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217B1 - 치열 교정 틀 - Google Patents

치열 교정 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217B1
KR100392217B1 KR10-2000-0040025A KR20000040025A KR100392217B1 KR 100392217 B1 KR100392217 B1 KR 100392217B1 KR 20000040025 A KR20000040025 A KR 20000040025A KR 100392217 B1 KR100392217 B1 KR 100392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orthodontic
malocclusion
synthetic resin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6391A (ko
Inventor
박영철
이종석
Original Assignee
박영철
이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철, 이종석 filed Critical 박영철
Priority to KR10-2000-0040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2217B1/ko
Publication of KR20020006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2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부정교합치(덧니,옥니, 뻐드렁니, 벌어진니, 등)를 정교하고 바르게 정상위치로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치열 교정 틀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부정교합치(41)가 있는 치열에 끼워맞춤 되도록 내측에 치열안착부(11)가 형성된 교정 틀(10)에 있어서, 상기 내측에 치열안착부(11)가 형성된 교정 틀(10)은 부정교합치(41)와 접촉되어 그 부정교합치에 힘을 가하는 교정포인트부분의 해당 측면에만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12)로 형성되고 그 이외의 나머지 모든부분은 경질의 단일 합성수지(13)로 형성시켜 된 것이다.

Description

치열 교정 틀{Dentition orthodontic device}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부정교합치(덧니,옥니, 뻐드렁니, 벌어진니, 등)를 정교하고 바르게 정상위치로 교정할 수 있도록 한 치열 교정 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교정틀은 부정교합치와 접촉되어 그 부정교합치에 힘을 가하는 교정포인트부분의 해당 측면에만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그 이외의 나머지 모든부분은 경질의 단일 합성수지로 형성시켜 된 것이다.일반적으로 부정교합치를 교정하는 수단은 부정교합치에 접촉되는 브라켓과 그 브라켓을 고정하여 주는 와이어가 구비된 치열 교정수단 및 부정교합치가 있는 치열에 끼워마춤 하여 상기 부정교합치를 교정하는 교정틀이 있다.
상기 브라켓과 와이어를 이용한 치열교정수단의 구성은 도 1과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아에 접촉되는 브라켓(50,50a)은 일측에 부정교합치 및 정상치아(41,42)와 접촉되는 베이스(51,51a)가 마련되고 그 베이스(51,51a)상에는 와이어(56)가 삽입 안착되는 수평 또는 수직슬롯(52,52a)이 형성된 고정구(53,53a)가 마련되며 상기 슬롯(52,52a)의 양측에는 와이어(56)를 결착하는 철사(54,54a)를 고정하도록 고정편(55,55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치열교정용 브라켓(50))50a) 중 수평슬롯(52)이 형성된 브라켓(50)은 와이어(56)의 삽입 안착되는 방향이 치아교정시 빠지는 방향임으로 그 와이어(56)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사(54)등으로 와이어(56)와 고정편(55) 및 고정구(53)를 감싸며 결착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번거로움과 어려움이 있어 부정교합치(41)를 효과적으로 교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외에도 수평슬롯(52)이 형성된 브라켓(50)은 와이어(56)를 결착하는 철사(54)가 그 와이어(56)는 물론, 고정편(55)과 고정구(53)를 감싸기 때문에 구강의 위생관리가 어렵고 브라켓(50)의 회전조절이 난해하며 와이어(56)의 삽입안착 및 해체작업이 복잡하고 슬롯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음으로 교정상태를 파악하기가 어려움과 동시에 치료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수직슬롯(52a)이 형성된 브라켓(50a)은 기울기 조절이 힘들고 어려워 발치 치료에서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브라켓(50,50a)을 이용한 부정교합치의 교정을 위해서는 수평슬롯(52)이 형성된 브라켓(50)과 수직슬롯(52a)이 형성된 브라켓(50a)을 필요에 따라 겸용해서 사용하거나 교환해가며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부정교합치가 있는 치열에 끼워마춤 하여 상기 부정교합치를 교정하는 종래의 교정틀은 도 3a 내지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정교합치(41)가 교정되는 교정력저장부(43)는 물론, 그 이외의 모든 부분이 한 종류의 재질로 되어있어 부정교합치(41)를 원할하게 교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교정틀은 부정교합치의 교정포인트 