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387B1 - 스위블 커버를 갖춘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 Google Patents

스위블 커버를 갖춘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387B1
KR102160387B1 KR1020200107493A KR20200107493A KR102160387B1 KR 102160387 B1 KR102160387 B1 KR 102160387B1 KR 1020200107493 A KR1020200107493 A KR 1020200107493A KR 20200107493 A KR20200107493 A KR 20200107493A KR 102160387 B1 KR102160387 B1 KR 102160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igation
swivel cover
groove
sea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수
Original Assignee
김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수 filed Critical 김덕수
Priority to KR1020200107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3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5Locking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는, 치아 표면과 대응되는 곡면 형상의 저면을 구비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형성된 채 서로 마주하는 제1 벽(120) 및 제2 벽(140)과, 상기 제1 벽(120)과 상기 제2 벽(140) 사이를 통과하는 아치 와이어(W)가 안착되도록 상기 제1 벽(120)과 상기 제2 벽(140) 사이에 형성된 안착홈(1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벽(120)의 외곽 측면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1 벽(120)을 관통하여 상기 안착홈(130)에 이르는 관통 나사홀(126)이 형성된, 본체블록(100); 힌지축(300)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벽(120)의 상부면 상에서 회전하여, 상기 안착홈(130)의 상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안착홈(130)의 상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 이동되며, 기다란 일측 모서리의 일측 코너에 인접하게 형성된 제1 축홀(220)과, 기다란 일측 모서리의 타측 코너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아래를 향해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240)를 포함하는, 결찰 스위블 커버(200); 및 상기 관통 나사홀(126)에 나사 체결되며, 선단부가 상기 안착홈(130)의 내측에 도달할 때가지 나사 이송되어, 상기 선단부가 상기 안착홈(130)에 안착된 아치 와이어(W)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푸쉬볼트(4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벽(120)은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가 회전할 때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의 평평한 저면과 슬라이딩식으로 접하는 평평한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과 일정 각을 이루며 상기 안착홈(130)의 반대측에 위치한 외곽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벽(120)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1 축홀(220)에 대응되는 제2 축홀(122)과, 상기 끼움돌기(240)가 끼워지는 끼움홈(124)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300)은 상기 제1 축홀(220)을 지나 상기 제2 축홀(122)에 결합된다.

Description

스위블 커버를 갖춘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Self ligatio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with }
본 발명은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치 와이어가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스위블 커버의 회전에 의해 안착홈 상부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결찰이 용이하고, 조정 요구시 간편하게 결찰 상태를 해지한 후 다시 결찰시킬 수 있으며, 결찰 후 아치 와이어를 안착홈 내에 단단하고 신뢰성 있게 고정할 수 있는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아래 위 턱의 치아가 가지런하지 못하거나 정상적으로 맞물리지 않는 상태를 부정 교합이라 한다. 부정 교합인 경우 외관상 보기가 안 좋을 뿐 아니라, 기능적으로도 음식을 잘 씹는 것을 방해하고 발음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 더 나아가, 부정 교합을 계속 방치하게 되면, 충치 또는 잇몸 질환을 발생시키고, 신체의 다른 부분에도 악영향을 끼쳐 여러 다른 질병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부정 교합의 치료를 위해 치열 교정술이 이용된다. 치열 교정술은, 치열 교정기를 이용하여 규칙하게 배열된 치아들에 지속적인 힘을 가함으로써, 치아들을 원하는 위치로 조금씩 움직여줌으로써 치아들의 배열을 바로 잡는 교정 방법을 말한다. 치열 교정기는 치아들의 표면에 직접 부착되는 브래킷(bracket)들과, 브래킷들에 결합되어 치아에 소정의 압력 또는 장력을 제공하는 아치 와이어(Arch wire)를 포함한다. 치열 교정을 위하여, 상기 아치 와이어에 가해지는 압력과 장력 및 그 방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데, 그 조절하여 제공된 압력과 장력 및 그 방향에 따라 상기 목적 치아를 서서히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치열 교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치아의 교정 방식을 전체적으로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여, 오늘날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치열 교정방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치아 교정의 대상이 되는 목적 치아(10)를 중심으로 하여, 목적 치아(10)의 표면에는 브래킷(20)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20)들은 아치 와이어(30)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목적 치아(10)에 대해 지속적인 장력을 주기 위해서 아치 와이어(30)에 탄성부(32)를 형성하거나, 고무줄(40)을 이용하여 장력의 방향을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32)는 아치 와이어(30)의 일부를 U-자형, P-자형, R-자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부리면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원(fixed point)과 치아(10) 사이에 미세한 장력 또는 뒤틀림(torsion)을 형성함으로써 치아(1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고, 치아(10)의 자세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활용된다.
