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053B1 - 회전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회전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053B1
KR101505053B1 KR1020140193781A KR20140193781A KR101505053B1 KR 101505053 B1 KR101505053 B1 KR 101505053B1 KR 1020140193781 A KR1020140193781 A KR 1020140193781A KR 20140193781 A KR20140193781 A KR 20140193781A KR 101505053 B1 KR101505053 B1 KR 101505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lot
insertion groove
bracke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성
이재희
김정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덴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덴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덴탈
Priority to KR1020140193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0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2Buccal tub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은 치아의 일면에 부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1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교정용 와이어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슬롯 및 상기 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교정용 와이어가 임의로 상기 슬롯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전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Self Ligating Orthodontic Bracket Comprising Rotatable Cover}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커버를 통해 와이어를 자가결착 방식으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상호 다른 직경을 갖는 이종의 와이어를 몸체의 변경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회전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열교정용 브래킷은 치아의 표면에 부착되도록 접착층을 갖는 베이스, 아치 형태의 와이어가 끼워지도록 베이스의 전면에 형성된 슬롯, 와이어를 브래킷이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링 등이 장착되도록 슬롯의 상하측으로 돌출된 고정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고르지 못한 치열을 교정하는데 사용되며, 브래킷을 이용한 치열 교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브래킷을 치아의 표면에 각각 접합한 다음 각 브래킷의 슬롯에 치열 교정용 와이어를 끼운다.
다음으로, 와이어가 슬롯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브래킷의 고정부와 와이어에 탄성링을 감아 와이어를 슬롯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와이어를 교정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인장시키면서 틀어진 치열을 장기간에 걸쳐서 서서히 교정한다.
하지만, 종래의 치열 교정용 슬롯에 삽입된 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브래킷 마다 탄성링을 각각 감아서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탄성링이 와이어와 브래킷의 둘레에 감겨지므로 와이어가 브래킷의 슬롯 내에서 유동되는 것이 방해되어 원활한 치아 교정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치아 교정이 원활히 이루어지려면 치아의 움직임에 따라 와이어가 브래킷의 슬롯 내에서 적절히 유동되는 것이 필요한데, 종래에는 탄성링에 의해 브래킷과 와이어가 비교적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와이어가 브래킷의 슬롯 내에서 원활히 유동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치열 교정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브래킷의 전면에 슬롯이 형성되고, 이 슬롯에 와이어가 끼워지므로 슬롯에 끼워진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감을 감소하고, 슬롯 또는 탄성링 등에 의해 사용자의 구강 내부에 상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KR1374836 10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커버를 통해 와이어를 자가결착 방식으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상호 다른 직경을 갖는 이종의 와이어를 몸체의 변경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회전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회전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은 치아의 일면에 부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1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교정용 와이어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슬롯 및 상기 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교정용 와이어가 임의로 상기 슬롯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커버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의 일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롯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슬롯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제2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교정용 와이어의 일부와 대응되는 고정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롯의 일측 벽면에는 제1삽입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홈에는 제2교정용 와이어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슬롯의 내벽에 삽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와이어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제1삽입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1본체 및 상기 본체 및 제1삽입홈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슬롯의 내부로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삽입홈의 내벽면 일측에는 상기 제1와이어 고정부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 조절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1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1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기 위치 조절부와 대응되도록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본체의 일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임의로 상기 위치 조절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를 상기 위치 조절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교정용 와이어 또는 제2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는 상기 제1본체의 일측은 상기 제1교정용 와이어 또는 제2교정용 와이어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테이퍼가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롯과 대응되는 상기 커버의 일측에는 제2삽입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홈에는 제2교정용 와이어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슬롯의 내벽에 삽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와이어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제2삽입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본체 및 상기 본체 및 삽입홈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슬롯의 내부로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교정용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가 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의 보관 및 커버의 조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둘째, 커버가 몸체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커버를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커버를 분실하는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커버를 통해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구강 내부에 상처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의 내부에 탄성 지지되는 와이어 지지부가 구비되어 슬롯의 형상보다 작은 직경의 와이어를 사용하여도 와이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이종의 와이어의 교체가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적응력 및 교정 효율에 따라 최적의 직경을 갖는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종단면도; 및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의 구성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몸체(100) 및 커버(200)로 구성된다.