부분에 정확하게 힘을 가할 수 없어 정교한 치아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부정교합치와 접촉되어 그 부정교합치에 힘을 가하는 교정포인트부분의 해당 측면에만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그 이외의 나머지 모든 부분은 경질의 단일 합성수지로 형성시켜 다양한 형태의 부정교합치(덧니,옥니, 뻐드렁니, 벌어진니, 등)를 정교하고 바르게 정상위치로 교정할 수 있도록 한 치열 교정 틀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방법에 의한 치열을 교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치열 교정장치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부정교합치의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치열 교정틀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 치열 교정틀 단면을 나타낸 실시예도,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치열 교정틀을 이용하여 부정교합치를 교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의 치열 교정틀 고정구 발췌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교정 틀 11 : 치열안착부
12 : 연질의 합성수지 13 : 경질의 합성수지20 : 교정수단 21 : 돌기
22 : 일자형 편 23 : 교정구
23a : 교정편 23b : 끼움구
23c : 지지편 23d : 끼움홈
24 : 유리섬유재 30 : 고정구
31 : 스크류부 32 : 평활부
33 : 헤드부 33a : 와이어슬롯
33b : 탄성끈결착홈 40 : 치열
41 : 부정교합치 42 : 정상치아
43 : 교정력저장부 44 : 잇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열 교정틀에 대한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본 발명은 부정교합치(41)가 있는 치열에 끼워맞춤 되도록 내측에 치열안착부(11)가 형성된 교정 틀(10)에 있어서, 상기 내측에 치열안착부(11)가 형성된 교정 틀(10)은 부정교합치(41)와 접촉되어 그 부정교합치에 힘을 가하는 교정포인트부분의 해당 측면에만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12)로 형성되고 그 이외의 나머지 모든 부분은 경질의 단일 합성수지(13)로 형성로 형성시켜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치열 교정틀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치열 교정틀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 치열 교정틀 단면을 나타낸 실시예도이며,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치열 교정틀을 이용하여 부정교합치를 교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치열 교정틀 고정구 발췌 사시도로써,본 발명은 먼저 도 4, 도 5a,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열(40)과 동일한 형태의 치열안착부(11)가 형성된 교정틀(10)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교정틀(10)의 내부는 치열이 결합되는 치열안착부(11)가 형성되고, 그 치열안착부(11)가 형성된 교정틀(10)은 부정교합치(41)와 직접 접촉되어 그 부정교합치(41)에 힘을 가하는 교정포인트부분의 해당 측면에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12)가 형성되고 그 이외의 나머지 모든 부분은 경질의 단일 합성수지(13)로 형성시킨다.단, 상기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12)와 그 이외의 나머지 모든 부분인 경질의 단일 합성수지(13)는 교정틀(10)의 제조당시에 일체가 되게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 교정틀(10)은 치아와 동일한 색상을 갖도록 제조됨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투명합성수지로 형성시켜 사용해도 된다.상기 교정포인트부분의 해당 측면에만 형성된 연질의 합성수지(12)는 정상적인 치열로부터 비정상적으로 위치한 부정교합치(덧니,옥니, 뻐드렁니, 벌어진니, 등)(41)와 직접 접촉되어 상기 부정교합치(41)를 교정력저장부(43)로 밀어넣는 역활을 한다. 이때 상기 연질의 합성수지(12)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부정교합치(41)와 접촉되면 그 부정교합치의 비정상 위치만큼 신장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면서 상기 부정교합치(41)를 교정력저장부(43)로 서서히 밀어넣어 교정하게 되는 것이다.또한, 상기 연질의 합성수지(12)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부분을 경질의 단일 합성수지(13)로 형성시킨 이유는, 첫째, 부정교합치(41)를 교정할 때에 그 주위에 위치한 정상치아(42)를 안전하고 견고하게 잡아줌은 물론, 부정교합치에 정상적인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둘째, 부정교합치(41)가 교정되면서 인접한 정상치아(42)와 접촉되어 그 정상치아(42)를 건드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정상치아(42)가 움직이면 치열교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상기 정상치아(42)를 견고하고 안전하게 잡아주기 위함이다.
