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709B1 -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709B1
KR102062709B1 KR1020180030183A KR20180030183A KR102062709B1 KR 102062709 B1 KR102062709 B1 KR 102062709B1 KR 1020180030183 A KR1020180030183 A KR 1020180030183A KR 20180030183 A KR20180030183 A KR 20180030183A KR 102062709 B1 KR102062709 B1 KR 102062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t
holder
wire holder
open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8760A (ko
Inventor
이효연
Original Assignee
이효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효연 filed Critical 이효연
Priority to KR1020180030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709B1/ko
Priority to PCT/KR2019/002938 priority patent/WO2019177386A1/ko
Publication of KR20190108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8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with occlusal or gingival archwire slot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0Methods or devices for soldering, casting, moulding or mel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0Methods or devices for soldering, casting, moulding or melting
    • A61C13/206Injection 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5Locking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치아에 부착되는 부착면이 일측에 형성되는 브래킷 본체; 브래킷 본체와 결합되되 교정 와이어가 삽입되면서 배치되는 슬롯(slot)을 구비하는 와이어 홀더; 및 와이어 홀더의 외벽을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와이어 홀더의 외벽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며, 슬롯의 개폐를 위하여 슬롯이 개방되는 개방 위치와, 슬롯이 차폐되는 차폐 위치로 회전 가능한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Orthodontic bracket for self ligation}
본 발명은,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정 와이어의 설치 또는 분리 작업을 종래보다 훨씬 더 간편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 말하는 교합이란 입을 다물었을 때 위, 아래 치아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를 말한다.
이에 반해, 부정교합(malocclusion)이란 어떤 원인에 의해 치아의 배열이 가지런하지 않거나 위, 아래 치아의 맞물림 상태가 정상의 위치를 벗어나서 심미적, 기능적으로 문제가 되는 교합관계를 의미한다.
부정교합의 원인은 일반적으로 유전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치아의 모양이나 크기의 문제, 환경적 영향, 좋지 않은 습관, 잘못된 자세, 치아 우식증과 같은 선천성 장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것은 심미적인 이유도 물론 있지만 위, 아래 치아의 맞물림을 좋게 해서 음식물을 골고루 잘 씹게 하고, 정확한 발음을 할 수 있게 하며, 구강 위생 상태도 향상시키는 등 입과 치아의 역할을 충분히 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치아는 어떤 힘을 받으면 이동하는 성질이 있는데,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로 치열 교정치료이며, 이러한 치료법을 위해 기계적 보조장치로서의 치열 교정기(brace)가 사용된다.
최근까지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치열 교정기가 개발되어 치열교정 시술에 이용되고 있으나, 주로 치아 표면에 접착한 브래킷의 슬롯에 아치 형상의 교정 와이어(Arch wire)를 걸어 당기거나 밀면서 교정하는 고정식 치열 교정기가 일반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고정식 치열 교정기의 경우, 치아의 매끈한 외면에 브래킷을 설치하는 시술 편의성 등과 같은 장점을 지니고 있는 반면에, 교정 와이어를 브래킷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탄성 오링(O-Ring)이나 결찰용 와이어와 같은 고정부재를 일일이 브래킷에 묶어주는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시술 시간과 노력이 많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환자가 쉽게 통증을 느끼게 될 수 있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통상의 고정식 치열 교정기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소위 원 터치(one touch) 방식에 의해 교정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는 자가 결찰(Self ligation) 방식의 브래킷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그 일예가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700676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03679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701792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0579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145464호 등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교정 와이어를 기존 방식처럼 일일이 감아 조이지 않고, 예를 들어 똑따기 형태의 탄성 클립이나 캡(cap), 또는 플레이트나 덮개 형태의 작동부재를 원 터치 조작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쉽고 간편하게 고정시킨다. 따라서 교정 와이어의 고정을 위한 탄성 O-링이나 결찰용 와이어와 같은 추가적인 고정부재가 배제됨에 따라 치아 사이의 마찰력을 줄여 교정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고, 통증과 이물감도 적은 장점 등을 지닌다.