몸체(100)는 치아의 일측에 부착되고, 치아와 대향되는 타측면에는 치아를 견인하여 치열을 교정하기 위한 제1와이어(510)가 삽입될 수 있는 슬롯(110)이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100)는 슬롯(110)이 형성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사용자의 구강 내부에 상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두리부는 라운딩 처리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여기서, 슬롯(110)은 제1와이어(510)의 종단면과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때, 몸체(100)의 일측에는 커버(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고정부(120)가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부(120)는 몸체(100)의 일측에 돌출 되도록 형성되거나, 몸체(100)의 일면에 커버(200)가 힌지 결합할 수 있도록 힌지 삽입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100)의 고정부(120)가 형성된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에는 커버(200)가 폐쇄되는 경우 커버(200)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130)가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부(130)는 커버(2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200)는 몸체(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슬롯(110)이 형성된 몸체(100)의 일면을 개폐하여 슬롯(110)에 삽입되는 제1와이어(510)가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커버(200)의 일단에는 몸체(100)의 고정부(120)에 삽입되는 힌지(210)가 형성되어 커버(200)를 몸체(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커버(200)의 타측 종단은 몸체(100)의 걸림부(130)와 대응되는 걸림돌기(220)가 형성되고, 몸체(100)의 슬롯(110)과 대응되는 커버(200)의 일측에는 슬롯(110)으로 삽입되어 제1와이어(510)를 압착하여 제1와이어(510)의 위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와이어 압착부(230)가 돌출 형성된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10)은 커버(200)에 형성된 힌지(210)를 통해 커버(200)를 몸체(100)의 고정부(120)에 결합한다. 이처럼 커버(200)가 몸체(100)에 힌지(21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커버(200)가 폐쇄되면 와이어 압착부(230)가 제1와이어(510)를 상부에서 압착하며 제1와이어(5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동시에, 힌지 결합되는 커버(200)의 타측에 형성된 걸림돌기(220)가 몸체(100)의 걸림부(130)에 삽입되며 커버(200)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제1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몸체(100)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커버(200) 역시 전체적으로 제1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지만, 몸체(100)와 연결되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다음에서는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커버(200), 특히, 몸체(100)와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커버(200)는 제1실시예와 달리 힌지 결합 등과 같이 별도의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몸체(100)에 결합되는 구성이 아닌 커버(200)의 일단이 몸체(100)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제1실시예의 힌지(210)가 형성되는 부분이 몸체(100)와 일체로 형성되되, 커버(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커버(200)가 전체적으로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몸체(100)와 연결되는 커버(200)의 일단부만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200)가 적어도 일부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몸체(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자가결찰 방식으로 개폐가 가능하여 와이어의 삽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3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치열 교정 시 사용자의 와이어의 인장력에 따른 압력에 적응을 위하여 최초에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2와이어(520)를 사용한 후, 사용자가 제2와이어(520)에 적응이 되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1와이어(510)로 변경하게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호 직경이 다른 와이어를 복합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제1와이어(510)의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진 슬롯(110)에 제2와이어(520)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제2와이어(520)의 고정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제3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10)의 슬롯(110)에는 제2와이어(520)의 사용 시 제2와이어(52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111), 제1삽입홈(112) 및 제1와이어 고정부(300)가 더 구비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홈(111)은 슬롯(11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제1와이어(510) 및 슬롯(11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2와이어(520)가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고정홈(111)은 제2와이어(520)의 종단면 형상 및 크기와 대응되거나, 상대적으로 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정홈(111)은 슬롯(110)의 내부 어디에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와이어의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측벽면이 아닌 와이어의 삽입방향과 대면하는 벽면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1삽입홈(112)은 제1와이어 고정부(3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슬롯(110)의 내부 일측, 바람직하게는 와이어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양측벽면 일측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제1삽입홈(112)의 입구측에는 후술하는 제1와이어 고정부(300)의 제1본체(3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단턱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1와이어 고정부(300)는 제1삽입홈(112)에 탄성 지지되도록 삽입되어 슬롯(110)에 제2와이어(520)가 삽입되는 경우 제2와이어(520)를 양측방향에서 탄성 지지하여 제2와이어(520)가 임의로 위치가 변경되어 치열 교정 효과가 반감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1와이어 고정부(300)는 크게 제1본체(310) 및 제1탄성부(320)로 구성된다.
