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774A - 굴삭기용 커플러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774A
KR20210010774A KR1020190087693A KR20190087693A KR20210010774A KR 20210010774 A KR20210010774 A KR 20210010774A KR 1020190087693 A KR1020190087693 A KR 1020190087693A KR 20190087693 A KR20190087693 A KR 20190087693A KR 20210010774 A KR20210010774 A KR 20210010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wheel
excavator
worm
bearing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2286B1 (ko
Inventor
최연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테크
Priority to KR1020190087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286B1/ko
Publication of KR20210010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77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allowing movement, e.g. rotation or translation, of the tool around or along another axis as the movement implied by the boom or arms, e.g. for tilting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용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굴삭기에 버킷 등의 작업용 장비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용 장비가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굴삭기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다양한 방향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연결된 작업용 장비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하는 굴삭기용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굴삭기의 아암의 단부에 연결되는 상부 몸체와, 작업용 장비가 연결되는 하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는 상부 몸체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는 웜휠 하우징과, 상기 웜휠 하우징의 내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하단이 하부 몸체의 상면에 고정되는 웜휠과, 상기 웜휠 하우징의 측부에 형성되되, 상기 웜휠과 치합되는 웜이 내부에 구비되는 웜 설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굴삭기용 커플러{a coupler for an excavator}
본 발명은 굴삭기용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굴삭기에 버킷 등의 작업용 장비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용 장비가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굴삭기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다양한 방향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연결된 작업용 장비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하는 굴삭기용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 등의 건설, 토목용 중장비에서는 브레이커, 버킷, 크러셔 등의 작업기구를 이용하여 땅을 파거나 땅에서 파낸 흙을 처리하거나 암석 등을 파쇄하는 등의 작업을 행하게 되며, 이들 작업기구들은 작업의 내용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에 작업기구를 결합하기 위한 장치는 굴삭기의 암대 선단에 한 쌍의 결합핀으로 커플러가 결합되고, 커플러 일측에는 고정훅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가동훅이 회동 가능케 결합되며, 가동훅은 커플러 내에 장착된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훅 및 가동훅에는 작업기구의 상측에 형성된 고정핀이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암대의 선단에 결합된 커플러를 작업기구의 상측에 근접시키고 고정훅에는 고정핀을 삽입시키고 타측의 가동훅에는 다른 고정핀을 결합시키게 되는데, 가동훅은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개폐작동되어 내부에 고정핀이 결합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굴삭기용 커플러는 굴삭기의 암대에 고정설치되므로 다양한 방향으로 다양한 작업을 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928795호에 기재된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상부가 굴삭기의 붐대 및 링크에 연결되며, 한 쌍의 마주보는 플레이트(101)로 구성된 상부바디(100)와; 상기 두 플레이트(101) 하부를 연결하며, 중앙 저부에 원통형의 베어링내측고정부(111)가 하향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베어링내측고정부(111)의 내부를 관통하는 로터리조인트(112)가 연결되어 있는 상부바닥판(110)과; 상하로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취하되, 상측 둘레는 상기 상부바닥판(110) 하부에 볼트 고정되어 있고, 하부에는 휠안착부(121)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사각 박스 형태의 웜설치부(122)가 형성되어 있는 웜휠하우징(120)과; 하부에 상기 휠안착부 상에 안착되는 안착홈(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 내주면에는 상기 베어링내측고정부와 마주하여 중앙 측으로 돌출된 베어링안착턱(132)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 둘레에 톱니부(133)가 형성되어 있는 웜휠(130)과; 상기 웜설치부(122)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외주면이 상기 톱니부(133)와 치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에 모터가 연결되어 있어 중심축을 회전하면서 외주면이 상기 톱니부(133)와 치합되어 웜휠(130)을 회전시키는 웜(140)과; 상부가 상기 웜휠(130)에 고정되어 있고, 중앙에는 상기 로터리조인트(112)를 감싸는 조인트하우징이 설치되어 있는 하부회전판(150)과; 상기 하부회전판에 의해 양측이 연결되는 한 쌍의 마주보는 플레이트(161)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가동후크(162)와 고정후크(16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웜휠(130)과 볼트결합되어 