한편,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 중에서 교정 와이어의 이탈 방지를 위해 덮개 형태로 교정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타입, 소위, 패시브 타입의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교정 와이어와 덮개 간의 유격으로 인해 로테이션 토크 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에,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소위, 액티브 타입의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1)이 제안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도면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소위, 액티브 타입이라 불리는 종래의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1)은 교정 와이어(W)가 배치되는 슬롯(11)을 구비하는 브래킷 본체(10)와, 슬롯(11) 내에 배치되는 교정 와이어(W)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브래킷 본체(10)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탄성 클립(20)을 포함한다.
이에, 도 1의 A 방향으로 교정 와이어(W)를 브래킷 본체(10)의 슬롯(11) 내에 배치한 후, 도 1의 B 방향으로 탄성 클립(20)을 브래킷 본체(10)에 결합시킴으로써 도 2와 같은 결합 구조를 이끌어낼 수 있다.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도 1 및 도 2와 같은 방식의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1)은 원 터치 방식이라서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전술한 선행기술을 포함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원 터치 방식이라는 편의성이 있기는 하지만 탄성 클립(20)이 완전히 분리되는 형태라서 탄성 클립(20)에 대한 망실의 우려가 있음은 물론, 탄성 클립(20)을 잡고 브래킷 본체(10)에 일일이 끼워 결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다소 불편할 수 있으며, 특히 브래킷 본체(10)에서 교정 와이어(W)를 분리하고자 할 때는 송곳과 같은 별도의 도구(tool)를 이용해서 탄성 클립(20)을 분리시켜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사용상의 편의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700676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03679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701792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0579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145464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교정 와이어의 설치 또는 분리 작업을 종래보다 훨씬 더 간편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치아에 부착되는 부착면이 일측에 형성되는 브래킷 본체; 상기 브래킷 본체와 결합되되 교정 와이어가 삽입되면서 배치되는 슬롯(slot)을 구비하는 와이어 홀더; 및 상기 와이어 홀더의 외벽을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상기 와이어 홀더의 외벽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슬롯의 개폐를 위하여 상기 슬롯이 개방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슬롯이 차폐되는 차폐 위치로 회전 가능한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홀더는 비원형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는 상기 와이어 홀더의 곡률 반경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와이어 홀더의 외벽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슬롯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 본체는, 상기 부착면이 일측에 형성되는 부착 플레이트; 및 상기 와이어 홀더가 결합되는 홀더 결합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중앙 영역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홀더를 지지하는 홀더 지지용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 본체는 상기 홀더 지지용 돌출부의 일측에서 연장되게 마련되는 걸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 홀더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타원형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슬롯은 상기 단축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 홀더는 장축이 상기 부착 플레이트에 나란하게 상기 홀더 결합홈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차폐 위치에서 상기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는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상기 교정 와이어를 탄성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는, 상기 홀더 지지용 돌출부의 양측 영역에서 상기 와이어 홀더의 외벽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배치되며, 일측이 개방된 개방 루프 형상을 가지되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한 쌍의 환형 탄성판; 및 상기 한 쌍의 환형 탄성판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환형 탄성판을 연결하여 지지하되 상기 홀더 지지용 돌출부 영역에 배치되는 연결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 본체는, 상기 홀더 지지용 돌출부의 일측 벽에 형성되며, 상기 슬롯의 개방(open)을 위하여 상기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가 