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5752B1 - 치아 교정기 - Google Patents

치아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5752B1
KR100805752B1 KR1020060107935A KR20060107935A KR100805752B1 KR 100805752 B1 KR100805752 B1 KR 100805752B1 KR 1020060107935 A KR1020060107935 A KR 1020060107935A KR 20060107935 A KR20060107935 A KR 20060107935A KR 100805752 B1 KR100805752 B1 KR 100805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hook
bracket
orthodontic
bra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7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경
Original Assignee
김옥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경 filed Critical 김옥경
Priority to PCT/KR2007/00433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8030061A1/en
Priority to CN2007800333262A priority patent/CN101511299B/zh
Priority to EP07808128A priority patent/EP2068750A4/en
Priority to JP2009527303A priority patent/JP2010502356A/ja
Priority to US12/440,056 priority patent/US20100178628A1/en
Priority to TW96141134A priority patent/TW200835468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5Lingual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Abstract

치아를 바로 잡아 정렬시키면서 특히, 치아가 편심적으로 교정되는 것을 방지한 치아 교정기가 제공된다.
상기 치아 교정기는, 교정 대상의 치아에 부착되는 치아 부착수단 및, 상기 치아 부착수단에 구비되고, 치아 교정을 위한 견인수단의 연결점(P)이 치아의 저항 중심점(Center of Resistance) 부근에 위치되는 훅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치아 부착수단과, 이에 구비되고, 치아 교정을 위한 견인수단의 연결점(P)이 적어도 잇몸 근처에 위치되는 훅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브라켓트 또는 버튼 등의 치아 부착수단과 이에 연결되는 견인수단의 견인라인이 거의 수평을 유지하여 치아가 기울어지는 편심현상 없이 효과적으로 교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치아 교정기, 브라켓트, 훅크수단, 앵커, 견인와이어

Description

치아 교정기{Orthodontic Device}
도 1은 종래 치아 교정기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치아 교정기 시술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종래 치아 교정기의 사용시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트를 이용한 치아 교정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훅크수단을 브라켓트의 날개에 형성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
(b)는 훅크수단을 브라켓트 몸체에 형성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다른 형태의 견인수단을 이용한 도 4의 치아 교정기 시술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치아 교정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인 치아 교정기의 훅크수단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c는 브라켓트를 이용한 치아 교정기의 훅크수단 변형예들을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브라켓트를 이용한 본 발명의 치아 교정기의 훅크수단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10a 및 도 10b는 브라켓트를 이용한 본 발명 치아 교정기의 훅크수단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외부 노출이 않되는 설측 브라켓트를 도시한 정면도 및 설치상태도
도 12는 버튼을 이용한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기의 시술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a 및 도 13b는 도 11의 치아 교정기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14a 및 도 14b는 도 12의 치아 교정기 변혀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15a 내지 도 15c는 버튼을 이용한 치아 교정기의 훅크수단 변형예들을 도시한 개략도
도 16은 버튼을 이용한 본 발명의 치아 교정기의 훅크수단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17a 및 도 17b는 버튼을 이용한 본 발명 치아 교정기의 훅크수단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8은 브라켓트와 버튼의 혼합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a 및 19b는 브라켓트와 버튼의 훅크수단을 봉(철사)으로 구성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0.... 치아 교정기(브라켓트, 버튼)
10.... 치아 부착수단(브라켓트 몸체
20.... 교정와이어 30.... 바인더
40.... 바인더 체결용 날개 50,150.... 훅크수단
52,152.... 걸이홈 60,160.... 앵커
70,170.... 견인수단 110.... 버튼몸체
본 발명은 치아를 바로 잡아 정렬시키는 치아 교정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치아에 부착되는 치아 부착수단인 교정용 브라켓트 또는 버튼에 구비된 훅크수단과 견인수단의 연결점 위치를 치아의 저항 중심점(center of resistance)부근이 되도록 하거나 적어도 잇몸 근처가 되도록 함으로써, 치아가 기울어지는 편심현상 없이 보다 효과적으로 교정되도록 한 치아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치아의 불균일한 치열 상태 또는 부정교합(치아의 물림이 맞지 않는 상태)나 안면돌출의 원인은 치아 자체의 발육이상, 턱뼈의 발육이상, 어릴 때 손가락을 빠는 등의 나쁜 습관, 나쁜 식습관 또는 유전 등으로 인해 치아 및 구강악 안면부위가 제자리에서 바르게 자라지 못하게 됨에서 기인한다.
이와 같은 치아의 불균일이나 부정교합 또는 돌출안모 등은 대인관계에 대해 소극적으로 대처하게 하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치아의 기본 기능인 음식물의 균일한 분쇄 기능도 저하시킨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치아에 지속적인 힘을 가하여 치아를 둘러싼 치조골의 개조와 함께 치아의 이동을 강제로 유도하는 치아 교정이 보편화되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브라켓트(bracket)로 통상 알려진 종래의 치아 교정기(200)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런데, 도 1의 치아 교정기(200)인 브라켓트는 외부로 노출되는 순측 브라켓트(labial bracket) 형태이다.
반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브라켓트를 설측 브라켓트(lingual bracket)이라 하는데, 다음에 설명하는 도 11을 참조하면 된다.
이와 같은 순측 또는 설측 브라켓트중 구강 관리가 어려운 아동이나 비대칭이 심한 경우에는 심미적인 면보다는 효율적인 면을 감안하여 순측 브라켓트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초기에는 주로 메탈 브라켓트을 사용하였으나, 근래에는 심미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세라믹이나 수지로 된 투명한 재질의 브라켓트들을 주로 사용하는 추세이다.
또한, 도 1에서 도시한 종래의 치아 교정기(200)인 브라켓트에서 치아에 부착되는 브라켓트 몸체(210)에는 치아간에 연계되는 교정와이어(220)가 삽입 단속되는 슬롯(홈)(slot)(212)이 형성되고, 상기 교정와이어(220)를 브라켓트 몸체(210)에 잡아주도록 하는 체결밴드 등의 바인더부재(230)가 체결되는 날개(tie wing) (240)들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슬롯(212)은 도 1과 같이 날개(240)사이에 형성되거나 브라켓트 몸체(210) 자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트 몸체(210)의 치아 부착면은 만곡되어 있다.
다음, 도 2와 같이, 종래 브라켓트의 치아 교정기(200)를 이용한 시술상태 살펴보면, 브라켓트 몸체(210)를 교정 대상 치아 예를 들어, 견치 등에 접착제 등으로 부착한다.