제1본체(310)는 제1삽입홈(112)에 삽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슬롯(110)의 직경과 대응되는 제1와이어(510)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제1삽입홈(112)으로 삽입되고, 슬롯(110)의 직경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2와이어(520)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제1삽입홈(112)의 외부로 돌출되어 제2와이어(520)의 측면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1본체(310)는 전체적으로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2와이어(520)와 대면하는 일단은 제2와이어(520)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측 종단의 테두리부에는 제1본체(310)가 제1삽입홈(112)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플렌지와 같은 확장부가 형성된다.
또한, 제1삽입홈(112)의 외부로 이탈되는 제1본체(310)의 종단 테두리부는 테이퍼가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본체(310)의 종단 테두리부에 테이퍼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됨에 따라 제2와이어(520)가 삽입되는 경우에 별도의 조작 없이 제1본체(310)가 제1삽입홈(112) 내부로 삽입되며 제2와이어(52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탄성부(320)는 제1삽입홈(112)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1본체(310)를 제1삽입홈(112)의 외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1탄성부(320)는 제1본체(31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제1와이어 고정부(300)는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슬롯(110)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제1와이어(510)가 슬롯(110)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제1본체(310)의 테두리에 형성된 테이퍼 또는 라운드에 의해 별도의 조작 없이 제1본체(310)가 제1삽입홈(112) 내부와 완전히 삽입된다.
또한, 제2와이어(520)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제1본체(310)의 테두리에 형성된 테이퍼 또는 라운드에 의해 별도의 조작 없이 제1본체(310)가 제1삽입홈(112) 내부로 소정 깊이 삽입되었다가 제2와이어(520)가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에는 제1탄성부(320)의 탄성에 의해 제2와이어(520)의 측면을 압착하여 고정한다. 즉, 제2와이어(520)는 고정홈(111) 및 한 쌍의 제1와이어 고정부(300)를 통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4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10)은 전체적으로 전술한 구성들, 특히, 제3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제3실시예와 제1와이어 고정부(300) 및 제1삽입홈(112)의 내부에 형성되는 위치 조절부(113)의 구성에 차이가 있는 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삽입홈(112)의 내벽면 일측에는 제1와이어 고정부(30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 조절부(113)가 형성된다. 이러한 위치 조절부(113)는 제1삽입홈(112)의 내벽면에 제1와이어 고정부(300)의 제1본체(310)의 삽입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홈으로 구성된다. 도면 상에서는 두 개의 삽입홈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두 개 이상의 삽입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와이어 고정부(300)는 제1본체(310), 고정돌기(311) 및 제1탄성부(320)로 구성된다.
제1본체(310)는 전술한 제3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본체(3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돌기(311)는 제1몸체(100)의 일측에 제1삽입홈(112)의 내부에 형성된 위치 조절부(113)와 대응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본체(310)의 일측에 고정돌기(311)가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삽입홈(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위치 조절부(113)에 제1본체(310)의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삽입홈(112)의 입구 측에 위치한 위치 조절부(113)에 고정돌기(311)가 삽입되어 있으면 제1몸체(100)는 제1삽입홈(112)의 외부로 노출되어 제2와이어(520)를 고정할 수 있다.