웜휠(13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는 하부바디(160)와; 상기 베어링내측고정부(111)에 일측이 접촉되어 지지되고, 타측은 베어링안착턱(132)에 안착되어 있으며, 웜휠(130)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베어링(17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928795호에 기재된 기술은 웜(140)과 웜휠(130)을 사용하여 하부 바디(160)를 회전시킬 수 있어, 하부 바디(160)에 설치되는 장비들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다양한 각도에서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은 있으나, 웜휠(130)이 설치되는 웜휠하우징(120)의 내측 상부에만 베어링이 구비되므로 작업을 위하여 장비의 상하 각도를 변경할 경우, 웜휠(130)의 상하 각도가 틀어지게 됨으로써, 베어링 및 웜휠(130)에 상당한 부하가 가해지게 되어 안정적인 회전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웜휠(130)이 쉽게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2879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굴삭기의 아암의 단부에 연결되는 상부 몸체와 버킷 등의 작업용 장비가 연결되는 하부 몸체의 사이에 회전부를 구비하여 작업용 장비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는 웜과 웜휠로 이루어지되, 웜휠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베어링을 구비하여 작업 장비의 상하 각도가 달라지더라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베어링을 회전부를 구성하는 웜휠과 웜휠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회전부의 내구성을 높여주고 더불어 작업용 장비가 유격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굴삭기용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부는 웜휠, 웜 및 웜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웜을 제어하여 하부 몸체의 회전정도를 제어하게 되는데, 웜의 형상을 중심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웜휠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기어부와 접하는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웜의 회전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기어 산에 힘이 분산되도록 하여 내구성을 높여줄 수 있는 굴삭기용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굴삭기의 아암의 단부에 연결되는 상부 몸체와, 작업용 장비가 연결되는 하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는 상부 몸체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는 웜휠 하우징과, 상기 웜휠 하우징의 내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하단이 하부 몸체의 상면에 고정되는 웜휠과, 상기 웜휠 하우징의 측부에 형성되되, 상기 웜휠과 치합되는 웜이 내부에 구비되는 웜 설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웜휠의 상부와 하부에는 웜휠 하우징과의 사이에 상부 베어링과 하부 베어링이 구비되되, 상기 상부 베어링과 하부 베어링은 웜휠과 웜휠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부 베어링은 웜휠의 외주면 중심부에 형성되는 기어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내측 베어링부와, 상기 웜휠 하우징의 상부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외측 회전체와, 상기 상부 내측 베어링부와 상부 외측 회전체의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볼 수용부에 수용된 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베어링은 웜휠의 외주면 중심부에 형성되는 기어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내측 베어링부와, 상기 웜휠 하우징의 하부에 상기 하부 내측 베어링부에 대응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외측 베어링부와, 상기 하부 내측 베어링부와 하부 외측 베어링부의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볼 수용부에 수용된 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웜은 상기 웜휠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기어부의 산과 골의 반경에 대응되도록 중심부가 오목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굴삭기의 아암의 단부에 연결되는 상부 몸체와 버킷 등의 작업용 장비가 연결되는 하부 몸체의 사이에 회전부를 구비하여 작업용 장비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는 웜과 웜휠로 이루어지되, 웜휠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베어링을 구비하여 작업 장비의 상하 각도가 달라지더라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베어링을 회전부를 구성하는 웜휠과 웜휠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회전부의 내구성을 높여주고 더불어 작업용 장비가 유격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부는 웜휠, 웜 및 웜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웜을 제어하여 하부 몸체의 회전정도를 제어하게 되는데, 웜의 형상을 중심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웜휠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기어부와 접하는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웜의 회전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기어 산에 힘이 분산되도록 하여 내구성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굴삭기용 커플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굴삭기용 커플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커플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커플러의 종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커플러의 웜 부분의 횡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커플러의 상부 베어링 부분의 횡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커플러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커플러의 