상기 개방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가 상기 개방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저지시키는 개방 위치 제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 본체는, 상기 홀더 지지용 돌출부의 타측 벽에 형성되며, 상기 슬롯의 차폐(close)를 위하여 상기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가 상기 차폐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가 상기 차폐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저지시키는 차폐 위치 제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 위치 제한 스토퍼와 상기 차폐 위치 제한 스토퍼는 상기 홀더 결합홈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되 상기 개방 위치 제한 스토퍼가 상기 차폐 위치 제한 스토퍼보다 상기 부착 플레이트에 더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 본체는, 상기 차폐 위치 제한 스토퍼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가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차폐 위치 간을 이동할 때, 클릭감을 부여하는 한편 상기 와이어 홀더에 대한 상기 교정 와이어의 잠금기능을 강화시키는 클릭감 부여겸용 잠금기능 강화용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홀더의 외벽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벽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브래킷 본체는 치아의 색상과 유사한 레진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 홀더와 상기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는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 홀더를 인서트(insert)하여 상기 브래킷 본체를 사출성형함으로써 상기 와이어 홀더와 상기 브래킷 본체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정 와이어의 설치 또는 분리 작업을 종래보다 훨씬 더 간편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조립 상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교정 와이어가 결합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브래킷 본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의 반대편 확대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사용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조립 상태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조립 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교정 와이어가 결합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브래킷 본체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의 반대편 확대 사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사용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은 교정 와이어(W)의 설치 또는 분리 작업을 종래보다 훨씬 더 간편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브래킷 본체(110), 와이어 홀더(140) 및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이 브래킷 본체(110), 와이어 홀더(140) 및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의 3 파트(parts)인 것으로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브래킷 본체(110) 및 와이어 홀더(140)가 일체형 구조물인 경우에는 2 파트(parts)면 충분하게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은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 종래기술과 달리,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의 회전 조작만으로 교정 와이어(W)의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교정 와이어(W)의 설치 또는 분리 작업이 종래보다 훨씬 수월해질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은 원 터치(one touch) 방식에 의해 교정 와이어(W)를 고정할 수 있는 자가 결찰(Self ligation) 방식의 브래킷이라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구성을 살펴보면, 우선 브래킷 본체(110)는 도 5 및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에 부착되는 구조물로서 와이어 홀더(140)를 지지한다. 이러한 브래킷 본체(110)는 부착 플레이트(120)와, 홀더 지지용 돌출부(130)를 포함한다.
부착 플레이트(120)는 부착되는 치아면의 형태와 유사한 판상형 구조물이다. 부착 플레이트(120)의 일측에는 부착면(121)이 형성된다. 부착면(121)에 접착제 등을 도포해서 도 8 내지 도 11처럼 치아에 부착시킬 수 있다.
홀더 지지용 돌출부(130)는 부착 플레이트(120)의 전체 영역이 아닌 부착 플레이트(120)의 중앙 영역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홀더 지지용 돌출부(130)에는 와이어 홀더(140)가 결합되는 홀더 결합홈부(131)가 형성된다. 홀(hole) 형태의 홀더 결합홈부(131)에 와이어 홀더(140)가 결합되는 형태로 와이어 홀더(140)가 홀더 지지용 돌출부(130)에 지지될 수 있다.