만약, 제1와이어(510)가 삽입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제1본체(310)를 상방으로 소정간격 들어올린 후 제1삽입홈(112) 내부로 밀어 넣으면 제1본체(310)는 제1삽입홈(112)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제1와이어(510)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제1탄성부(320)는 제1본체(3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고정돌기(311)가 형성된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면에 구비되어 제1본체(310)를 위치 조절부(113)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이, 제1탄성부(320)가 제1본체(310)를 탄성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제1본체(310)의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돌기(311)가 위치 조절부(113)에 삽입되면 제1본체(310)가 임의로 이탈되어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탄성부(320)는 제1본체(310)를 일방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판스프링, 접시스프링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삽입홈(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지지바 상에 복수의 코일 스프링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제5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1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몸체(100)는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몸체(10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전술한 구성들과 차이가 있는 커버(200)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커버(2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몸체(100)의 슬롯(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와이어 압착부(230)의 일측에 제2삽입홈(240)이 형성되고, 제2삽입홈(24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2와이어(520)를 슬롯(110)의 내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와이어 고정부(400)가 구비된다.
제2삽입홈(240)의 입구 측에는 슬롯(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삽입홈(112)과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제2와이어 고정부(400)의 제2본체(4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단턱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2와이어 고정부(400)는 제2삽입홈(240) 내부에 삽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와이어(510)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제2삽입홈(240)의 내부로 삽입되고, 슬롯(110)의 형상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2와이어(520)가 삽입되는 경우 제2삽입홈(240)의 외부로 노출되어 제2와이어(520)를 압착하여 제2와이어(52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2와이어 고정부(400)는 크게 제2본체(410) 및 제2탄성부(420)로 구성된다.
제2본체(410)는 제2삽입홈(240)에 삽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슬롯(110)의 직경과 대응되는 제1와이어(510)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제2삽입홈(240)으로 삽입되고, 슬롯(110)의 직경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2와이어(520)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제2삽입홈(240)의 외부로 돌출되어 제2와이어(520)의 상면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2본체(410)는 전체적으로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2와이어(520)와 대면하는 일단은 제2와이어(520)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타측 종단의 테두리부에는 제2본체(410)가 제2삽입홈(240)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삽입홈(240)의 입구에 형성된 단턱과 대응되도록 플렌지와 같은 확장부가 형성된다.
제2탄성부(420)는 제2삽입홈(24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2본체(410)를 제2삽입홈(240)의 외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2탄성부(420)는 제2본체(41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의 사용양태
전술한 구성들, 특히, 제5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10)을 중심으로 사용양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10)을 사용자의 치아의 일면에 치열 상태에 대응되도록 부착한다.
다음으로,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10)의 커버(200)를 개방하여 치열 교정을 위해 인장력을 제공하기 위한 와이어를 삽입한다. 이러한 와이어는 교정 시기 및 사용자의 와이어 인장에 따른 압력에 대한 적응력 등을 고려하여 두 종류의 와이어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교정 초기에는 인장력이 약한 직경이 얇은 제2와이어(520)를 사용하고, 사용자가 와이어의 인장력에 대한 압력에 적응을 하면 교정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두꺼운 제1와이어(510)를 사용하게 된다.
제1와이어(510) 및 제2와이어(520)의 사용에 따른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10)의 사용양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와이어(52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2와이어(520)의 직경이 슬롯(110)의 형상보다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제2와이어(520)의 고정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와이어(52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제2와이어(520)를 슬롯(110) 내부에 형성된 고정홈(111)에 맞추어 결합시킨다.