종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의 B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커플러의 웜 부분의 횡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커플러의 상부 베어링 부분의 횡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굴삭기용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굴삭기의 아암의 단부에 연결되는 상부 몸체(200)와 작업용 장비(700)가 연결되는 하부 몸체(600)와 상기 상부 몸체(200)와 하부 몸체(600)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부(3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300)는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몸체(600)를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어, 하부 몸체(600)에 고정 설치되는 버킷과 같은 작업용 장비(700)를 360°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굴삭기가 위치한 방향에 따라 작업이 불가능한 방향이 있어, 굴삭기의 위치나 방향을 전환하여야 작업이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작업용 장비(700)를 회전시킬 수 있어 굴삭기의 방향이나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고서도 다양한 방향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몸체(200)는 상기 회전부(300)의 상단이 결합되는 상판부재(210)와 상기 상판부재(310)의 양측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 측판(220)으로 이루어져, 굴삭기의 아암의 단부에 연결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몸체(600)는 회전부(300)의 하부가 연결되는 회전판(610)과 상기 회전판(610)의 양측에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측판(620)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하부 측판(620)의 하부 일측에는 작업용 장비(700)의 상부가 결합되는 고정후크(622)가 형성되고, 하부 측판(620)의 사이에는 고정후크(622)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가동후크(6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동후크(630)는 하부 측판(620) 사이에 구비되는 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이동하게 되어, 상기 하부 몸체(600)의 하부에 버킷 등의 작업용 장비(700)가 용이하게 착탈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부(300)는 원통형상의 웜휠 하우징(400)과 상기 웜휠 하우징(40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웜휠(500)과 상기 웜휠 하우징(400)의 측부에 상기 웜휠(500)에 치합되도록 구비되는 웜(4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웜휠 하우징(400)의 상단 외주면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 몸체(200)를 형성하는 상판부재(210)의 가장자리에 나사 결합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웜휠(500)의 하단에는 상기 하부 몸체(600)를 구성하는 회전판(610)이 나사 결합으로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웜휠(500)의 측부에는 웜 설치부(410)가 형성되어 내측에 상기 웜(460)이 구비되는데, 상기 웜 설치부(410)는 웜휠(500)이 구비되는 웜휠 하우징(400)의 내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웜(460)과 웜휠(5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기어부(510)가 서로 치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웜(460)을 회전시켜 웜휠(500)을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웜휠(500)의 하단에 연결되는 하부 몸체(600)와 함께 작업용 장비(700)를 적절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웜휠(500)의 내주면 하부에는 고정돌부(540)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돌부(540)에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판(610)에 고정볼트(545)를 사용하여 나사 결합으로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웜휠(5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웜휠 하우징(400)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회전턱(420)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610)의 상면에는 회전돌부(612)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턱(420)에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웜휠(500)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 베어링(B1)과 하부 베어링(B2)이 구비되어 웜휠 하우징(400)과의 사이에 마찰력을 줄여주는데, 상기 상부 베어링(B1)과 하부 베어링(B2)은 웜휠(500)과 웜휠 하우징(400)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휠(130)과 웜휠 하우징(120) 사이에 하나의 베어링(170)만이 구비되어 웜휠(130)의 상부와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어 상하 각도가 변경될 경우 웜휠(130)과 베어링(170)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져 쉽게 손상될 수 있고, 비틀림에 의해 안정적으로 회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웜휠(500)과 웜휠 하우징(400) 사이에 베어링을 구비하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 베어링(B1)과 하부 베어링(B2)을 구비함으로써, 상부와 하부를 안정적을 지지할 수 있어 상하 각도가 변하더라도 안정적으로 하중을 지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 베어링(B1)은 웜휠(500)의 외주면 중심부에 형성되는 기어부(5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내측 베어링부(520)와 상기 상부 내측 베어링부(520)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외측 회전체(440)와 상기 상부 내측 베어링부(520)와 상부 외측 회전체(440)의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볼 수용부(부호미도시)에 수용된 