홀더 지지용 돌출부(130)에는 개방 위치 제한 스토퍼(133), 차폐 위치 제한 스토퍼(132), 클릭감 부여겸용 잠금기능 강화용 돌출부(134)가 위치별로 마련된다. 이들은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를 회전시킬 때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와 함께 상호작용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홀더 지지용 돌출부(130)에는 개방 위치 제한 스토퍼(133), 차폐 위치 제한 스토퍼(132), 클릭감 부여겸용 잠금기능 강화용 돌출부(134)에 대해서는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를 설명할 때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브래킷 본체(110)는 치아의 색상과 유사한 레진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성형성이 우수해질 수 있음은 물론 치아의 색상과 유사해서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즉 브래킷 본체(110)가 금속으로 제작되면 치아의 색상과 확연히 차이가 나기 때문에 입을 벌릴 때마다 미관상 보기가 좋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본 실시예처럼 브래킷 본체(110)가 치아의 색상과 유사한 레진 재질로 제작되면 이러한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다음으로, 와이어 홀더(140)는 도 4 및 도 5, 그리고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 와이어(W)가 삽입되는 장소를 이룬다. 이를 위해, 와이어 홀더(140)에는 교정 와이어(W)가 삽입되면서 배치되는 슬롯(141, slot)이 형성된다. 슬롯(141)은 교정 와이어(W)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슬롯(141)과 교정 와이어(W)의 단면 형상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와이어 홀더(140)는 브래킷 본체(110)에 결합됨으로써 브래킷 본체(110)와 한 몸체를 형성한다. 즉 와이어 홀더(140)는 브래킷 본체(110)에 형성되는 홀더 결합홈부(131)에 삽입, 즉 끼워지는 형태로 브래킷 본체(110)에 결합됨으로써 브래킷 본체(110)와 한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강성이 유지될 수만 있다면 와이어 홀더(140)와 브래킷 본체(110)를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 홀더(140)는 금속 재질로 제작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브래킷 본체(110)는 금속이 아닌 레진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와이어 홀더(140)와 브래킷 본체(110)를 일체로 제작하기 위해 와이어 홀더(140)를 인서트(insert)하여 브래킷 본체(110)를 사출성형함으로써 와이어 홀더(140)와 브래킷 본체(110)를 일체로 제작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브래킷 본체(110)는 치아의 색상과 유사한 레진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재료의 특성상 약간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홀더 결합홈부(131)를 벌려 와이어 홀더(140)를 끼워 넣게 되면 마치 억지끼워맞춤(압입)의 형태처럼 와이어 홀더(140)와 브래킷 본체(110)가 한 몸체를 이룰 수 있는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 홀더(140)는 비원형 단면 구조를 갖는다. 다시 말해, 와이어 홀더(140)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장축과 단축을 갖는 타원형 단면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와이어 홀더(140)의 외벽은 원형과 달리 위치별로 곡률 반경의 차이를 발생시킨다.
교정 와이어(W)가 삽입되면서 배치되는 슬롯(141)은 단축 상에 배치된다. 특히, 슬롯(141)의 깊이는 단축의 1/2 길이보다 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 홀더(140)는 장축이 부착 플레이트(120)에 나란하게 즉 도 8을 도면을 기준으로 장축이 수평 상태로 배치되게 와이어 홀더(140)가 홀더 결합홈부(131)에 삽입 결합된다.
이와 같은 와이어 홀더(140)의 구조적 특징, 즉 타원형 단면 구조라서 외벽이 위치별로 곡률 반경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구조적 특징에 의해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의 회전 동작 시 원 터치 형태로 슬롯(141)이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다.
한편,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는 도 3 및 도 4, 그리고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홀더(140)의 외벽을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와이어 홀더(140)의 외벽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얇은 박판형 금속 플레이트이다. 즉 얇은 금속 박판을 절취 절곡, 그리고 벤딩(bending)시켜 탄성을 갖는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를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는 도 5 및 도 7에 확대 도시된 것처럼 홀더 지지용 돌출부(130)의 양측 영역에서 와이어 홀더(140)의 외벽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환형 탄성판(151)과, 한 쌍의 환형 탄성판(151) 사이에서 한 쌍의 환형 탄성판(151)을 연결하여 지지하되 홀더 지지용 돌출부(130) 영역에 배치되는 연결 지지대(152)를 포함한다.
한 쌍의 환형 탄성판(151)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원형으로 말린 형태를 취한다. 다만, 환형 탄성판(151)이 폐루프처럼 와전한 링(ring) 구조는 아니며, 일측이 개방된 개방 루프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환형 탄성판(151)은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도 5 및 도 7의 도면과 같은 모양을 이루지만 환형 탄성판(151)을 강제로 벌리면 환형 탄성판(151)의 개방 부위가 넓게 벌어질 수 있다. 물론, 환형 탄성판(151)을 벌렸던 힘을 제거하면 다시 도 5 및 도 7의 도면 형상으로 되돌아온다.
연결 지지대(152)는 한 쌍의 환형 탄성판(151)을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홀더 지지용 돌출부(130) 영역에 배치된다. 이러한 연결 지지대(152)가 전술한 홀더 지지용 돌출부(130)에는 개방 위치 제한 스토퍼(133), 차폐 위치 제한 스토퍼(132), 클릭감 부여겸용 잠금기능 강화용 돌출부(134)와 상호작용한다.