한편, 치열 교정을 진행하는 동안, 아치 와이어(30)는 고정원(fixed point)에 연결되어 있고, 소정의 압력과 장력을 제공하는 아치 와이어(30)에 의해 상기 브래킷(20) 및 치아(10)가 미세하게 이동하게 된다.
이때, 치아(10)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치아(10)를 둘러싸고 있는 뼈의 골조직은 점차 흡수되고, 반대쪽에서는 새로운 골조직이 형성되어 빈공간을 채우게 된다.
이와 같이, 골 세포들의 소멸과 생성 과정이 반복되어지고, 그 과정에서 상기 목적 치아(10)가 미세하게 이동하는 만큼, 치아의 교정이 서서히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교정방식으로 진행되는 치열 교정은 전술한 바와 같은 생물학적 치료를 수반하는 것이므로, 그 치료기간이 대체로 장시간을 요하게 되고, 대체로 2년 전후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치열 교정이 장시간을 요하게 되는 반면에, 타인과의 대화시 목적 치아의 표면에 부착된 브래킷(20)이 외부로 드러나게 되므로, 종래의 금속 브래킷은 점차 사라지게 되고, 투명한 재질의 브래킷을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 들어서면서는, 치열 교정과정에서 아치 와이어를 위에서 덮어서 외부에서 관찰되지 않도록 하는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이 소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브래킷은 외부에서 아치 와이어가 잘 관찰되지 않아서 미적 만족감을 부여해주는 장점이 있지만, 치아의 교정 상태에 따라, 상기 아치 와이어의 위치를 달리하거나, 아치 와이어의 인장력을 달리 해주거나, 또 다른 필요에 의해서 상기 아치 와이어를 손 보아야할 경우에, 쉽게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아치 와이어의 결찰이 용이함과 동시에 아치 와이어의 최초 결찰이나 조정 요구시 간편하게 결찰상태를 해지한 후 다시 결찰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치열 교정 치료 및 시술에 대한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가 결찰 치열 교정용 브래킷 조립체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몇몇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은 값비싼 기구(또는 장치)를 이용한 작업이 요구되는 특징들이 포함되어 있어서, 경제적이지 못하고, 작업이 상대적으로 어렵고, 복잡한 부품들로 구성되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아치와이어가 안착된 홈을 개폐하도록 회전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의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이 종래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은 폐쇄 상태로 회전한 커버가 본체(베이스)를 서로 고정하는 수단이 탄성적으로 맞물리는 홈들과 돌기를 포함하는 메카니즘으로 구성되는데, 이와 같은, 탄성적인 맞물림 또는 맞물림 해제를 위해 상당한 힘을 가해야 하고, 이와 같은 힘을 가하는 과정에서,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의 정렬이 흐트러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은, 아치 와이어가 안착되는 홈(슬롯)의 단면 형상 크기와 아치 와이어의 단면 형상 및 크기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치 와이어의 고정을 담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110982호 (2012.10.10.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106403호 (2015.09.21.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9-0008708호 (2019.01.25.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10224호 (009. 01.29.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치 와이어가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스위블 커버의 회전에 의해 안착홈 상부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결찰이 용이하고, 조정 요구시 간편하게 결찰 상태를 해지한 후 다시 결찰시킬 수 있으며, 결찰 후 필요에 따라서 아치 와이어를 안착홈 내에 단단하고 신뢰성 있게 고정할 수 있고, 치아를 이동시키는 힘의 인가를 위해 다른 구조물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후크를 필요한 경우에만 장착할 수 있도록 나사 체결 방식으로 구성한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는, 치아 표면과 대응되는 곡면 형상의 저면을 구비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형성된 채 서로 마주하는 제1 벽(120) 및 제2 벽(140)과, 상기 제1 벽(120)과 상기 제2 벽(140) 사이를 통과하는 아치 와이어(W)가 안착되도록 상기 제1 벽(120)과 상기 제2 벽(140) 사이에 형성된 안착홈(1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벽(120)의 외곽 측면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1 벽(120)을 관통하여 상기 안착홈(130)에 이르는 관통 나사홀(126)이 형성된, 본체블록(100); 힌지축(300)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벽(120)의 상부면 상에서 회전하여, 상기 안착홈(130)의 상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안착홈(130)의 상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 이동되며, 기다란 일측 모서리의 일측 코너에 인접하게 형성된 제1 축홀(220)과, 기다란 일측 모서리의 타측 코너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아래를 향해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240)를 포함하는, 결찰 스위블 커버(200); 및 상기 관통 나사홀(126)에 나사 체결되며, 선단부가 상기 안착홈(130)의 내측에 도달할 때까지 나사 이송되어, 상기 선단부가 상기 안착홈(130)에 안착된 아치 와이어(W)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푸쉬볼트(4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벽(120)은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가 회전할 때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의 평평한 저면과 슬라이딩식으로 접하는 평평한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과 일정 각을 이루며 상기 안착홈(130)의 반대측에 위치한 외곽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벽(120)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1 축홀(220)에 대응되는 제2 축홀(122)과, 상기 끼움돌기(240)가 