그리고, 교정용 와이어(220)를 브라켓트 슬롯(도 1의 212)에 끼운후, 바인더부재(230) 예를 들어, 밴드, 철사등으로 한쌍의 날개(240)들을 조합하는 형태로 체결하여 교정용 와이어를 브라켓트 몸체에 고정한다.
이때,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날개 대신에 커버부재를 슬롯상에 일체로 형성시키어 몸체상의 슬롯에 끼워진 교정용 와이어(220)를 덮어서 고정하는 다른 형태도 있다.
다음, 브라켓트의 날개에서 돌출된 돌기(250)에 턱뼈나 치조골에 심어 놓은 앵커(260) 예를 들어, 치조골이나 턱뼈에 심어진 미니 임플란트(스크류) 또는 플레이트 등의 앵커에 일단이 연결되는 견인수단(270)을 연결하여 치아를 당김으로서 교정이 이루어 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견인수단은 도 2와 같이, 견인와이어, 스프링 또는 탄성체인 등이 조합(다음의 도 5a 및 도 5b 참조)되어 사용될 수 있고, 미설명 부호인 T'는 '치근'이고, G 는 '잇몸'부위이다.
그러나,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견인수단(270)을 통하여 시술하는 종래 치아 교정기(200)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되었다.
예를 들어, 턱뼈나 치조골에 심어진 앵커(260)에 일단이 연결된 견인수단(270)이 브라켓트(210)의 돌기(250)에 경사지게(앵커 수평선을 기준으로 θ1만큼의 각도)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치아 교정시 앵커를 기준으로 견인수단의 브라켓트 연결각도가 과다하게 경사지기 때문에, 치아(T)는 F1의 당김력을 받게 된다.
결국, 치아(T)는 치근(T')과 같이 수평하게 당겨지지 않고 치아(T)는 θ2 만큼 기울어지려는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편심현상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종래의 견인수단(270)을 치아에 부착된 브라켓트의 치아 교정기(200)와 연결하여 치아를 교정하는 경우에는, 치아가 편심되게 당겨지기 때문에, 정상적인 치아 교정이 어려웠고, 그 교정기간도 길게 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치아 교정시 견인수단의 연결점 위치를 저항 중심점에 대응하거나 적어도 치근을 감안하여 잇몸 근처가 되도록 하여 치아와 치근이 편심현상없이 거의 수평하게 당겨지도록 하여 치아 교정성을 향상시키는 치아 교정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의 측면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일측면의 일 예로서 본 발명은, 교정 대상의 치아에 부착되는 치아 부착수단; 및,
상기 치아 부착수단에 구비되고, 치아 교정을 위한 견인수단의 연결점이 상기 치아의 저항 중심점(center of resistance) 부근에 위치되는 훅크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치아 교정기를 제공한다.
또한, 기술적인 일측면의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은, 교정 대상의 치아에 부착되는 치아 부착수단; 및,
상기 치아 부착수단에 구비되고, 치아 교정을 위한 견인수단의 연결점이 적어도 잇몸 근처에 위치되는 훅크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치아 교정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기술적인 일측면의 또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은, 교정 대상의 치아에 부착되는 치아 부착수단; 및,
상기 치아 부착수단에 구비되고, 치아 교정을 위한 견인수단의 연결점이 상기 치아의 저항 중심점에 대응하여 적어도 잇몸 근처에 위치되는 훅크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치아 교정기를 제공한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11에서는 본 발명의 치아 교정기(1)에서 치아 부착수단의 일예로 브라켓트를 도시하고 있고, 도 12 내지 도 17에서는 치아 교정기(100)에서 치아 부착수단의 다른 예로 버튼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18에서는 기존 브라켓트(도 1의 200)에 본 발명의 버튼을 혼합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1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 노출되나 교정성이나 시술이 편리한 순측 브라켓트의 치아 교정기(1)를 도시하고, 도 11에서는 심미성을 감안한 설측 브라켓트의 치아 교정기(1')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4a에서는 훅크수단(50)을 브라켓트 몸체(10)에 구비된 날개(40)에 형성시킨 브라켓트의 치아 교정기(1)를 도시하고 있고, 도 4b에서는 훅크수단(50)을 브라켓트 몸체(10)에 일체로 형성시킨 것을 도시하고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도 4a의 날개(40)에 훅크수단(50)을 일체로 형성시킨 브라켓트의 치아 교정기(1)를 토대로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날개(40)를 브라켓트 몸체(10)에 4개를 구비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하에 2개의 날개를 형성시킨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치아 교정기(1)는,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교정 대상의 치아에 부착되는 치아 부착수단인 브라켓트 및, 상기 브라켓트의 날개(40)중 하나에 일체로 구비되고, 견인수단(70)의 연결점(P)이 상기 치아의 저 항 중심점(center of resistance)(C.R) 부근에 위치되는 훅크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교정 대상 치아의 저항 중심점에 대응하지 않고 단지 교정대상의 치아(T)와 치근(T')의 전체 길이를 감안하여 그 중앙 부위가 되도록 상기 견인수단(70)과 훅크수단(50)의 연결점(P)을 적어도 잇몸(G) 근처가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때,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제 치아(T)의 저항 중심점(C.R) 부근이 치아(T)와 치근(T')의 전체 길이를 감안할때, 잇몸 근처가 되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하게는 훅크수단(50)과 견인수단(70)의 연결점(P)을 치아의 저항 중심점(C.R)에 대응하면서 잇몸 근처가 되도록 하는 것일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아 교정기(1)은 훅크수단(50)을 기존(도 3참조)과는 다르게 치아의 저항 중심점에 대응하여 잇몸 근처까지 길게 신장시키고 그 하단부에 견인수단(70)을 연결함으로써, 치아(T)와 치근(T')이 종래 도 3과 같이 기울어 지게 당겨지는 편심 없이 견인수단(70)과 앵커(60)의 견인라인을 기준으로 거의 수평하게 당겨지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치아 교정기(1)인 브라켓트와 훅크수단은 일체로 메탈, 세라믹 또는 수지(플라스틱)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치아 교정기(1)는 앵커(60) 예를 들어, 미니 스크류나 임플란트 및 플레이트 형태의 앵커에 연결되는 견인수단(70)을 연결하여 치아 교정을 시술하는 형태로, 주로 단독적인 치아(T) 예를 들어, 견치 등에 적용되지만, 반 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아 교정기(1)인 브라켓트에서 상기 브라켓트 몸체(10)는, 기본적으로 교정와이어(30)가 삽입되는 슬롯(12)을 구비하고, 상기 슬롯(12)에 삽입되는 교정와이어를 브라켓트 몸체(10)에 체결하는 바인더부재(30)가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인더 체결용 날개(tie wing)(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슬롯(12)은 실제로는 날개(40)사이의 공간에 해당하고, 상기 교정와이어(20)의 직경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슬롯(12)은 실제로는 브라켓트의 중앙선(도 6의 C)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런데, 앞에서 종래 기술에서도 기재한 바와 같이, 날개(40)를 갖는 치아 교정기의 브라켓트는 브라켓트의 일예를 도시하고 설명한 것일뿐, 반드시 날개를 구비하지 않는 형태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날개 대신에 일체로 된 커버(뚜껑)을 형성시키어 몸체부재(10)상에 구비시키고, 상기 커버를 몸체부재상의 슬롯(12)을 덮도록 하고 이 슬롯에 교정용 와이어(30)를 통과시킨후, 바인더부재(30)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다른 형태의 브라켓트도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커버를 구비하는 브라켓트의 경우에는 상기 커버의 단부에서 본 발명의 훅크수단(50)을 일체로 구비(신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브라켓트의 치아 교정기(1)를 대상으로 하는 본 실시예에서는 날개를 구비한 브라켓트를 토대로 설명한다.
