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901B1 - 치아 교정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치아 교정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901B1
KR101350901B1 KR20130118998A KR20130118998A KR101350901B1 KR 101350901 B1 KR101350901 B1 KR 101350901B1 KR 20130118998 A KR20130118998 A KR 20130118998A KR 20130118998 A KR20130118998 A KR 20130118998A KR 101350901 B1 KR101350901 B1 KR 101350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lot
wire
type bracket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8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훈
신수진
Original Assignee
신수진
정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수진, 정규훈 filed Critical 신수진
Priority to KR20130118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901B1/ko
Priority to PCT/KR2014/009021 priority patent/WO20150534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Abstract

본 발명은 교정와이어(20)를 이용하여 치아(12)를 교정하는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교정와이어(20)의 지지를 위한 슬랏(30)이 하향각(41)으로 형성되는 A형브라켓(21); 및 상기 교정와이어(20)의 지지를 위한 슬랏(30)이 상향각(42)으로 형성되는 B형브라켓(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원가상승 요인을 배제하면서 시술에 요하는 시간을 절감하고 착용자의 이물감을 줄여 교정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치아 교정용 브라켓{Orthodontic bracket}
본 발명은 치아 교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기반으로 하면서 시술에 요하는 시간을 절감하고 착용자의 이물감을 줄이는 치아 교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열의 교정은 치아 교정용 브라켓을 치아에 부착하고 브라켓에 형성된 슬롯에 교정용 철사를 삽입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때, 브라켓의 교정용 철사가 끼워진 방향이 일정하므로 쉽게 이탈ㆍ분리되지 않도록 결찰용 철사 또는 고무로 브라켓에 결속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결찰용 철사 또는 고무에 의해 브라켓과 교정용 철사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차이의 이동에 지장을 초래한다.
이와 관련되어 참조할 수 있는 선행특허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945592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76996호 등이 알려져 있다.
전자의 선행특허는 몸체의 슬롯 한쪽에 형성된 슬라이드 면과 슬라이드 홈에 지지가 되어 상기 와이어 자가 결찰부재가 슬라이딩 되도록 하되 상기 와이어 자가 결찰부재는 한쪽에 교정용 훅(Hook) 기능을 겸하는 손잡이를 마련하고, 다른 쪽에는 상기 슬롯 안쪽 방향으로 굴곡져 탄성을 갖는 V자 모양의 고정부를 형성하여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교정용 와이어를 탄성 있게 눌러 자가 결찰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와이어의 고정을 확실하게 하면서 마찰은 최소한으로 줄이고 치아의 회전이동은 최대화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이에 의하면 교정용 철사가 슬롯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해 결찰부재를 형성하고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슬라이딩 홈의 구성이 필요하여 제작 형상이 복잡화되므로 공수 증가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결국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을 나타낸다.
후자의 선행특허는 마련된 부착판이 치아의 표면에 부착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횡측이 절개되어 교정용 와이어가 슬라이딩 되어 끼워지는 삽입홈이 마련되고, 상면에 곡선으로 이루어진 상판과 돌기가 형성된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며, 상면에 곡선으로 이루어진 상판과 돌기가 형성되고, 제1잠금수단에 의해 잠기거나 열리는 제1결찰체; 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환자가 느끼는 이물감을 최소화시키며,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이에 의하면 본체 상에서 결찰체가 슬라이딩과 회전하며 분리되는 맞물림 구조의 복잡성에 기인하여 제조에 따른 공수와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곤란하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945592호 "자가 결찰식 치열교정용 브라켓"(공개일자 : 2009. 7. 17.)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76996호 "회전식 결합형 자가결찰 치열교정 브라켓"(공개일자 : 2013. 7. 9.)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원가상승 요인을 배제하면서 시술에 요하는 시간을 절감하고 착용자의 이물감을 줄여 교정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치아 교정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정와이어를 이용하여 치아를 교정하는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교정와이어의 지지를 위한 슬랏이 하향각으로 형성되는 A형브라켓; 및 상기 교정와이어의 지지를 위한 슬랏이 상향각으로 형성되는 B형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A형브라켓과 B형브라켓의 슬랏은 교정와이어와 접하는 면에 0.1~1.0㎜ 범위의 라운드를 지니고, 입구에서 넓고 라운드로 형성되는 도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A형브라켓의 하향각은 슬랏의 외단에서 내단으로 접근할수록 베이스와의 높이가 동일 또는 축소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B형브라켓의 상향각은 슬랏의 외단에서 내단으로 접근할수록 베이스와의 높이가 동일 또는 증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A형브라켓과 B형브라켓은 교정 조건의 변동을 위해 슬롯을 지닌 라이너를 요홈 상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원가상승 요인을 배제하면서 시술에 요하는 시간을 절감하고 결찰용 철사 또는 고무줄을 배제하여 착용자의 이물감을 줄여 교정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의 슬랏 또는 요홈의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을 이용한 교정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의 정상 및 오류 시술을 비교하는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을 정면에서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교정와이어(20)를 이용하여 치아(12)를 교정하는 브라켓에 관하여 제안한다. 통상적으로 치아(12)의 치열을 교정하는 브라켓은 전후방으로 교정와이어(20)를 착탈하는 방식으로서 긴밀한 지지를 위해 결찰용 철사 또는 고무를 사용해야 한다. 반면 본 발명의 브라켓은 결찰용 철사 또는 고무의 사용을 배제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후방', '상측', '하측' 등의 방향은 브라켓을 치아(12)에 부착한 상태를 기준으로 구분한다.