끼워지는 끼움홈(124)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300)은 상기 제1 축홀(220)을 지나 상기 제2 축홀(122)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벽(140)의 외곽 측면에는 일정 깊이를 갖되, 그 깊이가 상기 안착홈(130)에 도달하기 전에 끝나는 나사홈(127)이 형성되되, 상기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는, 상기 나사홈(127)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 체결되는 나사 스템(520) 및 상기 나사 스템(520)의 기단에 형성된 볼 형태의 지지구(540)를 포함하는 후크(500)를 포함하며, 댕김 줄이 상기 지지구(540)에 걸리도록 상기 후크(500)에 결속되고, 상기 댕김줄은 상기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가 부착된 치아를 이동시키는 힘을 인가하도록 구강 내 다른 구조물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벽(120)의 상부면과 상기 제1 벽(120)의 외곽 측면 사이의 모서리에는 상기 제1 벽(120)의 상부면에서 아래를 향해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가이드 경사면(125)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경사면(125)은,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가 회전할 때, 상기 끼움 돌기(240)와 접하여, 상기 끼움 돌기(240) 및 상기 끼움 돌기(240)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의 점진적인 상승을 가이드하며, 상기 제2 벽(140)은 상기 제1 벽(120)의 상부면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130)의 일부를 구성하는 하부 내벽면(141)과 상기 하부 내벽면(141)보다 높게 위치한 상부 내벽면(142)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내벽면(142)에는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가 상기 안착홈(130)을 완전히 덮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의 타측 긴 모서리 부분을 수용하는 커버 수용홈(143)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벽(140)의 상단부에는,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의 타측 모서리 부분이 상기 커버 수용홈(143)에 수용되어 가려진 상태에서, 도구가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의 타측 모서리 부근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접근 허용 리세스(144)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300)은 헤드부(320)와 상기 헤드부(320)의 하부에 형성된 수나사부(340)로 구성되며,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헤드부(320)가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를 상기 베이스(110)의 제1 벽(120)의 상부면에 가압하는 상태까지, 상기 수나사부(340)가 상기 제1 축홀(220)에 형성된 암나사에 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는, 아치 와이어가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스위블 커버의 회전에 의해 안착홈 상부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결찰이 용이하고, 조정 요구시 간편하게 결찰 상태를 해지한 후 다시 결찰시킬 수 있으며, 결찰 후 필요에 따라서 아치 와이어를 안착홈 내에 단단하고 신뢰성 있게 고정할 수 있고, 치아를 이동시키는 힘의 인가를 위해 다른 구조물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후크를 나사 체결 방식으로 구성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치열 교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를 안착홈의 개방 위치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를 안착홈의 개방 위치에서 도시한 측면도로서, 삽입홈 부분은 단면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를 안착홈의 개방 위치에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를 안착홈의 폐쇄 위치에서 도시한 측면도로서, 삽입홈 부분은 단면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를 안착홈의 폐쇄 위치에서 도시한 측면도로서, 삽입홈 부분은 단면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의 베이스 저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의, 임의의 구조, 재료, 단계 또는 특징이 본 발명의 일부인 기타 실시예의 임의의 구조, 재료, 단계 또는 다른 특징과 함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상세한 설명 및 관련 도면이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거나 정의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를 안착홈의 개방 위치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를 안착홈의 개방 위치에서 도시한 측면도로서, 삽입홈 부분은 단면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를 안착홈의 개방 위치에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를 안착홈의 폐쇄 위치에서 도시한 측면도로서, 삽입홈 부분은 단면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를 안착홈의 폐쇄 위치에서 도시한 측면도로서, 삽입홈 부분은 단면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의 베이스 저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는 치열 교정시 치아 표면에 부착되어 아치 와이어(W)를 선택적으로 결찰 또는 결찰 해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체블록(100)과, 결찰 스위블 커버(200)와, 힌지축(300)과, 푸쉬볼트(400)와, 후크(50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블록(100)은 접착성 레진(또는, 접착제)에 의해 치아 표면에 부착되어 치아 배열방향으로 아치 와이어(W)의 안착이 가능하도록 치아 표면과 대응되는 곡면 형상의 저면을 구비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형성된 채 서로 마주하는 제1 벽(120) 및 제2 벽(140)과, 상기 제1 벽(120)과 상기 제2 벽(140) 사이를 통과하는 사각형(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의 아치 와이어(W)가 안착되도록 상기 제1 벽(120)과 상기 제2 벽(140) 사이에 형성된 안착홈(130)을 포함한다.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는, 평평한 하부면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다란 일측 모서리의 일측 코너에 인접하게 형성된 제1 축홀(220)과, 기다란 일측 모서리의 타측 코너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아래를 향해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2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축홀(220)과 상기 끼움돌기(240)는 상기 일측 모서리와 인접하게 그리고 평행하게 배열된다.