따라서 부정교합치(41)와 직접 접촉되어 그 부정교합치(41)에 힘을 가해주는 부분은 연질의 합성수지(12)로 하고, 부정교합치(41)의 인접 부분에 위치한 정상치아(42)를 잡아주며 지지하는 부분은 경질의 합성수지(13)로 함이 바랍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도 5a 및 도 6a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이다.한편 본 발명의 도 5b 및 도 6b에 나타낸 교정수단(20)은 구형의 돌기(21)로 된 것으로써, 이는 부정교합치(41)의 교정포인트에 접촉되어 그 부정교합치(41)를 수평/수직방향으로 교정할때에 사용되고, 도 5c 및 도 6c의 교정수단(20)은 사다리꼴 형태의 일자형 편(22)으로 된 것으로써 부정교합치(41)의 정교한 조정을 할때에 사용된다.
단 상기 사다리꼴 형태의 일자형 편(22)은 면적이 넓은 부분을 부정교합치의 교정포인트에 접촉되게 하고 면적이 좁은 부분을 교정틀(10)의 치열안착부(11)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 도 5d 및 도 6d의 교정수단(20)은 교정구(23)로써, 이는 끼움구(23b)가 형성된 교정편(23a)과 끼움홈(23d)이 형성된 지지편(23c)이 분해결합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끼움구(23b)와 끼움홈(23d)은 적어도 3각 이상이 되게 형성시켜 상기 교정편(23a)과 지지편(23c)이 결합 후 회전되지 않게 하였다.
이때 상기 교정편(23a)은 부정교합치(41)의 교정포인트에 접촉되게 하고 지지편(23c)은 교정틀(10)의 치열안착부(11)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e에 나타낸 것을 교정틀(10)의 치열안착부(11)에 유리섬유재(24)를 뎃데어 강도를 향상시킨 것이고, 그 이유는 치열안착부(11)의 강도를 향상시켜 정상치아(42)를 안전하고 견고하게 잡아주며 지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도 6e는 치아가 하부 또는 상부로 돌출된 상태의 부정교합치(41)를 잇몸(44)으로 밀어넣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써, 이때에는 교정틀(10)을 치열(40)에 결합하고 고정구(30)를 이용하여 상기 교정틀(10)이 위치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한편 상기 고정구(3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에는 뼈에 식립되는 스크류부(31)가 형성되고 그 스크류부(31)의 상부에는 잇몸(44)의 연조직에 식립되는 평활부(32)가 형성되며 상기 평활부(32)의 상부 상면에는 와이어슬롯(33a)이 형성되고 그 와이어슬롯(33a)의 하부 원주부에는 탄성끈결착홈(33b)이 형성되어 있다.
단 상기 고정구(30)는 교정틀(10)을 고정할때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도 1과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브라켓(50)과 와이어(56)를 이용한 부정교합치(41)를 교정할때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30)를 이용하여 상기 교정틀(10)을 관통하며 뼈와 잇몸(44)에 식립하는 이유는 교정틀(10)이 치열(40)으로부터 빠져나오거나 위치 이탈하지 않고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되어 부정교합치(41)를 교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치열 교정틀을 이용한 부정교합치를 교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도 5a 및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정틀(10)을 부정교합치(41)가 있는 치열(40)에 끼워마춤 하면 경질의 합성수지(12) 부분은 부정교합치(41)와 강제 접촉되고 그 강제 접촉된 부정교합치(41)는 상기 연질의 합성수지가 가지고 있는 탄성력에 의해 교정력저장부(43)로 서서히 이동시키면서 교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돌기(21)가 형성된 도 5b 도 6b의 교정틀(10)을 이용하여 부정교합치(41)을 교정하는 예로써, 이는 교정틀(10)의 치열안착부(11) 교정포인트에 돌기(21)의 일측면(평평한 면)을 접착하고, 상기 돌기(21)의 타측면(구형의 선단부)이 부정교합치(41)의 교정포인트에 접촉되게 하여 상기 돌기(21)가 부정교합치(41)를 정교하게 교정하게 하였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 3은 도 5c 및 도 6c의 교정틀(10)과 사다리꼴 형태의 일자형 편(22)을 이용하여 부정교합치(41)을 교정하는 예로써, 이는 상기 사다리꼴 형태의 일자형 편(22) 일측면(넓은면)을 부정교합치(41)의 교정포인트에 직접 부착시키고 상기 일자형 편(22)의 타측면(좁은면)은 교정틀(10)의 치열안착부(11) 교정포인트에 접촉되게 하여 그 일자형 편(22)이 부정교합치(41)를 정교하게 교정하게 하였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실시예 4는 도 5d 및 도 6d의 교정틀(10)과 교정편(23a)과 지지편(23c)으로 이루어진 교정구(23)를 이용하여 부정교합치(41)을 교정하는 예로써, 이는 