한편, 교정와이어(20)는 자체적으로 탄성을 지니는 금속선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교정와이어(20)는 상ㆍ하악에 대응하도록 만곡을 지닌다.
본 발명은 크게 A형브라켓(21)과 B형브라켓(22)으로 구분되는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A형브라켓(21)은 상기 교정와이어(20)의 지지를 위한 슬랏(30)의 토크가 하향각(41)으로 형성되고, B형브라켓(22)은 상기 교정와이어(20)의 지지를 위한 슬랏(30)의 토크가 상향각(42)으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A형브라켓(21)와 B형브라켓(22)은 공히 치아(12)에 접합되는 베이스(23)를 구비하고, 베이스(23)는 성인 치아(12)의 평균적인 곡면으로 형성된다. 베이스(23)에서 연장되는 4개의 면을 측면이라 칭하고, 베이스(23)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노출되는 면을 전면이라 칭한다. A형브라켓(21)과 B형브라켓(22)의 구분은 후술하는 것처럼 치아(12)의 토크각과 연계되는 것으로 베이스(23)에 대한 슬롯(30)의 자세로 구분되고 시술된다. 슬롯(30)은 교정와이어(20)가 안착되어 탄성력을 작용하는 부분으로서 치수가 정형화된다.
이때, 상기 A형브라켓(21)과 B형브라켓(22)의 슬랏(30)은 교정와이어(20)와 접하는 면에 0.1~1.0㎜ 범위의 라운드를 지니고, 입구에서 넓고 라운드로 형성되는 도입홈(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교정와이어(20)가 슬롯(30)에 안착된 상태에서 탄성력이 작용하는 3면이 직각으로 형성되면 교정와이어(20)의 꺾임이 발생하여 변형이 초래될 수 있다. 이에 라운드 치수가 적어도 0.1㎜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나, 1.0㎜를 초과하면 교정와이어(20)의 안착이 불안정해진다. 도입홈(32)은 교정와이어(20)의 출입이 원활하도록 입구가 넓어지면서 라운드를 지니도록 형성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A형브라켓(21)의 하향각(41)은 슬랏(30)의 외단에서 내단으로 접근할수록 베이스(23)와의 높이가 동일 또는 축소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향각(41)은 A형브라켓(21)의 베이스(23)를 수평면에 놓을 때 도입홈(32)의 형태에 관계없이 교정와이어(20)가 슬롯(30)에 안착되는 자세로 결정한다. 즉, 슬롯(30)의 중심선이 내단으로 갈수록 베이스(23)와의 거리가 축소되어 하향각(41)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B형브라켓(22)의 상향각(42)은 슬랏(30)의 외단에서 내단으로 접근할수록 베이스(23)와의 높이가 동일 또는 증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형브라켓(22)의 상향각(42)은 전술한 A형브라켓(21)의 하향각(41)과 반대되는 형태이다. 즉, 슬롯(30)의 중심선이 내단으로 갈수록 베이스(23)와의 거리가 증가되어 상향각(42)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A형브라켓(21)의 하향각(41)과 B형브라켓(22)의 상향각(42)을 다르게 설정하면 교정와이어(20)의 탈착 용이성과 함께 결찰용 철사와 같은 별도의 보조적 수단 없이 긴밀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물론 슬랏(30)의 하향각(41)과 상향각(42)의 방향이 정반대이므로 각 치아(12)의 토크각에 따라 A형브라켓(21)과 B형브라켓(22)을 구분하여 사용해야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A형브라켓(21)과 B형브라켓(22)은 교정 조건의 변동을 위해 슬롯(30)을 지닌 라이너(25)를 요홈(26) 상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치아(12)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거나 교정와이어(20)를 다른 형태로 교체하는 경우 A형브라켓(21)과 B형브라켓(22)의 슬랏(30)을 변경하여 요홈(26)을 형성해야 한다. 이 경우 원하는 형태의 슬롯(30)을 지닌 라이너(25)를 요홈(26)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한다. 라이너(25)는 브라켓 본체에 비하여 다소 연질이면서 탄성이 높은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라이너(25)의 슬롯(30)은 폐쇄형 또는 개방형 중에서 선택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라이너(25)의 긴밀한 지지를 위하여 요홈(26) 상에 물림턱(35)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3은 라이너(25)가 없는 일반적인 브라켓(21)(22) 물론 라이너(25)를 지닌 브라켓(21)(22)에도 공히 적용된다. 도 3(a)는 슬롯(30)과 도입홈(32)만 구비하는 형태이고, 도 3(b) 및 (c)는 물림턱(35)을 추가적으로 더 구비하는 형태이다. 