또한, 상기 제1 벽(120)은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가 회전할 때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의 평평한 저면과 슬라이딩식으로 접하는 평평한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과 직각을 이루며 상기 안착홈(130)의 반대측에 위치한 외곽 측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벽(120)의 평평한 상부면에는 상기 제1 축홀(220)에 대응되는 제2 축홀(122)과, 상기 끼움돌기(240)에 대응되는 끼움홈(124)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축홀(122)의 중심과 상기 끼움홈(124)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은 상기 안착홈(130)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는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축홀(220)과 상기 제2 축홀(122)에 삽입되는 힌지축(30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는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안착홈(130) 상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안착홈(130)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스위블 커버(200)는 상기 안착홈(130)을 막아, 그 아래에 위치한 아치 와이어(W)의 상하 움직임을 구속한다. 그리고,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끼움돌기(240)는 상기 끼움홈(124)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제1 벽(120)의 상부면과 상기 제1 벽(120)의 외곽 측면 사이의 모서리에는 상기 제1 벽(120)의 상부면에서 아래를 향해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가이드 경사면(125)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경사면(125)은,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가 회전할 때, 상기 끼움 돌기(240)와 접하여 상기 끼움 돌기(240) 및 그 끼움 돌기(240)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의 점진적인 상승을 가이드한다. 상기 제1 축홀(220)에 상기 힌지축(300)이 헐겁게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의 상승이 허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경사면(125)에 접하면서 상승한 끼움 돌기(240)는 상기 제1 벽(120)의 상부면 위로 올라탄 후, 상기 끼움홈(124) 내로 삽입되면서 다시 하강한다.
한편, 상기 제2 벽(140)은 상기 제1 벽(120)의 상부면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벽(140)의 내벽면은 상기 안착홈(130)의 일부를 구성하는 하부 내벽면(141)과 상기 하부 내벽면보다 높게 위치한 상부 내벽면(142)을 포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내벽면(142)에는 상기 커버 수용홈(143)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데, 상기 커버 수용 홈(143)은,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가 상기 안착홈(130)을 완전히 덮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의 타측 긴 모서리 부분을 수용한다. 또한, 상기 제2 벽(140)의 상단부에는 접근 허용 리세스(144)가 형성되는데, 상기 접근 허용 리세스(144)는,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의 타측 모서리 부분이 상기 커버 수용홈(143)에 수용되어 가려진 상태에서, 미세 두께를 갖는 도구가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의 타측 모서리 부근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며, 이에 따라, 시술자는 도구로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의 타측 모서리 부분을 밀어 폐쇄 위치에 있는 결찰 스위블 커버(2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힌지축(300)은 헤드부(320)와 상기 헤드부(320)의 하부에 형성된 수나사부(340)로 구성된 볼트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 축홀(122)은 상기 수나사부(340)가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축홀(220)의 직경은 상기 수나사부(340)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헤드부(320)의 외경보다는 작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축(300)은 상기 제1 축홀(220)과 협력하여, 상기 스위블 커버(200)가 상기 안착홈(130)의 상부를 완전히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안착홈(130)의 상부를 완전히 폐쇄시키는 폐쇄 위치까지 회전되는 것을 허용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헤드부(320)가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를 상기 베이스(100)의 제1 벽(120)의 상부면에 가압하는 상태까지, 상기 수나사부(340)가 상기 제1 축홀(122)에 형성된 암나사에 체결되어,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의 일측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가 상기 안착홈(130)의 상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아치 와이어(W)가 상기 안착홈(130)의 상부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이때, 안착홈(130)의 폭이 상기 아치 와이어(W)의 폭보다 미세하게 커서, 상기 아치 와이어(W)는 좌우로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다. 편의를 위해, 상기 아치 와이어(W)가 상기 안착홈(130)을 통과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 정의하고, 그와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 정의한다.
