 탄성 스프링 요소(SE)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치아에 부착 또는 고착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부분(B)을 포함한다. 커버(20)는 힌지 핀(21)을 통해 본체(10)에 배치되어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본체(10)에 대해 이동 및 회전 가능하므로, 치아 교정용 브래킷(100)은 폐쇄 상태(도 3)와 개방 상태(도 5)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치아 교정용 브래킷(100)이 폐쇄 상태(도 3)에 있을 때, 커버(20)는 폐쇄 위치에 있고; 치아 교정용 브래킷(100)이 개방 상태(도 5)에 있을 때, 커버(20)는 개방 위치에 있다. 커버(20)는 본체(10)의 아치와이어 슬롯(P)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 위치와 아치와이어 슬롯(P)을 가리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힌지 핀(21)은 본체(10)의 구멍(G) 내에 배치되며, 커버(20)의 연결부(22)로부터 돌출되거나 이를 관통한다. 도 3-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힌지 핀(21)은 구멍(G) 내에 갇혀 있으며, 여기서 구멍(G)은 구멍(G)의 장축을 따라 힌지 핀(21)의 병진 이동을 허용하고 힌지 핀(21)의 핀축(21C)을 중심으로 한 힌지 핀(21)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22)는 본체(10)의 공동 내부에 끼워진다. 치아 교정용 브래킷(100)이 폐쇄 상태(도 3)에 있을 때, 연결부(22)가 구멍(G)과 중첩되거나 구멍(G)이 연결부(22)에 의해 덮여져서 이물질이 치아 교정용 브래킷(100)의 내부 공동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20)의 본체, 힌지 핀(21) 및 연결부(2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일체로 형성되며, 힌지 핀(21)은 구멍(G)에 수용되는 커버(20)의 힌지 부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힌지 핀(21)은 커버(20)의 연결부(22)를 통과하는 독립적인 부재일 수 있고, 커버(20)는 힌지 핀(21)을 통해 본체(10)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유연성을 가져서, 커버가 브래킷의 본체에 대해 결합 및 분리될 때,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종래 기술의 힌지 핀과 달리, 본 발명의 힌지 핀(21)은 구조가 견고하거나, 커버(20)의 연결부(22)에 의해 견고한 형태로 유지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커버(20)는 그 전방 단부에 본체(10)의 오목한 슬롯(11)에 끼워지는 돌출부(23)를 가진다. 또한, 커버(20)는 상부 측에 리세스(또는 개방 구멍)(RE)를 가지고 있어서 작업자는 커버(20)를 쉽게 조작하여 돌출부(23)를 오목한 슬롯(11)에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개방 도구를 사용하여 리세스(RE)에 삽입하고 리세스(RE)의 윤곽을 따라 브래킷의 커버(20)를 회전시키면서 돌출부(23)를 오목한 슬롯(11)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커버(20)는 분리력을 도입하지 않고도 본체(1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탄성 스프링 요소(SE)는 오목한 슬롯(11)이 위치된 다른 단부(제2 단부)에 대향하는 본체(10)의 일단(제1 단부)에 위치된다. 탄성 스프링 요소(SE)는 본체(10)와 커버(20) 사이에 위치되고, 커버(20) 및 본체(10)에 결합(접촉 또는 밀착)되며, 커버(20)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탄성력이 해제되면, 탄성 스프링 요소(SE)는 커버(10)를 개방 위치로 푸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탄성 스프링 요소(SE)는 니켈 티타늄 합금으로 제조된 초탄성 박판일 수 있다.
커버(20)의 개폐를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하는 치아 교정용 브래킷(100)을 예시하는 데, 여기서 도 3은 폐쇄 상태의 치아 교정용 브래킷(100) 또는 폐쇄 위치(또는 결합 위치)의 커버(20)를 예시하고, 도 4는 분리된 위치의 커버를 예시하며, 도 5는 개방 상태의 치아 교정용 브래킷(100) 또는 개방 위치의 커버(20)를 예시한다.