이처럼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는 도 3 및 도 4처럼 한 쌍의 환형 탄성판(151) 부분이 와이어 홀더(140)의 외벽을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와이어 홀더(140)의 외벽에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도 10의 +R 방향(도면상 시계 방향) 또는 도 11의 ??R 방향(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와이어 홀더(140)에 형성되는 슬롯(141)을 개폐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는 슬롯(141)의 개폐를 위하여 슬롯(141)이 개방되는 개방 위치(도 10 참조)와, 슬롯(141)이 차폐되는 차폐 위치(도 11 참조)로 회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는 와이어 홀더(140)의 곡률 반경의 차이에 기초하여 와이어 홀더(140)의 외벽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슬롯(141)을 개폐할 수 있다.
즉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를 도 10의 +R 방향(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환형 탄성판(151)의 개방 부위가 슬롯(141) 쪽으로 향하게 되는데, 이때 와이어 홀더(140)의 장축 측 곡률에 따라 환형 탄성판(151)이 강제로 벌어지게 됨으로써 슬롯(141)이 개방될 수 있다.
반대로,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를 도 11의 ??R 방향(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환형 탄성판(151)을 강제로 벌렸던 힘이 사라지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와이어 홀더(140)의 단축 측 곡률에 따라 환형 탄성판(151)이 다시 탄성적으로 좁혀지게 됨으로써 슬롯(141)은 차폐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는 개방 위치(도 10 참조)와, 차폐 위치(도 11 참조)로 회전되면서 슬롯(141)을 개폐한다. 이때,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가 개방 위치(도 10 참조)를 벗어나 더 회전되거나 차폐 위치(도 11 참조)를 벗어나 더 회전되면 곤란하다. 즉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의 회전 시 개방 위치(도 10 참조)와, 차폐 위치(도 11 참조)의 두 군데에서 스토핑(stopping)되는 것이 사용자의 입장에서 편리하다. 이를 위해, 개방 위치 제한 스토퍼(133)와, 차폐 위치 제한 스토퍼(132)가 마련되며, 이들은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의 연결 지지대(152)와 상호작용한다.
개방 위치 제한 스토퍼(133, 도 6 참조)는 홀더 지지용 돌출부(130)의 일측 벽에 형성되며, 슬롯(141)의 개방(open)을 위하여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가 도 10의 개방 위치에 배치될 때,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가 개방 위치(도 10 참조)에서 벗어나는 것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개방 위치 제한 스토퍼(133)는 홈(groove)의 형태를 취하는데,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가 도 10의 개방 위치에 배치될 때, 연결 지지대(152)가 개방 위치 제한 스토퍼(133)에 배치되기 때문에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가 도 10의 개방 위치에 배치될 때,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가 개방 위치(도 10 참조)에서 벗어나는 것을 저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차폐 위치 제한 스토퍼(132, 도 6 참조)는 홀더 지지용 돌출부(130)의 타측 벽에 형성되며, 슬롯(141)의 차폐(close)를 위하여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가 도 11의 차폐 위치에 배치될 때,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가 차폐 위치(도 11 참조)에서 벗어나는 것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차폐 위치 제한 스토퍼(132) 역시, 홈(groove)의 형태를 취하는데,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가 도 11의 차폐 위치에 배치될 때, 연결 지지대(152)가 차폐 위치 제한 스토퍼(132)에 배치되기 때문에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가 도 11의 차폐 위치에 배치될 때,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가 차폐 위치(도 11 참조)에서 벗어나는 것을 저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개방 위치 제한 스토퍼(133)와 차폐 위치 제한 스토퍼(132)는 홀더 결합홈부(13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데, 개방 위치 제한 스토퍼(133)가 차폐 위치 제한 스토퍼(132)보다 부착 플레이트(120)에 더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와이어 홀더(140) 및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의 형상적인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서 개방 위치 제한 스토퍼(133)가 차폐 위치 제한 스토퍼(132)보다 부착 플레이트(120)에 더 인접되게 배치됨에 따라 슬롯(141)의 개폐 동작이 유연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의 브래킷 본체(110)에는 클릭감 부여겸용 잠금기능 강화용 돌출부(134)가 더 마련된다. 클릭감 부여겸용 잠금기능 강화용 돌출부(134)는 브래킷 본체(110)에서 차폐 위치 제한 스토퍼(132)의 주변에 배치되며,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가 개방 위치(도 10 참조)와 차폐 위치(도 11 참조) 간을 이동할 때, 클릭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클릭감 부여겸용 잠금기능 강화용 돌출부(134)는 외벽이 아크(arc), 형태로 돌출된 모양을 갖는다.