상기 아치 와이어(W)의 좌우 움직임을 막기 위해 전술한 푸쉬볼트(400)가 이용된다. 상기 제1 벽(120)의 외곽 측면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1 벽(120)을 관통하여 상기 안착홈(130)에 이르는 관통 나사홀(126)이 형성된다. 상기 푸쉬볼트(400)는 상기 관통 나사홀(126)에 나사 체결된다. 상기 푸쉬볼트(400)는 선단부가 상기 안착홈(130)의 내측에 도달할 때가지 나사 이송될 수 있다. 상기 푸쉬볼트(400)의 선단면은 상기 안착홈(130)에 안착된 아치 와이어(W)의 일측면과 면대면으로 접촉하는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푸쉬볼트(400)에 의해 상기 아치 와이어(W)가 상기 안착홈(130) 내에 좌우 움직임 없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벽(140)의 외곽 측면에는 일정 깊이를 갖되, 그 깊이가 상기 안착홈(130)에 도달하기 전에 끝나는 나사홈(127)이 형성된다. 전술한 후크(500)는 상기 나사홈(127)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 체결된다. 상기 후크(500)는 상기 나사홈(127)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 스템(520)과, 상기 나사 스템(520)의 기단에 형성된 볼 형태의 지지구(540)를 포함한다. 나사 스템(520)의 나사산 영역과 무나사산 영역을 포함한다. 스프링, 루버밴드, 와이어 등과 같은 댕김줄이 상기 지지구(540)에 걸리도록 상기 무나산 영역에 결속된다. 결속된 댕김줄은 이웃하는 다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조립체에 구비된 후크 또는 다른 구조물에 연결되어, 치아를 필요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인가하는데 참여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안착홈(130)에 아치 와이어(W)가 안착된 후, 개방 위치(도 3, 도 4, 도 5)에 있는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를 회전시켜 폐쇄 위치(도 6 및 도 7)로 이동시킨다.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중간에 끼움 돌기(240) 가이드 경사면(125)에 접하면서 상승하여 상기 제1 벽(120)의 상부면 위로 올라탄 후, 상기 끼움홈(124) 내로 삽입되면서 다시 하강한다. 이와 같은 폐쇄 위치에서,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의 타측 모서리가 상기 제2 벽(140)의 상부 내벽면(142)에 형성된 커버 수용홈(143)에 수용되고, 이에 따라,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120)의 상하 움직임이 구속된다. 상기 끼움 돌기(240)가 상기 끼움홈(124)에 끼워진 후, 상기 힌지축(300)의 일부인 수나사부(340)를 상기 제2 축홀(122)의 암나사부에 체결한다. 상기 나사 체결에 의해, 상기 힌지축(300)의 다른 일부인 헤드부(320)가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를 상기 본체 블록(100)에 대해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120)는 폐쇄 위치에서 상기 본체 블록(100)에 단단히 고정된다. 다음, 상기 제1 벽(120)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 나사홀(126)을 통해 상기 푸쉬볼트(400)를 나사 이동시켜, 상기 푸쉬볼트(400)는 자신의 선단부로 상기 안착홈(130)의 내측에 안착된 아치 와이어(W)를 가압한다. 이에 의해, 아치 와이어(W)를 상기 안착홈(130) 내에 좌우 움직임 없이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치아를 필요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상기 제2 벽(140)의 외곽 측면에 형성된 나사홈(127)에 전술한 후크(500)를 나사 체결로 결합하고, 스프링, 루버밴드, 와이어 등을 후크(540)의 지지구(540)에 걸리도록 결속시킨 후, 그 스프링, 루버밴드 또는 와이어 등을 다른 구조물에 연결하여, 치아에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는 힘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지지구(540)는 모서리 없는 매끈한 구 형태를 가짐으로써, 이물이 끼는 것이 방지된다. 후크(500)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후크(500)가 상기 나사홈(127)으로부터 분리된다. 후크(00)는 꼭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하고, 사용이 필요 없는 경우, 분리하는 것이 환자가 느끼는 편안함, 이물 끼임 등을 고려할 때, 훨씬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조립체는 상기 후크(500)가 분리된 나사홈(127)을 막기 위한 캡(미도시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은 상기 나사홈(127)에 체결되고 그 나사홈(127)의 깊이와 거의 같은 길이를 갖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캡의 나사부 외측 단부는 상기 지지구(540)의 구면과 연속되는 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블록(100)은 치아 표면에 부착시 부착면적이 증대되도록, 상기 본체블록(100)의 치아 표면에 대한 접합면, 즉, 상기 베이스(110)의 저면은 치아 표면과 대응되는 곡면을 갖는다.