볼(B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 외측 회전체(440)는 상기 웜휠 하우징(400)의 상부 내주면에 고정볼트(445)를 사용하여 고정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상부 내측 베어링부(520)는 웜휠(500)의 상부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내구성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유격을 최소화하여 웜휠 하우징(4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웜휠(500)이 흔들리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베어링(B2)은 웜휠(500)의 외주면 중심부에 형성되는 기어부(5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내측 베어링부(530)와 상기 웜휠 하우징(400)의 하부에 상기 하부 내측 베어링부(53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하부 외측 베어링부(450)와 상기 하부 내측 베어링부(530)와 하부 외측 베어링부(450)의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볼 수용부에 수용된 볼(B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부 베어링(B2)을 구성하는 하부 내측 베어링부(530)와 하부 외측 베어링부(450)는 각각 웜휠(500)과 웜휠 하우징(40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내구성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웜휠(500)과 웜휠 하우징(400)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하여 웜휠 하우징(4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웜휠(500)이 흔들리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300)의 하부에 연결된 하부 몸체(600)와 작업용 장비(700)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웜휠(500)이 흔들리지 않게 됨으로써, 내구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웜휠 하우징(400)의 측부에 구비되는 웜(460)은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심부가 라운드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데, 라운드 형상의 반경은 웜휠(5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기어부(510)의 산과 골의 반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웜휠(5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기어부(510)와 웜(460)의 접하는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웜(460)의 회전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기어 산에 힘이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여주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굴삭기용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굴삭기에 버킷 등의 작업용 장비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용 장비가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굴삭기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다양한 방향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연결된 작업용 장비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하는 굴삭기용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200 : 상부 몸체 210 : 상판 부재
220 : 상부 측판 300 : 회전부
400 : 웜휠 하우징 410 : 웜 설치부
420 : 회전턱
440 : 상부 외측 회전체 450 : 하부 외측 베어링부
460 : 웜 500 : 웜휠
510 : 기어부 520 : 상부 내측 베어링부
530 : 하부 내측 베어링부 540 : 고정돌부
600 : 하부 모체 610 : 회전판
620 : 하부 측판 B1 : 상부 베어링
B2 : 하부 베어링 B3 : 볼

Claims (6)

  1. 굴삭기의 아암의 단부에 연결되는 상부 몸체와,
    작업용 장비가 연결되는 하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커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부 몸체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는 웜휠 하우징과,
    상기 웜휠 하우징의 내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하단이 하부 몸체의 상면에 고정되는 웜휠과,
    상기 웜휠 하우징의 측부에 형성되되, 상기 웜휠과 치합되는 웜이 내부에 구비되는 웜 설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커플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웜휠의 상부와 하부에는 웜휠 하우징과의 사이에 상부 베어링과 하부 베어링이 구비되되,
    상기 상부 베어링과 하부 베어링은 웜휠과 웜휠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커플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베어링은 웜휠의 외주면 중심부에 형성되는 기어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내측 베어링부와,
    상기 웜휠 하우징의 상부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외측 회전체와,
    상기 상부 내측 베어링부와 상부 외측 회전체의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볼 수용부에 수용된 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커플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어링은 웜휠의 외주면 중심부에 형성되는 기어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내측 베어링부와,
    상기 웜휠 하우징의 하부에 상기 하부 내측 베어링부에 대응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외측 베어링부와,
    상기 하부 내측 베어링부와 하부 외측 베어링부의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볼 수용부에 수용된 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커플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웜은 상기 웜휠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기어부의 산과 골의 반경에 대응되도록 중심부가 오목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커플러.