치아 교정용 브래킷(100)을 개방하여야 하는 경우[예, 아치와이어(L)를 설치 또는 제거하기 위해], 작업자는 커버(20)를 본체(10)와의 결합으로부터 멀어지게 밀어내거나 슬라이드시키는 힘을 가할 수 있다. 커버(20)는 구멍(G)의 장축을 따라 병진 방향(D1)(이동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일단 커버(20)의 전단에 있는 돌출부(23)가 본체(10)의 오목한 슬롯(11)으로부터 분리되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탄성 스프링 요소(SE)의 복원력이 커버(20)를 푸싱하여 개방함으로써(도 5), 작업자의 추가 동작없이 커버(20)의 추가적인 병진 및 회전이 행해진다. 이것은 작업자가 우연히 커버(20)를 과도하게 당기거나 푸싱하는 것을 방지한다. 탄성 스프링 요소(SE)에 저장된 위치 에너지가 방출되어 커버에 대해 자동 개방 동작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힌지 핀(21)이 구멍(G) 내의 중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커버(20)를 슬라이딩하는 것은 커버(20)를 본체(10)와의 결합으로부터 해제하기에 충분하다.
탄성 스프링 요소(SE)의 탄성력의 작용에 따라 탄성 복원력에 의해 커버(20)가 자동으로 개방 위치로 푸싱됨으로써 커버(20)의 회전이 완료된다. 병진과 회전은 탄성 스프링 요소(SE)가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변하는 것에 따라 활성화되어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작업자는 커버(20)를 쉽게 조작하여 돌출부(23)를 오목한 슬롯(1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커버(20)를 폐쇄하기 위해, 작업자는 도 5에서 힘(F)을 가하는 것과 같이 커버(20)를 아래로 푸싱하여 커버(20) 선단의 돌출부(23)가 본체(10)의 오목한 슬롯(11)에 맞물릴 때까지 커버(20)를 회전 및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커버(20)가 폐쇄됨에 따라, 탄성 스프링 요소(SE)는 폐쇄되는 커버(20)에 의해 압축되어 탄성 위치 에너지가 저장된다.
폐쇄 상태에서는 탄성 스프링 요소(SE)가 압축(변형)되어 탄성 위치 에너지가 저장된다. 압축된 탄성 스프링 요소(SE)의 복원력은 커버(20)를 개방 회전시키는 작용을 하지만, 커버(20)는 커버(20)의 전단에 있는 돌출부(23)에 작용하는 오목한 슬롯(11)의 벽(11W)에 의해 차단된다. 커버(20)의 전단의 돌출부(23)는 본체(10)의 오목한 슬롯(11)과 맞물리고 탄성 스프링 요소(SE)의 작용에 의해 오목한 슬롯(11)의 벽(11W)에 대해 푸싱된다. 그 결과, 커버(20)와 브래킷(100)의 본체(10)의 결합이 강화된다.
커버(20)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힌지 핀(21)은 구멍(G)의 제1 단부(G1)로부터 제2 단부(G2)로 이동하고[제2 단부(G2)는 제1 단부(G1)보다 아치와이어 슬롯(P)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음], 탄성 스프링 요소(SE)는 커버(20)를 개방 위치에 유지하도록 커버(20)에 대해 푸싱하는 원래 형태로 복귀하려 한다. 커버(20)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탄성 스프링 요소(SE)는 커버(20)가 작업자의 조작없이 다시 폐쇄되는 것을 방지한다.
개방 상태에서, 본체(10)의 후방부(10R)는 커버(20)를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버(20)는 후방부(10R)와 접촉하므로 커버(20)의 과도한 회전이 회피될 수 있고, 커버(20)가 너무 많이 개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커버(20)의 개방을 제한하는 다른 방법은 커버(20)가 개방 위치로 병진 및 회전함에 따라 커버(20)의 연결부(22)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본체(10)의 내부 공동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아치와이어(L)는 아치와이어 슬롯(P)에 수용된다. 아치와이어 슬롯(P)은 베이스 벽(PW1), 측벽(PW2), 측벽(PW2') 및 전향 벽(W3)을 가진다. 초기 위치에서 아치와이어(L)는 베이스 벽(PW1) 및 측벽(PW2)과 연접한다.