다음, 도 5a 및 도 5b에서는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브라켓트의 치아 교정기(1)의 실제 시술형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도 5a와 도 5b는 견인수단의 형태에서만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서는 견인수단(70)을 견인와이어(72)와 스프링(74)을 조합하여 구성한 것을 도시하고 있고, 도 5b에서는 탄성체인(76)을 견인수단으로 사용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물론, 도 5a 및 도 5b에서의 견인수단들은 일예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견인와이어(72)는 철사 또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로 된 와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술시 교정와이어(20)를 브라켓트 몸체(10)의 슬롯(12)에 삽입하고 바인더(30)인 체결밴드를 날개(40)들에 체결하여 교정와이어(20)를 브라켓트 몸체(10)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교정와이어가 각각의 치아에 부착된 치아 부착수단인 브라켓트들을 연계시키면서 치열 전체의 교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본 발명인 브라켓트의 치아 교정기(1)에서, 상기 훅크수단(50)은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상기 브라켓트 몸체(10) 자체, 또는 브라켓트 몸체(10)에 구비되는 날개(40)들중 하나에서 소정길이로 신장되는 바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인 훅크수단(50)과 견인수단(70)의 연결점(P) 위치에 대하여 도 6을 토대로 상세하게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아 교정기(1)에서 상기 훅크수단(50)의 바아는 치아(T)의 저항 중심점(Center of Resistance)(C.R) 즉, 교정시 치아와 치근이 전체적으로 같이 당겨지는 중심점에 대응하여 적어도 그 부근까지 신장되고, 하단부에 견인수단(70)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이와 같은 치아의 저항 중심점(C.R)에 대하여는 관련 연구가 진행된바 있다.
예를 들어, 치아 교정 관련 저널의 1988,AJ0(American Journal of Orthodontics),Tanne(p337-345), 2002,AJO Schneider(p257-265) 등 에서 치아의 저항 중심점에 대하여 발표된 바 있는데, 이들을 종합하면 치아의 저항 중심점(C.R)은 치근(T')의 상단(도 6의 X-X선)을 기준으로 치근(T')의 전체 길이(H)의 24%(도 6의 d1선) ∼ 45%(도 6의 d2선) 범위(D)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도 6에서 치근(T')의 전체 길이를 'H'라 할때, 치아(T)의 저항 중심점(C.R)은 치근 상단(X-X선)에서 부터 0.24×H ∼ 0.45×H 범위가 된다.
이때, 이와 같이 치아의 저항 중심점(C.R)이 범위를 갖는 것은 사람마다 치근(T')의 형태에서 차이가 있고, 치조골에 지지되는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훅크수단(50)과 견인수단(70)의 연결점(P)을 상기 범위로 하면, 견인수단으로서 당겨지는 힘은 도 6에서 F2가 되고 결국, 치아(T)와 치근(T')이 같이 거의 수평하게 당겨지게 하는 것이다.
한편,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6에서 치아(T)가 견치(송곳니)인 경우, 통상 치근의 길이(H)는 13 ∼ 19mm 평균적으로는 16mm 로 알려져 있고, 따라서 이경우 치아의 저항 중심점 C.R은 치근 상단(도 6의 X-X선)에서 부터 (16 × 0.24 = ) 3.84 mm (d1) ∼ (16 × 0.45 = ) 7.2mm (d2)의 범위(D)가 된다.
즉, 본 발명의 훅크수단(50)은 적어도 상기 견인수단(70)의 연결점(P)이 치근의 길이가 16mm 인 경우, 3.84 mm ∼ 7.2 mm 의 범위(도 6의 'D')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범위는 치근의 평균 길이에 대한 것이므로, 치근의 길이가 13 ∼ 19 mm 인 것을 감안하면, 치아의 저항 중심점의 범위는 3.12 ∼ 8.55 mm 가 된다.
이때, 본 발명의 훅크수단(50)인 바아와 견인수단(70)의 연결점(P)이 상기 0.24H ∼0.45H 의 범위를 벗어나면 실질적으로, 치아와 치근이 견인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기울어 지면서 당겨지는 편심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아 교정기(1)에서 훅크수단(50)인 바아를 치아의 저항 중심점(C.R)에 구애받지 않고, 단순히 치아와 치근의 전체 길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훅크수단(50)을 소정 길이 예를 들어, 7 ∼ 14mm 의 길이(S)로 신장시키어 견인수단(70)의 연결점(P)을 적어도 잇몸(G) 근처가 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 소정길이(S)는 바람직하게는 브라켓트 몸체(10)의 중심선(C)(이는 슬릿(12)의 중심선에 해당될 수 있다)에서 부터 견인수단 연결점(P)까지 의 길이이다. 실질적으로 이와 같은 연결점은 훅크수단의 하단부일 것이다.
이때, 도 6에서 훅크수단(50)인 바아의 신장길이(S)가 7mm 보다 작거나 14mm 보다 긴 경우에는 훅크수단(50)인 바아가 너무 짧거나 길어서 견인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치아가 편심적으로 당겨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훅크수단의 길이가 너무 길어서 14mm 보다 큰 경우에는 잇몸이나 구상 점막을 손상시키거나 훅크수단을 구비한 치아 교정기의 사용을 불편하게 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8-10mm 이다.