KR1020190087693A 2019-07-19 2019-07-19 굴삭기용 커플러 KR102272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693A KR102272286B1 (ko) 2019-07-19 2019-07-19 굴삭기용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693A KR102272286B1 (ko) 2019-07-19 2019-07-19 굴삭기용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774A true KR20210010774A (ko) 2021-01-28
KR102272286B1 KR102272286B1 (ko) 2021-07-06

Family

ID=7423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693A KR102272286B1 (ko) 2019-07-19 2019-07-19 굴삭기용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2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729B1 (ko) * 2023-09-14 2024-01-29 양계환 굴착기 어태치먼트의 회전 구조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701031A (ko) * 1992-04-01 1995-02-20 커플링장치
KR200339008Y1 (ko) * 2003-10-02 2004-01-16 이윤규 웜 감속기
KR20130140379A (ko) * 2012-06-14 2013-12-2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굴삭기용 회전형 버킷장치
KR101928795B1 (ko) 2018-10-26 2018-12-13 유한회사 대한중공업 굴삭기용 회전링크
KR101988296B1 (ko) * 2018-05-27 2019-06-12 한영숙 중장비용 회전 장치
KR101957105B1 (ko) * 2018-09-20 2019-06-24 (주)렉셀코리아 굴삭기 아암용 회전 링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701031A (ko) * 1992-04-01 1995-02-20 커플링장치
KR0163221B1 (ko) * 1992-04-01 1998-12-15 스티그 브롬그렌 커플링장치
KR200339008Y1 (ko) * 2003-10-02 2004-01-16 이윤규 웜 감속기
KR20130140379A (ko) * 2012-06-14 2013-12-2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굴삭기용 회전형 버킷장치
KR101988296B1 (ko) * 2018-05-27 2019-06-12 한영숙 중장비용 회전 장치
KR101957105B1 (ko) * 2018-09-20 2019-06-24 (주)렉셀코리아 굴삭기 아암용 회전 링크 시스템
KR101928795B1 (ko) 2018-10-26 2018-12-13 유한회사 대한중공업 굴삭기용 회전링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729B1 (ko) * 2023-09-14 2024-01-29 양계환 굴착기 어태치먼트의 회전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286B1 (ko)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3163A (en) Alignment fitting for attaching implements to a backhoe
KR100930959B1 (ko) 중장비용 퀵 커플러
KR101846973B1 (ko)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웜드라이버
JP2017193878A (ja) 作業機械
KR20210010774A (ko) 굴삭기용 커플러
US7591089B2 (en) Boom assembly
KR102640962B1 (ko)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
JP5291987B2 (ja) 建設機械用ドア開閉装置
KR102300610B1 (ko) 회전 변환 멀티 링크
JP2021139284A (ja) クイックチェンジデバイス
RU2664988C2 (ru) Землеройный инструмент в сборе
JP2007009598A (ja) 作業機械の連結ピン構造
KR100956998B1 (ko) 건설기계용 버켓 고정 구조
JP2017075525A (ja) クイックヒッチ
US5251389A (en) Brace for maintaining relative arm-dipper angle
CA1134787A (en) Dipper door retainer
KR102629729B1 (ko) 굴착기 어태치먼트의 회전 구조체
KR102300299B1 (ko) 스스로 방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면삭기
JP2004124367A (ja) 掘削機におけるバケット等の作業具のチルト装置
US20040245002A1 (en) Screw-rod locking structure for attachment fixture
KR102603379B1 (ko) 틸트 전용 커플러
KR20210056144A (ko) 분리형 붐 조립체 결합구조
JP3660538B2 (ja) 旋回作業機におけるロータリジョイントの取付構造
KR102368581B1 (ko) 중장비용 회전링크 연결장치
KR100859285B1 (ko) 굴삭기 버킷과 작업판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