즉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를 개방 위치(도 10 참조)에서 차폐 위치(도 11 참조)로 회전시키거나 차폐 위치(도 11 참조)에서 개방 위치(도 10 참조)로 회전시킬 때, 연결 지지대(152)가 언덕 형상의 클릭감 부여겸용 잠금기능 강화용 돌출부(134)를 넘나들면서 이동한다. 따라서 작업자에게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를 회전시키고 있다는 클릭감이 부여될 수 있다. 실제, 연결 지지대(152)가 클릭감 부여겸용 잠금기능 강화용 돌출부(134)를 넘나드는 과정에서 약간의 소리도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상의 효율이 높아질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가 개방 위치(도 10 참조)에서 차폐 위치(도 11 참조)로 회전될 때, 연결 지지대(152)가 언덕 형상의 클릭감 부여겸용 잠금기능 강화용 돌출부(134)를 넘어 차폐 위치 제한 스토퍼(132)에 배치되기 때문에 와이어 홀더(140)에 대한 교정 와이어(W)의 잠금기능이 더욱 강화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100)의 사용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교정 와이어(W)가 아직 설치되지 않은 도 8의 초기 상태에서 도 9에서 도 10처럼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를 +R 방향(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를 이루는 환형 탄성판(151)의 개방 부위가 슬롯(141) 쪽으로 향하게 되는데, 이때 와이어 홀더(140)의 장축 측 곡률에 따라 환형 탄성판(151)이 강제로 벌어지게 됨으로써 슬롯(141)이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연결 지지대(152)가 언덕 형상의 클릭감 부여겸용 잠금기능 강화용 돌출부(134)를 넘나들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클릭감이 부여될 수 있다.
도 10처럼 슬롯(141)이 개방되면 개방된 슬롯(141)에 교정 와이어(W)를 삽입해서 배치한다.
교정 와이어(W)를 삽입한 이후에는 교정 와이어(W)가 슬롯(141)에서 빠지지 않도록 슬롯(141)을 차폐해야 한다. 이때는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를 도 11의 ??R 방향(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를 이루는 환형 탄성판(151)을 강제로 벌렸던 힘이 사라지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와이어 홀더(140)의 단축 측 곡률에 따라 환형 탄성판(151)이 다시 탄성적으로 좁혀지게 됨으로써 슬롯(141)은 차폐될 수 있다. 이때, 연결 지지대(152)가 언덕 형상의 클릭감 부여겸용 잠금기능 강화용 돌출부(134)를 넘나들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클릭감이 부여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교정 와이어(W)의 설치 또는 분리 작업을 종래보다 훨씬 더 간편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조립 상태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200) 역시, 한 몸체를 이루는 브래킷 본체(210) 및 와이어 홀더(240)와, 와이어 홀더(240)의 외벽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되 개방 위치(도 10 참조) 또는 차폐 위치(도 11 참조)로 회전되면서 와이어 홀더(240)의 슬롯(241)을 개폐하는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의 구조와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브래킷 본체(210) 역시,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부착 플레이트(220)와, 홀더 지지용 돌출부(230)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브래킷 본체(210)에는 홀더 지지용 돌출부(230)의 일측에 후크 타입의 걸이부(215)가 더 마련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걸이부(215)는 개방 위치 제한 스토퍼(133) 영역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걸이부(215)는 치열 교정치료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200)이 사용될 때, 이웃된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200) 또는 치아, 혹은 별도의 치아 고정물과의 탄성 연결을 위한 예컨대, 고무줄 등이 걸리거나 결합되는 장소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처럼 걸이부(215)가 더 마련되는 경우, 치열 교정치료를 위한 작업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슬롯(241)이 형성되는 와이어 홀더(240)의 외벽 일측에는 경사벽(24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벽(242)은 다수 개로 적용된다. 즉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와이어 홀더(240)는 정면에서 볼 때, 그 일측이 삼각형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경사벽(242)은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150)의 설치 또는 회전 동작이 원활해질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교정 와이어(W, 도 4 참조)의 설치 또는 분리 작업을 종래보다 훨씬 더 간편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 W : 교정 와이어
110 : 브래킷 본체 120 : 부착 플레이트
130 : 홀더 지지용 돌출부 131 : 홀더 결합홈부
132 : 개방 위치 제한 스토퍼 133 : 차폐 위치 제한 스토퍼
134 : 클릭감 부여겸용 잠금기능 강화용 돌출부
140 : 와이어 홀더 141 : 슬롯