한편, 접착성을 갖는 레진(또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의 본체블록(100)이 치아 표면에 부착된다. 본체블록(100)의 하부, 더 구체적으로는, 베이스(110)의 저면은 테두리부(111)와, 상기 테두리부(111)의 안쪽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 함몰부(112)와, 상기 테두리부(111)의 안쪽의 외곽, 즉, 상기 테두리부(111)와 상기 중앙 함몰부(112) 사이에 형성된 외곽 함몰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함몰부(112)와 상기 외곽 함몰부(113)가 상기 베이스(110)의 저면에 이중 단차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중앙 함몰부(112)의 함몰 깊이는 상기 외곽 함몰부(114)의 함몰 깊이보다 크다. 상기 베이스(110)의 저면과 치아 표면 사이에 레진을 개재시켜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를 치아 표면에 부착함에 있어서,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를 치아 표면에 대해 가압하는 것에 의해 베이스(110)의 저면과 치아 표면 사이의 레진은 압축되는데, 함몰 깊이가 가장 큰 중앙 함몰부(112)에서 레진이 가장 작게 압축된다.
이중 단차 구조를 적용하지 않는다면 베이스의 외곽 영역에서 치아 표면과의 부착 강도가 작아 이 부분에서 치아 표면에서 떨어질 우려가 많아지고 반면 중앙 영역에서는 치아 표면과의 부착 강도가 불필요하게 커져서,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를 치아 표면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치아 표면을 손상시키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 함몰부(112)에서는 레진이 덜 압축되어 부착 강도가 상대적으로 감소되고 반면에 외곽 함몰부(113)에서는 레진이 더 압축되어 부착 강도가 상대적으로 커짐으로써, 베이스(110)의 저면 전 영역에 걸쳐 치아 표면에 대한 부착 강도가 더욱 균일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10)의 저면은 상기 테두리부(111)의 안쪽에 위치한 채 상기 중앙 함몰부(112)의 바닥 또는 상기 외곽 함몰부(113)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복수개의 접합 돌부(117)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접합 돌부(117) 각각은 치아 표면에 상응하는 접합 표면을 포함하며, 접합 돌부들(117)의 접합 표면과 치아 표면 사이에 레진이 개재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술한 테두리부(111)의 저면과 치아 표면 사이에도 레진이 개재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본체 블록
110....................베이스
120....................제1 벽
122....................제2 축홀
124....................끼움홈
126....................관통 나사홀
130....................안착홈
140....................제2 벽
200....................결찰 스위블 커버
220....................제1 축홀
240....................끼움 돌기
300....................힌지축
400....................푸쉬볼트

Claims (3)

  1. 치아 표면과 대응되는 곡면 형상의 저면을 구비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형성된 채 서로 마주하는 제1 벽(120) 및 제2 벽(140)과, 상기 제1 벽(120)과 상기 제2 벽(140) 사이를 통과하는 아치 와이어(W)가 안착되도록 상기 제1 벽(120)과 상기 제2 벽(140) 사이에 형성된 안착홈(1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벽(120)의 외곽 측면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1 벽(120)을 관통하여 상기 안착홈(130)에 이르는 관통 나사홀(126)이 형성된, 본체블록(100);
    힌지축(300)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벽(120)의 상부면 상에서 회전하여, 상기 안착홈(130)의 상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안착홈(130)의 상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 이동되며, 기다란 일측 모서리의 일측 코너에 인접하게 형성된 제1 축홀(220)과, 기다란 일측 모서리의 타측 코너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아래를 향해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240)를 포함하는, 결찰 스위블 커버(200); 및
    상기 관통 나사홀(126)에 나사 체결되며, 선단부가 상기 안착홈(130)의 내측에 도달할 때가지 나사 이송되어, 상기 선단부가 상기 안착홈(130)에 안착된 아치 와이어(W)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푸쉬볼트(4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벽(120)은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가 회전할 때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의 평평한 저면과 슬라이딩식으로 접하는 평평한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과 일정 각을 이루며 상기 안착홈(130)의 반대측에 위치한 외곽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벽(120)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1 축홀(220)에 대응되는 제2 축홀(122)과, 상기 끼움돌기(240)가 끼워지는 끼움홈(124)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300)은 상기 제1 축홀(220)을 지나 상기 제2 축홀(122)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벽(120)의 상부면과 상기 제1 벽(120)의 외곽 측면 사이의 모서리에는 상기 제1 벽(120)의 상부면에서 아래를 향해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가이드 경사면(125)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경사면(125)은,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가 