교정 치료 중에, 환자의 치아에 다수의 치아 교정용 브래킷(100)이 본딩되고, 이들 치아 교정용 브래킷(100)을 통해 아치와이어(L)가 삽입된다. 직사각형 아치와이어(L)가 아치와이어 슬롯(P)의 벽 또는 커버(20)에 밀착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전향 벽(PW3)과 측벽(PW2)은 서로 연결된다. 측벽(PW2)은 제1 출구 방향(DE1)으로 연장되고, 전향 벽(PW3)은 제1 출구 방향(DE1)에 대해 경사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향 벽(PW3)은 또한 구멍(G)의 장축에 대해 경사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구멍(G)의 장축은 제1 출구 방향(DE1)에 평행하다.
아치와이어(L)가 L' 위치로 이동하면, 측벽(PW2)은 아치와이어(L)를 제1 출구 방향(DE1)으로 이동되게 안내하고, 전향 벽(PW3)은 아치와이어(L)를 제1 출구 방향(DE1)으로부터 해당 제1 출구 방향(DE1)과 평행하지 않은 상이한 제2 출구 방향(DE2)으로 이동되게 안내한다. 그러면, L' 위치의 아치와이어(L)는 커버(20)의 전향 벽(PW3), 측벽(PW2') 및 커버 벽(20W1)에 의해 차단된다. 다른 경우, 아치와이어(L)는 측벽(PW2')에 의해서도 차단될 수 있다.
다른 상황에서, 아치와이어(L)가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버 벽(20W1)의 만곡부(20W11)와 접촉하도록 이동 및 경사질 때, 만곡부(20W11)는 아치와이어(L)를 안내 방향(DG)을 따라 전향 벽(PW3) 측으로 이동되게 안내하고, 아치와이어(L)는 위치(L')에서 전향 벽(PW3)과 커버 벽(20W1)의 평탄부(20W12)에 의해 차단된다.
아치와이어(L)의 푸싱력은 전향 벽(PW3), 측벽(PW2') 및 커버 벽(20W1)에 대해 유도된다. 커버 벽(20W1)에 유도되는 힘은 커버(20)의 전단의 돌출부(23)를 오목한 슬롯(11)의 벽(11W)에 대해 푸싱하여 커버(20)와 본체(10)의 결합을 강화한다. 따라서, 교정 치료 중 아치와이어(L)의 이동에 의해 개방되는 커버(20)의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20)가 개방 위치(도 5)에 있을 때, 아치와이어(L)는 전향 벽(PW3) 및 아치와이어 슬롯(P)의 측벽(PW2 및 PW2')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따라 아치와이어 슬롯으로 진입될 수 있다. 유사하게, 아치와이어 슬롯(P) 내의 아치와이어(L)는 전향 벽(PW3)에서 전향하는 것에 의해 빠져나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브래킷(100)에 라운드 아치와이어(LL)가 제공된다. 직경이 0.014(또는 0.014 내지 0.016의 범위의 임의의 값) 인치인 라운드 아치와이어(LL)가 2개의 벽(20W1 및 PW3) 사이의 좁은 공간 내의 만곡된 전향 벽(PW3) 및 커버 벽(20W1)의 평탄부(20W12)에 의해 제1 출구 방향(DE1)으로 커버(20)에 대해 푸싱되는 것이 방지된다. 라운드 아치와이어(LL)는 커버(20)에 대해 제2 출구 방향(DE2)으로 푸싱력을 유도하며, 푸싱력은 커버(20)와 본체(10)의 결합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을 보여준다.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과 치아 교정용 브래킷(100)(도 1-도 2)의 가장 큰 차이점은 치아 교정용 브래킷(200)이 토션 스프링인 탄성 스프링 요소(ST)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토션 스프링(ST)은 힌지 핀(21) 주위에 감겨진다. 그 결과, 토션 스프링(ST)은 커버(20) 및 힌지 핀(21)과 함께 이동한다. 토션 스프링(ST)의 커버 연장부(ST1)는 커버(20)와 연접하고, 토션 스프링(ST)의 본체 연장부(ST2)는 본체(10)에 밀착된다.