그런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치아의 저항 중심점(C.R)의 범위가 견치일 경우 3.12mm ∼ 8.55mm 범위이고, 치아 부착수단인 브라켓트의 몸체(10)의 슬롯(12)에서 치근의 상단(X-X선) 까지의 길이는 통상 치아 중심에 부착되는 것을 감안할때 4.5∼5 mm 정도이다.
따라서, 상기 범위에 길이를 더하면, 훅크수단의 신장길이(S)는 대략 7.62(4.5mm 기준) ∼ 13.55(5mm 기준) mm 정도가 된다.
즉, 본 발명의 치아 교정기에서, 훅크수단(50)인 바아의 신장길이는 견인수단 연결점(P)의 저항 중심점 위치범위와 연계 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트와 버튼을 복합 사용하는 경우, 즉, 훅크수단을 구비하는 브라켓트(200)(도 1의 브라켓트 참조)와 본 발명의 치아 교정기 즉, 버튼(100)을 복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버튼의 훅크수단(150)과 견인수단(170)의 연결점(P)을 치아의 저항 중심점(C.R)에 대응하여 위치시키는 조건은 일정하지만, 훅크수단(150)의 신장길이는 앞에서 설명한 도 6에서의 브라켓트의 훅크 수단(50) 보다는 짧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훅크수단(50)의 신장길이 "S"는 도 6 및 도 1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트(1)나 버튼(100)을 복합 사용하는 하는 경우 훅크수단의 길이가 짧아지는 것까지 감안하여 4 ∼ 14mm 정도의 범위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4mm 보다 짧은 경우에는 신장길이가 버튼의 중심선(도 12 참조)에서 부터인 것을 감안할때, 너무 짧아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키어 실효성이 없고, 14mm 보다 긴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스프링(74)과 견인와이어(72)를 견인수단(70)으로 하여 앵커(60)와 본 발명의 훅크수단(50)인 바아의 하단부 걸이홈(52)에 연결되고, 결국 상기 걸이홈(52)이 견인수단 연결점(P)이 된다.
이때,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걸이홈 대신에 걸이공(구멍)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훅크수단(50)의 견인수단 걸이홈(52)(또는 걸이공)은, 신장되는 바아를 따라 하단을 기점으로 여러개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견인수단 연결라인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여 사용자(피시술자)의 조건에 따라 대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도 7의 다수 걸이홈(52)중 적어도 최상측 걸이홈의 위치도 치아의 저항 중심점 또는 치아의 편심 당김을 방지토록 적어도 잇몸(G) 근처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도 6을 토대로 본 발명인 브라켓트의 치아 교정기(1) 시술 상태를 종래와 비교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에는 앵커(60)에서 브라켓트 몸체(10)에 심하게 경사진 상태로 견인수단(70)이 연결되고(점선), 이경우 F1의 방향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도 3과 같이 치아(T)는 기울어 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치아 교정기(1)에서는 견인수단(70)이 연결되는 훅크수단(50) 즉, 브라켓트 몸체 또는 날개에서 하방으로 일체로 신장된 바아형태인 훅크수단(50)과 견인수단(70)의 연결점(P)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치아의 저항 중심점(C.R)에 대응하여 위치시키거나, 또는 적어도 훅크수단을 잇몸 근처까지 신장시키어 견인수단의 연결점이 위치되도록 하기 때문에, 견인수단으로 실제 당겨지는 힘은 F2의 방향으로 조정된다.
따라서, 치아(T)와 치근(T') 모두가 종래와는 다르게 기울어짐 없이 견인수단과 앵커 견인라인을 기준으로 거의 수평하게 당겨진다.
다음,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본 발명인 브라켓트의 치아 교정기(1)에 구비된 훅크수단(50)의 여러 변형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8a와 같이 훅크수단(50)인 바아를 브라켓트 몸체 또는 날개에서 직선상으로 신장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도 8b 또는 도 8c와 같이, 치축에 대응하여 견인수단으로 당겨지는 견인방향의 반대방향 또는 견인방향으로 훅크수단(50')을 만곡 신장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경우, 만곡된 본 발명의 훅크수단(50)(50')은 치축(치아 교정각)을 감안하여 의도적으로 F2 또는 F2'의 견인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어 하나의 교정기를 통하여 시술 방향을 여러 각도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할 것이다.
그리고, 도 9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훅크수단은 브라켓트 날개 또는 몸체에서 절곡되어 신장되는 'ㄱ'자 형태의 절곡형 훅크수단(50")으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경우, 훅크수단(50)과 견인수단(70)의 연결점(P)이 브라켓트 수직 중심선에서 벗어나 있어 다른 형태의 시술 예를 들어, 블라켓트와 버튼을 복합 사용하는 경우 훅크수단이 간섭되는 것을 피하는 형태의 다른 시술에 적합할 것이다.
다음, 도 10a 및 도 10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훅크수단을 설측(예를 들어 치아방향) 또는 협측(치아 반대방향)으로 만곡 신장시키는 형태(50"')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경우, 훅크수단(50"')의 하단과 잇몸간의 간격 조정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훅크수단(50)(50')(50")(50"')들을 하방으로 신장되는 형태로만 도시하였지만, 브라켓트나 다음에 설명하는 버튼의 치아 교정기를 윗치아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상방으로 신장됨은 물론이다.
다음, 도 11에서는 설측 브라켓트의 치아 교정기(1')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설측 브라켓트의 치아 교정기(1')는 앞에서 설명한 순측 브라켓트의 치아 교정기(1)와 비슷한 형태로서 몸체(10)가 치아 설측에 부착되고, 날개(40) 의 내측으로 교정와이어(20)가 통과하여 체결바인더(30)인 체결밴드가 체결되며, 날개중 하측의 날개에 일체로 신장되는 앞에서 설명한 훅크수단(50) 즉, 하방으로 도 11에서 도시하지 않은 견인수단(도 5 참조)가 하단부 걸이홈(52)에 연결된다.
따라서, 설측 브라켓트의 치아 교정기(1')인 경우에도 앞에서 설명한 순측 브라켓트의 치아 교정기(1)와 마찬가지로 치아의 교정시 치아의 저항 중심점에 대응하거나 적어도 잇몸 근처에 훅크수단과 견인수단의 연결점이 위치되면서 치아 교정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치아 교정기(1)(1')는 순측 또는 설측 브라켓트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다음, 도 12 내지 도 17에서는 본 발명의 치아교정기의 다른 예 즉, 버튼형태의 치아교정기(100)에 훅크수단(150)을 구비한 일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다만, 브라켓트의 치아 교정기(1)의 훅크수단(50)과 견인수단(70)에 대응하는 훅크수단과 견인수단은 100단위의 도면부호로 나타낸다.