회전할 때, 상기 끼움 돌기(240)와 접하여, 상기 끼움 돌기(240) 및 상기 끼움 돌기(240)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의 점진적인 상승을 가이드하며, 상기 제2 벽(140)은 상기 제1 벽(120)의 상부면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130)의 일부를 구성하는 하부 내벽면(141)과 상기 하부 내벽면(141)보다 높게 위치한 상부 내벽면(142)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내벽면(142)에는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가 상기 안착홈(130)을 완전히 덮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의 타측 긴 모서리 부분을 수용하는 커버 수용홈(143)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벽(140)의 상단부에는,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의 타측 모서리 부분이 상기 커버 수용홈(143)에 수용되어 가려진 상태에서, 도구가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의 타측 모서리 부근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접근 허용 리세스(144)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300)은 헤드부(320)와 상기 헤드부(320)의 하부에 형성된 수나사부(340)로 구성되며,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헤드부(320)가 상기 결찰 스위블 커버(200)를 상기 베이스(110)의 제1 벽(120)의 상부면에 가압하는 상태까지, 상기 수나사부(340)가 상기 제1 축홀(220)에 형성된 암나사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벽(140)의 외곽 측면에는 일정 깊이를 갖되, 그 깊이가 상기 안착홈(130)에 도달하기 전에 끝나는 나사홈(127)이 형성되되, 상기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는, 상기 나사홈(127)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 체결되는 나사 스템(520) 및 상기 나사 스템(520)의 기단에 형성된 볼 형태의 지지구(540)를 포함하는 후크(500)를 포함하며, 댕김줄이 상기 지지구(540)에 걸리도록 상기 후크(500)에 결속되고, 상기 댕김줄은 상기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가 부착된 치아를 이동시키는 힘을 인가하도록 구강 내 다른 구조물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3. 삭제
KR1020200107493A 2020-08-26 2020-08-26 스위블 커버를 갖춘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KR102160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493A KR102160387B1 (ko) 2020-08-26 2020-08-26 스위블 커버를 갖춘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493A KR102160387B1 (ko) 2020-08-26 2020-08-26 스위블 커버를 갖춘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387B1 true KR102160387B1 (ko) 2020-09-25

Family

ID=72707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493A KR102160387B1 (ko) 2020-08-26 2020-08-26 스위블 커버를 갖춘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3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979B1 (ko) 2021-02-05 2021-04-07 김덕수 교체형 슬롯블록을 갖춘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CN114209458A (zh) * 2022-01-19 2022-03-22 浙江益可森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主被动一体自锁托槽
KR102455441B1 (ko) 2021-12-15 2022-10-18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슬라이드형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KR102455440B1 (ko) 2021-11-16 2022-10-18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회전 롤러형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254B1 (ko) * 2006-07-26 2007-07-19 박숙규 회동식 치아 교정용 브라켓
US20070243497A1 (en) * 2006-04-18 2007-10-18 Ceramic Sciences Incorporated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KR20090010224A (ko) 2006-05-04 2009-01-29 월드 클래스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 언 오레곤 코퍼레이션 회전 결찰 커버를 구비한 치열교정 브라켓
KR20120110982A (ko) 2011-03-31 2012-10-10 정재욱 와이어 덮개부 및 그를 구비한 치열 교정기
JP5236266B2 (ja) * 2007-12-03 2013-07-17 信 長谷川 歯科矯正用のワイヤ保持装置及び歯科矯正装置
KR20150106403A (ko) 2012-11-16 2015-09-21 월드 클래스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 슬라이딩 커버를 가진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 장치
KR101729995B1 (ko) * 2016-06-10 2017-05-11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자가 결찰식 치열교정 브래킷 조립체