커버(20)를 폐쇄하기 위해, 작업자는 커버(20)를 개방 위치에서 아래로 푸싱하여 커버(20)가 토션 스프링(ST)을 압축하게 한다. 토션 스프링(ST)에 대한 이러한 압착 동작은 또한 힌지 핀(21)이 폐쇄 위치로의 이동을 개시하게 한다. 본체(10)와 커버(20)는 모두 커버(20)의 개폐시 토션 스프링(ST)이 밀폐된 제한된 공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공동을 포함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브래킷(300)을 보여준다. 커버(20)는 탄성 스프링 요소(SE)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커버 벽(20W1)의 하부 제한부(20W13)을 포함한다. 폐쇄 위치의 탄성 스프링 요소(SE)는 커버(20)의 접촉면의 하강 제한부(20W13)(점선으로 강조 표시됨)로 인해 커버(20)에 의해 상당한 정도로 압축된다. 이러한 접촉면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탄성 스프링 요소(SE)는 커버(2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더 아래로 푸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한부(20W13)의 위치는 커버(20)와 본체(10) 사이의 계면(IF)의 위치보다 낮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브래킷(400)을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서 구멍(G)은 구멍(G)의 장축이 수평 방향이 되도록 제1 출구 방향(DE1)에 대해 소정 각도로 설치된다. 이 구성에서, 커버(20)의 외부면 측으로 연장되는 커버(20)의 내부 공동(CV) 내로 슬라이딩하는 탄성 스프링 요소(SE)에 의해 커버(20)가 이동 방향(D2)을 따라 이동할 때 커버(20)의 전단에 있는 돌출부(23)는 본체(10)의 오목한 슬롯(11)으로부터 분리된다. 커버(20)의 전단에 있는 돌출부(23)의 형상과 본체(10)의 오목한 슬롯(11)의 형상은 도 3과 다르다. 특히, 돌출부(23)의 연장 방향은 제1 출구 방향(DE1)으로 경사진다. 이동 방향(D2) 및 구멍(G)의 장축은 제1 출구 방향(DE1)에 대해 경사진다.
다양한 실시예의 특징은 본 개시 내용의 범위 내에 있는 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체, 커버 및 탄성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는 치과용 치아 교정용 브래킷을 제공한다. 본체는 아치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아치와이어 슬롯을 포함한다. 커버는 본체에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커버는 아치와이어 슬롯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 위치와 아치와이어 슬롯을 가리기 위한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탄성 스프링 요소는 본체에 배치되고, 커버 및 본체에 결합되고, 커버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체 및 커버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브래킷을 제공한다. 본체는 아치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아치와이어 슬롯을 포함한다. 커버는 본체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커버는 본체의 구멍 내에 갇혀진 힌지 핀을 포함하고, 구멍은 힌지 핀의 이동 방향을 따른 병진 이동을 허용하고 힌지 핀의 핀축을 중심으로 한 힌지 핀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아치와이어 슬롯은 제1 출구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측벽 및 제1 출구 방향으로 경사진 전향 벽을 포함한다. 전향 벽은 아치와이어로부터의 힘을 제1 출구 방향과 다른 제2 출구 방향으로 전향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커버는 아치와이어 슬롯 내에서 아치와이어의 이동에 의해 야기된 제1 출구 방향으로의 이동이 행해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의 장점 또는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진다. 탄성 스프링 요소와 힌지 이동의 설계로 인해 커버는 작업자의 최소한의 작업으로 쉽게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우연히 커버를 과도하게 당기거나 푸싱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전향 벽을 사용하면, 아치와이어의 이동으로 인한 푸싱력은 전향되어 커버와 브래킷의 본체의 결합을 강화하고 우발적인 커버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슬롯의 전향 벽 및 폐쇄 위치에서 커버 유지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탄성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슬라이드-회전 힌지 이동을 이용한다. 커버는 개폐 동작이 용이하다. 탄성 요소는 개방 위치의 커버가 우연히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고, 본체의 설계는 개방하는 커버가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모든 외부 표면이 고르고 평탄하며, 치료 중 환자의 편안함과 위생을 개선하기 위해 구멍은 덮여있다.