그리고, 브라켓트의 치아 교정기(1)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본 실시예에서의 훅크수단(150)과 견인수단(170)의 연결점 관련 구성과 작용의 상세한 설명은 간략한다.
먼저, 도 1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의 치아 교정기(100)의 시술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2와 같이 본 발명의 치아 교정기(100)인 버튼은 버튼몸체(110)와, 상기 버튼 몸체(110)에 구비되는 훅크수단(150)을 포함한다.
물론, 상기 훅크수단(150)은 버튼몸체(110)에서 바아 형태로 신장되어 견인수단(170)의 연결점(P)이 치아의 저항 중심점(도 6의 C.R 참조)에 대응하는 적어도 잇몸 근처임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점의 치아 중심점 범위나 훅크수단의 신장길이(S) 등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음, 도 13 및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버튼의 치아 교정기(100)의 경우에도 상기 훅크수단(150)은 버튼몸체(110)의 전면 중앙서 일체로 신장되는 바아 형태로 제공되거나, 버튼몸체(110)의 하단부에서 일체로 신장되는 바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훅크수단(150)인 바아의 하단부에는 견인와이어(172)와 스프링(174)등이 조합 구성되고 일단이 턱뼈 또는 치조골에 심어진 앵커(160)에 연결되는 견인수단(170)이 연결되는 걸이홈(152)이 구비됨은 물론이다.
다음, 도 15 내지 도 17에서는 본 발명인 버튼의 치아 교정기(100)에 구비된 훅크수단(150)의 여러 변형예들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앞에서 설명한 도 8 내지 도 10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도 15a와 같이 훅크수단(150)인 바아를 버튼 몸체의 중앙 돌기 또는 몸체에서 직선상으로 신장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도 15b 또는 도 15c와 같이, 치축에 대응하여 견인수단으로 당겨지는 견인방향의 반대방향 또는 견인방향으로 훅크수단(150')을 만곡 신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1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훅크수단(150)은 버튼몸체(110)의 중 앙의 돌기 또는, 버튼 몸체에서 절곡된 'ㄱ'자 형태로 신장되는 절곡형 훅크수단(150")으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도 17a 및 도 1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훅크수단을 설측(예를 들어 치아방향) 또는 협측(치아 반대방향)으로 만곡 신장시키는 형태(150"')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6 및 도 12에서 브라켓트와 버튼의 각각의 치아 교정기(1)(100)는 그 중심선(C)(브라켓트인 경우 통상 슬릿(12)부분)이 교정기가 부착되는 치아의 중심선에 해당되게 된다.
다음, 도 18에서는 본 발명의 버튼형 치아 교정기(100)와 기존 치열 교정용 와이어가 체결되는 브라켓트(200)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교정와이어(220)가 슬릿(212)에 끼워지고 체결바인더(230)인 체결밴드가 날개(240)들에 체결되는 기존의 브라켓트(200)를 교정대상 치아(T)에 부착하고, 그 바로 아래에 본 발명의 치아 교정기(100)인 버튼을 부착하여 하방 신장된 바아 형태인 훅크수단(150)의 걸이홈(152)에 견인수단(170)을 연결한다.
따라서, 도 18의 경우 각각의 치아를 브라켓트와 연결되는 교정용 와이어로 치열 전체를 교정하되, 특정 예를 들어, 개별 치아를 견인수단으로 당길 필요가 있을때, 매우 유용하게 시술할 수 있게 한다.
물론, 도 18의 경우 버튼의 본 발명 치아 교정기(100)의 훅크수단(150)의 길이는 앞에서 도시한 도 12 내지 도 17의 버튼 보다는 짧게 형성시키어, 적어도 견 인수단 연결점(P)이 치아의 저항 중심점(C.R) 부근으로 잇몸 근처가 됨은 물론이다.
다음, 도 19a 및 도 19b에서는 훅크수단의 다른 형태 즉, 봉(철사도 가능) 형태의 훅크수단(50a)(150a)를 구비하는 치아 교정기(1a)(100a) 즉, 브라켓트와 버튼을 도시하고 있다.
이경우, 상기 봉은 브라켓트나 버튼을 세라믹이나 수지 대신에 메탈로 제작한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봉(철사) 형태의 훅크수단(50a)(150a)의 하단부에는 앞에서 설명한 걸이홈 대신에 절곡시키어 견인수단(70)(170)이 연결되는 절곡단(50a') (150a')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서,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트 또는 버튼의 치아 교정기(1)(100)는 브라켓트 몸체나 날개 또는, 버튼 전면이나 몸체에서 일체로 치아의 저항 중심점 부근 또는 잇몸 근처까지 신장한 바아 또는 봉 형태의 훅크수단(50)(150)을 구비하고, 그 하단부 걸이홈, 걸이공 또는 절곡단에 앵커에 일단이 연결된 견인수단(70)(170)이 연결되는 형태이므로, 교정 치아(와 치근)가 편심없이 당겨져 교정성을 우수하게 하고, 교정 기간도 단축시키게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치아 교정기에 의하면, 앵커와 교정기 브라켓트사이에 연결되는 견인수단의 브라켓트 연결점을 적어도 치아와 치근 전체 길이를 감안하여 치아의 저항 중심점에 해당하는 잇몸 근처가 되도록 하여 치아와 함께 치근까지 편심없이 앵커를 기준으로 수평하게 당겨져 교정되도록 함으로써 치아 교정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브라켓트나 버튼의 치아 교정기에서 신장된 훅크수단(바아 또는 봉)의 견인수단 연결점이 잇몸 근처이므로 시술을 용이하게 하고, 앵커와 견인수단의 연결라인이 잇몸근처로서 외부 노출도 보다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24)

  1. 교정 대상의 치아에 부착되는 치아 부착수단; 및,
    상기 치아 부착수단에 구비되고, 치아 교정을 위한 견인수단의 연결점(P)이 상기 치아의 저항 중심점(center of resistance) 부근에 위치되는 훅크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치아 교정기.
  2. 교정 대상의 치아에 부착되는 치아 부착수단; 및,
    상기 치아 부착수단에 구비되고, 치아 교정을 위한 견인수단의 연결점(P)이 적어도 잇몸 근처에 위치되는 훅크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치아 교정기.