도 3(c)는 교정와이어(20) 또는 라이너(25)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요홈(26)의 각도를 변경한 예를 나타낸다. 물림턱(35)은 브라켓(21)(22)의 사출시 성형성을 저하시키므로 높이를 최소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도 3(d) 및 (e)는 도입홈(32)이 슬롯(30)과 동일선 상에 있지 않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 경우에도 하향각(41)과 상향각(42)은 도입홈(32)이 아닌 슬롯(30)의 자세로 결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브라켓(21)(22)은 구조적으로 간단함을 특징으로 하지만 소재절감과 미감을 위해 전면과 측면에 곡면이나 요홈을 구비할 수도 있다.
사용에 있어서, 도 5(a)(b)(c)는 A형브라켓(21)과 B형브라켓(22)을 이용한 상악 치아(12)의 교정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바, 도 5(a)의 중절치, 측절치, 견치,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는 도 5(b) 및 도 5(c)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인접한 치아(12)의 절단면(14)이 설정치 이상으로 어긋난 경우, 각각의 치아(12)의 중심에 A형브라켓(21)과 B형브라켓(22)을 조합하여 부착하고, 슬랏(30)을 이용하여 교정와이어(20)를 상하 방향에서 지그재그로 걸고 양단을 고정하면 시술이 완료된다. 이때, 각 치아(12)의 토크각을 고려하여 A형브라켓(21)과 B형브라켓(22)의 조합 및 교정와이어(20)의 상하 진입 방향이 결정된다. 교정와이어(20)는 지그재그로 부착된 A형브라켓(21)과 B형브라켓(22)의 슬랏(30)에 요동이 없는 긴밀한 상태로 지지된다. 설정된 기간이 경과하면 교정와이어(20)가 탄성력으로 복원되면서 치은(16) 상에서 치아(12)가 이동되어 가지런하게 배열된 상태를 이룬다.
도 6(a)는 치아(12)의 토크각에 대응하여 A형브라켓(21)을 정상적으로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6(b)는 A형브라켓(21)을 180˚ 돌려서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a)의 경우 교정와이어(20)가 정상위치에 삽입되는 기준선에 적합하게 부착되지만 도 6(b)의 경우 교정와이어(20)의 방향이 기준선에서 심하게 어긋나므로 치열의 교정이 실패하게 된다.
한편, 도 7에서, 본 발명의 브라켓(21)(22)의 슬롯(30)은 하향각(41)과 상향각(42) 외에 치아 배열선 또는 교정와이어(20)의 만곡에 대응하는 곡률반경(R)을 지닌 곡면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보조적 수단이 없어도 교번하여 이웃하는 A형브라켓(21)과 B형브라켓(22)의 슬랏(30)에 의한 교정와이어(20)의 결속력과 지지력이 확보되므로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브라켓의 제조원가를 낮추는 것은 물론 시술이 편리하고 결찰용 철사나 고무줄이 없이 전면을 매끈하게 유지하여 착용시 이물감을 완화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2: 치아 14: 절단면
16: 치은 20: 교정와이어
21: A형브라켓 22: B형브라켓
23: 베이스 25: 라이너
26: 요홈 30: 슬랏
32: 도입홈 35: 물림턱
41: 하향각 42: 상향각

Claims (5)

  1. 교정와이어(20)를 이용하여 치아(12)를 교정하는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교정와이어(20)의 지지를 위한 슬랏(30)이 하향각(41)으로 형성되는 A형브라켓(21); 및
    상기 교정와이어(20)의 지지를 위한 슬랏(30)이 상향각(42)으로 형성되는 B형브라켓(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A형브라켓(21)의 하향각(41)은 슬랏(30)의 외단에서 내단으로 접근할수록 베이스(23)와의 높이가 동일 또는 축소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B형브라켓(22)의 상향각(42)은 슬랏(30)의 외단에서 내단으로 접근할수록 베이스(23)와의 높이가 동일 또는 증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브라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형브라켓(21)과 B형브라켓(22)의 슬랏(30)은 교정와이어(20)와 접하는 면에 0.1~1.0㎜ 범위의 라운드를 지니고, 입구에서 넓고 라운드로 형성되는 도입홈(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브라켓.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형브라켓(21)과 B형브라켓(22)은 교정 조건의 변동을 위해 슬롯(30)을 지닌 라이너(25)를 요홈(26) 상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브라켓.