교정편(23a)을 부정교합치(41)의 교정포인트에 직접 접착시키고 지지편(23c)이 교정틀(10)의 치열안착부(11) 교정포인트에 접촉되게 하여 상기 교정구(23)가 부정교합치(41)를 부작용 없이 정교하고 안전하게 교정되게 하였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부정교합치와 접촉되어 그 부정교합치에 힘을 가하는 교정포인트부분의 해당 측면에만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그 이외의 나머지 모든 부분은 경질의 단일 합성수지로 형성시킴으로서써, 다양한 형태의 부정교합치(덧니,옥니, 뻐드렁니, 벌어진니, 등)를 정교하고 바르게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부정교합치(41)가 있는 치열에 끼워맞춤 되도록 내측에 치열안착부(11)가 형성된 교정 틀(10)에 있어서,
    상기 내측에 치열안착부(11)가 형성된 교정 틀(10)은 부정교합치(41)와 접촉되어 그 부정교합치에 힘을 가하는 교정포인트부분의 해당 측면에만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12)로 형성되고 그 이외의 나머지 모든부분은 경질의 단일 합성수지(13)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0-0040025A 2000-07-12 2000-07-12 치열 교정 틀 KR100392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025A KR100392217B1 (ko) 2000-07-12 2000-07-12 치열 교정 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025A KR100392217B1 (ko) 2000-07-12 2000-07-12 치열 교정 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391A KR20020006391A (ko) 2002-01-19
KR100392217B1 true KR100392217B1 (ko) 2003-07-22

Family

ID=19677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025A KR100392217B1 (ko) 2000-07-12 2000-07-12 치열 교정 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22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258B1 (ko) * 2000-08-17 2003-02-17 이동환 치아 교정용 임플란트
KR100430770B1 (ko) * 2002-06-27 2004-05-17 박영철 임플랜트
KR102281789B1 (ko) * 2020-03-18 2021-07-26 주식회사 그래피 3d 프린팅을 이용한 환자 맞춤형 치아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
KR102244439B1 (ko) * 2020-12-10 2021-04-29 주식회사 그래피 교정력을 높인 투명 치아 교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391A (ko) 200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7524Y1 (ko) 교정틀 고정구
JP3059430B1 (ja) 歯科矯正装置
JP3512466B2 (ja) 歯列矯正ブラケット
JP5175291B2 (ja) 歯科アタッチメントアセンブリ
JP2004526484A (ja) 開位置又は閉位置への偏向性を有する結紮カバーを含む自己結紮歯列矯正ブラケット
JPH0371896B2 (ko)
KR100744838B1 (ko) 치과용 마이크로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KR102039010B1 (ko) 경사 어버트먼트
KR100392217B1 (ko) 치열 교정 틀
KR200474677Y1 (ko) 경구개의 손상을 최소화한 치열 교정용 지지부재
US7780441B2 (en) Mounting device for orthodontic retainer elements and a method of maintaining said elements in place for mounting on corresponding teeth
JPS62299259A (ja) 義歯床取付け構造体及び方法
KR100698931B1 (ko) 치과용 보철물
KR101744000B1 (ko) 치아 교정장치
KR100404243B1 (ko) 치아교정용 앵커식립장치
KR100320027B1 (ko) 치열교정용 브라켓
KR102292489B1 (ko) 어버트먼트 홀더
KR101897702B1 (ko)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장치
KR102024911B1 (ko) 편심형 힐링 어버트먼트
KR100614975B1 (ko)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설치방법
KR200395918Y1 (ko) 치과용 보철물
KR101833808B1 (ko)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원 및 이를 위한 교정 서포터
KR102181712B1 (ko)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
KR101919411B1 (ko) 치아교정기 및 치아교정 어셈블리
KR200230476Y1 (ko) 임플란트 위치결정 가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