청구범위 요소를 수정하기 위해 청구범위에 "제1", "제2", "제3" 등과 같은 서수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그 자체로 방법의 동작이 수행되는 다른 또는 시간적 순서에 대한 하나의 청구범위 요소의 우선 순위, 선행성 또는 순서를 의미하지 않지만, 특정 명칭의 하나의 청구범위 요소를 동일한 명칭의 다른 요소와 구별하여(서수 용어의 사용을 위해) 청구범위 요소를 구별하기 위한 라벨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분명할 것이다. 기준 및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개시된 실시예의 진정한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지정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14)

  1. 치아 교정용 브래킷으로서:
    아치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아치와이어 슬롯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아치와이어 슬롯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 위치와 상기 아치와이어 슬롯을 가리기 위한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커버;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탄성 스프링 요소
    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브래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구멍 내에 갇혀진 힌지 핀을 포함하며, 상기 구멍은, 상기 구멍의 장축을 따른 상기 힌지 핀의 병진 이동을 하용하고, 상기 힌지 핀의 핀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힌지 핀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것인 치아 교정용 브래킷.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힌지 핀은 상기 구멍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단부보다 상기 아치와이어 슬롯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상기 구멍의 제2 단부로 이동하는 것인 치아 교정용 브래킷.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오목한 슬롯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오목한 슬롯과 결합하고, 상기 탄성 스프링 요소는 탄성 위치 에너지를 저장하는 것인 치아 교정용 브래킷.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핀이 상기 구멍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구멍의 제2 단부를 향해 상기 구멍의 장축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오목한 슬롯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커버는 분리된 위치에 있고, 상기 분리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상기 커버를 회전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탄성 스프링 요소의 탄성 위치 에너지가 해제되는 것인 치아 교정용 브래킷.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프링 요소는 상기 힌지 핀과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된 판 스프링인 것인 치아 교정용 브래킷.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프링 요소는 상기 힌지 핀 주위에 감겨지는 토션 스프링인 것인 치아 교정용 브래킷.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힌지 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구멍은 상기 연결부에 의해 덮이는 것인 치아 교정용 브래킷.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와이어 슬롯은 서로 연결되는 측벽과 전향(轉向)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전향 벽은 상기 측벽에 대해 경사지며, 상기 측벽은 상기 아치와이어를 제1 출구 방향으로 이동되게 안내하고, 상기 전향 벽은 상기 아치와이어를 상기 제1 출구 방향으로부터 제2 출구 방향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며, 상기 제1 출구 방향은 상기 제2 출구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것인 치아 교정용 브래킷.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만곡부를 가지는 커버 벽과, 상기 만곡부에 연결되는 평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만곡부는 상기 아치와이어를 상기 전향 벽을 향해 안내 방향으로 이동되게 안내하고, 상기 아치와이어는 상기 전향 벽과 상기 커버 벽의 평탄부에 의해 차단되는 것인 치아 교정용 브래킷.