제2와이어(520)의 삽입 전 슬롯(110)의 내부에는 제1탄성부(320)의 탄성에 의해 제1와이어 고정부(300)의 제1본체(310)가 슬롯(110)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다. 하지만, 제1본체(310)의 종단에는 테이퍼에 의해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와이어(520)의 삽입 시 테이퍼의 경사에 따라 제1본체(310)가 제1삽입홈(112)의 내부로 소정간격 삽입된 후 제2와이어(520)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1탄성부(320)의 탄성에 의해 제2와이어(520)의 측면을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다음으로, 커버(200)를 폐쇄시키면 커버(200)가 슬롯(110)의 개방부를 폐쇄시켜 제2와이어(520)가 임의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커버(200)는 몸체(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기 간단한 회전 동작을 통해 커버(200)를 폐쇄 시킬 수 있다.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커버(200)의 일단과 대향되는 타단에는 걸림돌기(220)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100)에는 이와 대응되는 걸림부(13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200)의 고정 역시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제2와이어(520)의 삽입 시 커버(200)의 와이어 압착부(230)가 슬롯(110)의 내부로 삽입되며 이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지만, 제2와이어(520)의 경우에는 직경이 작기 때문에 와이어 압착부(230)가 제2와이어(520)의 외면에 밀착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커버(200)의 일측에 형성된 제2와이어 고정부(400)의 제2본체(410)가 제2탄성부(420)의 탄성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제2와이어 고정부(400)를 통해 제2와이어(52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와이어(520)를 통해 일정기간 동안 사용자는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10)의 사용 및 와이어의 인장력에 대해 적응기간을 거친 후 치열 교정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2와이어(520)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1와이어(510)로 교체한다.
와이어를 교체하기 위해서 커버(200)의 걸림돌기(220)가 몸체(100)의 걸림부(130)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소정의 힘을 가하며 회전시키면 커버(200)를 용이하게 개방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200)를 개방 시킨 후 와이어를 슬롯(110)의 외측 방향으로 소정의 힘을 가하여 들어주면 제1와이어 고정부(300)의 제1몸체(100)는 슬롯(110)의 내부로 삽입되며 제2와이어(520)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와이어(510)를 슬롯(110)의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제1와이어(510)의 삽입 시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본체(310)의 테이퍼를 따라 제1본체(310)는 제1삽입홈(112)의 내부로 삽입되기 때문에 제1와이어(510)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커버(200)를 폐쇄하면 와이어의 교체가 완료된다. 커버(200)의 폐쇄 시에 제2와이어 고정부(400)의 제2본체(410) 역시 제2삽입홈(240)의 내부로 삽입되기 때문에 제1와이어(510)에 걸림이 발생하지 않고, 커버(200)의 폐쇄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
100 : 몸체
110 : 슬롯
111 : 고정홈
112 : 제1삽입홈
113 : 위치 조절부
120 : 고정부
130 : 걸림부
200 : 커버
210 : 힌지
220 : 걸림돌기
230 : 와이어 압착부
240 : 제2삽입홈
300 : 제1와이어 고정부
310 : 제1본체
311 : 고정돌기
320 : 제1탄성부
400 : 제2와이어 고정부
410 : 제2본체
420 : 제2탄성부
510 : 제1와이어
520 : 제2와이어

Claims (11)

  1. 치아의 일면에 부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1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교정용 와이어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슬롯;
    상기 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교정용 와이어가 임의로 상기 슬롯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 및
    상기 슬롯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슬롯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제2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교정용 와이어의 일부와 대응되는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홈;
    을 포함하는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을 통해 결합되는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의 일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일측 벽면에는 제1삽입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홈에는 제2교정용 와이어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슬롯의 내벽에 삽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와이어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제1삽입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1본체; 및
    상기 제1본체 및 제1삽입홈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본체를 상기 슬롯의 내부로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
    를 포함하는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홈의 내벽면 일측에는 상기 제1와이어 고정부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 조절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1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1본체; 및
    상기 제1본체의 일측에 상기 위치 조절부와 대응되도록 돌출되는 고정돌기;