150 :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 151 : 환형 탄성판
152 : 연결 지지대

Claims (10)

  1. 치아에 부착되는 부착면이 일측에 형성되는 브래킷 본체;
    상기 브래킷 본체와 결합되되 교정 와이어가 삽입되면서 배치되는 슬롯(slot)을 구비하는 와이어 홀더; 및
    상기 와이어 홀더의 외벽을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상기 와이어 홀더의 외벽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슬롯의 개폐를 위하여 상기 슬롯이 개방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슬롯이 차폐되는 차폐 위치로 회전 가능한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홀더는 비원형 단면 구조를 가지며, 상기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는 상기 와이어 홀더의 곡률 반경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와이어 홀더의 외벽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슬롯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본체는,
    상기 부착면이 일측에 형성되는 부착 플레이트; 및
    상기 와이어 홀더가 결합되는 홀더 결합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중앙 영역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홀더를 지지하는 홀더 지지용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본체는 상기 홀더 지지용 돌출부의 일측에서 연장되게 마련되는 걸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홀더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타원형 단면 구조를 가지며,
    상기 슬롯은 상기 단축 상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 홀더는 장축이 상기 부착 플레이트에 나란하게 상기 홀더 결합홈부에 결합되며,
    상기 차폐 위치에서 상기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는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상기 교정 와이어를 탄성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는,
    상기 홀더 지지용 돌출부의 양측 영역에서 상기 와이어 홀더의 외벽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배치되며, 일측이 개방된 개방 루프 형상을 가지되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한 쌍의 환형 탄성판; 및
    상기 한 쌍의 환형 탄성판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환형 탄성판을 연결하여 지지하되 상기 홀더 지지용 돌출부 영역에 배치되는 연결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본체는,
    상기 홀더 지지용 돌출부의 일측 벽에 형성되며, 상기 슬롯의 개방(open)을 위하여 상기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가 상기 개방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가 상기 개방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저지시키는 개방 위치 제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본체는,
    상기 홀더 지지용 돌출부의 타측 벽에 형성되며, 상기 슬롯의 차폐(close)를 위하여 상기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가 상기 차폐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가 상기 차폐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저지시키는 차폐 위치 제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위치 제한 스토퍼와 상기 차폐 위치 제한 스토퍼는 상기 홀더 결합홈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되 상기 개방 위치 제한 스토퍼가 상기 차폐 위치 제한 스토퍼보다 상기 부착 플레이트에 더 인접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본체는,
    상기 차폐 위치 제한 스토퍼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가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차폐 위치 간을 이동할 때, 클릭감을 부여하는 한편 상기 와이어 홀더에 대한 상기 교정 와이어의 잠금기능을 강화시키는 클릭감 부여겸용 잠금기능 강화용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홀더의 외벽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벽이 형성되며,
    상기 브래킷 본체는 치아의 색상과 유사한 레진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와이어 홀더와 상기 슬롯 개폐용 회전식 탄성커버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와이어 홀더를 인서트(insert)하여 상기 브래킷 본체를 사출성형함으로써 상기 와이어 홀더와 상기 브래킷 본체가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
KR1020180030183A 2018-03-15 2018-03-15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 KR102062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183A KR102062709B1 (ko) 2018-03-15 2018-03-15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