  11. 치아 교정용 브래킷으로서:
    아치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아치와이어 슬롯을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구멍 내에 갇혀진 힌지 핀을 포함하는 커버 - 상기 구멍은, 상기 힌지 핀의 이동 방향을 따른 병진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힌지 핀의 핀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힌지 핀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고,
    상기 아치와이어 슬롯은:
    제1 출구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 및
    상기 측벽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출구 방향으로 경사진 전향 벽 - 상기 전향 벽은, 상기 아치와이어로부터의 힘을 상기 제1 출구 방향과 다른 제2 출구 방향으로 전향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커버는 상기 아치와이어 슬롯 내에서의 상기 아치와이어의 이동에 기인하여 상기 제1 출구 방향으로 이동하지는 않음 -
    을 포함하는 것인 치아 교정용 브래킷.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향 벽은 만곡된 구조를 가지는 것인 치아 교정용 브래킷.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오목한 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오목한 슬롯과 결합될 수 있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 방향을 따른 상기 힌지 핀의 병진 이동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오목한 슬롯의 결합 및 분리를 가능케 하는 것인 치아 교정용 브래킷.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후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후방부는 상기 커버가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인 치아 교정용 브래킷.
KR1020200089061A 2019-07-19 2020-07-17 치아 교정용 브래킷 KR102493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76127P 2019-07-19 2019-07-19
US62/876,127 2019-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836A true KR20210010836A (ko) 2021-01-28
KR102493734B1 KR102493734B1 (ko) 2023-01-31

Family

ID=71661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061A KR102493734B1 (ko) 2019-07-19 2020-07-17 치아 교정용 브래킷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571280B2 (ko)
EP (1) EP3766452B1 (ko)
JP (1) JP7142666B2 (ko)
KR (1) KR102493734B1 (ko)
CN (1) CN112237490B (ko)
CA (1) CA3087200C (ko)
TW (1) TWI78229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739B1 (ko) * 2021-07-20 2022-01-12 주식회사 월드바이오텍 치열교정 브라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66452B1 (en) * 2019-07-19 2023-11-22 Cheng-Hsiang Hung Orthodontic bracke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9582A1 (en) * 2001-09-12 2003-03-13 Norbert Abels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s that provide spring action from ligation cover to arch wire for dynamic active ligation
US20080241782A1 (en) * 2007-03-30 2008-10-02 Norbert Abels Two-part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having lateral guiding mechanism
EP2730250A1 (en) * 2012-11-08 2014-05-14 Ormco Corporation Orthodontic bracket having a biased slide member
KR101505053B1 (ko) * 2014-12-30 2015-03-30 주식회사 디덴탈 회전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
KR101538007B1 (ko) * 2015-04-15 2015-07-22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치열 교정용 브라켓
JP6105103B2 (ja) * 2010-09-10 2017-03-29 オルムコ コーポレイション 自己結紮型歯科矯正ブラケ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8740A (en) * 1972-05-05 1973-07-31 Consyne Corp Orthodontic bracket
US4698017A (en) * 1986-12-10 1987-10-06 Hanson Gustaf H Orthodontic brackets
DE4407100C2 (de) * 1994-03-03 1997-11-13 Wolfgang Dr Med Heiser Bracket für kieferorthopädische Behandlungen
DE10011596B4 (de) 2000-03-10 2007-12-27 Norbert Dr. Abels Orthodontisches Bracket
US6506049B2 (en) * 2000-09-20 2003-01-14 Augusta Developments Inc. Orthodontic brackets and convertible buccal tubes
US7695277B1 (en) 2004-10-28 2010-04-13 Rmo, Inc. Orthodontic bracket with frangible cover mechanism
US20050019718A1 (en) * 2003-07-22 2005-01-27 Hanson G. Herbert Orthodontic devices for use with arch wires
US7025591B1 (en) * 2003-10-09 2006-04-11 Tp Orthodontics, Inc. Self-ligating orthodontic appliance
US6964565B2 (en) * 2004-02-19 2005-11-15 Norbert Abels Two-part orthodontic bracket