  3. 교정 대상의 치아에 부착되는 치아 부착수단; 및,
    상기 치아 부착수단에 구비되고, 치아 교정을 위한 견인수단의 연결점(P)이 치아의 저항 중심점에 대응하여 적어도 잇몸 근처에 위치되는 훅크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치아 교정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부착수단은, 브라켓트 또는 버튼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부착수단인 브라켓트와 버튼이 혼합 사용되고, 상기 브라켓트와 버튼중 선택된 하나에 상기 훅크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부착수단에 구비되는 상기 훅크수단은, 상기 치아 부착수단에서 일체로 신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훅크수단은 상기 치아 부착수단에서 신장된 바아 또는 봉 형태중 하나로 구성되어 상기 견인수단이 하단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부착수단은 브라켓트로 구성되고, 상기 훅크수단은 상기 브라켓트의 몸체 또는, 상기 몸체에 구비된 날개 또는 커버에서 일체로 신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부착수단은 버튼으로 구성되고, 상기 훅크수단은 상기 버튼의 몸체 하부 또는 몸체 전면에서 일체로 신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10.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훅크수단과 이에 연결되는 견인수단의 연결점(P)은 치아의 저항 중심점(C.R)에 대응하여 치근 길이를 H라 할때 치근 상단에서 부터 0.24×H ∼ 0.45×H 범위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11.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훅크수단은 상기 치아 부착수단에서 잇몸 근처까지 4 ∼ 14 mm의 길이(S)로 신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훅크수단의 신장 길이(S)는 상기 치아 부착수단의 중앙에서 부터 상기 훅크수단의 견인수단 연결점(P)까지의 길이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겟트의 몸체는 교정와이어가 끼워지는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교정와이어는 날개에 체결되는 바인더부재로서 고정되거나, 상기 커버가 슬롯에 덮여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수단이 연결되는 상기 훅크수단에는 견인수단의 연결을 용이토록 구비되면서 견인수단의 연결점(P)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이홈, 걸이공 또는 절곡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15.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견인수단은 상기 훅크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턱뼈나 치조골에 심어진 앵커에 연결되어 치아를 당기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수단은 견인와이어, 스프링, 탄성체인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17.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훅크수단은 브라켓트 또는 버튼에서 부터 교정치아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직선 또는 절곡되어 신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훅크수단은 치축에 대응하여 견인수단으로 당겨지는 견인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만곡 신장된 것을 특징으로 치아 교정기.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훅크수단은 잇몸과의 간격 조정을 가능토록 협측 또는 설측으로 만곡 또는 절곡 신장된 것을 특징으로 치아 교정기.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060107935A 2006-09-08 2006-11-02 치아 교정기 KR100805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7/004335 WO2008030061A1 (en) 2006-09-08 2007-09-07 Orthodontic device and orthodontic method
CN2007800333262A CN101511299B (zh) 2006-09-08 2007-09-07 牙齿矫正装置
EP07808128A EP2068750A4 (en) 2006-09-08 2007-09-07 ORTHODONTIC DEVICE AND ORTHODONTIC METHOD
JP2009527303A JP2010502356A (ja) 2006-09-08 2007-09-07 歯列矯正装置及び矯正方法
US12/440,056 US20100178628A1 (en) 2006-09-08 2007-09-07 Orthodontic device and orthodontic method
TW96141134A TW200835468A (en) 2006-11-02 2007-11-01 Orthodontic device and orthodontic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047 2006-09-08
KR20060087047 2006-09-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5752B1 true KR100805752B1 (ko) 2008-02-21

Family

ID=39382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7935A KR100805752B1 (ko) 2006-09-08 2006-11-02 치아 교정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178628A1 (ko)
EP (1) EP2068750A4 (ko)
JP (1) JP2010502356A (ko)
KR (1) KR100805752B1 (ko)
CN (1) CN101511299B (ko)
WO (1) WO2008030061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171B1 (ko) 2010-06-30 2012-03-28 박숙규 설측 치아 교정장치
KR101276780B1 (ko) 2013-02-25 2013-06-19 권성환 치열교정용 훅버튼
KR101404496B1 (ko) 2012-03-15 2014-06-13 조형준 치아 교정장치
KR101678546B1 (ko) * 2016-03-10 2016-11-22 이태희 발치를 동반한 투명교정시의 교정방법 및 이에 필요한 보조장치
KR20200100262A (ko) * 2019-02-16 2020-08-26 김현모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KR102164764B1 (ko) * 2019-04-05 2020-10-14 주식회사 디오 치열 교정장치
KR20210100924A (ko) * 2020-02-07 2021-08-18 주식회사 뷰티스 치열 교정 장치
CN114081646A (zh) * 2021-11-24 2022-02-25 重庆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 一种利于多维控制的自锁矫治系统
KR20220052755A (ko) * 2020-10-21 2022-04-28 오스템올소돈틱스 주식회사 치열 교정용 브라켓
CN115337121A (zh) * 2022-07-01 2022-11-15 有研医疗器械(北京)有限公司 一种埋伏牙牵引定位装置及其定位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86711A1 (en) * 2007-05-16 2008-11-20 Ormco Corporation Orthodontic hook device and appliance system
US20100015565A1 (en) * 2008-06-13 2010-01-21 Roberto J. Carrillo Gonzalez Orthodontic Devices
US20100092905A1 (en) * 2008-10-10 2010-04-15 Martin Laurel R Orthodontic power arm
JP5651166B2 (ja) * 2009-04-14 2015-01-0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歯列矯正用ワイヤとの制御係合を提供する歯列矯正用連結器
US9226803B2 (en) * 2010-01-25 2016-01-05 Christopher C. Cosse Orthodontic appliance systems
KR200455491Y1 (ko) 2010-02-24 2011-09-07 (주)덴토스 치열교정용 파워체인
JP5570842B2 (ja) * 2010-02-26 2014-08-13 有限会社 オーラルアカデミー 歯矯正補助具製品
CN102688102B (zh) * 2011-03-23 2015-01-14 张国彬 口腔正畸平衡矫正器之附件
CN102462553B (zh) * 2011-03-23 2014-05-28 张国彬 口腔正畸平衡矫正器之托槽代体
KR101205580B1 (ko) 2011-09-28 2012-11-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열교정용 고정원
KR101281268B1 (ko) * 2012-04-16 2013-07-03 최정수 치열교정용 브래킷 및 그 제조방법
CN102824219B (zh) * 2012-06-21 2014-11-19 李岩峰 一种滑杆式牙齿后移装置
ES2874777T3 (es) 2012-10-30 2021-11-05 Univ Southern California Aparato de ortodoncia con arco de alambre encajado a presión, antideslizante