    를 더 포함하는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제1본체의 일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임의로 상기 위치 조절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본체를 상기 위치 조절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가 더 구비되는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
  9. 제 6항 및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정용 와이어 또는 제2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는 상기 제1본체의 일측은 상기 제1교정용 와이어 또는 제2교정용 와이어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테이퍼가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과 대응되는 상기 커버의 일측에는 제2삽입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홈에는 제2교정용 와이어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슬롯의 내벽에 삽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와이어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제2삽입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본체; 및
    상기 제2본체 및 제2삽입홈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본체를 상기 슬롯의 내부로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부;
    를 포함하는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
KR1020140193781A 2014-12-30 2014-12-30 회전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 KR101505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781A KR101505053B1 (ko) 2014-12-30 2014-12-30 회전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781A KR101505053B1 (ko) 2014-12-30 2014-12-30 회전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5053B1 true KR101505053B1 (ko) 2015-03-30

Family

ID=53028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781A KR101505053B1 (ko) 2014-12-30 2014-12-30 회전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0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0836A (ko) * 2019-07-19 2021-01-28 청 시앙 훙 치아 교정용 브래킷
KR102209318B1 (ko) * 2019-08-21 2021-01-29 주식회사 에이치티 자력을 이용한 치열교정용 셀프 라이게이팅 브라켓
KR20210090867A (ko) 2020-01-13 2021-07-21 박영철 치열교정용 자가결찰 브라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328B1 (ko) 2000-08-25 2003-01-10 주식회사 인비지테크 자가결찰식 치열교정용 설측 결찰형 브라켓
KR20070070169A (ko) * 2004-09-02 2007-07-03 노버트 아벨스 착색형 치열 교정용 브라켓
JP4856789B1 (ja) * 2011-01-21 2012-01-18 俊明 広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328B1 (ko) 2000-08-25 2003-01-10 주식회사 인비지테크 자가결찰식 치열교정용 설측 결찰형 브라켓
KR20070070169A (ko) * 2004-09-02 2007-07-03 노버트 아벨스 착색형 치열 교정용 브라켓
JP4856789B1 (ja) * 2011-01-21 2012-01-18 俊明 広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0836A (ko) * 2019-07-19 2021-01-28 청 시앙 훙 치아 교정용 브래킷
KR102493734B1 (ko) 2019-07-19 2023-01-31 청 시앙 훙 치아 교정용 브래킷
KR102209318B1 (ko) * 2019-08-21 2021-01-29 주식회사 에이치티 자력을 이용한 치열교정용 셀프 라이게이팅 브라켓
KR20210090867A (ko) 2020-01-13 2021-07-21 박영철 치열교정용 자가결찰 브라켓
KR102418082B1 (ko) 2020-01-13 2022-07-06 박영철 치열교정용 자가결찰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5053B1 (ko) 회전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자가결찰형 교정용 브래킷
KR101693239B1 (ko)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US8055006B2 (en) Soft-opening hinge and headphone including same
WO2017110831A1 (j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US20120315593A1 (en) Adjustable orthodontic bracket
KR20170020240A (ko) 창문 덮개를 위한 경사 조절 기구
US11617634B2 (en) Orthodontic bracket having ligating member
US10655825B2 (en) Recessed housing clip
US20160113743A1 (en) Interdental Brush with Adjustable Bending Angles
US20150272706A1 (en) Orthodontic device
KR102160387B1 (ko) 스위블 커버를 갖춘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CN107530143A (zh) 用于实现磨牙远移的装置
KR102455441B1 (ko) 슬라이드형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US20180092716A1 (en) Orthodontic bracket
US20100151401A1 (en) Orthodontic implant cap and orthodontic treatment assembly including same
CN107025898A (zh) 乐器及其组装方法
KR20130076996A (ko) 회전식 결합형 자가결찰 치열교정 브라켓
KR20160057868A (ko) 임플란트 장치
KR101541126B1 (ko) 교체가능한 자가결찰 치아교정장치
AU2022297519A1 (en) User removable fill closure tab with integrated membrane
KR101698126B1 (ko)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JP3119349U (ja) 眼鏡フレーム
KR101407915B1 (ko)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EP3930623A4 (en) DENTAL IMPLANT SET
KR101943439B1 (ko) 치아교정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