US7674110B2 (en) 2006-03-23 2010-03-09 Ormco Corporation Low profile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s and methods of using such orthodontic brackets
DE102007062735B3 (de) * 2007-12-27 2009-07-09 Heiser, Wolfgang, Dr. med. habi. Selbstligierendes kieferorthopädisches Bracket
CN103108603B (zh) * 2010-09-17 2014-04-23 拓美株式会社 齿列矫正托架
CN102802556A (zh) * 2011-01-21 2012-11-28 广俊明 齿列矫正用支架
CN102772254B (zh) 2012-07-09 2015-04-29 北京圣玛特科技有限公司 一种工作翼上自带弹性圈锁扣的自锁托槽
CN103584923A (zh) 2012-08-15 2014-02-19 陈勇 一种口腔正畸用自锁托槽
CN103239296B (zh) * 2013-04-02 2015-11-25 王光良 一种牙用托槽
CN203252752U (zh) 2013-04-02 2013-10-30 王光良 医用托槽
KR101301886B1 (ko) * 2013-05-06 2013-08-29 김기수 치아교정용 클립장치
KR101350901B1 (ko) * 2013-10-07 2014-01-14 신수진 치아 교정용 브라켓
US10485636B2 (en) * 2017-09-27 2019-11-26 Cheng-Hsiang Hung Orthodontic bracket
EP3461453A1 (en) * 2017-09-28 2019-04-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 orthodontic bracket and an orthodontic appliance
CN210521127U (zh) 2019-07-15 2020-05-15 杭州朋武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牙齿正畸自锁托槽
CN112315600B (zh) 2019-07-17 2024-05-28 广州欧欧医疗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弓丝槽可变的正畸托槽
EP3766452B1 (en) * 2019-07-19 2023-11-22 Cheng-Hsiang Hung Orthodontic bracke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9582A1 (en) * 2001-09-12 2003-03-13 Norbert Abels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s that provide spring action from ligation cover to arch wire for dynamic active ligation
US20080241782A1 (en) * 2007-03-30 2008-10-02 Norbert Abels Two-part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having lateral guiding mechanism
JP6105103B2 (ja) * 2010-09-10 2017-03-29 オルムコ コーポレイション 自己結紮型歯科矯正ブラケット
EP2730250A1 (en) * 2012-11-08 2014-05-14 Ormco Corporation Orthodontic bracket having a biased slide member
KR101505053B1 (ko) * 2014-12-30 2015-03-30 주식회사 디덴탈 회전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
KR101538007B1 (ko) * 2015-04-15 2015-07-22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치열 교정용 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739B1 (ko) * 2021-07-20 2022-01-12 주식회사 월드바이오텍 치열교정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82296B (zh) 2022-11-01
JP2021016793A (ja) 2021-02-15
EP3766452C0 (en) 2023-11-22
CA3087200C (en) 2023-09-19
CN112237490A (zh) 2021-01-19
CN112237490B (zh) 2023-02-03
US20210015587A1 (en) 2021-01-21
US11571280B2 (en) 2023-02-07
CA3087200A1 (en) 2021-01-19
TW202103647A (zh) 2021-02-01
JP7142666B2 (ja) 2022-09-27
EP3766452B1 (en) 2023-11-22
EP3766452A1 (en) 2021-01-20
KR102493734B1 (ko)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8310B1 (en) Aesthetic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5474445A (en) Self-engaging twin edge-wise orthodontic bracket with pivotal latch
KR20190036507A (ko) 치아 교정용 브래킷
JP7164220B2 (ja) 歯科矯正用ブラケット
KR20210010836A (ko) 치아 교정용 브래킷
WO2005007011B1 (en) Orthodontic devices for use with arch wires
KR102062709B1 (ko)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
EP3600133B1 (en) Self-ligating bracket having a ligating member
JP2018516693A (ja) 自己結紮式ブラケット
EP2672923B1 (en) Orthodontic bracket
WO2014008831A1 (zh) 一种工作翼上自带弹性圈锁扣的自锁托槽
KR20210003589A (ko)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
CN216628766U (zh) 一种正畸器具
US20130045455A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with flexible ligating slide
US20170014207A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e and set comprising a plurality of such braces
JP7457729B2 (ja) 可動結紮ドアを有する歯列矯正ブラケット
EP3922208A1 (en) Orthodontic bracket
ES2841803T3 (es) Bracket ortodóncico auto-ligante con muelle coplanario
CN113648090A (zh) 一种牵引件易打开的正畸器具
KR102450201B1 (ko) 치과 교정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