USD726318S1 (en) * 2013-01-17 2015-04-07 Rmo, Inc. Dental instrument for a self-ligating orthodontic clip
CN103417307B (zh) * 2013-08-20 2017-02-15 重庆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 可摘式托槽牵引钩及其牵引结构
CN103505293A (zh) * 2013-09-18 2014-01-15 蔡斌 使牙齿整体移动的口腔正畸牵引钩及正畸装置
USD732418S1 (en) * 2013-09-19 2015-06-23 Casey Crafton Charm
US10123855B1 (en) 2013-11-08 2018-11-13 Grant G. Coleman Orthodontic devices for movement of impacted or malpositioned teeth
US10117728B2 (en) * 2014-10-30 2018-11-06 Oralect Licensing,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orthodontitis
USD765541S1 (en) * 2015-01-13 2016-09-06 Casey Crafton Jewelry component
USD765540S1 (en) * 2015-01-13 2016-09-06 Casey Crafton Jewelry component
US10201402B2 (en) * 2015-07-27 2019-02-12 Acme Monaco Corporation Orthodontic appliance and orthodontic treatment using the same
US10478271B2 (en) * 2015-09-18 2019-11-19 Vishnu Jagdishbhai Patel Orthodontic appliance for distalization and/or space closure
CN106073914B (zh) * 2016-08-18 2018-08-24 山西医科大学 微种植体万向定位仪
TWI598079B (zh) * 2016-08-31 2017-09-11 亞力士電腦機械股份有限公司 數位牙齒矯正方法
CN110177521A (zh) 2016-12-02 2019-08-27 斯威夫特健康系统有限公司 用于托槽放置的间接正畸粘结系统和方法
DE102017012032A1 (de) * 2016-12-27 2018-08-16 Winfried Schütz Orthodontische Regulierungsvorrichtung
WO2018144634A1 (en) 2017-01-31 2018-08-09 Swift Health Systems Inc. Hybrid orthodontic archwires
US11612458B1 (en) 2017-03-31 2023-03-28 Swift Health Systems Inc. Method of tongue preconditioning in preparation for lingual orthodontic treatment
CN113952052A (zh) 2017-04-21 2022-01-21 斯威夫特健康系统有限公司 间接粘接托盘、非滑动正畸矫正器和使用其的配准系统
EP3409235A1 (en) * 2017-05-29 2018-12-05 Orthodontic Research and Development, S.L. An orthodontic device
JP6751431B2 (ja) * 2017-12-28 2020-09-02 澄祥 洪 歯列矯正用空隙閉鎖装置
RU191108U1 (ru) * 2018-12-03 2019-07-24 Екатерина Анатольевна Гизоева Аппарат для ортодонт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USD944993S1 (en) 2020-02-04 2022-03-01 American Orthodontics Corporation Orthodontic attachment
JP6774693B1 (ja) * 2020-02-06 2020-10-28 修二 山口 歯移動器具
TWI709391B (zh) * 2020-04-08 2020-11-11 柯百俞 牙齒矯正附件裝置
US10856954B1 (en) 2020-05-19 2020-12-08 Oxili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ooth center of resistance
JP7396595B2 (ja) 2020-11-12 2023-12-12 医療法人イースマイル国際矯正歯科 歯列矯正用アンカー
CN113040948B (zh) * 2021-03-31 2022-06-10 重庆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 一种多角度隐形牙套牵引装置及其制作方法
US11246683B1 (en) * 2021-10-18 2022-02-15 King Abdulaziz University Orthodontic band attachment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843Y1 (ko) 1999-12-23 2000-06-01 전윤식 치아교정용 접착식 교정선
KR20030047634A (ko) * 2001-12-07 2003-06-18 배성민 다수의 훅을 이용한 치열 고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9331A (en) * 1969-06-26 1971-08-17 Brian W Lee Orthodontic elements
US4386908A (en) * 1976-11-15 1983-06-07 Kurz Craven H Lingual orthodontic appliance system for the mandibular arch
US4193195A (en) * 1978-07-20 1980-03-18 American Orthodontics Corporation Orthodontic appliance
US4639219A (en) * 1982-02-22 1987-01-27 American Orthodontics Corporation Surgical ball hooks
US4669981A (en) * 1982-09-20 1987-06-02 Kurz Craven H Lingual orthodontic appliance system
US4496317A (en) * 1983-06-27 1985-01-29 Hulsey Charles M Adjustable orthodontic appliance
US4797095A (en) * 1984-05-11 1989-01-10 Unitek Corporation Orthodontic hook mounting
US5018259A (en) * 1988-09-21 1991-05-28 Wildman Alexander J Method of design and manufacture of laminated orthodontic brackets
JPH02147112A (ja) * 1988-11-28 1990-06-06 Sumitomo Metal Ind Ltd H形鋼のウエブ高さ制御圧延方法と装置
US5125831A (en) * 1990-11-02 1992-06-3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rthodontic bracket with bi-directional hook
US5123838A (en) * 1990-12-13 1992-06-23 Cannon James L Orthodontic bracket
US5078597A (en) * 1991-04-29 1992-01-07 Caplin Sidney N Lingual attachment
US5302116A (en) * 1992-03-20 1994-04-12 Viazis Anthony D Orthodontic bracket
US5226814A (en) * 1992-05-07 1993-07-13 Allen Michael D Orthodonic bracket
US5306142A (en) * 1992-08-07 1994-04-26 Tp Orthodontics, Inc. Crimpable orthodontic hook
JP3934207B2 (ja) * 1997-06-13 2007-06-20 デンツプライ三金株式会社 フック付きブラケット
DE19812184A1 (de) * 1998-03-19 1999-09-23 Norbert Abels Orthodontisches Befestigungselement
FR2778330B1 (fr) * 1998-05-05 2000-11-17 Jean Jacques Aknin Appareil pour le traitement orthodontique
US5993207A (en) * 1998-10-06 1999-11-30 Spencer; William A. Orthodontic accessory for corrective force application to orthodontic bracket
US5967773A (en) * 1998-12-22 1999-10-19 Orthodontic Design & Production Orthodontic bracket with spring cover
FR2798580A1 (fr) * 1999-09-22 2001-03-23 Mircea Cavaf Depots galvanoplastiques de palladium pur ou de rhodium pur sur tout ou partie des verrous ou "brackets" utilises en orthopedie dento-faciale
FR2798581B1 (fr) * 1999-09-22 2002-02-22 Mircea Dimitri Cavaf Depots galvanoplastiques de metaux de la mine du platine sur les brackets ou attachements d'orthodontie, leurs accessoires et auxiliaires en ni, cr, co et ti et leurs alliages
JP4444410B2 (ja) * 1999-10-08 2010-03-31 トミー株式会社 歯列矯正ブラケットおよび歯列矯正ブラケット用ツール
CN2461504Y (zh) * 2001-01-15 2001-11-28 陈启锋 活动翼托槽
US6827574B2 (en) * 2001-04-12 2004-12-07 Kevin L. Payton Skeletal transmucosal orthodontic plate and method
BE1013760A6 (nl) * 2001-05-17 2002-07-02 Clerck Hugo De Orthodontisch implantaat.