PCT/KR2019/002938 WO2019177386A1 (ko) 2018-03-15 2019-03-14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183A KR102062709B1 (ko) 2018-03-15 2018-03-15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760A KR20190108760A (ko) 2019-09-25
KR102062709B1 true KR102062709B1 (ko) 2020-01-06

Family

ID=67908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183A KR102062709B1 (ko) 2018-03-15 2018-03-15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2709B1 (ko)
WO (1) WO20191773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2755A (ko) 2020-10-21 2022-04-28 오스템올소돈틱스 주식회사 치열 교정용 브라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0484A1 (ko) * 2021-05-27 2022-12-01 김영준 치아 교정기
KR102380031B1 (ko) * 2021-05-27 2022-04-01 김영준 치아 교정기
KR102380032B1 (ko) * 2021-05-27 2022-04-01 김영준 치아 교정기
KR102379277B1 (ko) * 2021-11-16 2022-03-29 주식회사 임진과학 무선주파수 발생기를 내장한 치아 부착용 브래킷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109B1 (ko) 2014-08-05 2016-02-04 박은호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장치
JP3205166U (ja) 2016-04-26 2016-07-07 李 弘 歯列矯正装置
US20170086948A1 (en) * 2014-03-18 2017-03-30 Christoph Von Mandach Kit for an orthodontic bracke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5464B1 (ko) 1995-10-27 1998-08-01 경주현 다층구조를 갖는 엔진룸 인클로저
JP5614593B2 (ja) 2008-03-27 2014-10-29 アギア システムズ エルエルシーAgere Systems LLC 高電圧耐性の入出力インターフェイス回路
KR20100036792A (ko) 2008-09-30 2010-04-08 김준호 부동산 매물 실시간 검색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검색 방법
KR101199899B1 (ko) * 2011-06-21 2012-11-09 (주)스타덴텍코리아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KR101327925B1 (ko) * 2011-12-20 2013-11-13 김미경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KR20130076996A (ko) * 2011-12-29 2013-07-09 손홍범 회전식 결합형 자가결찰 치열교정 브라켓
KR20170140069A (ko) * 2017-04-19 2017-12-20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자가 결찰식 치열교정 브래킷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86948A1 (en) * 2014-03-18 2017-03-30 Christoph Von Mandach Kit for an orthodontic bracket
KR101592109B1 (ko) 2014-08-05 2016-02-04 박은호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장치
JP3205166U (ja) 2016-04-26 2016-07-07 李 弘 歯列矯正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2755A (ko) 2020-10-21 2022-04-28 오스템올소돈틱스 주식회사 치열 교정용 브라켓
KR102443246B1 (ko) 2020-10-21 2022-10-05 오스템올소돈틱스 주식회사 치열 교정용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77386A1 (ko) 2019-09-19
KR20190108760A (ko)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2709B1 (ko)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
CA3018850C (en) Orthodontic bracket
US9888984B2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with rotatable closure member
JP4607020B2 (ja) 自己結紮歯科矯正ブラケット
KR20210003589A (ko)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
EP1287789A2 (en) Orthodontic Bracket
JP2004526484A (ja) 開位置又は閉位置への偏向性を有する結紮カバーを含む自己結紮歯列矯正ブラケット
US10058401B2 (en) Orthodontic device
JPH0371896B2 (ko)
US10105193B2 (en) Orthodontic bracket
US20170196661A1 (en) Apparatus for achieving molar distalization
JP7142666B2 (ja) 歯列矯正ブラケット
US10932889B2 (en) Orthodontic bracket
US20100151401A1 (en) Orthodontic implant cap and orthodontic treatment assembly including same
JP6726808B2 (ja) コプラナー・スプリングを備えた自己結紮歯列矯正ブラケット
CA1116895A (en) Orthodontic bracket
KR102080210B1 (ko)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KR101541126B1 (ko) 교체가능한 자가결찰 치아교정장치
KR100691797B1 (ko) 형상기억 물성을 가지는 재료를 이용한 와이어 고정용클립을 구비한 치열 교정용 브라켓
JPH08150155A (ja) 歯列矯正用キット
JPH08150152A (ja) 歯列矯正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