KR20190008708A (ko) 2017-07-17 2019-01-25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자가 결찰식 치열교정 브래킷 조립체
KR102018736B1 (ko) * 2019-05-08 2019-09-06 주식회사 월드바이오텍 치열교정 브라켓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3497A1 (en) * 2006-04-18 2007-10-18 Ceramic Sciences Incorporated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KR20090010224A (ko) 2006-05-04 2009-01-29 월드 클래스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 언 오레곤 코퍼레이션 회전 결찰 커버를 구비한 치열교정 브라켓
KR101307190B1 (ko) * 2006-05-04 2013-09-11 월드 클래스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 언 오레곤 코퍼레이션 회전 결찰 커버를 구비한 치열교정 브라켓
KR100741254B1 (ko) * 2006-07-26 2007-07-19 박숙규 회동식 치아 교정용 브라켓
JP5236266B2 (ja) * 2007-12-03 2013-07-17 信 長谷川 歯科矯正用のワイヤ保持装置及び歯科矯正装置
KR20120110982A (ko) 2011-03-31 2012-10-10 정재욱 와이어 덮개부 및 그를 구비한 치열 교정기
KR20150106403A (ko) 2012-11-16 2015-09-21 월드 클래스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 슬라이딩 커버를 가진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 장치
KR101729995B1 (ko) * 2016-06-10 2017-05-11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자가 결찰식 치열교정 브래킷 조립체
KR20190008708A (ko) 2017-07-17 2019-01-25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자가 결찰식 치열교정 브래킷 조립체
KR102018736B1 (ko) * 2019-05-08 2019-09-06 주식회사 월드바이오텍 치열교정 브라켓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979B1 (ko) 2021-02-05 2021-04-07 김덕수 교체형 슬롯블록을 갖춘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WO2022169053A1 (ko) * 2021-02-05 2022-08-11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교체형 슬롯블록을 갖춘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
KR102455440B1 (ko) 2021-11-16 2022-10-18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회전 롤러형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KR102455441B1 (ko) 2021-12-15 2022-10-18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슬라이드형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WO2023113247A1 (ko)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슬라이드형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CN114209458A (zh) * 2022-01-19 2022-03-22 浙江益可森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主被动一体自锁托槽
CN114209458B (zh) * 2022-01-19 2024-03-22 浙江益可森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主被动一体自锁托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0387B1 (ko) 스위블 커버를 갖춘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KR101693239B1 (ko)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US11065088B2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7674110B2 (en) Low profile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s and methods of using such orthodontic brackets
MXPA04000426A (es) Freno ortodontico autoligante estetico.
CN212650932U (zh) 牙齿矫正支架
CA3055789C (en) Self-ligating bracket having a ligating member
KR20190008708A (ko) 자가 결찰식 치열교정 브래킷 조립체
JP2004255190A (ja) ブラケット
CN101926684A (zh) 齿科矫正用托架
JP2023551941A (ja) 自己結紮矯正用ブラケット
KR102237979B1 (ko) 교체형 슬롯블록을 갖춘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CN108430381A (zh) 自锁式托架
US20100151401A1 (en) Orthodontic implant cap and orthodontic treatment assembly including same
US11452582B2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KR100392217B1 (ko) 치열 교정 틀
KR101698126B1 (ko)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CN219557594U (zh) 一种颌面口腔用正牙植入系统
KR102080210B1 (ko)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KR20240104509A (ko) 치열교정용 브라켓
KR20070050049A (ko) 치열교정에 사용되는 기계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