US20020182559A1 (en) * 2001-05-30 2002-12-05 Curtis Kamisugi Bracket for orthodontic use
DE10132088B4 (de) * 2001-07-05 2005-09-29 Altatec Medizintechnische Elemente Gmbh & Co. Kg Kieferorthopädisches Implantatsystem zur Zahnmobilisierung
JP4135867B2 (ja) * 2001-12-06 2008-08-20 トミー株式会社 歯列矯正部材
US6705862B2 (en) * 2002-03-27 2004-03-16 Dentsply Research & Development Corp. Advanced buccal tube
TW532144U (en) * 2002-06-04 2003-05-11 Jeng-Yi Lin Screw device for jaw correction
US20050095550A1 (en) * 2002-06-27 2005-05-05 Jung-Moon Kim Orthodontic implant
US6746243B1 (en) * 2003-05-31 2004-06-08 Daniel A. Holzhauer Orthodontic ligature and method of use
KR100549294B1 (ko) * 2005-05-10 2006-02-03 (주)덴토스 치열교정용 탄성체 지지장치
US7931469B1 (en) * 2007-04-09 2011-04-26 Schendel Stephen A Orthodontic anchor
US7934927B2 (en) * 2007-04-12 2011-05-03 Mohamadreza Yazdi Impacted tooth applian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843Y1 (ko) 1999-12-23 2000-06-01 전윤식 치아교정용 접착식 교정선
KR20030047634A (ko) * 2001-12-07 2003-06-18 배성민 다수의 훅을 이용한 치열 고정 장치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171B1 (ko) 2010-06-30 2012-03-28 박숙규 설측 치아 교정장치
KR101404496B1 (ko) 2012-03-15 2014-06-13 조형준 치아 교정장치
KR101276780B1 (ko) 2013-02-25 2013-06-19 권성환 치열교정용 훅버튼
WO2014129752A1 (ko) * 2013-02-25 2014-08-28 Kwon Sung Hwan 치열교정용 훅버튼
KR101678546B1 (ko) * 2016-03-10 2016-11-22 이태희 발치를 동반한 투명교정시의 교정방법 및 이에 필요한 보조장치
KR20200100262A (ko) * 2019-02-16 2020-08-26 김현모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KR102171983B1 (ko) 2019-02-16 2020-10-30 김현모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KR102164764B1 (ko) * 2019-04-05 2020-10-14 주식회사 디오 치열 교정장치
KR20210100924A (ko) * 2020-02-07 2021-08-18 주식회사 뷰티스 치열 교정 장치
KR102370004B1 (ko) * 2020-02-07 2022-03-03 주식회사 뷰티스 치열 교정 장치
KR20220052755A (ko) * 2020-10-21 2022-04-28 오스템올소돈틱스 주식회사 치열 교정용 브라켓
KR102443246B1 (ko) 2020-10-21 2022-10-05 오스템올소돈틱스 주식회사 치열 교정용 브라켓
CN114081646A (zh) * 2021-11-24 2022-02-25 重庆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 一种利于多维控制的自锁矫治系统
CN114081646B (zh) * 2021-11-24 2023-11-28 重庆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 一种利于多维控制的自锁矫治系统
CN115337121A (zh) * 2022-07-01 2022-11-15 有研医疗器械(北京)有限公司 一种埋伏牙牵引定位装置及其定位方法
CN115337121B (zh) * 2022-07-01 2024-03-12 有研医疗器械(北京)有限公司 一种埋伏牙牵引定位装置及其定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11299A (zh) 2009-08-19
EP2068750A4 (en) 2010-11-03
CN101511299B (zh) 2012-12-19
US20100178628A1 (en) 2010-07-15
WO2008030061A9 (en) 2009-01-22
JP2010502356A (ja) 2010-01-28
EP2068750A1 (en) 2009-06-17
WO2008030061A1 (en) 200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5752B1 (ko) 치아 교정기
US20150118635A1 (en) Wire for correcting bimaxillary protrusion, and bimaxillary protrusion correction system comprising same
KR100918966B1 (ko) 치열교정장치
US5580243A (en) Removable orthodontic aligner with eyelet arm springs
US10357337B2 (en) Orthodontic system with variably-sized archwire slot
US20070207436A1 (en) Orthodontic Appliance
US9987104B2 (en) Orthodontic lingual device
US6382966B1 (en) Appliance for orthodontic treatment
US20070259300A1 (en) Orthodontic brace with coordinated bracket profiles
US6733287B2 (en) Molar tube lock
KR100676130B1 (ko) 교정용 구개측 고정판
US20140302451A1 (en) Removable orthodontic retainer
US8062031B2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KR101592421B1 (ko) 상악 치열 교정 장치
BR0012557B1 (pt) retentor ortodântico para corrigir pequenas irregularidades dos incisivos e/ou reter as posiÇÕes dos dentes corrigidas e processo de fabricar o retentor ortodântico.
KR101202217B1 (ko) 치열교정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치열교정장치
Chandak et al. Space regainers in pediatric dentistry
US20140242536A1 (en) Mandibular attachment for correction of malocclusion
US20050019720A1 (en) Orthodontic wire retainer
KR101156864B1 (ko) 교합평면의 기울어짐을 교정하는 치열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과교정장치
KR101158726B1 (ko) 치열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열교정시스템
KR101131171B1 (ko) 설측 치아 교정장치
KR101108104B1 (ko) 치열교정기구
RU2144335C1 (ru) Ортодон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319924B1 (ko) 치열교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