KR20130118998A 2013-10-07 2013-10-07 치아 교정용 브라켓 KR101350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8998A KR101350901B1 (ko) 2013-10-07 2013-10-07 치아 교정용 브라켓
PCT/KR2014/009021 WO2015053498A1 (ko) 2013-10-07 2014-09-26 치아 교정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8998A KR101350901B1 (ko) 2013-10-07 2013-10-07 치아 교정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0901B1 true KR101350901B1 (ko) 2014-01-14

Family

ID=50145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8998A KR101350901B1 (ko) 2013-10-07 2013-10-07 치아 교정용 브라켓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50901B1 (ko)
WO (1) WO201505349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9273A1 (ko) * 2014-06-27 2015-12-30 이종호 자가 결찰형 슬롯을 구비한 치아교정용 브라켓
KR20160050900A (ko) 2014-10-31 2016-05-11 주식회사 월드바이오텍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
KR20160068419A (ko) * 2014-12-05 2016-06-15 (주)스타덴텍코리아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
KR101644911B1 (ko) 2015-04-08 2016-08-02 강믿음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66452B1 (en) * 2019-07-19 2023-11-22 Cheng-Hsiang Hung Orthodontic bracke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807Y1 (ko) * 2004-10-29 2005-01-21 김왕식 치아 교정기
US7063531B2 (en) 2004-07-16 2006-06-20 Rolf Maijer Orthodontic bracket system
US8057226B2 (en) 2002-02-13 2011-11-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stomized orthodontic bracket system
JP2012095994A (ja) 2010-10-07 2012-05-24 Toshiaki Ko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38758A1 (en) * 2004-06-11 2008-06-12 Clemens Fricke Bracke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7226B2 (en) 2002-02-13 2011-11-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stomized orthodontic bracket system
US7063531B2 (en) 2004-07-16 2006-06-20 Rolf Maijer Orthodontic bracket system
KR200373807Y1 (ko) * 2004-10-29 2005-01-21 김왕식 치아 교정기
JP2012095994A (ja) 2010-10-07 2012-05-24 Toshiaki Ko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9273A1 (ko) * 2014-06-27 2015-12-30 이종호 자가 결찰형 슬롯을 구비한 치아교정용 브라켓
KR20160050900A (ko) 2014-10-31 2016-05-11 주식회사 월드바이오텍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
KR20160068419A (ko) * 2014-12-05 2016-06-15 (주)스타덴텍코리아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
KR101648419B1 (ko) 2014-12-05 2016-08-16 (주)스타덴텍코리아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
KR101644911B1 (ko) 2015-04-08 2016-08-02 강믿음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53498A1 (ko)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0901B1 (ko) 치아 교정용 브라켓
US9566134B2 (en) Orthodontic applicance with radiused wire slot
KR100805752B1 (ko) 치아 교정기
US9339353B2 (en) Active self-ligating bracket
EP3478215B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4479779A (en) Orthodontic arch wire
US7857618B2 (en) Orthodontic bracket including mechanism for reducing slot width for early torque control
US20170100215A1 (en) Orthodontic assembly
US20160235502A1 (en) Low Profile Bracket with Elastomeric Chain
JPH0371896B2 (ko)
KR101658318B1 (ko) 가변 단면구조를 갖는 치아교정 호선
WO2005096984A2 (en) Self-ligating lingual orthodontic bracket
JP6736614B2 (ja) 歯列矯正装置
US20140272750A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appliance
US10105193B2 (en) Orthodontic bracket
JP2020511266A (ja) 結紮部材を備えた自己結紮ブラケット
US20080038683A1 (en) Orthodontic Bracket
JP5542516B2 (j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US20160310241A1 (en) Orthodontic Bracket
KR101888990B1 (ko) 치아교정기 및 치아교정 어셈블리
CN219323506U (zh) 切牙矫治用组合曲矫治器
JP3133861U (j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KR101366038B1 (ko) 자가 결찰 브래킷
KR101131171B1 (ko) 설측 치아 교정장치
US20160310238A1 (en) Orthodontic Treatment Br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